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Report

All 12,381 Page 65/1,239

검색
  • 11741

    2020.12.31

    현행 조사처리식품 확인시험법들은 신속하나 감도가 낮아 스크리닝법으로 사용되거나 감도가 높아도 2일 이상의 분석시간이 소요되는 등 각각의 단점을 가지고 있어 신속성과 정밀성 모두를 만족하는 신규 조사처리식품 확인시험법의 신설이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후보 분석법들의 비교를 통해 SPME-GC/MS 분석법을 선정하였고 이분석장비에 가장 효율적인 판별마커로써 1,7-hexadecadiene을 선정하였으며, 반응표면분석을 통해 시헙법 분석조건을 최적화하였다. 이후 검지마커가 조사처리에 의해서만 발생한다는 uniqueness 확인 및 LOD, LOQ, Accuracy 등 신규 검지법의 신뢰성 검증 완료하고 저장온도/기간 및 혼입율 변화에 따른 검지 가능 여부 확인을 통해 상온에서 1년의 저장기간 동안 판별이 가능함을 확인하였으며, 모델식품 이외에도 4개 품목 및 식품조사처리에 사용 가능한 모든 방사선 선종(감마선, 전자선, 엑스선)으로 조사처리한 시료의 검지가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본 시험법은 0.1 kGy 이상의 흡수선량으로 조사처리된 시료를 3시간 이내에 분석이 가능하며, 현행 시험법들과의 비교 실험을 통해 우수성을 재확인하였다. 아울러 ㈜ 농심과의 실험실간 블라인드 검증 실험 및 수입 유통제품의 모니터링을 통해 본 시험법이 실제적으로 활용될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 및 검증된 신규 조사처리 확인시험법의 식품공전 일반시험법 신설을 위해 식품의약품안전처에 요청서를 제출하였으며, 등재 시 식품 생산업체의 품질관리 비용 절감 및 조사처리식품의 유통질서 확립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출처 : 서지정보양식 - 초록 97p)
    • 연구책임자 : 송범석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연구원
    • 발행년도 : 20210100
    • Keyword : 1. 조사처리식품;확인시험법;고체상미량추출;가스크로마토그래피 질량분석;고감도;신속성; 2. Irradiated food;Identificition method;Solid phase microextraction;Gas chromatography mass spectrometry;High sensitivity;Rapidity;
  • 11740

    2020.12.31

    ㅇ 본 과제에서는 깨끗하고 안전한 수자원 확보를 위한 방사선 접목 중합 및 작용기 도입 반응 제어를 통해 더 친환경적이고 가격 경제성이 높은 수중 유해 금속이온 흡착제 제조기술과 금속 촉매 첨가 방사선 산화반응 이용 수중 난분해성 유기화학물질 분해 및 분해 메커니즘 규명 연구를 수행하였음. - 수중 유해 금속이온 흡착제 연구에서는 (1) 비수계 전자선 접목중합 반응을 통한 상용 입자형 대비 높은 흡착처리 속도와 흡착용량을 갖는 수중 금속염 흡착제 제조기술, (2) 높은 반응효율(≧ 90%전환율)과 높은 재현성(3% 상대표준편차)을 갖는 수계 전자선 접목중합반응 이용 기능성 고분자 제조기술 및 (3) 전 제조 공정(전자선접목중합 및 나노구조체 도입)에서 친환경 용매인 물을 사용한 프러시안 블루(PB)가 고밀도로 집적화된 나노복합 흡착제(PP-g-PAA-PB) 제조기술을 개발하였음 - 수중 난분해성 유해 화합물질 분해 연구에서는 (4) Sulfamethoxazole의 방사선 산화분해에 적합한 광촉매의 밴드구조 제시, (5) 방사선과 다중금속촉매의 사용으로 난분해성 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방안을 개발하였고 (6) 정량 및 정성 분석을 통한 금속촉매/방사선 이용 Sulfamethoxazole 분해부산물 규명하였음 (출처 : 서지정보양식 - 초록 211p)
    • 연구책임자 : 신준화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연구원
    • 발행년도 : 20210100
    • Keyword : 1. 방사선;접목중합;금속염 흡착제;방사선 고도산화;유기화학물질;분해; 2. Radiation;Graft polymerization;Metal ion adsorbent;Advanced Oxidation;Organic chemical compound;Degradation;
  • 11739

