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Report

All 12,458 Page 27/1,246

검색
  • 12198

    2022.12.31

    Ⅳ. 연구개발결과 ⦁ 9 MeV 가속기와 세부시스템들을 통합한 원격제어, 모니터링 및 구동 플랫폼을 구현하였음. 기존의 6 MeV 가속기와 달리 반도체 펄스전원장치를 기반으로 전용 제어 및 구동 프로그램 구현과 특화된 인터락 및 안전장치와 연계하여 방사선 안전관리하에 가동하도록 구축하여 해당 신규 개발 전자가속기 KINS 사용허가를 획득하였음. 전자빔 조사장치로 사용중인 6 MeV 가속기의 성능을 안정적으로 확보하기 위해 부품 수리, 교체, 재보정을 수행 및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현함. ⦁ 연구용 가속기의 전자빔을 이용해서 동물 및 세포 실험용 조사장치로 활용하기 위해 선원-표면 거리에 따른 전자선 어플리케이터 설계 및 제작하였으며 마커스 챔버를 이용한 고선량률 전자빔 선량 측정 기술 연구하였음. ⦁ 전자총의 빔전류 및 빔형태 제어방법 연구하여 전자가속기의 핵심부품 확보 및 가속기 빔의 성질을 향상시키고자 함. 따라서 고출력 전자총 특성 연구를 위한 테스트 시스템 구현 및 국내에서 생산한 캐소드를 사용한 실시간 빔출력 제어 타입의 전자총 개발하였음. (출처 : 요약문 4p)
    • 연구책임자 : 임희진
    • 주관연구기관 : 동남권원자력의학원
    • 발행년도 : 20230100
    • Keyword : 1. 방사선치료기;제어시스템;인터락;전자총;조사장치; 2. Radiation Therapy machine;Control system;Interlock;Electron-gun;Irradiator;
  • 12197

    2023.02.28

    □ 연구개요 1. 최종목표 파킨슨 질환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되는 신경염증을 개선하기 위하여, 항염증효능이 있다고 알려진 저선량 방사선 치료를 통해 파킨슨 질환의 새로운 치료 전략을 구축하고자 함 2. 연구의 필요성 현재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파킨슨 질환의 근원적인 치료는 없어 치료법 개발이 필요한 상황으로,병의 진행은 막지 못하고 일시적인 기존치료의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해 저선량 방사선 치료를 이용하여 치매의 근본적인 원인인 신경염증 환경을 개선함으로써 치매질환의 악화를 막고, 신경증상의 개선을 기대할 수 있는 파킨슨 질환의 새로운 치료 전략을 구축하고자 함 □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1. MPTP 신경독소에 의해 유도된 파킨슨 질환 동물모델에서 저선량 방사선 조사에 의한 치료 효능 평가 - 신경독성 물질 MPTP를 이용하여 파킨슨 질환 동물 모델을 확립하고, 파킨슨 질환의 특징을 확인함 · Control 대비 MPTP 투여군에서 뇌의 선조체 부위에서 dopamine transporter인 [18F]FP-CIT의 SUV 값이 감소되었고, 선조체와 흑질 부위에서 dopamine neuron cell의 marker인 Tyrosine hydroxylase (TH) 발현이 감소되었음1 · Control 대비 MPTP 투여군에서 로타로드 운동 능력이 40% 이상 감소되었음 - 파킨슨 질환 동물모델에서 저선량 방사선 조사에 의한 치료 효능을 확인함 · 선조체 영역의 도파민 운반체 [18F]FP-CIT의 SUr값을 비교해보면, control과 IR 단독조사군은 baseline 대비 변화가 없었고, MPTP군은 IR 전과 IR 후 14일째까지 baseline 대비 감소된 채로 유지되어 MPTP에 의한 파킨슨 질환 모델 구축에 지속되고 있었으며, MPTP+IR군은 IR 전에 baseline대비 73%까지 감소되었다가 IR 후 14일째 33% 회복되었음을 확인하였음 2. 파킨슨 질환 동물모델에서 저선량 방사선 조사에 의한 행동장애 개선 여부 평가 - MPTP 처치 후 7일째에는 MPTP 군과 MPTP+LDIR 군 모두 baseline 에 비해 로타로드 운동 능력이 40% 이상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감소됨을 확인함 - 저선량 방사선 처치 후인 18일째에는 MPTP 군은 여전히 baseline 에 비해 로타로드 운동 능력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감소되었지만, MPTP+LDIR 군은 저선량 방사선 처치 후 로타로드 수행 시간이 약간 증가하여 MPTP 처치 후 7일째와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음을 확인함 3. 파킨슨 질환 동물모델에서 저선량 방사선 조사에 의한 항염증 기전 연구 - Immunohistochemistry 염색 결과: Control 군 대비 MPTP 군에서 염증인자인 GFAP가 유의미하게 증가하였고, MPTP 군과 비교하여 MPTP+LDIR 군에서는 GFAP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됨을 확인함 - Cytokine assay 결과: Control 군에 비해 MPTP 군에서 8개 사이토카인 인자 (CD54, lL-3, IL-4, IL-7, IL-10, IL-23, CCL5, TREM-1)가 상향 조절되었고, 이 중 2개 인자 (IL-3, CCL5)만 저선량 방사선에 의해 유의미하게 하향 조절된 것을 발견함 - ICAM-1(CD54) ELISA 분석 결과: ICAM-1 (Intercellular Adhesion Molecule-1) 파킨슨 질환에서 염증 지속성과 관련이 있고, 면역세포가 염증작용이 일어나는 곳으로 옮겨갈 때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알려져 있음. 본 연구진은 저선량 방사선이 ICAM-1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마우스 뇌 적출후 선조체영역에서 단백질을 추출하여 ELISA 분석을 통해 ICAM-1 정량 분석을 시행함. MPTP 군에서 ICAM-1 단백질 양이 유의미하게 증가되었고, 증가된 ICAM-1 단백질은 저선량 방사선에 의해 유의미 하게 감소됨을 확인함 - Microarray 분석 결과: 저선량 방사선의 항염증 효능을 조사하기 위해 마우스 뇌를 적출하여 흑질 영역에서 염증 관련 유전자 발현 패턴을 비교 분석함. Control 군과 MPTP 군의 비교에서 T cell, NF-Kb, Immune system, cytokine activity, Inflammatory response 관련 유전자 발현 패턴이 유의미하게 변화되었고, MPTP 군 비교 MPTP+LDIR 군에서는 cytokine activity, Inflammatory response, NF-Kb, Immune system 관련 유전자 발현 패턴이 유의미하게 변화된 것을 확인함 □ 연구개발성과의 활용 계획 및 기대효과 (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1. 파킨슨 질환의 새로운 치료 전략 구축 - 파킨슨 질환에 대한 근본적인 치료방법이 없는 현실에서 중요한 치료방법으로 제시될 수 있음 2. 임상 적용을 위한 기초자료 활용 -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파킨슨 질환의 저선량 방사선 치료 가능성을 기대할 수 있음 - 최대의 치료 효능을 위해 최적의 방사선량, 치료 시기 등을 탐색할 수 있음 - 파킨슨 질환에서 저선량 방사선 치료의 기전을 연구하는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음 3. 저선량 방사선 치료의 적응증 확대 - 파킨슨 질환 외 신경염증질환인 multiple sclerosis,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schizophrenia 등에도 저선량 방사선 치료의 효능을 기대할 수 있음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정연경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의학원
    • 발행년도 : 20230300
    • Keyword : 1. 파킨슨 질환;신경염증;저선량 방사선조사;MPTP로 유도된 파킨슨 질환 동물모델; 2. Parkinson’s disease;Neuroinflammation;Low dose ionizing radiation;MPTP-induced animal models of Parkinson‘s disease;
  • 12196

