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Report

All 12,381 Page 89/1,239

검색
  • 11501

    2020.01.31

    □ 알파핵종 표적치료를 위한 인프라 최적화 ○ 알파 핵종 1종 핵종 품질 분석 ○ 알파 핵종 1종 측정 및 평가 기술 개발 ○ 국제 연구 협력 강화 □ 알파핵종 표적치료관련 선량평가 protocol 고도화 ○ 알파 핵종 1종에 대한 비임상 및 임상 감마영상화 프로토콜 정립 ○ PET 영상이용 치료반응 예측 평가 방법 개발 □ 알파핵종 표적치료관련 종양모델, 실험 protocol 확립 ○ 표적치료용 알파 핵종 방사성의약품 3종 표지법 확립 ○ 표적치료용 알파 핵종 표지 방사성의약품 3종 소동물 장기분포 평가 ○ 표적치료용 알파 핵종 표지 방사성의약품 2종 안정성 평가 ○ 알파 치료를 위한 진단용 방사성의약품 1종 독성평가 □ 알파핵종 표적치료 임상시험 실시 ○ 전립선암 관련 임상시험 3건 시행 ○ 전립선암 관련 PSMA-I&T 임상시험 준비 ○ 유방암 관련 임상시험 2건 시행 □ 알파핵종 치료관련 autophagy 와 병리분석 심화연구 ○ 방사선 유도 autophagy에 관련된 histone 조절 유전자를 이용한 폐암세포에서의 방사선치료 효과 확인 ○ 알파핵종 표적 치료 타겟 발굴을 위한 병리 기반 연구 ○ 대장암에서 방사선 치료 감작제 및 방사선 치료 저항 극복 표적 치료제 발굴 (출처 : 요약서 3p)
    • 연구책임자 : 송강현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의학원
    • 발행년도 : 20200200
    • Keyword : 1. 알파핵종;방사성 핵종치료;암;유전자 변이;항암방사선 맞춤치료 기술개발 방사선감수성 증가 치료법;신호전달;병리분석; 2. alpha emitting radionuclide;radionuclide therapy;cancer;gene mutation;tailored anticancer radiation therapy;radiosensitizing therapy;autophagy;signal transduction;pathological analysis;
  • 11500

    2019.12.31

    본 과제는 가동원전에서 잠재적인 재료열화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원천기술 개발을 주목적으로 하고 있음. 고온고압의 1,2차 수환경 및 방사선환경에서 구조재료의 열화특성을 연구하기 위하여 최신의 실험 및 이론 기법을 적용함으로써 국내는 물론 세계에서도 주목받는 최초의 연구 성과를 다수 내었을 뿐 아니라,이를 바탕으로 국내 원전산업체들과 직접적인기술협력/기술지원 성과도 도출하였음. 국내외 학술지연구논문(SCI) 게재와 국내외 특허 등록 등 정량적인 연구 성과 이외에도,다수의 국내 원전산업체 기술지원 실적을 통해, 본 연구과제가 학술적인우수성 과 동시에 산업적인 적용성도 동시에 가지는 탁월한 성과를 보였음. 기존 기술의 답습을 벗어나 독창적인 차별화된 연구를 지향하여 재료열화 평가 신기술을 개발하고,타 분야의 첨단 분석기술, 미소시편 측정기술을 응용한 특성평가기술 개발을 통해 복합인자에 의해 발생하는 재료열화 현상의 종합적 대처능력 강화 분야에서 중요한 성과를 이룩함. (출처 : 보고서 요약서 3p)
    • 연구책임자 : 이봉상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연구원
    • 발행년도 : 20200100
    • Keyword : 1. 원전재료 열화;부식손상;조사손상;검사신뢰도;부착완화; 2. Nuclear materials degradation;Corrosion degradation;Irradiation degradation;Diagnosis reliability;Deposition mitigation;
  • 11499