    2020.12.31

    2018년부터 2020년까지 이온빔 장치를 운영하였으며, 양성자빔/이온빔 이용연구를 지원하였다. 이온빔장치는 총 3기 (기체, 금속, 1.7 MV 탄뎀가속기)를 운영하였으며 3년 동안 2,765공정, 408개 과제를 지원하였다. 이온빔 장치의 가동율은 3년 내내 94% 이상을 유지하였다. 양성자빔 이용연구 지원은 3년동안 5,176 공정, 269개 과제를 지원하였다. 특히, 우수이용자 지원을 위해 중점지원과제를 발굴하여 3년동안 9개 과제를 지원하였다. 빔이용시설을 이용하여 이용자를 지원한 결과 3년간 총 57편의 SCI 논문 게재 성과를 얻을 수 있었다. 또한, 중소기업 R&D 기술지원을 위해 3년간 61건의 기술상담과 31과제의 빔서비스 지원을 수행하였다. 빔이용자의 편의를 위해 양성자/이온빔 조사 후처리 분석 장비 (FE-SEM, 나노인덴테이션, FT-IR 등)를 운영하여 총 153건의 산업체 이용자 지원을 수행하였다. 고품질의 양성자/이온빔을 이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해 빔이용시설을 유지·보수하였으며 수요기반 신규 이온종 빔 서비스 실시, 고온 빔조사서비스 장치 구축, 선량측정 정확도 개선 등 성능을 개선하였다. 또한, ISO9001:2015를 운영하였으며 품질보증시스템을 성공적으로 운영하기 위해 통합안전경영시스템(ANSIM)을 업그레이드 하였다. 양성자/이온빔 이용 활성화를 위해 양성자가속기 기반 동위원소 생산허가 승인, RI 이용연구, 이온빔 기반 재료 특성 변화 연구, 반도체 우주방사선 영향 평가 연구 등 자체연구를 통해 67Cu 생산 기술개발 보고서, 반도체/전자부품에 대한 우주방사선 영향 평가 기술 분석 기술보고서 등 기술보고서 5건을 발간하였으며, 이를 통해 내부 역량을 강화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입자빔 활용 첨단기술개발 성과를 도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출처 : 서지정보양식 - 초록 557p)
    • 연구책임자 : 이재상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연구원
    • 발행년도 : 20210100
    • Keyword : 1. 양성자빔;이온빔;이용연구 지원;산업체 R&D 기술 지원;빔 활용 기초 연구; 2. Proton beam;Ion beam;Support of beam-utilized research;Support of industrial R&D technology;Beam-utilized basic research;
  • 11738

