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Report

All 12,382 Page 93/1,239

검색
  • 11462

    2020.02.29

    □ 연구개요 최신의 항성 이론을 적용하여 외계 행성을 동반하는 모항성의 관측값을 가장 잘 설명하는 최적의 물리량을 결정하는 것이다. 또한, 정밀하게 정의된 모성의 물리량을 바탕으로 별 내부의 물리적 과정을 정교하게 기술하여 항성 모형을 개선하는 것이다. 다양한 모형 인자의 범위를 갖는 방대한 항성 모형군 빅데이터를 구축하고, 베이즈 최적화 방법을 이용한 최적값 판별 코드를 개발한다. 또한, 분광 관측 및 원소 분석을 실시하여, 원소 함량에 따른 최적화된 진화 모형을 결정하고, 모성의 물리량을 찾아낸다. □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 항성 모형군 빅데이터의 계산 - 진화 모형의 개선 - 전주계열에서 적색 거성 팁까지 안정적으로 계산 가능 - 다양한 화학적 조성에 대응 (금속함량, 헬륨함량, 알파원소) - 세밀한 질량 간격 (M=0.15-4.0M, △M=0.01M ) - 각 모형은 500개 이상의 진화 단계의 내부 구조를 포함한 빅데이터 ▪ 최적화 판별 코드 개발 - 별의 진화 속도를 고려한 모형 판별 알고리즘 개발 - MCMC방법을 이용한 베이즈 최적화 코드 개발 ▪ 분광 분석과 모성의 물리량 결정 - 약 90개 이상의 모성의 분광 관측 및 원소 분석 - 모성의 진화 단계 및 물리량 결정 ▪ 3차원 복사-유체 시뮬레이션 - 작은 질량을 갖는 주계열의 3차원 대기 모형 계산 - 준거성, 적색 거성의 시뮬레이션 지속적 수행 ▪ 라이먼 흡수선 연구 – DLA와 재이온화 지역의 흡수선 모양의 정밀한 계산 - 라이먼 선의 비대칭성을 정량적으로 연구 □ 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 항성 모형 분석의 새로운 방법 제시 - 다양한 인자로 정교하게 계산된 항성 모형군의 빅데이터와 신뢰성 있는 최적화 방법을 통하여, 항성 모형 분석의 효율성과 정확성을 높인다. - 모성을 이용한 항성 모형 연구는 모성의 물리량 파악 뿐 만 아니라 항성 모형의 적용과 개선에 커다란 기여를 할 것이다.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박기훈
    • 주관연구기관 : 연세대학교
    • 발행년도 : 20200300
    • Keyword : 항성;모성;외계행성;항성진화;항성대기;
  • 11461

    2019.12.31

    ○ 원전 모의 사고 시현 환경에 적용 가능한 시험용 로봇 시스템 개발 1. KIST에서 개발하여 기 보유한 이동 기구부 및 로봇 팔을 활용하여 목적 환경에서 위험작업의 시현이 가능한 로봇 시스템 개발 2. 3차년도 위험 작업 시현을 위한 접촉 작업 알고리즘 개발 ○ 위험 작업 신속 대응이 가능한 로봇 팔 모션 및 힘제어 기술 개발 1. 사용자 원격 조작명령과 힘센서 값을 활용한 로봇 팔 접촉 작업 알고리즘 개발 2. 파지 물체의 특성 및 구조를 자동 파악하여 최적 로봇 팔 작업 가이드 경로 생성 알고리즘 개발 (출처 : 보고서 요약서 3p)
    • 연구책임자 : 이우섭
    • 주관연구기관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발행년도 : 20200100
    • Keyword : 1. 원자력발전소;위험작업;극한환경기술;로봇 팔;힘제어; 2. Nuclear Power Plant;Dangerous Duty;Extreme Environment;Manipulator;Force Control;
  • 11460

