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Report

All 12,447 Page 84/1,245

검색
  • 11617

    2020.12.31

    원전에 컴퓨터 및 통신기술의 적용으로 사이버침해 대응 연구가 요구됨. 원전 계측제어시스템의 사이버침해 대응 연구에 가장 중요한 Test-bed를 구축하기 위해 원자력 디지털 계측제어시스템 국산화 설계 및 개발 경험을 바탕으로, 안전계통으로서는 ESF-CCS, 비안전계통으로는 다양성보호계통(DPS), 원전종합감시계통인 (IPS)를 각기 대표적인 계통으로 선정하여 이들에 대한 설계, 제작, 통합시험을 수행함. 본 연구를 통해 원전 사이버사고 대응체계 운영을 위한 기반기술 확립하고, 국내 원자력시설 및 유관기관들의 TEST-BED 공동활용 및 사이버보안 평가 기술지원을 통해 국민 안전성 제고하는데 기여하고자 하였음. 이를 위해서 산업체의 사이버보안 시험평가 결과 비공개 전달 및 보안성 강화방안 기술지원을 하였으며, Test-bed 활용을 통해 산업체의 사이버보안 평가비 절감에 기여하였음. 또한 원전 사이버보안 R&D 네트워크 확대 및 실무 교육훈련을 지원하기 위해 국내 사이버보안 교육 콘텐츠를 개발하여 전파하고자 하였음. 이를 통한 원전 사이버보안 인식제고 및 안전성 향상 기대함. 본 연구는 IAEA, 미국 Idaho National Lab. 등 국외 사이버보안 전문기관과 체계적이고 장기적인 협력체계 구축을 통한 원전 사이버보안 역량 강화와 국제 원자력 사이버보안 연구에 기여함. (출처 : 서지정보양식 - 초록 75p)
    • 연구책임자 : 송재구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연구원
    • 발행년도 : 20210100
    • Keyword : 1. 원자력;사이버보안;계측제어시스템;사이버공격 대응;원자력 안전; 2. nuclear power;cyber security;I&C system;cyber attack response;nuclear safety;
  • 11616

