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Report

All 12,458 Page 25/1,246

검색
  • 12218

    2023.02.28

    연구개요 디지털 트윈을 활용한 AI의료서비스 제공하기 위한 전립선암의 임상의사결정지원을 목적으로, 디지털 트윈 기법을 적용하여 실제 전립선암 환자를 물리모델 (Physical Model)로 정의하고 치료방법 및 프로세스 등의 컴퓨터적 모델로 가상 모델 (Twin, Virtual model)로 구성하여 실제 환자 수술 이전에 가상환경으로 AI 분석함으로써 수술 효과에 따른 예후 문제 및 예측방법을 제공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 전립선암의 치료 프로세스 모델링 - 전립선 암 치료 프로세스에 대해 가상의 모델 구성을 위한 상태 모델링 방법을 통한 3가지 계층 모델 설계(암 치료 프로세스 모델, 데이터 프로세스 모델, 공학급 모델). 치료모델에 대한 프로세스를 컴퓨터가 실행 가능한 형태로 구성하고, 그 동작에 대해서는 머신러닝 모델을 활용하여 동작되도록 설계 ◦ 머신러닝 기반 모델 개발 - Time to PSA nadir 예측을 위한 머신러닝을 적용하기 위해 각 치료방법별로 Time to PSA Nadir (TTN)을 미리 예측하는 방법 개발. Radical Prostatectomy (RP) 및 보조치료 요법인 Androgen Deprivation Therapy (ADT), Radiation Therapy (RT) 여부에 따른 예측모델을 다이나믹 뉴럴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생성.치료방법별 TTL 결과 제공 - Partial Correlation Neural Network를 개발하여 Biochemical Recurrence (BCR)을 예측하는 알고리즘을 제공 ◦ 디지털 트윈기반 임상 의사결정 지원 시스템 - Biopsy 정보를 활용하여 Pathology 및 BCR을 예측할 수 있는 머신러닝 기반의 디지털 프레임 워크 개발 - 재발이후의 치료추천을 위한 Classifier Chain 방법을 적용함. 1차 치료부터 2차치료까지의 방법에 대해 BCR, 2번째 BCR을 예측할 수 있는 모델을 제공 연구개발성과의 활용 계획 및 기대효과 (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전립선암 치료에 임상의사결정시스템 도입은 의료체계의 기술 선두 점유를 가능하게 하며, 정밀의료서비스를 통한 삶의 질 만족도 향상 가능 - 기술적 측면: 의료 및 헬스케어 서비스 시장에 대한 디지털 트윈 기반 시스템의 개발로 의료 + IT 융복합 산업 분야의 저변을 넓히고 빠른 속도로 성장하는 글로벌 의료 및 스마트헬스 시장에서도 경쟁력을 갖출 수 있을 것으로 기대 - 경제 및 산업적 측면: 전립선암 관련 국가사업을 통해 의료비용 등 국가적 손실을 최소화, 디지털 트윈 형태의 서비스 구축의 틀을 마련함으로써, 모델의 개선을 통한 미래의 융복합 산업의 발전을 도모 - 의학적 측면: 개개인의 생물학적, 유전적, 환경적 차이에 따라 개별 환자에게 적합한 치료 기술을 적용하는 맞춤의학 (tailor-made medicine) 가능 - 사회 문화적 측면: 암 질환 치료의 메디컬 오류에 대한 편견 해소 및 빅데이터 사업의 추진을 통한 데이터 기반 문화 확산, IT기술 활용 문화 확산을 통한 안전한 생활환경 구축, R&BD 결과를 의료산업에 활용하여 국민 정신보건 수준 향상 (출처 :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최인영
    • 주관연구기관 : 가톨릭대학교
    • 발행년도 : 20230300
    • Keyword : 전립선암;디지털트윈;인공지능;머신러닝;임상의사결정지원시스템;
  • 12217

