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Report

All 12,382 Page 97/1,239

검색
  • 11422

    2019.12.31

    국내 핵연료 취급 시설 개 보수와 북한의 비핵화에 따른 핵시설 폐쇄에 대비하여 이에 필요한 고 방사성 건식 제염기술 및 2차폐기물 처리 기술을 개발하는데 있어서 저 에너지를 소비하고 환경에 무해한 건식 제염제를 사용하며 2차 방사성폐기물 발생량을 최소화하는 요소기술을 확보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과제에서는 아래의 두 분야로 나누어 연구를 수행하였다. ● 고 방사성 건식제염기술 개발 - 해외 건식제염기술 개발 및 적용사례 분석 - PFC 에멀션 용액 제조를 위한 screening test, 건식제염 실험장치 설계 제작 - 모사시편 제조 및 PFC 에멀션 용액에 의한 제염 기초 실험 ● 건식 제염폐기물 처리기술 개발 - 해외 해체 방사성 폐기물 처리 및 관리 사례 분석 - 건식 제염폐기물 처리기술 도출 및 기초특성 연구 (출처 : 서지정보양식 63p)
    • 연구책임자 : 원휘준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연구원
    • 발행년도 : 20200100
    • Keyword : 1. 제염;에멀션;여과;흡착;증류;모사 시편;오염모사;금속;재활용;폐기물;처리; 2. Decontamination;PFC;emulsion;filtration;adsorption;distillation;surrogate specimen;metal;reuse;waste;treatment;
  • 11421

    2020.08.31

    □ 연구목표 ▪ 고품질 질화붕소를 적용한 항공우주용 S-band급 내방사선 고주파 소자 개발 - 질화붕소를 적용한 질화갈륨 기반 내방사선 고주파 소자 제작 기술 확보 - 금속-유기 화학 기상 증착법을 활용한 육방정 질화붕소 성장 기술 확보 - 고주파 소자의 방사선 내성 평가 기술 확보 □ 연구(pilot study; small scale) 내용 및 결과 ▪ 방사선 내성이 향상된 고주파 소자 제작 기술 확보 - 질화붕소 보호층이 적용된 S-band급 고주파 소자 공정기술 확보 및 시제품 제작 완료 - 방사선 조사 전: 차단주파수/최대발진주파수 = 28/88 GHz - 방사선 조사 후 (양성자): 차단주파수/최대발진주파수 = 27/60 GHz - 방사선 조사 후 (감마선): 차단주파수/최대발진주파수 = 26/84 GHz - 게이트 길이 = 0.36 ㎛ ▪ 고주파 소자에 적용하기 위한 고품질·웨이퍼 스케일 질화붕소 성장 기술 확보 - MOCVD 성장 메커니즘 탐구를 통한 고품질·2인치 웨이퍼 스케일 질화붕소 성장 조건 확립 - 방사선 내성 향상을 위한 고주파 소자용 기판상에 질화붕소 연속 in-situ 성장 기술 확보 - Raman 반치폭 = 35 cm-1, 표면 RMS roughness = 0.43 nm 두께편차 < 5%, 문턱전압 변화 = 0.06 V ▪ 항공우주용 고주파 소자의 방사선 내성 평가 기술 확보 - 전자부품에 대한 우주방사선 영향 평가 문헌 및 기술정보 수집 - 전자부품에 대한 방사선 영향 평가 기술분석보고서 확보 - 소재 및 고주파 소자의 방사선 내성 평가(감마선, 양성자) 및 특성 분석 □ 결과활용 ▪ 주요 연구결과 및 연구결과의 중요성 - 세계 최초로 질화갈륨 기반 고주파 소자의 방사선 저항성 향상을 위해 내방사선 보호층 소재인 육방정 질화붕소 박막을 고주파 소자의 보호층으로 사용하기 위한 연구를 진행 - 고주파 소자의 핵심 물질로 여겨지고 있는 질화물 ternary alloy (AlxGa1-xN) 박막상에 내방사선 소재인 질화붕소의 웨이퍼 규모 대면적 성장에 세계 최초로 성공 - 세계 최초로 웨이퍼 규모의 질화붕소 보호층을 적용한 질화갈륨 기반 고주파 소자 제작 기술 확보 및 시제품 제작을 완료 ▪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융합연구사업으로 확대 추진 - 연구목표: X-/Ku-band급 내방사선 MMIC 및 송수신 모듈 국산화 기반 기술 개발 - 연구내용: 내방사선 질화갈륨 기반 고주파 에피 및 보호층 소재 개발 X-/Ku-band급 내방사선 고주파 소자 설계 및 제작 기술 개발 방사선에 의한 고주파 소자의 열화 및 오동작을 보상할 수 있는 회로가 포함된 MMIC 설계 및 공정 기술 개발 방사선 차폐 기술이 적용된 송수신 모듈 패키징 기술 개발 내방사선 소자, MMIC 및 송수신 모듈에 대한 방사선 영향 평가 절차 및 기반 기술 확보 ▪ 내방사선 소재, 소자, 회로, 패키징, 방사선 영향 평가 분야의 전문연구기관들이 참여하는 유기적이고 체계적인 내방사선 고주파 소자 연구를 진행하고 이를 활용하여 MMIC 및 송수신 모듈 국산화를 실현 (출처 : 보고서 요약문 4p)
    • 연구책임자 : 장성재
    • 주관연구기관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발행년도 : 20200900
    • Keyword : 1. 질화갈륨;육방정 질화붕소;고주파 소자;내방사선; 2. Gallium Nitride;Hexagonal Boron Nitride;RF Device;Radiation Hardness;
  • 11420

