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Report

All 12,447 Page 64/1,245

검색
  • 11817

    2020.12.31

    본 과제를 통해 다음의 업무를 수행하였다. ○ 중성자 산란장치 유지 및 보수 ○ 기반 시설(빔포트, 유도관 등) 및 중성자 공급 시스템 유지보수 ○ 방사선 안전 관리 체계 구축 본 과제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 중성자과학연구시설의 가동 상태 회복 및 안정적 운영 ○ 중성자산란장치의 핵심 부품의 안정적 운영 관리 및 최적화를 위한 장치 기술 개발 ○ 중성자빔 이용 기반 시설(빔포트, 유도관 등) 및 방사선 안전관리 시스템 운영 관리 (출처 : 서지정보양식 - 초록 117p)
    • 연구책임자 : 소지용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연구원
    • 발행년도 : 20210100
    • Keyword : 1. 중성자 산란 장치;중성자 과학 시설;시료환경 장치;방사선 안전;장치 기술; 2. Neutron scattering instrument;Neutron research facility;Sample environment;Radiation safety;Instrumentation technique;
  • 11816

    2020.12.31

    하나로에서 조사(照射)된 각종 핵연료 및 구조재료와 상용원자로에서 운전된 구조재의 핫셀시험을 하기 위한 공동이용 시험시설인 조사재시험시설을 운영하면서, 본 단계(2018년~2020년) 동안에 24개 과제 2,376건의 핫셀시험을 지원하였다. 또 시설의 안전운전을 위하여 운전설비의 정기/예방점검을 년간 1,665회 실시하였으며 노후시설 및 설비를 보수하여 시설설비의 가동률을 99% 이상 달성하였다. 그리고 자체적으로 14건의 시험기술 및 장비를 개발하였으며, 운전요원의 자질향상을 위한 지속적으로 외부교육을 실시하였으며 신규고객의 발굴을 위한 이용자 협의회도 개최하였다. 주요성과로는 월성 2호기 압력관 감시시험 기술수출사업을 수행하였으며, 정량적인 성과물로는 SCI 논문게재 6건, 학술대회 논문발표 21건 및 38건의 핫셀시험 보고서 및 도면을 생산하였다. 향후 국내 원자력산학연의 연구개발 사업에서 요구되는 각종 개발 핵연료 및 구조재료의 조사후시험, 상용원전 구조재의 운전 안전성 검증시험 등을 차질없이 수행할 수 있도록 각종 핫셀시험 장비 및 기술의 개발, 시설 유지보수 활동 등을 꾸준히 이어갈 계획이다. 본 보고서의 제 1장에서는 년차별 성과목표 달성도를 기술하였으며, 제2장에서는 조사재시험시설의 본연의 기능인 년차별 연구개발 내용 및 결과를 기술하였는데 원자력 구조재 및 하나로조사 핵연료에 대한 감시시험 등 각종시험지원 결과들이 포함하였고, 월성2호기 감시시험 등 기술개발도 기술하였다. 또 시설이용자들을 위한 지원내용 및 만족도향상 활동도 기술하였다. 제3장에서는 자체적으로 선정한 년차별로 우수 연구성과를 기술하였으며, 제4장에서는 단계 동안에 창출한 연구성과 및 활용실적을 요약하여 기술하였다. (출처 : 서지정보양식 - 초록 115p)
    • 연구책임자 : 진영관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연구원
    • 발행년도 : 20210100
    • Keyword : 1. 조사재시험시설;핫셀;핫셀시험;조사후시험;조사핵연료;조사재료;원자력시설;압력관 감시시험; 2. IMEF;Hot cell;Examination;PIE;Irradiated fuel;Irradiated material;Nuclear facility;Pressure tube;Surveillance examination;
  • 11815

