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Report

All 12,382 Page 56/1,239

검색
  • 11832

    2020.12.31

    1. 방사선안전관리 시스템을 적용하여 2020년 방사선안전관리 운영사업을 진행하였다 2. 방사선작업종사자의 피폭선량은 전년과 동일하게 핵의학과를 제외한 모든 부서의 피폭선량은 기록준위(자연방사선량률) 이하를 기록하였고 핵의학과의 종사자들의 1~3분기 동안의 집단선량은 4.82 mSv , 방사성동위원소를 직접 투여하는 간호사의 피폭선량이 1.35 mSv 로 가장 높았다. 3. 작업자의 건강검진은 대한산업보건협회 및 원내에서 실시하였고 피폭에 의한 건강이상자는 없었다. 4. 작업자의 교육은 신규와 정기를 구분하여 기본 교육 및 직장교육을 원자력안전법에 의거하여 시행하였고 수시출입자는 직장교육을 시행하였다. 5. 방사선안전관리자 부재시 방사선안전관리자 대리자를 지정하여 사업을 수행하였다. 6. 고체 방사성폐기물을 자체폐기하였으며 액체방사성폐기물은 방사능농도 측정 후 배출기준 제한값 이하일 경우 환경에 배출하였다. 7. RI 치료병실의 환자수 감소에 따른 사용방사능 양의 감소로 인하여 해당 배수배관의 누설방사선량률은 자연방사선량률을 기록하였다. 8. 밀봉방사성동위원소의 보안 시설을 운영하여 방사선 테러등과 같은 방사선사고에 대비하였다. 9.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에서 시행하는 정기 검사는 면제받았다. 10. 2020년에 기록된 결과물들은 국가 의료 방사선안전관리 정책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가능하다. (출처 : 요약서 3p)
    • 연구책임자 : 김정기
    • 주관연구기관 : 동남권원자력의학원
    • 발행년도 : 20210100
    • Keyword : 1. 방사선안전관리;방사선장해방어;종사자;피폭선량;교육;방사성동위원소보안관리;정기검사;방사선사고;건강진단;방사선작업종사자;방사성폐기물; 2. Radiation safety and management;Radiation workers;Radiation dose;education;Radioisotope security system;Regular investigation once a year. Radiation accident;Solid radioactive waste.;Protection of radiation effects;R.I security system;Regular investigation;Radiation waste;
  • 11831

    2020.12.31

    1) 히스톤 변형체인 mH2A2에 의한 유방암 악성화 제어 기전 연구 - mH2A2의 발현 패턴과 유방암 악성화간의 상관관계 조사 - mH2A2의 조절이 유방암줄기세포에 미치는 효과 조사 - mH2A2에 의한 유방암 악성화에 관여하는 하위 표적 유전자 발굴 2) 후성유전학 조절 인자인 G9a에 의한 유방암 전이 변화 연구 - 유방암에서 G9a 발현 저하에 의한 BMP5 단백질의 발현 증가 관찰 - 유방암에서의 BMP5의 증가로 인한 이동성/침윤성 감소함을 관찰 - BMP5 증가로 인한 MCF-7 세포주의 방사선 저항성 감소 관찰 3) BRD4와 콜레스테롤 조절 인자의 종양 악성화 제어 기전 연구 및 방사선 치료 효율 증진 연구 - 간암세포주에서 BRD4에 의한 콜레스테롤 조절인자인 HMGCS1 및 HMGCR 발현비교 - 간암세포주에서 BRD4 조절에 의해 지방산 대사에 관여하는 유전자 발현 확인 - BRD4 발현 조절에 의한 지방방울(Lipid Droplet)형성에 미치는 영향 확인 4) Rg3의 FM3A 마우스 유방암 세포주에서 방사선 민감성 유도 효능 평가 - 유방암 세포주에서 Rg3가 방사선 민감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유방암 세포주에서 Rg3의 방사선에 의한 세포사멸 영향 연구 - 유방암 세포주에서 Rg3의 세포 침윤에 미치는 영향 연구 (출처 : 요약서 3p)
    • 연구책임자 : 최유진
    • 주관연구기관 : 동남권원자력의학원
    • 발행년도 : 20210100
    • Keyword : 1. 종양줄기세포;후성유전학;암대사;면역세포; 2. cancer stem cell;epigenetics;cancer metabolism;immunotherapy;
  • 11830

