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Report

All 12,382 Page 88/1,239

검색
  • 11512

    2020.12.31

    ○ 목적 : 원자력발전소 도입에 앞서 인프라 구축과 인적 자원 개발을 목표로 연구용 원자로 도입을 추진하고 있는 케냐 원자력청(NUPEA, NUclear Power & Energy Agency)의 연구용 원자로 사업 타당성 연구 수행을 지원함 ○ 연구 내용 - NUPEA가 도입하려는 연구로의 요건을 확인함. - 연구로 사업 타당성 연구를 위한 연구로 개념 설정을 지원함 - 연구로 요건과 연구로 개념을 활용한 경제성 평가 모델을 제시함 - IAEA의 연구로 사업 타당성 연구 보고서 작성 가이드를 활용하여 타당성 연구 보고서 작성을 지원함. ○ 결과의 활용 - 케냐는 타당성 연구 결과를 활용하여 사업 시행 여부를 결정하고 이후 연구로 건설 사업을 발주할 예정임. - 타당성 연구에 대한 기술 지원을 통한 협력 기반 강화는 향후 건설 사업 수주에 도움이 될 것임. - 연구로 분야 협력 강화는 향후 발전로 분야 관계 증진에도 기여할 것임. (출처 : 보고서 요약서 5p)
    • 연구책임자 : 임인철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연구원
    • 발행년도 : 20210100
    • Keyword : 1. 연구로;타당성 연구;케냐 원자력청;개념 설정;경제성 평가; 2. Research reactor;feasibility study;Kenya Nuclear Power & Energy Agency;reactor concept;economic analysis;
  • 11511

    2020.12.31

    공학적방벽 복합거동 검증기술 개발을 위해 수행한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 KURT 기반 공학적방벽 열-수리-역학 복합거동특성 규명 현장시험(In-DEBS)으로부터 국내 결정질암반에서의 THM 측정자료 DB를 구축하고 중장기적 운영 기반을 마련하였다. • 처분시스템 성능 현장 검증 및 모델 구축에 필요한 공학적방벽 완충재의 복합물성 평가 기반을 구축하였다. • 공학적방벽 완충재로써의 국내산 Ca-벤토나이트 블록의 복합물성 특성을 규명하고 이들의 열-수리 상관관계 모델을 제시하였다. • 공학적방벽-근계암반의 역학적 거동 평가기술을 개발하였으며 역학적 거동과 손상도의 상관관계를 규명하였다. • 공학적방벽 THM 복합거동 진화모델 및 기체압력을 고려한 HM 해석 모델을 개발하였다. • 국제공동연구를 통해 개발한 공학적방벽 THM 복합거동 해석 모델과 기체압력을 고려한 HM 해석 모델의 현장 적용성을 검증하였다. • 공학적방벽 THM 복합거동 해석 모델에 공학규모 EBS 현장 시험(In-DEBS) DB를 입력자료로 이용하여 KURT 기반 처분시스템 THM 복합거동을 평가하였다. • 처분환경 진화과정에서 예상되는 처분시스템 근계영역에서의 처분공 간 THM 복합거동 간섭현상을 시험하기 위한 다중 처분공 간섭현상 현장시험(In-DEBS-M) 개념을 개발하고 개념 설계(안)을 제시하였다. (출처 : 서지정보양식 464p)
    • 연구책임자 : 김건영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연구원
    • 발행년도 : 20210100
    • Keyword : 1. 처분시스템;심층처분;지하연구시설;공학적방벽;열-수리-역학 복합거동;THM 진화 모델;완충재;벤토나이트;지하처분연구시설;열-수리-역학적 거동;성능 검증; 2. Repository system;Deep geological disposal;URL;Engineered barrier;THM coupled behavior;THM evolution model;Buffer;Bentonite;In-DEBS;KURT;KAERI underground research facility(KURT);Thermal-Hydrological-Me chanical coupled behavior;Performance verification;
  • 11510

