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Report

All 708 Page 43/71

검색
  • 288

    2019.04.01

    중국 Xi Jinping 주석의 3일 짜리 프랑스 국빈방문 기간 중 Xi 주석과  프랑스 Emmanuel Macron 대통령은 2019년 3월 25일 원자력발전과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공동목표에 대해 양자간 의견을 나눴다. Macron 대통령이 내놓은 성명서에는 특히 중국의 사용후핵연료 재처리를 위한 재처리공장 건설협력 프로젝트가 언급되어 있다.

    1991년부터 프랑스와 원자력분야 협력프로젝트를 시작해 온 중국에는 Daya Bay 원전에서 처음으로 나온 핵연료가 28년이 지나 재처리하기에 알맞은 상태다. 향후 수 년내에 건설될 핵연료 재처리공장은 11기의 건설 중인 원전 뿐만 아니라 46기의 원전에서 나온 사용후핵연료 재처리를 위해 필요하다.

    Macron 대통령은 최근 몇 주간 재처리공장 프로젝트 추진이 가속화되었다면서 정부간 협약을 신속히 체결하기 위한 노력을 배가하기로 합의했다고 밝혔다.

    중국에서 가장 최근 준공된 원전인 Taishan 1호기 역시 프랑스 기술을 도입한 것이다. Macron 대통령은 Taishan 1호기 준공을 돌파구라고 표현했다. Taishan 2호기도 수 개월 내에 준공될 예정이다. 중국과 프랑스는 영국 Hinkley Point C 부지에 2기의 EPR형 원전사업 추진에도 협력하고 있다. 중국은 CGN사(China General Nuclear)를 통해 이 사업의 지분 33.5%를 확보하고 있다.

    양국 정상간 대화와 별도로 양국의 특정 전략산업을 다룰 중국-프랑스 간 기업가위원회(Sino-French Entrepreneurs Committee)를 결성하기로 합의했다고 China Nuclear Group의 Yu Jianfeng 회장이 밝혔다. 위원은 Bank of China, EDF, Framatome 및 Orano사의 임원 15명으로 구성하기로 한 것으로 알려졌다. Yu 회장은 양국은 파리의정서(Paris agreement)를 지지함을 확인했다면서 지구촌 기후변화에 맞서기 위해서 원자력발전을 적극 활용해야 한다는데도 양국이 의견의 일치를 봤다고 밝혔다.

    미국이 파리의정서 철회를 선언했지만 중국과 프랑스 양국 정상은 파리의정서를 준수할 것임을 재확인했다. 양국 관계의 핵심에 환경문제를 둔 것이다. 양국은 지구촌의 환경을 지키는데 협력하기로 합의했다.

    또한 양국 정상은 UN 지속가능개발목표(SDG, United Nations Sustainable Development Goal)를 달성하기 위해 SDG 7(값싸고 청정한 에너지) 및 SDG 13(기후변화 대응행동)에 원자력 과학기술을 적극 활용하기로 합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 저자 : KISTI 미리안 글로벌동향브리핑
    • Keyword : 1. 사용후핵연료,재처리공장,UN 지속가능개발목표 2. used nuclear fuel,reprocessing plant,United Nations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 287

    2018.08.22

    중국의 Sanmen 원전 2호기가 최초임계에 도달하고 Haiyang 원전 1호기가 계통에 병입됨으로써 중국에 건설 중인 신규원전 2기의 시운전 상 마일스톤이 2018년 8월 17일 달성되었다.

    Zhejiang성의 Sanmen 원전 2호기가 2018년 8월 17일 오전 12:07분에 핵분열 연쇄반응이 지속되는 최초임계에 도달했다고 사업주인 CNNC(China National Nuclear Corporation)와 SNPTC(State Nuclear Power Technology Corporation)가 발표했다.

    저출력 노물리시험을 완료한 후 Sanmen 원전 2호기의 터빈이 최초로 원자력을 이용해 만들어진 증기에 의해 구동되었다. Sanmen 2호기 시운전의 다음 단계는 전력망에 계통병입하는 것이다. 이후 점진적인 출력상승시험이 이어지며 100% 전출력에서 안전하고 성공적으로 모든 시험이 완료될 예정이다.

