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Report

All 12,381 Page 100/1,239

검색
  • 11391

    2019.12.31

    비공개항목입니다.
    • 연구책임자 : 김장호
    • 주관연구기관 : 연세대학교
    • 발행년도 : 20200100
    • Keyword : 1. 극한하중 시나리오;위험도 평가;정밀해석기법;확률론적 안정성평가;원자력발전 플렌트; 2. Extreme loading scenarios;Hazard level ranking;Precise analysis method;Probabilistic safety assessment;Nuclear power plant;
  • 11390

    2020.02.29

    ○ 연구의 목적 및 내용 수자원 오염과 기상이변에 따른 물 부족 시대를 맞이하여 기존의 증발법, 역삼투압법과 같은 기존의 수처리 방법에 비해 친환경적이며 에너지 효율적인 장점을 가지는 축전식 탈염전극(CDI, Capacitive De-Ionization) 기술이 많은 관심을 받고 있음. 그러나 축전식 탈염 기술발전을 위해서는 고용량을 가지는 전극소재와 최적화된 운전 방법을 개발할 필요가 있음. 본 연구에서는 고성능 축전식 탈염전극의 활물질로 이용하기 위한 계층적 다공성 탄소나노소재를 개발하고 이를 적용한 축전식 탈염전극 시스템 운전 기술을 최적화하는 것을 목표로 함. 리서치펠로우 연구과제의 취지에 맞춰 연구책임자의 전통탄소소재 및 축전식 탈염 기술 연구경험과 주관기관의 슈퍼커패시터 등 에너지 소자로 응용가능한 탄소나노소재 기술을 결합해 시너지효과를 내고자 함. ○ 연구결과 고성능 축전식 탈염전극의 활물질로 이용하기 위한 계층적 다공성 탄소나노소재의 개발과 이를 전극소재로 활용한 CDI 운전기술의 최적화. 주관연구기관인 성균관대학교의 에너지 및 환경용 소재 기술을 적용하여 시너지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며, 국제공동연구 수행, 계속적인 연구과제 발굴(ex. 염분차 발전)을 수행함. 세부적인 연구결과로, 1. 비표면적 1601 m2/g, 메조포어 63.4%을 만족하는 계층적 다공성 탄소나노소재 개발 2. 기존 활물질(AC) 대비 164% 의 향상된 전기전도도를 가지는 탄소나노소재 적용 3. 고성능 CDI를 위한 이종원소 도입 4종, 표면관능기 처리 2종의 탄소나노소재 평가 4. CDI를 활용한 염제거율(NaCl 기준) 기존 AC 대비 184%의 성능향상 (N-AC,MOF-derived AC 활용) 5. 100 cycle 이상 구동에서 95% 이상의 초기성능 유지 6. 정전류/정전압 CDI 운전을 통한 운전기술 평가 7. 호주 월렁공 대학교, 퀸즐랜드 대학교, 미국 워싱턴 주립 대학교와 CDI 활물질 및 촉매 지지체용 나노탄소소재 공동연구 8. CDI 셀을 이용한 염분차 발전(염수/담수의 반복 공급을 통한 에너지 생산) 시스템 구축 및 주관기관의 소재 적용 계속 연구 ○ 연구결과의 활용계획 - 수자원 고갈 위험에 대응하여 해수담수화, 폐수처리 및 깨끗한 물을 얻기 위한 친환경, 에너지 효율적인 축전식 탈염 기술의 확보 - 사업초기 단계인 축전식 탈염의 핵심 기술(고성능 전극 활물질) 확보로 고부가가치물 산업 성장의 주도적 역할 - 가정용 정수뿐만 아니라 초순수 등 공업용수, 해수로부터의 자원회수 및 에너지 생산 등 해양자원이용, 원자력 폐기 방사선 물질의 선택적 제거 등으로 발전할 수 있는 초석기술의 확보 - 연구책임자와 주관기관의 연구분야 교류와 통합을 통해 연구자의 연구 지속성 유지와 질적 향상, 주관기관의 기 개발소재의 새로운 응용분야 적용, 국제공동연구 추진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4p)
    • 연구책임자 : 김지영
    • 주관연구기관 : 성균관대학교
    • 발행년도 : 20200300
    • Keyword : 1. 축전식 탈염전극;수처리;계층적 구조;다공성 탄소;탄소 복합재료;이종원소 도입;선택적 흡착;시스템 운전 기술;염분차 발전; 2. Capacitive deionization;Water purification;Hierarchical structure;Porous carbon;Carbon composite;Hetero-atom doping;Selective adsorption;System operation;Salinity Gradient Energy;
  • 11389