    2021.02.28

    연구개요 본 연구는 방사광 X-선 (Synchrotron radiation X-ray)를 이용한 폐암의 비파괴적 진단 검사기법의 개발 가능성을 검증하고자 하였음. 방사광 X-선을 이용한 영상의학적 검사는 기존의 X-ray 방식을 이용한 경우에 비해 병리적 영상 검사에 필적하는 정밀도와 해상도의 획득이 가능하여 해부학적 미세구조의 관찰이 필수적인 초기 폐선암의 진단에 특히 유용할 것으로 사료되었음. 또한 방사광 X선을 이용한 단층촬영 영상의 3차원 재구성을 통해 폐암의 구조와 위치를 보다 정확하게 파악하여 절제 범위를 결정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하였음.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본 연구의 연차별 목표 및 결과는 다음과 같음 1차년도 목표: 방사광 X-선을 이용한 고정밀 3D resolution 영상획득 1차년도 연구결과: 폐암 조직에 대한 3D reconstruction 영상을 얻기 위해 2019.05.15.~17 일본 츠쿠바의 고에너지 가속기 연구소 내 Photon factory BL14B와 BL 14C에서 1차실험을 진행하였으며 2019.11.19.~22일에 2차 실험을 진행하였음. 두 번의 실험을 통해 Refraction –based tomgraphic imaging 기법을 이용하여 폐암 검체의 영상을 획득하였으며 결과에 대해 2019.09월 상해에서 열린 제13회국제 생물방사광 학회 (13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Biology and Synchrotron Radiation)에서 발표되었으며 논문을 저술되어 2021년3월 Diagnostic에 online 게재됨. 2차년도 목표: 방사광 virtual lung biospy를 위한 비파괴적 폐암진단 모델 구축 2차년도 연구결과: 1차년도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폐암 진단을 위한 비파괴적 검사의 임상적 적용 가능성에 대해 고찰함. COVID19 유행으로 인해 일본에서의 직접적인 실험은 진행하지 못하였으며 Photon Factory의 연구진과 On-line을 통해 Refraction-based tomographic imaging technique의 개선 방법을 논의함. Field of View 및 해상도를 높이기 위한 새로운 Asymmetrically-cut monochromator (ACM)의 개발에 참여하였으며 새로 개발된 monochromator를 이용한 영상 실험이 일본연구진을 통해 현재 진행 중임. 또한 포항 가속기 연구소 내 6C biomedical beamline에서 2020년 10월 과 11월 두 차례에 걸쳐 Synchrotron X-ray를 이용한 Phase-contrast micortomographic imaging을 획득하였으며 attenuator를 이용하여 해상도를 높이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음. 이 연구 결과는 2020년 11월 방사광 이용자 연구회에서 발표되었으며 향후 본 연구에 참여하였던 고려대학교 이은주 연구원이 6C biomedical beamline의 임재홍 박사와 함께 연구를 지속할 예정임. 2차년도 연구에는 진단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생기능성 나노입자 도입이 시도되었으며 염색 방법의 개선과 새로운 영상기법의 개발을 목표로 예비 실험을 계획 중임. 연구발성과의 활용 계획 및 기대효과 (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본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음. Human-scale imaging technique의 개발: 1차년도 연구를 통해 Refraction-based synchrotron radiation tomographic imaging technique 중 Dark-field imaging optics의 개선을 통해 해상도 저하 없이 Field of View를 확대할 수 있는 기법을 개발 중이며 이는 임상적용의 전제 조건인 human-scale의 영상획득을 위한 기술 개발에 초석이 될 것으로 생각됨. 폐암 영상의 정밀도 개선을 통한 virtual lung biopy 기법의 개발: 획득 가능한 영상크기의 증가와 더불에 폐암으로 의심되는 병변에 대한 해상도를 높이기 위한 영상기법을 개선하였음. 영상으로 관찰되는 병변이 염증조직과 구분이 어려운 초기 폐암병변의 진단을 위해 폐암에 특이적으로 반응하는 항체를 이용한 생기능성 나노입자의 개발을 위해 전단계 실험을 진행 중임. 이 기법의 임상적 적용을 위해 생체 적합도와 염색기법의 개선이 필요하며 이는 차후 연 과제로 진행하고자 함. (출처 :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석양기
    • 주관연구기관 : 순천향대학교
    • 발행년도 : 20210300
    • Keyword : 1. 방사광;폐암;진단; 2. Synchrotron;Lung cancer;Diagnosis;
  • 11737