    2020.02.29

    □ 연구개요 ■ 본 연구에서는 세포의기계적 특성을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는 고주파 초음파 방사력기술과 초고속 광학 위상 이미징 기법 융합을 통한 신개념 비접촉 세포 탄성 영상 시스템을 개발 하는데 그 목적이 있음 ■ 세포의 기계적 특성과 질병 진단 및 치료에 있어 그 메카니즘을 파악하는데 중요한 인자로써 지금까지 그 기계적 특성을 측정 가능한 장비는 큰 시간 소요성 및 직접 샘플에 접촉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으며 강성도가 낮은 샘플 및 미디어 안에서는 그 측정 정확도가 떨어짐 ■ 이에 따라 본 연구를 통해 비접촉 방식으로 바이오 샘플에 기계적 자극이 가능한 고/저주파 초음파 마이크로 빔 자극 시스템과 인가된 초음파 음압에 따른 세포들의 시공간상의 두께의 변화를 측정 할 수 있는 초고속 위상차 현미경 시스템을 기반으로 세포의 고해상도 탄성 영상 획득이 가능한 시스템을 개발함. 본 과제에서 개발한 시스템을 통해 전이성이 다른 암세포의 기계적 특성을 정량적으로 측정할 수 있으며, 개발된 시스템을 이용한 암세포의 전이성을 판별 할 수 시스템 유효성을 확인함 □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 본 연구의 목표는 크게 ‘초음파 자극을 위한 저/고주파 초음파 변환자와 초음파 마이크로빔 자극 시스템 개발’, ‘초음파 자극에 따른 암 세포의 고해상도 영상과 두께를 함께 측정 가능한 초고속 위상차 현미경 시스템 개발’, ‘개발된 시스템의 직접화 및 개발된 시스템 유효성 평가’를 목표로 함 ■ ‘초음파 자극을 위한 저/고주파 초음파 변환자 및 초음파 자극 시스템 개발’은 11MHz와 26MHz의 고집속 초음파를 발진 할 수 있는 링타입 초음파 변환자를 개발하였으며 초음파 변환자의 위치를 세부 조정하기 위한 모터라이즈 스테이지, 전기 신호를 발생시키는 함수발생기 및 전력 증폭기로 구성함 ■ ‘초고속 위상차 현미경 시스템’은 off axis 방식의 간섭계를 기반으로 개발 됨. 녹색광의 레이저를 사용하여 샘플 빛이 암 세포를 투과 할 때 발생되는 위상차를 기준 빛과의 간섭을 초고속 카메라를 통해 성공적으로 측정했으며, 측정된 위상차를 통해 세포의 두께를 측정할 수 있는 알고리즘 및 시스템을 성공적으로 개발함 ■ ‘개발된 시스템의 유효성 평가’는 서로 다른 전이성을 갖는 두 유방암 세포를 선정하여 다양한 초음파 자극 압력에 따른 두께 변화를 고속 및 고해상도로 측정하고 추가적으로 짧은 초음파 임펄스 인가 후 두 암세포의 본래의 두께로 회복 될때까지의 시간을 측정함으로써 기계적 특성 분석을 통해 서로 다른 암세포의 전이성을 판별함 □ 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 본 연구는 ‘비접촉 방식으로 세포의 기계적 특성을 측정할 수 있는 높은 시공간 해상도 초음파 방사력 기반 멀티모달 2차원 세포 탄성 영상 시스템을 세계 최초로 개발함 ■ 본 연구를 통해 개발한 시스템은 기존 원자힘 마이크로스코픽 시스템보다 100배 이상 빠른 속도로 세포의 탄성 2차원 맵을 획득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써 그 기술적인 가치가 상당히 높다고 할 수 있음. ■ 융복합적 학문 발전 측면에서 본 연구는 초음파 자극 시스템 및 위상차 현미경의 융합으로 인한 초음파/광학 분야의 높은 수준의 요소 기술들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는 의공학 분야의 세계적 선도 기술 개발에 초석이 될 수 있는 바탕이 됨 ■ 또한 의학적 측면에서 다양한 질병 치료 및 치료제 개발 위한 세포 탄성 영상 기기의 원천 기술을 확보하여 국제 차세대 의료 기기 시장에서의 그 경쟁력을 선점할 수 있음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황재윤
    • 주관연구기관 : 대구경북과학기술원
    • 발행년도 : 20200300
    • Keyword : 암세포 전이성 판별;단일 세포 탄성 영상;고주파 초음파 자극 시스템;초고속 위상차 현미경;
  • 11419

