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Report

All 12,381 Page 74/1,239

검색
  • 11651

    2021.01.31

    □ 연구의 목적 및 내용 ○ 해충저항성과 연관이 있는 모상체 발달 관련 토마토 돌연변이 선발 및 해충저항성 유전자원 확보 ○ 토마토 모상체 발달 관련 유전자 동정 및 육종에 필요한 해충저항성 분자표지 개발 ○ 전사체 분석을 통한 새로운 모상체 관련 유전자 탐색 및 육종소재로 활용 ○ 감마 방사선을 처리한 돌연변이 집단 구축으로 다양한 농업형질을 가지는 유전자원 확보 □ 연구개발성과 ○ n7242 유전자 지도 작성 줄기에 대부분의 모상체가 없는 n7242 돌연변이 유전자가 염색체 9번에 위치함을 확인하고, 유전자가 존재하는 물리적 거리를 ~250kb 이내로 좁힘. 이 범위내에 있는 유전자의 발현량 비교 및 유전자 시퀀싱을 통해 돌연변이 후보 유전자를 선발하였음. ○ n7242 유전자 분자 마커 개발 유전자 지도 작성에 이용한 마커를 이용하여 n7242와 연관관계가 매우 높은 프라이머를 분자 마커로 개발하였음. ○ WT과 모상체 돌연변이 전사체 분석 KEGG와 MapMan분석을 통해 terpenoid와 지질대사에 관여하는 유전자들의 발현이 n7242 돌연변이에서 감소한 것을 확인함. ○ 돌연변이 집단 구축 및 새로운 돌연변이 선발 다양한 감마선을 조사한 Micro-Tom 종자를 이용하여 돌연변이 집단구축을 위한 감마선의 적정선량을 검정하였음. 방사선 처리된 M2 식물체를 스크리닝하여, 다양한 표현형을 보이는 5개의 돌연변이를 선발하였음. □ 연구개발성과의 활용계획 (기대효과) ○ 우수 연구결과의 선점으로 해충저항성 관련 연구를 선도하고 다양한 관련 유전자원의 확보가 가능함. ○ 모상체 발달에 관련된 유전자의 발현 및 이차대사물질 분석 기술 확립으로 해충저항성 작물 육종에 활용 가능함. ○ 분자표지 개발로 타 작물의 해충저항성 유전자 탐색에 활용. ○ 해충 방제를 위해 사용되는 농약 사용을 줄여 생태교란 및 환경오염을 감소시키고, 작물의 생산 단가를 절감시킬 수 있음. (출처 : 국문 요약문 4p)
    • 연구책임자 : 강진호
    • 주관연구기관 : 서울대학교
    • 발행년도 : 20210200
    • Keyword : 1. 모상체;분자표지;유전자원;토마토;해충저항성; 2. Trichome;Molecular marker;Genetic resource;Tomato;Insect resistance;
  • 11650

