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Report

All 12,392 Page 97/1,240

검색
  • 11432

    2020.01.31

    IV. 연구결과 ○ 장기 가동된 해체 원전을 활용한 실증연구는 가동중 원전의 장기가동에 대비한 안전 유지와 향상 방안 수립에 기여할 것임. ○ 구조재료 분야 실증 연구 추진 방안 - 본 연구에서 제안된 4개의 구조재료 분야 실증 연구주제는 추진 필요성이 충분하다고 평가됨. ⦁ 원자로부품 고방사선 장기조사 영향 평가 ⦁ 압력경계 기기·재료 열화 손상 평가 ⦁ 증기발생기 열화손상 실증 평가 ⦁ 1, 2차 냉각계통 크러드 및 슬러지 분석 - 예산적인 제약 등으로 인해 실증 연구 수행 우선순위를 고려하여야 할 경우, 실증연구 추진 중요성에 대한 상대적 평가에서 낮은 평가를 받은 ‘1, 2차 냉각계통 슬러지 및 크러드 분석’을 ‘증기발생기 열화 손상 실증 평가’에 포함시켜 추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평가됨. ⦁ 증기발생기 슬러지는 증기발생기 전열관 열화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요소로서 이의 분석을 증기발생기 열화 손상 실증 평가에 포함하여 수행하는 것이 더 효과적인 실증 결과를 창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됨. ○ 기기 및 설비시스템 분야 실증 연구 추진 방안 - 3개의 실증 주제에 대해 실증 연구 추진의 필요성이 높게 평가됨. ⦁ 해체 원전을 이용한 장기가동 원전의 콘크리트 열화 성능 평가 ⦁ 장기가동 원전의 열화기기 내진 성능 평가 ⦁ 원자력시설의 3차원 형상 및 방사능 동시측정기반 안전진단 기술개발 - 실증 연구 추진의 중요성은 인정되나 다른 연구주제와 통합하여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평가된 연구주제 ⦁ 국내 원전의 방사화에 의한 구조재 및 콘크리트의 방사화 현상 연구 → ‘해체 원전을 이용한 장기가동 원전의 콘크리트 열화 성능 평가’와 통합하여 수행 → 단 고리1호기의 케이블 열화 평가는 별도의 실증주제로 분리하든지, 또는 ‘원전화재 환경 기기 및 운전반응성 실증 시험’으로 통합하여 추진하는 것이 바람직 - 규제기관의 안전규제, 실증연구를 위한 유틸리티 공급에서 제약이 있어 수행이 가능하지 않을 것으로 평가된 연구주제는 다음과 같음. ⦁ 실규모 열수력 현상 실증의 3개 실증연구주제 ⦁ 주제어보드(MCB1)) 타입 주제어실 증강 화재 실험 연구 ⦁ 원전 안전성 확인 및 향상을 위한 주요기기 성능 및 가용성 평가 - 고리1호기 해체를 위한 연구개발사업과 중복성이 있어서 실증 연구 형태로 추진하는 것이 바람직하지 않다고 평가된 연구주제는 다음과 같음. ⦁ 해체 작업 중 방사선 피폭량 평가 기술 및 방호 대책 실증 ⦁ 해체 작업과 관련한 방사성폐기물의 수량 평가 기술 및 확산 방지 기술 실증 - 고리1호기를 활용하는 실증 연구주제로서 적절하지 않다고 평가된 연구주제는 다음과 같음. ⦁ 원자력시설 내 로봇 활용성 실규모 평가 ⦁ 구리 금속 케이블 전자기 용융 처리 및 재활용 평가 ○ 구조재료 분야는 Hot Lab. 수준의 실증 연구시설로 충분하며, 기기 및 설비 시스템 분야는 대부분 고리1호기 현장에서 실증연구가 수행되어 별도의 시설 구축이 불필요하다는 평가임. ○ 추진 필요성이 높다고 평가된 실증 연구들은 최종해체계획서(FDP) 승인 이후에 본격 수행되는 것으로 계획되어 있어서, 실증 연구 수행을 위해서는 안전관리 및 방사성폐기물관리 기준을 준수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평가 ○ 실증 연구의 추진이 해체일정에 영향을 주어 비용 증가 등을 야기할 가능성이 있음에 따라, 이의 최소화를 위한 노력이 필요하고 이를 위해서는 해체사업자와 사전협의를 통해 세부계획을 수립하는 것이 요구됨. ○ 구조재료 분야의 고리1호기 활용 실증연구 주제들에 대해 미국 등 해외의 관심이 높으며, 국제협력을 통해 추진 효율성을 제고시키는 것이 필요하다는 평가임. (출처 : 요약문 3p)
    • 연구책임자 : 김현준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학회
    • 발행년도 : 20200200
    • Keyword :
  • 11431

