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Report

All 12,392 Page 84/1,240

검색
  • 11562

    2021.11.30

    1. Research Purpose UAE launched UAE 2050 Energy Strategy which include clean coal, natural gas, nuclear power, and renewable energy in UAE’s energy mix. Since more than 90% of electricity generated by natural gas in UAE, the strategy sets a goal to reduce the large consumption of domestic natural gas. Moreover, focus of UAE government moves towards clean and low-carbon energy sources. As a result, the announced targeted energy mix of 2050 includes 44% renewable, 38% natural gas, 12% clean coal and 6% nuclear power. However, the reduced portion of natural gas generation mostly occupied by renewable energy, not nuclear power. The experts of the energy industry pointed out that gradual increase of overall nuclear power cost both including economics cost and potential risk of plant operation makes the governor of UAE lean towards renewable energy. Thus, this study set an objective to enhance economic feasibility of nuclear power plants for successful boost of nuclear power in UAE. (source : 1. Research Purpose 3p)
    • 연구책임자 : 정용훈
    • 주관연구기관 : 한국과학기술원
    • 발행년도 : 20211200
    • Keyword :
  • 11561

    2021.11.30

    Ⅰ. 서 론 ㅇ 본 연구는 환경갈등 이슈로 진행된 국내 공론조사에 대한 경험적 연구를 통해 환경갈 등 예방 및 관리에 있어 공론조사가 갖는 의미와 한계를 살펴보고, 개선방안을 제안함 ㅇ 세부적인 연구목적은 다음과 같음 - 첫째, 민주주의 모델로서 숙의민주주의가 갖는 정치적 의미와 함께 공론조사의 원리와 성공조건 확인 - 둘째, 국내에서 진행된 환경갈등 공론조사 사례에 대한 경험적 연구 수행 ∙ 전국적인 관심을 끌었던 신고리 5·6호기 공론조사 사례에 대한 언론보도 프레임 분석을 통해 공론조사를 둘러싼 담론지형을 확인 ∙ 환경갈등 이슈로 진행된 3개의 공론조사 사례(대전 월평공원 공론조사, 서산 자원회수시설 공론조사, 경주 월성원전 맥스터 공론조사)를 분석 - 셋째, 앞의 연구 결과와 민주적 혁신의 맥락에서 환경갈등 예방 및 관리를 위한 공론조사 개선방안 제안 Ⅱ. 숙의민주주의 모델과 공론조사 ㅇ 숙의민주주의는 대의민주주의의 민주주의 결핍 문제를 해결하거나 보완하는 정치사회적 실험으로 1990년대 이후 꾸준한 관심을 받음. 숙의민주주의에서 말하는 숙의는 ‘정치엘리트의 숙의’가 아니라 ‘인민에 의한 숙의’를 의미함 ㅇ 대의민주주의가 선거제도를 통해 현실사회에서 실현되었듯이 숙의민주주의는 구조화된 다양한 숙의기법을 통해 구현됨. 