    2021.01.31

    3D 프린팅 기술을 원전 부품제작에 아용하기 위해서는 제조한 소재의 건전성 및 원전환경 적용성 평가가 선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원자력 부품소재 가운데 널리 사용되는 스테인리스강 및 코발트 합금을 3D 프린팅 장치로 제작하고, 그 소재의 미세조직 및 기계적 물성을 평가하였다. 원자로 제어봉의 동작을 안내하는 가이드 카드의 주요 소재인 스테인리스강 304L 및 제어봉구동장치 부품소재인 코발트 합금을 대상으로 생산한 물성자료 가운데 중요한 결과를 다음과 같이 요약한다. • 두 가지 3D 금속 프린팅 (PBF, DED) 방식으로 제작한 스테인리스강 304L 특성을 비교·평가하여, DED 방식으로 제작한 소재의 우수한 기계적 물성(인장 및 내마모)과 조사 저항성(내방사선)을 확인하였다. • 3D 프린팅 소재에서 발생하는 균열 및 공극의 최소화를 위하여 프린팅 공정 조건의 최적화를 수행하였으며 결함을 제거하는 방법으로 후처리 가공기술도 평가하였다. PBF 방식의 프린팅 장치를 이용하여 축소된 노심부품 (가이드카드) 시제품을 제작하였다. • 대상소재(스테인리스강 304L 및 Haynes 25)는 제어봉구동장치와 관련된 소재로 마모 특성이 중요하다. 부품 적합성 평가에 활용할 목적으로 ASTM 기술기준에 따른 Pin-on-disk 마모시험을 수행하여 3D 프린팅 제작 소재의 우수한 내마모 특성을 확인하였다. • 3D 프린팅 소재의 원전 적용을 위해서는 방사선 조사시험으로 소재의 손상거동 평가가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호주 ANSTO 기관과 공동으로 헬륨 이온조사 시험을 수행하여 조사특성 평가자료를 생산하였다. 특히 이온조사 시편의 얇은 손상층에서 미소시험편을 정밀 가공하여 기계적 특성을 평가하였다. (출처 : 서지정보양식 - 초록 89p)
    • 연구책임자 : 권준현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연구원
    • 발행년도 : 20210200
    • Keyword : 1. 3D 프린팅;후처리;내마모;내방사선;조사시험;제어봉구동장치;가이드카드; 2. 3D printing;post-processing;wear-resistance;radiation-resistance;irradiation test;control-rod drive mechanism;guide card;
  • 11509

    2021.05.31

    □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 최종 목표 머신러닝 기반의 방사선 영상장치 위치추적 및 위치오차보상방법 개발 ○ 전체 내용 기존의 방사선 영상시스템의 계측효율, 에너지 선형성, 공간분해능, 민감도 등 성능을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는 새로운 기술인 머신러닝 기반의 방사선 영상장치 위치추적 및 위치오차보상방법 개발 ○ 1단계 ● 목표 머신러닝 기반의 방사선 영상장치 위치추적 및 위치오차보상방법 개발 ● 내용 1차년도: - 섬광체와 광센서 기반 방사선 영상시스템 시뮬레이션 및 최적화 설계 - 위치판별 및 공간분해능 향상을 위한 머신러닝 기반 반응위치추적기술 개발 2차년도: - 원리검증용 방사선 영상시스템 구축 및 반응위치추적 알고리즘 실험적 검증 3차년도: - 공간분해능 저하 요소인 섬광체 간 광간섭 및 외곽에서의 빛 분포왜곡에 의한 위치 부정확도를 보정하기 위한 머신러닝 기반 위치오차보정기술 개발 □ 연구개발성과 - 위치판별 정확도 및 공간분해능 향상을 위한 머신러닝 기반 위치판별 알고리즘 - 검출기내 산란감마선 복원 및 민감도 향상을 위한 픽셀 간 광간섭 보정 기술 - 검출기내 외각에서의 빛 분포 왜곡효과를 보정하기 위한 외각위치보정 기술 - 원리검증용 시스템 개발 기술 □ 연구개발성과 활용계획 및 기대 효과 - 공간분해능의 균일성 특성이 개선되어 위치정확도 향상 및 영상외곽분해능을 개선할 수 있고 머신러닝을 사용함으로써 기존 방법에 비해 검출시간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음 - 감마카메라, SPECT, PET, 등에 필수적인 검출기, 신호처리, 위치판별 알고리즘 등의 핵심 기술을 확보함으로써 국내 기술력을 세계적인 수준으로 올릴 수 있는 기반을 구축이 가능함 - 환경감시를 필요로 하는 감마선 핵종 사용 병원/산업체/연구실의 감시용으로 활용성이 높을 것으로 사료됨 (출처 :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김규범
    • 주관연구기관 : 연세대학교
    • 발행년도 : 20210600
    • Keyword : 1. 방사선영상시스템;머신러닝;위치추적 및 판별;위치오차 보정;신호처리; 2. Radiation imaging system;machine-learning;Position tracking and decoding;Position error compensation;Signal processing;
  • 11508