    2021.02.28

    ▣ 연구개요 • 기존 연구는 TEAD 전사인자를 Hippo pathway의 ‘YAP/TAZ coactivator의 transcription factor’로써 연구가 진행됨. 즉, YAP/TAZ-dependent 암유발 타겟 유전자를 발현시킴으로써 암줄기세포, 암전이, 약물내성, 암면역 조절 관련 기능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음. 특히, 제약/임상 적용성을 위한 YAP/TAZ-TEAD 억제제 신약개발이 세계적 제약회사에서 경쟁적으로 진행되고 있음. • 국제적 연구방향과 차별적이고 독창적인 가설을 바탕으로, 본 신진과제에서는 최초로 TEAD complex2 인 ‘TEAD-DDR (DNA Damage Repair) complex2’의 심화된 분자기전 및 기능을 규명하고, 신규 TEAD 억제제의 1) Complex2 억제제의 항암 적응증 및 2) 유전자 가위 촉진제 (CRISPR Enhancer) 역할을 최초로 제시함으로써 전세계적으로 DNA damage, Gene editing 및 신약개발 분야에 대단한 파급력을 기대함. ▣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 1단계 목표: TEAD 전사인자의 DDR 핵심인자로써의 역할 최초 규명 □ [연구결과 ⓵] 기존 TEAD의 암유발 기능과의 차별성, 독창성 및 파급효과 • Chromatin-bound TEAD는 전사인자로서 암유발 관련 타겟유전자를 발현시킴. 하지만, 새롭게 규명한 Nucleoplasm-fraction TEAD는 DDR (DNA damage repair) machinary와 결합하여 유전자손상 복구 역할을 담당함. 기존의 TEAD-YAP/TAZ 결합을 ‘TEAD Complex1’으로 명명함. 최초로 발굴한 TEAD-DDR 결합을 ‘TEAD Complex2’로 명명함. • TEAD complex2 관련 signaling, protein-protein interaction, post translational modification의 분자기전을 새롭게 규명함. □ [연구결과 ⓶] TEAD complex2 발견을 통한 분자기전 및 DDR 역할 규명 • HR 관련된 RAD51, RPA, BRCA1와 NHEJ 관련된 Ku70/80, PARP, 53BP1 등과 결합 및 신호전달 조절을 통해 DDR의 새로운 조절자로써 TEAD 전사인자를 재조명함. ■ 2단계 목표: TEAD complex2를 통한 NHEJ/HR의 DDR pathway 조절기전 최초 규명 □ [연구결과 ⓵] TEAD complex2의 NHEJ/HR 조절 기전 규명 및 암세포 사멸 전략 연구 • TEAD complex1 억제제는 항암효과를 나타내는데 반해 TEAD complex2 억제제는 다음의 기전들을 통해 암을 악성화 시킬 것으로 사료됨. 1) complex1 & 2는 서로 antagonistic relationship을 보임. 따라서, complex2 억제제는 complex1을 강화시킴으로써 암 악성화에 기여함. 2) Chemotherapy+TEAD complex2 inhibitor 병용요법은 NHEJ 억제를 통해 화학 약물에 의한 유전자 손상(DSB)을 HR로 수복시킴으로써 항암제 내성 획득에 기여함. ■ 3단계 목표: TEAD complex2 분자기전 기반 제어기술 개발의 기초/제약/임상적 의의 규명 □ [연구결과 ⓵] TEAD complex2의 NHEJ/HR 조절 기전 규명 및 Complex2 억제제 개발 • 본 과제를 통해 전세계 최초의 TEAD complex2 inhibitor hit compound Hit 물질도출 및 명확한 MOA (mode-of-action)를 규명함으로써 TEAD 신약개발을 본 연구그룹이 국제적으로 선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함. • TEAD가 억제되면 DSB에 의한 DNA 손상 복구 효율이 증대되고, 이를 통해 암세포 사멸이 억제되는 놀라운 현상을 최초로 밝힘. □ [연구결과 ⓶] TEAD complex2 inhibitor를 활용한 분자기전 및 임상 적용성 제시 • 본 연구단이 최초로 규명한 TEAD complex2는 DNA damage 유발 시 TEAD가 NHEJ를 활성화 시킴으로써 DDR을 촉진시키고 암세포 사멸을 억제하는 기능을 규명함. 그렇다면, TEAD complex2의 항암효과를 규명하기 위한 플랫폼 구축을 위해 ‘HR이 결핍된 BRCA mutant cancer cell’을 선정함. 즉, BRCA mutant 시 TEAD complex2 inhibitor를 처리하면 NHEJ/HR 모두 억제되어 암세포사멸이 촉진됨을 밝힘. □ [연구결과 ③] TEAD complex2 Post translational modification 분자기전 및 역할 규명 • TEAD methylation, ubiquitination, parylation의 분자기전 및 신규 기능을 최초로 규명함. ▣ 연구발성과의 활용 계획 및 기대효과(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 국제적 연구방향과 차별적이고 독창적인 가설을 바탕으로, 본 신진과제에서는 최초로 규명한 TEAD complex2 인 ‘TEAD-DDR (DNA Damage Repair) complex’의 심화된 분자기전 및 기능을 규명하고, 신규 TEAD 억제제의 1) HRD 항암 적응증 및 2) 유전자 가위 촉진제(CRISPR Enhancer) 역할을 최초로 제시함으로써 전세계적으로 DNA damage, Gene editing 및 신약개발 분야에 대단한 파급력을 기대함. ■ DNA 손상 수복 전사인자 TEAD 재발견을 통해 명확한 MOA (mode-of-action) 규명을 통해 TEAD complex2 관련 분자기전 연구 및 신약개발을 국내외 다양한 공동연구를 통해 국제적으로 선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함. ■ TEAD complex2는 TEAD-DDR complex에 기반한 모듈로서 기존에 연구되어 온 Hippo pathway 핵심 전사인자 TEAD와 전혀 새로운 활용 가능성 및 파급효과를 지님. 본 과제를 통한 기초/제약/임상의 활용범위 및 파급효과는 다음과 같음. 1) TEAD complex2 분자기전 규명을 통해 DNA damage 분야의 새로운 핵심인자를 발굴함. 이를 바탕으로 세포의 유전자 손상 복구 기전의 큰 파급력을 기대함. 2) 현재 전 세계적으로 경쟁 중인 TEAD inhibitor의 활용에 대한 새로운 항암전략을 제시함. TEAD complex1 inhibitor과 차별적으로 TEAD complex2 inhibitor는 DNA damage를 유발하는 chemotherapy와 병용투여 시 HR을 증가시킴으로써 항암약물내성을 유발시키므로 기존 TEAD 활용 방안에 주의를 요함. 3) TEAD complex2 inhibitor의 항암효과는 BRCA-/-와 같은 HR 결핍 암종에 탁월한 항암효과를 보이며 기존의 PARP inhibitor 내성암종의 세포사멸도 유발시킴. 4) TEAD complex2 inhibitor는 DSB의 HR 복구를 촉진시킴으로 CRISPR 유전자가위의 효율을 극대화 시키는 CRISPR enhancer로 개발 가능함을 밝힘. 5) ‘DNA 손상 복구 전사인자’의 다중 기능 nuclear protein family 정립을 통해 유전자 복구 및 전사에 대한 새로운 시각 필요성을 제시함.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박현우
    • 주관연구기관 : 연세대학교
    • 발행년도 : 20210300
    • Keyword : 1. 히포 신호전달;TEAD 전사인자;유전자손상;암; 2. Hippo pathway;TEAD TF;DNA damage;PARP;Cancer;
  • 11615