숙의기법들은 일반적으로 작은 공중(mini-public)을 활용한 면대면 숙의 방식을 지향 ㅇ 작은 공중은 일반 시민을 대표 혹은 포괄하는 일종의 소우주로 작은 공중을 활용한숙의 모델로는 공론조사 이외에도 시민의회, 플래닝 셀, 합의회의, 시민배심원제 등이 있음 ㅇ 공론조사는 1980년대 후반 미국의 정치학자인 피시킨(Fishkin)이 제안한 이후 글로벌하게 실행되고 있음. 피시킨은 대의민주주의에서 상호 반비례 관계인 ‘정치적 평등’과 ‘숙의’를 숙의민주적 방법인 공론조사를 통해 결합하고자 함 Ⅲ. 환경갈등 공론조사에 대한 경험적 분석 1. 언론보도 프레임 분석: 신고리 5·6호기 공론화위원회 ㅇ 탈원전 정책과 관련해서는 언론사 간 보도 프레임의 차이를 뚜렷하게 확인할 수 있음. 보수언론은 탈원전 정책에 반대하며 신고리 5·6호기 공론화를 아마추어 정부에 의한 사회적 혼란으로 언급하는 보도 프레임을 구성했다면, 진보언론은 원전의 고비용·고위험을 강조하며 탈핵 보도 프레임을 구성함. 하지만 공론조사와 같은 숙의 민주주의대에서는 상대적으로 약한 대립이 나타남 ㅇ 진보언론은 신고리 5·6호기 공론화를 시민참여의 성공 사례로 언급하면서 숙의민주주의의 확대를 강조하는 보도 프레임을 구성함. 보수언론 또한 제한적이지만 공론화로 상징되는 숙의민주주의를 일정 부분 수용해야 한다는 입장. 즉 원전 정책과 관련해서는 친원전과 탈핵 프레임이 강하게 대립했다면, 숙의민주주의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완화된 프레임 대립을 보임 2. 지역 공론조사 분석: 3개의 공론조사 비교 ㅇ < 표 1 >은 3개 공론조사를 의제, 시민참여단, 최종결정을 기준으로 비교한 것임 ㅇ 공론조사의 설계와 진행과정의 공정성 - 대전 사례에서는 중립적인 전문가로 구성된 공론화위원회와 별도로 이해당사자 협의체와 전문가 검증단을 둠. 이 두 단위는 이해당사자들이 자신들의 의견을 공론조사 과정에 개진하도록 해주는 것은 물론 상호균형을 잡아주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함 - 반면에 서사 사례에서는 지역의 주요한 민간단체 및 정당 관계자를 중심으로 공론화위원회를 구성함. 별도의 이해당사자 협의체와 검증단을 두지 않았지만, 다양한 집단의 관계자들이 참여하여 위원회 내부에서 상호견제와 균형을 확보할 수 있었음 - 경주 사례에서는 중립적인 전문가(재검토위원회)와 지역 인사(월성원전 지역실행기구)로 주관 기구를 구성했다고 하나, 탈핵(반핵)시민운동 진영이 참여하지 않아 주요 이해당사자들의 의견을 실제로 수렴하지 못한 것으로 보임 ㅇ 시민참여단의 평등성과 대표성 - 평등성은 일반 시민이 시민참여단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의 평등을, 대표성은 시민참여단이 인구·사회학적 측면에서 일반 시민을 얼마나 대표하는 소우주인지를 의미함 - 대전과 서산 사례에서는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시민참여단을 표집했으며, 경주 사례에서는 지역 내 거점을 중심으로 길거리 표집을 수행함. 지역의 거점(길거리)에서 임의표집을 수행한 후 여기에서 최종적으로 시민참여단을 선정한 경주 사례에 비하면 대전과 서산이 상대적으로 잡음이 적었음 ㅇ 숙의의 질 - 대전 및 서산 공론조사의 학습자료집은 세부적인 쟁점의 찬성과 반대 입장을 잘 전달하고 있음. 특히 대전 사례에서는 갈등영향조사와 시민들이 참여하는 시나리오워크숍을 통해 쟁점을 선별하고, 이에 맞춰 찬성과 반대 정보를 균형적이고 충실하게 전달하고 있음 - 반면에 경주 사례에서는 탈핵시민운동 진영이 불참한 탓에, 시민참여단에게 사전에 배포된 학습용 자료집에 찬성 측 중심의 정부가 수록되었음 - 또한 대전과 서산 사례에서는 숙의토론회가 면대면으로 진행된 반면에, 경주 사례에서는 숙의토론회가 참여자들에게 상대적으로 익숙하지 않은 온라인(비대면)으로 진행되었음 - 따라서 경주 사례에서는 앞의 두 사례와 비교하여 전문가를 상대로 충분한 질문과 응답이 오고 갔는지, 