본문 바로가기

Report

All 12,447 Page 93/1,245

검색
  • 11527

    2021.07.31

    □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ㆍ 최종 목표 ○ 신규 기술개발 사업(컨테이너 탑재형 중성자 비파괴검사 장비 및 검사기술 개발)의 타당성을 조사/분석하여 불확실성 해소 및 사업성공 가능성 제고 ▹ 중성자를 이용한 비파괴검사 장비 개발의 기술적 타당성 검토 - 해외 중성자 비파괴검사 장비의 사양, 성능, 크기, 정밀도 등의 상세 검토 ▹ 중성자를 이용한 비파괴검사 기술개발 사업의 사업성 검토 - 중성자 비파괴검사 기술이 적용 가능한 사업영역(국방, 조선, 원자력, 신재생, 문화재 등)의 사업성 조사 ㆍ 전체 내용 ○ 기존 방사선(γ-선, X-선) 비파괴기술과 차이점, 장단점 분석 ○ 중성자(속, 열, 냉중성자) 비파괴검사 기술 특성 분석 ○ 국내외 기술개발 동향 및 수준 분석 ○ 중성자발생장치 업체, 모델별 특성 분석 ○ 중성자 비파괴검사장치 개념, 차폐, 목표 성능 분석 ○ 중성자 비파괴검사 사업시장 분석 ○ 중성자 비파괴검사장치 개발전략 수립 ○ 기술개발을 위한 국내외 기관, 전문가 협력 및 활용 전략 ○ 사업화 성공전략 수립(기술, 장비, 인력, 비용, 규제요건, 기간, 시장, 매출 등) □ 연구개발성과 ○ 특허 2건 ① 소형 입자가속기를 이용한 이동형 중성자 비파괴검사 장비 ② 입자가속기를 구비한 중성자 비파괴검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중성자 영상화 신호 검출 및 취득 방법 ○ 중성자 비파괴검사(NDE) 국내외 기술현황 분석 완료 ○ 해외 중성자 발생장치(NG, Neutron generator) 기술조사 완료 ○ 해외 중성자 비파괴검사(NDE) 장치 및 기술조사 완료 ○ 중성자 비파괴검사(NDE) 기술현황 분석 보고서 ○ 중성자 비파괴검사(NDE)의 사업성 검토 완료 ○ 원자력법령요건에 따른 중성자 차폐실험실 설계 및 방사선차폐영향 평가 □ 연구개발성과 활용계획 및 기대 효과 (연구개발 성과 활용계획) ○ 본 연구를 통해 주관기관에서 회사 중장기 성장 견인사업으로 중점 추진 예정인 중성자 응용기술개발을 위한 국내외 기술현황을 분석하여 필요 인프라, 시장성, 사업성 등에 대한 전반적인 추진전략을 수립하였음 ○ 또한 중성자 비파괴검사 장비 및 기술 개발 관련 기술특허 2건을 출원하여 향후 기술보호 및 선점을 위한 기초를 다짐 ○ 본 연구성과물을 활용하여 소형 입자가속기 기반 중성자 비파괴검사 장비 및 검사기술의 국산화 개발 추진 ○ 개발 중성자 비파괴검사 검사기술은 항공우주, 방위산업, 수소/전기 자동차, 2차전지 등의 국내 첨단제조산업분야와 4차산업혁명 관련 산업분야에 활용하므로서 국가 산업발전과 기술력 향상에 기여 (기대효과) ○ 주관기관에서 향후 중장기 회사 성장견인사업으로 추진 예정인 컨테이너 탑재형 중성자 비파괴검사 장비 및 검사기술 개발의 타당성을 사전에 조사/분석하여 불확실성을 해소하므로서 사업화 성공 가능성을 크게 제고 할 수 있음. ○ 본 연구결과를 활용하여 입자가속기 기반의 중성자비파괴검사 장비/기술개발에 성공하여 중성자비파괴검사 기술을 국내 첨단 제조산업분야와 4차산업혁명관련 산업분야에 적용할 경우, 국내 첨단 제조산업 품질 및 기술력 향상은 물론 국산화 대체에 따른 경제적 및 고용효과가 막대할 것으로 예상됨. ○ 또한 코로나 바이러스로 인한 해외사업 수주 급감에 따른 해외사업 인력 유지를 위한 대체사업을 발굴 및 사업화하여 국내 제조산업분야에 적용할 경우 회사 경영개선에 큰 도움이 될 것 임. ○ 본 연구성과물을 활용하여 국내 미개발 기술분야인 중성자 비파괴검사 기술을 국산화 개발하여 보급함으로서 첨단 제조산업 기술력 향상, 신규 고용 창출에 기여 (출처 :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박준현
    • 주관연구기관 : 스탠더드시험연구소
    • 발행년도 : 20210800
    • Keyword : 1. 중성자;비파괴검사;중성자 비파괴검사;방사선;중성자 비파괴; 2. neutron;nondestructive examination;movable neutron radiography;radiation;neutron radiography;
  • 11526

