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Report

All 12,392 Page 91/1,240

검색
  • 11492

    2020.02.29

    ○ 연구개요 완치 판정을 받은 많은 암 환자들이 항암제 유발 심부전에 의한 호흡 곤란과 부종등을 겪고 있으며, 그 중 가장 대표적인 항암제는 독소루비신(Doxorubicin) 계열로 투여된 누적 용량에 비례하여 심부전 발생률이 증가함. 따라서 항암제 유발 심부전에 대한 조기 진단과 치료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으나, 관련된 기전은 아직 정립된 바가 없음. 나트륨/포도당 공동 수송체(Sodium/glucose cotransporter, SGLT)는 세포에 나트륨 이온과 포도당을 공급하는 막 단백질이며, 특히 심장에 존재한다고 알려진 SGLT1과 심장 질병과의 연관성은 증가하는 추세임. 엠파글리플로진(Empagliflozin)은 신장에서 포도당 재흡수를 담당하는 SGLT2에 대한 억제제로서 당뇨병 치료제로 널리 사용되는 약물이지만, 최근 임상연구들에서 심부전 악화로 인한 재입원 및 심혈관 질환으로 인한 사망을 감소시킨다고 보고된 바 있음.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항암제 독소루비신으로 유발된 심장 독성 관련 기전에서 SGLT1의 역할과 엠파글리플로진의 심근 보호 효과에 대해 확인함으로써 심혈관 질환 치료제 개발의 기초연구자료로 활용하고자 함. ○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독소루비신으로 독성이 유발된 심근세포(H9c2 cell)에서 SGLT1의 mRNA 및 단백질 발현이 증가했으며, 이와 함께 증가된 세포 사멸은 SGLT1 siRNA 처리에 의해 감소함. 또한 독소루비신으로 증가된 SGLT1과 세포 사멸은 엠파글리플로진 처리에 의해 감소되었으며, 독소루비신 유발 심부전 동물 모델(C57BL6 mouse)에서도 동일한 결과를 확인함. 이를 통해 항암제 유발 심부전을 치료할 수 있는 새로운 표적으로서 SGLT1의 역할과 이를 통한 치료제로서 엠파글리플로진의 가능성을 입증함. 이와 관련된 전사 네트워크 및 신호 전달체계를 밝히고자 SGLT1의 발현을 조절할수 있는 전사 인자 후보군으로 Specificity protein 1 (Sp1), Hepatocyte nuclear factor 1 (HNF1), cAMP response element-binding protein (CREB)을 확인하였지만 모두 부적합하다는 결과를 확인하였으며, RNA binding protein 중 하나인 Human antigen R (HuR)과 Sodium/hydrogen antiporter 1 (NHE1)이 관련 기전에서 높은 연관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음. 따라서 독소루비신 유발 심부전 모델에서 엠파글리플로진의 심근 보호 효과 작용 기전을 규명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함. ○ 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SGLT1이 본연의 수송체 역할 뿐만 아니라 세포 사멸을 조절할 수 있다는 입증은 유사한 수송체 단백질의 새로운 기능을 밝혀줄 수 있는 이론적 기반을 제공할 것이며, 심부전 이외의 다른 심장질환에서도 SGLT1의 역할에 대한 후속 연구의 타당성을 제시할 것으로 사료됨. 또한 항암제 유발 심부전 발생 기전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지만 분자적 기전에 근거한 신약 개발은 전무한 실정이므로, 새로운 표적인 SGLT1을 기반으로 보다 효과적인 신약 개발이 이루어질 것으로 사료됨. 특히 이미 임상에서 널리 사용하는 엠파글리플로진의 추가적인 효과를 입증함으로써 임상적으로 빠른 적용에 대한 기대가 가능함.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3p)
    • 연구책임자 : 강석민
    • 주관연구기관 : 연세대학교
    • 발행년도 : 20200300
    • Keyword : SGLT1;Heart failure;Cardiomyocyte;Doxorubicin;Cardiotoxicity;Cell apoptosis;
  • 11491

