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Report

All 12,458 Page 86/1,246

검색
  • 11608

    2020.12.31

    본 과제는 원자/핵묙응 특성 Data 기술의 선진화를 통한 원자력 기묙기술 자립 및 국제 경쟁력/영향력 제고를 목표로 하며,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ㅇ 국제 원자/핵데이터 네트워크 구축 - IAEA의 핵묙응 실측자료 데이터베이스(EXFOR) 편집 및 광핵묙응 데이터 개량 연구(CRP) 완수 - OECD/NEA의 평가핵데이터 파일 JEFF-3.3 개량 국제 공동 연구 참여 - LANL과 협력 연구를 통한 평가핵데이터 파일 ENDF/B-VIII.0 개량 ㅇ 핵묙응 Data 평가 및 기술 개발 - 주요 악티나이드 (우라늄 10종, 플루토늄 5종) 핵데이터 평가 - 의료, 핵폐기물, 차폐 관련 핵종 포함 15종의 광핵묙응 데이터 생산 ㅇ 후행핵주기 R&D용 핵데이터 및 열중성자 산란 데이터 검증 - 후행핵주기 R&D용 핵데이터 분석 및 KAERI 생산 우라늄, 플루토늄 핵데이터 검증 - 핵분열생성물 수율(10종) 및 붕괴(20종) 데이터, 분자동역학 기묙 열중성자산란데이터 생산/검증 ㅇ 정밀 원자 플라즈마 묙응 데이터 생산 평가 체계 구축 - 고밀도 플라즈마 발생장치 및 고분해능 분광 측정시스템 구축 - Ar, He 충돌복사 분광모델 개발 및 원자묙응 데이터 평가 방법 확립 ㅇ 국내 시설을 이용한 핵묙응 측정 - 경주 양성자가속기를 이용한 구조재의 양성자 유도 핵묙응 측정 (Cu, Ni, Fe) - 양성자 기묙 중성자 방사화 단면적 측정 현황 분석 및 측정 장비 제작 (출처 : 서지정보양식 - 초록 239p)
    • 연구책임자 : 김도헌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연구원
    • 발행년도 : 20210100
    • Keyword : 1. 핵묙응;원자/핵데이터 평가;핵데이터 처리 및 검증;핵데이터 측정; 2. Nuclear reaction;Atomic and nuclear data evaluation;Nuclear data processing and validation;Nuclear data measurement;
  • 11607

    2020.12.31

    본 과제는 KAERI nTOF용 초전도 전자가속기 정상화를 위하여, 전자총 수리 완료 및 2 MeV 상전도 전자가속기 최적화 통한 2 MeV - 292.3 ㎂ 전자빔 발생성공 , 노후 제어시스템의 EPICS 업그레이드, 전자빔 가속 효율 및 빔 안정성 향상을 위한 빔라인 재배치 및 고주파피드백시스템 제작 및 성능점검, 제어/전원용 케이블 및 PC 제어스시템 교체 및 업그레이드 등 1단계에 계획한 모든 연구 내용들을 달성하였다. 또한, 20 MeV 초전도 전자가속기 정상화 연구 결과, 2009년 화재 사고 이후 헬륨 공급이 중단된 초전도 가속관이 동작 가능함을 확인하였으며, 더불어 초전도 가속기용 고주파 발생장치인 RFG 1, 2의 안정적인 고주파 출력이 발생함을 확인함으로써, 액체헬륨냉각장치 수리 시 20 MeV 전자빔을 이용한 nTOF 시설 정상화가 완료될 수 있음을 검증하였다. 본 주요사업을 통해 차세대 방사광가속기를 구성하는 저장링, 부스터링, 3rd Harmonic Cavity, 입사기 등 핵심장비에 대한 설계 연구와 빔불안정성 연구를 진행하는 등 지속적인 기본설계 종합연구를 진행하였으며, 관련 결과를 방사광가속기 구축을 위한 예타기획에 활용되는 등 꾸준히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4세대 다목적 방사광가속기 구축 연구는 2019년~2020년을 거쳐 충북도 및 전남도 방사광가속기 유치 및 방사광가속기 구축 기본설계에 중요자료로 반영되었으며, 내년부터 시작되는 공학설계 및 테스트 시설 구축에 연속적으로 참여하여 과제 수주 및 연구성과 도출을 계속적으로 수행해나갈 것으로 기대한다. (출처 : 서지정보양식 - 초록 127p)
    • 연구책임자 : 김유종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연구원
    • 발행년도 : 20210100
    • Keyword : 1. 전자;가속기;방사광;응용; 2. Electron;Accelerator;Synchrotron;Application;
  • 11606

