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Report

All 12,382 Page 91/1,239

검색
  • 11482

    2020.02.29

    연구개요 ○ 핵수용체 small heterodimer partner (SHP/NR0B2)는 답즙산 생합성 (bile acid biosynthesis)를 비롯한 다양한 에너지 대사경로에 전사인자로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으며, Shp knockout (KO) mice에서 spontaneous liver tumor가 발병됨에 따라 tumor suppressor gene으로도 알려져 있음. ○ 하지만, 현재까지 SHP의 오타퍼지 조절 기전에 관한 연구는 전무하며, 에너지 대사와 관련하여서도 새롭게 개발된 다양한 실험기법들을 통한 더욱 세밀한 연구 진행이 필요함. ○ 또한, SHP의 새로운 표적 유전자 발굴 및 전사조절 기전을 이해하는 것은 핵수용체 SHP의 endogenous ligand의 발굴과 더불어 핵수용체 연구의 매우 중요한 분야임. ○ 따라서, 본 연구과제는 핵수용체 SHP의 오타퍼지 및 에너지 대사 조절 기전을 이해하고 이와 관련된 표적 유전자를 발굴하여, 핵수용체 SHP에 의해 조절되는 새로운 내분비 신호 전달 체계를 확립하고자 함.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 PAS staining과 글리코겐의 생화학적 측정을 통해 매우 많은 양의 글리코겐이 Shp-/- mice 간조직에 축적되어 있음을 확인 함. 또한, 간조직의 대세체 분석을 통해 글리코겐 합성에 필요한 substrate인 UDP-glucose의 양도 증가되어 있음을 확인함 - WT 과 Shp-/- mice 간조직에서 수행한 RNA-seq 데이터를 KEGG 경로로 분석한 결과, SHP은 다양한 지질 대사 및 약물 대사 경로에서 관련되어 있음을 확인함. 하지만, 글리코겐의 대사와 관련된 효소의 발현량 및 단백질의 활성에는 큰 차이가 없음 - 이에 본 연구진은 글리코겐 대사와 빌리루빈 대사를 동시에 조절할 수 있는 효소발현에 주목하였음. 그 결과 volcano 및 volume plot에서 Ugdh 유전자의 발현이 감소되어 있음을 발굴하고, Ugdh mRNA와 UGDH 단백질이 Shp-/- mice 간조직에서 매우 많이 감소되어 있음을 재검증 하였음 - 전사 억제자로서의 SHP의 기능을 고려할 때 Shp-/- mice 간조직에서 감소된 Ugdh mRNA 결과는 SHP이 Ugdh 유전자의 발현을 간적접으로 조절할 가능성을 제시함. - 또한, Shp-/- mice 간조직은 해당과정 (glycolysis) 및 TCA cycle의 매우 중요한 중간 대사체인 G6P, F6P, 3-PG, 2-PG, citrate, isocitrate, succinate 등이 감소되어 있음을 확인함 - 이러한 대사체 결과는 Seahorse XF analyzer를 이용한 실험에서도 확인됨. Shp-/- mice에서 준비한 primary hepatocyte는 미토콘드리아 호흡률, 지방산 산화율, 해당과정 등이 WT primary hepatocyte와 비교했을 때 현저히 감소되어 있음을 확인함. 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본 연구과제는 주로 전사억제자 (transcriptional corepressor)로서 작용 하는 SHP이 어떠한 전사기전을 통해 영양분 인식, 오타퍼지 및 에너지 대사를 조절할 수 있는지를 밝힘으로써, 대사증후군 (metabolic syndrome)의 예방 및 치료와 관련된 전략을 수립하는 원리증명 (proof-of-principle) 제공에 기여하고자 함. ○ 또한, tumor suppressor gene으로서 핵수용체 SHP에 대한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간암의 발병기전 및 간암대사 (liver cancer metabolism) 연구에 중요한 기초 지식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함. ○ 더 나아가 현대인에게 만연된 각종 대사질환 및 간암 치료에 적용할 수도 있는 핵수용체 SHP의 endogenous 또는 synthetic ligand 발굴 필요성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함. (출처 : 요약문 3p)
    • 연구책임자 : 김은영
    • 주관연구기관 : 경북대학교
    • 발행년도 : 20200300
    • Keyword : 1. 핵수용체;영양분 인식;오타퍼지;에너지 대사;내분비학;전사 억제자; 2. Autophagy;
  • 11481

