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Report

All 12,447 Page 21/1,245

검색
  • 12247

    2023.07.31

    Ⅳ. 연구개발 결과 ● 중저선량 방사선의 임상적 활용을 증대시키기 위한 정책과제로 뇌질환, 관절염 및 폐 질환에 대한 연구현황, 특허현황 및 산업현황에 대한 분석을 진행 ● 이를 바탕으로 향후 진행되어야할 RFP를 제안 ● 도출과정에 전문가 설문조사, 국내외 논문현황분석 (2010년 이후), 및 특허/산업계 분석을 진행하였고 이 결과를 공청회 및 전문가 자문회의를 통해 공정성을 확보 ● 또한 위해도/독성에 대한 분석을 따로 진행함으로써 중저선량 방사선 치료시 나타날 수 있는 독성/부작용에 대한 연구의 타당성을 제시 ● 위의 과정을 통해 도출된 내용은 ✓ 중저선량 방사선치료 가능 질환별 전임상 연구 체계 도출을 위해 질환 (뇌질환, 관절염, 폐렴을 포함한 폐질환등) 도출 ✓ 각 질환별 전임상 동물모델 제시, 각 질환별 중저선량 전임상 방사선 치료 사례기반 선량 조사 및 분석하여 각 질환별 최적의 선량 제시 ✓ 중저선량 방사선의 질환별 전임상 치료 효과 분석 방법론 제시 ✓ 중저선량 방사선 위해성 평가 방법론 도출을 위해 장기(organ)별 중저선량 방사선 위해성 평가 방법론 제시 ✓ 특히 중저선량 선량 특이적 위해성 평가 방법론 제시하였음. (출처 : 요약문 5p)
    • 연구책임자 : 이윤실
    • 주관연구기관 : 이화여자대학교
    • 발행년도 : 20230800
    • Keyword : 1. 중저선량 방사선;치료;방사선선량;부작용/독성. 뇌질환;관절염;폐질환; 2. Intermediate radiation;Treatment;Radiation dose;Side effects/Toxicity;Neuronal disease;Arthritis;Pulmonary disease;
  • 12246

    2023.10.31

    Ⅳ. 연구개발 결과 ○ 미국과는 성과 측면보다는 협력관계 창출 측면에서 목적성이 보였으며, I-NERI 사업 중단을 요구한 미국의 의도로 보아 성과 측면에서는 적어도 미국에는 큰 이득이 없었던 것으로 평가 ○ 영국과는 핵연료주기·방사성폐기물관리기술 분야에 편중되어 우리나라의 해체 분야 기술 습득의 목적으로 국제공동연구가 활용되었으며 최소 질적 성과 측면에서 봤을 때 상당한 성과를 창출한 것으로 평가 ○ 이를 통해, 미국과는 협력관계 측면보다는 중요한 목표를 부여한 국제공동연구의 추진, 그리고 I-NERI 사업 중단에 따른 협력 논의를 위한 공식창구 재건 방안을 제안함. ○ 영국과는 기존 국제공동연구와의 연속성을 위해 영국의 해체 산업계와 협력하고, 선진원자로 등 양국의 현 시점에 수요로 하는 분야에 대한 협력 창출이 필요 (출처 : 요약문 5p)
    • 연구책임자 : 이영우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연구원
    • 발행년도 : 20231100
    • Keyword : 1. 한미 국제공동연구;한영 국제공동연구;국제공동연구 성과 평가;국제공동연구 추진전략;종합성과 평가; 2. Korea-U.S. International Collaborative Research;Korea-U.K. International Collaborative Research;International Collaborative Research Performance Evaluation;International Collaborative Research Promotion Strategy;Comprehensive Performance Evaluation;
  • 12245

    2023.08.31

    비공개항목입니다.
    • 연구책임자 : 박진희
    • 주관연구기관 : 인제대학교
    • 발행년도 : 20230900
    • Keyword : 1. 방사선 치료;Abscopal 효과;면역치료;유방암;전이; 2. Raiotherapy;Abscopal effect;Immunotherapy;Breast cancer;Metastasis;
  • 12244