    2021.02.28

    □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 최종 목표 방사선작업종사자 건강관리 및 안전규제 시스템 확립을 위한 사후선량평가 기술개발 및 현장적용 방안 제시 ○ 전체 내용 ▪ 안전규제 적용을 위한 사후선량평가 기술 개발 - Cytogenetic dosimetry 판독 자동화를 포함한 신속/정확도 향상 기술 개발 - EPR dosimetry를 이용한 사후선량평가 적용가능 대체시료 물질 발굴 - 열발광/광자극발광을 이용한 판독특이자에 대한 사후선량평가 최적화 기술 개발 - 개인맞춤형 몬테칼로 전산모사 평가를 위한 사고 시나리오 및 피폭선량환산인자 검토/개발 ▪ 방사선안전규제 분야 적용 가능성 검토 - 교차분석을 통한 신뢰도 검증 - 사후선량평가 기술의 현장 활용성 검증 및 프로토콜 최적화 - 사후선량평가 기술의 품질관리체계 개발 - 방사선투과검사 사업장 작업실태 조사 및 종사자 대상 pilot 계획 수립 ○ 1단계 (해당시 기재) 목표 ▪ 방사선작업종사자 건강관리 및 안전규제 시스템 확립을 위한 사후선량평가 기술개발 및 현장적용 방안 제시 - Cytogenetic dosimetry 판독 자동화를 포함한 신속/정확도 향상 기술 개발 - EPR dosimetry를 이용한 사후선량평가 적용가능 대체시료 물질 발굴 - 개인맞춤형 몬테칼로 전산모사 평가를 위한 사고 시나리오 및 피폭선량환산인자 검토/개발 - 열발광/광자극발광을 이용한 방사선작업종사자 사후선량평 가 최적화 기술 개발 내용 ▪ 안전규제 적용을 위한 사후선량평가 기술 개발 - Cytogenetic dosimetry 판독 자동화를 포함한 신속/정확도 향상 기술 개발 - EPR dosimetry를 이용한 사후선량평가 적용가능 대체시료 물질 발굴 - 열발광/광자극발광을 이용한 판독특이자에 대한 사후선량 평가 최적화 기술 개발 - 개인맞춤형 몬테칼로 전산모사 평가를 위한 사고 시나리오 및 피폭선량환산인자 검토/개발 ▪ 방사선안전규제 분야 적용 가능성 검토 - 교차분석을 통한 신뢰도 검증 - 사후선량평가 기술의 현장 활용성 검증 및 프로토콜 최적화 - 사후선량평가 기술의 품질관리체계 개발 - 방사선투과검사 사업장 작업실태 조사 및 종사자 대상 pilot 계획 수립 ○ 해당연도 목표 ▪ 사후선량평가 기술 2종 이상 선택 ▪ 작업환경 기반의 사후선량평가 교차분석 프로그램 실시 ▪ 사후선량평가 기술의 품질관리체계 개발 ▪ 사후선량평가 기술의 안전규제 적용을 위한 규제정책 제안 내용 - 세포유전학적 선량평가 자동화 기술 구축 - EPR 선량평가 대체시료 확정 - TL/OSL 단일조사 및 누적 조사에 따른 선량복원 알고리즘 개발 - 사후선량평가 기법별 관리체계 개발 - 종사자 작업환경에서 사후선량평가 교차분석 실험 진행 - TL/OSL(열발광/광지극발광), EPR(전자상자성공명), 세포유전학적 선량평가, 전산모사 기법과 비교 - 판독특이자 또는 사고시 사후선량평가 기술 적용을 위한 규제정책 제안 □ 연구개발성과 ▪ 사후선량평가에 적용 가능한 작업종사자 소지 물품 목록 및 선량계적 특성자료 ▪ 작업종사자 개인 휴대품을 이용한 사후선량평가 기술의 현장 활용성 검증 ▪ 판독특이자 사후선량평가 네트워크 구축 (분석 효율화 및 교차분석을 통한 신뢰도 향상) ▪ 열발광/광자극발광을 이용한 사후선량평가 기술의 품질관리체계 ▪ 열발광/광자극발광 이용 판독특이자 피폭선량 사후평가 최적화 논문 게재(SCI) □ 연구개발성과 활용계획 및 기대 효과 ▪ 판독특이자 발생 시 신속/정확한 피폭선량복원 가능 ▪ 사후선량복원 교차분석을 통한 결과의 신뢰도 제고 ▪ 방사선 투과검사 종사자의 직업성 방사선 피폭 평가결과의 불확실성 개선에 활용 ▪ 사후선량평가 기술 간의 융합을 통한 종합적 사후선량평가 기술의 선도 국가로 도약 ▪ 사후선량평가 기술을 종사자 피폭 관리의 마지노선으로 활용하여 종사자의 건강을 보전하고 방사선 산업계의 작업 건전성 확보 (출처 : 요약문 3p)
    • 연구책임자 : 장성재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의학원
    • 발행년도 : 20210300
    • Keyword : 1. 방사선작업종사자;판독특이자;사후선량평가;교차분석;불확도 개선; 2. radiation worker;person with abnormal dosimeter reading;retrospective dosimetry;intercomparison;improvement of uncertainty;
  • 11649