    2020.12.31

    ▢ 세포주 및 동물모델을 이용하여 저선량 및 저선량률 방사선에 의한 생체 영향 확인 및 기전 연구 수행 ○ 저선량률 chronic exposure (3.4mGy/h)그룹이 고선량률 조사 (50.9Gy/h) 그룹보다 정자의 생성 및 기형률에 더 많은 피해를 준다는 사실을 확인함 ○ 생쥐 소장에서 저선량 방사선에 의해 발현이 유도되는 G6PC2와 MUC6가 저선량 방사선 (100mGy 이하) 특이적으로 발현이 유도됨을 확인함 ○ 저선량 방사선 생체 영향 연구를 위해, extracellular vesicle의 분리 조건 및 검증조건을 확립함 (출처 : 요약서 3p)
    • 연구책임자 : 이창근
    • 주관연구기관 : 동남권원자력의학원
    • 발행년도 : 20210100
    • Keyword : 1. 저선량 방사선;선량률;고환;세포바깥소포체; 2. low-dose radiation;dose-rate;testis;extracellular vesicles;
  • 11829

    2021.01.31

    ○ 난자의 동결융해 조건을 확립하고 융해 후 생존율을 세밀하게 분석하는 방법을 개발(1세부) ○ 동결융해 난자의 발달 특성을 분석하고 및 발달율을 증진 시킬 수 있는 방법을 제시(1세부) ○ 동결융해 돼지난자를 활용한 복제난자 생산 및 생존율 분석 등 기초자료 확보(1세부) ○ 개 정액 동결보존기술의 개발 및 확립(2세부) ○ 천연기념물 등록 개과 유전자원 확보 후 동결유전자원 생산 및 영구보존 실시 (출처 : 요약서 3p)
    • 연구책임자 : 황인설
    • 주관연구기관 : 국립축산과학원
    • 발행년도 : 20210200
    • Keyword : 1. 생식세포;동결;유전자원;체세포복제; 2. gamete;cryopreservation;genetic resource;somatic cell nuclear transfer;
  • 11828

    2021.01.31

    벼 엽록체 발달에 관여하는 중요 PAP유전자를 발굴하고 그 기능을 분석하여, 벼 엽록체 발달의 분자원리를 규명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한 결과. ✔ 벼 엽록체 발달을 결정하는 OsPAP 유전자 발굴 및 엽록체 발달에 관련하여 이들 유전자들의 발현특성과 엽록체 위치화 특성 규명. ✔ OsPAP 유전자편집 및 과발현 형질전환 벼 제작과 분석을 통해, 발굴한 OsPAP 유전자의 기능 규명. ✔ SCI 7편, 2 건의 특허 출원 및 1 건의 특허 등록. (출처 : 요약서 3p)
    • 연구책임자 : 장규필
    • 주관연구기관 : 전남대학교
    • 발행년도 : 20210200
    • Keyword : 1. 벼 엽록체 형성;엽록체 전사조절체계;펩알엔에이 전사조절체;펩 전사조절체 결합단백질; 2. Rice chloroplast biogenesis;Chloroplast transcription system;PEP RNA polymerase;PAPs;
  • 11827

