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Report

All 12,381 Page 78/1,239

검색
  • 11611

    2020.12.31

    원전에 컴퓨터 및 통신기술의 적용으로 사이버침해 대응 연구가 요구됨. 원전 계측제어시스템의 사이버침해 대응 연구에 가장 중요한 Test-bed를 구축하기 위해 원자력 디지털 계측제어시스템 국산화 설계 및 개발 경험을 바탕으로, 안전계통으로서는 ESF-CCS, 비안전계통으로는 다양성보호계통(DPS), 원전종합감시계통인 (IPS)를 각기 대표적인 계통으로 선정하여 이들에 대한 설계, 제작, 통합시험을 수행함. 본 연구를 통해 원전 사이버사고 대응체계 운영을 위한 기반기술 확립하고, 국내 원자력시설 및 유관기관들의 TEST-BED 공동활용 및 사이버보안 평가 기술지원을 통해 국민 안전성 제고하는데 기여하고자 하였음. 이를 위해서 산업체의 사이버보안 시험평가 결과 비공개 전달 및 보안성 강화방안 기술지원을 하였으며, Test-bed 활용을 통해 산업체의 사이버보안 평가비 절감에 기여하였음. 또한 원전 사이버보안 R&D 네트워크 확대 및 실무 교육훈련을 지원하기 위해 국내 사이버보안 교육 콘텐츠를 개발하여 전파하고자 하였음. 이를 통한 원전 사이버보안 인식제고 및 안전성 향상 기대함. 본 연구는 IAEA, 미국 Idaho National Lab. 등 국외 사이버보안 전문기관과 체계적이고 장기적인 협력체계 구축을 통한 원전 사이버보안 역량 강화와 국제 원자력 사이버보안 연구에 기여함. (출처 : 서지정보양식 75p)
    • 연구책임자 : 송재구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연구원
    • 발행년도 : 20210100
    • Keyword : 1. 원자력;사이버보안;계측제어시스템;사이버공격 대응;원자력 안전; 2. nuclear power;cyber security;I&C system;cyber attack response;nuclear safety;
  • 11610

    2020.12.31

    ○ 목적 : 원자력발전소 도입에 앞서 인프라 구축과 인적 자원 개발을 목표로 연구용 원자로 도입을 추진하고 있는 케냐 원자력청(NUPEA, NUclear Power & Energy Agency)의 연구용 원자로 사업 타당성 연구 수행을 지원함 ○ 연구 내용 - NUPEA가 도입하려는 연구로의 요건을 확인함. - 연구로 사업 타당성 연구를 위한 연구로 개념 설정을 지원함 - 연구로 요건과 연구로 개념을 활용한 경제성 평가 모델을 제시함 - IAEA의 연구로 사업 타당성 연구 보고서 작성 가이드를 활용하여 타당성 연구 보고서 작성을 지원함. ○ 결과의 활용 - 케냐는 타당성 연구 결과를 활용하여 사업 시행 여부를 결정하고 이후 연구로 건설 사업을 발주할 예정임. - 타당성 연구에 대한 기술 지원을 통한 협력 기반 강화는 향후 건설 사업 수주에 도움이 될 것임. - 연구로 분야 협력 강화는 향후 발전로 분야 관계 증진에도 기여할 것임. (출처 : 보고서 요약서 5p)
    • 연구책임자 : 임인철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연구원
    • 발행년도 : 20210100
    • Keyword : 1. 연구로;타당성 연구;케냐 원자력청;개념 설정;경제성 평가; 2. Research reactor;feasibility study;Kenya Nuclear Power & Energy Agency;reactor concept;economic analysis;
  • 11609