    2020.05.31

    □ 연구개요 가. 연구개발의 최종 목표 ㅇ 분화 갑상선암 환자에서 유전자 발현 시그니처 기반 진단 및 예후 예측 바이오마커 개발을 통한 정밀의학 구현 ㅇ 갑상선암 진행 및 전이 촉진 핵심 유전자를 활용한 바이오마커 개발 ㅇ 갑상선암 진행 연관 암 분화 조절 기전 규명 ㅇ 새로운 갑상선암 치료법 개발을 위한 후보 타겟 발굴 나. 연구 내용 및 범위 ㅇ 분화 갑상선암의 암 진행 정도 및 치료 반응에 따른 연구 코호트 구축 ㅇ 문헌 및 공개 유전체 데이터 분석을 통해 발굴된 유전자 발현 시그니처의 검증 ㅇ 차세대염기서열 분석의 선행 연구를 통해 발굴된 유전자 발현 시그니처의 검증 ㅇ 발굴된 바이오마커의 갑상선암 세포주 실험 및 마우스 모델에서 유전자 발현 기전 및 암화 작용 기전 연구 ㅇ 분화 갑상선암의 임상적 위험도 예측 모델 개발 □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ㅇ 유전자 발현 시그니처를 통한 갑상선암 위험도 분류법 개발함 ㅇ 저위험군 및 고위험군 갑상선암 환자 선별을 위한 유전자 바이오마커 개발함 ㅇ 원격전이 분화갑상선암의 치료 내성과 예후에 대한 위험도 분자병리학적 분류법을 개발함 ㅇ CCND1 splice variant, CD10, CD15, CD20, CD73 발현 갑상선암에 대한 임상 병리학적 특성 및 유용성을 밝힘 ㅇ 서구와는 다른 아시안 갑상선암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국제 공동연구 수행함 ㅇ 마우스 모델에서 갑상선암 세포주의 증식에 관여하는 중간엽줄기세포의 역할 분석함 ㅇ In vivo/in vitro 모델에서 CD73 과발현 조절을 통한 암 진행을 억제할 수 있음을 밝힘 ㅇ BRAF V600E 돌연변이에 대한 분자검사를 대체할 수 있는 면역화학염색법의 유용성과 사용법에 대한 기준을 발표함 ㅇ 갑상선 중심부바늘생검에 2019년 임상가이드라인 제정함 ㅇ SCI 논문 9편 출판(당시 기준 총 impact factor = 45.039), 신의료기술 승인 1건, 지식재산권 국내 출원 1건, PCT 출원 1건, 박사 1명, 석사 1명 양성 □ 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ㅇ 새로운 갑상선 결절 진단 및 환자 위험도 평가 시스템 개발에 활용 ㅇ 수술 전 갑상선결절 진단 정확도 향상 및 질환 위험도 평가 지침으로 활용 ㅇ 수술 후 재발 위험도 평가 정확도 향상을 통해 방사선요오드 치료 결정에 판단 기준에 활용 ㅇ 유전자 발현 조절을 타겟으로 하는 새로운 갑상선암 치료법 개발에 활용 ㅇ 갑상선암 바이오마커의 상용화 기술 진보 ㅇ 갑상선암 환자의 정확한 위험도 분류를 통해 저위험군에는 과잉 치료를 방지하고 고위험군에는 조기에 적절한 치료를 함으로써 환자의 치료 만족도를 높이고, 의료비 절감효과를 기대 ㅇ 통상적인 치료법에 반응하지 않는 환자에 대한 새로운 치료제 개발을 위한 기본 정보를 제공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정찬권
    • 주관연구기관 : 가톨릭대학교
    • 발행년도 : 20200600
    • Keyword : 갑상선암;바이오마커;예후 예측;정밀의학;분자병리학;전사체;유전자 발현;유전자 시그너처;
  • 11430

