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Report

All 12,381 Page 90/1,239

검색
  • 11491

    2019.12.31

    ◦ 방사선 조사 환경에서 endothelial cell이 tumor cell의 malignancy 과정에 대한 기전 확립 · 방사선이 조사된 혈관내피세포에 의해 증가되는 종양세포의 악성화 관찰 · 방사선이 조사된 혈관내피세포에서 분비되는 IL-4에 의한 종양세포 악성화 증가 · Interleukin signaling pathway를 통한 종양세포 악성화 증가 · 방사선이 조사된 혈관내피세포에 의해 활성화 된 AKT 및 ERK 경로를 통한 종양세포 악성화 증가 · 방사선이 조사된 혈관내피세포에 의해 증가되는 종양세포 악성화 과정에 대한 기전 확립 ◦ Hypoxic condition에서 endothelial cell이 tumor cell의 malignancy 과정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저산소 상태에서 혈관내피세포에 의해 종양세포의 migration/invasion 크게 증가 · 저산소 상태에서 혈관내피세포가 종양세포의 EMT를 포함한 악성화 과정에 크게 기여 · 저산소 상태에서 혈관내피세포가 종양줄기세포의 생존을 증가 시킴 · 저산소 상태에서 혈관내피세포가 종양줄기세포의 유전자 발현에 영향을 미침 · 저산소 상태에서 혈관내피세포와 동시 배양한 종양세포의 conditioned medium 내의 분비성 단백질을 증가시킴 (출처 : 요약서 3p)
    • 연구책임자 : 박문택
    • 주관연구기관 : 동남권원자력의학원
    • 발행년도 : 20200100
    • Keyword : 1. 방사선;저산소;종양미세환경;혈관내피세포;방사선 저항성;종양세포 악성화;신호전달기전;방사선치료; 2. Radiation;Hypoxia;Tumor microenvironment;Endothelial cells;Radioresistance;Tumor malignancy;Signal trandudction;Radiotherpay;
  • 11490

    2020.01.31

    연구의 목적 및 내용 □ 연구목적 ▶ EndoMT 신규 조절기전 규명 및 이를 제어할 수 있는 혈관계 변형 치료제 개발 □ 연구내용 ▶ 발굴된 후보 NOD1의 EndoMT 유도 작용 기전 규명 및 EndoMT를 제어하는 표적치료제로의 가능성을 in vitro에서 검증 ▶ NOD1의 작용기전 및 폐섬유화 기전 분석을 통한 동물모델 정립 ▶ NOD1 타겟팅 기반 EndoMT 제어 치료효능을 in vivo 질환 모델에서 검증 연구개발성과 ▶ NOD1 활성과 EndoMT 연관성 확인 · 병리학적 자극 (TNFα, LPS)에 의한 NOD1 발현 확인 · NOD1 활성 증가에 의한 EndoMT 유도 검증 · NOD1 활성 억제제에 의한 EndoMT 유도 억제 검증 ▶ NOD1 활성에 의한 EndoMT 유도 기전 규명 · NOD1 agonist에 의한 miR-139-5p 발현 감소 확인 · miR-139-5p 과발현에 의한 EndoMT 억제 확인 · miR-139-5p 과발현에 의한 NF-κB의 핵 내로의 이동 억제 확인 ▶ NOD1 활성에 의한 EndoMT 유도 세포 기능장애 확인 · NOD1 활성에 의한 tube formation 증가 확인 · NOD1 활성에 의한 Dil-ac-LDL 흡수 감소 확인 ▶ NOD1 활성 유도 EndoMT 억제 천연 화합물 발굴 · Rg3 에 의한 NOD1 활성 유도 EndoMT 억제 검증 · Rg3 처리 시 miR-139-5p의 발현 증가 확인 · NOD1 활성 상태에서 Rg3에 의한 miR-139-5p 발현 회복 확인 ▶ 폐섬유화 유도물질과 EndoMT 연관성 확인 · Bleomycin에 의한 폐혈관내피세포의 EndoMT 관찰 ▶ 폐섬유화 유도 동물모델 확립 · Bleomycin의 다양한 농도와 투여 방법에 따른 폐섬유화 유도 검증 · Bleomycin 유도 동물 폐조직에서의 EndoMT 확인 ▶ Rg3에 의한 폐섬유화 동물모델 회복 검증 · 다양한 Rg3 농도에 따른 bleomycin에 의한 EndoMT 및 섬유화 정도 회복 효과 검증 연구개발성과의 활용계획 (기대효과) ▶ 희귀질환 시장으로의 확대 및 개척 ▶ 폐질환에 대한 새로운 패러다임의 치료방법 제시로 국내외 시장 진출 및 로열티 확보 ▶ 특허등록으로 원천기술을 확보하고 관련분야 지적재산권 확보 (출처 : 요약문 13p)
    • 연구책임자 : 김종민
    • 주관연구기관 : 숙명여자대학교
    • 발행년도 : 20200200
    • Keyword : 1. 폐섬유화;혈관내피세포; 2. pulmonary fibrosis;EndoMT;NOD1;Rg3;endothelial cells;
  • 11489