    2021.05.31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최종 목표 방사선 치료계획에 필요한 인체조직특성 추정을 위한 고정밀 이중에너지 CT 재건방법 개발 전체 내용 1. 불연속 스펙트럼 모델을 이용한 다색 이중에너지 CT 재건 모델 개발 - 불연속 스펙트럼 기반 이중에너지 CT 재건 모델 개발 - 스펙트럼 정보 및 물질정보 학습에 필요한 팬텀 제작 - 개발된 재건 알고리즘의 빠른 최적화를 위한 병렬 알고리즘 개발 2. 유효원자번호 및 유효전자밀도 영상 분별 알고리즘 개발 - 이중에너지 CT 영상을 이용한 기저 분별 알고리즘 개발 - 정확도 향상을 위한 경쟁기반의 군집 알고리즘 개발 - 이중에너지 CT 영상 기반 분별 알고리즘 고도화 3. 시뮬레이션을 통한 알고리즘 수렴성 검증과 조직 유사 물질을 통한 실험 및 평가 - 수치적 시뮬레이션 영상을 이용한 알고리즘 수렴성 검증 - 다양한 모양 및 물질에 대한 팬텀 실험 및 평가 - 조직 유사 물질에 대한 실험 및 평가 연구개발성과 - 동시 업데이트 기법을 통해서 스펙트럼의 정확도에 대한 알고리즘 민감도를 저하하여 실사용에 용이하게 함 - 기존의 재건 알고리즘에서 나타난 인공물을 크게 저하함으로써 인체 대체물질의 정량평가의 정확도를 향상함 연구개발성과 활용계획 및 기대 효과 - 스펙트럼 이용한 재건방법을 딥러닝 기술과 접목하여 물질분별 정확도 향상 연구 계획 - 단일 광자 검출기 시스템에 개발된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물질분별 개수 및 정확도 향상 연구 계획 - 치과용 CT 장비에 해당 재건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안면 신경과 같이 진단이 어려운 부위의 진단 정확도 향상에 기여 (출처 :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이동현
    • 주관연구기관 : 한국과학기술원
    • 발행년도 : 20210600
    • Keyword : 1. 이중에너지 X선;물질분별;재건;영문핵심어; 2. Dual-energy X-ray;Material decomposition;Reconstruction;
  • 11648

    2020.12.31

    ■ 2010년 후쿠시마 원자력발전소 사고를 계기로, 환경에 누출된 방사성물질의 제염을 위한 기술개발이 전세계적으로 진행되고 있음 ■ 기존의 물리화학적제염 기술은, 제염된 토양이 환경으로 복귀되기 어렵다는 문제점과 함께 광범위한 지역에 적용이 어렵다고 알려져 있어서, 보다 친환경적이고 광역오염을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재안 기술 개발이 요구됨 ■ 이러한 대안 기술로 제시되고 있는 것이 생물학적제염 기술인데, 현제 제시된 생물학적제염기술은 제염효율이 매우 낮아 실제 오염지역 현장에 적용하는데에는 커다란 문제점이 존재하고 있음 ■ 본 연구에서는, 국내 자생식물인 색동호박을 이용하여 방사성물질 중 인체에 치명적인 위협을 초래하는 세슘의 제염효율을 평가하였음 ■ 그 결과, 1 개체 식물당 4,000억 Bq 이상(최대 55조 Bq/kg plant)의 고효율로 세슘 제거가 가능함을 밝혔음 ■ 이러한 색동호박을 이용하여 다양한 조건에서 세슘 제염에 대한 실험을 토대로, 실제 현장에서 생물학적 제염기술을 적용하기 위한 시뮬레이션을 완성하였음 ■ 이상의 결과는 기존의 한계로 여겨져 왔던 생물학적제염기술을 실제 오염현장에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해주고 있음 (출처 : 보고서 요약서 3p)
    • 연구책임자 : 정일래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연구원
    • 발행년도 : 20210100
    • Keyword : 1. 제염;식물제염;방사성핵종;세슘;색동호박; 2. remediation;phytoremediation;radionulcides;cesium;Cucurbita pepo;
  • 11647

