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Report

All 12,453 Page 59/1,246

검색
  • 11873

    2022.11.30

    □ 연구개발 목표 본 연구개발은 급성 방사선 위장관 증후군 질환 모델 구축 및 이를 활용한 바이오마커를 발굴하고 그것의 임상적, 병리학적, 분자생물학적 기능 규명을 통해 급성 방사선 위장관 증후군 제어를 위한 기반기술과 치료 후보를 확보 및 효능을 평가하고자 함. □ 연구개발 내용 1. 급성 방사선 위장관 증후군 마우스 모델 구축 및 질환 제어용 바이오마커 발굴 ○ 급성 방사선 위장관 증후군 마우스 모델을 구축하고 장관 조직에 대한 유전체/전사체 분석을 통해 질환 제어용 바이오마커의 대량 발굴 ○ 생물학적 정보 분석을 통해 임상적으로 유의미한 질환 제어 후보의 선별과 유전자 변형 마우스 및 세포주의 제작 2. 선별된 바이오마커에 대한 유전자 결손 및 야생형 마우스를 이용하여 급성 방사선 위장관 증후군의 치료 후보에 대한 기능 분석 ○ 유전자 결손 및 야생형 마우스에서 방사선을 복부에 조사 후 유발되는 임상증상과 생존율을 비교분석 ○ 세포 및 분자생물학적 데이터를 확보하여 급성 방사선 위장관 증후군의 질환 제어용 바이오마커의 유효성 분석 3. 질환 모델 및 방사선 유도 대장염 환자 샘플에서 임상적 유효성 검증 ○ 질환 모델에서 병리학적, 분자생물학적 데이터를 확보하여 급성 방사선 위장관 증후군의 질환 제어용 바이오마커의 유효성 분석 ○ 방사선 조사된 인체 조직 병변에서 바이오마커의 발현 증감 여부와 임상적/병리 소견과의 상호 일치도 분석을 통해 바이오마커의 임상적 유용성을 평가 4. 급성 방사선 위장관 증후군 모델에서 타겟 유전자 활성화물질의 효능 분석 ○ 타겟 유전자 활성 물질을 대량 스크리닝 세포 모델을 통한 선별 ○ 구축된 동물모델에서 in vivo 효능 분석: 실험군(전처치, 후처치군)과 대조군사이의 체중변화 및 생존율, 염증반응 및 장점막 세포 사이의 연결 관련 물질의 발현, 장내투과성 의 차이 측정 □ 활용계획 및 기대효과(응용분야 및 활용범위 포함) ○ 기술적 측면: 방사선에 의해 생체 반응 네트워크 핵심 조절인자의 기능 규명을 통한 급성방사선증후군의 병인에 새로운 기초지식 제공, 방사선 생물학 분야의 선도적 지식 제공 및 방사선 보호제 개발에 주춧돌이 될것으로 생각됨. ○ 사회경제적 측면: 암은 가장 흔한 사망원의 하나이며 전체 암환자의 수는 계속 증가하며, 이들 중 50%가 방사선 치료를 받고 있어 향후 위장관 방사선 보호제를 개발함에 기여함으로써 암환자에 큰 희망을 될 수 있음. ○ 세계의 방사선 증후군 치료 시장은 2016년 46억 5,500만 달러에서 2024년까지 82억 5,600만 달러에 이를 전망이며, 2016-2024년간 연평균 복합 성장률(CAGR)은 6.57%를 나타낼 것으로 예측됨. 향후 임상시험을 통해 보호제 개발까지 진행될 경우 세계 공공보건 증진에 기여할 뿐만 아니라 막대한 경제적 이윤 창출할 수 있음. (출처 :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김섭
    • 주관연구기관 : 충남대학교
    • 발행년도 : 20221200
    • Keyword : 1. 급성방사선위장관증후군;방사선 보호제;바이오마커;마우스 모델;유전체 분석;방사선 치료;방사선 치료부작용;암; 2. Gastrointestinal acute radiation syndrome;Radioprotector;Biomarker;Mouse model;Genome-wide analysis;Radiotherapy;Radiation induced toxicity;Cancer;
  • 11872

