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Report

All 12,382 Page 89/1,239

검색
  • 11502

    2021.01.31

    ㅇ 고구마는 유전체가 거대하고 (3 Gb), 6배체이며, 이질성이 높아 유전체 분석이 난해한 작물임. ㅇ 다부처유전체사업으로 1차 해독된 고구마 유전체 정보를 이용하여 전분, 카로티노이드 등의 고구마 특이 대사 관련 유전자 목록을 작성하였음. ㅇ 국내외 주요 품종의 유전체 리시퀀싱 후 세포소기관(엽록체) 유전체를 조립, 분석, 비교하여, 품종간 상당히 유사함을 확인하였음. ㅇ 또한, 국내외 주요 품종의 핵 게놈 변이를 분석하여 품종 특이 SNP를 발견하고 이를 이용하여 국내외 9개 품종의 구별이 가능한 분자마커와 PCR 이용 판별방법을 개발하였음. ㅇ 종합적으로 거대, 다배체, 헤테로 작물의 유전체 정보 활용 사례를 축적하여, 타작물 적용 가능성을 확보하였음. (출처 : 요약서 3p)
    • 연구책임자 : 이근표
    • 주관연구기관 : 국립농업과학원
    • 발행년도 : 20210200
    • Keyword : 1. 고구마;유전체;유전자;품종판별; 2. Sweet potato;genome;gene;species identification;
  • 11501

    2020.11.30

    원내 원자력시설의 운영 과정에서 발생되는 계장설비의 고장을 보수하고, 노후설비는 새로운 기기로 교체 또는 대체하며, 원내에서 수행되고 있는 연구과제에서 필요로 하는 전자기기와 연구 실험장비들에 대한 점검과 유지 보수 및 제작을 수행하여 연구업무가 원활하게 수행되도록 기술지원하고 있다. 원내 원자력시설인 화학연구부의 ‘액체폐기물 저장 및 이송기구’의 계장설비에 대한 교·보정 수행하였으며 각 과제에서 필요로 하는 전자기기에 대한 유지보수와 제작을 하였고 중수로 감속재 순환 모의시설에서의 온도측정시스템을 설계 제작하였다. 또한 방사선환경에서 사용하는 압력계측기의 내방사선 실험결과에 대한 분석 및 평가, 인간공학, 계측제어 실험장치에 대한 유지보수 및 시험을 수행하였다. (출처 : 서지정보양식 245p)
    • 연구책임자 : 박원만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연구원
    • 발행년도 : 20201200
    • Keyword : 1. 중수로 감속재유동장시험;계장설비 교보정;계측제어기기;전자기기;유지보수 및 제작; 2. CANDU MCT;Instrument Calibration;I&C Device;Electronic Device;Maintenance & Fabrication;
  • 11500

    2020.10.31

    Ⅳ. 연구결과 소형 중성자선원 관련 국내외 현황과 중성자원 이용 국방·산업·의료, 중성자과학분야, 사용후핵연료 및 각종 중성자 응용산업 분야 조사·분석을 통해 소형 중성자원 기술을 이용한 산업화 전략 수립 방향을 제시하였다. 중성자원 이용 해외 산업 창출 사례를 제시하여 국내에서 소형 중성자원 이용 산업분야 발달에 대한 흐름이 어떤 형식으로 진행될지 그리고 어떤 산업이 발전할지에 대한 기본 연구 자료가 되도록 하였다. 국내외 중성자원 관련 시장동향 조사를 통해 국가별·대륙별 시장 규모 그리고 주요 산업체 조사를 통해 소형 중성자원 기술 이용 산업화 전략마련이 어느 기술 분야에서 이뤄질지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였다. (출처 : 요약문 4p)
    • 연구책임자 : 채종서
    • 주관연구기관 : 성균관대학교
    • 발행년도 : 20201100
    • Keyword :
  • 11499