    2020.05.31

    □연구개요 본 연구 과제에서는 cre-lox system을 이용하여 조직 특이적으로 RORα를 knockout 시킨 유전자 변형 마우스와 일차 조골세포 및 파골세포 배양을 통해 RORα의 골 항상성을 조절 기능이 나타나는 일차 기관(primary organ)을 조사하고자 함. 또한 차세대 염기서열분석(next generation sequencing, NGS) 기반의 RNA-seq을 통해 RORα의 target 유전자를 발굴함으로서 RORα의 골 항상성 조절 기전을 밝히고 골다공증 치료 약물 target으로서의 가능성을 타진하고자 함.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RORα knockout osteoblast 및 osteoclast primary culture를 시행함. RORα KO osteoblast의 분화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함. RORα KO osteoclast에서는 분화의 차이를 관찰하지 못함. Prx1-Cre와 Lys-Cre를 통한 조골세포 lineage, 파골세포 lineage 특이적인 KO 마우스를 확립함. RORα의 target gene 및 조절 기전을 밝히지 못함. □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기존에 알려진 바와 달리, RORα KO osteoblast에서 분화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함. 따라서 RORα KO 마우스의 낮은 골밀도와 골형성 감소는 osteoblast cell autonomous한 표현형이 아닌 systemic 문제에 의한 2차적인 표현형이라고 생각됨. (출처 : 요 약 문 2p)
    • 연구책임자 : 이기준
    • 주관연구기관 : 연세대학교
    • 발행년도 : 20200600
    • Keyword : 1. 고아수용체; 2. RAR-related orphan receptor alpha;Rora;Cre-LoxP;Bone;
  • 11388

