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Report

All 12,392 Page 64/1,240

검색
  • 11762

    2020.12.31

    - 본 연구과제의 주요 취지는 우리나라 원자력 기술의 국제협력 활성화를 통하여 기술을 홍보하고 전문가의 네트워크를 강화함으로서 향후 기술수출, 전문가의 해외 진출 등에 간접 기여 하고자 함에 있음. - 본 연구과제를 통하여 2018년 5건, 2019년 4건, 2020년 1건 등 총 10건의 국제회의개최를 지원하였으며 일부 회의는 직접 참여 하여 회의 추진 내용을 모니터링 함. - 주요성과로는 RCA 회원국을 대상으로 한 국내 핵의학 기술 홍보, IAEA 회원국을 대상으로 한 국내 SMR 기술 홍보, IAEA Quanum 워크숍 유치를 통한 핵의학 진료 기술 홍보 등이 있음 (출처 : 보고서 요약서 3p)
    • 연구책임자 : 정홍화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협력재단
    • 발행년도 : 20210100
    • Keyword : 1. 국제협력;국제회의;국제원자력기구;네트워크;해외진출; 2. International Cooperation;International Conference;IAEA;Network;Overseas Expansion;
  • 11761

    2021.01.31

    ○ 딥러닝 프레임워크 및 빅데이터 프레임워크 구축 ○ GCP 기반 클라우드 인프라스트럭처 구축 ○ 방사선 환경 적합 IoT 커넥터 시작품 제작 ○ 바이오센서 최적화를 통한 혈액분리 바이오칩 정밀도 성능개선 ○ 압타머를 활용한 암 진단·치료용 비이오칩 시작품 제작 및 탑재용 후보물질 발굴 ○ 전기장 암 치료기 생물학적 유효성 평가 (출처 : 요약서 4p)
    • 연구책임자 : 정인수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의학원
    • 발행년도 : 20210200
    • Keyword : 1. 방사선의공학;플랫폼;IoT커넥터;바이오칩;바이오마커; 2. Radiation medical engineering;Platform;IoT connector;bio-chip;bio-marker;
  • 11760

