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Report

All 12,453 Page 17/1,246

검색
  • 12293

    2023.04.30

    비공개항목입니다.
    • 연구책임자 : 안광선
    • 주관연구기관 : 베스트에너지(주)
    • 발행년도 : 20230500
    • Keyword : 1. 고분자 필름;방사선차폐;방사성 폐기물;소프트 백;원자력; 2. Polypropylene Film;Radiation Shield;Radiation Waste;Soft Bag;Nuclear,power plant;
  • 12292

    2023.03.31

    □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 최종 목표 중대사고시 격납건물 건전성을 위협하는 주요 현상 및 안전현안에 대한 평가 및 규제기술 개발 ◼ 전체 내용 - 노외 노심용융물 냉각 성능에 대한 평가·규제기술 확보 - 중대사고시 재임계 및 핵분열 생성물 거동 평가·규제기술 확보 - 중대사고시 원자로냉각재계통(RCS) 압력경계 건전성에 관한 평가·규제기술 확보 ◼ 1단계 ❏ 목표 중대사고시 격납건물 건전성을 위협하는 주요 현상 및 안전현안에 대한 기술현황 및 이론적 근거 확보 ❏ 내용 - 노심용융물 노외 냉각 성능에 관한 기술현황/규제동향 분석, 요소 현상별 불확실성 특성 평가 및 기존 전산코드 평가 - 중대사고시 재임계 가능성 및 격납건물 내 핵분열생성물 거동 실험/모델 현황 분석 및 전산코드 평가체계 개발/검증 - 중대사고시 원자로냉각재계통(RCS) 압력경계 건전성 및 격납건물 하중관련 실험/모델 현황 분석 및 실험을 활용한 전산코드 평가 체계 개발/검증 - 노심용융물 노외 냉각 핵심현상 실험장비 구축/실험 수행 및 모델 개발 ◼ 2단계 ❏ 목표 중대사고시 격납건물 건전성을 위협하는 주요 현상 및 안전현안에 대한 거동평가 방법론 개발 ❏ 내용 - 노심용융물 노외 냉각 성능 규제 평가방법론 개발 및 심사지침(안) 개발 - 중대사고시 재임계 가능성 및 격납건물 내 핵분열생성물 거동 규제 평가방법론(안) 개발 - 중대사고시 원자로냉각재계통(RCS) 압력경계 건전성 평가방법론(안) 개발 - 노심용융물 노외 냉각성능 실험 수행 및 모델 개발/검증 및 고도화 □ 연구개발성과 ○ 정량적 성과 - 안전기술보고서(N-STAR): 33건 - 국외논문: SCI 20건 - 학술대회발표: 82건 (국외 39건, 국내 43건) ○ 정성적 성과 - 중대사고시 격납건물 건전성을 위협하는 주요 현상 및 안전현안에 대한 기술현황 및 이론적 근거 확보 - 중대사고 시 원자로용기 및 원자로냉각재계통 파손 평가와 격납건물 동하중 정량 평가 및 구조건전성 평가를 위해 기술현황 분석 및 방법론 개발 기반 확보 - 기존 전산코드 평가체계 분석 및 노외 노심용융물 냉각 성능 평가 모델 개발을 위한 핵심현상 실험 수행 □ 연구개발성과 활용계획 및 기대 효과 ○ (활용 계획) 2016. 06에 개정된 “원자력 안전법“ 시행 3년 이내에 사고관리 계획서를 제출하도록 하고 있으며, 사고관리계획서내의 중대사고 완화능력평가 심사에 활용함. - 노외 노심용융물 냉각 성능 평가 - 격납건물 우회사고 평가 - 격납건물 동하중 요인에 대한 격납건물 건전성 평가 - 규제용 전산모델 및 방법론을 활용한 검증계산 수행 - 미해결 안전현안들에 대한 평가방법론 확보 ○ (기대효과) 격납건물 안전성 검증을 통한 국민 수용성 제고 - 중대사고 대처 전략 및 관련 설계기술에 대한 보다 정확하고 효과적인 규제기술 적용을 통하여 대외 공신력을 확보하고 국민정서에 부합하는 원전 안전성을 확보함. - 중대사고에 대한 국내 규제연구 인프라 강화를 통하여 향후 발생할 수 있는 중대사고 현안에 대한 효율적인 대처 체계를 마련함. (출처 :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조용진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
    • 발행년도 : 20230400
    • Keyword : 1. 노심용융물 노외 냉각 성능;원자로냉각재계통 압력경계 건전성;격납건물 동하중;재임계 가능성;핵분열생성물 거동 모델; 2. Exvessel Corium Coolability;RCS Pressure Boundary Integrity;Containment Dynamic Load;Recriticality;Fission Product Behavior Model;
  • 12291

