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Report

All 12,447 Page 19/1,245

검색
  • 12267

    2023.08.31

    □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 최종 목표 - 국내에 널리 분포하는 주요 기린초 종인 P. kamtschaticus의 전국단위 개체군 수집을 통한 P. kamtschaticus의 유전적 변이양상 파악을 통해 종의 한계설정 및 다양성 기원 파악: 3RAD-seq 분석법을 통한 개체군 수준의 유전 다양성 확인 및 유전적 분화도 확인 ○ 전체 내용 - 문헌조사 및 표본조사를 통한 국내 기린초속 식물의 전체적인 분포양상 조사. 표본 연구 및 화상자료 수집. 한반도 전역에 걸쳐 문헌조사를 바탕으로 총 13개 지역 채집지 선정, 개체군당 최소 5개이상 평균적으로 15개 개체에서 DNA실험용 조직 확보 - 연구대상인 기린초 및 그 유연 분류군 108개체에 대해 3-RAD 라이브러리 제작. SNP 마커를 활용하여 유전자 변이정도 및 지역과 형태형 간 유전적 분화정도 및 변이양상 파악 PCoA 등의 assignment 분석 등 수행 □ 연구개발성과 - 현재 본 연구룰 통해 발견된 신종 1종이 SCI급 국제학술지에 게재되었음 □ 연구개발성과 활용계획 및 기대 효과 1)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최소 2편 이상의 논문으로 작성되어 SCI급 국제학술지에 발표될 예정이며, 현재 국내 분류군의 유전다양성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논문 1편이 작성중에 있다. 2) 본 연구 결과 확보된 국내 기린초 complex의 유전다양성 정보는 현재까지 극심한 분류학적 혼란이 있어온 기린초속 식물의 진화 방향성과 계통분류체계를 확립하는데 자료로 활용될 계획이다. 3) 기린초속 종들의 원예/약용식물로서의 현재 활용도를 고려할 때, 본 연구에서 확보된 분류 정보, 표본, 생체, DNA 시료, 염기서열 자료는 앞으로 신원예품종 개발과 약용식물로서의 재배 및 신약개발을 위한 screening 등에 직접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출처 :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최태영
    • 주관연구기관 : 조선대학교
    • 발행년도 : 20230900
    • Keyword : 1. 기린초;차세대염기서열 분석;계통유연관계; 2. Phedimus kamtschaticus;3RAD-seq;Phylogeny;
  • 12266

    2023.11.30

    Ⅰ. 서론 ❏ 본 연구는 유라시아 지역 국가 간에 벌어지고 있는 환경협력과 갈등 현황을 분석하여 한반도 환경협력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ㅇ 인접국 사이의 초국경 협력 및 갈등 사례는 우리나라의 환경협력에 대한 직간접적인 시사점을 풍부하게 담고 있음 ❏ 중국·러시아·중앙아시아 국가들 사이의 환경 이슈들은 이미 그 존재와 개요가 알려져 있기는 하지만, 구체적으로 어떤 단위가 어떤 작용을 했는지, 최근 급변하는 지정학적 움직임 속에서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지에 대해서는 여전히 연구가 필요함 ㅇ 특히 그것들이 우리나라가 시야에 두고 있는 북한과의 환경협력에 어떤 시사점을 주는지 논구하는 연구는 아직 부족한 상황임 (출처 : 요약 7p)
    • 연구책임자 : 최필수
    • 주관연구기관 : 세종대학교
    • 발행년도 : 20231200
    • Keyword : 1. 유라시아;환경협력;환경갈등;공유하천;핵실험장; 2. Eurasian Countries;Environmental Cooperation;Environmental Conflict;Shared River;Nuclear Testing Site;
  • 12265

