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Report

All 12,447 Page 59/1,245

검색
  • 11867

    2022.01.31

    1. 연구개발 목표 o 최종 연구개발 목표 ○ 원전의 안전성 향상을 위한 중대사고 기기생존성(ES1)) 평가 기술 개발 ○ 중대사고 기기생존성 평가 설비 구축 ○ 중대사고 기기생존성 평가 체계를 통한 원전 규제 대응 및 산업계 수탁과제 수행 o 당해 연구개발 목표 ○ 중대사고 기기생존성 관련 규제요건 분석 ▹ 사고관리계획서2) 유관기관 협업체계 구축 ▹ 중대사고 기기생존성 평가 관련 규제 및 환경조건 연구 ○ 중대사고 환경 모사 시험설비 구축 및 운용 ▹ 중대사고 기기생존성 시험설비 고도화 ▹ 시험챔버 내부 개선 설계 ○ 기기생존성 평가 기술 및 중대사고용 방화랩(Fire wrap) 설계기술 개발 ▹ 중대사고 기기생존성 종합영향평가 수행 ▹ 중대사고 대처설비 생존성 향상기술 개발 ▹ 중대사고 환경에서의 상승효과를 고려한 비금속소재 열화평가 기술 개발 (위탁) (출처 : 본문 : 1. 연구개발 목표 2p)
    • 연구책임자 : 김대환
    • 주관연구기관 : 한국기계연구원
    • 발행년도 : 20220200
    • Keyword : 1. 중대사고;기기생존성;생존성향상;실증시험;안전등급기기; 2. Severe Accident;Equipment Survivability;Survivability Improvement;Type Test;Safety Related Equipment;
  • 11866

    2022.02.28

    □ 연구개요 두경부암(침샘암, 후두암)은 조기발견이 어렵고 수술 및 방사선 치료 후 구강건조증과 같은 많은 기능장애를 유발한다. 구강건조증에 적용하는 타액 분비제인 필로카핀(pilocarpine) 또는 cevimeline는 치료반응율이 50% 이하이며 발열, 오심, 무기력증과 같은 부작용이 발생하여 장기간 사용이 어렵다. 이로 인하여 타액 분비제를 투여하지 않고 구강건조증을 치료하고자 하는 연구들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특히, 세포치료제를 활용한 재생치료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주로 성체 줄기세포를 침샘으로 분화시키거나 침샘의 primary cell을 hydrogel이나 matrigel과 혼합하여 3차원 복합체 상태로 병변에 이식하여 조직을 재생시키고자 하는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부분적인 구조의 개선은 보이나 완전한 침샘 구조 및 침 분비와 같은 기능적인 재생효율이 낮다는 한계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손상된 침생의 완전한 구조적 재생 및 침샘 분비 개선을 위한 재생치료제 개발을 위해서 환자의 자가 침샘 줄기세포를 이용하여 만든 오가노이드를 활용하고자 한다. □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 마우스 침샘 조직에서 줄기세포를 분리하여 오가노이드를 형성함. 오가노이드는 계대배양을 거듭할 수 있었고, 시간에 따라 자연적으로 침샘 특이적인 분화 마커가 발현하는 것을 통해 분화능을 확인함 ⦁ 사람 침샘 조직에서 줄기세포를 분리하여 오가노이드를 형성함. 오가노이드는 분화를 유도한다고 알려진 인자 Isoproterenol의 첨가를 통해 분화능을 확인함 ⦁ 구강건조증을 가진 마우스를 모델링하기 위해 정상 마우스의 침샘 부위에 15gy의 방사선을 조사한 결과 침 분비량이 급격히 떨어지고 침샘의 크기가 줄어드는 것을 확인하여 모델링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졌음을 증명함 ⦁ 구강건조증 마우스 모델에 마우스 침샘 오가노이드를 이식한 결과 손상을 입은 침샘에 생착과 분화가 이루어졌고, 침 분비량이 늘어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음 ⦁ 사람 오가노이드를 면역력 결핍 마우스인 nsg에 이식한 결과 줄기세포가 침샘에 잘 생착된 것을 확인하여 이식을 통한 구강건조증 개선에 대한 가능성을 보여줌 □ 연구개발성과의 활용 계획 및 기대효과(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본 연구는 환자의 조직에서부터 유래한 오가노이드 제작을 통해 맞춤형 치료기술 개발에 기여함. 성체줄기세포의 nich를 모사하여 오가노이드를 제작하기 때문에 조직 재생, 바이오마커 발굴뿐만 아니라 신약 스크리닝, 유전자 치료 등을 위한 플랫폼 기술에도 활용이 가능함. 또한 성체줄기세포-오가노이드 제작 기술에 근거한 다양한 조직 재생 관련 연구 개발에 기여함.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전덕희
    • 주관연구기관 : 차의과학대학교
    • 발행년도 : 20220300
    • Keyword : 1. 구강건조증;침샘;오가노이드;비임상 시험;임상시험계획 승인; 2. xerostomia;salivary gland;organoid;preclinical;IND;
  • 11865