    2020.12.31

    본 단계(2018 ~ 2020년) 연구개발의 목적은 핵물질공정시험기반시설 설비유지 및 기술 개발을 통해 시설의 안전을 유지하고 성능을 개선하는 것이다. 이를 통하여 핵물질을 이용한 대형 시험기반을 제공하고 지원하는 성과를 달성할 수 있었다. PRIDE 아르곤셀은 성공적인 공정시험을 위하여 산소 및 수분이 엄격하게 제어되어야 한다. 또한 아르곤셀은 원격으로 운전하거나 유지보수를 위한 원격수단이 요구되며, PRIDE에 설치된 원격수단에는 원격조작기, 장비이송시스템, 특수크레인, 피드쓰루 등이 있다. PRIDE 시설에서 시설운영설비 일상점검을 실시해 아르곤셀 내부 환경을 유지관리하고, 문제점 발생 시 해당 장비 유지보수를 실시하였다. 시설 운전설비에 대하여 예방 및 안전점검 활동으로 시설 운전설비 예방점검 실시, 시설 설비 점검 및 유지보수를 수행하여, 실험실 안전, 방사선 안전 및 화재등의 법적요건을 준수하였다. 핵주기실험연구동에서는 배기팬 인터버 증설 연결, 온도·차압·배기풍량 측정 장치 설치, 틈새막이 커버설치, 누유 받침 트레이 설치, 배기팬 유지보수 등 시설 개선 및 안전관리 강화를 위해 노력했다. 핵물질과 방사선폐기물관리를 안전하게 관리하기 위해 시설의 안전관리책임자 선임 및 관리기록부(NM 사용시설관리기록부) 운영 체계를 구축하였다. 핵물질관리 및 안전조치이행을 위하여 연구원 시설 간 핵물질 이동 시 핵물질의 형태 및 양의 측정·관리하였으며, 이를 통해 국가 및 IAEA의 사찰 수검 시 정확한 안전조치 이행 정보를 제공하였다. (출처 : 서지정보양식 77p)
    • 연구책임자 : 조일제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연구원
    • 발행년도 : 20210100
    • Keyword : 1. 핵물질;시설운영;대형아르곤셀;원격운영장치;안전조치이행; 2. Nuclear Materials;Facility Operation;Large Argon Cell;Remote Handling Equipment;Safeguards Implementation;
  • 11525