    2020.02.29

    연구개요 본 과제를 통하여 세계 최초로 방사선 유발 육종 환자 그룹의 수술 시 얻어진 검체의 전장 유전체 분석(whole genome sequencing) 을 시행하였음. 기준치 이상의 QC를 거친 DNA 로 whole genome sequencing library를 제작하였음. 해당 NGS library로 whole genome sequencing을 수행하였음. 분석 과정에서 기본적인 유전체 분석의 변이 뿐 아니라, copy number analysis, mutational signature analysis 도 수행하였으며, 특히 이 과정들에서 The Cancer Genome Atlas (TCGA)의 자연 발생 육종의 시퀀싱 결과 들과 비교하는 과정들을 포함하였음.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 방사선 유발 육종으로 수술 받은 환자의 검체에서 DNA를 추출하고, quality control (QC) 검사를 수행함. -> 적절하게 수행되었음. 기준치 이상의 QC를 거친 DNA 로 whole genome sequencing library를 제작하였음. 해당 NGS library로 whole genome sequencing을 수행함. ◼ DNA 의 전장 유전체 시퀀싱을 통해 방사선 조사 이후 발생하는 염증 반응, 그리고 환자의 면역 체계의 변화가 이후 종양의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할 예정임. -> 적절하게 수행되었음. 방사선유발육종 뿐 아니라, 자궁경부암에서의 면역 체계의 변화가 이후 종양의 발생과 예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The Cancer Genome Atlas database를 이용하여 분석하여 방사선유발육종의 발생 기전과 비교하였음. ◼ 방사선 유발 육종 특이적인 유전체 변형 (fusion gene 포함)을 발견함. -> 적절하게 수행되었음. Fusion gene 에 대한 시퀀싱 분석을 위한 분석 플랫폼이 사용됨. ◼ 방사선 유발 육종의 원인 평가 및 치료시험을 위한 세포주 확립 -> 적절하게 수행되었음. Cell line 계대배양중임. mouse 실험을 통하여 방사선조사로 인한 면역체계 마커 변화를 관찰하였음. 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 방사선의학에서 아직 유전체 연구 및 암 발생 기전 연구는 국내외적으로 미흡한 편이며, 본 연구를 통하여 세계적으로 방사선의학 에서의 유전체 연구를 선도하는 그룹이 되었음. 연구 플랫폼을 제시하고, 해당 분야의 성장을 주도할 수 있게됨. ■ 방사선 유발 종양의 염증 및 면역 인자 분석을 바탕으로, 염증이 종양 발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기전의 이해 및 면역 반응의 이상이 종양 증식 억제를 회피하는 기전을 심층적으로 이해하게 되었음. ■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방사선 유발 종양의 진단에 fusion gene 등 유전적 인자를 도입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됨. 이후의 치료 방침 결정 및 효과적인 약제발굴에도 획기적인 변화를 줄 수 있음. ■ Cell line 구축을 통해 이후의 cell engineering을 통한 therapeutic modulation의 기반을 마련할 수 있음. ■ 관련 분야 후학들을 교육함으로써, 박사 학위 및 전문가 인력을 배출할 수 있음. (출처 : 요약문 3p)
    • 연구책임자 : 장지현
    • 주관연구기관 : 서울대학교병원
    • 발행년도 : 20200300
    • Keyword : 방사선 치료;방사선 유발 육종;전장 유전체 분석;종양 발생;
  • 11488

