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Report

All 12,458 Page 17/1,246

검색
  • 12298

    2023.01.31

    Ⅳ. 연구개발결과 ㅇ 방사선의학연구 경쟁력 강화 - 실험동물용 방사선 조사기 이용 연구지원: 336건 - X선 광학영상촬영장비 이용 연구 활성화: 120건 ㅇ 연구몰입환경 구축 - 동물실험윤리위원회 운영 및 심의 진행: 221건 - 동물실험 시설적 지원: 723건 - 동물실험 기술적 지원: 28건 - 이용자교육 : 30건 - IACUC 교육: 78건 ㅇ 동물실험 인프라 운영 선진화 - 정규미생물모니터링 수행 - 수질검사 - PQ 및 T,A,B실시 ㅇ 동물실험 인프라 역량 고도화 대외 연구 지원 및 자문 :3건 (출처 : 요약문 5p)
    • 연구책임자 : 손영훈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의학원
    • 발행년도 : 20230200
    • Keyword : 1. 방사선의학;실험동물;조사기;공공인프라;실험동물모델; 2. Radiation biology;Laboratory animal;Irradiator;Infrastructure;Animal model;
  • 12297

    2022.12.31

    Ⅳ. 연구개발결과 1. 저선량 방사선 생체 영향, 선량률의 역할 규명 연구 및 다양한 실험동물 연구의 원활한 수행을 위해 시설 유지 및 지원 2. 동물실험 윤리위원회 개최를 원활하게 지원함 3. 실험동물위령제 개최를 지원함 (출처 : 요약문 3p)
    • 연구책임자 : 이창근
    • 주관연구기관 : 동남권원자력의학원
    • 발행년도 : 20230100
    • Keyword : 1. 저선량 방사선;저선량률 방사선;실험동물;동물실험 윤리위원회; 2. low-dose rdaition;low-dose rate radiation;experimental animal;IACUC;3R;LMO;
  • 12296

    2023.01.31

    Ⅳ. 연구개발결과 - 240 keV 정전형가속기 빔 인출 : 240 keV 10.12 mA 빔 인출 성공 - 750 kW 직류전원장치 설계 제작시험 : 공기중에서 650 kV, 45mA 2시간 안정적 동작성능 확인 공기중에서 750 kV, 45mA 1시간 미만 운용가능(공간적 절연조건에서는 장시간 운용 가능) 세부장치들의 개별 성능은 모두 만족함 - 정전형가속기 SF6챔버 설계제작 : 예산 및 공간문제로 인한 개발 성과목표 변경 1.5 MeV → 2.4 MeV 상향조정으로 인하여 750 kV 절연챔버 설계가 1.2 MV급으로 변경됨 1.2 MV 절연챔버설계완료 - 2.4 MeV 정전형가속기 부품설계, 제작 및 시험 충전용 베터리를 이용한 가속기 내 전원 공급장치 적용 1.2 MV 가속기 고전압 터미널 절연설계 완료 Ar가스 스트리퍼 90 % 스트리핑 효율 500 keV 양성자 대전류 탄뎀가속기 국내 최초 개발 성공 (출처 : 요약문 5p)
    • 연구책임자 : 홍봉환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의학원
    • 발행년도 : 20230200
    • Keyword : 1. 정전형 탄뎀가속기;파워 서플라이;빔인출;부분차폐;인허가; 2. Electrostatic tandem accelerator;Power supply;Beam extraction;Radiation shielding;licensing;
  • 12295

