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Report

All 12,453 Page 96/1,246

검색
  • 11503

    2020.12.31

    본 과제는 美 정부·의회·학계·연구계·산업계·싱크탱크 등을 대상으로 세미나 개최, 미디어 소통, 공동 정책연구 등 다각적인 대미 활동을 추진하여 주요 인사들과의 우호적 인적 네트워크를 구축하였다. 지속적인 대미 활동을 통해 美 하원 의원, 원자력 정책 전문가 등 4인을 지한파 인사로 발굴하였다. 발굴된 기존 지한파 인사들이 대통령 특보, NSC 원자력 정책 국장, 백악관 과학기술정책실 선임자문 등 백악관 핵심인사로 입각한바, 이들과의 네트워크를 통해 원자력 고위급위원회(HLBC), 원자력연료주기공동연구(JFCS), 원전 수출 등 협력 현안을 선제적으로 파악하고 해결 방향을 모색하였다. 한미간 원자력 민간 대화채널 구축 및 국내 전문가의 대미 네트워크 참여 확대를 위한 한·미·일 다자대화 및 대외(Outreach) 활동도 추진되었다. 워싱턴 D.C. 파견을 통해 미국의 SMR 및 선진원자로 개발, 원자력 R&D 예산 변화, 원자력산업·기술 경쟁우위 회복 전략, 후행핵연료주기 기술옵션 검토 등 미국 내 핵심 현안 정보를 수집하고 한미 협력에의 영향을 분석하여 우리 정부관계자 등의 이해 증진에 기여하였다. 본 과제는 우리 정부협의체에 정책·기술 자문을 지속 제공하여 정부 관계자가 교체되는 가운데에서도 양자 채널의 추진동력을 유지하였다. 특히, 한미 원자력협력 환경 변화에 따라 지연되던 HLBC 제2차 전체회의 및 화상회의 개최를 지원하고, JFCS 보고서 발간 등 대미 협의를 지원하였다. 한미 간 전략적 파트너십 구축에 기여 가능한 협력 프로그램으로 한미 간 다목적고속시험로(VTR) 협력 및 사용후핵연료 관리 분야 협력을 발굴하여 새로운 협력 기회를 창출하였다. 사용후핵연료 관리 분야 신규 협력 사업으로 발굴된 ‘고방사선환경 취급 및 안전성 강화 혁신기술 개발’은 착수 준비 중이다. (출처 : 서지정보양식 101p)
    • 연구책임자 : 김경표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연구원
    • 발행년도 : 20210100
    • Keyword : 1. 원자력;한미 원자력 협력;인적 네트워크;한미 협력협의채널;연구개발 협력; 2. Nuclear energy;ROK-US nuclear energy cooperation;Human network;ROK-US cooperation/consultation channel;R&D Cooperation;
  • 11502

    2021.05.31

    □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 최종 목표 : 자외선에 의한 주름생성에서 NOXs와 MMPs의 상호작용 ■ 전체 내용 : 자외선에 의한 주름생성에서 NOXs와 MMPs의 상호작용에 대해 연구하고자 함. □ 연구개발성과 피부노화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진 활성산소를 생산하는 중요 인자인 NADPH oxidase(NOX)가 피부 기질을 붕괴하는 효소인 MMP 조절에 대한 세부적인 작용기전을 제시 함으로 의미 있는 연구 성과로 여겨진다. NADPH oxidase는 여러타입이 세포내에 존재하는데 그 역할이 정확히 잘 알려져 있지 않다. 따라서, MMPs 조절 NOXs의 구체적인 조절확인은 한 단계 더 나아가 UV에 의한 피부 노화를 이해하는데 공헌할 것으로 사료됨. NOX 타입별 MMP 억제 차이를 확인함에 따라, NOX의 각 타입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져 각 타입 단백질에 특이적으로 결합하여 단백질의 활성을 억제할 수 있는 구조의 합성 물질을 개발하는 연구도 더 활발해 질 것으로 사료됨. □ 연구개발성과 활용계획 및 기대 효과 피부세포내에서 새로운 MMP 조절 단백질의 발굴을 통하여 MMP 조절에 대한 새로운 작용기전을 제시하는데 그치지 않고, 3D 피부 모델을 이용한 실험들은 동물 대체 실험의 의미를 가지는데 있어 더욱 체계적이고 의미 있는 연구 성과가 이루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따라서, MMPs 조절 단백질의 발굴은 한 단계 더 나아가 UV에 의한 피부노화를 이해하는데 공헌할 것으로 사료됨. NADPH oxidase를 조절함으로써 피부 광노화 억제를 확임함에 따라, NADPH oxidase의 활성산소 발생에 대한 연구가 더 체계적으로 이루어져 활성산소 억제에 의한 피부 노화 방지에 대한 연구도 더 활발해 질 것으로 사료됨. (출처 :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노은미
    • 주관연구기관 : 원광대학교
    • 발행년도 : 20210600
    • Keyword : 1. 피부광노화;자외선조사;기질단백분해효소;NADPH 산화효소; 2. skin photoaging;ultraviolet radiation;matrix metalloproteinase;NADPH oxidase;
  • 11501