    2020.02.29

    연구개요 본 과제를 통하여 세계 최초로 방사선 유발 육종 환자 그룹의 수술 시 얻어진 검체의 전장 유전체 분석(whole genome sequencing) 을 시행하였음. 기준치 이상의 QC를 거친 DNA 로 whole genome sequencing library를 제작하였음. 해당 NGS library로 whole genome sequencing을 수행하였음. 분석 과정에서 기본적인 유전체 분석의 변이 뿐 아니라, copy number analysis, mutational signature analysis 도 수행하였으며, 특히 이 과정들에서 The Cancer Genome Atlas (TCGA)의 자연 발생 육종의 시퀀싱 결과 들과 비교하는 과정들을 포함하였음.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 방사선 유발 육종으로 수술 받은 환자의 검체에서 DNA를 추출하고, quality control (QC) 검사를 수행함. -> 적절하게 수행되었음. 기준치 이상의 QC를 거친 DNA 로 whole genome sequencing library를 제작하였음. 해당 NGS library로 whole genome sequencing을 수행함. ◼ DNA 의 전장 유전체 시퀀싱을 통해 방사선 조사 이후 발생하는 염증 반응, 그리고 환자의 면역 체계의 변화가 이후 종양의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할 예정임. -> 적절하게 수행되었음. 방사선유발육종 뿐 아니라, 자궁경부암에서의 면역 체계의 변화가 이후 종양의 발생과 예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The Cancer Genome Atlas database를 이용하여 분석하여 방사선유발육종의 발생 기전과 비교하였음. ◼ 방사선 유발 육종 특이적인 유전체 변형 (fusion gene 포함)을 발견함. -> 적절하게 수행되었음. Fusion gene 에 대한 시퀀싱 분석을 위한 분석 플랫폼이 사용됨. ◼ 방사선 유발 육종의 원인 평가 및 치료시험을 위한 세포주 확립 -> 적절하게 수행되었음. Cell line 계대배양중임. mouse 실험을 통하여 방사선조사로 인한 면역체계 마커 변화를 관찰하였음. 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 방사선의학에서 아직 유전체 연구 및 암 발생 기전 연구는 국내외적으로 미흡한 편이며, 본 연구를 통하여 세계적으로 방사선의학 에서의 유전체 연구를 선도하는 그룹이 되었음. 연구 플랫폼을 제시하고, 해당 분야의 성장을 주도할 수 있게됨. ■ 방사선 유발 종양의 염증 및 면역 인자 분석을 바탕으로, 염증이 종양 발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기전의 이해 및 면역 반응의 이상이 종양 증식 억제를 회피하는 기전을 심층적으로 이해하게 되었음. ■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방사선 유발 종양의 진단에 fusion gene 등 유전적 인자를 도입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됨. 이후의 치료 방침 결정 및 효과적인 약제발굴에도 획기적인 변화를 줄 수 있음. ■ Cell line 구축을 통해 이후의 cell engineering을 통한 therapeutic modulation의 기반을 마련할 수 있음. ■ 관련 분야 후학들을 교육함으로써, 박사 학위 및 전문가 인력을 배출할 수 있음. (출처 : 요약문 3p)
    • 연구책임자 : 장지현
    • 주관연구기관 : 서울대학교병원
    • 발행년도 : 20200300
    • Keyword : 방사선 치료;방사선 유발 육종;전장 유전체 분석;종양 발생;
  • 11480

