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Report

All 12,447 Page 83/1,245

검색
  • 11627

    2021.01.31

    Ⅳ. 연구결과 ○ 2019년 6월부터 2021년 2월까지 수행한 15단계 사업에서는 < 원자력 e-뉴스레터 >를 총 9회 발간하였으며, 정부, 위원회, 광역자치단체, 연구기관, 원자력 산업체, 시민 단체, 대학교 및 언론사 등을 포함한 약 1만여 명의 구독자에게 발송하였음 ※ 1단계 사업(2006년 3회), 2단계 사업(2007년 7회), 3단계 사업(2008년 4회), 4단계 사업 (2009년 5회), 5단계 사업(2010년 5회), 6단계 사업(2011년 4회), 7단계 사업(2012년 5회), 8단계 사업(2013년 5회), 9단계 사업(2014년 5회), 10단계 사업(2015년 5회), 11단계 사업(2016년 5회), 12단계 사업(2017년 5회), 13단계 사업(2018년 10회), 14단계 사업 (2019년 10회), 15단계 사업(2020년 9회) 등 지난 15년간 총 87회 < 원자력 뉴스레터 >를 발간함 〇 원자력 e-뉴스레터의 「정책포커스」 코너에서는 원자력 정책의 방향과 주요 내용을 비롯해 해외 원자력 정책 동향, 국가경제의 원동력이 되기 위한 원자력의 역할, 사용후핵 연료를 안전하게 처분하기 위한 기술, 국민과의 신뢰를 쌓기 위한 소통 등 원자력 연구개발의 중요성과 의의를 소개함으로써 원자력에 대한 국민들의 이해와 지지를 확보 〇 「이달의 Pick」은 국민들의 관심 주제인 가동 원전의 안전을 강화하는 기술, 넓은 범위의 방사성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신기술, 방사성동위원소 이용 림프종 치료 기전 규명, 산업폐기물 매립장의 침출수를 해결하는 기술 등 국민들이 관심이 많고 공감할 수 있는 주제를 중점으로 소개해 원자력이 국민의 복지와 삶을 향상시키는 기술임을 알림 ○ 「현장 속으로」 코너에서는 2020년 원자력연차대회, 대한민국 원자력 산업대전, 원자력 안전 및 진흥의 날 등 원자력 관련 주요 행사와 함께 코로나19를 대응하고 있는 원자력 유관기관들의 노력을 소개했음 〇 「Global Reports」에서는 미국, 프랑스, 일본 등 원자력 선진국의 기술 및 정책 동향과 더불어 원자력 글로벌 기업들의 사업현황을 일목요연하게 정리하여 소개했으며, 「원자력 이야기」는 원자력 기초 지식과 연구 분야를 국민의 눈높이로 알기 쉽게 설명해 원자력계 전문가뿐만 아니라 국민들도 원자력 정보를 쉽게 접할 수 있도록 했음 〇 ‘일반국민용’ 뉴스레터 코너인 「원자력 웹툰」과 「원자력 궁금증」에서는 만화를 통해 원자력 연구개발을 쉽고 직관적으로 이해시키고, 질문 답변의 코너를 통해 원자력에 대한 오해를 해소하고 관심을 제고함 〇 ‘전문가용’ 뉴스레터에 신설된 코너 「원자력브리프리포트」는 국내외 원자력 정책 현안을 담은 콘텐츠로서, 원자력계 종사자에게 최신의 전문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노력함 ○ 2020년 10월 고객만족도 조사를 전문성·차별성·신속성·편리성·다양성 5개 부문으로 실시함. 편리성을 제외하고 4개 부문에서 70% 이상으로 긍정 답변을 받았으나, 편리성 부분의 긍정 답변은 64%로 상대적으로 저조했으며 모바일 환경에서의 가독성이 떨어지는 것이 그 원인으로 판단됨. 주요사항으로 ‘뉴스레터를 발간을 통한 이미지 개선’ 항목 80.43*점 달성해 발간을 통한 원자력 인식 제고에 기여한 것으로 평가됨. *리커트 척도를 반영한 것으로, 단계별로 100/80/60/40/20점으로 환산함 ○ 연구기간 중 2회 이상 오프라인 전시에 참가할 계획이었으나, 코로나19로 많은 전시·행사가 취소돼 뉴스레터 콘텐츠를 요약한 소책자를 제작·배포함. 원자력연구원에서 실시한 비대면 원자력 체험 참가 학생들 300명 대상으로 배포했으며, 소책자를 받은 학생들의 후기가 블로그에 다수 게재되는 등 홍보효과가 높았던 것으로 판단됨 (출처 : 요약문 5p)
    • 연구책임자 : 황순관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연구원
    • 발행년도 : 20210200
    • Keyword :
  • 11626