    2020.01.31

    □ 대량사상자 유입 대비 확장수용 능력 강화 ㅇ 방사선비상진료 고유업무 수행 성과내용 : 방사선영향클리닉 진료건수 계획 : 100건 성과 : 233건 ㅇ 직종별 방사선비상진료 특성화교육 기본ž심화과정 개설 및 운영(8회) ㅇ 방사선비상의료지원본부 역량 강화를 위한 의료지원본부 가동훈련 실시(6회) ㅇ 재난 및 응급의료체계의 외부 교육과정 실시지원(19건) 및 비상진료 자문위원회 개최(2회)를 통한 분산수용 네트워크 강화 ㅇ 한국방사선비상의료지원단(K-REMAT) 역량개발 교육․훈련 운영(5건)을 통한 현장 대응능력 강화 ㅇ 한국방사선비상의료지원단(K-REMAT) 운영 매뉴얼 개정, 갑상샘방호약품(KI) 사전배포 방법론 개발에 관한 연구출판․ISBN 등록 등 전문성ž실효성 강화 □ 선량평가 기술 국제인정 유지 및 연구개발 역량강화 ㅇ 선량평가 평시 고유업무 수행 - 방사선영향클리닉 내원객 대상 내ž외부오염검사 및 생물학적 선량평가 수행으로 방사선 비상진료 검사 서비스 제공 성과내용 : 내・외부오염검사실 및 생물선량평가팀 운영 계획 : 50건 성과 : 184건 - 방사능분석장비, 자동 염색체 분석 시스템 현미경 자체교정 및 정기성능평가로 선량평가 서비스의 품질관리시스템 향상 ㅇ 국내ž외 교차분석프로그램 주관 및 참가로 피폭선량평가에 대한 측정 소급성 유지 및 숙련도 향상 - 국내 교차분석 프로그램 주관, 미국 국립 표준 기술원(NIST) 주관 교차분석 프로그램 참가, 한국표준 과학 연구원(KRISS) 주관 교차분석 프로그램 참가 등 ㅇ ISO 17025에 대한 공인시험기관 국제공인인정 유지 및 ISO 15189에 따른 공인메디컬시험 기관 국제인정 유지로 피폭선량평가 기술에 대한 표준화 및 선량평가 결과에 대한 신뢰성 향상 ㅇ 피폭선량평가분야 기술교류 세미나 개최로 및 국내외 회의 참가를 통한 최신 기술에 대한 정보 공유 및 피폭선량평가에 대한 기술 역량 강화 - Asian Radiation Dosimetry Group; ARADOS) 5차 연차회의 참석을 통한 워크그룹 간 기술교류 및 교차분석프로그램 발굴(2019.11.5.~2019.11.8, 중국 NIRP 주관) - Korean Retrospective Dosimetry Group (KREDOS) 차 연차회의 참석을 통한 기술교류 및 교차분석프로그램 결과/계획 논의(2019.7.4.~2019.7.5, KARA 주관) ㅇ 딥러닝 기법을 활용한 염색체 이상 판독 자동화 연구개발 수행, 정부수탁과제 및 방사선 생체영향 연구수행을 통한 피폭선량 연구역량 개발 □ 방사선비상진료 국제공조체계 기반 강화 ㅇ 국제교육과정 - IAEA 방사선 비상 의료대응 지원을 위한 의학물리사 교수자 교육과정 개최(2019.6.17.~2019.6.28.) - 한·일 방사선비상진료 분야 정보 공유 및 방사능재난 대비 국가 간 협업대응 능력 향상을 위한 REM 국제교육과정 개최(2019.02.10.~2019.02.23.) ㅇ 해외 방사능방재 전문가 대상 한빛 연합훈련 참관 및 세미나 개최(2019.10.29. ~2019.10.30.) (출처 : 요약서 5p)
    • 연구책임자 : 진영우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의학원
    • 발행년도 : 20200200
    • Keyword : 1. 방사선비상진료;방사선비상대응;방사선비상의료지원본부;한국방사선비 상의료지원단;방사선영향클리닉;직종별 특성화 교육;방사선비상진료 국제공조;생물학적선량평가;내부/외부 선량평가; 2. Radiation Emergency Medicine;Radiation Emergency Medical Response;Korean Radiation Emergency Medical Assistance Team;Radiation Effect Clinics;Radiation Emergency Medical Education;International Cooperation;Biological Dosimetry;Inter・External Physical Dosimetry;
  • 11498

    2019.12.31

    혈소판, 대식세포 등이 종양세포의 성상 변화에 미치는 영향 연구 - 혈소판에 의한 종양세포의 종양생성능 변화 관련 유전자 변화 정보 라이브러리 구축 - 방사선에 의한 대식세포의 변화가 생리활성물질 분비에 미치는 영향 연구 및 제어 (출처 : 요약서 3p)
    • 연구책임자 : 김성대
    • 주관연구기관 : 동남권원자력의학원
    • 발행년도 : 20200100
    • Keyword : 1. 종양줄기세포;면역치료;혈소판;대식세포; 2. cancer stem cell;immunotherapy;platelet;macrophage;
  • 11497

