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Report

All 12,392 Page 93/1,240

검색
  • 11472

    2020.03.31

    - 디지털 단층영상 합성시스템에서의 의료영상 정량화를 위해 Observer 평가를 위한 Detectability 모델링을 진행하고, 이를 바탕으로 디지털 단층영상 합성 시스템에서의 저 선량을 위한 촬영조건 확립을 위해 기존의 재구성 알고리즘으로 획득한 영상을 정량화. - 저 선량 재구성 알고리즘 개발을 위해 Beam modulation, Sparse sampling, 그리고 ROI 영상화 기술 기반의 저 선량 재구성 알고리즘을 개발하고, 개발 영상의 평가를 진행함. - 저 선량 알고리즘의 영상화질 및 유효선량 정량화를 위해 Monte Carlo 시뮬레이션을 통한 저 선량 디지털 단층영상 합성시스템의 환자선량 분석을 진행하고, 디지털 단층영상 합성시스템에서 저 선량 재구성 알고리즘으로 획득한 영상의 정량화함. (출처 : 보고서 요약서 3p)
    • 연구책임자 : 김희중
    • 주관연구기관 : 연세대학교
    • 발행년도 : 20200400
    • Keyword : 1. 정량적 평가;디지털 단층영상 합성;저 선량;재구성;몬테칼로 시뮬레이션; 2. Quantitative evaluation;Low-dose;Digital Tomosynthesis;Reconstruction;Monte Carlo simulation;
  • 11471

    2019.12.31

    □ 연구의 목적 및 내용 ■ 기술검증을 통한 실용화 수준의 해체 핵심기술 개발 - 해체 대상 및 폐기물 방사선학적 특성평가 기술개발 및 측정 시스템 구축 - 원전 일차계통 화학제염 및 대형기기 나노복합유체제염 기술 개발 및 공학검증 기반 구축 - 고방사성 원전 핵심설비 해체를 위한 차세대 원격절단 기술 개발 및 시스템 구축 - 난처리성 해체폐기물 고감용, 안정화/고화 기술개발 및 처리시스템 구축 - 오염 토양 복합처리 및 현장형 지하수 환경 복원 시스템 구축 - 원자력시설 해체 핵심기술 통합관리 시스템 개발 - 시설 및 부지 오염도 측정시스템 구축 성능검증 및 연구로 및 원전 적용 실용화 기반 구축 - HyBRID 제염기술의 원전 적용 성능 검증 및 기술실용화 기반 구축 - 원전 핵심설비의 최적 해체공정 설계를 위한 해체공정 시뮬레이션 실용화 기술 개발 - 해체폐기물 감용 및 안정화 처리를 위한 실용화기술 개발 □ 연구개발성과 ■ 해체 시설 및 부지 측정시스템 구축, 연구로 및 원전 적용 성능검증 ■ HyBRID 일차계통 화학제염기술 국내원전 적용을 위한 실용화 수준 기술 확보 ■ 원격조작 상호연동 기술 기반 차세대 원격절단 시스템 ■ 고리 1 호기 원전 핵심설비 원격해체 공정 시나리오 ■ 해체폐기물 처리 신기술 개발 및 실증을 통해 실용화 기술 확보 ■ 난처리성 오염토양 및 현장형 지하수 복원 시스템 개발 ■ 해체 핵심기술 통합관리 시스템 구축 □ 연구개발성과의 활용계획(기대효과) ■ 해체 대상 시설의 방사선학적 특성평가를 위한 고방사능 환경 및 난분석 핵종 현장 측정 기술 확보를 통한 해체작업 효율 향상 및 해체폐기물 저감 ■ 원전 일차계통 화학제염기술 및 대형/대면적 설비의 표면오염 제거를 위한 나노 복합유체 제염기술 개발로 국내 해체사업의 기술경쟁력 강화 ■ 고방사성 핵심설비의 차세대 원격절단 시스템 개발을 통한 해체사업의 안전성과 경제성 확보 ■ 대량 발생 해체폐기물 고도감용 기술 개발을 통한 폐기물 저감화 및 처분 적합화 방안 확보 ■ 난처리성 점토/실트 처리 기술 확보, 국내환경에 적합한 현장형 지하수 복원 기술과 삼중수소 제거 원천기술 확보 (출처 : 요약문 6p)
    • 연구책임자 : 서범경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연구원
    • 발행년도 : 20200100
    • Keyword : 1. 특성평가;제염;원격절단;폐기물;부지 환경복원; 2. radiological characterization;decontamination;remote cutting;waste;site remediation;
  • 11470

