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Report

All 12,453 Page 100/1,246

검색
  • 11463

    2020.11.30

    비공개항목입니다.
    • 연구책임자 : 장재훈
    • 주관연구기관 : 한국기계연구원
    • 발행년도 : 20201200
    • Keyword : 1. 중성자 흡수;중성자 차폐;스테인리스강;연신율;압연성;내식성; 2. Neutron absorbability;Neutron Shielding;Stainless;Elongation;Workability;
  • 11462

    2019.12.31

    본 세부 과제는 SEE 등의 발생 기작 및 확률을 측정할 수 있는 회로를 제작하고, 핵융합로와 동일한 환경에서 제작한 회로를 측정하여 정확한 SEE 발생 기작 및 발생 확률을 모델링하여, 추후 관련 시뮬레이션 가능하도록 인프라를 구축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서 디지털 집적회로의 기초가 되는 latch와 SRAM 등의 기억소자에 대한 내방사선 설계기법을 개발하였으며 이를 방사선 환경에서 시험하여 기존의 기법보다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방사선으로 인한 단일사건에 대한 영향뿐만 아니라, 방사선으로 인한 회로의 세계 최고 수준의 노쇠화 연구 및 분석기법을 개발하였다. (출처 : 요약서 3p)
    • 연구책임자 : 김진상
    • 주관연구기관 : 경희대학교
    • 발행년도 : 20200100
    • Keyword : 1. 단위사건효과;TID 센서;방사선 수송계산;정적메모리;내방사선 설계; 2. single event effect;Total Ionizing Dose sensor;Radiation Transport;SRAM;Radation-hard Design;
  • 11461

    2020.09.30

    □ 연구개요 보형물을 이용한 유방 재건 수술 후 가장 흔한 합병중 중 하나는 피부피판의 괴사 (skin flap necrosis)인데, 보형물을 이용한 재건의 경우 피판 괴사의 범위가 클 경우 보형물이 노출되거나, 감염의 위험이 커지므로 보형물을 제거해야 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해 재건 수술의 실패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또한 피판의 괴사로 상처 치유가 지연되거나 재 수술을 해야 하는 경우 유방절제수술 후 필요한 보조 항암요법 (adjuvant chemotherapy)이나 방사선 치료(adjuvant radiation therapy)가 지연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PGE1이 무작위피부피판의 혈류를 증가시키고 생존률을 증가시킨다는 점과 유방절제술 후 남게 되는 피부피판은 무작위피부피판으로 절개부위 근처가 혈류가 떨어지고 괴사에 취약한 점에 근거하여, PGE1이 보형물 유방재건에서 피부피판의 괴사에 예방적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피부전체 보존 유방절제술 후 보형물을 이용한 즉시유방재건 환자를 대상으로 전향적 무작위배정 임상연구 (Prospective randomized controlled trial)을 진행하였음. 총 168 례의 계획 중 129례가 증례에 대해 임상연구를 완료함. 전체 환자 중 대조군 (PGE1 비투여군)에 65명, 실험군 (PGE1 투여군)에 64명이 포함되었음. 피부 및 유두 괴사, 상처 치유 지연 등을 포함한 피부혈류 관련 합병증은 대조군에서 32.3% (21 out of 65 cases) 있었고 실험군에서 18.8% (12 out of 64 cases) 발생하였다 (p = 0.078). PGE1 투여군에서 피부괴사 합병증이 적게 발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유두 괴사의 합병증 발생 비율은 대조군에서 23.1%였고 실험군에서 9.4% (p = 0.035)로 PGE1 투여군에서 유두괴사 합병증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줄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전체피부보존 유방절제 후 보형물을 이용한 즉시유방재건에서 프로스타글란딘E1의 투여가 피부괴사 합병증을 줄일 수 있고, 특히 유두괴사 합병증을 줄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기존에 피부괴사 합병증을 예방할 수 있는 특별한 방법이 없는 상황에서 프로스타글란딘E1을 수술직후 투여함으로써 비교적 적은 비용으로 피부괴사 합병증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이 될 수 있다는 결과를 확인하였다.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우경제
    • 주관연구기관 : 이화여자대학교
    • 발행년도 : 20201000
    • Keyword : 1. 피부보존 유방절제;유방재건;보형물;피부괴사;유두괴사; 2. Prostaglandin E1;
  • 11460

