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Report

All 12,381 Page 66/1,239

검색
  • 11731

    2021.05.31

    비공개항목입니다.
    • 연구책임자 : 박하영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연구원
    • 발행년도 : 20210600
    • Keyword : 1. 생체흡수율 증진;방사선;체내흡수저하모델;폴리페놀;소장흡수 메커니즘; 2. Absorption improvement;Radiation;Constructing absorption decline model;Polyphenols;Intestinal absorption mechanism;
  • 11730

    2021.02.28

    □ 연구개요 상부소화기암 (구강암, 비부비동암, 인두암, 식도암, 갑상선암등)의 암치료를 위한 필수부위 방사선 치료의 적용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음. 방사선 조사 기법의 발전에도 상부소화기암 방사선 조사 후 발생하는 영구적 삼킴장애 (17%)는 개선되지 않고 있으며, 이로 인한 심각한 합병증 발생 역시 해결해야 할 숙제로 남아있음. 이에 본 연구에서는 방사선 조사로 손상된 상부소화기관의 재생을 위한 주사형 유전자 이입 간엽줄기세포 치료제를 개발하였음. 본 연구 개발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음. - 유전자 클로닝 hMSC의 제조 - 유전자 전달세포의 생물학적 평가 (유전자 이입 효율 및 줄기세포성 변화) - 방사선 조사 후 fibrosis 유도 마우스 동물모델에의 적용 및 효능 평가 - 유전자 치료 기전 규명 □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 유전자이입 MSC의 제조 - 식도근육 유전자의 plasmid DNA내 유전자 재조합 - Electroporation technique을 이용한 MSC내 식도근육 유전자의 이입 및 이입효율 확인완료 • 유전자 전달세포의 생물학적 평가 - MSC에 각각의 유전자 이입 후 Pluripotent gene의 발현양상을 확인완료. - Myogenesis관련 유전자의 gene expression을 real time PCR를 통해 분석완료 - MSC에 각각의 유전자 이입 후에 western blot를 통해 단백질 발현 양상을 확인완료 • 동물모델에의 적용 및 효능 평가 - 식도 점막층의 조직학적 변화 관찰 및 정량분석 완료 - 식도 점막하층의 콜라겐층의 분포에 대한 조직학적 분석 완료 - 식도 근육층의 morphological 변화 분포의 정량적 분석 완료 - 점막근층 (muscularis mucosa)의 재생유무 확인 완료 • 유전자 치료 기전 규명 - 재생조직내 방사선 조사관련한 fibrosis 관련 마커의 발현양상 확인 (재실험중) - Paracrine effect 및 재생조직내 분자생물학적 평가 (현재 추가적인 분석 진행중) □ 연구발성과의 활용 계획 및 기대효과 (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 유전자 클로닝 줄기세포 치료 시스템을 이용한 상부소화기관 방사선 손상 재생치료의 가능성을 밝혀, 현재 난치 영역인 영구적 삼킴장애의 치료 가능성을 확인함. • Non-viral vector를 이용한 유전자 이입된 줄기세포 제제는 기존의 viral vector에 비해 임상적인 안전성이 크며, 여러 기타장기의 활용적 측면에서 효과적인 유전자 전달법을 제시함. • 본 연구를 통한 상부소화기관 방사선 손상 재생 치료용 주사제 개발로 전세계적 광범위한 수요를 통한 경제적, 학문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음. • 상부소화기관 방사선 치료 환자군에서 유전자 이입 줄기세포 치료제 개발을 통한 사업화 전략이 가능할 것으로 보임.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정은재
    • 주관연구기관 : 서울대학교병원
    • 발행년도 : 20210300
    • Keyword : 1. 두경부암;방사선 치료;간엽줄기세포;방사선 섬유화;유전자 치료; 2. Head and neck cancer;Radiation therapy;Mesenchymal stem cell;Radiation-induced fibrosis;Gene therapy;
  • 11729