    2021.02.28

    □ 연구개요 ○ 본 연구에서는 대장암 마우스 종양 모델에서 방사선 조사 후 면역학적 종양 미세환경의 시간 순차적 변화를 관찰하고, PD-1/PD-L1 억제제의 차등적 방사선 민감 작용 발생에 관한 전임상적 근거를 구축하고자 함. [1차] 방사선 조사 후 관련 면역 세포들의 총체적 & 역동적 변화 양상과 기전에 대한 평가 [2차] 시간 흐름에 따른 면역 세포들의 기전 변화로 인한 PD-1/PD-L1 억제제의 방사선 민감 효과 차등 관련성 확인 □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1차년도 목표 연구내용] ○ CT26 종양 조직에 방사선 조사 (2 x 5 Gy, 7.5 x 1 Gy)를 적용하여 치료 전후 5가지 시점(방사선 조사 시작일 Day 1을 기준으로 Day 0-2-7-14-21) 을 정의하여 mouse colon cancer model을 수립함. ○ 7.5 x 1 Gy, 2 x 5 Gy 간에 면역학적 종양 미세환경의 변화가 유도되는 시기에 차이가 있었음. 아래 항목에서 7.5 x 1 Gy에서는 이른 시기에 변화가 나타나기 시작한 반면, 2 x 5 Gy는 치료 후 종양이 줄어들면서 비교적 중반 이후의 시기에서 더욱 뚜렷한 변화가 발생했음: ▪ PD-L1 on CD45(-) ▪ CD8+ T population ▪ PD-1 on CD8+ T ▪ M1 macrophage population ○ 방사선치료 후 CD45(-) cell에서의 PD-L1 발현은 방사선 조사 초기에 증가했다가 Day 14 전후로 다시 감소, CD8+ T cell에서의 PD-1 발현과 M1 macrophage/MDSC 등에서의 PD-L1 발현 증가는 Day 14-21까지 지속되는 것을 확인함. ➜ 임상에서도 전통 분할 또는 고분할 방식에서는 방사선치료 반응이 지연성으로 관찰되는데, 방사선치료 후 면역학적 미세환경의 변화가 발생하는 시기 또한 종양이 감소하는 치료 반응의 출현 시기와 유사한 것으로 판단됨. [2차년도 목표 연구내용] ○ 방사선 조사와 α-PD-L1 억제제의 병합을 설계하되, 초기 “early phase”에 국한된 병합 방식과 치료 효과가 끝나고 종양의 재성장이 시작되는 “late phase”까지 포함하여 병합했을 경우에 최종 치료 효과가 어떻게 달라질 수 있는지 살펴보았음. 병합 치료를 진행하는 세 가지의 실험군 모두 방사선치료를 진행하는 기간 동안 동시에 α-PD-L1 억제제를 동시에 투여 했음. 하지만 각 실험군마다 병합 치료 기간을 1주/ 2주/ 3주로 나누었고, late phase까지 약제를 동시 투여했는지 여부에 있어서 각 군별로 차이를 두도록 했음. ➜ 각각의 치료 적용 후 종양 용적을 추적 관찰한 결과, α-PD-L1 억제제 병합 기간 1주/2주/3주에 따라 종양 성장 지연 효과에 뚜렷한 차이가 관찰되었음. 2 x 5 Gy 방사선치료 단독 치료에 비해 1주/2주/3주간의 α-PD-L1 억제제 적용 그룹에서 각각 2주/3주/4주간의 종양 재성장 지연 효과가 관찰되었음. 또한 α-PD-L1 억제제를 1주간 적용한 실험군에 대해 나머지 2-3주 적용 그룹들을 비교했을 때에도 각각 종양 재성장 지연 효과에 있어서 약 10일/15일 가량의 차이가 나타났음. □ 연구발성과의 활용 계획 및 기대효과(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 α-PD-L1 억제제를 방사선치료 기간에 “함께” 투여하는 것과 동시에 방사선 치료가 종료된 후에도 “지속적”으로 투여한다면 치료 반응에 있어서 더 높은 상승 작용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됨. 이러한 전임상 데이터를 근거로 임상 분야 프로토콜 정립을 위한 전향적 임상 연구 설계가 가능할 것임. ○ 전임상 데이터 기반 전향적 임상 연구를 통해 면역 검문소 조절 약제로 대표되는 최신 면역 암 치료 기술이 새로운 방사선 민감 작용으로서의 작용할 수 있을지에 관한 본격적인 논의를 시작할 수 있으며, 이러한 종양면역학 분야를 개척함으로써 임상에서의 구체적 적응증과 활용 방식을 수립할 수 있음. ○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방사선 치료와 같은 세포독성 치료 적용에 따른 immunophenotype 변화를 파악하기 위해 머신러닝 분석 기법을 기반으로 종양 조직의 immune contexture를 비침습적으로 규명하는 radiomics 기반 모델 개발의 가능성에 주목하고 신규과제를 진행할 계획임.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임유진
    • 주관연구기관 : 경희대학교
    • 발행년도 : 20210300
    • Keyword : 1. 방사선 치료;면역학적 종양미세환경;대장암;종양특이면역반응;PD-1/PD-L1 억제제; 2. Radiotherapy;Immunological tumor microenvironment;Colon cancer;Tumor-specific immunity;Anti-PD-1/PD-L1 inhibitor;
  • 11507