    2019.12.31

    비공개항목입니다.
    • 연구책임자 : 최시호
    • 주관연구기관 : 동남권원자력의학원
    • 발행년도 : 20200100
    • Keyword : 1. 유전자 가위;유전변이;간암;종양 줄기 세포;방사선; 2. CRISPR;mutation;liver tumor;cancer stem cells;radiation;
  • 11418

    2020.11.30

    II. Virtual DEMO 개발 배경 및 필요성 □ 우리나라 핵융합 에너지 연구는 기술 추격 단계를 벗어나 기술 선도 단계에 진입 ○ 이에 KSTAR와 ITER 사업을 통해 축적한 기술적 역량을 바탕으로 세계 핵융합 연구 선도 및 조기 핵융합 상용화 달성을 위한 K-DEMO 설계 및 건설 가속화 전략 마련이 필요 □ 또한 3차 핵융합에너지개발 진흥 기본 계획에 따르면, 현 단계는 K-DEMO 핵심기술 개발 기반 확보를 추진할 시점으로 핵융합 발전소 설계 기술 확보를 위한 전략 수립 필요 □ 우리나라는 KSTAR 사업을 통해 토카막 장치 건설 기술을 확보하고 노심 플라즈마 관련 기술을 개발하고 있으며, ITER 사업 참여를 통한 연소 기술 확보를 계획 중 □ K-DEMO는 현재 설계개념 연구(Pre-CDA) 중으로, ‘40년대 발전소 건설을 위해서는 ① KSTAR, ITER 실험 데이터의 체계적 해석 및 K-DEMO 공학설계 활용을 위한 연계 기술, ② 에너지 변환 기술 확보를 위한 블랑켓 실험 설비, ③ K-DEMO 성능 예측 외삽 (extrapolation) 기술 등의 확보 필요 ○ 이는 우리나라를 비롯해 세계 각국이 직면한 공통과제로, 최근 미국, 일본, EU 등은 블랑켓 및 핵융합 재료 설계, 테스트 등에 필요한 중성자원 확보 추진과 함께 핵융합 시뮬레이션과 가상화 기술을 통한 해결 전략을 고민 중 □ 우리나라는 최근 슈퍼컴퓨팅, 인공지능, 빅데이터 등의 4차 산업혁명 기술을 통한 국가적 과제 해결과 산업 고도화를 추진 중으로, 특히 소프트웨어 기술 개발을 통한 원천기술 확보를 위해 다각적으로 노력 중 □ 핵융합 분야 또한 기술적 도전 극복과 K-DEMO 설계 기술 확보를 위해 4차 산업혁명 기술을 접목한 시뮬레이션과 가상화 기술 개발을 추진할 시점 □ 이에 본 기획과제는 시뮬레이션 기반의 가상 핵융합로(Virtual DEMO) 개발 방향과 전략을 수립하고 KSTAR, ITER에서 K-DEMO로 이어지는 국가핵융합에너지 개발의 당면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 목적 ○ 특히 Virtual DEMO 개발 지향점을 K-DEMO 설계 불확실성을 최소화할 수 있는 기술 확보에 두고 이를 위한 핵융합 시뮬레이션의 실험 검증 전략을 마련하고자 하며, KSTAR, ITER, 그리고 미래 블랑켓 실험 설비 운영과 연계한 로드맵 수립 ○ 또한 4차 산업혁명 기술을 매개로 핵융합 분야가 IT 및 원자력 분야와 협력하고 기술 개발을 가속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 (출처 : 요약문 3p)
    • 연구책임자 : 권재민
    • 주관연구기관 :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
    • 발행년도 : 20201200
    • Keyword :
  • 11417

