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Report

All 12,453 Page 83/1,246

검색
  • 11633

    2020.12.31

    • 충돌, 지진, 유체, 압력, 화재 등 원전 격납건물의 내·외부에서 작용하는 복합하중을 견딜 수 있는 원전 격납건물의 내력평가 및 설계방법에 대한 강구 • 강풍, 쓰나미 등 자연재해, 항공기 충돌 등 인위적 재해로 인한 중량 비상체, 비산물의 충돌에 대한 원전 격납건물의 안전성 평가기법 개발 • 자연/인위적 충돌 사고 시나리오에 대한 분석, 충돌 사고 시나리오를 바탕으로 포스트텐션 원전 격납건물의 충돌저항/파괴 거동에 대한 실험적/해석적 연구 데이터 확보 • 기존 철근콘크리트(RC) 부재에 대한 충돌저항 성능평가/설계 기법을 넘어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PSC) 격납건물에 적용할 수 있는 실용적 성능평가/설계 방법 개발 • 지진, 유체, 압력, 화재 등 격납건물에 작용하는 다양한 복합하중에 대한 해석기법 연구, 전산유체역학(CFD), 유한요소해석(FEA)을 이용한 복합하중에 대한 격납건물 및 부재 거동 연구 • 포스트텐션 구조의 역학적 특성을 반영한 격납건물 해석 및 극한/복합하중에 대한 설계 절차 및 최적 설계방향에 대한 연구 • 복합하중을 받는 원전 격납건물의 실험적/해석적 연구 데이터 축적을 통한 격납건물 설계 및 안전성 평가방법 제안 (출처 : 보고서 요약서 3p)
    • 연구책임자 : 강현구
    • 주관연구기관 : 서울대학교
    • 발행년도 : 20210100
    • Keyword : 1. 원전 격납건물;포스트텐션;콘크리트;복합하중;충돌; 2. Nuclear Containment;Post-Tension;Concrete;Complex Loads;Collision;
  • 11632

    2020.12.31

    비공개항목입니다.
    • 연구책임자 : 허진목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연구원
    • 발행년도 : 20210100
    • Keyword : 1. 파이로;사용후핵연료;타당성;핵심요소기술;원자력; 2. Pyroprocessing;Spent fuel;Feasibility;Core elemental technology;Nuclear energy;
  • 11631

    2020.12.31

    - 100 MWth 급 가속기 구동 토륨 미임계 원자로 개념 설계 - 최소의 빔출력으로 구동 가능한 현실적인 100MWth 급 토륨 미임계로를 개념 설계 - 토륨 기반 소형 모듈형 임계로 개념 설계 - 핵연료주기 분석 - 토륨 및 가속기를 이용하여 사용후핵연료의 장반감기 초우라늄을 핵변환 소멸처리 가능함을 보임 - 사용후핵연료의 장반감기 초우라늄의 핵변환 소멸처리 가능성 제시 (출처 : 보고서 요약서 3p)
    • 연구책임자 : 홍승우
    • 주관연구기관 : 성균관대학교
    • 발행년도 : 20210100
    • Keyword : 1. 토륨;가속기 구동 미임계로;토륨-소형모듈형 원자로;핵주기 분석;토륨 미임계 원자로; 2. Thorium;Accelerator-Driven system subcritical reactor;Th-SMR;Fuel Cycle Analysis;Thorium-Fueled Subcritical Reactor;
  • 11630

    2020.12.31

    비공개항목입니다.
    • 연구책임자 : 최은영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연구원
    • 발행년도 : 20210100
    • Keyword : 1. 파이로;사용후핵연료;전해환원;핵심요소기술;원자력; 2. Pyroprocessing;Spent fuel;Electrolytic reduction;Core elemental technology;Nuclear energy;
  • 11629

