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Report

All 12,381 Page 97/1,239

검색
  • 11421

    2020.02.29

    □ 연구개요 본 연구의 최종 목표는 도심지의 태양광 에너지 자원량 평가 시 간과되었던 산란일 사량과 반사일사량 계산을 실험을 통하여 측정하고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수학적인 모델을 구축하는 것이다. 모델을 구축하기 위해 일사량 측정 시스템을 구축하고 통제된 환경하에서 진행되는 통제 실험과 실제 현장에서 진행되는 현장 실험을 수행하였다. 최종적으로 실험 결과와 측정 값을 바탕으로 기존 모델보다 우수한 태양광 잠재량 계산 모델을 구축하고 도심지의 잠재량 평가 정확도를 높이고자 한다. □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총 3차년도에 걸쳐 일사량 측정 시스템의 구축, 통제 실험 수행, 산란일사량 및 반사 일사량 계산 모델 구축, 현장 실험 수행, 종합 일사량 계산 모델 구축의 세부 연구 목표를 수립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일사량 측정 시스템은 독립적으로 작동할 수 있는 최고 사양의 일사량 센서 시스템을 구축하였으며 통제 실험을 수행하여 관련 자료들을 취득하였다. 산란일사량과 반사일사량 모델은 통제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정량화시키고 수식 및 물리 모델을 수립하였다. 현장 실험은 연구 대상지를 선정하여 4개의 지역에서 5종류 이상의 각도로 설치된 일사량 센서를 통해 자료를 취득하였다. 고안된 산란일사량과 반사일사량 모델을 일부 수정 및 보완하여 현장 실험 결과에 적용하였고 최종 일사량 계산 모델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모델은 기존 방법들에 비해 높은 정확도를 보였으며 이를 사용하여 현장 실험이 수행된 지역의 일사량을 계산할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연구 목표를 모두 완료하였으며 도심지를 포함한 다양한 지역의 태양광 잠재량 평가를 수행할 수 있는 모델을 제안하였다. □ 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본 과제에서 제안된 모델은 다양한 현장에 적용될 수 있으며 특정 위치의 일사량 계산, 일사량 분포 계산, 최적 위치 선정 등 다양한 활용성을 가지고 있다. 또한 도심지 외에도 광역적인 지역에 대한 잠재량 평가나 수상태양광과 같은 기술들에 대한 고려도 가능하다. 기계학습이나 위성영상을 사용한 일사량 연구와 연계할 수도 있으며 향후 센서들을 사용한 사물인터넷 등 서비스 분야로의 확장도 기대할 수 있다. 최근 신재생에너지 보급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고 국내에서도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기 때문에 본 연구 결과는 이러한 정책 수립 및 기술 평가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박형동
    • 주관연구기관 : 서울대학교
    • 발행년도 : 20200300
    • Keyword : 태양광;태양에너지;일사량;그림자;산란일사량;반사일사량;실측 실험;현장 실험;계산 모델;
  • 11420

    2019.12.31

    ◦ 2019년 수출입통제 사업으로 원자력수출입통제 관련 정책수립 및 이행을 위한 대정부 기술지원, 수출통제 관련 법령 검토, 산업계에 대한 아웃리치 활동, 국제협력활동 등을 수행함 ◦ 수출입통제 이행과 관련하여, 전문판정 3,915건, 수출허가 586건 및 핵물질 수출입 요건확인 264건 등에 대한 기술 심사를 지원하였으며 온라인 수출입통제 민원시스템인 NEPS를 유지관리 및 재구축사업을 수행하여 민원 편의를 도모하였음 ◦ 전문판정 업무위탁기관 지정을 대비하여 UAE 등 원전수출에 따른 전문판정심사 경험사례를 반영한 전문판정 심사지침서를 개정하고, 핵물질 수출입요건확인, 정부보증 업무의 객관성과 신뢰성을 제고하기 위하여 지침서를 마련하였음 ◦ 제9차 NSSC-FANR 수출통제 연례회의에 참석하여 UAE BNPP 시운전 및 운영에 지장을 줄 수 있는 ECI 접근에 대한 문제를 논의함으로써 보다 실질적인 협력 활동을 수행하였음 ◦ NSG 총회, CG, TEG 등 국제무대에서 축적된 경험을 선진국 및 원전도입국과 공유하고 발전시키는 노력을 하여 대외신인도 제고하였음 ◦ 수출통제 제도 인지도 및 이행률 제고를 위해 수출자 대상 교육 8회, 전시회 3회, 출판물 발간 3건 등 총 14건의 아웃리치를 수행함 (출처 : 초록 104p)
    • 연구책임자 : 신동훈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통제기술원
    • 발행년도 : 20200100
    • Keyword : 1. 수출입통제;핵공급그룹;전문판정;수출허가;원자력수출입통제시스템; 2. Export Control;NSG;Classification;Export License;NEPS;
  • 11419