    2020.01.31

    ○ 연구의 목적 및 내용 폐암 환자의 효율적인 항암 치료를 위해 종양 미세 환경 조절과 방사선-면역치료를 조합한 병용 치료 기전과 기존 항암 치료의 한계점 및 부작용을 극복하기 위한 약물 병행 치료 방법 및 기전을 연구하고자 함 본 연구에서는 CXCR4의 길항제와 PD-1/PD-L1의 발현조절로써 종양의 미세 환경을 조절하고 방사선-면역치료의 한계 및 부작용을 극복하여 항암 치료 효과 극대화를 하고자 함 CXCR4와 PD-1/PD-L1을 타겟으로 하는 종양 미세 환경 조절이 방사선-면역 치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간암/폐암 환자의 새로운 치료 방법과 기전에 대하여 제시하고자 함 ○ 연구결과 1. 간암/폐암 세포주 모델에서 CXCR4 길항제의 암세포 성장 억제 효과 확인 - 마우스 간암 세포주 1종, 사람 폐암 세포주 4종 등에서 CXCR4의 길항제인 AMD3100을 처리 하였을 때 암세포의 성장이 약물의 용량 의존적으로 억제되는 것을 호학인함 2. 폐암 세포주 모델에서 CXCR4 길항제와 방사선 병용 처리 시 암세포의 성장 억제 학인 - 사람 유래 비소세포폐암 세포주 4종 (H460, H1299, H1975, HCC827)에서 방사선과 CXCR4 길항제를 0.01ug/ml의 농도로 병용 처리 하였을 때 효율적이고 방사선 조사량에 의존적으로 암세포의 성장을 억제하는 것을 확인함 3. 폐암 세포주 모델에서 CXCR4 길항제와 방사선조사 시 나타나는 유전적 변화 확인 - 사람유래 비소세포폐암 세포주인 H1299과 HCC827에서 방사선 조사 및 CXCR4 길항제 단독 또는 병용 처리 시 나타나는 유전적 변화를 확인함 - Metastasis, apoptosis와 관련된 유전자 92개를 분석하여 약물 및 방사선 조사에 따른 암세포의 성장 억제 조절 관련 유전적 변화를 profiling 함 최종적으로 폐암에서 CXCR4 길항제와 방사선 병용 치료 시 기존의 단독 치료 보다 암세포의 성장 및 전이를 효율적으로 억제 할 수 있음을 확인하고 CXCR4가 폐암 치료에 있어 중요한 타겟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확인함. ○ 연구결과의 활용계획 해당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방사선 또는 폐암 치료 관련 해외 저널에 논문을 투고 예정에 있음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4p)
    • 연구책임자 : 안원균
    • 주관연구기관 : 성균관대학교
    • 발행년도 : 20200200
    • Keyword : 1. 종양미세환경; 2. CXCR4;AMD3100;lung cancer;radiation;tumor microenvironment;PD-1/PD-L1;
  • 11416