    2021.05.31

    □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 최종 목표 종양의 움직임에 대해 실시간으로 위치를 추적관찰하여 수직 또는 수평방향으로 움직임에 대해 재 계산된 위치로 보정하게 되는 다엽콜리메이터 추적 치료 시, 기존의 시스템이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정밀도를 높이기 위해 빔 제어방식을 최적화하여 환자에 전달되는 방사선 선량의 정확도를 높이고자 함 ◼ 전체 내용 ○ 새로운 다엽콜리메이터 제어 방법 개발 및 고 정밀 방사선 치료의 효용성 확인 ○ 새로운 선량 오차 평가 개발 ○ 높은 해상도의 치료기기를 위한 시뮬레이션 환경구축 ○ 종양의 움직임에 따른 알고리즘 별 선량 오차 상관관계 확인 ○ 추가 종양의 모양 모델링 □ 연구개발성과 활용계획 및 기대 효과 ○ 종양의 위치정보를 이용한 새로운 MLC tracking의 원천기술 확보 ○ High resolution MLC tracking의 임상적 의의 확인을 위한 기반 기술 확보 ○ 기존의 MLC tracking 평가 방법을 개선한 새로운 선량오차분석방법 개발 ○ 공동연구를 통한 연구성공과 연구의 질 향상 등 시너지 창출 ○ 다엽콜리메이터를 제어하는 방법 및 평가에 대한 연구가 전무했으며, 가능성 입증된다면, 기준 모델 성립 가능 ○ 다양한 잎의 두께 사이즈에서 모델 평가가 이루어질 수 있음 ○ 제어 이론 기술 확보 및 방사선 종양학 분야의 선량 저감화로 이뤄지는 기술은 국내 의학물리 발전에 크게 기여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됨. ○ 본 연구를 수행을 통해 새로운 제어 이론 및 개선된 선량 오차 방법론의 연구 성과물을 획득할 예정이고, 이 연구 내용을 바탕으로 국내·외 우수한 학회지에 연구 내용을 발표할 예정임 ○ 실시간 방사선 종양 치료의 전문 인력으로 거듭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으로 기대됨. (출처 : 요약문 3p)
    • 연구책임자 : 지윤서
    • 주관연구기관 : 울산대학교
    • 발행년도 : 20210600
    • Keyword : 1. 다엽콜리메이터추적;리프 피팅 알고리즘;선량 오차;방사선 치료;방사선종양학; 2. MLC Tracking;Leaf Fitting Algorithm;Exposure Error;Radiation therapy;Radiation Oncology;
  • 11524

    2021.11.30

    □ 연구개발 목표 본 연구의 목표는 원전 이종금속용접부, 니켈기 합금 용접재에 대한 환경피로시험을 수행하고, 이를 바탕으로 확률론적 환경피로 수명평가 예측모델을 개발하는 것이다. □ 연구개발 내용 1. 니켈기 합금 용접재 환경피로시험 수행 - 환경피로시험을 위한 이종금속용접시편 제작 및 시험장치 구축 - 이종금속용접시편 미세조직분석 및 환경피로시험 수행 - 환경피로시험 수행 및 시험편 파단기구 분석 2. 확률론적 수명평가 예측모델 개발 - 기존 니켈기 합금 용접재 환경피로 관련 선행연구문헌조사를 통한 end-of-life 데이터 기반 모델 추정 - 본 연구에서 생산한 피로시험 데이터를 활용한 각 시험조건별 time-series 데이터 기반 모델링 - 본 연구에서 생산한 피로시험데이터를 모두 종합적으로 고려한 damage-index 기반 모델링 □ 활용계획 및 기대효과 (응용분야 및 활용범위 포함) 본 연구를 통해 생산된 니켈기 합금 용접재의 피로시험 데이터는 원전 규제지침 및 설계를 위한 기초 데이터로 활용가능하다. 또한, 가동 중인 원전의 용접부 피로수명 마진 정량화 및 best-estimate 예측을 위한 데이터로 활용이 가능하다. 지금까지 니켈기 합금 모재에 비해 용접재에 대해 수행되었던 환경피로 데이터가 상대적으로 부족했던 만큼, 본 연구에서 생산된 52M/152 용접재 피로수명 데이터가 중요하게 쓰일 수 있으리라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피로수명 관련 모델들의 경우에는, 직접적으로 규제지침 및 설계에 반영되기 보다는 기존 환경피로수명 모델(즉, ASME 피로설계곡선과 environmental correction factor)의 보수성을 정량화하여 확인하는 용도 및 실제 발전소 운전 이력을 통한 피로수명의 best-estimate을 구하는데 활용가능할 것이다. 특히, LSTM network 모델 방법론은 금속 구조재료의 종류와 관계없이 적용 가능하므로 원자력 분야뿐만이 아니라 일반적인 재료의 피로 연구 분야에서도 활용될수 있을 것이다. (출처 : 요약문 3p)
    • 연구책임자 : 반치범
    • 주관연구기관 : 부산대학교
    • 발행년도 : 20211200
    • Keyword : 1. 이종금속용접부;니켈기합금용접재;합금 52M/152;환경피로;수명예측;Weibull 분포;손상 지수; 2. Dissimilar metal weld;Ni-base alloy welds;Alloy 52M/152;Environmental fatigue;Life estimation;Weibull distribution;Damage index;LSTM;
  • 11523