    2019.12.31

    1. 연구목표: 중성자 흡수 원소(B, Gd 등)을 활용한 중성자 차폐용 스테인리스강 합금 및 제조 기술 개발 2. 연구결과 ◯ 보론 함유 스테인리스강 (BSS) 제조 -. 다량의 보론을 포함하는 강종에서 유해한 석출상 형상을 제어함으로써, 강도와 연신율, 열간 성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최적의 구상화 열처리 조건 도출, 내식성 및 용접성 평가 ◯ 고유 성분계 개발 -. 열역학 계산 기반 합금 설계 -. 중성자 차폐 성능 측정을 통한 보론 함량 및 석출물 형상이 중성자 차폐 성능에 미치는 효과 분석 ◯ 경제성을 향상시킨 신합금계 기지 조성군 설계 -. 가돌리늄 포함 시험편 제조 : 다량의 가돌리늄 포함 시편 제조 기반 기술 확보 -. 가돌리늄 석출물의 미세조직 분석을 통한 물성과의 연관성 파악을 위한 데이터 확보 (출처 : 초록 3p)
    • 연구책임자 : 이태호
    • 주관연구기관 : 한국기계연구원
    • 발행년도 : 20200100
    • Keyword : 1. 중성자 흡수;중성자 차폐;스테인리스강;연신율;압연성;내식성; 2. Neutron absorbability;Neutron Shielding;Stainless;Elongation;Workability;
  • 11418

    2019.12.31

    ● HF-DLC 코팅의 유체 윤활 시험법 확보 - 유체윤활 환경 하 Tribo-system에서 인가된 수직하중은 피할 수 없는 제어 불가인자로 이를 상쇄할 수 있는 힘 평형에 대한 근본적 해결법은 물성 (경도 및 탄성계수)이 상이한 단일 코팅물질의 다층 막 (Multi-layer)도입으로 이를 해결함 - 윤활 막에서의 내마모성 증가와 저마찰 특성은 다층막 도입을 통한 파괴인성 증대와 하중 증가에 따른 Crack 전파 차단의 역할과 소성변형에 대한 저항성 증가로 이를 극복함 ● HF-DLC 코팅의 고체 윤활용 내구성 평가 기술 - 우주환경에서의 고온 모사실험을 위해 적외선 IR 방사기 구축을 통해 표면온도 상온 ~ 1300 ℃환경 하 Tribo-특성 평가가 가능하도록 함 ● 최소 수직하중 1N 확보 기법 연구 - 1N급의 미소하중 인가 후 Tribo-system의 회전체 진원도, 감지부 및 하중보정을 통한 미소하중인가 후의 신뢰성 있는 평가 기법 확보 ● 지상 우주방사선 환경 모사 후 트라이보 시스템 성능 검증 - 우주 환경용 기계부품류의 적용 구체화 (슬라이딩 베어링 부품) 및 평가 환경 선정완료 - Ti doping 된 HF-DLC 코팅 막 제작 및 우주방사선 환경 노출 후 트라이보 시험 평가 시 마찰계수 (0.041), 마모량 (1.28 × 10-8 mm3/Nm)를 확보 함 (출처 : 보고서(초록) 3p)
    • 연구책임자 : 장영준
    • 주관연구기관 : 한국기계연구원
    • 발행년도 : 20200100
    • Keyword : 1. 윤활;고체윤활;우주 트라이볼로지; 2. Tribo-system;Lubrication;Solid Lubrication;Space tribology;HF-DLC;
  • 11417