    2020.05.31

    □ 연구개요 유방암은 여성 고형암 발생률 1위의 암으로서 병기나 위치, molecular subtypes, 임파선 전이 유무에 따라 다양한 조합의 치료가 선택된다. 유방암의 재발암에 대한 기존의 기초 연구들은 실제 임상에서의 치료 과정을 감안하지 않은 단편적인 연구들이 많으며, 유방암의 치료 과정을 고려하여 실질적인 연구 결과를 도출할 필요성이 있었다. 이를 위해서는 방사선에 내성을 가진 세포를 대상으로 타목시펜 저항성을 추가로 획득한 세포를 구축하는 것이 선행되어야 한다. 유방암은 표준치료가 종료된 수년 후에도 빈번하게 재발하는 암으로서 이는 표준치료에 내성을 획득한 세포가 원인일 것이라고 판단하였고, 본 연구에서는 유방암의 치료 과정을 순차적으로 가정하여 내성 세포를 구축하였다. 내성 세포를 대상으로 그 기전을 확인하고 각각의 내성 획득 단계에 따른 효과적인 치료 방법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1) 장기간 타목시펜(Tamoxifen)을 처리하여 MRTR 획득 및 검증 - 방사선 내성 세포(MR)를 10 μM의 타목시펜을 함유한 배지에서 최소 6개월 이상 배양한 후 분리한 세포를 방사선/타목시펜 내성세포(MRTR)라 명함. MR과 MRTR 간의 단백질 활성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고, MRTR에서 CD44 발현 증가를 보임. 2) 항암약물에 대한 반응 차이 - 약물에 따라 다양한 패턴을 보임. 그 중 5-FU와 lapatinib에서 wild type에 비해 높은 cell cytotoxicity를 보임. 이는 임상 치료 방향에 따른 다른 약물 선택의 필요성을 시사함. 가령 tamoxifen치료 대상인 ER(+) 유방암인 경우 lapatinib보다는 5-FU가 효과적일 것이며, tamoxifen 치료 대상이 아닌 triple negative 유방암 환자는 lapatinib과 5-FU가 모두 선택 가능할 것임. 3) Wild type, MR, MRTR 간의 microarray 비교 - Wild type과 비교하였을 때 MR, MRTR의 특정 유전자 발현이 관찰됨. MR과 MRTR 사이의 발현 차이는 크지 않음. □ 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본 연구를 통해 유방암의 실제 치료 과정을 반영한 기초 연구 결과를 도출하고자 시도하였다. 대부분의 유방암 환자들은 방사선치료 후 호르몬치료를 받게 되며, 만약 표준치료가 완료된 후 재발을 한다면 방사선과 호르몬에 모두 내성을 갖는 세포가 원인일 것이라고 예상하였다. 연구 결과 방사선 내성세포와 방사선/호르몬 내성세포에 대한 항암약물의 반응이 약물 종류별로 차이를 보였으며, 이는 치료 단계 및 재발 시기, 재발 전에 받았던 치료에 따라 약물 선택을 달리 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하는 중요한 결과라고 판단된다.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장현수
    • 주관연구기관 : 동국대학교
    • 발행년도 : 20200600
    • Keyword : 방사선 치료;타목시펜;유방암;방사선 내성암;타목시펜 내성암;호르몬 치료;재발암;
  • 11469

