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Report

All 12,392 Page 26/1,240

검색
  • 12142

    2023.07.31

    본 과제의 목표는 방사선기기팹 공정장비 표준화 및 의료진단기기 전략제품 기반 한국형 강소 방사선기기 기업 육성 지원을 통한 방사선기기 지역 클러스터 조성이다. 과제 달성을 위해 한국형 방사선의료기기 기업육성 지원, 방사선기기 산업생태계 조성을 위한 클러스터 구축/운영, 방사선기기팹 연구장비 이용서비스 및 성능개선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나노반도체/방사선 센서 공정기반 구축, 단결정 소재 성장 표준공정 확립, 반도체센서 표준공정 확립, 기술지원 26회, 실무교육 2회, 융복합 클러스터 협의체 운영 4회, 기업연계 기술사업화 R&D 아이템 발굴 1건, 기술사업화 지원 1건, 이용실적 239건, 단결정 소재 성장 장비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연구장비 점검 및 검교정 15건, 연구장비 업그레이드 2건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기술사업화 지원을 통해 방사선의료진단기기용 방사선계측 소재 기술사업화, 방사선기기 인프라 조성 및 산업 생태계 조성에 기여하였다. 또한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방사선기기팹 시설/장비 지원을 통해 국가 방사선기기 기업 육성에 기여할 계획이다. (출처 : 서지정보양식 59p)
    • 연구책임자 : 강창구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연구원
    • 발행년도 : 20230800
    • Keyword : 1. 방사선기기;사업화 지원;반도체 공정;화합물 반도체; 2. Radiation Equipment;Commercialization Support;Semiconductor Fabrication Process;Compound Semiconductor;
  • 12141

    2023.01.31

    본 보고서는 「원자력시설 등의 방호 및 방사능방재대책법」에서 정하는 의무사항의 충실한 이행과 원자력시설 방사능재난의 전주기 대책 수립을 위한 연구 및 기술개발의 결과를 기술하며, 실전적 방사선비상계획 수립·운영, 방사능방재 실용화 기술연구, 방사능방재 교육훈련 실효성 향상과 이행, 방사능재난대응 시설·장비 구축과 가용성 확보, 방사능방재대책 기술지원 및 협력 성과를 포함한다. 본 과제의 결과로 산출되는 방사능재난 『대비-대응-복구』 각 단계의 대책은 국가, 지자체, 전문기관 등의 방사능방재대책 개발과 수립에 직접 활용되어, 국가의 위기관리 능력을 제고할 것이다. 내부적으로는 연구원의 방사선비상 대비 및 대응체계를 공고히 함으로써 방사능재난 전과정에서 자주방재역량을 강화하고 재난시 신속한 사고수습을 통해 인명, 환경, 재산 피해의 최소화에 기여할 것이다. (출처 : 서지정보양식 161p)
    • 연구책임자 : 김현기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연구원
    • 발행년도 : 20230200
    • Keyword : 1. 원자력방재;방사선비상계획;방사능방재교육;방사능방재훈련;비상대응시설; 2. Nuclear Emergency Preparedness;Radiological Emergency Planning;Nuclear Emergency Training;Nuclear Emergency Education;Emergency Response Facilities;
  • 12140

    2023.07.31

    제한된 인력 및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고 연구 시설의 운영 및 관리를 최적화하기 위해서 지능화 기술 개발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지능화 기술은 데이터를 중심으로한 딥러닝/기계학습 등의 학습 기반 방법론을 적용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크게 원자력 분야 및 시설의 지능화를 위한 기초 기술 연구 및 지능화 기술 개발을 위한 플랫폼 설계 및 구축을 포함하고 있다. 지능화 기술 측면에서는 하나로에서 생성되는 데이터를 활용한 이상탐지, 운전예측, 영상감시 모델 등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센서데이터 이상탐지 모델, 냉각계통 운전모드 예측 모델, 영상기반 기포탐지 딥러닝 모델을 연구하였다. 또한 지능화 기술 개발을 위한 플랫폼 설계 및 구축 과정에서 인공지능 연구를 위한 통합 플랫폼을 설계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원내 인공지능 연구 활성화를 위한 협업 등을 함께 수행하였다. 본 과제 수행을 통해 원자력 데이터를 활용한 인공지능 기반 지능화 기술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개발 프로세스 파이프라인 구축, 컴퓨팅 플랫폼 프로토타입 구축 등을 수행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보다 고도화된 기술 개발 및 연구 수행이 가능하다. (출처 : 서지정보양식 85p)
    • 연구책임자 : 유용균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연구원
    • 발행년도 : 20230800
    • Keyword : 1. 인공지능;딥러닝;이상탐지;컴퓨터비전;설명가능한 인공지능;영상 감시;하나로;연구용원자로; 2. Artificial Intelligence;Deep learning;Anomaly Detection;Computer Vision;Explainable AI;Video Surveillance;HANARO;Reserach Reactor;
  • 12139