    2023.06.30

    비공개항목입니다.
    • 연구책임자 : 최윤이
    • 주관연구기관 : (주)제이텍워터
    • 발행년도 : 20230700
    • Keyword : 1. 차아염소산나트륨;스마트 주입농도조절시스템;전기분해;클로레이트;브로메이트; 2. Sodium Hypochlorite;Smart Injection;Electrolysis;Chlorate;Bromate;
  • 12290

    2023.02.28

    □ 연구개요 일부 식품유래 천연물은 nuclear factor erythroid 2-related factor 2(Nrf2) 신호전달계를 활성화하고, 이를 통하여 항산화효소와 2상 해독효소계 발현을 촉진함으로서 암발생을 예방하지만, 또 다른 측면에서 Nrf2 활성화가 암세포에서 발생하는 활성산소의 제거를 촉진하여 암세포 증식을 촉진할 수 있다는 것이 알려져 있음.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식품유래 천연물에 의한 Nrf2의 활성화가 대장암세포의 증식을 촉진하는지 여부와 전사조절인자 Nrf2에 의해 발현이 조절되는 단백질 가운데 암세포 증식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단백질을 동정하기 위해서 Nrf2을 knockout 한 대장암 세포를 제작하고, RNAseq을 통하여 탐색된 Nrf2-downstream 유전자를 knockout 또는 knockdown 시키는 방법으로 Nrf2 신호전달계를 통하여 암세포 증식 촉진에 관여하는 유전자를 구명하고자 하였으며, 나아가 해당 단백질의 활성을 제어하는 방법을 찾아 암치료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전략을 수립하고자하였음. □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식품유래 Nrf2 신호전달계를 활성화시키는 파이토케미컬이 암세포증식을 촉진하는지 여부를 조사하고, 이를 통하여 암세포증식을 촉진하는 것으로 확인된 화합물을 이용하여 어떤 Nrf2-downstream 단백질이 암세포증식에 관여하는지 알아보기 위한 연구를 진행하였음. ● 결과 1. 식품유래 천연물이 대장암세포증식 촉진하는 것을 확인하고, 이것이 Nrf2 신호전달계의 활성화와 관련이 있음을 Crispr/casp9 이용한 Nrf2 knockout 및 Nrf2 저해제(brusatol)를 이용하여 증명함 ● 결과 2. 식품유래천연물의 일종인 sulforaphane(SFN)은 Nrf2신호전달계를 활성화 하고 암세포증식을 촉진하는데, 이와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Nrf2-downstream 유전자를 RNAseq과 gene knockout/knockdown 방법으로 탐색하여 γ-glutamylcysteine ligase-catalytic subunit(GCLC)가 핵심단백질임을 확인하였음 ● 결과 3. GCLC가 세포내 활성산소 소거를 통하여 암세포증식을 촉진하여 항암제 작용을 저해하므로, 항암제와 GCLC 저해제(BSO)를 병용처리하였을 때, 항암효과가 상승되는 것을 확인하였음. 특히 SFN은 BSO 및 thioredoxin reductase 억제제인 auranofin와 병용처리시 환원된 글루타티온을 고갈시키고 세포내 산화환원 상태를 교란함으로써 항암활성이 크게 증가하는 것을 새롭게 발견하였음. □ 연구개발성과의 활용 계획 및 기대효과(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은 영역에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됨. 1. 암환자의 식사요법으로 활용: 암세포가 이미 존재하는 환경에서 십자화과 채소 등 Nrf2 신호전달시스템을 활성화할 수 있는 식품의 다량 섭취를 자제하도록 권장하는 것이 바람직함. 예를 들어, 블로콜리새싹, 생배추, 갓의 과량 섭취는 피하는 것이 좋으나 이들을 가공한 제품(예, 김치)은 상대적으로 안전함. 2. 식품 유래 Nrf2 activator를 함유하는 항암제에 대한 지적재산권 획득: 본 연구과정에서 낮은 농도의 SFN이 환원형 glutathione(GSH) 소거하는 특성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응용하여 GSH 합성을 억제하는 buthionine sulfoximine(BSO)와 thioredoxin reductase 저해제 auranofin을 SFN과 병용처리시 항암활성이 극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고, 이 신규 항암요법에 대한 지적재산권을 확보하고자 함. 3. 연구의 확장성 확인: 암세포내 활성산소 양을 증가시켜 암세포를 사멸시키려면 GSH 농도뿐만 아니라 또 다른 항산화시스템인 thioredoxin을 동시에 저해해야 함을 확인하였으며, 여기에 SFN과 같은 electrophiles을 추가하였을 때 활성산소발생이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암세포를 효과적으로 사멸시키는 것이 확인되었으므로, 천연물 또는 이미 개발된 약물가운데 BSO와 auranofin과 병용처리하여 항암효과를 잘 발휘할 수 있는 소재들을 발굴하여 암치료 및 기타 질병치료제로 검토하는 것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됨.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김정상
    • 주관연구기관 : 경북대학교
    • 발행년도 : 20230300
    • Keyword : 1. 대장암;항산화효소계;설포라판;감마글루타밀시스틴 라이게이즈; 2. colorectal cancer;antioxidant enzymes;Nrf2;sulforaphane;γ-glutamylcyste ine ligase;
  • 12289