시민 간 상호토론이 충분하게 이루어졌는지 확인할 수 없었음 ㅇ 시민사회와의 소통 - 홈페이지를 통한 정보 공개와 의견 취합, 시민토론회 및 TV 토론회 등의 개최를 시행한 대전 사례에서 시민사회의 소통이 상대적으로 더 활발했으며, 서산 사례에서도 숙의토론회 장면을 페이스북으로 실시간 중계하면서 소통하려는 모습을 보였음 - 반면에 경주 사례는 탈핵시민운동 진영 및 증설 반대 주민들의 반대 속에서 공론조사를 진행하였고, 시민참여단에게 보안서약서 작성을 요구하는 등 폐쇄적인 운영형태를 보였음 ㅇ 숙의결과에 대한 수용성 - 대전 사례가 서산 사례보다 더 높은 수용성을 보였으며, 경주 사례는 탈핵시민운동 진영 및 증설 반대 주민으로부터 외면당함. 이러한 차이에도 불구하고, 세 사례 모두 수용을 거부한 집단들이 법적 소송을 제기했다는 공통점을 지님 Ⅳ. 정책적 시사점 ㅇ 숙의민주주의와 그 실현 수단인 다양한 공론화 기법에 대한 관심은 대의민주주의가 안고 있는 민주주의 결핍 문제를 해결하고 보완하는 데서 출발했음 ㅇ 따라서 ‘시민참여의 확대와 심화를 통해 전통적 대의제 정치를 쇄신’하려는 ‘민주적 혁신’의 맥락에서 공론조사의 개선 방향을 본 연구의 정책적 시사점으로서 논의할 필요가 있음 ㅇ 공론조사의 설계와 진행 - 숙의민주주의가 시민의 숙의로 대의민주주의를 혁신하는 정치적 프로젝트인 점을 감안하여 공론조사의 설계 및 진행과정부터 숙의적일 필요가 있음 ㅇ 시민참여단 - 인구통계학적인 대표성만을 고집할 것이 아니라 정책 영향과 실질적 피해를 고려한 시민참여단 구성을 고려해야함 - 일반 시민의 참여 기회의 평등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무선전화 안심번호를 활용할수 있도록 제도개선 필요 ㅇ 숙의의 질 - 숙의 참여자들에게 균형 잡힌 정보를 제공해야 함. 특히 인구 규모가 작은 지역사회로 갈수록 지역 사정과 숙의의제의 연관성을 내실 있게 설명해 줄 수 있는 전문가가 부족 ㅇ 결과의 수용성 - 수용성은 공론조사 설계와 진행의 공정성, 시민참여단의 구성, 공론조사와 더 큰 공론장(시민사회) 사이의 소통의 문제임. 즉 전반적으로 공론조사에 대한 사회적 신뢰성 강화를 통해 확보할 수 있음 ㅇ 공론조사의 민주적 혁신을 위한 제언 - 현재 정부 중심의 공론조사 의제 선정 및 활용에서 시민 중심으로 전환 ∙ 시민의 필요에 따라 밑으로부터, 그리고 덴마크의 기술위원회처럼 의회 의원, 정부, 대학, 연구기관, 전문가, 시민단체, 언론 등 다양한 사회집단으로부터 공론조사 의제를 추천받아 객관적이고 투명하게 선정 ∙ 현재 정부는 발생한 갈등을 해결하거나 봉합하려는 도구적 차원에서 공론조사를 활용하고 있음. 하지만 수용성 높은 공론조사를 설계하고 운영하는 것은 쉽지 않으므로, 계획수립 단계에서 갈등 예방의 수단으로 공론조사를 활용하는 것이 더욱 효과적으로 보임 - 공론조사, 더 넓게는 숙의민주주의를 대의제 정치과정 및 시민사회의 공론장과 연계 ∙ 다양한 숙의기법을 활용하는 전담 기구를 통해 대의제 정치과정에 참여(연계)할수 있어야 함 ∙ 또 다른 측면에서는 시민사회의 공론장과 연계를 강화해야 함. 숙의기법을 통해 만들어진 숙의포럼이 제도화된 숙의라면, 시민사회의 공론장은 비제도화된 숙의라고 할 수 있음. 즉 제도화된 의사 형성 채널과 문화적으로 동원된 공중 사이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제도화된 숙의포럼이 시민사회로부터 높은 신뢰성을 확보해야 함 (출처 : 요약 5p)
    • 연구책임자 : 김도균
    • 주관연구기관 : 한국환경연구원
    • 발행년도 : 20211200
    • Keyword : 1. 환경갈등;숙의민주주의;시민참여;공론조사;수용성; 2. Environmental Conflicts;Deliberative Democracy;Civic Participation;Deliberative Polls;Acceptability;
  • 11560

