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Report

All 12,381 Page 100/1,239

검색
  • 11391

    2019.12.31

    ○ 원전 모의 사고 시현 환경에 적용 가능한 시험용 로봇 시스템 개발 1. KIST에서 개발하여 기 보유한 이동 기구부 및 로봇 팔을 활용하여 목적 환경에서 위험작업의 시현이 가능한 로봇 시스템 개발 2. 3차년도 위험 작업 시현을 위한 접촉 작업 알고리즘 개발 ○ 위험 작업 신속 대응이 가능한 로봇 팔 모션 및 힘제어 기술 개발 1. 사용자 원격 조작명령과 힘센서 값을 활용한 로봇 팔 접촉 작업 알고리즘 개발 2. 파지 물체의 특성 및 구조를 자동 파악하여 최적 로봇 팔 작업 가이드 경로 생성 알고리즘 개발 (출처 : 보고서 요약서 3p)
    • 연구책임자 : 이우섭
    • 주관연구기관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발행년도 : 20200100
    • Keyword : 1. 원자력발전소;위험작업;극한환경기술;로봇 팔;힘제어; 2. Nuclear Power Plant;Dangerous Duty;Extreme Environment;Manipulator;Force Control;
  • 11390

    2020.01.31

    RCP 시나리오 전망자료(RCP 4.5, 6.0, 8.5)에 따라 북한지역의 현재-미래기간 월 단위 일 최고기온, 일 최저기온, 일 평균기온, 일사량, 강수량 전자기후지도를 30~270m의 고해상도로 제작하고, 이를 기반으로 작물별 실험을 통해 구명된 기후에 따른 재배지 조건을 적용하여 감자(봄 재배, 여름 재배, 가을 재배), 여름배추의 재배지 변동 지도를 제작, 결과물은 승인된 사용자에 한해 쉽게 정보를 조회하고 다운로드 할 수 있도록 웹서비스 기능들을 구현함 (출처 : 요약서 3p)
    • 연구책임자 : 김진희
    • 주관연구기관 : (재)국가농림기상센터
    • 발행년도 : 20200200
    • Keyword : 1. 북한;RCP 시나리오;기후변화적응;재배지대;고해상도 전자지도서비스; 2. North Korea;RCP scenarios;climatic change adaptation;agroclimatic zone;high-definition digital map service;
  • 11389

    2020.10.31

    ✔ 국가 전력 유지에 핵심이 되는 요소인 발전소들은 에너지 효율증가 및 환경 보전을 위해 더욱 극한 환경에서 가동할 것이 요구되고 있음. ✔ 극한 환경 요소 중 하나인 고온 조건은 발전소 구성 요소들에 대해 크리프 현상을 발생시키며, 그 외에 피로 현상과 같은 재료 손상 메커니즘은 발전소의 안정적인 운행에 잠재적인 위험 요소가 됨. ✔ 소형펀치시험법은 기존 일축시험법의 단점을 극복하고자 제안된 차세대 시험법으로 앞서 말한 잠재적인 위험 요소들을 모니터링하기 좋은 기술이지만, 아직 현장에 활용되기에는 연구가 부족하였음. ✔ 본 연구에서는 그러한 소형펀치시험법을 현장에서 유용하게 활용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철저히 분석하고 새로운 수명평가기법을 개발함. ✔ 고온 발전소 대상 재료에 대해 수차례의 고온 소형펀치시험을 진행하고 시험 결과 D/B들을 구축하였음. ✔ 기 개발한 응력기반 수명평가기법과 선행연구결과 개발한 변형률 기반 수명평가기법을 적용하여 기존 일축시험결과들과 비교하고 기법의 유효성을 검증 완료함. ✔ 향후 2단계에서 진행할 경년열화 효과를 고려한 발전소 고온 재료 수명평가를 위해 총 4대의 고온 머플로를 활용하여 등속 10K 및 가속 1K, 2K, 3K, 5K 열화재 샘플들을 제작 완료하였으며, 등속 20K, 30K 및 가속 10K, 20K 제작은 계속 진행중에 있음. (출처 : 보고서 요약서 3p)
    • 연구책임자 : 김문기
    • 주관연구기관 : 성균관대학교
    • 발행년도 : 20201100
    • Keyword : 1. 수명평가;소형펀치시험;크리프;피로;경년열화;고온; 2. Lifetime Assessment;Small Punch Test;Creep Fatigue;Material Degradation;High Temperature;
  • 11388