    2023.02.28

    □ 연구개요 - 비만과 지질대사와 관련된 대사증후군에 효과적인 신규 핵내수용체 조절제의 설계 및 합성 - 비만과 지질대사에 관련된 RAR / PPAR / LXR / FXR / RXR에 각각 선택적인 single 조절제 발굴 및 multi-acting 조절제 발굴 - 구조-활성 상관관계를 도출하여 최종적으로 비만과 지질대사와 관련된 신규 대사증후군에 효과적인 예방 및 치료 물질의 도출 및 지적재산권 확보 □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1. 신규 화합물 설계 및 합성 - in silico docking 연구를 통하여 핵내수용체에 작용할 수 있는 화합물 구조 설계함. - 설계한 화합물에 대한 효율적인 합성법 개발 및 신규화합물 합성 2. 구조최적화 및 활성검증 - 활성 검증 시스템을 확보하고 이를 바탕으로 합성한 물질에 대한 구조-활성 상관 관계 분석을 통한 구조 최적화 및 활성 검증을 통한 효과적인 유효물질 발굴 - FXR/PPAR/LXR를 표적한 유도체 개발 및 활성이 좋은 화합물을 바탕으로 FXR를 비롯하여 PPAR/RAR/RXR 수용체에 대한 멀티 효능 검증, 약물동태 및 생체이용률 검증을 위한 실험 진행 중 : 최종 연구 목표에서 제시한 신규 핵내수용체 조절제의 설계 및 합성 수행 : 활성 검증을 통한 유효물질 및 구조-활성 상관관계 도출 : 지적재산권 확보를 위한 다수의 특허 출원 및 등록 □ 연구발성과의 활용 계획 및 기대효과 (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 연구가 종료된 현재도 대사증후군에 적용되는 기존 물질과 차별화되는 새로운 약물 개발이 필요함. - 대사증후군과 연관된 핵내수용체를 치료 표적으로 하여 medical unmet needs가 매우 높고 시장이 큰 대사증후군에 효과적인 신규 약물 후보군을 개발하고자 하였음. - 본 과제를 통하여 NASH의 약물 타겟인 FXR에 작용하는 다양한 화합물을 도출하였고, 다수의 우수한 연구 인력양성에 기여함. - 대한민국에 다양한 특허를 출원 및 등록하였으며, 관련 연구자료를 바탕으로 미국 특허를 출원하여 심사 중임. - 특허등록을 마친 후, 기술이전을 통하여 사업화를 진행하고자 하며, 활성이 좋은 화합물을 이용하여 후속 연구를 진행하고자 함. - NAFLD 및 NASH 치료제 도출을 위한 후보물질 발굴 및 가능성 제시 : 강력한 FXR 효능효과를 지니는 유도체 도출 : 비알콜성 지방간 질환에 미치는 효능평가법 개발에 기여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곽재환
    • 주관연구기관 : 충북대학교
    • 발행년도 : 20230300
    • Keyword : 1. 핵내수용체;선택적인 조절제;다양한 활성의 조절제;대사증후군;구조-활성 상관관계; 2. nuclear receptor;selective modulator;multi-acting modulator;metabolic syndrome;structure-activity relationship;
  • 12288

