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Report

All 12,381 Page 87/1,239

검색
  • 11521

    2021.02.28

    □ 연구개요 본 연구과제에서는 딥러닝 알고리즘의 CT영상 화질 개선 능력을 전 임상 단계에서부터 평가하고 알고리즘을 수정 보완한 이후, 임상 영상에서의 평가와 함께 최종적으로 실제 임상 환경에서 적용 가능함을 보이고자 함. □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 최초 연구계획서에서 제시한 것처럼 총 4편의 논문을 작성함. - 현재 2편의 SCI 논문 출간, 1편의 논문은 SCI Journal에 accept 됨. - 1편의 논문은 SCI journal에 submission 함. • 연구 개시 당시 가장 최신의 알고리즘인 ADMIRE와 비교하여 열등하지 않거나 우월함을 phantom study와 저선량 복부 CT에서 입증함. • 연구 도중 발표된 Deep learning기반의 Reconstruction 알고리즘인 TrueFidelity와 비슷한 성능을 가질 수 있도록 추가로 공동연구를 수행하였으며 비교할만한 성능을 보임을 phantom study에서 입증함. • 3차년도 연차 계획서에서 복부가 아닌 다른 부위에서 적용가능성을 평가하기로 함. Simulated low dose cardiac CT 영상 data를 확보하였고 이 영상자료를 딥러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화질을 개선해놓은 상태임. • 최초 연구계획서에서 제시한 실제 환자군에서 저선량 CT의 진단능을 평가하기 위해 일반 CT의 25% dose (일반 CT: 8mSv, 저선량 CT: 2mSv)인 저선량 복부 CT 자료와 이보다 낮은 선량의 simulated low dose CT (0.5 mSv) 영상을 확보하였고 각각 FBP 와 IR기법으로 재구성함. 신진 연구를 통해 우리가 개발한 딥러닝 알고리즘이 IR기법과 비교하여 다소 우수한 성능을 보임은 확인하였으나 기존 IR기법보다 최종 진단능에서 앞서기 위해서는 더욱 알고리즘을 개선할 필요가 있어 추가 연구를 진행하고 있음. 현재 0.5 mSv 영상에서 화질을 획기적으로 개선시킨 상태까지 진행되었으나 일부 인공물과 관련되어 추가 알고리즘을 수정 중임. □ 연구발성과의 활용 계획 및 기대효과(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 기존의 화질 개선 알고리즘은 기기에 종속되어 있고 최신의 CT 기기에서만 활용 가능하였으나 본 연구를 통해 개발하고 입증한 영상기반의 알고리즘은 CT 기기와 상관없이 CT 영상의 화질 개선이 가능하여 구형 CT 기기에 대한 신규 시장을 창출함. • COVID-19 환자의 진단 및 치료평가에 CT가 널리 이용되고 있으며 저선량 CT검사가 추천되고 있으나 구형 CT기기에서는 활용할 수 없었음. 본 연구에서 입증한 영상기반의 화질 개선 알고리즘을 활용할 경우 구형 기기에서도 저선량 CT 영상 구현이 가능하여 전체 인류에 대한 방사선 위험성을 감소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음.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장원
    • 주관연구기관 : 분당서울대학교병원
    • 발행년도 : 20210300
    • Keyword : 1. 전산화 단층 촬영;인공지능;저방사선량;딥러닝; 2. Computed Tomography;Artificial Intelligence;Low radiation dose;Deep learning;
  • 11520