    2020.05.31

    □ 연구개요 일산화질소 (nitric oxide, NO)는 생체 내에서 생리활성물질로서 다양한 역할을 한다고 알려져 있음. 그러나 세포 내에서 수 초 안에 분해되기 때문에 실제 세포에서 그 역할을 하기 위해서는 생성되는 NO주위에 NO의 acceptors 혹은 target molecules이 물리적으로 가깝게 존재하여야 할 것임. 현재까지 NO의 생체 내 기능에 대한 대부분의 연구는 세포 배양액에서 쉽게 release되는 NO donor를 여러 종류의 세포에 처리하여 관찰한 내용임. 본 연구는 내피세포 (endothelial cells, EC)에서 NO 생성효소로 알려진 endothelial NO synthase (eNOS)가 핵 내에 존재한다는 몇 논문들과 본 연구자의 선행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1) 핵 내에 specific하게 NO를 발생시키기 위해 세포막을 직접 통과하는 nuclear targeting NO donor를 제작함, 2) 핵 내 발생된 NO에 의해 EC의 주기 (cell cycle), 증식 (growth), 혈관신생 (angiogenesis) 등을 관찰함, 3) 핵 내 발생된 NO에 의해 변화되는 핵 내 유전자를 동정하고 유전자의 변화와 세포주기, 증식, 신생 등의 변화와의 연관성을 탐색하여 핵 내에서 발생하는 NO의 효과와 기전을 밝히는 연구 목표를 가짐. □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1. 핵내로 표적화된 일산화질소 전달 물질 개발 합성한 펩타이드와 일산화질소를 결합한 Nu-No (핵 타깃 일산화질소 전달체)의 질량을 측정하여 확인하였음. 2. 일산화질소 전달체의 일산화질소 생성 변화 분석 기존에 알려진 GSNO 혹은 DETA NO의 시간에 따른 일산화질소 생성량의 변화와 본 과제에서 개발한 Nu-NO의 생성량 변화를 관찰하였음. 결과에서 보듯이 GSNO는 1mM을 처리하면 대략 1/1000의 수준으로 천천히 발생되고 DETA NO는 100 μM을 처리하면 아주 빠른 시간내에 모두 생성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었고 Nu-NO는 100 μM을 처리하면 1/10 수준으로 발생되는 것을 측정하였음. 3. Nu-NO에서 발생하는 NO의 세포내 위치 분석 Nu-NO를 MDA-MB-231 유방암 세포에 처리하고 nitric oxide를 염색하는 4-Amino-5-Methylamino-2',7'-Difluorofluorescein Diacetate (DAF-FM diacetate)를 이용하여 세포내의 위치를 확인하였음. 4. Nu-NO에서 발생하는 NO의 세포 성장 효과 분석 핵으로 타깃하는 Nu-NO의 세포내 기능을 분석하기 위해 유방암세포주인 MDA-MB-231 세포에 다양한 농도로 처리하고 24시간 후에 세포 증식능을 BrdU incorporation assay를 사용하여 확인하였음. 40 µM 이상 처리하게 되면 암세포 증식을 현저하게 억제하는 것을 알 수 있었음. □ 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1. 학문적 중요성 ● 세포에서 NO의 역할을 연구하기 위해 기존에 사용된 NO donor는 세포 내 작용점으로 생각되는 핵에 도달하기 전에 분해되거나 원하지 않게 세포막과 세포질에 존재하는 단백질과 결합하여 실제 NO의 중요한 역할을 측정하기가 어려웠음. 이는 기존의 ROS 연구처럼 ROS가 세포의 신호전달 단백질로 작용하는 양은 ROS에 의한 독성을 나타내는 양과 비교하여 매우 소량으로 NO 가스 역시 세포에서 활성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는 핵에서의 NO양은 소량일 것으로 추정됨. 따라서 기존 연구에서 흔히 사용되어 온 0.1-1 mM의 NO donor의 양은 실제 생리적인 활성을 보이는 NO양과는 큰 차이를 보일 것으로 예상됨. ● 본 연구자는 미량의 NO가스를 세포핵에 직접 delivery 함으로써 NO의 생리학적 역할을 보다 상세하고 명확하게 규명하고, 본 과제를 통해 합성되어 사용하는 핵 타깃 NO donor는 chromatin remodeling과 같은 세포 핵내 중요한 작용을 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됨. 2. 기술적 중요성 ● 세포핵으로 delivery 되는 peptide에 NO가스를 붙이는 일은 3년 여 시행착오를 거쳐 본 연구자가 최근 완성한 것임 (특허출원 참고).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미토콘드리아와 같은 다양한 세포소기관으로 NO를 직접 이동시킬 수 있는 소재의 개발로 기술의 확장성을 제공함. ● NO 가스뿐 아니라, 세포에서 중요한 신호전달물질로 알려진 CO, H2S 가스 등도 본 설계개념을 적용하여 세포 핵에 직접 전달해 사용할 수 있다면 세포 핵 표적 신호전달가스 효과를 규명하는 Platform 기술을 제공할 것임.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박정현
    • 주관연구기관 : 이화여자대학교
    • 발행년도 : 20200600
    • Keyword : 일산화질소;펩타이드;세포 핵;전달 시스템;암 세포;
  • 11487