    2021.01.31

    7. 총사업기간 목표 및 범위 ㅇ 최종목표 : 우주방사선 피폭량 예측 모델 개선 및 통합관리 시스템 개발 - 우주방사선 피폭선량 예측 모델의 결과 검증 및 개선 o 항공우주방사선 모델 특징 분석 ▪ 보고서 작성 o 항공우주방사선 피폭선량 실측값 획득 o 획득가능한 항공우주방사선 모델에 대하여 동일한 항공로 적용을 통해 항공우주방사선 피폭량 계산 ▪ 운항 노선을 대상으로 각 모델 결과값과 실측값 비교 ▪ 주요 시험 노선 결정 후 항공우주방사선 피폭량 계산 및 비교: -위도별 (북극항로, 중위도 노선, 저위도 노선) 및 고도별 노선 -실측값과 모델 결과값의 비교 o 항공로 시뮬레이션 개발 ▪ 항공로 시뮬레이션 개발 ▪ 항공로 시뮬레이션 통해 개선된 항공로 도출 o End Product ▪ 항공로 시뮬레이션 ▪ 해외 항공우주방사선 모델 검토 보고서 ▪ 실측값과 모델값 비교 분석 보고서 o 장비 업그레이드 ▪ 항공우주방사선 장비(ARMAS FM6)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8. 추진체계 및 방법 1. 우주환경 연구 전문가 및 선행사업 참여인력 투입을 통하여 높은 사업의 이해도 확보 - 우주환경연구 전문 인력(우주과학박사) 과제책임자 투입 - 기존 연구 수행 인력 00 투입 2. 선행사업 수행을 통해 획득한 헤리티지 기반 사업 수행 - 과제수행을 위한 핵심 기술 요소 분석 - 선행사업 및 유사사업 수행을 통해 획득한 기보유 기술요소 적극 도입 - 대상 시스템의 높은 이해도 기반 원활한 사업 수행 3. 항공로 개선을 위한 항공로 시뮬레이션 개발 - 사전 수행을 통해 신규 모델의 시스템 구축사업 진행 경험 보유 - 항공로 시뮬레이션을 통한 항공로 개선 4. 항공우주방사선 예측 모델 연구의 원천지식 보유 및 투입 - 현업화 경험 보유로 SAFE 시스템의 고도화를 위한 지식 및 기술 보유(납품실적 보유) - 실측데이터 수집 및 활용을 위한 원천지식 보유(선행사업 수행을 통해 획득) 9. 수행내용 및 결과 o 항공우주방사선 모델 특징 분석 ▪ SIEVERT(프랑스), EPCARD(독일), JSCARD(일본) KREAM(한국) 항공우주 방사선 모델에 대한 비교 o 항공우주방사선 피폭선량 실측값 획득 ▪ 기보유한 실측값 수집 정리 ▪ ARMAS 실측값 획득 o 획득가능한 항공우주방사선 모델에 대하여 동일한 항공로 적용을 통해 항공우주방사선 피폭량 계산 ▪ 동일한 운항 노선대해 모델별 항공우주방사선 피폭량 계산 및 실측값과 비교 ▪ 위도별 (북극항로, 중위도 노선, 저위도 노선) 및 고도별 결과값 비교 o 항공로 시뮬레이션 개발 ▪ 항공로 시뮬레이션 개발 ▪ 항공로 시뮬레이션 통해 개선된 항공로 도출 o End Product ▪ 항공로 시뮬레이션 ▪ 해외 항공우주방사선 모델 검토 보고서 ▪ 실측값과 모델값 비교 분석 보고서 o 장비 업그레이드 ▪ 항공우주방사선 장비(ARMAS FM6)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는 수요기관과 장비업체와 논의 10. 주요 성과 • 기존 항공로와 시뮬레이션을 통해 구현된 항공로 비교 수행 • 동일한 항공로에 대해 해외 항공우주방사선 예측 모델간 비교 수행 • 2020년 우주과학회 가을 학술발표대회 1건 • 항공로 시뮬레이션 SW 등록 1건 • 최종결과보고서 1건 11. 파급효과 o 파급효과 - 항공우주방사선 피폭량 계산에 적합한 모델 선정에 기여 - 이를 통해 항공종사자들에게 보다 정확한 자료 제공 기여 12. 결과활용 등 향후계획 o 활용계획 - 항공우주방사선 피폭량 예측 서비스의 질 향상 - 지속적인 시스템 정확도 향상을 위한 토대 마련 o 기대효과 - 우주방사선 예측 기술 역량의 강화를 통한 기술의 선도그룹 진출 및 연구 경향 주도 - 더욱 정확한 피폭량 예측을 통한 항공우주 데이터 분석 분야의 기술 자립화 추진 - 고도화 모델 개발을 통한 기술이전 및 서비스 환경 개선으로 사업화 추진 - 우주방사선 피폭의 위험성에 대한 인식 제고를 통해 항공우주관련 노동자의 복지 증대 (출처 : 요약 5p)
    • 연구책임자 : 서행자
    • 주관연구기관 : 한컴인스페이스
    • 발행년도 : 20210200
    • Keyword : 1. 항공우주방사선;양성자 예측;항공우주방사선 실측값; 2. cosmic radiation;proton prediction;actual data comparision;
  • 11728