    2020.02.29

    연구개요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수치계산 프로그램 즉 전자 운동은 양자 역학적으로, 핵운동은 고전적으로 다루는 에렌페스트 근사법에 기초한 Ehrenfest Mixed Quantum-Classical (EMQC)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한 두 개의 화학 결합이 존재하는 시스템의 전자 상태의 양자중첩과 터널링 이온화 과정을 포함하는 아토초 반응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강력장을 이용해, 선형 또는 평면 분자의 결합, 해리, 전자 전이에 대해 연구하였다.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1. 핵과 전자의 운동을 동시에 관찰할 수 있는 EMQC 알고리즘을 개발하고 H2+ 분자의 이차원 모델에 적용하였다. 2. H2+ 분자 모델 (1차원)을 이용하여, 완전한 양자계산을 얻은 이전 연구 결과와 EMQC 계산 결과와 비교하였으며, 레이저 펄스와의 상호작용에 의한 바닥상태와 들뜬 상태로 이루어진 중첩상태의 라비 진동 관찰을 통해 같은 결과를 나타냈으며, 이를 통해 EMQC 방식이 양자 결과와 다르지 않음을 증명하였다. 3. H2+ 분자 모델 (2차원)을 이용하여, 즉 분자의 회전 운동을 포함하였을 때 새로운 결과를 발견하였다. 분자 축과 레이저 축이 어긋나 있었을 때, 바닥상태에서는 분자가 레이저 축을 따라 선형적으로 정렬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들뜬 상태에서는 레이저 축을 따라 정렬하는 대신 해리되는 현상을 관찰하였다. 이는 바닥상태와 들뜬상태의 반대 부호의 편극률 때문임을 밝혔다. 4. 다중 준위의 라비 진동은 강한 펄스 내에서 펄스의 면적에 의존함을 알고 있다. 본 연구에서 라비 진동이 펄스의 면적 뿐만 아니라 비공명상태의 detuning에도 의존함으로 밝혔다. 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본 연구과제는 양자화학, 양자동역학, 반응동력학, 아토과학에 대한 모든 지식이 필요한 연구이다. 새로운 알고리즘 개발을 통해, 초고속, 초단파 레이저 펄스에 의한 화학반응에 대한 이해를 도우며, 이원자 분자 뿐만 아니라 다원자 분자에 적용 가능하여, 더 나아가 나노 구조에서의 전자 운동을 연구할 수 있을 것이다. (출처 :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장보영
    • 주관연구기관 : 서울대학교
    • 발행년도 : 20200300
    • Keyword : 핵 전자 동역학;강력장 상호작용;아토화학;라비 진동;에렌페스트 근사;시간의존성 슈뢰딩거방정식;양자중첩;결맞음;편극률;
  • 11468

    2020.05.31

    □ 연구개요 유전 안정성을 유지하는 과정에 p63는 여성생식세포에 활발하게 인산화가 되는 사실을 최근에 본 연구진은 발견했다. 여성 생식세포와 상피세포의 줄기세포는 각자 발현하는 p63 isoform이 다르며 예비결과로 확인한 결과 인산화 페턴도 다르다는 근거를 찾았다. 미성숙한 여성생식세포 및 상피세포 줄기세포에 발현되는 각자 p63 isoform의 인산화 페턴을 세밀한 분석을하고 p63 인산화 코드를 밝혀내서 p63는 DNA 손상 회복, 세포 사멸, 세포 재생 능력 역할이 각자 어떻게 조절이 되는지 더 잘 이해하는 단기적 목표가 있고 그리고 암 치료 또는 불임 예방에 적용할 수 있는 전략을 개발하는 장기적 목표를 두고 있다. □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p63 is expressed at high levels in female germ cells and undergoes dynamic phosphorylation in response to DNA damage. This research team discovered p63's important role in maintaining female genome stability. p63 is also expressed in epithelial stem cells and important for stem cell renewal. We recently discovered the two p63 isoforms respectively expressed in female germ cells and epithelial stem cells are differently phosphorylated. Our aim to uncover the phosphorylation code that might play a role in differentiating the function of these two different isoforms during female germ cell genome stability maintenance and eptithelial stem cell self-renewal funct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may have clinical relevance for female infertility treatment as well as improving cancer cell response to ionizing radiation or chemotherapy treatments. □ 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기존에는 p53 family member인 p63는 유전 전사 기능을 가진 transcription factor로 알려져 있었지만 정확한 조절 기전을 잘 알려져 있지 않았음. 본 연구진는 TAp63a의 인산화 페턴을 세밀하게 분석하여 인산화가 유도 되는 기전을 밝혀냈고 p63유전자의 두 다른 isoform인 TAp63a와 DNp63a가 세포 사멸 및 세포 재생 반대 기능을 어떻게 유도/유지 하는지 새로운 지식을 기여 하였음. 본 연구진에서 밝힌 핵심 내용을 p63인산화는 p63자가 스스로 유전 전사 기능을 통해서 조절하는 사실을 밝혔음.TAp63는 스스로 자가 조절을 하기 때문에 전사 기능을 막으면 oocyte-specific한 target 조절이 될 것으로 혀재 제시되는 전략보다 합병증이 많이 감소 될 것으로 기대함.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서은경
    • 주관연구기관 : 이화여자대학교
    • 발행년도 : 20200600
    • Keyword : TAp63a;DNp63a;phosphorylation;epithelial stem cell;oocyte;self-renewal;genome stability;
  • 11467