    2021.02.28

    □ 연구개요 만성 간염 환자에서 간 섬유화 정도를 비침습적으로 진단하는 검사법들의 표준검사법 개발과 다양한 검사법들의 간섬유화 진단능을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초음파, MR 기반 간탄성도 검사의 표준검사법 개발 ; 간의 capsule에서 1-2cm 아래에서 측정, beam이 수직으로 입사할 때 값이 잘 나옴 fibrosis와 연관이 있는 혈중 marker를 찾아냄 ; fibrosis와 correlation이 잘 되는 혈중 마커를 찾아 분석함 US elastography, MR elastography, 혈중 바이오마커등의 비침습적 간섬유화 평가법들의 간섬유화 진단능 비교 분석 ; 한 환자에서 여러 가지 검사를 함께 시행하여 간섬유화 진단능을 비교 분석하였음 □ 연구발성과의 활용 계획 및 기대효과(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만성간질환의 유병률이 늘어남에 따라 환자들은 본인의 간의 상태에 대해 관심히 증가하였고, 이를 조직검사등이 아닌 비침습적 방법으로 평가할 수 있다는 것은 본 연구의 가장 큰 기여라고 생각한다. US 영상은 쉽게 시행할 수 있고 radiation hazard가 없다는 점에서 만성간염환자들의 추적검사에 이용되고 있으나 결과가 주관적이라는 제한점이 있었다. 그러나 본 연구를 통해 검사값들의 연관성을 알 수 있었고, 그 값들은 신뢰성 및 재현성이 있었다. 이에 따라 만성간염환자의 진료에 중요한 검사방법으로 자리 매김하게 될 것으롤 기대된다.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이정은
    • 주관연구기관 : 충남대학교
    • 발행년도 : 20210300
    • Keyword : 1. 간섬유화;탄성검사;초음파;자기공명영상;만성 간염; 2. Liver fibrosis;Elastography;Ultrasound;Magnetic Resonance Imaging;Chronic hepatitis;
  • 11605