    2021.02.28

    연구개요 항암 방사선치료는 최근 가속화된 치료기기 및 치료계획의 기술적인 발달으로 적용범위 및 치료 효율이 크게 향상되었으나 일부 암환자에서의 방사선 치료 저항성과 치료 후 재발 및 전이는 방사선 치료에 있어서의 큰 제한요인임. 본 연구진은 방사선 치료 저항성의 가장 큰 요인인 종양저산소증 및 이로 인한 종양미세환경 변화를 개선하고 항암면역반응 증가를 통한 암의 완치율 향상을 위하여 최근 주목받고 있는 나노기술 기반 방사선 병행치료제를 디자인 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방사선치료의 효용성을 개선하고, 방사선 유도 항암면역반응의 기전을 이해하여 새로운 면역-방사선 치료의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함.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연구의 최종 목표 달성을 위해 다음과 같은 세부 목표를 설정하였고 연구 결과를 얻었음. 1. 실험모델/조건 확립 및 최적화 - 종양성장 및 abscopal effect 확인을 위한 면역적격 Hepa1-6 간암 종양 마우스 모델 확립 - 실험을 위한 최적의 방사선량 확인 및 저산소 방사선 조사 실험 셋업 2. 종양 저산소증감소 복합 나노입자의 획득 및 방사선 감작 효과 확인 - MnFe2O4 나노입자(MFN) 제작 및 Hepa1-6간암세포주에서의 방사선감작효과 in vitro와 in vivo에서 확인 3. 면역방사선치료 관련 실험조건 확립 - Abscopal effect 확인을 위한 2-tumor 동물모델 및 유세포 분석 조건 확립 4. Hypoxia 감소 기능성 나노입자에 의한 방사선 감작 효과 확인 - MFN 및 방사선 조사에 의한 종양성장억제와 hypoxia 감소 관련성을 in vitro와 in vivo에서 확인 5. 항원포촉 나노입자(AC-NPs)를 이용한 면역방사선 치료 - 항원포촉 나노입자(MSN)에 의한 방사선 치료 증진 효과 in vivo 확인 6. 저산소증감소 나노입자에 의한 종양 면역 치료 효과 변화 확인 - MFN 처리에 의한 종양세포의 PD-L1 감소 및 종양 조직 내 T-cell 활성 변화 확인 7. 인공면역 나노입자를 이용한 면역-방사선 치료 효과 확인 - MFN-MSN 복합 나노입자 제작 및 성능 평가 확인 연구발성과의 활용 계획 및 기대효과(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면역관문억제제를 이용한 면역치료는 암치료의 패러다임을 크게 변화시키고 있으나 반응률이 낮기 때문에 방사선 치료 등이 병용 요법으로 각광받고 있음. 본 연구 과제의 결과물은 항암방사선치료의 가장 큰 장애요인 중 하나인 종양저산소증을 효과적으로 극복하고 정상조직의 영향을 최소화하면서 방사선치료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새로운 방사선 병행치료제 개발의 중요한 이론적 근거를 제시함. 면역의 인위적인 활성과 종양 저산소증감소가 동시에 가능한 나노입자와 방사선의 병행치료는 기존의 화학-방사선요법이 가진 부작용을 억제하고 항암제의 용량 및 방사선 선량의 자유도를 높여 암환자의 완치 및 생존율을 높일 수 있는 새로운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됨. 개발된 플랫폼은 향후 다양한 암종에서 개발중인 면역항암제 또는 방사선감작제의 방사선-면역 치료 효능 검증을 위해 적극 활용될 것으로 기대됨. (출처 :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박희철
    • 주관연구기관 : 성균관대학교
    • 발행년도 : 20210300
    • Keyword : 1. 면역-방사선치료;종양저산소증;면역엔지니어링 나노입자;항암면역반응;종양미세환경; 2. Radio-immunotherapy;Tumor hypoxia;Immune-enginering nanoparticle;Antitumor immune response;Tumor microenvironment;
  • 11559

