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Report

All 12,453 Page 84/1,246

검색
  • 11623

    2020.12.31

    우리나라 INIS국가센터는 IAEA/INIS 사무국과의 상호협력 및 접촉창구로서 INIS 데이터베이스의 운영과 관련한 정책적, 기술적 협조를 하며, 국내 이용자에 대한 기술적 지원 및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INIS 데이터베이스는 회원국이 제공하는 INIS 입력 데이터를 수집하여 구축ㆍ활용하므로, 국내에서 간행되는 원자력관련 문헌을 수집하여 INIS 입력 기술규칙에 따라 입력 및 송부하였다. INIS 입력 결과물인 INIS Collection Search, INIS ATOMINDEX를 이용한 INIS SDI 서비스, 원문헌제공서비스 등을 제공하고 있다. INIS DB 이용을 활성화하고자 홍보활동을 전개하였다. INIS 입력량은 2018년 4,282건, 2019년 4,296건, 2020년 995건이다. 이용자에게 INIS DB에 대한 홍보와 SDI 서비스 이용자 확대를 통하여 국제원자력정보의 확산 및 생산성 향상에 기여하고 있다. 전자정보인프라 사업으로 연구논문, 연구보고서에 대한 원문DB를 구축하였다. Web DB 및 전자저널 등 디지털콘텐츠 정보자료를 수집하여 연구원들에게 서비스를 제공하였다. (출처 : 서지정보양식 79p)
    • 연구책임자 : 이희원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연구원
    • 발행년도 : 20210100
    • Keyword : 1. 국제원자력정보시스템;데이터베이스 구축;정보인프라;맞춤형서비스;전자도서관;지식경영;연구노트;원자력정보 콘텐츠; 2. INIS;Database Construction;Information Infrastructure;SDI;Digital Library;Nuclear Information Contents;
  • 11622

    2021.02.28

    □ 연구개요 Label 없이도 측정 샘플의 분자 구조에 따른 신호 측정이 가능한 핵자기공명 분광기 (nuclear magnetic resonance spectroscopy)를 기반으로 휴대가 가능한 micro NMR 디바이스를 개발하였다. 태블렛 크기 정도의 휴대형 NMR 바이오센서 제작을 위해, (1) NMR용 자기장, (2) 신호 송수신용 RF 코일, (3) 액체 샘플 로딩용 미세유체 칩 그리고 (4) NMR 신호 수집 및 처리를 위한 RF회로 및 제어시스템 등 4개 핵심 요소들을 개발하였다. □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 자석을 이용한 자기장 및 RF마이크로코일 최적화 연구 : 최대 0.8 T의 자기장을 얻을 수 있었고, 제작된 디바이스에서는 0.5T의 자기장을 사용 : 21MHz 공명 주파수를 갖는 마이크로 RF 코일 제작 및 튜닝/매칭 회로 제작 - NMR RF 회로 제작 : 신호 송수신 및 30dB 증폭회로 개발 - 미세유체칩(샘플전처리, 핵자기공명 local guide 용) 개발 : ultra-fast 레이저를 사용하여, 빠르고 간단하게 미세유체관을 유리에 제작하는 공정 개발 □ 연구발성과의 활용 계획 및 기대효과 (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본 연구를 통해 휴대형 NMR 기반 바이오센서 제작을 할 수 있었다. 데스크탑 컴퓨터 사이즈 보다 작은, 휴대형이 가능한 NMR 기반 바이오센서에 필요한 자기장을 작은 영구자석으로도 가능하였고, 이 자기장 크기에 맞춘 공명주파수를 갖는 RF 코일 및 송수신 신호 회로를 제작하였다. 이는 모두 테블렛 디바이스 크기 정도의 NMR기반 바이오 센서를 제작하는데 적합한 크기로 제작이 되어, 현장 진단형 바이오센 서로 활용될 가능성이 있다고 기대하고 있다. 또한 액체 상태의 진단 샘플을 정확하게 RF 코일내로 주입하기 위한 미세유체관을 설계/제작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1시간 내로 빠르게 유리 미세유체 디바이스를 제작할 수 있는 공정법을 개발하였다. 또한 3차원 구조의 미세유체 구조도 추가 공정없이 유리기판 내부에 만들 수 있는 공정을 개발하여, 마이크로 원심분리기, 세포분류기 등의 고효율 및 고처리량의 유리 기반 미세유체 플랫폼 개발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구치완
    • 주관연구기관 : 한밭대학교
    • 발행년도 : 20210300
    • Keyword : 1. 마이크로-핵자기공명;분광학;바이오센서;RF코일;미세유체; 2. micro NMR;spectroscopy;biosensor;RF coil;microfluidic;
  • 11621

