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Report

All 12,392 Page 100/1,240

검색
  • 11402

    2020.01.31

    정밀의료를 위한 임상시험 활성화 본 사업을 통해 연구자주도임상연구를 지원함으로써 연구수행환경을 개선하고 임상연구 활성화에 기여하였음. 방사선의학 기반 정밀의료 구현을 위해서는 임상시험팀의 활성화는 꼭 필요하며 이를 바탕으로 연구소 중심의 기초 중개연구자와 병원중심의 임상적 적용의 공동 연구 플랫폼 구축을 제안하고자 함. (출처 : 요약서 7p) 환자유래 오가노이드-유전체 임상연계 통합시스템 개발 1. 대장직장암 환자유래 오가노이드 기반 유전정보-임상 연계형 방사선치료 평가 플랫폼 구축 ○ 환자유래직장암 오가노이드를 이용한 수술전 항암방사선 치료반응 예측모델 연구 ○ 대장직장암 환자 유래 오가노이드-유전체정보-임상데이타 통합시스템 구축 2. 환자유래 오가노이드 기반 질병연구 및 신약개발 모델 구축 및 검증 ○ 방사선손상제어를 위한 후보물질 도출 및 유효성 평가 3. 환자유래 오가노이드 제작 및 배양기술 개발 ○ 대장 오가노이드 안정화 및 대량증식을 위한 기술개발 ○ 간오가노이드 제작 ○ 전이부위 암 유래 오가노이드 제작 (출처 : 요약서 30p) 환자중심 방사선유전체 임상정보 통합 라이브러리 개발 - 대장암 환자의 의료 영상 이용 딥러닝 기반 Radiomics 분석, 성능 향상 (AUC 0.9653) 및 임상정보 통합 라이브러리 구축 확대 - 수술 받은 간암 환자의 임상정보, MR 영상 통합 라이브러리 구축 완료, 간암 Genomics 분석을 위해 인체자원은행에 보관 중인 조직 선별 완료 - 수술 받은 지방육종 환자의 임상정보, MR 영상 통합 라이브러리 구축 완료 - 갑상선암에 대한 Radiomics 연구 결과를 해외학회에 발표하고, 논문을 Submission - Radiomics 분석 결과와 임상정보를 연계하여 라이브러리 구축 및 임상 연구 수행 - Fibrosarcoma 이종이식 동물모델을 이용하여 CT 영상 분석 전임상 연구 수행 - 산/학/연 분야의 파트너들과 머신러닝/영상분석 관련 기술협력 지속 (출처 : 요약서 46p) 정밀의료를 위한 방사선 관련 인체자원 확보 < 사업 목표 > ○ 방사선의학 임상·중개연구에 필요한 특화된 인체자원은행 운영 ○ 국내 법·규정과 국제 표준에 맞는 인체자원은행 시스템 구축을 통해 방사선의학 임상·중개연구 수월성 제고 ○ 인체자원은행 시스템 고도화 및 이용 활성화를 위한 R&D 수행 < 사업 내용 > 1. 자원의 수집, 질 관리, 분양 및 분양 성과물 1) 자원 수집 : 방사선작업종사자 24명, 방사선치료암환자 144명분을 포함한 3,403명의 18,791vial의 검체(혈액 16,219vial, 조직 2,572vial)를 수집함 2) 자원 질 관리 : 국제(ISBER PT program) 및 국내(질병관리본부 주최) 외부 정도관리 프로그램에 참가하여 인체자원 제작 및 질 관리 능력을 인정받았고, 인체자원은행 표준운영지침서에 따라 내부 질 관리를 4회 수행함 3) 자원 분양 : 10건의 R&D 연구과제에 822명분 972vial의 검체를 분양함 4) 분양 성과물 : 분양된 자원의 활용 성과물로 논문 4편이 생산됨 2. 은행 활동 1) 잔여혈액검체 수집 및 입고 절차 신설 2) 인체자원은행정보관리시스템(Human Biobank Information System; HuBIS_Sam) 업데이트 3) 임상연구심의위원회(IRB)에 인체자원은행 운영 보고 4) 직원 교육 지원 :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교육 및 개인정보보호 교육 (8회) 5) 인체자원은행 운영에 따른 조사 및 점검 (출처 : 요약서 117p) 정위방사선치료 임상 최적화 기술 개발 국내 최초로 본원에 설치, 운영되고 있는 로봇을 이용한 정위방사선 치료장비인 사이버나이프가 노후화됨에 따라, 본 사업을 통해 정위방사선 치료의 축적된 기술의 향상과 암 치료 효과 증진을 위한 로봇치료 최적화 기술개발 및 국외 기술 이전을 통한 기술 선진화 및 국제교육 활성화 등에 기여하고자 함. ○ 노후장비 교체(3세대→ 4세대 사이버나이프)를 통한 정위방사선치료 원천기술의 계승 및 발전 기반 확보 - 신규 로봇 정위방사선 치료장비의 이용 효율화 및 최적화 강화 ○ 폴리우레탄 및 방사선 변색 염료를 이용한 3차원 선량계 개발 - 관련 연구 결과 해외학회 논문 발표 2건 : - 65th Radiation Research Society (USA, 2019.11) - 14th Asia-Pacific Physics Conference (Malaysia, 2019.11) ○ 사이버나이프 기술 이전 및 국제교육체재 활성화 방안 확립 - 아시아지역 국제협력 초청 SBRT(체부정위방사선치료) 연수 교육 실시 (말레이시아 국립암센터, 2019.05.20~05.24) - IAEA/TC Enhancing Conformal Radiation Therapy & Stereotactic Body Radiation Therapy 1차 연수교육 (몽골 국립암센터, 2019.09.03~2019.09.27) - IAEA/RCA 연계 국제협력 초청 SBRT/IMRT 1차 연수교육 실시 (태국, 2019.10.07~2019.12.26) - IAEA/RCA 6085, Enhancing Stereotactic Body Radiation Therapy for Frecquent Cancers in the RCA Region, Project Final Meeting (미얀마 양곤, 2019.11.04~2019.11.08) - AESN/RCARO/KIRAMS TTC, 아세안 방사선치료 국제연수교육 (본원, 아세안 동남아 10 개국 20명,2019.11.11~11.15) - IAEA/RCA 연계 국제협력 초청 SBRT/IMRT 2차 연수교육 실시 (베트남 108병원, 2019.12.09~2019.12.13) (출처 : 요약서 146p) 과학기술특성화병원 기반 기초/임상연구 연계 육종 치료기술개발 육종암줄기세포 분리시스템 구축 1. 골육종 환자 및 지방육종 환자의 조직으로부터 육종암줄기세포 분리 시스템 구축. 상용 육종암세포주 이용 타겟 후보 규명 1. 육종암 세포주에서 CXCR4 발현 양상 확인 2. 척색종세포에서 CXCR4 발현과 종양줄기세포적 특성과의 상관관계 규명 3. 골육종 세포주에서 CXCR4 발현과 방사선 저항성과의 상관관계 규명 4. 지방육종 세포주에서 CXCR4 발현과 방사선 저항성과의 상관관계 규명 방사선 내성 육종암 세포주 구축 1. 지방육종세포인 SW872 세포주를 이용하여 방사선 내성 세포주 구축 2. CXCR4 발현 변화 확인 및 방사선 저항성 변화 확인 신개념 방사선치료법 개발(초/고선량율 방사선치료(FLASH RT)) 기초 연구 1. 방사선조사장치 조사선량율 분석(양성자, X-선, 전자선) 2. 방사선치료기의 초고선량율(ultra-high dose rate) 조사장치료 개조 3. X-선 조사선량율(10배)에 따른 clonogenic survival assay (출처 : 요약서 188p)
    • 연구책임자 : 김동호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의학원
    • 발행년도 : 20200200
    • Keyword : 1. 방사선의학;정밀의학;연구자주도임상연구;임상연구;오가노이드;임상시험;방사선치료;대장암;방사선 손상제어;방사선유전체;라디오믹스;대장암;간암;지방육종;정밀의료;딥러닝;방사선;바이오뱅크;인체자원;정밀의료;정도관리;정위방사선치료;고정밀 3차원 선량계;국제교육센터;육종암;육종암줄기세포;방사선저항성;초/고선량 방사선 치료; 2. Radiology;Clinical Precision Medicine;Investigator-Initiated Trial;Clinical Research;Organoid;Clinical trial;Radiotherapy;Colon cancer;Radiation protection;RadioGenome;Radiomics;Colorectal cancer;Liver cancer;Liposarcoma;Precision medicine;Deep learning;Radiation;Biobank;Human biospecimen;Precision medicine;Quality control;Stereotactic Radiotherapy;High precision three-dimensional dosimeter;International Education Center;Sarcoma. Sarcoma stem cell;CXCR4;Radioresistance. FLASH RT;
  • 11401