    2021.02.28

    연구개요 본 연구팀의 사전예비연구 결과 TRBP는 신경교종세포에서 cancer stem cell의 형성과 증식을 촉진하고 암줄기세포의 활성에 중요한 STAT3의 인산화를 촉진한다는 것이 밝혀졌다. 이는 TRBP가 암줄기세포의 생성과 증식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리라는 것을 암시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STAT3를 포함하는 암줄기 세포 형성에 관여하는 다양한 세포내 신호전달체계와 TRBP 활성간의 관계를 규명하고, TRBP의 발현조절로 암세포의 증식과 전이를 억제할 수 있는지 조사하였다. 이 결과 TRBP가 miRNA biogenesis 비의존적으로 STAT 신호체계를 활성화하여 암세포의 증식, 이동과 침윤 작용을 증진시키며 TRBP의 발현을 억제했을 때 암의 활성을 억제할 수 있음을 관찰하였다.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 TRBP 유전자 발현 저해 시스템을 구축함 ◾ 효과적인 유전자 전달을 위한 고농축 레트로바이러스 벡터 제작 ◾ Wound healing assay를 이용한 TRBP에 의한 신경교종세포의 migration 증감여부를 조사함 ◾ Invasion assay를 통해 TRBP에 의한 신경교종세포의 침윤 능력 변화를 조사함 ◾ TRBP 발현이 암줄기세포(cancer stem cell)의 줄기세포능(stremness)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함 ◾ TRBP 발현에 따른 STAT 신호체계의 하위 표적유전자 발현 변화를 분석함 ◾ TRBP 발현 변화에 따른 STAT 인산화 수준 변화를 분석함 ◾ Nuclear fractionation 기법을 이용하여 TRBP에 의한 STAT의 핵으로의 이동 변화를 관찰함 ◾ TRBP의 RNA 결합능력과 암줄기세포 특성증진 사이의 연관성을 분석함 ◾ TRBP의 암줄기세포 특성 증진이 Dicer/miRNA biogenesis 의존적인지 분석함 ◾ dnMaml1을 이용하여 Notch 신호체계와의 crosstalk 여부를 분석함 ◾ 면역결핍 동물모델을 이용하여 TRBP가 뇌로 이식된 신경교종세포의 증식과 침윤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함 연구발성과의 활용 계획 및 기대효과(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 TRBP 단백질의 활성억제, TRBP 유전자에 대한 발현 저해제, small molecule 등의 개발을 통해 glioblastoma와 같은 치명적인 뇌암의 증식을 억제하는 치료제 개발에 대한 과학적 지식을 제공할 것임 ◾ 즉, 악성 뇌종양에 대한 새로운 치료 접근 방법의 도출이 가능하여, TRBP와 상호작용하는 새로운 ligand의 탐색, TRBP의 발현을 조절하는 기술 등의 약물개발 연구가 진행될 것임 ◾ TRBP의 발현 패턴을 분석해 보면 다양한 조직에서 발현되는 것을 알 수 있음. 이는 TRBP가 본 연구의 암모델인 뇌암뿐 아니라 다른 종류의 고형암, 혈액암 등의 증식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을 것이라는 것을 예상할 수 있어, 뇌암에서 시도될 항암요법들이 다른 암종의 경우에도 그대로 적용될 수 있으리라는 것을 위미함 (출처 :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윤기정
    • 주관연구기관 : 성균관대학교
    • 발행년도 : 20210300
    • Keyword : 1. 암줄기세포;스탯3;뇌암; 2. Cancer stem cells;STAT3;Brain cancer;
  • 11558

    2021.10.31

    ㅇ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 최종 목표 자궁경부암에서 인유두종바이러스(HPV) 삽입 패턴에 따른 방사선 민감성 차이에 대한 분자 기전 규명 및 신규 치료 표적 발굴 - 전체 내용 선행되어진 연구로부터 자궁경부암 종양 조직에서 보이는 HPV integration pattern의 다양성을 확인하였고, 여기서 보이는 차이에 따른 type을 구분해내는 방법을 정리하여 논문과 함께 특허등록을 마쳤음(2017년 한국, 2019년 미국 특허 취득). 후속 연구를 통해 방사선 치료 후 예후가 가장 안 좋았던 HPV Low 그룹의 샘플 수를 추가하여 최종 150례의 샘플 수를 확보할 수 있었고 이들로부터 전사체 분석뿐 아니라 단백체 분석까지 함께 수행할 수 있었음. 이처럼 RNA 수준에서 뿐 아니라 protein과 phosphorylation 상태까지 연관 분석이 수행되어지면서 좀 더 정확하고 정밀한 pathway 분석이 이뤄질 수 있었다고 봄. 기존 HPV ISH 분석에 따라 분류된 세 그룹으로부터 각 그룹의 특징을 잘 설명할 수 있는 유전자 선별에 어려움이 있어 전사체 및 단백체 통합 분석 데이터를 기반으로 클러스터링 분석을 수행하게 되었고 이를 통해 좀 더 신뢰할 수 있는 subtype들을 분류해 낼 수 있었음. 각 subtype들이 지니는 gene signature 들과 HPV 삽입 패턴과의 연관성 분석을 통해 각 그룹 별 의미 있는 분자생물학적 특징들을 밝혀낼 수 있었음. 또한 멀티오믹스 통합 분석 데이터를 활용한 gene signature 분석 및 functional networking 분석을 통해 HPV Low 그룹 환자들이 주로 포함되어 있는 subtype 5에서 immune response와 관련된 signal들이 주요 분자 기전으로 작동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음. 더불어 다양한 immune cell markers 및 immune checkpoints의 발현 양상을 비교하면서 sub5에서 좀 더 특이적으로 작동하고 있는 pathway를 예측해 볼 수 있었고 또한 관련 target 유전자들을 선별해 낼 수 있었음. 이들을 면역조직화학염색 및 다중형광 면역염색 기법을 활용하여 치료 target으로서의 가능성을 검증해 보고자 함. ㅇ 연구개발성과 자궁경부암 환자 마다 다른 HPV integration pattern의 기전연구를 시행함으로서 분자생물학적 기전에 근거한 신규약제를 방사선치료와 병합하여 사용함으로써 자궁경부암에서의 정밀의학치료를 구현하고자 함. ㅇ 연구개발성과 활용계획 및 기대 효과 HPV integration 과 관계된 유전자들을 자궁경부암의 방사선치료 전 바이오마아커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Integration pattern에 따라 immune checkpoint inhibitor들을 사용할 수 있는 적응증 마아커로 사용할 수 있다면 임상적으로 매우 임팩트가 큰 발견이 될 것으로 기대 됨. (출처 : 국문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김주영
    • 주관연구기관 : 국립암센터
    • 발행년도 : 20211100
    • Keyword : 1. 자궁경부암;방사선 치료;방사선 민감성;예후 마커;인유두종 바이러스 삽입패턴; 2. Cervical cancer;Radiotherapy;Radio-sensitivity;Prognostic marker;HPV integration pattern;
  • 11557