    2021.05.31

    연구개요 천연텅스텐의 양성자핵반응에서 발생되는 매우 짧은 반감기를 가지는 176Re(5.3분) 및 180Re(2.4분)로부터 방출되는 감마선의 정확한 에너지와 양을 측정하기 위한 회로를 구성하여 측정된 감마선의 강도로부터 얻어진 데이터로 natW(p,nx)176Re 반응과 natW(p,nx)180Re 반응 대한 양성자 핵반응 단면적을 도출함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연구 목표] 1. 매우 짧은 반감기를 가지는 176Re(5.3분) 및 180Re(2.4분)로부터 방출되는 감마선을 최적화된 회로 구성 및 측정 시간을 통하여 정확한 에너지와 양을 측정 2. 감마선 측정을 통해 얻어진 데이터로 natW(p,nx)176Re 반응과 natW(p,nx)180Re 반응에 대한 양성자 핵반응 단면적을 처음으로 도출 3. 학술발표 및 논문발표를 통해 관련분야에 핵반응 데이터를 제공 [연구 결과] 1. natW(p,nx)176Re 반응과 natW(p,nx)180Re을 통하여 매우 짧은 반감기를 가지는 176Re 및 180Re핵종으로부터 발생되는 감마선을 성공적으로 측정하여 양성자 핵반응 단면적을 처음으로 도출하였음 2. 본 연구를 통하여 얻어진 결과는 학술대회(3회: 2020년 한국물리학회 추계학술대회, 2021년 한국물리학회 춘계학술대회, 2021년 한국방사선학회 춘계학술대회) 및 논문게재(1회: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Radiology, Vol. 15, No. 2, p. 257, (2021))를 통하여 성공적으로 수행하였음. 뿐만 아니라, 2021년 한국방사선학회 춘계학술대회에서는 우수논문상(은상, 제2021-춘-12호)을 받음 연구개발성과의 활용 계획 및 기대효과 (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연구개발성과의 활용계획] 본 연구로 얻어진 핵반응 단면적은 아래 3분야의 기초데이터로 사용되어 질 예정이다. 1. 핵융합로 재료 개발의 기초데이터: 융합 후 방사선에 대한 차폐연구, 소재개발 및 수명계산의 기초데이터로 요긴하게 사용되어진다. 2. 핵물리 연구: 여기 상태에서의 핵준위 연구에 있어서도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3. 우주물리학 계산: 별 내부에서의 p-process 원소 합성 과정에 있어서 양성자 핵반응을 통해 얻어지는 물질의 수율계산에 사용되어진다. [연구개발성과의 기대효과] 1. 현재까지 발표된 natW(p,nx)176Re 반응과 natW(p,nx)180Re 핵반응 데이터가 없었다. 특히 100 MeV 양성자빔 가속기는 시설의 희소성 때문에 몇몇 선진국에서 시행되고 있을 뿐 자료가 매우 부족한 실정에 있었다. 특히 50 MeV 이상의 양성자 빔에 의한 핵반응 실험 연구는 데이터가 매우 미흡하고 실험 데이터를 기반으로 평가된 평가치 값들도 거의 없었으며 기존에 발표된 결과도 정확하다고 보기는 어렵다. 이에 따라서 본 연구에서 얻어진 성공적인 결과들은 핵반응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매우 중요한 기초결과라 생각된다. 2. 매우 짧은 반감기를 가진 176Re(5.3분) 및 180Re(2.4분)의 측정 기술을 통하여 분단위의 짧은 반감기를 가지는 핵종의 측정연구에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되어진다. (출처 :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이삼열
    • 주관연구기관 : 동서대학교
    • 발행년도 : 20210600
    • Keyword : 1. 천연 텅스텐;양성자;핵반응;감마선;HPGe검출기; 2. Natural Tungsten;Proton;Nuclear Reaction;Gamma-Ray;HPGe Detector;
  • 11727

