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Report

All 12,381 Page 91/1,239

검색
  • 11481

    2020.02.29

    ⦁ 고온가스로 열이용 국내/외 및 경제성 평가 - 국내/외 수소 시장 분석, 국내/외 공정열 시장 분석, 기타 연계 시장 분석 ⦁ 고온가스로/열이용 계통설계 및 연계 성능평가(열화학SI 공정) - 고온가스로 연계, 고온 열화학SI 공정 현황 조사, 고온가스로 SI 수소생산 연계 설계 및 성능평가, 고온가스로 및 SI 수소생산 설계 요건 개발 ⦁ 고온가스로/열이용 계통설계, 연계성능평가 및 기술비교평가(비열화학SI 공정) - 고온가스로 설계 및 수소생산(비 열화학SI) 공정 현황 조사, 고온가스로 비 열화학SI 수소생산 연계 설계 및 성능평가, 고온가스로 비SI 수소생산 및 비SI 수소생산 (출처 : 요약서 3p)
    • 연구책임자 : 이상일
    • 주관연구기관 : 현대엔지니어링
    • 발행년도 : 20200300
    • Keyword : 1. 초고온가스로;고온열 이용시스템;원자력수소;수소생산공정;수소생산; 2. VHTR;High Temperature Heat Utilization;Nuclear Energy for Hydrogec;Hydrogen Production Process;Hydrogen Production;
  • 11480

    2019.12.31

    - 원전 해체 중 에어로졸 발생, 이송, 흡착의 수리적 모델 확보 - 에어로졸의 물리화학적 특성 측정 방법론 확보 및 인프라 구축 - 에어로졸의 물리화학적 기초 데이터 구축 - 방사성 에어로졸 선원항 계산 방법론 확보 - 방사성 에어로졸 이송 및 안전성 평가 기술 확보 (출처 : 요약서 3p)
    • 연구책임자 : 송종순
    • 주관연구기관 : 조선대학교
    • 발행년도 : 20200100
    • Keyword : 1. 제염해체;에어로졸;금속;안전해석;내부피폭; 2. Decontamination and Decommissioning;Aerosol;Metal;Safety Analysis;Internal Exposure;
  • 11479

    2019.12.31

    - 기존 해체 원전의 방사성 에어로졸 데이터 조사 - 방사성 에어로졸 특성 측정 방법론 개발 및 시스템 구축 - 방사성 에어로졸의 물리화학적 특성 분석 - 방사성 에어로졸 특성 측정 방법론 개선 및 시스템 최적화 - 해체 작업에 따른 방사성 에어로졸 선원항 (source-term) 계산 (출처 : 요약서 3p)
    • 연구책임자 : 최성열
    • 주관연구기관 : 한국과학기술원
    • 발행년도 : 20200100
    • Keyword : 1. 제염해체;안전해석;에어로졸;금속;내부피폭; 2. decommissioning and decontamination;risk assessment;aerosol;metal;internal exposure;
  • 11478

    2020.01.31

    방사선 관련 연구 개발 시 무작위적인 방사선 반응 연구로 인한 방사선 반응의 기초 원천 기술이 부재한 상태에서 융합연구를 추진함으로써 기술 발전에 한계를 보이고 있다. 따라서 오믹스 기반 방사선 반응 식물 스트레스 피지옴을 탐색하고 활용기술을 확보함에 목적이 있다. 본 과제는 4개의 성과목표의 연구가 수행 되었다. 성과목표는 1. 방사선 유도 산화스트레스 단백질변형 연구 2.방사선 반응 DNA 손상 및 회복 조절기작 연구 3. 방사선 유도 식물 생리활성 대사체 합성 기작 및 이용연구, 4. 방사선 반응 식물 유용물질 발굴 및 방사선 분자변환을 통한 고도화 연구이다. 연구의 대표결과는 1. 식물 DDR 조절 신규 전사인자 NAC103기능 규명, 2. 식물 DDR의 크로마틴 리모델링과 후성유전학적 조절기작 리뷰, 3. DNA 손상반응에 특이적으로 반응하는 cis -element (CCACACC)를애기장대 AGO2 promoter로부터 규명(식물에서 최초 규명), 4. 인위적 조작에 의한 단백질 S-sulfhydration 여부 확인 및 단백질 구조의 활성 영향 규명, 5. 감마선에 의해서 유도되는 H2S(hydrogen sulfide) 유래 Post-translational modification (PTM)의 일종인 S-sulfhydrated 단백질 동정 (118종), 6. RI이용 식물 이소프렌 생합성 경로의 재해석이다. (출처: 서지정보양식 - 초록 143p)
    • 연구책임자 : 이성범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연구원
    • 발행년도 : 20200200
    • Keyword : 1. 방사선 반응;스트레스;피지옴;단백질변형;식물 대사체;생리활성; 2. Radiation response;Stress;Physiome;Protein modification;Plant metabolites;Bioactivity;
  • 11477

