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Report

All 12,381 Page 64/1,239

검색
  • 11751

    2021.05.31

    비공개항목입니다.
    • 연구책임자 : 이태구
    • 주관연구기관 : 세명대학교
    • 발행년도 : 20210600
    • Keyword : 1. 핵 지하대피소;특수 재난;지하공간 리모델링;특수 방호구조;1급 대피시설; 2. Nuclear Underground Shelter;Urgent Disaster;Basement Remodelling;Special Protective Shelter;Level 1 Shelter;
  • 11750

    2021.01.31

    본 과제의 최종목표는 근계영역의 다중방벽에서 핵종의 장기 지화학거동 특성 평가 자료와 평가기술을 확보하는 것이다. 이를 달성하기 위하여 지하수와 광물의 물리화학적 특성 변화에 따른 핵종의 지화학적 거동을 평가하였고, KURT를 기반으로 한 처분장 폐쇄 후 초기 근계영역에서 용질의 지화학적 거동을 평가하였다. 근계영역에서 처분환경 변화에 따른 처분용기, 완충재, 그리고, 근계암반의 변질특성을 평가하고, 핵종과의 지화학반응에 대한 평가자료를 구축하여 사용후핵연료 심층처분의 안전성평가에 대한 불확실성을 저감하였다. 처분환경을 고려한 모의 사용후핵연료 용출특성 평가 분야에서는 사용후핵연료 매트릭스인 UO₂와 지하수의 반응특성을 평가하였으며, 지화학 인자의 영향을 고려할 수 있는 방사성핵종 조화유출선원항 모델을 개발하였다. 용기부식생성물의 핵종 반응 특성 평가 분야에서는 처분(환원)환경에서 용기부식생성물의 핵종 수착 능력이 탁월하며, 특히 요오드와 같은 고이동성 핵종들을 포획 및 결정화시켜서 이동의 지연효과가 있는 특이점이 있음을 발견하였다. 완충재의 핵종 반응 특성 평가 분야에서는 경주벤토나이트에 대한 광물 및 지화학적 특성분석을 종합분석하였으며, 압축벤토나이트의 공극수에 대한 화학적특성을 분석하였다. 지화학적 환경 변화에 따른 벤토나이트의 핵종 수착 특성을 분석하고, 핵종 이동 지연에 대한 지화학적 인자의 영향을 평가하였다. KURT 기반 용질거동 평가 분야에서는 산화환원환경 변화에 따른 처분환경 모사 고온/고압 하 근계영역 물-암석-핵종 반응 현장시험을 수행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근계영역에서 완충재 및 암반의 변질특성과 그에 따른 핵종의 이동/지연 특성을 평가하였다. 또한, 핵종의 지화학적 거동 예측을 위한 근계영역 지화학 진화모델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과제의 결과물들은 처분환경에서 핵종의 지화학적 거동을 예측하여 차분장의 장기 안전성에 대한 과학적 기술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출처 : 서지정보양식 203p)
    • 연구책임자 : 이재광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연구원
    • 발행년도 : 20210200
    • Keyword : 1. 근계영역;방사성핵종;지화학 거동;용기부식생성물;벤토나이트;수착;산화환원;이동;지연;진화;처분환경;사용후핵연료;지화학거동; 2. Near-field;Radionuclide;Geochemical behavior;Canister corrosion product;bentonite;Sorption;Redox;Evolution;Migration;Retardation;Spent nuclear fuel;Disposal environment;
  • 11749