    2021.02.28

    □ 연구개요 본 연구의 목적은 원자핵건판 검출기를 사용하여 ‘암흑물질’과 ‘숨겨진 입자들’을 탐색하는 것이다. 원자핵건판은 입자 검출기 중에서 공간분해능이 가장 뛰어나며 (~1μm 이하), 전자공학적 검출기와 결합한 방법으로 현재에도 중성미자 실험 등에 활발히 사용되고 있다. 만일 윔프 입자들이 원자핵건판내의 핵과 충돌하여 만드는 되튐 입자들의 비적이 약 ~수백 nm 정도가 된다면 최근에 개발된 NIT (Nano imaging Tracker)라는 새로운 원자핵건판 검출기로 그 비적들의 방향성을 관측할 수 있다. 그리고 고에너지 입자가속기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가벼운 암흑물질 입자가 원자핵건판내의 전자와 충돌해서 되튀어 나가는 전자들은 에너지가 비교적 높기 때문에 제동복사에 의해 전자기 캐스케이드 샤워를 발생시킨다. 이러한 샤워 입자들은 ECC (Emulsion Cloud Chamber)라는 원자핵건판 검출기내에서 관측 가능하다. 본 연구에서는 숨겨진 입자들 중의 하나인 무거운 중성 경입자(HNL)와 가벼운 암흑물질 및 윔프 입자들의 반응들을 원자핵건판 내에서 검출하는 경우, 발견할 수 있는 민감도(sensitivity) 한계와 검출 방법 등에 대해서 연구하였다. 또한 원자핵건판 내에서 2개의 이중-기묘핵 반응들을 검출하였는데, 이러한 반응들은 중성자별의 내부 구조와 관련된 중요한 실험적 정보를 제공해줄 수 있을 것이다. □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수행된 주된 연구 결과들은 다음과 같다. (1) 숨겨진 입자들의 탐색에 관한 연구 · HNL 탐색에 대한 민감도 설정 · 뮤온 선속(muon flux)과 charm 입자의 발생 단면적 측정 · charm 입자 탐색을 위한 ECC 스캐닝 (2) 가벼운 암흑물질 탐색에 관한 연구 · 신호와 배경입자들과의 구별을 위한 머신러닝 수행, · 가벼운 암흑물질 탐색에 대한 민감도 설정 (3) 윔프 입자의 방향성 탐색에 관한 연구 · Gran Sasso에서 NIT 제작 및 스캐닝 · 머신러닝으로 신호와 배경입자들과의 구별 방법 연구 · ~수백 nm 정도의 비적을 광학현미경으로 관측하는 방법 연구 (4) 이중-기묘핵 탐색 · 이중-하이퍼핵 및 Ξ--핵 각각 1개 반응 발견 □ 연구발성과의 활용 계획 및 기대효과(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1) SHiP 실험에서 연구한 SND 검출기의 디자인과 제작 노하우를 CERN 대형 강입자충돌기 LHC에서 최초로 수행되는 고에너지 중성미자 및 숨겨진 입자들을 탐색하는 후속 실험인 SND;LHC 에 활용할 계획임 (2) 나노 입자를 광학현미경으로 관측하는 방법 개발 (3) 중성자별 내부구조 연구에 자료 제공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윤천실
    • 주관연구기관 : 경상대학교
    • 발행년도 : 20210300
    • Keyword : 1. 원자핵건판;숨겨진 입자;암흑물질;SHiP 실험;NEWSdm 실험; 2. Nuclear emulsion;Hidden particle;Dark matter;SHiP experiment;NEWSdm experiment;
  • 11522