    2021.05.31

    ◆ 연구 목표 ♦ 2015년 미국 및 유럽에서 항암 바이러스(Oncolytic virus)의 상업화 성공 이후, 이 분야의 많은 투자와 다국적 제약사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음. ♦ 종양면역 및 면역독성 조절을 할 수 있는 다수의 항암 바이러스 후보 물질군 제작 및 최적화, 비임상 연구 진행, 공정개발, 임상시험 승인 획득 후 초기 임상시험에 진입하고자 함. ♦ 항암 바이러스의 개념증명 임상시험을 통해 종양면역의 패턴을 파악하여 세포독성 항암제, 표적 치료제 중 면역조절이 가능한 물질을 탐색해서 항암 효과를 극대화 하고자 함. ▶ 항암 바이러스의 작용기전 중 종양면역 증가는 생존율 증가와 관련된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생각되지만, 바이러스 자체의 면역 활성으로 체내 보상적인 억제성 면역이 발생하여 임상적 유효성을 제한할 수 있음. ▶ 본 연구책임자는 제작된 차세대 항암 바이러스에 의해 유도되는 종양 면역반응의 질적, 양적변화 분석 및 면역조절제를 탐색하여 항암 바이러스의 항암 효과를 극대화할 것이고, 이를 기반으로 임상시험에 적용하기 위한 중개연구 및 임상시험 프로토콜 개발과 1상 임상시험을 수행하고자 함. ◆ 연구방법 ♦ 바이러스 엔지니어링 ♦ in vitro : 역가시험, 세포독성시험, Flow cytometry, Immunohistochemistry, qPCR, TEM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Microarray, Co-culture ♦ in vivo : 인간 종양 동물 모델, 동종 종양 동물 모델, 토끼 종양 모델, 토끼 독성 모델 ♦ 경동맥화학색전술 ◆ 연구결과 1) 암세포 특이적 항암 바이러스 제작 및 최적화 • 백시니아 바이러스를 기반으로 바이러스 증식 조절 유전자 및 종양 면역 활성인자를 도입하여 다수의 항암 바이러스 제작 완료(OTS-412, OTS-C412, WOTS-418, WOTS-408) • 항암 바이러스 제어기능 검증 및 제어시스템에 의한 추가 항암 효과 확인 완료 • 항암 바이러스 감염 시 면역 조절의 중요성 확인 • 항암 바이러스와 면역조절제(m) 병용 투여(mOTS-412)에 의한 항암 효과 증가 확인 - in vitro / in vivo - 인간 종양 동물 모델 / 동종 종양 동물 모델 • 항암 바이러스와 면역조절제 병용 투여의 항암 효과 작용기전 연구 및 후천성 면역 조절 기전 연구 • 항암 바이러스와 면역조절제 병용 투여(mOTS-412)와 면역관문억제제 추가 투여에 의한 항암 효과 증대 확인 • 다양한 항암 바이러스(OTS-C412, WOTS-418)와 면역조절제(m) 병용 투여에 의한 항암효과 증가 확인 • Herpes simplex virus, Measles virus, Adenovirus와 면역조절제의 병용 처리에 의한 항암효과 확인 • 바이러스 제조 공정 개발 완료 • 항암 바이러스 대량 생산 Process Development 기술이전 및 임상시험물질(CTM I, CTM II) 제조 완료 • CMC 분석법개발(identification – PCR based, 역가측정법, chemosensitization shift assay, 바이러스 정량 – PCR based) 및 밸리데이션 • 임상시험물질(CTM) 품질시험 완료 • 항암 바이러스 안정성 연구 • 임상시험물질(CTM I) 출하승인 완료 및 IND packaging 작성 완료 2) 항암 바이러스 유도 면역반응 연구 • 간암환자에서 경동맥화학색전술(TACE) 치료에 따른 종양 면역반응의 분석 완료 • 종양 모델 생쥐에서 고용량 OTS-412 독성 연구 완료 • 토끼의 간동맥 투여를 통한 고용량 OTS-412 독성 연구(non-GLP) 완료 • 토끼 모델에서의 mOTS-412에 대한 GLP 독성 시험 시행 완료 • 원숭이에서 mOTS-412 독성 시험 완료 • 항암 바이러스 생체 분포 시험 완료 • 항암 바이러스 효율 증가를 위한 특정 마커 분석 탐색 • 임상 시료 분석법 개발 • 임상시험 프로토콜 개발 완료 ◆ 기대효과 • 임상시험 진입을 위한 서류 준비 완료(IND packaging) - 비임상 약리, 비임상 독성, GMP 제조 • 기술이전 혹은 창업 : 1단계 종료 전 30억 이상의 민간자본 투자 • 차세대 항암 바이러스 기반 면역치료제의 신약 시장 진출 교두보 마련 • 신약개발을 위한 국제적 수준의 새로운 시스템의 기반 설립 및 세계적인 연구 성과 도출 ▶ 항암 바이러스 치료제의 종양면역 반응 분석법을 개발함으로써 암종에 따른 개인별 맞춤치료 근거 확보 ▶ 다양한 암의 표준치료 방법 (수술, 경간동맥화학색전술, 고주파 치료, 방사선 치료, 항암제 등)의 광범위한 영역에서의 보조치료 확보 및 맞춤치료 개발 ▶ 항암 바이러스 치료의 항암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차세대 면역반응 조절제 개발의 기반 마련 (출처 : 요약문 5p)
    • 연구책임자 : 황태호
    • 주관연구기관 : 부산대학교
    • 발행년도 : 20210600
    • Keyword : 1. 항암 바이러스;고형성 종양;임상시험;면역치료제;종양면역; 2. Oncolytic virus;Caner immunology;Clinical study;Immunotherapeutics;Solid tumor;
  • 11625

