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Report

All 12,447 Page 97/1,245

검색
  • 11487

    2019.12.31

    본 연구과제에서는 인간 냉동 기증제대혈 유래 조혈모세포를 이용하여 인간화 생쥐 모델을 구축하고 나아가 HLA 일치/불일치 인간화 생쥐 모델을 확립하여 그 인간 면역세포의 생착과 분화능력을 분석함. 동형접합 체세포복제배아줄기세포를 중심으로 삼배엽성분화세포들로의 분화 방법을 확보하고, HLA 일치/불일치에 따른 동형접합 체세포복제배아줄기세포 유래 중간엽줄기세포및 골세포의 면역원성을 in vitro/in vivo에서 확인함. 골분화 및 신경분화에 과정에서 작용하는 분화 유도/억제인자를 탐색하여 고기능성 나노전달체를 이용하여 줄기세포에 전달하고, 이를 통해 효율적인 분화유도 방법을 개발하고 기능이 강화된 줄기세포를 제작함. 면역성이 제어된 범용 줄기세포를 만들고자 B2M,CIITA 유전자 KO 벡터를 제작하고, 전분화능 줄기세포에 적용하여 B2M KO-NT6 세포주 2clone, HLA B-KO-NT4 세포주 3 clone을 제작함. (출처 : 요약서 3p)
    • 연구책임자 : 이동율
    • 주관연구기관 : 차의과학대학교
    • 발행년도 : 20200100
    • Keyword : 1. HLA 동형접합 전분화능줄기세포;인간화 생쥐;면역적합성;고 기능성 전달체;HLA 유전자 조작; 2. HLA homozygous human pluripotent stem cells;humanized mice;immune compatibility;high performance scaffold;modification of HLA genes;
  • 11486

    2019.12.31

    ○ 원전 모의 사고 시현 환경에 적용 가능한 시험용 로봇 시스템 개발 1. KIST에서 개발하여 기 보유한 이동 기구부 및 로봇 팔을 활용하여 목적 환경에서 위험작업의 시현이 가능한 로봇 시스템 개발 2. 3차년도 위험 작업 시현을 위한 접촉 작업 알고리즘 개발 ○ 위험 작업 신속 대응이 가능한 로봇 팔 모션 및 힘제어 기술 개발 1. 사용자 원격 조작명령과 힘센서 값을 활용한 로봇 팔 접촉 작업 알고리즘 개발 2. 파지 물체의 특성 및 구조를 자동 파악하여 최적 로봇 팔 작업 가이드 경로 생성 알고리즘 개발 (출처 : 보고서 요약서 3p)
    • 연구책임자 : 이우섭
    • 주관연구기관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발행년도 : 20200100
    • Keyword : 1. 원자력발전소;위험작업;극한환경기술;로봇 팔;힘제어; 2. Nuclear Power Plant;Dangerous Duty;Extreme Environment;Manipulator;Force Control;
  • 11485

    2020.01.31

    농장맞춤형 기상재해 조기경보서비스를 위한 핵심기술인 기상정보의 상세화 기술과 재해위험 판정기술을 고도화하였고, 총 30개 작물에 대한 생육단계별 재해위험 대응조치를 DB화하였으며, 농장맞춤형 기상재해 조기경보시스템을 전북 14개 시·군이 포함된 총 24개 시·군으로 확대 구축하여 서비스 받기를 원하는 자원농가에게 인터넷과 모바일을 통해서 농장단위의 기상 및 재해예측 정보, 그리고 피해저감을 위한 대응조치를 최대 10일 前에 서비스를 실시하고 있음 (출처 : 요약서 4p)
    • 연구책임자 : 심교문
    • 주관연구기관 : 국립농업과학원
    • 발행년도 : 20200200
    • Keyword : 1. 조기경보 서비스;농장맞춤;기상위험;생육단계;대응조치; 2. Early warning service;Farm-specific;Weather risk;growth stage;counter-measures;
  • 11484