    2020.01.31

    ○ 원내 동물실험진행 총괄 - 동물실험윤리위원회 운영, 동물실험계획서 심의 ○ 특정병원균부재 사육환경 유지 - 정규·비정규 미생물모니터링, 낙하균 검사, 수질검사 수행 ○ 안정적 실험동물 인프라 운영 - 성능적격성평가, 시험·조정·평가 ○ 동물실험 전 과정 수행 지원 - 온라인신청시스템 운영, 유지, 보수 - 연구자 대상 교육 (윤리교육, 이용자교육, 공용장비 사용 교육) ○ 방사선의학연구 경쟁력 강화 - 공용장비 인프라의 체계적 관리 - 신규 방사선장비 구축 및 운영 ○ 동물실험 인프라 역량 고도화 - 방사선연구 특화 동물 모델 확립 - 외부수탁/공동연구 수행 (출처 : 요약서 3p)
    • 연구책임자 : 이민영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의학원
    • 발행년도 : 20200200
    • Keyword : 1. 방사선;실험동물;특정병원균부재;동물모델;동물실험윤리위원회; 2. radiation;laboratory animal;specific pathogen free;animal model;IACUC;
  • 11476

    2019.12.31

    -천체물리학적으로 중요한 공명 준위를 관측하기 위한 향상된 실험 방법 고안 -중입자빔을 이용한 실리콘 검출기 및 시스템 성능 테스트 실험 참여 -기존 핵데이터 분석을 통한 새로운 실험 연구 제안 -rp-process 와 관련된 66Se->65As+p 핵반응 연구 실험에서 쓰이는 플라스틱 신틸레이터의 특성 연구 진행 -14O(α,p)17F 실험 및 66Se->65As+p 핵반응 실험 관련 필요한 GEANT4 시뮬레이션을 진행 -14O(α,p)17F 실험에서 얻을 수 있는 빔 인텐시티를 선행 실험 연구 분석을 통하여 예측 -SAMURAI에서 진행되는 65As(p,γ)66Se 실험 분석 및 시프트 참여 (출처 : 보고서 요약서 3p)
    • 연구책임자 : 한인식
    • 주관연구기관 : 이화여자대학교
    • 발행년도 : 20200100
    • Keyword : 1. 희귀동위원소;양성자 과잉;방사성 동위원소 빔;별의 진화;신성;67Se 빔; 2. rare isotope;proton-rich nuclei;radioactive ion beam;stellar evolution;67Se beam;
  • 11475