    2021.11.30

    □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 최종 목표 ○ 텍스트 기반 공개출처정보를 활용한 분석 플랫폼 ○ 전체 내용 ○ 본 과제는 텍스트 기반의 공개출처정보를 활용하여 북한의 핵활동을 상시 감시할 수 있는 핵활동 분석 플랫폼을 개발하고 이를 토대로 북한의 미신고 핵활동을 적시에 탐지할 수 있는 국가 능력을 배양함을 최종목표로 함. 북한의 비핵화 과정에서 과거 핵활동의 이력과 핵물질 및 핵시설의 존재 여부 등 북한이 제공하는 정보의 일치성과 완전성을 검증함을 그 목적으로 하며, 이를 위하여 제1단계(2019-2022년)에서는 ‘텍스트 기반의 공개출처정보를 활용한 핵활동 분석시스템’을 개발하였음. ○ 1단계 □ 목표 ○ 텍스트 기반의 공개출처정보를 활용하여 북한의 핵활동을 상시 감시할 수 있는 핵활동 분석 플랫폼을 개발하고 이를 토대로 북한의 미신고 핵활동을 적시에 탐지할 수 있는 국가 능력을 배양함. 일차적으로는 비핵화 과정에서 과거 핵활동의 이력과 핵물질 및 핵시설의 존재 여부 등 북한이 제공하는 정보의 일치성과 완전성을 검증하는 데 활용하고, 더 나아가 향후 북한의 핵활동 관련 연구 및 정책 수립 · 이행을 위한 기본정책도구로 활용하고자 함. □ 내용 ○ 본 과제는 텍스트 기반의 공개정보를 활용하여 북한의 핵활동 이력과 핵물질 및 핵시설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전문가의 분석과 평가를 통해 유용하게 사용가능한 정보로 가공하는 등 북한의 핵활동을 상시 감시할 수 있는 공개출처정보 기반의 핵활동 분석 플랫폼을 개발함을 최종목표로 함. 이를 위하여 연차별로 다음의 연구를 수행하였음. ■ 텍스트 기반 공개출처정보를 활용한 핵활동 분석 플랫폼 설계 - 기존의 공개출처정보 기반 핵활동 분석 사례 조사·분석 - 미신고 핵활동 탐지를 위한 정보수집 범위 설정 및 방법 도출 - 미신고 핵활동 탐지를 위한 핵활동 분석 플랫폼 구축전략 수립 ■ 텍스트 기반 공개출처정보를 활용한 핵활동 분석 플랫폼 개발 - 공개출처정보 기반 미신고 핵활동 분석 알고리즘 개발 - 공개출처정보 기반 미신고 핵활동 분석 프로그램 개발 - 공개출처정보 기반 미신고 핵활동 분석 플랫폼 개발 ■ 텍스트 기반 공개출처정보를 활용한 핵활동 분석 플랫폼 검증 - 공개출처정보 기반 미신고 핵활동 분석 플랫폼 검증 - 공개출처정보 기반 미신고 핵활동 분석 플랫폼 최적화 □ 연구개발성과 ○ 텍스트 기반 공개출처정보를 활용한 핵활동 분석 플랫폼 설계 - N-STAR 기술보고서(1건), 신규 고용창출(2건) ○ 텍스트 기반 공개출처정보를 활용한 핵활동 분석 플랫폼 개발 - N-STAR 기술보고서(1건), S/W 프로그램(2건) ○ 텍스트 기반 공개출처정보를 활용한 핵활동 분석 플랫폼 검증 - N-STAR 기술보고서(1건) □ 연구개발성과 활용계획 및 기대 효과 ○ 활용계획 - 북한의 비핵화 과정에서 과거 핵활동의 이력과 핵물질 및 핵시설의 존재 여부 등 북한이 제공하는 정보의 일치성과 완전성을 검증하는 데 활용 - 향후 북한의 핵활동 관련 연구를 수행하고 우리나라의 대북 정책을 수립 · 이행하는 데 기본 정책도구로 활용 ○ 기대효과 - 북한의 군사적 안보위협과 테러리즘에 대응하는 효과적인 사회안전망 구축을 통해 국가 안보에 기여하는 한편, 국민의 불안 해소 - 북한의 비핵화 과정에서 당사국으로서의 직접적 · 주도적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국제핵비확산 분야에서의 국가 위상 제고 (출처 :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권은하
    • 주관연구기관 : 미래전략컨설팅
    • 발행년도 : 20211200
    • Keyword : 1. 미신고 핵활동;공개출처정보;데이터 분석;텍스트 마이팅; 2. Undeclared Nuclear Activity;Open Source Intelligence;Data Analysis;Text Mining;
  • 11614

