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Report

All 12,392 Page 30/1,240

검색
  • 12102

    2023.01.31

    비공개항목입니다.
    • 연구책임자 : 이세헌
    • 주관연구기관 : 케이티이
    • 발행년도 : 20230200
    • Keyword : 1. 비파괴검사;방사선 투과시험;디지타이저;인공지능;이미지 프로세싱; 2. Non Destructive Testing;Radiographic Test;Digitizer;Artificial Intelligence;Image Processing;
  • 12101

    2023.10.31

    □ 연구개요 - 태아, 영유아 및 소아의 시기별, 검사별 의료 방사선 노출 여부에 따른 발암 위험도 결정 - 임상병기 0/I 대장암 환자에서 병기설정 흉부 CT 시행에 따른 생존율 비교 □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1. 소아 및 청소년의 경도 두부외상 환자에서 두부 CT 방사선 노출에 따른 발암 위험도 측정 - 소아 및 청소년의 경도 두부외상 환자에서 두부 CT 방사선 노출에 따른 발암 위험 정량화함. - 전체 환자에서 방사선 비노출군 대비 방사선 노출군의 혈액암 발생률(incidence rate)이 약 1.29배 증가함 (incidence rate ratio [IRR], 1.29 [95% CI, 1.03-1.60]). - 경미한 두부 외상을 나타내는 소아 및 청소년에서 수행된 두부 CT 방사선 노출은 혈액암 발생률 증가와 관련이 있음을 보임. 2. 태아기 복부·골반 CT 방사선 노출에 따른 발암 위험도 측정 - 태아기 복부·골반 CT 방사선 노출에 따른 발암 위험 정량화함. - 전체 환자에서 방사선 비노출군 대비 방사선 노출군의 암 발생률이 약 0.71배 감소함을 보였으나, 신뢰구간이 1을 포함해 유의미한 결과로 해석하기 어려움 (IRR, 0.71 [95% CI, 0.23-2.20]). - 또한, CT 노출군에서 암이 발생한 환자수가 너무 작아 실제적 해석이 어려움. - 태아기 복부·골반 CT 방사선 노출에 따른 발암 위험도를 더 정확하게 정량화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환자수를 기반으로 한 추가적인 연구가 사료됨. 3. 임상병기 0/I 대장암 환자에서 병기설정 흉부 CT 시행에 따른 생존율 비교 - 임상병기 0/I 대장암 환자에서 병기설정 흉부 CT 시행 여부에 따른 생존율을 정량화함. - 전체 생존률에 대해, 5년의 제한된 평균 생존 시간(RMST)에서 흉부 CT를 시행한 그룹과 시행하지 않은 그룹 간 차이는 유의하지 않음 (RMST difference, 0.4 [95% CI, -0.8 to 2.1] months). - 병기설정 흉부 CT 사용은 초기 대장암 환자의 생존에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보임. □ 연구개발성과의 활용 계획 및 기대효과(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1. 국민 건강 증진 효과 - 본 연구의 결과는 의료에서의 과도한 영상검사 남용을 제한하는 기초자료로 사용할 수 있음. - 특히 태아, 영유아, 소아 및 청소년의 방사선 노출이 암 유발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는 경각심 고취 2. 임상 진료에 활용 - 태아, 영유아, 소아 및 청소년에서 방사선량이 일정치를 초과할 경우, MRI와 같은 다른 진단기법의 사용을 권장 - 관련 연구 및 근거 부족으로 불명확했던 흉부 CT 시행 대상 환자에 대한 진료 가이드라인 개선을 위한 타당한 근거로 활용 3. 학문적 효과 - 대규모 인구 집단에서 실측된 의료 방사선 노출에 따른 암 발생 위험도의 역학적 근거를 제시함. - 향후 방사선 노출 연구에 과학적 근거 수립 및 실증적 기초자료 제공 (출처 :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박지훈
    • 주관연구기관 : 서울대학교
    • 발행년도 : 20231100
    • Keyword : 1. 의료방사선 노출;전산화단층촬영;혈액암;방사선 유발암;인구기반 코호트; 2. Medical radiation exposure;Computed tomography;Hematologic malignant neoplasm;Radiation-induced cancer;Population-based cohort;
  • 12100

    2023.02.28

    비공개항목입니다.
    • 연구책임자 : 김석호
    • 주관연구기관 : 강원대학교
    • 발행년도 : 20230300
    • Keyword : 1. 고아 핵수용체;에스트로겐 관련 수용체 감마;조절자;루시페레이스;세포기반 시험; 2. Orphan Nuclear Receptor;Estrogen Related Receptor gamma;Modulator;luciferase;cell-based assay;
  • 12099