    한편, Shandong성의 Haiyang 원전 1호기는 8월 17일 오전 9시 50분에 국가 전력 송전망에 계통병입되었으며 전력생산을 시작했다. SNPTC는 Haiyang 원전 1호기가 부하시험 운전단계에 돌입했다면서 정격출력 5%, 50% 및 90% 단계에서 각종 시험이 수행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 시험단계가 완료되면 CNNC는 상업운전 승인을 받게 된다.

    2007년 9월 Westinghouse사와 Shaw Group은 중국 내 Sanmen 및 Haiyang 부지에 각 2기씩, 총4기의 AP1000에 대한 건설승인을 받은 바 있다. Sanmen 1호기 건설은 2009년 4월, 2호기는 2009년 12월에 시작되었으며 Haiyang 1,2호기는 각각 2009년 9월 및 2010년 6월 건설에 착수한 바 있다.

    Sanmen 원전 1호기는 올해 6월 22일 최초임게에 도달하고 7월 2일 발전한 전력을 송출하기 위해 송전망에 연계됨으로써 계통병입과 발전운전을 시작한 세계 최초의 AP1000 원전이 되었다. 전출력에는 8월 14일 도달했다.

    동일한 AP1000형 원전인 Haiyang 1호기는 8월 8일 최초임계에 도달했으며 2호기에 대한 총157다발의 최초 연료장전도 같은 날 시작되었다. 한편, 미국에도 역시 4기의 AP1000 원자로가 Vogtle 및 Summer 부지에 각 2기씩 건설되고 있다. 하지만 Summer 부지에 건설 중인 2기는 작년 8월부터 건설이 중단된 상태다.


    • 저자 : KISTI 미리안 글로벌동향브리핑
    • Keyword : 1. 최초임계,저출력 노물리시험,상업운전 2. first criticality,low-power physics test,commercial operation
  • 286

    2017.09.21

    중국 Fujian성에 있는 Fuqing 원자력발전소 4호기가 시운전시험을 모두 마치고 상업운전 돌입에 들어갈 조건을 모두 만족하고 있다고 CNNC(China National Nuclear Corporation)가 2017년 9월 18일 밝혔다.

    9월17일 오후 5시 57분 용량 1087 MWe인 CPR-1000 원자로가 부하시험 및 168시간에 달하는 시험운전 등을 포함한 모든 시운전시험을 완료했다고 CNNC 측이 공개했다. 해당 원자로는 필요한 허가 및 문서를 취득해야 하지만 실제로 상업운전에 돌입한 것과 같은 상태가 된 것이다.

    해당 원전의 최초 콘크리트 타설은 2012년 12월에 시작되었으며 2014년 6월 원자로격납건물 돔이 완성되었다. 157 다발에 이르는 핵연료 장전은 올 해 6월 13일 시작되었으며 6일 후 완료되었다. 7월 16일 최초로 원자핵 연쇄반응에 도달했고 7월 29일에는 최초 송전을 개시했다.

    CNNC사의 Fuqing 원자력발전소는 최종적으로는 중국이 설계한 6기의 가압경수로(PWR, pressurised water reactor)가 들어서게 되는데 첫 4개 호기는 용량 1087 MWe인 CPR-1000형 원자로다. 1,2,3호기는 각각 2014년 11월, 2015년 10월 및 2016년 10월 상업운전에 들어간 바 있다. 지금까지 Fuqing 원자력발전소는 38 TWh에 달하는 전기를 생산해서 1,200만 톤에 달하는 석탄사용을 대신할 수 있었으며 이산화탄소 400만 톤 배출을 막은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CNNC는 현재 17기의 원전을 운영하고 있으며 총 시설용량은 14,340 MWe에 달한다.

    중국 국무원은 Fuqing 5, 6호기 건설 최종승인을 2015년 4월 중순에 내린 바 있다. 5호기 최초 콘크리트 타설은 2015년 5월에, 6호기는 2015년 12월에 이뤄졌다. 이 두 원전에는 중국이 자체적으로 설계한 Hualong One 원자로가 들어서게 된다. CNNC 측은 2021년이면 Fuqing 원자력발전소 내 모두 원자로가 운영에 들어갈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한편, Fuqing 원자력발전소는 CNNC사의 자회사인 China Nuclear Power사가 지분의 51%를, Huadian Fuxin Energy사가 39%, Fujian 투자개발그룹이 10%를 소유하고 있다.