    2022.12.31

    본 과제는 품질보증이 적용되는 과제/사업을 대상으로 규정된 품질요건의 이행상태를 독립적으로 확인 및 평가하고 지속적 품질개선을 도모함으로써 과제/사업 결과물의 품질을 확보하고 대내외적으로 품질신뢰도를 제고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원에서 품질보증의 대상이 되는 업무를 분류하면 다음과 같다. - 원자력시설운영 - 원자력시설 설계 및 건설사업 - 연구개발/사업 - ISO 9001 - KOLAS 본 과제에서는 품질보증의 대상이 되는 업무에 대하여 다음의 품질보증활동을 수행하였다. - 품질보증계획 수립 및 유지관리 - 품질보증계획 이행상태 확인 및 평가 - 대외 품질시스템 평가 수검 - 교육훈련 및 자격관리 본 과제의 결과는 품질보증 활동을 통해 발생된 각종 품질보증기록으로 확인될 수 있으며, 본 보고서에서는 주요 내용을 기술하였다. 본 과제의 결과는 연구원에서 수행된 사업이나 연구결과물에 대하여 품질보증 관련 법적 요건을 충족시키고, 대내외 품질신뢰도를 향상시키는데 활용할 수 있다. (출처 : 서지정보양식 101p)
    • 연구책임자 : 남지희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연구원
    • 발행년도 : 20230100
    • Keyword : 1. 원자력 품질보증;품질보증감사;품질검사;품질보증기록; 2. Nuclear Quality Assurance;QA Audit;Quality Inspection;QA Record;
  • 12294

    2023.03.31

    □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 최종 목표 최근 내시경 기술의 발전과 screening 내시경 영향으로 표재성 식도암의 발견 빈도가 늘고 있으나 시술 전 평가를 통해 종양의 침범 깊이를 예측하기가 어려워 불필요하게 수술을 받기도 하고 내시경적 절제 후 추가 치료가 필요한 경우가 자주 발생함. 하지만 아직 표재성 식도암에서의 치료방침이 정립되어 있지 않아 본 연구는 내시경적 절제 후 완치에 도달하지 못한 표재성 식도암에서의 치료 가이드라인 근거 창출을 위해 추가 수술과 방사선항암치료를 비교 분석하고자 함. ◼ 전체 내용 1. 림프절 전이가 없는 표재성 식도암에서 내시경적 절제를 시행 후 최종 병리 결과 T1b(점막하 침범) 또는 lympho-vascular 침범이 있는 경우를 연구 대상으로 함. 2. 흉부 식도 또는 위식도접합부 편평상피암을 선정 기준으로 하고 재발성 식도암이거나 기저질환이나 임신 등의 이유로 방사선항암치료나 수술을 받을 수 없는 경우를 제외 기준으로 하여 최종 연구 참여자를 무작위 배정한 뒤 수술(Ivor-Lewis 수술 또는 McKeown 수술) 또는 방사선항암치료(5-FU 4000mg/m2/day on days 1-4 and 22-25 and CDDP 60mg/m2/day on day 1 and 22, radiation dose 50Gy/25Fr, 5days/week) 시행. 3. 각 군 당 목표 대상자 수는 94명이며 3년 생존율을 일차목표로 하여 Kaplan-Meier curve를 구하고 log-rank test로 비교. 