    2023.08.31

    □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ㆍ 최종 목표 본 연구에서는 선행 연구를 통해 제올라이트 동공 내에 도입될 수 있음이 확인된 1) 수분에서도 안정한 발광 특성을 가진 나노구조체를 세슘 흡착 능력이 높은 차바자이트(CHA), 모데나이트(MOR), 제올라이트 RHO 및 제올라이트 LTA에 도입하고자 한다. 2) 이러한 나노구조체가 도입된 다공성 물질의 세슘 흡착에 의한 발광 특성을 관찰하여, 3) 궁극적으로 방사성 폐수중에서 선택적으로 세슘 흡착 능력이 뛰어나고, 세슘 흡착에 따라 발광 특성을 보여 센서 역할을 할 수 있는 발광 세슘 흡착제를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ㆍ 전체 내용 연구의 전체 내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세슘 흡착능력이 좋은 차바자이트(CHA), 모데나이트 (MOR), 제올라이트 RHO 및 제올라이트 LTA를 합성하였다. 다공성 물질의 합성은 기존에 알려진 방법을 토대로 수행하였다. 제조된 다공성 물질을 이용하여 용액이온교환 반응과 더불어 기체이온교환반응을 이용하여 발광 특성이 있는 나노구조체를 다공성 물질의 동공내에 도입하는 방법을 고안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하고자 하는 차바자이트(CHA), 모데나이트(MOR), 제올라이트 RHO 및 제올라이트 LTA는 각기 다른 형태의 다공성 물질이기 때문에, 발광 특성이 우수한 최적의 조건을 찾기 위해서 다양한 조건에서 다공성 물질 내의 나노구조체 도입 연구를 수행하였다. 다양한 조건에서 다공성 물질 내에 나노구조체를 도입하는 방법을 확립한 후에는 안정적으로 발광 나노구조체가 도입된 다공성 물질의 물리화학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나노구조체가 도입된 물질의 구조적 특성은 single-XRD와 powder-XRD 장비를 활용하여 분석하였고, 이들이 가지는 발광 특성은 교내 공동실험실습관과 기초과학연구지원 대구센터의 기기 장비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나노구조체가 도입된 물질이 여전히 우수한 Cs 흡착능을 가지고 있는지 평가하기 위하여 다양한 농도를 가진 Cs용액을 이용하여 다공성물질의 흡착능을 확인하였다. □ 연구개발성과 본 연구과제에서 1)높은 세슘흡착 능력을 보이는 차바자이트(CHA), 모데나이트 (MOR) 제올라이트 RHO 및 제올라이트 LTA에 발광 나노구조체를 도입하여 2) Cs 흡착에 따라 발광 특성이 변하는 다공성 물질을 개발하였다. □ 연구개발성과 활용계획 및 기대 효과 이를 활용하여 실질적으로 방사성 폐수에서 선택적으로 Cs을 흡착하는 동시에 Cs 흡착에 의한 발광 특성을 보이는 흡착제를 개발할 수 있을 것이다. 더 나아가, 방사성 폐수에서의 Cs이 어느정도 남아있는지를 가시적으로 확인하면서, 흡착제의 사용 빈도 및 사용 양을 조절할 수 있는 Cs 흡착 센서로 활용될 수 있다. 이렇게 Cs 흡착에 따라 발광 정도가 변하는 흡착제가 개발된다면, 불필요한 흡착제의 사용을 저지할 수 있기 때문에 비용절감 효과를 가져올 뿐만 아니라, 환경보호 측면에서도 큰 효과를 가져올 것이다. (출처 :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임현승
    • 주관연구기관 : 안동대학교
    • 발행년도 : 20230900
    • Keyword : 1. 방사성 세슘 제거;결정분석;발광 나노구조체; 2. removal of radioactive cesium;crystallography;luminescent nanoparticle;
  • 12264

    2023.08.31

    □ 연구개요 국내 소아 환자의 진료 비중이 많은 대학 병원을 대상으로 우리 나라의 소아 경부 CT의 선량 분포를 조사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진단참고선량(Diagnostic Reference Level, DRL)을 설정함. □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 9개 대학 병원을 대상으로 1221건의 소아 경부 CT 검사 영상을 획득한 후 1159 검사를 대상으로 선량 분포를 조사 (62개 검사는 이상치 제거로 배제함) - 각각 5개의 age group, weight group. water equivalent dimater group으로 선량 값의 분포를 제시함 - 선량값의 분포를 바탕으로 진단참고선량 (Diagnostic Reference Level, DRL), Achievable dose (AD), DRR (Diagnostic Reference Range)를 제시함. - 자동화 된 선량관리 프로그램을 통해서 유효 선량을 계산하여 값을 제시함 - Scan mode, rotation time, pitch, scan length, automatic exposure control automatic kV selection, iterative reconstruction 적용과 같은 parameter 값의 현황을 제시함. □ 연구개발성과의 활용 계획 및 기대효과(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 본 연구는 국내에서 최초로 시행된 소아 경부 CT의 선량 조사 다기관 연구임. - 본 연구의 결과로 현시점 국내 소아 경부 CT의 선량 분포를 파악하고 이를 기반으로 선량 최적화의 기준점이 되는 DRL, AD, DRR등을 제시함. - 유효 선량 계산을 통한 경부 CT의 방사선 피폭으로 인한 소아 환자의 위험도를 제시함. - 최적화의 기준점이 되는 DRL, AD, DRR 등을 제시함으로써 국내 소아 환자의 경부 CT 방사선량 최적화의 벤치마킹 값을 제시하여 소아환자의 경부 CT 방사선량의 감소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음.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황재연
    • 주관연구기관 : 부산대학교
    • 발행년도 : 20230900
    • Keyword : 1. 소아;단층촬영;경부;방사선량;진단참고수준; 2. Pediatric;Computed Tomography;Neck;Radiation dose;Diagnostic Reference Level;
  • 12263