    2021.02.28

    □ 연구개요 • 본 연구에서는 녹내장을 발생시키는 주요 원인인 안압 이상 현상을 조기에 진단하고, 녹내장 치료 시점을 정확하게 예측하기 위해 초음파 음향 방사력을 기반으로 안압을 측정하는 요소 기술을 개발함. 이를 위해 물질의 탄성을 측정할 수 있는 초음파 음향 방사력을 이용해서 안압을 측정할 수 있는 새로운 메커니즘을 제안하고, 선행 연구를 통해 확보한 분극 역전 기반 고성능 초음파 프로브 제작 기술과 분할 초점 초음파 프로브 제작 기술을 적용시켜 제안된 메커니즘의 성능 최적화를 통해 녹내장 진단 시 실시간으로 정확한 안압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함. □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 초음파 음향 방사력을 이용한 안압 측정 메커니즘 개발을 위해, 유한 요소 해석 시뮬레이션 및 실험을 통해 기전 연구를 진행한 결과, 초음파 음향 방사력으로 대상의 탄성 측정이 가능하다는 것을 확인함. 또한, 시스템의 복잡도를 낮추는 동시에 빔의 너비를 조절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프로브인 위상 제어 기술 기반 분할 초점 초음파 프로브를 제안하고 그 성능을 검증하여 메커니즘의 정확도를 향상시킴. 연구를 통해 측정한 안구 팬텀의 변위는 기존에 사용되는 상용 안압계 측정 결과와 높은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음. • 본 연구팀에서 선행 연구를 통해 축적한 분극역전 기술이 빔의 주파수 및 너비를 조절함으로써 더욱 정확한 안압 측정을 가능케 함을 확인함. 음향 방사력 증진을 위해 새로운 구조의 1-3형 압전 복합체를 적용한 분극역전 기술 기반 초음파 프로브를 제안하고 그 성능을 검증한 결과, 주파수 대역폭 및 감도를 높여 안압 측정 결과의 정확도가 증가함을 증명하였음. • 안압 측정 프로세스 제어 모듈 개발 위해 DAQ 보드 설치 및 LabVIEW 프로그램을 이용한 제어 코드 작성을 진행했으며, 성공적으로 구현되어 본 연구에서 진행된 실험 결과를 얻는 데에 활용됨. 또한, 펄스압축 신호처리 알고리즘을 개발 및 검증하여 음향 방사력의 최대전력 및 전달 깊이를 조절함으로써 각막까지 충분한 음향 방사력이 전달될 것이라는 가능성을 확인하였음. □ 연구발성과의 활용 계획 및 기대효과(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 안압의 정확한 측정은 녹내장의 조기 진단 및 치료 경과 관찰 과정에 매우 중요시됨. 기존 안압계의 경우, 환자가 눈을 뜬 상태에서 각막에 물리적 접촉 또는 압축된 공기를 통해 외력을 가하기 때문에 환자의 통증과 불편함을 야기하며 정확도 또한 낮아 정확도 향상을 위한 추가적인 과정이 불가피함. 초음파 음향 방사력은 인체에 무해하며 눈꺼풀과 같은 조직을 통과하여 충분한 힘을 발생시키므로 기존 안압계들이 가진 단점을 해결 가능함. • 본 연구개발 결과, 초음파 음향 방사력 기반 안압계가 기존 시장에 진출해 있는 안압계의 단점을 보완하는 동시에 고성능 및 높은 신뢰성을 갖는 새로운 안압 측정 의료기기로 사용될 수 있으며, 관련된 원천 기술 확보가 가능할 것임을 증명함.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정종섭
    • 주관연구기관 : 동국대학교
    • 발행년도 : 20210300
    • Keyword : 1. 초음파;음향 방사력;안압;분극 역전 기술;펄스압축; 2. Ultrasound;Acoustic Radiation Force;Intraocular Pressure;Polarization Inversion Technique;Pulse Compression;
  • 11604