    2021.08.31

    □ 연구개요 본 연구에서는 블랙홀을 향해 자유낙하하는 관찰자 시점을 따라 유효온도함수로 알려진 호킹복사에 대해 연구하였다. 기존의 호킹복사는 사건의 지평면이 존재하고, 블랙홀 외부의 기하가 정적일 것을 요구하는데 반해, 호킹복사의 운동학적 성질로부터 유도된 유효온도함수를 이용하면 관찰자가 측지선을 따라 움직이며 호킹복사가 어떻게 시간에 따라 달라지는지 파악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하면 중력붕괴하는 천체로부터 나오는 양자역학적 복사를 더 깊이 이해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위해 유효온도함수에 대한 이론적 논거를 검증하고, 나아가 가속운동하는 관찰자에 적합한 페인레브-걸스트랜드 좌표계로 쓴 쉬바르츠쉴트 블랙홀에 대한 유효온도함수를 구해 이를 기존의 호킹복사와 비교, 분석하였다. □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블랙홀을 포함한 시공간에서 양자역학적으로 유도된 입자들의 열적 흐름인 호킹복사가 존재한다는 사실이 알려진 이후, 호킹복사의 본성을 이해하기 위한 수많은 연구들이 수행되어 왔다. 최근 호킹복사는 아인쉬타인의 장방정식이 전혀 이용되지 않는 운동학적 효과라는 주장에 더욱 힘이 실리고 있다. 낮은 차원의 휜 공간에서의 호킹효과가 높고 편평한 차원에서의 언누효과와 동등하다는 사실이나 최근 활발히 연구되고 있는 유사중력이론 등은 호킹복사의 운동학적 성질을 통해 얻은 결과들이다. 이러한 점에서 운동하는 관찰자 시점에서의 호킹복사에 대한 연구는 중요한 의미가 있다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그 중에서도 관찰자가 측지선을 따라 움직이며 열복사를 어떻게 느끼는지를 시간의 함수로 나타낼 수 있는 유효온도함수를 이용해 쉬바르츠쉴트 블랙홀의 운동학적 측면의 효과를 살펴보려고 한다. 유효온도함수를 이용하면 민코우스키 같은 편평한 시공간에서 시작되어, 열적 흐름의 온도가 상승하는 중간 전이단계를 지나 최종 정적 상태의 블랙홀로 변해가는 과정을 파악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기 위해 페인레브-걸스트랜드 좌표계로 쓴 쉬바르츠쉴트 블랙홀에 대한 유효온도함수, 호킹복사, 그리고 높고 편평한 공간으로 끼워넣기 등을 연구하였다. 먼저 페인레브-걸스트랜드 좌표계 자체를 보다 깊게 이해하고자 첫째, 페인레브-걸스트랜드 좌표계로 씌인 (3+1)차원의 쉬바르츠쉴트, 라이스너-노드스트롬 블랙홀을 각각 높고 편평한 (5+1), (5+2)차원으로 끼워넣기(global embedding Minkowski spacetime: GEMS) 하였으며, 둘째, 페인레브-걸스트랜드 좌표계를 따라 자유낙하하는 관찰자 시점의 호킹복사와 유효온도함수를 얻음으로써 시간에 따라 호킹복사가 어떻게 진화하는지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셋째, 블랙홀의 양자적 본성을 파악하기 위한 기타의 일로 일반화된 불확정성 원리가 보정된 홀로그래픽하게 질량이 있는 쉬바르츠쉴트 블랙홀의 통계역학적 엔트로피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렇게 얻은 결과를 기초로 첫째, 셋째 과제는 현재 저널에 투고중이며, 둘째 과제는 현재 논문을 작성하는 중에 있다. □ 연구개발성과의 활용 계획 및 기대효과(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본 연구는 자유낙하하는 관찰자 시점에 따른 블랙홀의 호킹복사와 유효온도함수를 계산할 수 있음을 보임으로써 이를 근거로 전하를 띤 라이스너-노드스트롬, 회전하는 커 블랙홀 등 보다 다양한 블랙홀의 유효온도함수에 대한 연구를 시도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이를 통해 정적 상태의 블랙홀의 호킹복사가 아닌 중력붕괴를 포함한 보다 다양한 중력이론에서의 호킹복사를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게 될 것이다. 한편, 페인레브-걸스트랜드 좌표계로 씌인 블랙홀 시공간의 높고 편평한 공간으로의 끼워넣기에 대한 본 과제의 연구결과는 페인레브-걸스트랜드 좌표계가 계량의 비대각선 성분을 포함하는 것에 대한 끼워넣기인 만큼, 지금까지 불가능하다고 알려진 이러한 비대각선 성분을 갖는, 예컨대 회전하는 커 블랙홀이나 회전하는 BTZ 블랙홀 등도 높고 편평한 시공간으로 끼워넣기(GEMS) 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김용완
    • 주관연구기관 : 전북대학교
    • 발행년도 : 20210900
    • Keyword : 1. 호킹복사;페인레브-걸스트랜드;유효온도함수;시공간 끼워넣기; 2. Hawking radiation;Painlevé-Gullstrand;effective temperature function;global embedding;
  • 11519

    2021.08.31

    비공개항목입니다.
    • 연구책임자 : 강성구
    • 주관연구기관 : 이머티리얼랩
    • 발행년도 : 20210900
    • Keyword : 1. 히트싱크;열방사계수;대류현상;박막표면접합;고방열 소재; 2. Heat-Sink;Thermal Radiation;Thermal Convection;Thin layered surface;High Thermal performed Material;
  • 11518