    2020.01.31

    본 연구는 농약에 대한 급성혈액독성 평가 방법, 급성신경독성 평가 방법, 급성노출 평가 방법, 급성위해성 평가 방법, in vitro 소핵시험 및 Pig-a 유전자 돌연변이시험 방법을 개발 확립하여 소비자 및 농작업자의 건강보호에 활용하고자 수행하였다. 1세부에서는 급성혈액독성, 급성신경독성시험법 구축을 위한 OECD, EU, EFSA 등 시험법을 비교검토하고, 구축한 시험법에 대한 검증을 위하여 급성혈액독성시험에서는 thiopanate-methyl 및 diazinon에 대한 적용시험을 진행하였으며, 급성신경독성시험에서는 dithianon 및 benfuracarb에 대한 적용시험을 진행하였다. 적용시험을 통하여 공시농약의 NOAEL 및 LOAEL 값을 얻었으며, 이를 이용하여 급성독성참고치를 산출하여 기존에 설정된 인체안전기준과 비교검토하여 적정한 급성 인체안전기준을 제안하였다. 또한, 농약에 대한 급성 인체안전기준(ARfD, aAOEL) 설정을 위하여 JMPR, EFSA 등 지침과의 비교검토를 통해 ARfD 및 aAOEL 설정 원칙 및 방법에 대한 지침을 도출하였으며, 식이를 통한 노출량 산출을 위해 JMPR, EFSA 등 지침을 비교검토하여 급성식이노출량 평가방법을 도출하였다. 농작업자의 농약 살포 시 노출량을 산출하기 위해 실제 농약 살포 시험을 진행하여 급성 농작업자 노출량을 산출하였고, 이를 노출량 예측 모델 (Ko-POEM,EUROPOEM, ConsExpo)의 노출량 산출값과 비교하였다. 도출된 노출량 산출 방법을 지침화하여 식이를 통한 소비자의 급성노출량 산출 및 농약에 대한 농작업자 노출량 산출에 대한 지침을 개발하고, 이를 이용하여 농약의 급성 위해성 평가를 진행하였다. 2세부에서는 CHL 세포를 이용하여 유세포분석기를 이용한 in vitro 소핵시험법을 구축하고, 이를 검증하기 위해 양성대조물질로서 mitomycin C 및 colchicine에 대한 적용시험을 진행하였다. 또한, 유세포분석기를 이용한 Pig-a 유전자 돌연변이시험법을 구축하고, 이를 검증하기 위해 ENU, glycidol 및 captan 등에 대한 적용시험을 진행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과제를 통하여 농약에 대한 급성혈액독성시험, 급성신경독성시험 및 유전독성 대체시험 등에 대한 시험법을 확립되었고, 소비자 및 농작업자에 대한 농약의 노출량 평가를 위한 지침과 급성 인체안전기준인 ARfD 및 aAOEL 설정 원칙 및 방법을 확립하여 지침을 도출하였다. 이에 따라, 농약의 소비자 및 농작업자에 대한 안전성 향상 및 보다 과학적인 평가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출처 : 요약서 3p)
    • 연구책임자 : 정상희
    • 주관연구기관 : 호서대학교
    • 발행년도 : 20200200
    • Keyword : 1. 단기노출;급성 위해성평가;급성 노출 허용량;소핵시험;유전독성 대체시험법; 2. Short-term exposure;Acute risk assessment;Acute acceptable exposure level;Micronuclei test;Genetic toxicity replacement test;
  • 11483

    2019.12.31

    비공개항목입니다.
    • 연구책임자 : 박우진
    • 주관연구기관 : 광주과학기술원
    • 발행년도 : 20200100
    • Keyword : 1. 알츠하이머병;치매;아밀로이드 베타;단백질 분해효소;유전자 치료제; 2. NIa (Nuclear Inclusiona);SAS (Sythetic Alpha-Secretase);
  • 11482

    2020.01.31

    비공개항목입니다.
    • 연구책임자 : 조영태
    • 주관연구기관 : 창원대학교
    • 발행년도 : 20200200
    • Keyword : CAMC(Contact Arc Metal Cutting);Underwater Cutting;Electrical Cutting;Voltage Signal;Current Signal;Dismantling of Nuclear Plants;
  • 11481