    2020.05.06

    1. 서론

    대사체학(metabolomics)은 생체 시스템에서 생화학적 반응의 복잡한 네트워크의 결과물을 반영하며, 세포 및 유기체 대사로부터 유래된 저분자물질들을 연구하는 분야이다. 이런 이유 때문에 대사체학을 “omics of the small molecules”라고도 한다. 사실, 대사체들은 genomic, transcriptomic, proteomic 변화의 하류에 위치한 가장 안정적인 마커이다. 그래서 대사체 변화가 상류 수준에서 일어나는 genomic, transcriptomic, proteomic 변화보다 더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그러므로 어떤 새로운 항상성 상태 또는 비항상성 상태에 대한 생명체의 적응에 대한 빠른 마커이다.[1]

    현대 건강 및 의과학 연구에서 high-resolution 1H nuclear magnetic resonance(NMR) spectroscopy와 MS 같은 분석 방법을 이용한 대사체학 기법들이 암 또는 다양한 만성질환 같은 주요한 질병들에 대해 새로운 진단 및 예후 검사를 위한 혁신적인 도구로 활용되고 있으며, 또한 신약 개발, 영양과학, 독성학 및 법과학 등을 포함한 다양한 분야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2]
    또한 대사체학은 혈액, 뇨, 타액, 땀 같은 다양하면서도 쉽게 접근 가능한 생물학적 시료를 이용하기 때문에, 분석 비용과 분석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점이 장점 중에 하나이며, mass spectrometry(MS) 같은 분석 플랫폼을 사용할 경우, 대량의 시료를 분석할 수 있다는 점도 장점으로 볼 수 있다.[3] 아울러 몇 가지 대사 경로가 질병 상태의 세포에서 up- 또는 down-regulated되므로, 대사체학 분석을 통해 건강한 상태 및 질병 상태를 민감하게 측정하여 정성 및 정량 분석이 가능하다. 현재 대규모 대사체학 연구가 분자역학, 정밀의학 및 genome-wide association studies with metabolomics(mGWAS) 같은 분야에 광범위하게 적용되고 있는 상황이다. 그러므로 대사체 변화 정보가 다양한 질병의 잠재적인 위험성을 발굴하고 확인하는 데 유용한 바이오마커가 될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 대사체학이 개인 맞춤의학을 실현하는 데 필수 불가결한 분야가 될 것이다.[4]

    본 보고서에서는 대사체학에 기반한 질병 진단을 위한 바이오마커 발굴 및 임상 적용 등 최근 연구 동향에 대해서 다루고자 한다.

    ** 원문은 파일 다운받기를 해주세요 :-)
     
    • 연구책임자 : 이상후
    • 주관연구기관 :
    • 발행년도 : 20200506
    • Keyword :
  • 11500

    2019.12.31

    원전 사고로 인해 환경으로 방사성물질 방출 시, 지역주민 보호와 방사성 오염제염 등을 위해서는 신속한 방사성물질 거동 파악이 필요함. 이에 본 연구에서 중대사고를 포함하여 원전에서 방사성물질 방출 사고 발생 시 방사성물질 거동과 인근 토양 오염 여부를 즉각 감지할 수 있는 무선 감시시스템을 개발함.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무선통신을 적용한 방사능 측정 기술 조사·분석, △최적 기술 적용 무선 감시시스템의 회로부 상세 개념 설계 △무선 감시시스템 및 소프트웨어 제작 △무선 감시시스템 시작품 제작 및 성능 평가 △구축된 무선 네트워크 감시시스템 성능 및 현장 적용성 평가 △현장 적용성 평가 결과를 토대로 무선 네트워크 감시시스템 최적화를 수행함. 본 무선감시시스템은 사고 초기에는 주민 대피/소개에, 사고 복구단계에서는 사고 원전 주변 지역 방사성오염 실태 파악에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함. (출처 : 보고서 요약서 3p)
    • 연구책임자 : 문주현
    • 주관연구기관 : 단국대학교
    • 발행년도 : 20200100
    • Keyword : 1. 방사성물질 방출 사고;무선 방사능 측정;방사능운;무인시스템;원자력 사고관리; 2. Radioactive material release accidents;Wireless radioactivity measurement;Radioactive plume;Automated operation system;Nuclear accident management;
  • 11499