    2021.05.31

    □ 연구개요 -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은 간 내 지방침작이 일어나는 만성적인 간 질환으로, 전 세계적으로 성인의 약 25%가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을 겪는 것으로 예측됨. 우리나라도 서구화된 식습관, 운동 부족, 생활양식의 변화, 비만 인구 증가 등의 요인으로 인해 유병률이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음. - 현재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의 치료는 체중 감소, 지방 축적 감소, 염증 완화 등에 의한 인슐린 저항성 감소 같은 치료가 주로 이루어지고 있음. 따라서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 치료를 위해 새로운 분자 기전 및 치료제 발굴 연구가 절실히 요구됨. - 최근 본 연구책임자는 Thrap3라는 단백질이 염증 유발 유전자 발현을 조절할수 있고, 간세포 및 대식세포에서 Thrap3가 결손된 마우스의 표현형을 관찰한 결과 대식세포의 활성화가 감소하고 지방조직 및 간 조직에서의 염증반응이 완화됨을 확인함. - 따라서 본 연구는 Thrap3 결손 마우스 연구를 통해 Thrap3가 간세포의 만성 염증반응을 조절하는 구체적인 분자 기전을 연구하고 이를 바탕으로 지방간 발병에 있어 Thrap3의 생리적 기능을 규명함으로써 생체에너지 대사제어 기술구축을 최종 목표로 함. 목표 1. Thrap3에 의한 간세포 염증 조절 분자 기전 규명 목표 2. Thrap3 조절을 통한 에너지 대사 제어 및 항상성 복원 기술 구축 □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 연구개발내용 1: Thrap3에 의한 간세포 염증 조절 기전 규명 - 간세포 특이적 Thrap3 결핍 마우스를 활용하여 비알코올성 지방간에서 Thrap3의 역할에 대하 분석을 RNA-seq과 ATAC-seq을 통해 진행하였으며 인슐린 신호와 면역반응에 관련된 유전자의 발현 변화 그리고 RNA를 조절하는 인자의 발현 변화를 통해 이러한 작용을 나타냄을 확인하고 또한 에너지 대사에 중요한 AMPK 신호 경로와 autophagy 관련 유전자 발현 변화를 통해 실제 에너지 대사를 변화시킴을 확인함 ■ 연구개발내용 2: Thrap3의 선택적 발현 조절을 통한 에너지대사 제어 및 항상성 복원 기술 구축 - miR-20b가 비알코올성 지방간을 유도 할 수 있음을 확인하고 anti-miR-20b가 비알코올서 지방간을 개선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음. miR-20b가 nuclear receptor 조절을 통해 이러한 영향을 나타냄을 규명하고 있으며 논문으로 발표 준비하고 있음. - 에너지대사 제어 및 항상성 복원 물질을 찾기 위한 스크리닝 진행 결과 Vernicia fordii 추출물 VF5가 인슐린 분비 향상을 통해 항상성을 복원 할 수 있음을 확인하고 이를 실제 마우스 모델에서 검증하여 논문을 발표함 □ 연구개발성과의 활용 계획 및 기대효과 (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 기술적 측면 - 본 연구 결과를 통해서 Thrap3에 의한 새로운 염증 조절 기전을 제시할 수 있으며 에너지 대사 조절 기전을 제시 할 수 있음 또한 이를 통해 지방간 및 당뇨병과 같은 대사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새로운 방법을 개발하여 기존 대사질환 치료제의 한계를 극복할 수 가능성을 제시해 줄 것임 - RNA 조절과 염증, autophagy 등과 같은 에너지 대사 과정에서 Thrap3라는 새로운 연결 고리를 제시함으로써 기존의 연구에서 주목하지 못했던 새로운 생체 조절 기전을 찾을 수 있는 단서를 제공 할 것이며 이러한 과정을 조절 할수 있는 새로운 물질을 탐색함으로써 기존과는 다른 방식의 치료제 개발이 가능할 것임. - 본 연구를 통해 발굴한 비알코올성 지방간을 유도하는 miR-20b와 지방간 개선 효과를 지니는 anti-miR-20b는 비알코올성 지방간을 연구라고 새로운 치료제를 개발하는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할 것임. miR-20b에 의해 nuclear receptor들이 특이적으로 조절된다는 연구 결과를 얻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새로운 지방간 발병 기전을 제시 할 수 있을 것임. 이는 비알코올성 지방간의 발병과 진행에 miRNA가 중요함을 강조해 주는 결과로써 이 분야의 연구를 촉진 하게 될 것임. - 본 연구 결과 새롭게 발굴한 인슐린 분비 촉진 물질을 바탕으로 비만 당뇨와 같은 대사성 치료제 개발뿐만 아니라 새로운 조절 기전을 확인하기 위한 단초를 제공할 것임. - 본 연구의 최종 결과를 통해 얻어진 치료 선도 물질을 기반으로 국내외 산업체 및 제약회사와의 긴밀한 소통 및 후속연구를 통해 새로운 비알코올성 지방간 치료 물질을 발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됨. ■ 경제, 산업적 측면 - 비알코올성 지방간은 급격한 증가 추세임. 글로벌 지방간, 간경화 치료시장은 2020년 50~80억 달러로 예상됨. 향후 10년 이내에 그 규모는 5~6배 이상 급증할 것으로 예측됨. - 한국인의 비알코올성 지방간의 유병률은 25%이지만, 당뇨병 환자의 비알코올성 지방간 유병률은 이보다 훨씬 높은 50~70% 정도임. 비알코올성 지방간은 탐지와 진단이 어렵고 FDA 승인된 치료제가 거의 없음. 따라서 본 과제의 결과물인 anti-miR-20b와 VF5 등 신약 후보 물질은 엄청난 잠재력을 가지며 세계 신약 시장의 중요한 turning point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됨.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최장현
    • 주관연구기관 : 울산과학기술원
    • 발행년도 : 20210600
    • Keyword : 1. 대사질환;염증반응;에너지 항상성;비알코올성 지방간;유전자 발현; 2. Metabolic disease;Inflammatory responses;Energy homeostasis;Non-alcoholic fatty liver;Gene expression;
  • 11748