    2023.11.30

    Ⅱ. 연구개발의 목적 및 필요성 - 목적 ⦁첨단산업분야(원전, 방산, 항공, 우주, 조선산업 등) 기술 개발 응용 ⦁미래산업 육성 및 산업체 가속기 활용 활성화를 위한 차세대 복합빔 조사시설 구축 - 필요성 ⦁방산, 원자력 분야 부품·장비 첨단화 필요에 따른 부품 및 소재 결함 분석 고도화 필요 ⦁국내 유일 중성자원인 ‘하나로’의 가동 중단으로 미래기술 개발을 위해 대체 장비 필요 ⦁결함분석을 위해 X-ray를 활용하고 있으나 복합소재 및 밀도 높은 소재 분석 불가능 Ⅲ. 연구개발의 내용 및 도출결과 - 복합빔 시설의 창원국가산업단지2.0 내 구축 당위성 수립 ⦁창원은 전국 방산매출액 24.1% 등 국내 최고 방위산업 핵심도시 ⦁산업부, 국토부(‘23.3.15) 국가첨단산업벨트 조성 계획에 방위·원자력 융합 지역으로 선정 ⦁연관 산업 클러스터 및 우수한 연구 인프라 보유 - 도출된 복합빔 시설의 규모 및 상세제원 ⦁사업예산: 4,500억원, 사업기간: ’25 - ‘29(5년), 부지면적: 000,000m3 ⦁제원 및 조사면적 등 - 향후 사업 추진방향 ⦁시설 및 장치의 설계, 구축 및 운영 등을 위해 경험과 노하우를 보유한 전문기관이 주관 Ⅳ. 기대효과 - 경남권의 산·학·연을 연결하는 첨단방위·차세대 원자력 산업 요충지로 활용 가능 ⦁(산업체 및 산업단지) 밀양나노센터, 김해골든루트산업단지, 한화에어로스페이스 등 ⦁(대학) 경상국립대학고, 연암공과대학교, 인제대학교, 창원대학교 등 ⦁(연구원) 한국재료연구원, 국방기술품질원, 국방기술진흥연구소 등 - 차별화된 결함 이미지 분석을 통한 첨단방위·차세대원자력 산업의 도약에 기여 가능 ⦁선도적 서비스 모델을 구축하여 신뢰성에 기반한 제품의 글로벌 시장 경쟁력 확보 ⦁인력양성을 통해 신속・정확한 품질 검증・조사 서비스 제공 ⦁자체 연구부서 운영을 통하여 고도화된 융합 하이브리드 영상 시스템 제공 (출처 : 요약문 4p)
    • 연구책임자 : 이종만
    • 주관연구기관 : 한국재료연구원
    • 발행년도 : 20231200
    • Keyword : 1. 복합빔;조사시설; 2. Multiple ion beam;Irradiation facility;
  • 12216

    2023.02.28

    □ 연구개요 췌장형성이 억제된 PDX1 유전자 결손 복제돼지 수정란 또는 태아에 각각 인간 유도만능줄기세포 또는 췌장전구세포를 이식하고 체내분화를 통하여 인간 췌장을 생산한다. □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 연구목표 - PDX1 유전자 결손 돼지 복제수정란 또는 태아에 인간 유도만능줄기세포 또는 췌장전구세포를 이식하고 체내분화를 통하여 인간 췌장을 생산 (생명윤리법에 의한 제약으로 인한 윤리적 논란을 피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 포배상보의 경우에는 인간 대신 영장류의 유도만능줄기세포를 사용하였음) ◯ 연구결과 - PDX1 유전자 결손 복제돼지를 생산하고 췌장형성이 억제됨을 확인 - PDX1 유전자 결손 돼지 복제수정란에 영장류 유도만능줄기세포를 이식하였을 때 췌장세포로 분화되지 않았음 - 인간 섬유아세포의 직접교차분화에 의하여 췌장전구세포 생산 - 인간 췌장전구세포를 자궁내의 마우스 태아에 이식하였을 때 인간 췌장세포포 분화가 가능 - 포배상보에 의해 돼지에서 영장류 췌장 생산이 실패함에 따라 BTK 유전자 결손 복제돼지에서 영장류 B cell을 생산하는 연구를 추가로 진행 - BTK 유전자 결손 복제돼지를 생산하고 B cell 형성이 억제됨을 확인 - BTK 유전자 결손 복제수정란에 영장류 유도만능줄기세포를 이식하였으나 B cell로 분화를 확인할 수 없었음 □ 연구개발성과의 활용 계획 및 기대효과(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 현재까지의 연구결과 특정 유전자(PDX1 및 BTK)의 결손에 의해 특정 장기(췌장)나 세포(B cell) 발생의 억제가 가능 - 그러나 유전자 결손 복제수정란에 영장류 유도만능줄기세포를 이식하였을 때 특정 장기나 세포로의 발생을 확인할 수 없었음 - 이는 돼지와 영장류 간 초기발생의 차이점과 더불어 배반포기 수정란과 전분화능 줄기세포간의 분화 양상과 타이밍의 불일치에 기인한 것으로 추정됨 - 다만 인간 췌장전구세포를 자궁내의 마우스 태아에 이식하였을 때 인간 췌장세포포의 분화가 가능함을 확인 - 전분화능 줄기세포를 배반포기 수정란에 이식(포배상보)하는 것보다 전구세포를 착상후 태아에 이식(태아상보)하는 것이 돼지 체내에서 인간 장기의 생산 가능성을 높일 것으로 생각됨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심호섭
    • 주관연구기관 : 단국대학교
    • 발행년도 : 20230300
    • Keyword : 1. 유전체 편집;체세포핵이식;태아상보;포배상보;직접교차분화; 2. genome editing;somatic cell nuclear transfer;blastocyst complementation;conceptus complementation;direct conversion;
  • 12215

