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Report

All 12,458 Page 100/1,246

검색
  • 11468

    2020.11.30

    □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 최종 목표 ▪ 고준위방사성폐기물관리시설 인허가를 위한 사용후핵연료 건전성 실증자료 생산지침 및 저장 후 운반성 검증 단순화 해석 코드/모델 개발 ○ 전체 내용 ▪ 사용후핵연료 건전성 실증 요건 및 안전성 해석 요건 분석·개발 ▪ 사용후핵연료 건전성 실증 기술기준 및 취급·운반 안전성 검증 모델 개발 ▪ 사용후핵연료 건전성 실증 및 취급·운반 안전성 검증 체계구축 ○ 1차년도 목표 ▪ 사용후핵연료 건전성 실증 요건 및 안전성 해석 요건 분석·개발 내용 (제1세부) - 사용후핵연료 건전성 실증 요건 법령화를 위한 국내·외 사례 분석 - 핵연료 피복관 및 저장시스템 건전성 실증 방법론 및 실증 요건 개발 - 국내·외 건조(헬륨강제순환, 진공건조) 시나리오 분석 및 열해석 평가 전략 수립 - 다양한 저장용기 형상별(직경별) 과도 대류 열전도 민감도 해석 - 장기저장후 정상해상운반시 SF 피복관 건전성 확인을 위한 검증 전략 수립 (제2세부) - 사용후핵연료 건전성 평가 선행 연구 분석 - 국제공동연구 기반 해상운반 하중자료 확보 - 해상운반 시간이력하중자료의 특성분석 ○ 2차년도 목표 ▪ 사용후핵연료 건전성 실증 기술기준 및 취급·운반 안전성 검증 모델 개발 내용 (제1세부) - 고준위 방사성폐기물 관리시설 인허가를 위한 사용후핵연료 건전성 실증 기술기준(안) 개발 - 사용후핵연료 취급 단계(건조) 열온도 이력 검증을 위한 Rod 단위 상세 열해석 모델 개발 및 예비 평가 - 장기저장후 정상해상운반시 SF 피복관 건전성 확인을 위한 규제 입장 수립 (제2세부) - 해석모델에 사용할 해상운반 안전성 평가 입력자료 생산 - 해상운반하중의 운반시스템 내 하중전달 분석 및 선박의 진동 영향 평가 - 해양운반시 선박의 진동 영향 평가 ○ 3차년도 (해당연도) 목표 ▪ 사용후핵연료 건전성 실증 및 취급·운반 안전성 검증 체계 구축 내용 (제1세부) - 고준위 방사성폐기물 관리시설 인허가를 위한 건전성 실증 상세 지침(안) 개발 - 취급 단계(건조) 시나리오별 Rod 단위 상세 과도 열해석 평가 체계 구축 - 취급 단계(건조) 상세 과도 열해석 평가 지침(안) 개발 - 장기저장후 정상해상운반시 안전성 검증 평가 규제 지침(안) 개발 (제2세부) - 사용후핵연료 내구성 해석 및 평가 단순화 코드 개발 및 등가해석모델 개발 : 해상운반하중의 운반시스템 내 하중전달을 평가하기 위한 유한요소법 기반의 단순화된 해석코드 개발 - 사용후핵연료 피복관의 파손과 내구성을 평가할 수 있는 피로누적손상률 평가 프로그램 개발 - 심사자 및 사업자 참고를 위한 해상운반 안전성 해석평가 참조사례 개발 □ 연구개발성과 ▪ 사용후핵연료 건전성 실증 기술기준(안) : 사용후핵연료 저장용기 설계재료구조 및 성능 기술기준(방사선안전관리등의 기술기준에 관한 규칙) : 사용후핵연료 저장용기 안전성분석보고서 작성지침 고시 : 사용후핵연료 저장용기 제작검사항목 및 기준 고시 ▪ 사용후핵연료 취급단계(건조) 상세 과도(transient) 열해석 독립 검증 모델 ▪ 사용후핵연료 건전성 실증 심사지침(안) 개발 및 상세 과도 열해석 평가지침(안) ▪ 정상해상운반시 안전성 검증 평가 규제 지침(안) ▪ 선도연구기관의 선행연구 분석 ▪ 국제공동연구 기반 해상운반 하중자료 시간이력하중자료의 특성분석 ▪ 해석모델에 사용할 해상운반 안전성 평가 입력자료 생산 ▪ 해상운반하중의 운반시스템 내 하중전달경로 분석 및 영향 평가 ▪ 유한요소법 기반 운반하중전달 해석코드 개발 및 이와 연계한 사용후핵연료내구 평가를 위한 단순화 해석코드 개발 ▪ 해상운반 안전성 해석평가 참조사례 개발 ▪ 정량적 성과 : 안전기술보고서 7편 : 규제정책제안 4건 : 논문(SCI : 3편, 심사중 1편, 비SCI : 2편) 총 6편 □ 연구개발성과 활용계획 및 기대 효과 ▪ 고준위방사성폐기물관리시설 인허가를 위한 필수 검증 자료인 사용후핵연료 및 저장 시스템 건전성 실증에 대한 규제 입장 및 기술기준을 제시, 산·학·연(SF 발생자 – 연구자 – 처분사업자) 공동 연구 지침으로 활용하고 시설 인허가의 기술적 타당성 확보 ▪ 규제 목적의 열해석 독립 검증 모델을 확보, 인허가시 독립검증계산 수행을 위한 체계 완비 및 관련 평가 지침을 개발·제공, 고준위방사성폐기물관리시설 설계 및 열해석 평가에 활용 ▪ 사용후핵연료의 원전내 습식저장-원전내 건식저장-중간저장-처분으로 단계적운반과정 내 해상운반시 핵연료의 건전성 평가를 위한 평가체계를 구축하고 사업자에게 해석입력자료와 참조사례를 제시하며 명확한 평가지침으로 활용 ▪ 해상정상운반시 사용후핵연료 건전성 검증 체계 확보와 단순화된 코드개발을 통해 정량적인 평가지침을 심사 평가자 뿐만 아니라 인허가 신청자도 참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출처 : 요약문 7p)
    • 연구책임자 : 육대식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
    • 발행년도 : 20201200
    • Keyword : 1. 사용후핵연료;건전성;실증;해상정상운반;진동/충격; 2. spent fuel;demonstration;integrity;marine NCT;vibration/shock;
  • 11467

