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Report

All 12,458 Page 20/1,246

검색
  • 12268

    2023.08.31

    □ 연구개요 본 연구에서는 첨단 방사광분광법을 이용하여 콘도위상절연체의 온보변화에 따른 위상절연체 상전이의 전자구조와 스핀구조 (spin-texture)를 연구함으로써 콘도위상절연제에서의 위상물성의 원인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첨단 방사광분광법을 이용하여 국소적 및 동적 전자 구조, 나선성 스핀정렬 구조, 오비털의 대칭성과 정렬 방향, 원소별 스핀 자기모멘트와 궤도자기모멘트 등을 직접 실험적으로 관찰하고 결정함으로써, 콘도위상절연체의 위상절연체 상전이 현상의 원인을 규명하였다. □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1차년도 목표) - 희토류 기반 위상 절연체의 공간 분해 방사광 분광 연구; 상위 20% SCI논문 1편 (1차년도 연구결과) - 희토류원소 Ce가 치환된 Bi2-xCexSe3 위상절연체 대상 공간분해방사광 분광 연구 - CeRhSb의 방사광 분광 연구 - SCI논문 3편 게재 (2차년도 목표) -희토류 콘도 위상 결정절연체의 방사광 분광 연구; 상위 20% SCI논문 2편 (2차년도 연구결과) - 희토류 콘도위상 결정절연체 SmB6의 비극성 (110)면과 (111)면의 위상표면상태 연구 - 희토류 자성위상절연체의 나선성 전자구조 연구 - SCI논문 3편, 학진등재지 1편 게재 (3차년도 목표) -뫼비우스 콘도 절연체의 공간분해 및 이색성 방사광 분광 연구; 상위 20% SCI논문 2편 (3차년도 연구결과) - 뫼비우스 콘도 위상절연체 CeRhX(X=Sb, As)에 대한 방사광 분광 연구 - 희토류 전하밀도파 화합물 ErTe3의 온도변화에 따른 ARPES 연구 - SCI논문 2편, ESCI논문 1편, 학진등재지 1편 게재 (4차년도 목표) - 이색성,고분해능 방사광분광법을 이용한 콘도위상절연체의 전자구조 연구; SCI논문 2편 (4차년도 연구결과) - 이색성 및 고분해능 방사광 분광법을 이용한 콘도위상절연체 CeNiSn의 전자구조 연구 - SCI논문 6편, ESCI논문 1편 게재 □ 연구개발성과의 활용 계획 및 기대효과(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1. 학문적 효과 - 희토류 콘도위상절연체의 위상절연성의 원인 규명 및 분광학의 체계적인 연구결과 확보 - 이색성방사광분광법을 이용한 위상물질의 국소적,동적 전자구조 및 스핀나선구조 정립 2. 방사광분광법 기술 발전 및 연구인력 양성: - 첨단 방사광분광법 연구 분야의 국내 방사광분광 기술발전 및 인력양성에 기여 3. 기술적 효과: - 희토류기반 자성 위상절연체 신물질 개발에 대한 기여 - 희토류 콘도위상절연체를 이용한 소자 개발에 응용 가능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강정수
    • 주관연구기관 : 가톨릭대학교
    • 발행년도 : 20230900
    • Keyword : 1. 콘도위상 절연체;전자구조;방사광 분광법;각분해 광전자분광법;편광이색성 방사광분광법; 2. Kondo Topological Insulator;Electronic Structure;Synchrotron Rad Spectroscopy;ARPES;Polarized Spectroscopy;
  • 12267