    2023.08.31

    □ 연구개요 희토류 원소를 구성하는 원자핵의 구조에 대한 이론적 기반을 구축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특히 희토류 원소의 에너지 스펙트럼 및 전자기전이율에 관한 실험데이터는 부족한 실정이므로 이러한 이론을 바탕으로 실험데이터의 이론적 예측 및 실험 방안의 가이드라인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IBM을 바탕으로 희토류 영역에 속하며 회전적인 성질과 진동 스펙트럼을 동시에 가지는 변형핵의 에너지스펙트럼 및 낮은 에너지준위 사이에서 일어나는 전자 기전이와 같은 핵의 성질을 analytic하게 계산하는 것이 목적이다. □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중간 및 무거운 짝수-짝수 변형핵의 집단운동의 성질은 핵물리학에서 중요한 과제 중의 하나로 IBM을 이용하여 다양하게 연구되어 왔다. 집단적 성질을 가진 핵의 에너지준위와 여러 가지 전자기적 성질에 대한 IBM의 성공에도 불구하고 자기쌍극자(M1) 전이에 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미흡하였다. 희토류 영역의 변형핵에 3MeV 근처의 K=1 띠에 속한 1+ 준위의 발견으로 IBM-2에 의한 집단핵의 자기적 성질의 이론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져왔다. 가위모드라 불리는 1+ 상태는 아이소벡터 궤도 M1 들뜸상태로 설명되고, 주로 희토류 영역에 속하는 강하게 변형된 핵에서 일반적인 현상으로 알려져 있는 기본 들뜸모드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해석학적 기술방법으로 수학적 formalism을 통해 실험적 현상을 설명하고자 한다. 최근 변형핵(deformed nuclei)과 입자의 산란 및 변형핵에 의한 방사포획반응이론 등 희토류 영역의 변형핵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연구는 변형핵의 구조와 같은 기초적인 이론 즉 핵구조(nuclear structure)이론을 필요로 한다. 핵구조이론에 관한 연구는 현재 국내외의 많은 대학 및 연구소에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이론적으로 풀리지 않는 몇 가지 문제점으로 인해 거의 대부분의 연구가 수치계산(numerical calculation) 위주로 이루어지고 있다. 핵의 구조 연구에서 수치적 방법은 실험결과를 비교적 정확히 설명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계산과정을 파악하기 힘들어 물리적 의미를 찾기가 어렵다. 우주에서 핵합성 등의 측정 또는 실험 불가능한 상황은 이러한 이론적 모형에 의해 설명될 수 있다. 중성자 포획 후 방출 감마선을 측정한 실험결과를 이론적인 핵모형에 의하여 잔류핵의 물리적 성질(에너지준위와 전자기전이 등)이 다양하게 연구되고 있다. 그러나 많은 핵자료는 여전히 가공되지 않은 채로 있으며 이의 정밀하고 합리적인 해석을 위해 핵물리학에서 이론의 활발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 짝수-짝수 변형핵 뿐 아니라 홀수-A 변형핵의 구조 연구를 통해 에너지스펙트럼을 포함한 전자기전이의 analytic expression이 완성되면 수치계산 결과에 대한 통찰력과 transfer reaction 및 중성자 포획반응에 관련된 실험에 이론적 기초(base)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연구개발성과의 활용 계획 및 기대효과(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본 연구에서는 IBM과 IBFM을 바탕으로 동역학적 대칭인 Hamiltonian에 phase transition에 관련된 1차 섭동항을 첨가하여 비교적 넓은 범위에 해당하는 변형핵의 에너지스펙트럼 및 전자기적 성질을 analytic expression으로 나타내고자 한다. 이 결과는 물리적 통찰력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기하학적 모형과의 대응·비교를 통해 집단모형(collective model)내의 상호관계 정립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우주에서 핵합성 등의 측정 또는 실험 불가능한 상황은 이러한 이론적 모형에 의해 설명될 수 있다. 중성자 포획 후 방출 감마선을 측정한 실험결과를 이론적인 핵모형에 의하여 잔류핵의 물리적 성질이 다양하게 연구되고 있다. 그러나 많은 핵자료는 여전히 가공되지 않은 채로 있으며 이의 정밀하고 합리적인 해석을 위해 핵물리학에서 이론의 활발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 짝수-짝수 변형핵 뿐 아니라 홀수-A 변형핵의 구조 연구를 통해 에너지스펙트럼을 포함한 전자기전이의 analytic expression이 완성되면 수치계산 결과에 대한 통찰력과 transfer reaction 및 중성자 포획반응에 관련된 실험에 이론적 기초(base)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희토류 원소의 에너지 스펙트럼 및 전자기전이율에 관한 실험데이터는 부족한 실정이므로 이러한 이론을 바탕으로 실험데이터의 이론적 예측 및 실험 방안의 가이드라인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이수연
    • 주관연구기관 : 동의대학교
    • 발행년도 : 20230900
    • Keyword : 1. 희토류 원소;변형핵;보오존 상호작용 모형;보오존-페르미온 상호작용 모형;중성자 포획반응; 2. rare-earth nuclei;deformed-nuclei;IBM;IBFM;neutron-capture reaction;
  • 12214