    2023.02.28

    연구개요 본 연구에서는 플라이애시를 활용하여 중성자 차폐 성능을 보유한 무(無)시멘트 기반 무기 결합재 개발과 이를 활용한 비정질 (amorphous) 형태의 인공 경량 골재 제조 기술 개발 하고, 개발된 골재와 중성자 차폐 섬유를 혼합하여, 중성자 차폐 및 충격하중 저항 성능이 강화된 (=고인성) 경량 HPFRCC (High Performance Fiber Reinforced Cementitious Composites) 콘크리트를 개발한다. 마지막으로 개발된 콘크리트에 대한 MCNP (Monte Carlo N-particle Transport Code) 시뮬레이션 해석과 실제 차폐 실험을 통한 콘크리트 재료 디자인 모델을 제안하는 것이 최종목표이다.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본 연구의 목표는 크게 네 가지이다. 첫째 중성자 차폐 성능을 보유한 무시멘트기반 무기 결합재의 개발, 둘째 저온 제조가 가능한 중성자 차폐형 비정질 인공 경량 골재 기술 개발, 셋째 중성자 차폐, 경량성 및 고인성이 확보된 HPFRCC 콘크리트 개발, 넷째 MCNP 시뮬레이션 해석과 실제 차폐 실험을 통한 재료 디자인 모델 개발이다. 다양한 실험을 통해 네 가지 연구목표를 모두 만족시켰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기존 중성자 차폐 물질은 포틀랜드 시멘트와의 혼합 시 응결을 저해하고 강도 발현을 저해해 일반 콘크리트 제조에서는 사용이 사실상 불가능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포틀랜드 시멘트와 달리 차폐 물질을 함유해도 문제가 없는 새로운 플라이애시 기반 고강도 무기계 결합재 (무시멘트 결합재)를 개발에 성공하였다. 기존의 인공경량골재 기술들은 킬른을 이용하여 1,300℃ 이상의 고온소성으로 인해 중성자 차폐 물질을 함유시켜도 제조 과정에서 소실되지만, 본 연구는 저온 조건 (90℃ 이하)만을 사용하여 비정질 형태의 인공경량골재를 개발에 성공하였다. 개발된 골재와 중성자 차폐 섬유를 혼합하여, 중성자 차폐 및 충격하중 저항 성능이 강화된 (=고인성) 경량 HPFRCC (high-performance fiber-reinforced cementitious composites) 콘크리트를 개발하였고, 압축강도, 인장강도, 탄성계수, 흡수율, 비중, 철근 부식 및 동결융해 저항성을 측정하여 개발된 콘크리트의 역학적 성능 및 내구성을 평가하였다. 추가로, Monte Carlo N-Particle transport code (MCNP) 시뮬레이션을 통해 개발된 중성자 차폐 HPFRCC 콘크리트의 강화된 중성자 차폐 성능을 확인하였으며, 다양한 미세구조 분석을 통해 개발된 인공골재 내에 존재하는 중성자 차폐 물질들의 화학적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최종적으로 모든 연구 결과를 고려하여 최적의 사용후핵연료 저장용기용 HPFRCC 콘크리트 배합표를 제시하였다. 연구개발성과의 활용 계획 및 기대효과(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 중성자 차폐성능이 크게 향상된 고강도 경량 HPFRCC 콘크리트를 사용하여, 사용 후핵연료 저장 용기의 경량화, 고인성화 및 중성자 차폐 능력 향상을 통해 수송/설피 비용 및 파손 위험성을 감소할 수 있으며 저장용기의 수평 적재 간격을 좁혀 저장시설의 저장밀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 콘크리트의 두께를 늘리거나 밀도 높은 중량 콘크리트를 사용하였던 기존의 차폐 방식을 개선함으로써 안전성 및 공간 확보로 인해 가속기연구소 등 방사선을 이용한 연구시설이나 원자력 구조물등의 건설재료로 적용이 가능하며, 과도한 방사선 노출 방지를 위한 의료 시설 등에서도 활용이 가능하다. - 향상된 중성자 차폐 성능과 더불어 비정질의 안전한 인공경량골재를 사용함으로써 원자력시설의 높은 안전성 및 신뢰성 확보를 기대할 수 있다.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오재은
    • 주관연구기관 : 울산과학기술원
    • 발행년도 : 20230300
    • Keyword : 1. 중성자 차폐 콘크리트;인공경량골재;비정질 중성자 차폐 골재;사용후핵연료 저장용기;고인성 다기능 콘크리트 (HPFRCC); 2. Neutron shielding concrete;Artificial lightweight aggregate;Non-crystalline neutron shielding aggregate;Spent nuclear fuel canister;High performance Fiber Reinforced Cementitious Composites;
  • 12195

