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Report

All 722 Page 39/73

검색
  • 342

    2019.03.15

    인도와 미국은 미국이 설계한 6기의 원자력 발전소를 인도에 건설하는 것을 포함하여 양자간 안보와 민간 원자력분야 협력을 강화하기로 뜻을 모았다. 양국 정부는 2019년 3월 13일 워싱턴 DC에서 열린 미국 - 인도 전략안보대화 9차 회의에서 공동 성명서를 발표했다. 인도 측은 Vijay Gokhale 외교장관, 미국 측은 Andrea Thompson 군비통제 및 국제안보 담당 차관이 대표를 맡았다.

    양 국은 광범위한 세계 안보 및 핵 비확산 문제에 대한 견해를 교환하고 대량살상무기 확산을 막고 테러리스트와 비확산국가들이 대상살상무기에 접근하지 못하도록 협력한다는데 뜻을 같이했다. 또한 양 측은 인도에 6기의 미국산 원자력발전소를 건설하는 것을 포함하여 양자 안보와 발전용 원자력 분야 협력을 강화하는데도 합의했다. 미국은 인도가 원자력공급국그룹(NSG, Nuclear Suppliers Group)에 회원국으로 가입하는 것을 지원한다는 약속도 재확인했다.

    세계원자력협회 (WNA, World Nuclear Association)에 따르면 인도 내 총 22기에 달하는 원자력발전소는 전력수요의 약 3 %를 공급하고 있다. 인도 정부는 사회 인프라 개발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원자력 발전 시설용량을 늘리겠다고 약속한 바 있으며 현재 7기의 원전을 추가로 건설하고 있다. 7기 중에  4기는 자체설계한 가압중수로(PHWR)로 Kakrapar와 Rajasthan 부지에 각 2기씩 건설되고 있으며 Kudankulam 부지에 러시아가 설계한 VVER형 가압경수로(PWR) 2기가, Kalpakkam부지에는 인도가 자체설계한 고속증식로 원형로(prototype fast breeder reactor)가 건설되고 있다.

    Andhra Pradesh 주 Kovvada 부지가 미국 Westinghouse사에서 설계한 AP1000형 PWR 6기를 건설하기 위해 선정되었지만 계약은 아직 체결되지 않았다. 인도의 핵사고보상체제가 해외의 원자력 발전소 공급업체에게 매우 불리하게 되어 있어 해외 워전 도입의 걸림돌로 작용해 왔다. 2010년 인도는 원전 사고가 발생했을 때 원자력발전소 공급사가 아닌 원전운영사가 일정한 한도까지는 책임을지는 법안을 통과시켰으나, 여전히 원전운영사가 원전공급사에 상한선 없이 손해 배상을 요구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형편이다.

    NSG는 핵무기 제조과정에 잠재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재료, 장비 및 기술의 수출을 통제함으로써 핵무기 비확산에 기여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원자력 공급국가의 모임이다. 인도와 달리 모든 회원국은 국제 핵확산금지조약(NPT, Non-proliferation Treaty) 서명국이다. 국제원자력기구(IAEA)와의 포괄적 특별안전협정을 포함한 조치를 수용하고 NSG 규칙 상의 예외를 인정받고 양자 간 원자력협력 협정 등을 체결해야만 비로소 인도는 국제 원자력 시장에서 원자력관련 기기나 기술을 수출할 수 있는 전망이다.

    인도는 2016년 5월 NSG에 가입하기 위해 신청서를 제출했으며 미국은 인도가 NSG에 가입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약속한 바 있다. NSG는 2018년 6월 총회에서 2008년 인도와 체결한 민간 원자력 협력 성명서와 인도와의 관계 등 모든 측면을 지속적으로 고려하고 있다고 밝힌 바 있어 인도의 NSG 가입문제가 국제원자력계의 관심사로 대두되고 있다.


    • 저자 : KISTI 미리안 글로벌동향브리핑
    • Keyword : 1. 민간 원자력협력,전략안보대화,대량살상무기 2. civil nuclear cooperation,Strategic Security Dialogue,weapons of mass destruction
  • 341

    2005.12.12

    < 제 6차 아시아원자력협력포럼(FNCA) 장관급회의 참가 > - 과학기술부는 일본 동경에서 개최되는 제 6차 아시아원자력협력포럼(Forum for Nuclear Cooperation in Asia, FNCA) 장관급 회의에 참석함 - FNCA 9개 회원국 중 중국, 베트남, 인도네시아 등 최근 원전건설 및 신규 원전 도입을 활발하게 추진하고 있는 국가에게 우리나라의 우수한 원자력기술 및 경험을 적극 홍보함으로써 우리나라의 원자력 국제위상 제고 및 아·태지역 원자력기술 진출 기반을 확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됨 < 한·중·일 동북아 3개국 원자력안전 협력 논의 > - ‘원자력안전 지역협력의 방향’이라는 주제로 우리나라, 중국, 일본이 참여하는 동북아지역 원자력안전 심포지엄이 11.29(화) 일본 동경에서 개최됨 - 한,중,일 3개국이 보유하고 있는 원전은 러시아를 제외한 아시아 지역 전체 원전 기수 중 약 80%에 해당되서, 원자력안전에 대한 각국 국민의식이 고조되고 있는 가운데 열리는 금번 심포지엄을 통하여 원전 사고·고장 정보교환 및 비상대응에 대한 실질적인 협력이 가속화 될 전망임
    • 저자 : 글로벌 과학기술정책 정보서비스
    • Keyword :
  • 340