    2019.12.31

    ● HF-DLC 코팅의 유체 윤활 시험법 확보 - 유체윤활 환경 하 Tribo-system에서 인가된 수직하중은 피할 수 없는 제어 불가인자로 이를 상쇄할 수 있는 힘 평형에 대한 근본적 해결법은 물성 (경도 및 탄성계수)이 상이한 단일 코팅물질의 다층 막 (Multi-layer)도입으로 이를 해결함 - 윤활 막에서의 내마모성 증가와 저마찰 특성은 다층막 도입을 통한 파괴인성 증대와 하중 증가에 따른 Crack 전파 차단의 역할과 소성변형에 대한 저항성 증가로 이를 극복함 ● HF-DLC 코팅의 고체 윤활용 내구성 평가 기술 - 우주환경에서의 고온 모사실험을 위해 적외선 IR 방사기 구축을 통해 표면온도 상온 ~ 1300 ℃환경 하 Tribo-특성 평가가 가능하도록 함 ● 최소 수직하중 1N 확보 기법 연구 - 1N급의 미소하중 인가 후 Tribo-system의 회전체 진원도, 감지부 및 하중보정을 통한 미소하중인가 후의 신뢰성 있는 평가 기법 확보 ● 지상 우주방사선 환경 모사 후 트라이보 시스템 성능 검증 - 우주 환경용 기계부품류의 적용 구체화 (슬라이딩 베어링 부품) 및 평가 환경 선정완료 - Ti doping 된 HF-DLC 코팅 막 제작 및 우주방사선 환경 노출 후 트라이보 시험 평가 시 마찰계수 (0.041), 마모량 (1.28 × 10-8 mm3/Nm)를 확보 함 (출처 : 보고서(초록) 3p)
    • 연구책임자 : 장영준
    • 주관연구기관 : 한국기계연구원
    • 발행년도 : 20200100
    • Keyword : 1. 윤활;고체윤활;우주 트라이볼로지; 2. Tribo-system;Lubrication;Solid Lubrication;Space tribology;HF-DLC;
  • 11496

    2020.01.31

    방사선 관련 연구 개발 시 무작위적인 방사선 반응 연구로 인한 방사선 반응의 기초 원천 기술이 부재한 상태에서 융합연구를 추진함으로써 기술 발전에 한계를 보이고 있다. 따라서 오믹스 기반 방사선 반응 식물 스트레스 피지옴을 탐색하고 활용기술을 확보함에 목적이 있다. 본 과제는 4개의 성과목표의 연구가 수행 되었다. 성과목표는 1. 방사선 유도 산화스트레스 단백질변형 연구 2.방사선 반응 DNA 손상 및 회복 조절기작 연구 3. 방사선 유도 식물 생리활성 대사체 합성 기작 및 이용연구, 4. 방사선 반응 식물 유용물질 발굴 및 방사선 분자변환을 통한 고도화 연구이다. 연구의 대표결과는 1. 식물 DDR 조절 신규 전사인자 NAC103기능 규명, 2. 식물 DDR의 크로마틴 리모델링과 후성유전학적 조절기작 리뷰, 3. DNA 손상반응에 특이적으로 반응하는 cis -element (CCACACC)를애기장대 AGO2 promoter로부터 규명(식물에서 최초 규명), 4. 인위적 조작에 의한 단백질 S-sulfhydration 여부 확인 및 단백질 구조의 활성 영향 규명, 5. 감마선에 의해서 유도되는 H2S(hydrogen sulfide) 유래 Post-translational modification (PTM)의 일종인 S-sulfhydrated 단백질 동정 (118종), 6. RI이용 식물 이소프렌 생합성 경로의 재해석이다. (출처: 서지정보양식 - 초록 143p)
    • 연구책임자 : 이성범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연구원
    • 발행년도 : 20200200
    • Keyword : 1. 방사선 반응;스트레스;피지옴;단백질변형;식물 대사체;생리활성; 2. Radiation response;Stress;Physiome;Protein modification;Plant metabolites;Bioactivity;
  • 11495