    2020.02.29

    연구개요 본 과제를 통하여 세계 최초로 방사선 유발 육종 환자 그룹의 수술 시 얻어진 검체의 전장 유전체 분석(whole genome sequencing) 을 시행하였음. 기준치 이상의 QC를 거친 DNA 로 whole genome sequencing library를 제작하였음. 해당 NGS library로 whole genome sequencing을 수행하였음. 분석 과정에서 기본적인 유전체 분석의 변이 뿐 아니라, copy number analysis, mutational signature analysis 도 수행하였으며, 특히 이 과정들에서 The Cancer Genome Atlas (TCGA)의 자연 발생 육종의 시퀀싱 결과 들과 비교하는 과정들을 포함하였음.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 방사선 유발 육종으로 수술 받은 환자의 검체에서 DNA를 추출하고, quality control (QC) 검사를 수행함. -> 적절하게 수행되었음. 기준치 이상의 QC를 거친 DNA 로 whole genome sequencing library를 제작하였음. 해당 NGS library로 whole genome sequencing을 수행함. ◼ DNA 의 전장 유전체 시퀀싱을 통해 방사선 조사 이후 발생하는 염증 반응, 그리고 환자의 면역 체계의 변화가 이후 종양의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할 예정임. -> 적절하게 수행되었음. 방사선유발육종 뿐 아니라, 자궁경부암에서의 면역 체계의 변화가 이후 종양의 발생과 예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The Cancer Genome Atlas database를 이용하여 분석하여 방사선유발육종의 발생 기전과 비교하였음. ◼ 방사선 유발 육종 특이적인 유전체 변형 (fusion gene 포함)을 발견함. -> 적절하게 수행되었음. Fusion gene 에 대한 시퀀싱 분석을 위한 분석 플랫폼이 사용됨. ◼ 방사선 유발 육종의 원인 평가 및 치료시험을 위한 세포주 확립 -> 적절하게 수행되었음. Cell line 계대배양중임. mouse 실험을 통하여 방사선조사로 인한 면역체계 마커 변화를 관찰하였음. 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 방사선의학에서 아직 유전체 연구 및 암 발생 기전 연구는 국내외적으로 미흡한 편이며, 본 연구를 통하여 세계적으로 방사선의학 에서의 유전체 연구를 선도하는 그룹이 되었음. 연구 플랫폼을 제시하고, 해당 분야의 성장을 주도할 수 있게됨. ■ 방사선 유발 종양의 염증 및 면역 인자 분석을 바탕으로, 염증이 종양 발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기전의 이해 및 면역 반응의 이상이 종양 증식 억제를 회피하는 기전을 심층적으로 이해하게 되었음. ■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방사선 유발 종양의 진단에 fusion gene 등 유전적 인자를 도입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됨. 이후의 치료 방침 결정 및 효과적인 약제발굴에도 획기적인 변화를 줄 수 있음. ■ Cell line 구축을 통해 이후의 cell engineering을 통한 therapeutic modulation의 기반을 마련할 수 있음. ■ 관련 분야 후학들을 교육함으로써, 박사 학위 및 전문가 인력을 배출할 수 있음. (출처 : 요약문 3p)
    • 연구책임자 : 장지현
    • 주관연구기관 : 서울대학교병원
    • 발행년도 : 20200300
    • Keyword : 방사선 치료;방사선 유발 육종;전장 유전체 분석;종양 발생;
  • 11490

    2020.02.29

    ○ 연구의 목적 및 내용 수자원 오염과 기상이변에 따른 물 부족 시대를 맞이하여 기존의 증발법, 역삼투압법과 같은 기존의 수처리 방법에 비해 친환경적이며 에너지 효율적인 장점을 가지는 축전식 탈염전극(CDI, Capacitive De-Ionization) 기술이 많은 관심을 받고 있음. 그러나 축전식 탈염 기술발전을 위해서는 고용량을 가지는 전극소재와 최적화된 운전 방법을 개발할 필요가 있음. 본 연구에서는 고성능 축전식 탈염전극의 활물질로 이용하기 위한 계층적 다공성 탄소나노소재를 개발하고 이를 적용한 축전식 탈염전극 시스템 운전 기술을 최적화하는 것을 목표로 함. 리서치펠로우 연구과제의 취지에 맞춰 연구책임자의 전통탄소소재 및 축전식 탈염 기술 연구경험과 주관기관의 슈퍼커패시터 등 에너지 소자로 응용가능한 탄소나노소재 기술을 결합해 시너지효과를 내고자 함. ○ 연구결과 고성능 축전식 탈염전극의 활물질로 이용하기 위한 계층적 다공성 탄소나노소재의 개발과 이를 전극소재로 활용한 CDI 운전기술의 최적화. 주관연구기관인 성균관대학교의 에너지 및 환경용 소재 기술을 적용하여 시너지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며, 국제공동연구 수행, 계속적인 연구과제 발굴(ex. 염분차 발전)을 수행함. 세부적인 연구결과로, 1. 비표면적 1601 m2/g, 메조포어 63.4%을 만족하는 계층적 다공성 탄소나노소재 개발 2. 기존 활물질(AC) 대비 164% 의 향상된 전기전도도를 가지는 탄소나노소재 적용 3. 고성능 CDI를 위한 이종원소 도입 4종, 표면관능기 처리 2종의 탄소나노소재 평가 4. CDI를 활용한 염제거율(NaCl 기준) 기존 AC 대비 184%의 성능향상 (N-AC,MOF-derived AC 활용) 5. 100 cycle 이상 구동에서 95% 이상의 초기성능 유지 6. 정전류/정전압 CDI 운전을 통한 운전기술 평가 7. 호주 월렁공 대학교, 퀸즐랜드 대학교, 미국 워싱턴 주립 대학교와 CDI 활물질 및 촉매 지지체용 나노탄소소재 공동연구 8. CDI 셀을 이용한 염분차 발전(염수/담수의 반복 공급을 통한 에너지 생산) 시스템 구축 및 주관기관의 소재 적용 계속 연구 ○ 연구결과의 활용계획 - 수자원 고갈 위험에 대응하여 해수담수화, 폐수처리 및 깨끗한 물을 얻기 위한 친환경, 에너지 효율적인 축전식 탈염 기술의 확보 - 사업초기 단계인 축전식 탈염의 핵심 기술(고성능 전극 활물질) 확보로 고부가가치물 산업 성장의 주도적 역할 - 가정용 정수뿐만 아니라 초순수 등 공업용수, 해수로부터의 자원회수 및 에너지 생산 등 해양자원이용, 원자력 폐기 방사선 물질의 선택적 제거 등으로 발전할 수 있는 초석기술의 확보 - 연구책임자와 주관기관의 연구분야 교류와 통합을 통해 연구자의 연구 지속성 유지와 질적 향상, 주관기관의 기 개발소재의 새로운 응용분야 적용, 국제공동연구 추진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4p)
    • 연구책임자 : 김지영
    • 주관연구기관 : 성균관대학교
    • 발행년도 : 20200300
    • Keyword : 1. 축전식 탈염전극;수처리;계층적 구조;다공성 탄소;탄소 복합재료;이종원소 도입;선택적 흡착;시스템 운전 기술;염분차 발전; 2. Capacitive deionization;Water purification;Hierarchical structure;Porous carbon;Carbon composite;Hetero-atom doping;Selective adsorption;System operation;Salinity Gradient Energy;
  • 11489