    2021.05.31

    □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 최종 목표 원자력, 이차전지 산업 분야에 필요한 고부가가치 기능성 금속용 레이저 표면개질 기술 개발 ◼ 전체 내용 ◦ 나노초 펄스 레이저 표면개질을 위한 레이저 가공시스템 구축 ◦ 나노초 펄스 레이저 표면개질 기술을 이용한 금속 표면의 특성변화 연구 ◦ 금속의 친수성(Hydrophilicity) 및 소수성(Hydrophobicity) 강화 방법 연구 ◦ 금속(지르코늄)의 임계열유속(Critical Heat Flux, CHF) 개선 방법 연구 ◦ 접촉각 90° 이상 ◦ 임계열유속 10% 개선 □ 연구개발성과 (1) 정성적 연구개발 성과 ◦ 나노초 펄스 레이저 표면개질을 위한 피닝 및 패터닝 가공 시스템 구축 • 레이저 광원 ~ 가공 헤드 까지의 빔 전송 광학계 설계 및 개발 • 빔 성형 및 전송을 위한 레이저 가공 헤드 설계 및 개발 • 레이저 가공 스캐닝 및 제어 시스템 개발 ◦ 나노초 펄스 레이저 표면개질기술을 이용한 금속(지르코늄) 표면의 친수성 (Hydrophilicity) 및 소수성(Hydrophobicity) 강화 방법 • 금속(지르코늄)의레이저피닝 가공 및 표면 특성 • 금속(지르코늄)의 레이저패터닝 가공 및 표면 특성 ◦ 금속(지르코늄)의 임계열유속(Critical Heat Flux,CHF) 개선 방법 • 금속(지르코늄)의 표면 특성 및 CHF 개선을 위한 가공변수 확립 (2) 정량적 연구개발성과 ◦ 학술/과학기술성과 • 전문학술지 논문게재(SCI 2건) - Applied optics, 58(9), 2429-2437 - Applied Sciences, 9(12), 2396 • 지식재산권 - 특허출원(출원번호: 10-2020-0011913, 2020년) • 학술대회 논문발표실적(6건) - Optics and Photonics congress 2018 (2018) 2건 - 대한용접접합학회 춘계 학술발표대회(2021) 2건 ◦ 인력양성 • 학위 배출인력(박사 4명, 석사 1명) ◦ 국제협력 • 국내외 과학자 교류(해외파견 1명) (HiLASE, 체코) □ 연구개발성과 활용계획 및 기대 효과 본 과제의 연구개발성과를 원자력, 이차전지 산업 분야에 필요한 고부가가치 기능성 금속용 레이저 표면개질 기술에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됨 (출처 :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유태준
    • 주관연구기관 : 한동대학교
    • 발행년도 : 20210600
    • Keyword : 1. 레이저 표면개질;친수성;소수성;임계열유속; 2. laser surface modification;Hydrophilicity;Hydrophobicity;Critical Heat Flux;
  • 11521