    2021.02.28

    □ 연구개요 방사선 치료 후 살아남은 암세포는 방사선 저항성을 획득하거나 전이가 촉진되는 등의 부작용이 있음이 알려져 있음. 방사선 치료 후 발생하는 전이는 암의 치사율을 높이는 중요한 원인이나 이를 억제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에 대한 연구는 아직까지 미비한 실정임. 본 연구 과제에서는 이온화 방사선(Ionizing radiation, IR) 조사 후 발생할 수 있는 암세포의 방사선 내성(radioresistance)과 전이능(metastasis) 획득에 관여하는 새로운 분자를 다운증후군 중요유전자1 (DSCR1/RCAN1)을 타겟으로 하여 발굴하고 그 조절 기전을 밝혀 방사선 치료의 부작용을 줄일 수 있는 새로운 전략을 제시하였음. □ 연구 목표대비연구결과 ◯ 1차년도: RCAN1 발현량 차이에 따른 radiosensitivity 분석 (달성도 100%) - Cell viability 측정: RCAN1의 knock-down된 암세포의 경우 방사선 조사 후 세포사멸이 증가 - Survial 관련 분자 분석: RCAN1이 과발현된 암세포에서 방사선 조사 후 apoptosis 마커 단백질들의 cleavage가 감소한 것을 확인. - Cell migration assay: RCAN1이 과발현된 암세포에서 방사선 조사 후 migration과 invasion이 감소한 반면, RCAN1이 knock-down된 암세포는 migration과 invasion이 증가 - RNA-seq 분석: RCAN1이 과발현된 암세포에서 방사선 조사 후 HIF1, TGF-β, Hippo 신호 전달 기전 관련 유전자들이 변하는 것을 확인. ◯ 2차년도: 암세포의 방사선 내성과 전이능에 영향을 미치는 신규 분자 발굴 및 신호전달 기전 분석(달성도 100%) - 방사선 내성 획득 관련 유전자의 신호전달 기전 분석: RCAN1이 과발현 암세포는 방사선 조사 후 HIF-1α의 발현량과 Akt의 인산화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 - 전이능 관련 유전자의 신호전달 기전 분석: RCAN1이 knock-down된 암세포는 EMT 관련 유전자들의 발현이 증가되어 있고 RCAN1이 과발현된 암세포는 EMT 관련 유전자들의 발현이 감소되어 있음. - 신규 분자의 관련 신호전달 기전 분석: STRING 데이터베이스에서 protein-protein association network를 확인하여 EMT 관련 유전자 중 하나인 Twist1의 전사인자인 STAT3가 관련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함. 이를 토대로 RCAN1이 과발현되자 STAT3의 인산화가 감소하고, STAT3의 단백질 발현량을 감소시킴으로써 일어나는 현상임을 확인. ◯ 3차년도: 동물 모델을 이용한 방사선 내성 및 전이능 제어 전략 수립 (달성도 100%) - in vivo mouse xenograft model: tumor xenograft 실험을 통해 RCAN1 transgenic 마우스는 방사선 조사 후에도 tumor size가 감소한 것을 확인함. - RCAN1 transgenic, RCAN1 knock-out mouse를 이용한 종양미세환경 분석 - Human sample과의 비교 분석: TCGA database를 통해 분석한 결과 간암환자와 결장암환자 집단에서 RCAN1의 발현량이 높은 환자들의 생존율이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신장암환자 집단의 경우 RCAN1의 발현량이 높고, STAT3의 발현량이 낮은 환자들의 생존율이 높을 것을 확인함. □ 연구발성과의 활용 계획 및 기대효과(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방사선 치료는 외과적 수술과 함께 고형암의 대표적인 치료법 중 하나이나, 방사선 치료 장비들의 발달에도 불구하고 방사선 허용량의 제한과 다양한 부작용으로 인해 치료 효과를 거두기 위한 충분한 양의 조사를 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음. 방사선 치료의 가장 큰 부작용 중 하나는 암환자의 면역 체계를 약화시키는 것인데, 암의 근본적인 치료를 위해서는 약화된 면역 체계를 강화시킴으로써 면역세포가 암세포의 사멸을 유도하는 것이 필요함. 따라서 최근에는 이러한 방사선 치료와 더불어 암세포에 대한 면역력을 증가시킬 수 있는 면역 치료의 병용에 대한 시도들이 많은 주목을 받고 있음. 본 연구과제와 후속 연구과제의 성공적인 수행은 방사선 치료 후 유발될 수 있는 부작용을 줄이고 치료 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는 새로운 타겟 분자와 관련 신호전달 기전 수립을 통해 난치성 질환인 암 극복에 기여할 수 있을 것임.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서수련
    • 주관연구기관 : 강원대학교
    • 발행년도 : 20210300
    • Keyword : 1. 방사선 내성;방사선 치료;다운증후군 중요 유전자1; 2. Radioresistance;Radiotherapy;DSCR1/RCAN1;
  • 11603