    2023.10.31

    비공개항목입니다.
    • 연구책임자 : 최요성
    • 주관연구기관 : 피테크
    • 발행년도 : 20231100
    • Keyword : 1. 저출력레이저요법;구강점막염;수직 캐비티 표면 광방출 레이저 다이오드;의료사물인터넷;블루투스 로에너지; 2. low-level laser therapy (LLLT);oral mucositis;VCSEL(vertical-cavity surface-emitting laser) Laser diode;Internet of Medical;Bluetooth LE;
  • 12287

    2023.11.30

    Ⅰ. 서론 ❏ 본 연구는 유라시아 지역 국가 간에 벌어지고 있는 환경협력과 갈등 현황을 분석하여 한반도 환경협력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ㅇ 인접국 사이의 초국경 협력 및 갈등 사례는 우리나라의 환경협력에 대한 직간접적인 시사점을 풍부하게 담고 있음 ❏ 중국·러시아·중앙아시아 국가들 사이의 환경 이슈들은 이미 그 존재와 개요가 알려져 있기는 하지만, 구체적으로 어떤 단위가 어떤 작용을 했는지, 최근 급변하는 지정학적 움직임 속에서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지에 대해서는 여전히 연구가 필요함 ㅇ 특히 그것들이 우리나라가 시야에 두고 있는 북한과의 환경협력에 어떤 시사점을 주는지 논구하는 연구는 아직 부족한 상황임 (출처 : 요약 7p)
    • 연구책임자 : 최필수
    • 주관연구기관 : 세종대학교
    • 발행년도 : 20231200
    • Keyword : 1. 유라시아;환경협력;환경갈등;공유하천;핵실험장; 2. Eurasian Countries;Environmental Cooperation;Environmental Conflict;Shared River;Nuclear Testing Site;
  • 12286