    2020.08.31

    □연구개요 후생유전학적 관점에서 종양억제와 깊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histone deacetylase (HDAC) 억제제를 이용하여, 방사선치료가 주요한 치료 중 하나이나 충분한 국소제어율을 얻지 못해 치료 성적이 좋지 않은 뇌 교모세포종 (Glioblastoma)을 대상으로 방사선 감작제로서의 역할을 확인하고자 함. 전임상연구를 수행하여 교모세포종 세포주와 동물종양모델에서 방사선치료 적용 시 HDAC 억제제와의 병용을 통해 방사선감작제로서의 역할, 특히 차세대 방사선치료로 각광받고 있는 양성자와 의 병용 시 세포사멸효과를 X-선과 비교하고, 종양 유전자 분석을 통해 치료효과와 의 연관성을 확인하여 환자 맞춤형 방사선치료를 위한 기반을 확립하고자 함.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뇌 교모세포종에서 HDAC 억제제의 양성자 감작 효과 및 기전 확인을 통한 새로운 방사선 감작제 개발의 이론적 배경 확립을 최종 목표로 다음과 같은 세부 연구를 진행하였음. 1) 뇌교모세종세포에서 HDAC 억제제인 valproic acid (VPA)의 X-선 대비 양성자 치료 증진 효과 비교 -양성자가 X-선 대비 뇌교모세포종세포에 효과가 더 컸고, VPA는 양성자 감작효과가 확인되었음. 2) 3D 배양 모델에서 X-선과 양성자 치료 효과 측정 플랫폼 개발 -마이크로필러와 arginate를 이용한 3D 배양 모델을 만들고, X-선과 양성자의 다양한 선량에 따른 반응을 측정하는 플랫폼을 개발 완료하였음. 3) 3D 배양된 3종의 교모세포종 세포에서 VPA의 양성자 치료 효과 차이 확인 -3D 배양 조건에서 양성자와 VPA 병용이 단독 대비 치료 효과가 증진됨을 확인. 4) 3D 배양 조건에서 RNAseq을 통한 양성자와 VPA 병용 효과 관련 pathway 분석 - VPA 단독처리군에서 기존에 알려지지 않은 pathway 발굴됨. - VPA와 양성자 병용군에서 특이적으로 발현이 감소되는 pathway 발굴됨. □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Valproic aicd는 뇌전증, 발작 등에 사용되는 안전성이 입증된 약제로 뇌교모세포종의 양성자 치료 시 병용 투여 가능성을 확인하고, 관련된 gene pathway 분석을 통해 새로운 바이오마커를 찾고자 하는 것이 주요 목적임. 1) 기술적 측면 -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표준 측정법인 2D clonogenic assay에서 보다 실제 종양 환경에 근접한 3D 배양 기반 양성자 반응 측정 플랫폼을 개발하였음. - 3D 조건에서는 양성자와 valproic acid의 병용 효과가 우수함을 최초로 보였음. - 최신 next generation sequencing (NGS)기법인 RNAseq 분석을 수행하여 치료반응과 관련된 새로운 바이오마커 발굴을 위한 기반 데이터를 제공함. 2) 경제적-산업적 측면 -양성자의 뇌교모종 환자 치료 효과 관련 이론적 토대를 제공. -양성자 치료 반응 플랫폼 개발로 향후 새로운 병용 치료제 개발에 활용 가능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양성자 맞춤형 환자 선별 가능의 기반 제공. (출처 : 요 약 문 2p)
    • 연구책임자 : 유정일
    • 주관연구기관 : 삼성서울병원
    • 발행년도 : 20200900
    • Keyword : 교모세포종;양성자 치료;히스톤디아세틸레이즈 저해제;플랫폼 개발;바이오마커;삼차원 배양;전사체 분석;발프로산;
  • 11488