    2020.12.31

    □ 연구개요 포유류의 meiosis prophase I stage에서 chromosome homologous pairing 형성을 위해 chromosome의 telomere가 nuclear envelope (NE)에 tethering된다. 이를 위해 telomere에 결합하고 있는 shelterin complex가 TERB1-TERB2-MAJIN complex exchange되는데 이 과정에 CDK2/RingoA의 phosphorylation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CDK2/RingoA의 phosphorylation에 의해 조절되는 telomere cap exchange 기작연구와 TERB1-TERB2-MAJIN 단백질 구조 연구를 통해 telomere - nuclear envelope (NE) tethering 현상을 규명하고자 한다. □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1. SUN1 (Sad1 and UNC84 domain containing 1), TERB1 (telomere repeat binding bouquet formation protein 1) phosphorylation에 관여하는 CDK2 isomer 확인 : CDK2 isomer (p33, p39) 가운데 p39의 soluble protein 확보하는데 실패하여 확인하지 못함 2. CDK2/RingoA – TERB1(SUN1) complex 구조연구 : CDK2/RingoA complex를 얻지 못하여 CDK2/RingoA-TERB1 complex 구조 연구를 완성하지 못함 3. TERB1-TERB2-MAJIN complex 구조연구 : 연구수행중 해외 2 기관에서 complex 구조 밝힘 □ 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본 연구 진행중 bacteria Glutathione transferase 구조를 밝히게 되었고, 기존에 N-terminal과 C-terminal이 hydrogen bond network에 의해 구조 안정화 된다는 보고와 달리 potassium coordination이 관여할 수 있는 현상을 확인하였다.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한영현
    • 주관연구기관 : 건양대학교
    • 발행년도 : 20210100
    • Keyword : CDK2;MAJIN;TERB1;SUN1;RingoA;bacteria GST;potassium coordination;
  • 11620

    2021.02.28

    연구개요 열의 전달자인 포논의 관점에서, 포논 파장보다 작은 스케일의 전자소자 활성층에서는, 포논의 입자성에 기반한 푸리에 법칙을 따르지 않고 파동성을 따르는 새로운 양자 물성이 구현됨. 이에 따라, 포논을 파동적 관점에서 해석하는 이론 정립 및 해석 기법 개발이 필요함. 구체적으로, 포논의 위상을 수학적으로 기술하고, 포논 신호의 위상 해석을 통해 포논의 산란 시간과 포논 위상 사이의 관계를 정립함. 더 나아가, 위상이 결맞는 포논을 활용한 포논 메타소재인 포논 Distributed Bragg Reflector(DBR)을 구현하고, 이를 활용하여 포논 전파를 인위적으로 조절하여 물질의 열 전달 특성 조절이 가능함을 실험적으로 증명함. 또한, 열 제거의 새로운 기법이 될 수 있는 전자-포논 상호작용에 의한 전자기파 발진을 실험적으로 확인하고 이론적 모델을 정립함.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나노스케일 포논-광자 상호작용의 규명을 위해, 포논의 위상 해석 및 포논-광자 상호작용에 의한 전자기파 발진의 이론적 모델을 정립하고 실험적으로 규명함. 구체적으로, 포논 위상의 수학적 기술 및 정량화를 기반으로 포논 신호 위상 해석을 통해 포논의 산란 시간과 포논 위상의 관계를 정립함. 특히, 포논 위상의 변화에서 정량화되는 디페이징 시간(dephasing time)으로부터 고체의 포논 산란 시간을 주파수의 함수로 측정하고, 나노 구조에서의 소재의 열 전도도의 실험적 규명의 방법론을 제시함. 더 나아가, 포논-전자의 상호작용에 의한 전자기파 발진의 이론적 모델을 제시하고 이를 실험적으로 규명함. 이러한 결과는, 향후 반도체 물질에서 새로운 열 제거기법으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기대됨. 상기의 이론 정립을 토대로, 포논 위상의 결맞음을 활용한 포논 위상 메타소재를 구현하여 열 전달 특성을 인위적으로 조절 가능함을 확인함. 구체적으로, 주기적인 구조에서 포논 파동의 중첩을 활용한 포논 DRB을 성장하여 특정 주파수의 포논이 반사될 수 있는, 포논 메타물질을 구현하였으며, 이러한 물질에서 열전도도 측정 기법을 활용하여 포논 DRB에 의한 열 전달 특성(계면 및 수직 방향 열 전도도)의 조절이 가능함을 실험적으로 입증함. 연구발성과의 활용 계획 및 기대효과 (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나노스케일에서 포논의 파동적 특성을 활용하여 새로운 열 전달 해석 방법을 제시하고, 고체의 열 전달 특성을 결정하는 포논(원자의 진동에 대한 물리학 개념)을 조절하는 분야를 개척함. 구체적으로, 포논 메타소재를 활용하여 인위적으로 열 전달을 조절하였으며, 이러한 연구는 추후 반도체에서 주된 열 전달자인 2~5 THz 포논의 전파 특성 조절에도 활용 가능함. 한편, 열 제거의 새로운 기법이 될 수 있는 전자-포논 상호작용에 의한 전자기파 발진을 규명함. (출처 :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조영달
    • 주관연구기관 : 광주과학기술원
    • 발행년도 : 20210300
    • Keyword : 1. 포논 파동성;포논 위상;포논 메타소재;열 전도도;전자기파 발진; 2. Phonon wave property;Phonon phase;Phonon meta-material;Thermal conductivity;Terahertz radiation;
  • 11619