    2020.12.31

    우리나라 INIS국가센터는 IAEA/INIS 사무국과의 상호협력 및 접촉창구로서 INIS 데이터베이스의 운영과 관련한 정책적, 기술적 협조를 하며, 국내 이용자에 대한 기술적 지원 및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INIS 데이터베이스는 회원국이 제공하는 INIS 입력 데이터를 수집하여 구축ㆍ활용하므로, 국내에서 간행되는 원자력관련 문헌을 수집하여 INIS 입력 기술규칙에 따라 입력 및 송부하였다. INIS 입력 결과물인 INIS Collection Search, INIS ATOMINDEX를 이용한 INIS SDI 서비스, 원문헌제공서비스 등을 제공하고 있다. INIS DB 이용을 활성화하고자 홍보활동을 전개하였다. INIS 입력량은 2018년 4,282건, 2019년 4,296건, 2020년 995건이다. 이용자에게 INIS DB에 대한 홍보와 SDI 서비스 이용자 확대를 통하여 국제원자력정보의 확산 및 생산성 향상에 기여하고 있다. 전자정보인프라 사업으로 연구논문, 연구보고서에 대한 원문DB를 구축하였다. Web DB 및 전자저널 등 디지털콘텐츠 정보자료를 수집하여 연구원들에게 서비스를 제공하였다. (출처 : 서지정보양식 - 초록 79p)
    • 연구책임자 : 이희원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연구원
    • 발행년도 : 20210100
    • Keyword : 1. 국제원자력정보시스템;데이터베이스 구축;정보인프라;맞춤형서비스;전자도서관;지식경영;연구노트;원자력정보 콘텐츠; 2. INIS;Database Construction;Information Infrastructure;SDI;Digital Library;Nuclear Information Contents;
  • 11814

    2021.01.31

    방사선의생명 연구의 체계적인 연구 환경과 실용화 시스템 확립을 위한 방사선반응제어기술은 방사선의학의 취약한 부분인 방사선생물자원 구축 및 방사선반응데이터 확보에 주력하고, 경쟁력있는 방사선치료저항성 신규 바이오마커 대량 발굴과 검증 연구를 강화하며, 이 기반을 통해 실용화 가능한 치료신약개발을 활성화하였음. 치료신약개발을 위하여 형광표지 단백질 기반 고속대량탐색 시스템(HTS), 3차원 배양 종양오가노이드모델 기반 HTS, 분비단백질 SEAP기반 등의 약물분석 시스템 확립을 통해 신규 타겟 표적의 first-in-class 물질 5종 이상 발굴, 검증 완료함. 또한 방사선민감물질을 개발하여 1건의 기술이전 완료함. 방사선에 의한 정상세포 손상을 억제할 수 있는 표적 발굴로는 혈관손상인자 타겟의 보호제 후보물질 2종과 피부세포 보호효과가 있는 물질 1종, 정상 폐 섬유세포 보호 후보물질 2종을 발굴하여 효능 평가 및 약물 최적화 과정을 거치며 신약 개발을 추진 중임. 방사선의생명 인프라 구축을 위하여 뇌암, 폐암, 유방암 세포주 및 환자 암세포를 대상으로 방사선 저항성 세포주를 제작하였고 검증된 세포주의 방사선저항성 바이오데이타를 확보하였음. 또한, 방사선저항성 종양줄기세포를 이용한 인체종양이식 마우스 동물모델(뇌암 orthotropic 모델)을 확립하여, 방사선저항성 종양 및 혈관 추적 모델을 구축하였고 이 동물모델을 이용한 방사선반응 측정 및 치료 약물 검색시스템 개발을 진행하였음. (출처 : 요약서 3p)
    • 연구책임자 : 김광석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의학원
    • 발행년도 : 20210200
    • Keyword : 1. 방사선치료;바이오마커;분자진단;방사선 신약;방사선민감;방사선보호; 2. radiotherapy;biomarker;molecular diagnosis;radiation medicine;radiosensitivity;radioprotectant;
  • 11813