    2020.01.31

    농장맞춤형 기상재해 조기경보서비스를 위한 핵심기술인 기상정보의 상세화 기술과 재해위험 판정기술을 고도화하였고, 총 30개 작물에 대한 생육단계별 재해위험 대응조치를 DB화하였으며, 농장맞춤형 기상재해 조기경보시스템을 전북 14개 시·군이 포함된 총 24개 시·군으로 확대 구축하여 서비스 받기를 원하는 자원농가에게 인터넷과 모바일을 통해서 농장단위의 기상 및 재해예측 정보, 그리고 피해저감을 위한 대응조치를 최대 10일 前에 서비스를 실시하고 있음 (출처 : 요약서 4p)
    • 연구책임자 : 심교문
    • 주관연구기관 : 국립농업과학원
    • 발행년도 : 20200200
    • Keyword : 1. 조기경보 서비스;농장맞춤;기상위험;생육단계;대응조치; 2. Early warning service;Farm-specific;Weather risk;growth stage;counter-measures;
  • 11466

    2020.11.30

    고추 병 주요 원인 중 하나인 pepper mottle virus (PepMoV) 및 감자역병균 (Phytophthora infestans)을 대상으로 RNAi 작물보호제 기술연구를 위해 외래 합성 dsRNA 처리 방법으로 PepMoV 및 감자역병균 증식 억제에 대한 dsRNA 효과 확인 및 dsRNA screening 과정을 진행함. PepMoV의 RNA-dependent RNA polymerase로 알려진 NIb 유전자와 poly-protein maturation에 관여하는 HC-pro 유전자 그리고 감자역병균 effector 유전자인 PiAvr3a, PiAvr8/Avrsmira2 및 PiPSR2 유전자를 표적 유전자로 선정 후 dsRNA를 디자인 및 제작하고 담배에 처리하여 PepMoV의 증식 억제를 확인하고 5′RLM-RACE를 통해 mRNA 내 절단 위치를 확인함. (출처 : 요약서 3p)
    • 연구책임자 : 신찬석
    • 주관연구기관 : 서울대학교
    • 발행년도 : 20201200
    • Keyword : 1. RNA 간섭;이중가닥 RNA;이중가닥 RNA 전달;고추모틀 바이러스;감자역병균; 2. RNA interference;double-stranded RNA;dsRNA delivery;Pepper mottle virus;Phytophthor a infestans;
  • 11465

