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Report

All 12,447 Page 67/1,245

검색
  • 11787

    2021.01.31

    비공개항목입니다.
    • 연구책임자 : 조영태
    • 주관연구기관 : 창원대학교
    • 발행년도 : 20210200
    • Keyword : Nuclear power plant dismantling technology;Supersonic nozzle;Computational fluid dynamics;Design of Experiments;
  • 11786

    2020.12.31

    서울특별시 노원구 공릉동에 위치한 연구로 1, 2호기는 1995년 가동이 중단된 이후 1997년부터 해체공사를 시작하였다. 2008년까지 연구로 2호기 및 부속시설에 대한 해체공사를 마무리하였다. 그러나 2009년 1호기 원자로 누수로 인해 1호기 오염부위에 대한 제염해체 공사를 시작하였으며, 2015년 해체 중 발생한 방사성폐기물 516드럼을 경주 처분장에 이송하였다. 2016년부터 원자력시설의 그린필드화 작업의 일환으로 연구로 1, 2호기 및 부속시설 건물 해체 및 환경복원과 해체 부지의 규제해제를 위한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원자력안전법상 원자력 시설 운영자 또는 폐기물 발생자가 관련 시설을 해체/복원 및 관련 폐기물을 처리해야 한다. 그리고 원연-한전의 ‘연구용원자로 관련 부동산 사용계약서(’2010.10.15.)에 따른 의무사항을 준수하고 연구로 1, 2호기 부지 주변 노원구 주민 민원 및 정치권의 요구사항 해결해만 한다. 이를 위해서는 적기에 연구로 1, 2호기 건물 해체 및 해체폐기물 처분하고 해체부지의 환경복원 및 규제 해제를 완료해야 한다. 그리고 연구로 1호기 기념관화를 위한 기본적인 요건을 수행하고 한전에 부지를 양도해야 한다. 이를 위해 본 단계에서는 연구로 건물 철거를 위한 방안마련, 기보관 해체폐기물의 분류 및 처분 방안 마련, 부지 규제해제 및 연구로 1호기 기념관화를 위한 방안을 마련하였다. 본 연구대형 건축물 해체폐기물 자체처분 기술과 부지 환경복원 및 규제해제 기술을 산업체에 기술 이전하고 한수원의 고리 원전 1호기 해체에도 적용할 수 있을 것 기대된다. 또한 국내 뿐만 아니라 해외 연구로 해체에 대한 기술 자문을 함으로써 해체시장 진출을 위한 교두보를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출처 : 서지정보양식 177p)
    • 연구책임자 : 김근호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연구원
    • 발행년도 : 20210100
    • Keyword : 1. 연구로 1&2호기;해체;환경복원;규제해제;자체처분;방폐물 처분;연구로 1호기 기념관화; 2. KRR 1&2;Decommissioning;restoration;site release;free release;disposal;KRR-1 monument;
  • 11785

