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Report

All 12,392 Page 62/1,240

검색
  • 11782

    2021.01.31

    * 사업목표 : 피폭 손상 평가/치료/재생의료의 핵심 원천기술 개발 과 임상적용 가능 피폭환자 손상진단 및 피폭치료 임상/전임상 연구개발을 통한 피폭환자 치료 시스템 확립으로 방사선 의료대응 기술 선진화를 목표로 함 * 사업수행 내용 및 결과 1 피폭 손상 신속 선별 및 선량 평가 표준화 기술 개발 · 인체표준 물리팬텀 활용 선량평가 시스템 구축 · 개인맞춤형 전신/갑상샘 내부오염검사 기술 구축 · 대량 사상자 발생대비 내부피폭선량평가 표준절차 개발을 위한 주요핵종 분석절차 제작 2 피폭 표적장기 손상기전 연구 및 진단/예후 생체 표지자 탐색 · 피폭 손상 진단키트 후보 유전자풀 확보 · 방사선 유도 미세 혈관 손상 기전 연구 및 손상 표지자 발굴 3 방사선 증후군 치료제 발굴 : 화합물, 표적 치료제, 세포 치료제 · 방사선조혈계증후군: 방사선 피폭 골수유래면역억제세포 유도 및 활성화 연구 · 방사선위장관증후군: 방사선손상 장 미니장기 모델에서 SR1에 의한 재생증진 기전 연구 · 방사선폐섬유화: 방사선 피폭 폐섬유화 세포모델 기반 섬유화 억제 치료 후보군 선정 · iPSC에서 배양된 갑상선 미니장기 성숙도 최적화 및 방사선 선량별 반응도 평가 4 피폭 치료 프로토콜 구축 · 방사선피부화상 : 방사선 유도 피부염 조절을 위한 허가외 사용 의약품 발굴 · 인체유사 중동물 방사선위장관손상 치료 프로토콜 구축 II : 중간엽줄기세포, off-label use drugs (허가외 사용 의약품) · 소동물 기반의 방사선직장염 치료를 위한 치료후보제 적용과 치료효과 평가 (출처 : 요약서 4p)
    • 연구책임자 : 장원일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의학원
    • 발행년도 : 20210200
    • Keyword : 1. 물리팬텀;방사선조혈계증후군;방사선위장관증후군;방사선폐섬유화;허가외 사용 의약품;줄기세포; 2. Physical Phantom;HSC;Intestine stem cells;Lung Fibrosis;off-label use drug;Stem cells;
  • 11781