    2022.11.30

    비공개항목입니다.
    • 연구책임자 : 최정훈
    • 주관연구기관 : 유저스(주)
    • 발행년도 : 20221200
    • Keyword : 1. 핵연료 이동;실시간 모니터링;연료 현황판;연료 관리;연료 장전; 2. nuclear fuel movement;real-time monitoring;fuel status board;fuel management;fuel loading;
  • 11864

    2022.11.30

    □ 연구개발 목표 방사성 폐기물 처분구조물의 건전성(integrity)을 실시간으로 감시하고, 적응형 인공지능(Adaptive Artificial Intelligence) 기술을 이용하여 방사성폐기물 처분구조물의 정량적인 손상도를 평가하고 나아가 처분구조물의 건전성을 예측할 수 있는 관리기술을 개발함. 1. 방사성폐기물 처분구조물의 정량적인 건전성 평가 혁신기술 개발 2. 적응형 인공지능 기반 처분구조물의 실시간 통합 감시·진단시스템 개발 □ 연구개발 내용 1. 방사성폐기물 처분구조물의 정량적인 건전성 평가 혁신기술 개발 a. 방사성 폐기물 처분구조물 주요 열화인자와 실시간 건전성 모니터링 데이터와의 상관특성 분석 b. 방사성 폐기물 처분환경 모사 복합 열화인자에 따른 구조물 손상도 진화특성(damage evolution) 규명 c. 실시간 감시데이터 및 손상진화 특성을 이용한 구조물의 건전성 정량화(손상위치, 손상정도, 손상강도 등) 기술 개발 2. 손상 연동해석 모델개발 및 손상도 진화특성을 이용한 처분구조물 장기 건전성 예측 a. 처분환경 모사 방벽재 시험 및 손상도 진화특성을 이용한 처분구조물의 장기 건전성 평가 b. 처분환경 적용가능 손상 연동해석 모델(Damage driven Coupled Thermo Hydro Mechanical model) 개발 c. 손상 연동 복합거동 모델 개발을 이용한 처분구조물의 장기 건전성 수치해석적 예측 3. 적응형 인공지능 기반 처분구조물의 실시간 통합 감시·진단시스템 개발 a. 건전성 감시를 위한 적응형 인공지능(Adaptive Artificial Intelligence) 알고리즘(SW) 개발 b. 다종 센서를 이용한 지능형 SF 처분구조물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HW) 구축 c. 실시간 감시 및 건전성 정량평가가 가능한 통합 시스템모듈 제작 및 성능검증 □ 활용계획 및 기대효과(응용분야 및 활용범위 포함) 1. 해외 원전기술 선도국의 경우 유사한 기술개발 사례가 없기 때문에, SF 처분구조물 건전성 정량평가 분야에서 기술적 파급효과가 매우 큼 2. 방사성폐기물 처분시스템의 장기 열화특성을 반영한 처분구조물의 안전성 강화 및 관리기술의 고급화에 기여 3. 사용후핵연료 저장 및 처분 등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집중됨에 따라, 사용후핵연료에 대해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다는 사실을 정량적 데이터에 근거하여 제시할 필요가 있음. 4. 이는 원자력시설 관리기술에 대해 안전성을 획기적으로 증진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대국민 수용성 및 신뢰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평가됨. (출처 : 요 약 문 2p)
    • 연구책임자 : 김진섭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연구원
    • 발행년도 : 20221200
    • Keyword : 1. 처분구조물;인공지능;건전성;손상도;정량평가;구조건전성 감시기술;음향방출;암반/콘크리트; 2. Structure in waste disposal system;Artificial intelligence;Integrity;Damage;Quantitative analysis;Structural health monitoring;Acoustic Emission;Rock/concrete;
  • 11863