    2022.07.31

    □ 연구목적 ■ 한중 공동으로 고효율 electrocaloric cooling 효과 heat flow를 연구함. (1) Nankai 대학교 Ma Rujun 교수는 전기를 이용하여 냉각이 가능한 고성능 electrocaloric 효과를 연구함. (2) 성균관대학교 백승현 교수는 Electrocaloric 현상에 적용 가능한 heat flow를 연구함. (3) Electrocaloric 효과 연구와 heat flow 연구를 융합하여, 압축이나 열전효과없이, 전기로 냉각이 가능한 고효율 냉각 cycle을 연구함. □ 연구내용 ■ Electrocaloric cooling effect 연구 Electrocaloric 효과는 dielectric 소재의 가역적인 열교환을 기반으로 함. Nankai 대학교 Ma Rujun 교수는 polarizability가 큰 ferroelectric terpolymer, P(VDF-TrFE-CFE)를 이용하여 electrocaloric cooling effect를 연구하고자 함. 본 소재는 유연하면서도 경량이어서 소형 solid state cooling device에 적용하는데 적합함. P(VDF-TrFE-CFE) 필름은 blade-coating 방법을 이용하여 제작함. P(VDF-TrFE-CFE) 필름 상·하면에 carbon nanotube 필름을 spray coating하여, sandwich 구조를 만들어 전극을 형성함. ■ Heat flow 연구 Electrocaloric cooling cycle은 주변으로 열을 방출하고, 주변에서 열을 흡수하는 공정이 포함됨. 성균관대학교 백승현 교수는 Electrocaloric에 적용 가능한 열을 방출하고 흡수하는 공정을 심도있게 연구하고자 함. Thermocouple 및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하여 열전달 과정을 연구하고, 이를 electrocaloric cooling cycle에 최적화하는 방법을 연구하고자 함. ■ 고효율 electrocaloric cooling 효과 heat flow 연구 Electrocaloric cooling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방열 및 흡열 공정을 연구함. 또한, electrocaloric cooling cycle을 제어하는 방법을 연구하고자 함. 본 냉각 방법은 compression 공정이나 진동이 없음으로, 전자장비 냉각, 바이오 응용 등에 매우 유용함. □ 연구결과 ■ Nankai 대학교 Ma Rujun 교수는 polarizability가 큰 ferroelectric terpolymer, P(VDF-TrFE-CFE) 소재 개발 및 electrocaloric cooling effect를 연구하였음. ■ Electrocarolic material의 cooling effect를 높이기 위해서는 주변으로의 방열 및 흡열 공정의 각각 조절이 필요함. 성균관대학교 백승현 교수는 주변으로 열을 방출하고 또 흡수하는 공정 조절을 연구하였음. 본 연구진이 개발한 비대칭 열전달 현상은 복사열에 의해 실현됨. 비대칭 열전도도 및 방사율은 리본 형상의 PET 스트립의 우측 상단 절반에 얇은 금속 필름(Nb, Cu 또는 Ag)을 스퍼터링하여 생성됨. 실험적으로 측정된 온도 프로파일은 유한요소해석 결과와 매우 일치함. PET-Nb 시료의 양방향 열전달의 차이가 발생하며, 지배적인 비대칭 메커니즘은 비대칭 비선형 방사율임을 확인함. 이러한 비대칭 열전달 소재를 electrocarolic 물질 표면에 접합하면, 방사와 흡열을 방향선택적으로 조절하여, electrocarolic 냉방 효과의 증대가 기대됨. □ 연구결과의 활용계획 ■ 압축공정이 없는 solid state 냉각 디바이스는, 진동·소음이 없으며, 전자장비 냉각·바이오 디바이스 응용 등에 큰 경제적 파급효과가 기대됨. ■ 본 연구결과에서 확인한 메커니즘은 광범위한 온도 및 장치 크기에 대한 방향에 따른 열전달의 미세 조정을 가능하게 함. 방향선택적 열전달은 electrocaloric 물질에 적용되어 효율을 높일 것으로 기대됨.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3p)
    • 연구책임자 : 백승현
    • 주관연구기관 : 성균관대학교
    • 발행년도 : 20220800
    • Keyword : 1. 전기캘로릭효과;열유동;냉각기기;냉동사이클;최적화;열제어;열전도;고분자;탄소나노튜브; 2. Electrocaloric effect;Heat flow;Cooling device;Cooling cycle;Optimization;Thermal control;Thermal conductance;Polymer;Carbon nanotube;
  • 11871