    2023.02.28

    □ 연구개요 ○ [Aryl hydrocarbon receptor (AHR)-ligand binding domain 구조 규명] AHR은 dioxin과 같은 다양한 환경 독성 물질 및 내인성 리간드에 의하여 활성화되는 전사인자로 전사 파트너인 ARNT (AHR nuclear translocator)와 결합하여 생체 내에서 adaptive metabolism, dioxin toxicity와 같은 생체내 대사 뿐 아니라 세포의 항상성 유지, 세포 분화 및 interleukin, T cell 등의 면역 세포 분화에 작용하여 다양한 생리적, 면역적 발달과 기능에 중요한 역할을 함. - AHR의 ligand 결합과 DNA 결합에 의한 구조적 연구를 진행하였지만 ligand 결합과 DNA 결합이 서로에게 주고받는 구조적 allostery 기전은 아직 밝혀져 있지 않았기에 본 연구과제를 통해 이를 수행하고자 하였음. ○ [AHR의 ligand 선택성 연구] 최근 연구를 통해 tryptophan 대사물질인 kynurenine과 그 파생물질들이 AHR의 내인성 리간드로 작용하여 면역계, 암세포를 비롯하여 다양한 생리적 영향을 한다고 연구되고 있음. 하지만 ligand의 다양성이 AHR의 기능에 어떠한 선택성을 주는가 대한 구조적 allostery에 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임.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하여 AHR의 다양성과 선택성이 AHR의 기능에 어떠한 선택성을 주는가 대하여 구조적으로 접근하는 연구를 수행하고자 하며, 최종적으로 AHR의 ligand 선택성에 영향을 미치는 구조적 allostery 메커니즘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고자 하였음. □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 AHR-ligand binding domain(LBD) 과발현, 정제 시스템 확립 - AHR-LBD을 포함한 AHR 단백질을 과발현, 정제하기 위한 전략으로 AHR과 결합하는 ARNT 단백질의 construct를 동시에 설계하고 E. coli expression system에서 co-expression할 수 있는 duet vector를 제작함. - 하지만, 기초 정제조건을 탐색하였으나 발현량이 매우 부족하고 insoluble한 단백질의 비율이 높아 대장균 배양 및 표적단백질의 과발현 조건의 최적화가 필요함. - 또한, 대체 방안으로 제시한 mammalian cell을 활용한 expression system을 위한 vector 디자인을 설계하였음. -하지만, mammalian cell을 이용한 발현도 AHR 단독으로는 발현량의 한계가 있기에 ARNT나 HSP90와 같은 AHR과 결합하는 파트너 단백질들의 재조합 플라스미드도 설계, 제작하여 co-expression을 위한 조건을 탐색하고 있음. ◯ AHR-LBD와 ligand 복합체 구조 규명 및 상호작용 연구 - 이전 단계에서 LBD를 포함한 AHR을 충분한 양으로 획득하지 못하여 직접적인 AHR-LBD의 3차 구조 규명을 진행하지는 못 하였음. - AHR-LBD와 ligand 결합에 대한 구조 정보를 homogoly domeling 및 docking simulation을 병행하여 AHR-LBD와 다양한 lignad 들과의 상호작용에 대한 in-silico simulation 연구를 수행함. - 이를 바탕으로 AHR-LBD 내의 몇 개의 중요한 아미노산 잔기를 특정하여 후속 연구를 준비하고 있음. □ 연구개발성과의 활용 계획 및 기대효과 (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 본 연구를 통하여 설계, 제작된 다양한 AHR과 파트너 단백질들의 재조합 플라스미드와 수립된 발현 시스템을 활용하여 AHR의 구조 연구를 추가적으로 진행할 예정임. 또한 AHR의 재조합 플라스미드를 이용한 연구가 필요한 다양한 연구자들과 공동연구를 수행할 수 있는 연결 고리가 되리라 생각함. - 본 연구과제를 통하여 얻은 AHR-LBD의 model 구조와 ligand들과의 docking simulation으로 얻은 연구 결과 역시 향후 AHR의 ligand 선택성을 바탕으로 AHR를 표적으로 하는 추가적인 연구에 활용할 수 있을 것임. - 본 연구에서 얻은 AHR-LBD 단백질과 ligand와의 결합 simulation을 통해 얻어진 몇 몇 중요 아미노산 잔기들을 활용한 돌연변이를 통한 AHR의 기능에 관한 영감을 얻을 수 있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추가적인 연구를 진행해볼 예정임. - 이를 종합하여 AHR을 중심으로 한 면역학, 약물학 등의 관련 약학 전공 연구진들과 공동연구를 진행해볼 수 있을 것임.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석승현
    • 주관연구기관 : 제주대학교
    • 발행년도 : 20230300
    • Keyword : 1. 단백질 구조;AHR 작용기전;AHR 구조; 2. AHR;Protein Structure;AHR mechanism;AHR structure;AHR-LBD;
  • 12098