    2020.11.30

    ◦ 방사선 안전 물리학적 선량평가 기술개발 ▪ 혈액조사용 팬텀 개발 및 방사선장 선질 분포 평가 ▪ 알파분광분석 시스템 구축 및 알파방출핵종 분석 기술 개발 ▪ 베타방출핵종 극 저준위 삼중수소 측정기술 개발 ▪ 감마방출핵종 동시합산효과에 대한 감마선 측정기술 개발 ▪ 유리선량계 판독시스템의 판독 성능 향상 ▪ 내부피폭 선량평가 코드 핵심 데이터 라이브러리 확립 ◦ 방사선 안전 생물학적 선량평가 시스템 개발 및 활용 방안 ▪ 국제기준(ISO)에 따른 전좌분석을 이용한 표준선량곡선 확립 ▪ AI 빅데이터 기술을 이용한 이동원 염색체 자동화 분석 프로그램 개발 연구 ▪ AI 자동화프로그램과 육안판독의 이동원염색체 표준선량곡선 상호 비교 분석 ▪ 생물학적 선량평가 기술을 이용한 교차분석 시험 참여 ◦ 국제공인기관 인정 및 운영 정상화 ▪ 국제공인기관 운영 정상화(방사선, 방사능 분야) ▪ 국제공인기관 측정심사 및 숙련도 시험 참고로 측정 능력에 대한 품질 검증 ▪ 국제공인기관 사후관리 (교정) 및 전환평가 완료 (교정/시험기관) (출처 : 요약서 3p)
    • 연구책임자 : 강영록
    • 주관연구기관 : 동남권원자력의학원
    • 발행년도 : 20201200
    • Keyword : 1. 품질보증;선량평가;표준조사;전좌;인공지능; 2. QA;Dosimetry;Standard irradiation;Translocation;AI;
  • 11487

    2019.12.31

    1.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원자력사고 초기 신속대응 로봇시스템 적용성 증대를 위한 실증 시설 구축 및 로봇시스템 성능평가 - 원자력시설 사고환경, 시나리오 분석 및 로봇 미션 설정 - 원자력시설 모사 로봇 실증시험용 테스트베드 구축 - 사고모사 환경에서 로봇과 관련 기술 적용성 평가기술 개발 2. 연구결과 ◦ 원자력시설 사고 환경, 시나리오 분석 및 로봇 미션 설정 - 시나리오 기반 및 후쿠시마 원전 정보 수집을 통한 사고환경 분석 - 비정상 운영절차서/비상운전절차서/중대사고 지침서를 분석하여 로봇이 수행해야할 긴급조치 미션 설정 ◦ 원자력시설 사고를 모사한 로봇 실증시험용 테스트베드 구축 - 로봇 긴급조치 미션 시험을 위한 CVCS 계통의 실규모 실증시험용 테스트베드 구축 - 디지털 목업을 구축하고 동역학 기반의 로봇 이동성 모의실험 수행 및 사고 유사환경 모사 고온/비가시 챔버 구축 ◦ 사고모사 환경에서 로봇 관련 기술 적용성 평가 - 기개발 및 개발중인 로봇을 이용하여 테스트베드에서 이동성/조작성 시험 및 평가 - 드론의 실내 비행성 시험/평가 및 초고속 무선통신 적용성 시험 (출처 : 요약서 3p)
    • 연구책임자 : 최영수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연구원
    • 발행년도 : 20200100
    • Keyword : 원자력사고;긴급조치 시나리오;로봇 테스트베드;로봇 이동성/ 조작성 시험;로봇 적용성 평가;
  • 11486