    2020.12.31

    □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 최종 목표 핵의학분야 치료 시 일반인 피폭저감화를 위한 기준 개발 및 개선(안) 도출 ○ 전체 내용 ○ 국내 핵의학 분야 진단‧치료 실태 조사 • 국내 병원 핵의학과 환자의 사용핵종/사용량, 입원/퇴원 관리현황 조사‧분석 • 핵의학 치료 환자에 대한 안내서 및 이행현황 조사 • 환자 퇴원 후 일반인에 대한 피폭 가능성 평가 • RI 투여환자 사망 이후 처리 방법에 관한 사례 조사·분석 ○ RI 투여 환자에 의한 일반인 피폭 관련 주요인자 분석 • RI를 이용한 치료 후 퇴원 시까지 주요인자 조사‧분석 ○ 국내 핵의학 분야 진단 및 치료 시 피폭저감화 방안 제시 • 해외사례 비교‧분석을 통한 핵의학과의 환자 진료 전(全)과정 안내서 개선(안) 도출 • 환자 퇴원 후 일반인에 대한 선량제약치 제안 및 피폭저 감화 방안 도출 ○ RI 치료 환자에 대한 격리기준(안) 도출 • 핵종별 RI 투여량에 따른 환자 입원 기준(기간, 선량제약치 등) 제시 • 관련 고시 제‧개정(안) 제안 ○ RI 투여환자 가족의 피폭선량 측정 및 조우인자 산출 • RI 치료 병원 및 환자에 대한 현황 조사 • RI 치료환자와 가족에 대한 피폭 측정을 위한 병원 IRB 승인 • 가정에서 RI 치료환자에 의한 피폭 선량 측정 • 피폭 선량 측정결과 분석 • RI 투여환자를 간병하는 가족에 대한 조우인자 산출 ○ 전신 유효반감기 및 환자 선량률계수 산출 • 치료용 방사성의약품에 대한 자료 조사 • 방사성 핵종별 생체동력학 모델에 대한 자료 조사 • 방사성 핵종별 인체 내 분포 계산 • 방사성 핵종별 전신 유효반감기 산출 • MCNPX 전산 모사를 위한 인체 모형 모의체 및 선원항 구현 • 방사성 핵종별 환자 선량률계수 산출 ○ RI 투여환자의 주위선량당량률 산출 및 RI 투여환자 가족의 피폭선량 평가 • RI 투여환자에 대한 주위선량당량률 산출을 위한 MCNPX 전산모사 • RI 투여환자의 주위선량당량률 예측식 도출 • RI 투여환자 가족의 총 피폭 선량 예측식 산출 • RI 투여환자 가족의 총 피폭 선량 계산 ○ 해당연도 목표 ○ RI 치료 환자에 대한 격리기준(안) 도출 내용 ○ RI 진료환자에 대한 입원 기준(안) 도출 • 핵종별 RI 투여량에 따른 환자 입원 기준(기간, 선량제약치 등) 제시 - 선량평가 시나리오 별 핵종별 입원기간 분석 - 간병인, 가족 등 환자 주변인에 대한 선량제약치 제고 - 시나리오별 입원기간 비교를 통한 선량제약치 결정 - 핵종 및 투여량 별 입원기간 계산 ○ 국내 핵의학 분야 진단 및 치료 시 피폭저감화 방안 제시 • RI투여환자 사망 이후 처리 최적방안 및 절차 제안 - RI 치료환자 사망 시 방호대책 관련 최신 국제동향 조사 - 환자사망 시 부검, 매장, 화장 등에 대한 해외 규제요건 조사 - RI 치료 시체 주변인의 피폭영향 및 규제요건 도출(협동과제 산출값 활용) • 관련 고시 제‧개정(안) 제안 - 선량제약치 상향에 따른 핵종별 투여량에 따른 격리 및 입원 기준에 관한 관계법령 및 고시 개정안 제시 - RI 치료환자 사망 관련 방호대책 수립 및 규제요건(시신처리 기준)에 관한 관계법령 및 고시 개정안 제시 등 ○ RI 투여환자의 주위선량당량률 산출 및 RI 투여환자 가족의 피폭선량 평가 • RI 투여환자에 대한 주위선량당량률 산출을 위한 MCNPX 전산 모사 • RI 투여환자의 주위선량당량률 예측식 도출 • RI 투여환자 가족의 총 피폭 선량 예측식 산출 • RI 투여환자 가족의 총 피폭 선량 계산 □ 연구개발성과 ○ 안전기술보고서 제출: 7건 ○ 논문(비SCIE) 게재: 3건 ○ 논문(SCIE) 게재: 1건 ○ 학술발표: 7건 ○ 전문연구인력 양성: 1건 (박사) ○ 포상 및 수상 실적: 1건 □ 연구개발성과 활용계획 및 기대 효과 ○ 핵의학 진료에서 환자의 RI 투여량과 환자격리기간에 따른 주변인의 개인유효선량당량 예측값과 이에 따른 격리(입원) 기간을 도출하는데 활용 가능 ○ RI 투여환자로 인한 주변인의 피폭선량 평가 결과는 의료분야의 방사선안전관리에 대한 국내의 기준 정립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여 국가방사선방호 정책결정에 기여 ○ [기술적 측면]핵의학과 환자의 진료 전(全) 과정에 대한 안내서 및 환자 퇴원후 간병인, 가족, 일반인에 대한 선량제약치 등 제시를 통해 피폭저감 효과 달성. 또한, 의료기관은 신뢰도 기반의 입원과 격리 기간 결정 및 방사선방호의 최적화(ALARA) 달성 가능 ○ [경제적 ․ 산업적 측면] 한국 문화 특성과 최신 국제권고를 접목해 최적의 입원/격리 기간을 제시, 일반인 피폭저감을 위한 기준을 개발함으로써, 진료계획 수립과 방사선안전관리에 유용하게 활용 가능하다. ○ [사회적 측면] 병원의 RI 치료에 의한 방사선 피폭관리가 보다 정확한 선량 평가에 근거해서 진행되며, 의료진, 환자 가족의 안전을 동시에 확보함으로써 RI치료에 대한 국민 신뢰도 증진 (출처 :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이지연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
    • 발행년도 : 20210100
    • Keyword : 1. RI 치료;선량평가;선량저감화;환자선량률;핵의학 치료환자; 2. RI therapy;Dose assessment;Dose reduction;Patient dose rate;Nuclear medicine patient;
  • 11759