    2020.06.30

    원자력발전소 운영 과정에서 방사성 물질 누설 등으로 인하여 토양 및 지하수 오염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원전 해체과정 중 이를 확인하고 제거하는 과정이 필요함. 본 연구에서는 원전 해체단계 중 최종 부지평가 과정에서 토양의 잔류 방사성핵종을 측정하기 위한 원격 이동형 무선 방사선 계측시스템을 개발함.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무선통신을 활용한 방사능 측정 기술 조사·분석 △ 최적화를 통한 무선 감시시스템 회로부 상세 설계 △이동형 계측시스템 및 소프트웨어 개발 △ 이동형 측정 시스템시작품 제작 및 성능평가 △이동형 계측시스템 성능 및 현장 적용성 평가를 수행하여 최적화를 수행함. 본 연구에서 개발된 이동형 무선 측정시스템은 원전 해체과정에서 토양의 잔류방사능을 측정 및 평가하는 데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함. (출처 : 보고서 요약서 3p)
    • 연구책임자 : 문주현
    • 주관연구기관 : 단국대학교
    • 발행년도 : 20200700
    • Keyword : 1. 원자력시설;해체부지;잔류방사능;방사성핵종 판별; 2. Nuclear Facility;Decommissioned Site;Residual Radioactivity;Radionuclide Discrimination;
  • 11466

    2020.05.31

    □ 연구개요 방사선작업종사자의 피폭선량 및 피폭위치에 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가능한 초소형의 개인피폭선량계를 개발하여 방사선작업종사자를 방사선 위해요소로부터 보호하고자 함. ㅇ 무선정보전송 시스템을 통해 광센서로 측정된 선량을 외부에서 실시간 모니터링 가능하게끔 함. ㅇ 개인피폭선량계 내부에 GPS를 삽입하여 방사선노출위치에 대한 정보를 모니터링하여 고선량 및 방사선노출위험지역을 차단할 수 있는 기반을 확립. □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 1차년도: 광센서 기반 실시간 모니터링 개인피폭선량계 기본 특성 평가 완료 ■ 광자선, 감마선 및 양성자선에 대한 광센서의 특성 확인 ■ 외부 빛의 유무 및 사용자의 방사선 노출 환경에 따른 광센서의 특성 변화 확인 ■ 광센서의 크기, 종류, 길이에 따른 방사선 검출 정확도를 확인하여 방사선 검출을 위한 최적화 조건 도출 ▶ 2차년도: 광센서 기반 초소형 실시간 선량 모니터링 개인피폭선량계 개발 및 최적화 완료 ■ 프로토 타입의 선량계에 대한 특성평가를 진행하여 가능성 확인 ■ 실시간 선량 모니터링을 위하여 무선정보전송 시스템 추가 및 보완 ▶ 3차년도: 광센서 기반 초소형 실시간 선량 모니터링 개인피폭선량계 효용성 평가 완료 ■ 방사선 발생구역 내 임의의 위치에서 개발된 개인피폭선량계를 통하여 측정된 선량은 기준값 대비 5% 이내의 오차를 보이고 위치 좌표는 7cm 이내의 오차를 보여 효용성 확인 □ 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 본 연구팀이 개발한 광센서 기반 개인 피폭선량계는 선량계 내에 무선정보전달 시스템이 장착되어 실시간으로 피폭정보를 확인할 수 있어 분실 시에도 이전의 선량정보의 손실이 없고 뿐만 아니라 과선량에 노출되었을 때 즉각적으로 대처할 수 있어 보다 큰 사고를 방지할 수 있음. • 또한, 방사선작업종사자 뿐만 아니라 수시출입자도 방사선피폭위험지역에 출입 시실시간으로 피폭선량을 확인하고 출입 당시에 자체적으로 관리할 수 있어 고선량 피폭에 의한 사고를 사전에 예방 가능할 것으로 생각되고 선량계 내에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를 삽입하여 피폭선량뿐만 아니라 피폭 당시의 위치까지 기록해 고선량에 노출될 가능성이 있는 지역을 확인하고 접근을 차단해 대중의 방사선 노출 사고를 방지할 수 있음. • 즉, 기존의 사후 방사선 관리를 위치기반의 실시간 방사선량을 측정 관리함으로써 방사선안전관리를 한층 강화하고 효율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함.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신동호
    • 주관연구기관 : 국립암센터
    • 발행년도 : 20200600
    • Keyword : 방사선작업종사자;개인피폭선량계;광센서;실시간;모니터링;무선통신;
  • 11465