    2020.02.29

    - 5개의 암세포들과 방사선(0, 4, 6 Gy)을 조사하고 나온 exosome의 수는 입자크기가 30~150 nm 사이에 있는 것을 측정하였으며, 방사선량에 민감하게 반응하여 exosome이 많이 나온 세포가 HepG2인 것을 확인함. - 발굴된 miRNA-151a-3p가 p53 유전자를 억제함을 확인 하였으며, p53의 mRNA level과 protein level 모두 감소하는 것을 확인 함. 특히 P53 하위 유전자로서 방사선 조사에 의해 특이적으로 exosome내에 탑재되어 방출되는 암억제 유전자인 Maspin의 발현이 방사선 조사된 exosome내에서 발현이 증가함을 확인하였음. - 또한 HepG2 일반 세포주와 P53 null 세포주에서 방사선 조사 후의 시간에 따라 방출된 exosome의 크기가 확연히 달라짐을 정성적 분석을 통해 확인하였음. Exosomal microRNA microarray analysis를 통해 miR-151a-3p를 확인하였으며 타깃인 P53 단백질과 그 하위 인자들이 유의미하게 감소하였으며 암세포 전이에 관련된 TWIST와 같은 인자가 증가함을 확인하였음. - HepG2 일반세포주에서 miR-151a-3p의 기능이 세포의 증식 및 운동성의 증가, 전이능력의 증가와 연관이 있음을 확인한 후 MTT assay, Transwell migration invasion assay를 통해 세포의 증식능력과 운동성 및 전이능력의 정도를 평가하였음. (출처 : 보고서 요약서 3p)
    • 연구책임자 : 하창훈
    • 주관연구기관 : 울산대학교
    • 발행년도 : 20200300
    • Keyword : 1. 방사선치료;미세소낭;마이크로알엔에이;혈액 바이오마커;암세포사멸; 2. Radiotherapy;exosome;microRNA;blood biomarker;tumor apoptosis;
  • 11416

    2020.05.31

    □ 연구개요 본 연구에서는 우주 상수의 문제에 접근하는 새로운 방법 중의 하나로써 아직은 발견되지 않은 자연계의 작은 값과 우주 상수를 연결 짓는 방법을 상정 하고, 그에 대한 가능성으로 광자의 정지질량을 제안하였다. 그렇게 하여 이처럼 작은 광자의 정지질량을 우주상수의 기원으로 가정하고 대응되는 이론적인 모형을 구축한 후 우주론적인 관측 자료와 모순이 없도록 하는 광자의 정지질량을 제시할 것이다. 더 나아가 우주상수와 광자의 정지질량 사이의 관계식을 하나의 자연의 원리로 정립할 수 있는지를 탐구하기 위하여 이와 관련된 여러 주제에 대해서 연구를 할 것이다. □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본 연구과제에서는 FRW 시공간에서 광자의 정지질량을 기술하는 이론적인 모형을 제안하여 암흑에너지를 기술 하였으며, 우주론적인 관측 자료와의 비교를 통해 가능한 광자의 정지질량을 예측하였다. 구체적인 모형은 FRW 시공간에서 stueckelberg mechanism을 통하여 게이지 불변인 이론적인 모형을 고려한 후, 배경진화 방정식을 바탕으로 임계점에 대한 조사를 수행하였으며, 암흑 에너지가 광자의 정지질량에 의하여 주어질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광자의 정지질량에 의하여 주어진 암흑에너지는 초기 우주의 경우 radiation과 같은 비율로 진화를 한다는 사실을 알았으며, 이러한 초기 조건이 radiation보다 작기만 하면 관측 적으로 문제가 없다는 점에서 장점으로 판단이 된다. 또한, 물질 우세시기의 경우 암흑 에너지의 감소 비율이 점점 줄어들어 최종적으로는 암흑 에너지가 우세하게 되는 시기가 형성이 되어 현재의 가속 팽창하는 우주를 설명할 수 있다는 점을 확인 하였다. 이러한 모형으로부터 Type Ia supernovae, Baryon acoustic oscillation, Cosmic microwave background radiation 그리고 Hubble parameters의 관측 데이터를 바탕으로 모형 파라미터의 확률적 분포를 확인해 본 결과 10-27ev정도임을 확인하였다. □ 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본 연구의 핵심은 ‘광자의 정지질량을 가정하여 우주론적인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가‘이다. 이러한 접근 방식으로 암흑에너지의 근원에 대한 해명 및 미세조정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를 한다. 물론 가정한 광자의 정지질량의 크기는 매우 작을 것이지만, 물리학적으로는 매우 중요하며 근본적인 질문과도 연결이 되는 내용이다. 또한 광자의 정지질량을 예측함에 있어서 기존의 방법과는 다르게 우주론적인 관측 자료를 사용했다는 점에서 새로운 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3p)
    • 연구책임자 : 권세연
    • 주관연구기관 : 성균관대학교
    • 발행년도 : 20200600
    • Keyword : 1. 암흑에너지;광자의 정지질량; 2. stueckelberg mechanism;
  • 11415