    2020.05.31

    □ 연구개요 ● 본연구의 목표는 바이로이드에 결합하여 바이로이드의 세포내 감염 (infection), 핵 안으로의 이동(nuclear import), 복제(replication) 및 세포 사이의 이동 (inter-cellular trafficking)에 관여하는 식물의 내생인자(endogenous factor)를 탐색하여 그 기능을 밝히고자 하는 것임 ● 바이로이드 결합 단백질 Virp1, 4/1 protein, TFIIIa를 클로닝하였으며 양파세포를 이용한 nuclear import assay system을 이용하여 HSVd의 nuclear import가 Virp1에 의하여 촉진된다는 것을 발견함 ● Two-step PCR을 통하여 CEVd를 기내 합성하였으며 활성을 지닌다는 점을 확인해 바이로이드 연구의 새롭고 안전한 방법을 확립함 □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1. 바이로이드의 결합 성질을 이용한 식물 내생인자의 분리 2. 바이로이드와 결합하는 Virp1의 cloning 및 기능의 탐색 ● Virp1을 cloning하고 대장균에서 과발현하여 Ni-NTA column으로 정제함 3. 바이로이드와 결합하는 TFIIIa의 gene cloning ● 바이로이드와 상호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진 TFIIIa를 클로닝하고 단백질을 발현함 4. 바이로이드와 결합하는 4/1 protein의 gene cloning ● 바이로이드와 상호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진 4/1을 클로닝하고 단백질을 발현함 5. CEVd의 기내 합성과 활성 검증 ● Two-step PCR을 통하여 CEVd DNA fragment를 생성, 증폭하였으며 플라즈미드 벡터에 클로닝함 ● CEVd DNA fragment에 일부 활성이 있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in vitro transcription에 의해 바이로이드 RNA를 생성함 6. Nuclear import assay system의 확립 7. 바이로이드의 nuclear import와 그에 미치는 Virp1의 영향 ● 양파세포를 이용한 nuclear import assay system에서 Alexa로 표지된 HSVd가 약하게 핵으로 유입되었으며 Virp1 존재하에 핵내 유입이 증가함 ● HSVd 없이 Alexa 만으로는 핵내 유입이 없어 핵내 유입은 HSVd의 성질임을 확인 □ 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1. 학문적 중요성 ● 바이로이드가 식물세포에 침투하여 핵 안으로 이동하고 복제된 후 빠져나와 세포 사이로 이동하며 퍼져나가는 메커니즘이라는 희귀 분야의 기초 지식 공급 ● 바이로이드와 상호작용하는 식물 내생인자들의 기능 분석을 통하여 바이로이드 복제 및 이동과 관련된 세포생물학적 접근이 가능해짐 ● 바이로이드에 결합하는 식물 내생인자를 분석함으로써 식물에서 RNA trafficking 경로를 탐색하는 도구로 활용이 가능함 ● 본 과제의 결과를 활용하면 식물체 내에서 RNA의 이동이 이루어지는 조건과 방향, 그리고 그 이동의 생리학적 의미를 이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됨 2. 기술적 중요성 ● 바이로이드의 활성 메커니즘을 발견함으로써 현재 피해가 발생중인 바이로이드에 의한 식물병 대책 마련을 위한 실용성의 공급 ● 바이로이드의 축적과 이동에 대한 지식의 공급은 바이로이드로부터 작물을 보호하기 위한 기술을 개발하는데 중요한 target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됨 ● RNA를 이동시키는 바이로이드의 특정 motif의 거대분자 견인능력을 측정한 후 이를 응용하면 식물체 내에서 새로운 molecular targeting 또는 delivery tool을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됨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박웅준
    • 주관연구기관 : 단국대학교
    • 발행년도 : 20200600
    • Keyword : 1. 바이로이드;감염;핵내 이동;복제;세포간 이동;숙주식물; 2. HSVd;CEVd;Virp1;
  • 11387

