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Report

All 12,454 Page 55/1,246

검색
  • 11914

    2022.05.31

    □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 최종 목표 • LED 조사가 발효 미생물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과 관련 기작 연구 • LED광원과 반응하는 발효식품 내 감광성 생리활성성분과 발효미생물들과의 상호작용 구명 • 최적 LED광원에서 유산균의 감광성 분석과 유산균 대사산물의 감광성 탐색 및 기능성 변화 연구 ◼ 전체 내용 LED광원이 발효미생물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 다양한 LED광원에 반응하는 식품 내 생리활성성분의 탐색 및 유용 미생물들과의 상호 관계를 밝혀 발효식품의 가공ᆞ저장 라인에 적용할 수 있는 LED광원과 발효식품의 기능적, 미생물학적 안정성을 밝히고자 함. ◼ 1단계 ❏ 목표 LED((Light emitting diode)에 의한 발효 미생물들의 생육 조절 작용 연구 ❏ 내용 ◯ LED광원처리에 따른 발효미생물[김치발효유산균(Lactobacillus plantarum, Leuconostoc mesenteroides) 김치산막효모(Pichia속)]의 생육 촉진/저해/조절능 탐색 ◯ 광원조사에 의한 발효 미생물의 대사산물 변화와 미생물 대사산물의 LED 광원에 대한 감광활성 작용 연구 ◯ 발효식품 중 LED광원에 대한 반응 유산균 탐색, 분리 및 동정 ◼ 2단계 ❏ 목표 LED광원에 의한 발효식품 내 생리활성 성분과 발효 미생물의 상호작용 연구 ❏ 내용 ◯ LED광원에 의한 광활성화 발효식품성분 탐색과 발효미생물에 미치는 영향 연구 ◯ LED 조사에 의한 감광성 생리활성 성분들의 발효미생물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분석(감광성에 의한 저해/촉진/조절 작용의 변화, 대사산물의 변화) ◯ LED 광 반응성 발현 유산균의 감광성 생리활성 성분과의 상호작용 및 관련 기작 연구 ◼ 3단계 ❏ 목표 유산균의 생육조절 관련 광반응성 대사경로 탐색과 적정 LED 적용 조건 분석 ❏ 내용 ◯ 유산균의 광반응 대사 분석과 유산균 대사산물의 감광성 탐색 ◯ 감광성 생리활성 성분의 상호작용과 유산균 생육 조절을 위한 최적 LED 조건 분석 ◯ 광 반응성 유산균의 프로바이오틱 기능성 탐색 및 LED조사에 의한 기능성 변화 연구 ◯ 발효식품의 가공ᆞ저장 라인에의 적용을 위한 LED조사 조건탐색 □ 연구개발성과 ◯ 논문실적: SCI 2건, KCI 1건 ◯ 특허출원: 2건 ◯ 학술대회발표: 9건 □ 연구개발성과 활용계획 및 기대 효과 ◯ 활용계획 • COVID19로 인해 전세계적인 한국발효식품의 선호도 증가로 수출 저장 유통의 신기술을 확보하며 개선된 발효법 활용 • 광활성 식품성분의 생리 기능성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를 바탕으로 식품기능성/생리기능성 맞춤형 식품생산을 위한 응용 • 친환경, 저비용의 LED 광원은 중소 농·식품업자들에게 고효율의 실용적인 기술을 제공하고, 식품업계는 물론 제약, 화장품업계까지도 융합기술로 활용 가능 • 발효미생물과 광감응을 이용한 전통발효식품의 위생화 및 안전 저장 기술의 응용 ◯ 기대효과 과학 기술적 측면) LED 광조사에 의한 발효식품의 저장성과 가공라인 기반기술로의 확장이 기대됨. 또한, 고부가가치의 발효식품 소재 확보와 기능성 제고 기대 경제 산업적 측면) 고비용의 식품발효조절체계와 저장/위생관리에서 경제성, 접근성, 안정성면에서 탁월한 장점을 보유한 원천기술 확보 기대 사회적 측면) 대사연계 적용연구를 통해 복잡한 발효식품계와 광원과의 상호작용 연구를 통해 다양한 식품품질변화요인에 있어 조절과 제어 개념의 재정립 (출처 :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오영지
    • 주관연구기관 : 서울대학교
    • 발행년도 : 20220600
    • Keyword :
  • 11913

