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구개요 전사인자 FOXL2 단백질의 아세틸화 변화에 의한 NHEJ pathway의 개시인자인 XRCC5 및 XRCC6 단백질과의 결합력 조절 메커니즘을 규명함으로, DNA 이중가닥 절단복구 pathway(NHEJ/HR)의 경로선택을 결정하는 신규 상위인자의 발견 및 조절 네트워크의 확립 □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1) FOXL2 WT 및 K124 mutants에 의한 NHEJ 및 HR 활성 분석 • FOXL2 K124번 아세틸화의 resistant (K124R) 및 mimic (K124Q)를 제작하여 Ku 단백질과의 결합친화도 확인 • 기 확보된 NHEJ 및 HR 복구 시스템을 통해 FOXL2 아세틸화에 의한 NHEJ 및 HR 복구 활성 확인 2) FOXL2 K124 아세틸화를 조절하는 히스톤 탈아세틸화 효소 규명 • 히스톤 탈아세틸화 효소인 (HDAC) I/II와 SIRT1의 저해제를 각각 처리하여 FOXL2 K124 아세틸화를 조절하는 특이적인 탈아세틸화 효소 확인 • 발굴된 특이적인 히스톤 탈아세틸화 효소을 과발현 시켜 FOXL2 K124를 조절하는지 검증 • DNA 이중나선절단에서 히스톤 탈아세틸화 효소 및 FOXL2, Ku 단백질들의 subcellular location 확인 3) FOXL2 K124 아세틸화 효소 규명 • FOX family의 아세틸화를 조절하는 아세틸 효소 CREB-binding protein (CBP), P300등을 클로닝하여 FOXL2의 아세틸화를 조절하는 효소 규명 4) 유전적 질환 유발 FOXL2 돌연변이체에 의한 DNA 복구 활성 및 조절 메커니즘 규명 • BPES 및 AGCT 질환에서 발견된 FOXL2의 돌연변이체를 이용하여 DNA 손상 복구 활성 확인 • FOXL2 돌연변이체와 Ku 단백질의 결합친화도 검증 5) FOXL2 K124 아세틸의 특이적인 항체 제작 및 검증 • 펩타이드 합성을 통해 FOXL2 K124 아세틸화의 특이적인 polyclonal 항체를 제작 • 여러 DNA 손상 조건에서 세포내 FOXL2 K124 아세틸화 확인 □ 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연구 성과의 활용 및 기대효과 • UV, ionizing radiation(IR), 혹은 활성산소종 (Reactive Oxygen Species, ROS) 등에 의해 DNA 손상이 일어나면 유전자 돌연변이 및 염색체 이상을 유발하여 다양한 질환을 유발하게 됨. 이러한 세포의 유전체 안정성 유지를 위하여 세포는 세포주기를 멈추고 DNA 손상을 복구하기 위한 repair 시스템을 가동함. • 본 연구는 전사조절인자인 FOXL2의 아세틸화를 통한 DNA 이중나선 절단의 복원 및 조절 메커니즘을 최초로 제시하고 NHEJ pathway의 필수 요소인 Ku 단백질과의 조절 기작을 생체분자의 3차원 구조결정을 통해 규명할 혁신적인 연구로서, 다양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기존에 보고된 바 없었던 DNA 이중나선 손상복구 기작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도입하는 다양한 가능성을 제시하였음. • 2015년 노벨 화학상에서 주목한바 있듯이, 본 연구에서 규명하고자 하는 DNA 손상 반응 및 복구 과정은 암, 노화, 면역질환, 심혈관 질환과 같은 다양한 질환과 연관되어 있으며, FOXL2 단백질이 유전체 안정성 유지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에서 생명현상을 이해하는데 필수적인 기반지식을 제공하는 파이오니아 연구로서 큰 의미가 있음. • 따라서 DNA 손상 및 복구과정에서 발생하는 질병의 병태생리학적 원인을 규명하고 나아가 효율적인 치료제 개발로 이어질 수 있는 본 연구는 향후 건강한 삶을 영위할 수 있는 기술 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됨.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배지현
- 주관연구기관 : 중앙대학교
- 발행년도 : 20201000
- Keyword : 1. FOXL2 K124 아세틸화;DNA 이중가닥 손상;DNA 손상복구; 2. FOXL2;XRCC5;XRCC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