    2023.10.31

    □ 연구개발 목표 ○ 최종목표: 중력과 복사에 대한 이해와 그로 인한 다양한 천체물리학적 현상에 대한 해석 및 수치적인 설명을 통해 실체에 다가간다. ○ 전체내용: 천체의 중력에 의한 역학적 진화를 해석적 및 수치적으로 알아본다. 천체의 중력은 뉴턴 중력과 일반상대론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천문학적 복사 메커니즘을 정확하게 이해하고 이를 우주 먼지 입자, 감마선 폭발 및 은하 주변 물질에 적용시킨다. □ 연구개발 내용 이 연구 과제를 통해 아래의 주제에 대한 연구를 추진할 것이다. - 통계물리를 통한 분포함수의 해석학적인 진화과정의 연구 - 우주거대구조의 상대론적 진화 연구 - 중성자별 주위의 디스크 모델 구현 - 고밀도 천체 주위의 디스크의 운동과 제트의 발생 - 공명산란선에 대한 이론적인 연구를 통한 강력한 광원이 성간물질(interstellar medium) 및 은하주변물질(circumgalactic medium)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중성자별 병합의 궤도면이 지구 방향과 이루는 시선각도 추정 연구 - 감마선폭발체의 발생 메커니즘 규명 연구 - 강력한 복사광이 주변 환경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상대론적 광선 추적 기법을 이용한 블랙홀 주변 관측 예측 □ 연구개발성과 ○ 예상되는 연구개발 성과에 대한 정성적/정량적 내용 기술 - 해당 연구 분야 관련 연구 논문 - 수치적인 방법을 통한 연구에서 발생하는 소프트웨어 개발 □ 기대효과 - 연구개발 결과는 천문학 주요 국제 저널에 실리고 활용되어 인류 보편 지식 확장에 기여할 수 있다. - 중성자별과 블랙홀과 같은 고중력 천체의 역학적 진화에 대한 연구는 천체물리학적 이해를 높힘과 동시에 고중력 천체에서 나올 수 있는 중력파를 예측 할 수 있다. - 감마선 폭발의 모델링을 통해 천문학적 제트에 대한 연구는 천체물리학의 오랜 난제인 제트의 발생과 안정성에 대한 길을 제시 할 수 있다. - 항성역학계의 해석적인 연구는 아직까지 수치적인 방법으로 할 수 없는 영역에 대한 새로운 지평을 열 수 있다. - 우주론 연구에서는 지금까지 선형적인 섭동 방정식을 푸는 방법에서 벗어나 포스트 뉴토니안 방법과 이를 넘어서 완전한 비선형적인 수치 방법을 사용하여 연구함으로써 새로운 분야를 개척 할 수 있다. - 다양한 천체현상에 의한 주변 먼지의 복사 토크에 의한 깨어짐과 정렬 등을 연구함으로써 실제 관측에서 나타나는 먼지에 의한 다양한 영향을 알 수 있다. (출처 :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엄정휘
    • 주관연구기관 : 한국천문연구원
    • 발행년도 : 20231100
    • Keyword : 1. 중력;복사;상대성이론; 2. Gravity;Radiation;Relativity;
  • 12266

    2023.01.31

    비공개항목입니다.
    • 연구책임자 : 민선준
    • 주관연구기관 : 한양대학교
    • 발행년도 : 20230200
    • Keyword : 1. 나노의약품;실리카 나노 입자;나노테라노스틱스;양전자 방출 단층촬영;자기공명영상;동적 핵분극;라이브러리;생직교 반응; 2. nanomedicine;silica nanoparticle;nanotheranostics;positron emission tomography;Magnetic Resonance Imaging;Dynamic nuclear polarization;library;bioorthogonal reaction;
  • 12265