이차목표로 1년/2년 생존율, 1년/2년/3년 무재 발생존율, 1년/2년/3년 삶의 질(SF-36, EQ-5D), 시술관련 합병증평가를 시행하고 log-rank test, unpaired t-test 또는 Mann-Whitn ◼ 1단계 ❏ 목표 다기관 다학제 무작위배정 대조실험연구(RCT) 인프라 구축 및 연구 개시 - 다기관 IRB 승인 및 프로토콜 관리 - eCRF 개발 (eVelos system) - 다기관 다학제 무작위배정 대조실험연구(RCT) 의 대상자 선별 및 등록 flow 수립 - 무작위 배정 결과에 따라 시행항 수술 또는 방사선항암치료의 기관별 표준화 - 연구 참여자의 의학적 관리와 정기적 추적관찰을 통한 연구대상자 안전성 관리와 질관리 ❏ 내용 - 다기관 다학제 컨소시엄 구축 - 프로토콜 개발 및 eCRF 개발 - 프로토콜 다기관 협의, clinical practice 의 다기관 표준화 - 무작위배정 대조실험연구(RCT)의 연구 대상자 선별 및 등록 - 무작위배정 결과에 따른 치료 수행과 의학적 관리 - 연구대상자 추적관찰 및 Safefy 관리 - 연구의 질 향상을 위한 노력(목표 등록환자수 상향조정, ESD 활성화와 등록 활성화를 위한 노력, 참여기관 확대) ◼ 2단계 ❏ 목표 다기관 무작위대조연구(RCT)의 대상자 등록 완료 및 임상시험의 안정적 수행 - 다기관 표준화 - 다기관 다학제 진료체계 유지 및 관리를 통한 프로토콜 관리 - 다기관 임상시험에 대한 모니터링 체계 구축 및 SAE, 프로토콜 위반 등의 질 관리 - eCRF 개발 및 자료 이관 (MyTrial) ❏ 내용 다기관 다학제 무작위배정 대조실험연구(RCT) 수행 - 다기관 다학제 무작위배정 대조실험연구(RCT) 의 대상자 선별 및 등록 (95% 등록 완료) - 무작위 배정 결과에 따른 치료 수행과 의학적 관리 - 연구대상자 추적관찰 및 Safefy 관리 - 연구대상자의 문제 해결을 위한 다기관 다학제 협의체 운영 - 국립암센터의 eVelos 계약종료에 따라 eCRF 를 MyTrial 로 다시 개발 및 자료 이관 - 연구의 질 향상위한 노력(ESD 활성화와 등록 활성화를 위한 노력, 참여기관 확대) □ 연구개발성과 활용계획 및 기대 효과 1. 림프절 전이가 없는 표재성 식도암에서 내시경적 절제술을 시행한 뒤 점막하 침범 또는 lymphovascular 침범이 있어서 추가 치료가 필요할 때, 방사선항암치료가 생존율 측면에서 수술에 비해 비열등 함을 확인하여 새로운 치료 가이드라인을 정립할 수 있음. 2. 수술이 필요한 표재성 식도암 환자에서 방사선항암치료를 시행하고 수술과 비교 분석하여 그 치료 성적을 확인함으로써 대표적 비수술적 치료법인 방사선항암치료의 예후를 결정할 수 있음. 3. 방사선항암치료를 받은 표재성 식도암 환자의 불량한 치료 성적과 연관되는 요인을 찾아내어 수술적 치료의 필수 적응증으로 활용할 수 있겠음. 4. 한국형 다기관 다학제 연구의 모델 제시 1. 표재성 식도암에서의 치료 가이드라인을 정립할 수 있는 근거창출. 2. 수술이 어렵거나 수술을 원하지 않는 표재성 식도암 환자에게 비수술적 치료를 제공할 수 있는 근거마련 및 예후예측 가능. 3. 방사선항암치료 후 재발한 경우 요인분석을 통해 표재성 식도암에서 수술적 치료의 적응증에 대한 근거마련. (출처 : 요약문 4p)
    • 연구책임자 : 김홍관
    • 주관연구기관 : 삼성서울병원
    • 발행년도 : 20230400
    • Keyword : 1. 표재성 식도암;내시경적 절제;식도절제술;방사선항암치료;무작위대조연구; 2. Superficial esophageal cancer;Endoscopic resection;Chemoradiotherapy;Esophagectomy;Randomized controlled trial;
  • 12293