    2020.02.29

    ○ 연구개요 CDK5의 과활성화가 퇴행성신경계질환에 직접적인 관련성이 있음이 제시되었음에도 불구하고 CDK5의 활성화를 조절하는 기전에 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부진한 상태임. 이에 본 연구는 CDK5의 posttranslational modification에 촛점을 맞추어서 새로운 활성조절기전으로서 acetyl-modification의 중요성을 제시하는 연구를 추구함 - 선행 연구로 밝힌 CDK5의 acetylation이 adult brain에서 매우 증가되어 있음에 기초하여서 연차별로 1) 다양한 파킨슨 실험모델에서 CDK5가 과활성화되는 조건을 확립; CDK5 acetylation과 관련된 인자 (예, histone acetylatransferases; sirtuin deacetylases)들의 변화양상 규명; 이들 인자에 의한 CDK5과활성화 조절 기전의 규명하고 2) CDK5의 acetylation과정을 유전적/약물학적으로 조절을 한 질병모델을 활용하여 이들이 신경세포의 사멸과 병리현상을 직접적으로 조절하는 기전을 제시하고; 3) CDK5 acetylation 조절에 의해 영향 받는 nuclear CDK5의 substrate를 comparative proteomics를 통해 발굴; gene ontology 분석으로 그룹화; 이에 대한 생화학적 validation시도; 논문 출간과 차기연구개발 목표의 수립을 함 ○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 세계 최초로 CDK5 acetylation의 의한 modification을 발굴했으며 이에 관여하는 효소를 규명하고 acetylation site를 mapping함 - CDK5의 acetylation이 신경세포분화 및 사멸에 관련함을 제시함 - CDK5 acetylation에 의한 기능 조절기전을 밝힘 - CDK5의 novel substrate를 발굴하는 전략을 병용하여 acetylation이 이 과정을 조절하는 신규조절 메커니즘을 제시함 - 당초 목표는 100% 달성됨. 연구과정중에 새롭게 도출된 신규과제에 대한 연구결과를 본 과제 사사로 출간하거나 현재 진행중에 있음 - Scientific Reports, Cell Death & Disease, Parkinsonism & Related Disorders등 프리미움급 잡지에 4편의 논문이 게재되었으며, 1편이 투고되 있음. 향후 2편 이상의 출간물을 예상함 ○ 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 CDK5의 acetylation은 진화적으로 보존된 ATP binding site에 일어난다는 사실에 비추어, protein kinase들에 대한 새로운 조절 메커니즘으로서 protein acetylation의 중요성 부각함 - Phosphoproteome 분석을 통해, 기존에 밝혀지지 않은 CDK5의 substrate들을 대량으로 발굴하여 이로부터 파생되는 새로운 neuronal survival mechanism 연구를 촉진하고 유도하는 효과를 도모함 - 파킨슨병유래 도파민신경세포의 사멸과 관련된 원인인자의 발굴 및 조절되는 기전을 확립하여 새로운 개념의 조기진단 및 치료제의 개발에 활용함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오영준
    • 주관연구기관 : 연세대학교
    • 발행년도 : 20200300
    • Keyword : 1. 단백질의 수식화;아세틸화;신경세포사멸;퇴행성신경계질환;파킨슨병;신규세포내기질; 2. cyclin dependent kinase5;
  • 11479