    2020.05.31

    □ 연구개요 체르노빌, 후쿠시마에서의 대형 원전사고를 비롯하여, 계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방사선 관련 산업으로 인하여 일상생활에서도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는 방사선 노출과 환경과의 상관관계를 규명하고 이를 통해 국민보건 증진과 방사선의 올바른 이해와 활용에 기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자연방사선의 - 배경방사선 (Background radiation) - 영향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지하심층방사선실험실을 활용하여 저선량방사선검출시스템 설계 및 제작, 방사선 시료의 수집과 측정, 이를 기반으로 한 환경 방사선데이터베이스를 구축, 그리고 이와 관련한 선행연구를 실시한다. 최종적으로는 구축된 환경 방사선 라이브러리를 이용한 환경과1의 상관관계 규명에 대한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한다. □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저선량방사선 측정 시스템 개발 → 저선량검출시스템을 설계/제작하였음. ⦁입자수송코드인 MCNP 혹은 GEANT4를 사용하여 최적화 차폐 시스템 제작을 위한 입자수송 모델링기법 개발 →차폐체 설계, 시료용기 최적화, 검출시스템 효율 보정을 모두 MCNP와 GEANT4 코드를 사용하여 도출하였음. ⦁저선량방사선 (감마선) 측정 및 분석 방법 개발 → 감마선 측정과 분석, 그리고 specific activity계산을 하였음. ⦁환경 (물, 토양, 등) 방사선 시료에 대한 선처리 방법 개발 → 남극 해수를 AMP 공침범을 이용하여 선처리를 하였음. ⦁방사선 측정시료에 대한 데이터베이스화 기법 및 분석방법 개발→측정된 핵종별로 계산된 specific activity 데이터를 확보하였고, 스펙트럼 분석을 하였음. ⦁최종적으로 데이터베이스화된 방사선 자료를 통한 환경과의 상관관계 규명에 대한 가능성 확인 및 심층지하방사선 실험실에 대한 저선량 방사선(감마선) 연구에 대한 유효성 확인→ 시료측정과 분석한 데이터양이 많지가 않아 유효성에 대한 결론을 내지는 못했음 □ 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최근 저선량 방사선에 관련한 연구가 세계적으로 많은 관심을 받고 있지만, 저준위 방사선 연구에 힘든 점의 하나가 조사 시료의 방사선량이 적기 때문에 배경방사선과의 구분이 어렵다는 것이다. 이에 대한 해결 방안으로 배경방사선이 최대한 억제되는 심층 지하실험실이 제안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유일의 지하방사선실험실에서 저선량 방사선 측정 분석 시스템을 추가적으로 구축하고 환경시료 (주로 소의 혈액)를 채취하고 그로부터 방출하는 환경방사선 분포를 조사하였다. 본 연구가 시작단계이기 때문에 축적된 데이터가 많지 않아 유의미한 상관관계의 가능성을 확인하는 못했지만, 확보된 데이터는 저선량의 환경방사선 특성과 질병과의 상관관계나 혹은 환경변화의 인과관계를 이해하는데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허장용
    • 주관연구기관 : 이화여자대학교
    • 발행년도 : 20200600
    • Keyword : 1. 저선량방사선검출시스템;배경방사선 억제;지하방사선 실험실;환경방사선;방사선차폐체;몬테카를로 기반 모델링;환경방사선 라이브러리; 2. MCNP;GEANT4;
  • 11429