    2021.01.31

    본 연구사업의 주목표는 두가지로 영상장비 기반 연구지원과 가속기를 활용하는 연구지원이다. 첫번째로, 다중-다기능 융합PET/MRI영상 이용 연구의 활성화에 필요한 최신 융합 PET장비 도입과 신개발 다기능 방사성 추적자를 이용한 융합분자영상 기초 및 임상 응용기술 개발 / 신규 방사성 분자영상의약품 개발 및 평가 및 임상적용 연구 활성화 지원이란 목표를 가지고 표준화된 성능평가 및 QC 프로토콜, 영상 획득 프로토콜, 정량화 기법, 다중 영상 정합 기법 등의 개발 및 국내 등의 개발과 국내 보급을 통한 국내 PET/CT영상의 유용성 향상에 기여와 융합 PET (PET/CT 및 PET/MRI)의 다중-다기능 영상의 정량분석을 위한 영상의 융합 처리/분석기술의 개발과 평가, 방사성 동위원소를 이용한 진단능의 향상과 치료반응의 효과적 평가를 위한 영상분석기술 개발 및 임상적용 그리고 관련 연구개발 사업의 연구성과인 신개발 PET용 방사성의약품 및 융합 다중-다기능 영상용 의약품의 임상적용 및 유용성 평가 연구 수행 및 지원을 하였다. 두 번째로, MC50 사이클로트론을 통한 이용 연구자들의 시설 활용지원은 통계에 따르면 총 17개 기관 41개의 연구를 지원하였다. 가속기 가동시간은 총 950시간이며 내부 이용자 지원건수는 60건이고 외부 이용자 지원건수는 지원건수는 170건(내부이용: 54건, 외부이용: 116건)로 총 230건을 기록하였다. MC50 사이클로트론 관련 메인 수냉 펌프 시스템 업그레이드, Circular coil 마그넷 전원공급장치 교체, Low level RF 시스템 AD 보드 성능 개선, PLC system 업그레이드(PLC와 EPICS간 통신 구현, 차폐도어 데이터 통신 부분 업그레이드), 빔 라인 (Pump group 5) 진공 시스템 업그레이드 등의 인프라 강화를 하는 등 MC50 사이클로트론의 안정적 운영을 통해 당해연도 목표치인 장비가동률 90%를 상회하는 97.4%의 가동률을 달성하였다. 신규 의료용 RI 생산 지원을 위한 중양성자 빔 인출관련 내부 파트의 개조 및 빔 조사 조건 최적화를 통한 중양성자 빔 성능 향상을 위해 에너지별 Ion source와 Dee tip2 간격 별 중양성자 빔 테스트 및 최적화, 중양성자 빔 용 가스 시스템 유지보수 및 교체를 통해 목표치 중양성자 빔 인출량 16 ㎂로 목표치 15 ㎂를 초과 달성하였다. (출처 : 초록 3p)
    • 연구책임자 : 이교철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의학원
    • 발행년도 : 20210200
    • Keyword : 1. 양전자방출단층촬영술;융합영상시스템;다기능방사성의약품;다기능융합분자영상;임상연구사이클로트론;양성자;중성자;중양성자빔; 2. PET;hybrid imaging system;multi-functional radiopharmaceuticals;multi-functional hybrid molecular imaging;clinical study;MC-50;cyclotron;proton;neutron;deuteron beam;
  • 11780