    2021.11.30

    □ 연구개발 목표 본 과제에서는 라그랑지안 기반의 원자로 열유체 및 다물리 해석코드(SOPHIA)를 개발하고, 고해상도 고온가스냉각로(HTGR) 실험데이터를 활용하여 이를 검증하고자 함. 이에 대한 세부목표는 다음과 같다. (1) 고온가스냉각로 사고 시 물리/화학 거동해석을 위한 라그랑지안 모델개발 및 구현. (2) SOPHIA 코드 내 고온가스냉각로 물리/화학 모델통합. (3) 고온가스냉각로 공기/증기유입 현상 고정밀/고해상도 실험데이터 획득. (4) 실험데이터를 통한 코드검증 및 모델개선. □ 연구개발 내용 원자로 안전과 관련하여 물리현상을 정확히 이해하고 해석하는 것은 무엇보다 중요하다. 특히 최근 컴퓨터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복잡한 물리현상을 보다 사실적으로 재현할 수 있는 기술들이 빠르게 발전하고 있다. 이 중 완화입자동역학(SPH)은 대표적인 라그랑지안 기반의 해석기법으로, 복잡한 형상 및 현상을 쉽고 정확히 다룰 수 있어 최근 여러 공학 분야에서 빠르게 발전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서울대학교)에서 개발한 SPH 기반의 원자로 열유체 및 안전해석 코드인 SOPHIA 코드를 활용하여 고온가스냉각로의 사고 시 주요현상을 해석할 수 있는 코드를 확장하고, 이를 미국(미시간대학교 외)에서 측정한 고해상도 실험결과와 비교검증을 수행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이 5개의 역무로 나누어 수행된다. (1) 공기/증기유입 종합효과 실험 (미국) ▪ HTGR 공기/증기유입 현상에 대한 종합효과 실험을 통하여 사고 시 유량, 온도, 농도 등의 거시적 파라미터의 시간에 따른 영향을 측정. (2) 유동상실사고 개별효과 실험 (미국) ▪ HTGR 유동상실사고시 국부 유동혼합현상에 대한 개별효과 실험을 통하여 고해상도 속도분포 및 농도분포를 측정. (3) HTGR 해석을 위한 SPH 모델 개발 (한국) ▪ HTGR 사고현상 해석을 위한 SPH 상태방정식, 확산모델, 화학반응모델 등을 개발하고 구현 및 실증. (4) 통합 SOPHIA 코드체계 구현 (한국) ▪ 개발된 모델을 코드 내로 통합하고, 계산성능 및 사용자 환경 개선. (5) 코드 검증 (미국/한국) ▪ 코드해석과 실험결과의 비교를 통하여 코드 검증. □ 활용계획 및 기대효과 (응용분야 및 활용범위 포함) (1) 전산해석코드의 활용방안: ▪ 고온가스로 사고해석 및 현상 분석에 활용. ▪ 지속적인 연구개발을 통해 다양한 분야에 활용범위 확대. (2) 고정밀 실험결과 활용방안: ▪ 다른 코드/방법론 검증 또는 물리모델 개발을 위한 기초데이터로 지속적인 활용. (3) 기대효과: ▪ 안전해석 기술 향상, 전통적인 안전해석 기술 보완, 현상에 대한 깊은 통찰력, 원자로 안전성 향상, 해석 코드의 상용화, 관련분야의 국가적 리더쉽 확보 및 전문 인력양성 등의 기술적, 경제적 효과 기대. (출처 :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김응수
    • 주관연구기관 : 서울대학교
    • 발행년도 : 20211200
    • Keyword : 1. 고온가스냉각로;공기유입;증기유입;완화입자유체동역학;라그랑지안;전산유체역학;다물리;고해상도; 2. HTGR;Air Ingress;Steam Ingress;SPH;Lagrangian;CFD;Multi-physics;High-Resolution;
  • 11520