    2020.01.31

    연구의 목적 및 내용 PSC 구조물의 다중 PS 강연선과 정착부의 파손감지에 적합한 웨어러블 압전센서 장치 기술을 개발 및 활용 성능 검증 최종목표 달성을 위한 연차별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음. ○ 1차년도 : PS 강연선과 정착부의 파손감지용 웨어러블 압전센서 장치 기술 개발 - 기전 임피던스-동적변형률 기반 PS 강연선과 정착부의 파손 감지 기법 개발 - 보강재-압전센서 복합체 제원 및 정착부 웨어러블 매커니즘 설계 - 웨어러블 압전센서 장치를 통한 강연선과 정착부 파손 감지 기법 정립 ○ 2차년도 : 웨어러블 압전센서 장치를 활용하는 파손감지 소프트웨어 개발 및 PS 강연선과 정착부에 대한 파손감지 성능 평가 - 1차년도 연구수행 결과를 기반으로 웨어러블 압전센서 장치가 탑재된 정착부 설계 - 이중 기전응답 기반의 강연선과 정착부의 파손 감지 소프트웨어 개발 - 실험실 환경에서 다중 PS 강연선과 정착부 파손감지 성능 평가 수행 연구개발성과 ○ PS 강연선과 정착부의 파손감지용 웨어러블 압전센서 장치 기술 ○ 웨어러블 압전센서 장치 및 파손감지 소프트웨어 작성과 성능평가 연구개발성과의 활용계획 (기대효과) ○ 웨어러블 압전센서 장치 및 텐던 정착부 손상감지 기술은 교량, 원전 격납구조 등의 PSC 구조물의 유지관리 분야에서 활용이 가능함. ○ 본 성과물은 PSC 구조물 텐던 정착부의 손상이력 추적이 가능하여 유지관리의 신뢰성을 증대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됨. ○ 기존의 고가 유지관리 시스템 기술 비용을 대체할 수 있는 저가의 고내구성, 첨단 기능의 유지관리 기술 개발의 원천기술이 될 것으로 예상됨. (출처 : 요약문 4p)
    • 연구책임자 : 김정태
    • 주관연구기관 : 부경대학교
    • 발행년도 : 20200200
    • Keyword : 1. 다중 PS 강연선;정착부;웨어러블;압전센서 장치;파손감지; 2. Multiple PS strands;Anchorage;Wearable;Piezoelectric sensor device;Damage detection;
  • 11498

    2020.11.30

    비공개항목입니다.
    • 연구책임자 : 장재훈
    • 주관연구기관 : 한국기계연구원
    • 발행년도 : 20201200
    • Keyword : 1. 중성자 흡수;중성자 차폐;스테인리스강;연신율;압연성;내식성; 2. Neutron absorbability;Neutron Shielding;Stainless;Elongation;Workability;
  • 11497

    2020.06.30

    원자력발전소 운영 과정에서 방사성 물질 누설 등으로 인하여 토양 및 지하수 오염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원전 해체과정 중 이를 확인하고 제거하는 과정이 필요함. 본 연구에서는 원전 해체단계 중 최종 부지평가 과정에서 토양의 잔류 방사성핵종을 측정하기 위한 원격 이동형 무선 방사선 계측시스템을 개발함.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무선통신을 활용한 방사능 측정 기술 조사·분석 △ 최적화를 통한 무선 감시시스템 회로부 상세 설계 △이동형 계측시스템 및 소프트웨어 개발 △ 이동형 측정 시스템시작품 제작 및 성능평가 △이동형 계측시스템 성능 및 현장 적용성 평가를 수행하여 최적화를 수행함. 본 연구에서 개발된 이동형 무선 측정시스템은 원전 해체과정에서 토양의 잔류방사능을 측정 및 평가하는 데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함. (출처 : 보고서 요약서 3p)
    • 연구책임자 : 문주현
    • 주관연구기관 : 단국대학교
    • 발행년도 : 20200700
    • Keyword : 1. 원자력시설;해체부지;잔류방사능;방사성핵종 판별; 2. Nuclear Facility;Decommissioned Site;Residual Radioactivity;Radionuclide Discrimination;
  • 11496

    2020.10.31

    1. 종양 및 종양조직환경의 방사선 민감도 평가를 위한 다양한 동물 모델 확립 2. 정위 종양 모델과 소동물 방사선 치료기를 이용한 임상 모사 방사선 치료환경 구현 및 방사선 치료 효과 분석 프로세스 구성 3. 소동물에서 종양의 이미징을 통한 방사선 민감도 평가 기반 마련 4. 종양 및 종양조직 환경의 방사선 민감도 조절제 후보 발굴 및 개발한 방사선 민감도 평가 기반을 활용한 in vivo 유효성 검증 (출처 : 보고서 요약서 3p)
    • 연구책임자 : 이해준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의학원
    • 발행년도 : 20201100
    • Keyword : 1. 방사선 치료;종양조직환경;방사선 민감도;치료 효율;종양 동물 모델; 2. radiotherapy;microenviron ment;radiation sensitivity;therapeutic efficacy;tumor animal models;
  • 11495