    2021.05.31

    □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 최종 목표 국내 연구진에 의해 처음으로 방사선 내성이 확인된 Spirosoma 속(genus) 세균과 방사성 내성으로 가장 유명한 Deinococcus 속 세균의 방사선 내성 기작을 비교한다. ■ 전체 내용 Spirosoma montaniterre DY10T 균주에 방사선을 조사한 뒤 전사체를 분석하고 전사체를 분석한다. 지금까지 연구된 대표적인 방사선 내성 세균인 Deinococcus 속 세균의 방사선 내성 전사체와 본 연구의 전사체를 비교하여 계통이 완전히 다른 두 속(genus) 세균의 방사선 내성 기작이 동일한 지 규명한다. Spirosoma montaniterre DY10T 균주의 내성유전자 리스트를 작성하고 발현을 검증한다. ■ 1단계(해당 시 작성) • 목표 : 감마선에 노출된 Spirosoma 속(genus) 세균의 전사체 동력학적 연구 • 내용 : Deinococcus 속(genus) 세균과 대등한 방사선 내성을 가지는 Spirosoma 속(genus) 세균이 감마선(γ-ray)에 노출된 후 회복되는 과정에서, 시간대별로 발현되는 전사체를 분석하고, Deinococcus 속세균의 발현 양상과 비교하여, 동일한 감마선 내성 기작을 가지는 지 규명한다. ■ 2단계(해당 시 작성) • 목표 : 자외선(UV)에 노출된 Spirosoma 속(genus) 세균의 전사체 동력학적 연구 • 내용 : Deinococcus 속(genus) 세균보다 더 높은 자외선(UV) 내성을 가지는 Spirosoma 속(genus) 세균이 자외선(UV)에 노출된 후 회복되는 과정에서, 시간대별로 발현되는 전사체를 분석하고, Deinococcus 속 세균의 발현 양상과 비교하여, 자외선 내성 기작을 규명한다. ■ 3단계(해당 시 작성) • 목표 : Spirosoma 속(genus) 세균의 내성유전자 발현 검증 • 내용 : Spirosoma 속(genus) 세균이 가지고 있는 방사선 내성 유전자들을 선정하고 Real-Time PCR로 정량하여 실제로 세포 내에서 시간대별로 다르게 발현되는 지 확인하고, Deinococcus 속 세균의 발현 양상과 비교하여 방사선 내성 기작을 검증한다. □ 연구개발성과 감마선과 자외선 조사 후 변화하는 유전자 발현 양상을 확인하였고, 가장 큰 변화를 나타내는 유전자 목록을 확보하였다. □ 연구개발성과 활용계획 및 기대 효과 UvrABC pathway, RecA pathway, MutS mediated pathway 등 다양한 DNA recovery 관련 유전자의 발현을 확인하였고, 이러한 유전자들은 다른 organism의 유전자들보다 활성이 더 클 수 있기 때문에 향후, 암환자 방호제, 자외선 차단 화장품, 노화억제물질 개발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될 수 있다. (출처 :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김명겸
    • 주관연구기관 : 서울여자대학교
    • 발행년도 : 20210600
    • Keyword : 1. 전사체 분석;방사선 내성 세균;방사성 내성 기작; 2. Transcriptome analysis;Radiation resistant bacteria;Radiation resistant mechanism;
  • 11556