    2020.12.31

    □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 최종 목표 핵의학분야 치료 시 일반인 피폭저감화를 위한 기준 개발 및 개선(안) 도출 ○ 전체 내용 ○ 국내 핵의학 분야 진단‧치료 실태 조사 • 국내 병원 핵의학과 환자의 사용핵종/사용량, 입원/퇴원 관리현황 조사‧분석 • 핵의학 치료 환자에 대한 안내서 및 이행현황 조사 • 환자 퇴원 후 일반인에 대한 피폭 가능성 평가 • RI 투여환자 사망 이후 처리 방법에 관한 사례 조사·분석 ○ RI 투여 환자에 의한 일반인 피폭 관련 주요인자 분석 • RI를 이용한 치료 후 퇴원 시까지 주요인자 조사‧분석 ○ 국내 핵의학 분야 진단 및 치료 시 피폭저감화 방안 제시 • 해외사례 비교‧분석을 통한 핵의학과의 환자 진료 전(全)과정 안내서 개선(안) 도출 • 환자 퇴원 후 일반인에 대한 선량제약치 제안 및 피폭저 감화 방안 도출 ○ RI 치료 환자에 대한 격리기준(안) 도출 • 핵종별 RI 투여량에 따른 환자 입원 기준(기간, 선량제약치 등) 제시 • 관련 고시 제‧개정(안) 제안 ○ RI 투여환자 가족의 피폭선량 측정 및 조우인자 산출 • RI 치료 병원 및 환자에 대한 현황 조사 • RI 치료환자와 가족에 대한 피폭 측정을 위한 병원 IRB 승인 • 가정에서 RI 치료환자에 의한 피폭 선량 측정 • 피폭 선량 측정결과 분석 • RI 투여환자를 간병하는 가족에 대한 조우인자 산출 ○ 전신 유효반감기 및 환자 선량률계수 산출 • 치료용 방사성의약품에 대한 자료 조사 • 방사성 핵종별 생체동력학 모델에 대한 자료 조사 • 방사성 핵종별 인체 내 분포 계산 • 방사성 핵종별 전신 유효반감기 산출 • MCNPX 전산 모사를 위한 인체 모형 모의체 및 선원항 구현 • 방사성 핵종별 환자 선량률계수 산출 ○ RI 투여환자의 주위선량당량률 산출 및 RI 투여환자 가족의 피폭선량 평가 • RI 투여환자에 대한 주위선량당량률 산출을 위한 MCNPX 전산모사 • RI 투여환자의 주위선량당량률 예측식 도출 • RI 투여환자 가족의 총 피폭 선량 예측식 산출 • RI 투여환자 가족의 총 피폭 선량 계산 ○ 해당연도 목표 ○ RI 치료 환자에 대한 격리기준(안) 도출 내용 ○ RI 진료환자에 대한 입원 기준(안) 도출 • 핵종별 RI 투여량에 따른 환자 입원 기준(기간, 선량제약치 등) 제시 - 선량평가 시나리오 별 핵종별 입원기간 분석 - 간병인, 가족 등 환자 주변인에 대한 선량제약치 제고 - 시나리오별 입원기간 비교를 통한 선량제약치 결정 - 핵종 및 투여량 별 입원기간 계산 ○ 국내 핵의학 분야 진단 및 치료 시 피폭저감화 방안 제시 • RI투여환자 사망 이후 처리 최적방안 및 절차 제안 - RI 치료환자 사망 시 방호대책 관련 최신 국제동향 