    2020.01.31

    Ⅱ. 연구개발의 목적 및 필요성 (필요에 따라 제목을 달리할 수 있음) ㅇ 공공 데이터와 1, 2 세부에서 도출된 생물학 실험 데이터 기반의 RT(Radiation Therapy) 관련 단백질체/유전체 통합 데이터베이스 구축 (1차 년도) ㅇ 1, 2 세부에서 도출된 RT 특이적 (정상 조직에 대한 RT 부작용, 암 조직에 대한 RT 효과 예측) 바이오마커 후보군을 기반으로 한 패널(panel) 구축 (2차 년도) ㅇ 도출된 패널을 이용하여 1, 2 세부에서 임상 시료에 적용한 결과를 토대로 패널의 최적화 연구 (3차 년도) Ⅲ. 연구개발의 내용 및 범위 (필요에 따라 제목을 달리할 수 있음) ㅇ 공공 데이터베이스 (유전체, 단백질체, 대사체 DB)로부터 데이터 마이닝(data mining) 기법을 통해 기존의 연구로부터 도출된 RT 관련 유전자/단백질들을 암종별 (폐암, 췌장암, 대장암, 두경부암, 유방암 등)로 빈도수(frequency) 도출 및 1, 2세부에서 실험적으로 발굴된 유전자/단백질체 결과와 통합하여 DB 구축 ㅇ 문서화된 기존 논문 내용(title, abstract)으로부터 텍스트 마이닝(Text-mining)을 적용하여 RT (Radiation Therapy) 관련 단백질체/유전체 추출 Ⅳ. 연구개발성과 (필요에 따라 제목을 달리할 수 있음) ㅇ 다양한 데이터를 수집 및 가공하고 효과적으로 통합함으로써 풍부한 RT 관련 유전자/단백질 DB 구축 ㅇ 정상 조직에서 RT 부작용을 예측할 수 있는 바이오마커 패널을 개발하고 임상적 활용의 근거를 마련 ㅇ 텍스트 마이닝(text-mining)기법을 적용하여, 논문 내용(title, abstract)으로부터 RT 관련 유전자/단백질 추출 방법을 자동화함으로써, 시간 및 노동력 감소 효과 기대 ㅇ 암 조직에서 RT 예후를 예측할 수 있는 바이오마커 패널의 개발을 통해 방사선 치료 지침의 제시 ㅇ 방사능에 의한 인체 손상 기전을 규명하여 치료제 개발의 기반을 제공 Ⅴ.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 (필요에 따라 제목을 달리할 수 있음) ㅇ RT 예후를 미리 예측할 수 있는 바이오마커를 활용하여 최소한의 방사선 치료로 환자의 경제적 부담감과 치료 고통 완화 ㅇ 데이터 마이닝 및 기계 학습을 이용한 바이오마커 개발 기술은 바이오 IT융합 개발을 위한 원천기술로서 유비쿼터스 헬스케어 서비스 시장을 선도하는 핵심 기술로의 활용을 기대할 수 있음 ㅇ 데이터 마이닝 기술을 활용한 바이오마커 개발 연구는 본 과제 뿐 아니라 다른 데이터 마이닝 융합 기술을 추구하는 의료 산업계에 커다란 성장을 가지고 올 것으로 예상됨 (출처 : 요약문 5p)
    • 연구책임자 : 박상현
    • 주관연구기관 : 연세대학교
    • 발행년도 : 20200200
    • Keyword : 1. 바이오인포매틱스;유전자;바이오마커;데이터마이닝;방사선치료; 2. Bioinformatics;Gene;Biomarker;Data mining;Radiation Therapy;
  • 11486