    2023.03.31

    비공개항목입니다.
    • 연구책임자 : 박승문
    • 주관연구기관 : 전북대학교
    • 발행년도 : 20230400
    • Keyword : 1. 디이노코커스;미생물;생물소재;화장품;카르테노이드; 2. Deinococcus;microorganism;biomaterial;cosmetics;carteinoid;
  • 12097

    2023.02.28

    연구개요 본 과제는 위성과 지상에서 측정한 기상 데이터를 모두 이용하여 대기권을 통과하여 지표면 도달하는 일사량(solar irradiance)을 예측(forecast)하는 태양복사모델(solar radiation model)을 기계 학습(machine learning)과 연계하여 연구하고, 예측한 일사량으로 태양에너지(solar energy) 발전량을 예측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국내에 적합하도록, 기상 데이터와 일사량 사이의 상관관계를 기반으로 하는 통계적 태양복사모델과 기상 데이터를 입력 변수로 하면서 복사 전달 방정식의 해를 구하는 물리적 태양복사모델을 개발한다. 기존의 통계적 모델과 물리적 모델에 기계 학습 방법을 적용하여 일사량의 예측 시간 범위, 시공간의 해상도, 예측 정확도를 향상할 수 있도록 태양복사모델을 연구한다.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일사량 예측에서 널리 사용되는 통계적 모델과 물리적 모델을 이용하여 현재 수준에서 태양복사모델의 특성을 이해하고 장단점을 분석하였다. 하늘 영상 기반 모델, 위성영상 기반 모델, 수치 해석 모델의 모든 경우에 대해 기계 학습을 적용함으로써 분, 시간, 일의 다른 시간 스케일에 적용이 가능한 미래 일사량 예측 모델을 개발하였다. ANN(artificial neural network), LSTM(long short-term memory), GRU(gated recurrent unit), SVR(support vector regression), RF(random forest) 등 다양한 기계 학습 알고리즘을 검토한 후, 시계열 데이터에 적합한 LSTM이나 GRU 같은 딥러닝(deep learning)이 일사량 예측에 더욱 효과적인 것을 증명하였다. 태양차단지수(sun blocking index)라는 새로운 변수를 제시하였고, 기계 학습의 입력 변수 및 하이퍼 파라미터 최적화를 통해 예측 정확도가 향상됨을 증명하였다. 예측 결과는 측정 결과와 비교하고 RMSE(root mean square error)와 MBE(mean bias error) 같은 오차 척도를 산출하여 기계 학습에 의한 예측 정확도 개선을 정량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하였다. 몇 분 앞선 일사량 예측에서 RMSE는 대략 10~20%이고, 몇 시간 앞선 예측과 며칠 앞선 예측에서는 각각 RMSE 20~30%와 30~40% 수준으로 개선되었다. 전반적으로, 기계 학습 방법이 일사량 및 태양광 발전량 예측에서 정확도를 높였고, 특히 MBE 개선에 효과적으로 나타났다. 태양광 발전량 예측에서 일사량 예측의 중요성을 확인하였고, 기계 학습을 통해 특정 지역 및 시스템에 적합한 데이터를 더욱 정확하게 산출할 수 있음을 증명하였다. 연구개발성과의 활용 계획 및 기대효과(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본 과제를 통해 개발한 일사량 예측 기술은 다양한 에너지 관리 시스템(energy management system)에 활용할 수 있다. 국가 전력망 관리에서는 태양광 발전량 예측하면 전기 수요와 생산을 안정적으로 제어하고 급격한 전력 변동에 대처할 수 있다. 건물 및 자동차의 에너지 관리에서는 일사량에 따른 에너지 수요 변화를 예측하여 예비 공조, 수요 분산과 같은 효율적인 수요 관리를 적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전 세계적으로 패러다임의 변화를 겪고 있는 에너지 시장에서 경쟁하는 국내 업체에게는 기술력 향상에 도움을 주고, 재생에너지 확산을 촉진함으로써 온실가스 감축 및 기후 변화 대응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국가 이미지 제고에 기여할 수 있다. 학문적으로는 국내에서 태양복사모델에 관한 연구가 부족한 상황에서 기초연구의 다양성을 확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기계학습기술을 태양복사모델과 연계함으로써 향후 급격히 발전하는 기계학습기술의 성과를 태양에너지 기술까지 확대 가능한 학문적 교두보를 마련할 것이다.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이현진
    • 주관연구기관 : 국민대학교
    • 발행년도 : 20230300
    • Keyword : 1. 태양복사모델;기계학습;일사량;태양에너지 발전량;예측; 2. solar radiation model;machine learning;solar irradiance;solar energy generation;forecast;
  • 12096