    2023.02.28

    □ 연구개요 ■ 인체 면역체계를 구성하는 다양한 면역세포들 (대식세포, T세포, 수지상세포 등) 은 각각의 분화 과정을 거친 후 신체의 모든 부위에서 각 세포 종에 특이적인 면역반응을 통해 체내 항상성을 유지하는데, 면역시스템의 오작동은 암, 비만, 심뇌질환을 포함하는 다양한 질병의 원인으로 밝혀지고 있음. ■ 지금까지 생체 기능은 화학적 자극에 의한 반응 기재를 바탕으로 이해되었고, 인간의 질병을 비롯한 비정상적인 거동도 생화학을 기반으로 한 면역학에 의해 해석되었으나, 면역 세포와 이들 주변 미세 환경의 물리적 요인에 대한 세포 수준의 인식 및 반응 기작을 규명하는데는 한계가 있음. ■ 최근 정통 생물학의 접근법을 벗어나 세포와 외부 환경, 세포 소기관들 사이의 물리적 상호 작용에 대해 연구하는 학문분야인 기계생물학이 대두됨에 따라, 세포가 주변 미세 환경의 물리적 특성을 인지하고, 신호 전달을 통해 주변 환경 변화에 대한 끊임없는 적응 기작이 가능함이 밝혀지고 있음. ■ 세포의 물리적 환경 인식 및 대응 프로그램의 장애는 죽상동맥경화증, 비만, 암 전이와 같은 다양한 질병의 진행과 강한 연관성이 있을 것으로 추정되며, 이러한 세포의 주변 환경 인식과 관련된 분자 메커니즘 사이의 상호작용을 이해하면 그 치료법을 찾는데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됨.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질병이 발생하는 조직 내 물리적 미세환경과 면역세포에 의한 면역반응간의 상관관계를 이해함으로써 조직 및 질병 특이적인 면역세포의 물리적 신호 전달 체계를 규명하고, 나아가 이를 통해 면역시스템을 새롭게 정의하고자 함. □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 연구의 최종 목표인 면역세포와 물리적 환경 간의 상호작용에 따른 면역 조절 메커니즘 규명을 위하여, 면역세포 메카노센싱에 의한 면역 반응 차이 (1차년도), 면역세포-세포외기질 간 역학적 상호작용 (2차년도), 면역세포의 기계적 자극 전달 (3차년도) 및 세포핵 동역학에 의한 면역반응 조절 (4차년도)을 연구함. ■ 연구기간 내 효율적인 연구 목표 달성을 위하여 매년 핵심 연구 주제에 집중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성과를 창출하였음. ■ (1차년도): 면역세포 표현형 분석을 위한 대용량 이미징 분석 기술 개발, 면역 반응에 따른 면역세포 (대식세포)의 세포 골격 구조와 기능 간의 상관 관계 규명, 고분자 하이드로젤로 조절한 세포 외부 물리적 환경 변화에 따른 면역세포 면역 반응 (M2) 조절 유도 조건 확립 및 정량 분석 기술 최적화. ■ (2차년도): 대식세포의 인테그린에 적용 가능한 DNA기반 단분자 결합력 제어 센서를 개발, 세포와 기질 간의 단분자 수준의 미세한 결합력 차이를 확인. ■ (3차년도): 면역세포에 적용 가능한 기계적 자극 인가를 위해 대식세포가 부착하여 퍼지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는 마이크로패턴을 디자인함. 대식세포의 퍼짐 정도에 따른 세포핵의 장력 변화와 이에 따른 세포 골격의 구조적 변화가 및 M2 특이적 면역 반응 조절을 확인함. ■ (4차년도): 단순 세포 골격 변화 또는 마이크로패터닝에 의한 세포전체의 장력 변화 유도로부터 면역세포의 기계적 자극에 따른 핵의 구조적 변이가 M2 면역 반응 조절의 핵심 인자 임을 확인하였고, 나아가 핵공을 통한 M2 특이적 전사인자인 STAT6의 전송 속도 차이가 핵내 신호 전달의 핵심 경로임을 규명함. ■ 본 연구를 통해 당초 계획한 정량적 연구 성과 목표를 달성하였고 (국제학술지 >10, 특허 >4), 특히 JCR 분야별 순위 1위 저널에 두 편의 논문을 게재 완료함. □ 연구개발성과의 활용 계획 및 기대효과(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가. 학문적 측면 ■ 물리학과 생명과학의 학제간 융합, 공학자와 자연과학자의 협업을 통해, 전통적인 연구 방법의 틀을 깨고 인간 질병에 대한 새로운 시각으로 새로운 이론을 정립. ■ 융합 연구를 통해 면역학 연구의 방법론을 확장시켜 면역-기계생물학이라는 새로운 학문의 장을개척하고, 생명공학 기반 기술로 활용할 수 있음. 이는 면역 반응 활성에 의한 질병 치료와 같은 실질적인 후속 연구에 파급력을 가짐 나. 경제적-산업적 측면 ■ 본 연구는 새로운 면역 조절 경로를 발굴하는 것으로 병리적 현상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 임상에 적용 가능한 약학적 타겟 선정 및 치료법 개발에 기여함. ■ 국내 의료, 제약 산업 및 특허 시장의 증진과 함께, 의료 선진국으로서의 국가 이미지 제고 및 미래원천기술 확보 등 경제적·산업적 파급 효과가 기대됨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김동휘
    • 주관연구기관 : 고려대학교
    • 발행년도 : 20230300
    • Keyword : 1. 기계생물학;물리적환경감지;면역계;세포핵 동역학;단분자력센서; 2. Mechano-biology;Mechano-sensation;Immune system;Nuclear dynamics;Single molecular force sensor;
  • 12194