    2021.11.30

    □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 최종 목표 ◯ CRISPR/Cas9 RNP 유전자교정 기술을 활용한 만추대성 및 초형개선 청경채 육종소재 개발 ◯ CRISPR/Cas9 유전자교정 기술을 활용한 초형개선 및 다수확성 토마토 육종소재 개발 ◯ MTL/ZmPLA1/NLD 및 CENH3 유전자 편집에 의한 반수체 유기 원예작물 육종소재 개발 ○ 전체 내용 (제1세부: 전북대) ○ 청경채 원형질체를 활용한 CRISPR/Cas9 RNP 기술 확립 연구 ○ 원형질체로부터 세포분열 및 plant regeneration을 통한 plantlet 배양 조건 확립연구 ○ 소포자배양 기술 확립을 통한 청경채 계통 육성 기간 단축 연구 ○ CRISPR/Cas9 RNP 및 아그로박테리움 유전자편집 기술을 통한 만추대성 및 초형개선 청경채 교정체 선발 (제1협동: 원광대) ○ SlER 프로모터 편집체 집단개발 및 줄기마디 길이 최적화 연구 ○ S 프로모터 편집체 집단개발 및 꽃대가지수 최적화 연구 ○ 토마토 줄기마디와 꽃대가지 수 최적화로 재배공간 활용성 및 수확성 증진계통 선발 (제2협동: 전남대) ○ 토마토, 청경채 및 콩 특이적 pPLA 계열 및 CENH3 유전자 분리 및 편집 CRISPR/Cas9 construct 구축 ○ 토마토, 청경채 및 콩에서 자성 및 웅성 생식세포 특이적으로 발현하는 pPLA 유전자기반 신육종기술에 의한 반수체 라인 획득 ○ CENH3 기능과 차별화된 pPLA 유전자의 반수체 유기기작 규명 □ 연구개발성과 (제1세부: 전북대) ○ 논문 (총 2건) - Young-Cheon Kim, Yeeun Kang, Eun-Young Yang, Myeong-Cheoul Cho, Ronald Schafleitner, Jeong Hwan Lee, Seonghoe Jang. (2021). Applications and major achievements of genome editing in vegetable crops: a review. Frontiers in Plant Science (IF: 5.753, JCR 상위 7.02%). 12(688980): 1-18. - Eun-Jin Wang, Young-Cheon Kim, Jeong Hwan Lee, Jeong-Kook Kim. (2021). Identification of a nuclear localization signal mediating the nuclear import of Arabidopsis splicing factor1. Plant Biotechnology Reports (IF: 2.010, JCR 상위 37.25%). 15: 775-781. ○ 국내 및 국제 학술대회 발표 (총 7건) ○ 청경채 유전자편집개체 개발 - 3건 유전자 CRISPR/Cas9 RNP 유전자편집 실시 (싱싱골드, 킹덤, 임팩트) - 4건 유전자 Agrobacterium 및 청경채 explant를 이용한 유전자편집 실시 (싱싱골드, 킹덤, 임팩트) ○ 청경채 타겟 유전자 기능 분석 (총 11개) - CRISPR/Cas9 RNP 유전자편집 실시 - Agrobacterium 및 청경채 explant를 이용한 유전자편집 실시 - 이를 통해 shooting되고 있는 4개의 BcPIF4 및 2개의 BcFT 유전자편집개체 확보 (제1협동: 원광대) ○ 국내 및 국제 학술대회 발표 (총 6건) ○ 유전자교정 작물개발 (총 15건) - ERACTA유전자 프로모터 편집 형질전환체 개발 총 8개체 유전자교정 확인 - S 유전자 프로모터 편집 형질전환체 개발 총 6개체 유전자교정 확인 - IDD유전자 유전자 편집 형질전환체 개발 총 1개체 (제2협동: 전남대) ○ 논문 (총 2건) - Jang JH, Nguyen NQ Légeret B, Beisson F, Kim YJ, Sim HJ, Lee OR. (2020). Phospholipase pPLAIIIα increases germination rate and resistance to turnip crinkle virus when overexpressed. Plant physiology 184: 1482-1498. (IF: 6.902, JCR 상위 4.27%) - Jang JH, Seo HS, Lee OR. (2021). The Reduced Longitudinal Growth Induced by Overexpression of pPLAIIIγ Is Regulated by Genes Encoding Microtubule-Associated Proteins. Plants-Basel. 