    2021.02.28

    연구개요 한국에 분포하는 식물을 대상으로 공소적 종분화를 설명할 수 있는 연구 재료와 방법를 찾는 것은 그리 용이하지 않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고자 한 것은 “지리산 왕등재 습지에 자생하는 숫잔대의 2 변이형”을 대상으로 하여 3-유전체(핵, 엽록체와 미토콘드리아)의 유효변이(유전자 및 microsatellite 등)마커를 개발하여 본 군집에서 숫잔대의 공소성 종분화 여부를 판정하는데 있었음. 연구 범위로는 숫잔대/분홍숫잔대(가칭)의 혼성 군집을 대상으로 하여 3-유전체의 분석을 통해 각각의 유전자와 마이크로세틀라이트 마커를 개발하여 유전다양성을 분석하여, 종 분화 여부를 판정하고자 하였음. 본 연구는 2년 계획으로 되었으며, 1차년도에는 숫잔대와 분홍숫잔대(가칭)의 DNA와 RNA를 비교 분석하여, 3-유전체 유효변이를 확보하여, 2차년도에 개발된 마커를 이용하여 유전다양성을 분석함.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지리산 왕등재 습지에 자생하는 분홍숫잔대와 숫잔대”를 대상으로 한 핵마커 13개를 개발하여 각각 12 개체의 총 24개체에 대한 분석을 한 결과, 분홍숫잔대와 숫잔대는 대립형질(allele)에 의한 화색변이가 아닌 종 분화를 일으키고 있는 것으로 판단됨. ① NGS data 생산: HiSeq(DNA: Lobelia 12개체와 습지식물 2개체, RNA: Lobelia 5개체), Nanopore(장백도라지). ②숫잔대의 유전체 크기: Flow-Cytometry 분석을 통하여 각각 1.6 G로 추정되었고, K-mer 분석을 통하여 각각 2.01Gb와 2.15Gb로 나타남. ③ 유전다양성 마커 개발: 핵 SSR 마커(740개의 SSR site 발견하여, 33개의 마커 세트를 만들어서, 유용한 13개의 머커세트를 선발하였음.), 엽록체 유전체 변이(분홍숫잔대와 숫잔대 엽록체 유전체의 염기서열이 동일하였음), 핵과 미토콘드리아 유전자(accD 유전자가 3개의 copy 연구 대상에서 제거, XDH의 exon 4s에 추가 인트론이 존재해서 대상에서 보류, 미토콘드리아 atp1, cob와 cox1 유전자는 슷잔대류에서 conserved 되어 연구대상에서 뺌), 이러한 사유에서 핵 SSR 마커를 이용한 유전다양성 분석(채집이 허가된 분홍숫잔대 12 개체와 일반 숫잔대 12 개체를 포함하는 총 24개체: 대립형질(allele)에 의한 화색변이가 아닌 왕등재 습지에서 종 분화하는 것으로 판단됨). 연구발성과의 활용 계획 및 기대효과 (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1) 학문적 의미: ① 분홍숫잔대와 숫잔대는 대립형질(allele)에 의한 화색변이가 아닌 왕등재 습지에서 종 분화를 일으키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어 한반도 신분류군으로 등록하기 위한 형태조사가 이루어져야 할 것임. ② 한국, 중국, 러시아을 포함하는 숫잔대의 종내 엽록체 유전체 다양성 연구를 위한 기반 자료가 확보되었음.③ 초롱꽃과의 3-유전체 계통 방법으로 엽록체 유전자 외의 핵 유전자인 XDH, 미토콘드리아 유전자인 atp1, cob, cox1을 추가로 사용할 수 있게 되었음 2) 응용분야 기대효과: 초롱꽃과에는 CODEX(국제식품분류기준)에 한국이 제안해서 등재 완료된 도라지, 더덕, 잔대 등이 있음. ① 3-유전체(핵, 엽록체와 미토콘드리아)의 유효변이 마커로 (원산지 추적 마커개발)에 유용정보로 핵 유전자인 XDH, 미토콘드리아 유전자인 atp1, cob와 cox1가 확보되었고, ② intra-specific 변이를 해결할 수 있는 유전자 정보로 nr-accD와 XDH의 사용 가능성이 열려 이분야의 분류마커의 발전이 이루어 질 수 있으며, ③ 더덕/도라지는 자가불화성이 강한 타식성 숙근류로서, 벼에서 사용하는 GWAS를 통한 MAS(Molecular Assisted Selection)의 적용이 용이 하지 않아, 모계유전을 하는 엽록체 유전자 정보와 더불어 양성 유전을 하는 nr-accD과 XDH 유전자 정보가 더덕/도라지 육종에 유용한 정보로서 자리를 잡을 수 있을 것임. (출처 :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이정호
    • 주관연구기관 : 녹색식물연구소
    • 발행년도 : 20210300
    • Keyword : 1. 초롱꽃과;숫잔대;종분화;마이크로세틀라이트;분홍숫잔대; 2. Campanulaceae;Lobelia sessilifolia;speciation;microsatellite;Pink Lobelia;
  • 11602