    2021.02.28

    □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 최종 목표 사이버공격에 의한 원전사고 예방을 위한 핵심디지털자산 분석 및 보안평가를 통한 핵심디지털자산 사이버보안 규제방안 마련 ○ 전체 내용 - 원전 디지털자산과 원전사고 연계성 분석 - 핵심디지털자산 식별을 위한 방법론 개발 - 전출력/정지/저출력 내부사건 리스크평가 및 디지털연계 분석을 통해 관련 디지털자산안 식별 - 핵심디지털자산 식별(안) 검증 - 핵심디지털자산 사이버보안 평가방안 및 보안요건 연구 - 핵심디지털자산 보안평가 수행 - 핵심디지털자산 식별 및 사이버보안 기술기준안 개발 - 관련 심·검사 지침안 개발 및 연구결과 정책제안 ○ 1단계 목표 - 사이버공격에 의한 원전사고 예방을 위한 핵심디지털자산 분석 내용 - 원전 디지털자산과 원전사고 연계성 분석 - 핵심디지털자산 식별을 위한 방법론 개발 - 전출력/정지/저출력 내부사건 리스크평가 및 디지털연계 분석을 통해 관련 디지털자산안 식별 ○ 2단계 목표 - 핵심디지털자산 보안평가를 통한 사이버보안 규제방안 마련 내용 - 핵심디지털자산 식별(안) 검증 - 핵심디지털자산 사이버보안 평가방안 및 보안요건 연구 - 핵심디지털자산 보안평가 수행 - 핵심디지털자산 식별 및 사이버보안 기술기준안 개발 - 관련 심·검사 지침안 개발 및 연구결과 정책제안 ○ 2016 목표 - 원전 사고관련 디지털자산 규제방법론 연구 내용 - 보안관련 원전사고규제 동향 및 원전 리스크평가 현황 분석 - 원전 디지털자산과 원전사고 연계성 분석 - 핵심디지털자산 식별을 위한 방법론 개발 - 사고연계 시스템의 보안성 분석환경 개발방안 연구 ○ 2017 목표 - 원전 전출력에 대한 핵심디지털자산 분석 및 보안평가방안 연구 내용 - 전출력 내부사건 리스크평가 및 디지털연계 분석 - 전출력에 대한 핵심디지털자산(안) 연구 및 식별 - 핵심디지털자산 보안 취약점 평가방법 및 항목 개발 ○ 2018 목표 - 원전 정지/저출력에 대한 핵심디지털자산 분석 및 보안평가 내용 - 정지/저출력 내부사건 리스크평가 및 디지털연계 분석 - 정지/저출력에 대한 핵심디지털자산(안) 연구 및 식별 - 핵심디지털자산 검증방안 연구 - 핵심디지털자산 사이버보안 취약점 분석 ○ 2019 목표 - 핵심디지털자산(안) 검증 및 사이버보안 평가방안 연구 내용 - 핵심디지털자산 식별(안) 검증 - 핵심디지털자산 식별을 위한 기술기준안 개발 - 핵심디지털자산 사이버보안 평가방안 및 보안요건 연구 ○ 2020 목표 - 핵심디지털자산 보안평가 및 규제지침안 개발 내용 - 핵심디지털자산 보안평가 수행 - 핵심디지털자산 사이버보안 기술기준안 개발 - 관련 심·검사 지침안 개발 및 연구결과 정책제안 □ 연구개발성과 □ 원전사고를 일으킬 수 있는 핵심디지털자산 식별 방법론 개발 - [국외학술발표 2건, 국내학술발표 2건, 안전기술보고서 1건] - [1차년도] 원전 리스크 평가 자료 분석 - [1차년도] 사이버공격에 의해 원전 사고를 일으킬 수 있는 디지털자산에 대한 식별 방법론 개발 □ 원전 사고연계 시스템의 사이버 보안성 분석 환경 개발 - [국외학술발표 2건, 안전기술보고서 1건] - [1차년도] 원전 사고연계 시스템의 사이버보안성 분석환경 개발방안 마련 - [2차년도] 핵심디지털자산 검증 방안 개발 □ 전출력 및 정지/저출력 핵심디지털자산(안) 도출 - [국외학술발표 2건, 국내학술발표 2건, 안전기술보고서 3건] - [2차년도] 전출력 내부사건 PSA 결과 분석 - [2차년도] 전출력 핵심디지털자산 식별 플랫폼 개발 - [3차년도] 정지/저출력 핵심디지털자산 발전소 운전상태(POS) 분석 - [3차년도] 정지/저출력 핵심디지털자산 식별 플랫폼 개발 - [3차년도] 핵심디지털자산 식별 플랫폼 검증 방안 마련 - [4차년도] 전출력, 정지/저출력 핵심디지털자산안에 대한 검증 □ 핵심디지털자산 사이버보안성 평가 연구 및 취약점 분석 - [국외학술발표 1건, 국내학술발표 4건, 국내논문게재 1건, 안전기술보고서 4건] - [2차년도] 전출력 핵심디지털자산에 대한 사이버 취약점 분석 - [3차년도] 정지/저출력 핵심디지털자산에 대한 사이버 취약점 분석 - [3차년도] 핵심디지털자산과 연계된 계통적 사이버 취약점 분석 - [3차년도] 핵심디지털자산 사이버 취약점에 대한 일반적 조치방안 마련 - [4차년도] 핵심디지털자산 사이버보안 요구사항 개발 - [4차년도] 핵심디지털자산 공격벡터 및 영향도 분석에 관한 연구 - [5차년도] 핵심디지털자산 보안성평가 방법론 및 디지털보호계통 적용 사례 □ 핵심디지털자산 사이버보안 규제기술 연구 - [국내학술발표 6건, 안전기술보고서 3건, 정책제안서 2건] - [3차년도] 핵심디지털자산 규제타당성 및 규제 고려사항 분석 - [3차년도] 국내외 사이버보안 규제 지침 분석 - [3차년도] 핵심디지털자산 규제 방안 제시 - [5차년도] 핵심디지털자산 식별 기술기준안 개발 및 정책제안 - [5차년도] 사이버보안 심사지침 개선안 개발 - [5차년도] 사이버보안 검사를 위한 세부지침안 개발 및 정책제안 □ 연구개발성과 활용계획 및 기대 효과 - 원전사고를 유발할 수 있는 사이버공격에 대한 보안대책 제시를 통해 최신 사이버공격에 대한 근본적인 방어 체계 수립 - 국산화 원전노형에 대한 사이버보안 안전규제제도 효율화 및 체계화를 통한 국가 위상 제고 - 국제 핵안보에 큰 위협인 사이버위협에 대한 효과적 규제시스템 개발을 통해 국제 사이버보안 규제분야 선도 (출처 : 요약문 6p)
    • 연구책임자 : 권국희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통제기술원
    • 발행년도 : 20210300
    • Keyword : 1. 사이버보안;핵심디지털자산;보안성 평가;리스크 평가;규제 요건; 2. Cyber Security;Vital Digital Asset;Cyber Security Assessment;Risk Assessment;Regulatory Criteria;
  • 11758