    2020.12.31

    공학적방벽 복합거동 검증기술 개발을 위해 수행한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 KURT 기반 공학적방벽 열-수리-역학 복합거동특성 규명 현장시험(In-DEBS)으로부터 국내 결정질암반에서의 THM 측정자료 DB를 구축하고 중장기적 운영 기반을 마련하였다. • 처분시스템 성능 현장 검증 및 모델 구축에 필요한 공학적방벽 완충재의 복합물성 평가 기반을 구축하였다. • 공학적방벽 완충재로써의 국내산 Ca-벤토나이트 블록의 복합물성 특성을 규명하고 이들의 열-수리 상관관계 모델을 제시하였다. • 공학적방벽-근계암반의 역학적 거동 평가기술을 개발하였으며 역학적 거동과 손상도의 상관관계를 규명하였다. • 공학적방벽 THM 복합거동 진화모델 및 기체압력을 고려한 HM 해석 모델을 개발하였다. • 국제공동연구를 통해 개발한 공학적방벽 THM 복합거동 해석 모델과 기체압력을 고려한 HM 해석 모델의 현장 적용성을 검증하였다. • 공학적방벽 THM 복합거동 해석 모델에 공학규모 EBS 현장 시험(In-DEBS) DB를 입력자료로 이용하여 KURT 기반 처분시스템 THM 복합거동을 평가하였다. • 처분환경 진화과정에서 예상되는 처분시스템 근계영역에서의 처분공 간 THM 복합거동 간섭현상을 시험하기 위한 다중 처분공 간섭현상 현장시험(In-DEBS-M) 개념을 개발하고 개념 설계(안)을 제시하였다. (출처 : 서지정보양식 464p)
    • 연구책임자 : 김건영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연구원
    • 발행년도 : 20210100
    • Keyword : 1. 처분시스템;심층처분;지하연구시설;공학적방벽;열-수리-역학 복합거동;THM 진화 모델;완충재;벤토나이트;지하처분연구시설;열-수리-역학적 거동;성능 검증; 2. Repository system;Deep geological disposal;URL;Engineered barrier;THM coupled behavior;THM evolution model;Buffer;Bentonite;In-DEBS;KURT;KAERI underground research facility(KURT);Thermal-Hydrological-Me chanical coupled behavior;Performance verification;
  • 11608

    2021.01.31

    본 과제의 최종목표는 근계영역의 다중방벽에서 핵종의 장기 지화학거동 특성 평가 자료와 평가기술을 확보하는 것이다. 이를 달성하기 위하여 지하수와 광물의 물리화학적 특성 변화에 따른 핵종의 지화학적 거동을 평가하였고, KURT를 기반으로 한 처분장 폐쇄 후 초기 근계영역에서 용질의 지화학적 거동을 평가하였다. 근계영역에서 처분환경 변화에 따른 처분용기, 완충재, 그리고, 근계암반의 변질특성을 평가하고, 핵종과의 지화학반응에 대한 평가자료를 구축하여 사용후핵연료 심층처분의 안전성평가에 대한 불확실성을 저감하였다. 처분환경을 고려한 모의 사용후핵연료 용출특성 평가 분야에서는 사용후핵연료 매트릭스인 UO₂와 지하수의 반응특성을 평가하였으며, 지화학 인자의 영향을 고려할 수 있는 방사성핵종 조화유출선원항 모델을 개발하였다. 용기부식생성물의 핵종 반응 특성 평가 분야에서는 처분(환원)환경에서 용기부식생성물의 핵종 수착 능력이 탁월하며, 특히 요오드와 같은 고이동성 핵종들을 포획 및 결정화시켜서 이동의 지연효과가 있는 특이점이 있음을 발견하였다. 완충재의 핵종 반응 특성 평가 분야에서는 경주벤토나이트에 대한 광물 및 지화학적 특성분석을 종합분석하였으며, 압축벤토나이트의 공극수에 대한 화학적특성을 분석하였다. 지화학적 환경 변화에 따른 벤토나이트의 핵종 수착 특성을 분석하고, 핵종 이동 지연에 대한 지화학적 인자의 영향을 평가하였다. KURT 기반 용질거동 평가 분야에서는 산화환원환경 변화에 따른 처분환경 모사 고온/고압 하 근계영역 물-암석-핵종 반응 현장시험을 수행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근계영역에서 완충재 및 암반의 변질특성과 그에 따른 핵종의 이동/지연 특성을 평가하였다. 또한, 핵종의 지화학적 거동 예측을 위한 근계영역 지화학 진화모델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과제의 결과물들은 처분환경에서 핵종의 지화학적 거동을 예측하여 차분장의 장기 안전성에 대한 과학적 기술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출처 : 서지정보양식 203p)
    • 연구책임자 : 이재광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연구원
    • 발행년도 : 20210200
    • Keyword : 1. 근계영역;방사성핵종;지화학 거동;용기부식생성물;벤토나이트;수착;산화환원;이동;지연;진화;처분환경;사용후핵연료;지화학거동; 2. Near-field;Radionuclide;Geochemical behavior;Canister corrosion product;bentonite;Sorption;Redox;Evolution;Migration;Retardation;Spent nuclear fuel;Disposal environment;
  • 11607