    2021.09.30

    □ 연구개발 목표 ○ 사용후핵연료 전해환원에서 저환원율 원소 환원 특성 규명과 효율 향상 - 저환원율 원소(희토류 금속과 알칼리 토금속 원소)의 전기화학 데이터 생산 - 저환원율 원소의 전해환원 반응 특성과 저효율 원인 규명 - 미환원 산화물이 후속공정과 최종폐기물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 - 중요 문제 원소의 환원효율을 높일 수 있는 공정 개선방안을 도출 □ 연구개발 내용 ○ 1단계: 미환원 산화물의 전기화학 데이터를 구축하여 전해환원 과정에서 저효율을 보이는 희토류와 알칼리 토금속의 환원 반응 특성과 저효율 원인 규명 - 희토류 금속과 알칼리 토금속 미환원 산화물의 전해환원 중 간접환원 및 직접 환원과 관련된 전기화학과 열역학 데이터 문헌조사 및 측정 - 전해환원 실험 장치를 구축하여 예비 환원실험을 진행하고, 희토류와 알칼리 토금속의 전해환원 반응 특성과 저효율 원인 규명 ○ 2단계: 미환원 산화물이후속공정으로 전달되어 핵물질 회수공정과 최종폐기물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 환원율 향상이 필요한 원소에 대하여 환원율을 향상할 수 있는 공정 개선 방안을 도출 - 미환원 산화물이후속공정인 공용융염 환경에서 용출 여부, 용출 화합물 형태, 회수체에 전착되는 거동을 평가하고 후속공정 효율 저해 원소 도출 - 미환원 산화물이 존재할 수 있는 전해환원 용융염 폐기물, 전해정련 양극폐기물, 공용융염 폐기물 등 최종폐기물 특성에 미치는 영향 평가 - 전해환원 운전조건과 환원반응을 개선(인가전위, 환원제, 온도 등)하여 후속공정 목표달성을 방해하고 최종폐기물 특성을 저해하는 중요 저환원율 원소 산화물에 대한 전해환원율 향상 방안 도출 □ 활용계획 및 기대효과 ○ 미환원 산화물의 환원율을 높여서 공정 효율을 증가 ○ 고속로 핵연료 품질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후속공정에 주는 영향을 최소화하며, 최종폐기물에서 고방열성 핵종에 대한 정밀한 특성을 파악 ○ 고온 용융염과 산화물 복합계면에서 일어나는 방사화학적 현상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여 차세대 핵연료주기 시스템에 실증에 기여 ○ 사용후핵연료 파이로프로세싱과 후행핵연료주기 차세대 전문 인력 양성 (출처 : 요약문 3p)
    • 연구책임자 : 최성열
    • 주관연구기관 : 서울대학교
    • 발행년도 : 20211000
    • Keyword : 1. 방사화학;전해환원;복잡계면;희토류금속산화물;용융염;사용후핵연료;파이로프로세싱;알칼리토금속산화물; 2. Radiochemistry;Electrolytic Reduction;Complex Interface;Rare Earth Metal Oxide;Molten salt;Spent Nuclear Fuel;Pyroprocessing;Alkaline Earth Metal Oxide;
  • 11784

    2021.10.31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최종 목표 방사선 조사에 따른 hBN의 물성 분석 및 결함을 이용한 hBN memristor 제작 전체 내용 방사선 조사에 따른 hBN의 dielectric 특성, 항복전압의 변화를 전기적 특성 변화 분석. 방사선 조사에 따른 결함을 이용하여 hBN memristor 제작 연구개발성과 ▷ dry-transfer을 이용한 전사방법으로 SiO2기판, 전극패턴 위 등의 다양한 기판에 hBN 소자 제작 방법 획득. ▷ 초고속 카메라 설치 기술 확보 및 hBN의 breakdown 현상 관측 성공 ▷ hBN 기반 캐퍼시터를 제작하여 hBN의 breakdown과 같은 전기적 특성 파악에 성공함 ▷ 방사선 조사 이후의 hBN의 물성 변화를 시뮬레이션, 전기적으로 분석함 ▷ 방사선, 전자빔 조사한 hBN을 사용하여 memristor 소자를 제작하고 측정 및 분석. ▷ hBN과 이차원 물질을 결합하여 memtransistor를 제작하고 다양한 활용에 대한 가능성을 확인함. 연구개발성과 활용계획 및 기대 효과 ○ hBN을 dielectric layer로 사용하여 다양한 소자를 제작하게 되면 hBN의 atomically clean surface 특성으로 인해 소자의 성능을 크게 개선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됨 ○ dielectric 물질의 break down 연구는 반도체 기반 소자의 내구성 증진에 중요한 요소임. dielectric 물질의 break down에 관한 메커니즘은 아직까지 정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으며, 이에 대한 시각적 분석을 통한 break down 현상에 대한 연구는 break down 메커니즘 규명에 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됨 ○ 메모리 소자에 대한 수요는 향후 지속적으로 증대될 것으로 예상됨. 그에 반해 아직 memristor에 관한 연구는 아직 기초수준에 머물러 있음. 따라서 차세대 2차원 박막을 활용한 memory 소자 제작기술 확보는 미래 산업의 기술 선점에 있어 매우 중요한 요소로 작용할 것으로 보임. (출처 :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김지현
    • 주관연구기관 : 고려대학교
    • 발행년도 : 20211100
    • Keyword : 1. 육방정 질화붕소;초고속 카메라;방사선;항복 전압;메모리 소자; 2. hexagonal boron nitride;high-speed camera;radiation;breakdown voltage;memristor;
  • 11783

