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Report

All 12,453 Page 97/1,246

검색
  • 11493

    2020.02.29

    ⚫ 딥러닝 기반 인체부위별 합성CT 생성 플랫폼 설계 ⚫ 딥러닝 기반 인체부위별 합성CT 생성 플랫폼 개발 ⚫ 딥러닝 기반 범용 합성CT 생성 플랫폼 개발 (출처 : 보고서 요약서 3p)
    • 연구책임자 : 박종민
    • 주관연구기관 : 서울대학교병원
    • 발행년도 : 20200300
    • Keyword : 1. 자기공명영상유도 방사선치료;자기공명영상;합성CT;딥러닝;다학제 연구; 2. Magnetic resonance image-guided radiation therapy;Magnetic resonance image;Synthetic CT;Deep learning;Multidisciplinary study;
  • 11492

    2020.02.29

    Ⅳ. 연구개발결과 ● 방사선을 활용한 저온공정 페로브스카이트 기반 박막태양전지 제조기술은 상용화에 필요한 중요한 기술적 한계들을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전략을 제시할 것으로 여겨지며 아래의 목표치를 달성하는 성과를 거둘 것으로 기대됨. ● 고성능 perovskite 광활성박막 저온 제조 기술 (100 도 5분이하) ● 저온공정 버퍼층 소재 (ETL 3종 이상, HTL 2종 이상) 소재 개발 (전하이 동도 1X10-3 cm2/V·s 이상, 소결온도 150도 이하) ● 방사선을 활용한 저온공정용 고성능 perovskite 박막 태양전지 소자 개발 (Pb계 박막태양전지 효율 20% 이상) ● SCI 논문개제 8편 (상위 5% 논문 7편) ● 국내특허출원 1건, 국내 특허등록 1건 (출처 : 요약문 4p)
    • 연구책임자 : 장성연
    • 주관연구기관 : 울산과학기술원
    • 발행년도 : 20200300
    • Keyword : 1. 방사선 조사법;박막태양전지;페로브스카이트;버퍼층소재;저온공정; 2. Radiation;Thin film solar cell;Perovskite;Buffer layer;Low temperature process;
  • 11491

    2020.01.31

    □ 연구의 목적 및 내용 본 과제에서는 췌장염과 구별하여 췌장암만을 정밀진단 할 수 있는 방사성프로브를 일련의 전임상 평가연구를 통해 비임상시험관리기준 (GLP) 단계 진입 후보물질로 확립하는 것을 목표로 함. 선행연구를 통해 확보한 방사성프로브 선도물질의 유효성 평가, 안전성 평가, 약물분석 등 철저한 전임상 연구를 통해 성공적인GLP 진입을 위한 후보물질의 핵심 평가자료를 확보하고자 함. □ 연구개발성과 ○ 성공적인 본 연구는 췌장암의 조기진단, 전이된 췌장암의 진단, 췌장암과 췌장염의 구별 진단을 모두 충족시킬 수 있는 방사성프로브 개발로 이어질 수 있음. ○ 현재 임상에 이미 널리 사용되고 있는 리포좀을 기본 플랫폼으로 사용하면서도 리포좀을 직접 표지하는 방식이 아니고 지질 형태의 유기 단분자를 표지하여 리포좀에 탑재하여 종양 영상을 획득하는 새로운 영상 조영제 플랫폼을 제시. ○ 방사성프로브 후보물질의 후속 전임상 단계인 GLP 진입 여부를 결정하는데 중요한 자료인 안전성 평가 및 약물분석 데이터를 도출함. ○ 췌장염을 선별적으로 진단할 수 있는 황화수소 기반 핵의학영상 조영제의 유효성을 검증하여 새로운 염증질환 진단 조영제로서 가능성 제시. □ 연구개발성과의 활용계획 (기대효과) ○ 췌장암과 췌장염을 선별적으로 민감도 높게 진단할 수 있는 방사성프로브의 개발은 췌장암 조기진단에 활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췌장암과 췌장염의 구별진단을 가능케 하여 오진에 의한 불필요한 췌장염 수술을 줄이는데도 기여할 수 있음. ○ 전이된 췌장암을 진단할 수 있는 조영제 개발은 췌장암의 병기 (staging)를 정확히 판정하는데 매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으며 치료 방향을 결정하는데 중요한 기준을 제공함. ○ 황화수소 진단 방사성프로브를 통한 췌장염 진단 연구개발 성과는 다양한 염증 질환 진단에 확대되어 활용될 수 있음. (출처 : 요약문 12p)
    • 연구책임자 : 유정수
    • 주관연구기관 : 경북대학교
    • 발행년도 : 20200200
    • Keyword : 1. 췌장암;췌장염;방사성프로브;핵의학영상; 2. Pancreatic cancer;Pancreatitis;Radioactive probe;Nuclear imaging;
  • 11490