    2023.02.28

    □ 연구개요 초고선량률 방사선 조사인 FLASH Radiation을 이용, 기존 Conventional 방사선 조사 방식 대비 마우스 심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향후 FLASH 방사선 치료의 인간 대상 임상 시험 적용에의 기반 자료로 삼는다. □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C57BL/6 male 마우스를 대상으로 총 3개의 그룹으로 나누어 심장에 방사선 조사를 시행하였다. 대조군 그룹은 총 마우스 생존기간 조사목적으로 관찰하였으며, 나머지 두 그룹은 FLASH 10 Gy, 20 Gy, 30 Gy 조사 군과 Conventional 10 Gy, 20 Gy군으로 관찰하였다. 각 군별 마우스 부검은 6개월, 12개월 그리고 16개월에 시행하였다. 방사선 조사를 받은 심장조직은 기존 치료 방식인 Conventional 군에서 FLASH 군에 비해 전반적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도 차이의 섬유화가 발생됨이 관찰되었다. 또한 FLASH 방사선 조사 그룹의 경우 마우스 심장 세포가 Conventional 군에 비해 전체적으로 비대해짐을 각종 염색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고 심장 내 혈관 주변조직의 경우도 Conventional 그룹에서 FLASH 그룹에 비해 섬유화가 더 많이 일어난 것을 조직 염색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생존기간 분석에 있어서는 두 그룹의 명확한 차이가 실험 개체수가 적은 관계상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드러나지는 않았으나 20 Gy 조사 군에서는 FLASH 군이 Conventional 군에 비하여 더 장기간 생존하는 것이 관찰되었다. □ 연구개발성과의 활용 계획 및 기대효과(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본 연구를 통해 마우스 심장에서의 FLASH 방사선 조사가 기존 Conventional 조사 방식 대비 더 적은 섬유화를 일으키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또한 20 Gy 이상 고선량 조사군에서는 FLASH 그룹이 더 긴 생존 기간을 보임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이후 다양한 소동물 및 중동물의 심장 주변 종양 모델에 대해 FLASH 방사선 치료시 심장 반응에 대한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 향후 FLASH 방사선 조사의 인간 대상 임상 시험시 안정성에 대한 근거 자료 중 하나로 제시될 수 있다.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전완
    • 주관연구기관 : 동남권원자력의학원
    • 발행년도 : 20230300
    • Keyword : 1. 초고선량률방사선;방사선치료;심장조직손상; 2. FLASH radiation;Radiotherapy;Cardiac tissue damage;
  • 12292