    2020.05.31

    □ 연구개요 • 연구개발의 최종목표: 소포체 스트레스에서 eIF2α 인산화에 의한 오토파지 마스터 조절인자 TFEB와 TFE3의 세포내 위치와 오토파지활성 조절기전 규명 • 연구개발의 필요성: 소포체 스트레스는 많은 질병과 관련이 있어 학계와 산업계의 큰 관심분야임. 소포체 스트레스에서 중요한 유전자발현 조절자인 eIF2α 인산화와 소포체 스트레스 극복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오토파지의 마스터 전자인자 TFEB의 핵 자리옮김의 연관관계 연구와 이를 활용할 수 있는 기초연구가 필요함 • 연구개발의 범위: 소포체 스트레스에서 eIF2α 인산화에 따른 오토파지 마스터 조절인자 TFEB와 TFE3의 핵이동 연관 관계 규명과 관련 유전자 발굴 □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1. 소포체 스트레스 시 오토파지 마스터 전사인자 TFEB와 TFE3의 세포내 위치 조절자가 인산화된 eIF2α임을 확정 - 소포체 스트레스에서 eIF2α 인산화 의존적 TFEB/TFE3 세포내 위치 조절 확인 - 소포체 스트레스에서 TFEB와 TFE3 의존성 오토파지 유전자 발현이 eIF2α 인산화에 의해 조절됨을 확인 - 소포체 스트레스에서 오토파지 활성 조절이 eIF2α 인산화 의존적임을 확인 2. 소포체 스트레스 시 eIF2α 인산화에 의한 TFEB와 TFE3의 세포내 위치 조절 기전 파악 - eIF2α 인산화에 의한 TFEB와 TFE3의 세포내 위치 조절이 Downstream 유전자인 ATF4 발현에 의해 조절됨을 확인 - 소포체 스트레스에서 TFEB와 TFE3 핵 자리옮김 조절기전이 기존에 알려진 인산화 및 세포내 칼슘양의 변화와 상관없음을 확인 3. 소포체 스트레스 시 eIF2α 인산화에 의한 TFEB와 TFE3의 세포내 위치 조절 기전 검증 - 발굴 유전자인 ATF4 과발현에 따른 eIF2α 인산화 결손 세포의 TFEB와 TFE3의 세포내 위치 조절 문제 회복 검증 - 발굴 유전자인 ATF4 과발현에 따른 eIF2α 인산화 결손 세포의 TFEB와 TFE3의존성 유전자 발현 회복 검증 - 발굴 유전자인 ATF4 과발현에 따른 eIF2α 인산화 결손 세포의 오토파지 기능 회복 검증 □ 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1. 학문적 측면 - 인산화된 eIF2α의 새로운 역할 규명: eIF2α가 오토파지 마스터 전사인자의 세포내 위치를 조절하여 오토파지 활성을 조절할 수 있음을 보이는 최초 보고임. - 소포체 스트레스에서 오토파지 활성 조절의 새로운 기전 규명: eIF2α 인산화와 ATF4 발현을 통하여 오토파지 마스터 전사인자를 조절함으로써 소포체 스트레스를 조절할 수 있다는 최초 보고임. 2. 기술/경제적 파급효과: eIF2α 인산화 또는 ATF4 과발현이 alpha 1-antitrypsin 돌연변이 단백질의 세포내 축적을 줄여줄 수 있어 misfolded 단백질 축적으로 생기는 질병 치료에 대한 연구결과 적용의 지적재산권 확보와 치료제 개발 및 상품 개발 등을 모색 중임. 3. 경제/사회적 파급효과: eIF2α 인산화 의존성 TFEB/TFE3 핵 자리옮김 활성법에 대한 향후 추가적인 연구개발을 통해 misfolded 단백질의 축적에 의해 유도되는 유전질환과 신경퇴행성 질병 치료에 소요되는 막대한 사회적 비용을 절감하고 인류 삶의 질을 향상시킬 것으로 기대됨.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백승훈
    • 주관연구기관 : 울산대학교
    • 발행년도 : 20200600
    • Keyword : 1. eIF2a 인산화;소포체 스트레스;오토파지; 2. TFEB;TFE3;Unfolded Protein Response;Nuclear translocation;Translational initiation factor;Dephosphorylation;
  • 11387