    • 저자 : KISTI 미리안 글로벌동향브리핑
    • Keyword : 1. 최초 콘크리트,이산화탄소,가압경수로 2. first concrete,carbon dioxide,PWR(pressurised water reactor)
  • 285

    2017.04.10

    2030년까지 아시아가 세계 원전의 절반을 차지할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국제원자력기구(IAEA, International Atomic Energy Agency)와 세계원자력발전사업자협회(WANO, World Association of Nuclear Operators)는 비엔나 IAEA 본부에서 열린 제7차 원자력안전협약(CNS, Convention on Nuclear Safety) 체결국회의에서 원전운영의 안전성을 강화하고 원전을 계획 중이거나 원전도입을 고려하고 있는 국가를 지원하는데 협력하기로 합의했다고 2017년 4월 6일 밝혔다.

    IAEA는 WANO와 IAEA의 활동이 원자력안전 유지를 공동관심사로 하고 있어 본질적으로 상호보완적이라고 밝혔다. 또한  WANO와 IAEA 모두 신규원전 도입국 지원은 물론 원전운영사와 규제기관이 강력한 안전문화를 이행하는데 존재하는 각종 도전에 대응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WANO측은 IAEA와 WANO 모두 강력한 원자력안전문화 진흥을 위해 일하고 있으며 신흥 원전도입국이나 원전을 확충하고 있는 나라가 최고의 안전관행을 만족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고 밝혔다. 또한 IAEA는 원전도입프로그램을 새롭게 시작하는 나라의 역량 확보를 지원하고 있으며 동시에 WANO는 신규원전도입국의 원전건설에 도움을 주고 있다고 각각의 역할을 정의했다.

    WANO는 세계 모든 원전사업자들이 참여하는 비영리기구로 상호지원, 정보교환 및 산업계 최고관행의 공유와 상호평가, 벤치마킹, 운영실적 향상을 수행하므로써 원전의 안전성과 신뢰성을 최대화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대외적으로는 엄격한 비밀유지 원칙을 고수하므로써 세계 원전사업자 간의 솔직한 정보교환과 소통을 이뤄나가고 있다. IAEA는 원자력기술 분야 과학기술 협력을 위한 정부간 장으로 국제연합(UN) 산하 독립기구다.

     IAEA와 WANO 모두 원자력발전소에 원전, 규제기관, 관련연구소 등의 전문가로 구성된 동료점검(peer review)단을 파견하여 점검을 시행하고 있는데 WANO 동료점검은 외부독립전문가가 최고수준의 요건에 대비한 각 원전의 운영성과를 심층 비교, 객관적으로 검토해주는 방식이다. IAEA는 여러 종류의 동료점검을 진행하고 있는데 이중 운영안전성검토팀(OSART, Operational Safety Review Team) 프로그램은 각 원전의 시운전 및 운영에 대해 IAEA 안전요건에 대비한 비교를 수행하고 개선필요항목을 권고하므로써 원전의 안전성 강화를 적극 지원하고 있다.


    • 저자 : KISTI 미리안 글로벌동향브리핑
    • Keyword : 1. 원자력안전협약, 안전문화, 운영안전성검토팀 2. Convention on Nuclear Safety, safety culture, OSART(Operational Safety Review Team)
  • 284

    2018.08.17

    벨기에 루벤대학(KU Leuven)과 베트남 하노이 국립교육대학(Hanoi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의 연구진은 작은 은 입자들이 어떻게 빛을 방출하는지를 최초로 증명했다.

    제올라이트 속에 포획된 은 원자 클러스터는 뛰어난 발광 특성을 가지고 있다. 그래서 더 효율적인 LED 및 TL 램프를 제조하는데 매우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번 연구 이전까지는 왜 이런 은 원자 클러스터가 뛰어난 발광 특성을 가지는지 알지 못했다.

    제올라이트는 다수의 작은 채널 및 공극을 가진 매우 단단한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화학 분야에서는 특정 반응을 자극하는데 사용된다. 제올라이트 공극에 포획된 분자들은 이동성을 잃어버리고 원래의 특성과 다르게 행동한다. 이번 연구에서는 은 클러스터가 제올라이트 케이지에 포획될 때 어떻게/왜 빛을 방출하는지를 조사했다.