    2021.02.28

    본 연구는 식물의 방어기작에 중요한 세포소기관인 엽록체와 핵 사이를 이동하는중요 면역 관련 단백질을 분리 동정하는 프로테오믹스 기법을 개발하고 이를 이용해 밝혀진 단백질체와 이를 조절하는 유전자들의 역할을 규명하여 추후작물의 병원균에 대한 저항성을 높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또한 식물 면역반응시 발생하는 생리 생화학적인변화를 실시간 감지가능한 마커와 센서를 갖춘 형질전환체를 제작하여 식물 내 병원균 침투 시 그 식물의 면역 상생 여부에 따라 차등 발생하는 생리생화학적 변화를 기록함으로써 필드내에서 빠르게 감염 및 저항성 여부를 추정할 수 있는 레퍼런스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출처 : 요약서 3p)
    • 연구책임자 : 이주현
    • 주관연구기관 : 서울대학교
    • 발행년도 : 20210300
    • Keyword : 1. 엽록체;식물 면역;세포소기관;단백질체;핵; 2. Chloroplast;stromule;plant immunity;proteomics;nucleus;
  • 11736

    2020.12.31

    □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 최종 목표 핵의학분야 치료 시 일반인 피폭저감화를 위한 기준 개발 및 개선(안) 도출 ○ 전체 내용 ○ 국내 핵의학 분야 진단‧치료 실태 조사 • 국내 병원 핵의학과 환자의 사용핵종/사용량, 입원/퇴원 관리현황 조사‧분석 • 핵의학 치료 환자에 대한 안내서 및 이행현황 조사 • 환자 퇴원 후 일반인에 대한 피폭 가능성 평가 • RI 투여환자 사망 이후 처리 방법에 관한 사례 조사·분석 ○ RI 투여 환자에 의한 일반인 피폭 관련 주요인자 분석 • RI를 이용한 치료 후 퇴원 시까지 주요인자 조사‧분석 ○ 국내 핵의학 분야 진단 및 치료 시 피폭저감화 방안 제시 • 해외사례 비교‧분석을 통한 핵의학과의 환자 진료 전(全)과정 안내서 개선(안) 도출 • 환자 퇴원 후 일반인에 대한 선량제약치 제안 및 피폭저 감화 방안 도출 ○ RI 치료 환자에 대한 격리기준(안) 도출 • 핵종별 RI 투여량에 따른 환자 입원 기준(기간, 선량제약치 등) 제시 • 관련 고시 제‧개정(안) 제안 ○ RI 투여환자 가족의 피폭선량 측정 및 조우인자 산출 • RI 치료 병원 및 환자에 대한 현황 조사 • RI 치료환자와 가족에 대한 피폭 측정을 위한 병원 IRB 승인 • 가정에서 RI 치료환자에 의한 피폭 선량 측정 • 피폭 선량 측정결과 분석 • RI 투여환자를 간병하는 가족에 대한 조우인자 산출 ○ 전신 유효반감기 및 환자 선량률계수 산출 • 치료용 방사성의약품에 대한 자료 조사 • 방사성 핵종별 생체동력학 모델에 대한 자료 조사 • 방사성 핵종별 인체 내 분포 계산 • 방사성 핵종별 전신 유효반감기 산출 • MCNPX 전산 모사를 위한 인체 모형 모의체 및 선원항 구현 • 방사성 핵종별 환자 선량률계수 산출 ○ RI 투여환자의 주위선량당량률 산출 및 RI 투여환자 가족의 피폭선량 평가 • RI 투여환자에 대한 주위선량당량률 산출을 위한 MCNPX 전산모사 • RI 투여환자의 주위선량당량률 예측식 도출 • RI 투여환자 가족의 총 피폭 선량 예측식 산출 • RI 투여환자 가족의 총 피폭 선량 계산 ○ 해당연도 