    2020.07.31

    2) ㈜메디오젠 최종목표 체지방 감소 효능을 갖는 프로바이오틱스 건강기능식품 개발 및 사업화 개발내용 및 결과 (1) 최적의 유산균주 체지방 감소 효능 확인 세포실험 (2) 선별된 유산균주를 통한 동물 실험 (3) 선별된 유산균주의 대량배양 공정개발 (4) 시장조사, 바이어발굴, R&D성과확산 (5) R&D성과물에 대한 지적재산권 확보 기술개발배경 비만은 지방이 필요 이상으로 축적된 경우로, 경제수준의 향상과 서구 식생활 문화의 유입, 편리한 생활양식에 의하여 증가하는 추세임, 체지방 감소를 위하여 운동식이, 수술, 약물치료 등 다양한 방법들이 진행되고 있음, 그 중 체지방감소 기능성 물질들은 동식물 기원의 원재료를 가공한 정제, 합성, 복합물등이 존재함, 그러나 이러한 약품들은 간 기능에 부담을 주고 위장장애, 알레르기, 불안감, 불면증 등 다양한 부작용을 유발하여 보다 안전한 기능성 원료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임, 최근 장내 미생물 균총에 불균형이 야기되면 비만과 같은 대사질환이 유발됨을 확인(비만 관련 유전자의 과발현 억제 등), 이에 장내 미생물 군집 정상화에 도움을 줄 수 있으며 부작용이 없고 안전하다고 알려진 프로바이오틱스가 훌륭한 연구소재가 될 수 있음,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체지방 축적 억제 효능을 갖는 유산균주를 선별하고 세포 및 동물실험을 통해 그 효능을 규명함과 동시에 생산성 향상을 모색하고 제형 개발을 통해 안정적이고 경쟁력있는 제품 생산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확보하고자 함 핵심기술개발의 의의 국산 발효 식품 및 한국인의 인체에서 유래한 유산균주 중 체지방 축적 억제 효능을 갖는 균주를 선별하고 동물모델을 통해 체지방 축적억제 메커니즘과 유전체 분석을 통해 항비만 기능성 개별인정 원료로 인증을 획득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확보하고, 안정적인 공급 및 경쟁력 있는 제조원가 절감을 위해 유산균주의 생산성을 향상하며 시장 조사 및 제형 개발, 지적재산권을 확보하며 이를 바탕으로 마케팅을 통해 국내외 시장 진출을 도모하고자 함 적용분야 건강기능식품 (출처 : 요약 7p) 3) ㈜엔지켐생명과학 최종목표 가도테릭산을 이용한 거대고리형 조영제 도타렘에 대한 연구를 통한 조영 증강 유효성 확인, 