    2023.05.31

    Ⅳ. 연구개발 결과 ◯ 2023년 5월 기준 세계적으로 109기의 양성자 치료기, 15기의 중입자 치료기 그리고 3기의 붕소 중성자 포획 치료기가 운영되고 있으며, 건설 중이거나 임상 중인 양성자 치료기는 33기, 중입자 치료기는 4기 그리고 붕소 중성자 포획 치료기는 12기임 ◯ 양성자 치료기의 경우 초기에는 싱크로트론이 양성자 치료에 적합한 가속기 형태라고 여겨졌으나, IBA에서 양성자 치료기 전용 사이클로트론을 개발한 이후에는, 운영 중인 양성자 치료기의 70% 정도를 사이클로트론 형태의 가속기가 차지하고 있음. 최근에는 초전도 기술을 바탕으로 한 싱크로사이클로트론을 개발하여 장치를 소형화, 경량화하는 방향으로 기술이 발전하고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한 single room 치료기의 수요가 증가하고, 갠트리에 사이클로트론을 탑재한 치료기도 등장하고 있으며, 기존의 passive scanning 방식에서 pencil beam을 이용한 active scanning 방식으로 바뀌고 있음 ◯ 중입자 치료기의 경우에는 초기부터 싱크로트론이 사용되었으며, 다가 이온원 개선, 선형가속기 (RFQ, DTL) 개선이 이루어졌음. 중입자 치료기는 탄소 빔의 magnetic rigidity가 크기 때문에 1994년 치료를 시작한 이후 계속 받침대 치료를 하다가, 2012년에 비로소 상전도 갠트리를 개발하여 치료에 사용하였음. 이후 초전도 갠트리를 개발하여 2017년도에 치료에 사용하였고, 이후 초전도 갠트리가 중입자 치료에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중입자 치료기의 경우에는 가속기 자체보다도 갠트리가 치료기의 발전을 이끌었다고 볼 수 있음. 또한 싱크로트론의 특성상 에너지 조절이 가능하므로 voxel 단위로 빔을 조사하는 active scanning 방식을 사용하고 있음 ◯ 붕소 중성자 포획 치료기의 경우 고출력 양성자가속기 기술 개발과 표적 물질 및 설계기술의 발전에 따라 초기 30 MeV 에너지의 양성자를 베릴륨 표적에 충돌시켜 많은 중성자를 발생시키는 방법으로부터, 고출력 양성자가속기를 이용하여 가속한 8 MeV 정도의 양성자를 베릴륨 표적에 충돌시키고, 이로부터 발생하는 고에너지 중성자를 효율적으로 감속시켜 치료에 적합한 에너지 범위의 중성자를 얻는 방법으로의 기술 전환이 일어났음. 최근에는 2.5 MeV 양성자를 리튬 표적에 충돌시켜 중성자를 얻는 기술도 개발되고 있으며, 에너지가 낮으므로 기존의 고주파 선형가속기 이외에 정전형 가속기도 사용할 수 있어 그 다양성이 증가하고 있음. 또한, 장치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하여 안정적인 가속기 운영 기술 이외에 표적설계 및 중성자 수송 기술 그리고 약물 개발이 중요함 ◯ 국내에서 양성자 치료기에 관한 연구는 많이 되어 왔음. 국립암센터, 서울삼성병원에서 양성자 치료기를 성공적으로 운영하고 있고, 이를 바탕으로 장치 특성 파악, 운영 기술 그리고 치료계획시스템 운영에 대해서는 많은 경험이 있음. 