    2020.12.31

    본 과제를 통해 다음의 업무를 수행하였다. ○ 중성자 산란장치 유지 및 보수 ○ 기반 시설(빔포트, 유도관 등) 및 중성자 공급 시스템 유지보수 ○ 방사선 안전 관리 체계 구축 본 과제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 중성자과학연구시설의 가동 상태 회복 및 안정적 운영 ○ 중성자산란장치의 핵심 부품의 안정적 운영 관리 및 최적화를 위한 장치 기술 개발 ○ 중성자빔 이용 기반 시설(빔포트, 유도관 등) 및 방사선 안전관리 시스템 운영 관리 (출처 : 서지정보양식 117p)
    • 연구책임자 : 소지용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연구원
    • 발행년도 : 20210100
    • Keyword : 1. 중성자 산란 장치;중성자 과학 시설;시료환경 장치;방사선 안전;장치 기술; 2. Neutron scattering instrument;Neutron research facility;Sample environment;Radiation safety;Instrumentation technique;
  • 11628

    2021.05.31

    □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 최종 목표 1. 방사선을 이용한 물리 검층 결과 예측 및 해석 연구 2. 방사선 검층 특화 전산모사 수행 및 검증 3. 방사선 검층 존데 설계 최적화 및 성능 향상 방법론 제안 ■ 전체 내용 - 방사선 검층 결과를 물리적 인자, 지층의 특성으로 변환하는 물리 검층 해석 도구 개발 - 다양한 환경에 대한 전산모사 수행 및 방사선 검층 해석 목적 기반 DB 구축 - 실험실 수준의 mock-up 환경을 조성하여 방사선 검층 특화 전산모사 결과에 대한 실증 검증 수행 - 검증된 전산모사 도구 및 해석 DB를 이용하여 지층 환경에서의 환경요소들을 반영한 새로운 방사선 계측 방법론을 활용한 향상된 존데 설계 제시 ■ 1단계 • 목표 1. 방사선 검층 특화 전산모사 수행 및 검증 2. 방사선 검층 존데의 성능 향상 방법론 연구 3. 환경 요소를 반영한 전산 모사 연구 수행 4. 전산 모사 결과 검증 연구 5. 방사선 검층 예측 및 해석 기초자료 구축 6. 방사선 검층 존데 성능 향상 방법론 제안 • 내용 - 전산모사를 수행할 몬테카를로 코드 선정 및 운용 - 다양한 환경에서의 방사선 검층 존데의 반응 함수 계산 및 예측 - 속중성자 계측 방안 모색 - 방사선 검층에 영향을 주는 환경 요소 및 계측기 반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반영 -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의 협조를 얻어 실험실 수준의 mock-up 환경을 조성하여 전산 모사 결과 검증 - 방사선 검층 결과를 물리적 인자, 지층 특성으로 변환하기 위한 상관관계 규명 및 관련 기초자료 구축 - 검증된 전산모사 수행을 통한 방사선 검층용 계측기 종류 및 특성별 반응 비교·분석 □ 연구개발성과 - 검증된 방사선 검층 특화 전산모사를 통해 다양한 환경 변수(시추 온도, 시추 이수 밀도, 시추공 반지름 등)에 대한 방사선 검층 해석 교정곡선 획득 - 중성자/감마선 동시 계측기를 이용한 존데 성능 향상 방안 제안 - 속중성자와 열중성자 계측을 통한 암석의 종류 및 공극률 분석 방법론 제안 - 감마선 분광분석을 통한 암석의 종류 및 밀도 분석 방법론 제안 □ 연구개발성과 활용계획 및 기대 효과 - 획득한 지반 특성 정보를 이용하여 폐기물 처분장 부지선정 등에 활용 - 중성자/감마선 동시 계측 기술 개발 - 해외 의존도가 높은 지질 및 자원 검층에 대한 기술 자립도 향상 - 광물 자원 탐색, 해양 시추 분야 진출을 위한 기반 기술로서 관련 분야에 대한 국제적 경쟁력 확보 (출처 :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김기현
    • 주관연구기관 : 서울대학교
    • 발행년도 : 20210600
    • Keyword : 1. 물리 검층;방사선 검층;몬테카를로;존데;자원탐사; 2. Geophysical logging;Radioactivity logging;Monte Carlo;Sonde;Resource exploration;
  • 11627

