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Report

All 722 Page 37/73

검색
  • 362

    2017.05.07

    리투아니아 국가 원자력안전감독청(Vatesi)은 2017년 5월 5일 자국 내 사용후연료 중간저장시설의 상업운영 개시를 승인했다고 밝혔다. 이 발표는 어제 국영기업인 INPP(Ignalina Nuclear Power Plant)가 새로 설계된 10개의 연료 저장용기에 대한 실제조건 시험을 성공적으로 완료했다고 밝힌데 이어 나온 것이다.

    리투아니아는 Ignalina 원전 1,2호기를 자국의 유럽연합 가입을 조건으로 폐쇄한 바 있다. 1호기는 2004년 12월, 2호기는 2009년 12월 각각 폐쇄되었다.

    ISFSF B1 프로젝트로 알려진 이 시설은 Visaginas 지역의 Ignalina 원전 내에 있다. 사용후 핵연료를 가득 채우면 무게가 118톤에 달하는 특별히 설계된 RBMK1500/M2 안에 사용후 핵연료가 저장된다. 17,000개에 달하는 연료집합체가 약 190개의 저장용기에 담겨 이 시설에 50년 이상 저장될 예정이다.

    Ignalina 원전에서 모든 사용후핵연료를 제거하여 저장시설로 옮기는 작업은 2022년 말께 완료될 것으로 보인다. 신규 저장시설에 대한 운영허가는 작년 9월 발급된 바 있다. 이 운영허가를 받고 해당 시설의 시운전 및 신규 저장용기에 대한 실제조건 시험을 수행할 수 있었다.


    • 저자 : KISTI 미리안 글로벌동향브리핑
    • Keyword : 1. 리투아니아, 사용후연료 중간저장시설, Ignalina 원전 1,2호기 2. Lithuania, interim used fuel storage facility, Ignalina units 1,2
  • 361

    2007.02.07

    과학기술부는 오는 2월 7일(수)부터 2월 9일(금)까지 일본 동경에서 개최하는 제8차 아시아원자력협력포럼(FNCA : Forum of Nuclear Cooperation in Asia) 국가조정관 회의에 참가한다.

     아시아원자력협력포럼은 아시아지역 원자력의 평화적 이용 증진 및 공동연구를 위한 국제회의로서, 일본, 중국, 인도네시아 등 아시아 지역 10개국이 참석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02년 제1차 국가조정관회의부터 매년 참석하여 아ㆍ태 지역 국가와의 원자력 협력 활동을 통해 한국의 원자력기술 수출기반 구축 및 국제적 위상을 강화해 나가고 있다.

     이번 회의에서 각 회원국은 연구용 원자로 이용, 방사선의 의학적ㆍ농학적 이용, 방사선폐기물 관리 등 9개 분야의 지역내 협력증진방안에 대해 논의할 예정이다.

     우리측 대표단은 회의에서 하나로 연구용 원자로의 안전운전 경험을 타 회원국에 전파하고 국내의 방사선 기술을 이용한 폐수처리 장치를 홍보할 예정이며 연구용 원자로 이용 분야에서는 좌장으로 회의를 주관하게 된다.

     금번 국가조정관회의는 11월 일본에서 개최예정인 제8차 FNCA 장관급회의를 사전 준비하는 실무회의의 일환이다.