    2020.02.29

    ◎ 연구개요 □ 방사선 치료 장비의 6D couch의 기울기 측정용 장치를 개발하여 환자의 재현성 및 정확성을 높여 방사선 치료 효과에 기여하고자 하였음. ● 1차 년도에는 6D couch 기울기 측정 장치의 회로도 구성 및 protype 제작을 목적으로 하였음. ● 2차 년도에는 IoT 기반 6D couch 기울기 측정 장치의 기술을 구축하고자 하였으며 주요 내용은 측정 장치와 블루투스와의 연결임. ● 3차 년도에는 6D couch 기울기 측정 장치의 측정 정확도를 분석하여 최종 방사선 치료 장비의 환자 재현성 및 정확성을 높이는 것임. ◎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 1차년도 - 목표 내용 제조사별 선형가속기 6D couch 조사 분석 6D couch 기울기 측정 장치의 부착 위치 및 고정방식 분석 AVR microcontroller, 기울기 측정 센서, 6D couch 기울기 측정 장치 고정방식, 디스플레이 방식, 데이터 측정 및 컴퓨터 통신방식 선정 6D couch 기울기 측정 장치 회로도 구성 3D 프린터 이용한 6D couch 기울기 측정 장치 보호 케이스 제작 6D couch 기울기 측정 장치 prototype 제작 - 연구결과 : 완료 ○ 2차년도 - 목표 내용 블루투스, 인터넷 등 네트워크 통한 실시간 측정값 PC이용 확인 및 분석 기술 개발 태블릿PC, 스마트폰 기반 활용 기술 개발 기존 선형가속기 내장 프로그램을 이용한 방사선치료환자 자세 재현성 정확도 분석 - 연구결과 : 완료 ○ 3차년도 - 목표 내용 roll, pitch 이동 후 CBCT 재촬영 시 움직임(각도) 변화량 분석 6D couch 기울기 측정 장치 부착 후 기존 선형가속기 내장 프로그램을 이용한 움직임(각도) 일치도 분석 내장 프로그램 roll, pitch 값과 6D couch 기울기 측정 장치 측정값 일치도 분석 6D couch 기울기 측정 장치 측정값 기반 couch calibration 실시 CBCT 전용 phantom 이용한 calibration 유효성 확인 선형가속기 mechanical QA 항목 중 6D couch angle 항목 재정립 - 연구결과 : 완료 ◎ 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 방사선 치료 장치에서 가장 중요한 환자 자세의 재현성과 정확성을 분석할 수 있는 시스템의 기초 자료로써 활용 가치가 높은 연구임 □ 본 연구를 통해 방사선 치료 분야에서 couch 기울기 측정의 QA(quality assurance)가 가능하게 되어 치료용 couch의 정량 분석이 가능해짐. □ 방사선 치료용 couch의 정기적인 QA 활동으로 인해 환지 치료의 정확성 확보 및 객관성 확보가 가능해짐. □ 방사선 치료 장치에서 6D couch 기울기 측정 장치의 장착으로 치료 조사범위의 오차를 줄일 수 있음. □ 종합적으로 방사선 치료를 통한 암환자의 치료 정확성을 높여 주어 국민 건강에 기여할 수 있음.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허영철
    • 주관연구기관 : 을지대학교
    • 발행년도 : 20200300
    • Keyword : 선형가속기;치료용 6D 테이블;치료용 6D 테이블 품질보증;치료용 6D 테이블 측정;치료방사선;방사선 종양;방사선치료;정위적방사선수술;입체적 세기조절 회전치료;
  • 11478