    2021.02.28

    연구개요 본 연구의 장기적 목표는 가금류의 사료 및 애완동물의 간식 자원으로 각광 받고 있는 갈색거저리(Tenebrio molitor, Tm)의 내재면역(Innate Immunity)을 연구함으로써 갈색거저리 모델의 산업적 가치를 증진하고자 함. 본 과제에서 완성하고자 하는 단기목표는 (1)RNAi 기법을 활용한 갈색거저리 Saptzle에 의해 조절되는 항균펩타이드의 발현 메커니즘 구명하고, (2) RNAi 기반 갈색거저리 NF-kB 단백질의 nuclear translocalization 구명 (3) LPS free spatzle 재조합단백질 및 Saptzle 항체를 이용한 갈색거저리 Saptzle 단백질에 의해 조절되는 항균펩타이드의 발현 메커니즘을 구명하고자 함.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본 연구를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내용을 기획하였음. 1년차 연구 목표인 “RNAi 기법을 활용한 갈색거저리 Saptzle에 의해 조절되는 항균펩타이드의 발현 메커니즘 구명”하기 위하여 (1) 후보 유전자인 9개의 spatzle 유전자 특이적 발현억제(RNAi)조건을 확립하였고, (2) 관련 유전자의 발현이 억제된 상황에서 병원균이 주사되었을 때 사충율과 (3) 항균펩타이드의 발현 양상을 조사하였음. 또한 동일 조건 하에서 Toll 및 Imd 신호전달의 NF-kB 유전자의 발현 양상을 조사하여 spatzle 유전자의 면역학적 기능을 구명하였음. 2년차 연구목표인 “RNAi 기반 갈색거저리 NF-kB 단백질의 nuclear translocalization 구명”을 위하여 (1) Toll 신호전달의 NF-kB 유전자인 TmDorX2 유전자의 면역학적 기능을 RNAi기법을 활용하여 구명하였으며, (2) 펩타이드 기반 NF-kB 다클론항체를 제작하였으나, 항체 titer 및 specificity가 낮아 재조합단백질 기반 합성항체를 제작 중에 있음. 마지막으로 3년차 연구 목표인 “LPS free spatzle 재조합단백질 및 Saptzle 항체를 이용한 갈색거저리 Saptzle 단백질에 의해 조절되는 항균펩타이드의 발현 메커니즘을 구명”하기 위하여 (1) spatzle 재조합 단백질을 곤충세포주 및 박테리아 발현 시스템을 활용하여 발현하였음. 관련된 시스템 정착이 늦어져 현재 재조합 단백질 기반 기능 연구를 수행하고 있음. 본 연구결과를 통하여 Frontiers in immunology (IF 5.085), Scientific reports (IF 3.998), International Journal of Molecular Sciences (IF 4.566) 등을 포함하여 총 9편의 논문을 출판하였으며, 추가로 TmSpz-1b, TmSpz-like, TmSpz-3, TmSpz-5, TmSpz-7 family (-7, -7a, -7b) 유전자의 기능을 구명한 결과를 통하여 5편의 논문을 추가로 투고할 예정임. 연구발성과의 활용 계획 및 기대효과 (1) 활용 계획: 도출된 결과를 기반으로 2021년 하반기에 중견연구과제를 신청하여 지속적인 연구를 수행하고자 함. 후속연구에서는 natural infaction (oral infection)을 통한 중장 기반 체액성 및 세포성 면역 체계의 기능을 구명하여 기존에 밝혀낸 면역체계와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 구명하는데 초점을 맞추고자 함. (2) 기대효과: 1) 본 연구를 통하여 화학적 항생제를 대체할 수 있는 천연항생제 후보물질인 항균펩타이드(AMP)의 발현 기작 연구를 통하여 AMP를 안전하게 과발현 시킬 수 있는 기술 개발을 목적으로 하고 있어 사료용 곤충의 고부가 가치화에 기여 가능함. 2) 본 연구를 통하여 학문분야 Top 2-10% 저널에 논문을 게재 3) 산업곤충의 대표 모델인 갈색거저리의 내재면역의 결과가 산업곤충의 가치를 증진하는데 기여될 것으로 사료됨 (출처 :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한연수
    • 주관연구기관 : 전남대학교
    • 발행년도 : 20210300
    • Keyword : 1. 갈색거저리;체액성면역;스패츨 단백질;Toll 신호전달;항균펩타이드; 2. Tenebrio molitor;Humoral immunity;spatzle protein;Toll signaling pathway;antimicrobial peptide;
  • 11726