    2022.12.31

    □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 최종 목표 ○ 습식저장-운반-건식저장을 아우르는 처분전 사용후핵연료의 관리단계별 핵심 안전위협 요소를 평가하여 규제허용치를 도출하고, 이를 기반으로 사용후핵연료의 종합 구조안전성에 대한 안전규제체계를 개발 ◼ 전체 내용 ① 수소화물 장입 총량 및 석출량에 따른 정량적 습식저장 피복관의 연성평가 - 피복관에 수소를 장입시켜 연소도 효과를 모사 - 온도조절을 통하여 피복관내에 석출되는 수소량을 제어하며 고리압축 연성평가 - 허용가능 수소장입총량(연소도) 도출 ② 사용후핵연료 피복관 충격파괴 평가 - 사용후 핵연료 모사 충격파괴 실험장치를 설계 및 구축 - 피복관 시편 내부를 가압하고 온도를 제어하며 충격파괴실험 수행 - 수소장입총량(연소도) 에 따른 허용가능 연료봉 온도 및 충격량 도출 ③ 다축응력 사용후핵연료 피복관의 수소화물 재배열 조건 평가 - 수소 장입량 및 응력분포에 따른 수소화물 재배열 문턱치를 실험적으로 평가 - 고해상도 화상관련법 (DIC) 장치를 활용하여 국부적으로 측정된 인장응력에 기인한 수소화물의 재배열 관측 - 수소장입총량(연소도)에 따른 수소화물 재배열 문턱 피복관 응력 및 온도 도출 ④ 사용후핵연료의 처분전 안전규제 체계개발 - ①-③에서 도출된 개별인자들을 종합하여 사용후핵연료의 처분전 안전규제체계를 구축하고 규제인자를 제안 ◼ 1단계 ❏ 목표 ○ 기초 실험장치 구축 및 기초실험 수행 ❏ 내용 ○ 습식저장 피복관의 연성평가 - 수소장입 및 석출량(온도)에 따른 고리압축 실험 수행 - 경수로 정상상태 부식모사 Autoclave 실험장치 구축 ○ 피복관 충격인성 평가 - 충격파괴 실험 장치 설계 및 구축 ○ 단축응력 및 다축응력에 의한 수소화물 재배열 조건 평가 - 단축응력 수소화물 재배열 실험장치 설계 및 구축, 수행 - 피복관 다축응력 실험장치 설계 및 구축 ◼ 2차년도 ❏ 목표 ○ 1차년도 기초실험결과 분석 및 보완, 심층연구 수행 ❏ 내용 ○ 습식저장 피복관의 연성평가 - 허용가능 최대 연소도 (수소장입총량) 및 피복관 온도 도출 ○ 피복관 충격인성 평가 - 연료봉내압과 수소 장입 및 석출량에 따른 최대허용 충격량 평가수행 ○ 수소화물 재배열 조건 평가 - 수소 장입량 및 다축 응력분포에 따른 수소화물 재배열 문턱치 탐사 ◼ 3차년도 ❏ 목표 ○ 기초 및 심층연구결과 종합분석을 통한 안전규제체계 발전방안 제안 ❏ 내용 ○ 피복관 충격인성 평가 - 연소도에 따른 허용가능 연료봉 최대온도 및 충격량 도출 ○ 수소화물 재배열 조건 평가 - 수소화물 재배열 문턱 피복관응력/봉내압 및 온도 도출 ○ 1~3차년도 수행 연구결과를 종합하여 사용후핵연료 전주기적 (영구처분전까지) 안전체계 및 규제인자 제안 - 습식저장-운반-장기 건식저장의 전주기 안전관리 체계 제안 - 사용후핵연료 안전규제 관점에서 정상상태 운전 평가 및 제안 □ 연구개발성과 ○ 본 과제의 연구개발 성과는 다음과 같음: - 수소화물 장입 총량 및 석출량에 따른 정량적 습식저장 안전규제 허용치 - 다축응력 수소화물 재배열 실험을 통한 봉내압 기반 건식저장 안전규제 허용치 - 종합적 사용후핵연료의 처분전 핵심 안전위협요소 안전규제 허용치 - 다축응력 수소화물 재배열, 핵연료 충격파괴 실험장치, 경수로환경 모사부식 실험장치 구축 ○ 본 과제의 정량적 연구개발 목표 성과는 다음과 같음: - SCI 논문 6편, 비SCI 논문 7편, 안전기술보고서 5편, 국내외 학회발표 15회 - 석사급이상 인력 배출 2명, 학사급 인력 배출 5명 □ 연구개발성과 활용계획 및 기대 효과 ○ 사용후핵연료의 처분전 핵심 안전위협요소 허용치의 활용방안: - 안전규제 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국산화 - 국내외 사용후핵연료의 습식, 운반, 건식저장 안전기준 선진화 ○ 사용후핵연료의 처분전 안전규제체계의 활용방안: - 습식-운반-건식저장의 규제 합리화 - 경수로 건식저장 도입의 종합적 구조안전성 평가 및 규제 국산화 지원 ○ 핵연료 충격파괴 및 경수로환경 모사부식 실험장치의 활용방안: - 핵연료 구조안전성 평가 사업에 지속적 활용 - 규제 연구인력 교육 및 배출에 활용 ○ 기대효과 - 증진된 합리성을 바탕으로 국내 사용후핵연료 규제선진화에 즉각적 기여 - 건식저장 안전규제 현안해결을 위한 국산 실험데이터 확보 - 선진국의 기술이전 기피현상 극복 - 사용후핵연료 관리의 핵심 원천기술 확보 - 전주기 원자력안전규제 기술 증진 (출처 : 요약문 3p)
    • 연구책임자 : 이유호
    • 주관연구기관 : 서울대학교
    • 발행년도 : 20230100
    • Keyword : 1. 사용후핵연료;건식저장;습식저장;사용후핵연료 운반;수소화물 재배열; 2. Spent nuclear fuel;Dry storage;Wet storage;Spent fuel Transportation;Hydride reorientation;
  • 12262