    2021.05.31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최종 목표 방사선 치료계획에 필요한 인체조직특성 추정을 위한 고정밀 이중에너지 CT 재건방법 개발 전체 내용 1. 불연속 스펙트럼 모델을 이용한 다색 이중에너지 CT 재건 모델 개발 - 불연속 스펙트럼 기반 이중에너지 CT 재건 모델 개발 - 스펙트럼 정보 및 물질정보 학습에 필요한 팬텀 제작 - 개발된 재건 알고리즘의 빠른 최적화를 위한 병렬 알고리즘 개발 2. 유효원자번호 및 유효전자밀도 영상 분별 알고리즘 개발 - 이중에너지 CT 영상을 이용한 기저 분별 알고리즘 개발 - 정확도 향상을 위한 경쟁기반의 군집 알고리즘 개발 - 이중에너지 CT 영상 기반 분별 알고리즘 고도화 3. 시뮬레이션을 통한 알고리즘 수렴성 검증과 조직 유사 물질을 통한 실험 및 평가 - 수치적 시뮬레이션 영상을 이용한 알고리즘 수렴성 검증 - 다양한 모양 및 물질에 대한 팬텀 실험 및 평가 - 조직 유사 물질에 대한 실험 및 평가 연구개발성과 - 동시 업데이트 기법을 통해서 스펙트럼의 정확도에 대한 알고리즘 민감도를 저하하여 실사용에 용이하게 함 - 기존의 재건 알고리즘에서 나타난 인공물을 크게 저하함으로써 인체 대체물질의 정량평가의 정확도를 향상함 연구개발성과 활용계획 및 기대 효과 - 스펙트럼 이용한 재건방법을 딥러닝 기술과 접목하여 물질분별 정확도 향상 연구 계획 - 단일 광자 검출기 시스템에 개발된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물질분별 개수 및 정확도 향상 연구 계획 - 치과용 CT 장비에 해당 재건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안면 신경과 같이 진단이 어려운 부위의 진단 정확도 향상에 기여 (출처 :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이동현
    • 주관연구기관 : 한국과학기술원
    • 발행년도 : 20210600
    • Keyword : 1. 이중에너지 X선;물질분별;재건;영문핵심어; 2. Dual-energy X-ray;Material decomposition;Reconstruction;
  • 11506

