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Report

All 12,447 Page 94/1,245

검색
  • 11517

    2021.06.30

    □ 연구의 목적 및 내용 ○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가 의심되는 환자에 대하여 SARS-CoV-2 감염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될 체외진단분석기용 NewIon Seq System이다.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진단을 위해 호흡기 검체 PCR 검사를 하는 19세 이상 성인의 호흡기 검체 및 타액 검체를 대상으로 ‘팔로젠 유전체 NewIon Seq System’을 이용하여 질환의 양성/음성 여부를 파악하고 기존의 호흡기 검체 PCR 대비 임상적 성능을 파악하고자 한다. - 대조 시약은 기허가 검사법 [고위험성감염체유전자검사시약 Allplex™ 2019-nCoV Assay (제조사 씨젠) 제허 20-119 호 RP10243X] - 한국원자력의학원에서 IRB로 임상적 민감도 및 특이도를 평가 - 총 검체는 168개를 진행했지만 확진자 중 Inconclusive4개, 음성 5개는 제외 - 양성자 검체 50개, 코로나19 노출이 없는 피험자 중 음성자 109개 □ 연구 성과 ○ 임상적 민감도 및 특이도 - 임상적 민감도 : 98.0% (49/50)(95% 신뢰구간 : 89.35%, 99.95%) - 임상적 특이도 : 100% (109/109)(95% 신뢰구간 : 96.67%, 100.00%) - 양성 예측도 : 100% (49/49) - 음성 예측도 : 99.09% (109/110)(95% 신뢰구간 : 94.00%, 99.87%) ○ 일치도 평가 - 전체 일치도 : 99.37% (158/159)(95% 신뢰구간 : 96.55%, 99.98%) - 양성 일치도 : 100% (49/49) - 음성 일치도 : 99.1% (109/110)(95% 신뢰구간 : 94.00%, 99.87%) - Kappa 통계량 = 0.985 □ 연구성과의 활용계획 (기대효과) ○ 타액을 통한 실시간 검사 - 빠른 스크리닝 의료진단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 - 코로나 펜데믹에서도 초조기 진단을 통한 감염 확산 및 집단 감염의 위험을 사전에 방지 효과 - 정상적인 사회생활과 경제 활동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 ○ 반도체 COMS 공정으로 저가 대량생산이 용이함 (출처 : 국문 요약문 4p)
    • 연구책임자 : 한경준
    • 주관연구기관 : 팔로젠유한회사
    • 발행년도 : 20210700
    • Keyword : 1. 전계효과트랜지스터;현장진단기기;바이오마커;유전자증폭장치;랩온어칩; 2. CMOS;POCT;Biomarker;PCR;LOC;
  • 11516