    2022.10.31

    □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 최종 목표 ○ 원전기기의 균열평가 및 열화관리 종합규제검증 기술개발 ○ 환경요인을 고려한 가동원전 핵심기기 건전성평가 규제기술 개발 ○ 원전기기 용접부 건전성평가 및 보수용접 안전성평가 규제 기술개발 ◼ 전체 내용 ○ 가동원전 핵심기기의 균열 열화현상에 대한 탐지, 평가, 보수를 통한 종합적인 균열안전성 규제검증 시스템 구축을 목표로 함. (총 괄) 원전기기의 균열평가 및 열화관리 종합 규제검증 기술 개발 (공동1) 환경요인을 고려한 가동원전 핵심기기 건전성평가 규제기술개발 (공동2) 원전기기 용접부 건전성평가 및 보수용접 안전성평가 규제기술개발 ◼ 1단계 ❏ 목표 (총 괄) 가동원전 균열성 열화현상 분석 및 탐지 기법 개발 (공동1) 환경요인에 의한 핵심기기 건전성평가 요소기술 고도화 및 방법론 개발 (공동2) 핵심기기 용접부 형태별 응력상태 도출 및 균열 건전성 평가 ❏ 내용 (총 괄) ○ 1차년도 - 가동원전 계통별 균열성 결함 현상 분석 - 냉각재와 접촉하는 구조물의 응력부식균열 민감도 분석 - 가동원전 균열결함 열화현상 탐지능력 향상 및 신호분석 모델링 및 시뮬레이션 ○ 2차년도 - 핵심기기 노즐 용접부 균열발생 원인분석 - 용접부 잔류응력 해석을 통한 균열 성장의 영향과 상관관계 분석 - 균열탐지 빔의 가시화 기술 및 신경회로망 기반 인공지능 프로세스 개발 ○ 3차년도 - 기기별 응력부식균열 예방 및 보수기술의 규제 적용성 검증 - 균열 탐지능력에 대한 다자간비교시험 수행 및 건전성평가 - 신경회로망을 활용한 신호분석/평가 기술개발 (공동1) ○ 1차년도 - 장기 조사취화 환경을 고려한 원자로용기 결함평가 요소 기술 개발 - 냉각재 환경을 고려한 기기 및 배관 결함평가 요소기술 개발 - 설계기준초과 동적하중을 고려한 원자로내부구조물 건전성 평가 요소기술 개발 ○ 2차년도 - 장기 조사취화 환경을 고려한 원자로용기 결함평가 요소 기술 고도화 - 냉각재 환경을 고려한 기기 및 배관 결함평가 요소기술 고도화 - 설계기준초과 동적하중을 고려한 원자로내부구조물 건전성 평가 요소기술 개발 ○ 3차년도 - 장기 조사취화 환경을 고려한 원자로용기 결함평가 방법론 개발 - 냉각재 환경을 고려한 기기 및 배관 결함평가 방법론 개발 - 설계기준초과 동적하중을 고려한 원자로내부구조물 건전성 평가 방법론 개발 (변형률 기반 안전여유도 평가) (공동2) ○ 1차년도 - 제작 기술기준에 제시된 용접부 설계 요건에 대한 기술적 배경 도출 ○ 2차년도 - 원전 핵심기기 용접부 형태별 설계 요건 및 응력 상태 분석 ○ 3차년도 - 용접부 형태별 응력상태에 따른 균열성장 정도 분석 ◼ 2단계 ❏ 목표 (총 괄) 가동원전 균열성 열화현상에 대한 종합 규제검증 시스템 구축 및 운영 (공동1) 환경요인에 의한 핵심기기 건전성평가 규제요소기술 개발 및 정립 (공동2) 핵심기기의 용접부 형태별 다중균열의 이상화 및 보수용접 안전성 평가 ❏ 내용 (총 괄) ○ 4차년도 - 운전환경을 고려한 원전기기 이종금속용접부 잔류응력 해석 모델 개발 - A-Scan 초음파 결함 신호 추가수집 및 인공지능 기반 균열 평가 소프트웨어 개발 - 주조스테인리스강(CSS) 열화 재료 시험편 제작 및 미세조직 분석 ○ 5차년도 - 인공지능 기반 균열평가 소프트웨어 성능평가 및 보완 - 균열평가 규제검증용 인공지능 시스템 하드웨어 개발 - 비파괴기법을 활용한 CSS 재료열화 분석기술의 규제적용성 연구 (공동1) ○ 4차년도 - 장기 조사취화 환경을 고려한 원자로용기 결함평가 규제요소기술 개발 - 냉각재 환경을 고려한 기기 및 배관 결함평가 규제요소기술 개발 - 설계기준초과 동적하중을 고려한 원자로내부구조물 건전성 평가 규제요소기술 개발 ○ 5차년도 - 장기 조사취화 환경을 고려한 원자로용기 결함평가 규제 기준 정립 - 냉각재 환경을 고려한 기기 및 배관 결함평가 규제기준 정립 - 설계기준초과 동적하중을 고려한 원자로내부구조물 건전성 평가 규제기준 정립 (공동2) ○ 4차년도 - 다중균열 모사 시험 수행 - 용접부 형태별 다중균열 해석 - 용접부 형태별 다중균열 이상화에 따른 보수성 확인 ○ 5차년도 - 용접부 형태별 균열저항성 향상을 위한 보수용접 방안에 대한 안전성 평가 - 보수용접에 따른 재료물성과 미세조직 변화를 반영한 용접부 형태별 응력상태 도출 및 분석 - 용접부 형태별 보수용접 안전성 검증을 위한 규제지침 개발 □ 연구개발성과 (1단계 3년 총 성과실적) ○ N-STAR 기술보고서 작성 : 17권 ○ SCI/비SCI급 논문 게재 : 15편 ○ 국내외 학술대회 발표 : 36건 (2단계 2년 총 성과실적) ○ N-STAR 기술보고서 작성 : 10권 ○ SCI/비SCI급 논문 게재 : 10편 ○ 국내외 학술대회 발표 : 14건 □ 연구개발성과 활용계획 및 기대 효과 ○ 지능형 초음파검사 신호분석 시스템 개발을 통해 현행 가동중검사에서 생산되는 자동 초음파검사 신호를 분석하여 결함 유무를 쉽고 빠르게 탐지 가능하므로, 규제검사자(원안위, KINS)의 업무에 직접적으로 활용 가능. 현장 초음파검사 신호분석에 지능형 신호분석 시스템을 적용함에 따라, 가동 중 검사 효율 및 신뢰도 제고 ○ 국내원전 고유 환경요인을 고려한 핵심기기의 건전성평가 규제기술은 장기 가동원전 안전심사(원자로압력용기 관련 심사 등) 및 규제검증평가에 직접 활용 가능. 환경요인을 고려한 기기 건전성평가 규제기술 확보를 통해 국내 고유 실정에 적합한 규제기관 기술기준 정립에 기여 ○ 국내 원전 핵심기기 용접부의 건전성평가 규제기술 개발 및 국내 가동원전 안전 심사 및 원안위고시/규제지침 제·개정에 활용. 국내 고유 실정에 적합한 규제 기관 기술기준 정립에 기여 (출처 :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강성식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
    • 발행년도 : 20221100
    • Keyword : 1. 열화;균열;환경피로;건전성평가;용접부잔류응력; 2. Aging;Crack;Environmental Fatigue;Integrity Evaluation;Weld Residual Stress;
  • 11870