    2020.09.30

    □ 연구개요 보형물을 이용한 유방 재건 수술 후 가장 흔한 합병중 중 하나는 피부피판의 괴사 (skin flap necrosis)인데, 보형물을 이용한 재건의 경우 피판 괴사의 범위가 클 경우 보형물이 노출되거나, 감염의 위험이 커지므로 보형물을 제거해야 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해 재건 수술의 실패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또한 피판의 괴사로 상처 치유가 지연되거나 재 수술을 해야 하는 경우 유방절제수술 후 필요한 보조 항암요법 (adjuvant chemotherapy)이나 방사선 치료(adjuvant radiation therapy)가 지연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PGE1이 무작위피부피판의 혈류를 증가시키고 생존률을 증가시킨다는 점과 유방절제술 후 남게 되는 피부피판은 무작위피부피판으로 절개부위 근처가 혈류가 떨어지고 괴사에 취약한 점에 근거하여, PGE1이 보형물 유방재건에서 피부피판의 괴사에 예방적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피부전체 보존 유방절제술 후 보형물을 이용한 즉시유방재건 환자를 대상으로 전향적 무작위배정 임상연구 (Prospective randomized controlled trial)을 진행하였음. 총 168 례의 계획 중 129례가 증례에 대해 임상연구를 완료함. 전체 환자 중 대조군 (PGE1 비투여군)에 65명, 실험군 (PGE1 투여군)에 64명이 포함되었음. 피부 및 유두 괴사, 상처 치유 지연 등을 포함한 피부혈류 관련 합병증은 대조군에서 32.3% (21 out of 65 cases) 있었고 실험군에서 18.8% (12 out of 64 cases) 발생하였다 (p = 0.078). PGE1 투여군에서 피부괴사 합병증이 적게 발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유두 괴사의 합병증 발생 비율은 대조군에서 23.1%였고 실험군에서 9.4% (p = 0.035)로 PGE1 투여군에서 유두괴사 합병증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줄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전체피부보존 유방절제 후 보형물을 이용한 즉시유방재건에서 프로스타글란딘E1의 투여가 피부괴사 합병증을 줄일 수 있고, 특히 유두괴사 합병증을 줄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기존에 피부괴사 합병증을 예방할 수 있는 특별한 방법이 없는 상황에서 프로스타글란딘E1을 수술직후 투여함으로써 비교적 적은 비용으로 피부괴사 합병증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이 될 수 있다는 결과를 확인하였다.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우경제
    • 주관연구기관 : 이화여자대학교
    • 발행년도 : 20201000
    • Keyword : 1. 피부보존 유방절제;유방재건;보형물;피부괴사;유두괴사; 2. Prostaglandin E1;
  • 11464