    2020.01.31

    연구의 목적 및 내용 핵융합로의 안전하고 지속가능한 삼중수소 연료주기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운전 중 14 MeV 중성자에 의한 삼중수소 증식재의 재료물성 변화를 예측하는 것이 중요하다. 하지만 아직 이에 대한 연구는 미진한 상황이다. 결과적으로 핵융합로 블랭킷은 선행 연구에 대한 철저한 검토가 다소 부족한 채로 설계되어 왔으며, 블랭킷의 장기 내구성 및 성능에 대한 우려가 현존한다. 본 연구에서는 멀티스케일 모델링을 이용하여, 유망한 삼중수소 증식재 (Li2TiO3)의 핵융합로 운전 중 재료물성 변화에 관한 이론적인 모델을 확립하고 이를 예측하고자 하였다. 연구 개발 성과 3년 동안 다음 세 가지 주제를 연구하였다. 결과적으로, 삼중수소 증식재로 사용되는 Li2TiO3의 4가지 중요한 재료 특성을 예측하기 위한 모델을 방사선 효과를 포함하여 성공적으로 개발하였다. 이 모델은 핵융합로의 시간 및 온도 등과 같이 주어진 조건에서 재료의 특성을 결정할 수 있게 한다. ○ [주제-1: Li2TiO3 의 재료 특성 계산 방법 구축] Li2TiO3의 구조적, 기계적, 및 열적인 특성을 정확하게 결정하는 방법을 개발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다양한 조건에 대한 열전도도를 결정하기 위해 새로운 퍼텐셜 모델을 구축하였고 방법의 이론적 신뢰도를 개선하였다. 또한, 삼중수소 재고량을 결정하는 모델을 제안하였다. ○ [주제-2: Li2TiO3의 방사선 손상 거동 모델링] 임계 변위 에너지를 결정하였다. 또한, 최대 100 keV까지 방사선 결함 형성 거동을 체계적으로 점검하였다. 그리고 결함 복구를 위한 반응 경로 분석을 통해, 삼중수소 증식재에서 Li burn-up에 의해 유발된 anti-site 결함 (LiTi와 TiLi) 및 Li2O 손실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확인했다. 마지막으로, 핵융합 환경에서 이 두 가지 결함의 농도 변화를 예측하기 위한 모델을 구축하였다. ○ [주제-3: 방사선 환경 하에서의 Li2TiO3 재료 특성 변화 예측] 먼저 결함이 재료 특성을 어떻게 변화시키는지를 결함 농도의 함수로서 결정하였다. 개발된 결함 발달 모델과 결합하여, 최종적으로 핵융합로 운전 시간의 함수로서 재료 특성 변화를 예측하는 모델을 구축하였다. 연구 개발 성과의 활용 계획 (기대 효과) (1) 본 과제를 통해 확보한 이론적 모델은 핵융합로 블랭킷의 설계와 삼중수소 연료주기의 지속가능성 향상을 가능하게 한다. 추가적으로 이 모델은 삼중수소의 방사선 문제와 관련하여 증식용 블랭킷의 라이센싱과 안전 규제에 필요한 과학적인 기반을 강화한다. (2) 모델이 원자단위 계산결과에 근거하기 때문에, 재료물성과 방사선 효과에 관한 전반적인 과학적인 이해가 깊다. 이러한 과학적 이해는 더 나은 후보 증식재를 찾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모델이 “삼중수소의 축적”을 재료물성의 가장 중대한 문제점이라고 예측한다면, 연구역량을 방사선 손상으로 삼중수소 축적이 최소한으로 일어나는 재료를 찾는 데에 집중할 수 있다. (3) 본 과제에서 사용된 계산적 방법론은 손쉽게 다른 후보 증식재군 (예를 들면 as Li4SiO4)에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이는 방사선 손상효과를 고려한 증식재 선정에 사용될 수 있다. (4) 현재 한국 뿐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도 증식재에 대한 방사선 효과를 평가하는 모델이 없기 때문에, 본 과제는 핵융합 R&D의 국제적인 협력 사업에 역시 크게 기여할 것이다. (출처 : 요약문 4p)
    • 연구책임자 : Takuji Oda
    • 주관연구기관 : 서울대학교
    • 발행년도 : 20200200
    • Keyword : 1. 삼중수소 증식재;방사선 효과;방사선 손상;핵융합로;핵융합 블랭킷; 2. tritium breeder;radiation effects;radiation damage;fusion reactors;fusion blanket;
  • 11477

    2020.01.31

    비공개항목입니다.
    • 연구책임자 : 조영태
    • 주관연구기관 : 창원대학교
    • 발행년도 : 20200200
    • Keyword : CAMC(Contact Arc Metal Cutting);Underwater Cutting;Electrical Cutting;Voltage Signal;Current Signal;Dismantling of Nuclear Plants;
  • 11476