사이클 로트론과 관련해서는 13 MeV 사이클로트론, 30 MeV 사이클로트론을 국내기술로 개발한 경험이 있기 때문에, 전통적인 사이클로트론에 대해서도 기술력을 갖고 있음. 그러나 소형화, 경량화를 목표로 발전하고 있는 초전도 싱크로사이클로트론에 대한 국내 기술력 정도는 낮은 수준이라고 판단됨. 다만 초전도 기술, 사이클로트론 설계기술 등 개별 기술력은 보유하고 있으므로 조건이 갖추어진다면 기술력 확보는 무리가 없을 것으로 판단됨. 갠트리에 대해서는 구조물, 전자석 등 개별 부품에 대한 제작 기술은 갖추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갠트리 통합 기술은 확보해야 함 ◯ 국내에서 중입자 치료기 연구는 산발적으로 되어 왔으며, 그 양적인 면에서 양성자 치료기 연구에 비해서 적었음. 다가 이온원 기술, 선형가속기 기술은 국내 대형 가속기 건설 시 확보하였음. 중입자 싱크로트론 기술은 전자석 기술, 전원 기술 등의 부품 기술은 확보하였으나, 주파수 가변 가속관, 빔 입사, 인출 기술은 확보해야 할 기술임. 양성자 치료기와 마찬가지로 갠트리 기술은 확보해야 하며, 특히 중입자 치료기에 필요한 초전도 갠트리 기술은 상전도 갠트리 기술보다 난이도가 높은 것으로 평가됨 ◯ 붕소 중성자 포획 치료기는 전 시스템을 국내기업인 다원 메닥스에서 개발하여 임상 시험 중에 있으며 입자방사선치료기의 국산화를 이룬 첫 번째 사례라고 볼 수 있음. 개발자들의 헌신적인 노력과 더불어 국내 대형 가속기 건설 시 확보한 이온원, 선형가속기 (RFQ, DTL) 기술 경험, 원자로 설계 운영에 사용되었던 표적 설계, 중성자 수송, 방사선 차폐 기술, 그리고 국외 시설개발자들의 경험 등이 어우러져 이룬 결과라고 판단됨. 치료계획시스템 역시 자체 개발함으로써 치료기에 대한 전반적인 기술 국산화를 이루었음. 임상 시험을 통하여 치료기의 안정성, 치료효과 등을 실증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임 ◯ 양성자 치료기, 중입자 치료기에 사용되는 치료계획시스템은 상용 시스템을 구매하여 사용하고 있음. X선 치료기의 경우 국산화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이들 시스템에 대해서는 아직 시도되지 않고 있고, 기술력과 더불어 사용자의 기호에 의존도가 높은 부분이기 때문에 기술력 이외의 요소가 큰 부분이라고 판단됨 ◯ 이와 같은 국내기술현황 분석을 통하여 볼 때 국내에서의 치료기 관련 기반 기술은 많은 부분 확보하고 있으며, 치료계획, 검출기 등 기초연구도 되어 왔으나, 이것들이 개별적, 단편적인 것에 그치고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아 치료기 기술이라는 통합 기술로서 열매를 맺지 못하고, 선진국과의 기술 격차는 시간이 지날수록 커지고 있음. 또한, 기술 개발을 하더라도 식약처 허가를 거쳐 의료현장에 적용되기에는 1) 긴 시간 소요, 2) 그 기간 동안 지속적인 예산 투입, 3) 익숙한 장비 선호, 4) 국산 의료기기에 대한 인식 등 넘어야 할 현실적인 장벽이 많음 ◯ 입자 방사선 치료기의 핵심기술을 확보하는 것이 의미가 있으려면, 확보한 기술이 의료 현장에 적용되고, 사용되고, 개선을 이루어 기술 선진국과의 기술 격차를 줄이고, 더 나아가 미래 첨단 치료 기술 분야에서 기술을 선점할 수 있는 영역을 확보하는 것임. 