    2023.06.30

    비공개항목입니다.
    • 연구책임자 : 최윤이
    • 주관연구기관 : (주)제이텍워터
    • 발행년도 : 20230700
    • Keyword : 1. 차아염소산나트륨;스마트 주입농도조절시스템;전기분해;클로레이트;브로메이트; 2. Sodium Hypochlorite;Smart Injection;Electrolysis;Chlorate;Bromate;
  • 12261

    2023.11.30

    비공개항목입니다.
    • 연구책임자 : 이홍연
    • 주관연구기관 : 알엠택
    • 발행년도 : 20231200
    • Keyword : 1. 삼중수소;감마핵종;방사능;원자력시설;안전관리; 2. Tritium;Gamma Nuclide;Radioactivity;Nuclear Facility;Safety Management;
  • 12260

    2023.09.30

    □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 최종 목표 연구는 신장질환 병인기전으로 Farnesoid X receptor (FXR) 의 역할을 규명하고, 이를 통해 신장질환개선치료 연구 ◼ 전체 내용 1. 신장 질환에서 핵수용체 FXR의 작용제의 효과 확인 2. FXR과 Non-SMAD 신호체계에 의한 항 섬유화 효과 3. FXR에의한 YAP의 인산화 제어 기전 연구 4. 신장 특이적 FXR knockout (KO) 마우스 제작 5. 신장 FXR에 의한 autophagy 제어 기전 탐색 6. 신장 FXR에 의한 apoptosis 조절 탐색 7. 신장 특이적 FXR 결핍 마우스를 이용한 표적 유전자 탐색 8. FXR에의한 신장 섬유화 억제효과 규명 및 기능 제시 □ 연구개발성과 ∘ FXR의 활성화로 인해 Src Kinase의 인산화 조절을 통해 YAP의 활성을 조절함을 밝힘 ∘ HK2 cell 및 마우스 모델(WT & FXR KO)에서 FXR에의해 autophagy 조절 확인 ∘ RNA-Sequencing을 통해 FXR의 새로운 타깃 유전자 발굴 ∘ 급성신장질환에서 autophagy와 apoptosis 상관관계 연구 ∘ 급성신장질환에서 초기 autophagy와 apoptosis의 조절에 따른 만성신장질환으로 진행 가속화 연구 ∘ FXR의 결핍에 따른 autophagy 및 ROS조절 연구 ∘ 급성신장질환 모델에서 새로운 세포사멸 ferroptosis를 규명하고 FXR에 의해 ferroptosis관련 유전자 조절 기전을 밝힘 ∘ 연구기간내에 총 5편의 논문, 학회 발표, 언론보도 성과가 있었음. 논문중에서는 상위 10%안의 논문 3편을 등재함 □ 연구개발성과 활용계획 및 기대 효과 1. FXR에 의한 신장질환 치료 기반 제공 ▪ FXR에 의한 새로운 신장 섬유화 제어 기전 제시 ▪ 신장질환에서의 FXR의 기능적 역할을 제시하여 약물학적인 치료 방안 제시 2. FXR의 신장 특이적 유전자 지도 ▪ 신장 특이적 FXR의 유전자 지도를 제시하여 약물학적 표적으로의 가능성 제시 ▪ FXR을 표적으로 하는 신약개발의 기반 조성 (출처 :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김동현
    • 주관연구기관 : 전남대학교
    • 발행년도 : 20231000