    2020.11.30

    □ 연구의 목적 및 내용 비알코홀성 지방간질환 섬유화 과정에 있어 TFEB/TFE3 유전자 및 lipophagy 활성화의 역할을 세포 및 동물 모델에서 확립하고, 이를 이용하여 새로운 치료법 개발 가능성을 제시한다. 특히, PPARs 등의 핵수용체 조절이 TFEB/TFE3 유전자 및 lipophagy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한다. □ 연구개발성과 ◼ 기초의과학자의 양성을 위한 기초 실험지식 및 실험법 습득 ◼ 기초의과학자가 독립적 연구 수행을 할 수 있는 토대 마련 ◼ 기초의과학자 박사 학위 습득 ◼ 국제 학술대회 발표 및 국제학술지 1편 (JCR 20% 이내) 게재 □ 연구개발성과의 활용계획(기대효과) ◼ 비알코홀성 지방간섬유화 병태생리의 새로운 기전을 제시함 ◼ 비알코홀성 지방간섬유화 치료의 새로운 분자 표적을 발굴함 ◼ 기존 약물, 화합물은행, 생약물질 스크린을 통해 autophagy 또는 lipophagy 조절을 통한 간섬유화를 치료 후보 물질 발굴 및 임상적용 ◼ 비침습적 방법을 이용하여 간섬유화 진단 바이오마커 발굴 및 치료 반응 평가 지표 발굴 (출처 : 요약문 4p)
    • 연구책임자 : 황유철
    • 주관연구기관 : 강동경희대학교병원
    • 발행년도 : 20201200
    • Keyword : 1. 비알코홀성지방간;간섬유화;간성상세포;리포파지;지방소적; 2.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Hepatic fibrosis;Hepatic stellate cell;Lipophagy;Fat accumulation;
  • 11494

    2020.05.31

    □연구개요 ● 연구 배경 - 폐암의 전 세계적으로 가장 흔한 악성 종양 중의 하나이며 우리나라에서 폐암의 5년 생존율은 약 22%에 불과함. - 새로운 예후 인자의 발굴을 통해 개인별 맞춤 치료를 진행하여 생존율을 향상하는 것이 중요함. - NR1D1(Nuclear receptor subfamily 1 group D member 1)은 orphan nuclear receptor의 한 종류이며 일주기 생체리듬 조절자로 알려져 있음. - 여러 orphan nuclear receptor와 암 발생의 연관성이 보고되었으나, 폐암을 비롯한 다른 암종에서 NR1D1과 암 발생의 연관성은 연구된 바가 없음. - 폐암 환자의 임상 데이터베이스 분석 결과, 남성 선암 환자에서 NR1D1의 발현양이 높을수록 생존율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남에 따라 폐암에서 NR1D1의 종양 억제 기능이 예상됨. ● 연구의 최종목표 - 폐암에서 NR1D1의 종양억제 기능 확인 및 작용 기전 연구를 통해 NR1D1 유전자의 새로운 종양억제 역할 규명. - 폐암의 발생과 NR1D1 발현의 상관관계를 입증하고 폐암의 예후 인자로 NR1D1의 활용 가능성 제시. ● 연구범위 1) 폐암에서 NR1D1의 종양억제 기능을 in vitro 연구를 통해 확인. - NR1D1 발현양 조절에 따른 폐암 세포주의 세포 성장 변화 관찰. 2) 폐암에서 NR1D1의 종양억제 기능을 in vivo 연구를 통해 확인. - 폐암 발생에 미치는 NR1D1 소실의 영향을 NR1D1 소실 쥐와 쥐 폐암 모델을 활용하여 확인. 3) 폐암에서 NR1D1의 작용 기전 분석. 4) 폐암의 발생과 NR1D1 발현양의 상관관계 분석.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1) 종양미세환경에서 NR1D1이 종양억제인자로 작용할 가능성 입증. - in vitro 연구를 통해, NR1D1 은 폐암 세포주의 세포 성장에는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 않는 것을 확인. - NR1D1 소실 쥐와 Kras-LSL 쥐 폐암 모델 및 동소 이식 동계 쥐 모델을 활용하여 NR1D1의 종양미세환경 작용 가능성을 입증. 2) NR1D1의 Th17 세포 조절 가능성 확인. - RNA sequencing을 통해 NR1D1의 면역세포 조절 가능성을 확인. - Immune cell profiling을 통해 NR1D1 소실에 의한 CD4+ T cell 증가 입증. - CD4+ T cell 중, Th17 세포의 주요 싸이토카인 (IL-17A, IL-17F, IL-23)의 발현이 NR1D1 소실에 의해 증가함을 확인. 3) 폐암 발생과 NR1D1 발현의 상관관계 확인. - 임상 데이터베이스에서 폐암 환자의 정상 조직에 비해 폐암 조직에서 NR1D1의 발현이 감소함을 확인. □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 학문적 측면 1) 종양미세환경에서 면역 세포 조절을 통해 폐암 발생을 저해하는 NR1D1의 역할을 처음으로 규명함으로써 NR1D1에 대한 지식을 축적시키는 학문적 가치를 지님. 2)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암에서 NR1D1의 역할에 대한 관심을 높여 향후 다른 암종에서 NR1D1의 역할에 대한 연구 수행을 유도할 것으로 기대됨. ● 기술적 측면 1) 폐암에서 NR1D1의 치료 표적 인자로의 활용 가능성을 제시함으로써 이를 바탕으로 새로운 표적 치료제 개발의 발판을 마련할 수 있음. 이를 통한 폐암 환자의 개인별 맞춤 치료의 기회 제공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됨. (출처 : 요 약 문 2p)
    • 연구책임자 : 김선미
    • 주관연구기관 : 국립암센터
    • 발행년도 : 20200600
    • Keyword : 1. 폐암;종양미세환경;종양억제; 2. NR1D1;Th17;
  • 11493