    2020.12.31

    ■ 2010년 후쿠시마 원자력발전소 사고를 계기로, 환경에 누출된 방사성물질의 제염을 위한 기술개발이 전세계적으로 진행되고 있음 ■ 기존의 물리화학적제염 기술은, 제염된 토양이 환경으로 복귀되기 어렵다는 문제점과 함께 광범위한 지역에 적용이 어렵다고 알려져 있어서, 보다 친환경적이고 광역오염을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재안 기술 개발이 요구됨 ■ 이러한 대안 기술로 제시되고 있는 것이 생물학적제염 기술인데, 현제 제시된 생물학적제염기술은 제염효율이 매우 낮아 실제 오염지역 현장에 적용하는데에는 커다란 문제점이 존재하고 있음 ■ 본 연구에서는, 국내 자생식물인 색동호박을 이용하여 방사성물질 중 인체에 치명적인 위협을 초래하는 세슘의 제염효율을 평가하였음 ■ 그 결과, 1 개체 식물당 4,000억 Bq 이상(최대 55조 Bq/kg plant)의 고효율로 세슘 제거가 가능함을 밝혔음 ■ 이러한 색동호박을 이용하여 다양한 조건에서 세슘 제염에 대한 실험을 토대로, 실제 현장에서 생물학적 제염기술을 적용하기 위한 시뮬레이션을 완성하였음 ■ 이상의 결과는 기존의 한계로 여겨져 왔던 생물학적제염기술을 실제 오염현장에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해주고 있음 (출처 : 보고서 요약서 3p)
    • 연구책임자 : 정일래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연구원
    • 발행년도 : 20210100
    • Keyword : 1. 제염;식물제염;방사성핵종;세슘;색동호박; 2. remediation;phytoremediation;radionulcides;cesium;Cucurbita pepo;
  • 11618