    2021.12.31

    Ⅱ. 연구개발의 목적 및 필요성 SPF 환경 저선량 방사선 조사실 및 실험동물실의 유지 관리를 통해, 저선량 방사선 생체 영향 연구 및 다양한 동물실험 연구의 신뢰성 높은 연구 결과 도출에 기여하고자 함 Ⅲ. 연구개발의 내용 및 범위 SPF 환경 저선량 방사선 조사동물실의 유지 관리, 동물실험 윤리위원회 지원 및 실험동물위령제 운영 지원 Ⅳ. 연구개발결과 저선량 환경 방사선 조사시설을 포함하는 SPF 동물시설의 원활한 유지관리 하였으며, 동물실험 윤리위원회 지원으로 실험돌물 사용을 최소화 하는데 기여함 Ⅴ.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 SPF 환경 방사선 저선량 방사선 조사동물실의 안정적인 운영으로 다른 과제의 연구성과 도출에 기여 (출처 : 요약문 4p)
    • 연구책임자 : 이창근
    • 주관연구기관 : 동남권원자력의학원
    • 발행년도 : 20220100
    • Keyword : 1. 저선량 방사선;저선량률 방사선;실험동물;동물실험 윤리위원회; 2. low-dose rdaition;low-dose rate radiation;experimental animal;IACUC;3R;LMO;
  • 11912

    2021.12.31

    IV. 사업결과 교육 운영 및 대외협력 분야에서는 ‘ 20년 이후 지속되고 있는 코로나-19 확산 상황 속에서 비대면 온라인 방식의 교육 운영 및 회의 개최를 적극적으로 수행하였다. 국제교육으로는 일본 ISCN과 AP-CIT 온라인 훈련과정을 공동으로 개최하였으며 원전 신흥도입국을 대상으로 IAEA 국가계량관리체계 ( SSAC ) 온라인 국제교육을 개최하였다. 또한, 국내 핵비확산·핵안보 이해증진교육을 총 11회 개최하여 175명의 교육생을 배출하였으며 미래세대의 핵비확산 인식 제고 및 문화 확산을 위해 초·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핵비확산 문화 확산 교육기부사업을 추진하였다. 양질의 교육훈련 프로그램 제공을 위하여 물리적방호시스템 기반 사이버보안 교육 프로그램 및 실습장비를 개발하였으며 IAEA 사이버보안 국제교육 온라인 교육환경 구축에 참여하였다. 또한, 일반인을 대상으로 하는 알기쉬운 원자력통제 교재를 개발하고 유명 유튜버와의 협업을 통해 이해증진용 원자력통제 동영상을 제작하여 게재하였다. 교육 관련 대외협력으로 한-미 PCG 협력을 통해 INSA 사이버보안 국제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있으며 국내외 유관기관과의 협력을 통해 수요 맞춤형 교육기획안을 수립하였다. 또한, IAEA NSSC 연례회의에 참석하고 ARN+1 연례회의를 개최하여 국제 교육훈련센터 협의체와의 협력 채널을 지속적으로 유지하였다. 원자력안전규제 인력양성 사업 추진과 관련하여 원안재단과 KINS와의 협력을 통해 원자력안전 규제기관 현장교육을 기획하고 개최하였다. 교육 인프라 고도화를 위해 INSA 중장기 발전전략을 수립하고 품질경영시스템 ( ISO 9001 : 2015 ) 인증을 유지를 위한 사후관리심사를 수심하였으며 교육 분야 특화 국제표준인증 ( ISO 21001 : 2018 ) 추가 취득을 위한 계획을 수립하였다. 온라인 교육운영을 위한 HTML5 기반 이러닝 콘텐츠 신규과목 3종 및 영문 콘텐츠 6종을 개발하였으며 멀티미디어실의 효율적인 유지관리를 위하여 사이버보안 교육시스템 및 네트워크 장비 유지관리 용역을 착수하였다. 또한, 사회적 거리두기가 유지되고 있는 상황 속에서 교육 수요에 대응하고자 온라인 교육 운영을 위한 INSA 화상강의 스튜디오를 구축하여 활용하였다. (출처 : 요약문 4p)
    • 연구책임자 : 신동훈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통제기술원
    • 발행년도 : 20220100
    • Keyword : 1. 핵비확산;핵안보;국제교육;국제핵안보교육훈련센터;교육 기획/운영;인프라 개선; 2. Nuclear Nonproliferation;Nuclear Security;International Training;INSA;Training Planning/Management;Infrastructure Improvement;
  • 11911