    2023.05.31

    Ⅳ. 연구개발 결과 ◯ 2023년 5월 기준 세계적으로 109기의 양성자 치료기, 15기의 중입자 치료기 그리고 3기의 붕소 중성자 포획 치료기가 운영되고 있으며, 건설 중이거나 임상 중인 양성자 치료기는 33기, 중입자 치료기는 4기 그리고 붕소 중성자 포획 치료기는 12기임 ◯ 양성자 치료기의 경우 초기에는 싱크로트론이 양성자 치료에 적합한 가속기 형태라고 여겨졌으나, IBA에서 양성자 치료기 전용 사이클로트론을 개발한 이후에는, 운영 중인 양성자 치료기의 70% 정도를 사이클로트론 형태의 가속기가 차지하고 있음. 최근에는 초전도 기술을 바탕으로 한 싱크로사이클로트론을 개발하여 장치를 소형화, 경량화하는 방향으로 기술이 발전하고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한 single room 치료기의 수요가 증가하고, 갠트리에 사이클로트론을 탑재한 치료기도 등장하고 있으며, 기존의 passive scanning 방식에서 pencil beam을 이용한 active scanning 방식으로 바뀌고 있음 ◯ 중입자 치료기의 경우에는 초기부터 싱크로트론이 사용되었으며, 다가 이온원 개선, 선형가속기 (RFQ, DTL) 개선이 이루어졌음. 중입자 치료기는 탄소 빔의 magnetic rigidity가 크기 때문에 1994년 치료를 시작한 이후 계속 받침대 치료를 하다가, 2012년에 비로소 상전도 갠트리를 개발하여 치료에 사용하였음. 이후 초전도 갠트리를 개발하여 2017년도에 치료에 사용하였고, 이후 초전도 갠트리가 중입자 치료에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중입자 치료기의 경우에는 가속기 자체보다도 갠트리가 치료기의 발전을 이끌었다고 볼 수 있음. 또한 싱크로트론의 특성상 에너지 조절이 가능하므로 voxel 단위로 빔을 조사하는 active scanning 방식을 사용하고 있음 ◯ 붕소 중성자 포획 치료기의 경우 고출력 양성자가속기 기술 개발과 표적 물질 및 설계기술의 발전에 따라 초기 30 MeV 에너지의 양성자를 베릴륨 표적에 충돌시켜 많은 중성자를 발생시키는 방법으로부터, 고출력 양성자가속기를 이용하여 가속한 8 MeV 정도의 양성자를 베릴륨 표적에 충돌시키고, 이로부터 발생하는 고에너지 중성자를 효율적으로 감속시켜 치료에 적합한 에너지 범위의 중성자를 얻는 방법으로의 기술 전환이 일어났음. 최근에는 2.5 MeV 양성자를 리튬 표적에 충돌시켜 중성자를 얻는 기술도 개발되고 있으며, 에너지가 낮으므로 기존의 고주파 선형가속기 이외에 정전형 가속기도 사용할 수 있어 그 다양성이 증가하고 있음. 또한, 장치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하여 안정적인 가속기 운영 기술 이외에 표적설계 및 중성자 수송 기술 그리고 약물 개발이 중요함 ◯ 국내에서 양성자 치료기에 관한 연구는 많이 되어 왔음. 국립암센터, 서울삼성병원에서 양성자 치료기를 성공적으로 운영하고 있고, 이를 바탕으로 장치 특성 파악, 운영 기술 그리고 치료계획시스템 운영에 대해서는 많은 경험이 있음. 사이클 로트론과 관련해서는 13 MeV 사이클로트론, 30 MeV 사이클로트론을 국내기술로 개발한 경험이 있기 때문에, 전통적인 사이클로트론에 대해서도 기술력을 갖고 있음. 그러나 소형화, 경량화를 목표로 발전하고 있는 초전도 싱크로사이클로트론에 대한 국내 기술력 정도는 낮은 수준이라고 판단됨. 다만 초전도 기술, 사이클로트론 설계기술 등 개별 기술력은 보유하고 있으므로 조건이 갖추어진다면 기술력 확보는 무리가 없을 것으로 판단됨. 갠트리에 대해서는 구조물, 전자석 등 개별 부품에 대한 제작 기술은 갖추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갠트리 통합 기술은 확보해야 함 ◯ 국내에서 중입자 치료기 연구는 산발적으로 되어 왔으며, 그 양적인 면에서 양성자 치료기 연구에 비해서 적었음. 다가 이온원 기술, 선형가속기 기술은 국내 대형 가속기 건설 시 확보하였음. 중입자 싱크로트론 기술은 전자석 기술, 전원 기술 등의 부품 기술은 확보하였으나, 주파수 가변 가속관, 빔 입사, 인출 기술은 확보해야 할 기술임. 양성자 치료기와 마찬가지로 갠트리 기술은 확보해야 하며, 특히 중입자 치료기에 필요한 초전도 갠트리 기술은 상전도 갠트리 기술보다 난이도가 높은 것으로 평가됨 ◯ 붕소 중성자 포획 치료기는 전 시스템을 국내기업인 다원 메닥스에서 개발하여 임상 시험 중에 있으며 입자방사선치료기의 국산화를 이룬 첫 번째 사례라고 볼 수 있음. 개발자들의 헌신적인 노력과 더불어 국내 대형 가속기 건설 시 확보한 이온원, 선형가속기 (RFQ, DTL) 기술 경험, 원자로 설계 운영에 사용되었던 표적 설계, 중성자 수송, 방사선 차폐 기술, 그리고 국외 시설개발자들의 경험 등이 어우러져 이룬 결과라고 판단됨. 