    2020.06.30

    □ 연구개요 핵 단백질 HMGB1은 다양한 자극에 의해 세포 밖으로 분비되어 각종 면역 반응 및 염증 질환을 유도한다고 알려짐. 본 연구는 HMGB1의 세포 밖으로 분비 기전을 규명하여 HMGB1에 의해 유도되는 면역 반응 및 염증 질환, 나아가 다양한 질병 기전 조절하여 질병 치료에 기여하고자 함. □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HMGB1 분비 기전에 대해 여러 분자와 기전이 관련됨을 규명하였으며, 해당 기전을 조절함을 통해 염증 반응이 감소함을 규명함. 다만, HMGB1 분비와 폐혈증 및 암 전이 사이의 연관성에 관련한 연구를 기한 내 진행을 하지 못하였음. □ 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본 연구를 통해 HMGB1 분비를 세포 내 단계별로 조절할 수 있는 기전을 규명하였음. HMGB1의 세포 내 위치에 따라 그 기능이 다르기 때문에 각각의 위치에서의 HMGB1 기능을 조절하여 세부적인 HMGB1 분비 조절을 가능케 함. 따라서 HMGB1의 세포 내 위치에 따른 관련 질병 연구에 기여할 것이라 사료됨. IL-1b 분비도 본 연구 결과에서 규명한 분비 기전과 동일하게 분비되었기 때문에, 비전형적인 분비 기전을 통해 분비되는 다른 단백질들의 분비 기전 연구에서 이 분비 기전이 중요한 분비기전임을 제안 할 수 있다고 생각됨. 본 연구를 기반으로 한 HMGB1 분비기전 조절을 통해 새로운 면역 조절 기전으로서의 가능성 대두.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김영훈
    • 주관연구기관 : 연세대학교
    • 발행년도 : 20200700
    • Keyword : 1. 염증 반응;면역 반응;분비 기전;자가포식;다포체; 2. HMGB1;inflammation;immune response;Secretion mechanism;Autophagy;Multi-vesicular bodies;
  • 11485