    2020.11.30

    ○ 고온기 단감 일소 피해 경감기술 개발 ○ 키위 수출 문제점 모니터링 및 수확후관리 기술투입을 통한 수출유망 품종 가능성 검토 ○ 감귤을 이용한 항바이러스 소재 개발 ○ 무인방제기 종류별 방제효율 향상법 구명 ○ ‘매향’ 딸기 보광 및 저온 피해 경감제 처리 효과구명 ○ 공기정화재배장치 성능 및 안전 기준마련 (출처 : 요약서 4p)
    • 연구책임자 : 정성민
    • 주관연구기관 : 국립원예특작과학원
    • 발행년도 : 20201200
    • Keyword : 1. 일소;키위;항바이러스;딸기;공기정화식물; 2. Sunburn;Kiwifruit;anti-viral activity;Strawberry;Air purifying plant;
  • 11464

    2020.09.30

    □연구의 목적 및 내용 ○ 항생제의 지속적 배출이 가능한 하이드로겔-골 시멘트 복합체 합성 기술 개발 ○ In vitro, In vivo 연구를 통해 상기 복합체가 가지는 향상된 감염 억제능과 골 이식술전 유도막 형성 제재로서의 유효성 입증 □연구개발성과 ○ 반코마이신 (1%) 및 반코마이신 (5%) 탑재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 methacrrylate), PMMA) 기반 골시멘트 마이크로스피어 입자 개발하였으며, 또한, 주사전자현미경 이용하여 반코마이신 (1%) 탑재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및 반코마이신 (5%) 탑재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기반 골시멘트 마이크로스피어 입자 확인하였음. ○ 키토산-3,4-디하이드록시하이드로신남산 결합 하이드로겔 합성 기술 취득 핵자기공명 (nuclear magnetic resonance, NMR)을 통하여 키토산-3,4-디하이드록시하이드로신남산 결합 하이드로겔 합성 성공 확인하였음 ○ 하이드로겔-골 시멘트 복합체로부터 반코마이신 1개월간 서방성 방출 확인은 하이드로겔-골 시멘트 복합체를 인산완충생리식염수(PBS)에 넣은 후 1개월간 미리 정해진 기간 내에 PBS 수득하여 측정한 결과 하이드로겔-골 시멘트 복합체에서 방출된 반코마이신이 그냥 반코마이신보다 서방성 방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음. ○ Rat 의 원위 대퇴골에서 S. aureus 를 이용한 만성 골수염 실험 모델을 확립함. □연구개발성과의 활용계획(기대효과) ○ 하이드로겔-골시멘트 복합체 약물 전달 체계는 아직 특허 및 생체 이용 제품화 건수가 많지 않은 영역임. 다재내성균 제어에 효과가 있는 항생제를 탑재하여 만성 골수염 치료제로 개발하고 그 효과를 입증할 경우 기술이전을 통해 빠른 상용화가 가능함 ○ 유도막 골재건술의 유효성 검증을 통해 유도막 형성제재로서의 하이드로겔-골시멘트 복합체는 현재 만성골수염 뿐만 아니라 개방성 골절, 종양으로 인해 생긴 광범위한 골 결손부위에 사용되고 있는 골시멘트 시장을 대체할 수 있음 ○ 만성 골수염 실험 모델에서 감염 치료제로서의 효과 및 유도막 형성제재로서의 효과 입증 통한 골수염 치료 의료기기 원천 기술 확보 ○ 복합 약물 전달 체계로서 복합체의 원천 기술 확보 ○ 골수염 및 골재생 가능한 다 기능성 지지체 기술력 확보 ○ 근골격계 줄기세포, 골유도 물질, 및 성장인자를 탑재 용이하여 골 재생 및 골 대체재로서 발전 가능함 (출처 : 요약문 4p)
    • 연구책임자 : 조재우
    • 주관연구기관 : 고려대학교
    • 발행년도 : 20201000
    • Keyword : 1. 하이드로겔;골 시멘트;만성골수염;유도막골재건술;서방성방출; 2. Hydrogel;Bone cement;Chronic osteomyelitis;Induction membrane bone reconstruction;Sustained release;
  • 11463