    2021.04.30

    □ 연구의 목적 및 내용 ○ 최종목표 호흡기 선별 방역장비 초저선량 포터블 엑스레이 Mine X 실증을 통한 고도화 ○ 세부목표 - Mine X에 대한 임상 실증을 위한 IRB 승인 - Mine X와 스탠더드 X-ray 기기 정량적 화질 및 평가 비교 - Mine X와 스탠더드 X-ray 기기 영상의학과 의사의 육안 비교 평가 - Mine X와 스탠더드 X-ray 기기 PACS 연동 평가 □ 연구 성과 ○ 사업화 역량강화 - 현재 시판되고 있는 영상진단기기로서 임상 실증 지원을 통해 신뢰성 확보 - 순천향대학교 부속 천안병원 감염병 의료기기 실증지원센터를 이용한 임상평가지원 - 감염병 전문병원에서의 적극적 활용을 통한 판로 개척 - X선 발생장치 소형화 및 디텍터의 다양화를 통한 감염병 이외 질환의 적용가능성 증대 - HDT 가 보유한 27개국 판매네트워크 활용 세계 시장 선점 □ 연구성과의 활용계획 (기대효과) 1. 활용분야 ○ 호흡기 감염 병 질환의 선별검사용: 의료기관 등에서 환자 내원 시 또는 의심환자 선별을 위한 저선량 X 선을 이용한 방역 시스템 구축 ○ 의료기관 등의 연속적인 X 선 추적 검사가 필요한 장기 재원환자에서의 저선량 X 선을 이용한 방사선 노출의 최소화 ○ 국내 대형 병원에서 인지도 상승을 통한 국내 점유율 확대 ○ 전 세계적 의료 산업 전단에 대한 수요 증대로 인해 X-ray 장비를 포함한 의료장비 수요로 지속적인 성장견인 ○ 활용가능 분야 (선별검사) - 감염병 분야 의료기관 선별검사용 - 공항, 항만 등 국외 유입 감염병의 선별검사용 - 생활치료센터의 감염병 격리환자의 선별검사용 - 요양시설 입소 격리 환자의 선별검사 및 격리해제 전 검사용 - 교정시설 재소 환자의 선별검사용 ○ 활용가능 분야 (연속 및 추적검사) - 의료기관 장기 재원 환자의 추적 검사용 - 감염병 분야 의료기관의 추적 검사용 2. 기대효과 ○ 기술적 - 환자의 진료과정에서 빈번하게 이루어지는 X선 영상의 초저선량화 - 기존 흉부 X 선 선량의 1/10에 해당하는 초저선량/Portable 흉부 X-ray기기는 공항, 항만 출입국시나 병원 및 요양시설 입퇴원시 스크리닝 검사로 유용할 것으로 판단됨 (기존 X-ray 선량 최소 0.05mSv, 하지만 HDT Mine2선량 0.0027mSv으로 초저선량) ○ 방사선 허용치 이하의 촬영으로 별도의 차폐시설없이 사용 가능 ○ X-ray 장비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에 대한 품질 및 기술력 확보 ○ 경제적, 산업적 - 초저선량 X 선 방역기기를 통한 K-방역 스탠다드로의 입지 확보 - 불필요한 검사의 축소 및 조기진단의 확대를 통한 의료비 손실 감소 기대 - 감염병, 발열성 질환의 선별 검사 장비로서의 신산업 분야 창출을 통한 시장 선점 - AI 영상 진단 의료기기 개발로 관련 빅데이터, AI 및 정보보호 관련 일자리 창출을 통한 고용확대 - 국가차원의 의료데이터 표준화 및 관련 규제 해결 기대 ○ 사회적 - 감염병, 발열성 질환의 선별을 통한 격리대상 환자 조기 구분 가능 - 조기 선별을 통한 감염병 확대 경로 차단 - 조기 선별을 통한 의료기관 폐쇄의 사전 차단 및 폐쇄 규모 설정 가능 - IT 융합 의료기기산업은 새로운 일자리 창출과 수준 높은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여 사회 공익성을 실현 - 차세대 의료 정보화 플랫폼 생태계 구축 (출처 : 국문 요약문 4p)
    • 연구책임자 : 정기진
    • 주관연구기관 : 순천향대학교
    • 발행년도 : 20210500
    • Keyword : 1. 초저선량;임상 실증;고도화;방역장비; 2. ultra low dose;Mine X;clinical demonstration;advancement;quarantine device;
  • 11515

    2021.08.31

    향후 원전 해체사업에 적용할 수 있는 방사선 환경에서의 작업자 및 환경 안전성 향상 등을 극대화하기 위한 미래 융복합 기술 기반의 해체 R&D 전략을 수립하기 위하여, (1) 국내 원전 해체 연구개발 현황 분석 및 해체 선진국의 기술혁신 사례조사하고, (2) 원전의 성공적 해체를 위해 현장 적용성 및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융·복합 기반 해체 신기술 연구주제 발굴하고 이에 대한 연구개발 전략을 수립하였다. (출처 : 보고서 요약서 3p)
    • 연구책임자 : 이병식
    • 주관연구기관 : 단국대학교
    • 발행년도 : 20210900
    • Keyword : 1. 원전해체;작업안전성;환경안전성;연구개발전략;해체 현황분석; 2. nuclear decommissioning;work safety;environmental safety;R&D strategy;decommissioning status analysis;
  • 11514