    2021.05.31

    □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 최종 목표 1. 방사선을 이용한 물리 검층 결과 예측 및 해석 연구 2. 방사선 검층 특화 전산모사 수행 및 검증 3. 방사선 검층 존데 설계 최적화 및 성능 향상 방법론 제안 ■ 전체 내용 - 방사선 검층 결과를 물리적 인자, 지층의 특성으로 변환하는 물리 검층 해석 도구 개발 - 다양한 환경에 대한 전산모사 수행 및 방사선 검층 해석 목적 기반 DB 구축 - 실험실 수준의 mock-up 환경을 조성하여 방사선 검층 특화 전산모사 결과에 대한 실증 검증 수행 - 검증된 전산모사 도구 및 해석 DB를 이용하여 지층 환경에서의 환경요소들을 반영한 새로운 방사선 계측 방법론을 활용한 향상된 존데 설계 제시 ■ 1단계 • 목표 1. 방사선 검층 특화 전산모사 수행 및 검증 2. 방사선 검층 존데의 성능 향상 방법론 연구 3. 환경 요소를 반영한 전산 모사 연구 수행 4. 전산 모사 결과 검증 연구 5. 방사선 검층 예측 및 해석 기초자료 구축 6. 방사선 검층 존데 성능 향상 방법론 제안 • 내용 - 전산모사를 수행할 몬테카를로 코드 선정 및 운용 - 다양한 환경에서의 방사선 검층 존데의 반응 함수 계산 및 예측 - 속중성자 계측 방안 모색 - 방사선 검층에 영향을 주는 환경 요소 및 계측기 반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반영 -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의 협조를 얻어 실험실 수준의 mock-up 환경을 조성하여 전산 모사 결과 검증 - 방사선 검층 결과를 물리적 인자, 지층 특성으로 변환하기 위한 상관관계 규명 및 관련 기초자료 구축 - 검증된 전산모사 수행을 통한 방사선 검층용 계측기 종류 및 특성별 반응 비교·분석 □ 연구개발성과 - 검증된 방사선 검층 특화 전산모사를 통해 다양한 환경 변수(시추 온도, 시추 이수 밀도, 시추공 반지름 등)에 대한 방사선 검층 해석 교정곡선 획득 - 중성자/감마선 동시 계측기를 이용한 존데 성능 향상 방안 제안 - 속중성자와 열중성자 계측을 통한 암석의 종류 및 공극률 분석 방법론 제안 - 감마선 분광분석을 통한 암석의 종류 및 밀도 분석 방법론 제안 □ 연구개발성과 활용계획 및 기대 효과 - 획득한 지반 특성 정보를 이용하여 폐기물 처분장 부지선정 등에 활용 - 중성자/감마선 동시 계측 기술 개발 - 해외 의존도가 높은 지질 및 자원 검층에 대한 기술 자립도 향상 - 광물 자원 탐색, 해양 시추 분야 진출을 위한 기반 기술로서 관련 분야에 대한 국제적 경쟁력 확보 (출처 :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김기현
    • 주관연구기관 : 서울대학교
    • 발행년도 : 20210600
    • Keyword : 1. 물리 검층;방사선 검층;몬테카를로;존데;자원탐사; 2. Geophysical logging;Radioactivity logging;Monte Carlo;Sonde;Resource exploration;
  • 11617

    2020.12.31

    국가 핵주기 핵심 시험시설인 조사후연료시험시설이 사용후핵연료 관련 연구개발 및 산업체의 원활한 지원, 시설의 시험 역량 강화의 목표를 완수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시설안전이 전제되어야 한다. 2018년부터 2020년 3년간 핫셀시설 전문인력의 배치, 설비 유지보수 및 안전점검의 철저한 이행을 통해 “시설무사고 안전운전”을 달성하였다. 다양한 시험요구에 부응하고 조사후시험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노력 또한 계속되었다. 첨단 시험수요를 만족시키기 위해 핫셀 비파괴시험 계측시스템 설계, 조사피복관 기계시험용 차폐 글로브박스 설계 및 제작 등 다양한 시험기술 개발과 노후 시험장비의 개선이 각 분야에서 이루어졌다. 이 밖에도 다양한 분야에 걸쳐 유관업무가 추진되었다. 2019년에는 법정검사인 KINS 사용후핵연료처리사업 정기검사를 수검하여 1건의 지적사항을 발급받고 후속조치를 완료하였고, 2020년에 KINS 품질보증검사를 지적사항 없이 성공적으로 수검하였다. 또한 3년간 국제원자력기구의 핵물질 정기사찰 및 단기통보 불시사찰에서 단 한건의 지적사항도 없었다. 3년간 신규 핵연료 반입이 지속되지 않으면서 관련 시설 이용율은 감소하였으나, 시설이 보유한 핵연료를 통해 저연소도 사용후핵연료의 장기 건식저장 열화평가를 수행하였고, 사용후핵연료 특성평가를 위한 핫셀시험 체계를 구축하였다. 국가적인 사용후핵연료 관리방안이 결정되고 중간저장 및 처분이 추진되는 시기에 사용후핵연료 특성 검증시설로 본 시설의 활용성이 높아질 것으로 기대한다. (출처 : 서지정보양식 - 초록 219p)
    • 연구책임자 : 권형문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연구원
    • 발행년도 : 20210100
    • Keyword : 1. 사용후핵연료;조사후시험;핫셀;시설운영;조사후연료시험시설;유지보수;정기검사;핵물질 사찰;개량핵연료 조사후시험;구조부품 핫셀시험;연료봉; 2. post irradiation examination;hot cell examination;spent fuel;poolside examination;facility maintenance;periodic inspection;advanced fuel PIE;
  • 11616