    2022.12.31

    □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 최종 목표 ○ 최근 논란 및 중요도가 커진 원자력 종사자의 위반형(violation) 인적오류에 대해 대처 효과가 높은 대책 중심의 상세분석 규제 요건 및 인적오류 규제 정책(안)을 개발함 ◼ 전체 내용 ○ 원자력 분야 종사자의 위반형 오류에 효과적으로 대처하기 위하여 보완된 규제요건 및 정책(안) 개발 - (1차년도) 원자력 및 일반 산업(위탁)의 기존 사례를 위반의 관점에서 재분석하여 위반형 오류의 성격 및 유형에 따른 효과적인 상세분석 방향을 제안하고, - (2차년도) 위반형 오류에 대한 효과적인 분석 요건 및 절차(안)를 확립하며, - (3차년도) 사례 적용 및 비교 검증을 위한 실무자 워크샵을 기반으로 유효성/효율성/적용성이 검증된 원자력 분야 인적오류 규제 정책(안)을 제안함 ◼ 1단계 ❏ 목표 ○ 원자력 종사자 위반형 오류의 분석 요건 및 절차 개발 ❏ 내용 ○ 원자력 종사자 위반형 오류의 분석 요건 및 절차 개발 - 원자력 및 일반 산업 사례의 재분석을 통한 위반의 유형 및 분석 방법 개발 - 위반형 인적오류에 대한 분석 요건 및 절차 개발 ◼ 2단계 ❏ 목표 ○ 원자력 종사자 위반 오류의 규제요건 및 정책(안) 개발 ❏ 내용 ○ 원자력 종사자 위반 오류의 규제요건 및 정책(안) 개발 - 위반형 오류의 규제요건 및 분석 방법 검증 - 위반형 오류 관련 규제요건 및 정책(안) 개발 □ 연구개발성과 ◯ 직접 성과물 : (1단계 실적 : N-STAR 보고서 5건, 논문 발표 32건/게재 4건) • 목표 (N-STAR 보고서 5건, 학회논문 12건) 초과달성 - 원자력 인적오류 규제 요건 및 정책(안) 제안서(또는 해설서): N-STAR 보고서1건 - 위반 관련 인적오류 재분석 사례집: N-STAR 보고서 1건 (데이터베이스 별도) - 위반 중심의 인적오류 재분석 방법/절차: N-STAR 보고서 1건 - 원자력 및 일반산업 인적오류 상세분석 요건(안) : N-STAR 보고서 2건 - 교육훈련 프로그램 등 자체 기술보고서 5건, 현장지원도구 - 학회논문 36건 (원자력학회/인간공학회/안전학회지 게재 4건, 발표 32건) ◯ 간접 성과 : - 원자력 인적오류 상세분석 전문가 및 실무자 양성(워크샵 8회) - 인력양성 : 석사 2명, 실무전문가 63명 - 타산업과의 기술 교류 체계 (인적오류연구회 및 민간독립검토위원회(안) 구성) 구축 □ 연구개발성과 활용계획 및 기대 효과 ◯ 원자력 사고고장 보고 등 관련 과정에서 보다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규제 조치에서의 요건 및 정책을 보완하는 인적오류 종합대책의 강화에 기여 - 산업안전, 소비자 안전, 디지털의료 및 규제담당자(KINS 인간공학팀), 사업자(KAERI, 한수원 등) 관련 실무자/이해관계자 협의 (세미나 및 워크샵 성과 확산 및 공유) - 위반 등 새로운 인적오류 유형 및 안전문화 관련 현안에 대한 선행적(proactive) 대처 방안 도출의 규제 기반 확보 - 원자력안전 정보공개 및 소통 관련 법률, 위반 오류 상세분석의 관련 규제 업무(원안위 고시 2020-3호 및 관련 INES 등급평가 등) 연계 및 활용 (원자력 인적오류 관련 정책제안서 발간) ◯ 기대효과 : - 기술적 측면 : 최근 부각되는 새로운 유형(위반, 회피, 관행 및 안전문화 문제 등)의 인적오류에 기술적이고 선행적으로 대처하는 기반을 확보하여 원자력 인적오류 관련 기술적ㆍ사회적 논란을 최소화하고 안전성 확보 기술 기반을 강화 - 경제ㆍ산업적 측면 : 효과적인 인적오류 대처 기반을 확보함으로써 원자력 시설 운영의 안전 관련 부담의 합리화에 기여 - 원자력 인적오류 분석 및 대처에 전문성을 가진 전문가 및 사업체의 육성 (출처 :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이용희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연구원
    • 발행년도 : 20230100
    • Keyword : 1. 인적오류;위반;규제요건 및 정책;안전문화;원자력 사건 분석; 2. human error;violation;regulatory requirement and policy;safety culture;nuclear event investigation;
  • 12193

