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Report

All 12,381 Page 63/1,239

검색
  • 11761

    2020.12.31

    2018년부터 2020년까지 이온빔 장치를 운영하였으며, 양성자빔/이온빔 이용연구를 지원하였다. 이온빔장치는 총 3기 (기체, 금속, 1.7 MV 탄뎀가속기)를 운영하였으며 3년 동안 2,765공정, 408개 과제를 지원하였다. 이온빔 장치의 가동율은 3년 내내 94% 이상을 유지하였다. 양성자빔 이용연구 지원은 3년동안 5,176 공정, 269개 과제를 지원하였다. 특히, 우수이용자 지원을 위해 중점지원과제를 발굴하여 3년동안 9개 과제를 지원하였다. 빔이용시설을 이용하여 이용자를 지원한 결과 3년간 총 57편의 SCI 논문 게재 성과를 얻을 수 있었다. 또한, 중소기업 R&D 기술지원을 위해 3년간 61건의 기술상담과 31과제의 빔서비스 지원을 수행하였다. 빔이용자의 편의를 위해 양성자/이온빔 조사 후처리 분석 장비 (FE-SEM, 나노인덴테이션, FT-IR 등)를 운영하여 총 153건의 산업체 이용자 지원을 수행하였다. 고품질의 양성자/이온빔을 이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해 빔이용시설을 유지·보수하였으며 수요기반 신규 이온종 빔 서비스 실시, 고온 빔조사서비스 장치 구축, 선량측정 정확도 개선 등 성능을 개선하였다. 또한, ISO9001:2015를 운영하였으며 품질보증시스템을 성공적으로 운영하기 위해 통합안전경영시스템(ANSIM)을 업그레이드 하였다. 양성자/이온빔 이용 활성화를 위해 양성자가속기 기반 동위원소 생산허가 승인, RI 이용연구, 이온빔 기반 재료 특성 변화 연구, 반도체 우주방사선 영향 평가 연구 등 자체연구를 통해 67Cu 생산 기술개발 보고서, 반도체/전자부품에 대한 우주방사선 영향 평가 기술 분석 기술보고서 등 기술보고서 5건을 발간하였으며, 이를 통해 내부 역량을 강화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입자빔 활용 첨단기술개발 성과를 도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출처 : 서지정보양식 - 초록 557p)
    • 연구책임자 : 이재상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연구원
    • 발행년도 : 20210100
    • Keyword : 1. 양성자빔;이온빔;이용연구 지원;산업체 R&D 기술 지원;빔 활용 기초 연구; 2. Proton beam;Ion beam;Support of beam-utilized research;Support of industrial R&D technology;Beam-utilized basic research;
  • 11760