    2021.01.31

    앞으로 최대 10년 동안 가동할 예정인 총 3기의 중수로와 그 이후에도 안전한 관리가 필요한 소내 사용후핵연료 조장조를 대상으로 (1) 연료채널 노후화에 따른 안전이슈 대비, (2) 종합적인 사고평가기술 확보, (3) 중수로 사용후연료 안전저장관리 기술이라는 3가지 중점추진 분야를 도출하고 국내외 연구현황을 분석하여 구체적인 연구방향과 추진계획을 도출하였다. (출처 : 보고서 요약서 3p)
    • 연구책임자 : 최성열
    • 주관연구기관 : 한국과학기술원
    • 발행년도 : 20210200
    • Keyword : 1. 중수로;안전;연료채널;사고평가;사용후핵연료; 2. CANDU;Safety;Fuel Channel;Safety Assessments;Used Nuclear Fuel;
  • 11646

    2021.02.28

    국내 금속연료 기술 검증을 위해 BOR-60 연료봉 조사시험의 경우 목표 연소도 7 at.% 달성하였으며 노내 성능 검증자료를 확보함. 또한, BOR-60 피복관 조사시험을 통해서는 목표 조사량 75 dpa 달성하여 노내 크리프와 물성 자료를 확보하고 피복관의 노외 크리프 시험자료와 연계하여 노내 크리프 모델을 개발함. 국내제조 피복관 크리프 모델 구축에 필요한 참조 자료 생산을 위해 최대 20,000 시간 피복관 노외 크리프-파단 및 노외 크리프-변형시험을 수행하여 노내 크리프 모델에 필요한 응력-파단 선도 및 시간에 따른 변형률 선도를 도출함. 이와 함께 FCCI를 억제하는 기능성 물질을 결합한 금속(metal)/세라믹(ceramic) 복합층 코팅개념과 비철 내화금속 개념을 도출하고 그 타당성을 예비 평가하였으며 온도구배 약 50 °C/mm를 구현할 수 있는 온도구배 상호반응 시험 장치를 제작하였음. 또한 건전한 U-(15, 20, 25)wt.%Zr 연료심(∅5×L300 mm) 제조를 통하여 전자기 유도가열 성능 및 안전성 검증과 함께 주조법에 의한 고 Zr 함량 금속연료심 제조 타당성을 확인함. 원자로 안전성 및 핵연료 성능 측면에서 TRU 함유 핵연료의 성분 예비 설정 및 연료심 공융온도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연료봉 피복관 외경 및 플레넘 길이에 따른 피복관 최소 두께, 연료봉 플레넘 최소 길이를 예비 설정함. 또한, TRU 함유 핵연료의 열적 성능 모델 및 기체방출 모델을 비교·분석하여 최적 모델을 선정 후 LIFE-METAL 연료봉 성능분석 코드에 삽입 및 검증하였으며 노심 설계와 연계하여 TRU 함유 핵연료 성능평가를 수행하여 연료봉 건전성을 확인함. 상기 연구결과는 장수명·고독성 핵종을 효율적으로 핵변환하는 시스템의 TRU 함유 핵연료 개발 시 핵심기술로서 활용할 수 있음. (출처 : 서지정보양식 176p)
    • 연구책임자 : 김준형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연구원
    • 발행년도 : 20210300
    • Keyword : 1. 사용후핵연료;초우라늄;독성저감;BOR-60 원자로;조사시험;연료봉;피복관;크리프;노외 시험;연료심;핵연료 성능모델;핵연료 성능분석 코드;핵연료 피복관;핵연료심; 2. Spent Nuclear Fuel;Transuranic(TRU);Decreasing Radiotoxicity;BOR-60 Reactor;Irradiation Test;Fuel Rod;Cladding;Creep;Out-of-pile Test;Fuel Slug;Fuel Performance Model;Fuel Performance Analysis Code;Fuel cladding;
  • 11645