    2019.12.31

    본 연구과제에서는 인간 냉동 기증제대혈 유래 조혈모세포를 이용하여 인간화 생쥐 모델을 구축하고 나아가 HLA 일치/불일치 인간화 생쥐 모델을 확립하여 그 인간 면역세포의 생착과분화능력을 분석함. 동형접합 체세포복제배아줄기세포를 중심으로 삼배엽성 분화세포들로의분화 방법을 확보하고, 그중 신경세포 및 중간엽줄기세포, 골세포 등으로 분화된 세포에서 HLA 발현을 분석하여 분화가 진행됨에 따라 HLA 유전자, 특히 MHC Class II의 발현이 증가함을 확인함. HLA 일치/불일치에 따른 동형접합 체세포복제배아줄기세포 유래 중간엽줄기세포및 골세포의 면역원성을 in vitro/in vivo에서 확인한 결과, HLA type 이 일치하는 경우 체외에서 Tcell 증식을 유의하게 적게 일으키고 생체 내에서는 세포가 보다 오래 생존하며, HLA type이 불일치하는 경우 Thymus에서 T cell의 증식을 유도하는 것을 확인함. 제 3세부과제에서 개발된 HLA 유전자 KO 세포주를 가지고 체외에서 NK 증식능 테스트를 통해 면역원성을 분석함. (출처 : 요약서 3p)
    • 연구책임자 : 이동율
    • 주관연구기관 : 차의과학대학교
    • 발행년도 : 20200100
    • Keyword : 1. HLA 동형접합;인간 전분화능 줄기세포;체세포복제배아줄기세포;인간화 생쥐;면역적합성; 2. HLA homozygous;human pluripotent stem cells;somatic cell nuclear transfer-derived embryonic stem cells;humanized mice;immune compatibility;
  • 11494

    2020.11.30

    II. Virtual DEMO 개발 배경 및 필요성 □ 우리나라 핵융합 에너지 연구는 기술 추격 단계를 벗어나 기술 선도 단계에 진입 ○ 이에 KSTAR와 ITER 사업을 통해 축적한 기술적 역량을 바탕으로 세계 핵융합 연구 선도 및 조기 핵융합 상용화 달성을 위한 K-DEMO 설계 및 건설 가속화 전략 마련이 필요 □ 또한 3차 핵융합에너지개발 진흥 기본 계획에 따르면, 현 단계는 K-DEMO 핵심기술 개발 기반 확보를 추진할 시점으로 핵융합 발전소 설계 기술 확보를 위한 전략 수립 필요 □ 우리나라는 KSTAR 사업을 통해 토카막 장치 건설 기술을 확보하고 노심 플라즈마 관련 기술을 개발하고 있으며, ITER 사업 참여를 통한 연소 기술 확보를 계획 중 □ K-DEMO는 현재 설계개념 연구(Pre-CDA) 중으로, ‘40년대 발전소 건설을 위해서는 ① KSTAR, ITER 실험 데이터의 체계적 해석 및 K-DEMO 공학설계 활용을 위한 연계 기술, ② 에너지 변환 기술 확보를 위한 블랑켓 실험 설비, ③ K-DEMO 성능 예측 외삽 (extrapolation) 기술 등의 확보 필요 ○ 이는 우리나라를 비롯해 세계 각국이 직면한 공통과제로, 최근 미국, 일본, EU 등은 블랑켓 및 핵융합 재료 설계, 테스트 등에 필요한 중성자원 확보 추진과 함께 핵융합 시뮬레이션과 가상화 기술을 통한 해결 전략을 고민 중 □ 우리나라는 최근 슈퍼컴퓨팅, 인공지능, 빅데이터 등의 4차 산업혁명 기술을 통한 국가적 과제 해결과 산업 고도화를 추진 중으로, 특히 소프트웨어 기술 개발을 통한 원천기술 확보를 위해 다각적으로 노력 중 □ 핵융합 분야 또한 기술적 도전 극복과 K-DEMO 설계 기술 확보를 위해 4차 산업혁명 기술을 접목한 시뮬레이션과 가상화 기술 개발을 추진할 시점 □ 이에 본 기획과제는 시뮬레이션 기반의 가상 핵융합로(Virtual DEMO) 개발 방향과 전략을 수립하고 KSTAR, ITER에서 K-DEMO로 이어지는 국가핵융합에너지 개발의 당면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 목적 ○ 특히 Virtual DEMO 개발 지향점을 K-DEMO 설계 불확실성을 최소화할 수 있는 기술 확보에 두고 이를 위한 핵융합 시뮬레이션의 실험 검증 전략을 마련하고자 하며, KSTAR, ITER, 그리고 미래 블랑켓 실험 설비 운영과 연계한 로드맵 수립 ○ 또한 4차 산업혁명 기술을 매개로 핵융합 분야가 IT 및 원자력 분야와 협력하고 기술 개발을 가속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 (출처 : 요약문 3p)
    • 연구책임자 : 권재민
    • 주관연구기관 :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
    • 발행년도 : 20201200
    • Keyword :
  • 11493