    2023.05.31

    □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 최종 목표 TiO2 광촉매를 이용한 일사 저항형 Thermochromic 파우더의 도료화 기술 개발 ◼ 전체 내용 최근 여름철 외기온도가 상승되면서, 건물외피의 표면온도가 지속적으로 상승되고 있다. 가열된 건물외피의 표면은 실내로 더 많은 열을 전달하여 냉방기의 용량 및 가동시간을 증가시켜 냉방에너지 소비를 더욱 촉진시킨다. 특히, 지붕표면은 타 구조보다 더 긴 시강동안 높은 고도의 강한 일사에 노출되기 때문에, 표면온도가 매우 높다. 이러한 지붕의 표면온도를 감소시키기 위해 최근 태양일사의 반사에 탁월한 흰색 도료 형태의 Cool Roof 시스템이 보급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와 같은 Cool Roof 시스템은 연중 여름철이 우세한 지역에 적합한 방식이다. 반면, 국내와 같이 겨울철이 긴 기후지역에서는 Cool Roof가 지붕의 표면온도를 더욱 냉각시킴으로서 난방에너지 소비를 촉진시키는 동시에 연간 건물에너지 및 온실가스 배출 또한 증가시킨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는 Thermochromic 재료를 이용한 'Cool & Warm Roof' 시스템을 제안한다. Thermochromic 재료는 온도에 따라 색이 검정계열에서 무색(투명)으로 변화하기 때문에, 흰색계열의 도료와 순차적으로 시공된다면 지붕표면의 일사를 조절함으로서 여름철과 겨울철에 지붕표면 온도를 유기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Thermochromic 재료는 태양 자외선에 노출되면 변색 기능이 파괴되기 때문에, 이를 지붕 표면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자외선 취약에 대한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그 해결책으로서 본 연구는 TiO2 광촉매를 통해 Thermochoromic 재료의 자외선 문제를 해결할 계획이며, 동시에 이를 지붕에 적용하기 위한 도료화 방안을 제시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Cool & Warm Roof를 구현하기 위해 TiO2 광촉매 기반의 일사 저항형 Thermochromic 분말의 도료화 기술 개발‘에 최종 목적이 있다. Thermochromic 기술은 촉매제 내에 유기산화물과 착색제를 첨가한 후, 이를 캡슐화한 나노기술의 하나이다. 촉매제의 융해점을 기준으로 고온 혹은 저온에서 색상이 서로 다르게 나타나는 특징을 가진다. Thermocromic 재료는 일반적으로 (1) Liquid Crystal과 (2) Leuco Dye로 구분된다. 이중, Leuco Dye 타입은 일반적으로 유색에서 무색(투명)으로 변화시키며 마이크로파우더(미세분말) 현태로 존재한다. 또한 고온에 내구성 가지며 다른 입자들과 혼합되어도 본연의 성능을 유지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이로 인해, 물, 페이트, 오일 등과 혼합되어 도장의 원료나 미용, 자동차 등 많은 산업에 광범위하게 이용될 수 있다. 만약, 지붕의 표면에 반사율이 높은 흰색계열의 도료를 도포한 후, 검정계열에서 무색(투명)으로 변화하는 Thermochromic 기반의 도료를 그 위에 도포한다면, 특정온도에서 지붕의 표면이 검정계에서 흰색계열로 변화될 수 있다. 이러한 지붕 표면의 색 변화는 태양일사를 계절에 따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지붕의 표면온도를 계절 변화에 따라 감소 혹은 증가시킬 수 있다. 그러나 현재 모든 Thermochromic 재료들은 태양의 강한 자외선에 노출되면 내부의 조직이 파괴되어 변색 기능을 상실하게 된다. 특히, Thermochromic Leuco Dye 타입은 고온에 저항성이 있기 때문에 뜨거운 열과 같은 고온에서도 변색기능을 유지할 수 있지만, 실외의 강한 자외선에 노출되면 다른 재료와 마찬가지로 변색기능이 파괴되고 일사 반사 능력이 현저하게 떨어지는 심각한 단점을 가진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이산화 티타니움 (TiO2)를 이용하였다. TiO2는 일사의 자외선 및 짧은 파장의 가시광선 영역을 반사하는 특징을 가진다. 특히, TiO2는 입자의 크기에 따라 표면으로 투영되는 일사를 산란시키는 능력에서 차이를 보인다. 따라서 기존 Thermochromic Leuco Dye 타입의 일사에 대한 취약성을 보완함과 동시에 최적의 일사 반사율을 가질 수 있는 TiO2 의 종류 및 입자크기를 결정짓는 것에 중점을 두었다. 