    2021.05.31

    □ 연구개요 이 연구는 전사 활성에 의한 유전체불안정성이 증가되는 현상을 기작적으로 이해하는려는 노력임. 최근 Topoisomerase IIβ (TOP2B)의 효소기작이 스트레스에 의해 발현되는 다양한 유전자들의 (이후: 스트레스 유전자) 전사 활성과 더불어 요구되는 것이 알려지게 됨. 따라서 인간의 세포내에서 전사 활성에 동반하는 TOP2B의 활성 및 DNA와의 결합을 조절하는 기작을 밝히기 위해 노력했음. □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본 연구를 통하여 우리는 TOP2B ubiquitination을 확인하고 BRCA1-BARD1-TOP2B 상호작용의 기능적 분석을 목표하였음. 세부적으로 1. His-tagged 재조합 단백질을 클로닝하고 세균에서 발현, 정제하기를 계획하였었음. 우리는 BARD1과 TOP2B, 또한 BRCA1 단백질 및 BRCA1 S1524A, S1524D 돌연변이를 정제할 수 있었음. 2. TOP2B C-terminal domain truncated protein 정제할 수 있었음. 3. 가장 중요한 목표로서 우리는 in vitro ubiquitination 실험을 통하여 BRCA1-BARD1 결합체가 TOP2B를 ubiquitination 하는지, 또한 어떤 부분에 ubiquitination이 일어나는지를 밝히기를 목표하였었음. 이 연구 기간을 통하여 우리는 BRCA1-BARD1 결합체가 TOP2B를 ubiquitination하는 것을 보일 수 있었음. 특히 TOP2B 1-566 amino acids에서 ubiquitination이 일어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음. 하지만 C-terminal domain을 cloning 하는 것을 실패하여 이 부분에도 ubiquitination이 일어나는 지에 대한 검증까지 하지는 못했음. 흥미있게도 BRCA1 S1524A이 WT이나 S1524D보다 월등한 TOP2B ubiquitination을 매개하는 것을 증명할 수 있었음. 4. 우리는 BRCA1 S1524 인산화가 TOP2B의 유전자 부착과 TOP2B ubiquitination에 어떤 영향을 주는 지는 HEK293 세포에서 Immobilized template assay 와 Western blot 등의 방법으로 확인하고자 하였음. 이에 따라 정제된 WT, S1524A, S1524D 돌연변이와 HeLa nuclear extracts, EGR1 유전자 DNA를 가지고 실험함에 의해서 S1524A를 첨가하였을 때 TOP2B의 EGR1 부착이 가장 증가함을 보일 수 있었음. 이 결과는 S1524A 돌연변이가 TOP2B ubiquitination을 활성화시키는 것과 연관시켰을 때 TOP2B ubiquitination이 DNA에 부착을 증가시킨다는 것을 제시할 수 있음. 또한 Caffeine과 ATM 등의 화학적 저해제를 사용하였을 때 BRCA1의 인산화가 저해되는 것을 보였음. 하지만 BRCA1 인산화와 TOP2B DNA 부착사이의 직접적인 결과를 확인하지 못하였고 아직 시도하는 중임. □ 연구개발성과의 활용 계획 및 기대효과(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본 연구를 통하여 다양한 스트레스에 의해 유도되는 유전자들의 전사 활성에 동반하는 TOP2B에 의한 DNA 절단이 복구되는 기작을 이해하는 중요한 요소들을 제공하게 되었음. 우리는 선행 연구에서 BRCA1의 활성화 (인산화)가 대표적인 스트레스 유전자인 EGR1, JUN, FOS, MYC 등의 유전자들에서 일어나며, BARD1-TOP2B 상호작용이 BRCA1 인산화에 의해 조절된다는 것을 발견함, 결국, BRCA1-BARD1이 TOP2B의 EGR1 프로모터 부착을 조절하는 것으로 보였는데, 본 연구를 통하여 BRCA1-BARD1이 TOP2B에 의한 E3 ligase이며 TOP2B DNA 부착에 조절을 한다는 것을 밝힘. 이러한 이해는 전사의 조절, 나아가 유전자 발현의 조절과 전사와 동반된 유전체 불안정성을 이해하는데 중요할 것으로 생각됨. 본 연구실에서 최초로 발견된 전사효소 프로모터 부위 멈춤 풀림에 동반한 TOP2B에 기인한 DNA 절단과 복구 시그널링을 계속적으로 이해하여 이 분야를 선도하는 꼭 필요하고 중요한 연구로 더 발전시켜 나갈 수 있을 것이라 여겨짐.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번치 희연
    • 주관연구기관 : 경북대학교
    • 발행년도 : 20210600
    • Keyword : 1. 전사조절;유전자발현;전사와 동반된 유전체불안정성; 2. Transcriptional regulation;Gene regulation;Topoisomerase IIb;Transcription-co upled genomic instability;BRCA1-BARD1;
  • 11779