    2021.05.31

    □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 최종 목표 : 자외선에 의한 주름생성에서 NOXs와 MMPs의 상호작용 ■ 전체 내용 : 자외선에 의한 주름생성에서 NOXs와 MMPs의 상호작용에 대해 연구하고자 함. □ 연구개발성과 피부노화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진 활성산소를 생산하는 중요 인자인 NADPH oxidase(NOX)가 피부 기질을 붕괴하는 효소인 MMP 조절에 대한 세부적인 작용기전을 제시 함으로 의미 있는 연구 성과로 여겨진다. NADPH oxidase는 여러타입이 세포내에 존재하는데 그 역할이 정확히 잘 알려져 있지 않다. 따라서, MMPs 조절 NOXs의 구체적인 조절확인은 한 단계 더 나아가 UV에 의한 피부 노화를 이해하는데 공헌할 것으로 사료됨. NOX 타입별 MMP 억제 차이를 확인함에 따라, NOX의 각 타입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져 각 타입 단백질에 특이적으로 결합하여 단백질의 활성을 억제할 수 있는 구조의 합성 물질을 개발하는 연구도 더 활발해 질 것으로 사료됨. □ 연구개발성과 활용계획 및 기대 효과 피부세포내에서 새로운 MMP 조절 단백질의 발굴을 통하여 MMP 조절에 대한 새로운 작용기전을 제시하는데 그치지 않고, 3D 피부 모델을 이용한 실험들은 동물 대체 실험의 의미를 가지는데 있어 더욱 체계적이고 의미 있는 연구 성과가 이루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따라서, MMPs 조절 단백질의 발굴은 한 단계 더 나아가 UV에 의한 피부노화를 이해하는데 공헌할 것으로 사료됨. NADPH oxidase를 조절함으로써 피부 광노화 억제를 확임함에 따라, NADPH oxidase의 활성산소 발생에 대한 연구가 더 체계적으로 이루어져 활성산소 억제에 의한 피부 노화 방지에 대한 연구도 더 활발해 질 것으로 사료됨. (출처 :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노은미
    • 주관연구기관 : 원광대학교
    • 발행년도 : 20210600
    • Keyword : 1. 피부광노화;자외선조사;기질단백분해효소;NADPH 산화효소; 2. skin photoaging;ultraviolet radiation;matrix metalloproteinase;NADPH oxidase;
  • 11517

    2021.10.31

    비공개항목입니다.
    • 연구책임자 : 김병혁
    • 주관연구기관 : 서울특별시 보라매병원
    • 발행년도 : 20211100
    • Keyword : 1. 퇴행성관절염;저선량방사선치료;연골세포; 2. osteoarthritis;low-dose radiotherapy;chondrocyte;mmp13;gdf15;
  • 11516