    2022.08.31

    ○ 2020년도 우리나라의 방사선 및 방사성동위원소(RI) 이용 기관현황, 인허가량, 수입·생산·수출 현황, 경제규모, 인력현황, 방사선안전관리현황, 애로사항 등의 실태를 조사하여 그 결과를 방사선 및 RI 이용 활성화를 위한 정책방향 설정과 관련 산업의 효율적인 발전 방안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며, 조사된 통계는 국가승인통계로 관리됨. ○ 2020년도 방사선 및 RI 이용과 관련된 여러 주요 지표를 산출하기 위하여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수행된 주요 내용은 아래와 같음. (1) 2020년 방사선 및 방사성동위원소 이용실태 조사 분석 가. 방사선 및 RI 이용기관 조사 및 분석(선원구분/연도/지역/인허가/이용분야) 나. RI 및 방사선기기의 수입·생산·수출 등에 관련된 지표 획득 및 연도별 증감 추이 조사 - RI 수입(국가별, 용도별, 핵종별), 생산(하나로, 사이클로트론, 가공생산) 및 수출추이 - 방사선기기의 분야별(산업용, 의료용, 수의용) 수입·생산·수출 증감 추이 분석 다. 종사자 현황(인력 및 자격현황, 피폭선량현황) 조사 분석 라. 방사선 및 RI 이용에 따른 매출액 조사 및 경제규모 산출 - 산업/의료/농업/비파괴검사/방사선멸균분야 마. RI폐기물 발생량, 자체폐기량, 위탁폐기량 등 조사 (2) 방사선 및 방사성동위원소 이용실태 설문조사 가. RI공급 수요, 종사자 임금현황, 기타 애로사항 등 (2) 방사선 및 방사성동위원소 세계시장 동향, 국가별 주요 통계, 세계 무역규모 조사 (3) 방사선이용기술(RT)의 국가 연구개발 수행 현황, 연구개발 현황, 특허등록 현황, 최신 RT동향 (출처 : 보고서 요약서 3p)
    • 연구책임자 : 정원영
    • 주관연구기관 : 한국방사선진흥협회
    • 발행년도 : 20220900
    • Keyword : 1. 방사선;방사성동위원소;방사선발생장치;RI/RG 수입·생산·수출;경제규모; 2. Radiation;Radioisotope;Radiation Generator;RI/RG Import·Production ·Export;Economic size;
  • 11869