    2021.11.30

    연구개발 목표 ○ 미국 DOE의 가상원자로 개발 프로젝트(CASL) 주관 연구기관인 Oak Ridge National Laboratory(ORNL)과 공동으로 원전 고정밀 열수력 해석과 관련하여 개발된 핵심 전산코드들에 대한 검증 연구를 수행하여, 원전 모델링 및 시뮬레이션의 핵심 분야인 기기스케일 및 CFD스케일 열수력 해석기술의 원전 안전해석 적용성을 확보하고자 함. ○ 이를 위하여 다음의 세부 연구목표를 제시함: ·실험 데이터를 활용한 CFD스케일 벽면비등 해석을 수행하여 기구학적 벽면 비등 모델에 대한 검증 및 개선 연구를 수행함. ·실험 데이터를 활용하여 CFD 스케일 핵비등이탈율 모델에 대한 검증 및 개선 연구를 수행함. ·선정된 기기스케일 다차원 열수력 문제에 대한 비교 계산을 통하여 기기스케일 원자로 열수력 안전해석 기술에 대한 검증 연구를 수행함. 연구개발 내용 ○ 기기스케일 원자로 안전해석 체계 확립 및 열수력-노물리 연계 안전해석 검증: ·기기스케일 원자로 안전해석 문제의 정의: CASL VERA Benchmark No.9 선정 ·원자로 노물리 해석 입력 생성 및 TCP/IP소켓 방식을 이용한 정상상태 노물리 -열수력 연계 해석체계 구축 ·기기스케일 원자로 안전해석: 열수력-노물리 연계, 과도상태 해석 (No.9 문제) ·기기스케일 원자로 안전해석 결과 평가: Code-to-Code Benchmark 비교평가 ○ CFD 스케일 벽면비등 모델의 평가/검증 및 개선: ·선정된 검증실험에 대한 벽면비등 모델의 주요인자 정의 ·벽면비등 모델의 평가 및 검증 해석 ○ CFD 스케일 핵비등이탈율(DNBR) 예측 모델의 평가/검증 및 개선: ·핵비등이탈율 예측모델의 주요인자 정의 및 검증실험 선정 ·핵비등이탈율 예측모델의 평가 및 검증 해석 활용계획 및 기대효과 (응용분야 및 활용범위 포함) ○ 본 연구개발에서 검증된 기기스케일 원자로 안전해석 기술은 기존 1차원 계통열수력 해석코드 기반의 안전해석 기술의 정밀도를 한 단계 상승시킬 수 있는 다차원 안전해석을 위한 핵심 기술로 활용 가능함. ○ 기기스케일 원자로 안전해석 코드는 가상원전 시스템 구성을 위한 핵심 코드로서, 추후 한국형 가상원전 연구개발 수행 시 기반 코드로서 활용 가능함. ○ CFD스케일 벽면비등 모델 평가, 검증 및 개선은 벽면 근처의 국소현상을 반영한 해석이 가능하여, 기존의 실험 데이터를 활용한 상관식의 예측 정확도를 크게 향상시킴으로써 전체 안전해석의 예측 불확실도 개선에 기여할 것임. (출처 : 요약문 3p)
    • 연구책임자 : 송철화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연구원
    • 발행년도 : 20211200
    • Keyword : 1. 기기스케일;2상유동 CFD;다물리;열수력;벽면비등 모델;핵비등이탈율 모델;안전해석;CUPID 코드; 2. Component scale;two-phase CFD;multi-physics;thermal-hydraulics;wall boiling model;DNBR model;safety analysis;CUPID code;
  • 11613