    2020.11.30

    본 연구는 원자력안전법에 따른 원자력이용사설의 안전 운용과 원자력연구개발 과정 에서 받을 수 있는 방사선피폭에 대해 개인에게 유해한 결정적 영향의 발생을 방지하고 확률적 영향을 합리적으로 용인 될수 있는 낮은 ALARA 수준으로 제한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밀봉선원 사용시설, 방사선 발생 장치 사용시설, RI생산 연구시설 등에 대하여 방사선 작업환경감시와 방사선 작업 종사자에 대한 관리 및 연구소 주변 환경 영향평가를 수행하였다. - 방사선관리구역 내 방사선 작업환경감시는 모든 출입자의 출입관리를 포함하여 외부방사선량률, 방사성물질에 의한 표면, 공기 중 및 수중오염도와 배기 중 방사성물질의 농도를 주기적 또는 필요시 측정하여 방사선작업 환경의 방사선/능 준위를 법적 기준이하로 낮게 유지 관리함으로써 방사선안전성을 확보하였다. - 첨단방사선연구소 방사선작업자의 개인피폭선량계 판독건수 연평균 397건 이었다. 연간선량한도를 초과하여 방사선에 피폭된 종사자는 없었다. - 연구소 주변 환경 영향 평가를 위해 연평균 304건에 대해 분석을 수행하였다. - 방사선작업종사자에 대한 방사선장해방어와 안전성 확보를 위하여 신규 및 기존 종사자를 대상으로 장해방지를 위한 교육을 실시하여 총 123명(2019년 기준)이 교육을 수료하였다. (출처 : 서지정보양식 - 초록 259p)
    • 연구책임자 : 최대성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연구원
    • 발행년도 : 20201200
    • Keyword : 1. 시설관리;방사선방호;첨단방사선연구소; 2. ALARA;γ-radionuclide analysis;environmental radioactivity analysis;radioactivity;meteorology;ARTI;
  • 11489

    2020.09.30

    ○ 이 보고서는 원자력인력 수급 조사연구 분석을 토대로 향후 전망과 정책 대안을 제시함 - 원자력산업 인력은 2030년에 29% 감소한 약 25,500명으로 추정되며, 2024년경에 대형 원전 4기 수출 실현 시 현 인력규모 유지가 가능함 - 현 핵심인력은 14,000명 정도로, 한국의 글로벌 공급점유율 10.3% 경쟁력의 근간임. 향후 설계기술 분야 2,500명 유지가 최대 관건임. 경쟁국들에 비교하면, 대형 원전기술은 세계적 수준이나 기초연구와 환경방호기술 등은 Top국가의 75~89% 수준에 머물러 있어 연구개발 및 인력양성 정책이 중요함 ○ 미래 연구개발 담당 인력 수요는 3,700명(650명 신규)으로 전망함. - 연구부문별 미스매치 발생을 해소할 전략을 제안함. 중소형원전, 원전해체, 핵융합, 방사화학 등 신규 연구 기획과 포트폴리오, 이노베이션, 설계 분야 엔지니어링 프로젝트의 창설을 제안하고, 원자력 지식 창출 능력 제고와 교육 혁신을 통한 연구개발 공동체의 역량 제고 방안을 제시함 (출처 : 보고서 요약서 3p)
    • 연구책임자 : 이헌규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안전아카데미
    • 발행년도 : 20201000
    • Keyword : 1. 원자력산업 경쟁력;기술예측 및 수준평가;핵심기술인력;인력 질적/양적 미스매치;연구개발과 혁신; 2. Nuclear Power Industry Competitiveness;Technology forecasting and evaluation;core technical personnel;Quality/quantative mismatch;R&D and Innovation;
  • 11488