    2021.10.31

    비공개항목입니다.
    • 연구책임자 : 조승찬
    • 주관연구기관 : 한국재료연구원
    • 발행년도 : 20211100
    • Keyword : 1. 중성자 흡수;사용후핵연료;알루미늄;보론 카바이드;금속복합재료; 2. Neutron absorbing;Spent nuclear fuel;Aluminum;Boron carbide;Metal matrix composite;
  • 11606

    2021.02.28

    □ 연구개요 본 연구는 고온의 QCD 매질에서 입자들의 생성, 상호작용 및 수송 과정을 연구하여 상대론적 중이온충돌에서 일어나는 물리적 현상을 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RHIC과 LHC 등에서 측정되는 입자들의 생성량은, 초기 생성 뿐 아니라 쿼크-글루온플라즈마 내에서의 상호작용 및 상전이(phase transition) 후 강입자화 되는 과정에서의 메커니즘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기 때문에, 중이온 충돌계의 진화를 이해하는 것은 실험 결과를 이해하고 분석하는데 있어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특이 강입자(exotic hadron) 생성과 쿼코니움(quarkonium)의 해체(dissociation) 및 재조합(regeneration)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가 진행되었다. □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상대론적 중이온 충돌에서 특이 강입자의 하나인 네 개의 쿼크로 구성된 Tcc의 생성을 연구하였다. Tcc는 크기가 상대적으로 큰 분자(molecular) 상태이거나 치밀한 쿼크(compact multiquark) 상태일 가능성이 있다. 유체역학(hydrodynamics)을 이용하여 강입자 상태 물질의 진화를 모델화하고, 구조에 따른 Tcc의 초기 생성 및 파이 중간자와의 반응을 계산함으로써 RHIC과 LHC에서 그 특이입자의 생성량을 예측하였다. 무거운 쿼크와 그 반쿼크의 색 전하(color charge)에 의한 쌍극자(dipole) 상호작용을 이용하여, 글루온 흡수와 비탄성 충돌에 의한 쿼코니움의 해체를 계산하였고 그 결과가 pNRQCD(potential nonrelativistic QCD)에 수렴함을 보였다. 이를 바탕으로 쿼크-글루온 플라즈마 내에서 쿼코니움의 해체와 재조합, 에너지 손실(energy loss)등에 대한 현상론적 모델을 만들었고 이 모델을 bottomonium의 바닥 상태(ground state)에 적용하였다. central rapidity 영역에서 RAA(nuclear modification factor)와 v2(elliptic flow)를 계산하였고 이를 CMS 실험 데이터와 비교하였다. □ 연구발성과의 활용 계획 및 기대효과(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1) 본 과제에서 연구된 강입자 상태 물질의 유체역학적 모델과 반응 속도식(rate equation)을 이용한 입자들의 생성량 계산은 다른 특이 입자들의 생성량 예측에 활용될 수 있다. 2) 쿼코니움의 해체, 재조합, 에너지 손실을 이용한 현상론적 모델은 bottomonium의 바닥 상태 외에도 들뜬 상태(excited states) 및 charmonium 등에 적용하여, 이들의 RAA및 그 비율 등 다른 실험 데이터 분석에 활용될 수 있다. 3) 본 과제에서 개발된 쿼코니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국내에서 무거운 쿼크 및 쿼코니움에 대한 시뮬레이션 코드 개발이 진행 중이다.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홍주희
    • 주관연구기관 : 연세대학교
    • 발행년도 : 20210300
    • Keyword : 1. 상대론적 중이온 충돌;쿼크-글루온 플라즈마;강입자 상태;쿼코니움; 2. relativistic heavy ion collisions;quark-gluon plasma;hadronic gas;quarkonium;
  • 11605