    2021.05.31

    □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 최종 목표 새로운 종양 바이오마커의 개발과 이를 타겟하는 약물들의 개발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지만 종양 완치율은 아직도 낮은 수준이며 이는 종양 치료 후 생기는 내성과 관련이 깊고 종양미세환경에 대한 보다 깊은 이해가 필요함. 본 과제는 최종 목표로 종양 치료 내성 관련 인자인 종양 산성화 조절 기전을 분자 수준에서 이해하고 이를 통해 방사선 암치료 효과를 크게 개선하고자 함. 이를 달성하기 위한 세부 목표로써 1) 종양 산성화와 방사선 치료 반응과의 관계 확립, 2) 종양 산성화에 기여하는 인자 탐색 및 기전 연구, 3) 종양 산성화 조절 인자들의 타 겟 치료와 방사선 치료 증진 효과 연구, 4) 종양 산성화 조절 인자들의 환자 치료 예후 연관성 분석을 목표로 함 ■ 전체 내용 본 연구는 3년으로 구성되어 있고 연차별로 다음과 같은 연구 개발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음. 1년차: 종양 산성화 조절에 따른 방사선 치료 반응 확인 및 기전 연구 - 종양 내/외 pH 변화에 의한 종양 성장과 사멸에 미치는 영향 확인 - 종양 산성화가 방사선 치료 반응에 미치는 영향 및 신호 전달 연구 - 방사선 치료 조건에서 저항성을 갖는 세포주 확보 2년차: 종양 산성화에 기여하는 인자 탐색 및 방사선 치료와 병행 요법 연구 - 방사선 치료 저항 관련 유전자 분석 및 산성화 기여 인자 탐색 - 종양 산성화 조절 인자 타겟 약물에 의한 방사선 치료 영향 확인 - 종양 산성화 조절 인자들의 방사선 치료 증진 기전 확인 3년차: 종양 산성화 조절 관련 동물 모델 및 임상 연구 모델 확립 - 종양 산성화 조절 연구를 위한 동물 모델 확립 - 종양 산성화 조절에 따른 방사선 치료 효과 동물모델에서 확인 - 환자 조직에서 종양 산성화 조절 인자들의 발현 및 예후 분석 □ 연구개발성과 본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물을 확인하였음. - 종양 pH/대사 조절 관련 hypoxia 조건에서 pH 조절자 발현 변화 및 타겟 영향 확인 - ER stress/autophagy 관련 신호 변화 확인ATM 저해제와 NHE1 저해제 병용 효과 확인 - 방사선 저항성 종양 세포주 확보 - 대사 조절 인자 탐색을 통해 PDK1이 방사선 감수성 증진 관련으로 확인 - GLUT1과 NHE1 발현간의 상호 관련성 확인 - 방사선 저항성 세포주 간암/유방암 확보. NGS 완료 후 데이터 분석 완료 - 방사선 저항성 세포주에 pH 조절자인 NHE1 억제에 의해 세포 사멸이 증가됨을 확인 - 방사선 저항성 획득 세포주에서 대사 조절자와 pH 조절자들의 발현 변화 확인 - 종양대사와 pH 조절자를 동시타겟할 경우 방사선 병용 증진 효과 확인 - 방사선 저항성 획득 세포주에서 X선 대비 양성자 효과 확인 - GLUT1 타겟에 의한 양성자 치료 증진 효과 확인 - MDA-MB-231 암세포주의 마우스 xenograft 모델 수립 및 적정 방사선 치료 선량 확인 - MDA-MB-231 암세포주의 마우스 xenograft 모델에서 방사선 치료에 따른 NHE1과 NF-kB 활성화 확인 - MDA-MB-231 암세포주 마우스 xenograft 모델에서 방사선 치료와 NHE1 억제제 병용 치료 효과 확인 - 난소암과 뇌암환자 조직에서 NHE1의 발현이 높은 환자의 경우 낮은 환자 대비 예후가 좋지 않음을 확인 □ 연구개발성과 활용계획 및 기대 효과 현대 암치료는 유전체 분석 정보에 바탕한 정밀의학 기반의 환자 맞춤형 치료로 나아가고 있음. 정밀 의학시대에 다양한 유전자 정보와 생물학적 특성이 방사선 치료 분야에도 적용될 필요가 있고 환자 치료 예후에 크게 영향을 줄 것으로 기대됨. 본 연구는 종양미세환경에서 중요하지만 아직 연구가 미 흡한 종양 산성화 과정에 대한 심도깊은 연구를 통해 방사선 치료 반응과 관련된 바이오마커 개발을 목표로 하고 이를 통해 환자 맞춤형 방사선 치료가 가능하게하는 기반 기술을 확보하고자 함. 1. 과학기술적 측면 - 방사선 암치료 내성 관련 지식의 진보 - 종양 산성화 억제 약물 작용 기반 기술 확보 - 방사선 치료 예측 바이오마커 개발 - 바이오마커 기반 새로운 치료 프로토콜 개발 2. 산업경제적 측면 - 종양 산성화 억제 관련 신약 개발 가능 - 방사선 치료 예측 동반 진단 패널 개발 가능 - 방사선 치료 예측에 따른 보험 부담 감소 - 방사선 치료 효과 증진으로 환자 경제적 이득 (출처 :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최창훈
    • 주관연구기관 : 삼성서울병원
    • 발행년도 : 20210600
    • Keyword : 1. 방사선 치료;정밀 의학;종양 산성화;종양 대사;방사선 내성; 2. Radiation therapy;Precision medicine;Tumor acidosis;Tumor metabolism;Radiation resistance;
  • 11626