    2009.03.12

    핀란드의 국립기술청(TEKES)은 핀란드의 우주공학기술 전략의 발표내용을 간략하게 정리하여 제시하였다. 
    우주공학기술은 많은 산업에서 다양하게 활용되어야 한다. 우주공학기술의 좀 더 폭넓은 활용은 국민들에게 우주 관련 활동을 좀 더 친밀하게 할 것이다. 특히, 우주공학기술 활용에 있어 좋은 기회는 기후변화, 천연자원의 풍부함, 국민의 안전과 웰빙 등과 관련된 국제적인 변화에 초점을 맞춘 연구개발에 있다. 

    이러한 메시지는 2009년 3월 3일 경제부 Mauri Pekkarinen 장관에 의해 핀란드 우주위원회(Finnish Space Committee )에 제출된 국가우주전략에 담겨있다. 

    이 전략은 우주활동의 사회적 효과를 강화하고 국제적인 활동을 강화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우주활동에 의한 기회는 핀란드에게 특정 선택된 우주 활동(지구 관측, 인공위성 위치 선택 기술개발 등)의 선도적 지위를 부여하면서 핀란드 무역 및 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국제 비즈니스를 창출할 수 있을 것이다. 

    “우주공학기술의 응용은 기업들에게 새로운 기회를 창출할 것이다. 핀란드는 우주 디바이스를 위한 전기 시스템 및 소프트웨어, 엑스레이, 밀리미터파 기술, 경량탄소섬유 개발과 같은 분야에서 최고의 전문가를 보유하고 있다. 환경 및 위치에 관한 자료를 활용한 응용기술과 관련 시장의 증가는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를 부여하고 있다. 조만간 모든 핸드폰에 위성 내비게이션 기술에 기반한 위치 장치가 포함될 것이고, 관련 서비스가 일상 삶의 일부가 될 것”이라고 Pekkarinen 장관이 말했다. 

    본 전략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은 우주 활동에 대한 재정 지원의 증가와 연구개발의 증가를 포함하고, 유럽정책 및 국제적인 프로그램에 역동적으로 참여하여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일련의 지속적인 기술개 발을 포함한다. 또한 핀란드 우주위원회는 별도의 국가 실행계획을 마련할 것을 제안하였다. 

    위성을 통해 획득하는 환경 정보는 기후 변화 관련 연구개발 및 환경의 현재를 파악하는데 있어 그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위성통신장비, 지구 관측, 위치 관측은 비즈니스 및 공공 서비스 분야에서 좀 더 폭넓게 활용될 것이다. 
    핀란드는 1995년부터 유럽연합우주위원회(ESA; European Space Agency)의 정회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또한 핀란드는 지구 관측, 위성 통신장비, 내비게이션, 우주공학기술, 우주과학 등에 있어 ESA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핀란드는 인간우주유영 또는 우주정거장 개발과 같은 프로그램에는 참여하고 있지 않고 있다.
    ESA의 예산에서 핀란드가 부담하는 비율은 0.6%로 약 20백만 유로달러이지만, 유럽연합 전체 평균이 1/2 정도에 불과한 상황이다. 

    핀란드 우주 활동에서 기술혁신의 예로는 VTT 핀란드 기술연구개발 센터와 헬싱키 기술대학이 세운 MilliLab(Millimetre Wave Laboratory of Finland)에 의해 개발된 고민감 라디오 수신기를 들 수 있다. 이 수신기는 Planck 위성의 부품으로 향후 빅뱅에 기인한 우주의 배경 방사 (background radiation)를 측정하는데 활용될 것이다. 또한 동일한 기술이 보안인증 확인, 안개지역의 교통 감시 등에 활용될 수 있다.

    * www.ndsl.kr (GTB 참조)
    • 저자 : 글로벌 과학기술정책 정보서비스
    • Keyword :
  • 339

    2009.09.07

    영국왕립학회는 기후 지구 공학에 관한 주요 연구의 결과물을 출간했다. 이 보고서는 과학, 경제, 법률 및 사회 과학을 대표하는 12명의 주요 학자들이 12개월에 걸쳐 연구하여 작성하였다.

    인간의 활동으로 인한 기후변화가 발생하고 있고, 기후변화의 영향과 비용은 커지고, 심각해 질 것이고 불평등하게 일어날 것이다. 이 영향은 적응과 완화, 그리고 특히 온실 가스 배출량 감소로 줄어들게 될 것이다. 하지만 배출량을 감축하려는 전세계적인 노력은 치명적인 기후변화를 방지하기 위해 필요한 감축량을 달성할 것이라는 자신감을 부여하기에는 충분히 성공적이지 못하다. 이로 인해 인위적인 기후변화에 대처하기 위한 지구 환경의 의도적인 대규모 조작으로서 정의되는 지구 공학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관심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증명되지 않으며 잠재적인 위험 요소를 가진 제안된 지구 공학 기술에 대한 접근 가능하고, 수준 높은 정보가 부족하다. 이 보고서는 다양한 방법에 대한 자세한 평가를 제공하고 잠재적인 효율 및 의도하지 않은 결과를 고려한다. 지구 공학 방법은 두가지 범주로 나누어 진다.