    2019.12.31

    IV. 사업결과 국제교육 분야에서는 INSA 주관 국제교육을 5회, 공동 국제교육을 4회 개최하였다. INSA 주관 국제교육의 경우, 핵안보, 안전조치, 수출통제 분야에 대해 기본과정과 핵안보 및 안전조치 특화과정을 제공하였으며, 총 25일간 13개국 74명에 대해 교육훈련을 제공하였다. 공동 국제교육 관련하여, KINAC/INSA는 IAEA에서 개발한 핵안보/안전조치 분야 개설 과정들 중 3개 과정을 국내에 유치하였고 총 20일간 44개국 총 101명을 교육시켰다. 또한, IAEA와 공동으로 사이버보안 교육 분야 모듈을 개발하여 총 10일간 33명을 교육시켰다. 이해증진 교육 분야에서는 총 9회에 걸쳐 총 177명을 교육하였다. 대외협력 분야에서는 한-미 PCG를 통한 강사양성 교육과정 개최, 핵안보 교육모듈에 대한 IAEA 전문가 검토회의, ARN+1 협의회 참석, 한-미 핵안보 실무그룹협의 등을 수행하였다. 이를 통해 지속적으로 교육역량을 확보함과 동시에 신규 도출된 협력의제에 대해 논의하였다. 또한 외교부에서 요청한 ASEAN 대상 핵감식 지역훈련과정 개발 관련하여 IAEA 등과 협력 체제를 구축하여 논의하였다. 교육 인프라 분야에서는 교육품질체계 국제인증(ISO 9001:2015)을 유지하기 위한 사후관리심사를 1회 수심하였고, 인증서 유효기간이 만료됨에 따라 갱신심사를 수심하여 인증서 갱신을 달성하였다. 사이버보안 훈련과정 실습프로그램을 위한 교육환경을 주도적으로 추진하여 이를 구축하였다. INSA 교육환경 개선과 관련하여,원자력시설 반입 금지물품과 관련된 전시관을 INSA에 구축하였다. (출처 : 요약문 3p)
    • 연구책임자 : 이나영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통제기술원
    • 발행년도 : 20200100
    • Keyword :
  • 11400