    • 저자 : 글로벌 과학기술정책 정보서비스
    • Keyword :
  • 360

    2008.04.30

    ◈원자력으로 농사 짓는다? 캘리포니아 해안에 원자력 농장(Nuclear Green Farms)을 건설하자는 주장이 나왔다. 캘리포니아주 로스 가토스 지역의 주민들은 원자력발전소를 캘리포니아 해안을 따라 건설하고, 원자로에 냉각수를 공급할 해수담수화 플랜트 주변에는 수경농장을 건설할 것을 요청했다. 지역주민들은 원자력발전소와 그 주변에 농장을 건설하면 캘리포니아에 전기를 공급하는 동시에 식량을 생산하고, 탄소 배출량까지 줄일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출처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생체공학 눈’ 이식 성공 ‘생체공학 눈(bionic eye)’을 이식해 실명 환자 두 사람이 인공 눈을 갖게 됐다. 영국의 무어필즈 안과병원에서 실명환자 두 명이 ‘아거스 2(Argus Ⅱ)’라는 생체공학 눈을 이식받았다. 아거스 2는 소형 카메라로 사물의 모습을 포착한 뒤 수신기와 전극판에 영상 신호를 전달한다. 영상신호를 받은 전극판은 망막의 시신경을 통해 뇌에 이미지를 전달하며 이때 뇌는 사물을 흑백의 점들로 인식하게 된다. 그러나 아직까지는 시신경이 남아 있는 환자에게만 시력을 찾아줄 수 있다.
    • 저자 : 글로벌 과학기술정책 정보서비스
    • Keyword :
  • 359

    1970.01.01

    • Lawrence Livermore National Laboratory(LLNL)은 미국에서 세 번째 엑사스케일 급 슈퍼컴퓨터가 될 것으로 예상되는 El Capitan 시스템의 구성 요소 수령 및 설치를 시작했다고 알림 • ElCapitan은 2엑사플롭스 이상의 성능이 예상되며 2024년 세계에서 가장 빠른 슈퍼컴퓨터가 될 것으로 예상됨 - 해당 시스템은 국가 안보작업과 국가 핵 억제능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LLNL, Los Alamos and Sandia National Laboratories를 포함한 국가 핵 안보 관리국 연구소에서 사용될 예정 • HPE Cray에서 제작한 EL Capitan은 미국의 첫 번째 엑사스케일 컴퓨터인 Forontier 시스템과 마찬가지로 AMD CPU와 GPU 가속기를 장착할 예정 - El Capitan은 LLNL의 현재 주력 슈퍼컴퓨터인 Sierra보다 고급 통합 CPU/GPU 프로세서와 확장된 메모리 용량을 갖추고 있어 NNSA( National Nuclear Security Administration)의 주요 프로그램인 Stockpile Stewardship Program에서 필요한 예측 모델링과 시뮬레이션 작업을 더욱 정밀하고 현실적인 수준으로 수행할 수 있게 해줄 것 - 또한, 시뮬레이션과 인공지능, 기계학습을 결합함으로써 El Capitan은 핵 비확산, 반테러, 핵융합 에너지 등 다른 과학 분야에서도 새로운 연구 경로를 열어줄 것으로 기대됨
    • 저자 : 글로벌 과학기술정책 정보서비스
    • Keyword :
  • 358

    2006.07.10

    다음은 회계연도 2007년 에너지와 물에 관한 세출예산안 상원의원회 통과에 관한 에너지부 장관 Samuel W. Bodman의 발언들이다. “미 대통령의 에너지부 예산의 최우선 항목들을 지원하는 방향으로 상원 세출 예산안 위원회가 일해 주길 바란다.” “이 나라의 원자력 에너지-특히 글로벌 원자력 파트너십(Global Nuclear Energy Partnership, GNEP)의 증대를 위해 온 힘을 다하는 위원회의 노력은 매우 고무적이다.” “통과된 법안은 소용된 원자력 연료의 중간단계 저장에 관한 항목들도 포함하고 있으며 원자 반응로의 사용허가에 있어서 `폐기물에 대한 안심`에 대한 문제도 설명하고 있다.” “덧붙여, 위원회가 대통령의 진보 에너지와 미국 경쟁력 제고 방안을 지원하는 것에 감사하는 바이다.” “진보 에너지안은 기초 과학 연구에 대한 투자를 증대시켰다. 이는 세계적 수준의 과학적 발견이 국내의 연구소에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원하고 성장시킬 것이다.” “세출 예산안 프로세스를 지속시킴으로써 상하 위원회의 구성원들과 협력해 다른 우선순위 예산안지원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게 되기를 기대해 본다.” * techtrend 참조
    • 저자 : 글로벌 과학기술정책 정보서비스
    • Keyword : 미, 에너지부 장관 상원 위원회의 회계연도 2007년 에너지와 물에 관한 세출 예산안 승인에 대한 의견 표명
  • 357