    2023.10.31

    1. 연구개발과제의 개요 1) 연구개발의 목적 □ 최종 연구개발 목표 ◦ 원전의 안전성 향상을 위한 중대사고 기기생존성(ES1)) 평가 기술 개발 ◦ 중대사고 기기생존성 평가 설비 구축 ◦ 중대사고 기기생존성 평가 체계를 통한 원전 규제 대응 및 산업계 수탁과제 수행 □ 당해 연구개발 목표 ◦ 중대사고 기기생존성 관련 규제요건 분석 ▹ 사고관리계획서 유관기관 협업체계 구축 ▹ 중대사고 기기생존성 평가 관련 규제 및 환경조건 연구 ◦ 중대사고 환경 모사 시험설비 개선 및 운용 ▹ 중대사고 기기생존성 시험설비 개선 및 운용기술 개발 ▹ 중대사고 기기생존성 실증시험 수행 ◦ 기기생존성 평가 기술 및 중대사고용 방화랩(Fire Wrap) 설계기술 개발 ▹ 중대사고 기기생존성 종합영향평가 수행 ▹ 중대사고 대처설비 생존성 향상기술 개발 ▹ 중대사고 환경에서의 상승효과를 고려한 비금속소재 열화평가 기술 개발 (출처 : 본문 1. 연구개발과제의 개요 3p)
    • 연구책임자 : 김대환
    • 주관연구기관 : 한국기계연구원
    • 발행년도 : 20231100
    • Keyword : 1. 중대사고;기기생존성;생존성향상;실증시험;안전등급기기; 2. Severe Accident;Equipment Survivability;Survivability Improvement;Type Test;Safety Related Equipment;
  • 12213