    2020.05.31

    □ 연구개요 본 연구의 목표는 방사선의 안전한 의료/산업계 이용을 위해, 방사선피폭자의 3D 스캔 피부 표면영상을 Radiomics 기법으로 분석한 결과를 기반으로 방사선 피부손상 예측모델을 개발하는 것이다. 방사선은 오감으로 감지할 수 없기 때문에 방사선 피폭에 의한 피부손상을 예측하고 평가하는 것은 방사선치료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방사선 피부손상의 평가는 의사의 주관적인 평가로만 이루어지고 있어 객관적이고 정량적인 피부손상 평가가 절실하다. 최근 각광받고 있는 Radiomics의 영상분석을 피부 표면영상 분석으로 범주를 확장하여 방사선 부작용을 예측하고 객관적인 평가를 할 수 있는 모델을 개발하고자 한다. □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 방사선 피부손상을 평가할 수 있는 예측모델 개발 - 3D 스캐너 및 피부측정기에 대한 3D 스캔 기술 최적화 - 개인별 피부 색상 차이 보정모델 개발 - 22개의 질감분석 파라미터 알고리즘 구현 - 상당한 방사선피폭이 예상되는 유방암 환자 20명 선정 후 3D 스캔 피부 표면영상 획득 - Radiomics 분석을 위한 피부 표면영상의 질감분석 파라미터 계산 - 임상정보 획들을 위한 환자 20명에 대한 방사선 표면선량 측정 및 RTOG grade 평가 - 질감분석 파라미터와 환자의 방사선 피부손상 임상정보 상관관계 분석을 통한 방사선 피부손상 예측모델 개발 ○ 연구과제의 정량적 성과 - SCI(E)급 논문 3편 - 국내학술지 논문 3편 - 국제 학술대회 발표 1건 - 국내 학술대회 발표 1건 □ 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본 연구를 통하여 방사선치료 받는 환자에 대해 미리 방사선 피부손상의 전조증상을 감지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방사선 부작용을 미리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이전에 수행되었던 주관적인 방사선 피부손상 평가보다 객관적이고 정량적인 피부손상 평가가 가능하고 더 나아가 방사선 부작용 분야에 있어 가이드라인을 제시할 수 있는 과학적 근거로 사용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예측모델은 상용화가 가능하고, 그 가용시장이 계속 성장하는 추세이기 때문에, 잠재적인 경제적 가치가 크다. 또한 방사선 안전에 대한 관심이 확대되고 있어 본 연구개발결과는 의료·산업적으로도 매우 의미있는 결과이며 원천 기술을 확보할 수 있었다는 점에서 의미를 찾을 수 있다. 더불어, 본 연구에서 개발된 예측모델은 체내 방사선량을 평가·예측할 수 있는 초석 연구로 활용 가능하다.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박소연
    • 주관연구기관 : 서울대학교
    • 발행년도 : 20200600
    • Keyword : 방사선치료;라디오믹스;방사선 피부손상;방사선 부작용;비침습적;3D스캐너;피부 표면영상;질감분석;기계학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