    2020.08.31

    □ 연구목표 ▪ 고품질 질화붕소를 적용한 항공우주용 S-band급 내방사선 고주파 소자 개발 - 질화붕소를 적용한 질화갈륨 기반 내방사선 고주파 소자 제작 기술 확보 - 금속-유기 화학 기상 증착법을 활용한 육방정 질화붕소 성장 기술 확보 - 고주파 소자의 방사선 내성 평가 기술 확보 □ 연구(pilot study; small scale) 내용 및 결과 ▪ 방사선 내성이 향상된 고주파 소자 제작 기술 확보 - 질화붕소 보호층이 적용된 S-band급 고주파 소자 공정기술 확보 및 시제품 제작 완료 - 방사선 조사 전: 차단주파수/최대발진주파수 = 28/88 GHz - 방사선 조사 후 (양성자): 차단주파수/최대발진주파수 = 27/60 GHz - 방사선 조사 후 (감마선): 차단주파수/최대발진주파수 = 26/84 GHz - 게이트 길이 = 0.36 ㎛ ▪ 고주파 소자에 적용하기 위한 고품질·웨이퍼 스케일 질화붕소 성장 기술 확보 - MOCVD 성장 메커니즘 탐구를 통한 고품질·2인치 웨이퍼 스케일 질화붕소 성장 조건 확립 - 방사선 내성 향상을 위한 고주파 소자용 기판상에 질화붕소 연속 in-situ 성장 기술 확보 - Raman 반치폭 = 35 cm-1, 표면 RMS roughness = 0.43 nm 두께편차 < 5%, 문턱전압 변화 = 0.06 V ▪ 항공우주용 고주파 소자의 방사선 내성 평가 기술 확보 - 전자부품에 대한 우주방사선 영향 평가 문헌 및 기술정보 수집 - 전자부품에 대한 방사선 영향 평가 기술분석보고서 확보 - 소재 및 고주파 소자의 방사선 내성 평가(감마선, 양성자) 및 특성 분석 □ 결과활용 ▪ 주요 연구결과 및 연구결과의 중요성 - 세계 최초로 질화갈륨 기반 고주파 소자의 방사선 저항성 향상을 위해 내방사선 보호층 소재인 육방정 질화붕소 박막을 고주파 소자의 보호층으로 사용하기 위한 연구를 진행 - 고주파 소자의 핵심 물질로 여겨지고 있는 질화물 ternary alloy (AlxGa1-xN) 박막상에 내방사선 소재인 질화붕소의 웨이퍼 규모 대면적 성장에 세계 최초로 성공 - 세계 최초로 웨이퍼 규모의 질화붕소 보호층을 적용한 질화갈륨 기반 고주파 소자 제작 기술 확보 및 시제품 제작을 완료 ▪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융합연구사업으로 확대 추진 - 연구목표: X-/Ku-band급 내방사선 MMIC 및 송수신 모듈 국산화 기반 기술 개발 - 연구내용: 내방사선 질화갈륨 기반 고주파 에피 및 보호층 소재 개발 X-/Ku-band급 내방사선 고주파 소자 설계 및 제작 기술 개발 방사선에 의한 고주파 소자의 열화 및 오동작을 보상할 수 있는 회로가 포함된 MMIC 설계 및 공정 기술 개발 방사선 차폐 기술이 적용된 송수신 모듈 패키징 기술 개발 내방사선 소자, MMIC 및 송수신 모듈에 대한 방사선 영향 평가 절차 및 기반 기술 확보 ▪ 내방사선 소재, 소자, 회로, 패키징, 방사선 영향 평가 분야의 전문연구기관들이 참여하는 유기적이고 체계적인 내방사선 고주파 소자 연구를 진행하고 이를 활용하여 MMIC 및 송수신 모듈 국산화를 실현 (출처 : 보고서 요약문 4p)
    • 연구책임자 : 장성재
    • 주관연구기관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발행년도 : 20200900
    • Keyword : 1. 질화갈륨;육방정 질화붕소;고주파 소자;내방사선; 2. Gallium Nitride;Hexagonal Boron Nitride;RF Device;Radiation Hardness;
  • 11459