    2020.05.31

    □ 연구개요 ● 본연구의 목표는 바이로이드에 결합하여 바이로이드의 세포내 감염 (infection), 핵 안으로의 이동(nuclear import), 복제(replication) 및 세포 사이의 이동 (inter-cellular trafficking)에 관여하는 식물의 내생인자(endogenous factor)를 탐색하여 그 기능을 밝히고자 하는 것임 ● 바이로이드 결합 단백질 Virp1, 4/1 protein, TFIIIa를 클로닝하였으며 양파세포를 이용한 nuclear import assay system을 이용하여 HSVd의 nuclear import가 Virp1에 의하여 촉진된다는 것을 발견함 ● Two-step PCR을 통하여 CEVd를 기내 합성하였으며 활성을 지닌다는 점을 확인해 바이로이드 연구의 새롭고 안전한 방법을 확립함 □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1. 바이로이드의 결합 성질을 이용한 식물 내생인자의 분리 2. 바이로이드와 결합하는 Virp1의 cloning 및 기능의 탐색 ● Virp1을 cloning하고 대장균에서 과발현하여 Ni-NTA column으로 정제함 3. 바이로이드와 결합하는 TFIIIa의 gene cloning ● 바이로이드와 상호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진 TFIIIa를 클로닝하고 단백질을 발현함 4. 바이로이드와 결합하는 4/1 protein의 gene cloning ● 바이로이드와 상호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진 4/1을 클로닝하고 단백질을 발현함 5. CEVd의 기내 합성과 활성 검증 ● Two-step PCR을 통하여 CEVd DNA fragment를 생성, 증폭하였으며 플라즈미드 벡터에 클로닝함 ● CEVd DNA fragment에 일부 활성이 있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in vitro transcription에 의해 바이로이드 RNA를 생성함 6. Nuclear import assay system의 확립 7. 바이로이드의 nuclear import와 그에 미치는 Virp1의 영향 ● 양파세포를 이용한 nuclear import assay system에서 Alexa로 표지된 HSVd가 약하게 핵으로 유입되었으며 Virp1 존재하에 핵내 유입이 증가함 ● HSVd 없이 Alexa 만으로는 핵내 유입이 없어 핵내 유입은 HSVd의 성질임을 확인 □ 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1. 학문적 중요성 ● 바이로이드가 식물세포에 침투하여 핵 안으로 이동하고 복제된 후 빠져나와 세포 사이로 이동하며 퍼져나가는 메커니즘이라는 희귀 분야의 기초 지식 공급 ● 바이로이드와 상호작용하는 식물 내생인자들의 기능 분석을 통하여 바이로이드 복제 및 이동과 관련된 세포생물학적 접근이 가능해짐 ● 바이로이드에 결합하는 식물 내생인자를 분석함으로써 식물에서 RNA trafficking 경로를 탐색하는 도구로 활용이 가능함 ● 본 과제의 결과를 활용하면 식물체 내에서 RNA의 이동이 이루어지는 조건과 방향, 그리고 그 이동의 생리학적 의미를 이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됨 2. 기술적 중요성 ● 바이로이드의 활성 메커니즘을 발견함으로써 현재 피해가 발생중인 바이로이드에 의한 식물병 대책 마련을 위한 실용성의 공급 ● 바이로이드의 축적과 이동에 대한 지식의 공급은 바이로이드로부터 작물을 보호하기 위한 기술을 개발하는데 중요한 target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됨 ● RNA를 이동시키는 바이로이드의 특정 motif의 거대분자 견인능력을 측정한 후 이를 응용하면 식물체 내에서 새로운 molecular targeting 또는 delivery tool을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됨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박웅준
    • 주관연구기관 : 단국대학교
    • 발행년도 : 20200600
    • Keyword : 1. 바이로이드;감염;핵내 이동;복제;세포간 이동;숙주식물; 2. HSVd;CEVd;Virp1;
  • 11463