    2022.01.31

    연구목적 2020년 초부터 코로나19가 확산되고 장기화됨에 따라 국내 공공의료기관들 중심으로 감염병 관리병원으로 지정되면서 지역사회 내 환자들의 의료이용 및 의료전달체계에 많은 어려움이 발생함. 따라서 감염병 시기에 지역사회 공공보건의료 대응체계에 기반 한 효과적인 암환자 관리(암검진 대상자, 치료중인 암환자, 호스피스 대상 말기환자 등)를 위한 제도적 보완 및 정책을 개발하고자 함. 연구방법 첫째, 지역암센터 암환자 관리체계의 코로나19 영향 분석은 국내․외 관련 자료를 수집하고 검토하였음(관련 지침, 문헌 고찰, 홈페이지 검색, 내부통계자료 분석 등). 둘째, 암환자의 의료이용행태 등 코로나19 영향 현황 분석은 국내․외 관련 자료를 수집하고 검토하였음(관련 지침, 문헌 고찰, 홈페이지 검색, 최신 기사, 국가 및 내부통계자료 분석 등). 셋째, 암전문의료기관 중심 의료진, 암환자, 호스피스 실무자 대상으로 대면 또는 비대면 면접조사를 실시하였음. 넷째, 가정호스피스 이용 환자 및 가족 대상 요구도 조사는 암환자 및 가족 대상 온라인 커뮤니티(아름다운 동행)에서 주제어를 검색하여 내용을 분석하였음. 연구결과 첫째, 지역암센터 암환자 관리체계의 코로나19 영향 분석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음. 코로나 19 발생 후(2020년)에 신규 암등록 환자수, 암등록 입원환자의 평균재원일수, 입원 암환자의 실인원당 항암/방사선요법 시행횟수, 암등록 응급실환자수는 감소하였음. 반면에 암등록 환자의 퇴원자수, 암등록 입원환자 중 수술환자수, 암등록 외래환자수 비율, 외래 암환자의 실인원당 항암/방사선요법 시행횟수, 암등록 환자의 타 의료기관 전원환자수는 증가하였음. 둘째, 암환자의 의료이용행태 등 코로나19 영향 현황 분석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음. 코로나19 발생 후(2020년)에 암검진 대상자 및 국가 암검진사업 대상자의 전체 수검률은 감소하였음. 코로나19 발생 후(2020년)에 신규 중증암등록환자 등록인원수, 신규 중증암등록환자 중에서 1년간 실제 진료받은 환자수, 신규 중증암등록환자의 진료실인원당 내원일수는 감소하였음. 반면에 신규 중증암등록환자의 진료실인원당 급여일수는 증가하였음. 셋째, 암전문의료기관 의료진, 암환자, 호스피스 실무자 대상 면접조사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음. 암전문의료기관 의료진은 코로나19로 인한 발열 암환자 관리, 발열 암환자의 응급실 진입의 문제점, 응급실 내 발열 병동 운영의 문제점, 비대면(원격) 진료의 문제점 등을 지적하였음. 암환자는 응급실 이용의 어려운 점, 입원 치료의 어려운 점, 코로나19로 인한 현재 암관리의 어려운 점 등을 지적하였음. 호스피스 실무자는 호스피스 전문의료인력 및 보조인력의 양적 증대, 자원봉사자 관리와 지원체계 마련, 호스피스 인식개선을 위한 홍보, 호스피스전문기관 확대, 다학제적 팀 기반 호스피스 전문인력의 업무체계 재정비 등을 지적하였음. 넷째, 가정호스피스 이용 환자 및 가족 대상 요구도 조사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음. 가정에서 응급상황 시 즉각적인 의료서비스 지원, 가정 내 가족 돌봄제공자의 돌봄지원안 확대, 말기암환자가 가정에서 임종을 맞이할 경우에 대한 절차 안내와 지원 서비스 등이 필요함을 제시하였음. 다섯째, 감염병 상황에서 체계적인 암환자 관리를 위한 대안으로 지역암센터의 조직 개편 및 기능 변화, 지역암센터의 자원 확보 체계 마련, 지역암센터의 시설 확충 필요 등을 제안하였음. 또한 가정호스피스 대상자에 대한 타제도 연계방안 등을 제안하였음. (출처 : 요약문 13p)
    • 연구책임자 : 이상일
    • 주관연구기관 : 충남대학교
    • 발행년도 : 20220200
    • Keyword : 1. 감염병 상황;암환자;전원/관리체계; 2. Pandemic;Cancer Patient;Transference/Management system;
  • 11910