확보한 기술을 의료 현장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현실적인 장벽을 제거해야 하며, 1) 국내에서 보유하고 있는 개별 기술을 통합시켜 입자 방사선 치료기 기반 기술로 승화시키기 위한 추진력 필요, 2) 긴 시간 동안 지속적으로 예산 투입 필요, 3) 의료진 혹은 의료 관련 연구자들의 국내 개발 장비 사용에 대한 익숙함과 국산 장비 안전성에 대한 인식 전환이 필요함 ◯ 이를 위하여 다음의 두 가지 방안을 제안함. 1) 현재까지 다양한 경로로 확보한 기반 기술을, 치료기 개발을 목표로 한 방향성 있는 기술로 지속성을 가지고 연구할 수 있는 시스템 마련, 2) 치료기 기반 기술을 통합한 통합 기술 개발 및 첨단치료 기술 개발 그리고 국내 의학 연구자들이 직접 참여하여 치료기 개발의 방향을 제시할 수 있는 구심점 마련이 그것임 ◯ 첫 번째 방향의 경우 현재 보유하고 있는 각종 가속기 기반 기술을 이용하여 치료기 요소 기술 개발이라는 명확한 목표를 설정하고 지속적으로 지원하는 시스템이 필요하며, 이것은 보유기술의 지속적인 유지 및 기술 향상 그리고 개발인력의 유지 측면에서도 매우 중요함. 이때 개발 방향은 cost down과 compact size가 되어야 함 ◯ 두 번째 방향의 경우 국가 주도로 입자 방사선 치료 기술개발의 구심점 역할을 할 수 있는 거점을 만들고, 이곳에 양성자, 중입자, 중성자 치료기술을 개발할 수 있는 복합 입자방사선치료연구시설을 설치하여 의학 관련 연구자들이 충분한 연구를 할 수 있도록 종합 연구 환경을 구축하는 것이며, 이 시설의 목적은 상업용 치료기 자체를 개발하는 것이 아니라, 연구용 시설을 개발함으로써 치료기 통합기술 확보 (가속장치의 안정적 운영, 빔 조절기술, 제어 기술, 검출기 기술, 치료 기술, 치료계획 개발 등)를 위한 것과 첨단 치료 기술 연구를 위한 것임 ◯ 이를 통하여 국제적으로 첨단 치료기술 분야의 최신 기술용역을 선점을 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할 수 있으며, 장치, 치료관련 기술 개발 및 인력 양성뿐만 아니라 의학 연구자들의 국산 장치에 대한 인식 변화를 통하여 국내 치료기가 의료 현장에 투입되어 사용됨으로써 국민의 삶의 질 향상에 이바지할 것으로 기대함 (출처 : 요약문 4p)
    • 연구책임자 : 권혁중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연구원
    • 발행년도 : 20230600
    • Keyword : 1. 입자방사선치료;양성자 치료;중입자 치료;붕소 중성자 치료;입자 가속기;갠트리;치료계획시스템; 2. Particle radiation therapy;Proton therapy;Heavy ion therapy;Boron neutron capture therapy (BNCT);Particle accelerator;Gantry;Treatment planning system;
  • 12243