    2020.09.30

    연구의 목적 및 내용 단백질 연구에 있어서 가장 기초적이고 근본적인 질문은 어떤 단계를 통해 단백질의 기능을 결정짓는 복잡한 구조가 정해지는가이지만 simulation으로나 실험적으로나 이를 연구하기 위한 방법론에는 많은 제한이 따름. 정확한 characterization을 위해서는 시간/공간적 분해능(time/spatial resolutions)을 갖는 방법론 개발이 절실함. 특히 아밀로이드 베타와 같은 단백질은 초기 monomer부터 misfolding에 의해 촉발된 aggregate deposit이 신경계에 쌓여 toxicity를 가지므로 어떤 단계를 거쳐 disease-related aggregate에 도달하고 어떤 경우에는 덜 toxic한 aggregates을 생성하는지에 대한 연구가 관련된 알츠하이머병 치료에 근원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인지는 시간/공간적 분해능을 가진 방법론의 개발에 달려있다 할 수 있음. 이에 본 연구에서는 빠른 시간단위로 반응하는 과정에서 단백질을 냉각/포획하는 microfluidics기술을 개발하고 획기적으로 고체 NMR의 감도를 증폭하는 기술인 동적핵 분극방법 (Dynamic Nuclear Polarization, DNP)을 사용하여 냉각된 intermediate 단백질의 구조를 분석하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음. 연구개발성과 본 연구의 주요성과로서 (1) 범용적으로 다양한 생화학/유기/무기분자의 반응에 적용가능한 “Rapid mixer/freezer device”에 있다. 기존에 개발된 microfluidic mixer의 문제점들에 대해 아주 간결한 해결책을 제시하여 고압/고점도의 액체를 빠르게 최소한의 희석을 통해 빠른 제트형태로 초기 liquid nitrogen (77 K)에 의해 냉각시킨 고속으로 회전하는 구리 회전판에 spray하여 sub-millisecond 시간분해능을 획득하였다. 이의 장점은 동적핵분극을 이용한 NMR signal을 100배 이상 향상시키는 시스템을 통하여 실제 biomolecule (melittin)에 적용되 었으며, 연구내용은 2019년 PNAS에 주저자 논문으로 출판되었고, 미국 물리협회 (AIP) 공식 media인 Physics Today에 그 내용이 소개되었다. (2) Rapid freezer device는 NMR 뿐만 아니라 EPR (Electron Paramgnetic Resonance) spectroscopy에도 적용될 수 있는데, 고속 냉각을 통해 cryoprotectant로서의 biomolecules에의대한 glycerol의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 내용은 2020년 ChemPhysChem에 공동주저자로 출판하였다.(3) 동적핵분극에 필수인 자유전자 라디칼인 tri-radical DOTOPA는 액체 헬륨사용을 통해 접근 가능한 온도인 25K에서 아주 효과적인 NMR signal향상에 도움이 되었다. 하지만 낮은 water-solubility로 인해 다양한 단백질의 분석에 제한이있었으나 Wai-Ming Yau박사에 의해 개발된 Succinyl DOTOPA는 그 문제를 해결하였다. 본 과제에서는 다양한 DNP NMR parameters로 succinyl DOTOPA의 성능을 characterize하였고 액체 질소를 이용한 90K 냉각과 액체 헬륨을 이용한 25K, 두 온도범위에서 DNP-NMR이 optimal하게 동작할 수 있는 시스템임을 입증하였다. 이 내용은 Journal of Magnetic Resonance에 2020년에 게제되었다. (4) calmodulin은 다양한 cell에 공통적으로 존재하며 400종이 넘는 다양한 단백질과 결합, 반응하여 다양한 cellular/physiological processes에 관여하며 signal transduction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러나 protein-protein interaction은 두 molecules이 diffusion 타임을 거쳐 서로 binding/folding을 하는 이유로 전산적으로나 dynamics study가 주를 이루는 실험적 방법으로 완전한 분석에 어려움이 있어왔다. 본 연구를 통하여 calmodulin과 binding partner proteins중 하나인 MLCK 단백질의 intrinsically disordered binding domain의 interaction을 1-2 millisecond 시간 분해능으로 1-30ms의 기간동안 반응을 site-specific한 공간분해능을 제공하여 관찰하였다. 그 결과 초기 2-8ms동안 아주 짧은 시간동안만 존재하는 intermediate state을 관찰하여 논문제출하는 process에 있다. 연구개발성과의 활용계획 (기대효과) 본 연구는 기존연구와 대비해 새로운 종류의 접근방식을 제공하고 있고 molecules의 세부적인 dynamics나 crystalinity 특성과 관계없이 적용이 가능하므로 다양한 biomolecules로의 확대 적용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단백질의 경우 protein-protein interaction을 시작으로 self-assembly kinetics, liquid-liquid phase separation등의 최신연구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고, 더나아가 RNA folding, assembly 연구에도 적용이 가능하리라 본다. 이러한 funadamental한 적용외에도 small molecule inhibitor 개발에서 kinetic characterization에 Surface Plasmon Resonance (SPR)을 대체하고 관련 기술을 여러단계 끌어올릴 원천기술이 될 수 있을 것으로도 예상할 수 있다. (출처 : 요약문 4p)
    • 연구책임자 : 전재균
    • 주관연구기관 : 한양대학교
    • 발행년도 : 20201000
    • Keyword : 1. 핵자기공명;구조적 분해능;시간분해능;단백질 접힘;단백질 상호작용; 2. DNP solid-state NMR;Time resolution;spatial resolution;protein folding;protein-protein interaction;
  • 11386