조사 - 환자사망 시 부검, 매장, 화장 등에 대한 해외 규제요건 조사 - RI 치료 시체 주변인의 피폭영향 및 규제요건 도출(협동과제 산출값 활용) • 관련 고시 제‧개정(안) 제안 - 선량제약치 상향에 따른 핵종별 투여량에 따른 격리 및 입원 기준에 관한 관계법령 및 고시 개정안 제시 - RI 치료환자 사망 관련 방호대책 수립 및 규제요건(시신처리 기준)에 관한 관계법령 및 고시 개정안 제시 등 ○ RI 투여환자의 주위선량당량률 산출 및 RI 투여환자 가족의 피폭선량 평가 • RI 투여환자에 대한 주위선량당량률 산출을 위한 MCNPX 전산 모사 • RI 투여환자의 주위선량당량률 예측식 도출 • RI 투여환자 가족의 총 피폭 선량 예측식 산출 • RI 투여환자 가족의 총 피폭 선량 계산 □ 연구개발성과 ○ 안전기술보고서 제출: 7건 ○ 논문(비SCIE) 게재: 3건 ○ 논문(SCIE) 게재: 1건 ○ 학술발표: 7건 ○ 전문연구인력 양성: 1건 (박사) ○ 포상 및 수상 실적: 1건 □ 연구개발성과 활용계획 및 기대 효과 ○ 핵의학 진료에서 환자의 RI 투여량과 환자격리기간에 따른 주변인의 개인유효선량당량 예측값과 이에 따른 격리(입원) 기간을 도출하는데 활용 가능 ○ RI 투여환자로 인한 주변인의 피폭선량 평가 결과는 의료분야의 방사선안전관리에 대한 국내의 기준 정립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여 국가방사선방호 정책결정에 기여 ○ [기술적 측면]핵의학과 환자의 진료 전(全) 과정에 대한 안내서 및 환자 퇴원후 간병인, 가족, 일반인에 대한 선량제약치 등 제시를 통해 피폭저감 효과 달성. 또한, 의료기관은 신뢰도 기반의 입원과 격리 기간 결정 및 방사선방호의 최적화(ALARA) 달성 가능 ○ [경제적 ․ 산업적 측면] 한국 문화 특성과 최신 국제권고를 접목해 최적의 입원/격리 기간을 제시, 일반인 피폭저감을 위한 기준을 개발함으로써, 진료계획 수립과 방사선안전관리에 유용하게 활용 가능하다. ○ [사회적 측면] 병원의 RI 치료에 의한 방사선 피폭관리가 보다 정확한 선량 평가에 근거해서 진행되며, 의료진, 환자 가족의 안전을 동시에 확보함으로써 RI치료에 대한 국민 신뢰도 증진 (출처 :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이지연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
    • 발행년도 : 20210100
    • Keyword : 1. RI 치료;선량평가;선량저감화;환자선량률;핵의학 치료환자; 2. RI therapy;Dose assessment;Dose reduction;Patient dose rate;Nuclear medicine patient;
  • 11826