    2022.03.31

    □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 최종 목표 ○ 원자력시설 특성을 반영한 신규 사찰장비 개발 및 사찰관(검사원) 요구사항을 반영한 기존 사찰 장비 개선 ○ 전체 내용 - 원자력시설 특성을 반영한 신규 사찰장비 개발 - 사찰관(검사원) 요구사항을 반영한 기존 사찰 장비 개선 ○ 1단계 (1차, 2018) □ 목표 ○ 사찰 환경·물질 특성 및 사찰관 요구사항 분석에 따른 개선·개발 장비 설계안 도출 □ 내용 ○ 사찰 환경·물질 다변화에 대한 계량 관리 변경승인 사항 분석 - 국내 원자력 시설 및 사찰 대상 물질 특성 분석 - 국가 핵주기 시설별 특정 핵물질의 계량 관리 변경 승인 사항 분석에 따른 기술적 접근법 도출 ○ 기존 사찰 장비 분석 및 자비 개선·개발 요구사항 및 수요 분석 - 장비 개선·개발안 도출을 위한 CGEC 및 IAEA 및 국가 사찰관 (검사원) 요구사항 분석 ○ 사찰 장비 개선 및 개발안 도출 - 대상 장비별 개선·개발 경제성·기술적 타당성 분석 - 대상 장비 개선·개발을 위한 전산 모사 및 기본설계안 도출 ○ 1단계 (2차, 2019) □ 목표 ○ 중수로 사용후핵연료 검증 장비 제작 및 사찰 장비 설계 □ 내용 ○ 중수로 사용후핵연료 검증 장비 검출기 개선 - 대체 검출기 현장 평가를 통한 최적 검출기 선정 - 검출기 변경에 따른 신호처리부 변경안 도출 ○ 중수로 사용후핵연료 검증 장비 설계 최적화 및 제작 - 기본 설계(안) 기반 설계 최적화 - 성능 요건 및 평가 방법론 도출 ○ 사찰 장비 개선·개발(안) 도출 및 설계 - 사찰 대상에 대한 몬테카를로 기반 특성 모델링 및 사찰 장비 설계 - 성능 요건 및 평가방법론 도출 ○ 1단계 (3차, 2020) □ 목표 ○ 사찰 장비 제작 및 기초 성능 평가 □ 내용 ○ 중수로 사용후핵연료 검증 장비 성능 평가에 따른 보완사항을 반영한 시제품 제작 - 성능 및 특성 평가에 따른 미비점 및 추가 개선점 검토 - 운영 효율성과 편리성을 고려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I, User Interface) 개발 - 평가 결과에 따른 미비점 보완 및 개선사항을 반영한 시제품 제작 ○ 사찰 장비 시작품 제작 및 기초 성능평가 - 장비 설계 최적화 및 시작품 제작 - 장비 기본 성능 평가 ○ 1단계 (4차, 2021) □ 목표 ○ 개선·개발 장비 성능·현장 평가 및 운영 절차서 수립 □ 내용 ○ 현장 적용성 테스트 및 미비점을 보완한 완제품 제작 - 중수로 사용후핵연료 검증 장비 미비점을 보완한 완제품 제작 - 우라늄 폐기물 드럼 스캐너 현장 테스트 및 미비점 개선 ○ IAEA 사찰 장비와 성능 비교를 위한 현장 테스트 - 우라늄 폐기물 드럼 스캐너와 IAEA 사찰 장비 성능 비교 현장 테스트 ○ 운영절차 수립 및 개발 - 개선 장비 운영 보고서 및 절차서 수립 - 신규 개발 장비 운영 보고서 작성 및 절차서 개발 ○ IAEA 인증 추진 ○ 해당연도 (4차, 2021) □ 목표 ○ 개선·개발 장비 성능·현장 평가 및 운영 절차서 수립 □ 내용 ○ 현장 적용성 테스트 및 미비점을 보완한 완제품 제작 - 중수로 사용후핵연료 검증 장비 미비점을 보완한 완제품 제작 - 우라늄 폐기물 드럼 스캐너 현장 테스트 및 미비점 개선 ○ IAEA 사찰 장비와 성능 비교를 위한 현장 테스트 - 우라늄 폐기물 드럼 스캐너와 IAEA 사찰 장비 성능 비교 현장 테스트 ○ 운영절차 수립 및 개발 - 개선 장비 운영 보고서 및 절차서 수립 - 신규 개발 장비 운영 보고서 작성 및 절차서 개발 ○ IAEA 인증 추진 □ 연구개발성과 ○ 국외 논문 : 2건 ○ 원자력안전기술보고서(N-STAR) : 5건 ○ 국외 학술 대회 발표 : 3건 ○ 국내 학술 대회 발표 : 5건 ○ 시제품 제작 : 2건 □ 연구개발성과 활용계획 및 기대 효과 ○ 성능 및 편리성이 개선된 사찰장비와 개발된 신규 사찰 장비를 사찰 현장에서 활용 ○ 핵물질 사찰 장비 개선에 따른 IAEA 사찰 및 국가 검사 활동의 효과성과 효율성 향상에 기여 ○ 핵물질 안전조치 검사를 위해 신규 사찰 장비를 개발하여 IAEA에 제공함으로써 원자력 선진국으로써 국가 위상 제고에 기여 (출처 :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곽성우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통제기술원
    • 발행년도 : 20220400
    • Keyword : 1. 핵물질;안전조치;사찰장비;우라늄;검증; 2. Nuclear Material;Nuclear Safeguards;Inspection Equipment;Uranium;Verification;
  • 11909