    2020.12.31

    Ⅳ. 운영결과 ❍ 2020년에는 원자력 수출입통제 이행과 관련하여 전문판정 2,880건, 수출허가 65건 및 핵물질수출입승인 217건 등에 대한 심사를 기술적으로 지원하였다. ❍ 전문판정 업무 위탁에 따른 관련 규정을 반영하고, 세부기준을 명료화하기 위해 전문판정 지침서 및 절차서를 개정하였다. 핵물질 수출입요건확인 지침서를 개정하여 업무의 효율성 및 전문성을 제고하였다. ❍ 국가별 원자력협력협정 이행 DB를 구축하고, 국내 협정대상품목 보유기관에 대한 관리체계를 수립하였다. 또한, 선진 수출통제 선도국의 법령 및 제도를 분석하여 벤치마킹 대상을 선정하고, 국내 제도화 방안을 마련하였다. ❍ UAE BNPP 수출 사업 내 수출허가 위반 사업자에 대한 현장점검, 교육명령 등의 후속조치를 수립하여 실시하였다. UAE OSSA 사업자를 대상으로 현장검사 방안을 수립하고, 수출통제 이행현황을 확인하였다. ❍ 판정오류 및 규제당국과 피규제 간 오해발생 소지를 최소화하고 시스템 이용 편의성을 증진하기 위해 전자정부표준프레임워크를 도입하여 원력수출입통제시스템(NEPS)을 재구축하였다. ❍ 원자력 관련 전시회 2회, 설명회 13회, 홍보물 배포1회, 홍보물 발간‧배포 2회 등 총 17회의 아웃리치 이행을 통해 수출통제 제도에 대한 국내 원자력 산‧학‧연의 인식 및 이해도를 제고하였다. ❍ NSG 비대면 브리핑 회의에 참석하여 주요 NSG 현안 및 차기 회의에서 결정되어야 하는 사안을 보고받았으며, 아국의 관심 현안에 대응하였다. ❍ APR1400 MMIS 세미나, 일본 수출규제 세미나 등 원자력 및 무역정책 관련 세미나를 개최하여 원전 기술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대외적 현안에 따른 수출통제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출처 : 요약문 4p)
    • 연구책임자 : 양승효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통제기술원
    • 발행년도 : 20210100
    • Keyword : 1. 수출입통제;핵공급그룹;전문판정;수출허가;원자력수출입통제시스템; 2. Export Control;NSG;Classification;Export License;NEPS;
  • 11757

    2021.02.28

    연구개요 본 연구에서는 크러스레이트 화합물의 형성을 이용하여 합성가스의 주요 구성 성분(CO2, CO, H2)이 크러스레이트 화합물 내로 포집되는지 여부를 확인하며, 필요에 따라 주요 성분들의 분리/농축을 달성할 수 있도록 하며 이에 따른 합성가스 연료의 발열량 및 엔진 효율의 변화를 파악하는 것을 목표로 함. 이를 위하여 합성가스 주요 구성 성분들의 순수 상태 및 이들 성분이 다양한 조성으로 혼합된 2성분/3성분 혼합 가스로부터 크러스레이트 화합물 샘플을 형성하고 분광학적 분석을 통해 분석함으로써 크러스레이트 화합물 내로 포집되는 기체의 포집률과 이에 따른 혼합 가스로부터의 분리 효율을 정량적으로 분석하고자 함.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본 연구에서는 최초에 설정하였던 목표들을 모두 달성하였다. 