    2019.12.31

    본 과제는 가동원전에서 잠재적인 재료열화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원천기술 개발을 주목적으로 하고 있음. 고온고압의 1,2차 수환경 및 방사선환경에서 구조재료의 열화특성을 연구하기 위하여 최신의 실험 및 이론 기법을 적용함으로써 국내는 물론 세계에서도 주목받는 최초의 연구 성과를 다수 내었을 뿐 아니라,이를 바탕으로 국내 원전산업체들과 직접적인기술협력/기술지원 성과도 도출하였음. 국내외 학술지연구논문(SCI) 게재와 국내외 특허 등록 등 정량적인 연구 성과 이외에도,다수의 국내 원전산업체 기술지원 실적을 통해, 본 연구과제가 학술적인우수성 과 동시에 산업적인 적용성도 동시에 가지는 탁월한 성과를 보였음. 기존 기술의 답습을 벗어나 독창적인 차별화된 연구를 지향하여 재료열화 평가 신기술을 개발하고,타 분야의 첨단 분석기술, 미소시편 측정기술을 응용한 특성평가기술 개발을 통해 복합인자에 의해 발생하는 재료열화 현상의 종합적 대처능력 강화 분야에서 중요한 성과를 이룩함. (출처 : 보고서 요약서 3p)
    • 연구책임자 : 이봉상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연구원
    • 발행년도 : 20200100
    • Keyword : 1. 원전재료 열화;부식손상;조사손상;검사신뢰도;부착완화; 2. Nuclear materials degradation;Corrosion degradation;Irradiation degradation;Diagnosis reliability;Deposition mitigation;
  • 11498

    2019.12.31

    본 연구과제에서는 인간 냉동 기증제대혈 유래 조혈모세포를 이용하여 인간화 생쥐 모델을 구축하고 나아가 HLA 일치/불일치 인간화 생쥐 모델을 확립하여 그 인간 면역세포의 생착과 분화능력을 분석함. 동형접합 체세포복제배아줄기세포를 중심으로 삼배엽성분화세포들로의 분화 방법을 확보하고, HLA 일치/불일치에 따른 동형접합 체세포복제배아줄기세포 유래 중간엽줄기세포및 골세포의 면역원성을 in vitro/in vivo에서 확인함. 골분화 및 신경분화에 과정에서 작용하는 분화 유도/억제인자를 탐색하여 고기능성 나노전달체를 이용하여 줄기세포에 전달하고, 이를 통해 효율적인 분화유도 방법을 개발하고 기능이 강화된 줄기세포를 제작함. 면역성이 제어된 범용 줄기세포를 만들고자 B2M,CIITA 유전자 KO 벡터를 제작하고, 전분화능 줄기세포에 적용하여 B2M KO-NT6 세포주 2clone, HLA B-KO-NT4 세포주 3 clone을 제작함. (출처 : 요약서 3p)
    • 연구책임자 : 이동율
    • 주관연구기관 : 차의과학대학교
    • 발행년도 : 20200100
    • Keyword : 1. HLA 동형접합 전분화능줄기세포;인간화 생쥐;면역적합성;고 기능성 전달체;HLA 유전자 조작; 2. HLA homozygous human pluripotent stem cells;humanized mice;immune compatibility;high performance scaffold;modification of HLA genes;
  • 11497