    2022.02.28

    □ 연구개요 ■ 충수염 진단에 저선량 CT 사용의 근거를 확립하고, 저선량 CT 사용을 확산함. - 국내 의학연구 역사상 최대 규모 임상시험의 데이터 공유 - 저선량 CT 검사가 가능한 충수염 의증 환자 선별기준 제시 - 충수염 진단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판독의 교육 □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 충수염 진단에 저선량 CT 사용 근거 확립 - 우리나라 의학연구 역사상 최대 규모 (피험자 수 3,074) 임상시험인 LOCAT의 (Low-dOse CT for Appendicitis Trial) 데이터를 다른 연구자들에게 공개함. - 공개한 임상시험 데이터를 사용하여, 환자의 특성에 따른 저선량 CT와 표준선량 CT의 진단능을 비교함. 저선량 CT 검사가 가능한 충수염 의증 환자 선별기준을 제시함. ■ 저선량 CT 충수염 진단 온라인 교육 프로그램 개발 - 공개한 임상시험 데이터에서 무작위 추출한 저선량 CT 증례 30례를 이용하여, 도제식 훈련을 시뮬레이션 하는 충수염 진단 온라인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함. -개발한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판독의에게 저선량 CT 충수염 진단 교육을 함. ■ 충수염 진단에 저선량 CT 사용 확산 - 60명 이상의 판독의에게 온라인 교육을 실시하고, 충수염 진단에서 저선량 CT의 선호도를 조사함. - 교육에 참여한 판독의의 경력에 따른 learning curve를 측정하여, 저선량 CT 충수염 진단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함. - 공개된 LOCAT 데이터를 활용한 파생연구 진행함. □ 연구개발성과의 활용 계획 및 기대효과(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 보다 안전한 저선량 CT 기술 보급 - 의료진에서 지속적인 교육을 통해, 저선량 CT에 대한 의료진의 거부감을 낮추어 충수염 진단에 저선량 CT 기술을 보급함. - 대단한 장비나 경험 없이도 새로운 진료지침을 확산할 수 있는 공익성 높은 연구임. ■ 즉각적이고 실효성 있는 암 예방 효과 - 무작위배정 임상시험 데이터로 얻은 높은 수준의 근거들은 임상에 당장 적용이 가능하므로, 궁극적으로 많은 생명을 구할 수 있음. ■ 대형 데이터베이스의 개방으로 여러 파생연구 촉발 - 일률적인 수술 대신 환자 맞춤형으로 충수염을 치료하는 진료지침 개발, 딥러닝 알고리즘 구축으로 저선량 CT 화질 향상 등의 파생연구가 가능함.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이경호
    • 주관연구기관 : 서울대학교
    • 발행년도 : 20220300
    • Keyword : 1. 컴퓨터단층촬영;방사선;교육;자료 공유; 2. CT;Radiation;Education;Data sharing;
  • 11908

    2022.11.30

    Ⅳ. 연구개발결과 ∙ C-band 전자가속관 시제품 제작 ∙ C-band 마그네트론 Inner cavity 설계 연구 ∙ 마그네트론 특성 측정을 위한 모니터링 프로그램 개발 ∙ 다양한 세포주의 CONV/FLASH 방사선에 의한 세포 반응 연구 (출처 : 요약문 5p)
    • 연구책임자 : 이만우
    • 주관연구기관 : 동남권원자력의학원
    • 발행년도 : 20221200
    • Keyword : 1. 방사선치료기;전자가속관;마그네트론 특성 모니터링 프로그램;마그네트론 시뮬레이션;진공용접; 2. Radiotherapy machine;Electron accelerating column Cluster monitoring program;Simulation of magnetron;Vacuum brazing;
  • 11907