    2021.08.31

    □ 연구개요 본 연구는 방사선 입자 주입 방식을 활용하여 High-Bandwidth Memory (HBM)와 Optane 메모리의 열화를 가속화 하는 시뮬레이션을 하고, 그에 따라 발생하는 메모리 특성의 열화 및 신뢰성 문제 연구를 목표로 하였다. HBM과 Optane은 DDRx로 대표되는 메모리 인터페이스의 한계를 뛰어넘을 대안으로 떠오르며, 인공지능 (AI) 이나 빅데이터 솔루션, 데이터 센터 등에서 대규모로 쓰이고 있기 때문에 높은 신뢰성이 요구된다. 그러나 이들 메모리의 신뢰성 및 특성 열화 등은 아직 밝혀지지 않은 부분이 많은데, 시스템 제조사나 최종 사용자가 이에 대한 테스트 및 분석을 직접 하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따른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본 연구는 방사선 입자 주입 방식을 활용하여 차세대 메모리의 열화 수준을 예측하였고, 신뢰성 높은 수명 모델을 제시 하였다. □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본 연구의 목표는 연구 대상 메모리에 대한 cell 모델링, 핵반응 시뮬레이션, 메모리 구조 모델링을 통하여 메모리 특성의 열화 수준을 예측하고, 그에 따른 신뢰성 문제를 연구하는 것이다. 그로 인한 결과를 전문 학술지에 게재하고, 연구 대상 메모리의 신뢰성 문제에 대하여 국내외의 기업들과 산학 협력 및 연계 활동을 목표로 하였다. 세부 연구 결과로는 아래와 같다. - Geant4 툴을 이용한 반도체에 대한 핵반응 시뮬레이션 분석 - TCAD 툴을 이용한 메모리 구조 모델링 및 열화로 인한 특성 변화 시뮬레이션 분석 - HBM 3D 구조에 따른 온도 특성과 열 지역성 측정을 위한 열 분포 평가 방법 개발 - HBM 메모리 cell 특성 분석을 위한 DRAM의 방사선 조사 및 메모리 cell 특성 변화 분석 - 열화 가속화 방법과 Fault 모델 및 메모리 테스트를 위한 알고리즘 구현 - SCI급 전문 학술지에 다수의 논문 게재 □ 연구개발성과의 활용 계획 및 기대효과(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본 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과 기대효과는 다음과 같다. 1)HBM과 Optane 의 차세대 메모리에 대하여 각 메모리의 신뢰성 특성의 변화에 대한 파악이 가능. 2)목표 메모리에 대한 구조 모델링을 통하여 메모리 특성의 열화 수준 예측 가능. 3)목표 메모리에 대한 특성 테스트 및 결과를 분석함으로써 차세대 메모리가 갖추어야 할 신뢰성 기준 제시 가능. 4)열화 과정을 통하여 제품 출시 이전에 메모리에 발생할 수 있는 고장을 예측함으로써, 이에 대한 선제적인 조치 및 경제적 손실 방지. 5)신뢰성이 높은 메모리를 확보함에 따라 세계시장에서 경쟁우위 선점 및 시장점유율의 확대 가능.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백상현
    • 주관연구기관 : 한양대학교
    • 발행년도 : 20210900
    • Keyword : 1. 고대역 메모리;옵테인 메모리;방사선 입자 주입 시뮬레이션;차세대 메모리 신뢰성;고장 모델링 분석; 2. High-Bandwidth Memory;Optane Memory;Radiation Particle Injection Simulation;Next Generation Memory Reliability;Analysis of Fault Model Generation Mechanism;
  • 11515

    2020.12.31

    원자력발전소의 지속성을 보증하기 위해서는 원자력 계통의 건전성/신뢰성이 담보되어야 함. 원자로 내부구조부품과 원전 2차계통 배관의 신뢰성 검증은 원자력 발전소 건전성 향상과 기술선진화에 직결됨. 원자로 내부구조부품의 중성자 유기 응력부식균열을 실증할 수 있는 시설을 구축하였으며, 구축된 유동가속부식 실증 시험시설을 활용해 다양한 컴포넌트에 의해 형성된 비대칭 유체에 의한 배관감육을 실증하였음. 또한 실증시험과 이를 통해 생산되는 자료에 대해 품질보증체계를 구축하여 자료의 활용성과 신뢰성을 제고하였음. 중성자 조사재 취급이 가능하도록 원격 조종기를 구비한 중성자유기 응력부식균열 실증시험장치와 목업 핫셀을 cold lab에 구축하였고, 이를 활용하여 원자로 내부구조물 IASCC 실증시험 절차 및 원격제어 운전절차를 개발하였음. 최대 360℃, 20MPa의 1차 냉각수 고온 고압 환경 및 가속 조건을 구현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고, leak free 설계의 안전성을 검증하였음. 미국 미시간대와 기술교류를 통하여 IASCC 실증시험 및 조사재 취급 절차를 개발하였고, 한수원 중앙연구원 및 미국 EPRI와 기술협력을 통하여 중성자 조사재 시편 수급을 위한 국내 해체원전 활용 및 관련 국가연구개발사업을 기획하였음. 오리피스, 엘보우의 배관감육에 대한 영향을 실증하였으며, 오리피스와 엘보우의 복합작용에 의해 비대칭의 최대 감육이 발생함을 확인하였음. 실증시험결과는 한전기술에서 개발한 배관감육관리 프로그램의 예측값과 비교하여 프로그램의 성능검증과 개선필요성을 동시에 확인하였음. 또한 원전 배관의 감육율 예측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오리피스와 엘보우에 의한 비대칭 복합 유동을 유한요소 프로그램인 COMSOL과 ANSYS로 해석하여 결과를 비교 분석함. 이를 통해 배관을 이용한 실증시험과 예측의 상이함을 확인하였음. 또한 FAC 배관의 감육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는 waveguided 고온 UT 측정 시스템을 개발하였고, 이를 상온 UT 측정 결과와 비교하여 개발된 고온 UT 측정 시스템의 신뢰성을 검증하였음. 플렉시블 IDT 기반 레이저 스캐닝 검사 시스템을 개발하였으며 원전 2차계통 배관의 안전성을 향상에 활용될 수 있음. 가동 원전의 배관관리를 위한 머신러닝 기반의 FAC 데이터베이스 구축방법 및 실시간 배관 두께변화율 예측기술을 확보하였음. 향후 4차산업기술 접목을 통한 배관 감육관리 프로그램 성능 고도화, 안전성 증진 및 원전기술 수출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됨. 원전재료 물성DB 웹사이트를 문서기반 DB 프레임워크와 자바스크립트 기반 최신 웹기술을 이용하여 구축하였음. 이 DB 시스템에 기존 금속 기반 재료물성 시험 결과를 변환하여 입력하였고, 세라믹 기반 재료 물성에 대해서도 추가하였음. (출처 : 서지정보양식 151p)
    • 연구책임자 : 김동진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연구원
    • 발행년도 : 20210100
    • Keyword : 1. 원전내부구조부품;열화실증시험시설;비대칭 유체;감육실증;유체해석;재료성능 평가 DB;배관감육 품질보증;머신러닝; 2. Reactor internal;material degradation test facility;asymmetric fluid;FAC verification;flow analysis;material performance DB;FAC quality assurance;machine learning;
  • 11514