    2020.08.31

    □연구개요 후생유전학적 관점에서 종양억제와 깊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histone deacetylase (HDAC) 억제제를 이용하여, 방사선치료가 주요한 치료 중 하나이나 충분한 국소제어율을 얻지 못해 치료 성적이 좋지 않은 뇌 교모세포종 (Glioblastoma)을 대상으로 방사선 감작제로서의 역할을 확인하고자 함. 전임상연구를 수행하여 교모세포종 세포주와 동물종양모델에서 방사선치료 적용 시 HDAC 억제제와의 병용을 통해 방사선감작제로서의 역할, 특히 차세대 방사선치료로 각광받고 있는 양성자와 의 병용 시 세포사멸효과를 X-선과 비교하고, 종양 유전자 분석을 통해 치료효과와 의 연관성을 확인하여 환자 맞춤형 방사선치료를 위한 기반을 확립하고자 함.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뇌 교모세포종에서 HDAC 억제제의 양성자 감작 효과 및 기전 확인을 통한 새로운 방사선 감작제 개발의 이론적 배경 확립을 최종 목표로 다음과 같은 세부 연구를 진행하였음. 1) 뇌교모세종세포에서 HDAC 억제제인 valproic acid (VPA)의 X-선 대비 양성자 치료 증진 효과 비교 -양성자가 X-선 대비 뇌교모세포종세포에 효과가 더 컸고, VPA는 양성자 감작효과가 확인되었음. 2) 3D 배양 모델에서 X-선과 양성자 치료 효과 측정 플랫폼 개발 -마이크로필러와 arginate를 이용한 3D 배양 모델을 만들고, X-선과 양성자의 다양한 선량에 따른 반응을 측정하는 플랫폼을 개발 완료하였음. 3) 3D 배양된 3종의 교모세포종 세포에서 VPA의 양성자 치료 효과 차이 확인 -3D 배양 조건에서 양성자와 VPA 병용이 단독 대비 치료 효과가 증진됨을 확인. 4) 3D 배양 조건에서 RNAseq을 통한 양성자와 VPA 병용 효과 관련 pathway 분석 - VPA 단독처리군에서 기존에 알려지지 않은 pathway 발굴됨. - VPA와 양성자 병용군에서 특이적으로 발현이 감소되는 pathway 발굴됨. □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Valproic aicd는 뇌전증, 발작 등에 사용되는 안전성이 입증된 약제로 뇌교모세포종의 양성자 치료 시 병용 투여 가능성을 확인하고, 관련된 gene pathway 분석을 통해 새로운 바이오마커를 찾고자 하는 것이 주요 목적임. 1) 기술적 측면 -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표준 측정법인 2D clonogenic assay에서 보다 실제 종양 환경에 근접한 3D 배양 기반 양성자 반응 측정 플랫폼을 개발하였음. - 3D 조건에서는 양성자와 valproic acid의 병용 효과가 우수함을 최초로 보였음. - 최신 next generation sequencing (NGS)기법인 RNAseq 분석을 수행하여 치료반응과 관련된 새로운 바이오마커 발굴을 위한 기반 데이터를 제공함. 2) 경제적-산업적 측면 -양성자의 뇌교모종 환자 치료 효과 관련 이론적 토대를 제공. -양성자 치료 반응 플랫폼 개발로 향후 새로운 병용 치료제 개발에 활용 가능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양성자 맞춤형 환자 선별 가능의 기반 제공. (출처 : 요 약 문 2p)
    • 연구책임자 : 유정일
    • 주관연구기관 : 삼성서울병원
    • 발행년도 : 20200900
    • Keyword : 교모세포종;양성자 치료;히스톤디아세틸레이즈 저해제;플랫폼 개발;바이오마커;삼차원 배양;전사체 분석;발프로산;
  • 11414