치료계획시스템 역시 자체 개발함으로써 치료기에 대한 전반적인 기술 국산화를 이루었음. 임상 시험을 통하여 치료기의 안정성, 치료효과 등을 실증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임 ◯ 양성자 치료기, 중입자 치료기에 사용되는 치료계획시스템은 상용 시스템을 구매하여 사용하고 있음. X선 치료기의 경우 국산화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이들 시스템에 대해서는 아직 시도되지 않고 있고, 기술력과 더불어 사용자의 기호에 의존도가 높은 부분이기 때문에 기술력 이외의 요소가 큰 부분이라고 판단됨 ◯ 이와 같은 국내기술현황 분석을 통하여 볼 때 국내에서의 치료기 관련 기반 기술은 많은 부분 확보하고 있으며, 치료계획, 검출기 등 기초연구도 되어 왔으나, 이것들이 개별적, 단편적인 것에 그치고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아 치료기 기술이라는 통합 기술로서 열매를 맺지 못하고, 선진국과의 기술 격차는 시간이 지날수록 커지고 있음. 또한, 기술 개발을 하더라도 식약처 허가를 거쳐 의료현장에 적용되기에는 1) 긴 시간 소요, 2) 그 기간 동안 지속적인 예산 투입, 3) 익숙한 장비 선호, 4) 국산 의료기기에 대한 인식 등 넘어야 할 현실적인 장벽이 많음 ◯ 입자 방사선 치료기의 핵심기술을 확보하는 것이 의미가 있으려면, 확보한 기술이 의료 현장에 적용되고, 사용되고, 개선을 이루어 기술 선진국과의 기술 격차를 줄이고, 더 나아가 미래 첨단 치료 기술 분야에서 기술을 선점할 수 있는 영역을 확보하는 것임. 확보한 기술을 의료 현장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현실적인 장벽을 제거해야 하며, 1) 국내에서 보유하고 있는 개별 기술을 통합시켜 입자 방사선 치료기 기반 기술로 승화시키기 위한 추진력 필요, 2) 긴 시간 동안 지속적으로 예산 투입 필요, 3) 의료진 혹은 의료 관련 연구자들의 국내 개발 장비 사용에 대한 익숙함과 국산 장비 안전성에 대한 인식 전환이 필요함 ◯ 이를 위하여 다음의 두 가지 방안을 제안함. 1) 현재까지 다양한 경로로 확보한 기반 기술을, 치료기 개발을 목표로 한 방향성 있는 기술로 지속성을 가지고 연구할 수 있는 시스템 마련, 2) 치료기 기반 기술을 통합한 통합 기술 개발 및 첨단치료 기술 개발 그리고 국내 의학 연구자들이 직접 참여하여 치료기 개발의 방향을 제시할 수 있는 구심점 마련이 그것임 ◯ 첫 번째 방향의 경우 현재 보유하고 있는 각종 가속기 기반 기술을 이용하여 치료기 요소 기술 개발이라는 명확한 목표를 설정하고 지속적으로 지원하는 시스템이 필요하며, 이것은 보유기술의 지속적인 유지 및 기술 향상 그리고 개발인력의 유지 측면에서도 매우 중요함. 이때 개발 방향은 cost down과 compact size가 되어야 함 ◯ 두 번째 방향의 경우 국가 주도로 입자 방사선 치료 기술개발의 구심점 역할을 할 수 있는 거점을 만들고, 이곳에 양성자, 중입자, 중성자 치료기술을 개발할 수 있는 복합 입자방사선치료연구시설을 설치하여 의학 관련 연구자들이 충분한 연구를 할 수 있도록 종합 연구 환경을 구축하는 것이며, 이 시설의 목적은 상업용 치료기 자체를 개발하는 것이 아니라, 연구용 시설을 개발함으로써 치료기 통합기술 확보 (가속장치의 안정적 운영, 빔 조절기술, 제어 기술, 검출기 기술, 치료 기술, 치료계획 개발 등)를 위한 것과 첨단 치료 기술 연구를 위한 것임 ◯ 이를 통하여 국제적으로 첨단 치료기술 분야의 최신 기술용역을 선점을 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할 수 있으며, 장치, 치료관련 기술 개발 및 인력 양성뿐만 아니라 의학 연구자들의 국산 장치에 대한 인식 변화를 통하여 국내 치료기가 의료 현장에 투입되어 사용됨으로써 국민의 삶의 질 향상에 이바지할 것으로 기대함 (출처 : 요약문 4p)
    • 연구책임자 : 권혁중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연구원
    • 발행년도 : 20230600
    • Keyword : 1. 입자방사선치료;양성자 치료;중입자 치료;붕소 중성자 치료;입자 가속기;갠트리;치료계획시스템; 2. Particle radiation therapy;Proton therapy;Heavy ion therapy;Boron neutron capture therapy (BNCT);Particle accelerator;Gantry;Treatment planning system;
  • 12285