    2022.02.28

    □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 최종 목표 DNA 복제실수교정 (mismatch repair; MMR) 유전자 변이에 따른 방사선에 의한 유전체 돌연변이 유발 정도를 마우스 정상 대장 조직 및 인체 정상 대장 조직에서 유래한 오가노이드의 전장유전체 염기서열분석(whole-genome sequencing; WGS)을 이용하여 단일 세포 수준에서 확인한다. ○ 1단계 ● 목표 MLH1+/-, MLH1-/- 마우스의 대장 오가노이드를 활용하여 in vitro, in vivo 방사선 조사 후, 방사선에 의한 유전체 돌연변이 차이를 정상 마우스와 비교한다. ● 내용 1. MLH1+/+, MLH1+/-, MLH1-/- 세 군의 마우스에서 정상 대장 오가노이드 확립, 일정 시간 배양 후 (2 개월) 유전자 돌연변이 분석 및 in vitro 방사선 조사 (0, 8Gy) 후 유전체 돌연변이 분석 2. 마우스 세 그룹에서 in vivo 방사선 조사 후 (0, 8Gy) 대장 오가노이드 배양, 유전체 돌연변이 분석 3. 유전체 돌연변이 분석은 오가노이드의 단일세포 분리, 클론배양 후 whole-genome sequencing을 통하여 단위 베이스 당 돌연변이양, microsatillite instability (MSI) 및 유전체 변이 특성(mutational signature) 분석 ○ 2단계 ● 목표 인체 정상 대장 오가노이드를 확립하고, 유전자가위(Crispr/Cas9) 를 통해 MLH1 유전자 변이를 유도, in vitro 방사선 조사 후 유전체 돌연변이 차이를 확인한다. ● 내용 1. 인체 정상 대장 오가노이드에 유전자가위(Crispr/Cas9)를 이용하여 MLH1+/-, MLH1-/- 오가노이드 확립 - 대장절제술을 시행한 인체 대장 검체로부터 정상 대장 오가노이드 배양 - MLH1 유전자 변이를 유도하는 guide RNA를 제작하고 Crispr/Cas9을 이용하여 MLH1 유전자 변이가 유도된 오가노이드 확립 2. MLH1+/+, MLH1+/-, MLH1-/- 인체 대장 오가노이드에서 in vitro 방사선 조사 (0, 8Gy) 후 whole-genome sequencing을 통해 유전체 돌연변이 차이 비교분석 □ 연구개발성과 ■ 정상 마우스 대장 오가노이드 확립 및 in vivo, in vitro 방사선 실험을 통해 상기 방법론으로 방사선에 의한 특이적 유전자 변이 측정이 가능함을 확인함 ■ MLH1 +/- embryo를 도입하여 배앙을 통해 MLH+/-, MLH-/- 마우스 생산에 성공함 ■ 정상 인체 대장 오가노이드 배양에 성공하여 후속연구에 대한 기반을 마련함 □ 연구개발성과 활용계획 및 기대 효과 ■ 오가노이드를 이용하여 방사선의 돌연변이 유발 정도를 측정하는 방법론은 향후 방사선유발 돌연변이 측정에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됨 ■ 대장암의 MMR 유전자 변이외에도 유방암에서 BRCA1/2 변이 등 DNA repair 유전자의 변이가 암 발생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어 이러한 유전자의 변이가 있는 암환자들에서 방사선으로 인한 이차암 발생 여부 및 방사선 민감성/저항성 여부는 개인 맞춤형 치료에 매우 중요한 요소로, 본 연구 방법이 널리 응용될 수 있으리라 생각함. (출처 :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김경수
    • 주관연구기관 : 이화여자대학교
    • 발행년도 : 20220300
    • Keyword : 1. 방사선치료;오가노이드;복제실수교정유전자;린치증후군;전장유전체분석; 2. Radiotherapy;Oragnoid;Mismatch repair gene;Lynch syndrome;Whole genome sequencing;
  • 11868