    2020.12.31

    ○ 인프라 구축환경·추진여건 및 국내외 사례분석 - 지역 환경 및 입지분석, 상위 관련 계획·정책 분석 등 - 한국원자력(연)의 지역 인프라(정읍 첨단방사선연구소,, 경주 양성자과학연구단, 기장 신형연구용 원자로) 구축사례 및 해외(JAEA, CEA)의 원자력 지역 캠퍼스 현황 분석 ○ 인프라 구축계획(안) 수립 - 사업기간 / 총 사업비 : 2021∼2025(5년) / 3,224억원(부지매입비 제외) - 사업부지 : 경상북도 경주시 감포읍 나정리·대본리 일원(1,143,773㎡) - 사업내용 : 인프라 시설(17개) 및 장비 구축 *연구기반시설(8개), 연구 지원시설(6개), 지역연계시설(3개), 연구 장비(컴퓨팅 인프라, 스마트 팹, 폐기물 처리 및 핵종분석 장치 등) ○ 인프라 단지 운영방안 - 비전 : 미래 원자력시장을 개척(First Mover)하는 「혁신원자력기술의 메카」 - 핵심 기능 : 시장지향형 소형원자력시스템(SMR) 개발·실증, 신 개념(4차 산업혁명기술) 이용 안전연구, 지역연계 원자력기술 산업화 촉진 - 인력운영계획 : 2030년까지 500명 인력 확보(경영지원 인력 100명, 연구인력 400명) ○ 인프라 구축의 경제성 분석 - 총 비용(a) : 총 27,982.2억원, ‘19년 현가 15,090.2억원 - 총 편익(b) : 총 51,529.1억원, ‘21년 현가 17,418.6억원 - B/C((현가기준, b/a) : 1.154 (순 현가 2,328.4억원) ○ 정책효과 분석 - 일자리 효과(사업수행단계 5,231명, 사업운영단계 10,091명, 간접효과 1,830명) - 지역생활여건 개선 등 : 지역소비 증대, 지역주민과의 공동체 정착 등 (출처 : 서지정보양식 311p)
    • 연구책임자 : 원병출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연구원
    • 발행년도 : 20210100
    • Keyword : 1. 소형원자로;혁신원자력;감포연구단지;비용편익분석;예비타당성조사;연구단지;경제성;감포; 2. SMR;Innovative Nuclear;Nuclear R&D Complex;B/C Ratio;Gampo;
  • 11505

    2021.10.31

    비공개항목입니다.
    • 연구책임자 : 윤대옥
    • 주관연구기관 : 충북대학교
    • 발행년도 : 20211100
    • Keyword : 1. 대기 화학;에어로졸;계절내 예측;대기 복사;기상청 기후예측시스템; 2. atmospheric chemistry;aerosol;subseasonal forecast;atmospheric radiation;GloSea;
  • 11504