    2021.11.30

    ○ 연구개발목표: 치료불응성 및 진행성 신경내분비종양 환자에서 펩티드수용체 방사핵종치료의 비임상 및 임상 1상 시험 진행 ○ 연구개발내용 1. 비임상 시험 수행 및 의약품 임상 1상 시험 계획승인 1) 방사성동위원소치료제의 약동학 및 약력학 확인 2) 방사성동위원소치료제에 대한 안전성은 GLP인증기관인 서울대병원 의생명연구원 임상연구센터에 의뢰하여 독성평가 시행 3) 치료 프로토콜 확립 및 방사선안전관리규정에 따른 방사핵종치료시설 구축 4) 비임상 유효성 및 안정성 평가 자료 확보 및 분석 5) 희귀질환자 대상 개발단계 의약품 치료목적 사용 승인 6) 제1상 임상시험계획 승인 2. Lu-177 기반 치료용 방사성의약품 생산 시스템 구축 및 생산허가 획득 1) 약품 제조 및 품질관리기준(Good Manufacturing Practice, GMP)을 충족하는 방사성의약품 생산시설 확보 2) 본 연구에 참여하는 ㈜카이바이오텍은 ‘Lu-177을 이용한 치료용 방사성의약품 생산 시스템’ 구축하여 원자력안전기술원의 방사선 취급 시설 인허가를 확보하고 식품의약품안 전이 기준을 충족하는 치료용 방사성의약품 GMP를 갖추고 Lu-177 치료제 생산 허가 획득하는 것을 목표로 함 3) Lu-177 기반 치료용 방사성의약품 생산 및 공급 4) Lu-177 기반 치료용 방사성의약품 질 관리(QC) 3. 안전성 평가를 위한 임상 1상 시험 수행 및 의약품 임상 2상 시험 계획승인 1) 치료불응성 및 진행성 신경내분비 종양환자 대상 펩티드수용체 방사핵종치료 1상 임상시험 수행 2) 방사성동위원소치료제의 안전성과 내약성 평가를 통해 최대내약용량(MTD) 결정 3) 제1상 임상시험을 통한 안전성 평가 자료 확보 및 구축 4) 이를 통해 제2상 임상시험에서의 권장용량(RP2D)을 결정 5) 앞선 자료들을 근거로 제2상 임상시험계획 승인 신청 및 확보 ○ 연구개발성과 및 활용방안 1. 국내 최초 방사성의약품 표적 치료제 임상시험: 방사성의약품 표적 치료제에 대하여 일관 사항을 최초로 수행하는 임상시험으로 기술 및 임상적용에 대한 방법 및 절차와 실제를 수행하는 교본이 됨. 다양한 기관에 관련 노하우를 전수함. 전립선암, 유방암 등과 같은 환자가 많은 질환을 대상으로 점차 관련 기술을 확대하여 향후 사업성 제고 및 확장에서 유리한 고지를 선점함 2. 방사성동위원소 치료제 시장 주도: Lu-177은 반감기가 긴 동위원소이며 현재는 미국과 유럽에서 수입을 하고 있으나 기장 연구로에서 생산하면 중국과 일본을 비롯한 인근 아시아 지역에 수출이 가능하여 의료 수출이라는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됨 3. 방사성동위원소 치료 프로토콜 및 시설 구축: 방사성동위원소 치료제를 다양화하고 더 많은 환자에게 치료 기회를 제공하는 데 있어 선도적인 역할을 하고 있으며 계속 새로운 치료가 시도되고 개발되고 있는 방사성의약품 테라노스틱스에 대한 임상시험 유치, 진료 확산에 활용 가능함. 4. 방사성동위원소 표지 합성신약 개발 합성플랫폼과 제조기술 확보: 우리나라에 세계 최고수준의 방사성동위원소 생산 인프라가 건설되고 있으므로 이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고 4차 산업의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활용 가능함. (출처 : 요약문 5p)
    • 연구책임자 : 천기정
    • 주관연구기관 : 서울대학교
    • 발행년도 : 20211200
    • Keyword : 1. 신경내분비종양;펩티드수용체 방사핵종치료;루테슘 177 도타테이트; 2. Neuroendocrine Tumor;Peptide Receptor Radionuclide therapy;Lu-177 DOTATATE;
  • 11782