    2023.08.31

    □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 최종 목표 - 국내에 널리 분포하는 주요 기린초 종인 P. kamtschaticus의 전국단위 개체군 수집을 통한 P. kamtschaticus의 유전적 변이양상 파악을 통해 종의 한계설정 및 다양성 기원 파악: 3RAD-seq 분석법을 통한 개체군 수준의 유전 다양성 확인 및 유전적 분화도 확인 ○ 전체 내용 - 문헌조사 및 표본조사를 통한 국내 기린초속 식물의 전체적인 분포양상 조사. 표본 연구 및 화상자료 수집. 한반도 전역에 걸쳐 문헌조사를 바탕으로 총 13개 지역 채집지 선정, 개체군당 최소 5개이상 평균적으로 15개 개체에서 DNA실험용 조직 확보 - 연구대상인 기린초 및 그 유연 분류군 108개체에 대해 3-RAD 라이브러리 제작. SNP 마커를 활용하여 유전자 변이정도 및 지역과 형태형 간 유전적 분화정도 및 변이양상 파악 PCoA 등의 assignment 분석 등 수행 □ 연구개발성과 - 현재 본 연구룰 통해 발견된 신종 1종이 SCI급 국제학술지에 게재되었음 □ 연구개발성과 활용계획 및 기대 효과 1)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최소 2편 이상의 논문으로 작성되어 SCI급 국제학술지에 발표될 예정이며, 현재 국내 분류군의 유전다양성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논문 1편이 작성중에 있다. 2) 본 연구 결과 확보된 국내 기린초 complex의 유전다양성 정보는 현재까지 극심한 분류학적 혼란이 있어온 기린초속 식물의 진화 방향성과 계통분류체계를 확립하는데 자료로 활용될 계획이다. 3) 기린초속 종들의 원예/약용식물로서의 현재 활용도를 고려할 때, 본 연구에서 확보된 분류 정보, 표본, 생체, DNA 시료, 염기서열 자료는 앞으로 신원예품종 개발과 약용식물로서의 재배 및 신약개발을 위한 screening 등에 직접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출처 :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최태영
    • 주관연구기관 : 조선대학교
    • 발행년도 : 20230900
    • Keyword : 1. 기린초;차세대염기서열 분석;계통유연관계; 2. Phedimus kamtschaticus;3RAD-seq;Phylogeny;
  • 12264

    2023.05.31

    □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 최종 목표 본 연구의 목표는 햅틱 디스플레이 표면에 저주파 진동 패턴 구현 시 디스플레이 표면에서 방사되는 소음을 제어하는 것으로, 디스플레이의 원하는 위치에서 복잡한 진동 패턴을 구현함과 동시에 방사되는 음압 레벨을 원하는 크기와 음색으로 균일화하는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디스플레이 표면에서의 방사 소음을 사람의 청각 인식을 고려해 디자인하고, 햅틱 피드백 구현 시 소음으로 인한 촉각 인식 능력의 저하를 최소화하여 햅틱 피드백 기술의 퀄리티를 향상할 수 있다. ○ 전체 내용 본 연구의 연차별 연구 내용으로 1차년도에는 플레이트 표면의 진동으로 인한 방사 소음 이론을 활용하여, 액추에이터 구동의 선형 합성을 통한 방사 소음 제어 알고리즘을 개발할 것이다. 2차년도에는 디스플레이 표면과 액추에이터의 주파수 응답 함수를 고려한 액추에이터 최적 배치에 대한 연구를 하여 시스템의 최적화와 컴팩트화를 진행하고, 액추에이터 구동 알고리즘을 통한 진동 패턴 구현 및 방사 소음 균일화를 진행할 것이다. 