    2021.02.28

    □ 연구개요 본 과제는 고아핵수용체 (orphan nuclear receptor)인 Nur77의 중요한 기능인 항염증작용 (anti-inflammatory action)을 조절하는 새로운 기전을 규명하는 것임. 연구 개요는 다음과 같음. 첫째, Nur77에서 새로 규명한 인산화 잔기에 의한 염증조절기전을 규명하는 것임. 둘째, 염증반응에서 새로 규명한 Nur77 인산화를 조절하는 새로운 신호전달과정을 규명하는 것임. 셋째, Nur77에서 인산화와 단백질 안정성간의 상관성에 따른 항염증작용의 중요성을 파악하는 것임. 넷째, Nur77 단백질의 발현과 항염증작용에서 AMPK의 새로운 역할을 규명하는 것임. □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1. HeLa cell에서 TNFa 매개에 의한 염증반응에서 Nur77의 항염증작용을 IL-6 생성양을 확인하여 규명함. Nur77의 항염증작용 시험을 위하여 클로닝을 이용한 과발현 시스템, siRNA 방법을 이용한 knock-down 시스템 및 CRISPR/Cas9 방법을 이용한 knock-out 시스템을 확립함. 2. TNFa 수용체 반응에서 Nur77의 세린152 잔기가 인산화되는 것을 최초로 확인하였으며, TAK1-p38 MAPK pathway가 이들의 인산화를 조절하여 염증반응을 조절함. 3. TLR4 수용체 반응에서도 Nur77의 세린152 잔기가 TAK1-p38 MAPK 신호전달 과정에 의해 인산화되어 염증반응을 조절함. 4. Trim13은 Nur77의 유비퀴틴화를 촉진하여 분해를 촉진하였으며, 세린152가 인산화되면 유비퀴틴화와 분해는 더 가속됨. 5. OTUB1은 Nur77의 탈유비퀴틴화를 촉진하여 안정성을 유지하였으며, 세린152는 안정성에 관여하지만 세린351은 관여하지 않음. 6. TAK1은 AMPK의 인산화를 촉진하고, 인산화된 AMPK는 Nur77의 인산화를 유도하여 염증반응을 조절함. 특히 Nur77 단백질 발현을 증가시키는 과정에서 알파1subunit이 중요함. 7. Nur77 발현을 조절하는 AMPK의 역할은 TNFa 수용체와 IgE 수용체에서 상호 상반된 작용을 함. □ 연구발성과의 활용 계획 및 기대효과(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1. 항염증작용을 나타내는 Nur77 단백질에서 새로운 인산화 잔기를 규명하고, 이들의 작용기전을 밝힌 것은 염증치료제의 새로운 단백질 타겟을 확보한 것임. 2. Nur77에서 단백질의 인산화와 유비퀴틴화 사이의 상관성을 밝힌 것은 단백질의 복합적인 modification이 염증반응을 조절하는 핵심 과정임을 제시함. 3. 다양한 수용체의 매개로 발생하는 염증반응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TAK1과 AMPK의 중요성이 Nur77의 항염증반응에서도 핵심 역할을 한다는 정보를 얻음.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백석환
    • 주관연구기관 : 영남대학교
    • 발행년도 : 20210300
    • Keyword : 1. 고아핵수용체;인산화;유비퀴틴화; 2. orphan nuclear receptor;Nur77;phosphorylation;ubiquitination;AMPK;
  • 11747