    2021.10.31

    □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 최종 목표 화학적 수송모델에 접합할 수 있는 다분산 대기에어로졸 복사 및 광학모듈 개발과 검증 ■ 전체 내용 -화학적 수송모델에 접합할 수 있는 다분산 대기에어로졸 복사 및 광학모듈 개발 -개발된 복사 및 광학모듈을 화학수송모델에 접합하여, 시정, 에어로졸광학두께 등의 에어로졸의 광학적 산출물 도출 -화학수송모델에 의하여 도출된 에어로졸의 광학적 산출물에 대한 원격자료와의 비교 검증. ■ 1단계 ■ 목표 화학적 수송모델에 접합할 수 있는 다분산 대기에어로졸 복사 및 광학모듈 개발과 검증 ■ 내용 -화학적 수송모델에 접합할 수 있는 다분산 대기에어로졸 복사 및 광학모듈 개발 -개발된 복사 및 광학모듈을 화학수송모델에 접합하여, 시정, 에어로졸광학두께 등의 에어로졸의 광학적 산출물 도출 -화학수송모델에 의하여 도출된 에어로졸의 광학적 산출물에 대한 원격자료와의 비교 검증. □ 연구개발성과 본 연구를 통하여, 에어로졸의 조성 및 크기변화가 에어로졸의 광학적 특성 및 복사 강제력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이론적 모형을 개발하고 이를 화학수송 모델에 접합하고 그 민감도를 파악하였음. □ 연구개발성과 활용계획 및 기대 효과 본 연구를 통하여 도출된 연구결과는 선행연구를 통하여 도출된 에어로졸의 광학적 특성 관련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고도화 및 정교화 작업을 통하여 화학수송 모델에 접합함으로서 기존의 원격측정등에서 도출되는 에어로졸의 시공간적 광학적 특성자료와 개발된 모델과의 여러 정량적 비교를 통하여 에어로졸의 특성 파악에 대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됨. 또한 국내에서도 미세먼지 예보제의 시행과 더불어 화학수송모델을 기반으로 미세먼지의 예측이 현업화 되어 활용되고 있으며, 한국형 미세먼지 예보 모형을 개발중에 있으며, 정지 궤도 환경위성의 발사를 앞두고, 원격 위성자료로부터 AOD등의 에어로졸 관련 산출물의 질적 제고를 위한 많은 연구들을 진행 중에 있으므로, 본 연구에서 개발하고자 하는 화학수송모델을 통한 미세먼지 농도의 산출과 이를 활용한 광학적 산출물의 계산은 장기적으로 원격 위성자료의 질적 제고 및 활용도 향상에 대한 기초적, 이론적 연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됨. (출처 :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정창훈
    • 주관연구기관 : 경인여자대학교
    • 발행년도 : 20211100
    • Keyword : 1. 에어로졸;광학 특성;에어로졸 광학두께;화학수송모델;복사강제력; 2. aerosol;optical property;aerosol optical depth;chemical transport model;radiative forcing;
  • 11513

    2021.06.30

    비공개항목입니다.
    • 연구책임자 : 이혁
    • 주관연구기관 : 한국화학연구원
    • 발행년도 : 20210700
    • Keyword : 1. TNIK 저해제;대장암;바이오마커;병용치료;저분자 화합물;방사능 병합치료;혁신신약;줄기세포; 2. TNIK inhibitor;Colorectal cancer;Biomarker;Combination therapy;Small molecule;Radiation combination therapy;First-in-class;Stem Cells;
  • 11512

    2021.11.30

    Ⅴ. 결론 및 정책적 시사점 1. 적응역량 강화 방안 및 정책적 시사점 ❏ 개별 리스크 관리를 위한 적응정책과 더불어 사회·경제 시스템의 취약성을 개선하는 적응역량 강화가 필요 ㅇ 야외근로자 대상의 폭염 대응 정책이 지속적으로 진행되어야 하며, 관련 법제화 등을 통해 다양한 폭염 대응 정책을 통해 근로시간 단축 및 휴식 보장 등이 시행되어야하고, 업종별 야외근로 형태가 상이함에 따라 맞춤형 정책 고려 필요 ㅇ 소비자들이 신뢰할 만한 엄격한 기준을 바탕으로 소비효율등급을 부여하고, 지속적인 점검을 통해 최신 에너지 사용 기술 및 현황을 반영한 등급 기준 적용 필요 ㅇ 극한기후에 대비한 에너지 인프라 투자가 필요하며, 가스파이프라인의 내한설비 보완, 화력발전소 및 원자력발전소 등의 냉각효율 개선을 통해 이상기온 현상에 대처하고, 극한기후를 고려한 유연성 자원 및 에너지 저장설비 확보 필요 ㅇ 홍수 대응력 강화 측면의 정책 방향은 치수시설 역량 강화를 위한 소하천 정비와 하수관로 관리를 시행하고 점진적인 수자원 인프라의 확충, 자연형 홍수 대응력 강화정책으로 저영향개발 기술의 보급 및 확산 필요 ㅇ R&D 결과의 확산 및 현장 적용을 위한 정책 필요 ㅇ 기후 리스크의 인과관계와 기여 요인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적응정책의 효과 분석을 통해 맞춤형 대책 수립 및 적응역량 강화를 위한 사회 전반적인 노력 필요 (출처 : 요약 10p)
    • 연구책임자 : 채여라
    • 주관연구기관 : 한국환경연구원
    • 발행년도 : 20211200
    • Keyword : 1. 극한기후;경제적 정량화;기후변화 모형;기후변화 적응; 2. Extreme Climate;Economic Quantification;Climate Change Model;Climate Change Adaptation;
  • 11511