    2021.11.30

    1. Research Purpose Both UAE and ROK are putting more emphasis on nuclear power plant safety. Traditionally, nuclear power plants were considered to be “safe” by meeting safety requirements under design basis accident scenarios (core non-metling cases). After the Fukushima accident, assessing nuclear power plant’s safety under various severe accident scenarios (core being severely damaged accidents) is becoming more and more important and it is becoming a new global norm of nuclear safety. Prediction, prevention and mitigation of severe accidents in a nuclear power plant are thus essential in both UAE and ROK nuclear industries. Since, complex two phase flow phenomena occur and govern the consequences under a severe accident, a conventional one-dimensional system analysis code used for design basis accident analysis is facing a new challenge. This is because 1D system analysis code has a two phase flow modeling capability for limited number of geometrical configurations while severe accidents often involve more complex flow geometry and conditions. A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CFD) approach with full three dimensional (3D) capability to model complex two phase flow will become very important for predicting severe accident consequences, which will lead to the development of better prevention and mitigation strategies for severe accidents in a nuclear power plant. However, the accuracy of the CFD will be also bound by the physical models implemented in the code and universal physical models that can handle various flow conditions are not successfully developed yet. In this project, in order to improve the prediction accuracy of general two phase flow, a machine learning technique will be applied to 3D CFD to explore potential of the technique for developing a universal physical model. By improving the modeling capability of the CFD code for severe accident simulation, the nuclear power plant safety can be improved by providing more accurate information under highly uncertain situation which can lead to devising better strategy for preventing and mitigating the consequences of severe accidents.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develop fundamental technology for CFD two-phase flow model for the analysis of severe accidents. (source : 1. Research Purpose 4p)
    • 연구책임자 : 이정익
    • 주관연구기관 : 한국과학기술원
    • 발행년도 : 20211200
    • Keyword :
  • 11725

    2021.11.30

    1. Research Purpose UAE launched UAE 2050 Energy Strategy which include clean coal, natural gas, nuclear power, and renewable energy in UAE’s energy mix. Since more than 90% of electricity generated by natural gas in UAE, the strategy sets a goal to reduce the large consumption of domestic natural gas. Moreover, focus of UAE government moves towards clean and low-carbon energy sources. As a result, the announced targeted energy mix of 2050 includes 44% renewable, 38% natural gas, 12% clean coal and 6% nuclear power. However, the reduced portion of natural gas generation mostly occupied by renewable energy, not nuclear power. The experts of the energy industry pointed out that gradual increase of overall nuclear power cost both including economics cost and potential risk of plant operation makes the governor of UAE lean towards renewable energy. Thus, this study set an objective to enhance economic feasibility of nuclear power plants for successful boost of nuclear power in UAE. (source : 1. Research Purpose 3p)
    • 연구책임자 : 정용훈
    • 주관연구기관 : 한국과학기술원
    • 발행년도 : 20211200
    • Keyword :
  • 11724