    2020.08.31

    □연구의 목적 및 내용 미국의 NRC는 원자력발전소의 물리적방호 임무를 담당하고 있는 보안요원의 체력관리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고 체력검정 실시 및 체력관리 프로그램에 관한 규제 및 지침을 제공하고 있음. 하지만 국내에서는 특수경비원의 체력관리에 관한 규제가 구체적으로 마련되어 있지 않으며, 이와 관련된 연구도 전무한 실정임. 이에 본 연구는 원자력발전소 특수경비원을 위한 통합적 체력관리모델 개발을 통해 특수경비원의 직무 수행 완수에 필수적인 체력을 체계적으로 평가하기 위한 체력검정 방법론과 훈련 프로그램을 연구·개발하여 원자력발전소의 보안과 안전을 위한 물리적방호를 강화하고자 함. □연구개발성과 ※ KCI 등재지 논문 3편 게재, 1편 투고 및 심사 중, 체력관리프로그램 개발(관리자 웹, 사용자 앱) 1. 원자력발전소 특수경비원 체력검정 방법론 개발 1) 국내·외 문헌분석을 통한 특수경비원의 직무를 분석하였고, 원자력 분야 전문가 회의를 통해 직무적합도에 대한 검토를 통해 결과를 도출 2) 체육전문가 회의를 통해 직무수행에 관련된 체력요인 및 체력요구정도 도출 3) 앞선 연구결과를 토대로 특수경비업무에 적합한 체력검정 종목 및 측정방법을 도출 2. 체력검정 기준치 도출 1) 추후 개발될 체력검정방법의 현장 적용성을 고려하고자 원자력발전소 체육시설 현황 분석 2) 실험군을 대상으로 한 체력검정결과와 현장전문가 검토를 기초로 체력검정 기준치 도출 3. 특수경비원의 훈련 프로그램 개발 1) 직무수행에 필요한 체력요인을 향상시키고 체력검정 기록 향상을 위한 체력훈련프로그램 개발. 2) 실험군을 통해 개발된 체력훈련프로그램을 적용하여 프로그램의 효과를 과학적으로 검증. 3) 현장에서 체력관리를 원활히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체력관리 툴(관리자 웹, 사용자 앱)개발 4. 체력관리제도 도입방안 제시 1) 문헌분석을 통해 체력관리제도 도입에 관한 정책대안을 도출한 후 AHP 분석을 통해 중요도 및 우선순위 분석 실시 □연구개발성과의 활용계획 국내 최초로 개발된 특수경비원을 위한 체력관리모델은 특수경비원의 체력을 과학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방법론을 제시하고, 훈련 프로그램을 통해 스스로 체력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유도함으로써 원자력발전소의 물리적방호체계 중인적방호 강화에 기여함. (출처 : 요 약 문 4p)
    • 연구책임자 : 정호원
    • 주관연구기관 : 경북대학교
    • 발행년도 : 20200900
    • Keyword : 1. 원자력발전소;물리적방호;특수경비원;체력검정;체력관리; 2. nuclear power plant;physical protection;special security guard;physical fitness test;physical fitness management;
  • 11485

    2020.05.31

    □연구개요 본 연구 과제에서는 cre-lox system을 이용하여 조직 특이적으로 RORα를 knockout 시킨 유전자 변형 마우스와 일차 조골세포 및 파골세포 배양을 통해 RORα의 골 항상성을 조절 기능이 나타나는 일차 기관(primary organ)을 조사하고자 함. 또한 차세대 염기서열분석(next generation sequencing, NGS) 기반의 RNA-seq을 통해 RORα의 target 유전자를 발굴함으로서 RORα의 골 항상성 조절 기전을 밝히고 골다공증 치료 약물 target으로서의 가능성을 타진하고자 함.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RORα knockout osteoblast 및 osteoclast primary culture를 시행함. RORα KO osteoblast의 분화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함. RORα KO osteoclast에서는 분화의 차이를 관찰하지 못함. Prx1-Cre와 Lys-Cre를 통한 조골세포 lineage, 파골세포 lineage 특이적인 KO 마우스를 확립함. RORα의 target gene 및 조절 기전을 밝히지 못함. □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기존에 알려진 바와 달리, RORα KO osteoblast에서 분화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함. 따라서 RORα KO 마우스의 낮은 골밀도와 골형성 감소는 osteoblast cell autonomous한 표현형이 아닌 systemic 문제에 의한 2차적인 표현형이라고 생각됨. (출처 : 요 약 문 2p)
    • 연구책임자 : 이기준
    • 주관연구기관 : 연세대학교
    • 발행년도 : 20200600
    • Keyword : 1. 고아수용체; 2. RAR-related orphan receptor alpha;Rora;Cre-LoxP;Bone;
  • 11484