    2021.02.28

    □ 연구개요 본 연구 과제는 나노 소재를 이용하여 저비용 고효율 방사선 신틸레이터를 제작하고 센서에 활용하고자 한다. 본 과제에서 다루는 소재는 피로브스카이트 양자점 소재와유기물로 이루어진 하이브리드 소재로 신틸레이터 합성, 소자 제작, 특성 측정 및 새로운 발광 메카니즘을 제사하고자 한다. □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연구목표 1 : metal-halide 페로브스카이트 반도체 (CsPbX3, X = Cl, Br, I) 기반 고감도 방사선 검출용 소재 성장 및 특성 확보 (목표 달성도: 100%) - 페로브스카이트 나노크리스탈 반도체 소재 성장 및 재현성 확보(hot injection 과 microwave를 이용한 소재 성장 기술 확보) - 페로브스카이트 나노크리스탈 광-특성 연구 결과 및 메카니즘 이해 ◦연구목표 2 : 고-분해능 방사선 imaging system을 위한 metal halide 페로브스카이트 반도체 기반 방사선 센서 제작 기술 개발 (목표 달성도: 100%) - 고감도 방사선 신틸레이터, 센서 제작 완료 및 특성 최적화 조건 확보 - 대면적 센서 제작 핵심 기술 확보 ◦연구목표 3 : 방사선에 의한 광-변환 메카니즘 및 물성 연구 (목표 달성도: 100%) - 방사선 센싱 메카니즘 이해 및 모델 제시 - 다양한 하이브리드 나노 신틸레이터 제작 및 센싱 메카니즘 이해 □ 연구발성과의 활용 계획 및 기대효과(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 새로운 방사선 검출용 metal-halide 페로브스카이트 (CsPbX3, X=Br, I, Cl 등) 소재에 대한 합성 및 센서 소자 제작의 내용은 국제 경쟁력을 가진 원천기술로 의료용 방사선 센서의 획기적 성능 개선이 기대되며 본 연구를 통해 얻은 핵심 원천 기술을 산업체에 이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함. ◦ 본 연구를 통해 얻은 원천 기술의 저작권은 국내외 특허 등록을 통해 확보. ◦ 차세대 방사선 센서의 적용을 위해 국내외 의료기관 및 비파괴 검사가 필요한 산업체와 기술료 징수 사업을 통한 추가적인 공동 연구를 수행하고 원천 기술을 확보에 활용. ◦ 방사선 검출용 나노 재료 합성/분석에 따른 기초 원천 기술 확보 및 응용 분야 확대. ◦ 나노 기술 및 새로운 방사선 센싱 원리를 이용한 소자 제작을 통해 고-에너지 센싱 소자 기술의 관련 산업체 이전 및 국제 경쟁력 강화. ◦ 고분해능 및 높은 검출 효율을 필요로 하는 의료용 및 보안용 방사선 센서에 적용하고 고부가가치 경제 창출 기여. ◦ 직접 검출형에 의한 방사선 기기의 부피 축소 및 사용 효율성 증가로 인해 원가 절감 및 국제 경쟁력 확보를 통한 방사선 기기 수출 증대에 기여. ◦ 새로운 방사선 센싱 및 영상 처리 기술 확보를 통해 관련된 NT 및 IT 산업에 기술 이전이 가능하고 새로운 산업 및 시장 창출 효과를 기대.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임현식
    • 주관연구기관 : 동국대학교
    • 발행년도 : 20210300
    • Keyword : 1. 나노 소재;방사선;센서;신틸레이터;하이브리드; 2. nano Materials;radiation;sensor;scintillator;Hybrid;
  • 11759