세부 연구내용으로는 1차년도에 플레이트 표면의 속도 성분을 통한 방사 소음의 음압 레벨 계산 이론에 대한 선행 연구를 분석하고, 본 연구에 적용하여 실험 환경과 시스템을 구축한다. 디스플레이 표면과 액추에이터의 주파수 응답 함수를 추출하여, 주파수 응답 함수 기반 액추에이터의 구동으로 인한 음압 레벨 계산 알고리즘을 개발한다. 이후 방사 소음의 음압 레벨의 제어를 위한 액추에이터 인가 전압의 선형 합성 알고리즘을 개발한다. 2차년도에는 주파수 응답 함수 기반 음압 레벨 계산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액추에이터 배치의 파라미터 연구를 진행한다. 파라미터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햅틱 피드백 시스템을 최적화하여 방사 소음 제어의 퀄리티를 향상시킨다. 최종적으로 액추에이터 구동 알고리즘을 통해 균일한 읍압 레벨의 소음을 방사하는 액추에이터 구동 기술을 개발하여, 햅틱 피드백 구현시 방사되는 소음으로 인한 촉각 인식 능력의 저하를 최소화한다. □ 연구개발성과 본 연구를 통해 햅틱 피드백을 위한 진동 패턴 구현 시 방사되는 소음을 정확하게 예측하는 방법론을 구축하고, 여러 액추에이터의 구동 신호 합성을 통해 방사되는 소음을 저감하거나 균일화하는 기술을 개발하였다. □ 연구개발성과 활용계획 및 기대 효과 기존의 산업계에서는 햅틱 피드백의 소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초음파 햅틱을 사용하거나, 스피커를 통해 햅틱용 사운드를 생성하였는데, 초음파 햅틱의 경우 고가의 압전 소자를 다량으로 부착해야 하고 스피커를 통한 햅틱용 사운드의 경우 방사 소음을 근본적으로 해결하지 못한다는 한계가 있다. 본 연구의 성과를 통해 저주파 햅틱 피드백 기술의 방사 소음 문제를 시스템의 구조적인 변동 없이 해결할 수 있어 비용적인 측면이나 구조적인 측면에서 효율성을 혁신적으로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연구의 개발 내용은 시스템의 구조적인 변동이 없어 기존의 차량용 햅틱 디스플레이나 태블릿 PC 등의 햅틱 피드백 제품에 바로 적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출처 :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김휘재
    • 주관연구기관 : 연세대학교
    • 발행년도 : 20230600
    • Keyword : 1. 햅틱 피드백;진동 패턴 렌더링;방사 소음;촉각 인식;심리음향; 2. Haptic Feedback;Vibrotactile rendering;Noise Radiation;Tactile Perception;Psychoacoustics;
  • 12263