    2021.02.28

    □ 연구개요 • 본 연구에서는 녹내장을 발생시키는 주요 원인인 안압 이상 현상을 조기에 진단하고, 녹내장 치료 시점을 정확하게 예측하기 위해 초음파 음향 방사력을 기반으로 안압을 측정하는 요소 기술을 개발함. 이를 위해 물질의 탄성을 측정할 수 있는 초음파 음향 방사력을 이용해서 안압을 측정할 수 있는 새로운 메커니즘을 제안하고, 선행 연구를 통해 확보한 분극 역전 기반 고성능 초음파 프로브 제작 기술과 분할 초점 초음파 프로브 제작 기술을 적용시켜 제안된 메커니즘의 성능 최적화를 통해 녹내장 진단 시 실시간으로 정확한 안압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함. □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 초음파 음향 방사력을 이용한 안압 측정 메커니즘 개발을 위해, 유한 요소 해석 시뮬레이션 및 실험을 통해 기전 연구를 진행한 결과, 초음파 음향 방사력으로 대상의 탄성 측정이 가능하다는 것을 확인함. 또한, 시스템의 복잡도를 낮추는 동시에 빔의 너비를 조절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프로브인 위상 제어 기술 기반 분할 초점 초음파 프로브를 제안하고 그 성능을 검증하여 메커니즘의 정확도를 향상시킴. 연구를 통해 측정한 안구 팬텀의 변위는 기존에 사용되는 상용 안압계 측정 결과와 높은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음. • 본 연구팀에서 선행 연구를 통해 축적한 분극역전 기술이 빔의 주파수 및 너비를 조절함으로써 더욱 정확한 안압 측정을 가능케 함을 확인함. 음향 방사력 증진을 위해 새로운 구조의 1-3형 압전 복합체를 적용한 분극역전 기술 기반 초음파 프로브를 제안하고 그 성능을 검증한 결과, 주파수 대역폭 및 감도를 높여 안압 측정 결과의 정확도가 증가함을 증명하였음. • 안압 측정 프로세스 제어 모듈 개발 위해 DAQ 보드 설치 및 LabVIEW 프로그램을 이용한 제어 코드 작성을 진행했으며, 성공적으로 구현되어 본 연구에서 진행된 실험 결과를 얻는 데에 활용됨. 또한, 펄스압축 신호처리 알고리즘을 개발 및 검증하여 음향 방사력의 최대전력 및 전달 깊이를 조절함으로써 각막까지 충분한 음향 방사력이 전달될 것이라는 가능성을 확인하였음. □ 연구발성과의 활용 계획 및 기대효과(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 안압의 정확한 측정은 녹내장의 조기 진단 및 치료 경과 관찰 과정에 매우 중요시됨. 기존 안압계의 경우, 환자가 눈을 뜬 상태에서 각막에 물리적 접촉 또는 압축된 공기를 통해 외력을 가하기 때문에 환자의 통증과 불편함을 야기하며 정확도 또한 낮아 정확도 향상을 위한 추가적인 과정이 불가피함. 초음파 음향 방사력은 인체에 무해하며 눈꺼풀과 같은 조직을 통과하여 충분한 힘을 발생시키므로 기존 안압계들이 가진 단점을 해결 가능함. • 본 연구개발 결과, 초음파 음향 방사력 기반 안압계가 기존 시장에 진출해 있는 안압계의 단점을 보완하는 동시에 고성능 및 높은 신뢰성을 갖는 새로운 안압 측정 의료기기로 사용될 수 있으며, 관련된 원천 기술 확보가 가능할 것임을 증명함.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정종섭
    • 주관연구기관 : 동국대학교
    • 발행년도 : 20210300
    • Keyword : 1. 초음파;음향 방사력;안압;분극 역전 기술;펄스압축; 2. Ultrasound;Acoustic Radiation Force;Intraocular Pressure;Polarization Inversion Technique;Pulse Compression;
  • 11746