    2020.12.31

    본 과제는 원자/핵묙응 특성 Data 기술의 선진화를 통한 원자력 기묙기술 자립 및 국제 경쟁력/영향력 제고를 목표로 하며,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ㅇ 국제 원자/핵데이터 네트워크 구축 - IAEA의 핵묙응 실측자료 데이터베이스(EXFOR) 편집 및 광핵묙응 데이터 개량 연구(CRP) 완수 - OECD/NEA의 평가핵데이터 파일 JEFF-3.3 개량 국제 공동 연구 참여 - LANL과 협력 연구를 통한 평가핵데이터 파일 ENDF/B-VIII.0 개량 ㅇ 핵묙응 Data 평가 및 기술 개발 - 주요 악티나이드 (우라늄 10종, 플루토늄 5종) 핵데이터 평가 - 의료, 핵폐기물, 차폐 관련 핵종 포함 15종의 광핵묙응 데이터 생산 ㅇ 후행핵주기 R&D용 핵데이터 및 열중성자 산란 데이터 검증 - 후행핵주기 R&D용 핵데이터 분석 및 KAERI 생산 우라늄, 플루토늄 핵데이터 검증 - 핵분열생성물 수율(10종) 및 붕괴(20종) 데이터, 분자동역학 기묙 열중성자산란데이터 생산/검증 ㅇ 정밀 원자 플라즈마 묙응 데이터 생산 평가 체계 구축 - 고밀도 플라즈마 발생장치 및 고분해능 분광 측정시스템 구축 - Ar, He 충돌복사 분광모델 개발 및 원자묙응 데이터 평가 방법 확립 ㅇ 국내 시설을 이용한 핵묙응 측정 - 경주 양성자가속기를 이용한 구조재의 양성자 유도 핵묙응 측정 (Cu, Ni, Fe) - 양성자 기묙 중성자 방사화 단면적 측정 현황 분석 및 측정 장비 제작 (출처 : 서지정보양식 239p)
    • 연구책임자 : 김도헌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연구원
    • 발행년도 : 20210100
    • Keyword : 1. 핵묙응;원자/핵데이터 평가;핵데이터 처리 및 검증;핵데이터 측정; 2. Nuclear reaction;Atomic and nuclear data evaluation;Nuclear data processing and validation;Nuclear data measurement;
  • 11723

    2020.12.31

    본 과제는 KAERI nTOF용 초전도 전자가속기 정상화를 위하여, 전자총 수리 완료 및 2 MeV 상전도 전자가속기 최적화 통한 2 MeV - 292.3 ㎂ 전자빔 발생성공 , 노후 제어시스템의 EPICS 업그레이드, 전자빔 가속 효율 및 빔 안정성 향상을 위한 빔라인 재배치 및 고주파피드백시스템 제작 및 성능점검, 제어/전원용 케이블 및 PC 제어스시템 교체 및 업그레이드 등 1단계에 계획한 모든 연구 내용들을 달성하였다. 또한, 20 MeV 초전도 전자가속기 정상화 연구 결과, 2009년 화재 사고 이후 헬륨 공급이 중단된 초전도 가속관이 동작 가능함을 확인하였으며, 더불어 초전도 가속기용 고주파 발생장치인 RFG 1, 2의 안정적인 고주파 출력이 발생함을 확인함으로써, 액체헬륨냉각장치 수리 시 20 MeV 전자빔을 이용한 nTOF 시설 정상화가 완료될 수 있음을 검증하였다. 본 주요사업을 통해 차세대 방사광가속기를 구성하는 저장링, 부스터링, 3rd Harmonic Cavity, 입사기 등 핵심장비에 대한 설계 연구와 빔불안정성 연구를 진행하는 등 지속적인 기본설계 종합연구를 진행하였으며, 관련 결과를 방사광가속기 구축을 위한 예타기획에 활용되는 등 꾸준히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4세대 다목적 방사광가속기 구축 연구는 2019 년~2020년을 거쳐 충북도 및 전남도 방사광가속기 유치 및 방사광가속기 구축 기본설계에 중요자료로 반영되었으며, 내년부터 시작되는 공학설계 및 테스트 시설 구축에 연속적으로 참여하여 과제 수주 및 연구성과 도출을 계속적으로 수행해나갈 것으로 기대한다. (출처 : 서지정보양식 127p)
    • 연구책임자 : 김유종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연구원
    • 발행년도 : 20210100
    • Keyword : 1. 전자;가속기;방사광;응용; 2. Electron;Accelerator;Synchrotron;Application;
  • 11722