우선적으로 합성가스를 구성하고 있는 순수물질들이 유기 크러스레이트를 형성하면서 그 내부에 포집되는지를 3가지 순수 가스인 일산화탄소(CO), 이산화탄소(CO2) 및 수소(H2)에 대해 확인하였고, 그 결과 CO와 CO2는 유기 크러스레이트를 형성하는 반응을 하며 내부로 포집되는 반면, H2는 반응이 일어나지 않고 포집도 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이어서 다양한 조성의 2성분 혼합가스인 (CO+CO2), (CO2+H2) 및 (CO+H2)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유기 크러스레이트 형성 실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H2는 포집이 되지 않기 때문에 (CO2+H2) 및 (CO+H2)의 혼합 가스에서는 조성에 관계없이 CO와 CO2만을 선택적으로 포집하는 것이 확인되었으며, 1-step으로 분리 공정을 설계할 수 있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반면, 두 가지 성분이 모두 포집되는 (CO+CO2) 혼합 가스의 경우에는 압력 및 온도 조건에 따라서 원하는 성분만을 선택적으로 분리/회수하는 것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3성분 혼합 기체에 대해서도 분광학적 분석 실험과 GC/EA를 사용한 정량 분석 실험을 수행함으로써 성분별 분리 거동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 3성분 혼합기체로부터 CO2의 선택적 분리는 낮은 압력(5~40 bar)을 사용하여 하이드로퀴논과 반응함으로써 1-step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CO만을 선택적으로 분리하기 위해서는 낮은 압력에서의 CO2 분리 후 높은 반응 압력(40~80 bar)을 사용하여 2-step으로 수행할 수 있다는 결과가 얻어졌다. H2는 반응 이후 최종적으로 분리되지 않은 채로 기상에 남게 된다. 40 mol% CO+40mol% H2+20 mol% CO2로 구성된 feed gas의 1 ton/day 공급에 따른 CO2의 포집 분리를 모사한 결과, CO2의 완전한 분리를 위해 필요한 하이드로퀴논의 양은 3,527 kg/day이며 이 경우 CO2가 완전히 제거됨으로써 합성가스의 발열량은 최초 대비 73.3% 증가하게 됨. 만일 CO2의 완전한 분리를 달성할 필요가 없거나 하이드로퀴논 반응물에 소모되는 비용을 줄이기 위해 이보다 적은 양을 사용할 경우, 500∼3000 kg/day의 사용량에 따라 재가스화 후 재활용을 하는 방식으로 운용할 수 있다고 판단됨. 연구발성과의 활용 계획 및 기대효과 (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확보된 분석 연구 자료는 추후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같은 기관과의 협의를 통하여 파일럿 플랜트 및 실제 플랜트 규모에서 사용되는 혼합연료 조성에 대해 적용함으로써 분리/회수 기술 적용시 발열량과 엔진효율 게산을 위한 기본 핵심 자료로 사용하며, 이에 필요한 실험 자료를 우선적으로 확보하고 이를 활용하여 발열량 및 분리 시 효율 향상을 파악하는 데에 주력할 예정이다. 향후 이러한 연구를 통하여 공정의 scale-up이나 공정조건에 따른 효율 개선 작업에 필요할 경우, 추가 연구를 통하여 필요한 핵심 자료를 함께 제공함으로써 우수한 연구 성과 도출을 위해 지속적으로 사용될 예정에 있다. 분석 연구를 통해 얻어진 합성가스의 성분별 분리/정제 및 그 불순물 제거에 대한 실험 결과는 관련 분야에서 중요성을 갖는 우수한 연구 성과이므로 앞으로도 다수의 논문 발표를 통하여 성과를 국내외에 지속적으로 알릴 예정임. (출처 :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이종원
    • 주관연구기관 : 공주대학교
    • 발행년도 : 20210300
    • Keyword : 1. 합성가스;크러스레이트;수소;분리;하이드로퀴논; 2. syngas;clathrate;hydrogen;separation;hydroquinone;
  • 11756