조영제 잔존율 검증, 약물 동태 확인, 제형개발 및 안정성 연구를 통한 시제품 생산, 동물시험을 통한 기능성 검증 개발내용 및 결과 (1) 조영동등성 동물실험 진행 (2) 시제품 생산, 제품 분석 (3) NMR(Nuclear magnetic resonance) (4) 원료 의약품 개발 후 완제 주사제제 생산 (5) 시장조사, 바이어 발굴, R&D 성과 확산 (6) MRI조영제 의약품 국제 컨벤션 참가 (7) R&D 성과물에 대한 지적재산권 확보 기술개발배경 MRI 인체 스캔시 영상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조영증강인자로 구조에 따라 선형(linear agent)과 거대고리형(macroyclic agent)으로 나뉘어지며, 선형 MRI조영제는 가돌리늄의 독성에 의한 신원성 전신 섬유증에 대한 안전성 문제가 대두됨. 2017년 11월 유럽집행위원회(EC)는 소량의 가돌리늄이 뇌에 축적될 가능성이 있어 선형 가돌리늄 조영제 3품목(가도디아마이드, 가도펜테틴산, 가도베르세타미드)에 대한 판매 중지발표함. 2018년 5월 식품의약품안전처는 '미국 FDA, 가돌리늄 조영제의 뇌 및 체내 잔류에 대한 안전성 서한' 을 통해 선형 제제는 거대고리형 제제보다 체내에 가돌리늄이 더 많이 잔류되므로 거대고리형 제제를 우선 사용해야 함을 권고함. 안정성에 대한 이슈가 적은 거대고리형 조영제인 도타렘을 생산하기 위해서 온도를 올릴 수 있는 반응기, 정제를 위한 장비가 필요하기 때문에 높은 가격에 공급됨. 가도테릭산을 원료의약품으로 도타렘을 생산 시 가도테릭산에 메글루민을 혼합하여 주사제로 포장하는 간단한 공정이 가능하기 때문에 가격경쟁력을 갖출 수 있음 핵심기술개발의 의의 거대고리형 조영제(도타렘, 가도테리돌, 가도부트롤)에서는 안전성에 대한 이슈가 없어 수요가 증대되고 있으며, 기존의 도타렘 제조방법에서는 도타의 정제가 어렵기 때문에 높은 가격이 책정됨. 싸이클렌에서 출발하여 도타에서 정제없이 가도테릭산을 제조하여 도타 단계에서 수율이 감소되지 않고 최종 제품의 수율이 90% 이상으로 증가됨에 따라 공급량과 제조원가를 기존 제품들에 비해 경쟁력을 갖출 수 있게 되어 국내외 시장을 선점하고자 함 적용분야 MRI 조영제 (출처 : 요약 8p)
    • 연구책임자 : 박준규
    • 주관연구기관 : 충북테크노파크
    • 발행년도 : 20200800
    • Keyword : 체지방감소;프로바이오틱스;건강기능식품;가도테릭산;도타렘;MRI조영제;
  • 11386