    2020.02.29

    ○ 연구개요 라이먼 알파(Lyman-alpha)는 우주에서 가장 밝은 분광선이며, 따라서 고적색편이 우주에서 새로운 은하를 발견하거나 은하의 형성과 진화를 연구하기 위해 적합한 관측수단으로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라이먼 알파 방출선은 중성수소에 의한 공명산란과 성간먼지에 의한 산란/흡수 등의 복잡한 복사전달 과정을 거치기 때문에 관측결과의 올바른 해석을 위해서는 복사전달 시뮬레이션과 다파장자료와의 비교가 필수적이다. 현재까지 여러 연구자에 의해 라이먼알파 복사전달 연구가 수행되어왔으나 라이먼알파를 방출하는 별탄생은하 및 라이먼알파 천체에 대해 여전히 많은 부분이 미스터리로 남아 있다. 이 과제에서는 『Lyα 및 다파장 복사전달 연구를 통해 우주의 별탄생 역사 및 은하의 형성과정을 이해한다』는 최종목표하에 연구를 수행했다. ○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이 연구의 세부목표와 각각에 대한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A. Lyα 복사전달 코드 LaRT 개발 및 WF 효과연구 - (1) Lyα 복사전달 코드 LaRT 완성, (2) WF 효과의 선행조건 연구, (3) LaRT를 편광 복사 코드로의 확장 B. ISM 모델에서의 Lyα 복사전달 연구 - (1) 간단한 난류 모델에서의 Lyα 복사전달 연구, (2) 우리은하 성간물질 모델에서의 Lyα 복사전달 연구 C. Lyα 스펙트럼 및 헤일로 밀도분포 모델의 관측과의 비교 - (1) Lyα 방출은하의 스펙트럼과 표면밝기분포를 동시 설명하기 위한 모델 연구, (2) Edge-on 은하에서의 헤일로 성간먼지에 의한 가시광선 편광 복사전달 모델 D. 발머 방출선등 다파장 복사전달 연구 - (1) Paα 관측자료와 H II 영역에서 먼지에 의한 효과에 대한 관측 연구, (2) Paα 및 Hα등 발머 방출선 복사전달 효과에 대한 일부 모델을 계산하였으나, 완료하지 못함, (3) 다파장에서의 성간먼지 복사전달 효과 연구, (4) 외부은하에서의 Hα 및 자외선관측 비교 ○ 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본 연구결과의 중요성은 크게 다음과 같다. - WF 효과의 선행조건 연구가 가능한 최초의 라이먼알파 복사전달 계산 코드를 완성 - 라이먼알파의 미세구조에 의한 편광의 차이를 완벽하게 구현해냄. - 난류 매질에서의 라이먼알파 복사전달이 기존의 결과와 판이하게 다름을 확인 - 우리은하 성간매질에서의 라이먼알파 복사전달을 최초로 실행하여 Warm Neutral Medium에서 WF 효과가 강하게 발행함을 보임. - 자외선에서 관측된 헤일로의 성간먼지의 존재를 편광 모형을 통해 증명. - Pa-alpha 및 H-alpha의 관측적인 비교를 통해 H II 영역근방의 성간먼지에 의해 H-alpha 가 산란됨을 증명 - 외부은하의 H-alpha 와 자외선 관측 자료를 비교하여 헤일로 먼지와의 관련성 제시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선광일
    • 주관연구기관 : 한국천문연구원
    • 발행년도 : 20200300
    • Keyword : 라이먼 알파;자외선;별탄생은하;복사전달;은하형성;선윤곽;성간매질;공명산란;성간먼지;
  • 11399