    2022.12.31

    □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 최종 목표 원전 운영조직, 규제조직, 행정조직의 안전문화 평가 및 환류기술과 운전/작업자 인적오류 근본원인분석 방법론 개발 ◼ 전체 내용 1. 현장 원자력안전문화 평가절차 개선을 위한 안전문화 평가시스템 실태 분석 및 개선점 도출 ❍ 안전문화 평가 및 환류시스템 실태조사 및 분석 - 국내 원전 운영자의 안전문화 측정 및 평가 실태조사 - 규제기관의 안전문화 규제 요건/지침 조사 - 사건(사고·고장)기록의 안전문화 관점 분석 방법 조사 - 안전문화 선행연구 조사 및 측정방법 사례 분석 - 원전 안전문화 평가관련 국내외 연구 및 적용사례 조사 - 타 분야 안전문화 접근방법 및 사례 조사 - 원전 안전문화 강화를 위한 근본 원인 점검 및 환류를 위한 개선 전략 도출 ❍ 안전문화 평가시스템 개선 - 원전 사고·고장 사례 중 안전문화 관점 원인분석 및 DB 구축 - 원전 안전문화 평가방법 개발 - 원자력 안전문화/안전운영 증진을 위한 전문가 협의체 교류활동 2. 안전문화 환류방법 개선을 위한 한국형 평가절차 및 방법론 개발 ❍ 우리나라 환경에 적합한 안전문화 평가방법 정립 및 국내 원전 대상 시범 적용 및 개선 ❍ 원자력 안전문화 사건조사 지침 개선/개발 ◼ 1단계(2020.04.01 ~ 2021.12.31) ❏ 목표 안전문화 평가시스템의 객관화 및 체계화 ❏ 내용 ❍ 안전문화 평가시스템의 객관화 ① 원전 안전문화에 관한 측정 및 평가시스템 조사 및 분석 • 국내 원전 운영자의 안전문화 측정 및 평가 실태조사 • 규제기관의 안전문화 규제 요건/지침 조사 • 사고·고장기록의 안전문화 관점 분석방법 조사 및 시범적용 ② 원전 안전문화 평가에 관한 선행연구자료 조사 및 분석 • 안전문화 선행연구 조사 및 측정방법 사례 분석 • 원전 안전문화 평가관련 국내외 연구 및 적용사례 조사 • 타 분야 안전문화 접근방법 및 사례 조사 ① 원전 안전문화 강화를 위한 근본 원인 점검 및 환류를 위한 개선 전략 도출 ③ 원자력 안전문화/운전운영 증진을 위한 전문가 협의체 구성 ④ 연차성과 발표 및 보고서 작성 ❍ 안전문화 평가시스템의 체계화 ① 원전 사고·고장 사례의 안전문화 관점 원인 분석 및 DB 구축 • 국내 및 국외 사고·고장 데이터 추출 • 안전문화 인자기반 원인 분석방법 수립 ② 원전 안전문화 평가방법 개발 • 안전문화 안전성 영향 직접인자 (인적오류 포함) 중요도 분석 • 안전문화 안전성 영향 간접인자 중요도 분석 • 안전문화 평가 인자별 중요도 인식 조사 및 분석 • 국내 환경 기반 안전문화 평가방법 및 평가기준 수립 (중요도 매트릭스 설정 등) ③ 원자력 안전문화/안전운영 증진을 위한 전문가 협의체 교류활동 • 규제기관, 사업기관, 연구기관 전문가 및 타 분야 전문가 협의체 운영 (전문가회의, 워크샵 등 개최) ④ 연차성과 발표 및 보고서 작성 ◼ 2단계(2022.01.01. ~ 2022.12.31) ❏ 목표 한국형 안전문화 평가 및 환류방법 정립 ❏ 내용 ① 우리나라 환경에 적합한 안전문화 평가방법 정립 및 국내 원전 대상 시범 적용 및 개선 • 전문가 자문단(TFT) 구성 현장 시범적용 및 필요시 개선 • 향후 실제 적용을 위한 방안 (제도개선 등) 수립 ② 안전문화 인자요인 사고·고장 조사지침 개선/개발 • 현행 사건조사 체계의 보완사항 도출 및 개선방안 수립 • 실무 적용을 위한 방안 (제도개선 등) 수립 ③ 최종성과 발표 및 최종 보고서 작성 □ 연구개발성과 ❍ SCI(E)급 논문 게재: - (1단계) 국외 SCI급 논문 2건 - (2단계) 국외 SCI급 논문 2건 (2건 중 1건 제출) ❍ 국내외 학술대회 논문발표: - (1단계) 국내/외 학술대회 논문발표 6건 (KNS 4건, ESK 1건, ANS 1건) - (2단계) 국내/외 학술대회 논문발표 5건 (국내 2건, 국외 3건) ❍ 보고서 발간: - (1단계) 안전기술보고서(N-STAR) 4건 • 원자력 안전문화 측정 및 평가 연구에 대한 동향 분석 • 원자력 안전문화 특성요소의 난이도: 안전문화 난이도 정량화 방법 • 원자력 안전문화 심층분석 도구: F-D 매트릭스 • 사회관계망분석을 이용한 사건/고장의 안전문화 취약 전조요소 평가 - (2단계) 안전기술보고서(N-STAR) 2건 • 안전문화 환류를 위한 안전 정보의 수집 및 활용: 잠재오류에 대한 재조명 • 안전문화 특성요소 난이도 평가방법론 개발 ❍ 정책 활용: 국내 원전 안전문화 증진 및 인적오류 저감을 위한 규제기관의 심사검사 시 활용 ❍ 다양한 기관의 전문가 협의체 운영을 통한 안전문화 중요성 공감대 형성 ❍ 원전의 종합적인 안전점검과 문제해결을 위한 수행능력 함양의 근거가 되는 안전문화 증진 시스템의 객관화 및 체계성 확보 □ 연구개발성과 활용계획 및 기대 효과 ❍ 활용방안 • 안전 목표 달성 수준실태를 측정하여 안전문화 증진을 위한 방향을 제시 • 규제기관의 안전문화 평가기술지침으로 활용가능 • 현장의 안전문화 평가를 점검하는 절차 및 방법 개선방안과 안전문화 평가 요소에 적용할 수 있는 정책 및 안전관리 개선방안의 근거로 활용 가능 ❍ 기대효과 • 원전의 종합적인 안전점검과 문제해결을 수행할 능력함양의 근거가 되는 안전문화 증진시스템의 객관화와 체계성이 확보에 기여함. • 국제표준의 기술기준과 국내 실정에 부합하는 안전문화 정착에 기여함. • 원자력발전의 안전문화 강화를 위한 근본 원인 점검과 환류 시스템의 보완에 기여함. • 규제기관의 안전문화 평가 기술지침으로 활용함으로써 국내 실정에 부합하는 안전문화 평가방법 개선에 기여함. (출처 :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안상준
    • 주관연구기관 : 울산과학기술원
    • 발행년도 : 20230100
    • Keyword : 1. 안전문화;차등적 접근;원자력 규제감독;인적·조직적 요인;종합평가; 2. Safety culture;Graded Approach;Nuclear Regulatory Oversight;Human and Organizational factors;Comprehensive evaluation;
  • 12192