    2021.10.31

    Ⅳ. 연구개발결과 ○ 테스트 합금(ZX11, ZW11, SEN1/2/3)의 변형조직 및 재결정 조직의 EBSD 분석 수행 - 압연 및 열처리 공정에 따른 집합조직 변화 분석 ○ 중성자 회절을 이용한 변형 중 전위밀도 분석 - ZW11 합금에 대해 냉간압연 중 압하율에 따른 슬립계 활성화 분석 (출처 : 요약문 4p)
    • 연구책임자 : 김영민
    • 주관연구기관 : 한국재료연구원
    • 발행년도 : 20211100
    • Keyword : 1. 고성능 마그네슘 합금;실시간 회절시험;싱크로트론 방사광;전위;집합조직; 2. High performance magnesium alloys;In-situ diffraction;Synchrotron radiation;Dislocation;Texture;
  • 11812

    2021.05.31

    비공개항목입니다.
    • 연구책임자 : 박하영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연구원
    • 발행년도 : 20210600
    • Keyword : 1. 생체흡수율 증진;방사선;체내흡수저하모델;폴리페놀;소장흡수 메커니즘; 2. Absorption improvement;Radiation;Constructing absorption decline model;Polyphenols;Intestinal absorption mechanism;
  • 11811

    2021.11.30

    1. Research Purpose Both UAE and ROK are putting more emphasis on nuclear power plant safety. Traditionally, nuclear power plants were considered to be “safe” by meeting safety requirements under design basis accident scenarios (core non-metling cases). After the Fukushima accident, assessing nuclear power plant’s safety under various severe accident scenarios (core being severely damaged accidents) is becoming more and more important and it is becoming a new global norm of nuclear safety. Prediction, prevention and mitigation of severe accidents in a nuclear power plant are thus essential in both UAE and ROK nuclear industries. Since, complex two phase flow phenomena occur and govern the consequences under a severe accident, a conventional one-dimensional system analysis code used for design basis accident analysis is facing a new challenge. This is because 1D system analysis code has a two phase flow modeling capability for limited number of geometrical configurations while severe accidents often involve more complex flow geometry and conditions. A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CFD) approach with full three dimensional (3D) capability to model complex two phase flow will become very important for predicting severe accident consequences, which will lead to the development of better prevention and mitigation strategies for severe accidents in a nuclear power plant. However, the accuracy of the CFD will be also bound by the physical models implemented in the code and universal physical models that can handle various flow conditions are not successfully developed yet. In this project, in order to improve the prediction accuracy of general two phase flow, a machine learning technique will be applied to 3D CFD to explore potential of the technique for developing a universal physical model. By improving the modeling capability of the CFD code for severe accident simulation, the nuclear power plant safety can be improved by providing more accurate information under highly uncertain situation which can lead to devising better strategy for preventing and mitigating the consequences of severe accidents.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develop fundamental technology for CFD two-phase flow model for the analysis of severe accidents. (source : 1. Research Purpose 4p)
    • 연구책임자 : 이정익
    • 주관연구기관 : 한국과학기술원
    • 발행년도 : 20211200
    • Keyword :
  • 11810

    2021.11.30

    1. Research Purpose UAE launched UAE 2050 Energy Strategy which include clean coal, natural gas, nuclear power, and renewable energy in UAE’s energy mix. Since more than 90% of electricity generated by natural gas in UAE, the strategy sets a goal to reduce the large consumption of domestic natural gas. Moreover, focus of UAE government moves towards clean and low-carbon energy sources. As a result, the announced targeted energy mix of 2050 includes 44% renewable, 38% natural gas, 12% clean coal and 6% nuclear power. However, the reduced portion of natural gas generation mostly occupied by renewable energy, not nuclear power. The experts of the energy industry pointed out that gradual increase of overall nuclear power cost both including economics cost and potential risk of plant operation makes the governor of UAE lean towards renewable energy. Thus, this study set an objective to enhance economic feasibility of nuclear power plants for successful boost of nuclear power in UAE. (source : 1. Research Purpose 3p)
    • 연구책임자 : 정용훈
    • 주관연구기관 : 한국과학기술원
    • 발행년도 : 20211200
    • Keyword :
  • 11809