    1.  이산화탄소 제거 (Carbon Dioxide Removal, CDR) 기술로 대기의 CO2를 제거한다. 이러한 기술은 기후변화의 근본 원인, CO2 농도 증가를 다루기 때문에 이러한 기술은 비교적 낮은 불확실성과 위험 요소를 지니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기술은 느리게 작용하여 지구 온도를 감소 시킨다.

    2.  태양 복사에너지 관리 (Solar Radiation Management, SRM) 기술로 적은 비율의 햇빛과 열을 지구로 반사한다. 이러한 방법은 빨리 작용하여 기후 위기가 닥치는 상황에서 재빨리 지구의 온도를 낮추는데 사용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기술은 기후 변화의 영향 전체가 아닌 일부만을 저감 할 수 있고, 반면 다른 문제를 유발시킬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기술은 CO2 농도에 영향을 주지 않으며 따라서 해양 산성화를 비롯한 CO2 증가로 인한 광범위한 영향을 다루지 못한다.


    권고 사항
    • UNFCCC의 당사국은 기후변화 완화 및 적응을 위한 노력을 강화해야 하고, 특히 2050년까지 1990년도 기준 적어도 50%의 배출량 감소에 동의해야 한다.
    •  CDR 및 SRM 지구 공학 방법은 기후 변화를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선택사항 중의 일부로만 고려되어야 한다. CDR 방법은 SRM 방법에 우선하여 고려되어야 한다.
    • 해당 영국 정부 부처는 영국 연구 위원회와 공동으로 10년간의 지구 공학 연구 프로그램을 연간 약 1천만 파운드 정도로 재정을 지원해야 한다. 
    •  영국왕립학회는 국제 과학 파트너 기관과 협력하여 지구 공학 연구를 위한 실천 규범을 개발하고, 자발적인 연구 가버넌스 프레임 워크를 위해 국제 과학 사회에 조언해야 한다.



    [목차]
    요약
    1.서론
    2. 이산화탄소 제거 기술
    3. 태양 복사에너지 관리 기술
    4. 가버넌스
    5. 토론
    6. 결론 및 권고 사항
    7. 참고 문헌
    8. 부록
    9. 용어


    • 저자 : 글로벌 과학기술정책 정보서비스
    • Keyword :
  • 338

    2007.12.03

    미 항공우주국인 나사는 앞으로 몇 십년 안에 화성에 인간을 보내기 위한 전략의 구체적인 사항을 발표했다. 나사는 화성에 400,000킬로그램의 우주선을 이용하여 30개월이 걸리는 화성왕복 탐사에 최소한의 우주인을 보내는 방안을 고려하고 있다. 이러한 개념의 자세한 사항은 텍사스의 휴스턴에서 있었던 회의에서 강조되었다.

    지난 2004년 1월에 조지 부시 대통령은 2020년까지 인간을 달에 보내는 계획과 화성에 대한 유인탐사 프로그램을 추진할 것이라고 발표한 바 있다. 이 화성탐사선(Mars Ship)은 나사가 현재 개발중인 새로운 중량 발사선인 아레스 V 로켓(Ares V Rocket) 3~4대를 이용하여 지구의 저궤도에서 조립될 것이다. 개념상 2031년 2월에 발사되는 이 탐사선은 지구에서 화성까지 가는데 6~7개월이 걸리며 극저온 연료분사 시스템(cryogenic fuel propulsion system)을 이용해 이동하게 된다. 자세한 사항은 변경될 가능성이 높으며, 궁극적으로 나사는 이러한 방법을 선택하지 않을지도 모른다. 하지만 이것이 인간을 화성에 보내는 나사의 최선의 전략이다.

    장비와 짐을 적재한 착륙선과 화성 표면에서 인간이 지낼 수 있는 장비를 적재한 로켓은 인간을 화성으로 보내기 전인 2028년 12월과 2029년 1월에 따로 화성에 보내지게 된다. 나사의 발표에 의하면, 우주인은 자체적으로 과일과 채소를 키울 수 있다. 일단 화성에 도착하면 우주인들은 16개월을 화성 표면에 머물게 되고 핵에너지를 이용하여 거주지에 전력을 공급하게 된다. 하지만 나사의 계획에 의하면 프로그램을 중단하거나 우주인들에게 새로운 장비를 공급하는 것은 극도로 제한적일 것이다. 재공급의 어려움은 우주인들이 매우 자기충족적이어야 한다는 점을 의미한다. 그들은 장비의 유지와 장비의 수리 그리고 심지어는 새로운 부품을 만들 수 있는 능력을 가져야 한다.