    2023.02.28

    □ 연구개요 ERR gamma는 대사 기능과 연관되어 있어 비만, 당뇨를 비롯한 대사 관련 질병을 치료하는 약물개발 타겟으로의 연구가 주를 이루었음. 현재 ERRγ agonist 대표물질은 GSK4716, DY131이 있지만 이들은 ERR subtype에 비선택적으로 작용하며, 낮은 약물성으로 인해 in vivo에서 고농도에서만 효능을 보임.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높은 약물성을 지닌 ERRγ agonist 유효물질 도출을 목적함. 또한 유효물질의 근육위축증 치료제로써 개발 가능성 및 적응증 확장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함. □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 대조물질 (GSK4716, DY131)의 MS, CYP, PAMPA, hERG, PK data 확보함으로써 신규 개발물질과의 비교 데이터 확보 - 1차년도에는 특허성과 개선된 약물성을 가진 핵심골격 합성법 최적화 수행, 40여종의 물질 확보, 활성 및 구조기반하에 선별된 물질은 MS, CYP 실험 수행 - 2차년도에는 1차년도 결과를 바탕으로 낮은 MS, CYP저해능 결과를 보이는 골격은 최적화 대상에서 제외함 - 최적의 약물성을 보이는 골격에 한하여 추가 최적화 진행하여 30여종의 물질 확보 및 PAMPA, hERG 실험 진행 - 3차년도에는 활성, 약물성, 약물성 측면 고려하여 최적의 물질 2종 선정, scale up 및 PK실험 수행 - 선정된 2종의 물질의 in vitro/in vivo ERRγ 관련 유전자의 발현량 확인 - 적응증 확장을 위한 암세포주 세포독성 실험 (CCK8 assay) 수행 - 2차년도 결과 기반 신규물질 90종 추가 확보 및 활성확인 - 최종 유효물질들의 ERRγ EC50실험 수행 □ 연구발성과의 활용 계획 및 기대효과(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 신규 타겟물질 발굴: 본 과제를 통해 개발된 ERRγ 작용제를 통한 근육위축증 치료제 유효물질 발굴을 목표로 함 - 적응증 확대: 본 과제를 통해 개발된 ERRγ 작용제를 이용한 항암효능 평가 진행 및 경구용 항암제로써 활용가능성을 확인 - 후속연구 및 사업화: 발굴된 물질을 기반으로 비임상/임상후보물질 개발 선행연구로 활용 또는 기술이전을 통한 사업화 활용 모색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김진아
    • 주관연구기관 :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 발행년도 : 20230300
    • Keyword : 1. 핵수용체;최적화;작용제;근육위축증;약물성; 2. Nuclear receptor;Optimization;agonist;Muscular dystrophy;Drug like property;
  • 12138

    2022.12.31

    비공개항목입니다.
    • 연구책임자 : 김찬수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연구원
    • 발행년도 : 20230100
    • Keyword :
  • 12137