    2019.12.31

    주민생활환경의 방사능오염으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관련 요소모델을 개발하고 이를 통합하는 의사결정지원을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또한 중대사고관리가 법제화됨에 따라 국내고유의 환경적 특성을 반영한 중대사고 리스크 평가(L3 PSA)를 위한 요소기술을 개발하고, 방사능오염으로 인한 피해 최소화를 위한 대응행위 결정지원시스템, 환경특성을 반영한 L3 PSA 코드활용을 위한 대기확산 및 침적평가모델, 섭취선량평가모델 등을 개발하였다. 원자력 사고를 대비하여 농경환경 방사능오염 관리를 위한 국내 고유 특성을 조사·분석하고 농경환경 방사능오염 관리 핵심요소 기술을 수립하여 의사결정지원시스템인 농경환경방사능오염관리시스템 전산코드를 개발하였다. 대기 침적항 연계 핵종별 토양침적 모델, 연안역 방사능 오염평가를 위한 구획모델과 초기 및 중장기 대응을 위한 통합 방사선환경방호시스템을 구축하였다. 신 방사선 표지물질 개발 및 선량복원 기술 확보, 대규모 사고 대비 피폭여부 신속판독기술 및 일체형 중성자/감마선 혼합방사선장 정량화 기술 개발하고, 기존 선량률 기반의 환경탐사 수준을 넘어 방사능 동시분석 기술과 이를 육상, 수중 및 항공탐사에 적용하여 복합 환경탐사 원천기술을 개발하였다. 시공간별 탐사결과의 시각화로부터 오염 추적이 가능한 환경탐사 통합관리 시스템을 구축하고, 사회 환경 반영 사고 시 중장기 대응행위에 대한 비용분석 정량화 및 콤프턴영상 기술 융합을 통한 방사능오염 탐지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출처 : 서지정보양식 157p)
    • 연구책임자 : 서경석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연구원
    • 발행년도 : 20200100
    • Keyword : 1. 방사능오염대응;농경환경;수생환경;방사선회구선량평가;방사선탐사; 2. countermeasure;agricultural environment;aquatic environment;retrospective dosimetry;radiation survey;
  • 11458

    2020.11.30

    1. Research Purpose In 2017, the UAE launched ‘Energy Strategy 2050’, which is considered the first unified energy strategy in the country. The UAE is targeting to achieve 50% of electricity production from clean energy by 2050. Also, they set a goal to further reduce the proportion of electricity from the coal and gas to decrease the carbon footprint. With the demand for the clean energy, the UAE’s electricity demand has rapidly increased and annual power demand for the future is also projected to rise significantly due to the increase of population and electricity consumption per capita. According to the UAE State of Energy Report 2017, the demand for energy is expected to increase by 6% annually. To meet the rising electricity demand and low carbon footprint simultaneously, the energy strategy should balance the supply of renewable and nuclear energy. However, since renewable energy generations such as solar and wind power produce electricity intermittently, the concerns about the stable power supply become important issue. The global power market expects a flexible power source to solve this renewable energy intermittence. According to the demand for the power stations with flexible operation capability, the assessment of the system performance under the load following operation becomes imperative. In addition, various safety systems including the severe accident mitigation strategy and passive safety features should be considered for preserving the integrity of the nuclear reactor under any circumstances. He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the load following capability of advanced Korean light water reactors(LWRs) and develop the enhanced safety systems considering the UAE environment. (출처 : 본문 : 1. Research Purpose 6p)
    • 연구책임자 : 이정익
    • 주관연구기관 : 한국과학기술원
    • 발행년도 : 20201200
    • Keyword :
  • 11457

    2019.12.31

    ○ 원자력 사고 초기에 현장 작업자를 대신하여 신속대응을 위한 신속이동/취급 로봇 시작품을 개발 및 통합을 수행하였음 ○ 원자력시설을 모사한 로봇 실증시험용 테스트베드를 구축하여 사고환경 시나리오를 분석하고 로봇미션을 설정하여 사고모사 환경에서 로봇 관련 기술 적용성을 평가하였음 ○ 원전 모의 사고 시현 환경에서 적용 가능한 시험용 로봇 시스템 및 위험 작업 신속 대응이 가능한 로봇 팔 모션/힘제어 기술을 개발하였음 (출처 : 요약서 3p)
    • 연구책임자 : 정경민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연구원
    • 발행년도 : 20200100
    • Keyword : 1. 원자력발전소;신속이동;극한환경기술;로봇 팔;로봇 테스트베드; 2. Nuclear Power Plant;Rapid Mobility;Extreme Environment;Manipulator;Robot Testbed;
  • 11456