    유럽 싱크로트론 방사능 설비(European Synchrotron Radiation Facility)에서 은 클러스터에 방사성 복사선을 조사(照射)했다. 이것은 재료의 구조 및 특성에 대한 더 많은 정보를 제공했다. 이런 조사를 통해서 특정 입자만이 빛에 반응한다는 것을 발견했다. 따라서 이번 연구는 4 개의 은 원자를 가진 사면체 형태의 작은 클러스터가 물 분자에 의해서 둘러싸여졌을 때만 빛을 방출한다는 것을 증명했다.

    사면체는 두 개의 전자가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다. 이것은 소위 슈퍼 원자(super atom)를 형성한다. 즉, 몇 개의 원자로 구성된 구조이지만 단일 원자처럼 행동한다. 이런 클러스터의 광학적 특성들은 두 개의 자유 전자에 의해서 발생한다. 여기서 에너지 수준은 슈퍼 원자의 화학적 특성을 결정한다.

    루미네선스(luminescence) 검출을 이용한 첨단 X-선 기술을 사용함으로써 물로 둘러싸여진 4 개의 은 원자 클러스터가 제올라이트가 밝은 녹색으로 발광하게 한다는 것을 발견했다. 이 연구결과는 은 클러스터의 특성을 개질하거나 원하는 광학 특성을 가진 새로운 물질을 찾을 수 있게 할 것이다. 또한 이 연구결과는 조명 등의 다른 분야의 연구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이 연구결과는 저널 Science에 “Origin of the bright photoluminescence of few-atom silver clusters confined in LTA zeolites” 라는 제목으로 게재되었다(DOI: 10.1126/science.aaq1308).


    • 저자 : KISTI 미리안 글로벌동향브리핑
    • Keyword : 1. 은; 클러스터; 발광; 제올라이트 2. silver; cluster; photoluminescence; zeolite
  • 283

    2018.05.16

    중국 우한 대학(Wuhan University)과 미국 인디아나 대학(Indiana University)의 연구진은 순환성 종양 세포를 마이크로비드(microbead)와 선택적으로 결합시켜서 제거하는 새로운 기술을 개발했다.

    순환성 종양 세포(Circulating tumour cell)는 원발성 종양 부위에서 빠져 나와서 혈류 속으로 들어간 암 세포이다. 이런 전이는 암으로 인한 사망의 주요 원인이다. 따라서 혈액 내의 순환성 종양 세포의 수치를 모니터링하는 것은 중요하지만 측정하는 것이 어렵다.

    혈액과 결합된 암 세포는 정상 세포와 비교할 때 크기와 물리적 특성에서 현저하게 다른 특성을 가진다. 즉, 결합된 암 세포의 음향 방사력(acoustic radiation force)이 정상적인 혈구보다 100배 이상 더 높다. 따라서 음향파 마이크로 유체 장치에서 미세 플라스틱(크기-증폭기)을 사용하면 혈액으로부터 순환성 종양 세포를 효율적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이 기술의 효율은 77%이고, 96% 수율로 순환성 종양 세포를 걸러낼 수 있다. 음향 유체 장치는 부유하는 생물학적 세포를 분리하기 위해서 마이크로 유체 채널에 초음파를 사용한다. 유체 채널의 폭은 일반적으로 수십 마이크로미터에서 수백 마이크로미터가 되어야 한다.

    이번 연구진은 생분해성 젤라틴으로 코팅된 40 마이크론 직경의 실리카 마이크로비드를 사용했고, 유기 포획제(capture agent)로 EpCAM을 사용했다. 이 마이크로비드는 순환성 종양 세포를 선택적으로 포획할 수 있고, 음향학적 유체 장치에서 분리된 후에 순환성 종양 세포를 제거할 수 있다.

    이번 연구에서는 대장암 환자 8명과 유방암 환자 8명으로부터 채취한 1 ml 용량의 혈액 샘플을 조사했다. 원심 분리기를 사용해서 세포/크기-증폭기 복합체를 수집한 후에 광학 현미경으로 수집한 세포 수를 계산했다. 장치는 수 개에서 수십 개의 순환성 종양 세포를 분리할 수 있었다. 그래서 세포가 얼마나 순수한지를 계산할 수 있었다.