    2021.11.30

    □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 최종 목표 ◯ 생체인식 위변조 위협에 대한 원자력시설 출입인증체계평가 방법론 및 규제기준을 개발하고, 이에 필요한 시험평가 환경과 플랫폼, 관련 소프트웨어를 구축하며, 정량적 평가를 위한 생체인식 5종( 지문, 얼굴, 홍채, 지정맥, 손등정맥)에 대한 평가용 DB 구축 ○ 전체 내용 ◯ 5종 생체인식 위변조 위협에 대한 원자력시설 출입인증체계 평가 방법론 및 규제기준을 개발하고, 관련 기술보고서 총 9종 작성 ◯ 5종 생체인식 출입인증설비의 인식성능 평가를 위한 데이터베이스 및 유사도측정 SW (5종), 성능평가 SW 개발 ◯ 5종 생체인식 출입인증설비의 인식성능 및 위변조탐지 기능의 객관적, 정량적 평가를 위한 다중모드 데이터베이스 구축 ◯ 생체인식 출입인증설비의 인식성능 및 위변조탐지 성능평가 수행에 따라, 타인 허용율, 본인 거부율, 위조위협 식별율 평가 ◯ 원자력시설의 생체인식 출입인증설비 평가에 따른 취약성 분석 및 보고서 작성 ○ 1단계 □ 목표 ◯ 5종 생체인식 기술의 활용 및 위변조 공격과 탐지기술에 대한 국내외 동향을 분석하고, 국내외 생체인식 인증설비 관련 인증ㆍ규제사례를 조사함 ◯ 원자력시설의 생체인식 출입인증 설비 구축 및 운영 현황을 조사하고, 미흡한 상황을 분석함 ◯ 원자력시설의 생체정보 DB 유효성 평가를 위한 소프트웨어 개발 및 플랫폼 구축 ◯ 생체인식 출입인증 설비 성능평가 테스트베드 구축 및 성능 평가 소프트웨어 개발 ◯ 고수준 출입인증 생체인식 기술의 기준 및 성능평가에 관한 국내 기술표준 제안 □ 내용 ◯ 물리보안 기술로서 5종 생체인식 기술의 국내외 활용 및 위변조 공격과 탐지기술에 대한 동향을 조사분석하고 기술현황보고서 작성 ◯ 원자력시설의 출입인증 설비 구축 및 운영 현황을 조사 분석하고, 이에 따른 운영현황보고서 작성 ◯ 국내외 생체인식 출입인증설비의 성능평가와 규제에 관한 ISO/IEC, ITU-T 국제표준기술을 조사분석하고, 이에 따른 국내외 기술표준보고서 작성 ◯ 원자력시설의 생체인식 출입인증설비에 대한 성능평가 계획을 수립하고, 기존 구축된 생체정보 DB의 유효성 평가를 위한 유사도 측정 플랫폼 구축 ◯ 원자력시설 위변조공격에 대한 탐지성능 평가 및 방어기술 개발용 샘플 (3종의 생체인식 대상) 제작 ◯ 원자력시설의 생체인식 출입인증설비 성능 평가 프로그램 개발 및 테스트베드를 구축하고, 프로그램 및 테스트베드 설계보고서 작성 ◯ 원자력시설 생체인식 및 위변조공격 탐지 기술을 위한 학습용 및 성능평가용 DB를 구축하고, DB구축/활용 기술보고서 작성 ◯ 높은 수준의 보안이 요구되는 사회기반시설의 출입인증을 위한 생체인식 기술의 인증 기준을 제시하고, 그 기준에 적합여부를 평가하는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는 국내기술표준을 TTA PG505 단체표준으로 제안함. □ 연구개발성과 ◯ 5종 생체인식 출입인증설비에 대한 성능평가 기술 관련 2종의 기술보고서 작성 ◯ 2종 기술보고서를 기반으로 1건의 방법론 작성 □ 연구개발성과 활용계획 및 기대 효과 ◯ 현장적용 - 유사도 측정 프로그램을 개발하거나 상용 SDK를 활용하여, 원자력시설의 기구축된 생체정보 DB의 유효성을 검사하거나 개발된 프로그램의 성능 개선 시 활용 - 원자력시설의 생체인식 출입인증설비 인식성능과 위변조공격 탐지성능 검사를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및 검증 시 활용 - 생체인식 출입인증설비 취약성 평가 결과를 기반으로 원자력시설 출입인증체계 개선방안 수립 및 현장 시범적용 시 활용 - 향후 원자력시설의 생체인식 출입인증설비 도입 시 적합성 여부를 심사하기 위한 목적으로 활용 ◯ 제도개선 - 생체인식 출입인증설비의 설치 시, 사전평가ㆍ설치기준ㆍ사후운영 관련 기술기준 수립 - 생체인식 인식성능 및 위변조공격에 대한 식별율에 대하여 국제표준에 부합하는 기술기준 수립 - 정부기관 등에서 기 제정한 “바이오인식 정보보호 가이드라인” 개정에 활용 ◯ 기대효과 - 생체인식 위변조공격에 대한 탐지율을 정량화하여 기존의 생체인식을 활용한 출입인증기술의 신뢰성을 객관적으로 분석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생체인식을 활용한 출입인증 설비의 취약점 등 개선 가능 - 확산되고 있는 생체인식기술에 편승하여 점점 고도화 되고 있는 위변조 공격에 대응하는 제품을 양산해야 하는 기존 생체인식 관련 제조업체들에게 인식성능과 더불어 위변조 공격의 안정성 여부도 평가 가능함 - 출입인증설비 별 취약성 분석 및 출입인증설비 개선을 통한 원전 출입인증 제도 및 방호체계 강화 - 고난도 보안수준을 요구하는 원자력시설 등, 사회기반시설의 출입인증설비 도입 추진시 정량적 성능 평가 절차 및 플랫폼 활용 가능 - 출입인증 기술 및 위변조 기술에 대한 분석, 출입인증설비 별 성능 데이터베이스와 성능평가 플랫폼, 환경 구축을 통한 물리적 방호규제 전문성 확보 - 국가중요시설 등 국내 유관기관에 참고모델로 제시 및 방호측면에서 국내 유관기관 내 선도적 역할 수행 (출처 :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김학일
    • 주관연구기관 : 비젼인
    • 발행년도 : 20211200
    • Keyword : 1. 생체인증;위변조 공격;출입통제;시험평가;다중생체인식; 2. Biometric authentication;Presentation attack;Physical access control;Test & Evaluation;Multi-modal biometrics;
  • 11503