    2021.01.31

    7. 총사업기간 목표 및 범위 ㅇ 최종목표 : 우주방사선 피폭량 예측 모델 개선 및 통합관리 시스템 개발 - 우주방사선 피폭선량 예측 모델의 결과 검증 및 개선 o 항공우주방사선 모델 특징 분석 ▪ 보고서 작성 o 항공우주방사선 피폭선량 실측값 획득 o 획득가능한 항공우주방사선 모델에 대하여 동일한 항공로 적용을 통해 항공우주방사선 피폭량 계산 ▪ 운항 노선을 대상으로 각 모델 결과값과 실측값 비교 ▪ 주요 시험 노선 결정 후 항공우주방사선 피폭량 계산 및 비교: -위도별 (북극항로, 중위도 노선, 저위도 노선) 및 고도별 노선 -실측값과 모델 결과값의 비교 o 항공로 시뮬레이션 개발 ▪ 항공로 시뮬레이션 개발 ▪ 항공로 시뮬레이션 통해 개선된 항공로 도출 o End Product ▪ 항공로 시뮬레이션 ▪ 해외 항공우주방사선 모델 검토 보고서 ▪ 실측값과 모델값 비교 분석 보고서 o 장비 업그레이드 ▪ 항공우주방사선 장비(ARMAS FM6)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8. 추진체계 및 방법 1. 우주환경 연구 전문가 및 선행사업 참여인력 투입을 통하여 높은 사업의 이해도 확보 - 우주환경연구 전문 인력(우주과학박사) 과제책임자 투입 - 기존 연구 수행 인력 00 투입 2. 선행사업 수행을 통해 획득한 헤리티지 기반 사업 수행 - 과제수행을 위한 핵심 기술 요소 분석 - 선행사업 및 유사사업 수행을 통해 획득한 기보유 기술요소 적극 도입 - 대상 시스템의 높은 이해도 기반 원활한 사업 수행 3. 항공로 개선을 위한 항공로 시뮬레이션 개발 - 사전 수행을 통해 신규 모델의 시스템 구축사업 진행 경험 보유 - 항공로 시뮬레이션을 통한 항공로 개선 4. 항공우주방사선 예측 모델 연구의 원천지식 보유 및 투입 - 현업화 경험 보유로 SAFE 시스템의 고도화를 위한 지식 및 기술 보유(납품실적 보유) - 실측데이터 수집 및 활용을 위한 원천지식 보유(선행사업 수행을 통해 획득) 9. 수행내용 및 결과 o 항공우주방사선 모델 특징 분석 ▪ SIEVERT(프랑스), EPCARD(독일), JSCARD(일본) KREAM(한국) 항공우주 방사선 모델에 대한 비교 o 항공우주방사선 피폭선량 실측값 획득 ▪ 기보유한 실측값 수집 정리 ▪ ARMAS 실측값 획득 o 획득가능한 항공우주방사선 모델에 대하여 동일한 항공로 적용을 통해 항공우주방사선 피폭량 계산 ▪ 동일한 운항 노선대해 모델별 항공우주방사선 피폭량 계산 및 실측값과 비교 ▪ 위도별 (북극항로, 중위도 노선, 저위도 노선) 및 고도별 결과값 비교 o 항공로 시뮬레이션 개발 ▪ 항공로 시뮬레이션 개발 ▪ 항공로 시뮬레이션 통해 개선된 항공로 도출 o End Product ▪ 항공로 시뮬레이션 ▪ 해외 항공우주방사선 모델 검토 보고서 ▪ 실측값과 모델값 비교 분석 보고서 o 장비 업그레이드 ▪ 항공우주방사선 장비(ARMAS FM6)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는 수요기관과 장비업체와 논의 10. 주요 성과 • 기존 항공로와 시뮬레이션을 통해 구현된 항공로 비교 수행 • 동일한 항공로에 대해 해외 항공우주방사선 예측 모델간 비교 수행 • 2020년 우주과학회 가을 학술발표대회 1건 • 항공로 시뮬레이션 SW 등록 1건 • 최종결과보고서 1건 11. 파급효과 o 파급효과 - 항공우주방사선 피폭량 계산에 적합한 모델 선정에 기여 - 이를 통해 항공종사자들에게 보다 정확한 자료 제공 기여 12. 결과활용 등 향후계획 o 활용계획 - 항공우주방사선 피폭량 예측 서비스의 질 향상 - 지속적인 시스템 정확도 향상을 위한 토대 마련 o 기대효과 - 우주방사선 예측 기술 역량의 강화를 통한 기술의 선도그룹 진출 및 연구 경향 주도 - 더욱 정확한 피폭량 예측을 통한 항공우주 데이터 분석 분야의 기술 자립화 추진 - 고도화 모델 개발을 통한 기술이전 및 서비스 환경 개선으로 사업화 추진 - 우주방사선 피폭의 위험성에 대한 인식 제고를 통해 항공우주관련 노동자의 복지 증대 (출처 : 요약 5p)
    • 연구책임자 : 서행자
    • 주관연구기관 : 한컴인스페이스
    • 발행년도 : 20210200
    • Keyword : 1. 항공우주방사선;양성자 예측;항공우주방사선 실측값; 2. cosmic radiation;proton prediction;actual data comparision;
  • 11825