    2021.01.31

    □ 연구의 목적 및 내용 분류체계와 명명체계가 혼란스러운 산형과 식물 중 약용가치가 우수한 약용작물에 대한 유전체/대사체 정보기반 명확한 분류체계 정립 및 대규모 종판별 기술을 확립하고 우리나라 고유자원식물인 식방풍의 작물로서의 개발을 위해 우수 계통을 육성하고 유전체/대사체 기반 분자육종 기반을 구축하고자 하였다. □ 연구개발성과 1차년도에 생산한 산형과 20종에 신규 NGS 분석 데이터에서 나머지 15종에 대해 엽록체 유전체를 완성하였다. 기등록된 산형과 엽록체 유전체를 포함하여 유연관계도를 구축하였고, 종특이 변이지역을 다수 발굴하였다. 식방풍 수집자원들의 형질 조사를 통해 우수 계통(2년생 85계통, 1년생 84계통)을 선발, 재배 및 평가하였으며, 식방풍 인공자가수분 방법을 확립하였다. 엽록체 기반 마커를 이용하여 유전자원내의 다양성을 확인하였으며 10개 계통의 잎과 뿌리의 항염활성, 세포독성, 자외선 차단효과 정도의 다양성을 Bio assay 분석을 통해 비교분석하였다. 전사체 분석을 통해 대사물질 관련 후보유전자들의 발굴과 식방풍 핵내에 존재하는 유전자 추정 부위에서 다양성을 확인 할 수 있는 SNP기반 마커를 개발하였다. □ 연구개발성과의 활용계획 (기대효과) 산형과 식물들의 NGS 및 대사체 분석을 통해 보다 체계적인 산형과 종 분류 체계를 확립하고, SNP Chip을 이용한 대규모 종판별 원천 기술을 확보하고 기술 이전한다. 이는 한약재 및 건강기능식품, 나아가 천연물 의약품 원소재의 품질 관리에 소요되는 비용을 크게 절감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투명하고 신뢰할 수 있는 한약재 유통 체계 확립 기반 구축 및 소비자의 신뢰를 확보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다양한 식방풍 유전자원들에 대한 주요 질적/양적 형질 평가결과 및 유전적/대사체 다양성 분석은 향후 식방풍 우수 품종을 육성하는데 유용한 기초자료로 사용될 것이다. (출처 : 국문 요약문 4p)
    • 연구책임자 : 양태진
    • 주관연구기관 : 서울대학교
    • 발행년도 : 20210200
    • Keyword : 1. 산형과;대사체;식방풍; 2. Apiaceae;NGS;Metabolite;SNP chip;Peucedanum japonicum;
  • 11755