    2021.11.30

    □ 연구개발 목표 ○ 원자력 시설의 방사선 재난대응 체계 고도화를 위한 사고 선원항 역추적 알고리즘 방법론 개발 및 주민예상피폭 선량평가 1. 선원항 추정을 위한 변수인자 선정 및 역추적 알고리즘 연구 2. 역추적 알고리즘의 고도화를 위한 방법론 연구 3. 알고리즘을 활용한 주변 감시 시스템 효율성 확보방안 연구 4. 실측 데이터를 이용한 주민 예상 피폭 선량평가 □ 연구개발 내용 (1차년도) 대기 확산모델 기반 변수추정을 위한 수치해석적 방법론 연구 - 효율적 매개변수 샘플링 기법과 관측데이터를 연계한 선원항 재구성 방법론 연구 - 알고리즘 변수의 종, 독립성에 대한 판단 방법론 연구 - 시간 전개에 따른 매개변수 자기상관성 추적방법론 연구 (2차년도) 대기확산인자 선원항 이터레이션 구현 알고리즘 개발 - 역추적 알고리즘의 해법을 얻기 위한 초기 입력값 추론 방법론 연구 - 계산 시간 단축을 위한 오차범위 감소 방법론 연구 - 반복계산 시 불확실성 감소 방법론 연구 (3차년도) 선량 감시 시스템의 설치 위치 최적화 방안연구 - 선량감시기 배치 위치에 따른 효율적 감시 체계 방안 연구 - 선량감시기 배치 최소 배치 수량에 관한 연구 (4차년도) 방사성물질 대기확산에 따른 대피중 주민의 예상피폭선량평가 연구 - 옥내 및 이동 중 주민이 받을 수 있는 선량에 대한 평가 - 대피소 체류중인 주민에 대한 예상피폭선량 평가 - 대피소 피폭 저감을 위한 환경 요인에 관한 연구 (5차년도) 실측 데이터 주민 예상 피폭 선량평가 - 선량환산을 위한 세부과제별 수행 실측 데이터(농도, 위치 및 기상정보등)처리 방안연구 - 실측 데이터 기반 주민예상피폭선량평가 (6차년도) 개발 알고리즘 모의 현장 평가 □ 활용계획 및 기대효과 (응용분야 및 활용범위 포함) ○ 사고에 따른 사고 선원항 예측으로 인한 선량평가 불확실성 감소 ○ 신속한 비상 대응 체계를 위한 관심 지역에 효율적인 감시설비 배치 최적화 실현 ○ 의사결정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측정 DB에서 일부 오류가 발생할 경우에도 효과적인 사고대응이 가능한 기술개발 필요 (출처 : 요약문 3p)
    • 연구책임자 : 이윤종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연구원
    • 발행년도 : 20211200
    • Keyword : 1. 선원항;전산모사;피폭선량;역추적;방사선 사고;수치해석;대기확산인자;방사선방호; 2. Source Term;Simulation;Exposure Dose;Inverse Method;Radiation Accident;Numerical Analysis;Atmospheric Dispersion Factor;Radiation Protection;
  • 11612

    2021.01.31

    ○ 방사선의학 DB 콘텐츠 개발의 일환으로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보건의료 빅데이터를 이용한 방사선의학 임상현황 분석을 진행함 ○ 방사선의학 웹진을 월간(12회)으로 발행하고 컨텐츠 및 분과별 전문가네트워크를 강화하였으며, 인터뷰, 논문리뷰 등 독자 참여 향상을 위한 방안을 지속 추진함 ○ 방사선의학 분야 정책수립 지원 노력의 일환으로「한국원자력의학원의 방사면역치료」도서, 「新남방정책 기조하 방사선의학 분야 연구개발 전략」보고서, 「방사선의학 특허기술동향 분석」보고서, 「주요 공공병원 지원금 분석」보고서를 발간하였으며, ‘2차 의학원 기능조정 전문가 검토(안)’, ‘의생명중개연구를 위한 원자력병원 발전전략’ 을 제시함 ○ 국내 유일의 방사선의학분야 정부출연연구기관인 의학원의 발전과 방사선의학기술을 적용하여 과학/보건의료 분야에 기여할 수 있는 정책 및 사업 발굴을 위해 ‘의학원 발전회의’를 구성·지원함 ○ 국내 방사선의학기술의 지속적인 성장을 위한 국가적인 연구 및 산업화 체계 전략 수립을 위해 ‘방사선기술 융복합 클러스터 조성을 위한 운영방안 기획 사업’을 수탁·수행함 ○ 바이오·보건의료 분야를 중심으로 산학연 R&D 공동연구 및 의료 협력을 지원하였으며, 의약품 및 치료연구 개발전략을 모색함 ○ 코로나로 인하여 전반적인 국제협력 활동이 위축된 가운데, 국제사회 구성원의 일원으로서 IAEA 회원국 대상 코로나 대응르 위한 국제협력 사업 2건 공식제안(병원대응시스템 전수 사업 및 CT를 활용한 코로나 진단역량 강화 사업) 및 IAEA MIKTA* 회원국들 대상으로 한국의 코로나 대응현황 발표 및 국제협력 사업을 제안하였음 * MIKTA(Malaysia, Indonesia, Korea, Turkey, Australia) ○ KOFIH(한국국제보건의료재단) 발주 ‘몽골 국립 진단병원 핵의학실 역량강화 4차 사업’ 및 한국원자력협력재단 발주 ‘아시아원자력교육훈련네트워크 회원국 대상 원자력 및 방사선 의료분야 E-learning 교육과정 사업’과 관련하여 외국 교육생 대상 온라인 교육 과정 확대 운영 (출처 : 초록 4p)
    • 연구책임자 : 김정영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의학원
    • 발행년도 : 20210200
    • Keyword : 1. 방사선의학;정책;정보분석;빅데이터;데이터베이스;성과분석;방사선의학 정보시스템;정책개발; 2. Radiation Medicine;Policy;Information Analysis;Big Data;Database;Performance Analysis;Radiation Medicine Information System;Radiation Medicine Policy Development;
  • 11611