    2020.02.29

    연구개요 ○ 핵수용체 small heterodimer partner (SHP/NR0B2)는 답즙산 생합성 (bile acid biosynthesis)를 비롯한 다양한 에너지 대사경로에 전사인자로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으며, Shp knockout (KO) mice에서 spontaneous liver tumor가 발병됨에 따라 tumor suppressor gene으로도 알려져 있음. ○ 하지만, 현재까지 SHP의 오타퍼지 조절 기전에 관한 연구는 전무하며, 에너지 대사와 관련하여서도 새롭게 개발된 다양한 실험기법들을 통한 더욱 세밀한 연구 진행이 필요함. ○ 또한, SHP의 새로운 표적 유전자 발굴 및 전사조절 기전을 이해하는 것은 핵수용체 SHP의 endogenous ligand의 발굴과 더불어 핵수용체 연구의 매우 중요한 분야임. ○ 따라서, 본 연구과제는 핵수용체 SHP의 오타퍼지 및 에너지 대사 조절 기전을 이해하고 이와 관련된 표적 유전자를 발굴하여, 핵수용체 SHP에 의해 조절되는 새로운 내분비 신호 전달 체계를 확립하고자 함.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 PAS staining과 글리코겐의 생화학적 측정을 통해 매우 많은 양의 글리코겐이 Shp-/- mice 간조직에 축적되어 있음을 확인 함. 또한, 간조직의 대세체 분석을 통해 글리코겐 합성에 필요한 substrate인 UDP-glucose의 양도 증가되어 있음을 확인함 - WT 과 Shp-/- mice 간조직에서 수행한 RNA-seq 데이터를 KEGG 경로로 분석한 결과, SHP은 다양한 지질 대사 및 약물 대사 경로에서 관련되어 있음을 확인함. 하지만, 글리코겐의 대사와 관련된 효소의 발현량 및 단백질의 활성에는 큰 차이가 없음 - 이에 본 연구진은 글리코겐 대사와 빌리루빈 대사를 동시에 조절할 수 있는 효소발현에 주목하였음. 그 결과 volcano 및 volume plot에서 Ugdh 유전자의 발현이 감소되어 있음을 발굴하고, Ugdh mRNA와 UGDH 단백질이 Shp-/- mice 간조직에서 매우 많이 감소되어 있음을 재검증 하였음 - 전사 억제자로서의 SHP의 기능을 고려할 때 Shp-/- mice 간조직에서 감소된 Ugdh mRNA 결과는 SHP이 Ugdh 유전자의 발현을 간적접으로 조절할 가능성을 제시함. - 또한, Shp-/- mice 간조직은 해당과정 (glycolysis) 및 TCA cycle의 매우 중요한 중간 대사체인 G6P, F6P, 3-PG, 2-PG, citrate, isocitrate, succinate 등이 감소되어 있음을 확인함 - 이러한 대사체 결과는 Seahorse XF analyzer를 이용한 실험에서도 확인됨. Shp-/- mice에서 준비한 primary hepatocyte는 미토콘드리아 호흡률, 지방산 산화율, 해당과정 등이 WT primary hepatocyte와 비교했을 때 현저히 감소되어 있음을 확인함. 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본 연구과제는 주로 전사억제자 (transcriptional corepressor)로서 작용 하는 SHP이 어떠한 전사기전을 통해 영양분 인식, 오타퍼지 및 에너지 대사를 조절할 수 있는지를 밝힘으로써, 대사증후군 (metabolic syndrome)의 예방 및 치료와 관련된 전략을 수립하는 원리증명 (proof-of-principle) 제공에 기여하고자 함. ○ 또한, tumor suppressor gene으로서 핵수용체 SHP에 대한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간암의 발병기전 및 간암대사 (liver cancer metabolism) 연구에 중요한 기초 지식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함. ○ 더 나아가 현대인에게 만연된 각종 대사질환 및 간암 치료에 적용할 수도 있는 핵수용체 SHP의 endogenous 또는 synthetic ligand 발굴 필요성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함. (출처 : 요약문 3p)
    • 연구책임자 : 김은영
    • 주관연구기관 : 경북대학교
    • 발행년도 : 20200300
    • Keyword : 1. 핵수용체;영양분 인식;오타퍼지;에너지 대사;내분비학;전사 억제자; 2. Autophagy;
  • 11398

    2020.02.29

    ○ 연구의 목적 및 내용 다양한 핵종 및 유/무기 이온 등이 혼합되어 있는 고독성 방사성 폐액의 전기흡착제염처리의 타당성 확보를 위한 수치해석적 흡/탈착 평가 및 다기능 전기흡착 소재의 설계 ○ 연구개발성과 ■ 고독성 방사성 폐액처리 기술 개념 도출 - 고독성 방사성 폐액처리를 위한 기술현황 분석 - 고독성 방사성 폐액처리를 위한 축전식 전기흡착 기술현황 분석 - CDI 및 MCDI 전기흡착을 이용한 모의 폐액 surrogate 시험 ■ 방사성 폐액의 제염을 위한 전기흡착 거동 해석 - 다기능성 전기흡착 전극 소재 개념 도출 - 다기능성 전기흡착 소재를 이용한 고독성 방사성 폐액의 전기흡착 평가 ■ 한영교류연구를 통한 삼중수소 측정·분리 전기흡착 기술 타당성 확보 - Pd 전극을 이용한 방사성 핵종 선택적 흡착에 따른 측정 기술 평가 - Pd modified CaF2 전극 제조기술 평가 ○ 연구개발성과의 활용계획 (기대효과) ■ 방사성 폐액의 부피저감 및 고형화 처리를 위하여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폐액 내 방사성 핵종의 선택적 제염기술로서 국내외적으로 급증하는 원전의 해체를 통해 발생하는 다양한 종류의 방사성 폐액의 안전하고 경제적인 제염 기술로서 활용 가능 ■ 국외 및 북한 핵시설 등의 핵연료재처리 과정에서 발생되는 다성분의 유기폐액이나 유⋅무기 성분이 혼합된 고독성 방사성 폐액의 선택분리에 효과적으로 활용 ■ 원(연) 내 유기혼성 방사성 폐액 또는 향후 원자력시설의 해체를 통해 발생하는 폐액 및 북한 핵시설 내에 보관중으로 예상되는 고농축 방사성 폐액의 처리에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됨 ■ 기술적 제한점이 없는 본 기술은 원자력 분야에만 국한되지 않고 공정의 대형화를 통해 염색폐액, 축산폐수, 일반 산업폐수 등을 포함한 하수/오수 등의 처리를 위한 대안기술로 직접 활용이 가능 (출처 : 요약문 6p)
    • 연구책임자 : 김선병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연구원
    • 발행년도 : 20200300
    • Keyword : 1. 전기흡착;전기흡착 전극;고독성 방사성 폐액;액체 폐기물 처리;원자력시설 해체; 2. Electroadsorption;Electroadsorbents;Radiotoxic liquid;Liquid waste treatment;Decommissioning of nuclear facilities;
  • 11397