    2020.11.30

    소듐냉각고속로개발사업의 3단계 연구는 소듐냉각고속로 핵심기술 인증을 위한 특정기술주제보고서 심사대응, 사용후핵연료 연소성능 향상 기술 개발 및 소듐·안전 현안 해결을 위한 핵심기술 개발을 통해 사용후 핵연료 부피·독성저감 기술에 대한 국민 신뢰도를 향상시키는 방향으로 수행되었다. 특정기술주제보고서 심사대응은 소듐냉각고속로(SFR) 설계에 관한 특정기술부제보고서(TR) 승인 획득을 위한 인허가 대응 총괄을 목표로 한다. 특정기술주제보고서는 원자력안전법 시행규칙 제131조에 규정하는 바에 의해 소듐냉각고속로 설계와 관련된 기술적 사항 및 안전성 관련 핵심 기술로서 TRU 소각용 SFR 개발에 직접 활용 가능한 주제인 금속연료봉 설계, 핵설계 전산체제, 소듐방사화 평가, 열유체 설계, 지진응답 해석, 소듐화재 및 소듐-물반응 해석 그리고 동특성해석에 관한 기술 10종을 선정하였다. 현재 TR 인허가 심사대응 현황은 TR 1종에 대한 서류적합성검토 진행 중, TR 1종에 대한 서류적합성 검토 종료(부적합), 그리고 TR 8종에 대한 본 심사가 진행 중이다. 국내 금속연료 기술 검증을 위해 BOR-60 연료봉 조사시험의 경우 목표 연소도 7 at.% 달성하였으며 노내성능 검증자료를 확보함. 또한, BOR-60 피복관 조사시험을 통해서는 목표 조사량 75 dpa 달성하여 노내크리프와 물성 자료를 확보하고 피복관의 노외 크리프 시험자료와 연계하여 노내 크리프 모델을 개발하였다. 시스템 설계를 마친 원자로의 안전성을 종합적으로 검증할 수 있는 소듐 열유동 종합효과 시험장치구축 및 시험을 목표로 연구개발을 진행하여 지금까지 개발된 국내 소듐냉각고속로 설계기술, 전산체제, 소듐기술 등의 종합적인 검증을 수행하였고 설계 중심의 기술개발 능력을 하드웨어적 검증단계까지 발전시켰으며 세계적 수준의 대형 시설을 구축하여 우리나라의 제4세대 원자력 기술경쟁력을 높이는데 크게 기여하였다. 또한, 신뢰성 있는 소듐 누설 감시시스템 및 소듐 계측기기 개발을 목표로 연구개발을 진행하여 첨단 계측기술인 분포형 온도 계측시스템을 도입한 차세대 누설감지 시스템 개념을 개발하였으며, 이 계측기기들은 소듐뿐만 아니라 다양한 액체금속(비철금속, 알루미늄 다이캐스팅, 제철산업, 용융염 등)을 활용하는 산업에서 범용적으로 활용될 수 있기에 신산업 발굴과 이를 통한 일자리 창출에도 기여하였다. 경수로 사용후핵연료 내 독성저감을 위하여 주요 독성원소인 TRU를 연소시킬 수 있는 TRU 함유 노심을 개발하고, 소듐냉각고속로의 사회적 수용성을 제고할 수 있도록 소듐-물 반응사고의 원천 방지가 가능한열교환기 후보개념을 개발하였다. 또, 에어로졸 거동 방정식과 3차원 유동방정식을 연계함으로써 소듐에어로졸의 3차원적 거동을 해석하고 이를 설계 및 설계 평가에 활용할 수 있는 전산해석체제를 구축하였다. SAS4A 전산코드의 주요 중대사고 모델인 SSCOMP-A, DEFORM5-A, PINACLE-M, LEVITATE-M을 개발하였다. 실험결과를 사용한 검증 해석을 통해 용융핵연료 분출 이후 시점까지 해석이 가능하도록 코드를 확장 개발하였으며, START 코드 내 ISFRA 모듈의 에어로졸 핵분열생성물 수송모델 (질량추적방법론)을 ABCOVE 실험에 대하여 검증하였고, 그 수송모델의 특성과 해석 기제가 분석되었다. 소듐냉각고속로의 지진 및 소듐사고에 대비한 대응기술을 개발하고, 사고 발생을 사전에 인지할 수 있는 가동중검사 및 구조감시기술을 개발하여 SFR 원형로의 구조물 안전성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 목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지진 취약 구조물에 대한 한계내진성능 향상 연구 및 대형지진에 대응할 수 있는 면진장치를 개발하여 구조물의 내진성능을 향상하였다. 또한, 소듐 누설확률을 획기적으로 저감할 수 있는 이중배관을 개발하여 소듐에 대한 안전성을 증진하였다. 주요 구조물에 대한 가동중검사 센서 시작품을 개발하고, 고온구조물의 크립-피로 손상을 실시간으로 감시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하여 소듐 누설사고를 예방하였다. (출처 : 서지정보양식 - 초록 150p)
    • 연구책임자 : 어재혁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연구원
    • 발행년도 : 20201200
    • Keyword : 1. 사용후핵연료;소듐냉각고속로;부피·독성 저감;핵심기술;초우라늄;금속연료;종합효과시험;특정기술주제보고서;기술 검증; 2. Spent fuel;Sodium-cooled fast reactor;Volume·toxicity reduction;Key technology;TRU;Metal fuel;Integral effect test;Topical report;Technology Verification & Validation;
  • 11484