    2020.09.30

    비공개항목입니다.
    • 연구책임자 : 이채성
    • 주관연구기관 : 한국능률협회컨설팅
    • 발행년도 : 20201000
    • Keyword : 1. 원전안전;심층방어;안전성강화;가동원전;기술개발; 2. Nuclear Safety;Defence in Depth;Safety enhancement;Operational Nuclear power plant;Technology development;
  • 11487

    2020.01.31

    ○ HER2 표적 치료용 바이오 방사성의약품 전구체 제조 - 간접 표지용 바이오방사성의약품 면역접합체 제조 및 RI 표지법 확립 - 시험관 평가 및 HER2 표적 종양(유방암, 위암) 동물 모델 제조 ○ HER2 표적 치료용 바이오방사성의약품 면역접합체 및 표지법 확립 - 클릭화학 기반 바이오방사성의약품 면역접합체 제조(3종 이상) - 클릭화학 기반 킬레이트 전구체 방사표지법(3종 이상) 확립 - HER2 표적 종양(유방암, 위암) 동물 모델에서 생체 분포 및 소동물 영상 평가 - HER2 표적 치료용 바이오방사성의약품의 체내 내부흡수선량 측정평가 ○ HER2 표적 치료용 바이오방사성의약품 치료효능 평가 - HER2 표적 치료용 바이오방사성의약품의 종양(유방암, 위암) 동물 모델에서 종양 치료효능 평가 - 클릭화학 기반 영상유도수술용 바이오방사성의약품 형광-PET킬레이트 전구체 방사표지기술 확립 - HER2 표적 영상유도수술용 형광-PET 바이오방사성의약품 생체분포, 소동물 영상 및 유효성 평가 ○ HER2 표적 진단용 바이오방사성의약품 임상시험 수행 - 임상시험 IRB 심사 - 마이크로도즈 임상시험(phase 0) 수행 - 마이크로도즈 임상시험(phase 0) 결과 보고서 (출처 : 보고서 요약서 3p)
    • 연구책임자 : 강주현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의학원
    • 발행년도 : 20200200
    • Keyword : 1. 항체;바이오시밀러;방사성의약품;마이크로도즈 임상시험;약물동태학;방사성동위원소;내부흡수선량; 2. HER2;antibody;biosimilar;radiopharmaceutical;microdose clinical trial;PET;pharmacokinetics;radioisotope;internal absorbed dose;
  • 11486

    2020.07.31

    종래 슈퍼커패시터용 소재의 한계극복을 위해서 방사선과 나노기술을 융합하여 목재폐기물 유래 다공성 탄소나노구조체 합성 및 표면 화학 개질 등의 물성 및 구조 개선을 통해 개발한 탄소나노구조 복합체를 에너지저장 전극 소재로 활용하였으며, 방사선 X-ray를 이용한 분석 등 다양한 분석 실험을 통해 전하저장 메카니즘 확립 및 초고용량 슈퍼커패시터 소자를 제작함 1. 방사선을 이용한 목재폐기물 유래 다공성 탄소나노구조체 합성 기술 개발 - 방사선 이용 소재 합성, 기능화 및 복합화 원천소재 개발 기술 확보 - 최종 개발된 다공성 탄소나노소재 비표면적 2331.5 m2/g 및 평균 기공크기 1.98nm 2. 방사선 X-ray 가속기 분석 통한 소재 및 전하저장 메카니즘 분석 - 방사선 가속기 분석 통한 구조 및 물성 등 소재 특성-슈퍼커패시터 소자 성능 간 상관관계 확립 - 방사선 가속기 분석 통한 에너지저장 소자의 구동 및 전하저장 메카니즘 확보 3. 방사선 이용하여 합성한 탄소나노구조체를 이용한 슈퍼커패시터 응용 - 개발된 소재의 전극화 기술 및 소자 제작 기술 확보하여 초다공성 탄소나노소재 기반 대칭형 슈퍼커패시터 셀 및 금속 산화물 나노입자 복합소재 및 표면 이종원소 도입된 탄소소재 기반 비대칭형 슈퍼커패시터 셀 소자 개발 - 대칭형 슈퍼커패시터 셀 소자: 비정전용량 505.68 F/g, 율속 83.5% (10.0 A/g vs. 1.0 A/g), 장기안정성 97.46% (1만회 충방전 후) - 비대칭형 슈퍼커패시터 셀 소자: 비정전용량 549.52 F/g, 율속 80.55% (10.0 A/g vs. 1.0 A/g), 장기안정성 80.55%(1만회 충방전 후) (출처 : 보고서 요약서 4p)
    • 연구책임자 : 박호석
    • 주관연구기관 : 성균관대학교
    • 발행년도 : 20200800
    • Keyword : 1. 방사선 합성 기술;목재폐기물;나노소재;슈퍼커패시터;복합체 형성;리그닌;이종원소 도입;활성화;초고용량; 2. synthesis technology with radiation;wood waste;nanomaterials;supercapacitor;Complexation;lignin;doping heteroatom;Activation;High-capacity;
  • 11485