    2021.06.30

    □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 최종 목표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a new mechanism with a directly retrograde factor for the DNA damage response under genotoxic environment by mitochondrial fission. ○ 전체 내용 ☞ Mitochondria fragmentation significantly decreased γ-H2AX accumulation under genotoxic environments ☞ The uncompleted γ-H2AX accumulation results from the response to defect in ATM signal in mitochondrial fission cells. ☞ Together, diabetes mimic-condition induced-mitochondrial fission destroyed DNA damage whereas releasing from high glucose restored the amount of γ-H2AX. □ 연구개발성과 Here, we report that the ablation of mitochondrial fusion causes a defect of ATM phosphorylation-dependent signaling in response to DNA damage. Mechanistically, we found that the interaction between mitochondrial fusion machinery (MFN1 and MFN2), Sab (or SH3 binding protein 5-SH3BP5), and JNK are required for JNK activity and nucleus translocation and the subsequent engagement of JNK activation-tethered ATM phosphorylation-dependent DNA damage response. □ 연구개발성과 활용계획 및 기대 효과 - 1st Year: Regulation of DDR by mitochondria dynamics under genotoxic environments - 2nd Year: Molecular mechanisms on the cross-talk between mitochondria dynamics and DDR - 3rd Year: Its physiological role in high glucose-induced mitochondria fragmentation model Evaluate the physiological relevance in the DDR. (source :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NGUYEN THI KIM OANH
    • 주관연구기관 : 아주대학교
    • 발행년도 : 20210700
    • Keyword :
  • 11604

    2020.12.31

    제조 부품과 고반응성 희토류 성분의 반응에 의한 핵물질 손실은 핵물질 회수율을 감소시키고, 주조잔탕과 불합격 스크랩 등의 미활용 손실연료는 제조수율 감소의 가장 큰 이유로 작용하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반응저감 소재개발을 통한 주조부품 반응손실을 제어하고, 미활용 핵물질의 재사용을 통한 제조수율 향상시킬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였다. 도가니 용탕 반응방지 기술개발로 반응저감 성능을 비교평가하여 LaYO3, 8-YSZ 반응저감물질을 선정하고 유도용해 적용을 위한 세라믹 라이너 도가니를 개발하였다. LaYO3, 8-YSZ 반응저감 도가니 시제품을 각각 제작하고, 핵물질 반응저감 성능을 80% 이상 향상시켰다. 반응방지 주형 제조기술 개발로 석영관 주형의 표면조도개선을 통하여 코팅액 도포법을 변경하여 주형반응손실율을 약 78%저감하고 석영관 주형의 3회 재활용에 성공하였다. 또한, 대체주형을 재활용하기 위한 연료심 인출기를 개발하고 대체주형을 이용한 연료심 제조에 성공하였다. 핵연료 제조수율 향상기술 개발로 최적의 연료심 건전성 유지를 위한 공정조건을 도출하고 잔탕의 재활용 요건을 도출하였으며, 표면오염 처리기술을 개발하였다. 잔탕 재활용 기술을 활용하여 품질기준을 만족하는 건전한 재활용 연료심 주조에 성공하였고 핵물질 미활용 손실율을 0.1%이하 제어에 성공하였다. 개발된 기술을 활용하여 사용후 핵연료 제조기술의 타당성 및 제조기술성, 그리고 경제성 확보에 활용할 예정이다. 또한, 다양한 원자로에 확대적용이 가능한 핵연료 제조공정의 손실제어 핵심기술로 확대 적용할 예정이다. 그리고, 반응방지 기술의 확장을 통한 비원자력분야(내열, 내화학 소재개발 등)에 활용이 가능하다. (출처 : 서지정보양식 320p)
    • 연구책임자 : 국승우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연구원
    • 발행년도 : 20210100
    • Keyword : 1. 금속연료;제조기술;손실제어;반응방지;수율향상; 2. Metallic Fuel;Fabrication Technology;Loss Control;Reaction Prevention;Yield Improvement;
  • 11603