    2023.05.31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최종 목표 3차원 복사-유체 시뮬레이션(3D radiation-hydrodynamics)을 이용하여, 다양한 질량과 진화 단계를 갖는 항성의 표면 대류 현상에 대해 3차원 수치 모형군을 구축한다. 전체 내용 본 연구는 작은 질량을 갖는 항성들에 대하여 질량과 진화 단계에 따른 표면 대류층의 수치 모형군을 구축하는 것이다. 태양과 같은 작은 질량의 항성 표면과 대기는 정유체 평형이나 국부적 열평형 상태가 아니며, 중심에서 전달된 에너지가 매우 급격하게 대류에서 복사로 전환되는 전이지역으로 유체의 운동학적 특성뿐만 아니라 매질의 광학적 특성이 매우 중요한 요소가 된다. 따라서, 항성 표면 난류 현상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유체 역학적 계산 내에 정교한 복사 전달 과정이 포함되어야 한다. 3차원 복사-유체 시뮬레이션을 이용하여, 다양한 질량과 진화 단계를 갖는, 항성 표면의 3차원 수치 모형을 구축하는 것이며. 이로부터 항성 표면과 대기의 물리량의 분포를 정량적으로 파악하여, 항성 스펙트럼의 형성 과정에 대한 중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1단계 목표 복사-유체 코드 개발/점검 및 수치 모사 수행 내용 ▪ 다양한 질량과 진화 단계에 적합한 코드 개발 및 점검 ▪ 항성 환경에 적합한 물리량(흡수계수, 상태방정식) 테스트 ▪ 초기 모형 계산과 복사-유체 수치 모사 실시 연구개발성과 다양한 질량과 진화 단계의 항성 환경에 적합한 복사-유체 수치 코드를 개발, 점검하였다. 또한, 표면 대류 현상에 관련된 다양한 물리량들을 수치 코드 내에 일관된 방식으로 계산하여, 복사-유체 시뮬레이션의 시작 모형군을 갖추었다. 영년 주계열(ZAMS) 및 종단 주계열(TAMS)의 진화 단계를 갖는 항성의 표면 및 대기의 복사-유체 수치 모형을 구축하였으며, 적색 거성 단계의 시뮬레이션을 수행 중이다. 연구개발성과 활용계획 및 기대 효과 3차원 표면/대기 모형을 이용하여, 1차원 항성 내부 구조/진화 모형에서 불가피하게 차용해왔던 보조 변수들을 검증 및 보완할 수 있다. 태양의 금속함량비를 기준으로 만들어진 3차원 모형을 확장하여 다양한 금속함량비를 갖는 모형군으로 확장한다. 3차원적으로 운동하는 매질의 특성을 이용하여 정교한 스펙트럼 합성이 가능하다. (출처 :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김용철
    • 주관연구기관 : 연세대학교
    • 발행년도 : 20230600
    • Keyword : 1. 항성대기;광구;유체;복사전달; 2. Stellar atmospheres;Photosphere;Hydrodynamics;Radiative transfer;
  • 12136

    2023.05.31

    비공개항목입니다.
    • 연구책임자 : 이지환
    • 주관연구기관 : 주식회사 비스타글로벌
    • 발행년도 : 20230600
    • Keyword : 1. PTC 히터;방열;절연;전기자동차;복합필름; 2. PTC heater;radiation;insulation;electric car;composite film;
  • 12135

    2023.02.28

    □ 연구개요 o 진단 및 치료용 방사성동위원소를 이용하는 핵의학진료에 적용을 위한 개인선량계를 이용한 내부흡수선량의 정량평가 기술 개발 - 몬테카를로 전산실험 패키지를 이용한 방사성동위원소 사용 환경 구현 - 다양한 선량계를 이용한 선량측정 특성 평가 - 측정표면선량 기반 내부 방사능량 및 내부흡수선량 추정 알고리즘 개발 □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o 선량계 측정특성 평가 - 3종류의 상용 개인용 선량계에 대한 특성을 평가하였고, 개인 선량계들로 측정한 표면선량값들은 방사능량(물리적 반감기, 측정시간 고려)에 비례하였음. - 핵의학분야에서 사용이 확대되고 있는 섬광체-광센서 결합형 선량계 시작품의 특성 및 성능을 평가함. o 진단 및 치료용 방사성동위원소 표지 약물의 전신 유효 및 국소 선량 평가 - 전신 유효선량 및 국소장기의 선량평가에서 전신 유효선량 평가에 전신 방사능량 정보가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였음. - 내부흡수선량 평가를 위한 개인 선량계 부착위치가 중요하고, 방사성의약품의 특이 섭취부위에 대한 고려가 중요하였음. o 내부 방사능 및 흡수선량 추정을 위한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 및 프로그램 개발 - ML-EM알고리즘 기반의 내부 국소 방사능 추정법을 개발하였음. - NEMA body phantom 및 수학적 인체 팬텀에 선량계 부착을 구현한 PHITS시뮬레이션으로 내부 선원에서 방출되는 감마선의 방출량 추정이 가능함을 확인함. - 물리적 NEMA body phantom에 부착한 선량계와 동일한 위치에 선량계를 부착한 NEMA body phantom 조건을 구현한 PHITS 시뮬레이션으로 얻은 결과를 이용한 내부 방사능량의 추정값은 실제 사용한 방사능량과 유사한 값을 보였음. - 수학적 인체 팬텀 이용 시뮬레이션을 통한 인체 내 방사능량 추정결과도 설정한 방사능량과 높은 선형 관계를 보였음. o 표면 선량기반 내부 흡수선량분포 재구성 - 핵의학영상재구성법과 동등한 개념에 기반 한 반복적 재구성법으로 선량계의 측정값들을 이용하여 내부선량의 분포를 영상화가 가능하였음. - 재구성된 선량분포 영상의 공간적 분해능이 낮았으며, 선량계의 크기 및 위치 간격에 대한 의존성이 높았음. □ 연구개발성과의 활용 계획 및 기대효과 (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o 기존의 선량계 기반의 국소선량평가 기술과 달리 선량분포 영상화까지 가능한 방법 제시는 의료뿐만 향후 국내 방사선 계측 및 의료기기 분야에서 응용이 가능함. o 핵의학진료의 측면에서 기존보다 진료환경 및 환자 편이적 측면에서 새로운 임상 진료 방법 개발 및 제안에 기여할 수 있는 방법이 될 수 있음. o 연구개발 성과는 후속 연구수행을 통해 개발된 기술의 완성도와 적용범위 확대를 추진하고 이를 기반으로 임상적용 가능성 확인 및 검증 방안을 추진. o 연구개발을 통해 확인한 새로운 검출부 기반 선량계 기술을 이용하여 내부선량 측정에 효율적인 선량계 개발 및 검증 연구 수행 방안을 모색. o 국내에서 관심과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는 치료용 방사성의약품 연구개발 및 임상 적용 연구에 접목 가능성을 모색.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김경민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의학원
    • 발행년도 : 20230300
    • Keyword : 1. 개인용선량계;내부흡수선량;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방사성의약품;핵의학치료; 2. personal dosimeter;internal absorbed dosimetry;Monte-Carlo simulation;radiopharmaceuticals;nuclear medicine therapy;
  • 12134