    2020.12.31

    □ 연구개요 본 연구는 항암제 내성 대장암세포에 항염증 치료제를 이용하여 산화 및 염증 반응과 관련된 ROS 및 Shh 신호전달 기전을 규명하고, 이를 통하여 항암제 내성 대장암을 극복 할 수 있는 항암 보조 항염증 치료제를 발굴 하고자 함. 궁극적으로 항암제 내성 관련 산화 및 염증 반응 기전을 통하여 항암제 내성 암의 새로운 치료제의 기반을 마련하고자 함. □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1. 1차년도 : 항암제 내성 대장암세포 구축 1) 대장암 치료에서 주로 사용되는 항암제의 선정 : 5-FU, Oxaliplatin 선정함. 2) 선정된 항암제 내성 대장암세포의 제작 : 선정된 항암제 내성 대장암 세포 제작 : Colon cancer HT29 와 HCT116 cell에 대해 resistance cell line 구축. 3) 제작된 항암제 내성 세포의 검증 : 제작된 세포가 다양한 항암제 농도에서 생존 하는지를 규 명하기 위해 cell viability를 확인하여 내성 세포주 검증함. 2. 2차년도 : 항암제 내성 대장암세포에 다양한 항염증 치료제 적용하여 산화 및 염증 관련기전 검증. 1) 항암 효과가 있는 다양한 항염증 치료제의 선정 : conoidin, mesalazine 2) 선정된 항염증 치료제를 항암제 내성 대장암세포에 적용하여 산화, 염증 반응 관련 기전 검증. 2.1) Conoidin A를 항암제 내성 대장암세포에 산화, 염증 반응 관련 기전 검증함. 2.2) Mesalasine을 항암제내성 대장암세포에 산화, 염증 반응 관련 기전 검증함. 3. 3차년도 : 검증된 항염증 치료제를 이용한 임상연구 계획 및 항암제 내성 다른 소화기암 세포주에 활용 1) 항암제 내성 췌장암 세포(5-FU-R PDAC cells)에서 antioxidant transcription factor인 nuclear factor (erythroid-derived 2)-related factor 2 (NRF2)의 역할 검증함. 2) 췌장 신경내분비 종양(QGP-1 human pancreatic neuroendocrine neoplasms(pNENs) cell line and patient-derived pNEN tissue)에서 Prx2의 항암제 치료 반응에 대한 biomarker로서의 역할 검증함. 3) 본 연구 결과에서 발굴한 항염증 치료제인 conoidin, mesalazine을 바탕으로 인체유래물 은행에 보관되어 있는 환자의 대장암 조직을 분양받아 이를 바탕으로 산화 및 염증 반응과 관련된 ROS, Shh 신호 전달 기전을 다시 검증 하며 이 결과가 나오면 이를 바탕으로 실제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 연구를 계획 중. □ 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 본 연구를 통하여 항암제 내성 대장암세포에서 항염증 치료제를 이용하여 암 발생과 연관된 산화 및 염증 반응 관련 기전에 대한 기반을 구축하였으며 또한 in vivo에서도 같은 반응을 보임을 증명함. - 본 연구를 통하여 항암제 내성 췌장암세포주에서 항산화 관련 NRF2의 역할을 검증을 통하여 추후 항염증 치료제를 췌장암에도 적용할 수 있는 기반 마련. - 본 연구를 통하여 췌장 신경내분비 종양에서 산화, 염증 반응의 기전을 활용하여 Prx2의 항암제 치료 반응에 대한 biomarker로서의 활용의 기반을 마련. - 향후 본 연구를 기반으로 인체유래물 은행에 보관되어 있는 대장암으로 진단받고 5FU, Oxaliplatin등을 사용하였으나 항암제 내성을 보인 환자의 대장암 조직을 분양받아 이를 바탕으로 본 실험에서 발굴한 항염증 치료제인 conoidin, mesalazine을 사용하여 산화 및 염증 반응과 관련된 ROS, Shh 신호 전달 기전 증명을 통하여 실제 임상실험에 적용 가능함. 이를 통하여 항암제 내성 대장암을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치료제 개발의 기반 마련. - 다양한 암종 및 질환에 대하여 적용할 수 있으며, 기존 연구와 연계할 경우 다양한 현상에 관하여 설명 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할 수 있음. 기존의 전략과는 다른 치료 방법으로 대장암 이외의 암에도 적용 가능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며, 각종 항암제 내성 획득 암에 대한 새로운 치료 전략 마련. 플랫폼으로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임. 현재 연구를 바탕으로 항암제 내성 대장암세포에서 항염증치료제를 이용하여 암 발생과 연관된 산화 및 염증 반응 관련 기전을 바탕으로, 실제 항암제 내성 대장암 환자를 대상으로 한 임상연구를 진행하고, 더 나아가 다양한 항암제 내성 암을 대상으로 내성기전을 증명하는 과정을 반복하며 이를 바탕으로 내성암 치료제 개발의 진일보에 기여함.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정석후
    • 주관연구기관 : 가톨릭관동대학교
    • 발행년도 : 20210100
    • Keyword : 항암제 내성;대장암;항염증 치료제;활성화 산소종;염증 반응;
  • 11519