목표 ○ RI 치료 환자에 대한 격리기준(안) 도출 내용 ○ RI 진료환자에 대한 입원 기준(안) 도출 • 핵종별 RI 투여량에 따른 환자 입원 기준(기간, 선량제약치 등) 제시 - 선량평가 시나리오 별 핵종별 입원기간 분석 - 간병인, 가족 등 환자 주변인에 대한 선량제약치 제고 - 시나리오별 입원기간 비교를 통한 선량제약치 결정 - 핵종 및 투여량 별 입원기간 계산 ○ 국내 핵의학 분야 진단 및 치료 시 피폭저감화 방안 제시 • RI투여환자 사망 이후 처리 최적방안 및 절차 제안 - RI 치료환자 사망 시 방호대책 관련 최신 국제동향 조사 - 환자사망 시 부검, 매장, 화장 등에 대한 해외 규제요건 조사 - RI 치료 시체 주변인의 피폭영향 및 규제요건 도출(협동과제 산출값 활용) • 관련 고시 제‧개정(안) 제안 - 선량제약치 상향에 따른 핵종별 투여량에 따른 격리 및 입원 기준에 관한 관계법령 및 고시 개정안 제시 - RI 치료환자 사망 관련 방호대책 수립 및 규제요건(시신처리 기준)에 관한 관계법령 및 고시 개정안 제시 등 ○ RI 투여환자의 주위선량당량률 산출 및 RI 투여환자 가족의 피폭선량 평가 • RI 투여환자에 대한 주위선량당량률 산출을 위한 MCNPX 전산 모사 • RI 투여환자의 주위선량당량률 예측식 도출 • RI 투여환자 가족의 총 피폭 선량 예측식 산출 • RI 투여환자 가족의 총 피폭 선량 계산 □ 연구개발성과 ○ 안전기술보고서 제출: 7건 ○ 논문(비SCIE) 게재: 3건 ○ 논문(SCIE) 게재: 1건 ○ 학술발표: 7건 ○ 전문연구인력 양성: 1건 (박사) ○ 포상 및 수상 실적: 1건 □ 연구개발성과 활용계획 및 기대 효과 ○ 핵의학 진료에서 환자의 RI 투여량과 환자격리기간에 따른 주변인의 개인유효선량당량 예측값과 이에 따른 격리(입원) 기간을 도출하는데 활용 가능 ○ RI 투여환자로 인한 주변인의 피폭선량 평가 결과는 의료분야의 방사선안전관리에 대한 국내의 기준 정립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여 국가방사선방호 정책결정에 기여 ○ [기술적 측면]핵의학과 환자의 진료 전(全) 과정에 대한 안내서 및 환자 퇴원후 간병인, 가족, 일반인에 대한 선량제약치 등 제시를 통해 피폭저감 효과 달성. 또한, 의료기관은 신뢰도 기반의 입원과 격리 기간 결정 및 방사선방호의 최적화(ALARA) 달성 가능 ○ [경제적 ․ 산업적 측면] 한국 문화 특성과 최신 국제권고를 접목해 최적의 입원/격리 기간을 제시, 일반인 피폭저감을 위한 기준을 개발함으로써, 진료계획 수립과 방사선안전관리에 유용하게 활용 가능하다. ○ [사회적 측면] 병원의 RI 치료에 의한 방사선 피폭관리가 보다 정확한 선량 평가에 근거해서 진행되며, 의료진, 환자 가족의 안전을 동시에 확보함으로써 RI치료에 대한 국민 신뢰도 증진 (출처 :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이지연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
    • 발행년도 : 20210100
    • Keyword : 1. RI 치료;선량평가;선량저감화;환자선량률;핵의학 치료환자; 2. RI therapy;Dose assessment;Dose reduction;Patient dose rate;Nuclear medicine patient;
  • 11735