    2022.02.28

    □ 연구개요 본 연구에서는 1. 뇌졸중 동물모델을 활용하여 compensation mechanism,과 recovery mechanism을 신경학적 그리고 운동학적 수준에서 명확하게 규명하고 2. 방사광을 기반으로 뇌졸중 동물모델의 근육조직을 3차원 모델링 및 최적화 연구를 수행하여 이를 토대로 3. 뇌졸중 환자의 compensatory movement 감소시키고 recovery movement를 증가시키는 질적 향상 운동 프로그램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 Stroke 모델링을 실시하고 뇌졸중 흰쥐모델을 대상으로 forelimb과 hindlimb의 행동학적 평가를 통하여 compensation movement를 분석하였다. 또한 뇌졸중 흰쥐모델의 histologic analysis를 통하여 흰쥐 brain의 motor cortex의 BDNF와 NGF의 발현양상 관찰하여 뇌졸중 흰쥐모델의 뇌조직 손상 및 회복과 이와 관련한 행동양상 변화를 분석하였다. - 동물모델을 활용하여 muscle tissue와 bone tissue을 면밀하게 분석하였다. bone tissue 분석을 위하여 micro CT, Phase contrast X-ray microtomography를 활용하였으며 muscle tissue 분석을 위하여 Phase contrast X-ray microtomography를 활용하였다. 특히 하나하나의 muscle fiber의 내부구조를 Hard X-ray nanotomography를 활용하여 3차원적으로 분석하였다. - 뇌졸중 환자의 보상적인 움직임을 감소시키고 질적 움직임 향상을 이끌어낼 수 있는 운동 프로그램 활용 방법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Trigger FES 자극 & 거울치료 적용방법에 대하여 조사하였고 치료 이후 균형능력과 보행능력 증진을 통하여 뇌졸중 환자의 전반적인 질적 움직임 수준을 향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Task specific training 적용방법에 조사하였고 Task specific training이 뇌졸중 환자의 spasticity를 감소시키고 고유수용성 감각능력 증진시켜 뇌졸중 환자의 움직임을 개선하고 보행과 일상생활 동작에 도움을 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연구개발성과의 활용 계획 및 기대효과(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 본 연구에서 신경학적인 변화와 연관하여 움직임 손상을 이해할 수 있는 중요한 메카니즘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가 있으며 추후 뇌손상으로 나타나는 운동양상을 파악하는 연구를 진행하는데 있어 중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방사광을 활용한 생체조직의 미세구조 분석의 효용성에 대하여 확인하였으며 추후 동물조직의 내부 세부구조를 명확하게 관찰하는데 있어 본 연구의 결과가 효과적으로 활용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연구에 활용된 3차원적인 미세구조 분석을 통해 병리학적 메카니즘과 회복 메카니즘 연구의 고도화가 이루어질 것으로 판단된다. - 본 연구에서 뇌졸중 환자의 움직임을 개선할 수 있는 운동 프로그램을 조사하여 적용 이후 그 효과를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본 연구에서 제시한 운동 프로그램이 뇌졸중 환자의 잠재력을 향상시키고 기능 능력 수준을 향상시키는데 크게 기여할 수 있음을 나타내는 것이며 나아가 본 연구에서 제시된 운동 프로그램의 적용은 뇌졸중 환자의 치료로 인한 사회적, 경제적 비용을 절감하는데 크게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장상훈
    • 주관연구기관 : 한국교통대학교
    • 발행년도 : 20220300
    • Keyword : 1. 뇌졸중;보상작용;근육;방사광가속기;질적 움직임; 2. stroke;compensation;muscle;synchrotron radiation;qualitative movement;
  • 11862