    2020.11.30

    산학연 연계 원자력전문교육 과제에서는 국가 원자력사업에서 필요한 인력을 양성하기 위해 KAERI 강점기술과 기관 특성에 기반한 교육과정을 개발 운영하고 있다. 원자력 산업체 요원을 주대상으로 하는 원자력전문교육 과정으로서 방사선취급기술과, 방사능분석, 핵분석 등의 교육훈련 프로그램을 개발 및 운영하였다. 차세대 원자력 리더를 양성하기 위한 학·연 협동교육은 원자력 전공의 대학생 및 대학원을 대상으로 이론과 함께 연구원의 실험·실습 장비를 활용하여 학교의 교육과는 차별화된 실험실습 과정을 개발하고 운영하였다. 원자력 연구개발 요원 대상으로는 전문교육, 법정교육 과정을 실시하였으며, 대국민 차원에서 원자력에 대한 올바른 지식과 정보를 공유하고 이에 관해서 이해를 높이기 위해 공공기관, 중등교사,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원자력 이해증진 과정을 운영하였다. 이외에 본 과제에서는 연수원동 강의시설 및 실험실을 운영하고 있으며 연수원동 강의실과 교육시설을 개선하였다. 본 사업을 종합한 결과 2018~2020년에는 59종의 교재를 신규 개발하고 15개 과정을 신규 개발하는 등 총 89개 과정을 운영하였으며, 산업체 대상 교육과정 3,389명, 학연협동과정 310명, 원자력이해증진 과정 1,687명, 연구 요원 교육과정 3,329명 등 총 8,715명이 교육훈련과정에 참여하였다. 2015년부터 학연 협력을 통해 기존의 대학생 현장실습 프로그램을 강화한 인턴십을 2018~2020년에는 261명을 훈련하고 학연협동 석·박사학위 과정 운영을 통해 신규로 93명을 선발하고 석사 40명 박사 16명을 배출하였다. (출처 : 서지정보양식 577p)
    • 연구책임자 : 김웅기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연구원
    • 발행년도 : 20201200
    • Keyword : 1. 원자력교육훈련;인력양성;원자력산업;방사선;실험실습;학연협동;원자력 이해증진; 2. Nuclear education and training;Manpower training;Nuclear industry;Radiation;Experiment and practice;Training course for university students;Understanding of nuclear energy;
  • 11428

    2020.11.30

    본 과제에서는 국제 원자력 교육 훈련 분야에서의 축적된 경험을 바탕으로 국제 원자력 인력을 대상으로 하는 교육 훈련 프로그램을 개발, 운영하였다. 원자력 도입국 혹은 개도국의 인력양성 수요를 바탕으로 지난 3년간 12개의 신규 국제 교육과정을 발굴, 시행하였다. 특히 아·태원자력 협력협정사무국(RCARO) 및 유엔개발계획(UNDP)과의 협력을 통해 전자빔 가속기 분야 이러닝 펠로우십을 운영한 것은 비원자력 국제기구인 유엔개발계획(UNDP) 사업을 수주하여 사업의 다각화에 기여하였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더 나아가 또한 국제 교육·훈련 운영에서는 새로운 분야를 탐색하고 혁신적인 방법을 적용한 교육·훈련(예: 방사성의약품 분야 이러닝 교육·훈련과정 등)을 설계 및 운영함으로써 원자력교육 센터가 지닌 내재적 한계를 극복하여 조직의 역량을 증폭시킬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결과적으로 2018년부터 2020년까지 3년간, KAERI 강점기술, 국제기구 협력, 개도국 기술공여 등 총 19개 교육과정을 운영하여 모두 309명의 교육생을 배출하였다. 2020년에는 COVID-19 사태로 인하여 교육분야 사업이 축소 또는 변경됨에 따라 참가자 수가 가장 적었다. 국제표준 교수학습모델(SAT)을 기반으로 개발한 교육과정 설계서 표준에 따라 17개 교육과정 에 대한 과정설계서 개발 및 개선 작업을 완료하였으며, 특히 이번 단계에서는 2018년에 인증을 획득한 ISO 29990 규격을 적용하여 교육과정 표준운영절차를 실제적으로 적용함으로써 원자력 국제 교육과정의 품질 개선을 위한 기반을 구축하였다. (출처 : 서지정보양식 551p)
    • 연구책임자 : 김현진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연구원
    • 발행년도 : 20201200
    • Keyword : 1. 원자력 인력양성;교육훈련;국제교육;원자력교육;KAERI 강점기술;인력양성 협력; 2. Nuclear Human Resources Development;Training and Education;Nuclear Training;KAERI Technology Strength;SAT;HRD Cooperation;SAT;
  • 11427