    2021.05.31

    □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 최종 목표 위성통신 송수신기용 GaN 기반 고주파 전력 반도체의 내방사선 향상 기술 개발 ■ 전체 내용 ○ 반도체 소자의 내방사선 평가 기술 조사 ○ 이온빔/방사선 조사를 통해 변화된 GaN 물성 분석 ○ GaN 반도체 소자 제작 및 우주방사선 영향 평가 ○ 내방사선 평가 결과 분석 및 내방사선 향상 소자 구조 제안 ○ 내방사선 향상된 GaN 고주파 전력 반도체 소자 제작 및 평가 ○ GaN 소자 기반 하이브리드 타입의 PA 구현 및 내방사선 평가 ■ 1단계(해당 시 작성) • 목표 : 위성통신 송수신기용 GaN 기반 고주파 전력 반도체의 내방사선 향상 기술 개발 • 내용 ○ 반도체 소자의 내방사선 평가 기술 조사 ○ 이온빔/방사선 조사를 통해 변화된 GaN 물성 분석 ○ GaN 반도체 소자 제작 및 우주방사선 영향 평가 ○ 내방사선 평가 결과 분석 및 내방사선 향상 소자 구조 제안 ○ 내방사선 향상된 GaN 고주파 전력 반도체 소자 제작 및 평가 ○ GaN 소자 기반 하이브리드 타입의 PA 구현 및 내방사선 평가 □ 연구개발성과 ○ 정량적 연구개발성과 - SCI 논문: 4건, 특허출원: 2건, 국내/국제학술대회 발표: 5건/2건 ○ 정성적 연구개발성과 - 내방사선 평가 기술 정리 - 이온빔 조사 전/후 GaN 물성 분석 결과 정리 - 방사선 조사 전/후 GaN 물성 분석 결과 정리 - 양성자에 의한 소자 특성 저하 원인 분석 결과 - 이온빔 기술 이용 내방사선 향상 소자 구조 설계 - 방사선 조사 조건에 따른 내방사선 평가 결과 정리(특성 저하율 30% 이하) □ 연구개발성과 활용계획 및 기대 효과 ○ 국내 우주부품용 전자소자 개발 및 방사선 영향 평가 기술 연구의 기초데이터로 활용 가능 ○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GaN 기반 내방사선 전자소자 개발 과제를 추진할 계획 ○ 해당 소자 관련 기술을 타 분야(이동통신, 레이더 등) 고주파 전력 반도체 소자에 활용 가능 ○ 국내 GaN 기반 내방사선 전자소자 개발 가능성을 제시함으로써, 우주기술 자립화에 기여 ○ GaN 기반 고주파 소자의 신뢰성 평가를 통해 안정성 확보 기대 (출처 :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김동석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연구원
    • 발행년도 : 20210600
    • Keyword : 1. 질화갈륨;고주파 소자;내방사선;양성자;이온빔; 2. Gallium Nitride;High-frequency Device;Radiation Hardness;Proton;Ion Beam;
  • 11625