    2022.11.30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최종 목표 ○유전형 신장질환 다낭신 질환모델 형질전환 복제 미니돼지 생산 ○질환모델 미니돼지의 유전형, 표현형 검증 전체 내용 ○PKD1 유전자 결손 미니돼지 체세포주 작성 ○유전자 결손 체세포의 리프로그래밍에 의해 유도만능줄기세포 수립 ○유도만능줄기세포로부터 다낭신 질환모델 오가노이드 작성 ○오가노이드를 이용하여 형질전환 복제 미니돼지의 다낭신 표현형 예측 ○PKD1 유전자 결손 복제수정란 생산 ○PKD1 유전자 결손 복제수정란 이식 ○PKD1 유전자 결손 복제 미니돼지 생산 ○유전자 결손 복제 미니돼지의 유전형 검증 ○유전자 결손 복제 미니돼지의 다낭신 표현형 검증 연구개발성과 ○인간 질환과 동일한 발현 양상을 보이는 질환모델 미니돼지의 생산과 검증 기술 확보. 연구개발성과 활용계획 및 기대 효과 ○기술개발 및 특허 출원 이후, 제약회사 등에 기술이전 및 실시권 이양. ○세계 질환 동물모델 시장규모는 2016년 11.1억 달러에서 2021년에는 15.9억 달러로 성장할 것으로 예측 (https://www.marketsandmarkets.com/Market-Reports). ○유전자 결손 질환모델 미니돼지의 가치는 마리당 약 5-10만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며 형질전환 마우스 산업의 발전에서 경험한 바와 같이, 다양한 질환에 대한 질환모델 미니돼지 돼지를 연구용 및 신약 개발에 있어서 전임상에 활용할 수 있도록 연구기관, 제약회사 등에 공급. ○질환모델 미니돼지의 생산 및 신약, 유전자치료의 효능 검증을 대행하는 신산업 창출. (출처: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심호섭
    • 주관연구기관 : 단국대학교
    • 발행년도 : 20221200
    • Keyword : 1. 유전성 신장질환;유전자편집;신장 오가노이드;체세포핵이식;형질전환 미니돼지; 2. genetic kidney disease;gene editing;kidney organoid;somatic cell nuclear transfer;transgenic minipig;
  • 11861

    2022.06.30

    비공개항목입니다.
    • 연구책임자 : 이수임
    • 주관연구기관 : (주)에덴디
    • 발행년도 : 20220700
    • Keyword : 1. 고분자수지;심초형;복합방사;치실;약용탄; 2. Polymer resin;Cardio type;Complex radiation;Dental floss;medicinal charcoal;
  • 11860

    2022.02.28

    연구개요 ○ 알츠하이머병은 급속한 노령화로 인하여 국가의 경제적 사회적 큰 부담이 되고 있으나 아직까지 근원 치료는 불가능한 상태임. ○ 본 과제를 통하여 안전성과 효율이 확인된 방사선 치료 용량 프로토콜을 정하고 이에 따른 치료제의 흡수 증가 및 치료효과 및 기전을 검증하고자 함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1. 저방사선 치료 용량 프로토콜 세포모델 확립 및 영향 -고선량 방사선조사에 의한 세포 손상도 결과 -저선량 방사선 용량에 대한 세포 모델 확립 -신경세포 손상 조사 및 reactive oxidative stress 검증 -저선량 방사선 조사 세포모델에서의 NAC에 의한 신경보호 효과 조사 -ROS관련 메커니즘 규명 2. 저방사선 치료 용량 프로토콜 동물모델 확립 및 영향 연구 -알츠하이머 쥐모델을 이용한 실험 -효율적인 방사선 치료 프로토콜의 안전성을 검증 -동물 모델에서 뉴로글린 처치 후 BBB 투과성 규명 연구개발성과의 활용 계획 및 기대효과 (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본 연구결과는 저선량 방사선 치료 적용과 확립을 위하여 부작용을 최소하기 위한 기반연구로 저선량 방사선에 의한 뇌세포 영향 및 약물적용으로, 새로운 임상적 치료 표적(therapeutic target) 발굴 및 임상 응용의 가능성 확대 및 효용성 향상을 지향하는 연구결과를 산출함. (출처 :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이미조
    • 주관연구기관 : 을지대학교
    • 발행년도 : 20220300
    • Keyword : 1. 알츠하이머병;저선량방사선;뉴로글린;세포사;산화성스트레스; 2. Alzheimer's disease;Low dose radiation;Neuregulin-1;cell death;Reactiv oxidative stress;
  • 11859