    2023.02.28

    비공개항목입니다.
    • 연구책임자 : 박종복
    • 주관연구기관 : 틸스텍
    • 발행년도 : 20230300
    • Keyword : 1. 전기차;2차전지;방열시트;흑연;구리; 2. electric car;2nd battery;Radiation sheet;Graphite;Cupper;
  • 12191

    2023.08.31

    비공개항목입니다.
    • 연구책임자 : 박진희
    • 주관연구기관 : 인제대학교
    • 발행년도 : 20230900
    • Keyword : 1. 방사선 치료;Abscopal 효과;면역치료;유방암;전이; 2. Raiotherapy;Abscopal effect;Immunotherapy;Breast cancer;Metastasis;
  • 12190

    2023.11.30

    □ 연구 목표 및 내용 ◼ 최종 목표 - 최종 목표 간암 동물모델을 활용하여 8-oxo-dG(8-hydroxy-2’-deoxoguanine) 산화 손상과 핵막단백질 Lamin의 상호작용을 유전체 수준에서 밝히고 이를 ‘Lamin의 유전체 안정성 유지를 위한 산화 손상 복구 기작’으로 이해함으로써, 간암 진단 및 치료에 새로운 접근방안을 제시하고자 함. - 세부 목표 1. 간암에서의 발달 단계별 8-oxo-dG 유전체와 Lamin 핵막 단백질과의 상호결합 및 인터렉톰 분석 2. Lamin을 통한 8-oxo-dG 복구 기전 규명 3. 간암 환자 유전체분석을 통한 Lamin 매개 발암성 8-oxo-dG 돌연변이 규명 이러한 목표를 위하여, 1) 산화스트레스 유도 약물(DEN)을 투여하여 제작한 간암 동물 모델을 활용하여 NGS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2) 간암 유전체내 8-oxo-dG 분포를 관찰하고, 3) 유전체-핵막단백질의 상호작용을 통한 DNA 복구 메커니즘을 규명하여 간암의 진단과 치료에 응용 가능한 이론을 제시하고자 함. ◼ 전체 내용 - 연구배경: 발암 과정에서 산화스트레스로 인한 DNA 산화 손상 (8-oxo-dG)이 C가 아닌 A와 염기배열하여 체세포 돌연변이를 형성하면서 암 발달의 원인으로 지목되었으나, 유전체 수준에서의 정확한 위치와 복구과정, 핵막 내부의 공간적인 분포에 대해서는 전혀 알려지지 않음. 따라서, 본 과제책임자의 DNA 손상 및 복구 연구에 대한 전문성과 소속 연구진이 개발한 8-oxo-dG 시퀀싱 기술을 기반으로, 간암 생성 시발생하는 8-oxo-dG 유전체 서열과 산화스트레스에 의해 핵 안을 구획화하는 Lamin과의 연관성을 유전체 수준에서 분석하고, 이를 통해 Lamin의 DNA 손상 복구 기능에 대한 분자생물학적 기작을 규명하여, 산화스트레스로 인한 간암 발달 기전을 규명하고자 함. - 연구내용: 1. 간암유전체분석을 통해 Lamin 매개 8-oxo-dG 복구 기전을 규명하고, 산화스트레스로 인한 Lamin 결함이 8-oxo-dG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여 간암의 발달 기전을 규명 - NGS 분석을 통해 간암의 발달단계에 따른 8-oxo-dG과 lamin의 분포를 분석함으로써 8-oxo-dG 복구과정에서 Lamin의 기능과 역할에 대한 가설 확립 - Lamin 결함이 8-oxo-dG 증가 및 8-oxo-dG와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관찰 - 간암세포를 활용하여 산화스트레스로 인한 Lamin 연관 간암 발달 기전 규명 2. 생체 모델을 활용하여 Lamin의 유전체 안정성 유지 기전을 검증하고, 간암 환자조직의 유전체를 분석하여, 1단계 연구를 통해 규명한 Lamin 관련 간암 발달 기전의 유효성을 평가 - Xenograft mouse 모델을 활용하여 Lamin에 의한 8-oxo-dG 복구 및 간암 발달 기전 검증 - 간암 환자조직의 유전체 분석을 통해 Lamin 매개 8-oxo-dG 복구 기전 검증 및 간암 돌연변이를 발굴 ◼ 1단계 ❏ 연구 목표 Lamin과 8-oxo-dG의 상호결합 및 관련한 간암 발달 메커니즘을 밝히고, 간암 발달단계별 유전체 정보를 생산하여 이를 다각도로 분석하고자 함. 1. Lamin 단백질의 인터렉톰 분석 - 전사체 분석을 통해 Lamin의 기능 및 관련 메커니즘에 대한 정보 수집 - 간암 발달단계에 따른 Lamin의 발현량 및 결합단백질 비교 관찰 2. 간암 동물 모델의 유전체 분석 - 간암 발생 생체모델의 유전체 내 8-oxo-dG 분포를 분석 - Lamin과 8-oxo-dG 사이의 관련성 도출을 위한 Lamin ChIP-seq 수행 및 8-oxo-dG 분포와의 비교 분석 3. Lamin과 8-oxo-dG의 연관관계를 설명하는 메커니즘 규명 - Lamin에 대한 8-oxo-dG의 결합력 분석 - 유전체 내 Lamin과 8-oxo-dG의 결합을 설명하는 가설 수립 - 간암 발달에 따른 Lamin과 8-oxo-dG간 결합력의 변화 유무 관찰 - Lamin과 8-oxo-dG 간의 상호작용이 간암 발달에 미치는 분자생물학적 메커니즘 규명 ❏ 연구 내용 1. Lamin의 인터렉톰 분석 Lamin과 8-oxo-dG의 상호작용 연구 시작 전, Lamin에 대한 사전 정보를 수집하고자 함. - Lamin 연관 전사체 분석(RNA-seq)을 통해 Lamin이 DNA 손상 복구, 지질 대사, 스트레스 반응 등에 관여하는 유전자군의 발현을 조절하는 것을 확인함 - 간암 발달 단계에 따른 Lamin의 발현량 변화 및 결합 단백질의 변화는 관찰되지 않음 - Chromatin Immunoprecipitation(ChIP) Dot blot을 통해 LaminA와 8-oxo-dG와의 강한 결합을 관찰 2. 인간 간암세포주 유전체정보 분석 간암 동물모델의 유전체 정보와의 비교분석을 위해 인간 간암 세포주의 유전체 분석 진행 - 항체를 이용하여 8-oxo-dG-IP-seq을 수행, 8-oxo-dG의 유전체 내 분포 확인한 결과 LINE(Long interspersed nuclear element) 서열에 8-oxo-dG 수준이 높게 나타남 - Lamin ChIP-seq 결과, LINE, SINE(Short interspersed nuclear element) 및 Simple repeat 서열에 Lamin이 강하게 결합하는 것을 관찰 3. 