    2023.04.30

    비공개항목입니다.
    • 연구책임자 : 안광선
    • 주관연구기관 : 베스트에너지(주)
    • 발행년도 : 20230500
    • Keyword : 1. 고분자 필름;방사선차폐;방사성 폐기물;소프트 백;원자력; 2. Polypropylene Film;Radiation Shield;Radiation Waste;Soft Bag;Nuclear,power plant;
  • 12242

    2023.05.31

    □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 최종 목표 고-분해능 방사선치료선량 평가를 위한 방사선 고강도 반도체 센서 개발 및 이용 ◼ 전체 내용 1차년도: 방사선 고강도 센서 (HRH) 공정 기술 개발 • SiC 센서 공정 기술 정보 수집 • SiC 기반 HRH 센서 디자인 및 공정 설계 • HRH 센서 공정 확정 2차년도: HRH 센서 특성 연구 및 최적화 • Wafer 특성 평가 (IV 및 CV, 온도 특성) • 센서 특성 평가 (선량에 대한 선형성 및 재현성) • 센서 방사선 강도 평가 (바이어스 전압, 전류) • 방사선 측정 HRH 센서 시제품 제작 3차년도: HRH 기반 점선량 측정 시스템 개발 및 최적화 • HRH 기반 점선량 측정 선량계 설계 • HRH 기반 점선량 측정 Read out 기판 설계 및 제작 • HRH 기반 점선량 측정 모듈 평가 • 최적화된 HRH 기반 점선량 측정 시스템 개발 4차년도: HRH 기반 2차원 선량 측정 시스템 및 표준 측정 교정 기술 개발 • HRH 기반 2차원 선량분포 측정 2D array 설계 • HRH 기반 2차원 선량분포 측정 Read out 기판 설계 및 제작 • 2차원 선량분포 측정 및 분석 프로그램 개발 • HRH 기반 반도체 표준 측정 교정 기술 개발 5차년도: HRH 기반 2차원 선량 측정 시스템 최적화 및 임상적용 가능성 확인 • HRH 기반 2차원 선량 측정 모듈 평가 • 최적화된 HRH 기반 2차원 선량 측정 시스템 개발 • 임상적용 평가를 통한 HRH 기반 방사선치료선량 평가 시스템 검증 및 평가 □ 연구개발성과 • 정성적 연구성과 - 실리콘, 다이아몬드, SoI, 실리콘 카바이드 등 여러 센서에 대한 시장과 연구 현황을 조사, 분석하였으며, 그중 실리콘 카바이드(SiC)를 이용한 방사선 센서 개발 수행 - SiC 웨이퍼 디자인/설계 및 공정, 제작 과정을 거쳐 SiC 기반의 반도체 센서칩을 제작하였으며 Probe station+HV 장비를 이용한 IV Curve measurement를 수행하고 SiC 소자별 특성을 평가 - SiC 반도체 센서용 Data Acquisition(DAQ) 보드를 디자인 및 제작하였으며, ADC 등 파형신호를 얻을 수 있는 DAQ 시스템 개발 - SiC 반도체 센서를 DAQ 보드에 부착한 후 DAQ 시스템을 이용하여 방사선 테스트를 진행하였으며, 전자선에 따른 ADC Waveform을 획득하여 평가 수행 • 정량적 연구성과 - 전문학술지 논문 게재 :14편(SCI 11편, 비SCI 3편) - 지식재산권 : 특허 출원 13건, 등록 4건 - 저역서 1건 - 수상실적 3건 □ 연구개발성과 활용계획 및 기대 효과 • 우수한 공간분해능 및 소형화, 실시간 데이터 처리 등의 장점을 가지는 반도체 센서의 장점에도 불구하고 취약점으로 꼽히는 고선량 방사선측정 영역에서의 내구성 문제에 대한 기술적 해결방안 제시 • 방사선치료와 관련한 의료산업 분야의 수입대체 효과와 기술 고부가가치화, 의료기술 국제 경쟁 력 강화 등을 기대할 수 있고, 병원 및 의료산업 분야의 활성화에 따른 인력양성과 고용의 증가도 기대할 수 있음 (출처 :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김동욱
    • 주관연구기관 : 연세대학교
    • 발행년도 : 20230600
    • Keyword : 1. 실리콘 카바이드;방사선 고강도 센서;광자선;품질관리;표준측정법; 2. SiC;High Radiation Hardness;Photon;Quality assurance;Standard measurement;
  • 12241