    2020.02.29

    ○ 연구개요 ㆍ DNA 손상 복구에 중요한 단백질은 유전체 안정성 유지에 필수적이지만, 단백질의 활성이 올바르게 조절되지 못할 경우, 오히려 세포의 유전체 불안정성을 증가시키거나 불필요한 DNA 손상 신호을 활성화 시켜 세포주기 멈춤 혹은 세포의 사멸을 유발시키는 등 세포에 좋지 않은 결과를 초래하게 됨. 유전자가 존재하는 세포의 핵에는 막이 없는 다양한 핵체(nuclear bodies)의 존재가 오래전부터 인지되어 왔으나, 아직도 핵체의 생물학적 역할이 명확히 규명되어 있지 못하고 있음. ㆍ 본 연구수행을 통하여 PML 핵체가 유전체 손상복구 기전에서의 역할을 규명하고자 하였으며 아래와 같은 연구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음. ○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ㆍ 본 과제 수행을 통하여 DNA 손상복구 단백질의 세포내 위치에 따른 기능 조절에 관한 다수 결과를 얻을 수 있었으며, DNA 손상복구 단백질인 TONSL 단백질이 손상되었을 때 유발할 수 있는 질병을 규명하여 저명한 논문에 연구결과를 보고하였음. ㆍ 본 과제 수행을 통하여 아래와 같은 새로운 사실을 도출할 수 있었으며, 자세한 내용은 본 과제의 종료보고서에 상세하게 기술하였음. 해당 결과로 2편의 논문을 준비중에 있음 - 연구결과 #1: PML 핵체가 판코니빈혈 기전에 중요한 역할 하는 것을 발견함 - 연구결과 #2: 판코니빈혈 기전에 관련된 단백질은 DNA 결속손상이 있을 경우 단백질 Foci를 형성함 - 연구결과 #3: PML 핵체가 없는 경우 판코니빈혈 단백질이 단백질 Foci를 형성하지 못함 - 연구결과 #4: PML-CHK1-FANCA/ FNACD2 신호전달에 의한 단백질 발현 영향 연구 - 연구결과 #5: DNA 손상복구 단백질 TONSL 손실이 유발하는 휴먼질환 연구 - 연구결과 #6: SLX4 단백질의 자연상태 세포내 존재 지점(position)인 PML 핵체 - 연구결과 #7: 연구를 위한 세포주 모델 수립 - 연구결과 #8: SLX4가 PML핵체에 존재위해 SUMO interacting motif(SIM)이 중요함 - 연구결과 #9: PML로 이동하지 못하는 SLX4-3SIM을 발현하는 세포주 RA3331/SLX4-3SIM의 다양한 약물에 대한 민감도 조사 - 연구결과 #10: 비정상적 SLX4 localization이 단백질의 stability에 미치는 영향 - 연구결과 #11: SLX4 단백질의 유전자 손상이 있는 상태에서의 SLX4 stability 및 존재 지점 - 연구결과 #12: Fok1 nuclease에 의한 DNA 손상 유발 및 DNA 손상 지점으로 이동한 단백질 연구 - 연구결과 #13: 자연상태 SLX4 핵내 존재 지점인 텔로미어 - 연구결과 #14: SLX4의 ubiquitination - 연구결과 #15: SLX4의 E3 ligase 발굴 assay통한 E3 ligase validation ○ 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ㆍ 아직 미지의 분야로 남아 있는 PML 핵체를 비롯한 다양한 핵체의 생물학적 기능을 규명하여 세포핵의 구조에 대한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됨. ㆍ 유전체 불안정성은 암의 발생과 진행에 원인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음. 세포의 유전체 안정성 연구는 암의 예방과 진단 그리고 치료에 필수적이기 때문에 세계적으로 왕성하게 진행되고 있음. 본 과제를 통한 SLX4 complex의 생물학적 기능 연구를 통해 유전체 안정성 유지 기전에 대한 학문적 파급효과가 있음. ㆍ DNA 손상 신호전달 억제 물질이 실제적으로 신규 항암제 개발에 다수 응용되고 있는 점에 비추어 볼 때, 유전자 손상등의 스트레스 상황에서 단백질의 이동 분자 기전을 규명하고 이를 제어하는 기술을 개발하여 신규 항암제 개발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됨.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김용환
    • 주관연구기관 : 숙명여자대학교
    • 발행년도 : 20200300
    • Keyword : 1. PML 핵체;DNA 손상복구;SLX4 복합체;판코니 빈혈;DNA 결속손상;단백질 활성조절; 2. SUMOylation;Ubiquitination;
  • 11462