10:2615. (IF: 3.935) ○ 국내 및 국제 학술대회 발표 (총 21건) ○ 유전자교정 작물개발 (총 145건) - GmMTL 및 GmpPLAII 유전자 교정 콩 (광안콩): 총 109개체 유전자교정 확인 - OspPLAII 유전자 교정 벼 (동진벼): 총 8개체 유전자교정 확인 - SolycCENH3 유전자 교정 토마토 (Sweet-100): 총 26개체 유전자교정 확인 - AtPLAII 유전자 교정 애기장대 (Col-0): 총 2개체 유전자교정 확인 ○ 언론홍보성과 (총 1건) □ 연구개발성과 활용계획 및 기대 효과 ○ CRISPR/Cas9 RNP 기술은 기존의 GMO 논란을 어느 정도 회피하여 non-GMO 작물 개발을 할 수 있는 효율적인 방법임에도 불구하고, 다양한 원예작물에 적용하는데 제한적임.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일부 결과들은 여러 유용 원예작물에 CRISPR/Cas9 RNP 기술 도입 시 유용하게 적용 가능 ○ 국내 및 국외 마켓에서 소비자 수요가 높은 청경채를 포함한 팍초이류의 유용 농업형질을 개선하는 데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타겟 유전자의 sgRNA 및 기능 연구는 향후 유전자편집기술을 포함한 분자 육종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 ○ 공간활용성을 높이는 줄기마디길이 개선으로 수확성이 증진된 계통 및 품종으로 활용 ○ 토마토 꽃대가지수의 최적화로 식물체당 수확성이 증진된 계통 및 품종으로 활용 ○ 미래농업 적합 식물공장형 토마토 및 청경채 품종 생산 ○ 현재 수입 일본 종자가 장악하는 청경채 종자 시장에서 수입 종자를 대체할 수 있는 기회제공 ○ 기능성 청경채 및 토마토에 해당 기술을 접목하여 국내외 신시장 개척, 다양화 및 농업기술 수출 ○ 유전자 편집기술의 정확성과 유전형질 활용으로 원예 신품종 개발에 필요한 유용한 유전자원을 제공하여 종자회사에 기술이전 가능 ○ 본 연구를 통해 확보된 토마토, 콩 유전자 편집개체를 활용한 추가연구를 통해 PLAII 유전자가 벼, 애기장대 이외에 작물에서도 반수체 유도에 관여하는지 검증 필요 ○ 이후 확보된 반수체 작물을 활용하여 육종 회사가 보유하고 있는 우수한 형질을 가진 계통들을 대상으로 형질 고정 등 품종 육성에 걸리는 시간 단축과 더불어서 아주 우수한 품종 생산 가능 ○ 본 연구진들이 확보한 연구 결과들은 새로운 기존의 육종기술로 해결이 어려웠던 농업 문제들 (작물 생산성 증가, 기능성 향상 품종 개발, 품종 개발기간 단축 등)을 극복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어지며, 이는 고부가가치 농산업의 수요 확대로 이어져 미래 농산업 변화를 주도할 선진국형 첨단 실용화 농업기술 국가로의 위상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예상 (출처 :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이정환
    • 주관연구기관 : 전북대학교
    • 발행년도 : 20211200
    • Keyword : 1. 유전자교정;농업형질 개선;토마토;청경채;반수체 유기; 2. Genome editing;Agronomic trait improvement;Tomato;Bok Choy;Haploid induction;
  • 11624