    2021.04.30

    Ⅳ. 연구결과 국내에서 원자력의 색채가 강하며 대표성, 전문성을 가진 유관기관이라고 볼 수 있는 원자력연구원, 원자력의학원, 원자력안전기술원, 원자력통제기술원, 한국수력원자력, 원자력환경공단, 한전원자력연료, 한국전력기술, 한국원자력안전재단 등 10개 기관의 지난 10년간 신규채용 실적은 2010~2014 간 평균 1000명대에서 2015~2016에는 평균 1500명대로 증가했다가, 2017~2020에는 평균 861명대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즉, 학생 관점에서 취업의 기회에 있어서는 악화되는 경향이라고 해석할 수 있다. 국내 원자력공학 전공을 운영중인 17개 대학의 규모를 2016~2020년 범위로 조사하였다. 학사과정 재학생은 2016년 1900명대에서 2020년 1800명대 초반으로 감소, 신입생 규모는 2016년 400명 대 초반에서 2020년 300명대 초반으로 감소하였다. 대학원 재학생은 2016년 518명, 2017년 550명, 2018년 590명, 2019년 575명, 2020년 515명으로 불규칙한 추세이고, 대학원 신입생 또한 재학생과 유사하게 2016년 215명, 2017년 225명, 2018년 233명, 2019년 199명, 2020년 212명 등 불규칙한 추세를 보이고 있다. 국내 원자력 유관기관 중 원자력 발전 관련 가장 전문성을 요하는 4개 기관의 총 인력규모 및 원자력전공자 비율을 조사하였다. 2020년 기준 원자력연구원은 총원 1548명이며, 원자력전공자는 345명으로 22.2%를 차지했다. 한국수력원자력 중앙연구원은 총원 409명, 원자력전공자는 101명으로 24.6%를 차지했다. 한국원자력통제기술원은 총원 87명, 원자력전공자 42명으로 48.2%를 차지했다.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은 총원 468명, 원자력전공자는 234명으로 50%를 차지했다. 또한, 각 기관 내 주요 부서별 인원과 그 부서 내 원자력전공자의 비중도 조사하였다. 다음으로, 미래원자력기술발전전략에서 강조하고 있는 세부 기술분야 중에서 원자력 안전연구, 경수로형 소형원전, 비경수형 소형원전, 연구용원자로, 수소생산, 핵연료, 기초방사화학, 사용후핵연료 취급기술, 사용후핵연료 처리기술, 사용후핵연료 이송저장, 원전해체, 고준위폐기물 처분, 가속기, 방사선이용, 방사선의학, 중성자 이용, 4차 산업혁명기술(3d프린터), 핵융합 등 17개 분야별로 구분하여 기술의 개요, 현재 연구개발 상황, 정부 투자계획, 향후 20년간의 인력수요를 조사하였다. 이렇게 각 기술분야별로 조사된 인력수요 정보를 델파이 조사를 통해 유사 분야 전문가들간 상호검토하여 값을 보정하여, 최종 인력수요 규모를 확정하였다. (출처 : 요약문 3p)
    • 연구책임자 : 정원표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협력재단
    • 발행년도 : 20210500
    • Keyword :
  • 11510

    2020.12.31

    원자력 비상상황시 작업자의 피폭 저감 및 사고 피해를 최소화함으로써 원자력 사고에 대한 대응역량을 높여 원자력의 대국민 신뢰도를 향상시키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고방사선으로 인해 사람의 접근이 어려운 사고현장에서 사람 대신 사고의 조기수습 및 확산방지를 수행하기 위한 무인대응 기술개발 및 현장 적용 가능한 체계를 구축하고자 한다. 수행한 연구 내용 및 결과는 다음과 같다. - 5회에 걸쳐 방사능방재훈련에 로봇을 적용하여 모니터링 및 밀봉작업을 수행하여 실제 비상상황에 적용할 수 있는 무인대응체계를 운영하고 적용 가능성을 검증함 - 독일, 프랑스의 무인대응 조직과 기술교류 및 방재훈련 참관을 통해 협력체계를 구축함. 원자력비상 무인대응 국제워크숍을 개최하여 원자력 사고에 공동 대응하기 위한 공조체계 구축 협의함 - 원자력무인대응장비 국제표준(IEC TC45 WG18)을 개발하여 표준문서를 발간함 - 100 kg 취급이 가능한 소형 유압식 고하중 조작 로봇을 개발하여 성능 시험 및 방재훈련에 적용함 - 방사능 오염분포를 측정할 수 있는 팬틸트 기반의 이동로봇 탐재형 방사선 영상화장치를 개발함 - 라만 라이다 방식의 30m급 수소가스의 농도와 위치를 측정할 수 있는 수소탐지 기술을 개발함 - 상용 부품을 이용하여 방사선 평가 및 성능개선을 통해 1.5 kGy급 내방사선 칼라카메라를 개발함 (출처 : 서지정보양식 133p)
    • 연구책임자 : 최영수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연구원
    • 발행년도 : 20210100
    • Keyword : 1. 무인대응체계;방재훈련;고하중 조작로봇;방사선 영상화;수소탐지; 2. unmanned response system;disaster prevention exercise;heavy duty manipulation robot;radiation imaging;hydrogen detection;
  • 11509