    2020.02.29

    □ 연구 개요 < 최종목표 > 단속평형 진화모델에서 염색체 불안정성을 조절하는 췌장암 특이적 핵심 유전자 발굴 및 기전규명에 관한 연구. ▶ 암은 국내를 비롯한 대부분의 선진국에서 사망 1위인 질명으로, 국민의 건강을 위협하는 대표 질환임. 특히 췌장암 환자의 45%가 다배체화(polyploidization)과 관련이 있고, 염색체 파열(chromothripsis) 현상이 보였고 이로 인해 유전자의 손실과 이득이 생기며 단속평형(punctuated equilibrium)적인 진행과정을 거치게 됨. 따라서 췌장암 성공적인 암 치료를 위해서는 췌장암의 punctuated equilibrium에 관여하는 조절 유전자를 발굴하고 암의 계속분열(mitotic catastrophe)과정과 다배체화(polyploidization)의 원인이 되는 특이적 유전자를 동정하여 그 기능을 밝히는 것이 중요함. □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 연구목표 1 > 세포분열 조절이상과 염색체 불안정성 원인이 되는 핵심 유전자 발굴 ■ 췌장암에서 chromosome instability(CIN) 및 chromothripsis와 관련된 유전자 발굴 ○ 췌장암 환자에서 특이적 조절유전자의 발현, 임상적 의의 분석 및 세포주에서 검증. - 결과: 췌장암 환자(TCGA data) 및 세포주에서 증가 되어 있는 CIN 관련 유전자 3개를 선정함: NCAPH, CDC6, Zwint-1 ■ 췌장암 특이적 조절유전자가 세포증식 및 세포 사멸에 미치는 영향 분석. ○ 췌장암의 세포증식에 미치는 영향 측정: 콜로니-형성를 이용한 세포증식 능력 및 FACS와 Annexin V를 이용하여 세포사멸에 미치는 영향 측정. - 결과: NCAPH의 조절이 췌장암 세포증식을 억제하고 caspase-3 dependent pathway를 통해서 세포사멸이 증가됨을 확인하였고, Z-VAD-Fmk (pan-caspase 억제제)를 이용하여 다시 한 번 증명함. - 결과: 췌장암 세포에서 Zwint-1의 억제가 NF-κB의 인산화를 억제하고 NF-κB target 단백질의 발현을 조절함. < 연구목표 2 > 췌장암 세포의 증식 및 전이 능력에 특이적 변화를 보이는 유전자의 역할 규명 ■ 췌장암 특이적 조절유전자의 조절이 세포분열(mitosis)의 조절이상과 CIN에 미치는 영향 분석 ○ 세포분열에 미치는 영향 측정 : FACS, 염색체 확산 분석(chromosome segregation) 그리고 mitosis 관련 유전자 변화 측정. Pericentrin을 이용하여 중심체(centrosome)의 개수를 측정. - 결과: NCAPH와 Zwint-1의 억제는 S/G₂-M arrest 및 Cyclin A와 p-Histone H3의 발현을 증가시키고, 비정상적으로 segmentation 되어있는 chromosome morphology를 관찰함. - 결과: 췌장암 세포에서 CDC6의 억제는 중심체 개수의 증가로 비정상적 mitosis를 거쳐 G₂-M arrest가 일어남을 확인함. ■ 핵심 유전자의 변형이 chromosome integrity에 미치는 영향 확인 ○ Chromosome integrity에 미치는 영향 측정: Thymidine double block 후 염색체 확산 분석하여 측정. alpa-tubulin을 이용하여 anaphase 과정을 측정. - 결과: NCAPH가 poorly condensed chromosome에서 mature condensed chromosome으로 진행되는데 핵심적인 역할을 함을 증명함. - 결과: CDC6와 Zwint-1이 정상적 chromosome segregation에 필수적임을 증명함. ■ 핵심 유전자의 변형이 DNA 손상에 미치는 영향 확인 ○ DNA 손상에 미치는 영향 측정: p-H2AX의 발현의 차이를 측정, 관련 signaling pathway의 규명. - 결과: NCAPH의 억제가 DNA 손상을 높이고, Chk1/Chk2 signaling pathway를 통해서 증가됨을 확인하고 ATM 억제제를 이용하여 다시 한 번 증명함. < 연구목표 3 > 췌장암에서 핵심 유전자의 조절 기전 규명 ■ 핵심유전자의 항체 및 tagging vector를 제작하여 관련 단백질 선정 및 검증 ○ 췌장암 특정 유전자를 Flag 또는 GST tagged vector로 제작하여 타깃 유전자와의 결합을 규명: Immunoprecipitation 방법을 이용. - 결과: NCAPH가 Holliday junction 5' flap endonuclease인 GEN1과 G₂-M phase에서 chromatin에서 결합이 증가됨을 확인함. ■ 결합 단백질들과의 관계를 규명하고 핵심유전자의 역할을 규명 ○ 타깃 유전자의 발현 및 위치화에 미치는 영향 규명: 세포면역염색법과 chromosome, nuclear 그리고 chromatin을 분리하여 발현 확인. - 결과: NCAPH와 GEN1이 DNA 손상에서 결합이 증가됨을 증명하였고, 췌장암 특정 유전자의 조절이 타깃 유전자의 위치화(localization)에 관여함을 증명함. □ 연구개발 결과의 중요성 ▶ 췌장암의 발달과정의 규명과 응용을 통한 학문적 수월성 확보 및 기초 연구의 중요성을 제시. ▶ 췌장암 특이적 조절유전자의 발굴 및 분자 기전 연구에 관한 총체적 집중 연구는 해당 질환의 기초 기전 및 질환기작 규명의 비약적 발전은 물론 이들로 인한 혁신적 의료관리 체제를 구축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국가 의료·바이오 기술의 경쟁력을 향상시킴. ▶ 신물질의 탐색으로 인한 새로운 항암분자표적 발굴의 가능성 제시.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김재형
    • 주관연구기관 : 분당서울대학교병원
    • 발행년도 : 20200300
    • Keyword : 췌장암;단속평형진화;염색체 불안정성;염색체 파열;다배체화;세포분열;세포전이;
  • 11492