    2020.04.30

    Ⅰ 사업 추진 배경 및 기획 경과 1절 사업추진 배경 및 필요성 1. 사업 추진 배경 ■ 소재·부품·장비 기술 자원화를 통한 무역전쟁 심화 • 소재·부품·장비 산업은 제조업의 허리이자 경쟁력의 핵심요소 – 국내 소재·부품은 제조업 사업체 수의 37.24%, 종사자의 44.53%, 생산액의 48.93%, 부가가치액의 51.64% 비중을 차지하는 주력 기간산업으로 발전 • 외형적으로 높은 성장을 이룩하였으나, 핵심 소재·부품의 높은 해외 의존구조로 인하여 수출규제 시 우리나라 경제에 큰 위협 가능 – 01년 ‘부품·소재전문기업 등의 육성에 관한 특별조치법’ 제정 이후, 양적 성장기반 마련하였지만, 생산 3배, 수출 5배 증가 등 외형이 크게 성장하였으나, 범용제품 위주의 추격형 전략과 압축 성장으로, 핵심 전략품목의 만성적 대외의존 지속, 글로벌 경합도 증가, 부가가치 정체 등 한계 – 소재 산업 관련 가마우지 경제*에서 벗어나 첨단소재 대일 무역역조 해소를 위한 높은 수준으로의 기술 고도화 필요 * 가마우지 경제 : 수출품의 원자재를 일본에서 대부분 수입하는 대한민국의 수출 구조상 문제점으로 인해 수출로 얻는 실질적인 이익을 대부분 일본에 뺏기는 형태 ■ 빠른 기술혁신과 미래사회 변화에 대응하여 과학기술 자체를 선도형으로 혁신 추진 • 우리나라는 산업화 시기의 기술 공급자적 R&D 구조와 오랜 기간 고착화된 추격형 R&D 체계에서 창의·선도형 R&D 체계로 전환* 중 * 제4차 과학기술기본계획은 추격형 R&D 전략으로는 빠른 기술혁신 및 환경변화에 대응하기 어려운 점을 강조하면서 창의·선도형 R&D 체계로 전환을 미래비전 실현을 위한 과학기술정책방향으로 제시 • 과학기술 자체를 선도형으로 혁신하기 위해서는 고성능 대형가속기 등 인프라 확대 필요 – 세계적으로 대형광가속기의 활용을 통하여 미개척분야에 대한 혁신적인 기술이 창출 – 우리나라는 방사광가속기를 활용하여 세계 최초 물의 특성 규명, 반도체 효율증대 나노패턴 기술 개발 등 선도적 연구성과를 창출 ■ 주요 선진국은 고성능 대형가속기가 미래유망분야 핵심원천기술 확보에 필수적인 첨단연구 인프라로 인식하고 체계적이고, 선제적 투자 진행 중 • 미국, 유럽 등 주요 선진국들은 중장기 계획을 수립하여 체계적으로 대형가속기를 구축·운영 중 ※ 미국 DOE의 HEP(High Energy Physics), NP(Nuclear Physics) 및 BES(Basic Energy Science), 유럽연합경쟁력이사회 ‘ESFRI’ 중장기 계획(’10∼’20년) 등 • 특히, 방사광가속기를 활용한 반도체·소재·신약개발 등 첨단산업 R&D를 지원 ※ 전 세계 47기(1 GeV 이상) 운영중, 타미플루(스탠퍼드大 방사광가속기(SSRL)) 개발, 인텔/HP는 SSRL, LBNL과 협업, 대만 TSMC社는 세계적 반도체 경쟁력 확보 ■ 우리나라의 경우 방사광가속기 활용 연구성과가 지속 증대하고 있으나 첨단산업 핵심기술 확보를 위한 방사광가속기 활용수요 대응 한계 노출 • 방사광가속기를 활용한 연구성과 지속 증대 ※ SCI 논문 수/편당 I.F. : ('10) 407건/3.3→('14) 551/4.2→('19) 561건/7.7 ※ '18년 기준 mrnIF가 78.9로 정부 R&D전체 평균 63.83에 비해 월등히 높은 수준 • 빔타임 제공 부족, 산업지원 R&D 전용 빔라인 부재로 산업지원 R&D 수용에 대한 신속한 대응 곤란 – 기 구축 방사광가속기의 신청대비 지원 비율 지속 하락*하고 있으며 특히, 산업체 빔타임 수용률 지속 감소** * 신청대비 지원 비율 : ('17) 52.3%→('19) 50.6% ** 산업체 빔타임 수용률 : ('17) 55.0%→('19) 47.6% ☞ 방사광가속기 활용수요에 대응하고 과학기술 수준 향상 및 산업적 활용도 제고를 위한 고성능 다목적 방사광가속기 구축 필요 2. 시급성 ■ 핵심 소재·부품의 해외 의존구조 극복을 위한 방사광가속기 구축 시급 • 소재·부품산업은 우리나라의 주력 기간산업*이나 첨단 소재·부품의 경우 일본, 미국, 독일 등 선진국에 의존** * 국내 소재·부품 산업은 제조업 사업체 수의 37.24%, 종사자의 44.53%, 생산액의 48.93%, 부가가치액의 51.64%를 차지(소재부품 종합정보망, www.pmsd.or.kr) ** 특히, 對日 무역적자는 ’01년 △165억 달러 → ’18년 △224억 달러로 장기간 지속(소재·부품·장비 R&D 투자전략 및 혁신대책 후속계획, 범부처, 2020) • 일본은 SPring-8 방사광가속기를 이용한 부품·소재의 연구개발로 반도체 부품 및 장비 강국 유지 ※ SPring-8을 활용하여 반도체용 신산화물재료 평가, 고성능전지재료의 국소구조 해석, 나노 재료평가, 미량원소분석, 재료단면관측, 재료의 불량분포분석 등)에 이용 • 우리나라 경제에 큰 위협을 주었던 일본의 對 한국 수출규제*의 사례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하여 핵심 소재·부품의 자립화 시급 * 2019년 7월 1일 일본 경제산업성이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제조 핵심 소재(플루오린 폴리이미드, 포토레지스트, 에칭가스 등)의 수출을 제한 ■ 미래유망분야 핵심원천기술 확보 및 국가 기간 산업 기술안보에 필수적인 고성능 대형가속기 구축 시급 • 첨단산업기술 