    2022.12.31

    □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 최종 목표 ○ 열유동 해석코드를 활용한 가동중시험 분야 현안 평가 기술 개발을 통한 가동원전 안전성 증진 ○ 원전 가동중시험을 위한 펌프 및 밸브의 성능‧상태‧열화 진단방법론 개발 ◼ 전체 내용 ○ 가동중시험 분야 규제검증 평가를 위한 열유동 해석코드 적용성 평가 ○ 열유동 해석코드를 활용한 가동중시험 현안 분석방법론 및 최적해석 지침 개발 ○ 모터구동밸브/공기구동밸브의 상태‧열화 진단 방법 개발 ○ 유압구동밸브의 성능‧상태‧열화 진단 방법 개발 ○ 펌프의 성능‧상태‧열화 진단 방법 개발 ○ 머신러닝 기술을 이용한 펌프 및 밸브의 상태기반 인공지능 진단 방법 개발 ◼ 1단계 ❏ 목표 ○ [1차년도] - 열유동 해석코드의 가동중시험 분야 적용성 평가 기반 구축 - 안전관련 기기의 현장 성능시험 측정 자료 분석 및 고장이력 조사 - 모터구동밸브/공기구동밸브 특성시험 설비 설계 및 제작 - 모터구동밸브 상태 진단 방법 개발 기반 구축 ○ [2차년도] - 가동중시험 분야 규제검증 평가를 위한 열유동 해석코드 적용성 평가 - 모터구동밸브 상태 진단 방법 개발 - 공기구동밸브 상태 진단 방법 개발 - 펌프 특성시험 설비 설계 및 제작 ○ [3차년도] - 가동중시험 분야 현안 분석을 위한 최적해석방법론 개발 - 모터구동밸브 상태기반 열화 진단 방법 개발 - 공기구동밸브 상태기반 열화 진단 방법 개발 - 유압구동밸브 성능 진단 방법 개발 기반 구축 - 펌프 성능‧상태 진단 방법 개발 ❏ 내용 ○ [1차년도] - 가동중시험 이행 및 안전관련 기기 성능평가에 대한 현안 수집 - 가동중시험 분야 규제검증 평가에 필요한 주요 열유동 현상 정의 및 분류 - 가동중시험 분야 주요 열유동 현상 예비계산 - 성능시험 현장 측정 자료 분석 - 고장이력 DB 구축 및 고장 메커니즘 분석 - 모터구동밸브/공기구동밸브 진단 신호 측정을 위한 실험 장치 구성 - 상태 진단 변수 도출을 위한 실험 방법론 개발 - 모터구동밸브 진단 신호 측정 및 분석 ○ [2차년도] - 열유동 해석코드의 가동중시험 분야 적용성 평가 방안 수립 - 가동중시험 분야 규제검증 평가를 위한 주요 열유동 현상 분석 - 가동중시험 관련 기기/계통에서 발생하는 주요 열유동 현상에 대한 해석코드 적용성 평가 - 1차원 열수력 계통해석코드에 포함된 가동중시험 관련 기기 모델링 비교/분석 - 측정 신호 노이즈 제거 기술 개발 - 모터구동밸브 진단 신호 측정 및 분석 - 특성 시험 결과를 이용한 모터구동밸브 상태 진단 모델 개발 - 공기구동밸브 진단 신호 측정 및 분석 - 특성 시험 결과를 이용한 공기구동밸브 상태 진단 모델 개발 - 펌프 시험 설비 설계 및 제작 ○ [3차년도] - 가동중시험 관련 기기/계통 대상 열유동 해석코드 최적해석방법론 개발 - 가동중시험 관련 기기/계통 대상 열유동 해석코드 예측 결과 검증 - 1차원 열수력 계통해석코드에 포함된 가동중시험 관련 기기 모델링 개선 필요 사항 도출 - 기기의 결함과 스트레서 관계 조사 및 경향성 변화 조사 - 모터구동밸브의 진단 변수 도출 및 상태기반 열화 진단 모델 개발 - 공기구동밸브의 진단 변수 도출 및 상태기반 열화 진단 모델 개발 - 유압구동밸브 진단 신호 측정 및 분석 - 펌프 진동 신호 분석 방법 개발, 노이즈 제거 기술 개발 - 펌프 진단 신호 측정 및 분석 - 특성시험 결과를 이용한 펌프 성능‧상태 진단 모델 개발 ◼ 2단계 ❏ 목표 ○ [1차년도] - 열유동 해석코드를 활용한 가동중시험 분야 