    2021.10.31

    □ 기업의 애로사항 ○ 방폭모터의 발열 문제 ○ 방폭모터용 펌프헤드 설계 □ 지원(해결) 내용 ○ 유도전동기 등가회로 정수 도출을 통한 손실추정 ○ CFD를 통한 열전도 해석 ○ 열전달 개선을 위한 방법제시 ○ 모터펌프 3D 설계를 통한 설계기술 확보 □ 지원 성과 ○ 정성적 성과 - 열전도 에폭시 및 구리스를 적용한 방열효과 개선 ○ 추가 성과 - 오픈소스(Openfoam)를 통한 CFD해석 기술 획득 - 모터등가회로 해석을 통한 모터 정수추정 기술 획득 ○ 기술스펙 달성 성과 □ 기술적 우수성 ○ 방폭모터의 방열해석 및 구조개선 - 방열모터의 수학적 모델링을 통한 손실 해석 - 오픈소스(Openfoam)을 활용한 CFD열전달 해석 수행 - 열전달 개선을 통한 방폭모터의 안정성 향상 □ 성과활용 ○ 신규 방폭모터 개발에 방열구조 개선 활용 ○ 제품 방열 안전성에 관한 해석 자료로 활용 (출처 : 지원 사례 요약 4p)
    • 연구책임자 : 신진옥
    • 주관연구기관 : 한국생산기술연구원
    • 발행년도 : 20211100
    • Keyword : 1. 방폭모터;펌프;방열;열전달;시뮬레이션;다이아프램; 2. Explosion proof;Pump;Heat radiation;Heat transfer;Simulation;Diaphragm;
  • 11623