    2023.05.31

    □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 최종 목표 최근 각광받고 있는 환경 유전자 분석기법을 이용해 부산 지역의 가장 주요한 해양환경 이슈가 되고 있는 고리 원전 인근 해역의 생태계의 변동성을 분석하고 이를 장기변동에 필요한 데이터 요소로 사용할 수 있는 기초 자료로 제공함 ◼ 전체 내용 • 3세대 염기서열 분석법을 이용한 어류와 식물플랑크톤의 표준 유전자 데이터 확보 •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법을 이용한 시공간적 변동에 따른 어류의 종 다양성 변화 분석 • 환경의 변화에 따른 식물플랑크톤 군집구조 변동 파악 및 예측 • 어종별 수온의 민감성 및 최적 수온 탐색 및 환경요인과 어종 및 식물플랑크톤 군집 간의 상관관계 규명 ◼ 1단계 ❏ 목표 • 환경 유전자를 이용한 어류와 식물플랑크톤의 표준 유전자 데이터 확보 • NGS 플랫폼을 이용한 어류 종 조성 및 군집 변동 분석 • NGS 플랫폼을 이용한 식물플랑크톤 종 조성 및 군집 변동 분석 • 우점 어종의 최적 수온 분석 • 수온과 어류, 식물플랑크톤 간의 상관관계 규명 ❏ 내용 • 부산 기장군 원전 인근 해역의 12개 정점에서 17회 샘플링을 실시하였으며 PacBio 플랫폼을 이용한 염기서열 분석 방법의 파이프라인을 구축하고 범용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어류 및 식물플랑크톤의 표준 유전자 염기서열 확보 • NGS를 이용해 기장군 원전 인근 해역에 서식하는 어류의 종다양성 평가 및 군집구조 비교를 진행하였고, 정량 분석을 통해 식물플랑크톤과 미생물 군집의 정량 비교를 수행함. 계절 변화에 따른 대표 식물플랑크톤 종을 제시했으며 출현종과 수온 및 어류와 식물플랑크톤의 상관관계 분석을 진행 □ 연구개발성과 • 국내 최초로 환경 유전자를 이용해 원전 인근 연안 어류와 식물플랑크톤 종 조성과 변동양상을 확인하여 환경요인의 변화에 따른 수산자원의 현황 모니터링 자료 제시 • PacBio 플랫폼을 이용한 어류와 식물플랑크톤의 표준 유전자 데이터베이스 구축 • 우점 어류 최적 서식 수온 제시를 통해 기후변화나 원전의 온배수 배출에 영향을 받을 수 있는 민감한 어종에 관한 정보 제공 □ 연구개발성과 활용계획 및 기대 효과 • 환경 유전자 기법을 이용한 기장 인근 해역의 3개년 모니터링 데이터와 Pacbio 분석 파이프라인의 도입은 해양생태계 연구에 분자생물학적 기법 확대에 활용 • Pacbio 파이프라인 기반 표준 유전자 데이터베이스 구축은 국내외 분자생태학 연구자들에 의해 다양한 연구에서 활용 • 어류 및 식물플랑크톤과 수온, 어류와 식물플랑크톤의 상관성 연구를 통해 추가적인 환경요인과 기후변화 영향 조사의 필요성 및 선행연구 자료 제시 • 어류 및 식물플랑크톤 종 다양성과 변동성 및 해양환경에 따른 상관관계에 관한 3년간의 연구 결과는 국제저널에 게재를 통해 국가 이미지 증대 및 국제적 입지 강화에 이바지함 (출처 :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김현우
    • 주관연구기관 : 부경대학교
    • 발행년도 : 20230600
    • Keyword : 1. 환경 DNA 메타바코딩;고리 주변해역;3세대 염기서열 분석;표준 유전자 데이터;어류의 종 다양성; 2. eDNA metabarcoding;Pacbio SMRT technology;Gijang;Fish assemblage;Phytoplankton community structure;
  • 12240

    2023.11.30

    Ⅳ. 연구개발결과 - 금속, 세라믹 소재에 대한 비파괴 내부 구조 가시화 가능성 평가 완료. 특히, 국내에서는 시도된 적이 없는 금속 소재 결정립 가시화 및 고온 실시간 거동 가시화 분석 인프라 구축 - 상용화된 X-선 장비에서 제약을 가지는 실시간 구조 분석 및 미세 구조 분석 기술의 적용 가능성 평가 완료 - 또한, 방사광 X-선 리소그래피 기법을 적용한 초정밀 미세패턴 제작 가능성 평가 완료 - 방사광 기반 분석 기술 이해도 제고를 위한 기술교류회 및 방사광 분석 가능 정보 가시화 추진. 또한, 방사광가속기 인프라 구축을 위한 소재 이해도 제고 및 협력 체계 구축을 위한 실무 협의 추진 (출처 : 요 약 문 3p)
    • 연구책임자 : 박이호
    • 주관연구기관 : 한국재료연구원
    • 발행년도 : 20231200
    • Keyword : 1. 방사광;X-선 이미징;소각 X-선 산란;X-선 회절 이미징;고분해능 분말 회절;X-선 리소그래피; 2. Synchrotron radiation;X-ray imaging;Diffraction computed tomography;Small angle X-ray scattering;High resolution powder diffraction;X-ray lithography;
  • 12239