    2021.01.31

    1. 감귤 웅성 불임 형질 관련: ① 감귤 교배집단에 대한 웅성불임 표현형 분석. ② 제주재래귤 진귤의 미토콘드리아 유전체 완전 해독. ③ 고밀도 SNP 연관지도 작성. ④ 감귤의 웅성기관 발달 관여 유전자 발굴. ⑤ 웅성불임의 분자기작 이해를 위한 전사체 분석. 2. 감귤 부피 및 과일 크기 형질 관련: ① 감귤 교배집단에 대한 부피 형질 표현형 분석. ② 감귤 부피 현상의 분자기작 이해를 위한 전사체 분석. 3. 감귤 홍피 형질 관련: ① 감귤 교배집단의 과실 표현형 및 유전력 분석. ② 카로티노이드/플라보노이드 생합성 유전자 발굴과 qPCR 프라이머 확보. 4. 제주재래귤의 유전 다양성 분석 관련: ① 제주재래귤의 유전다양성 평가 및 엽록체 기반 In/Del, SSR 마커 발굴. ② 제주재래귤 11종의 엽록체 유전체 완전 해독. (출처 : 요약서 3p)
    • 연구책임자 : 김호방
    • 주관연구기관 : 바이오메딕
    • 발행년도 : 20210200
    • Keyword : 1. 감귤;재래귤;과실 형질;분자육종;분자표지; 2. Citrus;Citrus landrace;Fruit trait;Molecular breeding;Molecular marker;
  • 11601

    2021.02.28

    본 연구는 식물의 방어기작에 중요한 세포소기관인 엽록체와 핵 사이를 이동하는중요 면역 관련 단백질을 분리 동정하는 프로테오믹스 기법을 개발하고 이를 이용해 밝혀진 단백질체와 이를 조절하는 유전자들의 역할을 규명하여 추후작물의 병원균에 대한 저항성을 높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또한 식물 면역반응시 발생하는 생리 생화학적인변화를 실시간 감지가능한 마커와 센서를 갖춘 형질전환체를 제작하여 식물 내 병원균 침투 시 그 식물의 면역 상생 여부에 따라 차등 발생하는 생리생화학적 변화를 기록함으로써 필드내에서 빠르게 감염 및 저항성 여부를 추정할 수 있는 레퍼런스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출처 : 요약서 3p)
    • 연구책임자 : 이주현
    • 주관연구기관 : 서울대학교
    • 발행년도 : 20210300
    • Keyword : 1. 엽록체;식물 면역;세포소기관;단백질체;핵; 2. Chloroplast;stromule;plant immunity;proteomics;nucleus;
  • 11600