    2021.02.28

    □ 연구개발 목표 소형원전 잠재 수요국가를 대상으로 한 SMART의 수출을 촉진하기 위하여 국내 수출 금융제도 및 원전 수출 사례를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SMART의 성공적인 수출을 위한 금융 지원방안을 도출 □ 연구개발 내용 ○ 국내외 소형원전 개발 현황 분석 - 국외 SMR 개발 현황 - SMART 개발 경과 및 한-사우디 동반협력 ○ 국내 수출 금융 제도 분석 - 수출입은행 금융 지원 제도방안 검토 - ODA 지원요건 및 사례 검토 ○ 원전 건설사업 금융 - 일반적인 원전 건설사업의 특징 - 원전 재원 조달 방식의 유형 (UAE 바라카 사업 금융의 특징) - 주요 국가 전력시장의 원자력발전 지원 방식 ○ 원전 수출을 위한 해외 금융 지원 사례 및 제도 조사 - 미국, 러시아, 중국 등 원전 수출 금융지원 사례 조사 - 최근 미국의 소형원전 건설/수출 지원 사례 조사 ○ 소형원전 SMART 수출을 위한 금융 지원방안 도출 - 소형원전 비즈니스의 특징 - 소형원전 수출 금융을 위한 제도 개선 방안 도출 - 국가별 수출 사업별 금융 지원 방안 도출 □ 활용계획 및 기대효과(응용분야 및 활용범위 포함) ○ SMART 수출 비즈니스 모델 경쟁력 강화 - SMART 사우디 첫호기 건설 사업 착수 촉진을 위한 비지니스 모델에 활용 - SMART 수출 지원을 위한 최적의 금융지원 방안 도출로 SMART 수출 촉진 ○ 지구 온난화 방지 등을 위해 화석연료를 대체할 에너지원으로 떠오르고 있는 소형원전시장 진출을 위한 SMART 경쟁력 강화 - SMART 수출 건설을 통한 국내 원자력 산업계의 생태계 유지 (출처 : 요약문 3p)
    • 연구책임자 : 기준우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연구원
    • 발행년도 : 20210300
    • Keyword : 1. 소형원전;수출;비지니스 모델;파이넨싱;금융지원;수출금융;공적개발원조;원자력; 2. SMR;Export;Business Model;Financing;Financial Aid;Export Financing;ODA;Nuclear Power;
  • 11781

    2021.11.30

    □ 연구개발 목표 ○ 원자력 시설의 방사선 재난대응 체계 고도화를 위한 사고 선원항 역추적 알고리즘 방법론 개발 및 주민예상피폭 선량평가 1. 선원항 추정을 위한 변수인자 선정 및 역추적 알고리즘 연구 2. 역추적 알고리즘의 고도화를 위한 방법론 연구 3. 알고리즘을 활용한 주변 감시 시스템 효율성 확보방안 연구 4. 실측 데이터를 이용한 주민 예상 피폭 선량평가 □ 연구개발 내용 (1차년도) 대기 확산모델 기반 변수추정을 위한 수치해석적 방법론 연구 - 효율적 매개변수 샘플링 기법과 관측데이터를 연계한 선원항 재구성 방법론 연구 - 알고리즘 변수의 종, 독립성에 대한 판단 방법론 연구 - 시간 전개에 따른 매개변수 자기상관성 추적방법론 연구 (2차년도) 대기확산인자 선원항 이터레이션 구현 알고리즘 개발 - 역추적 알고리즘의 해법을 얻기 위한 초기 입력값 추론 방법론 연구 - 계산 시간 단축을 위한 오차범위 감소 방법론 연구 - 반복계산 시 불확실성 감소 방법론 연구 (3차년도) 선량 감시 시스템의 설치 위치 최적화 방안연구 - 선량감시기 배치 위치에 따른 효율적 감시 체계 방안 연구 - 선량감시기 배치 최소 배치 수량에 관한 연구 (4차년도) 방사성물질 대기확산에 따른 대피중 주민의 예상피폭선량평가 연구 - 옥내 및 이동 중 주민이 받을 수 있는 선량에 대한 평가 - 대피소 체류중인 주민에 대한 예상피폭선량 평가 - 대피소 피폭 저감을 위한 환경 요인에 관한 연구 (5차년도) 실측 데이터 주민 예상 피폭 선량평가 - 선량환산을 위한 세부과제별 수행 실측 데이터(농도, 위치 및 기상정보등)처리 방안연구 - 실측 데이터 기반 주민예상피폭선량평가 (6차년도) 개발 알고리즘 모의 현장 평가 □ 활용계획 및 기대효과 (응용분야 및 활용범위 포함) ○ 사고에 따른 사고 선원항 예측으로 인한 선량평가 불확실성 감소 ○ 신속한 비상 대응 체계를 위한 관심 지역에 효율적인 감시설비 배치 최적화 실현 ○ 의사결정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측정 DB에서 일부 오류가 발생할 경우에도 효과적인 사고대응이 가능한 기술개발 필요 (출처 : 요약문 3p)
    • 연구책임자 : 이윤종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연구원
    • 발행년도 : 20211200
    • Keyword : 1. 선원항;전산모사;피폭선량;역추적;방사선 사고;수치해석;대기확산인자;방사선방호; 2. Source Term;Simulation;Exposure Dose;Inverse Method;Radiation Accident;Numerical Analysis;Atmospheric Dispersion Factor;Radiation Protection;
  • 11780