현안 분석 - 머신러닝 기술을 이용한 모터구동밸브/공기구동밸브 상태‧열화 진단 방법 개발 - 유압구동밸브 성능‧상태 진단 방법 개발 - 펌프 상태기반 열화 진단 방법 개발 ○ [2차년도] - 가동중시험 분야 규제검증 평가를 위한 최적해석 지침 개발 - 유압구동밸브 열화 진단 방법 개발 - 유압구동밸브 인공지능 진단 방법 개발 - 펌프 인공지능 진단 방법 개발 - 데모 장치 제작 및 진단 방법 검증 ❏ 내용 ○ [1차년도] - 가동중시험 대상 기기 성능 및 이행 관련 현안에 대한 열유동 해석 - 가동중시험 관련 기기/계통 대상 열유동 해석코드 예측 결과의 불확도 평가 방법론 수립 및 예비평가 - 1차원 열수력 계통해석코드에 포함된 가동중시험 관련 기기 모델링 개선을 위한 열유동 해석 수행 및 해석 결과 활용 - 측정 신호 노이즈 제거 기술 개발 - 유압구동밸브 진단 변수 도출 - 특성시험 결과를 이용한 유압구동밸브 성능‧상태 진단 모델 개발 - 펌프 진단 신호 측정 및 분석 - 특성시험 결과를 이용한 펌프 상태기반 열화 진단 모델 개발 - 머신러닝 기술을 이용한 모터구동밸브/공기구동밸브 인공지능 진단 방법 개발 - 상태‧열화 진단 머신러닝 알고리즘 개발 - 진단 모델의 검증을 위한 테스트 데이터 확보 ○ [2차년도] - 열유동 해석코드를 활용한 가동중시험 대상 기기 성능 및 이행 관련 현안 분석을 위한 지침 개발 - 가동중시험 관련 기기/계통 대상 열유동 해석코드 예측 결과의 불확도 평가 - 1차원 열수력 계통해석코드에 포함된 가동중시험 관련 기기 모델링 개선안 제시 - 유압구동밸브 상태에 따른 열화 분석 및 모델 개발 - 유압구동밸브 상태에 따른 열화 진단 방법 개발 - 머신러닝 기술 기반 유압구동밸브 성능‧상태‧열화 진단 방법 개발 - 머신러닝 기술 기반 펌프 성능‧상태‧열화 진단 방법 개발 - 현장 데이터 및 실험 데이터를 이용한 개발된 진단 방법 검증 - 진단 방법 검증을 위한 데모 장치 제작 및 검증 □ 연구개발성과 1단계 총 3년(2020~2022년) 동안 다음과 같은 연구개발성과를 도출하였음. ○ 안전기술보고서(N-STAR) : 16건 - 가동중시험 분야의 규제현안 조사 및 전산코드를 활용한 예비분석 - 비상노심냉각수 주입에 따른 비정상 단상 열성층 해석을 위한 난류모델 예측성능 비교 연구(우수보고서) - 역지밸브의 닫힘거동 분석을 위한 CFD 동적격자 방법론 비교 - 전산유체역학 소프트웨어 적용성에 관한 규제 지침 개발을 위한 오리피스 내부 캐비테이션 유동 수치해석 - 보조급수계통 다단오리피스 용접부 건전성 예비평가 - 모터구동밸브 주기적 성능확인 지침 개선 방안 - 공기구동밸브 주기적 성능확인 지침 개선 방안 등 ※ 안전기술보고서 16건 중 유형②(방법론/장비 등 개발 및 비교검토) 11건, 유형③(규제화를 위한 분석,검증 결과) 5건 모두 규제 활용성을 제고한 연구 결과로 판단됨. ○ 논문 게재 : 11건 - 국내/국외 SCIE : 1건/1건 - 국내/국외 비SCIE : 8건/1건 ○ 학술대회 발표 : 52건 - 국내 학술대회 : 34건 - 국외 학술대회 : 18건 ○ 연구보고서 : 2건 - 시스템코드 펌프 및 밸브 모델 현황 - 고리 2호기 다단오리피스 구조 해석 2단계 총 2년(2021~2022년) 동안 다음과 같은 연구개발성과를 도출하였음. ○ 안전기술보고서(N-STAR) : 15건 - KEPIC MPT-19.5에서 권고한 벤투리 유량계 상류측 직관 길이의 적합성 검토 : 직경비 영향 - 캐비테이팅 벤투리의 확산부 형상에 따른 유동 및 진동해석 결과 비교 연구 - 가변적인 입구 유동분포에서 오리피스 