    2021.02.28

    □ 연구개요 현재 반려동물의 국내시장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최근 노령에 접어든 반려동물의 수가 급증하고 있다. 이로 인해 다양한 종양을 가진 환자들이 늘어나기 시작했으며, 특히 피부종양은 반려동물에서 흔하게 확인되는 종양으로 알려져 있다. 피부종양을 치료하기 위해서 미국과 일본과 같은 선진국의 수의학에서는 방사선치료를 이용하여 수술적 제거 없이 치료를 진행하여 환자의 생존기간 및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있다. 하지만 현재 국내에서는 이와 관련된 방사선치료에 대한 연구 및 치료의 적용이 미비한 상태이다. 선행 연구에서 개 및 고양이 피부 종양환자들에서 방사선 치료를 적용하여 좋은 치료 효과를 확인하고 있는 중이다. 하지만 방사선치료 후 종양과 인접한 정상피부에서 급성 부작용으로 홍반, 미란 등이 발생할 수 있는데, 선진 수의학에서도 이런 급성 부작용과 관련한 보고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이번연구를 통해 방사선치료시 피부의 변화를 육안적평가 및 병리조직학적 평가를 진행하고, 두 평가 사이의 상관관계 역시 알아볼 것이다. □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연구는 4마리 비글견에서 14 x 14 크기, 6MeV, electron을 이용하여 fraction 당 4Gy 로 12일 연속 (12 fractions, daily), 총 48Gy 로 왼쪽 옆구리 (frank)에서 진행하였다. 방사선조사 후 0주, 1주, 2주, 3주, 4주, 5주, 6주, 7주, 8주, 9주, 10주 까지는 육안적 소견 및 피부 조직을 생검하여 병리조직학적 평가를 진행하였고, 그 이후 1달 간격으로 육안적 변화를 확인하였다. 방사선치료 후 부작용 중 급성부작용은 치료 후 1달 내에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방사선치료를 진행하는 중에 붉은 발적이 발생하였지만, 그 외 특이사항은 없었다. 치료 후 0-1주차부터 피부발적은 심해지며 일부 개체에서는 습석박리가 시작되었으며, 삼출물이 나오기 시작하였습니다. 1-2주차가 되었을 때 탈모가 진행되었고, 일부개체에서 습성박리가 시작되었으며, 가피가 생기기 시작하며, 발적은 감소된 것이 확인되었다. 급성 부작용은 개체에 따라서 1-2주차에 가장 심하게 나타났으며, 이후 1-2주 내에 self-limiting 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3주차부터 점점 표피의 재생이 보이기 시작하였고, 털은 완전히 빠진 것이 확인되었다. 4-5주차부터 일부 개체에서 hyperpigmentation 된 반점들이 생기기 시작했으며, 8주차부터 백모들이 나기 시작 했습니다. 조직학적으로도 육안적 소견과 유사하게 확인되었으며, 표피의 두께도 정상 피부와 비교하여 치료부위의 표피가 얇은 것이 확인되었다.10주차에는 대부분 개체에서 백모들이 나기 시작했으며, 부작용과 관련된 것은 확인되지 않았다. 본 연구의 총 연구기간은 1년이였고, 현재 병리조직학적 마무리 분석 및 투고 작업을 진행중에 있다. 1년이라는 시간에 비해 방사선조사 진행 및 조사 후 평가 기간 자체가 길어 조금 연장이 되었지만 올해 내에는 투고가 될 예정이다. □ 연구발성과의 활용 계획 및 기대효과(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1. 국내 수의학에서 처음으로 진행되는 방사선치료인 만큼 최소의 부작용으로 최대 치료효과를 줄 수 있는 결과를 도출함으로써 향후 수의방사선치료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이 될 것으로 판단됨. 2. 치료 후 예상되는 부작용의 진행 과정 및 치료되는 시점을 알 수 있게 되었으며, 향후 피부종양 환자 치료 시 부작용에 대한 관리가 잘 이루어질 것으로 기대. 3. 사람 피부 부작용과 관련된 연구 시 전임상 데이터로서 활용가능. 4. 연구결과를 통해 앞으로 개발되고 있는 방사선 치료 기법(FLASH)과 비교 할 수 있는 임상지표로 수의 및 인의에서 곧바로 후속 임상 연구로 이어지게 함.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황태성
    • 주관연구기관 : 경상대학교
    • 발행년도 : 20210300
    • Keyword : 1. 피부종양;방사선치료;급성부작용;피부;개; 2. skin tumor;radiation therapy;acute side effect;skin;dog;
  • 11555