    2021.02.28

    □ 연구개요 동물의 번식생리 및 성장 그리고 인간에서 성장관련 유전자의 작용기전과 영향 등을 규명하기 위해, 개의 성장과 관련된 유전자를 탐색함과 동시에 이를 유전자 교정기술과 체세포 복제기술을 이용하여 성장유전자가 조절된 형질전환 복제견을 생산하고 이를 토대로 성장에 관한 기초연구를 수행하고자 함. 본 연구과제의 목표는 개의 품종 간 성장관련 유전자를 탐색 및 선발하고, 개 체세포 복제 기술과 유전체 교정 기술을 이용하여 성장 조절 유전인자의 특성을 확인하고자 함 □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 SNP을 비교 분석하여 대형견, 중형견, 소형견에서 IGF1, IGF1R, GHR1/2, STC2, HMGA2의 경향이 다름을 확인함 ❍ GHR-1과 HMGA2를 타겟 유전자로 선정 ❍ 새로운 유전자 편집 기술인 prime editor vector를 구축하여 형질전환 세포주 생산하는 방법을 구축함 ❍ 삽살개세포를 이용하여 FGFR3유전자가 point mutation한 세포주 구축하고, 성장관련 유전자가 형질전환된 재구성 수정란 생산 및 GFP발현을 확인함. ❍ 성장관련 유전자가 형질전환된 복제견 생산하였지만, 사산됨. 그러나 사산된 복제견에서 GFP발현과 성장관련 유전자가 교정됨을 확인함 □ 연구발성과의 활용 계획 및 기대효과 (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 연구개발 결과의 활용방안 > ❍ 유전체 교정 기술 및 개 체세포 복제 기술 등에 관련한 우수한 학술적 성과를 국내·외 학술지 게재 ❍ 형질전환 복제견 생산 효율 향상을 통한 복제견 연구분야의 세계적 우위를 지속적 유지 ❍ 도출 및 개발된 연구결과를 향후 형질전환 질환모델 생산연구의 기초 자료로 적극 활용 < 기대성과 및 파급효과 > ❍ 기존의 근친교배에 의한 품종고정을 새로운 유전체 교정기술과 복제 기술을 활용하여 단기간에 정확하고 안전하게 생산할 수 있는 기술 개발 ❍ 개의 유전체 탐색을 통한 품종 간 육종자료를 수집할 수 있으며, 계통별 형질,마커 등을 구축할 수 있는 기반 조성 ❍ 향후 유전자 교정기술을 이용한 질병 치료 및 인간의 성장과 관련된 유전자 조절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함 ❍ 가축 개량 및 품종 개발에 안전하게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이지혜
    • 주관연구기관 : 충남대학교
    • 발행년도 : 20210300
    • Keyword : 1. 성장관련 유전자;유전자 교정기술;체세포 핵이식;형질전환;유전자 가위; 2. growth related gene;gene editing;somatic cell nuclear transfer;transgenic;CRISPR/cas9;
  • 11644