    2021.05.31

    □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 최종 목표 최근에 활발히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암흑광자(Dark Photon) 및 액시온(Axion)과 같은 작은 질량을 갖는 입자(질량이 1 MeV/c2 이하) 탐색 방법 연구 ○ 전체 내용 원자로에서 핵분열에 의해서 생성되는 감마선에 의해서 만들어지는 암흑광자 및 작은 질량을 갖는 액시온과 같은 psedo-scalar입자 탐색 연구. 고출력 전자가속기를 이용하여 작은 질량을 갖는 입자 탐색. ○ 1단계 ■ 목표 최근에 활발히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암흑광자(Dark Photon) 및 액시온(Axion)과 같은 작은 질량을 갖는 입자(질량이 1 MeV이하) 탐색 방법 연구 ■ 내용 ● 원자로에서 생성되는 감마선의 flux를 이용하여, 암흑광자 및 액시온과 같은 입자들이 질량 및 coupling constant에 따라서 얼마나 생성되는지를 계산한다. ● 국내에서 수행한 근거리 중성미자 실험인 NEOS 또는 RENO실험 근거리 검출기 데이터 분석하여 암흑광자 및 액시온 탐색 방법 연구 ● 전자가속기를 이용하여 암흑광자 및 기타 가벼운 입자의 검출 방법연구 □ 연구개발성과 - NEOS 실험에 참여하여 데이터 획득 및 작은 질량을 갖는 입자 탐색 진행중 - 본 연구 방법을 암흑물질 탐색 실험에 적용하여 논문 제출 □ 연구개발성과 활용계획 및 기대 효과 - 국내기반 단거리 중성미자실험에서 질량이작은 입자 탐색방법 제시 - 국외 암흑광자실험은 대형가속기를 이용하지만 본 연구를 통해 소형 전자가속기를 이용하여 국내에서 실험 가능 제시 - 본과제 참여 대학원생은 본과제를 통하여 새로운 입자 탐색을 위한 기본 아이디어 습득. (출처 :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박향규
    • 주관연구기관 : 고려대학교
    • 발행년도 : 20210600
    • Keyword : 1. 암흑광자;액시온;새로운 입자 탐색;원자로;전자가속기; 2. Dark Photon;Axion;New Particle Search;Nuclear Reactor;Electron Accelerator;
  • 11624

    2021.06.30

    □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 최종 목표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a new mechanism with a directly retrograde factor for the DNA damage response under genotoxic environment by mitochondrial fission. ○ 전체 내용 ☞ Mitochondria fragmentation significantly decreased γ-H2AX accumulation under genotoxic environments ☞ The uncompleted γ-H2AX accumulation results from the response to defect in ATM signal in mitochondrial fission cells. ☞ Together, diabetes mimic-condition induced-mitochondrial fission destroyed DNA damage whereas releasing from high glucose restored the amount of γ-H2AX. □ 연구개발성과 Here, we report that the ablation of mitochondrial fusion causes a defect of ATM phosphorylation-dependent signaling in response to DNA damage. Mechanistically, we found that the interaction between mitochondrial fusion machinery (MFN1 and MFN2), Sab (or SH3 binding protein 5-SH3BP5), and JNK are required for JNK activity and nucleus translocation and the subsequent engagement of JNK activation-tethered ATM phosphorylation-dependent DNA damage response. □ 연구개발성과 활용계획 및 기대 효과 - 1st Year: Regulation of DDR by mitochondria dynamics under genotoxic environments - 2nd Year: Molecular mechanisms on the cross-talk between mitochondria dynamics and DDR - 3rd Year: Its physiological role in high glucose-induced mitochondria fragmentation model Evaluate the physiological relevance in the DDR. (source :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NGUYEN THI KIM OANH
    • 주관연구기관 : 아주대학교
    • 발행년도 : 20210700
    • Keywor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