    2023.02.28

    □ 연구개요 두경부암에서 방사선치료는 주요한 치료 방법이나, 방사선저항성을 갖는 경우가 종종 있어 충분한 치료 효과를 보기 힘든 경우가 있음. 이러한 방사선 저항성을 보이는 암에서 YAP의 발현이 증가되어 있다는 보고들이 있어 YAP-TEAD 결합억제제를 사용하여 두경부암에서 방사선저항성을 극복하는 전임상 연구를 시행하고자 하였음. 본 연구를 통해 두경부암에서 YAP-TEAD 발현과 조절을 통한 종양 형성 및 전이에서의 역할을 확인하고 YAP-TEAD 결합억제제의 방사선저항성 극복을 위한 역할을 확인하여 두경부암 치료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고자 하였음. □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본 연구팀은 다양한 두경부암 세포주의 YAP 발현량을 스크리닝하여 YAP 발현량이 상대적으로 높은 세포주 (HEP-2)와 낮은 세포주 (SNU-46)를 선정하였고, YAP 발현량이 높은 세포주에서는 YAP을 knockdown 시키고, YAP 발현량이 낮은 세포주에서는 YAP을 overexpression 시켜 YAP이 종양의 형성 및 방사선저항성에서 갖는 역할을 살펴보았음. YAP 발현이 높은 세포주에서 YAP을 knockdown 한 후 방사선 조사시 colony formation 정도가 저하됨을 확인하였으며, apoptosis가 증가함 또한 확인하였음. 더불어서 YAP-TEAD 결합억제제와 방사선을 병용 투여 시 종양 형성 억제효과가 방사선 단독 투여 시에 비해 증가됨을 확인하였음. HEP-2 wildtype 세포주와 YAP knockdown 세포주를 가지고 xenograft tumor model을 만든 후 tumorigenicity를 살펴본 결과 앞선 결과가 in vivo에서도 재현됨을 확인하였음. 반대로 SNU-46 세포주에서 YAP을 overexpression 한 후 방사선을 조사하였을 때 SNU-46 wildtype에비해 colony formation 정도가 증가함을 관찰하여 YAP이 두경부암의 악성도 및 방사선 저항성에 기여함을 확인하였음. □ 연구개발성과의 활용 계획 및 기대효과(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본 연구를 통하여 YAP이 두경부암의 악성도에 기여하며, YAP-TEAD 결합억제제가 새로운 치료제로서 임상에 적용될 가능성이 있음을 보여주었음. 특히 YAP-TEAD 결합억제제와 방사선치료 병용 투여 시 YAP-TEAD 결합억제제 단독 혹은 방사선치료 단독 투여와 비교하여 상승효과를 갖는다는 사실을 밝혀내어 두경부암의 방사선저항성을 극복할 수 있는 방법으로써의 가능성을 보여주었음. YAP-TEAD 결합억제제는 향후 면역치료제와도 병용요법으로 사용될 경우 치료 효과를 상승시키고 생존율을 개선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음. 이러한 YAP-TEAD 결합억제제와 기존 세포독성항암제, 방사선치료, 면역항암치료제 등과의 병용요법은 기존 치료에 대한 저항성을 극복할 혁신적인 치료제로서 임상에 적용되고, 새로운 임상 가이드라인이 될 수 있음을 기대하게 하였음. 이미 YAP-TEAD 결합억제제 선도물질이 개발되어있는 상황에서 기초 독성 실험 등이 통과되어 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임상연구가 진행되면 항암제 시장에서 국내 진출의 큰 전환점을 만드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됨.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이익재
    • 주관연구기관 : 연세대학교
    • 발행년도 : 20230300
    • Keyword : 1. 두경부암;YAP-TEAD 억제;방사선치료;방사선저항성;면역항암치료; 2. Head and neck cancer;YAP-TEAD inhibition;Radiotherapy;Radioresistance;Immunotherapy;
  • 12133