    2020.02.29

    □ 연구 개요 < 최종목표 > 단속평형 진화모델에서 염색체 불안정성을 조절하는 췌장암 특이적 핵심 유전자 발굴 및 기전규명에 관한 연구. ▶ 암은 국내를 비롯한 대부분의 선진국에서 사망 1위인 질명으로, 국민의 건강을 위협하는 대표 질환임. 특히 췌장암 환자의 45%가 다배체화(polyploidization)과 관련이 있고, 염색체 파열(chromothripsis) 현상이 보였고 이로 인해 유전자의 손실과 이득이 생기며 단속평형(punctuated equilibrium)적인 진행과정을 거치게 됨. 따라서 췌장암 성공적인 암 치료를 위해서는 췌장암의 punctuated equilibrium에 관여하는 조절 유전자를 발굴하고 암의 계속분열(mitotic catastrophe)과정과 다배체화(polyploidization)의 원인이 되는 특이적 유전자를 동정하여 그 기능을 밝히는 것이 중요함. □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 연구목표 1 > 세포분열 조절이상과 염색체 불안정성 원인이 되는 핵심 유전자 발굴 ■ 췌장암에서 chromosome instability(CIN) 및 chromothripsis와 관련된 유전자 발굴 ○ 췌장암 환자에서 특이적 조절유전자의 발현, 임상적 의의 분석 및 세포주에서 검증. - 결과: 췌장암 환자(TCGA data) 및 세포주에서 증가 되어 있는 CIN 관련 유전자 3개를 선정함: NCAPH, CDC6, Zwint-1 ■ 췌장암 특이적 조절유전자가 세포증식 및 세포 사멸에 미치는 영향 분석. ○ 췌장암의 세포증식에 미치는 영향 측정: 콜로니-형성를 이용한 세포증식 능력 및 FACS와 Annexin V를 이용하여 세포사멸에 미치는 영향 측정. - 결과: NCAPH의 조절이 췌장암 세포증식을 억제하고 caspase-3 dependent pathway를 통해서 세포사멸이 증가됨을 확인하였고, Z-VAD-Fmk (pan-caspase 억제제)를 이용하여 다시 한 번 증명함. - 결과: 췌장암 세포에서 Zwint-1의 억제가 NF-κB의 인산화를 억제하고 NF-κB target 단백질의 발현을 조절함. < 연구목표 2 > 췌장암 세포의 증식 및 전이 능력에 특이적 변화를 보이는 유전자의 역할 규명 ■ 췌장암 특이적 조절유전자의 조절이 세포분열(mitosis)의 조절이상과 CIN에 미치는 영향 분석 ○ 세포분열에 미치는 영향 측정 : FACS, 염색체 확산 분석(chromosome segregation) 그리고 mitosis 관련 유전자 변화 측정. Pericentrin을 이용하여 중심체(centrosome)의 개수를 측정. - 결과: NCAPH와 Zwint-1의 억제는 S/G₂-M arrest 및 Cyclin A와 p-Histone H3의 발현을 증가시키고, 비정상적으로 segmentation 되어있는 chromosome morphology를 관찰함. - 결과: 췌장암 세포에서 CDC6의 억제는 중심체 개수의 증가로 비정상적 mitosis를 거쳐 G₂-M arrest가 일어남을 확인함. ■ 핵심 유전자의 변형이 chromosome integrity에 미치는 영향 확인 ○ Chromosome integrity에 미치는 영향 측정: Thymidine double block 후 염색체 확산 분석하여 측정. alpa-tubulin을 이용하여 anaphase 과정을 측정. - 결과: NCAPH가 poorly condensed chromosome에서 mature condensed chromosome으로 진행되는데 핵심적인 역할을 함을 증명함. - 결과: CDC6와 Zwint-1이 정상적 chromosome segregation에 필수적임을 증명함. ■ 핵심 유전자의 변형이 DNA 손상에 미치는 영향 확인 ○ DNA 손상에 미치는 영향 측정: p-H2AX의 발현의 차이를 측정, 관련 signaling pathway의 규명. - 결과: NCAPH의 억제가 DNA 손상을 높이고, Chk1/Chk2 signaling pathway를 통해서 증가됨을 확인하고 ATM 억제제를 이용하여 다시 한 번 증명함. < 연구목표 3 > 췌장암에서 핵심 유전자의 조절 기전 규명 ■ 핵심유전자의 항체 및 tagging vector를 제작하여 관련 단백질 선정 및 검증 ○ 췌장암 특정 유전자를 Flag 또는 GST tagged vector로 제작하여 타깃 유전자와의 결합을 규명: Immunoprecipitation 방법을 이용. - 결과: NCAPH가 Holliday junction 5' flap endonuclease인 GEN1과 G₂-M phase에서 chromatin에서 결합이 증가됨을 확인함. ■ 결합 단백질들과의 관계를 규명하고 핵심유전자의 역할을 규명 ○ 타깃 유전자의 발현 및 위치화에 미치는 영향 규명: 세포면역염색법과 chromosome, nuclear 그리고 chromatin을 분리하여 발현 확인. - 결과: NCAPH와 GEN1이 DNA 손상에서 결합이 증가됨을 증명하였고, 췌장암 특정 유전자의 조절이 타깃 유전자의 위치화(localization)에 관여함을 증명함. □ 연구개발 결과의 중요성 ▶ 췌장암의 발달과정의 규명과 응용을 통한 학문적 수월성 확보 및 기초 연구의 중요성을 제시. ▶ 췌장암 특이적 조절유전자의 발굴 및 분자 기전 연구에 관한 총체적 집중 연구는 해당 질환의 기초 기전 및 질환기작 규명의 비약적 발전은 물론 이들로 인한 혁신적 의료관리 체제를 구축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국가 의료·바이오 기술의 경쟁력을 향상시킴. ▶ 신물질의 탐색으로 인한 새로운 항암분자표적 발굴의 가능성 제시.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김재형
    • 주관연구기관 : 분당서울대학교병원
    • 발행년도 : 20200300
    • Keyword : 췌장암;단속평형진화;염색체 불안정성;염색체 파열;다배체화;세포분열;세포전이;
  • 11496