    2023.05.31

    □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 최종 목표 ▷ YAP/TAZ의 액체-액체 상분리 형성 기전을 탐구 ▷ 상위인자 특이적 Hippo 표적 유전자 세트의 발굴 및 발현 기전을 탐색 ○ 전체 내용 ▷ YAP/TAZ와 MAML 핵체 형성 간의 연관성 규명 ▷ YAP-MAML2 융합 단백질의 점상 구조 형성과 전사활성 간의 상관관계 규명 ▷ 다양한 Hippo 신호전달 상위조절인자에 따른 유전자 발현 집단 변화 확인 ○ 1단계 ● 목표 ▷ MAML의 액체-액체 상분리 여부 규명 ▷ YAP/TAZ와 MAML 핵체 형성 간의 연관성 규명 ▷ YAP-MAML2 융합 단백질의 점상 구조 형성과 전사활성 간의 상관관계 규명 ▷ 다양한 Hippo 신호전달 상위조절인자에 따른 유전자 발현 집단 변화 확인 ● 내용 ▷ MAML의 액체-액체 상분리 여부 확인 ▷ YAP/TAZ와 MAML 핵체 형성 간의 연관성 규명 ▷ YAP-MAML2 융합 단백질의 전사활성 유발 확인 ▷ MAML의 단백질 서열 중 액체-액체 상분리 유도 서열 탐색 ▷ YAP-MAML2 융합 단백질의 점상 구조 형성과 전사활성 간의 상관관계 확인 ▷ 다양한 Hippo 신호전달 상위조절인자에 따른 유전자 발현 집단 변화 확인 □ 연구개발성과 ▷ MAML의 핵 내 점상 구조가 액체-액체 상분리에 의해 형성됨을 확인하고 상분리 유도 서열을 확인함. ▷ YAP/TAZ와 MAML이 서로의 점상 구조 형성에 미치는 영향이 미미함을 확인함. ▷ YAP-MAML2 융합 단백질의 전사활성에 액체-액체 상분리가 기능함을 확인함. ▷ 대표 상위조절인자를 선정해 RNA 유전체 분석을 시행하고 각 상위인자 특이적인 YAP/TAZ 표적 유전자 집단을 발굴함. ▷ 발굴된 유전자 집단의 전사조절에 연관된 새로운 전사조절인자를 발굴하고 그 관련성을 개념적으로 증명함. □ 연구개발성과 활용계획 및 기대 효과 ▷ 다양한 상위조절인자가 통합된 전사체 데이터가 Hippo 신호전달 연구에서의 지식 기반으로 활용될 수 있음. ▷ 발굴된 새로운 전사조절인자 및 전사조절 기전이 Hippo 신호전달의 이상 조절로 야기된 질병의 치료법 혹은 진단법 개발을 위한 표적으로 활용될 수 있음. ▷ Hippo 신호전달 이외의 다른 신호전달에서도 유사한 조절 방식이 있을 수 있어, 이에 대한 연구 필요성을 고취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함. (출처 :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권혜련
    • 주관연구기관 : 서울시립대학교
    • 발행년도 : 20230600
    • Keyword : 1. 히포신호전달;YAP/TAZ 단백질;액체-액체 상분리;상위조절인자;유전자 발현; 2. Hippo signaling;YAP/TAZ;liquid-liquid phase separation;upstream regulator;gene expression;
  • 12238