    2020.01.31

    1. 연구개발의 목적 및 필요성 ○ 최근 ISO 13485 개정으로 멸균 및 멸균포장시스템(Sterile Barrier System) 밸리데이션 요구사항이 강화되었으며, 동 규격을 반영한 의료기기 제조 및 품질관리기준(식약처 고시)이 ‘19년 개정예정임에 따라, 멸균 및 멸균포장시스템 유효성확인에 대한 최신 품질관리 방법 가이드 제시 필요 ○ 국제 규격 조사 등을 통해 멸균, 포장공정 밸리데이션 가이드라인이 발간(‘07년, ’13년)된 바 있으나, 이후 관련 국제 규격이 개정됨에 따라, 국내 의료기기 제조업체가 멸균관련 국제규격의 최신 사항을 반영하여 품질관리를 수행할 수 있도록 주로 이용되는 멸균방법(방사선 멸균, EO 멸균, 습열멸균)별 밸리데이션 가이드라인 개정 필요 또한, 멸균포장관련 국제 규격의 개정사항을 반영하여 멸균포장시스템 밸리데이션 가이드 제시 필요 2. 기대성과 ○ 최신 국제 규정 등을 적용한 멸균 및 멸균포장시스템 밸리데이션 가이드 제시를 통해 의료기기 제조업체의 품질관리 수준 향상 및 안전한 의료기기 유통기반 확립 ○ 국제 조화된 GMP 제도 운영으로 국산 의료기기의 수출 경쟁력 강화 및 GMP 심사 기준 제공을 통해 업체의 GMP 운영 수준 향상에 기여 3. 연구성과 활용계획 ○ 의료기기 멸균 밸리데이션 가이드라인 개정 ○ 의료기기멸균포장시스템(Sterile Barrier System) 밸리데이션가이드라인제정 (출처 : 요약문 6p)
    • 연구책임자 : 조진식
    • 주관연구기관 :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
    • 발행년도 : 20200200
    • Keyword : 1. 의료기기;멸균밸리데이션;포장밸리데이션;가이드라인; 2. Medical Device;GMP;Sterilization validation;Sterilization Packaging Validation;Guideline;
  • 11415

    2020.05.31

    □연구개요 ● 연구 배경 - 폐암의 전 세계적으로 가장 흔한 악성 종양 중의 하나이며 우리나라에서 폐암의 5년 생존율은 약 22%에 불과함. - 새로운 예후 인자의 발굴을 통해 개인별 맞춤 치료를 진행하여 생존율을 향상하는 것이 중요함. - NR1D1(Nuclear receptor subfamily 1 group D member 1)은 orphan nuclear receptor의 한 종류이며 일주기 생체리듬 조절자로 알려져 있음. - 여러 orphan nuclear receptor와 암 발생의 연관성이 보고되었으나, 폐암을 비롯한 다른 암종에서 NR1D1과 암 발생의 연관성은 연구된 바가 없음. - 폐암 환자의 임상 데이터베이스 분석 결과, 남성 선암 환자에서 NR1D1의 발현양이 높을수록 생존율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남에 따라 폐암에서 NR1D1의 종양 억제 기능이 예상됨. ● 연구의 최종목표 - 폐암에서 NR1D1의 종양억제 기능 