    2020.09.30

    □ 연구의 목적 및 내용 - 분화갑상선암 환자에서 수술 후 보조치료(adjuvant treatment)로 흔히 시행되는 방사성요오드치료가 저위험군의 갑상선분화암에서도 재발방지에 도움이 되는가 확인하고자 함. - 저위험 갑상선암 환자들을 대상으로 치료 후 반응을 비교함. 1) 연구 대상: 국립암센터 갑상선암센터를 방문하여 갑상선암으로 수술 받은 환자 중 연구 참여에 동의한 환자들을 방사성요오드치료군(Arm 1)과 비치료군(Arm 2)으로 함.   2) Primary endpoint: 무질병 생존율(Disease Free Survival) 3) 연구 방법 · 수술 후 3~4개월 사이에 저용량 방사성요오드 치료 혹은 갑상선호르몬 중단후 전신촬영 영상 및 T4-off Tg를 확인한다. · 수술 후 6~9개월 사이에 경부 초음파 및 T4-on Tg를 확인한다. · 수술 후 12~15개월 사이에 갑상선 호르몬 중단 후 T4-off Tg를 확인한다. · 이 후 6~12개월 간격으로 경부 초음파 및 T4-on Tg를 확인한다. · 장기적으로 무질병 생존 여부를 관찰한다. □ 연구개발성과 < 정성적 성과 > - IRB 승인 - eCRF 구축 및 오픈 - 질병관리본부 임상연구정보서비스(CRIS) 등록 - 환자용 안내문(리플렛) 제작 - 현재, 치료군 11명, 대조군 14명, 총 25명 모집 □ 연구개발성과의 활용계획 (기대효과) · 갑상선암의 증가로 진단 및 치료받는 환자가 급증하고 있는데 이들의 긴 생존기간을 고려하면 재발 및 전이 가능성을 예측하고 그 위험성에 따른 치료를 최소한으로 적절하게 시행하는 것이 매우 중요함. · 하지만 의료비용 및 환자의 삶의 질 저하, 침샘염, 방사성 물질의 노출 등 무시할 수 없는 부작용들을 고려할 때 큰 도움이 되지 않는다면 방사성요오드치료를 시행하지 않는 것이 더 좋을 수 있음. · 현재까지 방사성요오드치료 시행 효과에 대한 연구결과가 없는 저위험군에서의 치료 효과 비교는 앞으로의 치료 및 추적관찰 방향을 정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임. (출처 : 국문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황보율
    • 주관연구기관 : 국립암센터
    • 발행년도 : 20201000
    • Keyword : 1. 분화갑상선암;방사성요오드치료;예후;재발률;치료 반응률; 2. Differentiated Thyroid cancer;Ablative radioiodine;Prognosis;Recurrence rate;Biochemical response rate;
  • 11385

    2020.01.31

    1. 연구개발의 목적 및 필요성 ○ 최근 ISO 13485 개정으로 멸균 및 멸균포장시스템(Sterile Barrier System) 밸리데이션 요구사항이 강화되었으며, 동 규격을 반영한 의료기기 제조 및 품질관리기준(식약처 고시)이 ‘19년 개정예정임에 따라, 멸균 및 멸균포장시스템 유효성확인에 대한 최신 품질관리 방법 가이드 제시 필요 ○ 국제 규격 조사 등을 통해 멸균, 포장공정 밸리데이션 가이드라인이 발간(‘07년, ’13년)된 바 있으나, 이후 관련 국제 규격이 개정됨에 따라, 국내 의료기기 제조업체가 멸균관련 국제규격의 최신 사항을 반영하여 품질관리를 수행할 수 있도록 주로 이용되는 멸균방법(방사선 멸균, EO 멸균, 습열멸균)별 밸리데이션 가이드라인 개정 필요 또한, 멸균포장관련 국제 규격의 개정사항을 반영하여 멸균포장시스템 밸리데이션 가이드 제시 필요 2. 기대성과 ○ 최신 국제 규정 등을 적용한 멸균 및 멸균포장시스템 밸리데이션 가이드 제시를 통해 의료기기 제조업체의 품질관리 수준 향상 및 안전한 의료기기 유통기반 확립 ○ 국제 조화된 GMP 제도 운영으로 국산 의료기기의 수출 경쟁력 강화 및 GMP 심사 기준 제공을 통해 업체의 GMP 운영 수준 향상에 기여 3. 연구성과 활용계획 ○ 의료기기 멸균 밸리데이션 가이드라인 개정 ○ 의료기기멸균포장시스템(Sterile Barrier System) 밸리데이션가이드라인제정 (출처 : 요약문 6p)
    • 연구책임자 : 조진식
    • 주관연구기관 :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
    • 발행년도 : 20200200
    • Keyword : 1. 의료기기;멸균밸리데이션;포장밸리데이션;가이드라인; 2. Medical Device;GMP;Sterilization validation;Sterilization Packaging Validation;Guideline;
  • 11384