    2022.06.30

    □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 최종 목표 ○ 제6차 원자력진흥종합계획 수립과 연계한 연구개발부문(원자력, 방사선) 구체적인 추진전략 마련 - 국가 원자력 정책수립, 국제협력 동향 파악 및 분석 등 대내외 정책환경이 반영된 제6차 원자력진흥종합계획 수립에 필요한 기획자료 생산 - 급변하고 있는 에너지 및 원자력 이용 환경을 분석하여 미래 지향적인 원자력 이용개발 전략 마련 추진 ◼ 전체 내용 ○ 원자력 진흥종합계획 수요조사와 연계한 기술수요조사 및 결과분석 ○ 주요 연구개발 분야 선정 및 분야별 중점 프로그램 도출 - (주요 분야) 안전, 환경, 방사선, SMR(Small Modular Reactor, 소형모듈원자로), 미래혁신 등 - (중점프로그램) 분야별 중점프로그램 도출(총 18개 도출) ○ 중점프로그램별 전략과제, 우선순위, 로드맵 등 상세기획 - 산학연 전문가 위원회 구성 및 운영을 통해 상세 기획 비전 및 기본 방향 설정 - 주요 분야별 위원회 운영을 통해 정책 추진전략, 추진전략별 목표, 세부 이행방안 도출 □ 연구개발성과 ○ 과기부․산업부 공동 수립하여 관계부처의 소관사항 추진계획이 상호 연계하는 실효성 있는 원자력진흥종합계획 수립과 연계한 연구개발(원자력, 방사선) 계획 수립 ○ 전문가, 일반인 등의 토론회, 공청회 등의 다양한 의견수렴을 통해 마련되는 미래지향적이고 소통하는 양방향 계획 수립 - 원자력 현안(안전, 사용후핵연료)에 기술적 해법 제시 및 미래 유망기술 적극 발굴 - 시장 변화(대형원전 건설·운영 → SMR·해체) 대응 연구개발 본격 추진 - 원자력 기술의 다목적 응용(수소생산, 우주·해양·극지 등) 및 첨단기술 융합 강화 □ 연구개발성과 활용계획 및 기대 효과 ○ 국가 최상위 원자력 진흥정책인 제6차 원자력진흥종합계획의 실천 전략을 수립함에 있어 실행가능성이 높고 구체적인 연구개발전략을 수립함으로써 원자력 R&D가 미래 사회에 기여할 수 있는 보다 현실적인 기틀 마련 ○ 기술적 측면 - 초안 작성 단계부터 관계부처와의 긴밀한 협의를 통해 의견을 반영하여, 원자력분야의 국가 최상위계획인 원자력진흥종합계획의 실행력 강화에 기여 - 미래 고성장이 예상되는 분야를 중심으로 신산업을 발굴하고 원자력/방사선 분야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해 필수적인 핵심 원천기술 확보에 기여 ○ 경제적․산업적 측면 - 장기 비전과 실행력을 갖춘 국가 진흥계획을 제시함으로써 정책 불확실성을 감소시켜 관련 산업계 및 연구계의 효율적인 사업 전략 수립에 기여 - 국가차원에서 해결해야 할 사회·환경문제 중 방사선 기술로 해결 가능한 문제를 파악하고 구체적인 해결방안을 제시하여 국민 삶의 질 향상에 기여 (출처 :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강보선
    • 주관연구기관 : 한국연구재단
    • 발행년도 : 20220700
    • Keyword : 1. 원자력진흥계획;원자력연구개발;방사선진흥계획;방사선연구개발;원자력정책; 2. Comprehensive Nuclear Energy Promotion Plan;Nuclear Energy R&D;Comprehensive radiation Promotion Plan;Radiation R&D;Nulear Energy Policy;
  • 11867