    2020.11.30

    IV. 연구개발 결과 및 활용에 대한 건의 - 플라즈마/수산소 결합형 수중 절단 시스템의 상용화를 완성하였다. 사 양: 80kW, 절단두께 40mm, 수심 깊이 300mm, 피재료: 원전용 NI계 20%이상 고온 합금. 해양 구조물 적용처 다양. 플라즈마 전원 60kW급. 수산소 발생기 40kW급, 99% 이상 역화 방지 - 직립 원형 Cell 방식, 가스 발생량은 전력 3.4Kw 사용 시 가스 발생량을 0.3 Nm3/h에서 1 Nm3/h을 일정하게 유지. 기존의 분리 격막을 제거하여 수소와 산소를 공유 결합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수중에서 사용 할 수 있는 성능 보여주었다. - 정격운전시(플라즈마 56kW, 수산소 20kW)절단 성능은 중 수심 깊이 300mm, 니켈,크롬 20%이상 함유된 합금강 뚜께 40mm 이상 절단. 절단 속도 600mm/min 으로 목표를 초과 달성하였다. - 절단 시험 평가에 의하면 합금강 SUS304 및 SUS316 절단시 절단 속도(400-600mm/min) 에서 수산소 가스 혼합량은 (Ar 70%, HOH 30%)으로 최적화 하였다. 절단 속도는 소재에 따라 가스량을 적당히 조절하면 최적화됨을 알 수 있다. 종합적으로 수산소 가스가 증가해도 절단면이 매우 양호하게 됨을 알 수 있다. 즉 플라즈마로만 POWER를 증가하는 것에 비해 수산소를 적당히 혼합해도 원전 설비인 합금강 SUS304 및 SUS316 절단시 매우 우수한 절단 성능을 보여주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 전자식 광센서 및 기계적 장치를 혼용하여 99% 이상의 역화 방지 기능이 확보되었다. - 로봇을 이용하여 3D 절단이 이루어졌다. 직선, 곡선, 틸팅, 삼각선 등의 실제 현장에서 적용 가능한 절단 기능이 완성되었다. (출처 : 요약문 7p)
    • 연구책임자 : 동상근
    • 주관연구기관 :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 발행년도 : 20201200
    • Keyword :
  • 11396

    2020.01.31

    ○ 연구의 목적 및 내용 폐암 환자의 효율적인 항암 치료를 위해 종양 미세 환경 조절과 방사선-면역치료를 조합한 병용 치료 기전과 기존 항암 치료의 한계점 및 부작용을 극복하기 위한 약물 병행 치료 방법 및 기전을 연구하고자 함 본 연구에서는 CXCR4의 길항제와 PD-1/PD-L1의 발현조절로써 종양의 미세 환경을 조절하고 방사선-면역치료의 한계 및 부작용을 극복하여 항암 치료 효과 극대화를 하고자 함 CXCR4와 PD-1/PD-L1을 타겟으로 하는 종양 미세 환경 조절이 방사선-면역 치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간암/폐암 환자의 새로운 치료 방법과 기전에 대하여 제시하고자 함 ○ 연구결과 1. 간암/폐암 세포주 모델에서 CXCR4 길항제의 암세포 성장 억제 효과 확인 - 마우스 간암 세포주 1종, 사람 폐암 세포주 4종 등에서 CXCR4의 길항제인 AMD3100을 처리 하였을 때 암세포의 성장이 약물의 용량 의존적으로 억제되는 것을 호학인함 2. 폐암 세포주 모델에서 CXCR4 길항제와 방사선 병용 처리 시 암세포의 성장 억제 학인 - 사람 유래 비소세포폐암 세포주 4종 (H460, H1299, H1975, HCC827)에서 방사선과 CXCR4 길항제를 0.01ug/ml의 농도로 병용 처리 하였을 때 효율적이고 방사선 조사량에 의존적으로 암세포의 성장을 억제하는 것을 확인함 3. 폐암 세포주 모델에서 CXCR4 길항제와 방사선조사 시 나타나는 유전적 변화 확인 - 사람유래 비소세포폐암 세포주인 H1299과 HCC827에서 방사선 조사 및 CXCR4 길항제 단독 또는 병용 처리 시 나타나는 유전적 변화를 확인함 - Metastasis, apoptosis와 관련된 유전자 92개를 분석하여 약물 및 방사선 조사에 따른 암세포의 성장 억제 조절 관련 유전적 변화를 profiling 함 최종적으로 폐암에서 CXCR4 길항제와 방사선 병용 치료 시 기존의 단독 치료 보다 암세포의 성장 및 전이를 효율적으로 억제 할 수 있음을 확인하고 CXCR4가 폐암 치료에 있어 중요한 타겟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확인함. ○ 연구결과의 활용계획 해당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방사선 또는 폐암 치료 관련 해외 저널에 논문을 투고 예정에 있음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4p)
    • 연구책임자 : 안원균
    • 주관연구기관 : 성균관대학교
    • 발행년도 : 20200200
    • Keyword : 1. 종양미세환경; 2. CXCR4;AMD3100;lung cancer;radiation;tumor microenvironment;PD-1/PD-L1;
  • 11395