    2019.12.31

    혈소판, 대식세포 등이 종양세포의 성상 변화에 미치는 영향 연구 - 혈소판에 의한 종양세포의 종양생성능 변화 관련 유전자 변화 정보 라이브러리 구축 - 방사선에 의한 대식세포의 변화가 생리활성물질 분비에 미치는 영향 연구 및 제어 (출처 : 요약서 3p)
    • 연구책임자 : 김성대
    • 주관연구기관 : 동남권원자력의학원
    • 발행년도 : 20200100
    • Keyword : 1. 종양줄기세포;면역치료;혈소판;대식세포; 2. cancer stem cell;immunotherapy;platelet;macrophage;
  • 11455

    2019.12.31

    연구의 목적 및 내용 원전 해체 안전에 핵심 위해 물질로 원전 중요 부품 해체 작업인 금속 절단, 콘크리트 절단, 등의 과정에서 에어로졸 발생 원리 규명을 목표로 중요 부품인 증기발생기, 생체차폐 콘크리트 구조물에서 방사성핵종 존재 형태를 조사, 부품의 해체를 위한 절단 공정에서 방사성핵종의 물리화학적 거동 조사, 에어로졸 내 방사성핵종의 혼입 원리를 분석한다. 연구개발성과 중요부품 (증기발생기) 방사성핵종 존재 형태 및 금속 절단공정 중 방사성핵종의 물리화학적 거동 조사: 증기발생기 수실과 전열관 내부 표면에 Mn-54, Fe-55, Co-58, Co-60, Ni-63, C-14의 방사성핵종이 산화막으로 존재함. 금속절단에 따라 생성된 방사성핵종은 휘발성 정도에 따라 단봉형 또는 쌍봉형 대수로그 분포를 가짐. 중요 부품 (생체차폐 콘크리트) 방사성핵종 존재 형태 및 콘크리트 절단 공정 중 방사성핵종 물리화학적 거동 조사: 방사화에 기인하여 다양한 장반감기 방사성 핵종이 콘크리트 내부에 존재하며 방사화 정도가 심한 경우 표면에서 70cm까지 존재. 방사화 콘크리트 절단은 약 4μm MMAD의 에어로졸 방출함. 일반 산업군 사례는 5~100nm 범위에서 초미립자 에어로졸 방출이 우세 방사성핵종 에어로졸 혼입 원리 분석: 절단 과정에서 생성되는 주성분의 임계 핵생성 후에 휘발성이 낮은 방사성핵종은 즉시 핵표면에 응축하여 단봉형 에어로졸로 진화하고 휘발성이 높은 방사성핵종은 임계 핵과 합체된 핵에 응축되어 쌍봉형 방사성 에어로졸을 생성함. 절단 작업 환경에서 에어로졸 거동 분석 모델 개발: 에어로졸 진화와 분산은 Eulerian-Lagrangian 접근법과 Population Blance-Monten Carlo(PBMC) 접근법을 시간간격조절로 결합하고 PBMC는 차등 가중 유동 몬테카를로를 이용한 Markov 도약 모델로 수리모델 정립함. 에어로졸 생성은 열적 절단의 레이저 절단 모델에서 증기 방출량을 계산하고 다성분 고전 핵생성 이론과 방사성핵종 혼입 논리모델을 접목하여 방사성 에어로졸을 포함하는 다성분 에어로졸 생성 수리모델을 정립하고 PBMC 접근법을 활용하여 에어로졸 진화 모델의 입력이 되는 에어로졸 크기 분포를 계산하는 수리모델을 정립함. 연구개발성과의 활용계획(기대효과) 원전 중요 부품의 해체 작업인 절단 공정에서 방사성 에어로졸 발생 특성을 분석하여 제시함으로써 해체 작업자 피폭 방지 기술 등의 후속 연구에 활용될 수 있으며, 원전 해체 작업 과정에서 방사성 에어로졸 발생과 분산에 관한 수리모델은 해체 안전성 평가에서 방사성 에어로졸 선원항 계산 방법론, 방사성 에어로졸 발생 시나리오 구체화를 통한 해체 안전성 평가기술에 활용될 수 있다. 또한, 해체 안전해석, 특히 방사성 에어로졸의 발생, 이송, 흡입을 고려한 안전해석 분야의 전문 인력양성과 해체 안전해석 엔지니어링 분야의 기술력 제고로 국내외 제염해체 시장 진출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궁극적으로 원전 해체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안전 위험을 이해하고, 철저하게 관리할 수 있는 방법개발에 활용함으로써 해체 현장 작업자 안전성 향상은 물론 국민 신뢰성 제고와 안전 증진 분야에 활용이 기대된다. (출처 : 요약문 4p)
    • 연구책임자 : 박병기
    • 주관연구기관 : 순천향대학교
    • 발행년도 : 20200100
    • Keyword : 1. 방사성 에어로졸;제염해체;금속 절단;콘크리트 절단;에어로졸 분산; 2. Radioactive Aerosol;decontamination decommissioning;metal cutting;concrete cutting;aerosol dispersion;
  • 11454