    2020.02.29

    □ 연구개요 - 2011년 후쿠시마 원자력 발전소 폭발 사고 및 체르노빌 사고 등의 원자력 발전소 사고로 인하여 방사성 요오드 오염 가능성이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이 여파로 도쿄 시내의 한 정수장에서는 1리터당 210 베크렐의 요오드-131이 검출되었으며 우리나라에서도 2011년 전국적으로 대기 및 음용수에서 방사성 요오드가 검출됨. 따랏, 환경 친화적이며 방사성요오드 특이적, 고효율 및 경제성을 갖는 방사성요오드 제거 기술 개발이 절실하게 요구됨. - 따라서, 본 과제를 통해 차세대 생명공학 및 나노기술의 융합을 통하여 금 나노입자 합성능이 있는 미생물의 개발 및 이를 이용한 방사성 폐기물 제거 기술을 개발하고자 하며, 궁극적으로는 금 나노입자를 생합성 할 수 있도록 개량된 방사선 저항성 미생물 Deinococcus radiodurans를 활용하여 방사성 요오드 제거 기술을 개발한다. □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 1차년도 (2017) 1차년도 연구개발 목표는 “Deinococcus radiodurans 균주 개량을 위한 분자 생물학적 도구 개발 및 미생물 나노입자 생합성 메카니즘 규명” 으로 설정하였으며, 목표 달성을 위해 Cre-loxP 시스템 기반의 Deinococcus radiodurans specific 유전체 개량 기술을 개발 완료 하였으며, 나아가 이를 D. radiodurans 미생물에 적용하여 효율적으로 금 나노입자를 생합성 할 수 있도록 개량 하였다. - 2차년도 (2018) 2차년도 연구개발 목표는 “효율적으로 금 나노입자를 생합성 할 수 있는 D. radiodurans를 개발하고, 이를 활용한 방사성 요오드 제거능이 있는 기초 미생물을 제작” 으로 설정하였으며, 목표달성을 위해 SEM-EDX, TEM을 포함한 DLS 분석을 통하여 금 나노입자가 효율적으로 생합성 되는 것을 확인 하였고, 나아가 seawater, urine 및 PBS 조건에서 방사성 요오드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 3차년도 (2019) 3차년도 연구개발 목표는 “효율적으로 방사성요오드 제거를 위한 맞춤식 효소 개량 및 scale up을 통한 고효율 방사성 요오드 제거 기술 개발” 로 설정하였으며, 목표 달성을 위해 Metallothionein 및 phytochelatin synthase 등의 효소를 추가 도입하여 나노 생합성 효율을 향상 시켰고, 나아가 lysophilized D. radiodurans를 개발, scale-up 및 효율성 개선을 통하여 실제 on-site remediation이 가능함을 확인 하였다. □ 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될 ‘AuNP-D. radiodurans를 이용한 방사성 요오드 제거 기술’은 방사성 요오드의 제거 효율성 및 선택성이 매우 우수하여 학문적으로 큰 가치가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향 후 대형병원, 산업체 및 원전 사고 등에서 발생하는 방사성 오염폐수로부터 방사성 요오드를 제거 하는데 매우 효율적으로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됨. - 또한, Deinococcus radiodurans 미생물은 높은 방사선에 저항성을 갖기 때문에, 추가 미생물 개량을 통해 방사성 요오드 이외에 우라늄, 스트론튬, 세슘 등의 방사성 폐기물 제거에도 적극 활용 할 수 있음. 따라서, 방사성 폐기물 제거와 관련된 산업 분야에서 큰 경제적부가 가치 창출을 예상할 수 있음.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최용준
    • 주관연구기관 : 서울시립대학교
    • 발행년도 : 20200300
    • Keyword : Radioactive waste;Radioactive iodine;Bioremediation;Deinococcus radiodurans;Gold Nanoparticle;Biosorption;
  • 11475