    2021.03.31

    □ 연구개요 면역시냅스는 T 세포와 항원제시세포 사이에 형성되는 역동적인 초미세 분자구조체로 면역기능 조절에 필수적인 인자들이 모여 있으며 이들 인자들의 돌연변이나 부재는 심각한 면역질환이나 암의 유발과 관련이 있음. 본 과제는 면역시냅스의 개념이 기존의 세포-세포간 접합 뿐 아니라 다양한 형태의 신호매개 수단으로까지 확대될 수 있으며, 특히 면역세포 표면에 다량으로 존재하는 미세돌기 (microvilli)가 세포간 교신의 주요수단이 될 수 있음을 최초로 제안함. 본 연구는 1단계에서 밝힌 세포 간 신호물질의 전달매개체인 TIS (T-cell immunological synaptosomes = T-cell microvilli particles)의 새로운 역할을 밝히고자 하였음. 면역시냅스 연구는 이제 basics-to-bedside라는 새로운 영역으로 확대되었음. 따라서 두 번째 목표는 면역시냅스 주요 단백질들을 활용하여 최적화된 항암 면역세포 치료기술을 개발하고자 하였음 □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 2단계 연구목표 및 연구내용 - TMP에 의한 형질도입 기능을 이용한 면역항암 세포치료에 응용 - TCR 및 adhesion receptor의 avidity 조절에 의한 면역항암치료기술 개발 - TMP의 면역 생리학적 의의를 in vivo 면역질환 모델에서 밝힘 - T세포의 몸체로부터 TMP를 통하여 단백질, miRNA 등이 sorting 될 때 일어나는 반응연구 - TMP가 작용하는 세포 (DC, B cell, macrophage, 암세포 등)에 대하여 역할을 규명 - T 세포의 분화 및 발달에 관한 연구 ○ 형질도입 벡터로서 TMP의 발견 (CAR CD19을 발현하는 TMP의 제작 및 응용) - TMP라는 vesicle type을 이용하여 일시적으로 암을 공격할 수 있는 avatar-CAR-T 세포를 성공적으로 만들어서 마우스 동물모델에서 그 효과를 입증 (Nature Biomedical Engineering, IF18.952, in revision) ○ TCR과 adhesion receptor avidity를 조절하는 IGSF4/dU-TG2P를 이용한 항암전략 연구 성공 - TCR과 adhesion receptor avidity 조절이 항암전략에 필수적임을 밝힘 (Frontiers Immunol, IF6.429,; J Hematology & Oncology, IF11.059, published; 유럽특허 1건 등록; 기술이전 2건) ○ T 세포에서 microvilli의 형성 조절 기전연구 - Microvilli 조절하는 cdc42 유전자 동정하고 conditional KO 마우스를 확립 - Microvilli 관련 논문 게제 및 제출 (Frontiers Immunol, 2019) - Microvilli의 “trogocytic molting”반응에 의한 T 세포 운명 규명 (Nature immunology, under review) ○ Nuclear speckle 단백질 NSrp70에 의한 T세포분화 및 발생 - NSrp70에 의한 T 세포증식 및 발달 규명 (Nucleic Acids Res, IF11.501, in revision) □ 연구발성과의 활용 계획 및 기대효과 (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T 세포의 표면에 있는 microvilli는 T 세포의 활성 및 억제에 있어서 모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지만 그 기능은 아직까지 거의 밝혀져 있지 않음. 연구자는 면역시냅스 연구를 수행하는 중 microvilli가 단순한 돌기가 아니라 T 세포의 운명에 있어서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organelle이라는 것을 밝힘. T 세포 microvilli의 기능연구결과는 T 세포활성과 비활성에 관한 학문적 패러다임을 새롭게 설정하고 이 분야의 발전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됨. 더욱이 TMP를 이용한 새로운 치료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을 이룰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이는 유전자치료와 세포치료영역에 기여할 것임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전창덕
    • 주관연구기관 : 광주과학기술원
    • 발행년도 : 20210400
    • Keyword : 1. 면역시냅스;T-세포치료;미세돌기;유전자 조작 키메라;면역치료법; 2. Immunological synapse;T cell therapy;microvilli;Chimeric antigen receptor;Cancer immunotherapy;
  • 11824