    2021.05.31

    ▣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 최종 목표 지방세포 또는 기질혈관분획의 주입을 통하여 방사선에 의해 만성적으로 손상된 피부의 회복을 확인하고 지방조직에 포함되어 있는 줄기세포의 분화와 관련된 기전을 규명한다. ■ 전체 내용 □ 방사선에 의한 만성피부손상이 지방이식에 의한 회복과 그 기전을 확인 □ 방사선에 의한 만성피부손상이 기질혈관분획에 의한 회복과 그 기전을 확인 ▣ 연구개발성과 방사선유도 만성피부손상은 지방이식 또는 기질혈관분획의 주입으로 회복될 수 있다. ▣ 연구개발성과 활용계획 및 기대 효과 □ 임상적으로 방사선을 조사한 부위에 지방이식과 기질혈관분획을 주입하는 것은 법적인 제약 없이 가능하기 때문에, 본 연구의 가설을 입증한다면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연구를 계획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 할 수 있음 □ 방사선 피부손상의 합병증을 치료할 수 있으며, 예방적인 접근도 기대할 수 □ 방사선 부작용의 경감은 방사선 조사선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기 때문에 부수적으로 종양에 대한 치료계수를 향상시킴 □ 줄기세포의 분화능을 임상적으로 이용하는 사례가 될 경우 재생의학적인 impact가 클 것으로 예상됨 □ 개발된 기술들을 바탕으로 지적 재산권화 가능 □ 최근 관심이 높은 세포치료제 개발 시 참고가 될 수 있음 □ 방사선에 따른 부작용을 감소시키는 예방 및 치료는 장기적으로 국가의료비지출의 감소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됨 (출처 :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이동원
    • 주관연구기관 : 연세대학교
    • 발행년도 : 20210600
    • Keyword : 1. 방사선;지방;기질혈관분획;만성피부손상; 2. Radiation;Fat;Stromal Vascular Fraction;Chronic Dermatitis;
  • 11745

    2020.12.31

    ▢ 세포주 및 동물모델을 이용하여 저선량 및 저선량률 방사선에 의한 생체 영향 확인 및 기전 연구 수행 ○ 저선량률 chronic exposure (3.4mGy/h)그룹이 고선량률 조사 (50.9Gy/h) 그룹보다 정자의 생성 및 기형률에 더 많은 피해를 준다는 사실을 확인함 ○ 생쥐 소장에서 저선량 방사선에 의해 발현이 유도되는 G6PC2와 MUC6가 저선량 방사선 (100mGy 이하) 특이적으로 발현이 유도됨을 확인함 ○ 저선량 방사선 생체 영향 연구를 위해, extracellular vesicle의 분리 조건 및 검증조건을 확립함 (출처 : 요약서 3p)
    • 연구책임자 : 이창근
    • 주관연구기관 : 동남권원자력의학원
    • 발행년도 : 20210100
    • Keyword : 1. 저선량 방사선;선량률;고환;세포바깥소포체; 2. low-dose radiation;dose-rate;testis;extracellular vesicles;
  • 11744

    2020.12.31

    방사선 관련 연구 개발 시 무작위적인 방사선 반응 연구로 인한 방사선 반응의 기초 원천 기술이 부재한 상태에서 융합연구를 추진함으로써 기술 발전에 한계를 보이고 있다. 따라서 오믹스 기반 방사선 반응 식물 스트레스 피지옴을 탐색하고 활용기술을 확보함에 목적이 있다. 본 과제는 4개의 성과목표의 연구가 수행 되었다. 성과목표는 1. 방사선 유도 산화스트레스 단백질변형 연구 2.방사선 반응 DNA 손상 및 회복 조절기작 연구 3. 방사선 유도 식물 생리활성 대사체 합성 기작 및 이용 연구, 4. 방사선 반응식물 유용물질 발굴 및 방사선 분자변환을 통한 고도화 연구이다. 대표 연구 성과로는 1. DNA 손상반응 유전자 AGO2의 cis-element (CCACACC) 최초 규명 및 AGO2 유전자 cis-element에 결합하는 전사인자 ANAC78 규명, 2. 식물 DNA 손상반응 조절 신규 전사인자 NAC103기능 규명 및 식물 DDR의 크로마틴 리모델링과 후성유전학적 조절기작 리뷰 3. 동위원소 이용 신규 이소프렌 생합성 경로 규명, 4. 센티페드그라스 추출물을 이용한 항당뇨 바이오 소재 개발(국내 특허등록, 10-1797717)이 있다. (출처 : 서지정보양식 343p)
    • 연구책임자 : 이성범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연구원
    • 발행년도 : 20210100
    • Keyword : 1. 방사선 반응;스트레스;피지옴;단백질변형;식물 대사체;생리활성; 2. Radiation response;Stress;Physiome;Protein modification;Plant metabolites;Bioactivity;
  • 11743