    2021.02.28

    □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 최종 목표 사이버공격에 의한 원전사고 예방을 위한 핵심디지털자산 분석 및 보안평가를 통한 핵심디지털자산 사이버보안 규제방안 마련 ○ 전체 내용 - 원전 디지털자산과 원전사고 연계성 분석 - 핵심디지털자산 식별을 위한 방법론 개발 - 전출력/정지/저출력 내부사건 리스크평가 및 디지털연계 분석을 통해 관련 디지털자산안 식별 - 핵심디지털자산 식별(안) 검증 - 핵심디지털자산 사이버보안 평가방안 및 보안요건 연구 - 핵심디지털자산 보안평가 수행 - 핵심디지털자산 식별 및 사이버보안 기술기준안 개발 - 관련 심·검사 지침안 개발 및 연구결과 정책제안 ○ 1단계 목표 - 사이버공격에 의한 원전사고 예방을 위한 핵심디지털자산 분석 내용 - 원전 디지털자산과 원전사고 연계성 분석 - 핵심디지털자산 식별을 위한 방법론 개발 - 전출력/정지/저출력 내부사건 리스크평가 및 디지털연계 분석을 통해 관련 디지털자산안 식별 ○ 2단계 목표 - 핵심디지털자산 보안평가를 통한 사이버보안 규제방안 마련 내용 - 핵심디지털자산 식별(안) 검증 - 핵심디지털자산 사이버보안 평가방안 및 보안요건 연구 - 핵심디지털자산 보안평가 수행 - 핵심디지털자산 식별 및 사이버보안 기술기준안 개발 - 관련 심·검사 지침안 개발 및 연구결과 정책제안 ○ 2016 목표 - 원전 사고관련 디지털자산 규제방법론 연구 내용 - 보안관련 원전사고규제 동향 및 원전 리스크평가 현황 분석 - 원전 디지털자산과 원전사고 연계성 분석 - 핵심디지털자산 식별을 위한 방법론 개발 - 사고연계 시스템의 보안성 분석환경 개발방안 연구 ○ 2017 목표 - 원전 전출력에 대한 핵심디지털자산 분석 및 보안평가방안 연구 내용 - 전출력 내부사건 리스크평가 및 디지털연계 분석 - 전출력에 대한 핵심디지털자산(안) 연구 및 식별 - 핵심디지털자산 보안 취약점 평가방법 및 항목 개발 ○ 2018 목표 - 원전 정지/저출력에 대한 핵심디지털자산 분석 및 보안평가 내용 - 정지/저출력 내부사건 리스크평가 및 디지털연계 분석 - 정지/저출력에 대한 핵심디지털자산(안) 연구 및 식별 - 핵심디지털자산 검증방안 연구 - 핵심디지털자산 사이버보안 취약점 분석 ○ 2019 목표 - 핵심디지털자산(안) 검증 및 사이버보안 평가방안 연구 내용 - 핵심디지털자산 식별(안) 검증 - 핵심디지털자산 식별을 위한 기술기준안 개발 - 핵심디지털자산 사이버보안 평가방안 및 보안요건 연구 ○ 2020 목표 - 핵심디지털자산 보안평가 및 규제지침안 개발 내용 - 핵심디지털자산 보안평가 수행 - 핵심디지털자산 사이버보안 기술기준안 개발 - 관련 심·검사 지침안 개발 및 연구결과 정책제안 □ 연구개발성과 □ 원전사고를 일으킬 수 있는 핵심디지털자산 식별 방법론 개발 - [국외학술발표 2건, 국내학술발표 2건, 안전기술보고서 1건] - [1차년도] 원전 리스크 평가 자료 분석 - [1차년도] 사이버공격에 의해 원전 사고를 