    2021.01.31

    □ 국제적 수준의 방사선비상진료시스템 구축 및 비상진료 기술 선진화 ㅇ 방사선비상진료 관련 국내·외 학술발표(1회) 및 학술지 게재(국외 2건) ㅇ 방사선비상진료 고유업무(진료, 비상발령 접수, 교육훈련) 수행 ㅇ 직종별 방사선비상진료 특성화교육 기본·심화과정 운영(7회) ㅇ 방사선비상의료지원본부 가동훈련(4회) 및 현장의료정보 앱(K-REM) 운영(5건) ㅇ 방사선비상진료 유관기관 교육·훈련 지원, 재난 및 응급의료체계의 외부 교육과정 실시·지원 (61건) 및 비상진료 자문위원회 개최(2회)를 통한 분산수용 네트워크 강화 ㅇ 한국방사선비상의료지원단(K-REMAT) 역량개발 교육․훈련 운영(4건) 등 현장 대응능력 및 전문성·실효성 강화 ㅇ 방사선비상진료 매뉴얼․지침서 개정 및 비상진료 실무 연구 및 교육·훈련센터 건립 준비 수행(6건) □ 선량평가 기술 국제인정 유지 및 연구개발 역량강화 ㅇ 방사선비상진료기술 및 피폭선량평가 관련 국내·외 학술발표(1회) 및 학술지 게재(국외 5건) ㅇ 방사선영향클리닉 내원객 대상 내·외부오염검사 및 생물학적 선량평가 수행으로 방사선비상진료 검사 서비스 제공 * 연구과제 수행 실적 포함 ㅇ 국내·외 교차분석프로그램 참가로 피폭선량평가에 대한 측정 소급성 유지 및 숙련도 향상 - 내·외부 오염검사(2건) - 생물학적선량평가(3건) ㅇ ISO 17025에 대한 공인시험기관(1건) 국제공인인정 유지 및 ISO 15189에 따른 공인메디컬시험기관(1건) 국제인정 유지로 피폭선량평가 기술에 대한 표준화 및 선량평가 결과에 대한 신뢰성 향상 - 방사능분석장비, 자동 염색체 분석 시스템 현미경 자체교정 및 정기성능평가로 선량평가 서비스의 품질관리시스템 향상 - 외부 전문가 초청세미나 개최로 최신 기술에 대한 정보 공유 및 피폭선량평가에 대한 기술 역량 강화 - 내부피폭세미나 개최로 국내 유관기관 전문가와의 기술협력 강화 및 내부피폭선량평가와 관련된 국내 현안 공유 ㅇ 방사능분석장비, 자동 염색체 분석 시스템 현미경 자체교정 및 정기성능평가 - 알파/베타, 감마 핵종 방사능 분석 장비 내부점검(3건) - 자동 염색체 분석 시스템 현미경 점검(3건) ㅇ 피폭선량평가 분야 기술교류세미나 개최 - 아시아 선량평가 네트워크 활성화 및 관련 기술 교류(3건) * Asian Radiation Dosimetry Group; ARADOS, Preliminary online meeting 참석을 통한 워크그룹 간 기술교류 및 제 6차 ARADOS annual meeting 계획 논의 (2010.27, QST-NIRS, Japan 주관) / ARADOS-Working Group3(Biological Dosimetry) Inter-comparison Exercise 주관 및 교차분석 참가(2020.10.05.~2020.10.23.) * 동남권원자력의학원 방비센터 보건물리 및 생물학적 선량평가 기술 교류; 양 기관 협력체계의 중기 계획 협의 및 기술체계를 위한 연구파트별 세부 일정 논의 * KREDOS EPR 화상 회의 / 국내 생물학적 선량평가분야 교차분석 결과 토의 및 기술검토; Hydroxyapatite 관련 결과정리 및 논문 작성, 상호교차분석 결과 및 재실험 논의, 시료 기관별 재고조사 등 / 이동원-전좌염색체 이미지 교차분석 결과 토의 및 선량평가 기관 간 판독기준 검토 ㅇ 방사선비상의료대응 연구 역량 강화(4건) - 딥러닝 기법을 활용한 염색체 이상 판독 자동화 연구개발 수행 - 몬테카를로 전산모사기반 전신계수기 측정방법 검증 - 방사선 피폭에 대한 사후선량평가 최적화 기술 개발 - 방사선 노출 백혈병 위험성 평가를 위한 독성발현경로(AOP) 응용 기반 연구 □ 방사선비상진료 분야 국제협력 전략적 강화 ㅇ 방사선비상진료 관련 해외 현안 조사 및 해외 유관기관과 화상회의 개최 - 의학원-일본 히로사키대학교 방사선비상진료 화상회의 개최(2020.11.17.) (출처 : 요약서 5p)
    • 연구책임자 : 조민수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의학원
    • 발행년도 : 20210200
    • Keyword : 1. 방사선비상진료;방사선비상대응;방사선비상의료지원본부;한국방사선비상의료지원단;방사선영향클리닉;직종별 특성화 교육;방사선비상진료 국제공조;생물학적선량평가;내부/외부 선량평가; 2. Radiation Emergency Medicine;Radiation Emergency Medical Response;Korean Radiation Emergency Medical Assistance Team;Radiation Effect Clinics;Radiation Emergency Medical Education;International Cooperation;Biological Dosimetry;Inter・External Physical Dosimetry;
  • 11602