    2019.12.31

    본 연구에서는 TID 센서를 모든 전자부품 내에 내장시켜, 유지보수를 위한 방사선 모니터링 기능은 물론, 이를 이용해서 회로를 보상하는 기능을 부가해서 전자부품의 수명을 연장시킨다. 또한 내방사선 효과가 높은 신물질을 이용한 신규소자를 개발하여 핵융합 용 소자의 응용가능성도 확인한다. (출처 : 요약서 3p)
    • 연구책임자 : 김진상
    • 주관연구기관 : 경희대학교
    • 발행년도 : 20200100
    • Keyword : 1. 핵융합로;방사선 영향;단일사건효과;내방사선화 설계;총이온화선량; 2. Nuclear Fusion Reactor;Radiation Effect;single event effect;Radiation-hard ened Design;Total Ionizing Dose;
  • 11426

    2020.07.31

    2) ㈜메디오젠 최종목표 체지방 감소 효능을 갖는 프로바이오틱스 건강기능식품 개발 및 사업화 개발내용 및 결과 (1) 최적의 유산균주 체지방 감소 효능 확인 세포실험 (2) 선별된 유산균주를 통한 동물 실험 (3) 선별된 유산균주의 대량배양 공정개발 (4) 시장조사, 바이어발굴, R&D성과확산 (5) R&D성과물에 대한 지적재산권 확보 기술개발배경 비만은 지방이 필요 이상으로 축적된 경우로, 경제수준의 향상과 서구 식생활 문화의 유입, 편리한 생활양식에 의하여 증가하는 추세임, 체지방 감소를 위하여 운동식이, 수술, 약물치료 등 다양한 방법들이 진행되고 있음, 그 중 체지방감소 기능성 물질들은 동식물 기원의 원재료를 가공한 정제, 합성, 복합물등이 존재함, 그러나 이러한 약품들은 간 기능에 부담을 주고 위장장애, 알레르기, 불안감, 불면증 등 다양한 부작용을 유발하여 보다 안전한 기능성 원료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임, 최근 장내 미생물 균총에 불균형이 야기되면 비만과 같은 대사질환이 유발됨을 확인(비만 관련 유전자의 과발현 억제 등), 이에 장내 미생물 군집 정상화에 도움을 줄 수 있으며 부작용이 없고 안전하다고 알려진 프로바이오틱스가 훌륭한 연구소재가 될 수 있음,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체지방 축적 억제 효능을 갖는 유산균주를 선별하고 세포 및 동물실험을 통해 그 효능을 규명함과 동시에 생산성 향상을 모색하고 제형 개발을 통해 안정적이고 경쟁력있는 제품 생산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확보하고자 함 핵심기술개발의 의의 국산 발효 식품 및 한국인의 인체에서 유래한 유산균주 중 체지방 축적 억제 효능을 갖는 균주를 선별하고 동물모델을 통해 체지방 축적억제 메커니즘과 유전체 분석을 통해 항비만 기능성 개별인정 원료로 인증을 획득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확보하고, 