일으킬 수 있는 디지털자산에 대한 식별 방법론 개발 □ 원전 사고연계 시스템의 사이버 보안성 분석 환경 개발 - [국외학술발표 2건, 안전기술보고서 1건] - [1차년도] 원전 사고연계 시스템의 사이버보안성 분석환경 개발방안 마련 - [2차년도] 핵심디지털자산 검증 방안 개발 □ 전출력 및 정지/저출력 핵심디지털자산(안) 도출 - [국외학술발표 2건, 국내학술발표 2건, 안전기술보고서 3건] - [2차년도] 전출력 내부사건 PSA 결과 분석 - [2차년도] 전출력 핵심디지털자산 식별 플랫폼 개발 - [3차년도] 정지/저출력 핵심디지털자산 발전소 운전상태(POS) 분석 - [3차년도] 정지/저출력 핵심디지털자산 식별 플랫폼 개발 - [3차년도] 핵심디지털자산 식별 플랫폼 검증 방안 마련 - [4차년도] 전출력, 정지/저출력 핵심디지털자산안에 대한 검증 □ 핵심디지털자산 사이버보안성 평가 연구 및 취약점 분석 - [국외학술발표 1건, 국내학술발표 4건, 국내논문게재 1건, 안전기술보고서 4건] - [2차년도] 전출력 핵심디지털자산에 대한 사이버 취약점 분석 - [3차년도] 정지/저출력 핵심디지털자산에 대한 사이버 취약점 분석 - [3차년도] 핵심디지털자산과 연계된 계통적 사이버 취약점 분석 - [3차년도] 핵심디지털자산 사이버 취약점에 대한 일반적 조치방안 마련 - [4차년도] 핵심디지털자산 사이버보안 요구사항 개발 - [4차년도] 핵심디지털자산 공격벡터 및 영향도 분석에 관한 연구 - [5차년도] 핵심디지털자산 보안성평가 방법론 및 디지털보호계통 적용 사례 □ 핵심디지털자산 사이버보안 규제기술 연구 - [국내학술발표 6건, 안전기술보고서 3건, 정책제안서 2건] - [3차년도] 핵심디지털자산 규제타당성 및 규제 고려사항 분석 - [3차년도] 국내외 사이버보안 규제 지침 분석 - [3차년도] 핵심디지털자산 규제 방안 제시 - [5차년도] 핵심디지털자산 식별 기술기준안 개발 및 정책제안 - [5차년도] 사이버보안 심사지침 개선안 개발 - [5차년도] 사이버보안 검사를 위한 세부지침안 개발 및 정책제안 □ 연구개발성과 활용계획 및 기대 효과 - 원전사고를 유발할 수 있는 사이버공격에 대한 보안대책 제시를 통해 최신 사이버공격에 대한 근본적인 방어 체계 수립 - 국산화 원전노형에 대한 사이버보안 안전규제제도 효율화 및 체계화를 통한 국가 위상 제고 - 국제 핵안보에 큰 위협인 사이버위협에 대한 효과적 규제시스템 개발을 통해 국제 사이버보안 규제분야 선도 (출처 : 요약문 6p)
    • 연구책임자 : 권국희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통제기술원
    • 발행년도 : 20210300
    • Keyword : 1. 사이버보안;핵심디지털자산;보안성 평가;리스크 평가;규제 요건; 2. Cyber Security;Vital Digital Asset;Cyber Security Assessment;Risk Assessment;Regulatory Criteria;
  • 11734