    2021.05.31

    □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 최종 목표 본 연구는 체외에서 성숙된 돼지 난모세포의 품질을 개선하고, 배아의 난할구를 세포질 응집법을 이용하여 응집하고 고품질의 배반포를 생산하며 그 배반포로부터 배아줄기세포를 배양하여 배아줄기세포주 수립의 효율성을 증가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 1차년도에는 체외성숙시스템의 개선 연구를 통해 고품질의 돼지 체외성숙난자를 생산한다. 2차년도에는 최적의 배아 배양시스템을 구축하는 한편, 2개 이상의 단위발생 및 체세포 핵이식 유래 배아를 응집하여 세포수가 많은 고품질의 배반포를 생산한다. 3차년도에는 세포질 응집기술을 통해 향상된 품질의 배아를 이용해 돼지 배반포를 생산하며, 고품질 배반포로부터 분리된 내세포괴(inner cell mass; ICM)를 이용하여 배아줄기세포주 형성의 효율을 개선하고 배양 인프라를 구축하는 것을 본 연구의 목표로 한다. ■ 전체 내용 돼지 난모세포의 체외성숙 환경을 개선하는 연구를 통해 고품질의 성숙 난모세포를 생산하며, 생산된 난모세포를 단위발생 또는 체세포 핵이식을 통해 배아를 작성하여 난할구의 응집법을 이용하여 고품질의 배아를 생산한다. 난할구가 응집된 배아는 배반포의 크기 및 세포수를 비롯한 다양한 지표에서 품질이 개선되었으며 배아줄기세포주로의 구축 효율을 향상시켰다. ■ 1단계(해당 시 작성) • 목표 : 성숙난자 세포질 응집을 통한 고품질의 체외 성숙난자 생산 • 내용 ∙ 고품질 체외성숙 난자 생산을 위한 배양환경 개선 연구 - 체외배양액 내에 항산화제, 영양물질, 성숙인자 등의 첨가효과 검토 ∙ 배아줄기세포주 확립을 위한 기초연구진행 - 효과적인 응집할구 배양 기법 개발 ■ 2단계(해당 시 작성) • 목표 : 배아 또는 난할구 응집을 통한 고품질의 체세포 핵이식 유래 배반포 생산 • 내용 ∙ 체세포 핵이식 기법을 통한 돼지 복제수정란 생산 ∙ 핵이식 배아 또는 난할구 응집을 통한 고품질 배반포 생산 기술 개발 ∙ 배아줄기세포주 확립을 위한 기초연구진행 - ICM유래 콜로니 초대배양 기법 개발 ■ 3단계(해당 시 작성) • 목표 : 돼지 배아줄기세포 배양 인프라 구축 • 내용 ∙ 생산된 돼지 복제배아줄기세포의 세포주 확립을 위한 효과적인 배양법 개발 ∙ 생산된 돼지 배아줄기세포의 특성 규명 ∙ 돼지 배아줄기세포 장기 배양 시스템 개발 □ 연구개발성과 본 과제는 돼지 체외성숙 난자의 품질 개선 및 단위발생 또는 체세포 핵이식 유래 배아의 난할구 응집을 통해 고품질의 배반포를 생산하고자 하였다. 1. 체외성숙난자의 품질을 개선하기 위하여 Glucuronic acid+N-Acetyl-D-glucosamine (GAAG) 을 체외성숙 배양액에 첨가하여 난자의 품질을 개선하였다. 2. GAAG는 난구세포의 확장을 유도하여 활성산소의 억제 및 Cortical granules 작용을 활성화 하여 고품질의 배반포를 생산하였다. 3. Phytohemagglutinin-L (PHA-L) 및 Well of Well (WOW) 방법을 활용한 난할구의 응집 방법은 단위발생 유래 배반포의 크기 및 세포수를 증가시켰다. 4 PHA-L 또는 WOW 방법을 통해 생산된 배반포는 배아줄기세포주 확립 효율을 향상시켰다. □ 연구개발성과 활용계획 및 기대 효과 가) 생명공학 기술의 기초지식 제공 ∙ 돼지 핵이식 수정란의 생물학적 특성에 대한 정보를 축적함으로써 핵이식기술을 이용한 응용분야에 기초 자료를 제공한다. ∙ 돼지 핵이식 수정란의 체외발육 및 체내 생존성을 향상시킴으로써 핵이식기술에 의한 복제돼지 생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 타 축종의 배아줄기세포주 확립에 적용하여 관련분야의 기술적 발전에 활용할 수 있다. ∙ 배아줄기세포주 확립은 유전자를 조작한 형질전환 돼지나 바이오장기생산용 돼지 등 특수목적 동물의 생산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나) 의료산업 및 줄기세포치료법 개발의 기반확보 ∙ 난자의 새로운 체외성숙시스템 개발은 동물뿐만 아니라 사람의 불임치료에도 이용 되어질 수 있다. ∙ 현미수정란, 체외조작 수정란 등 관련기술에의 적용에 의한 기술적, 산업적 기반확보가 가능하다. ∙ 줄기세포는 현대 의학으로 치료가 어려운 난치병 치료에 사용가능 할 뿐 만 아니라 신약 개발, 질병의 원인 규명 등 광범위하게 이용되어 질 수 있다. ∙ 돼지 배아줄기세포 연구는 인간의 배아줄기세포 연구의 모델이 될 수 있다. (출처 :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이주형
    • 주관연구기관 : 충북대학교
    • 발행년도 : 20210600
    • Keyword : 1. 난할구 응집;체외성숙;단위발생;체세포 핵이식;배아줄기세포; 2. blastomere aggregation;in vitro maturation;parthenogenetic activation;somatic cell nuclear transfer;embryo stem cell;
  • 11778