    2009.03.05


    □ 이명박 대통령의 뉴질랜드 방문을 공식 수행중인 이윤호 지식경제부 장관은 3월3일(화),
     한-뉴질랜드 관계기관간 신재생에너지 및 영화제작기술 분야 등의 협력 MOU 체결식에 참석하여 
    관계자들을 격려하였음

     ㅇ 금번 이대통령의 순방을 계기로 한국지질자원연구원(원장 장호완)은 
    뉴질랜드 지질핵 과학연구소(GNS, Institute of Geological & Nuclear Sciences Limited)와 지열, 
    가스하이드레이트 등 분야의 공동연구를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하였음

     ㅇ 또한 한국전자통신연구원(원장 최문기)은 한국의 대성그룹, 뉴질랜드 NZISI(the New Zealand Institute of Screen Innovation Limited) 등과 디지털 미디어 공동개발 프로젝트에 관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하였음

    □ 금번, 지질자원연구원과 뉴질랜드 지질·핵과학연구소간 MOU 체결은 미래 청정에너지원인 
    가스하이드레이트 및 지열에너지의 탐사 및 개발을 위한 양국간 기술혁신 및 교류가 확대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됨

     ㅇ 또한, 세계적인 CG(Computer Graphic) 제작기술을 보유한 NZISI와 ETRI, 대성그룹 간
     MOU 체결을 계기로 향후 비교적 짧은 기간 내에 우리나라가 글로벌 디지털 영상 시장에서 경쟁력을 
    갖춰 나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됨





    • 저자 : 글로벌 과학기술정책 정보서비스
    • Keyword :
  • 356

    2017.06.22

    카자흐스탄 국립원자력센터(NNC, National Nuclear Centre)는 토카막인 KTM 핵융합로의 물리적 가동을 위한 첫 단계에 착수했다고 밝혔다. 이 프로젝트는 프랑스 Cadarache에 시범용 핵융합로인 국제열핵실험로(ITER, International Thermonuclear Experimental Reactor)를 건설하고 있는 ITER기구의 지원과 러시아와의 긴밀한 협력 하에 추진되고 있다.

    NNC측은 미래 핵융합로 건설을 위한 최대 현안 중의 하나가 바로 건설용 재료의 제작과 시험이라고 보고 있다. KTM 토카막은 이 문제 해결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평방미터 당 20MW의 열적부하를 가해 재료를 시험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KTM 토카막의 건설, 설치 및 시운전이 모두 올 해 안에 완료될 것을 보인다.

    NNC측은 2017년 6월 11일 유럽연합, 중국, 인도, 일본, 러시아, 미국 및 한국등 7개국으로 구성되어 있는 ITER 기구 측과 협력협정에 서명했다. 이로써 카자흐스탄은 ITER 프로젝트 추진을 위해 ITER기구와 기술협력협정에 서명한 2번째 비 ITER 국가가 되었다. 첫 번째 국가로는 호주가 2016년 10월 기술협력협정을 ITER기구와 맺은 바 있다.


    • 저자 : KISTI 미리안 글로벌동향브리핑
    • Keyword : 1. 물리적 기동, 핵융합로, 국제열핵실험로 2. physical start-up, fusion reactor, ITER(International Thermonuclear Experimental Reactor)
  • 355

    2007.09.21

    오스트리아 비엔나에서 개최되고 제51차 국제원자력기구(IAEA) 정기총회에 참석하고 있는 김우식 부총리 겸 과학기술부장관은 현지 시각 9월 18일 오후 1시에 개최된 한국기술관 개막행사에 참석하여 모하메드 엘바라데이 IAEA 사무총장을 비롯한 귀빈들을 대상으로 우리나라 방사선융합기술의 성과를 홍보함으로써 우리기술의 해외진출기반을 확대하는 데 역점을 두고 원자력외교를 펼쳤다.