    2020.12.31

    원전에 컴퓨터 및 통신기술의 적용으로 사이버침해 대응 연구가 요구됨. 원전 계측제어시스템의 사이버침해 대응 연구에 가장 중요한 Test-bed를 구축하기 위해 원자력 디지털 계측제어시스템 국산화 설계 및 개발 경험을 바탕으로, 안전계통으로서는 ESF-CCS, 비안전계통으로는 다양성보호계통(DPS), 원전종합감시계통인 (IPS)를 각기 대표적인 계통으로 선정하여 이들에 대한 설계, 제작, 통합시험을 수행함. 본 연구를 통해 원전 사이버사고 대응체계 운영을 위한 기반기술 확립하고, 국내 원자력시설 및 유관기관들의 TEST-BED 공동활용 및 사이버보안 평가 기술지원을 통해 국민 안전성 제고하는데 기여하고자 하였음. 이를 위해서 산업체의 사이버보안 시험평가 결과 비공개 전달 및 보안성 강화방안 기술지원을 하였으며, Test-bed 활용을 통해 산업체의 사이버보안 평가비 절감에 기여하였음. 또한 원전 사이버보안 R&D 네트워크 확대 및 실무 교육훈련을 지원하기 위해 국내 사이버보안 교육 콘텐츠를 개발하여 전파하고자 하였음. 이를 통한 원전 사이버보안 인식제고 및 안전성 향상 기대함. 본 연구는 IAEA, 미국 Idaho National Lab. 등 국외 사이버보안 전문기관과 체계적이고 장기적인 협력체계 구축을 통한 원전 사이버보안 역량 강화와 국제 원자력 사이버보안 연구에 기여함. (출처 : 서지정보양식 75p)
    • 연구책임자 : 송재구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연구원
    • 발행년도 : 20210100
    • Keyword : 1. 원자력;사이버보안;계측제어시스템;사이버공격 대응;원자력 안전; 2. nuclear power;cyber security;I&C system;cyber attack response;nuclear safety;
  • 11615

    2020.12.31

    현행 조사처리식품 확인시험법들은 신속하나 감도가 낮아 스크리닝법으로 사용되거나 감도가 높아도 2일 이상의 분석시간이 소요되는 등 각각의 단점을 가지고 있어 신속성과 정밀성 모두를 만족하는 신규 조사처리식품 확인시험법의 신설이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후보 분석법들의 비교를 통해 SPME-GC/MS 분석법을 선정하였고 이 분석장비에 가장 효율적인 판별마커로써 1,7-hexadecadiene을 선정하였으며, 반응표면분석을 통해 시헙법 분석조건을 최적화하였다. 이후 검지마커가 조사처리에 의해서만 발생한다는 uniqueness 확인 및 LOD, LOQ, Accuracy 등 신규 검지법의 신뢰성 검증 완료하고 저장온도/기간 및 혼입율 변화에 따른 검지 가능 여부 확인을 통해 상온에서 1년의 저장기간 동안 판별이 가능함을 확인하였으며, 모델식품 이외에도 4개 품목 및 식품조사처리에 사용 가능한 모든 방사선 선종(감마선, 전자선, 엑스선)으로 조사처리한 시료의 검지가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본 시험법은 0.1 kGy 이상의 흡수선량으로 조사처리된 시료를 3시간 이내에 분석이 가능하며, 현행 시험법들과의 비교 실험을 통해 우수성을 재확인하였다. 아울러 ㈜ 농심과의 실험실간 블라인드 검증 실험 및 수입 유통제품의 모니터링을 통해 본 시험법이 실제적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 및 검증된 신규 조사처리 확인시험법의 식품공전 일반시험법 신설을 위해 식품의약품안전처에 요청서를 제출하였으며, 등재 시 식품 생산업체의 품질관리 비용 절감 및 조사처리식품의 유통질서 확립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출처 : 서지정보양식 97p)
    • 연구책임자 : 송범석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연구원
    • 발행년도 : 20210100
    • Keyword : 1. 조사처리식품;확인시험법;고체상미량추출;가스크로마토그래피 질량분석;고감도;신속성; 2. Irradiated food;Identificition method;Solid phase microextraction;Gas chromatography mass spectrometry;High sensitivity;Rapidity;
  • 11614