    2021.01.31

    □ 연구의 목적 및 내용 최종 목표 공진형 고출력 테라헤르츠 전자기파 시스템을 통해 DNA상의 메틸화 현상을 제어하고 이를 바탕으로 하는 암치료 기술을 개발 전체 내용 초고출력/광대역 테라헤르츠 기술은 다양한 응용분야에 사용될 수 있는 기초 전자기파 기술 - 테라헤르츠 광분자 암치료 기술은 전자기파에 의한 분자의 공진현상을 이용한 치료기술 - 기존의 항암제나 수술 요법과 다르게 부작용이 적고 암병변을 정상 세포로 회복시키는 새로운 형태의 암치료 기술 - 테라헤르츠 전자기파를 이용한 생명 제어 기술을 통해 차세대 전파 기술을 확립 1단계 (해당시 기재) 목표 - 테라헤르츠 원천기술 확보 및 기초 분광 연구 내용 - 고효율 테라헤르츠 신호 발생을 위한 기술 개발 - 광대역 테라헤르츠 시스템을 활용하여 DNA 분자단계에서 메틸화 공진신호 검출 및 제어 가능성 확인 2단계 (해당시 기재) 목표 - 테라헤르츠 기술의 응용 연구 내용 - 높은 신호대잡음비(SNR) 및 고효율 테라헤르츠 신호를 이용한 생체물질 분석 및 기능 제어 - 높은 SNR의 광대역 테라헤르츠 스펙트럼을 활용하여 암발생과 관련된 DNA메틸화의 분광 분석 및 공진 주파수 신호 검출 - DNA메틸화 공진 분광 신호 차이에 따른 암 종별 프로파일링화 - 고출력 선택 주파수 테라헤르츠 시스템을 이용하여 DNA 메틸화를 억제, 제어하는 기술을 확보 - 동물실험을 통해 임상 적용 가능성 확보 및 유해성 검사 □ 연구개발성과 □ 주요 기능(또는 규격) - DNA 메틸화 공진주파수 신호 기반 암 종 진단 기능 - 세포내 DNA 메틸화 현상 제어 기능 - DNA 탈메틸화를 통한 암 치료 기능 □ 주요 성능치 - 대역폭 : 15 THz 이상 - 펄스당 에너지 : 40  or 200 mW 이상 - 테라헤르츠파 적용 시간 : 수 분 이내 □ 핵심 기술 - 초광대역/고출력 테라헤르츠 발생, 검출 기술 (세계 Top 5위 내) - 전자기파를 이용한 DNA 기능 신호 제어 기술 (세계 최초) - 테라헤르츠 전자기파를 이용한 암 치료 기술 (세계 최초) □ 연구개발성과의 활용계획 (기대효과) □ 기초 학술적 측면 - 초고출력/광대역 테라헤르츠 전자기파 시스템은 기초 전자기파 연구의 발전을 가져올 것임. - 본 제안 기술은 테라헤르츠 응용영역을 다양한 분자제어 기술 영역으로 확장할 수 있음. - 기존에는 없던 암 치료 방식으로 의료계에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할 수 있음. □ 원천기술 확보 및 산업적 측면 - 테라헤르츠 원천기술을 선점할 수 있음. - 본 제안 과제의 암 치료 기술은 관련 의료기기 산업을 발전시킬 수 있음. □ 경제적 측면 - 상대적으로 낮은 금액으로 의료서비스를 제공시켜 암 치료에 사용되는 항암제 수입량을 줄이고 국가적인 외화 유출을 줄일 수 있음. - 암 치료시장 진입으로 국가경쟁력을 높이고 막대한 경제적 가치를 가질 것임. □ 인재양성 측면 - 본 연구를 통해 석, 박사과정 학생들의 전자기학 연구에 대한 이해력을 증진을 통해 여러 분야에 전문 인력으로서 국가 과학 경쟁력 향상에 크게 기여할 것임. □ 사회복지 측면 - 사회적 복지의 향상을 높일 수 있으며 의료비 감소로 많은 메디컬 푸어를 막아 국민 복지에 이바지 할 수 있음. (출처 : 요약문 4p)
    • 연구책임자 : 손주혁
    • 주관연구기관 : 서울시립대학교
    • 발행년도 : 20210200
    • Keyword : 1. 테라헤르츠;고출력;DNA 제어;DNA 메틸화 제거;암 치료 기술; 2. terahertz;high-power;DNA control;DNA demethylation;cancer therapy;
  • 11754