    이 기술은 폐암이나 유방암과 같은 검출하기가 어렵거나 불가능한 환자 생검에 대한 유망한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암 전이와 관련된 메커니즘을 더 잘 이해할 수 있게 하기 때문에 암 치료에 새로운 길을 열어줄 수 있을 것이다.

    이 연구결과는 저널 Nano Futures에 “Size-amplified acoustofluidic separation of circulating tumor cells with removable microbeads” 라는 제목으로 게재되었다.


    • 저자 : KISTI 미리안 글로벌동향브리핑
    • Keyword : 1. 마이크로비드; 순환성 종양 세포; 음향 유체; 세포 2. microbead; circulating tumour cell; acoustofluidics; cell
  • 282

    2016.06.28

    캐나다와 미국의 과학자들이 캐리비언의 도미니카 공화국에서 카멜레온과 같은 아놀 도마뱀의 새로운 종을 발견하였다. 이 발견은 분리된 섬에서도 도마뱀의 군집이 거의 같은 형태로 진화한다는 이론을 뒷받침하는 강력한 증거가 될 것이라 기대하고 있다.

    캐리비언 앤틸리스 제도 (Greater Antillean) 의 아놀 도마뱀 (Anolis 속) 은 서로 다른 섬에서 진화하는 비슷한 종이 같은 생태학적 위치를 가지는 비슷한 종류의 종으로 진화한다는 이론인 복사 적응 방산 (replicated adaptive radiation) 의 예제로 교과서 등장하는 동물이다.

    복사 적응 방산 이론의 경우와 같이 캐리비언 앤틸리스 제도의 많은 섬에서 다양한 종류의 도마뱀이 각각의 섬에 비슷한 종의 예를 찾을 수 있었던 반면 20 퍼센트 정도의 아놀 도마뱀의 경우 이러한 법칙에 맞지 않았었다. 그 중 쿠바 아놀 도마뱀이 특히 다른 섬에서는 발견된 적이 없는 예이다. 하지만, 도미니카 공화국에서 최근 발견된 새로운 종의 도마뱀이 이 쿠바 아놀 도마뱀과 매우 닮은 것을 발견하였다.

    과학자들은 아직 다른 섬에서는 발견되지 못한 몇몇 도마뱀과 더불어 쿠바 아놀 도마뱀의 예는 각기 다른 섬에 존재하는 비슷한 종의 퍼즐의 잃어버린 조각을 찾은 것과 같다라고 표현하며, 복사 적응 방산 이론을 확실하게 하는 좋은 예가 될 수 있다라고 설명하였다. 또한 이러한 발견은 섬에서의 생태학적 군집의 형성이 놀랄만큼 예측이 가능하다는 생각을 뒷받침하기도 한다고 설명하였다.

    연구팀은 이 도마뱀의 독특한 서식 환경이 도미니카 공화국의 작은 지역에 국한되며 이 지역이 불법 벌목 등에 의해 급속히 사라지고 있기 때문에 이 도마뱀이 멸종 위기에 놓여 있다고 설명하며, 이러한 발견이 이 지역의 자원 보존에 대한 관심을 불어 일으키기를 희망한다 하였다.

    연구진은 새로 발견된 도마뱀이 섬에서 독립적으로 진화를 하며 쿠바 아놀 도마뱀과 유사하게 진화하게된 산물인지, 아니면 단순히 같은 조상으로 부터 진화가 되어 비슷한 종의 위치에 있는지 확인할 필요가 있다고 하였다. 이 발견은 The American Naturalist, 6월 17일자 온라인 판 (DOI: 10.1086/687566) 에 발표되었다.