    2022.11.30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최종 목표 UAE 원자력 시설의 핵안전·안보 연계를 위한 생체신호 기반 작업 신뢰도 통합관리시스템의 개발과 이를 전개할 플랫폼 구축 전체 내용 1. 생체신호 기반 작업 신뢰도 기술 고도화 가. 악의적 의도 탐지 및 직무적합도 평가기술의 감지 성능 개선 나. 상용화된 뇌파 및 PPG 측정 장비를 활용한 작업 편의성과 측정 정확도 개선 2. 실시간 종사자 모니터링 시스템 개발 가. 뇌파 기반 실시간 불안전 행동 모니터링 기술 개발 나. 뇌파 기반 거짓 보고 감지 기술 개발 3. 통합 직무 관리 시스템 구축 및 실증 가. 관리기술(직무적합도, 인적 오류, 내부자 위협) 제품 (뇌파 스마트 헬멧) 플랫폼 개발 나. 현장 도입 및 활용을 위한 제품 성능 평가 시행 4. Khalifa University와의 협력을 통한 기술 공동개발 가. KAIST: 실험설계 고도화, 종사자 신뢰도 평가 시스템 구축 나. KU: 공동실험&타당성 검증 연구개발성과 ● 안전과 안보를 연계한 생체신호 기반 종사자 신뢰도 시스템 개념 구현 및 단위 기술 개발 ● 실시간 불안전 행동 감지 시스템 개발 ● 종합 종사자 관리 플랫폼 제품 프로토타입 구축 ● 관련 전문가 자문 및 제안사항 반영 ● 원자력 안전, 안보 분야의 전문 석/박사 인력 배출 ● 학위논문, 학술발표, 국내외 논문게재 연구개발성과 활용계획 및 기대 효과 ● 원자력산업의 국제화를 지원할 수 있는 원자력 안전, 안보 전문인력 배출 ● 인적 오류 및 내부자위협 저감, 그리고 직무 적합성 평가를 모두 통합하는 원전작업 종사자 관리 규제체계의 적용 가능성 평가 ● 원전 수출국으로 부상한 대한민국이 세계 원자력 안전 및 안보 체제 유지 및 공고화에 기여 ● Khalifa University와 ENEC 간 상호 협력을 통한 상업화 계획 추진 (출처 :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임만성
    • 주관연구기관 : 한국과학기술원
    • 발행년도 : 20221200
    • Keyword : 1. 원자력 안전·안보 연계;통합 종사자 신뢰도 시스템;생체신호기반 데이터구축;불안전 행동 감지;규제적용성; 2. Nuclear safety-security interface;Integrative worker reliability management system;NPP worker’s bio-signals database;Unsafe Act Detection;Regulatory applicability;
  • 11858

    2022.10.31

    비공개항목입니다.
    • 연구책임자 : 김광섭
    • 주관연구기관 : 한국기계연구원
    • 발행년도 : 20221100
    • Keyword : 1. 나노구조체;그래핀;태양 복사에너지;능동제어;전기차; 2. Nanostructure;Graphene;Solar Radiative Energy;Active Control;Electric Veh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