    2023.05.31

    □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 최종 목표 암성 악액질 (Cancer Cachexia)을 주요 질환모델로 타겟하여 동정된 SIRT7 관련 PTM의 역할 규명 ◼ 전체 내용 암 환자의 전반적인 삶의 질 개선에 나은 도움을 줄 수 있는 연구를 위하여 질환모델로 암성 악액질로 타케팅하여,암 발생 초기 단계의 지방의 갈색화에서 SIRT7의 역할 및 PTM 관련 생체표지자를 식별하면 악액질 개선 및 예방적인 치료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연구결과를 도출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함. ◼ 1단계 ❏ 목표 대표 PTM 표적 단백질 선정 및 PTM 맵핑 ❏ 내용 SIRT7은 핵에 존재하는 단백질이므로 대표 PTM 표적 단백질의 선정은 (1) Transcription factor 및 transcriptional cofactor를 1순위 후보로, (2) 그 외의 nuclear protein을 2순위로 하여 선정할 예정으로 1 및 2 순위에 해당되는 단백질이 너무 많은 경우에는 SIRT7 IP-MS analysis에서 확인된 단백질을 우선순위에 두고 결정함. ◼ 2단계 ❏ 목표 대표 PTM 표적 단백질의 지방세포에서의 역할 기전 규명 ❏ 내용 발굴된 표적 단백질에 대한 PTM site 맵핑을 통해서, PTM insensitive 또는 resistance mutant를 만드는 방식으로 수행, gain-/loss-of-SIRT7 상황에서 발굴된 PTM mutant (PTM-mimic or resistant mutant)를 과 발현하는 방식을 적용하여 PTM의 SIRT7 의존성을 증명함. 또한 해당 mutant를 발현하는 viral vector를 제작하여, 암성악액질 유발모델 제작 후 갈색지방조직에 발현하게 하여 PTM의 생물학적 역할을 규명할 예정임. 아울러 기전 규명을 통한 신규 PTM 바이오마커의 기능적 역할을 현재 지속적으로 사용중인 치료약물과 비교 적용하여 확인하여 봄으로써 더욱 확실한 연구결과를 도출할 계획임. □ 연구개발성과 ∎ 다양한 암세포 주를 이용한 암성 악액질 마우스 모델 수립 및 검증 완료 ∎ 수립된 암성 악액질 모델에서 SIRT7의 활성 정도 및 암 활성변화를 확인함. ∎ 갈색지방 특이적 SIRT7 KO모델에서 SIRT7 의존적 PTM 발굴 후 검증 진행 중임. □ 연구개발성과 활용계획 및 기대 효과 ∎ 본 연구는 SIRT7에 의해 조절되는 새로운 PTM의 타겟으로 갈색지방세포의 분화를 조절하는 갈색지방세포에 특이적인 분화조절인자 등을 규명하여 갈색지방의 활성에 관한 좀 더 다각적인 관점에서의 연구를 제공할 것임. ∎ 이상과 같은 연구는 후성적 조절(epigenetic regulation)에 의한 갈색지방세포 분화 및 기능 촉진 기전을 밝힐 수 있어, 학문적 가치가 매우 우수할 뿐만 아니라, 암성 악액질과 같이 갈색지방의 활성이 문제가 되는 질환에 있어, 갈색지방세포에 특이적 기능 조절방법을 개발하는데 응용될 수 있음. ∎ 현재 치료제가 없는 악액질 치료에 매우 효과적인 치료방법을 제시할 수 있을 것임. ∎ 본 연구자는 이 연구를 토대로 새로운 암성악액질 기전의 임상 프로토콜 연구의 기틀 마련에 활용할 기반을 만들어 현재 제대로 된 치료제가 없는 현실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소재 탐구 및 다가오는 맞춤 의학 시대에 적합한 새로운 모델을 제시하는 방향성을 가지고 있음. (출처 :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김윤아
    • 주관연구기관 : 성균관대학교
    • 발행년도 : 20230600
    • Keyword : 1. 암성악액질;갈색지방;전사후변형;시르투인7; 2. Cancer cachexia;Brown fat;PTM;SIRT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