    2020.12.31

    Ⅳ. 운영결과 ❍ 2020년에는 원자력 수출입통제 이행과 관련하여 전문판정 2,880건, 수출허가 65건 및 핵물질수출입승인 217건 등에 대한 심사를 기술적으로 지원하였다. ❍ 전문판정 업무 위탁에 따른 관련 규정을 반영하고, 세부기준을 명료화하기 위해 전문판정 지침서 및 절차서를 개정하였다. 핵물질 수출입요건확인 지침서를 개정하여 업무의 효율성 및 전문성을 제고하였다. ❍ 국가별 원자력협력협정 이행 DB를 구축하고, 국내 협정대상품목 보유기관에 대한 관리체계를 수립하였다. 또한, 선진 수출통제 선도국의 법령 및 제도를 분석하여 벤치마킹 대상을 선정하고, 국내 제도화 방안을 마련하였다. ❍ UAE BNPP 수출 사업 내 수출허가 위반 사업자에 대한 현장점검, 교육명령 등의 후속조치를 수립하여 실시하였다. UAE OSSA 사업자를 대상으로 현장검사 방안을 수립하고, 수출통제 이행현황을 확인하였다. ❍ 판정오류 및 규제당국과 피규제 간 오해발생 소지를 최소화하고 시스템 이용 편의성을 증진하기 위해 전자정부표준프레임워크를 도입하여 원력수출입통제시스템(NEPS)을 재구축하였다. ❍ 원자력 관련 전시회 2회, 설명회 13회, 홍보물 배포1회, 홍보물 발간‧배포 2회 등 총 17회의 아웃리치 이행을 통해 수출통제 제도에 대한 국내 원자력 산‧학‧연의 인식 및 이해도를 제고하였다. ❍ NSG 비대면 브리핑 회의에 참석하여 주요 NSG 현안 및 차기 회의에서 결정되어야 하는 사안을 보고받았으며, 아국의 관심 현안에 대응하였다. ❍ APR1400 MMIS 세미나, 일본 수출규제 세미나 등 원자력 및 무역정책 관련 세미나를 개최하여 원전 기술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대외적 현안에 따른 수출통제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출처 : 요약문 4p)
    • 연구책임자 : 양승효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통제기술원
    • 발행년도 : 20210100
    • Keyword : 1. 수출입통제;핵공급그룹;전문판정;수출허가;원자력수출입통제시스템; 2. Export Control;NSG;Classification;Export License;NEPS;
  • 11610