    2023.02.28

    □ 연구개요 - 비만과 지질대사와 관련된 대사증후군에 효과적인 신규 핵내수용체 조절제의 설계 및 합성 - 비만과 지질대사에 관련된 RAR / PPAR / LXR / FXR / RXR에 각각 선택적인 single 조절제 발굴 및 multi-acting 조절제 발굴 - 구조-활성 상관관계를 도출하여 최종적으로 비만과 지질대사와 관련된 신규 대사증후군에 효과적인 예방 및 치료 물질의 도출 및 지적재산권 확보 □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1. 신규 화합물 설계 및 합성 - in silico docking 연구를 통하여 핵내수용체에 작용할 수 있는 화합물 구조 설계함. - 설계한 화합물에 대한 효율적인 합성법 개발 및 신규화합물 합성 2. 구조최적화 및 활성검증 - 활성 검증 시스템을 확보하고 이를 바탕으로 합성한 물질에 대한 구조-활성 상관 관계 분석을 통한 구조 최적화 및 활성 검증을 통한 효과적인 유효물질 발굴 - FXR/PPAR/LXR를 표적한 유도체 개발 및 활성이 좋은 화합물을 바탕으로 FXR를 비롯하여 PPAR/RAR/RXR 수용체에 대한 멀티 효능 검증, 약물동태 및 생체이용률 검증을 위한 실험 진행 중 : 최종 연구 목표에서 제시한 신규 핵내수용체 조절제의 설계 및 합성 수행 : 활성 검증을 통한 유효물질 및 구조-활성 상관관계 도출 : 지적재산권 확보를 위한 다수의 특허 출원 및 등록 □ 연구발성과의 활용 계획 및 기대효과 (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 연구가 종료된 현재도 대사증후군에 적용되는 기존 물질과 차별화되는 새로운 약물 개발이 필요함. - 대사증후군과 연관된 핵내수용체를 치료 표적으로 하여 medical unmet needs가 매우 높고 시장이 큰 대사증후군에 효과적인 신규 약물 후보군을 개발하고자 하였음. - 본 과제를 통하여 NASH의 약물 타겟인 FXR에 작용하는 다양한 화합물을 도출하였고, 다수의 우수한 연구 인력양성에 기여함. - 대한민국에 다양한 특허를 출원 및 등록하였으며, 관련 연구자료를 바탕으로 미국 특허를 출원하여 심사 중임. - 특허등록을 마친 후, 기술이전을 통하여 사업화를 진행하고자 하며, 활성이 좋은 화합물을 이용하여 후속 연구를 진행하고자 함. - NAFLD 및 NASH 치료제 도출을 위한 후보물질 발굴 및 가능성 제시 : 강력한 FXR 효능효과를 지니는 유도체 도출 : 비알콜성 지방간 질환에 미치는 효능평가법 개발에 기여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곽재환
    • 주관연구기관 : 충북대학교
    • 발행년도 : 20230300
    • Keyword : 1. 핵내수용체;선택적인 조절제;다양한 활성의 조절제;대사증후군;구조-활성 상관관계; 2. nuclear receptor;selective modulator;multi-acting modulator;metabolic syndrome;structure-activity relationship;
  • 12095

    2023.03.31

    Ⅳ. 연구개발결과 1) 분석대상 사업의 운영에 관한 정책·제도적 지원현황 파악 및 적절성 검토 2) 과학·기술적 성과와 사회·경제적 파급효과 측면을 고려한 사업 효율성 및 효과성 진단 3) 사업별 5개 내외의 대표성과 발굴을 통한 사업 성공요인 및 시사점 등 도출 4) 종합적 관점에서의 분석 최종 정리 및 사업개선을 위한 제언 (출처 : 요약문 4p)
    • 연구책임자 : 전은주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연구원
    • 발행년도 : 20230400
    • Keyword : 1. 원자력연구개발사업;성과분석;효율성;효과성;원자로;대표성과; 2. Nuclear R&D Program;Performance Analysis;Efficiency;Effectiveness;Nuclear Reactor;Signature Achievement;
  • 12094