    2023.04.30

    □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ㆍ 최종 목표 본 연구는 그래핀(graphene)을 사용하여 우수한 테라헤르츠파 검출기(terahertz wave detector)를 구현하는 것이 목표다. 그래핀은 일반 금속에 비해 큰 열전기력(thermoelectric power) 특성을 갖고 조절가능한데, 이것을 이용하면 테라헤르츠파(terahertz wave)를 간단하면서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하여 현재 테라헤르츠파 검출 기술의 한계를 극복하고, 상온에서도 작동 가능한 테라헤르츠파 이미징(imaging) 기술로 발전시킬 계획이다. 특히 그래핀으로 수백 개의 검출기 배열(array)을 만든 후 그래핀의 유연성(flexibility)을 이용하여 반구 모양의 유연한 절연체 기판위에 배열해 놓으면 사람의 눈과 같은 형태가 되는데, 이는 테라헤르츠파 검출 성능을 더욱 향상시켜 이미지화할 수 있는 효과적인 “눈(eye)”이 될 것이다. ㆍ 전체 내용 테라헤르츠 기술은 그 발생기와 검출기 개발의 어려움으로 인해서 마이크로웨이브나 적외선 기술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발달되지 못했다. 하지만 테라헤르츠파는 잠재적으로 보안, 의학, 천문학 및 재료검사 등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테라헤르츠파는 사람에게 은폐 된 무기를 원격으로 탐지하는 보안 검사에 사용될 수 있는데 이는 테라헤르츠파가 직물이나 플라스틱은 침투할 수 있지만 금속은 침투할 수 없는 특성 때문이다. 또한 물은 테라헤르츠파를 흡수하므로 인체의 일부도 테라헤르츠파를 이용해 이미징할 수 있다. 그리고 테라헤르츠파는 인체에 무해하기 때문에 살아있는 조직과 DNA에 대해 안전하여, 의약분야에서 폭넓게 사용 가능하며 이는 기존의 엑스레이(X-ray)를 사용하는 것보다 더 정확한 인체 내부 이미징을 가능하게 할 것이다. 그래핀은 탄소 원자의 한층으로 벌집 격자를 갖는 이차원 물질이다. 즉 부피가 없고 이차원의 표면만 있어 매우 작은 열질량 (thermal mass)을 갖고 있다. 그래핀을 이용하면 테라헤르츠타 검출기에 매우 빠른 응답속도를 주게 된다. 또한, 그래핀은 매우 낮은 전자-포논 결합성(electron-phonon coupling)을 갖기 때문에 포논 (격자) 온도에 비해 전자의 온도만 선택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어 검출기의 성능을 떨어뜨리지 않으면서 높은 측정 감도를 유지하게 된다. 테라헤르츠파를 입사하게 되면 그래핀의 온도가 올라가게 되는데, 그래핀의 저항은 온도 의존성이 약하기 때문에 테라헤르츠파 신호 검출을 위해 사용하기 어렵다. 대신에 우리는 그래핀의 크고 조절 가능한 열전기력(thermoleelctric power)을 이용하여 전자의 온도증가를 미세하게 감지할수 있다. 국제공동연구의 스웨덴 Chalmers University of Technology 측 연구책임자인 Prof. August Yurgens 그룹은 이미 실험을 통해 그래핀의 열전기력을 이용한 검출기 아이디어가 “기가헤르츠(Gigahertz, GHz)와 온도 100 K 영역”에서 성공적으로 작동함을 보여주었다. 