    2019.12.31

    1-1.혈구세포와 혈장을 각각 분리해서 혈구세포에서 CLSTN1과 SHMT2의 mRNA량을 RT-PCR로 분석. 혈장에서는 해당 단백질의 절단형태를 ELISA 분석법으로 정량화함 2-1.동물의 유방, 폐, 소장, 대장, 위, 간, 췌장, 난소관으로부터, 인체의 유방 및 대장으로부터 오가노이드를 구축. 특히 배양 배지에 들어가는 Wnt3a 단백질을 안정적으로 생산할 수 있는 세포주를 일본 연구진으로부터 제공 받아 사용함 3-1.대조군 및 방사선 조사 장기의 단일 세포 유래 오가노이드를 일정량까지 자라게 한 후 해당 오가노이드로부터 DNA를 분리하여 전장유전체시퀀스 분석을 수행하고 결과를 다양한 형태의 구조적 돌연변이 정도를 분석함 (출처 : 요약서 3p)
    • 연구책임자 : 손태건
    • 주관연구기관 : 동남권원자력의학원
    • 발행년도 : 20200100
    • Keyword : 1. 혈구세포;혈장;생체 지표;오가노이드;전장유전체 시퀀스; 2. blood cell;plasma;bio marker;organoid;whole genome sequences;
  • 11483

    2020.05.31

    □연구개요 본 연구 과제에서는 cre-lox system을 이용하여 조직 특이적으로 RORα를 knockout 시킨 유전자 변형 마우스와 일차 조골세포 및 파골세포 배양을 통해 RORα의 골 항상성을 조절 기능이 나타나는 일차 기관(primary organ)을 조사하고자 함. 또한 차세대 염기서열분석(next generation sequencing, NGS) 기반의 RNA-seq을 통해 RORα의 target 유전자를 발굴함으로서 RORα의 골 항상성 조절 기전을 밝히고 골다공증 치료 약물 target으로서의 가능성을 타진하고자 함.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RORα knockout osteoblast 및 osteoclast primary culture를 시행함. RORα KO osteoblast의 분화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함. RORα KO osteoclast에서는 분화의 차이를 관찰하지 못함. Prx1-Cre와 Lys-Cre를 통한 조골세포 lineage, 파골세포 lineage 특이적인 KO 마우스를 확립함. RORα의 target gene 및 조절 기전을 밝히지 못함. □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기존에 알려진 바와 달리, RORα KO osteoblast에서 분화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함. 따라서 RORα KO 마우스의 낮은 골밀도와 골형성 감소는 osteoblast cell autonomous한 표현형이 아닌 systemic 문제에 의한 2차적인 표현형이라고 생각됨. (출처 : 요 약 문 2p)
    • 연구책임자 : 이기준
    • 주관연구기관 : 연세대학교
    • 발행년도 : 20200600
    • Keyword : 1. 고아수용체; 2. RAR-related orphan receptor alpha;Rora;Cre-LoxP;Bone;
  • 11482

    2020.11.30

    1. Research Purpose 1.1 Research Background and Objectives Traditionally, the nuclear power plant (NPP) was used for base-load operation in many countries. However, renewable energy contribution to electricity is quickly increasing in most of countries in support of the efforts to reduce CO2 release and prevent the irreversible climate change in the whole globe. Taking into account the seriousness of the global warming and climate change, the nuclear energy will be more utilized in the future in many countries. As a result, it is very likely that the existing and coming NPPs should co-exist with sizable renewable energy sources. One clear issue of the renewable energy is that it is intermittent and it may cause grid-instability if the renewable size is noticeable. Consequently, the future NPPs are requested to be more resilient and flexible so that it can easily coexist with the renewable energy resources. In UAE, it is expected that the solar power will quickly increase and its electricity share will be possibly bigger than that of the 4 APR1400 units which are under construction. Therefore, load-follow capability of NPPs is an important requirement for synergistical symbiotic coexistence with renewable energies. (출처 : 본문 : 1. Research Purpose 4p)
    • 연구책임자 : 김용희
    • 주관연구기관 : 한국과학기술원
    • 발행년도 : 20201200
    • Keywor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