    2021.11.30

    □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 최종 목표 ◯ 화염시험 방법론 및 연소특성에 대한 안전규제기술 개발 ○ 전체 내용 - 케이블의 난연성능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 분석 - 케이블의 연소시험을 통한 연소생성물 분석 - 원전에 적용되는 케이블 화염시험 방법론 평가 및 제시 - 케이블 연소생성물을 고려한 화재·피난 시뮬레이션 시나리오별 분석 및 PRISME 실험결과에 대한 화재모델링 검증 ○ 1단계 □ 목표 ◯ 국내 원전 일반케이블 및 광케이블의 난연성능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 분석 ◯ 국내 원전 케이블 연소생성물 영향 분석 ◯ 케이블의 난연성능 확보를 위한 가속열화방식 분석 및 화염시험 방법론 제시 □ 내용 - 케이블의 방사선 및 열적 가속열화 기간에 따른 난연성능 변화시험 - 케이블의 방사선 및 열적 가속열화 기간에 따른 연소생성물 분석시험 - 방사선 및 열적 가속열화 기간에 따른 케이블 난연성능 및 연소 생성물 변화 분석과 방법론 제시 ○ 2단계 □ 목표 ◯ 국내 원전 케이블에 대한 선정지침 개발 방향 제시 ◯ 케이블 연소생성물을 고려한 운전원 현장조치/화재진압절차 평가기술 개발 □ 내용 - 케이블의 가속열화온도 및 가속열화 경년수준에 따른 난연성능 및 연소생성물 변화 분석과 방법론 제시 - 케이블의 가속열화온도 및 가속열화 경년수준에 따른 케이블 난연성능 변화 시험 - 케이블의 가속열화온도 및 가속열화 경년수준에 따른 케이블 연소생성물 변화 분석 및 독성지수 분석 실험 - 케이블 연소생성물을 고려한 화재·피난 시뮬레이션 시나리오별 분석 및 PRISME 실험결과에 대한 화재모델링 검증 □ 연구개발성과 ○ 규제·기술지침 개발 - 케이블 재질 별 연소생성물에 따른 운전원 조치 및 화재진압절차에 대한 안전규제기술, 원전 케이블 화염시험 방법론에 대한 안전규제기술, 케이블 연소생성물에 따른 원전 케이블 선정 지침 ○ 학회 논문 ○ PRISME3 실험결과에 대한 모델링 수행 및 표준 입력값 개발을 통한 해설서 개발 □ 연구개발성과 활용계획 및 기대 효과 ○ 국내 원전 케이블 화염시험 방법론에 대한 안전규제기술 개발과 국제적인 케이블 수출기업 및 시험기관 양성 - 국내 원전에 설치되는 케이블에 대한 화염시험 방법론을 정립하여 케이블의 수명기간 동안의 난연성능을 사실적으로 검증할 수 있음. - 수명기간 동안의 난연성능을 검증할 수 있는 케이블 화염시험 방법론을 정립할 수 있음. - 케이블의 난연성능을 사실적으로 검증할 수 있는 화염시험 방법론을 연구하여 케이블 화염시험을 수행하는 국내시험 인증기관의 기술적인 향상을 도모할 수 있음. ○ 케이블 연소생성물의 특성에 따른 운전원 조치 및 화재진압절차에 대한 안전규제기술 개발 - 케이블 연소 시 생성되는 연소생성물의 종류 및 발생량을 고려하여 원전 케이블 화재발생 시, 운전원 조치에 대한 절차를 개선할 수 있음. - 케이블 연소 시 발생하는 연기의 밀도가 운전원 및 초동소방대의 가시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화재진압절차의 개선점을 도출할 수 있음. - 케이블의 연소생성물이 인체에 미치는 유해성을 분석하여 국내 원전에 설치되는 케이블의 선정지침 개발방향을 제시할 예정임. (출처 :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이상규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
    • 발행년도 : 20211200
    • Keyword : 1. 케이블 화염시험 케이블 난연성능 케이블 연소생성물 운전원 조치 화재진압절차; 2. cable flame test;fire retardant performance;cable combustion products;operator action;fire pre-plan;
  • 11758