    2020.11.30

    · 방사선작업종사자 분기별 개인피폭선량계 지급 및 안전관리 · 방사선작업종사자 안전교육 실시(직장 및 기본 교육) · RI 사용 방사선작업구역 안전관리(공간선량률, 표면오염, 공기중 방사성농도측정/분석) · RI 배수저장조 수중 방사능농도, RI의약품생산사업센터 배출 공기중방사능농도측정/분석 관리 · 원내 방사성폐기물 관리 및 자체처분(1회/월) · RI 반/출입 관리 감독(매일) · 방사선계측기 교정 실시 · KINS 정기검사 수검, 방사선안전관리 보고, 및 인허가 관련 업무 지원 · 방사선작업종사자 피폭 저감화 실현 · 방사선안전관리 절차서 개정 (출처 : 요약서 3p)
    • 연구책임자 : 김상록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의학원
    • 발행년도 : 20201200
    • Keyword : 1. 방사선작업종사자;방사선작업구역;방사선피폭;방사선안전관리;방사성물질;방사성폐기물;최적화; 2. Radiation worker;Radiation control area;Radiation exposure;Radiation safety and control;Radioactive materials;Radio waste;ALARA;
  • 11385

    2020.05.31

    □ 연구개요 체르노빌, 후쿠시마에서의 대형 원전사고를 비롯하여, 계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방사선 관련 산업으로 인하여 일상생활에서도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는 방사선 노출과 환경과의 상관관계를 규명하고 이를 통해 국민보건 증진과 방사선의 올바른 이해와 활용에 기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자연방사선의 - 배경방사선 (Background radiation) - 영향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지하심층방사선실험실을 활용하여 저선량방사선검출시스템 설계 및 제작, 방사선 시료의 수집과 측정, 이를 기반으로 한 환경 방사선데이터베이스를 구축, 그리고 이와 관련한 선행연구를 실시한다. 최종적으로는 구축된 환경 방사선 라이브러리를 이용한 환경과1의 상관관계 규명에 대한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한다. □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저선량방사선 측정 시스템 개발 → 저선량검출시스템을 설계/제작하였음. ⦁입자수송코드인 MCNP 혹은 GEANT4를 사용하여 최적화 차폐 시스템 제작을 위한 입자수송 모델링기법 개발 →차폐체 설계, 시료용기 최적화, 검출시스템 효율 보정을 모두 MCNP와 GEANT4 코드를 사용하여 도출하였음. ⦁저선량방사선 (감마선) 측정 및 분석 방법 개발 → 감마선 측정과 분석, 그리고 specific activity계산을 하였음. ⦁환경 (물, 토양, 등) 방사선 시료에 대한 선처리 방법 개발 → 남극 해수를 AMP 공침범을 이용하여 선처리를 하였음. ⦁방사선 측정시료에 대한 데이터베이스화 기법 및 분석방법 개발→측정된 핵종별로 계산된 specific activity 데이터를 확보하였고, 스펙트럼 분석을 하였음. ⦁최종적으로 데이터베이스화된 방사선 자료를 통한 환경과의 상관관계 규명에 대한 가능성 확인 및 심층지하방사선 실험실에 대한 저선량 방사선(감마선) 연구에 대한 유효성 확인→ 시료측정과 분석한 데이터양이 많지가 않아 유효성에 대한 결론을 내지는 못했음 □ 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최근 저선량 방사선에 관련한 연구가 세계적으로 많은 관심을 받고 있지만, 저준위 방사선 연구에 힘든 점의 하나가 조사 시료의 방사선량이 적기 때문에 배경방사선과의 구분이 어렵다는 것이다. 이에 대한 해결 방안으로 배경방사선이 최대한 억제되는 심층 지하실험실이 제안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유일의 지하방사선실험실에서 저선량 방사선 측정 분석 시스템을 추가적으로 구축하고 환경시료 (주로 소의 혈액)를 채취하고 그로부터 방출하는 환경방사선 분포를 조사하였다. 본 연구가 시작단계이기 때문에 축적된 데이터가 많지 않아 유의미한 상관관계의 가능성을 확인하는 못했지만, 확보된 데이터는 저선량의 환경방사선 특성과 질병과의 상관관계나 혹은 환경변화의 인과관계를 이해하는데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허장용
    • 주관연구기관 : 이화여자대학교
    • 발행년도 : 20200600
    • Keyword : 1. 저선량방사선검출시스템;배경방사선 억제;지하방사선 실험실;환경방사선;방사선차폐체;몬테카를로 기반 모델링;환경방사선 라이브러리; 2. MCNP;GEANT4;
  • 11384