    2019.12.31

    ○ 연구의 목적 및 내용 극한의 방사선 환경에서 반도체 소자는 SEE와 TID현상으로 인해 급격하게 노화된다. 이러한 문제는 현재 사용되는 실리콘의 물성(밴드갭, 변위에너지)과 트랜지스터의 구조(절연체, pn접합과 공핍층)와 깊은 관련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보다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실리콘 물질이 아닌 나노소재와 와이드 밴드갭 소재로 새로운 소자 구조를 개발하고 전자시스템을 설계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신물질의 내방사선 특성 분석 및 최적화 물질로 소자 제작. • 방사선 환경에서 소자 측정, 분석하여 최적화된 소자 구조 확립. • 신소재로 이루어진 소자의 모델링 수행 및 회로 설계 기반 마련. 실리콘보다 강한 내방사선 특성을 갖는 물질로 2차원 나노소재와 와이드 밴드갭 소재가 현재 주목을 받고 있다. 이러한 물질은 다음과 같은 특수한 물성과 구조를 갖고 있어 TID와 SEE현상을 방지하거나 감소시킨다. • 접합형(junction) 트랜지스터를 사용, 게이트 절연체의 부재로 인한 TID 문제 해결. • Wide bandgap을 이용한 전자정공쌍 형성 감소. • Sensitive volume을 최소화하여 내방사선 효과를 증진. • 강한 원자 결합에 의한 큰 변위에너지 이용. • 방사선 차폐기능 이용. 본 연구는 기존 연구들과 차별성을 두어 일반적인 wide bandgap 물질만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기능성 나노소재의 우수한 특성과 융합하여 새로운 내방사선 소자를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따라서 기존에 연구되지 않은 다음 주제를 목표로 한다. • 소자가 원자적으로 얇은 2차원 나노소재로 이루어진 내방사선 소자 개발. • 기존의 GaN junction transistor에 방사선 차폐 기능을 가진 2차원 나노소재를 적용한 내방사선 소자 개발. ○ 연구 개발 성과 • ACS Applied Materials & Interfaces (2019) (IF: 8.694, mrnIF:91.10, JCR 상위 9%)교신 저자. 3D 소자 구조에서 CuGeS 칼코젠 물질과 극초박 물질의 가장자리를 이용해 2차원 소재에서 원자적으로 얇은 계면에서의 전자 흐름 특성을 분석한 연구결과이다. 나노소재 기반 내방사선 소자를 만들기위한 선행 연구결과임. • Nanotechnology (2019) (IF: 3.399, mrnIF:77.55, JCR 상위 22%) 교신 저자. 종자층 기법을 적용한 화학 기상 증착법으로 대면적의 다결정 ReS2 필름을 합성에 대한 연구임. ReS2에서 사용되는 Re는 중성자 흡수단면적이 상대적으로 큰 원소로 향후 차폐 및 센서 소재로 사용될 수 있는 2차원 나노 소재이다. • 다중겹 층간 나노소재의 감마선 차폐 성향과 트랜지스터에 적용 후 감마선과 중성자 조사 후의 전류 반응을 측정하였으며 현재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두가지 논문을 작성하고 있다. 첫번째 논문은 다중겹 층간 나노소재와 나노파티클의 결합으로 인한 효과적인 차폐코팅 분야에 대한 연구이고 두번째 논문은 2차원 나노소재를 채널물질로 사용했을 때 일반 실리콘 소자와의 내방사선 특성 비교 연구이다. ○ 연구 개발 성과의활용 계획 (기대 효과) • 현재 국내의 내방사선 전자소자 연구는 실리콘 물질을 기반으로 하는 연구가 대부분이며 신소재 기반 연구는 거의 전무한 실정이다. 신소재를 사용하게 되면 근본적으로 물리적 성질이 다르므로 내구성이 증진된 전자소자의 제작이 가능하다. 따라서 전세계적으로는 신소재의 우수한 특성을 사용한 내방사선 전자소자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뤄지고 있다. • 본 연구의 결과물은 핵융합 분야는 물론, 우주항공(위성, 무인항공기), 국방, 의료,환경, 안전로봇, 센서 분야 등 다양한 분야에 사용될 수 있다. 특히 나노 소재의 크기와 원소 종류에 따라 차폐재, 센서 및 내방사선 특성을 갖는 형태가 다르고 재료적인 접근을 전자부품에 적용하기 때문에 응용 분야는 매우 다양하다. 이러한 분야는 미래의 고부가가치 전략산업으로 육성이 가능하며 향후 경제적 산업적 중요성이 매우 클것으로 기대된다. 이 번 연구결과물은 향후 비실리콘, 신소재 기반 내방사선 통합 전자시스템을 개발하는 연구에 직접적으로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출처 : 국문 요약문 4p)
    • 연구책임자 : 이승현
    • 주관연구기관 : 경희대학교
    • 발행년도 : 20200100
    • Keyword : 1. 내방사선 소자;2차원 나노소재;와이드 밴드갭 소재;핵융합;접합형 트랜지스터; 2. Radiation hardened devices;2 dimensional material;wide bandgap semiconductors;Nuclear fusion;Junction transistor;
  • 11461