    2021.08.31

    □ 연구개요 본 연구에서는 블랙홀을 향해 자유낙하하는 관찰자 시점을 따라 유효온도함수로 알려진 호킹복사에 대해 연구하였다. 기존의 호킹복사는 사건의 지평면이 존재하고, 블랙홀 외부의 기하가 정적일 것을 요구하는데 반해, 호킹복사의 운동학적 성질로부터 유도된 유효온도함수를 이용하면 관찰자가 측지선을 따라 움직이며 호킹복사가 어떻게 시간에 따라 달라지는지 파악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하면 중력붕괴하는 천체로부터 나오는 양자역학적 복사를 더 깊이 이해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위해 유효온도함수에 대한 이론적 논거를 검증하고, 나아가 가속운동하는 관찰자에 적합한 페인레브-걸스트랜드 좌표계로 쓴 쉬바르츠쉴트 블랙홀에 대한 유효온도함수를 구해 이를 기존의 호킹복사와 비교, 분석하였다. □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블랙홀을 포함한 시공간에서 양자역학적으로 유도된 입자들의 열적 흐름인 호킹복사가 존재한다는 사실이 알려진 이후, 호킹복사의 본성을 이해하기 위한 수많은 연구들이 수행되어 왔다. 최근 호킹복사는 아인쉬타인의 장방정식이 전혀 이용되지 않는 운동학적 효과라는 주장에 더욱 힘이 실리고 있다. 낮은 차원의 휜 공간에서의 호킹효과가 높고 편평한 차원에서의 언누효과와 동등하다는 사실이나 최근 활발히 연구되고 있는 유사중력이론 등은 호킹복사의 운동학적 성질을 통해 얻은 결과들이다. 이러한 점에서 운동하는 관찰자 시점에서의 호킹복사에 대한 연구는 중요한 의미가 있다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그 중에서도 관찰자가 측지선을 따라 움직이며 열복사를 어떻게 느끼는지를 시간의 함수로 나타낼 수 있는 유효온도함수를 이용해 쉬바르츠쉴트 블랙홀의 운동학적 측면의 효과를 살펴보려고 한다. 유효온도함수를 이용하면 민코우스키 같은 편평한 시공간에서 시작되어, 열적 흐름의 온도가 상승하는 중간 전이단계를 지나 최종 정적 상태의 블랙홀로 변해가는 과정을 파악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기 위해 페인레브-걸스트랜드 좌표계로 쓴 쉬바르츠쉴트 블랙홀에 대한 유효온도함수, 호킹복사, 그리고 높고 편평한 공간으로 끼워넣기 등을 연구하였다. 먼저 페인레브-걸스트랜드 좌표계 자체를 보다 깊게 이해하고자 첫째, 페인레브-걸스트랜드 좌표계로 씌인 (3+1)차원의 쉬바르츠쉴트, 라이스너-노드스트롬 블랙홀을 각각 높고 편평한 (5+1), (5+2)차원으로 끼워넣기(global embedding Minkowski spacetime: GEMS) 하였으며, 둘째, 페인레브-걸스트랜드 좌표계를 따라 자유낙하하는 관찰자 시점의 호킹복사와 유효온도함수를 얻음으로써 시간에 따라 호킹복사가 어떻게 진화하는지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셋째, 블랙홀의 양자적 본성을 파악하기 위한 기타의 일로 일반화된 불확정성 원리가 보정된 홀로그래픽하게 질량이 있는 쉬바르츠쉴트 블랙홀의 통계역학적 엔트로피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렇게 얻은 결과를 기초로 첫째, 셋째 과제는 현재 저널에 투고중이며, 둘째 과제는 현재 논문을 작성하는 중에 있다. □ 연구개발성과의 활용 계획 및 기대효과(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본 연구는 자유낙하하는 관찰자 시점에 따른 블랙홀의 호킹복사와 유효온도함수를 계산할 수 있음을 보임으로써 이를 근거로 전하를 띤 라이스너-노드스트롬, 회전하는 커 블랙홀 등 보다 다양한 블랙홀의 유효온도함수에 대한 연구를 시도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이를 통해 정적 상태의 블랙홀의 호킹복사가 아닌 중력붕괴를 포함한 보다 다양한 중력이론에서의 호킹복사를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게 될 것이다. 한편, 페인레브-걸스트랜드 좌표계로 씌인 블랙홀 시공간의 높고 편평한 공간으로의 끼워넣기에 대한 본 과제의 연구결과는 페인레브-걸스트랜드 좌표계가 계량의 비대각선 성분을 포함하는 것에 대한 끼워넣기인 만큼, 지금까지 불가능하다고 알려진 이러한 비대각선 성분을 갖는, 예컨대 회전하는 커 블랙홀이나 회전하는 BTZ 블랙홀 등도 높고 편평한 시공간으로 끼워넣기(GEMS) 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김용완
    • 주관연구기관 : 전북대학교
    • 발행년도 : 20210900
    • Keyword : 1. 호킹복사;페인레브-걸스트랜드;유효온도함수;시공간 끼워넣기; 2. Hawking radiation;Painlevé-Gullstrand;effective temperature function;global embedding;
  • 11622