확인 및 작용 기전 연구를 통해 NR1D1 유전자의 새로운 종양억제 역할 규명. - 폐암의 발생과 NR1D1 발현의 상관관계를 입증하고 폐암의 예후 인자로 NR1D1의 활용 가능성 제시. ● 연구범위 1) 폐암에서 NR1D1의 종양억제 기능을 in vitro 연구를 통해 확인. - NR1D1 발현양 조절에 따른 폐암 세포주의 세포 성장 변화 관찰. 2) 폐암에서 NR1D1의 종양억제 기능을 in vivo 연구를 통해 확인. - 폐암 발생에 미치는 NR1D1 소실의 영향을 NR1D1 소실 쥐와 쥐 폐암 모델을 활용하여 확인. 3) 폐암에서 NR1D1의 작용 기전 분석. 4) 폐암의 발생과 NR1D1 발현양의 상관관계 분석.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1) 종양미세환경에서 NR1D1이 종양억제인자로 작용할 가능성 입증. - in vitro 연구를 통해, NR1D1 은 폐암 세포주의 세포 성장에는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 않는 것을 확인. - NR1D1 소실 쥐와 Kras-LSL 쥐 폐암 모델 및 동소 이식 동계 쥐 모델을 활용하여 NR1D1의 종양미세환경 작용 가능성을 입증. 2) NR1D1의 Th17 세포 조절 가능성 확인. - RNA sequencing을 통해 NR1D1의 면역세포 조절 가능성을 확인. - Immune cell profiling을 통해 NR1D1 소실에 의한 CD4+ T cell 증가 입증. - CD4+ T cell 중, Th17 세포의 주요 싸이토카인 (IL-17A, IL-17F, IL-23)의 발현이 NR1D1 소실에 의해 증가함을 확인. 3) 폐암 발생과 NR1D1 발현의 상관관계 확인. - 임상 데이터베이스에서 폐암 환자의 정상 조직에 비해 폐암 조직에서 NR1D1의 발현이 감소함을 확인. □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 학문적 측면 1) 종양미세환경에서 면역 세포 조절을 통해 폐암 발생을 저해하는 NR1D1의 역할을 처음으로 규명함으로써 NR1D1에 대한 지식을 축적시키는 학문적 가치를 지님. 2)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암에서 NR1D1의 역할에 대한 관심을 높여 향후 다른 암종에서 NR1D1의 역할에 대한 연구 수행을 유도할 것으로 기대됨. ● 기술적 측면 1) 폐암에서 NR1D1의 치료 표적 인자로의 활용 가능성을 제시함으로써 이를 바탕으로 새로운 표적 치료제 개발의 발판을 마련할 수 있음. 이를 통한 폐암 환자의 개인별 맞춤 치료의 기회 제공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됨. (출처 : 요 약 문 2p)
    • 연구책임자 : 김선미
    • 주관연구기관 : 국립암센터
    • 발행년도 : 20200600
    • Keyword : 1. 폐암;종양미세환경;종양억제; 2. NR1D1;Th17;
  • 11414