또한 일사 저항성을 가진 TiO2 및 Thermochromic의 최적 혼합물이 도출된 후, 이를 도료화하는 방법 또한 도출하였다. 이들 혼합물과 지붕에 도포하는 일반 도료와의 혼합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화학적 위험성을 관철하고, 도료화가 완성되었을 때 지붕 표면과의 부착성, 마모(벗겨짐), 변색 기능의 유지 등에 대한 분석 또한 수행하였다. ◼ 1단계 ❏ 목표 국내 기후조건을 고려한 Cool & Warm Roof 최적 디자인 도출 ❏ 내용 연간 기후변화에 따른 지붕의 일사 조절을 위한 표면 색상변화 시스템의 디자인 도출, 최적 Thermochromic 안료 및 TiO2 분말의 입자크기 결정 및 지붕과의 융합 방안 도출 ◼ 2단계 ❏ 목표 혼합 Thermochromic 안료 제작 및 사전 성능 테스트 ❏ 내용 Thermochromic 안료 및 TiO2 분말의 최적 혼합을 위한 혼합 방식 결정 및 혼합 테스트, 혼합 안료 및 액체 도료 용매와의 혼합 결과 분석, 혼한 Thermochromic 도료의 지붕 표면 적용을 위한 사전 테스트 수행 ◼ 3단계 ❏ 목표 기존 지붕 대비, Thermochromic 도료 적용에 따른 지붕 표면 온도 저감 효과 분석 ❏ 내용 국내 건축물에서 주로 활용되고 있는 녹색 및 회색 표면 대비, Thermochromic 기반 Cool & Warm Roof 시스템의 표면온도, 실내 천정온도 및 실내 공기온도의 쾌적성 검증 □ 연구개발성과 Thermochromic 도료의 연구와 관련하여 국내외 연구개발의 격차는 약 15년 이상이라고 사료된다. 또한 미국과 일본 및 일부 유럽국가에서는 이미 이러한 스마트 도료가 빠르게 보급되면서 그 성능 또한 연구를 통해 지속적으로 발전되고 있다. 반면, 국내에서는 몇몇 연구문헌에서 Thermochromic 안료에 대한 소개와 간단한 성능 정도가 보고되고 있고, 이를 활용한 응용사례나 혁신 연구에 대한 보고는 아직 충분하지 않은 것으로 분석된다. 이미 국외에서는 Thermchromic 안료가 건축뿐만 아니라 금속, 목재, 플라스틱 등 다양한 산업에서 활용되고 있으며, 에너지 절감의 관점에서도 일부 건축물 적용에서 상당한 효과를 발휘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특히, 금속 피막의 내구성 강화를 위한 연구가 상당히 진행되었으며, 곧 자외선에 완전히 저항할 수 있는 기술이 완성될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비용 대비, 에너지 절감 효율이 매우 탁월한 재료이며 미래 스마트 에너지 절감 재료로서 폭넓게 활용이 가능함으로, 본 연구가 국내 Thermochromic 안료 및 도료 기술발전의 기폭제 역할이 될 것으로 매우 기대하고 있다. □ 연구개발성과 활용계획 및 기대 효과 건축물 관련 에너지 절감을 위한 요소기술은 이미 선진국 수준으로 다달았으며, 현재는 이러한 요소기술 적용에 따른 적용과 효과에 대해 국가 인증을 통해 검증하는 단계에 있다. 그럼에도, 건축물에서 좀 더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에너지 절감을 위해서는 가벽고 적용이 쉬운 스마트 재료들의 개발과 적용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미 해외에서는 도료라는 주제로 스마트 기술을 적목하여 간단한 적용으로 효과적인 건물에너지 절감을 도모하고 있으며, 어느 정도 완성기에 접어들고 있다. 반면, 국내는 해외 기술과 약 10년 이상 차이가 있을 만큼, 스마트 재료 및 이러한 도료 기술에 소극적이며, 연구 문헌의 비교를 통해서도 그 차이를 확인할 수 있다. 본 연구 과정 중에서 코로나19라는 예상치 못한 사태가 발생되어 연구 진행에 많응 어려움이 있었지만, 어렵게 실험을 통해 스마트 도료 기술을 통해 효과적으로 건물에너지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는 것이 확인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향후, 본 기술의 성숙기로의 진입을 기대하며, 다양한 산업에서 본 도료를 통한 응용연구 및 기술개발이 추진되기를 기대한다. (출처 :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백상훈
    • 주관연구기관 : 한경대학교
    • 발행년도 : 20230600
    • Keyword : 1. 온도변색도료;이산화티타니움;스마트지붕시스템;일사조절;건물에너지절감; 2. Thermochromic Paint;Titanium dioxide;Smart Roof System;Solar Radiation Control;Building Energy Reduction;
  • 12291