    2022.10.31

    Ⅳ. 연구개발결과 - 방사광 X-선 형광 이미징 기반 스테레인스강 2종의 2차원 화학 성분 분포 가시화 - 방사광 X-선 투과 이미징 기반 세라믹 소재 3종의 내부 기공 분포 정량화 - 방사광 X-선 회절 분광 기반 자성 분말 소재 상전이 거동 측정 조건 최적화 - 백색광 X-선 리소그래피 기반 고종횡비 고분자 마이크로 패턴 제작 공정 최적화 - 백생광 X-선 투과 이미징 기반 다층적층금속소재 3종의 3차원 내부구조 가시화 가능성 평가 - 방사광 기반 실험 및 데이터 분석 관련 교육 실시 (출처 : 요약문 4p)
    • 연구책임자 : 박이호
    • 주관연구기관 : 한국재료연구원
    • 발행년도 : 20221100
    • Keyword : 1. 방사광;X-선 이미징;소각 X-선 산란;X-선 회절 이미징;고분해능 분말 회절;X-선 리소그래피; 2. Synchrotron radiation;X-ray imaging;Diffraction computed tomography;Small angle X-ray scattering;High resolution powder diffraction;X-ray lithography;
  • 11906

    2021.12.31

    Ⅳ. 연구개발결과 1. 저선량률 방사선이 고선량률 방사선에 비해 초기 spermatogenesis 단계에 더 큰 영향을 줄 수 있음을 qRT-PCR과 FACS 방법에 의해 확인함 2. Intestine에서 저선량 방사선 특이적으로 발현이 조절되는 두 유전자 (G6PC2, MUC6)의 발현이 장내 염증 환경에 의해서도 조절될 수 있음을 확인함 3. 방사선의 조사에 의해 EVs의 분비가 조절될 수 있음을 확인함 (출처 : 요약문 4p)
    • 연구책임자 : 이창근
    • 주관연구기관 : 동남권원자력의학원
    • 발행년도 : 20220100
    • Keyword : 1. 저선량 방사선;선량률;정자발생단계;소장;세포바깥소포체; 2. low-dose radiation;dose-rate;spermatogenesis;Intestine;extracellular vesicles;
  • 11905

    2022.01.31

    □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 최종 목표 ○ 원자력시설 사이버사건 대응 역량 및 체계 규제기술 강화를 위한 원자력시설 필수디지털자산 사이버사건대응 평가기술 개발 ○ 전체 내용 ○ 원자력시설 사이버공격 대응역량 평가를 위한 사이버공격 시나리오 정량 평가기술 개발 - 원자력시설 사이버공격 시나리오 개발을 위한 공격 시나리오의 주요 구성요소 및 공격항목 도출 □ 연구개발성과 ○ 정량적 성과 - 보고서 2건, 규제 방법론 1건 ○ 정성적 성과 - 원자력시설 사이버사건 대응 규제기술 강화 □ 연구개발성과 활용계획 및 기대 효과 ○ 활용계획 - 원자력사업자의 사이버사건 대응 이행 현황 평가의 규제기술 및 방법론 제공 ○ 기대효과 - 국내 원자력사업자의 사이버사건 대응 역량 및 훈련 체계를 진단하고, 최종 목표수준과의 갭분석을 통해 현재의 수준을 진단하는 등, 사이버사건 대응 규제가 나아갈 방향을 제시 - 사이버사건 대응 역량 및 대응 체계에 대한 정량적 평가를 위한 기준 및 방법론 개발을 통해, 원자력사업자에게 좀 더 명확한 법적 근거에 의한 규제 적용 - 다양한 요소를 고려한 고도화된 사이버공격 시나리오 예제를 통해, 원자력사업자의 훈련 효과성 증대 (출처 :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송재구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연구원
    • 발행년도 : 20220200
    • Keyword : 1. 원자력시설;필수디지털자산;사이버공격 시나리오;사이버사건 대응 역량 평가;사이버사건 대응 훈련; 2. Nuclear facilities;Critical digital asset;Cyber attack scenario;Cyber incident response capability assessment;Cyber incident response exerci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