    2021.09.30

    □ 연구의 목적 및 내용 ○ 연구의 목적 미래 사회변화에 대응하는 원자력 기술역량을 지속 유지·발전시키기 위한 혁신·도전적 기초·원천 연구 분야(주제), 추진체계 기획 등 지원방안 도출 ○ 연구의 내용 1. 우리나라와 해외 주요국의 원자력 혁신 생태계 현황 및 동향 가. 원자력 혁신기술이 발굴되고, 연구개발 및 산업화되는 혁신 생태계 나. 원자력 연구를 수행하는 대학 현황 및 국립연구소, 산업체 등 혁신 주체들의 현황과 협력·연구개발하는 체계 조사·분석 다. 혁신·도전적 기초·원천연구 주제 조사 및 국내 적용가능성 분석 라. 기초·원천R&D를 지원하는 국가 및 민간의 연구개발 사업 현황 2. 국내 원자력 혁신 생태계를 활성화하기 위한 지원 전략 가. 국내·외 원자력 혁신생태계 현황 및 동향 분석에 따른 주요 시사점, 개선 방안 도출 나. 혁신 생태계 활성화를 위한 지원 방안 도출 3. 혁신·도전적 연구개발 중장기 지원을 위한 기초·원천 R&D 기획 가. 원자로, 핵주기, 안전, 방사선 등 분야별 유망 원천기술 수요 조사 나. 기술개발 우선순위 도출 다. 기술개발 난이도와 기술개발 역량(재원, 인력 등)을 고려하여 비용 효과적인 추진체계 도출 라. 기술개발 우선순위와 중요도를 고려한 R&D 사업 포트폴리오 수립 □ 연구개발성과 ○ 원자력 기술전문가 자문 및 자료 조사 - 연구사업 관리기관, 대학, 출연연 등 원자력 기술 전문가 자문 - 온오프라인 회의를 통한 자문회의 운영 ○ 우리나라와 해외 주요국의 원자력 혁신 생태계 현황 및 동향 - 혁신·도전적 기초·원천연구 주제 조사 및 국내 적용가능성 분석 - 기초·원천R&D를 지원하는 국가 및 민간의 연구개발 사업 현황 ○ 혁신·도전적 기초·원천 연구 분야, 추진체계 기획 등 지원방안 도출 - 국내·외 원자력 혁신생태계 현황 및 동향 분석에 따른 주요 시사점, 개선 방안 도출 - 혁신 생태계 활성화를 위한 지원 방안 도출 ○ 원자력 이용 혁신·도전적 기초·원천 연구 사업 기획보고서 - 기술개발 우선순위 도출 - 우선순위와 중요도를 고려한 R&D 사업 포트폴리오 수립 □ 연구개발성과의 활용계획(기대효과) ○ 원자력 분야 기초·원천 연구개발 사업 기획의 참고자료로 활용 - 정책·시장 변화에 대응하여 역량을 지속 발전시키는 방안으로 활용 - 원자력 이용 미래혁신 기반기술 연구 사업(안) 도출 및 세부과제의 과학기술적 근거를 제공함 ○ 주요국 원자력 첨단연구개발 트렌드 분석자료로 활용 - 원자력 응용 기술 개발 정책 관리 기관의 제도 및 정책 수립 방향의 기초자료로 활용 가능하며, 사업화 추진 및 리스크 관리에 필요한 기본 정보를 제공 - 원자력 응용 기술 분야별 경계를 허물어 각 장점을 융합하여 창조적인 결과물을 도출할 수 있는 연구개발 잠재력이 강화 ○ 기초·원천 연구 분야(주제), 추진체계 기획 등 지원방안 도출에 활용 - 미래 사회 변화에 선제적 대응을 주도하는 원자력 응용 기술 분야를 제시함으로써 국가 미래 기술전략 수립에 원자력 기술 분야 기여가 기대 - 원자력 핵심 원천기술 확보로 혁신·도전적 기초·원천 연구 분야에 직간접적 고용 및 일자리 창출 효과 발생 (출처 : 요약문 4p)
    • 연구책임자 : 우태호
    • 주관연구기관 : 고려사이버대학교
    • 발행년도 : 20211000
    • Keyword : 1. 원자력 연구 지원 방안;방사선 및 방사선 기술;중장기 연구 개발;기초·원천 연구 분야;혁신생태계 현황 및 동향; 2. Nuclear energy research support plan;Nuclear and radiation technology;Mid- to long-term R&D;Basic and original research fields;Status and trend of the innovative ecosystem;
  • 11779