    이 탐사선은 자체적으로 소위 공기와 물을 재활용할 수 있는 생명보조시스템을 가지고 있다. 탐사선 안에서 식물을 재배할 수 있으며 우주인들의 심리적인 건강을 지원할 수 있다. 하지만 나사의 당국자이며 나사의 무인 및 유인 달탐사전략 로드맵 위원회(Robotic and Human Lunar Expeditions Strategic Roadmap Committee)의 브레트 드레이크(Bret Drake)는 탐사선의 우주인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한 많은 도전이 남아있다고 말했다. 나사는 효과적으로 우주인들을 높은 수준의 우주선(cosmic radiation)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방안을 찾아야 한다. 우주공간과 화성표면에서 우주인들은 이 우주선에 노출될 수 있다. 그들에게는 또한 질병이나 부상을 진단하고 치료할 수 있는 의학적인 장비가 필요하다. 나사는 이러한 새로운 시스템을 시험하기 위한 장소로 달을 이용할 계획을 가지고 있다. 나사의 새로운 Constellation 프로그램의 일부로 제안된 이 계획은 나사의 달탐사와 분석그룹 모임에서 발표될 것이다.

    * yesKISTI 참조


    • 저자 : 글로벌 과학기술정책 정보서비스
    • Keyword :
  • 337

    2016.11.14

    포유동물의 치열은 세 가지 유형으로 나누어진다. 크고 날카로운 송곳니(canines)와 앞니(incisors), 그리고 뺨 속에 가려진 어금니(post-canines)가 있다. 이러한 구분은 진화학적으로 약 3억 년 전 수형류(Therapsid)부터 발견되는데, 이들의 송곳니는 지금의 포유류보다 훨씬 길고 일부는 검 모양처럼 날카롭다. 오랫동안 과학자들은 이러한 구조를 사냥을 위한 장치로 생각했지만 수형류 중 초식동물에게도 검 모양의 송곳니가 있어 그렇게 확신하기에는 문제가 있었다. 일부에서는 이들의 송곳니가 포식자로부터 방어하기 위해 존재할 수 있다고 추측했다.  

    오늘날 바다코끼리와 문착(muntiac)같은 동물은 여전히 수형류와 비슷한 송곳니를 가지고 있다. 이것은 그들이 짝을 유혹하거나 동족을 위협할 때 사용된다. 남아공 비트바테르스란트 대학교(University of Witwatersrand)의 진화 연구과의 고생물학 연구팀과 해부학 연구팀, 프랑스 그르노블에 있는 ESRF(European Synchrotron Radiation Facility) 연구자들은 신비로운 수형류 화석, 초에로사우루스(Choerosaurus dejageri)를 분석하기 위해 공동 연구를 추진했다. 초에로사우루스는 2억 5천 9백만 년 전에 살았던 동물로 포유류를 낳은 계보에 속해있는 파충류로 알려져 있다. 이들에게는 테리오돈트류(Eutheriodont)에게만 발견되는 뿔 모양 대칭 돌기를 가지고 있는데, 위턱과 아래턱에 위치한 이 돌기의 목적이 무엇인지를 연구자들이 분석하였다. 

    남아공 보퍼트 웨스트(Beaufort West) 근처의 농장에서 발견된 초에로사우루스의 두개골 화석은 마이크로 단층촬영이 컴퓨터화된 X-ray와 마이크로 CT로 촬영되었다. 이 스캔 작업은 적을 공격하기 위한 두개골의 모습을 가진 다른 수형류 동물, 모스콥스(monstruous dinocephalian Moschops)와 비교 분석되었다. 모스콥스의 두개골과 뿔 모양의 상악 돌기는 높은 에너지를 발생시키기 위한 전투의 목적이 분명했다. 하지만 초에로사우루스의 두개골과 상악 돌기는 전투를 하기에는 너무 약할 뿐만 아니라 신경 다발과 정맥혈관으로 채워져 있어 싸움에 사용했다면 많은 고통과 출혈이 예상되므로 적합하지 않다. 이들의 상악 돌기는 뿔과 같은 케라틴 성분으로 덮여 있다. 이것은 다채롭고 감각적인 각화 층을 형성했으며, 짝을 찾거나 같은 동족 간 영역 다툼을 벌일 때 수컷 간의 경쟁을 위해 사용했을 것으로 보는게 더 적합하다.

    수형류는 현대 포유류의 직접적인 조상이 되고, 현재 우리가 가진 치아의 이해를 돕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초에로사우루스 화석은 성적 경쟁과 그와 관련된 복잡한 행동, 경쟁자를 위협하는 세레모니와 같은 의식적인 행동이 수형류의 진화에서 중요한 요소라는 것을 보여준다. 이 발견은 포유류의 기원에서 성 선택이 생각했던 것보다 더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저자 : KISTI 미리안 글로벌동향브리핑
    • Keyword : 1. 포유류, 치아, 두개골, 수형류, 상악 돌기 2. mammal, teeth, skull, therapsid, cranial bosses, maxillary boss
  • 336