    2021.02.28

    연구개요 한국에 분포하는 식물을 대상으로 공소적 종분화를 설명할 수 있는 연구 재료와 방법를 찾는 것은 그리 용이하지 않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고자 한 것은 “지리산 왕등재 습지에 자생하는 숫잔대의 2 변이형”을 대상으로 하여 3-유전체(핵, 엽록체와 미토콘드리아)의 유효변이(유전자 및 microsatellite 등)마커를 개발하여 본 군집에서 숫잔대의 공소성 종분화 여부를 판정하는데 있었음. 연구 범위로는 숫잔대/분홍숫잔대(가칭)의 혼성 군집을 대상으로 하여 3-유전체의 분석을 통해 각각의 유전자와 마이크로세틀라이트 마커를 개발하여 유전다양성을 분석하여, 종 분화 여부를 판정하고자 하였음. 본 연구는 2년 계획으로 되었으며, 1차년도에는 숫잔대와 분홍숫잔대(가칭)의 DNA와 RNA를 비교 분석하여, 3-유전체 유효변이를 확보하여, 2차년도에 개발된 마커를 이용하여 유전다양성을 분석함.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지리산 왕등재 습지에 자생하는 분홍숫잔대와 숫잔대”를 대상으로 한 핵마커 13개를 개발하여 각각 12 개체의 총 24개체에 대한 분석을 한 결과, 분홍숫잔대와 숫잔대는 대립형질(allele)에 의한 화색변이가 아닌 종 분화를 일으키고 있는 것으로 판단됨. ① NGS data 생산: HiSeq(DNA: Lobelia 12개체와 습지식물 2개체, RNA: Lobelia 5개체), Nanopore(장백도라지). ②숫잔대의 유전체 크기: Flow-Cytometry 분석을 통하여 각각 1.6 G로 추정되었고, K-mer 분석을 통하여 각각 2.01Gb와 2.15Gb로 나타남. ③ 유전다양성 마커 개발: 핵 SSR 마커(740개의 SSR site 발견하여, 33개의 마커 세트를 만들어서, 유용한 13개의 머커세트를 선발하였음.), 엽록체 유전체 변이(분홍숫잔대와 숫잔대 엽록체 유전체의 염기서열이 동일하였음), 핵과 미토콘드리아 유전자(accD 유전자가 3개의 copy 연구 대상에서 제거, XDH의 exon 4s에 추가 인트론이 존재해서 대상에서 보류, 미토콘드리아 atp1, cob와 cox1 유전자는 슷잔대류에서 conserved 되어 연구대상에서 뺌), 이러한 사유에서 핵 SSR 마커를 이용한 유전다양성 분석(채집이 허가된 분홍숫잔대 12 개체와 일반 숫잔대 12 개체를 포함하는 총 24개체: 대립형질(allele)에 의한 화색변이가 아닌 왕등재 습지에서 종 분화하는 것으로 판단됨). 연구발성과의 활용 계획 및 기대효과 (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1) 학문적 의미: ① 분홍숫잔대와 숫잔대는 대립형질(allele)에 의한 화색변이가 아닌 왕등재 습지에서 종 분화를 일으키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어 한반도 신분류군으로 등록하기 위한 형태조사가 이루어져야 할 것임. ② 한국, 중국, 러시아을 포함하는 숫잔대의 종내 엽록체 유전체 다양성 연구를 위한 기반 자료가 확보되었음.③ 초롱꽃과의 3-유전체 계통 방법으로 엽록체 유전자 외의 핵 유전자인 XDH, 미토콘드리아 유전자인 atp1, cob, cox1을 추가로 사용할 수 있게 되었음 2) 응용분야 기대효과: 초롱꽃과에는 CODEX(국제식품분류기준)에 한국이 제안해서 등재 완료된 도라지, 더덕, 잔대 등이 있음. ① 3-유전체(핵, 엽록체와 미토콘드리아)의 유효변이 마커로 (원산지 추적 마커개발)에 유용정보로 핵 유전자인 XDH, 미토콘드리아 유전자인 atp1, cob와 cox1가 확보되었고, ② intra-specific 변이를 해결할 수 있는 유전자 정보로 nr-accD와 XDH의 사용 가능성이 열려 이분야의 분류마커의 발전이 이루어 질 수 있으며, ③ 더덕/도라지는 자가불화성이 강한 타식성 숙근류로서, 벼에서 사용하는 GWAS를 통한 MAS(Molecular Assisted Selection)의 적용이 용이 하지 않아, 모계유전을 하는 엽록체 유전자 정보와 더불어 양성 유전을 하는 nr-accD과 XDH 유전자 정보가 더덕/도라지 육종에 유용한 정보로서 자리를 잡을 수 있을 것임. (출처 :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이정호
    • 주관연구기관 : 녹색식물연구소
    • 발행년도 : 20210300
    • Keyword : 1. 초롱꽃과;숫잔대;종분화;마이크로세틀라이트;분홍숫잔대; 2. Campanulaceae;Lobelia sessilifolia;speciation;microsatellite;Pink Lobelia;
  • 11643