    2020.12.31

    본 과제는 美 정부·의회·학계·연구계·산업계·싱크탱크 등을 대상으로 세미나 개최, 미디어 소통, 공동 정책연구 등 다각적인 대미 활동을 추진하여 주요 인사들과의 우호적 인적 네트워크를 구축하였다. 지속적인 대미 활동을 통해 美 하원 의원, 원자력 정책 전문가 등 4인을 지한파 인사로 발굴하였다. 발굴된 기존 지한파 인사들이 대통령 특보, NSC 원자력 정책 국장, 백악관 과학기술정책실 선임자문 등 백악관 핵심인사로 입각한바, 이들과의 네트워크를 통해 원자력 고위급위원회(HLBC), 원자력연료주기공동연구(JFCS), 원전 수출 등 협력 현안을 선제적으로 파악하고 해결 방향을 모색하였다. 한미간 원자력 민간 대화채널 구축 및 국내 전문가의 대미 네트워크 참여 확대를 위한 한·미·일 다자대화 및 대외(Outreach) 활동도 추진되었다. 워싱턴 D.C. 파견을 통해 미국의 SMR 및 선진원자로 개발, 원자력 R&D 예산 변화, 원자력산업·기술 경쟁우위 회복 전략, 후행핵연료주기 기술옵션 검토 등 미국 내 핵심 현안 정보를 수집하고 한미 협력에의 영향을 분석하여 우리 정부관계자 등의 이해 증진에 기여하였다. 본 과제는 우리 정부협의체에 정책·기술 자문을 지속 제공하여 정부 관계자가 교체되는 가운데에서도 양자 채널의 추진동력을 유지하였다. 특히, 한미 원자력협력 환경 변화에 따라 지연되던 HLBC 제2차 전체회의 및 화상회의 개최를 지원하고, JFCS 보고서 발간 등 대미 협의를 지원하였다. 한미 간 전략적 파트너십 구축에 기여 가능한 협력 프로그램으로 한미 간 다목적고속시험로(VTR) 협력 및 사용후핵연료 관리 분야 협력을 발굴하여 새로운 협력 기회를 창출하였다. 사용후핵연료 관리 분야 신규 협력 사업으로 발굴된 ‘고방사선환경 취급 및 안전성 강화 혁신기술 개발’은 착수 준비 중이다. (출처 : 서지정보양식 101p)
    • 연구책임자 : 김경표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연구원
    • 발행년도 : 20210100
    • Keyword : 1. 원자력;한미 원자력 협력;인적 네트워크;한미 협력협의채널;연구개발 협력; 2. Nuclear energy;ROK-US nuclear energy cooperation;Human network;ROK-US cooperation/consultation channel;R&D Cooperation;
  • 11513