    2021.01.31

    ㅇ 고구마는 유전체가 거대하고 (3 Gb), 6배체이며, 이질성이 높아 유전체 분석이 난해한 작물임. ㅇ 다부처유전체사업으로 1차 해독된 고구마 유전체 정보를 이용하여 전분, 카로티노이드 등의 고구마 특이 대사 관련 유전자 목록을 작성하였음. ㅇ 국내외 주요 품종의 유전체 리시퀀싱 후 세포소기관(엽록체) 유전체를 조립, 분석, 비교하여, 품종간 상당히 유사함을 확인하였음. ㅇ 또한, 국내외 주요 품종의 핵 게놈 변이를 분석하여 품종 특이 SNP를 발견하고 이를 이용하여 국내외 9개 품종의 구별이 가능한 분자마커와 PCR 이용 판별방법을 개발하였음. ㅇ 종합적으로 거대, 다배체, 헤테로 작물의 유전체 정보 활용 사례를 축적하여, 타작물 적용 가능성을 확보하였음. (출처 : 요약서 3p)
    • 연구책임자 : 이근표
    • 주관연구기관 : 국립농업과학원
    • 발행년도 : 20210200
    • Keyword : 1. 고구마;유전체;유전자;품종판별; 2. Sweet potato;genome;gene;species identification;
  • 11621

    2021.05.31

    □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 최종 목표 : 자외선에 의한 주름생성에서 NOXs와 MMPs의 상호작용 ■ 전체 내용 : 자외선에 의한 주름생성에서 NOXs와 MMPs의 상호작용에 대해 연구하고자 함. □ 연구개발성과 피부노화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진 활성산소를 생산하는 중요 인자인 NADPH oxidase(NOX)가 피부 기질을 붕괴하는 효소인 MMP 조절에 대한 세부적인 작용기전을 제시 함으로 의미 있는 연구 성과로 여겨진다. NADPH oxidase는 여러타입이 세포내에 존재하는데 그 역할이 정확히 잘 알려져 있지 않다. 따라서, MMPs 조절 NOXs의 구체적인 조절확인은 한 단계 더 나아가 UV에 의한 피부 노화를 이해하는데 공헌할 것으로 사료됨. NOX 타입별 MMP 억제 차이를 확인함에 따라, NOX의 각 타입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져 각 타입 단백질에 특이적으로 결합하여 단백질의 활성을 억제할 수 있는 구조의 합성 물질을 개발하는 연구도 더 활발해 질 것으로 사료됨. □ 연구개발성과 활용계획 및 기대 효과 피부세포내에서 새로운 MMP 조절 단백질의 발굴을 통하여 MMP 조절에 대한 새로운 작용기전을 제시하는데 그치지 않고, 3D 피부 모델을 이용한 실험들은 동물 대체 실험의 의미를 가지는데 있어 더욱 체계적이고 의미 있는 연구 성과가 이루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따라서, MMPs 조절 단백질의 발굴은 한 단계 더 나아가 UV에 의한 피부노화를 이해하는데 공헌할 것으로 사료됨. NADPH oxidase를 조절함으로써 피부 광노화 억제를 확임함에 따라, NADPH oxidase의 활성산소 발생에 대한 연구가 더 체계적으로 이루어져 활성산소 억제에 의한 피부 노화 방지에 대한 연구도 더 활발해 질 것으로 사료됨. (출처 :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노은미
    • 주관연구기관 : 원광대학교
    • 발행년도 : 20210600
    • Keyword : 1. 피부광노화;자외선조사;기질단백분해효소;NADPH 산화효소; 2. skin photoaging;ultraviolet radiation;matrix metalloproteinase;NADPH oxidase;
  • 11620