    2020.05.31

    □연구개요 A technique for fabrication of a complex nanocomposite structure through intense plastic deformation induced by ball collisions has been presented. The technique integrates principles of severe plastic deformation and mechanical alloying. The main objective of this approach is to deliberately introduce a source of desirable alloying elements into the deformation-induced treatment process. During processing, ground media fragments along with target materials are continuously transferred onto metallic surface via ball milling, and mechanical intermixing of various components onto metallic surface results in self-organization of a new composite structure.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CoMoNi)/WC, WFeNi(Ti) and MoFeNi(Ti) alloy layers as well as W(Fe) and Mo(Fe) structures were fabricated onto Ti surfaces from W, Mo, Ni, Co targets through ball collisions initiated by a mechanically vibrated vial. Steel balls or WC balls were used for processing as the Fe source or WC source. The as-fabricated alloy structures could be represented as heterogeneous multi-modal nanocrystalline structures. It was demonstrated that the deformation-induced chemical interactions between dissimilar atoms affected the structural formation of the alloy layers. The as-fabricated layer exhibited a very high hardness compared to industrial metallic alloys and tool steel materials. The yield stress value of the as-fabricated layers evaluated via nanoindentation was (2.5 ± 0.4) GPa, which was much higher than the yield stress for tungsten heavy alloys. □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The experimental data provided insight into the atomic interactions and amorphization processes in the multicomponent systems induced by intense plastic deformation. Insight into the atomic interactions induced by deformation will be of great help in the development of future manufacturing prototypes and a new class of advanced hybrid materials. The W and Mo systems may serve as a base for fabrication of amorphous matrix where other different metallic components may be introduced during processing. These experimental findings demonstrated that different variations of alloying components under intense plastic deformation could produce competitive variations in pairwise chemical interactions, which in turn could affect the direction of diffusion between atoms and phase states toward which the systems evolved. Microstructural control of deformation-processed multicomponent systems could be performed via control over the alloying components introduced into the deformation-induced process. In general, the as-fabricated composite systems could be attractive as materials for MEMS or UAS operating in nuclear radiation environments since in addition to a lightweight Ti base and high-strength alloy surface, refractory metal components within the Fe-based matrix with oxide dispersions should provide enhanced resistance to radiation damage. (출처 : 요 약 문 2p)
    • 연구책임자 : 로만코프세르게이
    • 주관연구기관 : 전북대학교
    • 발행년도 : 20200600
    • Keyword : Severe plastic deformation;Mechanical intermixing;Mechanical alloying;Nanocomposite materials;Amorphous matrix composites;Surface technology;Multicomponent system;Co-base composite;W – Metal composite;
  • 11383