    2021.10.31

    광귤(지각)의 분말 및 물추출물에 대한 독성시험용 지표성분으로 naringin과 neohesperidin을 선정하였다. 광귤(지각)의 분말 및 물추출물에 대한 지표성분 함량을 각각 측정하였으며, Radiation 조사 전후의 각 지표성분의 함량 변화 및 광귤(지각)의 지표성분에 대한 안전성 평가를 진행하였다. 광귤(지각)과 지실의 혼용 및 오용에 대한 사회적 문제에 입각하여, 광귤(지각)의 주요 지표성분인 naringin과 neohesperidin은 지실에서는 전혀 검출되지 않음을 확인하였으며, 이 결과로부터 광귤(지각)과 지실의 오남용에 대한 품질관리가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랫드를 이용한 단회투여독성시험 및 4주 DRF 시험을 통하여 각각 천연물의 13 주(90일) 반복투여 독성시험의 용량을 결정하였고, 13주 반복투여독성시험 및 4주 회복시험 후 무독성량(no observed adverse effect level, NOAEL) 및 표적장기를 확인한 결과, 광귤(지각)의 분말 및 물 추출물은 각각 암수 모두 2000 및 5000 mg/kg/day이었고, 모두 독성학적으로 유해한 표적장기는 관찰되지 않았다. 복귀돌연변이, 염색체이상 및 소핵시험에서 모두 음성의 결과를 얻었다. (출처 : 요약문 7p)
    • 연구책임자 : 송시환
    • 주관연구기관 : 켐온
    • 발행년도 : 20211100
    • Keyword : 1. 광귤(지각);독성시험;안전성평가; 2. Aurantii Fructus Immaturus;Toxicity Testing;Safety Evaluation;naringin;neohesperidin;
  • 11518

    2021.11.30

    원자력 전문인력 역량개발 과제 산학연 연계 원자력전문교육 사업에서는 국가 원자력사업에서 필요한 인력을 양성하기 위해 KAERI 강점기술과 기관 특성에 기반한 교육과정을 개발 운영하고 있다. 원자력 산업체 요원을 주 대상으로 하는 원자력전문교육 과정으로서 사용후핵연료 저장 및 처분 교육, 액체금속 여름학교, 글로벌 인턴십 원자력 기초 교육, 방사성 폐기물 핵종 분석 등의 신규교육훈련 프로그램을 개발 및 운영하였다. 차세대 원자력 리더를 양성하기 위한 학·연 협동교육은 원자력 전공의 대학생 및 대학원을 대상으로 이론과 함께 연구원의 실험·실습 장비를 활용하여 학교의 교육과는 차별화된 실험실습 과정을 개발하고 운영하였다. 원자력 연구개발 요원 대상으로는 전문교육, 법정교육 과정을 실시하였으며, 대국민 차원에서 원자력에 대한 올바른 지식과 정보를 공유하고 이에 관해서 이해를 높이기 위해 공공기관, 중등교사, 학생을 대상으로 원자력 이해증진 과정을 운영하였다. 이외에 본 과제에서는 연수원동 강의시설 및 실험실을 운영하고 있으며 연수원동 강의실과 교육시설을 개선하였다. 본 사업을 종합한 결과 2021년도에는 22종의 교재를 신규 개발하고 4개 과정을 신규 개발하는 등 총 34개 과정을 운영하였다. 산업체 대상 교육과정 912명, 학연협동과정 109명, 원자력이해증진 과정 56명, 연구 요원 교육과정 365명 등 총 1,442명이 교육훈련과정에 참여하였다. 2015년부터 학연 협력을 통해 기존의 대학생 현장실습 프로그램을 강화한 인턴십을 통해 올해에는 52명을 훈련하고 학연협동 석·박사학위 과정 운영을 통해 신규로 27명을 선발하고 석사 20명 박사 7명을 배출하였다. (출처 : 서지정보양식 291p)
    • 연구책임자 : 신진명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연구원
    • 발행년도 : 20211200
    • Keyword : 1. 원자력교육훈련;인력양성;원자력산업;방사선;실험실습;학연협동;원자력이해증진; 2. Nuclear education and training;Manpower training;Nuclear industry;Radiation;Experiment and practice;Training course for university students;Understanding of nuclear ener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