    2020.02.29

    □ 연구개요 국제적으로 충분히 연구되지 않은 새로운 연구로서 기존의 한 개의 빔을 사용한 방식과 달리 서로 다른 에너지를 갖는 두 개의 전자빔을 이용한 자유전자레이저 상호작용에 근거를 둔 3차원 효과에 관한 연구를 하였다. 1차원 모델에서 설명할 수 없는 에밋턴스, 에너지 퍼짐성, 고차모드, undulator error, waveguide가 포함된 two beam system에서 field equation에 의한 3차원으로 확장시킨 자유전자레이저의 coupled equations으로부터 3D 코드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일반화된 3차원 컴퓨터 코드를 사용하여 빔 quality의 영향 및 언듈레이터 오차(undulator errors)를 포함하는 oscillator를 갖는 모델, waveguide의 영향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 서로 다른 에너지를 갖는 두 전자빔을 갖는 자유전자레이저에서 single pass가 아닌 oscillator구조로 확장한 3차원 효과 => 당초 연구 계획에 따라서 1차년도에는 two beam system에서 1차원 모델에서 설명할 수 없는 에밋턴스, 에너지 퍼짐성, 고차모드 가 포함된 3차원으로 확장시킨 3D 코드를 개발하였고, 이 코드를 이용하여 에밋턴스, 에너지 퍼짐성, 고차모드에 기인하는 빔 quality의 영향을 연구하였다. - Two beam system에서 undulator error에 관한연구 => Tolerance analysis를 위해서 phase shift error에 관한 coupled equation으로부터 3D 자유전자레이저(FEL)코드를 개발하였고, 이 코드를 이용하여 multi-particles, multi-pass simulation을 통한 영향 분석, phase shake error (Sinus, Sawtooth error types 등)에 관한 연구, 3D FEL코드를 사용한 전자 빔의 에너지 퍼짐성에 대한 연구, undulator errors가 있을 경우와 없을 경우에 대하여 비교분석하였다. - 자유전자레이저에서 웨이브가이드의 효과에 관한 연구 => TE 및 TM 모드를 고려한 백터 포덴셜에 의한 field equation과 자유전자레이저의 결합 방정식으로부터 3D 코드를 작성하였고, TE 및 TM모드에 의한 waveguide에 기인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 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현재까지 국제적으로 single beam을 사용하고 있으나, efficiency, instability 등은 여전히 큰 문제로 남아있다. 두 빔 자유전자레이저(two beam FEL) 모델을 일반화하는 연구는 이론적으로나 기술적으로 어려운 문제는 있으나, 국제적으로나 국내외에서 충분히 연구되지 않은 새로운 분야로서 미래의 원천기술개발을 위한 기반연구의 확립에 큰 도움을 줄 수 있다. 서로 다른 에너지를 갖는 두 개의 전자빔을 이용한 자유전자레이저 상호작용에 근거를 둔 확장된 electron beam-radiation 상호작용에 관한 3차원 효과에 관한 연구를 수행함으로서 새로운 기초분야의 발전에 도움을 줄 수 있고, 차세대의 응용연구를 위한 기반연구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3p)
    • 연구책임자 : 남순권
    • 주관연구기관 : 강원대학교
    • 발행년도 : 20200300
    • Keyword : 자유전자레이저;3차원 효과;언듈레이터 오차;웨이브가이드;
  • 11474