    2021.02.28

    □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 최종 목표 사이버공격에 의한 원전사고 예방을 위한 핵심디지털자산 분석 및 보안평가를 통한 핵심디지털자산 사이버보안 규제방안 마련 ○ 전체 내용 - 원전 디지털자산과 원전사고 연계성 분석 - 핵심디지털자산 식별을 위한 방법론 개발 - 전출력/정지/저출력 내부사건 리스크평가 및 디지털연계 분석을 통해 관련 디지털자산안 식별 - 핵심디지털자산 식별(안) 검증 - 핵심디지털자산 사이버보안 평가방안 및 보안요건 연구 - 핵심디지털자산 보안평가 수행 - 핵심디지털자산 식별 및 사이버보안 기술기준안 개발 - 관련 심·검사 지침안 개발 및 연구결과 정책제안 ○ 1단계 목표 - 사이버공격에 의한 원전사고 예방을 위한 핵심디지털자산 분석 내용 - 원전 디지털자산과 원전사고 연계성 분석 - 핵심디지털자산 식별을 위한 방법론 개발 - 전출력/정지/저출력 내부사건 리스크평가 및 디지털연계 분석을 통해 관련 디지털자산안 식별 ○ 2단계 목표 - 핵심디지털자산 보안평가를 통한 사이버보안 규제방안 마련 내용 - 핵심디지털자산 식별(안) 검증 - 핵심디지털자산 사이버보안 평가방안 및 보안요건 연구 - 핵심디지털자산 보안평가 수행 - 핵심디지털자산 식별 및 사이버보안 기술기준안 개발 - 관련 심·검사 지침안 개발 및 연구결과 정책제안 ○ 2016 목표 - 원전 사고관련 디지털자산 규제방법론 연구 내용 - 보안관련 원전사고규제 동향 및 원전 리스크평가 현황 분석 - 원전 디지털자산과 원전사고 연계성 분석 - 핵심디지털자산 식별을 위한 방법론 개발 - 사고연계 시스템의 보안성 분석환경 개발방안 연구 ○ 2017 목표 - 원전 전출력에 대한 핵심디지털자산 분석 및 보안평가방안 연구 내용 - 전출력 내부사건 리스크평가 및 디지털연계 분석 - 전출력에 대한 핵심디지털자산(안) 연구 및 식별 - 핵심디지털자산 보안 취약점 평가방법 및 항목 개발 ○ 2018 목표 - 원전 정지/저출력에 대한 핵심디지털자산 분석 및 보안평가 내용 - 정지/저출력 내부사건 리스크평가 및 디지털연계 분석 - 정지/저출력에 대한 핵심디지털자산(안) 연구 및 식별 - 핵심디지털자산 검증방안 연구 - 핵심디지털자산 사이버보안 취약점 분석 ○ 2019 목표 - 핵심디지털자산(안) 검증 및 사이버보안 평가방안 연구 내용 - 핵심디지털자산 식별(안) 검증 - 핵심디지털자산 식별을 위한 기술기준안 개발 - 핵심디지털자산 사이버보안 평가방안 및 보안요건 연구 ○ 2020 목표 - 핵심디지털자산 보안평가 및 규제지침안 개발 내용 - 핵심디지털자산 보안평가 수행 - 핵심디지털자산 사이버보안 기술기준안 개발 - 관련 심·검사 지침안 개발 및 연구결과 정책제안 □ 연구개발성과 □ 원전사고를 일으킬 수 있는 핵심디지털자산 식별 방법론 개발 - [국외학술발표 2건, 국내학술발표 2건, 안전기술보고서 1건] - [1차년도] 원전 리스크 평가 자료 분석 - [1차년도] 사이버공격에 의해 원전 사고를 일으킬 수 있는 디지털자산에 대한 식별 방법론 개발 □ 원전 사고연계 시스템의 사이버 보안성 분석 환경 개발 - [국외학술발표 2건, 안전기술보고서 1건] - [1차년도] 원전 사고연계 시스템의 사이버보안성 분석환경 개발방안 마련 - [2차년도] 핵심디지털자산 검증 방안 개발 □ 전출력 및 정지/저출력 핵심디지털자산(안) 도출 - [국외학술발표 2건, 국내학술발표 2건, 안전기술보고서 3건] - [2차년도] 전출력 내부사건 PSA 결과 분석 - [2차년도] 전출력 핵심디지털자산 식별 플랫폼 개발 - [3차년도] 정지/저출력 핵심디지털자산 발전소 운전상태(POS) 분석 - [3차년도] 정지/저출력 핵심디지털자산 식별 플랫폼 개발 - [3차년도] 핵심디지털자산 식별 플랫폼 검증 방안 마련 - [4차년도] 전출력, 정지/저출력 핵심디지털자산안에 대한 검증 □ 핵심디지털자산 사이버보안성 평가 연구 및 취약점 분석 - [국외학술발표 1건, 국내학술발표 4건, 국내논문게재 1건, 안전기술보고서 4건] - [2차년도] 전출력 핵심디지털자산에 대한 사이버 취약점 분석 - [3차년도] 정지/저출력 핵심디지털자산에 대한 사이버 취약점 분석 - [3차년도] 핵심디지털자산과 연계된 계통적 사이버 취약점 분석 - [3차년도] 핵심디지털자산 사이버 취약점에 대한 일반적 조치방안 마련 - [4차년도] 핵심디지털자산 사이버보안 요구사항 개발 - [4차년도] 핵심디지털자산 공격벡터 및 영향도 분석에 관한 연구 - [5차년도] 핵심디지털자산 보안성평가 방법론 및 디지털보호계통 적용 사례 □ 핵심디지털자산 사이버보안 규제기술 연구 - [국내학술발표 6건, 안전기술보고서 3건, 정책제안서 2건] - [3차년도] 핵심디지털자산 규제타당성 및 규제 고려사항 분석 - [3차년도] 국내외 사이버보안 규제 지침 분석 - [3차년도] 핵심디지털자산 규제 방안 제시 - [5차년도] 핵심디지털자산 식별 기술기준안 개발 및 정책제안 - [5차년도] 사이버보안 심사지침 개선안 개발 - [5차년도] 사이버보안 검사를 위한 세부지침안 개발 및 정책제안 □ 연구개발성과 활용계획 및 기대 효과 - 원전사고를 유발할 수 있는 사이버공격에 대한 보안대책 제시를 통해 최신 사이버공격에 대한 근본적인 방어 체계 수립 - 국산화 원전노형에 대한 사이버보안 안전규제제도 효율화 및 체계화를 통한 국가 위상 제고 - 국제 핵안보에 큰 위협인 사이버위협에 대한 효과적 규제시스템 개발을 통해 국제 사이버보안 규제분야 선도 (출처 : 요약문 6p)
    • 연구책임자 : 권국희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통제기술원
    • 발행년도 : 20210300
    • Keyword : 1. 사이버보안;핵심디지털자산;보안성 평가;리스크 평가;규제 요건; 2. Cyber Security;Vital Digital Asset;Cyber Security Assessment;Risk Assessment;Regulatory Criteria;
  • 11609