    2020.11.30

    연구의 목적 및 내용 최종 목표 공진형 고출력 테라헤르츠 전자기파 시스템을 통해 DNA 상의 메틸화 현상을 제어하고 이를 바탕으로 하는 암치료 기술을 개발 전체 내용 초고출력/광대역 테라헤르츠 기술은 다양한 응용분야에 사용될 수 있는 기초 전자기파 기술 - 테라헤르츠 광분자 암치료 기술은 전자기파에 의한 분자의 공진현상을 이용한 치료기술 - 기존의 항암제나 수술 요법과 다르게 부작용이 적고 암병변을 정상 세포로 회복시키는 새로운 형태의 암치료 기술 - 테라헤르츠 전자기파를 이용한 생명 제어 기술을 통해 차세대 전파 기술을 확립 1단계(해당시 기재) 목표 : 테라헤르츠 원천기술 확보 및 기초 분광 연구 내용 : - 고효율 테라헤르츠 신호 발생을 위한 기술 개발 - 광대역 테라헤르츠 시스템을 활용하여 DNA 분자 단계에서 메틸화 공진신호 검출 및 제어 가능성 확인 2단계 (해당시 기재) 목표 : 테라헤르츠 기술의 응용 연구 내용 : - 높은 신호대잡음비(SNR) 및 고효율 테라헤르츠 신호를 이용한 생체물질 분석 및 기능 제어 - 높은 SNR의 광대역 테라헤르츠 스펙트럼을 활용하여 암발생과 관련된 DNA메틸화의 분광 분석 및 공진 주파수 신호 검출 - DNA메틸화 공진 분광 신호 차이에 따른 암 종별 프로파일링화 - 고출력 선택 주파수 테라헤르츠 시스템을 이용하여 DNA 메틸화를 억제, 제어하는 기술을 확보 - 동물실험을 통해 임상 적용 가능성 확보 및 유해성 검사 연구개발성과 □ 주요 기능(또는 규격) - DNA 메틸화 공진주파수 신호 기반 암 종 진단 기능 - 세포내 DNA 메틸화 현상 제어 기능 - DNA 탈메틸화를 통한 암 치료 기능 □ 주요 성능치 - 대역폭 : 15 THz 이상 - 펄스당 에너지 : 40 μJ or 200 mW 이상 - 테라헤르츠파 적용 시간 : 수 분 이내 □ 핵심 기술 - 초광대역/고출력 테라헤르츠 발생, 검출 기술 (세계 Top 5위 내) - 전자기파를 이용한 DNA 기능 신호 제어 기술 (세계 최초) - 테라헤르츠 전자기파를 이용한 암 치료 기술 (세계 최초) 연구개발성과의 활용계획(기대효과) □ 기초 학술적 측면 - 초고출력/광대역 테라헤르츠 전자기파 시스템은 기초 전자기파 연구의 발전을 가져올 것임. - 본 제안 기술은 테라헤르츠 응용영역을 다양한 분자제어 기술 영역으로 확장할 수 있음. - 기존에는 없던 암 치료 방식으로 의료계에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할 수 있음. □ 원천기술 확보 및 산업적 측면 - 테라헤르츠 원천기술을 선점할 수 있음. - 본 제안 과제의 암 치료 기술은 관련 의료기기 산업을 발전시킬 수 있음. □ 경제적 측면 - 상대적으로 낮은 금액으로 의료서비스를 제공시켜 암 치료에 사용되는 항암제 수입량을 줄이고 국가적인 외화 유출을 줄일 수 있음. - 암 치료시장 진입으로 국가경쟁력을 높이고 막대한 경제적 가치를 가질 것임. □ 인재양성 측면 - 본 연구를 통해 석, 박사과정 학생들의 전자기학 연구에 대한 이해력을 증진을 통해 여러 분야에 전문 인력으로서 국가 과학 경쟁력 향상에 크게 기여할 것임. □ 사회복지 측면 - 사회적 복지의 향상을 높일 수 있으며 의료비 감소로 많은 메디컬 푸어를 막아 국민 복지에 이바지 할 수 있음. (출처 : 요약문 4p)
    • 연구책임자 : 손주혁
    • 주관연구기관 : 서울시립대학교
    • 발행년도 : 20201200
    • Keyword : 1. 테라헤르츠;고출력;DNA 제어;DNA 메틸화 제거;암 치료 기술; 2. terahertz;high-power;DNA control;DNA demethylation;cancer therapy;
  • 11413