     1주일간 개최되는 이번 기술전시회에서는 148개 IAEA 회원국을 대상으로 우리의 방사선융합기술의 현황 및 정책을 소개함으로써 세계6위의 원자력발전국가인 우리나라가 방사선융합기술로 대표되는 비발전분야에서도 세계적인 기술수준을 보유하고 있음을 적극 홍보하였다.  “방사선융합기술, 밝은 내일로 향하는 길(Radiation Fusion Technology, Road to Fine Tomorrow)”이라는 주제로 상영된 동영상에서는 제3차 원자력진흥종합계획에서 제시한 우리나라 방사선융합기술 육성정책을 소개하고 방사선융합기술이 환경·바이오·산업·의학 분야 등에서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고 있음을 강조하였다. 아울러, 회원국과의 기술협력을 통해 우리나라가 축적한 기술과 경험을 적극 공유하겠다는 메시지를 전달함으로써 향후 우리기술의 해외진출기반을 확대하였다.

     한국기술관에서는 방사선기술과 바이오기술을 융합하여 탄생시킨 품종개량 희귀 난, 미백과 항산화기능이 향상된 화장품, 필수 아미노산 함량을 높인 개량 벼 품종, 면역 조혈계와 재생조직의 손상을 줄이고 회복을 촉진시키는 생약조성물 “헤모힘”, 암의 진단·치료에 사용되는 방사성동위원소를 생산하는 사이클로트론 모형 등 우리나라 방사선융합기술의 수준을 한눈에 알 수 있는 주요성과도 전시함으로써 IAEA 사무국 고위급 인사 및 개도국을 비롯한 각국 수석대표들의 커다란 관심을 끌었다. 또한, 한국과학기술원(KAIST)에서 개발한 감성로봇 ‘멍’을 전시하여 원자력의 평화적 이용과 관련된 단어를 말할 때 색으로 반응하는 모습을 시연함으로써 참석자들에게 원자력의 평화적 이용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많은 호응을 얻었다.

     김우식 부총리는 이날 오후 3시 15분부터 데일 클레인(Dale E. Klein) 미국 원자력규제위원장을 면담하고 미래지향적인 양국간 원자력협력방안을 논의했다. 우리측은 원전의 계속운전 안전성 심사 및 방사성 폐기물 처분 관련 협력 강화를 요청하는 한편, 미국측이 최근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신규원전 인허가 및 안전규제인력 양성분야에서 우리측이 기여할 수 있음을 언급하였다.미국측은 원자력 안전규제분야에서 한국의 기술과 경험이 세계적 수준에 도달했다고 평가하면서 향후 동 분야에서의 호혜적 협력을 확대하자고 요청하였다. 아울러, 김우식 부총리는 향후 양국간 원자력협력 증진을 위해 원자력의 평화적 이용을 위한 양국의 다양한 활동을 보다 깊이 이해할 필요성이 있음을 강조하면서 클라인 위원장의 방한을 초청하였다.

     한편, 김우식 부총리는 9월 18일 오전 7시 20분부터 在오스트리아 과학기술자협회 임원단과 조찬을 겸한 간담회를 개최하였다. 이 자리에서 김우식 부총리는 우리 정부가 해외동포 과학기술자를 귀중한 자산으로 생각하고 있음을 강조하고 국내외 우수 과학기술인력의 네트워크 강화를 통한 시너지 창출을 위해 향후 협조해 나갈 것을 당부했다.


    • 저자 : 글로벌 과학기술정책 정보서비스
    • Keyword :
  • 354

    2009.12.25

    1. 인류가 직면한 중요 과제와 우주 기술에 의한 해결책

     ○ 지구 온난화 및 에너지 문제는 현재, 인류가 직면하는 최대중요 과제이다.
      - 세계 각국에서는 탈화석 연료를 목표로, 바이오 연료 외에 풍력·지열·태양광·조력이라는 새로운 재생 가능 에너지의 개발·이용 보급 활동이 추진되고 있다.
     ○ 이러한 과제 해결에 있어 우주 활동은 인류에게 보다 능동적인 공헌을 할 가능성이 크다
      - 정지궤도(GEO) 등의 지구 주회 궤도에서 태양광 발전을 실시해서, 발전한 에너지를 마이크로파 또는 레이저광으로 지구에 송전하는 "우주 태양광 발전", 또 지구-태양간의 라그랑주점(Lagrangian point)의 하나에 다수의 위성을 배치하여 지구로의 태양광 입사량을 감소시켜 지구를 냉각화하는 "기후 개조 기술"(geo-engineering 또는 climate engineering) 등이 제안되고 있다.