    2020.02.29

    ○ 연구개요 완치 판정을 받은 많은 암 환자들이 항암제 유발 심부전에 의한 호흡 곤란과 부종등을 겪고 있으며, 그 중 가장 대표적인 항암제는 독소루비신(Doxorubicin) 계열로 투여된 누적 용량에 비례하여 심부전 발생률이 증가함. 따라서 항암제 유발 심부전에 대한 조기 진단과 치료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으나, 관련된 기전은 아직 정립된 바가 없음. 나트륨/포도당 공동 수송체(Sodium/glucose cotransporter, SGLT)는 세포에 나트륨 이온과 포도당을 공급하는 막 단백질이며, 특히 심장에 존재한다고 알려진 SGLT1과 심장 질병과의 연관성은 증가하는 추세임. 엠파글리플로진(Empagliflozin)은 신장에서 포도당 재흡수를 담당하는 SGLT2에 대한 억제제로서 당뇨병 치료제로 널리 사용되는 약물이지만, 최근 임상연구들에서 심부전 악화로 인한 재입원 및 심혈관 질환으로 인한 사망을 감소시킨다고 보고된 바 있음.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항암제 독소루비신으로 유발된 심장 독성 관련 기전에서 SGLT1의 역할과 엠파글리플로진의 심근 보호 효과에 대해 확인함으로써 심혈관 질환 치료제 개발의 기초연구자료로 활용하고자 함. ○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독소루비신으로 독성이 유발된 심근세포(H9c2 cell)에서 SGLT1의 mRNA 및 단백질 발현이 증가했으며, 이와 함께 증가된 세포 사멸은 SGLT1 siRNA 처리에 의해 감소함. 또한 독소루비신으로 증가된 SGLT1과 세포 사멸은 엠파글리플로진 처리에 의해 감소되었으며, 독소루비신 유발 심부전 동물 모델(C57BL6 mouse)에서도 동일한 결과를 확인함. 이를 통해 항암제 유발 심부전을 치료할 수 있는 새로운 표적으로서 SGLT1의 역할과 이를 통한 치료제로서 엠파글리플로진의 가능성을 입증함. 이와 관련된 전사 네트워크 및 신호 전달체계를 밝히고자 SGLT1의 발현을 조절할수 있는 전사 인자 후보군으로 Specificity protein 1 (Sp1), Hepatocyte nuclear factor 1 (HNF1), cAMP response element-binding protein (CREB)을 확인하였지만 모두 부적합하다는 결과를 확인하였으며, RNA binding protein 중 하나인 Human antigen R (HuR)과 Sodium/hydrogen antiporter 1 (NHE1)이 관련 기전에서 높은 연관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음. 따라서 독소루비신 유발 심부전 모델에서 엠파글리플로진의 심근 보호 효과 작용 기전을 규명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함. ○ 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SGLT1이 본연의 수송체 역할 뿐만 아니라 세포 사멸을 조절할 수 있다는 입증은 유사한 수송체 단백질의 새로운 기능을 밝혀줄 수 있는 이론적 기반을 제공할 것이며, 심부전 이외의 다른 심장질환에서도 SGLT1의 역할에 대한 후속 연구의 타당성을 제시할 것으로 사료됨. 또한 항암제 유발 심부전 발생 기전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지만 분자적 기전에 근거한 신약 개발은 전무한 실정이므로, 새로운 표적인 SGLT1을 기반으로 보다 효과적인 신약 개발이 이루어질 것으로 사료됨. 특히 이미 임상에서 널리 사용하는 엠파글리플로진의 추가적인 효과를 입증함으로써 임상적으로 빠른 적용에 대한 기대가 가능함.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3p)
    • 연구책임자 : 강석민
    • 주관연구기관 : 연세대학교
    • 발행년도 : 20200300
    • Keyword : SGLT1;Heart failure;Cardiomyocyte;Doxorubicin;Cardiotoxicity;Cell apoptosis;
  • 11453