    2019.12.31

    Ⅳ. 연구개발결과 o B5G/6G 이동통신 및 무선전력전송 기술 • 전디지털 기반 채널 추정 기법 개발 - 전디지털 환경의 새로운 빔 기반 채널 추정 기법 제안 : 송신 빔을 고정한 상태에서 수신 빔 패턴을 digital 단에서 generation하여 pilot 최소화 : 제안 방식을 하이브리드 빔포밍에 적용하는 것 대비 전디지털 환경에서 1~3 dB 성능 향상 • low bit ADC 기반 빔포밍 기술 개발 - 기존 low bit ADC 기반 빔포밍 기술의 단점인 high SNR에서 성능이 saturation이 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다수의 ADC를 사용하여 상위 bit ADC resolution을 얻는 기법 제안 : 각 ADC에서 서로 다른 threshold를 설정하고 digital 단에서 다수의 ADC의 값을 이용해 상위 bit ADC 신호 생성 : High SNR 에서 상위 bit에 근접한 성능 확인 • 24GHz용 고밀도 안테나 기술 개발 - 송신단의 waveguide 배열 안테나는 T-junction 방식의 분배구조를 사용하여 방사효율을 높게한 구조로, 4x4의 분배구조를 만들고 이를 다시 2x2 안테나로 확장하여 전체 8x8 안테나를 설계 : 반사특성: -19.4 dB at 24 GHz : 이득: 27.7 dBi - 수신단의 32x32 배열 안테나는 안테나 이득 특성을 높이기 위하여 stacked 패치 안테나로 설계 : 반사특성: -32.4 dB at 24 GHz : 이득: 25.51 dBi • 고효율 송수신 RF 단 - 인가되는 낮은 파워를 고효율 Power amplifier로 증폭시켜주는 모듈이 필요 - 소자의 집적도 특성이 우수한 반파 정류 형태의 Diode 기반 Topology를 활용하였고, 목표한 24 GHz 대역에서 사용 가능하며, 0~20 dBm 수준의 전력에 적합한 범용적인 Schottky diode 'MAE2502L' 소자를 사용하여 정류 회로를 설계 • 빔포밍 적용 무선전력전송 송수신 시스템 - 송신단은 waveguide 배열 안테나, 수신단은 Patch 배열 안테나를 활용한 무선전력전송 송수신 시스템 설계 및 제작 o IoT/WoT • 동적 웹 콘텐츠 동기화 아키텍쳐 설계 (설계) • 동적 웹 콘텐츠 동기화 브라우저 익스텐션 (SW) • 동적 웹 콘텐츠 동기화 서버 (SW) o 집적센서 • 생체 신호 측정 모듈의 무선 충전 모듈 및 케이스 개발 • 다수의 생체 신호 측정 모듈을 활용한 실시간 수집 시스템 개발 및 데이터 신뢰성 향상을 위한 관리 시스템 개발 (출처 : 요약문 6p)
    • 연구책임자 : 조규성
    • 주관연구기관 : 한국과학기술원
    • 발행년도 : 20200100
    • Keyword : 1. B5G/6G 이동통신;무선전력전송;집적센서;빔포밍;웹 콘텐츠 동기화; 2. B5G/6G mobile communications;Wireless power transfer;IoT/WoT;Integrated Sensors;Beamforming;Web content synchronization;
  • 11474