    2021.06.30

    □ 연구개발 목표 방사능 치료, 화학요법 등과 같은 외부 자극으로 사멸된 암세포로부터 국소적으로 발생하는 캐스파제(caspase)-3로 인하여 암 조직에서만 선택적으로 활성화되는 특정 펩티드 서열(DEVD)을 플랫폼 기반 기술로 하여 지속형 유도형질 표적항암제를 개발함. 세포 및 동물실험을 통하여 국소 및 전이 암 조직에서의 치료효과 비교 후 저독성 및 지속성을 갖는 물질을 최종 선정하여 최적화 한 후, 전임상 완료 및 IND승인을 받는 것을 목표로 함. □ 연구개발 내용 ∙ 기존의 내인성 요인에 의존하는 암 항원 표적 항암치료의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해 외부 자극에 의해 암 조직에서 선택적으로 활성화 되는 펩티드 결합(DEVD)을 바탕으로 한 차세대 항암 치료 기술을 개발하고자 함. ∙ 1단계 연구를 통해서 다양한 후보물질들을 합성하고 그 치료효능의 유효성을 검증하여, 국소 암 대상으로 적용될 최종 약물 후보로써 (EMC-DEVD-S-DOX, MPD-1)을 선정함. ∙ 임상에 적용될 암 질환 선정, 임상프로토콜 확립 및 IND 승인 (1) 선정된 후보물질이 임상에서 적용될 암 질환 선정 (2) 선정된 암 질환을 대상으로 임상 프로토콜 확립 (3) 전이 암 대상의 물질은 국소 암 대상 물질과 병용요법의 프로토콜을 확립하며 최적화하여 전임상에 성공적으로 진입하고, 전임상시험 완료와 IND 승인을 목표로 함. □ 활용계획 및 기대효과(응용분야 및 활용범위 포함) ∙ 방사능 치료와 같은 외부 자극에 의해서 활성화 되는 특정 펩티드서열을 플랫폼으로 한 항암제의 개발은 현재까지 시도된 바가 없어 성공적으로 사업화 될 경우 표적항암치료의 새로운 플랫폼 기술을 제시한다는 측면에서 파급효과가 매우 클 것으로 기대됨. ∙ 기존의 표적항암치료의 경우 특정 암 항원을 표적화하는 내인성 요인에 의존하는 한계점이 있는 반면 본 기술의 경우 외부 자극에 의한 활성화를 이용하므로 종양이질성이나 복잡성과 같은 기존 표적형 항암제의 근본적 한계점을 극복할 수 있음. ∙ 기존 표적항암치료제와 차별되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함으로써 국내외적으로 경쟁력 있는 원천 기술을 확보하고 국내 바이오제약 시장에는 새로운 가치의 성장 동력을 창출할 것으로 기대됨. (출처 :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김상윤
    • 주관연구기관 : 울산대학교
    • 발행년도 : 20210700
    • Keyword : 1. 유도형질;선택적 활성 항암제;방사선 치료;표적항암제;프로드러그;국소암;카스파제;지속형약물; 2. Induced phenotype;In situ activatable;Radiotherapy;Targeted therapy;prodrug;local tumor;caspase-3;long acting;
  • 11808

    2021.02.28

    ◎ BSRN 관측소 운영을 위한 기반 구축 - 국제 수준의 복사측소 운영을 위해 복사관측소 환경 및 장비 분석 수행 - 전천일사계/직달일사계/자외복사계/적외복사계 관측망 최적안 도출 - BSRN 가입을 위한 필수적인 환경과 장비 및 검교정 기술 확보 방안 제시 및 시범 사이트 운영 및 분석 ◎ 적외복사계 및 자외복사계 소급성 확보 - 적외복사계와 자외복사계를 국제 공긴교정 기관인 WRC (World Radiation Center)에서 검교정하여 국가 기준 장비 마련 - 기상청 현업 자외복사계와의 비교관측 수행 (출처 : 요약서 3p)
    • 연구책임자 : 이규태
    • 주관연구기관 : 원주대학교
    • 발행년도 : 20210300
    • Keyword : 1. 태양복사;적외복사;자외복사;복사관측망;국제복사관측 그룹; 2. Solar Radiation;Infrared Radiation;Ultraviolet Radiation;Radiation Observation Network;International Radiation Observation Grou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