    2020.08.31

    □ 연구개요 1) 직장암에서 방사선치료의 반응성을 예측 방사선 치료 반응성에 관여하는 인자를 선별 2) 후보 인자의 억제시 실제 방사선 반응성에 대한 평가 후보 유전자들이 발현되는 암세포주의 선별 후보암세포주에 방사선 조사를 시행하여 방사선 저항성군과 감수성 군을 선택 선택된 암세포주에서 siRNA 감염을 통한 목표 인자를 억제 □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1) 방사선 치료전/치료후/수술후 조직의 확보 반응군과 비반응군의 조직을 확보해서 방사선 치료 전/후 수술 후 검체를 채취함. 모두 내시경적 조직의 검체를 확보하여 연구 대상 선정 단, 검체 총량이 부족하여 NGS 시행 후 결과에 대한 비교에서의 통계학적 파워가 약하다고 생각됨. 2) 추정인자의 확인 NGS를 이용한 각실험군에서의 특징을 추정 각 샘플의 특징이 다르기에 다각도 분석을 시행함. 반응군/비반응군 그룹화에서의 결과와 각각 1인의 반응에 따른 반응이 비교 결과 사전 예상과 같이 특성이 각각 다름을 확인함. 3) 방사선 저항인자의 발현과 억제를 위한 세포주 제작 선정된 유전자중에서 방사선 예측 인자의 추정인자 선정하여 억제 선정함. 세포주 억제 및 활성화가 목표한 바까지 이루지 못함. 4) 2차 선정 세포주의 활성과 이에 대한 방사선 조사 실험 진행하지 못함. 세포주 Knock down 및 배양에서 목표에 도달하지 못함. □ 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직장암의 수술 전후 방사선 예측 인자를 선정하는 것은 불필요한 방사선 조사를 줄여줄 수 있음. 본 연구에서 방사선 예측 인자들을 찾아냈으나, 임상적의 적용에 대한 추가 연구가 더 필요함. 예측인자의 확정은 추후 방사선 치료 효과 증폭을 위한 기술의 토대가 될 것으로 생각됨.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안태성
    • 주관연구기관 : 순천향대학교
    • 발행년도 : 20200900
    • Keyword : 직장암;방사선 치료;방사선 저항성;차세대염기서열분석법;
  • 11413

    2020.11.30

    고추 병 주요 원인 중 하나인 pepper mottle virus (PepMoV) 및 감자역병균 (Phytophthora infestans)을 대상으로 RNAi 작물보호제 기술연구를 위해 외래 합성 dsRNA 처리 방법으로 PepMoV 및 감자역병균 증식 억제에 대한 dsRNA 효과 확인 및 dsRNA screening 과정을 진행함. PepMoV의 RNA-dependent RNA polymerase로 알려진 NIb 유전자와 poly-protein maturation에 관여하는 HC-pro 유전자 그리고 감자역병균 effector 유전자인 PiAvr3a, PiAvr8/Avrsmira2 및 PiPSR2 유전자를 표적 유전자로 선정 후 dsRNA를 디자인 및 제작하고 담배에 처리하여 PepMoV의 증식 억제를 확인하고 5′RLM-RACE를 통해 mRNA 내 절단 위치를 확인함. (출처 : 요약서 3p)
    • 연구책임자 : 신찬석
    • 주관연구기관 : 서울대학교
    • 발행년도 : 20201200
    • Keyword : 1. RNA 간섭;이중가닥 RNA;이중가닥 RNA 전달;고추모틀 바이러스;감자역병균; 2. RNA interference;double-stranded RNA;dsRNA delivery;Pepper mottle virus;Phytophthor a infestans;
  • 11412

    2020.11.30

    □ 연구의 목적 및 내용 비알코홀성 지방간질환 섬유화 과정에 있어 TFEB/TFE3 유전자 및 lipophagy 활성화의 역할을 세포 및 동물 모델에서 확립하고, 이를 이용하여 새로운 치료법 개발 가능성을 제시한다. 특히, PPARs 등의 핵수용체 조절이 TFEB/TFE3 유전자 및 lipophagy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한다. □ 연구개발성과 ◼ 기초의과학자의 양성을 위한 기초 실험지식 및 실험법 습득 ◼ 기초의과학자가 독립적 연구 수행을 할 수 있는 토대 마련 ◼ 기초의과학자 박사 학위 습득 ◼ 국제 학술대회 발표 및 국제학술지 1편 (JCR 20% 이내) 게재 □ 연구개발성과의 활용계획(기대효과) ◼ 비알코홀성 지방간섬유화 병태생리의 새로운 기전을 제시함 ◼ 비알코홀성 지방간섬유화 치료의 새로운 분자 표적을 발굴함 ◼ 기존 약물, 화합물은행, 생약물질 스크린을 통해 autophagy 또는 lipophagy 조절을 통한 간섬유화를 치료 후보 물질 발굴 및 임상적용 ◼ 비침습적 방법을 이용하여 간섬유화 진단 바이오마커 발굴 및 치료 반응 평가 지표 발굴 (출처 : 요약문 4p)
    • 연구책임자 : 황유철
    • 주관연구기관 : 강동경희대학교병원
    • 발행년도 : 20201200
    • Keyword : 1. 비알코홀성지방간;간섬유화;간성상세포;리포파지;지방소적; 2.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Hepatic fibrosis;Hepatic stellate cell;Lipophagy;Fat accumul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