    2023.08.31

    □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ㆍ 최종 목표 본 연구에서는 선행 연구를 통해 제올라이트 동공 내에 도입될 수 있음이 확인된 1) 수분에서도 안정한 발광 특성을 가진 나노구조체를 세슘 흡착 능력이 높은 차바자이트(CHA), 모데나이트(MOR), 제올라이트 RHO 및 제올라이트 LTA에 도입하고자 한다. 2) 이러한 나노구조체가 도입된 다공성 물질의 세슘 흡착에 의한 발광 특성을 관찰하여, 3) 궁극적으로 방사성 폐수중에서 선택적으로 세슘 흡착 능력이 뛰어나고, 세슘 흡착에 따라 발광 특성을 보여 센서 역할을 할 수 있는 발광 세슘 흡착제를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ㆍ 전체 내용 연구의 전체 내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세슘 흡착능력이 좋은 차바자이트(CHA), 모데나이트 (MOR), 제올라이트 RHO 및 제올라이트 LTA를 합성하였다. 다공성 물질의 합성은 기존에 알려진 방법을 토대로 수행하였다. 제조된 다공성 물질을 이용하여 용액이온교환 반응과 더불어 기체이온교환반응을 이용하여 발광 특성이 있는 나노구조체를 다공성 물질의 동공내에 도입하는 방법을 고안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하고자 하는 차바자이트(CHA), 모데나이트(MOR), 제올라이트 RHO 및 제올라이트 LTA는 각기 다른 형태의 다공성 물질이기 때문에, 발광 특성이 우수한 최적의 조건을 찾기 위해서 다양한 조건에서 다공성 물질 내의 나노구조체 도입 연구를 수행하였다. 다양한 조건에서 다공성 물질 내에 나노구조체를 도입하는 방법을 확립한 후에는 안정적으로 발광 나노구조체가 도입된 다공성 물질의 물리화학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나노구조체가 도입된 물질의 구조적 특성은 single-XRD와 powder-XRD 장비를 활용하여 분석하였고, 이들이 가지는 발광 특성은 교내 공동실험실습관과 기초과학연구지원 대구센터의 기기 장비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나노구조체가 도입된 물질이 여전히 우수한 Cs 흡착능을 가지고 있는지 평가하기 위하여 다양한 농도를 가진 Cs용액을 이용하여 다공성물질의 흡착능을 확인하였다. □ 연구개발성과 본 연구과제에서 1)높은 세슘흡착 능력을 보이는 차바자이트(CHA), 모데나이트 (MOR) 제올라이트 RHO 및 제올라이트 LTA에 발광 나노구조체를 도입하여 2) Cs 흡착에 따라 발광 특성이 변하는 다공성 물질을 개발하였다. □ 연구개발성과 활용계획 및 기대 효과 이를 활용하여 실질적으로 방사성 폐수에서 선택적으로 Cs을 흡착하는 동시에 Cs 흡착에 의한 발광 특성을 보이는 흡착제를 개발할 수 있을 것이다. 더 나아가, 방사성 폐수에서의 Cs이 어느정도 남아있는지를 가시적으로 확인하면서, 흡착제의 사용 빈도 및 사용 양을 조절할 수 있는 Cs 흡착 센서로 활용될 수 있다. 이렇게 Cs 흡착에 따라 발광 정도가 변하는 흡착제가 개발된다면, 불필요한 흡착제의 사용을 저지할 수 있기 때문에 비용절감 효과를 가져올 뿐만 아니라, 환경보호 측면에서도 큰 효과를 가져올 것이다. (출처 :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임현승
    • 주관연구기관 : 안동대학교
    • 발행년도 : 20230900
    • Keyword : 1. 방사성 세슘 제거;결정분석;발광 나노구조체; 2. removal of radioactive cesium;crystallography;luminescent nanoparticle;
  • 12212

    2022.12.31

    Ⅳ. 연구개발결과 1. 생쥐 testis의 Spermatogonia stem/progenitor cell을 matrigel을 활용하여 in vitro 배양하고 marker들의 발현을 확인함 2. 생쥐 Hematopoietic stem/ progenitor cell을 이용한 colony forming assay와 생쥐 혈액 분석을 통해, testis와 달리 고선량률 방사선에 의해 더 심함 독성이 유도됨을 확인함 3. 확립된 줄기세포주인 UCB-MSCs를 이용하여 저선량률 및 고선량률 방사선이 줄기세포의 분화, 세포주기 및 성장에 대한 영향을 확인함 (출처 : 요약문 3p)
    • 연구책임자 : 이창근
    • 주관연구기관 : 동남권원자력의학원
    • 발행년도 : 20230100
    • Keyword : 1. 저선량 방사선;선량률;정자발생단계;정소줄기세포;조혈모세포; 2. low-dose radiation;dose-rate;spermatogonia stem cell;hematopoietic stem cell;
  • 12211