유량계에 대한 CFD 기반 불확실도 정량화 등 - 열화 특성을 고려한 모터구동밸브 주기적 성능확인 주기 결정 방법론 - 원전 유압구동밸브 성능평가 방법론 개발 등 ※ 안전기술보고서 15건 중 유형②(방법론/장비 등 개발 및 비교검토) 12건, 유형③(규제화를 위한 분석,검증 결과) 3건 모두 규제 활용성을 제고한 연구 결과로 판단됨. ○ 규제정책 활용 : 제안 3건, 반영 2건 - 동력구동밸브(MOV, AOV) 성능확인시험에 관한 규제지침 제정 (제안/반영) - 원자력발전소 안전관련 열교환기 성능관리 규제지침 개정 (제안/반영) - 전산유체역학 프로그램을 활용한 가동중시험 분야 해석 결과물에 대한 적절성 검토 규제지침 제정 (제안) ○ 논문 게재 : 14건 - 국내/국외 SCIE : 1건/8건 - 국내 비SCIE : 5건 ○ 학술대회 발표 : 42건 - 국내 학술대회 : 32건 - 국외 학술대회 : 10건 ○ 소프트웨어(프로그램) 등록 : 2건 - 전산유동해석 불확실성 정량화를 위한 순방향 문제용 GUI 프로그램 등 ○ 포상 및 수상 : 3건 - 한국에너지학회 우수논문상(2022년) - 한국압력기기공학회 최우수논문상(2021년) 등 ○ OECD/NEA 보고서 개정본 작성 참여 - 보고서명: Best Practice Guidelines for the Use of CFD in Nuclear Reactor Safety Applications - 보고서 개정본 반영 내용: 열유동 해석코드를 활용한 가동중시험 대상 기기 성능 및 이행 관련 현안 분석과 관련된 연구 결과 ○ 위탁연구보고서 : 4건 - 가동중시험 분야에 대한 CFD 코드 해석 결과의 불확도 평가 - 판형 열교환기에서 발생하는 열성층 현상 수치해석 등 □ 연구개발성과 활용계획 및 기대 효과 ○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되는 열유동 해석코드를 활용한 가동중시험 분야 현안 평가 기술은 기기 열화/손상에 의한 성능저하 및 안전관련 능동기기의 성능관리를 위한 가동중시험 이행 관련 현안 발생 시, 이를 정량적/정성적으로 평가하는데 활용될 수 있음. ○ 평가 결과는 원전 운영자의 가동중시험 분야 현안 발생 원인분석과 재발방지 대책의 적절성에 대한 규제자의 합리적이고 타당한 규제 의사 결정에 상당한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됨. 최종적으로는 가동원전 안전성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됨. ○ 안전관련 펌프 및 밸브의 상태기반 진단방법론은 기기의 성능 변화 또는 비정상 상태에 대한 예측 진단을 통해 규제 여부의 판단을 가능하게 하며, 원전 안전관련 기기의 성능신뢰도 유지관리에 대한 규제방향 제시를 통해 원전 안전성 증대에 기여함. ○ 머신러닝 기법을 이용한 진단방법의 도입을 통해 현장 측정 데이터 분석의 정확성과 객관성을 높이고, 원자력 안전규제기술에 4차 산업혁명을 이끌어가는 인공지능 기술의 접목을 통해 국내외 안전규제 분야를 선도함. (출처 :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이공희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
    • 발행년도 : 20230100
    • Keyword : 1. 가동중시험;해석코드;진단;열화;머신러닝; 2. In-Service Test;Analysis Code;Diagnosis;Aging;Machine Learning;
  • 12262