    2021.05.31

    □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 최종 목표 : 자외선에 의한 주름생성에서 NOXs와 MMPs의 상호작용 ■ 전체 내용 : 자외선에 의한 주름생성에서 NOXs와 MMPs의 상호작용에 대해 연구하고자 함. □ 연구개발성과 피부노화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진 활성산소를 생산하는 중요 인자인 NADPH oxidase(NOX)가 피부 기질을 붕괴하는 효소인 MMP 조절에 대한 세부적인 작용기전을 제시 함으로 의미 있는 연구 성과로 여겨진다. NADPH oxidase는 여러타입이 세포내에 존재하는데 그 역할이 정확히 잘 알려져 있지 않다. 따라서, MMPs 조절 NOXs의 구체적인 조절확인은 한 단계 더 나아가 UV에 의한 피부 노화를 이해하는데 공헌할 것으로 사료됨. NOX 타입별 MMP 억제 차이를 확인함에 따라, NOX의 각 타입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져 각 타입 단백질에 특이적으로 결합하여 단백질의 활성을 억제할 수 있는 구조의 합성 물질을 개발하는 연구도 더 활발해 질 것으로 사료됨. □ 연구개발성과 활용계획 및 기대 효과 피부세포내에서 새로운 MMP 조절 단백질의 발굴을 통하여 MMP 조절에 대한 새로운 작용기전을 제시하는데 그치지 않고, 3D 피부 모델을 이용한 실험들은 동물 대체 실험의 의미를 가지는데 있어 더욱 체계적이고 의미 있는 연구 성과가 이루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따라서, MMPs 조절 단백질의 발굴은 한 단계 더 나아가 UV에 의한 피부노화를 이해하는데 공헌할 것으로 사료됨. NADPH oxidase를 조절함으로써 피부 광노화 억제를 확임함에 따라, NADPH oxidase의 활성산소 발생에 대한 연구가 더 체계적으로 이루어져 활성산소 억제에 의한 피부 노화 방지에 대한 연구도 더 활발해 질 것으로 사료됨. (출처 :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노은미
    • 주관연구기관 : 원광대학교
    • 발행년도 : 20210600
    • Keyword : 1. 피부광노화;자외선조사;기질단백분해효소;NADPH 산화효소; 2. skin photoaging;ultraviolet radiation;matrix metalloproteinase;NADPH oxida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