    2020.04.30

    1. 연구목표 왜 폐암의 뇌전이암의 연구가 필요한가? - 폐암은 높은 발생률을 보이며, 뇌전이를 아주 잘하는 암이지만, ‘뇌’라는 특수성 때문에 항암치료가 제한적임. - 폐암의 뇌전이의 경우, 뇌전이암의 치료가 환자의 예후에 막대한 영향을 끼침. - 방사선 치료나 방사선 수술이 이러한 뇌전이암의 주요한 국소 치료 방법이지만, 현재는 뇌전이암의 특성에 대한 고려없이 모든 환자에서 같은 치료가 시행되고 있음. 왜 표적치료제의 저항성 연구가 필요한가? - 폐암은 표적치료제가 가장 활발히 연구되고 있는 암종임. 특히 gefitinib, crizotinib 같은 표적치료제는 1 차선택약으로 쓰일만큼 효과가 좋고, 기존의 항암제와 비교, 상대적으로 뇌침투율이 높은 것으로 알려짐. 또한 gefitinib 의 target 인 EGFR 변이는 한국인에서 높은 비율로 관찰됨. - 하지만, ‘뇌’라는 특수성 때문에, 뇌전이암을 사멸시키는 정도의 침투율이 되지않아, 폐 자체는 잘 조절이 되지만, 결국 뇌전이암은 진행하는 사례가 상당히 많음. 이러한 경우에, -> 계속 표적치료제를 사용해야하는지, -> 방사선치료나 방사선수술은 언제 고려해야하는지 등은 항상 부딪히는 문제임. (출처 : 본문 3p)
    • 연구책임자 : 김진욱
    • 주관연구기관 : 서울대학교병원
    • 발행년도 : 20200500
    • Keyword :
  • 11459

    2020.05.31

    □ 연구개요 본 연구의 목표는 방사선의 안전한 의료/산업계 이용을 위해, 방사선피폭자의 3D 스캔 피부 표면영상을 Radiomics 기법으로 분석한 결과를 기반으로 방사선 피부손상 예측모델을 개발하는 것이다. 방사선은 오감으로 감지할 수 없기 때문에 방사선 피폭에 의한 피부손상을 예측하고 평가하는 것은 방사선치료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방사선 피부손상의 평가는 의사의 주관적인 평가로만 이루어지고 있어 객관적이고 정량적인 피부손상 평가가 절실하다. 최근 각광받고 있는 Radiomics의 영상분석을 피부 표면영상 분석으로 범주를 확장하여 방사선 부작용을 예측하고 객관적인 평가를 할 수 있는 모델을 개발하고자 한다. □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 방사선 피부손상을 평가할 수 있는 예측모델 개발 - 3D 스캐너 및 피부측정기에 대한 3D 스캔 기술 최적화 - 개인별 피부 색상 차이 보정모델 개발 - 22개의 질감분석 파라미터 알고리즘 구현 - 상당한 방사선피폭이 예상되는 유방암 환자 20명 선정 후 3D 스캔 피부 표면영상 획득 - Radiomics 분석을 위한 피부 표면영상의 질감분석 파라미터 계산 - 임상정보 획들을 위한 환자 20명에 대한 방사선 표면선량 측정 및 RTOG grade 평가 - 질감분석 파라미터와 환자의 방사선 피부손상 임상정보 상관관계 분석을 통한 방사선 피부손상 예측모델 개발 ○ 연구과제의 정량적 성과 - SCI(E)급 논문 3편 - 국내학술지 논문 3편 - 국제 학술대회 발표 1건 - 국내 학술대회 발표 1건 □ 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본 연구를 통하여 방사선치료 받는 환자에 대해 미리 방사선 피부손상의 전조증상을 감지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방사선 부작용을 미리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이전에 수행되었던 주관적인 방사선 피부손상 평가보다 객관적이고 정량적인 피부손상 평가가 가능하고 더 나아가 방사선 부작용 분야에 있어 가이드라인을 제시할 수 있는 과학적 근거로 사용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예측모델은 상용화가 가능하고, 그 가용시장이 계속 성장하는 추세이기 때문에, 잠재적인 경제적 가치가 크다. 또한 방사선 안전에 대한 관심이 확대되고 있어 본 연구개발결과는 의료·산업적으로도 매우 의미있는 결과이며 원천 기술을 확보할 수 있었다는 점에서 의미를 찾을 수 있다. 더불어, 본 연구에서 개발된 예측모델은 체내 방사선량을 평가·예측할 수 있는 초석 연구로 활용 가능하다.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박소연
    • 주관연구기관 : 서울대학교
    • 발행년도 : 20200600
    • Keyword : 방사선치료;라디오믹스;방사선 피부손상;방사선 부작용;비침습적;3D스캐너;피부 표면영상;질감분석;기계학습;
  • 11458