    2022.12.31

    □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 최종 목표 연구 질문: 누가 한국의 폐기물 처리 기반시설을 유지하는가? 왜 그들을 메인테이너라고 호명하고 드러내는 것이 중요한가? 위의 연구질문에 답함으로써 한국의 폐기물 처리 기반시설의 유지 보수 노동에 얽힌 다양한 문제를 드러내고 서사를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전체 내용 연구 동기: 과학기술 “혁신” 에 집중되는 예산 및 인력에 비해 혁신의 결과물로 사회에 깊숙이 자리한 기반시설을 유지하고 보수하는 사람들에 대한 관심은 부족하다. 그 중에서도 혁신의 과정에서 나오게 되는 부산물들, 즉 폐기물을 처리하기 위한 기반시설은 대개 조명을 받지 못한다. 위의 연구질문에 답하기 위해 크게 세 가지의 폐기물 처리 기반시설 (경주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 저장시설, 세종 및 대전 “자동크린넷“ 폐기물 집하시설, 서울 마포 자원회수시설(소각장)) 현장을 방문하고 노동자들을 인터뷰하는 방식으로 연구를 수행했다. □ 연구개발성과 수행한 인터뷰 및 현장 방문을 바탕으로 여러 편의 사진 에세이를 작성하였다. 또한 본 프로젝트의 토대가 된 중요한 저작물인 “Hail the Maintainers”를 한국어와 프랑스어로 번역함으로써 메인테이너 개념을 다양한 언어로 소개하고자 했다. 이러한 저작물을 학계에 출판하기에 앞서, 재난학과 과학기술학 분야의 현장 연구자들의 연구 결과 아카이브이자 네트워크 허브인 Disaster-STS Network Platform(disaster-sts-network.org) 에 게시하였다. □ 연구개발성과 활용계획 및 기대 효과 아직 수행하지 못한 인터뷰와 현장 방문(특히 자동크린넷을 설계한 엔지니어, 자동크린넷을 도입한 공무원, 수도권 재활용폐기물선별장 노동자, 등) 을 마친 뒤 연구 성과를 좀더 정교하게 다듬어 학회지에 논문을 출간할 예정이다. 또한, 메인테이너를 주제로 패널을 구성하여 과학기술학 분야의 가장 권위있는 국제 학회인 4S(Society for Social Studies of Science) 2023에서 발표를 할 예정이다. 이러한 시도는 다양한 정책 함의를 도출하고 홍보하기 위함이다. 특히, 본 연구는 한국의 폐기물 기반시설의 메인테이너를 다룬 만큼, 연구의 배경이자 무대가 된 한국의 정책 현실과 학계에 기여하기 위해 한국어 출판물도 계획 중이다. 도시 기반시설과 자연환경의 유지보수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폐기물처리 기반시설을 유지보수하는 노동자들의 중요성과 그들이 처한 열악한 노동환경을 드러내는데 기여하길 기대해 본다. (출처 : 요약문 4p)
    • 연구책임자 : 스캇 게이브리얼 놀스
    • 주관연구기관 : 한국과학기술원
    • 발행년도 : 20230100
    • Keyword : 1. 메인테이너;폐기물;기반시설;보이지 않는 노동;현장 연구; 2. Maintainer;Waste;Infrastructure;Invisible Labor;Field Wo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