    2022.12.31

    Ⅱ. 연구개발의 목적 및 필요성 (필요에 따라 제목을 달리할 수 있습니다) 안구 림프종 방사선 치료 시 3D 프린터를 이용한 수정체 차폐의 유용성 검증 Ⅲ. 연구개발의 내용 및 범위 (필요에 따라 제목을 달리할 수 있습니다) 1. 금속 3D 프린터 물질 조사 및 특성 연구 - 몬테카를로 전산모사를 위한 전자선 가속기 모델링 및 빔 매칭 - 몬테카를로 전산모사를 이용한 후보 물질의 차폐성능 평가 2. 3D 프린팅 차폐체 제작 및 차폐성능 평가 - 전산모사 데이터와 실측 데이터 비교를 통한 차폐 적정성 평가 - 3D 프린팅 차폐체의 모양 재현성 및 선량 특성 평가 - 3D 프린팅 차폐체의 차폐성능 비교 3. 맞춤형 차폐체 제작 및 방사선 치료에 적용 - 전자선 치료 시 3D 프린팅 수정체 차폐체와 기존 수정체 차폐체 사용에 따른 안구 주변 선량 분포와 비교 분석 - 3D 프린터를 이용한 환자 맞춤형 수정체 차폐 유용성 평가 Ⅳ. 연구개발결과 (필요에 따라 제목을 달리할 수 있습니다) 1. 금속 3D 프린팅 차폐체 제작 2. 고에너지 전자선 차폐효율 검증 3. 금속 3D 프린팅 기반의 수정체 차폐체 제작 및 검증 Ⅴ.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 (필요에 따라 제목을 달리할 수 있습니다) 1. 3D 프린터를 활용한 전자선 차폐체는 기존 전자선 차폐체와 비교하여 차폐성능 및 선량분포의 큰 차이가 없다면 안구 림프종 방사선 치료에 적극적으로 활용 가능함. 2. 3D 프린터를 이용한 환자 맞춤형 차폐체 물질 및 제작공정의 가이드 라인을 제시. 3. 환자 맞춤형 차폐체를 이용하여 방사선에 민감한 수정체 및 안와 주변의 정상조직을 보호하면서 정확한 치료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됨. (출처 : 요약문 4p)
    • 연구책임자 : 문영민
    • 주관연구기관 : 동남권원자력의학원
    • 발행년도 : 20230100
    • Keyword : 1. 방사선치료;방사선 차폐;금속 3D 프린터;고에너지 전자선;원발성 안와 림프종; 2. Radiation theraphy;radiation sheilding;metal 3D printer;high energy electron;Primary Intraocular Lymphoma;
  • 12210

    2023.01.31

    Ⅳ. 연구개발결과 ○ 공개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여 바이오마커 후보의 전사체 분석 ○ 바이오마커 후보의 전사체 분석을 통해 활용 가능한 화합물 발굴 및 평가 ○ 동물모델에서 방사선보호제 후보물질의 개체수준 유효성 평가 ○ 방사선보호제 후보물질의 작용기전 확인 ○ 혈액 분리칩과 후보물질 감지칩이 통합된 진단키트 개발 ○ 암 진단·치료용 후보인자 패널 탐지 바이오칩 기술의 유효성 평가 ○ 후보물질 정밀 탐지를 위한 전기화학적 시료(바이오마커-프로브) 반응 분석용 소프트웨어 구축 ○ 후보물질 정밀 탐지 시료 반응 정량화 및 최적화 ○ 혈액생검 분석 키트(카트리지) 전용 리더 장치 시작품 제작 ○ 혈액분리 바이오칩 시작품 제작 ○ 혈액분리 바이오칩에서 혈구 계측 효율 측정을 위한 백혈구 염색법 구축 ○ 신규 방사선 바이오마커의 암 진단 및 치료 세포 내 유효성 평가 ○ 신규 방사선 바이오마커의 암 진단용 압타머 개발 및 최적화 ○ 바이오마커의 압타머 활용 암 진단 및 치료용 바이오키트 시작품 개발 ○ 암 진단 및 방사선치료 예후 예측용 신규 바이오마커 HRP-3의 생물학적 유효성 평가 완료 ○ 신규 바이오마커 HRP-3 활용 진단용 바이오키트 제작을 위한 압타머 최적화 실시 완료 ○ HRP-3 바이오마커 및 압타머 이용한 바이오키트 시작품 1종 개발 및 제작 완료 ○ HRP-3 압타머쌍을 이용한 진단용 바이오키트 시작품 사용 최적 프로토콜을 완성 ○ 딥러닝 기반 방사선 반응 조절 인자 탐색 생명정보공학 소프트웨어 개발 ○ 내방사선 기능 구현을 통한 방사선 환경 적합 IoT 커넥터 성능 개선 및 시제품 제작 (출처 : 요약문 4p)
    • 연구책임자 : 안지연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의학원
    • 발행년도 : 20230200
    • Keyword : 1. 방사선의공학;바이오칩;바이오키트;바이오마커;플랫폼;IoT커넥터; 2. Radiation medical engineering;Bio-chip;Bio-kit;Bio-marker;platform;IoT connector;
  • 12209

    2023.04.30

    비공개항목입니다.
    • 연구책임자 : 안광선
    • 주관연구기관 : 베스트에너지(주)
    • 발행년도 : 20230500
    • Keyword : 1. 고분자 필름;방사선차폐;방사성 폐기물;소프트 백;원자력; 2. Polypropylene Film;Radiation Shield;Radiation Waste;Soft Bag;Nuclear,power pl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