    2020.01.31

    정밀의료를 위한 임상시험 활성화 본 사업을 통해 연구자주도임상연구를 지원함으로써 연구수행환경을 개선하고 임상연구 활성화에 기여하였음. 방사선의학 기반 정밀의료 구현을 위해서는 임상시험팀의 활성화는 꼭 필요하며 이를 바탕으로 연구소 중심의 기초 중개연구자와 병원중심의 임상적 적용의 공동 연구 플랫폼 구축을 제안하고자 함. (출처 : 요약서 7p) 환자유래 오가노이드-유전체 임상연계 통합시스템 개발 1. 대장직장암 환자유래 오가노이드 기반 유전정보-임상 연계형 방사선치료 평가 플랫폼 구축 ○ 환자유래직장암 오가노이드를 이용한 수술전 항암방사선 치료반응 예측모델 연구 ○ 대장직장암 환자 유래 오가노이드-유전체정보-임상데이타 통합시스템 구축 2. 환자유래 오가노이드 기반 질병연구 및 신약개발 모델 구축 및 검증 ○ 방사선손상제어를 위한 후보물질 도출 및 유효성 평가 3. 환자유래 오가노이드 제작 및 배양기술 개발 ○ 대장 오가노이드 안정화 및 대량증식을 위한 기술개발 ○ 간오가노이드 제작 ○ 전이부위 암 유래 오가노이드 제작 (출처 : 요약서 30p) 환자중심 방사선유전체 임상정보 통합 라이브러리 개발 - 대장암 환자의 의료 영상 이용 딥러닝 기반 Radiomics 분석, 성능 향상 (AUC 0.9653) 및 임상정보 통합 라이브러리 구축 확대 - 수술 받은 간암 환자의 임상정보, MR 영상 통합 라이브러리 구축 완료, 간암 Genomics 분석을 위해 인체자원은행에 보관 중인 조직 선별 완료 - 수술 받은 지방육종 환자의 임상정보, MR 영상 통합 라이브러리 구축 완료 - 갑상선암에 대한 Radiomics 연구 결과를 해외학회에 발표하고, 논문을 Submission - Radiomics 분석 결과와 임상정보를 연계하여 라이브러리 구축 및 임상 연구 수행 - Fibrosarcoma 이종이식 동물모델을 이용하여 CT 영상 분석 전임상 연구 수행 - 산/학/연 분야의 파트너들과 머신러닝/영상분석 관련 기술협력 지속 (출처 : 요약서 46p) 정밀의료를 위한 방사선 관련 인체자원 확보 < 사업 목표 > ○ 방사선의학 임상·중개연구에 필요한 특화된 인체자원은행 운영 ○ 국내 법·규정과 국제 표준에 맞는 인체자원은행 시스템 구축을 통해 방사선의학 임상·중개연구 수월성 제고 ○ 인체자원은행 시스템 고도화 및 이용 활성화를 위한 R&D 수행 < 사업 내용 > 1. 자원의 수집, 질 관리, 분양 및 분양 성과물 1) 자원 수집 : 방사선작업종사자 24명, 방사선치료암환자 144명분을 포함한 3,403명의 18,791vial의 검체(혈액 16,219vial, 조직 2,572vial)를 수집함 2) 자원 질 관리 : 국제(ISBER PT program) 및 국내(질병관리본부 주최) 외부 정도관리 프로그램에 참가하여 인체자원 제작 및 질 관리 능력을 인정받았고, 인체자원은행 표준운영지침서에 따라 내부 질 관리를 4회 수행함 3) 자원 분양 : 10건의 R&D 연구과제에 822명분 972vial의 검체를 분양함 4) 분양 성과물 : 분양된 자원의 활용 성과물로 논문 4편이 생산됨 2. 은행 활동 1) 잔여혈액검체 수집 및 입고 절차 신설 2) 인체자원은행정보관리시스템(Human Biobank Information System; HuBIS_Sam) 업데이트 3) 임상연구심의위원회(IRB)에 인체자원은행 운영 보고 4) 직원 교육 지원 :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교육 및 개인정보보호 교육 (8회) 5) 인체자원은행 운영에 따른 조사 및 점검 (출처 : 요약서 117p) 정위방사선치료 임상 최적화 기술 개발 국내 최초로 본원에 설치, 운영되고 있는 로봇을 이용한 정위방사선 치료장비인 사이버나이프가 노후화됨에 따라, 본 사업을 통해 정위방사선 치료의 축적된 기술의 향상과 암 치료 효과 증진을 위한 로봇치료 최적화 기술개발 및 국외 기술 이전을 통한 기술 선진화 및 국제교육 활성화 등에 기여하고자 함. ○ 노후장비 교체(3세대→ 4세대 사이버나이프)를 통한 정위방사선치료 원천기술의 계승 및 발전 기반 확보 - 신규 로봇 정위방사선 치료장비의 이용 효율화 및 최적화 강화 ○ 폴리우레탄 및 방사선 변색 염료를 이용한 3차원 선량계 개발 - 관련 연구 