    2005.05.03

    이법령은 최근 미국내에서 감소하고 있는 원자력학과 학생과 원자력관련 종 사자의 사기를 고양하고 활성화하기 위해 미국 상원과 하원 의원이 공동으 로 의원입법한 법안으로 의회에 상정중이며, 상원 에너지천연자원위원회에 서 검토하고 있다. 원자력학생의 감소는 비단 미국만의 문제가 아닌 우리나 라의 문제일 수 도 있다는 점에서 국내 원자력진흥정책에 참고하기 위해서 동 법령을 우리말로 요약하여 정리하였다. 원문이 필요하신 분은 : http://thomas.loc.gov로 가셔서 법령 번호 S.242 (senator 242)를 입력 법명: Department of Energy University Nuclear Science and Engineering Act 번호 : S.242, H.R. 2126으로 상.하원이 공동 제안 제안자 : 상원(Mr. Bingaman외 2명) 하원(Mrs. Biggest외 10명) 이 법안은 회계연도 2002부터 2006년까지 미 에너지부에서 대학교 원자학 및 공학프로그램에 대한 자금 지원을 허용하기 위함 Department of Energy University Nuclear Science and Engineering Act <입법 배경(의회의 조사 내용)> 1. 미국의 대학 원자학 및 공학 프로그램은 심각한 감소 상태임. - 원자학 및 공학 학사는 최저 35세임 - 4년 원자학 및 공학 학위과정 수는 전국적으로 25개 과정임. - 원자학 및 공학 학부의 2/3이상이 45세 또는 그이상임. 2. 대학은 연구 및 훈련 원자로를 지원할 여유가 없음 - 1980년 이후, 소형훈련원자로의 수는 28개로 50이상 감소 - 소형 훈련원자로의 대부분은 1950년 말 또는 60년 말로 30에서 40년간 운영되고 있으며,다음 몇 년 내에 재 허가를 요청할 것임. 3. 인적투자 및 훈련기반시설의 소홀은 국가 연구개발투자의 50년을 좌우 - 유능한 원자력인력, 충분히 훈련받은 원자력학자, 기술자의 부족은 미 래 폐기물 저장문제 해결, 기초 핵보건 물리 프로그램의 지속, 현존하 는 것을 운영 그리고 미래 분열원자로를 설계, 세계적인 미래원자력행 사에 대응, 핵무기확산 저지, 해군원자로의 설계, 운영을 하기 위한 미 국의 능력에 부정적 영향을 줄 것임 4. 원자학 분야 인적자원의 국가투자의 장래성 부족은 침체된 하락으로 유 도. - 원자학부 수의 축소, 직원의 노령화, 훈련원자로 폐쇠로 원자학문의 매 력은 장래세대의 학생들에게 사라질 것임. 5. 현재 국가 전문원자력인력의 76%가 5년안에 퇴직할 것임. - 훈련받은 과학자 및 기술자의 새로운 공급이 필요 6. 에너지부의 원자력,과학 기술 사무소는 내일의 인적자원과 훈련투자를 유지하는 것을 적절히 도울 것임. - 에너지부의 법령에 따라, 원자력과학기술사무소(ONEST)는 원자학의 평 화적 이용분야연구를 위한 주요기관임. - ONEST는 원자공학과 교육연구프로그램을 유지 - ONEST는 핵저확성 연료주기, 미래핵 분열 전력체제을 위한 대학교들,산 업,국립연구소간에 응용협력연구에 자금을 지원하는 원자력 및 연구사 업에 자금을 지원함. - ONEST는 고농축부터 저농축 확산 저항연료까지 훈련원자로를 재장전하 기 위한 것, 장비성능향상, 원자학, 공학, 보건물리학에 대한 학생 펠 로우쉽 프로그램 유지을 위해 대학교에 자금 지원 <에너지부 프로그램> 1. 설립 - ONEST(Office of Nuclear Energy, Science and Technology)은 법령에 따라 인적자원 투자 및 기반시설 유지. 2. ONEST의 의무 - 활발한 대학원, 학부 펠로우쉽 프로그램 개발 - 재원을 모집하고 보유하도록 대학 지원 - 기초 원자학 및 공학분야에 활발한 투자 지속 - NERI를 통한 산업, 국립연구소, 대학교간 공동연구 격려 - 원자학 및 공학관련 분교 및 교류 지원 3. 대학연구 및 훈련 원자로 및 연립된 기반시설 유지 법령에 따라 정부지출금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음 사항을 유지 - 저농축연료 연구용 원자로 재 장전, 운영장비의 향상, 대학간 원자로 의 공동사용 - 학생훈련프로그램의 부분으로서 재허가, 훈련원자로 개선 등에서 미 국 원자력산업계와 협력, 지원 - 원자로 연구 및 훈련은 원자력 개선을 준비하는 프로그램을 지원하 되, 연구, 훈련, 교육을 강조하는 중점적인 노력. 4. 대학-에너지부 연구소간 상호활동 ONEST는 다음 사항을 개발. - 원자학과 기술분야에서 대학교수들이 미에너지부 연구소들에서 많은 시간을 보내도록 하기 위한 안식 펠로우쉽 프로그램 지원 - 연구원이 원자학 및 공학 부에서 시간을 보내는 방문과학자프로그램 지원 또한, 학생들도 미에너지부 연구소에서 연구원의 교수하에 시간을 보 내는 펠로우쉽 지원 5. 운영 및 정비 - 초청연구소에 제공된 연구자의제안노력은 원자로운영에서 비용분담 을 제공하는 동안,연구프로그램들은 연구용원자로의 운영을 보충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음 6. 요구된 장점 평가 - 모든 허가, 계약, 협력약속, 다른 재정지원은 독립적인 장점 평가 후 에만 이루어질 것임 <정부지출금의 허가> 1. 총 비용은 에너지 부에 의해 허가 될 것임. 이 법의 기간동안 유용할 것 임 - 2002년도 : 30,200,000불 - 2003년도 : 42,000,000불 - 2004년도 : 47,850,000불 - 2005년도 : 55,600,000불 - 2006년도 : 64,100,000불 임. 이하 세부 비용 내역은 생략합니다. 끝.
    • 저자 : 글로벌 과학기술정책 정보서비스
    • Keyword : 원자력학과
  • 335

    2007.12.05

    본 자료는 일본 내각부 원자력정책 담당실의 제4지구 환경 보전 및 에너지 안정공급을 위한 원자력의 비전을 생각하는 간담회에서 배포된 자료를 요약 정리한 것임.