    2021.02.28

    □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 최종 목표 - 원자력시설 해체 안전성 확보를 위한 안전규제제도 체계화 및 규제검증 방법론 개발 ○ 전체 내용 1단계(단위과제) • 원자력시설 예비해체계획서 심사를 위한 지침 고도화 • 원자력시설 설계·건설 및 운영시 해체 용이성 관련 규제요건 이행지침(안) 개발 • 원자력시설 해체과도기(영구정지 후 해체 전 단계) 안전규제를 위한 이행지침(안) 개발 • 원자력시설 해체 선원항 평가 및 검증기술 개발 2단계(총괄과제) • 원자력시설 해체승인 심사를 위한 최종해체계획서 심사지침(안) 개발 • 해체후 시설과 부지내 잔류방사능조사 검증 방법론 개발 • 원자력시설 해체 안전성평가 및 환경영향평가 기술 검증 • 해체폐기물 안전성평가 기술 검증 ○ 1단계 (단위) 목표 ▪ 원자력시설 예비해체계획서 심사를 위한 지침 고도화 ▪ 원자력시설 설계·건설 및 운영시 해체 용이성 관련 규제요건 이행지침(안) 개발 ▪ 원자력시설 해체과도기(영구정지 후 해체 전 단계) 안전규제를 위한 이행지침(안) 개발 ▪ 원자력시설 해체 선원항 평가 및 검증기술 개발 내용 ▪ 원자력시설 예비해체계획서 심사를 위한 지침 고도화 - 건설/운영 허가신청시 예비해체계획서 심사를 위한 안전 고려사항 분석 - 운영중 예비해체계획서 갱신 단계에서의 심사를 위한 안전 고려사항 분석 - 건설/운영 허가신청시 예비해체계획서 심사를 위한 지침 개발 - 운영 중 예비해체계획서 갱신 단계에서의 심사를 위한 지침 개발 ▪ 원자력시설 설계·건설 및 운영시 해체용이성 관련 규제요건 이행지침(안) 개발 - 국외 원자력시설 설계·건설 및 운영시 해체 용이성 관련 규제요건 조사 및 ․분석 - 국제기구 기준 등의 평가를 통해 해체용이성을 위한 설계·건설 및 운영시 고려사항 분석 - 원자력시설 설계·건설 및 운영시 용이한 해체를 위한 규제요건 이행지침안 마련 ▪ 원자력시설 해체과도기(영구정지 후 해체 전 단계) 안전규제를 위한 이행지침(안) 개발 - 해체과도기 시설 변경항목들에 대한 안전성 검증방안 조사 및 분석 - 해체과도기 안전규제를 위한 고려사항 조사 및 분석 - 원자력시설 영구정지 및 해체과도기 관련 규제지침, 규제기준 및 안전심사 이행지침(안) 개발 - 원자력시설 해체과도기 안전검사를 위한 이행지침(안) 마련 ▪ 원자력시설 해체 선원항 평가 및 검증기술 개발 - 해체 선원항 평가 관련 선도국의 규제요건 조사 및 분석 - 국제기준 등의 검토를 통한 해체 선원항 평가대상별 핵심 고려사항 조사 및 분석 - 해체 선원항 평가를 위한 모델링 기법 분석 및 검증 지침안 마련 ○ 2단계 (총괄) 목표 ▪ 원자력시설 해체승인 심사를 위한 최종해체계획서 심사지침(안) 개발 ▪ 해체후 시설과 부지내 잔류방사능 조사 검증 방법론 개발 ▪ 원자력시설 해체 안전성평가 및 환경영향평가 기술 검증 ▪ 해체폐기물 안전성평가 기술 검증 내용 ▪ 원자력시설 해체승인 심사를 위한 최종해체계획서 심사지침(안) 개발 - 최종해체계획서 및 품질보증계획서 심사ㆍ평가관련 선도국의 규제요건조사 및 분석 - 국제기준 등의 평가를 통해 해체승인 대비 안전 고려사항 분석 - 해체시 주요 분야(방사선방호, 폐기물관리, 품질보증, 화재방호, 주요 구조물·계통·기기의 유지 및 신규위험요소 감지 등) 안전성 검증을 위한 