    2020.01.31

    IV. 연구결과 ○ 장기 가동된 해체 원전을 활용한 실증연구는 가동중 원전의 장기가동에 대비한 안전 유지와 향상 방안 수립에 기여할 것임. ○ 구조재료 분야 실증 연구 추진 방안 - 본 연구에서 제안된 4개의 구조재료 분야 실증 연구주제는 추진 필요성이 충분하다고 평가됨. ⦁ 원자로부품 고방사선 장기조사 영향 평가 ⦁ 압력경계 기기·재료 열화 손상 평가 ⦁ 증기발생기 열화손상 실증 평가 ⦁ 1, 2차 냉각계통 크러드 및 슬러지 분석 - 예산적인 제약 등으로 인해 실증 연구 수행 우선순위를 고려하여야 할 경우, 실증연구 추진 중요성에 대한 상대적 평가에서 낮은 평가를 받은 ‘1, 2차 냉각계통 슬러지 및 크러드 분석’을 ‘증기발생기 열화 손상 실증 평가’에 포함시켜 추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평가됨. ⦁ 증기발생기 슬러지는 증기발생기 전열관 열화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요소로서 이의 분석을 증기발생기 열화 손상 실증 평가에 포함하여 수행하는 것이 더 효과적인 실증 결과를 창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됨. ○ 기기 및 설비시스템 분야 실증 연구 추진 방안 - 3개의 실증 주제에 대해 실증 연구 추진의 필요성이 높게 평가됨. ⦁ 해체 원전을 이용한 장기가동 원전의 콘크리트 열화 성능 평가 ⦁ 장기가동 원전의 열화기기 내진 성능 평가 ⦁ 원자력시설의 3차원 형상 및 방사능 동시측정기반 안전진단 기술개발 - 실증 연구 추진의 중요성은 인정되나 다른 연구주제와 통합하여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평가된 연구주제 ⦁ 국내 원전의 방사화에 의한 구조재 및 콘크리트의 방사화 현상 연구 → ‘해체 원전을 이용한 장기가동 원전의 콘크리트 열화 성능 평가’와 통합하여 수행 → 단 고리1호기의 케이블 열화 평가는 별도의 실증주제로 분리하든지, 또는 ‘원전화재 환경 기기 및 운전반응성 실증 시험’으로 통합하여 추진하는 것이 바람직 - 규제기관의 안전규제, 실증연구를 위한 유틸리티 공급에서 제약이 있어 수행이 가능하지 않을 것으로 평가된 연구주제는 다음과 같음. ⦁ 실규모 열수력 현상 실증의 3개 실증연구주제 ⦁ 주제어보드(MCB1)) 타입 주제어실 증강 화재 실험 연구 ⦁ 원전 안전성 확인 및 향상을 위한 주요기기 성능 및 가용성 평가 - 고리1호기 해체를 위한 연구개발사업과 중복성이 있어서 실증 연구 형태로 추진하는 것이 바람직하지 않다고 평가된 연구주제는 다음과 같음. ⦁ 해체 작업 중 방사선 피폭량 평가 기술 및 방호 대책 실증 ⦁ 해체 작업과 관련한 방사성폐기물의 수량 평가 기술 및 확산 방지 기술 실증 - 고리1호기를 활용하는 실증 연구주제로서 적절하지 않다고 평가된 연구주제는 다음과 같음. ⦁ 원자력시설 내 로봇 활용성 실규모 평가 ⦁ 구리 금속 케이블 전자기 용융 처리 및 재활용 평가 ○ 구조재료 분야는 Hot Lab. 수준의 실증 연구시설로 충분하며, 기기 및 설비 시스템 분야는 대부분 고리1호기 현장에서 실증연구가 수행되어 별도의 시설 구축이 불필요하다는 평가임. ○ 추진 필요성이 높다고 평가된 실증 연구들은 최종해체계획서(FDP) 승인 이후에 본격 수행되는 것으로 계획되어 있어서, 실증 연구 수행을 위해서는 안전관리 및 방사성폐기물관리 기준을 준수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평가 ○ 실증 연구의 추진이 해체일정에 영향을 주어 비용 증가 등을 야기할 가능성이 있음에 따라, 이의 최소화를 위한 노력이 필요하고 이를 위해서는 해체사업자와 사전협의를 통해 세부계획을 수립하는 것이 요구됨. ○ 구조재료 분야의 고리1호기 활용 실증연구 주제들에 대해 미국 등 해외의 관심이 높으며, 국제협력을 통해 추진 효율성을 제고시키는 것이 필요하다는 평가임. (출처 : 요약문 3p)
    • 연구책임자 : 김현준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학회
    • 발행년도 : 20200200
    • Keyword :
  • 11473

    2019.12.31

    - 저선량방사선 조사 시설을 포함하는 SPF실험동물실 유지 관리 ▢ 세포주 및 동물모델을 이용하여 저선량 방사선의 영향 및 선량률에 따른 조직의 반응 정도를 비교함 ○ 저선량률 chronic exposure (3.4mGy/h)그룹이 고선량 반복 조사 (2Gy x 2 or 4회, 50.9Gy/h) 그룹보다 고환 무게 더 감소하고, 조직의 손상 정도가 더 심함을 검증함 ○ qRT-PCR 및 western blot으로 검증을 수행하여 G6PC2 후보유전자를 확보함 ○ 저선량 방사선 조사가 CD8+ T cell activation의 정도와 activation 전, 후의 DNA damage 정도에 영향이 없음을 확인함 ○ γ-H2AX staining을 이용하여 저선량 방사선에 의한 adaptive response를 확인하고, 같은 조건에서 산소 농도에 따라 DNA damage 생성 정도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함 (출처 : 요약서 3p)
    • 연구책임자 : 이창근
    • 주관연구기관 : 동남권원자력의학원
    • 발행년도 : 20200100
    • Keyword : 1. 저선량 방사선;선량률;고환;유전자 변이;산소; 2. low-dose radiation;dose-rate;testis;DNA damage;Oxyg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