    2020.05.31

    □ 연구개요 원자력발전소의 사고 분석 수단인 확률론적 안전성 평가(PSA, Probabilistic Safety Assessment) 방법을 토대로, 암치료 환자가 방사선치료 과정에 들어서는 CT 촬영에서 시작하여, 치료용적 설정, 치료계획수립 및 선량계산, 선량 전달 검증, 방사선 조사, 치료계획수정 등을 포함하는 전 과정에 걸쳐, 치료시스템을 이루는 구성요소들의 선량 전달 오류 혹은 극단적으로는 사고에 이르는 시나리오에 대한 공학적, 체계적 분석을 통하여, 선량 전달 오류 또는 발생 가능한 사고 가능성을 정량화할 수 있는 확률론적 안전성 평가 기술을 확보함으로써, 치료 신뢰성 평가 및 예방정비 프로그램에 기초하는 방사선 치료 안전관리 체계를 구축 □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방사선치료 과정 계통 분석 ◦선량 전달 오류 초기사건 선정 및 발생확률 모델링 ◦기계 동작 및 인적 오류 전파 시나리오 분석 ◦사건 수목 분석 ◦치료계획장치 선량 계산 오류 평가 함수 모델링 ◦인적 오류 평가 함수 모델링 ◦구성 요소 신뢰도/안전성 평가 모델링 ◦고장 수목 분석 ◦불확실도 평가 ◦치료 계통 선량 전달 신뢰도/안전성 평가 ◦치료 시스템 신뢰도/안전성 평가 프로그램 개발 □ 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본 연구에서는 우선 원자력 분야에서 사용되는 PSA라는 개념을 이용하여 방사선치료 평가에 적용하여 보았음. 이를 통해 기기 신뢰도보다 방사선치료 프로세스에 더 많은 위험이 도사리고 있다는 것을 간단하게나마 정량적으로 평가가 가능하였으며 이는 기기의 오류보다는 인적오류가 더 위험하다는 것을 방증. 이는 데이터베이스만잘 갖추어 진다면, 확장되고 좀 더 명확한 사건수목도를 통해 정말로 위험한 치료인자가 무엇인지 정량적으로 도출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환자치료의 질의 향상은 물론 방사선 치료 안전관리 체계 구축에 이바지할 것이라 사료됨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주형민
    • 주관연구기관 : 강원대학교병원
    • 발행년도 : 20200600
    • Keyword : 방사선치료;안전 관리;확률론적 안전성 평가;
  • 11457