    2020.05.31

    □ 연구개요 ○ 유방촬영장치의 정도 관리에 국제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유리선량계의 평가 ▶ 유리선량계는 RPL현상을 이용한 선량계로서 형광유리소자로는 활성인산염유리가 이용된다. 유방촬영용 유리선량계는 형광유리소자와 소자 표면에 4종류의 두께가 다른 알루미늄 필터를 씌워놓은 구조로 돼 있다. 각 알루미늄 필터의 두께는 0.3, 0.4, 0.6, 1.0mm로 돼 있어 1회 조사로서 감약 곡선을 측정 할 수 있다. 이 감약 곡선으로부터 반가층과 관전압을 구하고, 알루미늄필터가 없는 유리소자의 형광 량으로부터 공기커머를 구할 수 있다. 결국, 이 유리선량계로는 1회 조사로 정도관리에 필요한 평균 유선 선량의 평가가 가능하다. ○ 유리선량계를 이용한 신뢰성이 확보된 새로운 정도 관리체계 구축 ▶ 따라서 현재 국내 설치 운용중인 유방촬영장치의 정도 관리에 대한 실태를 파악하여 임상에서 손쉽게 적용할 수 있는 정도 관리 방법에 대한 연구와 활용 방안을 제시하고 정도관리에 이용되는 유방촬영용 유리선량계의 효율성과 이를 이용한 정도 관리의 필요성 및 편의성에 대해 연구하고자 함. □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 디지털시스템 유방촬영장치의 성능관리 및 품질평가(1년) ▶ 기존 의료기관에 설치 운용중인 장치에 대한 정보파악 ○ 유리선량계를 이용한 신뢰성이 확보된 한국 형 성능관리체계 구축(2년) ▶ 유방촬영장치도 디지털시스템으로 환경이 바뀌면서 새로운 성능관리 및 품질 평가 시스템도입의 필요성 전파. ▶ 디지털환경에서는 반드시 디지털환경에 적합한 인수시험 및 성능관리 방법의 필요성 전파. ○ 디지털시스템 유방촬영 시 방사선피폭 최소화를 위한 선량관리체계 구축 및 전파(3년) ▶ 유방의 두께변화에 따른 선량관리 체계 마련 및 전파 ▶ 유방의 성분에 따른 선량관리 체계 마련 및 전파 □ 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 기술의 발달과 함께 유방 엑스선 장치도 기존의 필름-스크림 시스템에서 디지털 시스템으로 바뀌면서 질환의 검출능력이 신뢰할 수 있을 만큼 정확하기 때문에 진단 영역에서의 그 활용 범위가 점점 더 확대되고 있는 실정임. ○ 또한 의료 환경이 디지털 환경으로 변화 되면서 품질관리체계 뿐 만 아니라 방사선량의 축적에 대한 관심도 증가하여 유방촬영 시 최적의 파라메터와 프로토콜을 결정하는데 활용. ○ 유방촬영장치를 위한 성능관리용 유리선량계에 대한 유용성을 평가하여 장치의 성능관리에 활용함으로 방사선피폭에 대한 효율적인 관리가 가능해짐. ○ 환자 피폭선량에 대한 전국적 조사를 통해 국내 실정에 맞는 품질관리체계와 환자선량을 평가하고 모니터링하여 유방촬영과 관련된 전반적인 가이드라인을 마련하여 의료기관에 제공함으로써 방사선피폭 저감화에 기여.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조평곤
    • 주관연구기관 : 대구가톨릭대학교
    • 발행년도 : 20200600
    • Keyword : 유방촬영장치;디지털시스템;성능관리;방사선피폭감소;
  • 11382

    2019.12.31

    본 과제는 가동원전에서 잠재적인 재료열화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원천기술 개발을 주목적으로 하고 있음. 고온고압의 1,2차 수환경 및 방사선환경에서 구조재료의 열화특성을 연구하기 위하여 최신의 실험 및 이론 기법을 적용함으로써 국내는 물론 세계에서도 주목받는 최초의 연구 성과를 다수 내었을 뿐 아니라, 이를 바탕으로 국내 원전산업체들과 직접적인기술협력/기술지원 성과도 도출하였음. 국내외 학술지연구논문(SCI) 게재와 국내외 특허 등록 등 정량적인 연구 성과 이외에도, 다수의 국내 원전산업체 기술지원 실적을 통해, 본 연구과제가 학술적인우수성과 동시에 산업적인 적용성도 동시에 가지는 탁월한 성과를 보였음. 기존 기술의 답습을 벗어나 독창적인 차별화된 연구를 지향하여 재료열화 평가 신기술을 개발하고, 타 분야의 첨단 분석기술, 미소시편 측정기술을 응용한 특성평가기술 개발을 통해 복합인자에 의해 발생하는 재료열화 현상의 종합적 대처능력 강화 분야에서 중요한 성과를 이룩함. (출처 : 요약서 3p)
    • 연구책임자 : 이봉상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연구원
    • 발행년도 : 20200100
    • Keyword : 1. 원전재료 열화;부식 손상;조사손상;검사신뢰도;부착완화; 2. Nuclear materials Deposition;Corrosion degradation;Irradiation degradation;Diagnosis reliability;Deposition mitig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