    2021.02.28

    □ 연구개요 Label 없이도 측정 샘플의 분자 구조에 따른 신호 측정이 가능한 핵자기공명 분광기 (nuclear magnetic resonance spectroscopy)를 기반으로 휴대가 가능한 micro NMR 디바이스를 개발하였다. 태블렛 크기 정도의 휴대형 NMR 바이오센서 제작을 위해, (1) NMR용 자기장, (2) 신호 송수신용 RF 코일, (3) 액체 샘플 로딩용 미세유체 칩 그리고 (4) NMR 신호 수집 및 처리를 위한 RF회로 및 제어시스템 등 4개 핵심 요소들을 개발하였다. □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 자석을 이용한 자기장 및 RF마이크로코일 최적화 연구 : 최대 0.8 T의 자기장을 얻을 수 있었고, 제작된 디바이스에서는 0.5T의 자기장을 사용 : 21MHz 공명 주파수를 갖는 마이크로 RF 코일 제작 및 튜닝/매칭 회로 제작 - NMR RF 회로 제작 : 신호 송수신 및 30dB 증폭회로 개발 - 미세유체칩(샘플전처리, 핵자기공명 local guide 용) 개발 : ultra-fast 레이저를 사용하여, 빠르고 간단하게 미세유체관을 유리에 제작하는 공정 개발 □ 연구발성과의 활용 계획 및 기대효과 (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본 연구를 통해 휴대형 NMR 기반 바이오센서 제작을 할 수 있었다. 데스크탑 컴퓨터 사이즈 보다 작은, 휴대형이 가능한 NMR 기반 바이오센서에 필요한 자기장을 작은 영구자석으로도 가능하였고, 이 자기장 크기에 맞춘 공명주파수를 갖는 RF 코일 및 송수신 신호 회로를 제작하였다. 이는 모두 테블렛 디바이스 크기 정도의 NMR기반 바이오 센서를 제작하는데 적합한 크기로 제작이 되어, 현장 진단형 바이오센 서로 활용될 가능성이 있다고 기대하고 있다. 또한 액체 상태의 진단 샘플을 정확하게 RF 코일내로 주입하기 위한 미세유체관을 설계/제작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1시간 내로 빠르게 유리 미세유체 디바이스를 제작할 수 있는 공정법을 개발하였다. 또한 3차원 구조의 미세유체 구조도 추가 공정없이 유리기판 내부에 만들 수 있는 공정을 개발하여, 마이크로 원심분리기, 세포분류기 등의 고효율 및 고처리량의 유리 기반 미세유체 플랫폼 개발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구치완
    • 주관연구기관 : 한밭대학교
    • 발행년도 : 20210300
    • Keyword : 1. 마이크로-핵자기공명;분광학;바이오센서;RF코일;미세유체; 2. micro NMR;spectroscopy;biosensor;RF coil;microfluidic;
  • 11733

    2020.12.31

    원전에 컴퓨터 및 통신기술의 적용으로 사이버침해 대응 연구가 요구됨. 원전 계측제어시스템의 사이버침해 대응 연구에 가장 중요한 Test-bed를 구축하기 위해 원자력 디지털 계측제어시스템 국산화 설계 및 개발 경험을 바탕으로, 안전계통으로서는 ESF-CCS, 비안전계통으로는 다양성보호계통(DPS), 원전종합감시계통인 (IPS)를 각기 대표적인 계통으로 선정하여 이들에 대한 설계, 제작, 통합시험을 수행함. 본 연구를 통해 원전 사이버사고 대응체계 운영을 위한 기반기술 확립하고, 국내 원자력시설 및 유관기관들의 TEST-BED 공동활용 및 사이버보안 평가 기술지원을 통해 국민 안전성 제고하는데 기여하고자 하였음. 이를 위해서 산업체의 사이버보안 시험평가 결과 비공개 전달 및 보안성 강화방안 기술지원을 하였으며, Test-bed 활용을 통해 산업체의 사이버보안 평가비 절감에 기여하였음. 또한 원전 사이버보안 R&D 네트워크 확대 및 실무 교육훈련을 지원하기 위해 국내 사이버보안 교육 콘텐츠를 개발하여 전파하고자 하였음. 이를 통한 원전 사이버보안 인식제고 및 안전성 향상 기대함. 본 연구는 IAEA, 미국 Idaho National Lab. 등 국외 사이버보안 전문기관과 체계적이고 장기적인 협력체계 구축을 통한 원전 사이버보안 역량 강화와 국제 원자력 사이버보안 연구에 기여함. (출처 : 서지정보양식 - 초록 75p)
    • 연구책임자 : 송재구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연구원
    • 발행년도 : 20210100
    • Keyword : 1. 원자력;사이버보안;계측제어시스템;사이버공격 대응;원자력 안전; 2. nuclear power;cyber security;I&C system;cyber attack response;nuclear safety;
  • 11732

    2020.12.31

    비공개항목입니다.
    • 연구책임자 : 윤대옥
    • 주관연구기관 : 충북대학교
    • 발행년도 : 20210100
    • Keywor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