    2020.02.29

    연구개요 본 연구에서는 ① 방사선에 의해 유도된 유방암에서 차별적으로 CTSS의 발현 증가 확인, ② CTSS의 단백분해 타겟으로 BRCA1을 확인, ③ CTSS에 의한 BRCA1 protein stability 저해가 BRCA1 기능 이상과 관련 있으며 특히 유방암 생성 및 방사선 감수성 (특히 TNBC 유방암)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줄 수 있음을 확인한 바 있음. 또한, ④ CTSS에 의한 BRCA1 단백질 조절에 ubiquitin degradation pathway가 관여하며 ⑤ BRCA1의 인산화가 CTSS의 BRCA1 분해와 밀접하게 관련됨을 확인한 바 있고, ⑥ TNBC 유방암의 방사선 손상 및 발암 과정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BRCA1을 단백 조절하는 CTSS를 제어함으로써 TNBC 유방암의 방사선 감수성을 증대시키는 새로운 CTSS 저해제를 발굴하였음.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최종목표: CTSS에 의한 BRCA1 단백분해 조절 규명을 통한 방사선 손상 및 발암 기전 규명 1. CTSS 저해에 의한 TNBC 유방암세포에서의 방사선 감수성 조절 연구 ● CTSS가 높은 TNBC 세포는 방사선 손상에 대한 저항성을 나타냄 ● CTSS 발현량 조절은 BRCA1에 의한 방사선 감수성 조절과 관련됨 ● 방사선에 의한 CTSS의 활성화가 BRCA1 단백분해와 관련됨 ● CTSS는 BRCA1의 BRCT domain을 인식하여 분해함 ● CTSS는 방사선에 의한 유전자 손상을 저해함 ● CTSS 저해에 의한 암세포 증식능 억제 효과는 BRCA1을 경유하여 조절됨 2. CTSS 저해에 의한 TNBC 유방암세포에서의 방사선 감수성 조절 연구 ● CTSS 저해에 의한 암 증식 억제 효과는 BRCA1 돌연변이 타겟 약물(Olaparib) 투여 시 효과를 보이지 않지만, 정상 BRCA1을 타켓으로 Olaparib과 비슷한 수준의 종양 성장 억제 효과를 보임 ● 랫트 자가 유방암 발암 모델 및 인체 유방암 조직에서의 CTSS 및 BRCA1의 발현 비교: Reverse correlation 확인함 ● CTSS는 BRCA1의 downstream function을 저해함 ● CTSS 저해에 의한 BRCA1 단백 분해 저해 기전에 BRCA1의 인산화가 관여함 3. TNBC 유방암에서 CTSS 저해 저분자 물질에 의한 BRCA1 분해 기전 및 방사선 감수성 조절 기전 규명 ● CTSS 저해제에 의해 BRCA1의 downstream function을 회복시킴을 확인함 ● CTSS 저해는 방사선 손상을 증가시킴 ● BRCA1 돌연변이 세포나 BRCA1의 발현량이 낮은 TNBC 세포에서 CTSS 저해제 처리에 의한 방사선 감수성 조절을 확인함 ● BRCA1 단백 분해 기전은 CTSS 특이적 반응임을 규명함 4. CTSS 저해제의 BRCA1 기능회복에 의한 방사선 감수성 증진 최적화 연구 ● 기존의 CTSS 특이적 저해제에 의한 BRCA1의 단백질 분해 억제 확인 ● FDA approved drug을 활용한 CTSS 저해제 스크리닝 및 방사선 감수성 확인 ● 신규 합성 저분자 저해물질을 활용한 CTSS 저해제 스크리닝 진행 및 방사선 감수성 조절 확인 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BRCA1의 단백분해 조절인자인 CTSS에 대한 BRCA1의 조절 기전을 규명하고 CTSS를 타겟으로 한 저해제가 BRCA1의 기능을 회복시키는지를 규명함으로써 BRCA1 기능 이상, 특히 TNBC 유방암의 생성, 방사선 감수성 및 암 전이에 미치는 BRCA1의 기능에 대한 CTSS의 역할을 규명 (출처 :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이윤실
    • 주관연구기관 : 이화여자대학교
    • 발행년도 : 20200300
    • Keyword : 1. 단백분해;방사선 유전자 손상;발암;유방암; 2. BRCA1;Cathepsin 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