    2020.05.31

    □ 연구개요 본 연구는 2014년과 2015년에 본 연구자의 선행연구에서 밝혀지게 된 전사의 활성에 동반된 Topoisomerase IIb에 의한 DNA의 이중가닥 절단 (DSB)과 그 절단에 의한 DNA damage signaling (DDS)을 이해하기 위한 계속적인 노력임. 본 연구에서는 두 개의 대표적인 DNA 이중가닥 절단 복구 방법으로 알려져 있는 Non-homologous end joining 과 Homologous recombination에서 정확한 DNA 복구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진 BRCA1 단백질이 전사 활성과 위에서 밝혀진 전사 활성에 동반된 DSB와 DDS에서 어떠한 작용을 할 것으로 가설함. 따라서 BRCA1에 대해 이러한 가설을 증명하고 특히 Topoisomerase IIb의 기능을 조절하는 역할이 있는지를 생화학, 세포생물학적인 방법들을 통하여 밝히려고 노력함. □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본 연구의 첫째 목표는 BRCA1 단백질과 이 단백질의 파트너인 BARD1 단백질이 Stress-inducible 유전자들의 전사 활성에 관여하는지를 확인하는 것이었음. 우리는 이것을 확인하기 위하여 첫 번째 이 단백질이 HEK293 및 MCF7 세포에서 이러한 유전자들 위에 있는지 Chromatin immunoprecipitation-qPCR (ChIP-PCR)의 방법을 사용하였고 BRCA1과 이 단백질과 heterodimer로 세포내에 존재하는 BARD1이 스트레스에 의해서 발현이 유도되는 대표적인 유전자인 EGR1에 존재하는 것을 확인 하였음. 또한 혈장을 사용한 유전자 발현 유도 실험을 통하여 EGR1 전사 활성시에 BRCA1의 S1524 자리에서 ATM과 ATR 인산화 효소에 의한 인산화가 이루어짐을 발견. 이뿐만 아니라 WT BRCA1 단백질과 S1524 돌연변이인 S1524A와 S1524D를 클로닝, 세균에서 정제하고 EGR1 유전자의 프로모터와 전사 초반 부위를 클로닝하여 biotin으로 꾸며진 Template DNA와 HeLa nuclear extracts를 성공적으로 얻어 실험관 전사 실험을 통하여 BRCA1 S1524 인산화가 전사활성에 중요함을 증명함. 두 번째 목표는 BRCA1과 Topoisomerase IIb 사이의 기능적인 관계가 있는지를 확인하는 것이었음. 우리는 Immunoprecipitation, immobilized template assay, 그리고 siRNA KD 실험과 ChIP-seq/bioinformatics의 방법 등을 활용하여 BRCA1-BARD1 complex가 Topoisomerase IIb와 물리적으로 부착하며 ubiquitination 하는 것을 발견함. BRCA1과 Topoisomerase IIb는 MCF10 세포에서 17,000개가 넘는 단백질 코딩 유전자들에 같은 패턴으로 분포하여 중요한 기능적 관계가 있음을 보임. □ 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본 연구 결과의 중요성은 BRCA1-BARD1 complex의 전사에서의 새로운 기작의 발견이라는 점. BRCA1의 결함은 DNA 절단을 정확히 복구하는데 가장 중요한 단백질 중의 하나인데, 전사와 동반하는 DSB와 DDR에 관련하여 활성화 된다는 것을 처음으로 보임. BRCA1은 본연적으로 전사를 억제하는 저해제로서 작용을 하지만, 전사 활성 시에 ATM, ATR 같은 PI3 kinases에 의해 S1524가 인산화 되었을 때는 전사 활성을 돕는 biphasic한 성질을 보임을 발견. 특히 BRCA1-BARD1이 ubiquitination을 통하여 Topoisomerase IIb의 DNA binding affinity를 조절한다는 결과는 앞으로의 많은 연구들을 불러일으키고 영감을 줄 수 있는 발견임. BRCA1-BARD1 complex와 Topoisomerase IIb의 관계는 전사와 동반된 유전체 불안정성의 조절에 중요한 요소로서 인식되며 새로운 기작으로써 반드시 이해해야 함.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번치 희연
    • 주관연구기관 : 경북대학교
    • 발행년도 : 20200600
    • Keyword : BRCA1-BARD1 complex;Stress-inducible transcription;Transcription-coupled DNA double strand break and repair;Genomic instability;Topoisomerase IIb;Transcriptional activation;Post-translational modifications;DNA damage response signaling;ATM/ATR;
  • 11394

    2020.11.30

    비공개항목입니다.
    • 연구책임자 : 조승룡
    • 주관연구기관 : 한국과학기술원
    • 발행년도 : 20201200
    • Keyword : 1. 전이성 척추 종양;체부정위적방사선수술;척추 압박 골절;압박성 골절;기계학습;심층 학습;컨볼루션 신경망; 2. Matastatic spine tumor;Stereotactic body radiation therapy (SBRT);Vertebral compression fracture (VCF);Machine learning;Deep learning;Convolution neural network (CNN);
  • 11393