    2021.02.28

    □ 연구개요 각막이식은 실명위기 환자의 유일한 시력회복 수술이지만, 빈번히 거부반응(immune rejection)이 발생하며, 이는 이식성공의 심각한 제한요인이다. 과거의 많은 연구에도 불구하고, 이식 거부반응이 어떠한 기전으로 발생하는지, 어떤 immunological factor가 이식편의 생착성공과 거부반응을 구분하는가, 면역관용 (tolerance)은 어떻게 생기는가는 잘 알려져 있지 않다. 본 연구의 목적은, 동계 (syngeneic; same genetic background), 동종 (allogenic; same species), 이종 (xenogenic; different species) 간의 이식을 비교하여 (i) allo-specific marker를 발굴하고, (ii) 면역특이 마커들이 이식 거부과정에 관여하는 중요작동기전 (key molecular mechanism)을 밝혀내며, (iii) 마커(들)의 임상적 유효성 확인을 위한 기반조성과 발현을 조절하는 약제의 탐색 을 목적으로 한다. □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목표1 : 동계(syngeneic), 동종(allogeneic), 이종(xenogeneic)-graft model을 이용하여 각막이식 거부반응의 초기에 관여하는 동종면역 특이 마커를 탐색 및 발굴. 결과 : 동종이식거부반응에 대한 기전 규명 및 특이 마커를 발굴함. Syngeneic, Allogeneic Xenogeneic 마우스 모델을 확립하고 이식 후 Accept, Reject 그룹으로 나누어 마우스 각막의 단백체, 전사체 분석을 수행하여 Accept 특이적인 마커 2종 (Rbp4, Serpinf2) 및 Reject 특이적인 마커 6종 (Pgk1, Eno3, Aldoa, Tpi1, Cox5a, Ppp3r1)을 발굴하였음. 또한 Reject 과정중에 Glycolysis, NADH dehydrogenase in mitochondria 기전 관련한 단백질들이 증가함을 확인하였음. 목표하였던 면역 특이 마커를 발굴하고 새로운 이식 거부 반응에 대한 기전을 규명하였음. 목표2 : Allo-specific DAMP(damage associated molecular pattern) 발현과 제어 관련 기전 규명 및 마커 발굴 결과 : Allo-specific marker의 정확한 감별을 위해 mouse 이식 모델을 통한 syngeneic과 allogeneic의 각막 조직으로부터 allo-specific marker를 발굴함. Syngeneic에 비해 allogeneic에서 nuclear receptor인 NR4A1, neutrophil chemotaxis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CXCL7과 그에 대한 receptor인 CXCR2 발현이 증가함. Innate immune response에 관여하는 REG3r, BPIFB1 등의 mRNA 발현양도 allogeneic 에서 현저하게 증가함을 확인함. DAMP signal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NLRP3 와 TLR2 의 mRNA level이 allo-specific 하게 증가하고, 이들 signaling에 의해 조절되는 TNF-a, IL-6 및 IL-10 cytokines level 도 allogeneic 모델의 이식 각막에서 증가함을 확인함. □ 연구발성과의 활용 계획 및 기대효과(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1) 각막이식 후 이식편의 수명은 그 기능을 평가하는 마커 (예, 각막내피세포 갯수)에 의존되어왔음. 본 연구는 장기의 최초로 allo-specific marker monitoring 기반을 제공하며 거부반응을 초기에 탐지 가능→이식장기의 수명향상. 2) 방수 및 각막 조직 유래 단백체, 전사체에 대한 OMICS 기반 분석 플랫폼 구축을 통해 다양한 외안부 질병의 원인 규명 및 조기진단을 가능하게 할 것임. 3) Inflammation과 비교하여 Immune reaction 초기에 중요한 molecular patterning을 최초로 밝혀냄. 이는 inflammatory disease와 autoimmune disease를 구별하는 기반 마련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이형근
    • 주관연구기관 : 연세대학교
    • 발행년도 : 20210300
    • Keyword : 1. 동계이식;동종이식;이식편거부반응;각막;단백체학; 2. Syngeneic;Allograft;Graft rejection;Cornea;Proteomics;
  • 11778