    2. 지구 온난화 대책에서의 우주기술 활용

     ○ 영국왕립학술원은 2009년 9월, 대기중의 CO2를 인위적으로 삭감하는 방법(Carbon Dioxide Removal : CDR) 및 태양으로부터의 입사광을 인위적으로 조작하는 방법(Solar Radiation Management : SRM) 등 기후 개조 기술에 관한 포괄적인 보고서를 발표했다.
     ○ SRM가 실시될 경우, 장기간을 필요로 하는 CDR와 비교해서 기온은 수년 내에 저하될 수 있다.
      - 그러나, 대기중에 있는 이산화탄소 외 온실가스를 삭감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일단 실시된 SRM 대책을 중지했을 경우, 급격한 온난화가 일어나, 이에 따른 환경 변화가 예상되므로, SRM 대책을 계속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 대기중의 이산화탄소의 용해에 의한 해수의 산성화 문제도 남는다. 이산화탄소의 지극히 장기적인 대기중 체류 기간을 고려하면, 이산화탄소 배출량의 삭감 및 CDR에 의한 대기중의 이산화탄소의 제거도 필수적이다.
     ○ 영국왕립학술원의 보고서는 기후 개조 기술이 단일 국가·조직 등에 의한 단독 행동으로 실시되는 경우, 다른 나라·지역에 악영향을 미칠 가능성도 있기 때문에, 국제 협력에 의한 연구개발·평가, 유엔 등의 국제기관에 의한 다국간 체제 관리 등을 권고하고 있다

    3. 과제

     ○ 우주 태양광 발전, 지구의 차양 등 우주 개발은 지구 규모의 문제를 해결할 수가 있지만, 현재의 기술수준에서는, 예를 들면 발사비 문제가 있어 경제적 실현성이 부족하다고 생각할 수 있다. 새로운 가능성의 개척을 위해서는, 기존 기술의 연장이 아닌 새로운 개념의 우주 시스템을 실현할 수 있는 이노베이션이 필요하다.
     ○ 이러한 과제해결을 위해서는 우주 수송계의 개발비·운용비 저감이 필수적이다.
     - 이온 엔진이라는 차세대 우주 추진계인 전기 추진계의 채용 및 주위성 및 테더(Tether)로 불리는 케이블로 구성되는 테더 위성의 활용 등이 제안되는 등 우주개발 이노베이션의 실현을 위한 발상의 전환이 제창하고 있다.
     ○ 발사비가 저감 할 때, 우주로의 접근이 보다 용이하게 완성되어, 우주수송기의 수명·신뢰성에 대한 요구가 완화되어 우주수송기 개발비의 저감으로 연결될 가능성이 있다.
      - 우주수송기의 경량화·소형화가 실현되면, 보다 염가의 발사비로 동등한 기능의 우주수송기를 전개할 수가 있으며, 우주수송기를 지구에 가지고 돌아와 재이용화, 나아가 궤도상에서의 보전·수리·개량이 실현될 가능성도 있다.
     ○ 가벼우면서 강인한 카본 나노 튜브의 이용도 발사기의 능력 향상 및 우주수송기의 중량 절감으로 연결될 가능성이 있다.


    • 저자 : 글로벌 과학기술정책 정보서비스
    • Keyword :
  • 353

    2009.05.13

    유럽우주기구(European Space Agency; ESA)는 5월 두 개의 과학위성인 Planck과 Hersche1을 발사할 예정이다. 이 과학위성은 과학자들이 우주의 체계와 별 및 은하의 형성을 조사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핀란드 기업들과 과학자들은 이 과학위성의 개발에 많은 기여를 하였다. 