    2020.04.30

    Ⅰ 사업 추진 배경 및 기획 경과 1절 사업추진 배경 및 필요성 1. 사업 추진 배경 ■ 소재·부품·장비 기술 자원화를 통한 무역전쟁 심화 • 소재·부품·장비 산업은 제조업의 허리이자 경쟁력의 핵심요소 – 국내 소재·부품은 제조업 사업체 수의 37.24%, 종사자의 44.53%, 생산액의 48.93%, 부가가치액의 51.64% 비중을 차지하는 주력 기간산업으로 발전 • 외형적으로 높은 성장을 이룩하였으나, 핵심 소재·부품의 높은 해외 의존구조로 인하여 수출규제 시 우리나라 경제에 큰 위협 가능 – 01년 ‘부품·소재전문기업 등의 육성에 관한 특별조치법’ 제정 이후, 양적 성장기반 마련하였지만, 생산 3배, 수출 5배 증가 등 외형이 크게 성장하였으나, 범용제품 위주의 추격형 전략과 압축 성장으로, 핵심 전략품목의 만성적 대외의존 지속, 글로벌 경합도 증가, 부가가치 정체 등 한계 – 소재 산업 관련 가마우지 경제*에서 벗어나 첨단소재 대일 무역역조 해소를 위한 높은 수준으로의 기술 고도화 필요 * 가마우지 경제 : 수출품의 원자재를 일본에서 대부분 수입하는 대한민국의 수출 구조상 문제점으로 인해 수출로 얻는 실질적인 이익을 대부분 일본에 뺏기는 형태 ■ 빠른 기술혁신과 미래사회 변화에 대응하여 과학기술 자체를 선도형으로 혁신 추진 • 우리나라는 산업화 시기의 기술 공급자적 R&D 구조와 오랜 기간 고착화된 추격형 R&D 체계에서 창의·선도형 R&D 체계로 전환* 중 * 제4차 과학기술기본계획은 추격형 R&D 전략으로는 빠른 기술혁신 및 환경변화에 대응하기 어려운 점을 강조하면서 창의·선도형 R&D 체계로 전환을 미래비전 실현을 위한 과학기술정책방향으로 제시 • 과학기술 자체를 선도형으로 혁신하기 위해서는 고성능 대형가속기 등 인프라 확대 필요 – 세계적으로 대형광가속기의 활용을 통하여 미개척분야에 대한 혁신적인 기술이 창출 – 우리나라는 방사광가속기를 활용하여 세계 최초 물의 특성 규명, 반도체 효율증대 나노패턴 기술 개발 등 선도적 연구성과를 창출 ■ 주요 선진국은 고성능 대형가속기가 미래유망분야 핵심원천기술 확보에 필수적인 첨단연구 인프라로 인식하고 체계적이고, 선제적 투자 진행 중 • 미국, 유럽 등 주요 선진국들은 중장기 계획을 수립하여 체계적으로 대형가속기를 구축·운영 중 ※ 미국 DOE의 HEP(High Energy Physics), NP(Nuclear Physics) 및 BES(Basic Energy Science), 유럽연합경쟁력이사회 ‘ESFRI’ 중장기 계획(’10∼’20년) 등 • 특히, 방사광가속기를 활용한 반도체·소재·신약개발 등 첨단산업 R&D를 지원 ※ 전 세계 47기(1 GeV 이상) 운영중, 타미플루(스탠퍼드大 방사광가속기(SSRL)) 개발, 인텔/HP는 SSRL, LBNL과 협업, 대만 TSMC社는 세계적 반도체 경쟁력 확보 ■ 우리나라의 경우 방사광가속기 활용 연구성과가 지속 증대하고 있으나 첨단산업 핵심기술 확보를 위한 방사광가속기 활용수요 대응 한계 노출 • 방사광가속기를 활용한 연구성과 지속 증대 ※ SCI 논문 수/편당 I.F. : ('10) 407건/3.3→('14) 551/4.2→('19) 561건/7.7 ※ '18년 기준 mrnIF가 78.9로 정부 R&D전체 평균 63.83에 비해 월등히 높은 수준 • 빔타임 제공 부족, 산업지원 R&D 전용 빔라인 부재로 산업지원 R&D 수용에 대한 신속한 대응 곤란 – 기 구축 방사광가속기의 신청대비 지원 비율 지속 하락*하고 있으며 특히, 산업체 빔타임 수용률 지속 감소** * 신청대비 지원 비율 : ('17) 52.3%→('19) 50.6% ** 산업체 빔타임 수용률 : ('17) 55.0%→('19) 47.6% ☞ 방사광가속기 활용수요에 대응하고 과학기술 수준 향상 및 산업적 활용도 제고를 위한 고성능 다목적 방사광가속기 구축 필요 2. 시급성 ■ 핵심 소재·부품의 해외 의존구조 극복을 위한 방사광가속기 구축 시급 • 소재·부품산업은 우리나라의 주력 기간산업*이나 첨단 소재·부품의 경우 일본, 미국, 독일 등 선진국에 의존** * 국내 소재·부품 산업은 제조업 사업체 수의 37.24%, 종사자의 44.53%, 생산액의 48.93%, 부가가치액의 51.64%를 차지(소재부품 종합정보망, www.pmsd.or.kr) ** 특히, 對日 무역적자는 ’01년 △165억 달러 → ’18년 △224억 달러로 장기간 지속(소재·부품·장비 R&D 투자전략 및 혁신대책 후속계획, 범부처, 2020) • 일본은 SPring-8 방사광가속기를 이용한 부품·소재의 연구개발로 반도체 부품 및 장비 강국 유지 ※ SPring-8을 활용하여 반도체용 신산화물재료 평가, 고성능전지재료의 국소구조 해석, 나노 재료평가, 미량원소분석, 재료단면관측, 재료의 불량분포분석 등)에 이용 • 우리나라 경제에 큰 위협을 주었던 일본의 對 한국 수출규제*의 사례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하여 핵심 소재·부품의 자립화 시급 * 2019년 7월 1일 일본 경제산업성이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제조 핵심 소재(플루오린 폴리이미드, 포토레지스트, 에칭가스 등)의 수출을 제한 ■ 미래유망분야 핵심원천기술 확보 및 국가 기간 산업 기술안보에 필수적인 고성능 대형가속기 구축 시급 • 첨단산업기술 확보 및 선도형 기초원천 