    2023.04.30

    □ 연구의 목적 및 내용 ○ 연구개발과제의 최종 목표 DXA 2차원 골밀도 영상 기반 3차원 대퇴부 유한요소 생체정확도 모델을 구축하고 CT 기반 모델과 비교, 지역사회 노인 코호트 및 병원자료 기반 골절위험도 평가를 통해 검증함 ○ (주관연구개발과제): DXA 2차원 골밀도영상 기반 3차원 대퇴부 유한요소 생체 정확도 모델을 구축, CT 기반 모델과 비교 및 지역사회 노인코호트 및 병원자료 기반 골절위험도 평가 검증 수행 - 연구개발 내용 1: 지역사회노인코호트 및 병원자료 기반 DXA-CT paired dataset 확보 - 연구개발 내용 2: CT 영상 기반 생체정확도 유한요소모델 (biofidelic FEM) 구축 및 골절 연관 주요 파라미터 추출 - 연구개발 내용 3: DXA 영상 2D-to-3D 변환 수행 및 품질 검증 - 연구개발 내용 4: 3D 변환 DXA 템플레이트 기반 biofidelic FEM 구축 후 CT FEM과 비교 - 연구개발 내용 5: 지역사회 노인코호트 및 병원자료 3D DXA biofidelic FEM 적용 및 임상적 연관성 검증 □ 연구개발성과 ○ 한-스위스 3D DXA 기반 biofidelic FEM 구축 연구 네트워크 확보 - 임상전문가와 공학전문가의 임상적 미충족 수요 해결 위한 지속 협업 가능 연구 토대 - 추후 인적 자원 교류 및 학습 가능한 네트워크 구성 - 과제 목적에 적합한 한-스위스 간 학술적 교류 및 발표 촉진 효과 ○ 3D DXA 기반 biofidelic FEM 모델 구축 및 검증 - 한국인에서 3D DXA 영상 구축 및 biofidelic FEM 모델 구축 최초 시도 - 골절예측력 개선 가능성 및 DXA 기반 기술로 임상현장 활용 가능성 높음 □ 연구개발성과의 활용계획(기대효과) ○ 과학기술적 측면 - DXA 2D-to-3D 영상 변환 및 이를 통핸 FEM 모델 구축하는 새로운 시도로, 근골격계 연구에서 중요한 기술적 발전 계기를 마련할 가능성 - 풍부한 임상자료와 cutting-edge technique 이 만나 상승효과 기대 - 성공적으로 개발될 시 대퇴부를 넘어서 척추 등 타 주요골절부위에도 확대 적용 가능성 높음 - 대퇴골절 기전에 대한 깊이 있는 기계공학적-의학적 이해로 새로운 치료 방법 탐색 가능성 ○ 경제산업적 측면 - 새로운 검진 사업화, 인공지능 의료 상용화 소프트웨어 모델을 탐색할 수 있는 기반자료 가능 - 연구과정에서 새로운 지적재산권 확보 가능 ○ 사회적 측면 - 추가적인 방사선 노출 없이, 기존 표준진료절차에서 얻어지는 DXA 영상의 이차 분석을 활용한 골절예측력 향상 연구로 성공적으로 수행시 보건의료 질 향상에 이득이 기대됨 - 조기 진단 및 예방이 필요한 골절 분야에 있어 진단 및 치료율 개선 기대 (출처 : 국문 요약문 7p)
    • 연구책임자 : 홍남기
    • 주관연구기관 : 연세대학교
    • 발행년도 : 20230500
    • Keyword : 1. 골밀도;유한요소 생체정확도 모델;지역사회 노인코호트;골절위험도;골다공증; 2. Bone mineral density;Biofidelic finite element model;community cohort;Fracture risk;Osteoporosis;finite element model;Dual energy X-ray absorptiometry;Fracture;
  • 12093

    2023.07.31

    비공개항목입니다.
    • 연구책임자 : 최진호
    • 주관연구기관 : 레메디
    • 발행년도 : 20230800
    • Keyword : 1. 근접치료;암치료;엑스선튜브;방사선장치;엑스선장치; 2. Brachytherapy;Cancer therapy;X-ray tube;radiation device;X-ray dev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