    2021.02.28

    □ 연구개요 열대식물(Calotropis procera R. Br.) 유래 시스테인 단백분해효소(cysteine protease) 저해제(inhibitor)인 SnuCalCpI의 단백질 3차구조를 핵자기공명(nuclear magnetic resonance, NMR) 분석을 통해 도출하고, 도출된 구조 정보를 바탕으로 표적 시스테인 단백분해효소인 카뎁신 L (cathepsin L)에 대한 결합 및 저해 특성을 molecular docking simulation을 통해 평가함으로써 SnuCalCpI의 시스테인 단백분해효소 저해 메커니즘을 규명하고자 함. 최종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단계별 세부목표는 다음과 같음. ⦁ 핵자기공명 분석을 이용한 SnuCalCpI의 단백질 3차구조 규명 ⦁ SnuCalCpI의 카뎁신 L 저해 메커니즘 규명 □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 pET32a vector 내 overlap 클로닝 및 담배식각바이러스 단백분해효소 분절부위(ENLYFQG)를 도입하여 제조된 SnuCalCpI 삽입 pET32a vector를 대장균(E. coli BL21(DE3))에 성공적으로 형질전환 후 15NH4가 보충된 배지에서 발현된 15N 표지 SnuCalCpI03 및 SnuCalCpI15 단백질을 성공적으로 분리·정제함. ⦁ SnuCalCpI는 시스테인 단백분해효소 파파인 superfamily 내 카뎁신 L 유사 단백질의 I29 도메인으로써 알파-나선 구조로 예측되는 진화적으로 보존된 유전자 서열을 가지고 있으며, 원편광 이색성 분석을 통해 전형적인 알파-나선 구조의 형태임을 확인함. ⦁ 15N-labeled SnuCalCpI 단백질의 이핵 단일 양자 일관성 분광 핵자기공명 분석을 다양한 분석 조건에서 진행하였으나 backbone assignment를 위한 전체 residue peak 관찰은 어려웠음. 따라서 SnuCalCpI 유전자 서열을 바탕으로 trRosetta 딥러닝 기반의 molecular modeling을 통해 SnuCalCpI의 단백질 3차구조를 성공적으로 규명함. ⦁ SnuCalCp03 및 SnuCalCp15으로부터 I29 도메인인 SnuCalCpI 구조만 선택적으로 추출하여 카뎁신 L (3F75) 구조 내 C1A 도메인과의 molecular docking simulation을 PIPER 알고리즘이 탑재된 ClusPro를 기반으로 진행하였고, SnuCalCpI의 ERFNIN 및 GNFD 모티프로 이루어진 알파-나선 구조가 카뎁신 L의 활성 부위에 경쟁적으로 결합함으로써 효과적으로 저해할 수 있음을 밝혀내었음. □ 연구발성과의 활용 계획 및 기대효과(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본 연구개발과제는 열대식물로부터 발굴된 카뎁신 L 저해 기반의 신규 천연 항암 소재인 SnuCalCpI의 작용 메커니즘을 분자적 수준에서 구조학적으로 규명함으로써, 기존 화학약품 소재의 내성, 체내 잔류, 부작용 등의 한계를 극복하면서 항종양능을 보유한 천연암 전이 억제제의 활용가능성을 높여줄 수 있는 과학적 근거를 마련함.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장판식
    • 주관연구기관 : 서울대학교
    • 발행년도 : 20210300
    • Keyword : 1. 시스테인 단백분해효소 저해제;저해기작;구조분석;핵자기공명 분광 분석법;분자결합 모의실험; 2. Cysteine protease inhibitor;Inhibition mechanism;Structural analysis;NMR spectroscopy;Molecular docking simul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