간암 동물 모델의 유전체 분석 간암 발달 단계에 따라 Early, Mid, Late 시기의 마우스 간 조직에서 추출, Lamin과 8-oxo-dG의 분포를 확인하고, 연관 관계를 확인하고자 함 - Mid 시기에 8-oxo-dG 수준이 가장 높았으나, 유전체 전반에 산재하여 발생함 - 인간 간암 유전체 분석 결과와 동일하게 8-oxo-dG이 LINE 서열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였음 - Lamin ChIP-seq 분석 결과, Lamin 또한 LINE 서열에 밀집하였으며, 8-oxo-dG와 Lamin이 LINE에서 co-localize함을 확인함 4. Lamin과 8-oxo-dG의 결합친화도 분석 면역침강법을 이용하여 Lamin이 Guanine보다 8-oxo-dG에 더 강한 결합 친화도를 보임을 확인함으로써, Lamin이 LINE 서열에 존재하는 8-oxo-dG의 복구 과정에서 기능할 것이라는 가설을 세움 5. Lamin에 의한 간암 발달 기전 동물 모델의 간암 조직에 siRNA를 처리하여 간암세포에서 Lamin의 발현을 억제하였을 때 간암의 발달이 저해됨을 확인함으로써, Lamin이 새로운 항암 타겟으로 응용될 수 있음을 시사함 ◼ 2단계 ❏ 연구 목표 분자생물학 수준에서 규명한 Lamin과 8-oxo-dG에 의한 간암 발병 기전을, 동물모델 및 간암 환자 유래 간세포 분석을 통해 검증하고자 함. Lamin과 8-oxo-dG의 상호작용에 의한 간암 발달 기전을 검증하고, 간암 발암성 돌연변이 발굴을 통해 핵막단백질 Lamin이 간암의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 것을 목표로 함 1. Lamin 매개 8-oxo-dG 복구 기전의 생체 내 검증 - 1단계 연구에서는 Lamin과 8-oxo-dG의 상호작용과 관련한 간암 발병 메커니즘을 규명하고, 2단계 연구에서 이를 동물모델에서 검증하고자 함 - Lamin 돌연변이 간암 세포주와 환자 유래 간암 세포주를 이종이식하는 Xenograft mouse 모델을 활용하여 Lamin 관련 간암 발달 기전 검증 2. 간암 발암성 돌연변이 발굴 - 간암 동물 모델의 전장 유전체 데이터 분석을 통해 Lamin 관련 발암성 돌연변이 발굴 - 간암 환자의 전장 유전체 데이터 생산 및 분석을 통해 Lamin 관련 돌연변이의 인체 내 유효성 검증 ❏ 연구 내용 간암 동물모델과 인간 간암 세포주에서 공통되는 ‘Lamin 매개 8-oxo-dG 복구’ 메커니즘을 밝혀, 최종적으로 간암 환자 조직의 유전체정보 분석을 통해 메커니즘의 인체 내 유의성을 검증할 예정임 1. Lamin의 8-oxo-dG 복구 및 LINE의 발현 억제 기전을 분자생물학적 실험 방법을 통해 세포 수준에서 규명할 계획임 - 인간 간암 세포주 HepG2와 Huh7에서 Lamin에 의한 8-oxo-dG 복구 기전 및 유전체 안정성 유지 기전을 검증할 예정 - 간암 발달 동물 모델에서 발달 단계별 LINE의 발현량 및 활성을 RNA-seq, Western blot 등의 실험을 통해 비교 예정 - 간암 세포주를 활용하여 Lamin과 LINE의 발현 조절을 통한 간암의 발달 기전 검증을 계획 2. 동물 실험 및 간암 환자조직의 유전체 분석을 통해 메커니즘의 유의성을 검증할 예정임 - 간암 동물모델의 전장유전체 분석을 진행하여 간암에서 LINE이 insertion 된 genomic region을 탐색하고, RNA-seq을 통해 이러한 insertion이 종양 관련 유전자에 미치는 영향 탐색 - 동물모델에서 탐색한 LINE의 insertion region을 간암 환자조직의 유전체 분석을 통해 검증 - 8-oxo-dG 복구 기능에 이상을 보이는 Lamin의 돌연변이 간암 세포주를 동물 세포에 이식하는 Xenograft model을 활용하여 Lamin에 의한 간암 억제 기전 검증 □ 연구성과 1단계 연구결과 Lamin의 발현을 조작한 세포의 전사체분석을 통해 Lamin과 DNA 손상 복구의 연관성을 관찰하고, 유전체 분석을 통해 LaminA 단백질과 8-oxo-dG가 LINE 서열에 밀집함을 확인함. 결합친화도 분석실험을 수행하여, LaminA가 Guanine보다 8-oxo-dG와 강하게 결합하는 것을 관찰함. 연구결과와 선행 논문의 종합적인 분석을 통해, LaminA가 SIRT6와 상호작용하여 LINE 서열에 존재하는 8-oxo-dG의 복구에 기능할 수 있음을 확인함. 더불어 마우스 모델을 이용한 간암 발병 실험을 통해 간암세포에서 LaminA의 발현 억제 시 간암의 증식이 저해됨을 관찰하여, LaminA를 새로운 항암 타겟 단백질로서 제안함 2단계 연구에서는 ‘Lamin을 매개로 한 8-oxo-dG의 손상 복구’ 기전을 세포 및 동물 실험을 통해 규명하고, 간암 환자 조직에서 검증하여 간암 발달 기전에 대한 이해와 간암 치료에 새로운 접근 방안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함. □ 연구성과의 활용 계획 및 기대 효과 1. 간암 항암제 개발에 활용 가능한 기초 메커니즘 확립 간암의 발달과정에서 산화스트레스로 인해 생성되는 DNA 손상이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자생물학적 메커니즘을 제시함으로써, 향후 간암의 치료를 위한 항암제 개발에 응용 가능함 2. 양질의 간암유전체정보 생산 및 분석 단계별 간암 발병 모델을 이용한 NGS 분석을 통해 후속 연구를 활성화할 양질의 빅데이터를 생산하여 제공하고, 간암을 유도하는 발암 돌연변이를 발굴함으로써 간암의 진단기술 개발에 활용 가능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것으로 기대 3. 암 연구에서 핵막과 DNA 복구기전을 융합한 창의적인 연구 분야 개척 단백체와 유전체 연구를 융합하여, 핵막이 구조적, 생리학적인 다각적 기능을 통해 산화스트레스에 대응하는 메커니즘을 규명함으로써, 핵막 단백질이 간암의 발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창의적이고 도전적인 새로운 연구영역을 개척할 것으로 기대 (출처 :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함자영
    • 주관연구기관 : 고려대학교
    • 발행년도 : 20231200
    • Keyword : 1. 간암;차세대염기서열분석;산화 DNA 손상 복구;간암동물모델; 2. Hepatocellular carcinoma;Oxidative DNA repair;NGS;DEN-induced liver cancer model;LINE;
  • 12189