     

    1. 원자력 산업의 동향

    (1) 현재 원자력 산업의 국제 시장

    구분

     

    우라늄 광산

    Cameco(캐나다), COGEMA/AREVA(프랑스), ERA(호주; , Rio Tinto(영국) 68% 주식을 보유) 등이 8사가 주요 기업.

    전환

    Rosatom(러시아), COMURHEX/AREVA(프랑스), ConverDyn(미국), Cameco(캐나다), NDA(BNFL)(영국)5사가 주요 기업.

    농축

    Rosatom(러시아), USEC(미국), Euridif/AREVA(프랑스 외), URENCO(영국, 네덜란드, 독일) 4사가 주요 기업.

    재전환,

    연료 성형가공

    * 재전환 공정은 연료 성형가공 시설의 일부로 자리매김된 경우가 대부분.

    * 연료 성형가공은, 세계의 수요를 조달하기에 충분한 공급 용량이 있고, 재편 및 통합된 3개 계열의 메이커에서 세계의 성형가공 용량의 2/3를 점유.

    원전 플랜트

    장기에 걸친 수요 침체기에 대해 종합 산업인 원자력 산업으로서 필요한 기업규모를 유지해 가기 위해 국경을 넘어 메이커의 재편과 집약화

    재처리

    * 상용 규모의 재처리 시설이, 프랑스, 영국, 러시아에서 가동 중.

    * 상용 규모의 재처리 시설을 일본에서 건설 중, 중국에서 건설 예정.

     

    (2) Needs에 대응한 원자력 이용

    구분

     

    열 공급로

    열을 직접 지역 난방용 등으로 비교적 온도의 낮은 열원으로서 이용하는 원자로. 러시아, 구 소련에 실적이 있음.

    해수 담수화

    IAEA International Nuclear Desalination Advisory Group(INDAG)에서 원자력 이용에 의한 해수담수화에 대해 논의 중.

    중소형로

    도상국이나 크고 작은 섬나라에서 중소 규모의 발전 수요 등에 대응 가능한 중소형로. 日美 원자력에너지 공동행동계획 하에 중소형로 WG가 현재, 중소형로의 설계요건 등에 대해 논의 중.

     

    (3) 원자력 이용에 관련된 국제적 금융

    원자력 이용의 유지 및 확대에는 국제적인 금융의 지원이 중요하며, 교토 메커니즘 원자력 이용에의 적용은 자제하고 있다.

    구분

     

    국제금융기관의 융자

    * 유럽 원자력공동체(EURATOM), 유럽투자은행(EIB)

    * 유럽부흥개발은행

    * 아시아 개발은행(ADB)(원자력에의 융자 실적 없음)

    * 세계 은행

    유엔기후변화협약 (UNFCCC) 관련

    * 교토 메커니즘

    * 기후변화특별기금(SCCF)

     

    2. 원자력 분야의 연구개발의 동향

    (1) 기초 기반 연구

    원자력 연구개발의 기반 형성과 새로운 원자력 이용 기술의 창출을 위해 원자력 기초공학(핵공학, ()공학, 재료공학, 핵연료 및 핵화학공학, 환경공학, 방사선 방호, 방사선공학, 시뮬레이션 공학 등)의 연구와 미개척 분야의 개척을 목표로 첨단 기초 연구를 실시.

     

    (2) 실용화를 향한 연구개발

    - 혁신적 원자력 시스템(국제 협력)

    * 4세대 원자력 시스템에 관한 국제 포럼(Generation IV International Forum)

    * 혁신적인 원자로 및 연료 사이클에 관한 국제 프로젝트(INPRO; International Project on Innovative Nuclear Reactors and Fuel Cycles)

    * 국제 원자력에너지 파트너십(GNEP; Global Nuclear Energy Partnership)

    * FBR 사이클 실용화 연구개발(Fast Reactor Cycle Technology Development Project; FaCT Project)

    - 해수 우라늄 포집(捕集)

    비용 저감을 위해서는 포집재의 성능, 내구성 향상이 중요하며, 해수 내의 우라늄을 적절한 비용으로 회수하는 기술이 실현되면 대폭적인 자원량의 증대로 연결된다.

    - 원자력 수소

    (미국의 마일스톤)

    2008: 열화학법 및 고온전기분해법 실험실 레벨의 종합 시스템의 완성과 시험 실시

    2011: 파일럿 스케일로 시험하는 제조 방법의 선택

    2013: 파일럿 스케일 시험의 실시

    2016: 상용 스케일의 원자력 수소 제조 시스템의 설계 완료

    2019: demonstration 시설의 건설과 최종 확인, 상용 스케일의 demonstration 개시

    (일본의 대처)

    * HTTR을 활용해 수소 제조와 발전 가능한 고온가스로 기술 기반의 확립.