    2021.09.30

    □ 연구의 목적 및 내용 ○ 연구의 목적 미래 사회변화에 대응하는 원자력 기술역량을 지속 유지·발전시키기 위한 혁신·도전적 기초·원천 연구 분야(주제), 추진체계 기획 등 지원방안 도출 ○ 연구의 내용 1. 우리나라와 해외 주요국의 원자력 혁신 생태계 현황 및 동향 가. 원자력 혁신기술이 발굴되고, 연구개발 및 산업화되는 혁신 생태계 나. 원자력 연구를 수행하는 대학 현황 및 국립연구소, 산업체 등 혁신 주체들의 현황과 협력·연구개발하는 체계 조사·분석 다. 혁신·도전적 기초·원천연구 주제 조사 및 국내 적용가능성 분석 라. 기초·원천R&D를 지원하는 국가 및 민간의 연구개발 사업 현황 2. 국내 원자력 혁신 생태계를 활성화하기 위한 지원 전략 가. 국내·외 원자력 혁신생태계 현황 및 동향 분석에 따른 주요 시사점, 개선 방안 도출 나. 혁신 생태계 활성화를 위한 지원 방안 도출 3. 혁신·도전적 연구개발 중장기 지원을 위한 기초·원천 R&D 기획 가. 원자로, 핵주기, 안전, 방사선 등 분야별 유망 원천기술 수요 조사 나. 기술개발 우선순위 도출 다. 기술개발 난이도와 기술개발 역량(재원, 인력 등)을 고려하여 비용 효과적인 추진체계 도출 라. 기술개발 우선순위와 중요도를 고려한 R&D 사업 포트폴리오 수립 □ 연구개발성과 ○ 원자력 기술전문가 자문 및 자료 조사 - 연구사업 관리기관, 대학, 출연연 등 원자력 기술 전문가 자문 - 온오프라인 회의를 통한 자문회의 운영 ○ 우리나라와 해외 주요국의 원자력 혁신 생태계 현황 및 동향 - 혁신·도전적 기초·원천연구 주제 조사 및 국내 적용가능성 분석 - 기초·원천R&D를 지원하는 국가 및 민간의 연구개발 사업 현황 ○ 혁신·도전적 기초·원천 연구 분야, 추진체계 기획 등 지원방안 도출 - 국내·외 원자력 혁신생태계 현황 및 동향 분석에 따른 주요 시사점, 개선 방안 도출 - 혁신 생태계 활성화를 위한 지원 방안 도출 ○ 원자력 이용 혁신·도전적 기초·원천 연구 사업 기획보고서 - 기술개발 우선순위 도출 - 우선순위와 중요도를 고려한 R&D 사업 포트폴리오 수립 □ 연구개발성과의 활용계획(기대효과) ○ 원자력 분야 기초·원천 연구개발 사업 기획의 참고자료로 활용 - 정책·시장 변화에 대응하여 역량을 지속 발전시키는 방안으로 활용 - 원자력 이용 미래혁신 기반기술 연구 사업(안) 도출 및 세부과제의 과학기술적 근거를 제공함 ○ 주요국 원자력 첨단연구개발 트렌드 분석자료로 활용 - 원자력 응용 기술 개발 정책 관리 기관의 제도 및 정책 수립 방향의 기초자료로 활용 가능하며, 사업화 추진 및 리스크 관리에 필요한 기본 정보를 제공 - 원자력 응용 기술 분야별 경계를 허물어 각 장점을 융합하여 창조적인 결과물을 도출할 수 있는 연구개발 잠재력이 강화 ○ 기초·원천 연구 분야(주제), 추진체계 기획 등 지원방안 도출에 활용 - 미래 사회 변화에 선제적 대응을 주도하는 원자력 응용 기술 분야를 제시함으로써 국가 미래 기술전략 수립에 원자력 기술 분야 기여가 기대 - 원자력 핵심 원천기술 확보로 혁신·도전적 기초·원천 연구 분야에 직간접적 고용 및 일자리 창출 효과 발생 (출처 : 요약문 4p)
    • 연구책임자 : 우태호
    • 주관연구기관 : 고려사이버대학교
    • 발행년도 : 20211000
    • Keyword : 1. 원자력 연구 지원 방안;방사선 및 방사선 기술;중장기 연구 개발;기초·원천 연구 분야;혁신생태계 현황 및 동향; 2. Nuclear energy research support plan;Nuclear and radiation technology;Mid- to long-term R&D;Basic and original research fields;Status and trend of the innovative ecosystem;
  • 11512

    2021.06.30

    비공개항목입니다.
    • 연구책임자 : 이혁
    • 주관연구기관 : 한국화학연구원
    • 발행년도 : 20210700
    • Keyword : 1. TNIK 저해제;대장암;바이오마커;병용치료;저분자 화합물;방사능 병합치료;혁신신약;줄기세포; 2. TNIK inhibitor;Colorectal cancer;Biomarker;Combination therapy;Small molecule;Radiation combination therapy;First-in-class;Stem Cel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