    2020.12.31

    ○ 본 연구는 연구원의 장기적 발전에 기여할 혁신 R&D 도출 및 전략 제시를 위해 국가 원자력 R&D 정책의 수립을 지원하고, 연구원 新 연구개발 방향 제시 및 내부역량 강화를 위한 체제를 마련하였으며, 사회적 수용성 기반 원자력 R&D 환경 조성 연구를 수행하였음 ○ 국가 원자력 R&D 정책 수립 지원에 있어 제6차 원자력진흥종합계획 수립의 기본방향을 수립 ㆍ 보고하고 정부의 원자력 R&D 부문별 실행전략 수립을 지원하였음 ○ 이와 함께 정부 정책 변화 등 대외 환경변화를 적기 반영한 연구원의 신 연구개발 방향을 수립하였으며 연구원의 성과제고를 위한 기술메모(Technical Memo)를 기획 ㆍ 도입하여 과책 주도의 성과 관리 시스템을 구축하였음 ○ 또한, 사회적 수용성 기반의 원자력 R&D 환경을 조성하고자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 종합관리 전략 및 사용후 핵연료 발생지 반환 기반 구축 전략을 수립하였으며, 원자력 현안에 대한 전문적인 보고서(원자력 정책 브리프 리포트)를 작성 ㆍ 배포하였음 (출처 : 서지정보양식 171p)
    • 연구책임자 : 이종희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연구원
    • 발행년도 : 20210100
    • Keyword : 1. 원자력 R&D 정책;혁신 R&D;연구개발 전략;성과 제고;기술메모;사회적 수용성;원자력정책 브리프리포트; 2. Nuclear R&D Policy;Innovation R&D;R&D Strategy;Strengthen performance;Technical Memo;Public acceptance;Nuclear policy Brief Report;
  • 11742

    2020.12.31

    산업계에서 친환경 바이오소재의 수요는 갈수록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국내에서도 관련 분야 산업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산업소재용 신품종을 개발하는 연구를 진행하게 됨으로서 국내 종자산업 경쟁력을 강화시키고, 바이오 산업소재 기술 개발을 통한 국내 신산업 육성 기반을 조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이와 동시에 방사선 육종 연구 체계화를 위한 데이터베이스 구축 역시 목적으로 하여 본 과제를 진행하게 되었다. 성과목표 1. 『바이오소재용 유전자원 개발』 분야에서는 식물/미세조류/균이류에 대한 돌연변이 유전자원을 개발하여 소재 또는 bioremediation 쪽에서 유용 형질을 가진 우수 변이체를 선발하고, 이들 우수 형질에 연관된 분자 마커를 개발하고 돌연변이 매커니즘을 규명하는 작업을 수행하였다. 성과목표 2. 『방사선육종 유전자원 바이오소재 특성 분석 연구』 분야에서는 바이오소재 자원의 물성 평가와 유용물질 생산에 관련된 기초연구를 수행하였으며, 식물 및 미세조류 자원의 bioremediation의 효율성을 평가하는 기초연구도 수행하였다. 성과목표 3. 『유전자원 관리시스템 및 빅데이터 DB 구축』 분야에서는 작물별 신규 오믹스 데이터를 업데이트 하고 수집한 자료들을 표준화하였으며, QR코드를 이에 연동하여 방사선육종 빅데이터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다. 해당 과제의 결과물은 추후 방사선육종 신품종의 산업소재 활용을 위한 협력연구의 기반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추후 바이오 산업소재를 활용하는 신산업분야 발전과 방사선육종 자원 분양을 통한 농가의 소득증대 및 지역 특화 산업의 발전에도 기여하게 될 것이다. (출처 : 서지정보양식 147p)
    • 연구책임자 : 안준우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연구원
    • 발행년도 : 20210100
    • Keyword : 1. 바이오소재;산업소재;방사선육종;바이오리메디에이션;유전자원은행; 2. Biomass;Biomaterial for industry;Radiation Breeding;Bioremediation;Geneban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