    * 고온가스로 및 고속증식로에 의한 고온의 핵 열 이용을 목표로, 지구온난화 가스를 발생시키지 않는 열화학법에 따른 수소 제조기술의 개발.

     

    (3) 경수로의 장기화 대책, 과학기술의 향상 등에 관한 연구개발

    고연소도화, 고경년화, 출력 증강 등의 경수로 고도화 이용에 기여하는 연구개발에 대한 니즈가 높다.

     

    3. 산업·기술 인프라, 사회 인프라 지원의 동향

    (1) IAEA에 의한 신규 도입국 지원의 대처 예(IAEA 워크숍)

    - 연료 공급에 대한 보증 금융법 체계 정비 등에의 의견, IAEA의 적극적 관여에 대한 기대가 크다.

    - 기술면에서는 중소형로(연료 교환 기간의 길다)에 기대.

    - 원자력 발전국에서는 원자력 정책의 일관성, 투명성의 확보가 지극히 중요.

     

    (2) IAEA의 대처와 일본의 공헌에 대해

    - 원자력의 평화적 이용

    구분

     

    원자력 발전

    각국이 에너지 정책의 기획, 결정, 평가를 위한 기술적인 관점에 지원

    비원자력 발전

    조정 연구 프로그램의 추진(정보교환, 인재육성, 기술 협력 프로그램에의 응용)

    원자력 안전

    각종 국제적인 안전기준과 지침 작성 및 보급에 공헌

    핵 보안

    관련 행동규범, 가이던스 및 활동 계획의 승인과 핵물질 등 테러방지 특별 기금의 설립 등

    기술 협력

    상기 분야에 관한 연수생 도입으로 트레이닝 코스 개최, 전문가 파견 등

    - 일본의 재정적 공헌

    * 통상 예산(분담금): 67억 엔(2005)

    * 기술협력기금: 16억 엔(2005)

    * 특별 거출금: 3.5억 엔(2005)

     

    (3) 기타 다국간 협력의 예

    - 아시아 원자력 협력 포럼

     

    (4) 2국간, 일본의 신흥 원자력 도입국 지원

    - 베트남

    일·베트남 정상회담:공동 성명(200610)

    - 인도네시아

    일·인도네시아 정상회의:공동 성명(200611)

    - 카자흐스탄

    /카자흐스탄 정상회의(200611)

    본 자료는 일본 내각부 원자력정책 담당실의 제4지구 환경 보전 및 에너지 안정공급을 위한 원자력의 비전을 생각하는 간담회에서 배포된 자료를 요약 정리한 것임.
    • 저자 : 글로벌 과학기술정책 정보서비스
    • Keyword :
  • 334

    2019.03.14

    중국 Jiangsu성 Tianwan 원자력발전소에 러시아가 공급하는 2기의 원자로를 추가로 건설하기 위한 일반계약이 체결되었다. 또한 Liaoning성 Xudabao 부지에 건설될 2기의 원자로에 대한 기술설계계약도 체결되었다.

    이 계약은 2019년 3월 7일 베이징에서 러시아국영원자력공사(Rosatom)의 엔지니어링 자회사인  AtomStroyExport사와 CNNC(China National Nuclear Corporation) 간에 체결되었다.

    Rosatom 측은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작년 6월 중국을 방문한 가운데 서명한 전략적 협정 패키지에 따라 이 계약을 준비해 왔다고 밝혔다. 이 패키지는 향후 수십 년 동안 러시아와 중국의 원자력 산업 협력을 규정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 협정에는 Tianwan 7,8호기 용으로 2기의 VVER-1200 원전과 Xudabao 신규부지에 건설될 2기의 VVER-1200 원전에 대한 건설사업이 들어 있다. CNNC와 Rosatom사는 작년 11월 초 Tianwan 7,8호기에 대한 계약에 서명해 협정 이행의지를 표명한 바 있다.

    Tianwan 원전 1단계사업인 1,2호기는 1992년 중국과 러시아 간에 체결된 협력협정에 따라 건설되었다. 최초 콘크리트 타설은 1999년 10월에 있었으며 2007년 6월과 2007년 9월 상업운전에 돌입한 바 있다.

    Tianwan 원전 2단계인 3,4호기는 1단계와 원자로 구성이 같은데 러시아 Gidropress사가 설계하고 Rosatom이 공급한 AES-91형 VVER-1000 원자로로 구성되어 있다. 2012년 12월 최초 콘크리트 타설이 이뤄진 3호기는 2018년 2월 15일 상업운전에 들어간 바 있다. 4호기는 2013년 9월 건설이 착수되어 2018년 10월 말 송전망에 연결되었다.

