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 최종 목표 ○ 원자력 안전·안보 연계를 위한 원전 작업 종사자 통합 관리 시스템 구축 ◼ 전체 내용 가. 1차년도 (2020) ① 개발 목표 1) 생체신호 기반 원전 작업 종사자 통합 관리 시스템 구축을 위한 단위기술 개발 2) 원전 작업 종사자 생체신호 수집 관련 규제 상충 분석 및 적용 방안 제시 ② 개발 내용 및 범위 1) 생체신호 기반 원전 작업 종사자 통합 관리 시스템 구축을 위한 단위기술 개발 • 원자력 안전 및 조직 신뢰도 개선을 위한 종사자 주의 및 작업부하 평가기술 개발 • 핵안보 문화 증진을 위한 생체신호기반 인증 및 의도기반 접근 권한기술 개발 • 안전·안보 연계를 위한 원전 작업 종사자 스크리닝 기술 개발:종사자 직무 적합성 평가 (음주/스트레스/피로도) 2) 원전 작업 종사자 생체신호 수집 관련 규제 상충 분석 및 적용 방안 제시 • 신형원전 개발 및 확산 과정에서 예상되는 사물인터넷, 생체신호 등의 신기술 도입과 개인정보 활용에 따르는 법적, 윤리적 문제를 규제 측면에서 검토 • 생체신호 데이터 수집 및 처리방안 제시 (데이터 익명화 기술) 나. 2차년도 (2021) ① 개발 목표 1) 생체신호 기반 원전 작업 종사자 관리 기술 타당성 평가 2) 종사자 통합 관리 시스템 개발 및 안전·안보 연계를 위한 활용 방안 구축 ② 개발 내용 및 범위 1) 생체신호 기반 원전 작업 종사자 관리 기술 타당성 평가 • 원자력발전소 유사 환경 구축 및 실험을 통한 단위기술 타당성 평가 • 종사자 관리 기술의 오류 가능성 평가 및 보조수단으로써의 활용성 제시 2) 종사자 통합 관리 시스템 개발 및 안전·안보 연계를 위한 활용 방안 구축 • 통합 관리 시스템이 안전·안보에 미칠 수 있는 영향을 다각도로 분석 • 업무 효율성과의 연계를 고려한 통합 관리 시스템 평가 결과의 활용방안 제시 다. 3차년도 (2022) ① 개발 목표 1) 생체신호 기반 원전 작업 종사자 통합 관리 시스템 실증 2) 미래형 원전 적용을 위한 적용방안 및 관련 규제방안 제안 ② 개발 내용 및 범위 1) 생체신호 기반 원전 작업 종사자 통합 관리 시스템 실증 (UAE 칼리파대학과의 협력 추진) • 국내 원전 적용을 위한 원자력 유관기관 종사자 대상 실험 • 실험결과를 바탕으로 추후 요구되는 고려사항 정리 및 시스템 수정 2) 미래형 원전 적용을 위한 적용방안 및 관련 규제방안 제안 • 종사자 출근, 작업, 퇴근 시 언제, 어떻게, 얼마나 생체신호를 획득하고,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어떤 조치를 할지에 대한 통합 관리 시스템 적용방안 제시 • 생체신호 기반 통합 관리 시스템의 실제 적용을 위해 발생 가능한 문제 분석 및 난관 극복을 위한 규제방안 제안 □ 연구개발성과 ○ 생체신호 기반 원전 작업종사자 통합 관리 시스템 구축을 위한 단위 기술개발 및 데이터 수집 관련 규제 상충 분석 • 원자력 안전 및 조직 신뢰도 개선을 위한 종사자 주의 및 작업부하 평가 기술 개발 • 안전·안보 연계를 위한 원전 작업종사자 스크리닝 기술개발 - 종사자 직무 적합성 평가 (음주/스트레스/피로도) • 신형원전 개발 및 확산 과정에서 예상되는 사물인터넷, 생체신호 등의 신기술 도입과 개인정보 활용에 따르는 법적, 윤리적 문제를 규제 측면에서 검토 • 생체데이터 수집 시 개인정보 익명화 및 보안/안전 관련 규제 상충 분석/방안 제시 • 핵안보 문화 증진을 위한 생체신호 기반 인증 및 의도기반 접근 권한 기술개발 ○ 통합 작업종사자 관리 기술의 타당성 평가 및 종합 관리 시스템의 안전·안보 연계를 위한 활용방안 구축 • 다양한 주제어실 작업 상황을 묘사한 원자력발전소 유사 환경 (원전용 실시간 Nuclear Plant Analyzer, Win-NPA활용) 구축 및 실험을 통해 생체신호 기반 단위 기술 타당성 평가 - 종사자 주의 (attention) 및 작업부하 (workload) 평가 - 직무적합성 스크리닝 기술로 뇌파 변화 측정 - 종사자 관리 기술의 오류 가능성 평가 및 보조수단으로써의 활용성 제시 • 종사자 통합 관리 시스템(인적오류, 내부자위협, 직무적합도 평가)의 업무 효율성과의 연계를 고려한 통합 관리 시스템 평가 결과의 활용방안 제시 - 규제적용성 증진을 위한 정보보호시스템 개발 ○ 미래형 원전 적용을 위한 생체데이터 기반 통합 관리체계의 실증 및 규제적 적용 방향성 제안 • 본 과제에서 진행된 머신러닝 기반 분류 체계 및 생체신호 정확도 관련 기술 성능 개선 • UAE 칼리파 대학과의 협력 추진으로 생체신호 기반 원전 작업종사자 통합 관리 시스템 실증 • 안전/안보 민감 시설로 분류된 원전 종사자 대상 생체신호 기반 관리 기술을 반영한 뇌파 스마트 헬멧 프로토타입 개발 및 시연으로 종사자의 전반적인 작업 과정(운전 전, 중, 후)을 측정하여 타당성 평가 - 종사자 출근, 작업, 퇴근 시 언제, 어떻게, 얼마나 생체신호를 획득하고,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어떤 조치를 할지에 대한 통합 관리 시스템 적용방안 제시 • 생체신호 기반 통합 관리 시스템의 실제 적용을 위해 발생 가능한 문제 분석 및 난관 극복을 위한 규제방안 제안 □ 연구개발성과 활용계획 및 기대 효과 • 국가 원자력산업의 국제화를 지원할 수 있는 원자력 안전, 안보 전문인력 배출 • 인적오류 및 내부자 위협 저감 및 직무 적합성 평가를 통합하면서 안전과 안보를 연계하여 원전 작업 종사자들을 관리하는 규제체계 적용의 가능성 평가 • 원전 수출국으로 부상한 대한민국이 세계 원자력 안전 및 안보 체제 유지 및 공고화에 기여 • 미래 수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적절히 4차 산업혁명의 기술을 접목하면서 기존 기술의 한계를 돌파할 수 있는 기술개발 • 국제 원자력 안전에 대한 신뢰성 재고를 통해 원자력 연료 주기 기술의 이용 증진 • 원자력 안전 및 안보에 대한 국내 이해 증진을 통한 올바른 여론 형성 • 국제 원자력 안전, 안보 분야 원자력 네트워크 형성 (출처 :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임만성
- 주관연구기관 : 한국과학기술원
- 발행년도 : 20221200
- Keyword : 1. 원자력 안전·안보 연계;종사자 통합 관리 시스템;생체신호기반 데이터구축;의도기반 접근권한기술;규제적용성; 2. Nuclear safety-security interface;Integrated worker management system;NPP worker’s bio-signals database;Intention-based access control system;Regulatory applicabi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