    2021.02.28

    □ 연구개요 생리적 노화의 주요 분자생물학적 원인인 lamin에 의한 핵구조 결손과 생체내 줄기세포 고갈의 상관관계를 규명하고 이를 조절할 수 있는 화합물을 선별하여 노인성 심혈관질환에 대한 치료제로 발굴하고자 함 - lamin에 의한 핵구조 결손에 의한 노인성 심혈관질환의 상관성 규명 - 생체내 줄기세포 고갈과 노인성 심혈관질환 상관성 규명 - lamin에 의한 핵구조 결손에 의한 생체내 줄기세포 고갈 작용기전 규명 - lamin에 의한 줄기세포 고갈 억제 기전을 기반으로 한 노인성 심혈관질환 치료제 발굴 □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1) 노인성 심혈관질환 연구모델 정립 및 lamin에 의한 핵구조 결손과 생체내 줄기세포 고갈의 노인성 심혈관질환과의 상관성 규명 • 핵구조 결손과 줄기세포 고갈에 의해 발생되는 노인성 심혈관질환 모델 구축 • 확립된 질환 모델에서의 심혈관질환의 병리학적 분석 • lamin에 의한 핵구조 결손이 심혈관조직 구성 세포의 생리적 기능에 미치는 영향 확인 • 노인성 심혈관질환 모델에서의 줄기세포의 생리적 활성 변화 여부 확인 2) 핵구조 결손에 의한 생체내 줄기세포 생리적 활성 감소와 노인성 심혈관질환과의 상관성 규명 • 핵구조 결손에 의한 혈관평활근세포, 혈관내피줄기세포, 중간엽줄기세포의 증식능 변화 분석 • 핵구조 결손에 의한 혈관평활근세포, 혈관내피줄기세포, 중간엽줄기세포의 증식능 표지인자 및 전사인자의 변화 분석 • 핵구조 결손에 의한 혈관평활근세포, 혈관내피줄기세포, 중간엽줄기세포의 세포이동능 비교분석 • 핵구조 결손에 의한 혈관내피줄기세포의 membrane stiffness 변화 분석 • 핵구조 결손에 의한 혈관평활근세포, 혈관내피줄기세포, 중간엽줄기세포의 분화능 비교 분석 3) 핵구조 결손에 의한 생체내 줄기세포 생리 활성 감소 제어를 기반으로 하는 노인성 심혈관질환 치료제 발굴 및 효과 검증 • 핵구조 결손 저해제를 활용한 동물모델의 치료효과 검증 • 노인성 심혈관질환 환자로부터 획득한 유도만능 줄기세포를 활용한 핵구조 결손 저해제의 치료효과 검증 • 핵구조 결손 저해제의 치료 작용 기전 연구 □ 연구발성과의 활용 계획 및 기대효과 (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 노인성 심혈관질환 치료제 개발에 대한 원천기술 개발로 세계적 경쟁력 확보 및 그에 따른 기술 경쟁력 확립 • 세계 최초로 노인성 심혈관 질환에 대한 치료제가 개발된다면 빠른 채택률을 보일 것이며, 개발된 노인성 심혈관 질환 치료제의 활용은 또 다른 경제적 측면에서 막대한 파급효과를 보일 것으로 기대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장우철
    • 주관연구기관 : 부산대학교
    • 발행년도 : 20210300
    • Keyword : 1. 라민;핵구조 결손;줄기세포 고갈;노인성;심혈관질환; 2. lamin;defect in nuclear architecture;stem cell exhaustion;aging;cardiovascular diseases;
  • 11777