    Tianwan 원전 3단계인 5,6호기는 원래 2011년 초 착공이 예정되어 있었으나 2011년 3월 일본 후쿠시마 제1원전 사고로 인해 중국 정부가 신규원전 건설승인을 보류한 바 있다. 건설보류에는 다른 신규원전 사업도 포함되어 있었다. 그러나 최종 5개년 계획에서 Tianwan 원전 3단계 건설 추진을 가속화를 요구했다. 중국 국무원은 Tianwan 원전 3단계인 5,6호기 건설허가를 2015년 12월 16일 발급했으며 중국이 설계한 1,080 MWe급 ACPR1000 원전이 들어갈 예정이다. 최초 안전성관련 콘크리트 타설은 5호기가 2015년 12월 27일, 6호기는 2016년 9월 7일이뤄진 바 있다. CNNC는 5,6호기 모두 2021년 말 경 상업운전을 계획하고 있다.

    Xudabao 신규원전 프로젝트는 원래 중국이 설계한 6기의 CAP1000을 건설하는 것으로 계획되었으며 1단계는 이 중 2기를 건설하는 것이었다. 부지준비 작업은 2010년 10월 시작되었다. 중국 국가개발개혁위원회(National Development and Reform Commission)는 2011년 1월 이 프로젝트를 승인한 바 있다. NNSA(National Nuclear Safety Administration)는 2014년 4월 Xudabao 1,2호기 부지선정을 승인했다. 2018년 9월 Rosatom은 Xudabao 3,4호기의 시운전도 2027~2028년 희망한다고 밝힌 바 있다.


    • 저자 : KISTI 미리안 글로벌동향브리핑
    • Keyword : 1. CAP1000 원전,VVER-1200 원전,Xudabao 신규부지 2. CAP1000,VVER-1200,new Xudabao site
  • 333

    2008.09.30

    화석연료 지원으로 축소된 핵연료에 대한 지원
     
    새롭게 출간된 한 보고서는 1950년 이래로 다양한 에너지 형태에 주어졌던 미국 세납자들의 지원 수준에 대해 상세히 다루었다.
     
    미국 연방정부의 에너지 지출 역사를 더 잘 이해하기 위해, 미국 원자력에너지기구(US Nuclear Energy Institute (NEI))는 경제 연구경영 컨설팅 회사인 Management Information Services Inc(MISI)에게 연방정부가 시행하고 있는 에너지 정책의 일환인 인센티브제도에 대한 포괄적인 분석을 요청했다.
     
    수소 무기류와 에너지 융합을 위한 핵융합의 미래 사용 가능성에 대한 미국정부 지출은 이 연구에서 제외되었다. 이 보고서는 원자력에너지가 1950-2006년 사이에 총 790억달러를 받은 것으로 밝혔다. 이 자금의 대부분은 연구개발(10억달러)분야에, 규제(110억달러)에, 그리고 정부 서비스(10억달러)에 쓰였다. 원자력발전은 시장 지원이나 세금 감면을 받지는 않았다.
     
    그러나, 미국 핵발전기가 만드는 핵 전력 설비를 위해 지불하는 핵폐기물 지원금에 140억달러 초과는 지원총액을 상쇄한 것 이다. 방사능 폐기물 관리에 필요한 자금보다 140억달러 초과한 이 금액은 효과적으로 정부에 다시 기여했다고 보고서는 말했다. 그리고 원자력발전소의 망 지원에 65억 달러가 쓰였다. 원자력발전은 이러한 방식으로 미국 정부에 직접적으로 대가를 돌려준 유일한 에너지 근원이었다.
     
    원자력에 대한 지원 수치는 석유, 가스, 석탄 산업이 받아온 지원에 의해 축소되었다. 석유에 총 3350억 달러; 가스에 1000억 달러; 석탄에 940억 달러가 지원되었다. 이 수치들은 모든 에너지 관련 지원의 반 이상을 차지하는 것이다.
     
    저탄소 발전 방법 중에서, 수력을 위해 800억 달러, 재생에너지에 450억 달러, 지열에 70억 달러가 쓰였다. 보고서는 “연구의 결과에 의하면, 연방정부의 에너지 인센티브제도가 풍력과 태양과 같은 재생에너지를 희생하면서 원자력에너지에 특혜를 줬다는 일반적인 생각이 틀렸다”고 결론내렸다.
     
    에너지 개발에 간여한 연방정부 기관들에 의해 작성된 (의회 예산요약안, 요청, 정당화, 수정 및 프로그램 방어와 같은) 예산 보고서들을 통해 정보가 수집되었다. 이 기관들에는 에너지부(DOE)와 이전 부처인 원자력 규제 위원회 (the Nuclear Regulatory Commission (NRC))와 경영예산처(Office of Management and Budget (OMB))가 있다.
     
    미국 정부는 국내 에너지 자원 개발을 촉진하기 위해 다양한 인센티브 제도를 채택해왔다. 에너지를 위한 인센티브제도는 직접 보조금, 세금 혜택, 시장 지원, 기술 시범 프로그램, 연구개발 프로그램, 정부조달 권한, 정보 형성 및 배포, 기술 이전, 통제 구입, 정부-자금지원 규제 등 여러 형태를 취해왔다.
     
    전반적으로, 미국 정부는 1950년 이래로 에너지 개발을 위해 대략 7248억 달러를 투자했다. 최대의 인센티브는 세금 혜택이었는데, 이것이 전체의 45%를 차지했으며, 연방정부에 의해 자금지원된 규제와 연구개발이 각각 20%로 뒤를 이었다.

    • 저자 : 글로벌 과학기술정책 정보서비스
    • Keywor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