안정적인 공급 및 경쟁력 있는 제조원가 절감을 위해 유산균주의 생산성을 향상하며 시장 조사 및 제형 개발, 지적재산권을 확보하며 이를 바탕으로 마케팅을 통해 국내외 시장 진출을 도모하고자 함 적용분야 건강기능식품 (출처 : 요약 7p) 3) ㈜엔지켐생명과학 최종목표 가도테릭산을 이용한 거대고리형 조영제 도타렘에 대한 연구를 통한 조영 증강 유효성 확인, 조영제 잔존율 검증, 약물 동태 확인, 제형개발 및 안정성 연구를 통한 시제품 생산, 동물시험을 통한 기능성 검증 개발내용 및 결과 (1) 조영동등성 동물실험 진행 (2) 시제품 생산, 제품 분석 (3) NMR(Nuclear magnetic resonance) (4) 원료 의약품 개발 후 완제 주사제제 생산 (5) 시장조사, 바이어 발굴, R&D 성과 확산 (6) MRI조영제 의약품 국제 컨벤션 참가 (7) R&D 성과물에 대한 지적재산권 확보 기술개발배경 MRI 인체 스캔시 영상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조영증강인자로 구조에 따라 선형(linear agent)과 거대고리형(macroyclic agent)으로 나뉘어지며, 선형 MRI조영제는 가돌리늄의 독성에 의한 신원성 전신 섬유증에 대한 안전성 문제가 대두됨. 2017년 11월 유럽집행위원회(EC)는 소량의 가돌리늄이 뇌에 축적될 가능성이 있어 선형 가돌리늄 조영제 3품목(가도디아마이드, 가도펜테틴산, 가도베르세타미드)에 대한 판매 중지발표함. 2018년 5월 식품의약품안전처는 '미국 FDA, 가돌리늄 조영제의 뇌 및 체내 잔류에 대한 안전성 서한' 을 통해 선형 제제는 거대고리형 제제보다 체내에 가돌리늄이 더 많이 잔류되므로 거대고리형 제제를 우선 사용해야 함을 권고함. 안정성에 대한 이슈가 적은 거대고리형 조영제인 도타렘을 생산하기 위해서 온도를 올릴 수 있는 반응기, 정제를 위한 장비가 필요하기 때문에 높은 가격에 공급됨. 가도테릭산을 원료의약품으로 도타렘을 생산 시 가도테릭산에 메글루민을 혼합하여 주사제로 포장하는 간단한 공정이 가능하기 때문에 가격경쟁력을 갖출 수 있음 핵심기술개발의 의의 거대고리형 조영제(도타렘, 가도테리돌, 가도부트롤)에서는 안전성에 대한 이슈가 없어 수요가 증대되고 있으며, 기존의 도타렘 제조방법에서는 도타의 정제가 어렵기 때문에 높은 가격이 책정됨. 싸이클렌에서 출발하여 도타에서 정제없이 가도테릭산을 제조하여 도타 단계에서 수율이 감소되지 않고 최종 제품의 수율이 90% 이상으로 증가됨에 따라 공급량과 제조원가를 기존 제품들에 비해 경쟁력을 갖출 수 있게 되어 국내외 시장을 선점하고자 함 적용분야 MRI 조영제 (출처 : 요약 8p)
    • 연구책임자 : 박준규
    • 주관연구기관 : 충북테크노파크
    • 발행년도 : 20200800
    • Keyword : 체지방감소;프로바이오틱스;건강기능식품;가도테릭산;도타렘;MRI조영제;
  • 11425