    2020.02.29

    ○ 연구개요 완치 판정을 받은 많은 암 환자들이 항암제 유발 심부전에 의한 호흡 곤란과 부종등을 겪고 있으며, 그 중 가장 대표적인 항암제는 독소루비신(Doxorubicin) 계열로 투여된 누적 용량에 비례하여 심부전 발생률이 증가함. 따라서 항암제 유발 심부전에 대한 조기 진단과 치료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으나, 관련된 기전은 아직 정립된 바가 없음. 나트륨/포도당 공동 수송체(Sodium/glucose cotransporter, SGLT)는 세포에 나트륨 이온과 포도당을 공급하는 막 단백질이며, 특히 심장에 존재한다고 알려진 SGLT1과 심장 질병과의 연관성은 증가하는 추세임. 엠파글리플로진(Empagliflozin)은 신장에서 포도당 재흡수를 담당하는 SGLT2에 대한 억제제로서 당뇨병 치료제로 널리 사용되는 약물이지만, 최근 임상연구들에서 심부전 악화로 인한 재입원 및 심혈관 질환으로 인한 사망을 감소시킨다고 보고된 바 있음.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항암제 독소루비신으로 유발된 심장 독성 관련 기전에서 SGLT1의 역할과 엠파글리플로진의 심근 보호 효과에 대해 확인함으로써 심혈관 질환 치료제 개발의 기초연구자료로 활용하고자 함. ○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독소루비신으로 독성이 유발된 심근세포(H9c2 cell)에서 SGLT1의 mRNA 및 단백질 발현이 증가했으며, 이와 함께 증가된 세포 사멸은 SGLT1 siRNA 처리에 의해 감소함. 또한 독소루비신으로 증가된 SGLT1과 세포 사멸은 엠파글리플로진 처리에 의해 감소되었으며, 독소루비신 유발 심부전 동물 모델(C57BL6 mouse)에서도 동일한 결과를 확인함. 이를 통해 항암제 유발 심부전을 치료할 수 있는 새로운 표적으로서 SGLT1의 역할과 이를 통한 치료제로서 엠파글리플로진의 가능성을 입증함. 이와 관련된 전사 네트워크 및 신호 전달체계를 밝히고자 SGLT1의 발현을 조절할수 있는 전사 인자 후보군으로 Specificity protein 1 (Sp1), Hepatocyte nuclear factor 1 (HNF1), cAMP response element-binding protein (CREB)을 확인하였지만 모두 부적합하다는 결과를 확인하였으며, RNA binding protein 중 하나인 Human antigen R (HuR)과 Sodium/hydrogen antiporter 1 (NHE1)이 관련 기전에서 높은 연관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음. 따라서 독소루비신 유발 심부전 모델에서 엠파글리플로진의 심근 보호 효과 작용 기전을 규명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함. ○ 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SGLT1이 본연의 수송체 역할 뿐만 아니라 세포 사멸을 조절할 수 있다는 입증은 유사한 수송체 단백질의 새로운 기능을 밝혀줄 수 있는 이론적 기반을 제공할 것이며, 심부전 이외의 다른 심장질환에서도 SGLT1의 역할에 대한 후속 연구의 타당성을 제시할 것으로 사료됨. 또한 항암제 유발 심부전 발생 기전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지만 분자적 기전에 근거한 신약 개발은 전무한 실정이므로, 새로운 표적인 SGLT1을 기반으로 보다 효과적인 신약 개발이 이루어질 것으로 사료됨. 특히 이미 임상에서 널리 사용하는 엠파글리플로진의 추가적인 효과를 입증함으로써 임상적으로 빠른 적용에 대한 기대가 가능함.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3p)
    • 연구책임자 : 강석민
    • 주관연구기관 : 연세대학교
    • 발행년도 : 20200300
    • Keyword : SGLT1;Heart failure;Cardiomyocyte;Doxorubicin;Cardiotoxicity;Cell apoptosis;
  • 11473