    2021.05.31

    ◆ 연구 목표 ♦ 2015년 미국 및 유럽에서 항암 바이러스(Oncolytic virus)의 상업화 성공 이후, 이 분야의 많은 투자와 다국적 제약사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음. ♦ 종양면역 및 면역독성 조절을 할 수 있는 다수의 항암 바이러스 후보 물질군 제작 및 최적화, 비임상 연구 진행, 공정개발, 임상시험 승인 획득 후 초기 임상시험에 진입하고자 함. ♦ 항암 바이러스의 개념증명 임상시험을 통해 종양면역의 패턴을 파악하여 세포독성 항암제, 표적 치료제 중 면역조절이 가능한 물질을 탐색해서 항암 효과를 극대화 하고자 함. ▶ 항암 바이러스의 작용기전 중 종양면역 증가는 생존율 증가와 관련된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생각되지만, 바이러스 자체의 면역 활성으로 체내 보상적인 억제성 면역이 발생하여 임상적 유효성을 제한할 수 있음. ▶ 본 연구책임자는 제작된 차세대 항암 바이러스에 의해 유도되는 종양 면역반응의 질적, 양적변화 분석 및 면역조절제를 탐색하여 항암 바이러스의 항암 효과를 극대화할 것이고, 이를 기반으로 임상시험에 적용하기 위한 중개연구 및 임상시험 프로토콜 개발과 1상 임상시험을 수행하고자 함. ◆ 연구방법 ♦ 바이러스 엔지니어링 ♦ in vitro : 역가시험, 세포독성시험, Flow cytometry, Immunohistochemistry, qPCR, TEM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Microarray, Co-culture ♦ in vivo : 인간 종양 동물 모델, 동종 종양 동물 모델, 토끼 종양 모델, 토끼 독성 모델 ♦ 경동맥화학색전술 ◆ 연구결과 1) 암세포 특이적 항암 바이러스 제작 및 최적화 • 백시니아 바이러스를 기반으로 바이러스 증식 조절 유전자 및 종양 면역 활성인자를 도입하여 다수의 항암 바이러스 제작 완료(OTS-412, OTS-C412, WOTS-418, WOTS-408) • 항암 바이러스 제어기능 검증 및 제어시스템에 의한 추가 항암 효과 확인 완료 • 항암 바이러스 감염 시 면역 조절의 중요성 확인 • 항암 바이러스와 면역조절제(m) 병용 투여(mOTS-412)에 의한 항암 효과 증가 확인 - in vitro / in vivo - 인간 종양 동물 모델 / 동종 종양 동물 모델 • 항암 바이러스와 면역조절제 병용 투여의 항암 효과 작용기전 연구 및 후천성 면역 조절 기전 연구 • 항암 바이러스와 면역조절제 병용 투여(mOTS-412)와 면역관문억제제 추가 투여에 의한 항암 효과 증대 확인 • 다양한 항암 바이러스(OTS-C412, WOTS-418)와 면역조절제(m) 병용 투여에 의한 항암효과 증가 확인 • Herpes simplex virus, Measles virus, Adenovirus와 면역조절제의 병용 처리에 의한 항암효과 확인 • 바이러스 제조 공정 개발 완료 • 항암 바이러스 대량 생산 Process Development 기술이전 및 임상시험물질(CTM I, CTM II) 제조 완료 • CMC 분석법개발(identification – PCR based, 역가측정법, chemosensitization shift assay, 바이러스 정량 – PCR based) 및 밸리데이션 • 임상시험물질(CTM) 품질시험 완료 • 항암 바이러스 안정성 연구 • 임상시험물질(CTM I) 출하승인 완료 및 IND packaging 작성 완료 2) 항암 바이러스 유도 면역반응 연구 • 간암환자에서 경동맥화학색전술(TACE) 치료에 따른 종양 면역반응의 분석 완료 • 종양 모델 생쥐에서 고용량 OTS-412 독성 연구 완료 • 토끼의 간동맥 투여를 통한 고용량 OTS-412 독성 연구(non-GLP) 완료 • 토끼 모델에서의 mOTS-412에 대한 GLP 독성 시험 시행 완료 • 원숭이에서 mOTS-412 독성 시험 완료 • 항암 바이러스 생체 분포 시험 완료 • 항암 바이러스 효율 증가를 위한 특정 마커 분석 탐색 • 임상 시료 분석법 개발 • 임상시험 프로토콜 개발 완료 ◆ 기대효과 • 임상시험 진입을 위한 서류 준비 완료(IND packaging) - 비임상 약리, 비임상 독성, GMP 제조 • 기술이전 혹은 창업 : 1단계 종료 전 30억 이상의 민간자본 투자 • 차세대 항암 바이러스 기반 면역치료제의 신약 시장 진출 교두보 마련 • 신약개발을 위한 국제적 수준의 새로운 시스템의 기반 설립 및 세계적인 연구 성과 도출 ▶ 항암 바이러스 치료제의 종양면역 반응 분석법을 개발함으로써 암종에 따른 개인별 맞춤치료 근거 확보 ▶ 다양한 암의 표준치료 방법 (수술, 경간동맥화학색전술, 고주파 치료, 방사선 치료, 항암제 등)의 광범위한 영역에서의 보조치료 확보 및 맞춤치료 개발 ▶ 항암 바이러스 치료의 항암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차세대 면역반응 조절제 개발의 기반 마련 (출처 : 요약문 5p)
    • 연구책임자 : 황태호
    • 주관연구기관 : 부산대학교
    • 발행년도 : 20210600
    • Keyword : 1. 항암 바이러스;고형성 종양;임상시험;면역치료제;종양면역; 2. Oncolytic virus;Caner immunology;Clinical study;Immunotherapeutics;Solid tumor;
  • 11757