    2021.08.31

    □ 연구개요 전통인 암 치료법인 외과적 수술, 방사선 치료, 약물 요법 중에서 방사선 치료법은 전이암이 발생될 확률이 높아 치료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음. 따라서 방사선 치료 효율을 증진시킬 수 있는 발사선 치료효율 증진제 개발 중요성이 부각됨. 본 연구에서는 방사선 유도 암 이동성 및 침윤성 저해 활성을 보인 화합물을 선행연구에서 구축한 방사선 유도 암 전이 동물 모델을 활용해 in vivo 효능 평가를 수행함으로써 방사선 치료효율 증진제의 효능을 검증하여 후보물질을 도출하고자 함. □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1. 확보한 후보물질을 활용한 방사선 유도 암 침윤성 저해 in vitro 작용기전 연구 - 스크리닝 결과를 통해 확보한 후보물질 중에서 방사선 유도 암 이동성을 저해 하는 활성이 높은 석곡에서 분리된 dendrobine의 억제 작용기전을 in vitro 수준에서 연구 하여 작용기전을 규명 함. 2. 방사선 유도 암 전이 동물 모델을 이용한 후보물질의 in vivo 효능 평가 - 석곡의 주요성분인 dendrobine의 방사선 유도 암 이동성 및 침윤성 저해 활성에 대한 in vitro 결과가 동물 수준에서 적용가능한지 구축된 방사선 유도 암 전이 동물모델을 이용해 in vivo 효능평가를 진행하여 동물 수준에서도 방사선 유도 암 전이 저해 활성이 있음을 확인 함. - 본 연구결과는 특허 출원을 진행 함. - 본 연구결과를 활용해 SCIE 급 국제 저널에 발표 함. □ 연구개발성과의 활용 계획 및 기대효과(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 본 연구를 통해 도출한 후보물질인 dendrobine에 대해 추가적 연구를 통해 방사선 치료시 발생하는 방사선 유도 암 전이를 적절하게 저해하는 방사선 치료효율 증진제로서 개발 할 수 있음. -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통해 구축된 방사선 유도 암 전이 동물모델에 대한 검증을 수행함으로써 다양한 천연물 유래 저분자 화합물에서 방사선 치료효율 증진제 후보물질 도출 및 개발에 필수적인 동물 실험 모델을 제시하였으며, 이를 통해 구축된 동물 모델의 활용가치가 높아질 것 임.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정찬헌
    • 주관연구기관 : 전주농생명소재연구원
    • 발행년도 : 20210900
    • Keyword : 1. 후보물질;방사선치료;치료효율 증진제;암전이 동물모델; 2. candidate;radiotherapy;radiosensitizer;metastasis animal mod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