    2022.05.31

    □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 최종 목표 향후 사용후핵연료 처리기술(파이로-SFR) 연구개발 추진 방향에 활용하기 위한 최종 검토보고서 제출 ◼ 전체 내용 ○ 2017년 ‘사용후핵연료 처리기술 연구개발사업 재검토위원회‘ 권고사항*의 이행여부, 국내 파이로-SFR 연구결과 및 한미 핵연료 주기 공동연구(JFCS, Joint Fuel Cycle Study) 10년 연구결과를 객관적으로 검토하기 위해 사용후핵연료 처리기술(파이로-SFR) 연구개발 적정성 검토를 실시 * 동 사업의 지속 추진 여부에 대해서는 ‘20년 이후에 다시 판단할 것을 권고 ○ 전문성과 효율성 확보를 위해 기존 재검토위원회 위원이 적정성 검토위원회 위원으로 참여하고 원자력분야 전문가와 경제분야 전문가를 국회 합의에 따라 추가하여 검토위원회를 구성・운영함. ○ 객관성 및 신뢰성 제고를 위해 외부의견 청취 및 검증자료를 최대한 공개하고 온・오프라인을 활용한 상시 검토 체계를 운영. ○ 적정성 검토위원회는 자료를 검토하고 의견청취 등을 통해 팩트 체크를 실시하고 숙의과정을 거쳐 최종 검토보고서를 작성. □ 연구개발성과 ○ `17년 재검토위원회의 연속선상의 과정으로 일련의 전문가 그룹을 활용하여 지난 재검토위원회* 권고사항의 이행여부, 국내 파이로-SFR 연구결과 및 한미 핵연료 주기 공동연구(JFCS, Joint Fuel Cycle Study) 10년 연구결과를 중점적으로 검토하여 향후 사용후핵연료 처리기술(파이로-SFR) 연구개발 추진 방향에 활용하기 위한 최종 검토보고서 도출완료 * 국가연구개발사업으로 지원한 사용후핵연료 처리기술(파이로프로세싱, 소듐냉각고속로) 연구개발과 관련하여, `17년 재검토위원회(`17.12.4.~`18.3.19.)를 통해 기술성, 안전성, 핵비확산성 등 종합적인 검토 후 이에 대한 권고안을 도출함. □ 연구개발성과 활용계획 및 기대 효과 ○ 지난 `17년 재검토위원회의 권고사항에 대한 이행여부, 국내 파이로-SFR 연구결과 및 한미 핵연료 주기 공동연구(JFCS, Joint Fuel Cycle Study) 10년 연구결과 검토 등을 통해 쟁점사항에 대한 연구추진 결과를 확인할 수 있음. ○ 사용후핵연료 처리기술 연구개발 적정성 검토위원회 보고서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사용후핵연료 처리기술(파이로-SFR) 연구개발의 사업 추진 방향을 결정하는 근거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출처 :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강보선
    • 주관연구기관 : 한국연구재단
    • 발행년도 : 20220600
    • Keyword : 1. 사용후핵연료;파이로-SFR;기술적 타당성;경제적 효과성;핵비확산성; 2. spent nuclear fuel;pyro-sodium cooler fast reactor;technological validity;economic effect;Nuclear Non-Proliferation;
  • 11866

    2022.05.31

    비공개항목입니다.
    • 연구책임자 : 백종학
    • 주관연구기관 : 이티유(ETU)
    • 발행년도 : 20220600
    • Keyword : 1. 내방사선;전원공급장치;원자력발전소;엘이디;조명기기; 2. Radiation hardening;Power supply;Nuclear power plant;LED;Light System;
  • 11865

    2022.11.30

    □ 조사 목적 ㅇ 우리나라 원자력산업계의 원자력관련 매출·투자·인력 현황, 원자력 관련대학 전공인력 현황 및 취업 실태, 원자력산업계 애로 및 건의사항 등을 조사표에 근거하여 실태 조사하고, 심층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정부의 원자력정책 수립에 필요한 기초자료 제공 및 통계자료의 데이터베이스화를 목적으로 함 □ 조사 범위 ㅇ 조사 대상 - 국내 원자력발전사업자, 원자력공급산업체, 연구·공공기관, 원자력관련대학 ㅇ 조사 대상기간 - 원자력시장 규모(매출, 투자액, 수출실적 등) : 2021년 1월 ~ 2021년 12월 - 원자력산업체 기술인력 : 2021년 12월 - 원자력관련 대학 재학생 현황 : 2022년 3월 - 원자력관련 대학 졸업생 현황 : (2021년) 2020년 8월, 2021년 2월 졸업생, (2022년) 2021년 8월, 2022년 2월 졸업생 □ 조사 및 분석 방법 ㅇ 매출, 투자, 인력 등 조사항목별 기재 할 수 있는 조사표를 조사대상 기관과 관련 업체 및 관련대학에 메일, 팩스 등을 통해 송부하여 기초자료 수집 ㅇ 상장기업 공시 웹사이트(공인 정보) 및 주요기관 관련업무 자료 등 객관적 자료 수집 ㅇ 주요 기관 담당자 직접 면담을 통한 통계자료 수집 및 조사된 데이터 검증 ㅇ 분야별 전문가 자문 및 온・오프라인 관련자료 수집을 통한 관련 산업계 주요 동향 조사 (출처: 요약서 9p)
    • 연구책임자 : 조현갑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산업협회
    • 발행년도 : 20221200
    • Keyword :
  • 11864