    2020.01.31

    ○ 방사선의학 DB 콘텐츠 개발의 일환으로 국민건강보험공단 보건의료 빅데이터를 이용한 방사선의학 임상현황 분석을 진행함 ○ 방사선의학 웹진을 월간(12회)으로 발행하고, 컨텐츠 및 전문가네트워크 강화를 위한 편집위원 워크숍, 우수연구자 선정 등을 진행함 ○ 방사선의학 분야 정책수립 지원 노력의 일환으로「정밀종양의료를 위한 표적형 알파입자 방출 방사성의약품치료」도서, 「병원 내 설치, 효율적 운영 가능한 가속기 기반 BNCT의 기술검토」 도서, 「STS를 활용한 생활주변방사선 이해증진방안 연구」보고서를 발간함 ○ 국내 유일 방사선의학기관인 한국원자력의학원의 핵심역량 확보 방안 도출을 위해「한국원자력의학원 역할재정립에 따른 발전전략」보고서를 발간하고 기관 노사발전정책 등을 지원함 ○ 방사선의학 저변 확대 및 관계기관 협력을 위해 과학기술출연기관장협의회를 유치 및 개최하였으며, 2019 추계 원자력학회 워크숍, IAEA-KIRAMS 연구협력회의 등을 개최함 ○ 방사선의학 신규영역 발굴을 위해 출연(연) 협력 천연물의약품 연구과제를 기획하였으며, 방사선의학기술 적용 반려동물 헬스케어 사업 모델을 정립함 ○ 방사선의학포럼의 정기적 운영을 통해 방사선의학 진흥 정책 및 연구 개발 전략 발굴, 정보교류, 홍보 활동 등을 수행함 ○ 한국 주도의 IAEA 협력 사업(20-21주기 IAEA/RCA 사업, IAEA 기술협력자문, ASEAN/RCARO 협력사업 등)을 성공적으로 수행하였으며, 국내 선진 방사선의학 기술력을 알리고 아시아 지역 내 리더십 확보를 위한 활동을 지속함 ○ IAEA 지역훈련과정 및 ODA사업을 통해 방문하는 연수생들의 원활한 교육 및 국내생활편의를 돕기 위해 「국제방사선기술연수생을 위한 영문가이드북」을 발간함 (출처 : 초록 4p)
    • 연구책임자 : 김정영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의학원
    • 발행년도 : 20200200
    • Keyword : 1. 방사선의학;정책;정보분석;빅데이터;데이터베이스;성과분석;방사선의학포럼;방사선의학 정보시스템;정책개발; 2. Radiation Medicine;Policy;Information Analysis;Big Data;Database;Performance Analysis;Radiation Medicine Forum;Radiation Medicine Information System;Radiation Medicine Policy Develop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