    2021.01.31

    ○ 딥러닝 프레임워크 및 빅데이터 프레임워크 구축 ○ GCP 기반 클라우드 인프라스트럭처 구축 ○ 방사선 환경 적합 IoT 커넥터 시작품 제작 ○ 바이오센서 최적화를 통한 혈액분리 바이오칩 정밀도 성능개선 ○ 압타머를 활용한 암 진단·치료용 비이오칩 시작품 제작 및 탑재용 후보물질 발굴 ○ 전기장 암 치료기 생물학적 유효성 평가 (출처 : 요약서 4p)
    • 연구책임자 : 정인수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의학원
    • 발행년도 : 20210200
    • Keyword : 1. 방사선의공학;플랫폼;IoT커넥터;바이오칩;바이오마커; 2. Radiation medical engineering;Platform;IoT connector;bio-chip;bio-marker;
  • 11608

    2020.12.31

    방사선 관련 연구 개발 시 무작위적인 방사선 반응 연구로 인한 방사선 반응의 기초 원천 기술이 부재한 상태에서 융합연구를 추진함으로써 기술 발전에 한계를 보이고 있다. 따라서 오믹스 기반 방사선 반응 식물 스트레스 피지옴을 탐색하고 활용기술을 확보함에 목적이 있다. 본 과제는 4개의 성과목표의 연구가 수행 되었다. 성과목표는 1. 방사선 유도 산화스트레스 단백질변형 연구 2.방사선 반응 DNA 손상 및 회복 조절기작 연구 3. 방사선 유도 식물 생리활성 대사체 합성 기작 및 이용 연구, 4. 방사선 반응식물 유용물질 발굴 및 방사선 분자변환을 통한 고도화 연구이다. 대표 연구 성과로는 1. DNA 손상반응 유전자 AGO2의 cis-element (CCACACC) 최초 규명 및 AGO2 유전자 cis-element에 결합하는 전사인자 ANAC78 규명, 2. 식물 DNA 손상반응 조절 신규 전사인자 NAC103기능 규명 및 식물 DDR의 크로마틴 리모델링과 후성유전학적 조절기작 리뷰 3. 동위원소 이용 신규 이소프렌 생합성 경로 규명, 4. 센티페드그라스 추출물을 이용한 항당뇨 바이오 소재 개발(국내 특허등록, 10-1797717)이 있다. (출처 : 서지정보양식 343p)
    • 연구책임자 : 이성범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연구원
    • 발행년도 : 20210100
    • Keyword : 1. 방사선 반응;스트레스;피지옴;단백질변형;식물 대사체;생리활성; 2. Radiation response;Stress;Physiome;Protein modification;Plant metabolites;Bioactiv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