    2021.01.31

    연구의 목적 및 내용 < 제1세부과제 > ○ 울릉군 산채류 선도유지 기술 도입을 통한 유통 시스템 개선 및 체계 확립하고자 산채류 예냉 및 MA포장 등 수확 후 관리 기술 투입 실증하여, 저온수송 등 유통 체계를 확립하고자 하였다. < 제2세부과제 > ○ 상추 직파를 통한 수량 증대 및 생력화, 노동력 절감. ○ 소형양배추 고온기 안정 생산을 위한 작부체계 개발. < 제3세부과제 > ○ 수박재배에 필요한 노동력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는 수박 2줄기 부분방임 재배를 현장실증하고자 한다. < 제4세부과제 > ○ 화훼 3차 우량 계통을 농업 현장에서 재배하여 꽃의 특성 및 재배 특성을 평가하고 수요자의 요구를 품종 선발 및 보급에 반영하고자 한다. < 제5세부과제 > ○ 미세조류를 이용한 복숭아 과실품질 향상을 위한 친환경 재배기술 개발 < 제6세부과제 > ○ 최근 수출증가가 뚜렷한 포도 ‘샤인머스켓’ 품질고도화 수출상품과 포도의 소비 다양성 충족을 위한 포도 ‘홍주 씨들리스’ 신품종의 시범수출 실증 ○ 중국 문화권 사과 소비자들의 기호 충족(산함량이 적고 당함량이 많으며 독특한 향이 있는)을 위한 사과 ‘감홍’의 해외 시범수출 실증 < 제7세부과제 > ○ 원예 산업 발전 및 신기술 보급 확대를 위해 2019년 연구성과를 바탕으로 인삼 터널식 해가림 재배 시 문제점으로 나타난 여름철 온도 경감 차광기술에 대한 현장실증을 수행하였다. < 제8세부과제 > ○ 본 연구는 신품종 시장성평가와 마케팅지원을 통해 신품종 시장 조기정착과 재배농가 소득 증대를 목적으로 한다. - (품종개발단계)개발중인 계통 또는 농가실증단계에 있는 신품종을 유통종사자를 대상으로 테스트하여 연구개발자에게 피드백한다. - (시장진입단계)상품성을 인정받아 농가에서 재배하고 있는 품종을 유통 및 재배 애로사항 컨설팅, 출하약정 등을 지원한다. ○ 원예작물 재배농가의 소득안정을 위한 농가 경제성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개발성과 < 제1세부과제 > ○ 산채류 수확 후 선도 유지 기술 실증을 통하여 예냉, MA포장기술 도입을 통한 상품화율이 증가하였으며, 산채류 저온 수송 유통체계를 확립하였다. < 제2세부과제 > ○ 상추 수량 증대 10% 및 육묘대비 생력화 80%, 육묘 노동력 절감 80% ○ 소형양배추 고온기 준고랭지 지역 파종, 정식시기 구명하였다 < 제3세부과제 > ○ 수박 2줄기 부분 방임재배에서 착과지는 착과 절위 아래 모든 곁순을 제거한 뒤 착과 이후 방임하고, 방임지는 초기 1~2개의 곁순을 제거한 후 방임한다. 이러한 재배법으로 곁순 제거 및 유인작업 시간이 평균 60% 단축되었고, 수박의 품질도 관행재배 대조구와 동일했다. < 제4세부과제 > ○ 절화 장미 ‘15R1-17’, ‘18R19-27’, 비모란 선인장 ‘원교 G1-324’, ‘원교 G1-325’, ‘원교 G1-326’, 거베라 ‘11B3-274’, ’15B3-244’, 팔레놉시스 ‘GW112’ 등 8계통, 심비디움 ‘원교 F1-76’, ‘원교 F1-77’을 농가에서 현장 실증하였다. 장미, 비모란선인장, 거베라, 심비디움은 화형, 화색, 초장 등 품질평가에서 우수한 평가를 받아 품종 출원이 예상된다. < 제5세부과제 > ○ 미세조류(클로렐라) 엽면살포의 복숭아 당함량 및 생리활성물질 증진 효과 실증 < 제6세부과제 > ○ 품질을 고도화시킨 포도 ‘샤인머스켓’ 규격과를 시범수출하여 매우 좋은 평가를 받았으며 우리 신품종 포도 ‘홍주씨들리스’도 해외시장 진입이 가능함을 실증하였다. ○ 우리 품종 사과 ‘감홍’ 해외시장 진입 가능성을 검토하였으나 원물가격 차이가 걸림돌 이었음을 확인하였다. < 제7세부과제 > ○ 인삼 터널식 해가림 시설에 고온기에 검정색 2중직 차광망 설치시 인삼의 지상부 및 지하부 생육이 양호하였고, 시설 내 온도와 인삼 잎의 온도 경감 효과가 우수하였다. 또한 광량 측정 결과 외부 차광재료가 녹색차광지 및 청백필름 모두에서 낮은 투광량을 유지하여 고온기에 활용할 수 있는 최적의 차광재료로 나타났다. < 제8세부과제 > ○ 유통종사자 대상 신품종 시장성평가는 배, 복숭아, 딸기 등 9품목 15품종에 대하여 실시하여 신품종의 보급확대에 기여하고 농업 R&D 효율성을 제고하였다. ○ 또한, 상품성을 인정받아 농가에 도입된 신품종 배, 마늘, 플럼코트 등 8품목 12품종에 대하여 컨설팅 및 대형마트 판촉행사 등 마케팅 지원을 실시하였다. ○ 신품종 플럼코트(하모니·티파니·심포니), 마늘(홍산) 도입농가의 경제성 진단을 통해 우수사례를 발굴하고, 개선방안을 도출하였다. 