핵심인자 도출 - 해체전략 정당화 평가를 위한 규제입장 수립 관련 고려사항 분석 - 해체승인을 위한 최종해체계획서 심사지침(안) 개발 - 해체 관련 품질보증계획서 심사지침(안) 개발 ▪ 해체후 시설과 부지내 잔류방사능 조사 검증 방법론 개발 - 부지 잔류방사능 조사를 위한 측정/분석방법 선행연구 규제 적용성 평가 - 해체후 시설과 부지내 잔류방사능 검증을 위한 핵심 안전인자 도출 - 해체후 최종부지상태 및 시설과 부지내 잔류방사능 검증을 위한 평가지침(안) 마련 ▪ 원자력시설 해체 안전성평가 및 환경영향평가 기술 검증 - 해체 안전성평가 관련 선도국의 규제요건 조사 및 분석 - 방사선위험도 기반의 차등접근법을 고려한 해체 안전성평가 방법론 검증 - 해체 공정별 리스크 및 심층토양/지하수 잔류방사능 평가모델 검증 - 해체 전/중 환경감시와 방사선환경영향 평가 검증을 위한 평가지침(안) 마련 ▪ 해체폐기물 안전성평가 기술 검증 - 원전해체 폐기물 최소화 대비 규제분석 선행연구 규제 적용성 평가 - 해체 시나리오에 따른 방사선방호 및 방사성폐기물관리 규제 고려사항 도출 - 해체폐기물 처분 적합성 확보를 위한 특성별 분류, 감용 및 처리 전략의 안전성평가 기술 검증 - 대형 해체폐기물 운반 안전성 평가기술 검증 - 해체폐기물 잔류방사능 분석 및 평가기술 검증 - 해체폐기물 재활용 위험도 평가 기술 검증 - 해체폐기물 자체처분 기준 및 검증지침 개발 ○ 해당 연도 목표/내용 - ※ 상기 단계별 연구목표 및 내용에 포함하여 기술 □ 연구개발성과 ○ 1단계 (단위) ▪ 예비해체계획서 심사를 위한 지침 고도화 ✔ 건설/운영 허가신청시 예비해체계획서 심사를 위한 지침서 초안 ✔ 운영중 예비해체계획서 갱신 단계에서의 심사를 위한 지침서 초안 ▪ 원자력시설 건설/운영 시 해체 용이성 관련 규제요건 이행지침(안) 개발 ✔ 국외 원자력시설 설계·건설 및 운영시 해체 용이성 관련 규제요건 분석 ✔ 국제기구 기준 등의 평가를 통해 해체용이성을 위한 설계·건설/운영시 고려사항 분석 ✔ 설계·건설 및 운영시 용이한 해체를 위한 규제요건 이행지침 초안 ▪ 해체과도기(영구정지 후 해체 전 단계) 안전규제를 위한 이행지침(안) 개발 ✔ 해체과도기 시설 변경 항목들에 대한 안전성 검증방안 도출 ✔ 해체과도기 안전규제를 위한 고려사항 도출 ✔ 원전 영구정지 후 해체과도기에 대한 안전 심사 및 검사 지침 초안 ▪ 원자력시설 해체 선원항 평가 및 검증기술 개발 ✔ 해체 선원항 평가 관련 선도국의 규제요건 조사 및 분석 ✔ 국제기준 등의 검토를 통한 해체 선원항 평가대상별 핵심 고려사항 도출 ✔ 해체 선원항 평가를 위한 모델링 기법 분석 및 검증 지침안 마련 ○ 2단계 (총괄) ▪ 원자력시설 해체승인 심사를 위한 최종해체계획서 심사지침(안) 개발 ✔ 해체 관련 국외 선도국의 최종해체계획서 심사 규제요건 분석 ✔ 최종해체계획서 심사 평가 항목별 안전 고려사항 도출 ✔ 최종해체계획서 및 해체 관련 품질보증계획서 심사지침 초안 ▪ 해체후 시설과 부지내 잔류방사능 조사 검증 방법론 개발 ✔ 해체 후 시설 및 부지 잔류방사능 조사방법 비교평가 ✔ 해체 후 시설 및 부지 잔류방사능 조사 방법의 국내 적용성 분석 ✔ 해체 후 시설 및 부지 잔류방사능 조사방법의 검증 지침(안) ▪ 원자력시설 해체 안전성평가 및 환경영향평가 기술 검증 ✔ 해체 단계별 해체 공정별 위험도 평가모델 검증 : 고리 