    2021.11.30

    비공개항목입니다.
    • 연구책임자 : 권혁인
    • 주관연구기관 : 중앙대학교
    • 발행년도 : 20211200
    • Keyword : 1. 우주환경;내방사선 반도체소자;트랜지스터;위성;신뢰성;반도체소자 구조;반도체 소재;열화 메커니즘; 2. space environment;radiation hardened semiconductor device;transistor;satellite;reliability;device structure;semiconductor material;degradation mechanism;
  • 11776

    2020.12.31

    한국원자력연구원은 연구용 원자로인 하나로를 포함한 다수의 국가 주요 연구 및 미래 원자력 핵심연구 시설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러한 핵심 연구시설들은 대한민국의 기술 선진화를 견인했다. 그러나 최근 시설 및 장비의 경년열화와 불시정지 등으로 인하여 시설 운영률이 감소하고 있는 상황이며, 규제환경의 변화로 사소한 고장임에도 재가동 승인이 요구되는 등 연구용 원자로를 활용한 각종 연구에 차질을 빚고 있다. 따라서 보다 효율적이고 안전한 연구시설 관리 및 운용을 위해 인공지능과 디지털 트윈 기술의 적용이 필수적이다. 본 과제에서는 하나로, 습분분리기를 포함한 원자력 시설의 이상진단 및 디지털 트윈기술 적용을 위한 기초연구를 수행하였다. 하나로에서 발생하는 데이터를 바탕으로 데이터 접근 환경 구축 및 데이터 분석을 수행하고, 딥러닝 기반 이상탐지 모델 개발을 위한 사전 연구 분석과 프로토타입 모델을 개발하였다. 또한 구조-음향 연성 문제의 역학 기반 디지털 트윈 모델 개발을 위해 음향-구조 연성 축소모델 ROM을 개발 및 구조건전성 평가를 위한 기초이론을 정립하였다. 인공지능 연구 활성화를 위하여 인공지능 활용 지원 환경을 구축하였으며, 원자력-인공지능 교육 컨텐츠 개발 및 협업환경 구축을 통한 인공지능 관련 다수의 과제 기획, 협업, 컨설팅 등을 수행하였다. 본 과제 수행을 통해 최신 인공지능과 디지털트윈 기술의 도입을 위한 기반을 마련하였으며, 나아가 딥러닝 모델 개발을 통해 상용 원전에도 적용 가능한 원자력 이상진단 및 예측 원천 기술을 확보할 수 있다. (출처 : 서지정보양식 107p)
    • 연구책임자 : 유용균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연구원
    • 발행년도 : 20210100
    • Keyword : 1. 하나로;연구용원자로;인공지능;딥러닝;이상탐지;디지털트윈;전산모사; 2. HANARO;Research reactor;Artificial intelligence;Deep learning;Anomaly detection;Digital twin;Computational simulation;
  • 11775