    2019.12.31

    □ 연구의 목적 및 내용 ■ 기술검증을 통한 실용화 수준의 해체 핵심기술 개발 - 해체 대상 및 폐기물 방사선학적 특성평가 기술개발 및 측정 시스템 구축 - 원전 일차계통 화학제염 및 대형기기 나노복합유체제염 기술 개발 및 공학검증 기반 구축 - 고방사성 원전 핵심설비 해체를 위한 차세대 원격절단 기술 개발 및 시스템 구축 - 난처리성 해체폐기물 고감용, 안정화/고화 기술개발 및 처리시스템 구축 - 오염 토양 복합처리 및 현장형 지하수 환경 복원 시스템 구축 - 원자력시설 해체 핵심기술 통합관리 시스템 개발 - 시설 및 부지 오염도 측정시스템 구축 성능검증 및 연구로 및 원전 적용 실용화 기반 구축 - HyBRID 제염기술의 원전 적용 성능 검증 및 기술실용화 기반 구축 - 원전 핵심설비의 최적 해체공정 설계를 위한 해체공정 시뮬레이션 실용화 기술 개발 - 해체폐기물 감용 및 안정화 처리를 위한 실용화기술 개발 □ 연구개발성과 ■ 해체 시설 및 부지 측정시스템 구축, 연구로 및 원전 적용 성능검증 ■ HyBRID 일차계통 화학제염기술 국내원전 적용을 위한 실용화 수준 기술 확보 ■ 원격조작 상호연동 기술 기반 차세대 원격절단 시스템 ■ 고리 1 호기 원전 핵심설비 원격해체 공정 시나리오 ■ 해체폐기물 처리 신기술 개발 및 실증을 통해 실용화 기술 확보 ■ 난처리성 오염토양 및 현장형 지하수 복원 시스템 개발 ■ 해체 핵심기술 통합관리 시스템 구축 □ 연구개발성과의 활용계획(기대효과) ■ 해체 대상 시설의 방사선학적 특성평가를 위한 고방사능 환경 및 난분석 핵종 현장 측정 기술 확보를 통한 해체작업 효율 향상 및 해체폐기물 저감 ■ 원전 일차계통 화학제염기술 및 대형/대면적 설비의 표면오염 제거를 위한 나노 복합유체 제염기술 개발로 국내 해체사업의 기술경쟁력 강화 ■ 고방사성 핵심설비의 차세대 원격절단 시스템 개발을 통한 해체사업의 안전성과 경제성 확보 ■ 대량 발생 해체폐기물 고도감용 기술 개발을 통한 폐기물 저감화 및 처분 적합화 방안 확보 ■ 난처리성 점토/실트 처리 기술 확보, 국내환경에 적합한 현장형 지하수 복원 기술과 삼중수소 제거 원천기술 확보 (출처 : 요약문 6p)
    • 연구책임자 : 서범경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연구원
    • 발행년도 : 20200100
    • Keyword : 1. 특성평가;제염;원격절단;폐기물;부지 환경복원; 2. radiological characterization;decontamination;remote cutting;waste;site remediation;
  • 11383