    2023.09.30

    □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 최종 목표 연구는 신장질환 병인기전으로 Farnesoid X receptor (FXR) 의 역할을 규명하고, 이를 통해 신장질환개선치료 연구 ◼ 전체 내용 1. 신장 질환에서 핵수용체 FXR의 작용제의 효과 확인 2. FXR과 Non-SMAD 신호체계에 의한 항 섬유화 효과 3. FXR에의한 YAP의 인산화 제어 기전 연구 4. 신장 특이적 FXR knockout (KO) 마우스 제작 5. 신장 FXR에 의한 autophagy 제어 기전 탐색 6. 신장 FXR에 의한 apoptosis 조절 탐색 7. 신장 특이적 FXR 결핍 마우스를 이용한 표적 유전자 탐색 8. FXR에의한 신장 섬유화 억제효과 규명 및 기능 제시 □ 연구개발성과 ∘ FXR의 활성화로 인해 Src Kinase의 인산화 조절을 통해 YAP의 활성을 조절함을 밝힘 ∘ HK2 cell 및 마우스 모델(WT & FXR KO)에서 FXR에의해 autophagy 조절 확인 ∘ RNA-Sequencing을 통해 FXR의 새로운 타깃 유전자 발굴 ∘ 급성신장질환에서 autophagy와 apoptosis 상관관계 연구 ∘ 급성신장질환에서 초기 autophagy와 apoptosis의 조절에 따른 만성신장질환으로 진행 가속화 연구 ∘ FXR의 결핍에 따른 autophagy 및 ROS조절 연구 ∘ 급성신장질환 모델에서 새로운 세포사멸 ferroptosis를 규명하고 FXR에 의해 ferroptosis관련 유전자 조절 기전을 밝힘 ∘ 연구기간내에 총 5편의 논문, 학회 발표, 언론보도 성과가 있었음. 논문중에서는 상위 10%안의 논문 3편을 등재함 □ 연구개발성과 활용계획 및 기대 효과 1. FXR에 의한 신장질환 치료 기반 제공 ▪ FXR에 의한 새로운 신장 섬유화 제어 기전 제시 ▪ 신장질환에서의 FXR의 기능적 역할을 제시하여 약물학적인 치료 방안 제시 2. FXR의 신장 특이적 유전자 지도 ▪ 신장 특이적 FXR의 유전자 지도를 제시하여 약물학적 표적으로의 가능성 제시 ▪ FXR을 표적으로 하는 신약개발의 기반 조성 (출처 :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김동현
    • 주관연구기관 : 전남대학교
    • 발행년도 : 20231000
    • Keyword : 1. 신장;핵 수용체 FXR;자가포식;세포사멸; 2. Kidney;nuclear receptor FXR;Autophagy;Apoptos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