    2021.02.28

    □ 연구개요 세포 사멸 및 항암 관련 전사인자인 FOXO4 가 매개하는 단백질-단백질 상호작용들을 NMR 및 생물리화학적 방법을 융합하여 체계적으로 규명하고, 이에 대한 선택적 저해 전략을 수립한다. ◇ FOXO4 의 DNA 결합 도메인인 Forkhead 도메인 (FHD)과 구조 없는 C 말단 부위의 Transactivation 도메인 (TAD) 간 분자 내 상호작용을 원자 수준에서 구조적, 동역학적으로 규명한다. ◇FOXO4 TAD 가 FHD 의 DNA 선택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한다. ◇ 염증 물질을 분비하는 노화세포 (Senescent Cell) 의 자가 사멸을 저해하는 원인인 FOXO4 와 p53 간의 상호 작용 기전을 원자수준에서 규명한다. ◇ 단백질-단백질 상호작용, 단백질-DNA 상호작용을 BLM, RPA 단백질에 대해 연구하고 이를 압타머 기반 센서 시스템에 응용한다. □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연구 목표 (1) FOXO4 FHD – TAD 상호작용 규명, (2) FOXO4 TAD 가 FHD 의 DNA 선택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여 논문을 발표함 (J. Mol. Biol. (2021)). -TAD 는 FHD 의 DNA 결합표면에 상호작용하며 nontarget DNA 와 FHD 가 상호작용할 때 free, DNA-bound state 사이의 교환속도를 증가시킴 (3) FOXO4-p53 상호작용 기전을 원자 수준에서 규명하여 BioRxiv 에 preprint 를 발표하였고 저널에서 현재 리뷰중임. - FOXO4 FHD 는 p53 TAD 와 micromolar Kd 로 상호작용하고 FOXO4 TAD 는 p53 DBD 와 약한 상호작용을 함 (4) 단백질-단백질 상호작용, 단백질-DNA 상호작용 규명 및 응용에 대해 연구기간 동안 총 10편의 SCI 논문 발표하여 연구 목표 대비 연구를 성실히 수행하였음. □ 연구발성과의 활용 계획 및 기대효과 (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본 연구는 그간 규명되지 않았던 FOXO4 의 DNA 선택성, FOXO4 매개 단백질-단백질 상호작용을 규명함으로써 FOXO4의 활성 이해에 크게 기여하여 학문적 가치가 크다. 특히 FOXO4-p53 상호작용에 대한 규명은 노화세포의 사멸을 선택적으로 유도할 수 있는 펩타이드 저해제 개발에 활용될 수 있다. 노화세포는 인간 퇴행성 질환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되므로, 이에 대한 선택적 저해 전략의 개발은 사회적, 의학적으로 큰 잠재력을 가진다. 본 연구는 특히 구조가 없는 부분에 의한 상호작용들을 대상으로 하므로, 단단한 단백질 구조에 대한 연구에 비해 매우 도전적인 과제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의 추진 방법 및 결과가 구조 생화학 및 관련 분야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다. 최근 신약 연구 분야에서는 단백질-단백질 상호작용을 표적으로 하는 신약들이 크게 주목받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해 구조생화학, 생물리화학적 방법을 융합하여 단백질-단백질 상호작용을 효과적으로 연구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고, 연구 인력을 양성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박진주
    • 주관연구기관 : 광주과학기술원
    • 발행년도 : 20210300
    • Keyword : 1. 단백질 단백질 상호작용;핵자기공명;전사인자;단백질-DNA 상호작용;세포 노화; 2. Protein-Protein interaction;Nuclear Magnetic Resonance;Transcription Factor;Protein-DNA interaction;Cellular Senescence;
  • 11756