    2020.12.31

    IV. 운영결과 한국원자력통제기술원(Korea Institute of Nuclear Non-proliferation and Control, KINAC)은 본 과제를 수행하여 한국 내 미신고 핵활동이 존재하지 않음을 국제사회에 천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KINAC이 수행한 시료 채취, 사전검증, 정밀분석 및 평가하는 일련의 환경시료 프로그램 및 2020년 이행 결과를 제 2장에 기술하였다. 제 3장에서는 분석 역량 강화 및 분석 품질의 관리를 위하여 2020년 KINAC이 수행한 업무를 정리하였다. 품질관리 체계 구축을 위하여 위탁 정밀분석결과의 품질관리를 위한 우라늄 입자시료를 제작하는 최적 조건을 도출하였으며, 입자시료의 사전 제작을 진행하였다. 또한, 분석장비 및 작업자의 변화가 분석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으며, 신규 분석 장비에 대한 분석 절차서 제·개정을 수행하였다. 제 4장은 환경시료 프로그램 중 KINAC이 미 수행중인 분석 결과의 평가를 위한 인자 도출 관련 내용을 정리하였다. 시료를 채취 시설 및 분석법에 따라 분류하고, 분류된 기준에 따라 정량적 평가가 가능한 인자를 도출하였다. 제 5장은 2020년 KINAC이 환경시료 프로그램 운영을 위해 사용하는 실험실과 관련하여 수행한 업무를 정리하였다. (출처 : 요약문 4p)
    • 연구책임자 : 이한얼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통제기술원
    • 발행년도 : 20210100
    • Keyword : 1. 환경시료;시료분석;이차이온질량분석기;품질관리; 2. Environmental Sampling;Sample Analysis;Secondary Ion Mass Spectrosmetry;MMXRF;Quality Control;
  • 11753

    2021.05.31

    □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 최종 목표 의료 입자선의 4차원 상대적 생물학적 효과 예측을 위한 생물물리 모델 개발 ■ 전체 내용 ○ 임상적으로 유용한 입자선의 생물물리 모델 개발 ○ 3차원적 상대적 생물학적 효과비 계산을 위한 전산모사 프로그램 개발 ○ 상대적 생물학적 효과비 예측 값 정확도 향상 ○ 4차원적 상대적 생물학적 효과 예측 모델 및 중성자 선량 향상 모델 개발 □ 연구개발성과 ○ 임상적으로 유용한 입자선의 생물학적 효과 예측을 위한 생물물리 모델 적용 및 예측 ○ 3차원 상대적 생물학적 효과비 계산을 위한 전산모사 프로그램 개발 ○ 상대적 생물학적 효과비 예측도 향상을 위한 Cell 모델 개발 및 적용 ○ 4차원적 생물학적 효과 예측 모델 및 중성자 선량 향상 모델 개발 □ 연구개발성과 활용계획 및 기대 효과 ○ 개발된 생물학적효과 전산모사 프로그램은 치료계획시스템의 개발에 필요한 핵심 기술이 됨 ○ 입자선치료분야의 하드웨어 개발 및 치료계획시스템 개발에 사용될 수 있어 의 생물학적 효과를 예측하는 방법 정립할 수 있음 (출처 :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조일성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의학원
    • 발행년도 : 20210600
    • Keyword : 1. 방사선치료;입자선;상대적생물학적 효과비;생물물리학;생물학적 모델; 2. Radiation therapy;Particle beam;RBE;Biophysics;Biological mod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