1호기 해체단계 및 공정별 리스크 검증을 위한 리스크 평가 항목 및 절차 가이드라인 제시 ✔ 심층토양/지하수 잔류방사능 평가 규제요건 적용을 위한 핵심 안전고려사항 도출 및 잔류방사능검증 평가 방법론 제시 ✔ 해체에 특성화된 방사선환경영향평가 검증 기술 : 규제검증모델 및 적용결과 ▪ 해체폐기물 안전성평가 기술 검증 ✔ 해체폐기물 최적 규제관리 및 방사선 특성평가 선행연구 조사·분석 및 평가 ✔ 해체 중 방사성폐기물 발생특성 및 규제요소 조사·분석 ✔ 해체 중 방사성유출물 규제관리 개선방안 도출 ✔ 표면오염 및 체적오염 해체폐기물 특성평가 검증방법론 개발 ✔ 대형 해체폐기물 운반 안전성평가 검증 방법론 개발 ✔ 해체폐기물 처분전 관리 단계별 안전성평가 검증방법론 개발 ✔ 해체폐기물 재활용 위험도 평가기술 검증 ✔ 해체폐기물 자체처분 기준 및 검증지침 개발 ✔ 해체 시 방사성폐기물 종합관리계획 검증지침(안) 개발 □ 연구개발성과 활용계획 및 기대 효과 ▪ 원자력시설 예비해체계획서에 대한 최초심사 및 운영중 주기적 갱신 심사지침 제정에 활용 ▪ 원자력시설 설계·건설 및 운영시 해체 용이성 관련 규제요건 이행지침안 개발을 통해 해당 사업자에 관련 지침 제공 및 해체계획서 심사업무에 활용 ▪ 원자력시설 해체과도기 안전규제를 위한 이행지침안 개발을 통해 고리1호기 영구정지를 위한 변경허가 신청서에 대한 심사지침 제정에 활용 ▪ 원자력시설 해체 선원항평가 검증기술 개발 연구결과는 해체 선원항평가에 대한 규제검토 ㆍ지침 제정에 활용 가능하며, 또한 사업자에게 활용 가능한 평가지침 제공 ▪ 국내 최초 원전인 고리1호기 영구정지 후 5년 이내 제출하는 해체승인용 최종해체계획서의 심사지침 및 안전성평가 검증에 활용 ▪ 해체후 시설/부지내 잔류방사능 조사 검증방법론 개발을 통해, 고리1호기 최종해체계획서 심사, 해체완료보고서(최종부지상태보고서 포함) 검토, 해체완료 검사 등에 대한 심사 및 검사지침 개발에 활용될 것으로 예상됨. ▪ 해체 안전성평가 및 환경영향평가 검증기술 개발을 통해, 원자력이용시설 해체 과정에서 차등접근법을 적용한 안전성평가 방법론을 수립하고 해체 단계별 종합 안전성 평가 및 검증체계 구축 ▪ 해체폐기물 안전성평가 기술 검증 및 지침 개발을 통해, 원자력이용시설 해체에 따른 안전성 심사 및 검사 과정에서 해체폐기물 관리의 종합안전성을 확인·검증하는데 활용할 예정으로, 해체 중에 발생되는 다양한 방사능준위를 가진 대량의 해체폐기물 관리 안전성을 보다 체계적으로 검증할 수 있고, 또한 해체폐기물에 대한 국민 안심과 신뢰 확보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 ▪ 해체에 대한 미래 규제수요에 대비하며, 우리나라 실정에 적합한 해체 규제기준 확립에 기여 (출처 : 요약문 3p)
    • 연구책임자 : 최경우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
    • 발행년도 : 20210300
    • Keyword : 1. 해체;해체계획서;심사지침;규제검증;안전성평가; 2. Decommissioning;Decommissioning Plan;Review Guideline;Regulatory Verification;Safety Assess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