    2019.12.31

    ○ 원자력 사고 초기에 현장 작업자를 대신하여 신속대응을 위한 신속이동/취급 로봇 시작품을 개발 및 통합을 수행하였음 ○ 원자력시설을 모사한 로봇 실증시험용 테스트베드를 구축하여 사고환경 시나리오를 분석하고 로봇미션을 설정하여 사고모사 환경에서 로봇 관련 기술 적용성을 평가하였음 ○ 원전 모의 사고 시현 환경에서 적용 가능한 시험용 로봇 시스템 및 위험 작업 신속 대응이 가능한 로봇 팔 모션/힘제어 기술을 개발하였음 (출처 : 요약서 3p)
    • 연구책임자 : 정경민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연구원
    • 발행년도 : 20200100
    • Keyword : 1. 원자력발전소;신속이동;극한환경기술;로봇 팔;로봇 테스트베드; 2. Nuclear Power Plant;Rapid Mobility;Extreme Environment;Manipulator;Robot Testbed;
  • 11460

    2019.12.31

    ○ 원자력 사고 초기에 현장작업자을 대신하여 신속대응을 위한 신속이동/취급 로봇 시작품을 개발 및 통합을 수행하였음 - 신속이동 보행시작품 개발을 위해 다리기구의 경량화 설계, 경량 고출력 BLDC모터 설계/제작 및 탄소섬유 3D 프린터를 이용한 경량화 제작을 수행하였음 - 신속취급 매니퓰레이터 시작품 개발을 위해 경량 고감속비 감속기 설계 및 탄소섬유 3D 프린터를 이용한 경량화 제작을 수행하였음 - 다리기구와 매니퓰레이터를 통합한 로봇 시작품을 구축하였음 (출처 : 요약서 3p)
    • 연구책임자 : 정경민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연구원
    • 발행년도 : 20200100
    • Keyword : 1. 원자력발전소;위험작업;극한환경기술;신속 이동;신속 취급; 2. Nuclear Power Plant;Dangerous Duty;Extreme Environment;Rapid Mobility;Rapid Manipulation;
  • 11459

    2019.12.31

    1.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원자력사고 초기 신속대응 로봇시스템 적용성 증대를 위한 실증 시설 구축 및 로봇시스템 성능평가 - 원자력시설 사고환경, 시나리오 분석 및 로봇 미션 설정 - 원자력시설 모사 로봇 실증시험용 테스트베드 구축 - 사고모사 환경에서 로봇과 관련 기술 적용성 평가기술 개발 2. 연구결과 ◦ 원자력시설 사고 환경, 시나리오 분석 및 로봇 미션 설정 - 시나리오 기반 및 후쿠시마 원전 정보 수집을 통한 사고환경 분석 - 비정상 운영절차서/비상운전절차서/중대사고 지침서를 분석하여 로봇이 수행해야할 긴급조치 미션 설정 ◦ 원자력시설 사고를 모사한 로봇 실증시험용 테스트베드 구축 - 로봇 긴급조치 미션 시험을 위한 CVCS 계통의 실규모 실증시험용 테스트베드 구축 - 디지털 목업을 구축하고 동역학 기반의 로봇 이동성 모의실험 수행 및 사고 유사환경 모사 고온/비가시 챔버 구축 ◦ 사고모사 환경에서 로봇 관련 기술 적용성 평가 - 기개발 및 개발중인 로봇을 이용하여 테스트베드에서 이동성/조작성 시험 및 평가 - 드론의 실내 비행성 시험/평가 및 초고속 무선통신 적용성 시험 (출처 : 요약서 3p)
    • 연구책임자 : 최영수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연구원
    • 발행년도 : 20200100
    • Keyword : 원자력사고;긴급조치 시나리오;로봇 테스트베드;로봇 이동성/ 조작성 시험;로봇 적용성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