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구개요 본 연구는 화학적·물리적 돌연변이 유기를 통한 고부가가치의 다육 변이를 창출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1) 화학제 처리에 의한 다육식물 돌연변이 유기 조건 개발 2) 방사선 조사를 통한 다육식물 돌연변이 유기 조건 개발 3) 우수 돌연변이 다육식물 선발 및 증식 4) 다육식물의 생육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자 수행되었다. ○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 화학제 처리에 의한 다육식물의 돌연변이 유기: 총 8종의 다육식물에 화학제를 처리하였으며 E. ‘Peerless’에서는 Colchicine 처리구, E. ‘Brave’에서는 Colchicine, MMS 처리구, E. ‘Viyad’는 Colchicine 처리구, E. ‘Snow Bunny’에서는 Colchine, MMS, EMS, Sodium azide 처리구, E. ‘Glam Pink’에서는 Colchicine 처리구, E. ‘Liliacina’에서는 Colchicine, Oryzalin 처리구, E. ‘Momotarou’에서는 Oryzalin 처리구, E. ‘Sistar’에서는 Oryzalin 처리구에서 돌연변이가 관찰되었다. 선택된 돌연변이는 주로 잎의 두께 및 너비변화에 의한 잎의 형태 및 전개구조의 변이이다. ○ 물리적 처리에 의한 다육식물의 돌연변이 유기: E. ‘Monroe’, E. ‘Brink’s Blue’,E. ‘Domingo’, E. ‘Lloyd’, E. ‘Snow Bunny’, E. ‘Momotarou’ 6품종에 UV 및 γ-radiation 처리를 수행한 결과, UV 처리는 모든 품종이 고사하였고 30, 60, 90 Gy의 γ-radiation 처리는 모든 처리구에서 80% 이상 생존율이 유지되며 관찰 중에 있다. ○ 돌연변이의 선발 및 증식: 선발된 돌연변이는 M2 population까지 진행되어 변이의 유지여부를 파악 중에 있다. ○ 유전자원 데이터베이스 구축: 국내 시장에서 유통되고 있는 우수 다육품종 10품종에 대한 형태적 조사 내용을 정리하여 웹데이터베이스에 정보를 공유하였다. ○ 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 고부가가치의 다육식물 신품종 육성을 위한 돌연변이 육종기술기반 마련 ○ 선발과정 중에 이용된 우수 다육유전자원에 대한 생육정보의 데이터베이스 구축은 초보단계에 머물고 있는 다육 육종프로그램에 핵심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 ○ 분자세포유전학적 지식을 배경으로 지닌 고부가가치의 다육식물 신품종 육성을 위한 육종연구 연구후속세대 육성 가능 ○ 돌연변이 육종기술에 의한 다육식물 신품종 개발은 장기적으로 다육식물의 소비증대 및 시장 확대 유도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황윤정
- 주관연구기관 : 삼육대학교
- 발행년도 : 20200300
- Keyword : 다육식물;돌연변이원;돌연변이 육종;화학제처리;감마방사선 처리;세포유전학;염색체;배수성;이수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