    2021.01.31

    본 연구사업의 주목표는 국가 첨단의료 방사성동위원소 및 방사선의료·바이오 신시장 창출을 위한 치료용 방사성동위원소 이용 방사성의약품 개발 연구이다. 첫번째로, 다목적 사이클로트론에서 인출되는 하전입자빔(양성자, 중수소 및 헬륨)을 이용 난치성질환 진단 및 치료용 방사성동위원소의 고성능 생산기술과 고효율 분리정제기술 개발하는 것으로 국내외 신규 치료용 동위원소인 Cu-67, At-211, Ru-97, Sc-44, Sc-47, Sn-117m 6종에 대한 방사성동위원소 생산변경허가 취득을 하였으며 Ac-225 생산을 위한 방사성물질인 Ra-226의 방사성동위원소 사용변경허가 취득하였다. 또한, 고효율 핵반응을 위한 하전입자(양성자/중양성자/알파)빔 안정화기술 개발을 통한 치료용 RI 생산을 위하여 알파빔 튜닝 최적화였다. 50 MeV 사이클로트론 기반으로 한 차세대 PET 방사성동위원소 3종(Cu-64, Zr-89, I-124)은 의학원에서 국내 최초로 개발하여 연구용으로 국내 의료기관 및 연구소에 무상으로 공급(단, 포장 및 배송료는 주문자 부담)하고 있으며 현재 국내 총 14기관이 사용허가를 보유하고 의학원으로부터 공급 받아 분자영상 및 핵의학기술에 대한 R&D에 활용하고 있는 상태이다. 2020년에는 코로나19 판데믹으로 인해 의학원 및 외부기관 사용량이 전년도 대비 많이 감소하였으나, Cu-64(방사성구리)는 3,950.5 mCi/199 건, Zr-89(방사성지르코늄)은 27.2 mCi/10건, I-124(방사성요오드)는 136.8 mCi/23건을 생산하여 공급하였다. 두 번째로, 다목적 사이클로트론 기반 생산시설 업그레이드를 통한 고품질 의료용 방사성동위원소의 양산체제를 구축하여 국내 연구 활성화 및 동위원소 분야 세계적 기술력 확보를 위하여 At-211 빔조사(50 MeV 사이클로트론)를 위하여 Bi-209 타겟 제조하여 타겟에서 용해한 Bi-209 + At-211은 12.6 μCi였으며, 분리정제 후 약 0.3 μCi의 At-211이 얻었으며 감마에너지 분석 결과, At-211에서 나오는 687.0 keV(0.25%)와 Bi-207에서 방출되는 569.7(97.8%), 897.7(0.12%) keV의 감마에너지가 관측되었다. 이와 연관되어 At-211 표지용 보결화합물 bisboc-iso -SGMTB의 합성한 상황이다. 최근에는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등에서 갑상선암 PET 진단제로 수출 요구가 들어와, 현재 수출 사업화 진행 중에 있다 (출처 : 요약서 3p)
    • 연구책임자 : 이용진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의학원
    • 발행년도 : 20210200
    • Keyword : 1. 방사성동위원소;베타선 방출;알파입자 방출;조사스테이션;방사선안전; 2. Radioisotope;Beta-ray emitted;Alpha particle emitted;Irradiation station;Radiation safety;
  • 11774