    2021.11.30

    □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 최종 목표 ○ 텍스트 기반 공개출처정보를 활용한 분석 플랫폼 ○ 전체 내용 ○ 본 과제는 텍스트 기반의 공개출처정보를 활용하여 북한의 핵활동을 상시 감시할 수 있는 핵활동 분석 플랫폼을 개발하고 이를 토대로 북한의 미신고 핵활동을 적시에 탐지할 수 있는 국가 능력을 배양함을 최종목표로 함. 북한의 비핵화 과정에서 과거 핵활동의 이력과 핵물질 및 핵시설의 존재 여부 등 북한이 제공하는 정보의 일치성과 완전성을 검증함을 그 목적으로 하며, 이를 위하여 제1단계(2019-2022년)에서는 ‘텍스트 기반의 공개출처정보를 활용한 핵활동 분석시스템’을 개발하였음. ○ 1단계 □ 목표 ○ 텍스트 기반의 공개출처정보를 활용하여 북한의 핵활동을 상시 감시할 수 있는 핵활동 분석 플랫폼을 개발하고 이를 토대로 북한의 미신고 핵활동을 적시에 탐지할 수 있는 국가 능력을 배양함. 일차적으로는 비핵화 과정에서 과거 핵활동의 이력과 핵물질 및 핵시설의 존재 여부 등 북한이 제공하는 정보의 일치성과 완전성을 검증하는 데 활용하고, 더 나아가 향후 북한의 핵활동 관련 연구 및 정책 수립 · 이행을 위한 기본정책도구로 활용하고자 함. □ 내용 ○ 본 과제는 텍스트 기반의 공개정보를 활용하여 북한의 핵활동 이력과 핵물질 및 핵시설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전문가의 분석과 평가를 통해 유용하게 사용가능한 정보로 가공하는 등 북한의 핵활동을 상시 감시할 수 있는 공개출처정보 기반의 핵활동 분석 플랫폼을 개발함을 최종목표로 함. 이를 위하여 연차별로 다음의 연구를 수행하였음. ■ 텍스트 기반 공개출처정보를 활용한 핵활동 분석 플랫폼 설계 - 기존의 공개출처정보 기반 핵활동 분석 사례 조사·분석 - 미신고 핵활동 탐지를 위한 정보수집 범위 설정 및 방법 도출 - 미신고 핵활동 탐지를 위한 핵활동 분석 플랫폼 구축전략 수립 ■ 텍스트 기반 공개출처정보를 활용한 핵활동 분석 플랫폼 개발 - 공개출처정보 기반 미신고 핵활동 분석 알고리즘 개발 - 공개출처정보 기반 미신고 핵활동 분석 프로그램 개발 - 공개출처정보 기반 미신고 핵활동 분석 플랫폼 개발 ■ 텍스트 기반 공개출처정보를 활용한 핵활동 분석 플랫폼 검증 - 공개출처정보 기반 미신고 핵활동 분석 플랫폼 검증 - 공개출처정보 기반 미신고 핵활동 분석 플랫폼 최적화 □ 연구개발성과 ○ 텍스트 기반 공개출처정보를 활용한 핵활동 분석 플랫폼 설계 - N-STAR 기술보고서(1건), 신규 고용창출(2건) ○ 텍스트 기반 공개출처정보를 활용한 핵활동 분석 플랫폼 개발 - N-STAR 기술보고서(1건), S/W 프로그램(2건) ○ 텍스트 기반 공개출처정보를 활용한 핵활동 분석 플랫폼 검증 - N-STAR 기술보고서(1건) □ 연구개발성과 활용계획 및 기대 효과 ○ 활용계획 - 북한의 비핵화 과정에서 과거 핵활동의 이력과 핵물질 및 핵시설의 존재 여부 등 북한이 제공하는 정보의 일치성과 완전성을 검증하는 데 활용 - 향후 북한의 핵활동 관련 연구를 수행하고 우리나라의 대북 정책을 수립 · 이행하는 데 기본 정책도구로 활용 ○ 기대효과 - 북한의 군사적 안보위협과 테러리즘에 대응하는 효과적인 사회안전망 구축을 통해 국가 안보에 기여하는 한편, 국민의 불안 해소 - 북한의 비핵화 과정에서 당사국으로서의 직접적 · 주도적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국제핵비확산 분야에서의 국가 위상 제고 (출처 :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권은하
    • 주관연구기관 : 미래전략컨설팅
    • 발행년도 : 20211200
    • Keyword : 1. 미신고 핵활동;공개출처정보;데이터 분석;텍스트 마이팅; 2. Undeclared Nuclear Activity;Open Source Intelligence;Data Analysis;Text Min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