    2020.08.31

    □연구개요 방사선 피부염에 대한 저출력레이저치료의 효과를 확인하고 그 기전을 규명하고자 하자 계획된 연구임. 현재 의료계 뿐 아니라 일상생활에서도 많이 사용되고 있는 저출력레이저의 효과를 과학적으로 증명하고자, 극단적 피부 손상의 상태인 방사선 피부염을 대상으로 저출력레이저의 효과와 안전성을 관찰하는 동물 실험과 임상 연구를 진행하였음. 1차 년도 방사선 피부염의 동물 모델을 구축하고 1,2차 년도에서 저출력레이저의 효과를 확인하는 동물 실험 시행함. 2,3차 년도에서 유방암환자의 유방 부위 방사선 조사 후 발생한 방사선 피부염의 예방효과를 증명하고자 임상 실험을 시행함.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1차 년도에서 방사선 피부염의 동물 모델을 구축하고 이 모델을 통해 동물에서 방사선 피부염 정도의 육안적 평가를 numeric scale 표준을 마련함. 저출력레이저의 효과를 pilot study를 통해 먼저 확인하고 2차 년도에 대조군, 633nm, 830nm 의 두가지 파장의 저출력레이저를 사용하여 동물 실험을 시행하고 이를 육안적 평가 뿐 아니라 조직검사를 통해 염증의 정도, 피부 손상과 변화의 정도를 객관화함. (이 결과는 Lasers in Medical Science, SCI 에 2020게재 예정) 2,3차 년도에서 동물실험을 근거로 방사선 치료가 계획된 유방암 환자에서 대조군, 633nm, 830nm의 저출력레이저 조사군간의 방사선 피부염의 정도, 피부 수분도, 경피 수분 손실, 탄력도와 유분도을 평가함. 통계분석 결과 대조군과 비교하여 임상적 방사선 피부염의 정도에는 차이가 없으나 피부 수분도 유분도가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대조군과의 차이를 보임. 이는 대조군에 비해 실험군에서 방사선으로 인한 피부손상이 덜하고 손상으로부터의 회복이 더 나음을 보여주는 결과임. 통계적으로 두 파장 633nm와 830nm 사이의 측정값의 차이는 없었음. 이 결과는 현재 논문화 작업이 진행중임. □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1. 본 연구를 통해 방사선 피부염을 예방하기 위한 여러 가지 의학적 예방, 치료방법들을 확인하기 위한 동물 모델을 구축함. 방사선 피부염 동물 모델은 저출력레이저의 효과 뿐 아니라 다른 연구에 응용할 수 있음. 2. 현재 의료계 뿐 아니라 일상 생활에서도 많이 사용되고 있는 저출력 레이저의 안전성과 효과를 실험실적으로 확인하여 저출력 레이저의 활용을 확대할 수 있음. 3. 임상실험을 통해 저출력 레이저가 현재 허가된 상처 회복 뿐 아니라 방사선 피부염으로 인한 피부 손상을 줄이고 회복을 촉진할 수 있음을 확인한 것은 저출력 레이저의 활용을 확대할 수 있는 계기가 됨. 4. 암 치료 등에 방사선 치료가 국소적으로 다른 장기에 피해를 최소화하는 치료 방법으로 확대되고 있는데 그에 반해 방사선 피부염을 막기 위한 객관적으로 증명한 예방법은 없는 실정으로 이 연구를 통해 암 환자의 삶의 질을 향상 시킬 수 있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음. (출처 : 요 약 문 2p)
    • 연구책임자 : 박지혜
    • 주관연구기관 : 삼성서울병원
    • 발행년도 : 20200900
    • Keyword : 레이저;저출력;방사선 피부염;상처;유방암;
  • 11456

    2020.02.29

    □ 연구개요 본 연구는 자기 공명 영상 장치(MRI)를 이용하여 시신경 경로의 신경전달 특성을 영상화함으로써 시신경 경로 질환 환자군의 진단, 치료 효과 및 예후 확인을 위한 영상 바이오마커를 구축하고자 함. □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1. 거대뇌하수체종양 치료에 의한 변화 측정 및 예측 - 거대뇌하수체종양 환자군의 수술 전후 뇌 영상 지표와 임상지표 획득 - 치료 전 영상 및 임상 지표들 중 치료 후 시신경 회복 정도를 예측할 수 있는 지표 평가 2. 획득한 영상 및 임상 지표의 응용성 검증 - 거대뇌하수체 종양 환자군 코호트에서 임상지표와 영상지표의 상관관계 분석 - 치료 전후를 비교하여, 개발한 영상 및 임상 지표들의 회복 정도 예측 가능성 검증 3. 시신경염 및 망막중심동맥패쇄 환자에서의 치료 전후 변화 측정 및 유용성 검증 - 시신경염 및 망막중심동맥패쇄의 실제 발생률이 기존 문헌보고보다 낮아 치료 시작 전 환자 모집에 실패하여 거대뇌하수체종양과 비슷한 위치에 발생하여 시신경을 압박하는 두개인두종 환자를 대상으로 영상촬영 및 바이오마커 검증을 시행함. 4. 두개인두종치료에서의 응용성 검증 - 두개인두종 환자에서 시력의 임상지표와 뇌 영상 지표 측정 및 상관관계 분석 - 시신경과 동시에 촬영된 시상하부와 수술 전후 신체 지수를 비교하여 상관관계 분석 □ 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 거대뇌하수체종양 환자의 시각 장애 유무에 따라 optic radiation을 관심영역으로 하여 Diffusion tensor imaging 을 분석한 결과, Fractional Anisotropy(FA), Mean Diffusivity (MD), Radial Diffusivity (RD)에서 두 그룹간의 유의성을 확인. - 수술 전 시각장애가 있는 환자군의 시각피질에 상응하는 시야결손정도를 반영하는 새로운 임상지표인 VTIS (Visual tract impairment score) 와 optic radiation에서의 뇌 영상지표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FA, MD, RD에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여. 수술 전 영상이 임상지표를 반영하고 있음을 확인함. - 두개인두종에서 치료 후 잔여 시상하부의 부피와 비만도의 연관관계를 확인함.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김용휘
    • 주관연구기관 : 서울대학교병원
    • 발행년도 : 20200300
    • Keyword : 신경수초;시신경 경로;자기공명영상;뇌하수체선종;바이오마커;두개인두종;
  • 11455