    • Keyword : 1. 신장;핵 수용체 FXR;자가포식;세포사멸; 2. Kidney;nuclear receptor FXR;Autophagy;Apoptosis;
  • 12259

    2023.02.28

    비공개항목입니다.
    • 연구책임자 : 류동석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연구원
    • 발행년도 : 20230300
    • Keyword : 1. 방사선원위치추정;방사선 계측;방사선 센싱 어레이;방사선 지도작성 로봇;방사선 시뮬레이션; 2. Localization of Radiation Source;Radiation measurement;Radiation sensing array;Radiation mapping robot;Radiation simulation;
  • 12258

    2023.05.31

    □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 최종 목표 방사선 조사에 의한 종양 미세 면역환경을 개선함으로써 ‘최적화 펩티드 암백신’의 효능을 강화시키고 이에 대한 면역학적 기전을 규명함으로써 난치성 악성뇌종양에 부작용을 최소화하고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는 암면역 병합치료법을 개발하고자함. ◼ 전체 내용 종양성장에 따른 종양주위 미세 면역환경 모니터링 및 방사선조사 효과 검증(1차년도), 소동물 뇌종양모델에서 ‘최적화 펩티드 암백신’과 방사선 병합요법의 효능 증명 및 최적 조건도출(2차년도), 소동물 뇌종양모델에서 ‘최적화 펩티드 암백신‘ 과 방사선 병합요법의 효능 증명 및 최적조건 도출(3차년도), ‘최적화 펩티드 암백신’과 방사선 병합요법의 효능에 관여하는 면역세포의 역할을 규명하고 연구내용 및 결과를 SCI 논문등재 하고자함 (4차년도) □ 연구개발성과 방사선 조사에 의한 종양 미세 면역환경을 개선함으로써 ‘최적화 펩티드 암백신’의 효능을 강화시키고 난치성 악성뇌종양에서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는 암면역 병합치료법을 개발했음. □ 연구개발성과 활용계획 및 기대 효과 악성신경교종 (교모세포종)의 치료효과 개선을 위해 임상적용이 가능하면서 부작용을 최소화하고 항암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방사선-암백신 병용 요법을 제안하는 연구임. 본 연구는 방사선을 병합하는 암면역치료요법의 실용화 기반 기술을 제공할 수 있으며, 방사선조사에 의한 면역억제된 종양주위 미세환경을 개선하고 효과적인 면역치료제를 개발하여 항백신효과를 극대화함으로써 기존의 방법에 비해 낮은 비용으로 부작용을 최소화하면 치료할 수 있는 차세대 암치료법을 개발할 수 있음. (출처 :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정태영
    • 주관연구기관 : 전남대학교
    • 발행년도 : 20230600
    • Keyword : 1. 암면역;방사선;펩티드 백신;뇌종양;마우스; 2. peptide vaccine;radiation;cancer immunotherapy;glioblastoma;mou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