연구개발성과의 활용계획(기대효과) < 제1세부과제 > ○ 부지갱이를 시작으로 울릉군 특산 산채류 신선유통에 확대 적용하여 산채농가의 소득증대와 더불어 울릉군의 산채가 신선하게 유통 기술정착은 물론 실증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관련 영농활용, 매뉴얼 작성, 교육 등에도 할용하고자 한다 < 제2세부과제 > ○ 상추 직파를 통한 수량 증대, 생력화 및 노동력 절감 ○ 소형양배추 고온기 안정생산 개발로 수출작목으로 자리 매김 및 지역 생산자단체, 농가소득에 기여. 고온기 준고랭지 지역 안정 생산 기술 개발 ○ 소형양배추 작기 개발로 농가의 소득 및 연중 안정생산에 기여 ○ 소형양배추 품종 개발과 활용을 위한 기반 조성 ○ 소형양배추 시장의 국제경쟁력 향상에 따른 국내 재배면적 확대 및 해외시장 개척 가능 < 제3세부과제 > ○ 현장실증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과는 영농활용 및 홍보, 신기술 보급 사업 제안 등으로 농가에 보급하여 수박 재배 노동력 절감을 통한 농가 소득 증대에 기여할 할 것으로 기대된다. < 제4세부과제 > ○ 화훼 3차 우량계통의 현장 실증을 통해 재배상의 특징을 파악하고 이를 보완하여 품종을 출원하여, 화훼 품종의 농가 보급 확대에 기여 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 제5세부과제 > ○ 복숭아 품질향상 친환경 기술로 신기술보급사업 제안하며 미세조류 (클로렐라)의 과실품질 향상 효과를 타과종에서도 검토 < 제6세부과제 > ○ 시범수출을 통해 획득한 정보의 농업현장 전파 및 관련 시범사업 보급지침 방향설정에 활용 ○ 수출 대상국의 현지 맞춤형 수출상품 개발로 국산 과실의 수출경쟁력 향상 < 제7세부과제 > ○ 2021년 현장 보급 예정인 인삼 터널식 해가림 재배기술의 조기정착을 위해 현장실증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과는 신기술 시범사업 기술서에 반영하였으며 원예특작산업 발전에 이바지 할 것으로 예산한다. < 제8세부과제 > ○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물과 그 활용계획은 첫째, 신품종 농산물에 대한 시장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기술적인 측면에서의 대응과제를 도출하여 R&D 방향설정에 활용하고, 둘째, 신품종 도입농가 생산 효율성 증대 및 판로확보를 등을 통한 농가소득을 증대시키며, 셋째, 신품종 생산량 확보 및 시장조기정착으로 국내산 농산물 소비를 촉진시킬 수 있다. (출처 : 요약문 5p)
    • 연구책임자 : 노정호
    • 주관연구기관 : 국립원예특작과학원
    • 발행년도 : 20210200
    • Keyword : 1. 채소;과수;화훼;특작;농업경영; 2. vegetable;fruit;flower;herbal;market testing;
  • 11599

    2020.12.31

    원전사고 및 방사능 테러 등 다목적 방사능 재난 상황에 대응이 가능한 방사능 영상화 검출기를 개발하기 위해 줌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가변형 콜리메이터와 고해상도 감마선 영상화 검출기를 개발하였으며, 광학 및 열영상 장비와 융합하여 그 성능을 정량적으로 평가함. (출처 : 요약서 3p)
    • 연구책임자 : 이학재
    • 주관연구기관 : 아라레연구소
    • 발행년도 : 20210100
    • Keyword : 1. 줌 콜리메이터;모니터링 시스템;감마 카메라;방사선 계측기;방사선 재난; 2. Zoom Collimator;Monitoring System;Gamma Camera;Radiation Detector;Radiation Accid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