    2020.05.31

    □ 연구개요 유방암은 여성 고형암 발생률 1위의 암으로서 병기나 위치, molecular subtypes, 임파선 전이 유무에 따라 다양한 조합의 치료가 선택된다. 유방암의 재발암에 대한 기존의 기초 연구들은 실제 임상에서의 치료 과정을 감안하지 않은 단편적인 연구들이 많으며, 유방암의 치료 과정을 고려하여 실질적인 연구 결과를 도출할 필요성이 있었다. 이를 위해서는 방사선에 내성을 가진 세포를 대상으로 타목시펜 저항성을 추가로 획득한 세포를 구축하는 것이 선행되어야 한다. 유방암은 표준치료가 종료된 수년 후에도 빈번하게 재발하는 암으로서 이는 표준치료에 내성을 획득한 세포가 원인일 것이라고 판단하였고, 본 연구에서는 유방암의 치료 과정을 순차적으로 가정하여 내성 세포를 구축하였다. 내성 세포를 대상으로 그 기전을 확인하고 각각의 내성 획득 단계에 따른 효과적인 치료 방법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1) 장기간 타목시펜(Tamoxifen)을 처리하여 MRTR 획득 및 검증 - 방사선 내성 세포(MR)를 10 μM의 타목시펜을 함유한 배지에서 최소 6개월 이상 배양한 후 분리한 세포를 방사선/타목시펜 내성세포(MRTR)라 명함. MR과 MRTR 간의 단백질 활성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고, MRTR에서 CD44 발현 증가를 보임. 2) 항암약물에 대한 반응 차이 - 약물에 따라 다양한 패턴을 보임. 그 중 5-FU와 lapatinib에서 wild type에 비해 높은 cell cytotoxicity를 보임. 이는 임상 치료 방향에 따른 다른 약물 선택의 필요성을 시사함. 가령 tamoxifen치료 대상인 ER(+) 유방암인 경우 lapatinib보다는 5-FU가 효과적일 것이며, tamoxifen 치료 대상이 아닌 triple negative 유방암 환자는 lapatinib과 5-FU가 모두 선택 가능할 것임. 3) Wild type, MR, MRTR 간의 microarray 비교 - Wild type과 비교하였을 때 MR, MRTR의 특정 유전자 발현이 관찰됨. MR과 MRTR 사이의 발현 차이는 크지 않음. □ 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본 연구를 통해 유방암의 실제 치료 과정을 반영한 기초 연구 결과를 도출하고자 시도하였다. 대부분의 유방암 환자들은 방사선치료 후 호르몬치료를 받게 되며, 만약 표준치료가 완료된 후 재발을 한다면 방사선과 호르몬에 모두 내성을 갖는 세포가 원인일 것이라고 예상하였다. 연구 결과 방사선 내성세포와 방사선/호르몬 내성세포에 대한 항암약물의 반응이 약물 종류별로 차이를 보였으며, 이는 치료 단계 및 재발 시기, 재발 전에 받았던 치료에 따라 약물 선택을 달리 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하는 중요한 결과라고 판단된다.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장현수
    • 주관연구기관 : 동국대학교
    • 발행년도 : 20200600
    • Keyword : 방사선 치료;타목시펜;유방암;방사선 내성암;타목시펜 내성암;호르몬 치료;재발암;
  • 11454