확보 및 선도형 기초원천 연구를 위한 고성능 빔라인 구축 필수 – 미국은 1930년대 최초의 가속기를 개발하여 노벨상 수상, 로렌스버클리연구소(LBNL)는 현재까지 관련 분야를 선도 – 방사광가속기를 이용하여 미세구조 분석을 통한 신약, 반도체 분야에서 다양한 성과 창출 ※ 타미플루는 스탠퍼드大 방사광가속기(SSRL)를 활용한 단백질 구조분석의 성과 ※ 인텔, HP는 SSRL, LBNL과 협업, 반도체 소재의 불순물 검사 정밀도를 대폭 향상 ■ COVID-19 확산과 같은 국가/사회 문제 신속 대응 기술 확보를 위한 인프라 구축 시급 • 인간사회와 자연환경에 대한 재난·재해 위험이 세계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신종감염병의 경우 그 위험도가 매우 높음* * 신종감염병은 미래위험 영향력 측면에서 1위, 발생가능성 측면에서 자율주행 오류, 생활 유해물질에 이어 3위를 차지(빅데이터로 본 미래위험신호 FUTURE SAFETY ISSUE(2019-13호) - 국립재난안전연구원) • 방사광가속기를 통해 단백질 결합구조를 밝혀낸 덕분에 타미플루 개발에 성공하여 신종플루 극복에 기여 ※ 최근 신종감염병이 유례없는 속도로 출현하고 있으며, SARS, MERS, 에볼라, 조류인플루엔자, 지카 바이러스, COVID-19 등 40가지가 넘는 신종감염병이 발견됨에 따라 그 위험성이 커지고 있음(질병관리본부, 2019) ■ 기구축 방사광가속기 이용 포화 및 성능한계를 극복하고 미래기술 선점에 필요한 고성능 다목적 방사광가속기 구축 시급 • 포항방사광가속기는 1994년 준공 이후 26년간 과학발전에 많은 기여를 하고 있으나 가속기 노후 및 성능한계로 국제 경쟁력 저하 – SCI 논문 편수, 평균 IF, Nature/Science 논문게재 등 연구성과의 양적·질적 확대 • 주요국은 차세대 방사광가속기 신규도입 및 성능향상을 추진 ※ 차세대방사광가속기 추진현황: 스웨덴 MAX-IV(3 GeV), 중국 HEPS(6 GeV), 브라질 SIRIUS(3 GeV) (이상 신규도입), 미국 APS-U(6GeV), 일본SPring-8-II(6GeV), (이상 성능향상) 등 3. 국고지원의 필요성 및 시급성 ■ 국고지원 요건 • (근거법령) - 기초과학연구진흥법, 과학기술기본법, 기초연구진흥 및 기술개발지원에 관한법 등 • (방사광가속기 관련 정부계획) - 대형가속기 장기 로드맵 및 운영전략(2020.03) - 대형가속기 운영체제 개선방안(2017.02) - 소재·부품·장비 연구개발 투자전략 및 혁신대책(2019.08) ■ 정부 지원의 필요성 • 소재·부품산업 육성정책, 미래 첨단산업(소재·반도체·바이오) 발전에 따른 방사광가속기 기업수요에 장기적으로 대응 필요 - 현재 대기업 이용 비율이 높으나(70∼80%) 소재부품 관련 중소기업 수요 증가가 예상되어 관련 지원책 마련이 필요 * 세계 반도체시장 ’30년까지 연평균 4.5% 증가, 고부가첨단소재 시장규모 ’20년 242조→ ’30년 411조 증가, 세계 의약품시장 ’30년 1.8조 달러로 확대 예상 - 산업체 이용 활성화를 위해 일반 연구자와 차별화된 산업 지원용 빔타임의 대폭 확대 제공 필요 * 해외 사례 : SPring-8(일본) : 전용 6기(운영), ESRF(유럽) : 전용 4기(구축예정), Aichi(일본) : 산업전용 등 * 빔타임 평균 3일보다 많은 6일 이상을 요구(방사광가속기 이용기업 설문조사결과, ‘19.12월) • 방사광가속기는 국가의 기초과학 강화를 위해서 필요한 공공연구시설이므로 국가의 과학기술 강화를 위해서 정부의 재정지원 역할이 필요 - 생명공학, 재료과학, 화학, 지구과학, 환경과학 등 과학 및 산업분야의 연구개발에 필요한 고도의 연구시설임 - 최근 연구분야의 확대와 이용자수의 증가는 동 시설에 대한 사회적 필요성을 방증하고 있는 결과 - 방사광가속기는 대형 연구시설로 구축비용이 높아 시장에서 생산되기 어려운 서비스 • 사회적으로 고급역량을 보유한 인재들의 지속적인 활용 필요 - 방사광가속기의 설비 및 연구분야에 많은 전문인력들이 배치되어 있고, 이들 인력은 가속기 연구 분야에서 고급역량을 보유하고 있는 인재임 - 현재 국가 경쟁력 제고를 위해 필요한 기존 방사광가속기 시설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필수적인 인력이며 이를 꾸준히 지원하고 사회적으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 정부의 역할 - 방사광가속기의 관리 운영에 투입할 수 있는 국내 인력은 포항가속기 연구소 인력 외에 대체가 어려움 - 이들 인력은 가속기 건설과정에 많은 역할과 기여 할 수 있어 활용도가 높음 ■ 국가재정 운용계획 연계 • 국가 GDP대비 R&D예산 세계 1위,* 정부 R&D 30조** 시대에 걸맞는 세계 과학기술 선도를 위한 첨단 R&D 플랫폼을 구축함으로써 국가 브랜드 가치 향상 * GDP 대비 R&D 예산 비중 세계 1위 (4.55%), 전체 R&D 예산 투자규모 세계 5위 ** 2019년 최초로 정부 R&D 예산이 20조 원을 돌파, 기재부에 따르면 2023년에는 30조 원 시대 도래 (출처 : 요약서 23p)
    • 연구책임자 : 이기종
    • 주관연구기관 : 주식회사 이니씽크
    • 발행년도 : 20200500
    • Keyword :
  • 11483