    • 저자 : KISTI 미리안 글로벌동향브리핑
    • Keyword : 1. 도마뱀, 새로운 종, 복사 적응 방산, 진화 2. Lizard, new species, replicated adaptive radiation, evolution
  • 281

    2006.01.19

    1월 13일 프랑스 그르노블 과학단지에서 Carl-Ivar Branden 건물의 낙성식이 진행되었다. '구조 생물학 연합'과 '분자 구조 세균학 연구소'가 새로운 센터를 나누어 사용하게 될 것이다. 이 연구 센터는 유럽연합이 6차 PC(기본 프로그램)의 '연구 하부구조' 명목으로 출자하는 지원금의 10%를 받게 된다. 특히, 인체의 질병에 연관되는 단백질과 기타 분자들을 연구하는 수많은 연구 그룹들이 입주하게 된다. 연구 센터의 시설은 불순물 제거, 초고속 단백질 발현, 로봇을 이용한 결정화, Deuterization, 방사성 동위원소 측정, 핵 자기공명, 질량 분광측정, 극 저온 전자 현미경 검사 장비 등을 갖추게 될 것이다. '모든 구성원을 결합시키면서, 우리는 분자 연구 프로세스와 질병과 연관된 프로세스를 괄목하게 가속화시킬 수 있다'고 Josepht Fourier 대학의 교수이자 '분자 구조 세균학 연구소'의 소장을 맡은 Rob Ruigrok은 선언했다. 바이러스 표면에서 발견된 단백질의 구조에 대해서 특별히 연구가 진행될 것이다. 이들 단백질 구조로 인하여 바이러스는 세포의 수용 단백질에 달라붙을 수 있다. 새로운 센터를 중심으로 수행될 연구 작업들을 통해서 이에 대한 억제제의 개발도 가능할 수 있을 것이다. 일부 모델링을 위해서는 원자 하나씩 조작이 필요한데, 이는 센터의 파트너들과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서야 가능할 수 있을 것이다. 센터는 바이러스와 박테리아에 대항하는 타깃 약품을 만들어낼 수 있게 한 유럽 차원의 프로젝트 'SPINE, 유럽 구조 프로테오믹스'를 통해서 명성을 날렸다. '구조 생물학 연합'은 유럽 분자 생물학 연구소, 유럽 싱크로트론 방사(cyclotron radiation) 시설, 구조 생물학 연구소, Laue-Langevin 연구소 간의 협력체이다. '분자 구조 세균학 연구소'는 Joseph Fourier 대학과 프랑스 국립 과학연구소(CNRS)와 연합하였다. '파트너들은 생명과학 분야에서 폭넓은 역량을 제공한다. 그르노블의 캠퍼스는 이들을 새로운 구조 생물학 센터를 중심으로 집결시키기에 아주 이상적인 장소'라고 구조 생물학 연구소의 소장이자 구조 생물학 연합의 현 회장을 맡고 있는 Eva Pebay-Peyroula는 설명했다. '센터는 세계에서 가장 규모가 큰 구조 생물학 장비들을 보유하고 있다. 유럽 싱크로트론 방사 시설의 X선원은 세계에서 가장 강력한 것 중 하나이며 Laue-Langevin 연구소의 중성자원은 세계에서 가장 크다'고 Pebay-Peyroula 회장은 말했다.
    • 저자 : 글로벌 과학기술정책 정보서비스
    • Keyword : 유럽, 생물
  • 280

    2018.12.07

    중국 CNNC사(China National Nuclear Corporation)는 베이징에 핵연료 및 재료 연구개발 신규 센터 설립을 기념하는 행사는 2018년 11월 27일 개최했다. CNNC사는 이번에 개소한 핵연료 및 재료 연구개발센터(Research Centre for Nuclear Fuels and Materials)가 고성능 핵연료 및 재료, 원자력의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활용을 위한 고성능 원자로심 개발의 중요한 이정표가 된다고 밝혔다.

    CNNC 측은 이 연구개발센터가 국가적인 혁신주도 개발전략과 첨단 원자력과학 산업시스템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것이라고 평가했다. 핵연료와 관련 재료는 원자력 산업 개발에 기초가 된다면서 이 분야에서 높은 수준을 유지할 때만 첨단 원자력과학 산업시스템을 갖춘 것으로 평가받을 수 있으며 국제시장에서 경쟁할 수 있는 세계 수준의 원자력회사가 될 수 있다고 밝혔다.

    또한 CNNC가 이 센터를 설립한 목적은 해당 분야의 모든 과학적 혁신 기획을 종합할 수 있는 플랫폼을 구축하여 과학적 성취를 산업적으로 변환하여 회사의 산업기술 진척을 지원하기 위함이라고 덧붙였다.