    2021.10.31

    □ 기업의 애로사항 ○ 방폭모터의 발열 문제 ○ 방폭모터용 펌프헤드 설계 □ 지원(해결) 내용 ○ 유도전동기 등가회로 정수 도출을 통한 손실추정 ○ CFD를 통한 열전도 해석 ○ 열전달 개선을 위한 방법제시 ○ 모터펌프 3D 설계를 통한 설계기술 확보 □ 지원 성과 ○ 정성적 성과 - 열전도 에폭시 및 구리스를 적용한 방열효과 개선 ○ 추가 성과 - 오픈소스(Openfoam)를 통한 CFD해석 기술 획득 - 모터등가회로 해석을 통한 모터 정수추정 기술 획득 ○ 기술스펙 달성 성과 □ 기술적 우수성 ○ 방폭모터의 방열해석 및 구조개선 - 방열모터의 수학적 모델링을 통한 손실 해석 - 오픈소스(Openfoam)을 활용한 CFD열전달 해석 수행 - 열전달 개선을 통한 방폭모터의 안정성 향상 □ 성과활용 ○ 신규 방폭모터 개발에 방열구조 개선 활용 ○ 제품 방열 안전성에 관한 해석 자료로 활용 (출처 : 지원 사례 요약 4p)
    • 연구책임자 : 신진옥
    • 주관연구기관 : 한국생산기술연구원
    • 발행년도 : 20211100
    • Keyword : 1. 방폭모터;펌프;방열;열전달;시뮬레이션;다이아프램; 2. Explosion proof;Pump;Heat radiation;Heat transfer;Simulation;Diaphragm;
  • 11755

    2020.12.31

    ○ Hypoxic condition에서 endothelial cell이 tumor cell의 HIF-1α 단백질 발현에 미치는 영향 규명 및 기전 연구 ▪ 저산소 환경에서 혈관내피세포에 의해 증가되는 종양세포의 악성화 지표 관찰 ▪ 저산소 환경에서 혈관내피세포에 의해 유발되는 종양세포의 악성화에 기여하는 인자 및 기전 발굴 연구 ▪ 저산소 환경에서 발굴된 종양세포 악성화 관련 인자의 표적화에 따른 방사선 치료 저항성 극복 연구 ○ 방사선 조사된 대식세포에 의한 종양세포의 성상변화 연구 ▪ 방사선 조사에 의한 대식세포의 생리활성물질 생성 변화를 유발하는 표적 유전자발굴 (출처 : 요약서 3p)
    • 연구책임자 : 김성대
    • 주관연구기관 : 동남권원자력의학원
    • 발행년도 : 20210100
    • Keyword : 1. 대식세포;혈소판;저산소;기질세포;혈관내피세포; 2. macrophage;platelets;hypoxia;stromal cell;endothelial cell;
  • 11754

    2021.01.31

    본 연구사업의 주목표는 국가 첨단의료 방사성동위원소 및 방사선의료·바이오 신시장 창출을 위한 치료용 방사성동위원소 이용 방사성의약품 개발 연구이다. 첫번째로, 다목적 사이클로트론에서 인출되는 하전입자빔(양성자, 중수소 및 헬륨)을 이용 난치성질환 진단 및 치료용 방사성동위원소의 고성능 생산기술과 고효율 분리정제기술 개발하는 것으로 국내외 신규 치료용 동위원소인 Cu-67, At-211, Ru-97, Sc-44, Sc-47, Sn-117m 6종에 대한 방사성동위원소 생산변경허가 취득을 하였으며 Ac-225 생산을 위한 방사성물질인 Ra-226의 방사성동위원소 사용변경허가 취득하였다. 또한, 고효율 핵반응을 위한 하전입자(양성자/중양성자/알파)빔 안정화기술 개발을 통한 치료용 RI 생산을 위하여 알파빔 튜닝 최적화였다. 50 MeV 사이클로트론 기반으로 한 차세대 PET 방사성동위원소 3종(Cu-64, Zr-89, I-124)은 의학원에서 국내 최초로 개발하여 연구용으로 국내 의료기관 및 연구소에 무상으로 공급(단, 포장 및 배송료는 주문자 부담)하고 있으며 현재 국내 총 14기관이 사용허가를 보유하고 의학원으로부터 공급 받아 분자영상 및 핵의학기술에 대한 R&D에 활용하고 있는 상태이다. 2020년에는 코로나19 판데믹으로 인해 의학원 및 외부기관 사용량이 전년도 대비 많이 감소하였으나, Cu-64(방사성구리)는 3,950.5 mCi/199 건, Zr-89(방사성지르코늄)은 27.2 mCi/10건, I-124(방사성요오드)는 136.8 mCi/23건을 생산하여 공급하였다. 두 번째로, 다목적 사이클로트론 기반 생산시설 업그레이드를 통한 고품질 의료용 방사성동위원소의 양산체제를 구축하여 국내 연구 활성화 및 동위원소 분야 세계적 기술력 확보를 위하여 At-211 빔조사(50 MeV 사이클로트론)를 위하여 Bi-209 타겟 제조하여 타겟에서 용해한 Bi-209 + At-211은 12.6 μCi였으며, 분리정제 후 약 0.3 μCi의 At-211이 얻었으며 감마에너지 분석 결과, At-211에서 나오는 687.0 keV(0.25%)와 Bi-207에서 방출되는 569.7(97.8%), 897.7(0.12%) keV의 감마에너지가 관측되었다. 이와 연관되어 At-211 표지용 보결화합물 bisboc-iso -SGMTB의 합성한 상황이다. 최근에는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등에서 갑상선암 PET 진단제로 수출 요구가 들어와, 현재 수출 사업화 진행 중에 있다 (출처 : 요약서 3p)
    • 연구책임자 : 이용진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의학원
    • 발행년도 : 20210200
    • Keyword : 1. 방사성동위원소;베타선 방출;알파입자 방출;조사스테이션;방사선안전; 2. Radioisotope;Beta-ray emitted;Alpha particle emitted;Irradiation station;Radiation safety;
  • 11753