    2023.02.28

    비공개항목입니다.
    • 연구책임자 : 류동석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연구원
    • 발행년도 : 20230300
    • Keyword : 1. 방사선원위치추정;방사선 계측;방사선 센싱 어레이;방사선 지도작성 로봇;방사선 시뮬레이션; 2. Localization of Radiation Source;Radiation measurement;Radiation sensing array;Radiation mapping robot;Radiation simulation;
  • 12261

    2023.02.28

    □ 연구개요 다양한 암종에서 과발현되어 있는 NQO1은 높은 산화적 스트레스 조건에서도 방사선과 항암제의 독성작용으로부터 암세포를 보호하여 항암요법 저항성을 유도함. NQO1 과발현시 수반되는 내재면역 활성 저해 또한 암세포의 방사선/항암제 저항성을 높이는 원인이라 사료됨. 따라서 본 연구는 1) NQO1의 STING 조절을 통한 면역 활성 기전 규명을 위해 NQO1-STING 매개인자를 발굴하여 2) 발굴인자 조절을 통해 면역 활성과 방사선 저항성 감소를 검증하고 3) 발굴인자 조절시 방사선 감수성 증대를 검증하여 방사선-면역치료효과 최대화를 목표함. □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종양세포에서 NQO1의 STING 활성화 조절 기전 규명 - NQO1의 발현량에 따라 STING signaling을 거치는 면역 활성 반응이 조절되는지 확인한 실험에서 인체 폐암세포주의 NQO1 발현을 siRNA를 이용하여 저해시킨후, 내재면역 활성을 유도하는 p(I:C)를 처리하고 이후 STING 및 하위 유전자의 발현을 확인하였을 때, NQO1 의 발현이 낮아진 상태일 때 인산화 된 IRF3가 증가한 것이 확인되었으며 이는 NQO1이 STING signaling에 영향을 주고 있음을 확인함. 발굴인자 조절시 STING 면역활성화 확인 - NQO1과 binding 하는 단백질 IκB-ζ가 STING과의 매개인자임을 확인하고자 종양 세포에 MG132를 처리하여 IκB-ζ를 저해한 조건에서 type I IFN 및 NFκB 활성을 확인하였음. 추가적으로 NQO1 발현 저해시 YAP/TAZ의 핵내 전위를 막아 STING signaling을 활성화 할 수 있는 Ser127 부위 YAP 인산화를 확인하여, 해당 인자 또한 NQO1-STING을 통한 면역활성매개 인자로서 가능성을 시사함. NQO1-STING 조절 면역활성을 통한 방사선 치료효과 확인 - 종양세포의 면역활성 유도물질 type I IFN 분비를 통해 면역세포의 활성이 높아지는지 확인하고자 NQO1 KD 종양세포에 STING 유도를 위한 방사선 처리시 공동배양한 DC에서 면역활성 물질의 발현이 높아짐을 확인함. □ 연구개발성과의 활용 계획 및 기대효과 (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NQO1 조절 STING 활성 매개 신규 인자 제시 - 산화스트레스가 많은 암의 특성으로 인해 다양한 암종에서 NQO1이 과발현되어 있으며 방사선/항암제 치료 효과가 미미하며 암의 예후도 좋지 못함. 따라서 해당 암종의 치료효과를 높이기 위해 면역활성화를 유도하고자함. 현재까지 STING에 의한 면역활성을 일으키는 인자는 확실히 알려지지 않았으며 ROS에 의한 dsDNA 생성이 원인일 것으로 예상하고 있음. 그러나 ROS 증가에도 STING 활성이 감소하는 연구 결과로 미루어보아 NQO1-STING 사이의 조절인자가 있을것으로 사료되며 본 연구에서 해당 인자를 2종 발굴하여 이를 면역활성을 조절하는 항암면역치료제 연구에 중요한 기초자료로 이용할 수 있을 것임. NQO1-STING 면역활성으로 방사선 저항성을 줄여 저선량 방사선치료 가능성 제시 - 기존에 치료 효과가 있는 방사선량은 3✕8Gy 수준으로 고선량이며, 고선량의 방사선은 치료목적임에도 정상세포에 영향을 주어 치료 부작용을 유발함. 본 연구의 결과로 면역활성을 조절하는 인자를 발굴하여 면역활성을 조절함으로써 치료 효율을 높인다면 기존에 방사선 치료에 활용되는 선량보다 낮은 선량을 이용하여 같은 치료효율을 낼 수 있을 것이므로 종양 치료의 중요한 기반연구 자료가 될 수 있음.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김효정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의학원
    • 발행년도 : 20230300
    • Keyword : 1. STING 신호전달;종양환경;면역활성;방사선치료; 2. NQO1;STING signaling;Tumor environment;Immune activation;Radiotherapy;
  • 12260

    2023.11.30

    비공개항목입니다.
    • 연구책임자 : 남욱희
    • 주관연구기관 : (주)오리엔트정공
    • 발행년도 : 20231200
    • Keyword : 1. 엔드플레이트;주조성;방열;강도;열전도도; 2. End plate;castability;radiation;strength;thermal conductivity;
  • 12259

    2023.05.31

    비공개항목입니다.
    • 연구책임자 : 백종학
    • 주관연구기관 : 이티유(ETU)
    • 발행년도 : 20230600
    • Keyword : 1. 내방사선;전원공급장치;원자력발전소;조명기기;회로설계; 2. Radiation hardening;Power supply;Nuclear power plant;Light system;Circuit desig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