구체적으로 94 GHz에서 광학 감도 400-700 V/W 와 잡음 등가 파워 NEP = 20 pW/Hz 로 반도체 다이오드에서 얻은 최신 결과와 비슷하거나 더 우수함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본 과제에서는 테라헤르츠파와 검출기 소자 사이의 임피던스 매칭(impedance-matching)과 대용량 검출기 소자의 디자인 최적화 등의 단계를 거쳐 새로운 테라헤르츠파 검출기 소자를 구현하려고 한다. ㆍ 1년차 ∘ 목표 그래핀을 이용한 테라헤르츠파 검출기 개발 ∘ 내용 · 테라헤르츠파와 검출기 사이의 임피던스 매칭 (impedance-matching) 해결 · 다양한 절연 기판을 사용한 검출기 작동 실험 · 그래핀의 도핑농도 및 케리어 타입의 최적화 · 포스포린(phosphorene)을 이용한 테라헤르츠파 검출기 시험 ㆍ 2년차 ∘ 목표 대면적 그래핀을 이용해서 대량으로 제작 배열된 테라헤르츠파 검출기 연구 ∘ 내용 · 대면적 그래핀의 열전기력 1/f 잡음 측정 · 실리콘 기판 위에 대면적 그래핀을 이용한 대량의 테라헤르츠파 검출기 배열 제작 · 유연한 기판 위에 대면적 그래핀을 이용한 대량의 테라헤르츠파 검출기 배열 제작 □ 연구개발성과 본 한-스웨덴 과학기술 공동 연구사업을 통해 2개의 연구 결과가 국제저널 Sensors, Journal of the Korean Physical Society 에 출판되었고, 향후 2~3개의 추가 논문이 투고를 위해 준비중이다. □ 연구개발성과 활용계획 및 기대 효과 테라헤르츠 기술은 그 발생기와 검출기 개발의 어려움으로 인해서 마이크로웨이브나 적외선 기술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발달되지 못했다. 하지만 테라헤르츠파는 잠재적으로 보안, 의학, 천문학 및 재료 검사 등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테라헤르츠파는 사람에게 은폐 된 무기를 원격으로 탐지하는 보안검사에 사용될 수 있는데 이는 테라헤르츠파가 직물이나 플라스틱은 침투할 수 있지만 금속은 침투할 수 없는 특성 때문이다. 또한 물은 테라헤르츠파를 흡수하므로 인체의 일부도 테라헤르츠파를 이용해 이미징할 수 있다. 그리고 테라헤르츠파는 인체에 무해하기 때문에 살아있는 조직과 DNA에 대해 안전하여, 의약분야에서 폭 넓게 사용 가능하며 이는 기존의 엑스레이(X-ray)를 사용하는 것보다 더 정확한 인체 내부 이미징을 가능하게 할 것이다. (출처 : 요약문 3p)
    • 연구책임자 : 남영우
    • 주관연구기관 : 경상국립대학교
    • 발행년도 : 20230500
    • Keyword : 1. 그래핀;테라헤르츠파;열전기력; 2. graphene;terahertz waves;thermoelectric power;
  • 12284

    2023.01.31

    비공개항목입니다.
    • 연구책임자 : 민선준
    • 주관연구기관 : 한양대학교
    • 발행년도 : 20230200
    • Keyword : 1. 나노의약품;실리카 나노 입자;나노테라노스틱스;양전자 방출 단층촬영;자기공명영상;동적 핵분극;라이브러리;생직교 반응; 2. nanomedicine;silica nanoparticle;nanotheranostics;positron emission tomography;Magnetic Resonance Imaging;Dynamic nuclear polarization;library;bioorthogonal rea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