    2020.11.30

    비공개항목입니다.
    • 연구책임자 : 장재훈
    • 주관연구기관 : 한국기계연구원
    • 발행년도 : 20201200
    • Keyword : 1. 중성자 흡수;중성자 차폐;스테인리스강;연신율;압연성;내식성; 2. Neutron absorbability;Neutron Shielding;Stainless;Elongation;Workability;
  • 11424

    2020.05.31

    □ 연구개요 원자력발전소의 사고 분석 수단인 확률론적 안전성 평가(PSA, Probabilistic Safety Assessment) 방법을 토대로, 암치료 환자가 방사선치료 과정에 들어서는 CT 촬영에서 시작하여, 치료용적 설정, 치료계획수립 및 선량계산, 선량 전달 검증, 방사선 조사, 치료계획수정 등을 포함하는 전 과정에 걸쳐, 치료시스템을 이루는 구성요소들의 선량 전달 오류 혹은 극단적으로는 사고에 이르는 시나리오에 대한 공학적, 체계적 분석을 통하여, 선량 전달 오류 또는 발생 가능한 사고 가능성을 정량화할 수 있는 확률론적 안전성 평가 기술을 확보함으로써, 치료 신뢰성 평가 및 예방정비 프로그램에 기초하는 방사선 치료 안전관리 체계를 구축 □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방사선치료 과정 계통 분석 ◦선량 전달 오류 초기사건 선정 및 발생확률 모델링 ◦기계 동작 및 인적 오류 전파 시나리오 분석 ◦사건 수목 분석 ◦치료계획장치 선량 계산 오류 평가 함수 모델링 ◦인적 오류 평가 함수 모델링 ◦구성 요소 신뢰도/안전성 평가 모델링 ◦고장 수목 분석 ◦불확실도 평가 ◦치료 계통 선량 전달 신뢰도/안전성 평가 ◦치료 시스템 신뢰도/안전성 평가 프로그램 개발 □ 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본 연구에서는 우선 원자력 분야에서 사용되는 PSA라는 개념을 이용하여 방사선치료 평가에 적용하여 보았음. 이를 통해 기기 신뢰도보다 방사선치료 프로세스에 더 많은 위험이 도사리고 있다는 것을 간단하게나마 정량적으로 평가가 가능하였으며 이는 기기의 오류보다는 인적오류가 더 위험하다는 것을 방증. 이는 데이터베이스만잘 갖추어 진다면, 확장되고 좀 더 명확한 사건수목도를 통해 정말로 위험한 치료인자가 무엇인지 정량적으로 도출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환자치료의 질의 향상은 물론 방사선 치료 안전관리 체계 구축에 이바지할 것이라 사료됨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주형민
    • 주관연구기관 : 강원대학교병원
    • 발행년도 : 20200600
    • Keyword : 방사선치료;안전 관리;확률론적 안전성 평가;
  • 11423

    2019.12.31

    ○ 본 연구에서는 남북, 미북 정상회담 등 한반도 비핵화 진전에 따른 한반도 비핵화 이행에 따른 과학기술적 대응 방안과 남북 원자력 협력 방안을 제시함 ○ 최근 북한의 비핵화 경과, 핵무기 등 개발 동향, 원자력 시설 등 현황, 국내외 비핵화 사례, 완전한 비핵화 이행 절차 등을 조사함 ○ 신고, 검증, 평가, 해체 등 이행 절차에 따른 우리나라의 과학기술적 준비와 대응 방안을 제시함 ○ 북한의 비핵화 이후 남북한 원자력 협력 모델로 원전, SMART, 방사선 기술을 제시하고 핵시설 인력의 재배치 방안을 제시함 (출처 : 보고서 요약서 3p)
    • 연구책임자 : 강영철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안전아카데미
    • 발행년도 : 20200100
    • Keyword : 1. 한반도 비핵화;북한 핵 시설;남북원자력협력;국제과학기술센터;에너지특구; 2. Denuclearization of the Korean peninsular;North Korea nuclear facilities;the South-the North nuclear cooperation;International Science and Technology Center;Energy Special Zo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