    2020.02.29

    ● 누출 방사선을 색변화를 통해 감지 할 수 있는 유기반도체 소재의 17종의 후보군 선정하고 Monte-Carlo simulation인 양자계산법 [b3lyp/6-311g (d,p) geom= connectivity]을 통하여 최종 선정 13개 후보군에 대해 합성, 구조분석 완료 ● 합성된 13개의 소재의 전기적, 광학특성을 평가하여 각 소재의 밴드갭 및 HOMO/LUMO 측정 ● 각 소재에 방사선인 감마선 3 Gy 이하(연구 목표 10 Gy이하)에서의 방사선 영향 평가를 통한 구조변화 분석 및 특성변화 분석 ● 합성된 소재중 Fused thiophene의 2종의 소재가 저선량인 1 Gy의 감마선 노출시 색변화(청록색→노란색, 남색→오랜지색) 특성 확인 ● Fused thiophene 유기반도체의 말단기인 indanone 그룹이 1 Gy 감마선에너지에 의해 탄소와 산소의 이중결합을 분해하여 밴드갭 변화를 통해 색변화가 되는 메카니즘 규명 ● 본 연구개발결과를 민군겸용기술개발사업으로 활용계획 진행 중이며(민군진흥원의 민활용성 군활용성 평가결과: 적합), 시제품 개발 및 기술이전 계획 (출처 : 보고서 요약서 3p)
    • 연구책임자 : 오승환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연구원
    • 발행년도 : 20200300
    • Keyword : 1. 방사선 감지;유기반도체;육안식별;색변화;금속착화합물; 2. Detecting leaked radiation;Organic semiconductor;Visual identification;Colorimetric;Metal chelating ligand;
  • 11484

    2020.03.31

    • 본 연구는 동역학적 정밀제어가 가능한 의료용 소프트 액추에이터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해 방사선 기술을 이용하여 자극 반응성과 물리적 특성이 우수한 합성고분자로 이루어진 3차원 가교구조의 하이드로겔 소프트 엑추에이터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 온도 및 전기자극 등에 반응하는 고분자 하이드로겔 소프트 액추에이터를 제조하여 이의 물리화학적 성질을 최적화하였다. • 소프트 액추에이터의 동역학적 특성을 확인하고 구동특성 미세제어기술 확립하였으며, 웨어러블 스마트 기기에 적용할 수 있는 생체적합성 특성분석 및 구동특성 최적화하여 웨어러블 스마트기기 응용을 위한 소프트 액츄에이터 시스템으로써의 유용성을 평가하였다. • 본 연구개발을 통하여 방사선융합기술을 이용한 생체적합성 및 동역학적 정밀제어특성이 우수한 의료용 하이드로겔 소프트 액추에이터 시스템의 제조 기술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의료 기기, 바이오 모방 로봇, 바이오센서, 웨어러블 스마트 기기관련 연구에 도움이 되리라 기대된다. (출처 : 보고서 요약서 3p)
    • 연구책임자 : 김소연
    • 주관연구기관 : 충남대학교
    • 발행년도 : 20200400
    • Keyword : 1. 하이드로겔;액추에이터;방사선기술;고분자;소프트 로보틱스; 2. hydrogel;actuator;radiation technology;polymer;soft robotic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