결과 해외학회 논문 발표 2건 : - 65th Radiation Research Society (USA, 2019.11) - 14th Asia-Pacific Physics Conference (Malaysia, 2019.11) ○ 사이버나이프 기술 이전 및 국제교육체재 활성화 방안 확립 - 아시아지역 국제협력 초청 SBRT(체부정위방사선치료) 연수 교육 실시 (말레이시아 국립암센터, 2019.05.20~05.24) - IAEA/TC Enhancing Conformal Radiation Therapy & Stereotactic Body Radiation Therapy 1차 연수교육 (몽골 국립암센터, 2019.09.03~2019.09.27) - IAEA/RCA 연계 국제협력 초청 SBRT/IMRT 1차 연수교육 실시 (태국, 2019.10.07~2019.12.26) - IAEA/RCA 6085, Enhancing Stereotactic Body Radiation Therapy for Frecquent Cancers in the RCA Region, Project Final Meeting (미얀마 양곤, 2019.11.04~2019.11.08) - AESN/RCARO/KIRAMS TTC, 아세안 방사선치료 국제연수교육 (본원, 아세안 동남아 10 개국 20명,2019.11.11~11.15) - IAEA/RCA 연계 국제협력 초청 SBRT/IMRT 2차 연수교육 실시 (베트남 108병원, 2019.12.09~2019.12.13) (출처 : 요약서 146p) 과학기술특성화병원 기반 기초/임상연구 연계 육종 치료기술개발 육종암줄기세포 분리시스템 구축 1. 골육종 환자 및 지방육종 환자의 조직으로부터 육종암줄기세포 분리 시스템 구축. 상용 육종암세포주 이용 타겟 후보 규명 1. 육종암 세포주에서 CXCR4 발현 양상 확인 2. 척색종세포에서 CXCR4 발현과 종양줄기세포적 특성과의 상관관계 규명 3. 골육종 세포주에서 CXCR4 발현과 방사선 저항성과의 상관관계 규명 4. 지방육종 세포주에서 CXCR4 발현과 방사선 저항성과의 상관관계 규명 방사선 내성 육종암 세포주 구축 1. 지방육종세포인 SW872 세포주를 이용하여 방사선 내성 세포주 구축 2. CXCR4 발현 변화 확인 및 방사선 저항성 변화 확인 신개념 방사선치료법 개발(초/고선량율 방사선치료(FLASH RT)) 기초 연구 1. 방사선조사장치 조사선량율 분석(양성자, X-선, 전자선) 2. 방사선치료기의 초고선량율(ultra-high dose rate) 조사장치료 개조 3. X-선 조사선량율(10배)에 따른 clonogenic survival assay (출처 : 요약서 188p)
    • 연구책임자 : 김동호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의학원
    • 발행년도 : 20200200
    • Keyword : 1. 방사선의학;정밀의학;연구자주도임상연구;임상연구;오가노이드;임상시험;방사선치료;대장암;방사선 손상제어;방사선유전체;라디오믹스;대장암;간암;지방육종;정밀의료;딥러닝;방사선;바이오뱅크;인체자원;정밀의료;정도관리;정위방사선치료;고정밀 3차원 선량계;국제교육센터;육종암;육종암줄기세포;방사선저항성;초/고선량 방사선 치료; 2. Radiology;Clinical Precision Medicine;Investigator-Initiated Trial;Clinical Research;Organoid;Clinical trial;Radiotherapy;Colon cancer;Radiation protection;RadioGenome;Radiomics;Colorectal cancer;Liver cancer;Liposarcoma;Precision medicine;Deep learning;Radiation;Biobank;Human biospecimen;Precision medicine;Quality control;Stereotactic Radiotherapy;High precision three-dimensional dosimeter;International Education Center;Sarcoma. Sarcoma stem cell;CXCR4;Radioresistance. FLASH RT;
  • 11495