    2020.02.29

    ⦁ 폐섬유화에 대한 원인 및 치료 타겟을 연구하기 위해서는 임상적 의미가 있는 폐섬유화를 재현하는 소동물 모델이 반드시 필요하며 특히 방사선에 의해 유도된 폐섬유화의 경우 임상적 폐섬유화와 병리적 유사성이 아주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음. ⦁ 지금까지 소동물에 대한 방사선조사 연구는 최근 임상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임상 상황, 즉고선량 소분할 방사선을 특정 장기의 국소 부위에 조사하는 것과는 달리 소동물 전신을 조사하는 경우가 많았었고, 그나마 특정 장기를 조사할 경우 미세한 방사선조사가 힘들었음. ⦁ 본 연구팀은 국내에서 처음으로 임상적 유사성을 가지는 방사선 폐 섬유화를 재현하는 소동물 모델을 구축하여 폐섬유화의 기전 및 타겟발굴을 위한 최적의 요건을 갖추고 있을 뿐 아니라 폐섬유화의 새로운 타겟 발굴 및 약물개발을 위한 핵심적인 전임상 연구 기반을 확보하고 있음. ⦁ 또한 방사선 폐섬유화의 진단 및 치료가 가능한 나노입자를 개발하고 이를 동물 모델에서 평가하여 방사선 유래성 폐질환에 적용 가능한 테라노스틱 기술을 개발함은 현재 비침습적 페섬유화 진단이 거의 전무한 임상적 상황을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됨.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제3세부에서 구축한 영상유도 미세방사선조사 조사시스템을 이용하여 본 제1세부과제에서는 폐섬유화 진단 및 치료 타겟을 발굴하고 이의 임상 유용성을 검증하였고 제2세부에서는 이미징 기술 및 나노전달기술을 이용하여 발굴한 타겟의 타당성을 규명하였음. (출처 : 보고서 요약서 3p)
    • 연구책임자 : 이윤실
    • 주관연구기관 : 이화여자대학교
    • 발행년도 : 20200300
    • Keyword : 1. 방사선폐섬유화;기전;임상적유용성;타겟;테라노스틱;동물모델;이미지;폐조직특이적 전달; 2. Radiation-induced lung fibrosis;Mechanisms;Interactome;Targets;Clinical efficiency;Diagnosis and Therapy;
  • 11382

    2020.02.29

    방사선조사에 반응하는 다양한 생체 현상 중 장내미생물의 분포와 그 종류의 변화는 방사선조사 후 나타나는 병리학적 현상들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음. 방사선조사가 유도하는 생체 내 장내미생물의 역할 및 기능변화가 장 조직과 면역체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를 시행하였음. 메타지노믹 분석결과를 통해 방사선조사 후 장내미생물 구성이 급격히 변화했다가 다시 원래의 구성 상태로 돌아오는 경향이 있음을 관찰하였고 이 분석을 통해 방사선 저항성, 민감성 장내미생물 프로파일링을 하였음. 방사선조사가 유도한 장내 병리학적 현상, 장내 미생물 조성변화, 면역체계의 변화 등을 상호 비교 분석한 결과를 확보하였음. 방사선조사에 직접적으로 노출되어 반응을 하는 세포 중 장 상피세포는 외부장벽으로서의 역할과 동시에 장내미생물들과 지속적인 소통을 함. 방사선조사에 의해 손상된 장 상피세포의 기능변화에 대한 연구와 장내미생물을 활용하여 방사선조사로 인한 손상 회복 기전 연구를 면밀히 수행하였음. 이런 결과들은 방사선조사에 반응하는 생체 현상들을 관찰한 기초 과학에 근거한 결과로서 안전한 생체 적용 방사선 기술개발에 기반으로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함. (출처 : 보고서 요약서 3p)
    • 연구책임자 : 이윤경
    • 주관연구기관 : 순천향대학교
    • 발행년도 : 20200300
    • Keyword : 1. 방사선조사;장내미생물;장내미생물 조성변화;장 상피세포;면역세포; 2. Irradiation;Intestinal Microbiota;Dysbiosis;Intestinal Epithelial Cells;Immune Cel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