    2020.12.31

    공학적방벽 복합거동 검증기술 개발을 위해 수행한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 KURT 기반 공학적방벽 열-수리-역학 복합거동특성 규명 현장시험(In-DEBS)으로부터 국내 결정질암반에서의 THM 측정자료 DB를 구축하고 중장기적 운영 기반을 마련하였다. • 처분시스템 성능 현장 검증 및 모델 구축에 필요한 공학적방벽 완충재의 복합물성 평가 기반을 구축하였다. • 공학적방벽 완충재로써의 국내산 Ca-벤토나이트 블록의 복합물성 특성을 규명하고 이들의 열-수리 상관관계 모델을 제시하였다. • 공학적방벽-근계암반의 역학적 거동 평가기술을 개발하였으며 역학적 거동과 손상도의 상관관계를 규명하였다. • 공학적방벽 THM 복합거동 진화모델 및 기체압력을 고려한 HM 해석 모델을 개발하였다. • 국제공동연구를 통해 개발한 공학적방벽 THM 복합거동 해석 모델과 기체압력을 고려한 HM 해석 모델의 현장 적용성을 검증하였다. • 공학적방벽 THM 복합거동 해석 모델에 공학규모 EBS 현장 시험(In-DEBS) DB를 입력자료로 이용하여 KURT 기반 처분시스템 THM 복합거동을 평가하였다. • 처분환경 진화과정에서 예상되는 처분시스템 근계영역에서의 처분공 간 THM 복합거동 간섭현상을 시험하기 위한 다중 처분공 간섭현상 현장시험(In-DEBS-M) 개념을 개발하고 개념 설계(안)을 제시하였다. (출처 : 서지정보양식 464p)
    • 연구책임자 : 김건영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연구원
    • 발행년도 : 20210100
    • Keyword : 1. 처분시스템;심층처분;지하연구시설;공학적방벽;열-수리-역학 복합거동;THM 진화 모델;완충재;벤토나이트;지하처분연구시설;열-수리-역학적 거동;성능 검증; 2. Repository system;Deep geological disposal;URL;Engineered barrier;THM coupled behavior;THM evolution model;Buffer;Bentonite;In-DEBS;KURT;KAERI underground research facility(KURT);Thermal-Hydrological-Me chanical coupled behavior;Performance verification;
  • 11773

    2021.05.31

    원자력안전위원회(이후 원안위)는 원자력규제기구의 독립성이 세계적으로 중요한 안전규제 과제로 대두됨에 따라 2011년 10월 원자력안전위원회의 설치 및 운영에 관한 법률에 의해 설립되었다. 또한 IAEA는 IRS 권고를 통해 규제 독립성을 달성하기 위한 캠페인을 계속했고 주요 회원국과 OECD/NEA는 IAEA와 함께 하기로 합의했다. 원자력안전위원회는 설립 이후 후쿠시마사고에 대한 후속조치를 포함한 원자력 산업 전반에서 제기되는 주요 원자력 안전 및 규제 문제에 적극 대응하고 다양한 안전 및 규제 문제에 적극적으로 대응함으로써 한국에서 독립적인 원자력 규제 기관으로서의 입지를 확립하고 강화하기 위해 노력해 왔다. 2021년은 원안위 설립 10주년으로, 이제는 지난 10년간 원안위가 원자력 규제 분야에서 수행한 것을 객관적이고 심도 있는 분석을 통해 검토하고 평가할 시점이다. 또한 지금까지 발생한 주요사건 및 규제 사건을 평가하고 주요 정책과제의 성과를 분석하여 미래에 대한 보다 실행 가능하고 문제가 없는 규제 정책과 전략을 수립하는 것을 목표로 그동안의 교훈을 도출해야 한다. 위에 명시된 목표를 가지고, 본 보고서는 국제사회에서 요구하는 규제기관의 임무 및 역할을 조사·분석하여 IAEA 및 OECD/NEA에서 요구하는 정부 및 규제기관의 역할과 책임, 해외 주요 규제기관의 임무 및 역할, 주요 규제기관의 임무 및 역할 비교 분석 내용을 제시하였으며, 원안위 출범 이후 발생한 주요 사건과 사건에 대한 주요 언론보도 내용을 조사·분석하고, 사건에 대한 재발방지대책 및 언론 대응에 대한 평가내용을 제시하였다. 또한 원안위 출범 이후 추진한 주요 정책과제에 추진사례를 조사·분석하여 주요 정책 내용, 주요정책에 대한 평가내용을 제시하였고, 이에 대한 교훈을 도출·환류함으로써 보다 체계적이고 합리적인 안전규제를 실현하여 국민이 신뢰할 수 있는 규제기관으로 발전하는데 필요한 앞으로 10년의 미래 발전방향을 수립(안)을 도출하였다. (출처 : 요약문 5p)
    • 연구책임자 : 박윤원
    • 주관연구기관 : 비즈
    • 발행년도 : 20210600
    • Keywor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