    2020.05.31

    □연구개요 나비목의 대표적 미소나방그룹이자 가장 큰 상과인 뿔나방상과(Lepidoptera: Gelechioidea)는 분류·생태학적으로 연구가 시급한 범세계적 광식성 해충과 경제적으로 중요한 다수의 농업 및 검역해충을 포함하는 분류군으로 전 세계적으로 분포하고 있다. 하지만 이들에 대한 연구는 주로 소수의 연구진에 의해 유럽과 북미지역(구북구 유럽 역과 신북구)을 중심으로 종 다양성과 계통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본 연구는 동아시아를 중심으로 한 전체 아시아지역 (구북구 아시아, 오리엔탈)의 뿔나방상과에 대한 종 다양성 발굴을 기반으로 범세계적인 샘플링을 근거로 한 계통학적 연구를 진행였다. 이를 통해 뿔나방상과 내 미개척 과에 대한 종 다양성을 밝히고, 외부 형태·형질과 분자마커(DNA)를 기반으로 한 계통수를 도출하여 뿔나방상과 분류군간의 명확한 계통관계를 구축하고자 한다. 특히, 다양하고 특이한 먹이기질(식식성, 부식성, 균식성과 육식성)과 이에 따른 다양한 서식지를 가진 그룹간의 진화론적 경로를 밝혀, 뿔나방상과의 기원과 그 진화사를 밝히고자 한다.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1. 뿔나방상과 내 구성 집단(미개척분류군 중심)에 대한 종 다양성 연구 - 국내·외 조사 및 표본대여를 통해 뿔나방상과그룹의 기록이 미진하였던 구북구아시아, 오리엔탈 지역과 호주구와 아프리카열대구에서의 새로운 종을 발굴하여 분류학적 정리 및 각각의 개체에 대한 분자생물정보인 DNA 확보하였다. 확보된 DNA를 기반, 형태분류종과 분자종결정진단법(ABGD, PTP, bPTP)를 통해 얻은 MOTUs를 비교·분석하여 다수의 Cryptic species를 발굴하였고, 뿔나방상과 내 종(species)를 결정할 종 내 최대값의 임계값(threshould value)을 2.5%로 정립하였다. 상과(superfmaily) 범위에서 최초로 정립된 임계값은 향후 상과 내,종 다양성을 발굴하고 연구하는데 있어 크게 활용 될 것으로 판단된다. 2. 뿔나방상과의 분자계통분석 및 생물학적 특징(먹이기질 및 서식지)에 따른 진화적 가설 정립 - 본 연구를 통해 과거 유럽과 일부 북미지역의 개체군에 국한되어있던 샘플링의 범위를 확장, 범세계적 샘플링을 기반으로 함, 분자계통수를 작성하였다. Mitochondrial genes, Nuclear genes과 Protein coding genes 그리고 전체를 포함한 계통수를 비교·분석하여 유전자별 특징을 파악하였고, 뿔나방상과에 속하는 상위분류군 23개의 과/아과에 대한 계통학적 위치가 재정립되었다. 주요 생물학적 특징인 서식처와 깊게 연관되어있는 먹이기질에 대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진화통계학적 분석(RASP, ancestral states)을 한 결과, 뿔나방상과류 조상들의 먹이기질의 조상형질은 식식성으로 분석되었으며, 이들은 다양한 먹이기질로 진화하면서 다양한 분류군으로 분기·수렴진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상과를 구성하는 분류군별 먹이기질의 조상형질이 파악되어 주요 생물학적 특징이자 서식지와 깊게 연관되어있는 먹이기질에 대한 진화사가 파악되었다. 3. 분자시계기법(Molecular dating)을 활용한 뿔나방상과 분류군의 다윈론적 진화론에 입각한 분화시기 추적 - 본 연구를 위해 5천5백만년~2천3백6십만년 연대로 추정되는 발틱 화석(baltic amber)과 4천만년~1천오백만년 연대로 추정되는 도미니칸 화석(dominican amber)의 데이타를 기반, 분자시계분석법(molecular dating)이 이용하여 과거 뿔나방상과 조상들이 분기가 시작된 연대를 추적하였다. 그 결과, 뿔나방상과의 분화가 시작된 때는 지금으로부터 약1억67만년 전인 중생대 쥐라기시대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대부분의 주요 분류군들의 분기시점은 속씨식물(angiosperm)의 폭발적 방사가 일어난 9천7백만 년전 이후의 후기 백악기때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 중, 뿔나방과가 가장 최근에 분기가 시작된 것으로 확인되어, 이들은 에오세때 분기가 시작되어 오늘날 가장 높은 종 다양성을 보이는 것으로 유추되었다. 9천만년전, 후기 백악기때의 기후가 오늘날 주요 상과 내 분류군의 생태학적 특징과 분포에 큰 영향을 줬을 것으로 유추되었다. 그 당시의 지구는 오늘날보다 훨씬 따뜻한 기후로 극지방에 얼음이 존재하지 않는 시기로, 유라시아대륙과 아프리카, 그리고 호주대륙이 가깝게 위치했던 넓은 대륙지역으로 구성되었고 이러한 환경이 현존하는 분류 초기 분화에 가장 큰 영향을 줬을 것으로 추정되었다. □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 뿔나방상과 내 새로운 분류군 발굴 및 이들에 대한 분류학적 정리를 시도함으로써, 동물이명 및 동아시아를 중심으로 한 아시아지역의 분포등과 같은 기초적인 정보들을 집대성하여 관련 응용분야에서 필요한 분류학적 기초자료 제공 - 뿔나방상과 내 종별, 개체별 분자생물정보(DNA) 구축 - 뿔나방상과 내 생물다양성 측정 및 생물학적 정보 구축 - 뿔나방상과 내의 분류체계 정립 - 뿔나방상과류의 조상형질에 대한 과학적 추론 - 연대기 측정을 통한 서식지의 이동과 이에 따른 먹이기질의 상관관계 이해 (출처 : 요 약 문 2p)
    • 연구책임자 : 김소라
    • 주관연구기관 : 서울대학교
    • 발행년도 : 20200600
    • Keyword : 나비목;뿔나방상과;미소나방류;종 다양성;계통수;진화;분자시계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