    2021.01.31

    ㅇ 고구마는 유전체가 거대하고 (3 Gb), 6배체이며, 이질성이 높아 유전체 분석이 난해한 작물임. ㅇ 다부처유전체사업으로 1차 해독된 고구마 유전체 정보를 이용하여 전분, 카로티노이드 등의 고구마 특이 대사 관련 유전자 목록을 작성하였음. ㅇ 국내외 주요 품종의 유전체 리시퀀싱 후 세포소기관(엽록체) 유전체를 조립, 분석, 비교하여, 품종간 상당히 유사함을 확인하였음. ㅇ 또한, 국내외 주요 품종의 핵 게놈 변이를 분석하여 품종 특이 SNP를 발견하고 이를 이용하여 국내외 9개 품종의 구별이 가능한 분자마커와 PCR 이용 판별방법을 개발하였음. ㅇ 종합적으로 거대, 다배체, 헤테로 작물의 유전체 정보 활용 사례를 축적하여, 타작물 적용 가능성을 확보하였음. (출처 : 요약서 3p)
    • 연구책임자 : 이근표
    • 주관연구기관 : 국립농업과학원
    • 발행년도 : 20210200
    • Keyword : 1. 고구마;유전체;유전자;품종판별; 2. Sweet potato;genome;gene;species identification;
  • 11508

    2021.05.31

    □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 최종 목표 : 자외선에 의한 주름생성에서 NOXs와 MMPs의 상호작용 ■ 전체 내용 : 자외선에 의한 주름생성에서 NOXs와 MMPs의 상호작용에 대해 연구하고자 함. □ 연구개발성과 피부노화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진 활성산소를 생산하는 중요 인자인 NADPH oxidase(NOX)가 피부 기질을 붕괴하는 효소인 MMP 조절에 대한 세부적인 작용기전을 제시 함으로 의미 있는 연구 성과로 여겨진다. NADPH oxidase는 여러타입이 세포내에 존재하는데 그 역할이 정확히 잘 알려져 있지 않다. 따라서, MMPs 조절 NOXs의 구체적인 조절확인은 한 단계 더 나아가 UV에 의한 피부 노화를 이해하는데 공헌할 것으로 사료됨. NOX 타입별 MMP 억제 차이를 확인함에 따라, NOX의 각 타입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져 각 타입 단백질에 특이적으로 결합하여 단백질의 활성을 억제할 수 있는 구조의 합성 물질을 개발하는 연구도 더 활발해 질 것으로 사료됨. □ 연구개발성과 활용계획 및 기대 효과 피부세포내에서 새로운 MMP 조절 단백질의 발굴을 통하여 MMP 조절에 대한 새로운 작용기전을 제시하는데 그치지 않고, 3D 피부 모델을 이용한 실험들은 동물 대체 실험의 의미를 가지는데 있어 더욱 체계적이고 의미 있는 연구 성과가 이루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따라서, MMPs 조절 단백질의 발굴은 한 단계 더 나아가 UV에 의한 피부노화를 이해하는데 공헌할 것으로 사료됨. NADPH oxidase를 조절함으로써 피부 광노화 억제를 확임함에 따라, NADPH oxidase의 활성산소 발생에 대한 연구가 더 체계적으로 이루어져 활성산소 억제에 의한 피부 노화 방지에 대한 연구도 더 활발해 질 것으로 사료됨. (출처 :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노은미
    • 주관연구기관 : 원광대학교
    • 발행년도 : 20210600
    • Keyword : 1. 피부광노화;자외선조사;기질단백분해효소;NADPH 산화효소; 2. skin photoaging;ultraviolet radiation;matrix metalloproteinase;NADPH oxida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