    2020.12.31

    - 본 연구과제의 주요 취지는 우리나라 원자력 기술의 국제협력 활성화를 통하여 기술을 홍보하고 전문가의 네트워크를 강화함으로서 향후 기술수출, 전문가의 해외 진출 등에 간접 기여 하고자 함에 있음. - 본 연구과제를 통하여 2018년 5건, 2019년 4건, 2020년 1건 등 총 10건의 국제회의개최를 지원하였으며 일부 회의는 직접 참여 하여 회의 추진 내용을 모니터링 함. - 주요성과로는 RCA 회원국을 대상으로 한 국내 핵의학 기술 홍보, IAEA 회원국을 대상으로 한 국내 SMR 기술 홍보, IAEA Quanum 워크숍 유치를 통한 핵의학 진료 기술 홍보 등이 있음 (출처 : 보고서 요약서 3p)
    • 연구책임자 : 정홍화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협력재단
    • 발행년도 : 20210100
    • Keyword : 1. 국제협력;국제회의;국제원자력기구;네트워크;해외진출; 2. International Cooperation;International Conference;IAEA;Network;Overseas Expansion;
  • 11619

    2021.05.31

    비공개항목입니다.
    • 연구책임자 : 주상규
    • 주관연구기관 : 삼성서울병원
    • 발행년도 : 20210600
    • Keyword : 1. 불균질 밀도 보정;환자 맞춤형 선량 측정 팬톰;방사선량 예측;방사선량 검증;세기변조 방사선 치료; 2. Heterogeneity correction;Patient-specific dosimetric phantom;radiation dose prediction;dosimetric quality assurance;intensity modulated radiation therapy;
  • 11618

    2021.05.31

    □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 최종 목표 차세대 신물질로서 태양전지 및 발광다이오드로 그 응용 가치를 인정받고 있는 OHP 물질들의 시편 제작을 통하여, 시편 상에 발생하는 새로운 구조의 표면과 그 표면상에 다양한 추가 박막 증착 (예: 정공 전송 물질, 정공 공급 물질 - 유기물, polymer 등)을 통해 발현되는 계면의 화학적/원자적 상태를 방사광을 이용한 XPS, GIXD 기법 등을 사용하여 정확히 관찰하고 그 안에 있는 물리적 의미/이해 및 응용 소자로서의 가치를 높이는 데에 그 최종 목표를 두고 있다. ○ 전체 내용 본 연구는 OHP 기반 박막의 응용 소자로서의 가치를 높이기 위해 방사광을 이용한 고해상도 측정 기법들을 활용하여 표면과 계면상의 화학적/원자적 구조 연구를 제안한다. ○ 1단계 ● 목표 유무기 하이브리드 페로브스카이트 (Organometal halide perovskite) 시편을 다양한 기법으로 제작하고 박막 상에 발생하는 (1) 재구조화된 표면과 (2) 그 표면 위에 소자 응용을 위한 추가 박막 증착을 통해 형성된 계면의 화학적/원자적 상태 분석을 방사광 기법을 기반으로 하여 정확히 관찰하고 그 안에 있는 물리적 의미를 파악 및 이해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 내용 (1) 용액 코팅 증착 및 진공 증착 기반의 OHP 박막 표면의 화학적/원자적 상태 연구 (2) AMX3 상의 다양한 물질들을 이용한 시편 형성 및 그 표면과 벌크의 화학적/원자적 상태 차이 연구 (3) 형성된 박막 표면의 후열처리에 따른 화학적/원자적 상태 변화 연구 □ 연구개발성과 차세대 신물질이라 평가받고 있는 OHP 물질들의 연구에 있어 표면 및 계면의 기초 물리적/화학적 접근은 현재 이 물질을 기반으로 한 응용 소자의 가치를 극단적으로 높일 수 있는 중요한 연구개발성과라고 할 수 있다. □ 연구개발성과 활용계획 및 기대 효과 본 연구를 통하여, 표면 및 계면의 화학적/원자적 상태 정보 획득을 통하여 OHP 물질내의 유기물 파트와 무기물 파트의 물리적/전기적 역할 등을 이해함으로서 하이브리드 물질의 이해를 높일 수 있어 중요하다. 그리고 얻어지는 정보들을 통하여 OHP 물질에 대한 새로운 연구 분야, 특히 기본-응용 연구가 조화를 이루고 있는 분야로 형성될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사료된다. (출처 :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이영미
    • 주관연구기관 : 포항공과대학교
    • 발행년도 : 20210600
    • Keyword : 1. 유기금속 할라이드계 혼합 페로브스카이 물질;방사광;분광 및 산란법;전자 구조;화학적 상태; 2. organometal halide hybrid perovskite;synchrotron radiation;spectroscopy and diffraction;electronic structure;chemical sta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