    2021.11.30

    1. Research Purpose - Importance of Research Understanding radiation-induced defects and damage accumulation mechanisms in materials and the effects of material structure, displacement dose, and damage rate on the microstructural evolution of defects in irradiated materials is essential to ensure the operational safety on nuclear power plant (NPP), development of advanced nuclear power reactor technology. Various types of defects exist in materials that directly determine mechanical properties, electrical conductivity, diffusivity, or light emission. Identifying the generation and growth of these defects is an important task in the fields of nuclear power. For example, neutron irradiation causes collision displacement, transmutation and ionization effects in the nuclear design materials and changes its microstructure and properties. Neutron induced defects and damage degrades the mechanical properties, poses a severe threat to the structural integrity of the NPP components. Advanced nuclear technologies such as fusion reactor require high performance materials with remarkable radiation tolerance and high stability and strength. Also, one of the discussed challenges in nuclear power engineering is lifetime extension of NPP. The components of NPP such as reactor pressure vessels (RPV). Many spectroscopy techniques have been employed to inspect the material defects. High-resolution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HR-TEM) has provided useful information regarding irradiation-induced voids and loops, they cannot capture defects on the atomic scale. Small-angle neutron scattering (SANS) and small-angle X-ray scattering (SAXS) disclose information about structural parameters such as porosity distribution in the range of 1–100 nm. (source : 1. Research Purpose 3p)
    • 연구책임자 : 조규성
    • 주관연구기관 : 한국과학기술원
    • 발행년도 : 20211200
    • Keyword :
  • 11642

    2020.12.31

    1. 연구개발 목표 ㅇ 레이저 제염 및 실시간 모니터링 기술 개발 - 표면 레이저 제염 기술 (제거율 > 85%) 확보 - 면적 100㎠ 당 30분 이하 레이저 제염기술 확보 - 레이저 초점 면 (focal plane) ±0.5mm 이동 기술 확보 - 원격 측정 후 검출 시간 < 30 min 오염물질 판단 기술 확보 - 임의의 순수 샘플 판단 기술 확보 - 레이저 제염 및 모니터링용 모듈 설계 ㅇ수중 레이저 절단 기술 개발 - 수중 절단 기구부 (충돌방지 대응) 개발 - 수중 (수밀, 고압 환경 대응) 레이저 절단 헤드설계 및 제작 - 레이저 절단속도 20mm/min (수심 0.3m, 소재 두께 50 mm 이상) 기술 확보 - 대기중 환경 절단 대비 수중 절단 성능 특성 비교 평가 - 수중 레이저 절단 성능 향상을 위한 전산 모사 (오차범위 20%) - Dross 생성량 저감 기술 개발 (10 mm3/mm) (출처 : 본문 1. 연구개발 목표 3p)
    • 연구책임자 : 최지연
    • 주관연구기관 : 한국기계연구원
    • 발행년도 : 20210100
    • Keyword : 1. 레이저 제염;수중 레이저 가공;레이저 유도 붕괴 분광 분석;수중 레이저 절단 헤드;레이저 광학 모듈; 2. Laser decontamination;underwater laser processing;laser induced breakdown spectroscopy;under water laser cutting head;laser optical modu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