    2020.12.31

    본 과제는 ①‘미래원자력기술 발전전략’ 관련 원자력 협력 전략수립 및 신규협력 분야 모색 강화, ②한국원자력기술 해외진출 지원을 위한 국제협력 중점 추진, ③국제사회 내 아국의 기술 우수성 및 위상 강화 활동 지속 수행, ④국제협력 활동의 전략성 강화의 네 가지 세부목표를 중심으로 원자력 협력활동이 전략적으로 수행되었으며 다음의 성과를 거두었다. 먼저 (i)원자력기술과의 융합 기술개발 국제협력 활동 계획을 수립 및 이행하였으며 (ii)국내 원자력 국제협력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국가 원자력 R&D 정책과 일치하는 협력전략을 수립하는 등 전략을 고도화하였다. 또한, (iii)수출 유망기술의 해외 진출활동을 지원하기 위해 연구로, 중소형원전 등 수출 유망기술의 국제협력을 추진하였고, (iv)정부 간 다자, 양자협력 채널에 수출 유망기술의 기술의제 참여 확대, (v)아국 수출 유망기술의 국제수요 파악 및 원전시장 진출 유망지역에 대한 협력을 강화하였다. 국제사회에서의 아국의 위상 강화를 위해 (vi)국제기구가 개최하는 각종 위원회, 기술회의, 자문회의 참여를 확대하였으며, (vii)원자력 국제행사 한국 개최를 확대하였다. 더불어 현 원자력정책 기조를 반영한 국제협력 활동의 전략성을 강화하기 위해 (viii) 다자, 양자별 협력현황 점검 및 대상별 협력 분야와 신정책과의 부합성을 검토하였으며, (ix)국제협력 전략에 입각한 정부간 양자공동위, 국제기구, 다자협의체 정책회의에 지속 참여 및 (x)주요 원자력 국가와의 국제협력 전략지도를 작성하였다. (출처 : 보고서 요약서 3p)
    • 연구책임자 : 정서영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협력재단
    • 발행년도 : 20210100
    • Keyword : 1. 미래원자력;국제협력;해외진출;융합;국제위상; 2. Future nuclear;International Cooperation;Export abroad;Convergence;Leading Position;
  • 11752