    2020.01.31

    IV. 연구결과 ○ 장기 가동된 해체 원전을 활용한 실증연구는 가동중 원전의 장기가동에 대비한 안전 유지와 향상 방안 수립에 기여할 것임. ○ 구조재료 분야 실증 연구 추진 방안 - 본 연구에서 제안된 4개의 구조재료 분야 실증 연구주제는 추진 필요성이 충분하다고 평가됨. ⦁ 원자로부품 고방사선 장기조사 영향 평가 ⦁ 압력경계 기기·재료 열화 손상 평가 ⦁ 증기발생기 열화손상 실증 평가 ⦁ 1, 2차 냉각계통 크러드 및 슬러지 분석 - 예산적인 제약 등으로 인해 실증 연구 수행 우선순위를 고려하여야 할 경우, 실증연구 추진 중요성에 대한 상대적 평가에서 낮은 평가를 받은 ‘1, 2차 냉각계통 슬러지 및 크러드 분석’을 ‘증기발생기 열화 손상 실증 평가’에 포함시켜 추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평가됨. ⦁ 증기발생기 슬러지는 증기발생기 전열관 열화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요소로서 이의 분석을 증기발생기 열화 손상 실증 평가에 포함하여 수행하는 것이 더 효과적인 실증 결과를 창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됨. ○ 기기 및 설비시스템 분야 실증 연구 추진 방안 - 3개의 실증 주제에 대해 실증 연구 추진의 필요성이 높게 평가됨. ⦁ 해체 원전을 이용한 장기가동 원전의 콘크리트 열화 성능 평가 ⦁ 장기가동 원전의 열화기기 내진 성능 평가 ⦁ 원자력시설의 3차원 형상 및 방사능 동시측정기반 안전진단 기술개발 - 실증 연구 추진의 중요성은 인정되나 다른 연구주제와 통합하여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평가된 연구주제 ⦁ 국내 원전의 방사화에 의한 구조재 및 콘크리트의 방사화 현상 연구 → ‘해체 원전을 이용한 장기가동 원전의 콘크리트 열화 성능 평가’와 통합하여 수행 → 단 고리1호기의 케이블 열화 평가는 별도의 실증주제로 분리하든지, 또는 ‘원전화재 환경 기기 및 운전반응성 실증 시험’으로 통합하여 추진하는 것이 바람직 - 규제기관의 안전규제, 실증연구를 위한 유틸리티 공급에서 제약이 있어 수행이 가능하지 않을 것으로 평가된 연구주제는 다음과 같음. ⦁ 실규모 열수력 현상 실증의 3개 실증연구주제 ⦁ 주제어보드(MCB1)) 타입 주제어실 증강 화재 실험 연구 ⦁ 원전 안전성 확인 및 향상을 위한 주요기기 성능 및 가용성 평가 - 고리1호기 해체를 위한 연구개발사업과 중복성이 있어서 실증 연구 형태로 추진하는 것이 바람직하지 않다고 평가된 연구주제는 다음과 같음. ⦁ 해체 작업 중 방사선 피폭량 평가 기술 및 방호 대책 실증 ⦁ 해체 작업과 관련한 방사성폐기물의 수량 평가 기술 및 확산 방지 기술 실증 - 고리1호기를 활용하는 실증 연구주제로서 적절하지 않다고 평가된 연구주제는 다음과 같음. ⦁ 원자력시설 내 로봇 활용성 실규모 평가 ⦁ 구리 금속 케이블 전자기 용융 처리 및 재활용 평가 ○ 구조재료 분야는 Hot Lab. 수준의 실증 연구시설로 충분하며, 기기 및 설비 시스템 분야는 대부분 고리1호기 현장에서 실증연구가 수행되어 별도의 시설 구축이 불필요하다는 평가임. ○ 추진 필요성이 높다고 평가된 실증 연구들은 최종해체계획서(FDP) 승인 이후에 본격 수행되는 것으로 계획되어 있어서, 실증 연구 수행을 위해서는 안전관리 및 방사성폐기물관리 기준을 준수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평가 ○ 실증 연구의 추진이 해체일정에 영향을 주어 비용 증가 등을 야기할 가능성이 있음에 따라, 이의 최소화를 위한 노력이 필요하고 이를 위해서는 해체사업자와 사전협의를 통해 세부계획을 수립하는 것이 요구됨. ○ 구조재료 분야의 고리1호기 활용 실증연구 주제들에 대해 미국 등 해외의 관심이 높으며, 국제협력을 통해 추진 효율성을 제고시키는 것이 필요하다는 평가임. (출처 : 요약문 3p)
    • 연구책임자 : 김현준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학회
    • 발행년도 : 20200200
    • Keyword :
  • 11472

    2019.12.31

    1.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원자력사고 초기 신속대응 로봇시스템 적용성 증대를 위한 실증 시설 구축 및 로봇시스템 성능평가 - 원자력시설 사고환경, 시나리오 분석 및 로봇 미션 설정 - 원자력시설 모사 로봇 실증시험용 테스트베드 구축 - 사고모사 환경에서 로봇과 관련 기술 적용성 평가기술 개발 2. 연구결과 ◦ 원자력시설 사고 환경, 시나리오 분석 및 로봇 미션 설정 - 시나리오 기반 및 후쿠시마 원전 정보 수집을 통한 사고환경 분석 - 비정상 운영절차서/비상운전절차서/중대사고 지침서를 분석하여 로봇이 수행해야할 긴급조치 미션 설정 ◦ 원자력시설 사고를 모사한 로봇 실증시험용 테스트베드 구축 - 로봇 긴급조치 미션 시험을 위한 CVCS 계통의 실규모 실증시험용 테스트베드 구축 - 디지털 목업을 구축하고 동역학 기반의 로봇 이동성 모의실험 수행 및 사고 유사환경 모사 고온/비가시 챔버 구축 ◦ 사고모사 환경에서 로봇 관련 기술 적용성 평가 - 기개발 및 개발중인 로봇을 이용하여 테스트베드에서 이동성/조작성 시험 및 평가 - 드론의 실내 비행성 시험/평가 및 초고속 무선통신 적용성 시험 (출처 : 요약서 3p)
    • 연구책임자 : 최영수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연구원
    • 발행년도 : 20200100
    • Keyword : 원자력사고;긴급조치 시나리오;로봇 테스트베드;로봇 이동성/ 조작성 시험;로봇 적용성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