    2022.12.31

    Ⅳ. 연구개발결과 1. 유전자 가위를 이용한 유전변이 유발 기술 개발 2.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법과 생물 정보학을 이용하여 담도암의 유전체 분석 3. 담도암 환자 유래 정상 및 종양 오가노이드(organoid) 세포 주 구축 4. 방사선 처리 대장암 세포 유래 엑소좀의 전사체 분석과 특성 분석 5. 방사선 치료기전 규명을 위한 방사선 저항성 대장암 모델 개발 (출처 : 요약문 4p)
    • 연구책임자 : 최시호
    • 주관연구기관 : 동남권원자력의학원
    • 발행년도 : 20230100
    • Keyword : 1. 방사선;유전자 가위;종양 모델;오가노이드;엑소좀; 2. radiation;CRISPR-Cas9;tumor model;organoid;exosome;
  • 12290

    2023.01.31

    IV. 연구개발결과 ○ 융합PET(PET/MRI 및 PET/CT)를 이용한 다중-다기능 분자영상을 이용한 임상 치료계획 및 치료반응 평가지표의 임상적 유효성 평가 연구(유방암, 림프종, 뇌종양, 치매 및 파킨슨병 뇌질환용 방사성의약품평가 등) ○ 소동물 PET/CT 및 MRI장비를 이용한 다기능 융합 영상법 개발 ○ 고분해능 뇌영상 기반 뇌질환 진단 기초연구기술 개발 ○ 종양모델 진단평가를 위한 PET-MRI융합영상법 개발 ○ 추적자 동력학 기반 PET-MRI융합분석법 개발 ○ 기관 내외 연구자들의 소동물 전임상연구 지원 활성화를 위한 기관내 장비운영 및 이용지원 체계 수립 추진 ○ 치매성 뇌질환 진단용 신규 방사성의약품 평가 임상시험 수행 및 전립선암 진단용 신규 방사성의약품 임상시험 추진 ○ 본 연구사업의 주목표인 MC-50 사이클로트론을 통한 이용 연구자들의 시설 활용지원은 통계에 따르면 총 15개 기관의 연구를 지원하였다. 가속기 가동시간은 총 925시간이며 RI 생산 빔 조사 지원건수는 61건이고 외부 이용자 지원건수는 지원건수는 140건(내부이용: 42건, 외부이용: 98건)로 총 201건을 기록하였다. ○ 또한 MC50 사이클로트론의 안정적 운영은 본 연구사업의 융복합 연구과제 지원 관련 장비가동률에 있어 당해년도 목표치 90%에서 97.4%로 초과 달성하였으며, 실험지원 목표 200건 이상을 무리 없이 지원하였다. ○ 50 MeV 사이클로트론 기반으로 한 차세대 PET 방사성동위원소 3종(Cu-64, Zr-89, I-124)과 알파입자 방출 치료용 방사성동위원소 At-211은 의학원에서 국내 최초로 개발하여 연구용으로 국내 의료기관 및 연구소에 무상으로 공급(단, 포장 및 배송료는 주문자 부담)하고 있으며 국내 총 14기관이 사용허가를 보유하고 의학원으로부터 공급 받아 분자영상 및 핵의학기술에 대한 R&D에 활용하고 있음. Cu-64는 4,027.1 mCi/136건, Zr-89은 85 mCi/17건, I-124는 157.4 mCi/24건, At-211은 48 mCi/14건을 생산하여 공급하였음 (출처 : 요약문 5p)
    • 연구책임자 : 이교철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의학원
    • 발행년도 : 20230200
    • Keyword : 1. 양전자방출단층촬영술;융합영상시스템;다기능방사성의약품;다기능융합분자영상;임상연구사이클로트론;양성자;중성자;중양성자빔; 2. PET;hybrid imaging system;multi-functional radiopharmaceuticals;multi-functional hybrid molecular imaging;clinical study;MC-50;cyclotron;proton;neutron;deuteron beam;
  • 12289

    2023.01.31

    Ⅳ. 연구개발결과 - 연구용 Varian iX 장비의 FLASH 방사선조사 안정적 운용 - Varian iX 장비의 FLASH 방사선 발생을 위한 최적조건 연구, 보조장치 개발 - FLASH 방사선의 정상/암 세포에 대한 생물학적 영향 분석 (뇌, 두경부, 간) - FLASH 방사선의 정상/암 조직에 대한 생물학적 영향 분석 (뇌, 두경부, 간) - 방사선치료 가능한 암 진료를 하는 동물 병원 및 기관에 대해 연계시스템 마련 - FLASH 전자빔 정성적 선량평가 및 섬광체 dosimetry 장치개발 - FLASH 전자빔 선량측정 절차서 개발 - 전자빔 발생장치(e-gun) 제작 완료 및 성능시험 수행 - 고주파 증폭장치(Klystron) 제작 완료 및 성능시험 수행 - 증폭전원장치(Modulator) 제작 완료 및 성능시험 수행 - 장치제작 및 제작공정을 위한 제작 진도와 공정률 점검업무 수행 (출처 : 요약문 5p)
    • 연구책임자 : 최상현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의학원
    • 발행년도 : 20230200
    • Keyword : 1. FLASH 방사선치료;초고선량률;초고속 전자빔;방사선치료기;50 MeV 전자빔; 2. FLASH radiation therapy;Ultra high dose rate;Very high elergy electrons;Radiation therapy machine;50 MeV electron bea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