    2022.11.30

    □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 최종 목표 가. 최종 목표 : HL301의 방사선 폐렴에 대한 국내 임상2b상의 IND 승인 나. 세부 목표 : - 본 국내 임상2a상 시험을 통해 항암화학방사선치료를 실시하는 비소세포폐암 환자를 대상으로 HL301 투여 시, 방사선 폐렴에 대한 안전성을 평가하고 유효성에 대한 POC(Proof Of Concept)을 확인하고자 함. - 본 국내 임상2a상 시험 결과를 바탕으로 임상2b상 시험디자인을 개발하고 해당 2b상에 대한 IND 승인을 득하고자 함. ○ 전체 내용 가. 1차 년도 : - 전체 임상시험실시기관에 대한 IRB 승인 및 계약 진행 - 임상시험약 생산 및 포장 - 개시 모임 실시 및 시험대상자 등록 개시 나. 2차 년도 : - 시험대상자 등록 완료 - 기관 모니터링 - 2b상 시험계획서 작성 준비 다. 3차 년도 : - 마지막 시험대상자 종료방문 완료 - DM/통계 및 결과보고서 완료 - 2b상 시험계획서 작성 완료 및 식약처 사전검토 - 2b상 CI(Coordinating Investigator) 미팅 및 기관 선정 - 2b상 IND 신청 및 승인 □ 연구개발성과 활용계획 및 기대 효과 - 본 연구를 통해 폐암 환자의 흉부 방사선 치료로 인해 발생하는 방사선 폐렴에 대한 HL301의 임상2a상 시험을 실시하고, 해당 결과에 근거하여 후속 연구인 임상2b상 시험계획서 개발 및 임상 2b상 IND 승인 획득함. - 나아가 HL301(제품명: 브론패스정)의 방사선 폐렴에 대한 적응증을 추가하고 제품화하여 대상 환자들에 대한 치료법을 제공하고자 함. 가. 활용계획 - 본 연구를 통해 HL301이 방사선 폐렴 치료에 유효하고 안전한 약물임을 임상적으로 확인함으로써 임상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음. - 본 연구를 통해 HL301의 임상적 최적 투여 용량을 확인하고, 방사선 폐렴 환자 대상의 후속연구로써 임상 2b상 및 임상 3상(치료적 확증 시험) 추진의 근거자료로 활용할 것임. - 국내외 최초 방사선 폐렴 예방 및 치료에 효과적이고 안전한 신규 천연물 의약품을 개발할 수 있음. 나. 기대 효과 - 본 연구를 통해 항암치료 또는 항암치료의 부작용 치료에 있어 천연물 의약품과 양방의 복합 치료를 할 수 있는 임상적 기초자료를 제공함. - 항암치료에서의 임상자료가 부족한 천연물 의약품에 대한 임상 연구 및 제품화의 견인차 구실을 할 것임. - 항암 방사선 치료시 불가피하게 발생하는 폐 독성을 감소시키고 치료를 촉진하여 폐암 환자의 사망률을 낮추고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음. 또한, 부작용 치료에 소요되는 의료비 지출을 감소시킬 수 있음. - 항암치료 부작용에 있어 천연물 의약품의 유효성 입증은 기초·임상 연구의 촉발, 의료·제약 부분의 산업화에 중요한 자료를 제공하여 천연물 의약품 수요 증가의 원동력이 될 것임. 이는 천연물 의약품 개발의 국가 경쟁력 향상 및 미충족 의료영역에 대한 치료법을 제시하여 한국형 바이오 산업의 육성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됨. (출처 : 요약문 3p)
    • 연구책임자 : 오미진
    • 주관연구기관 : 한림제약(주)
    • 발행년도 : 20221200
    • Keyword : 1. 방사선 폐렴;항암화학방사선치료;폐암;천연물 의약품;임상2a; 2. Radiation Pneumonitis;Chemoradiotherapy;Lung Cancer;HL301;Phase 2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