    2021.05.31

    비공개항목입니다.
    • 연구책임자 : 강희석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연구원
    • 발행년도 : 20210600
    • Keyword : 1. 국제핵융합실험로;연료 주기;감손 우라늄;수소동위원소;저장 공급;열량계;용기;핵융합; 2. ITER;Fusion Fuel;DU;Hydrogen Isotopes;Storage Delivery;Calorimetry;Bed;Nuclear Fusion;
  • 11554

    2021.02.28

    - 대기, 해양, 육상, 빙권의 기후변화감시요소 관측 자료의 융합정보 시스템 구축 기술 고도화 - 지상, 위성, 해상, 항공 관측 자료 융합에 따른 양질의 기후변화감시자료 활용 기술 확보 - 기후변화감시요소와 기후시스템의 변화경향 및 변동성에 대한 상호 기여도의 정량적 평가기술 확보 - 다양한 국내외 기관에서 수집하고 재생산한 자료를 일괄적으로 수집 및 가공함으로써 국내연구기관 및 현업기관에서의 활용 - 기후변화감시요소와 대규모 기후시스템과의 상호연관성 분석 (출처 : 요약서 3p)
    • 연구책임자 : 김상우
    • 주관연구기관 : 서울대학교
    • 발행년도 : 20210300
    • Keyword : 1. 기후변화 감시요소;관측 자료;기후시스템;장기변동;상호 연계성; 2. climate change monitoring element;observation dataset;climate system;long-term trend;interrelationship;
  • 11553

    2021.10.31

    □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 최종 목표 화학적 수송모델에 접합할 수 있는 다분산 대기에어로졸 복사 및 광학모듈 개발과 검증 ■ 전체 내용 -화학적 수송모델에 접합할 수 있는 다분산 대기에어로졸 복사 및 광학모듈 개발 -개발된 복사 및 광학모듈을 화학수송모델에 접합하여, 시정, 에어로졸광학두께 등의 에어로졸의 광학적 산출물 도출 -화학수송모델에 의하여 도출된 에어로졸의 광학적 산출물에 대한 원격자료와의 비교 검증. ■ 1단계 ■ 목표 화학적 수송모델에 접합할 수 있는 다분산 대기에어로졸 복사 및 광학모듈 개발과 검증 ■ 내용 -화학적 수송모델에 접합할 수 있는 다분산 대기에어로졸 복사 및 광학모듈 개발 -개발된 복사 및 광학모듈을 화학수송모델에 접합하여, 시정, 에어로졸광학두께 등의 에어로졸의 광학적 산출물 도출 -화학수송모델에 의하여 도출된 에어로졸의 광학적 산출물에 대한 원격자료와의 비교 검증. □ 연구개발성과 본 연구를 통하여, 에어로졸의 조성 및 크기변화가 에어로졸의 광학적 특성 및 복사 강제력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이론적 모형을 개발하고 이를 화학수송 모델에 접합하고 그 민감도를 파악하였음. □ 연구개발성과 활용계획 및 기대 효과 본 연구를 통하여 도출된 연구결과는 선행연구를 통하여 도출된 에어로졸의 광학적 특성 관련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고도화 및 정교화 작업을 통하여 화학수송 모델에 접합함으로서 기존의 원격측정등에서 도출되는 에어로졸의 시공간적 광학적 특성자료와 개발된 모델과의 여러 정량적 비교를 통하여 에어로졸의 특성 파악에 대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됨. 또한 국내에서도 미세먼지 예보제의 시행과 더불어 화학수송모델을 기반으로 미세먼지의 예측이 현업화 되어 활용되고 있으며, 한국형 미세먼지 예보 모형을 개발중에 있으며, 정지 궤도 환경위성의 발사를 앞두고, 원격 위성자료로부터 AOD등의 에어로졸 관련 산출물의 질적 제고를 위한 많은 연구들을 진행 중에 있으므로, 본 연구에서 개발하고자 하는 화학수송모델을 통한 미세먼지 농도의 산출과 이를 활용한 광학적 산출물의 계산은 장기적으로 원격 위성자료의 질적 제고 및 활용도 향상에 대한 기초적, 이론적 연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됨. (출처 :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정창훈
    • 주관연구기관 : 경인여자대학교
    • 발행년도 : 20211100
    • Keyword : 1. 에어로졸;광학 특성;에어로졸 광학두께;화학수송모델;복사강제력; 2. aerosol;optical property;aerosol optical depth;chemical transport model;radiative forc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