    2021.11.30

    □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 최종 목표 ○ 텍스트 기반 공개출처정보를 활용한 분석 플랫폼 ○ 전체 내용 ○ 본 과제는 텍스트 기반의 공개출처정보를 활용하여 북한의 핵활동을 상시 감시할 수 있는 핵활동 분석 플랫폼을 개발하고 이를 토대로 북한의 미신고 핵활동을 적시에 탐지할 수 있는 국가 능력을 배양함을 최종목표로 함. 북한의 비핵화 과정에서 과거 핵활동의 이력과 핵물질 및 핵시설의 존재 여부 등 북한이 제공하는 정보의 일치성과 완전성을 검증함을 그 목적으로 하며, 이를 위하여 제1단계(2019-2022년)에서는 ‘텍스트 기반의 공개출처정보를 활용한 핵활동 분석시스템’을 개발하였음. ○ 1단계 □ 목표 ○ 텍스트 기반의 공개출처정보를 활용하여 북한의 핵활동을 상시 감시할 수 있는 핵활동 분석 플랫폼을 개발하고 이를 토대로 북한의 미신고 핵활동을 적시에 탐지할 수 있는 국가 능력을 배양함. 일차적으로는 비핵화 과정에서 과거 핵활동의 이력과 핵물질 및 핵시설의 존재 여부 등 북한이 제공하는 정보의 일치성과 완전성을 검증하는 데 활용하고, 더 나아가 향후 북한의 핵활동 관련 연구 및 정책 수립 · 이행을 위한 기본정책도구로 활용하고자 함. □ 내용 ○ 본 과제는 텍스트 기반의 공개정보를 활용하여 북한의 핵활동 이력과 핵물질 및 핵시설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전문가의 분석과 평가를 통해 유용하게 사용가능한 정보로 가공하는 등 북한의 핵활동을 상시 감시할 수 있는 공개출처정보 기반의 핵활동 분석 플랫폼을 개발함을 최종목표로 함. 이를 위하여 연차별로 다음의 연구를 수행하였음. ■ 텍스트 기반 공개출처정보를 활용한 핵활동 분석 플랫폼 설계 - 기존의 공개출처정보 기반 핵활동 분석 사례 조사·분석 - 미신고 핵활동 탐지를 위한 정보수집 범위 설정 및 방법 도출 - 미신고 핵활동 탐지를 위한 핵활동 분석 플랫폼 구축전략 수립 ■ 텍스트 기반 공개출처정보를 활용한 핵활동 분석 플랫폼 개발 - 공개출처정보 기반 미신고 핵활동 분석 알고리즘 개발 - 공개출처정보 기반 미신고 핵활동 분석 프로그램 개발 - 공개출처정보 기반 미신고 핵활동 분석 플랫폼 개발 ■ 텍스트 기반 공개출처정보를 활용한 핵활동 분석 플랫폼 검증 - 공개출처정보 기반 미신고 핵활동 분석 플랫폼 검증 - 공개출처정보 기반 미신고 핵활동 분석 플랫폼 최적화 □ 연구개발성과 ○ 텍스트 기반 공개출처정보를 활용한 핵활동 분석 플랫폼 설계 - N-STAR 기술보고서(1건), 신규 고용창출(2건) ○ 텍스트 기반 공개출처정보를 활용한 핵활동 분석 플랫폼 개발 - N-STAR 기술보고서(1건), S/W 프로그램(2건) ○ 텍스트 기반 공개출처정보를 활용한 핵활동 분석 플랫폼 검증 - N-STAR 기술보고서(1건) □ 연구개발성과 활용계획 및 기대 효과 ○ 활용계획 - 북한의 비핵화 과정에서 과거 핵활동의 이력과 핵물질 및 핵시설의 존재 여부 등 북한이 제공하는 정보의 일치성과 완전성을 검증하는 데 활용 - 향후 북한의 핵활동 관련 연구를 수행하고 우리나라의 대북 정책을 수립 · 이행하는 데 기본 정책도구로 활용 ○ 기대효과 - 북한의 군사적 안보위협과 테러리즘에 대응하는 효과적인 사회안전망 구축을 통해 국가 안보에 기여하는 한편, 국민의 불안 해소 - 북한의 비핵화 과정에서 당사국으로서의 직접적 · 주도적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국제핵비확산 분야에서의 국가 위상 제고 (출처 :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권은하
    • 주관연구기관 : 미래전략컨설팅
    • 발행년도 : 20211200
    • Keyword : 1. 미신고 핵활동;공개출처정보;데이터 분석;텍스트 마이팅; 2. Undeclared Nuclear Activity;Open Source Intelligence;Data Analysis;Text Min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