연구를 위한 고성능 빔라인 구축 필수 – 미국은 1930년대 최초의 가속기를 개발하여 노벨상 수상, 로렌스버클리연구소(LBNL)는 현재까지 관련 분야를 선도 – 방사광가속기를 이용하여 미세구조 분석을 통한 신약, 반도체 분야에서 다양한 성과 창출 ※ 타미플루는 스탠퍼드大 방사광가속기(SSRL)를 활용한 단백질 구조분석의 성과 ※ 인텔, HP는 SSRL, LBNL과 협업, 반도체 소재의 불순물 검사 정밀도를 대폭 향상 ■ COVID-19 확산과 같은 국가/사회 문제 신속 대응 기술 확보를 위한 인프라 구축 시급 • 인간사회와 자연환경에 대한 재난·재해 위험이 세계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신종감염병의 경우 그 위험도가 매우 높음* * 신종감염병은 미래위험 영향력 측면에서 1위, 발생가능성 측면에서 자율주행 오류, 생활 유해물질에 이어 3위를 차지(빅데이터로 본 미래위험신호 FUTURE SAFETY ISSUE(2019-13호) - 국립재난안전연구원) • 방사광가속기를 통해 단백질 결합구조를 밝혀낸 덕분에 타미플루 개발에 성공하여 신종플루 극복에 기여 ※ 최근 신종감염병이 유례없는 속도로 출현하고 있으며, SARS, MERS, 에볼라, 조류인플루엔자, 지카 바이러스, COVID-19 등 40가지가 넘는 신종감염병이 발견됨에 따라 그 위험성이 커지고 있음(질병관리본부, 2019) ■ 기구축 방사광가속기 이용 포화 및 성능한계를 극복하고 미래기술 선점에 필요한 고성능 다목적 방사광가속기 구축 시급 • 포항방사광가속기는 1994년 준공 이후 26년간 과학발전에 많은 기여를 하고 있으나 가속기 노후 및 성능한계로 국제 경쟁력 저하 – SCI 논문 편수, 평균 IF, Nature/Science 논문게재 등 연구성과의 양적·질적 확대 • 주요국은 차세대 방사광가속기 신규도입 및 성능향상을 추진 ※ 차세대방사광가속기 추진현황: 스웨덴 MAX-IV(3 GeV), 중국 HEPS(6 GeV), 브라질 SIRIUS(3 GeV) (이상 신규도입), 미국 APS-U(6GeV), 일본SPring-8-II(6GeV), (이상 성능향상) 등 3. 국고지원의 필요성 및 시급성 ■ 국고지원 요건 • (근거법령) - 기초과학연구진흥법, 과학기술기본법, 기초연구진흥 및 기술개발지원에 관한법 등 • (방사광가속기 관련 정부계획) - 대형가속기 장기 로드맵 및 운영전략(2020.03) - 대형가속기 운영체제 개선방안(2017.02) - 소재·부품·장비 연구개발 투자전략 및 혁신대책(2019.08) ■ 정부 지원의 필요성 • 소재·부품산업 육성정책, 미래 첨단산업(소재·반도체·바이오) 발전에 따른 방사광가속기 기업수요에 장기적으로 대응 필요 - 현재 대기업 이용 비율이 높으나(70∼80%) 소재부품 관련 중소기업 수요 증가가 예상되어 관련 지원책 마련이 필요 * 세계 반도체시장 ’30년까지 연평균 4.5% 증가, 고부가첨단소재 시장규모 ’20년 242조→ ’30년 411조 증가, 세계 의약품시장 ’30년 1.8조 달러로 확대 예상 - 산업체 이용 활성화를 위해 일반 연구자와 차별화된 산업 지원용 빔타임의 대폭 확대 제공 필요 * 해외 사례 : SPring-8(일본) : 전용 6기(운영), ESRF(유럽) : 전용 4기(구축예정), Aichi(일본) : 산업전용 등 * 빔타임 평균 3일보다 많은 6일 이상을 요구(방사광가속기 이용기업 설문조사결과, ‘19.12월) • 방사광가속기는 국가의 기초과학 강화를 위해서 필요한 공공연구시설이므로 국가의 과학기술 강화를 위해서 정부의 재정지원 역할이 필요 - 생명공학, 재료과학, 화학, 지구과학, 환경과학 등 과학 및 산업분야의 연구개발에 필요한 고도의 연구시설임 - 최근 연구분야의 확대와 이용자수의 증가는 동 시설에 대한 사회적 필요성을 방증하고 있는 결과 - 방사광가속기는 대형 연구시설로 구축비용이 높아 시장에서 생산되기 어려운 서비스 • 사회적으로 고급역량을 보유한 인재들의 지속적인 활용 필요 - 방사광가속기의 설비 및 연구분야에 많은 전문인력들이 배치되어 있고, 이들 인력은 가속기 연구 분야에서 고급역량을 보유하고 있는 인재임 - 현재 국가 경쟁력 제고를 위해 필요한 기존 방사광가속기 시설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필수적인 인력이며 이를 꾸준히 지원하고 사회적으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 정부의 역할 - 방사광가속기의 관리 운영에 투입할 수 있는 국내 인력은 포항가속기 연구소 인력 외에 대체가 어려움 - 이들 인력은 가속기 건설과정에 많은 역할과 기여 할 수 있어 활용도가 높음 ■ 국가재정 운용계획 연계 • 국가 GDP대비 R&D예산 세계 1위,* 정부 R&D 30조** 시대에 걸맞는 세계 과학기술 선도를 위한 첨단 R&D 플랫폼을 구축함으로써 국가 브랜드 가치 향상 * GDP 대비 R&D 예산 비중 세계 1위 (4.55%), 전체 R&D 예산 투자규모 세계 5위 ** 2019년 최초로 정부 R&D 예산이 20조 원을 돌파, 기재부에 따르면 2023년에는 30조 원 시대 도래 (출처 : 요약서 23p)
    • 연구책임자 : 이기종
    • 주관연구기관 : 주식회사 이니씽크
    • 발행년도 : 20200500
    • Keywor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