    2020.11.30

    소듐냉각고속로개발사업의 3단계 연구는 소듐냉각고속로 핵심기술 인증을 위한 특정기술주제보고서 심사대응, 사용후핵연료 연소성능 향상 기술 개발 및 소듐·안전 현안 해결을 위한 핵심기술 개발을 통해 사용후 핵연료 부피·독성저감 기술에 대한 국민 신뢰도를 향상시키는 방향으로 수행되었다. 특정기술주제보고서 심사대응은 소듐냉각고속로(SFR) 설계에 관한 특정기술부제보고서(TR) 승인 획득을 위한 인허가 대응 총괄을 목표로 한다. 특정기술주제보고서는 원자력안전법 시행규칙 제131조에 규정하는 바에 의해 소듐냉각고속로 설계와 관련된 기술적 사항 및 안전성 관련 핵심 기술로서 TRU 소각용 SFR 개발에 직접 활용 가능한 주제인 금속연료봉 설계, 핵설계 전산체제, 소듐방사화 평가, 열유체 설계, 지진응답해석, 소듐화재 및 소듐-물반응 해석 그리고 동특성해석에 관한 기술 10종을 선정하였다. 현재 TR 인허가 심사대응 현황은 TR 1종에 대한 서류적합성검토 진행 중, TR 1종에 대한 서류적합성 검토 종료(부적합), 그리고 TR 8종에 대한 본 심사가 진행 중이다. 국내 금속연료 기술 검증을 위해 BOR-60 연료봉 조사시험의 경우 목표 연소도 7 at.% 달성하였으며 노내성능 검증자료를 확보함. 또한, BOR-60 피복관 조사시험을 통해서는 목표 조사량 75 dpa 달성하여 노내크리프와 물성 자료를 확보하고 피복관의 노외 크리프 시험자료와 연계하여 노내 크리프 모델을 개발하였다. 시스템 설계를 마친 원자로의 안전성을 종합적으로 검증할 수 있는 소듐 열유동 종합효과 시험장치 구축 및 시험을 목표로 연구개발을 진행하여 지금까지 개발된 국내 소듐냉각고속로 설계기술, 전산체제, 소듐기술 등의 종합적인 검증을 수행하였고 설계 중심의 기술개발 능력을 하드웨어적 검증단계까지 발전시켰으며 세계적 수준의 대형 시설을 구축하여 우리나라의 제4세대 원자력 기술경쟁력을 높이는데 크게 기여하였다. 또한, 신뢰성 있는 소듐 누설 감시시스템 및 소듐 계측기기 개발을 목표로 연구개발을 진행하여 첨단 계측기술인 분포형 온도 계측시스템을 도입한 차세대 누설감지 시스템 개념을 개발하였으며, 이 계측기기들은 소듐뿐만 아니라 다양한 액체금속(비철금속, 알루미늄 다이캐스팅, 제철산업, 용융염 등)을 활용하는 산업에서 범용적으로 활용될 수 있기에 신산업 발굴과 이를 통한 일자리 창출에도 기여하였다. 경수로 사용후핵연료 내 독성저감을 위하여 주요 독성원소인 TRU를 연소시킬 수 있는 TRU 함유 노심을 개발하고, 소듐냉각고속로의 사회적 수용성을 제고할 수 있도록 소듐-물 반응사고의 원천 방지가 가능한 열교환기 후보개념을 개발하였다. 또, 에어로졸 거동 방정식과 3차원 유동방정식을 연계함으로써 소듐 에어로졸의 3차원적 거동을 해석하고 이를 설계 및 설계 평가에 활용할 수 있는 전산해석체제를 구축하였다. SAS4A 전산코드의 주요 중대사고 모델인 SSCOMP-A, DEFORM5-A, PINACLE-M, LEVITATE-M을 개발하였다. 실험결과를 사용한 검증 해석을 통해 용융핵연료 분출 이후 시점까지 해석이 가능하도록 코드를 확장 개발하였으며, START 코드 내 ISFRA 모듈의 에어로졸 핵분열생성물 수송모델 (질량추적방법론)을 ABCOVE 실험에 대하여 검증하였고, 그 수송모델의 특성과 해석 기제가 분석되었다. 소듐냉각고속로의 지진 및 소듐사고에 대비한 대응기술을 개발하고, 사고 발생을 사전에 인지할 수 있는 가동중검사 및 구조감시기술을 개발하여 SFR 원형로의 구조물 안전성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 목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지진 취약 구조물에 대한 한계내진성능 향상 연구 및 대형지진에 대응할 수 있는 면진장치를 개발하여 구조물의 내진성능을 향상하였다. 또한, 소듐 누설확률을 획기적으로 저감할 수 있는 이중배관을 개발하여 소듐에 대한 안전성을 증진하였다. 주요 구조물에 대한 가동중검사 센서 시작품을 개발하고, 고온구조물의 크립-피로 손상을 실시간으로 감시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하여 소듐 누설사고를 예방하였다. (출처 : 서지정보양식 - 초록 161p)
    • 연구책임자 : 어재혁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연구원
    • 발행년도 : 20201200
    • Keyword : 1. 사용후핵연료;소듐냉각고속로;부피·독성 저감;핵심기술;초우라늄;금속연료;종합효과시험;특정기술주제보고서;기술 검증; 2. Spent fuel;Sodium-cooled fast reactor;Volume·toxicity reduction;Key technology;TRU;Metal fuel;Integral effect test;Topical report;Technology Verification & Valid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