    Planck과 Herschel은 프랑스령 기아나의 꾸루(Kourou)에 있는 유럽 우주선 기지에서 발사될 예정이다. 핀란드는 두 개의 과학위성을 위해 매우 높은 수준의 과학적 수단과 위성 기술을 제공하고 있다. 

    “Planck 프로젝트에 대한 핀란드의 참여는 핀란드가 우주 프로젝트에 가장 많은 기여를 한 것 중에 하나이다. 이러한 기여는 참여한 기업 및 연구개발 팀의 최첨단 전문성을 필요로 하는 것”이라고 핀란드 독립기술청(Tekes)의 Kimmo Kanto 기술팀장이 말했다. 

    Planck 위성은 은하, 별, 행성이 14억년 이전에 어떻게 형성되기 시작하였는가에 대한 단서를 제공할 수 있는 우주배경복사(Cosmic Microwave Background Radiation)를 연구할 것이다. Planck 위성은 은하수에서 은하와 별 형성 지역과 같은 무선주파수 복사의 다른 원천을 연구하는데 활용될 것이다. 

    Helsinki 대학, Helsinki 기술대학 등의 과학자들은 연구개발을 위해 Planck 위성으로부터 획득된 자료를 활용할 것이다. 이러한 자료는 Planck 위성의 디자인과 과학 프로그램의 수행에 있어 모두 매우 중요하다. 

    Planck 위성은 지금까지 개발된 것 중에 가장 민감한 무선주파수 기술을 탑재하였다. 70GHz 무선 주파수 수신기는 핀란드에 의해 개발되고 구축되었다. 이 프로젝트는 VTT 기술연구소와 Helsinki 기술대학의 공동연구소인 MillLab에 의해 수행되었고 수신기는 DA-Design Oy에 의해 구축되었다. 

    '작업은 매우 수요 지향적인데, 이는 본 프로젝트 팀에게 다른 응용 분야에서 활용할 수 있는 가치 있는 기술을 개발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고 핀란드 Planck 프로젝트의 주요 요소부품 구축을 책임지고 있는 VTT의 연구팀장인 Jussi Tuovinen이 말했다. 이 프로젝트에서 개발되는 기술은 보안 검사, 안개지역의 차량 인식 등에 활용될 수 있다. 또한 고정밀의 구름레이더(cloud radar)와 미래의 통신 응용기기에 적용할 수 있다. 

    긴 파장의 원적외선 스펙트럼을 조작하는 우주 관측에 있어 Herschel은 과학자들에게 별 형성의 메커니즘을 연구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우주 관측의 주경(primary mirror)은 핀란드 기업에 의해 최종 완성되었다. 거울은 우주 미션을 위해 만들어진 실리콘 탄화칼슘 거울 중 가장 크고 기술적으로 가장 수요에 부합하는 것이다. 

    Herschel 및 Planck 미션을 위한 중앙자료 관리단위응용 소프트웨어는 오류 수리 및 열처리 등과 같은 위성의 기능을 관리하는데, 이는 핀란드의 Space Systems에 의해 개발되었다. Herschel`의 Cryostat 통제유닛은 가능한 한 0도에 가깝게 과학적 기구 초점면의 기온을 관리하는데 사용되는데 이는 핀란드의 Patria에 의해 디자인되고 구축되었다. 

    이러한 우주 프로젝트를 위한 과학적 기구 및 기술의 핀란드의 참여는 총 14.5백만 유로달러를 필요로 한다. 핀란드 국립기술청은 ESA 프로그램의 핀란드 참여를 조정하고 재정적으로 지원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핀란드 학회는 Herschel 및 Planck와 관련된 핀란드 과학자들의 연구를 위해 2.5백만 유로달러에 달하는 자금을 제공하고 있다.

    * www.ndsl.kr (GTB 참조)
    • 저자 : 글로벌 과학기술정책 정보서비스
    • Keywor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