    2021.02.28

    연구개요 열의 전달자인 포논의 관점에서, 포논 파장보다 작은 스케일의 전자소자 활성층에서는, 포논의 입자성에 기반한 푸리에 법칙을 따르지 않고 파동성을 따르는 새로운 양자 물성이 구현됨. 이에 따라, 포논을 파동적 관점에서 해석하는 이론 정립 및 해석 기법 개발이 필요함. 구체적으로, 포논의 위상을 수학적으로 기술하고, 포논 신호의 위상 해석을 통해 포논의 산란 시간과 포논 위상 사이의 관계를 정립함. 더 나아가, 위상이 결맞는 포논을 활용한 포논 메타소재인 포논 Distributed Bragg Reflector(DBR)을 구현하고, 이를 활용하여 포논 전파를 인위적으로 조절하여 물질의 열 전달 특성 조절이 가능함을 실험적으로 증명함. 또한, 열 제거의 새로운 기법이 될 수 있는 전자-포논 상호작용에 의한 전자기파 발진을 실험적으로 확인하고 이론적 모델을 정립함.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나노스케일 포논-광자 상호작용의 규명을 위해, 포논의 위상 해석 및 포논-광자 상호작용에 의한 전자기파 발진의 이론적 모델을 정립하고 실험적으로 규명함. 구체적으로, 포논 위상의 수학적 기술 및 정량화를 기반으로 포논 신호 위상 해석을 통해 포논의 산란 시간과 포논 위상의 관계를 정립함. 특히, 포논 위상의 변화에서 정량화되는 디페이징 시간(dephasing time)으로부터 고체의 포논 산란 시간을 주파수의 함수로 측정하고, 나노 구조에서의 소재의 열 전도도의 실험적 규명의 방법론을 제시함. 더 나아가, 포논-전자의 상호작용에 의한 전자기파 발진의 이론적 모델을 제시하고 이를 실험적으로 규명함. 이러한 결과는, 향후 반도체 물질에서 새로운 열 제거기법으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기대됨. 상기의 이론 정립을 토대로, 포논 위상의 결맞음을 활용한 포논 위상 메타소재를 구현하여 열 전달 특성을 인위적으로 조절 가능함을 확인함. 구체적으로, 주기적인 구조에서 포논 파동의 중첩을 활용한 포논 DRB을 성장하여 특정 주파수의 포논이 반사될 수 있는, 포논 메타물질을 구현하였으며, 이러한 물질에서 열전도도 측정 기법을 활용하여 포논 DRB에 의한 열 전달 특성(계면 및 수직 방향 열 전도도)의 조절이 가능함을 실험적으로 입증함. 연구발성과의 활용 계획 및 기대효과 (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나노스케일에서 포논의 파동적 특성을 활용하여 새로운 열 전달 해석 방법을 제시하고, 고체의 열 전달 특성을 결정하는 포논(원자의 진동에 대한 물리학 개념)을 조절하는 분야를 개척함. 구체적으로, 포논 메타소재를 활용하여 인위적으로 열 전달을 조절하였으며, 이러한 연구는 추후 반도체에서 주된 열 전달자인 2~5 THz 포논의 전파 특성 조절에도 활용 가능함. 한편, 열 제거의 새로운 기법이 될 수 있는 전자-포논 상호작용에 의한 전자기파 발진을 규명함. (출처 :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조영달
    • 주관연구기관 : 광주과학기술원
    • 발행년도 : 20210300
    • Keyword : 1. 포논 파동성;포논 위상;포논 메타소재;열 전도도;전자기파 발진; 2. Phonon wave property;Phonon phase;Phonon meta-material;Thermal conductivity;Terahertz radiation;
  • 11823

    2020.12.31

    - 본 연구과제의 주요 취지는 우리나라 원자력 기술의 국제협력 활성화를 통하여 기술을 홍보하고 전문가의 네트워크를 강화함으로서 향후 기술수출, 전문가의 해외 진출 등에 간접 기여 하고자 함에 있음. - 본 연구과제를 통하여 2018년 5건, 2019년 4건, 2020년 1건 등 총 10건의 국제회의개최를 지원하였으며 일부 회의는 직접 참여 하여 회의 추진 내용을 모니터링 함. - 주요성과로는 RCA 회원국을 대상으로 한 국내 핵의학 기술 홍보, IAEA 회원국을 대상으로 한 국내 SMR 기술 홍보, IAEA Quanum 워크숍 유치를 통한 핵의학 진료 기술 홍보 등이 있음 (출처 : 보고서 요약서 3p)
    • 연구책임자 : 정홍화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협력재단
    • 발행년도 : 20210100
    • Keyword : 1. 국제협력;국제회의;국제원자력기구;네트워크;해외진출; 2. International Cooperation;International Conference;IAEA;Network;Overseas Expan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