    2020.02.29

    ○ 연구개요 ㆍ DNA 손상 복구에 중요한 단백질은 유전체 안정성 유지에 필수적이지만, 단백질의 활성이 올바르게 조절되지 못할 경우, 오히려 세포의 유전체 불안정성을 증가시키거나 불필요한 DNA 손상 신호을 활성화 시켜 세포주기 멈춤 혹은 세포의 사멸을 유발시키는 등 세포에 좋지 않은 결과를 초래하게 됨. 유전자가 존재하는 세포의 핵에는 막이 없는 다양한 핵체(nuclear bodies)의 존재가 오래전부터 인지되어 왔으나, 아직도 핵체의 생물학적 역할이 명확히 규명되어 있지 못하고 있음. ㆍ 본 연구수행을 통하여 PML 핵체가 유전체 손상복구 기전에서의 역할을 규명하고자 하였으며 아래와 같은 연구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음. ○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ㆍ 본 과제 수행을 통하여 DNA 손상복구 단백질의 세포내 위치에 따른 기능 조절에 관한 다수 결과를 얻을 수 있었으며, DNA 손상복구 단백질인 TONSL 단백질이 손상되었을 때 유발할 수 있는 질병을 규명하여 저명한 논문에 연구결과를 보고하였음. ㆍ 본 과제 수행을 통하여 아래와 같은 새로운 사실을 도출할 수 있었으며, 자세한 내용은 본 과제의 종료보고서에 상세하게 기술하였음. 해당 결과로 2편의 논문을 준비중에 있음 - 연구결과 #1: PML 핵체가 판코니빈혈 기전에 중요한 역할 하는 것을 발견함 - 연구결과 #2: 판코니빈혈 기전에 관련된 단백질은 DNA 결속손상이 있을 경우 단백질 Foci를 형성함 - 연구결과 #3: PML 핵체가 없는 경우 판코니빈혈 단백질이 단백질 Foci를 형성하지 못함 - 연구결과 #4: PML-CHK1-FANCA/ FNACD2 신호전달에 의한 단백질 발현 영향 연구 - 연구결과 #5: DNA 손상복구 단백질 TONSL 손실이 유발하는 휴먼질환 연구 - 연구결과 #6: SLX4 단백질의 자연상태 세포내 존재 지점(position)인 PML 핵체 - 연구결과 #7: 연구를 위한 세포주 모델 수립 - 연구결과 #8: SLX4가 PML핵체에 존재위해 SUMO interacting motif(SIM)이 중요함 - 연구결과 #9: PML로 이동하지 못하는 SLX4-3SIM을 발현하는 세포주 RA3331/SLX4-3SIM의 다양한 약물에 대한 민감도 조사 - 연구결과 #10: 비정상적 SLX4 localization이 단백질의 stability에 미치는 영향 - 연구결과 #11: SLX4 단백질의 유전자 손상이 있는 상태에서의 SLX4 stability 및 존재 지점 - 연구결과 #12: Fok1 nuclease에 의한 DNA 손상 유발 및 DNA 손상 지점으로 이동한 단백질 연구 - 연구결과 #13: 자연상태 SLX4 핵내 존재 지점인 텔로미어 - 연구결과 #14: SLX4의 ubiquitination - 연구결과 #15: SLX4의 E3 ligase 발굴 assay통한 E3 ligase validation ○ 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ㆍ 아직 미지의 분야로 남아 있는 PML 핵체를 비롯한 다양한 핵체의 생물학적 기능을 규명하여 세포핵의 구조에 대한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됨. ㆍ 유전체 불안정성은 암의 발생과 진행에 원인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음. 세포의 유전체 안정성 연구는 암의 예방과 진단 그리고 치료에 필수적이기 때문에 세계적으로 왕성하게 진행되고 있음. 본 과제를 통한 SLX4 complex의 생물학적 기능 연구를 통해 유전체 안정성 유지 기전에 대한 학문적 파급효과가 있음. ㆍ DNA 손상 신호전달 억제 물질이 실제적으로 신규 항암제 개발에 다수 응용되고 있는 점에 비추어 볼 때, 유전자 손상등의 스트레스 상황에서 단백질의 이동 분자 기전을 규명하고 이를 제어하는 기술을 개발하여 신규 항암제 개발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됨.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김용환
    • 주관연구기관 : 숙명여자대학교
    • 발행년도 : 20200300
    • Keyword : 1. PML 핵체;DNA 손상복구;SLX4 복합체;판코니 빈혈;DNA 결속손상;단백질 활성조절; 2. SUMOylation;Ubiquit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