    중국은 원자력발전소 설비 뿐만 아니라 보유한 원전에 들어가는 핵연료 생산도 자급자족하려는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하지만 여전히 우라늄 채광에서 핵연료 제작 및 재처리의 모든 핵연료 주기 단계에서 일정부분 해외공급사에 의존하고 있으며 그중 우라늄 공급분야가 특히 심하다.

    중국의 원자력발전소 숫자가 급격히 증가함에 따라 주로 외국 공급사와의 협력 하에 핵연료 수요를 충족하기 위해 관련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CNNC는 Areva, Westinghouse 및 TVEL사로부터 전수받은 기술 등을 활용해 중국 내 핵연료 제조를 맡고 있다. 핵연료 제조공장은 Sichuan과 내몽고에 있다.

    핵연료를 위한 2곳의 산업파크(industrial park)가 계획 중이며 북부파크로는 베이징에서 가까운  Hebei와 남부에는 Guangdong 지역이 거론되고 있다. 각 파크는 우라늄변환, 농축 및 핵연료 제조 기능을 갖춰 아시아 내 핵연료 제조의 중심으로 부상시킨다는 계획이다. 또한 Hualong형 원자로 판매도 핵연료 공급조건으로 이뤄질 전망이다. 2곳의 핵연료 산업파크에는 미화 120억 불 가량이 투자될 계획이다.


    • 저자 : KISTI 미리안 글로벌동향브리핑
    • Keyword : 1. 고성능 핵연료,혁신 주도,(핵)연료주기 2. high-performance nuclear fuel,innovation-driven,fuel cycle
  • 279

    2019.05.02

    중국 CGN사(China General Nuclear)와 China Huaneng 그룹은 기본합의서를 새로 체결하고 원자력 발전, 핵연료 및 기술 분야에서 협력하기로 했다. 이 합의서는 2019년 4월 17일 베이징에서 양 측간에 서명되었으며 서명식에는 양 측 회장이 참석했다.

    CGN 측은 양사 간 협의에서 China Huaneng 그룹 측이 원자력 발전사업에 대한 장기적인 지원에 대해 CGN에 감사를 표했다고 밝혔다. 또한 이번에 체결된 전략적 협력협정은 전략적으로 큰 의미가 있다고 평가했다.

    CGN 측은 Huaneng 그룹 측에 장기적 지원에 대한 감사의 뜻을 전하면서 양측은 기술경영과 기술혁신 측면에서 더욱 소통하고 서로에게서 배워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CGN사가 Huaneng 그룹의 원전 운영과 프로젝트 관리를 전폭적으로 지원을 할 것임을 약속했다.

    CGN사는 중국에서 가동 중인 21기의 원자로와 추가로 건설 중인 7기의 원자로를 보유하고 있다. CGN사는 2016년 10월 체결한 전략적 투자 협정에 따라 영국 Somerset에 있는 EDF Energy사의 Hinkley Point C 신규원전 건설프로젝트의 지분 33.5%를 인수하고, Suffolk의 Sizewell 신규원전과 Essex의 Bradwell 신규원전도 공동 개발하기로 합의한 바 있다. Hinkley Point C와 Sizewell C 신규원전은 프랑스가 개발한 EPR 원자로 기술을 기반으로 하고 있으며 Bradwell 신규원전은 중국이 개발한 Hualong One 원자로 설계를 기반으로 하고 있다.

    China Huaneng 그룹은 2002년 SPC(State Power Corporation)로부터 5대 발전사의 하나로 분사되었으며 138 GWe 규모의 발전설비를 운영 중에 있으며 이중 원자력발전소는 아직 없다. China Huaneng 그룹은 CGN사와 CNNC(China National Nuclear Corporation)과 사업상 유대관계를 형성하고 있다. 독립된 국영소유 기업이면서 발전사업을 주로 하고 있다.

    China Huaneng 그룹은 중국 내 중앙기업으로는 4번째로 원자력발전사업 자격을 취득한 기업이다. Changjiang 신규원전 사업의 지분 49%를 갖고 있었으나 2010년 12월 Huaneng Power International사에 이전한 바 있다. Haiyang 신규원전 건설프로젝트 지분 5%도 보유하고 있다.


    • 저자 : KISTI 미리안 글로벌동향브리핑
    • Keyword : 1. 기본합의서,전략적 협력협정,Hualong One 원자로 2. framework agreement,strategic cooperation agreement,Hualong One react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