    2019.12.31

    주민생활환경의 방사능오염으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관련 요소모델을 개발하고 이를 통합하는 의사결정지원을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또한 중대사고관리가 법제화됨에 따라 국내고유의 환경적 특성을 반영한 중대사고 리스크 평가(L3 PSA)를 위한 요소기술을 개발하고, 방사능오염으로 인한 피해 최소화를 위한 대응행위 결정지원시스템, 환경특성을 반영한 L3 PSA 코드활용을 위한 대기확산 및 침적평가모델, 섭취선량평가모델 등을 개발하였다. 원자력 사고를 대비하여 농경환경 방사능오염 관리를 위한 국내 고유 특성을 조사·분석하고 농경환경 방사능오염 관리 핵심요소 기술을 수립하여 의사결정지원시스템인 농경환경방사능오염관리시스템 전산코드를 개발하였다. 대기 침적항 연계 핵종별 토양침적 모델, 연안역 방사능 오염평가를 위한 구획모델과 초기 및 중장기 대응을 위한 통합 방사선환경방호시스템을 구축하였다. 신 방사선 표지물질 개발 및 선량복원 기술 확보, 대규모 사고 대비 피폭여부 신속판독기술 및 일체형 중성자/감마선 혼합방사선장 정량화 기술 개발하고, 기존 선량률 기반의 환경탐사 수준을 넘어 방사능 동시분석 기술과 이를 육상, 수중 및 항공탐사에 적용하여 복합 환경탐사 원천기술을 개발하였다. 시공간별 탐사결과의 시각화로부터 오염 추적이 가능한 환경탐사 통합관리 시스템을 구축하고, 사회 환경 반영 사고 시 중장기 대응행위에 대한 비용분석 정량화 및 콤프턴영상 기술 융합을 통한 방사능오염 탐지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출처 : 서지정보양식 157p)
    • 연구책임자 : 서경석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연구원
    • 발행년도 : 20200100
    • Keyword : 1. 방사능오염대응;농경환경;수생환경;방사선회구선량평가;방사선탐사; 2. countermeasure;agricultural environment;aquatic environment;retrospective dosimetry;radiation survey;
  • 11480

    2020.11.30

    1. Research Purpose In 2017, the UAE launched ‘Energy Strategy 2050’, which is considered the first unified energy strategy in the country. The UAE is targeting to achieve 50% of electricity production from clean energy by 2050. Also, they set a goal to further reduce the proportion of electricity from the coal and gas to decrease the carbon footprint. With the demand for the clean energy, the UAE’s electricity demand has rapidly increased and annual power demand for the future is also projected to rise significantly due to the increase of population and electricity consumption per capita. According to the UAE State of Energy Report 2017, the demand for energy is expected to increase by 6% annually. To meet the rising electricity demand and low carbon footprint simultaneously, the energy strategy should balance the supply of renewable and nuclear energy. However, since renewable energy generations such as solar and wind power produce electricity intermittently, the concerns about the stable power supply become important issue. The global power market expects a flexible power source to solve this renewable energy intermittence. According to the demand for the power stations with flexible operation capability, the assessment of the system performance under the load following operation becomes imperative. In addition, various safety systems including the severe accident mitigation strategy and passive safety features should be considered for preserving the integrity of the nuclear reactor under any circumstances. He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the load following capability of advanced Korean light water reactors(LWRs) and develop the enhanced safety systems considering the UAE environment. (출처 : 본문 : 1. Research Purpose 6p)
    • 연구책임자 : 이정익
    • 주관연구기관 : 한국과학기술원
    • 발행년도 : 20201200
    • Keyword :
  • 11479

    2020.01.31

    □ 연구의 목적 및 내용 • 대규모 방사선 사고 및 테러 대응 피폭선량 신속복원 기술 개발 • 일체형 중성자/감마선 혼합방사선장 정량화 기술 개발 □ 연구개발성과 • 신 방사선 표지물질 개발 및 선량복원 기술 확보 • 대규모 사고 대비 피폭여부 신속판독기술 개발 • 일체형 중성자/감마선 혼합방사선장 정량화 기술 개발 □ 연구개발성과의 활용계획 • 신 방사선 표지물질 • 표지물질 선량을 인체 피폭선량으로 환산하는 알고리즘 및 프로그램 • 현장적용형 선량복원 장비 • 선량복원 실험실간 네트워크 구축 (비상시 선량복원 분산을 통한 속도 효율화) • 방사선테러 용의자 추적용 차량/건물내부/용의자 휴대품 피폭선량복원 기술 • 중성자/감마선 동시 측정용 신소재 섬광물질 • 일체형 중성자/감마선 동시측정 알고리즘 및 측정시스템 (출처 : 서지정보양식 238p)
    • 연구책임자 : 김장렬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연구원
    • 발행년도 : 20200200
    • Keyword : 1. 방사선량복원;방사선 사고;방사선 테러;방사선량회구평가;중성자/감마선; 2. Dose reconstruction;Radiation accident;Radiation terror;Retrospective dosimetry;Neutron/gamma ray;
  • 11478

    2019.12.31

    비공개항목입니다.
    • 연구책임자 : 김장호
    • 주관연구기관 : 연세대학교
    • 발행년도 : 20200100
    • Keyword : 1. 극한하중 시나리오;위험도 평가;정밀해석기법;확률론적 안정성평가;원자력발전 플렌트; 2. Extreme loading scenarios;Hazard level ranking;Precise analysis method;Probabilistic safety assessment;Nuclear power pl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