    2020.02.29

    □ 연구개요 ○ 첨단방사선치료기술의 발달로 정교한 방사선치료가 가능해졌지만, 이를 수행하기 위한 대가로 많은 인력과 방대한 양의 데이터가 요구되고 있으며, 이들 간에 서로 유기적으로 상호 작용하는 기술이 필요함 ○ 방사선치료에 대한 엄격한 규정에도 불구하고 복잡한 치료 계획 및 방사선치료 중에 발생할 수 있는 비교적 드물지만 치명적인 오류로 인해 환자 안전이 저하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사전에 발견하고 예방할 수 있는 자동화 시스템 도입이 시급히 필요함 ○ 방사선치료 후 사용되지 않는 방대한 데이터를 빅데이터로 구축하고, 기계학습을 통하여 기계가 스스로 학습하고 진화하여 방사선치료 시 품질을 보증하고 나아가 오류를 사전에 예측하여 관리자에게 경고하는 기술 개발을 목표로 함 □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 다양한 치료파라미터가 들어있는 로그파일을 기계학습의 입력 값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변환하는 데이터 표준화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빅데이터 처리를 위한 데이터 통합 및 고도화를 수행 함 ○ 학습 된 인공신경망을 이용하여 치료계획에 따른 기계적 치료파라미터를 예측하고, 예측 오류 값을 단순하게 제시하는 것이 아닌 표준화를 통한 Gaussian 기반의 radial basis function (RBF)으로 다변수 확률밀도 함수를 추정하여 확률밀도로써 오류확률을 제시 할 수 있는 오류 감지모델을 연구함 ○ 특징들을 이용하여 비지도 학습기반의 데이터 클러스터링 방법(K-means clustering)을 통해 군집화를 수행하고 패턴에 대한 연구를 수행함 ○ 방사선 치료의 오류를 검출하는 데이터 패턴의 정확성을 검증하기 위해서, 임의의 데이터에 오류를 포함시키고 오류확율을 예측함으로써 오류 검정능력을 평가함 ○ 잠재적 오류가 포함되어 있는 예측된 Actual position을 통해 예측된 Actual fluence map 을 생성하고, 계획된 플루언스 맵과 예측된 실제 플루언스맵을 이용하여 환자 특이적 치료계획 품질보증을 수행하여 방사선 치료계획을 검증함 □ 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 첨단기술의 발달로 intensity-modulated radiation therapy (IMRT) and volumetric-modulated arc therapy (VMAT)와 같은 복잡하고 어려운 치료는 많은 데이터 처리가 요구되므로, 현실적으로 임상에서 활용되기 위해 본 연구에서 얻어진 스스로 학습하고 진화하는 알고리즘 모델은 보다 정밀하고 정확한 방사선치료를 보증함 ○ 빅데이터와 기계학습을 방사선치료에 융합한 기술은 방사선치료 시 기하학적 및 선량학적으로 자동화된 품질 보증에 사용될 수 있으며, 방사선 치료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새롭게 요구되는 QA/QC에 핵심적인 기초 연구로 활용 ○ 데이터 중심의 기계학습 방법은 오류 검출 및 예측을 위한 중요한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이 연구에서 제안된 방법은 방사선치료를 받는 환자를 위해 자동화된 QA와 안전관리에 매우 유용함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민병준
    • 주관연구기관 : 충북대학교병원
    • 발행년도 : 20200300
    • Keyword : 방사선치료;기계학습;인공신경망;딥러닝;세기변조방사선치료;다엽콜리메이터;빅데이터;인공지능;오류예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