    2020.01.31

    □ 채취 훈련 ○ 3개 시설을 대상으로 채취 훈련을 통해 채취한 85개 시료를 CSS로 스크리닝 함. MMXRF 고장으로 금년 채취 시료를 대상으로 한 정밀입자분석은 별도로 시행하지 않음 □ 분석 역량 강화 ○ 스크리닝-정밀 입자분석 간 연계를 위해 입자분석 의뢰기준, 입자 회수 효용성 확보방안 수립 ○ 정밀 총량 분석 단계에서 기존의 산전처리 방식으로 용해시킬 수 없는 시료를 용해하는 방안의 도입 □ 해석 역량 강화 ○ 한전원자력연료의 주요측정지점별 베이스라인 구축을 통한 추후 미신고 핵활동 비교기준 수립 ○ 에어로졸 발생장치를 이용한 우라늄 입자시료 제작 기반과 SEM-EDS를 이용한 검증 기반 마련 □ 2019 특이성과 ○ 캐나다 원자력안전위원회의 UOC 교차분석 프로그램 참가하여 우라늄 광물 분석 역량 강화 ○ 2020년 실험실 이전에 대비하여 실험실 동선 설계 (출처 : 초록 3p)
    • 연구책임자 : 서하나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통제기술원
    • 발행년도 : 20200200
    • Keyword : 1. 환경시료;시료분석;감마분광분석장비;알파분광분석장비; 2. Environmental Sampling;Sample Analysis;Ga mma Spectrometry;Alpha spectrometry;MMXRF;
  • 11494

    2019.12.31

    첨단 장비와 통계기법을 활용하여 대사물질 분석을 통해 인체에 유해한 영향을 주는 오염/노출 물질들에 대한 안정성 평가 분석 기술을 개발함. 니트로사민, 프탈레이트, PAHs 류 등 인체 유해물질 자체에 대한 정성 및 정량 분석기술을 개발함. 이와 같은 물질 오염/노출에 의한 인체와 생체 영향 평가를 위한 분석법 개발을 통해 식품/식물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 평가 기술을 개발하였으며 세포 및 동물모델을 활용하여 방사선 조사, 스트레스 환경, 환경호르몬 노출, 바이러스 노출 등의 생체 독성/영향과 대사변화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음. 이를 통해, 유해성 평가의 대사지표 물질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음. (출처 : 요약서 3p)
    • 연구책임자 : 황금숙
    • 주관연구기관 :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 발행년도 : 20200100
    • Keyword : 1. 대사체학;유해물질;유해성 평가;핵자기공명분광기;질량분석기; 2. metabolomics;hazardous substances;risk assessment;nuclear Magnetic Resonance;mass spectromet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