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Report

All 12,453 Page 75/1,246

검색
  • 11713

    2021.11.30

    □ 연구개발 목표 본 연구에서는 미래전장에서의 다양한 첨단무기체계 공격에 대응할 수 있는 복합, 고성능 알루미늄기지 방호 소재를 개발하기 위하여 - 다양한 강화상 및 비금속 원자가 함유된 알루미늄기지 하이브리드 소재의 방호성능에 대한 국내외 기술조사를 실시하고, - 조합실험, 기계학습, 인공지능 설계의 방법으로 복합 방호 성능에 최적화된 강화상 및 비금속 원자가 분산된 알루미늄기지 하이브리드 소재를 설계하며, - 3D Printing 및 주조/성형 공정을 통해 복합 방호용 알루미늄기지 하이브리드 소재를 구현할 수 있는 기술을 확보하고자 한다. □ 연구개발 내용 1) EMP, 방사능, 충격파 대응 알루미늄기지 하이브리드 소재 기술조사 2) 논문, 특허 등 기존 문헌에 근거한 알루미늄 하이브리드 소재 DB 구축 3) 조합실험을 통한 다양한 알루미늄기지 하이브리드 소재 DB 확장 4) 기계학습 및 인공지능 설계를 통한 소재 조합 최적화 및 복합 방호용 하이브리드 소재 설계 5) DED (Direct Energy Deposition)기반 알루미늄기지 하이브리드 분말을 3D Printing 기술 개발 6) PIT (Powder-in-tube) 기법 및 고에너지 주조법을 활용한 알루미늄기지 하이브리드 분말의 주조/성형 기술 개발 7) FSW (Friction stir welding) 기반 이종 소재간의 접합 기술 개발 등을 통해, 다수의 방호 영역에 동시 적용될 수 있는 새로운 소재를 개발하고, 이를 부품화할 수 있는 기초 기술을 확보하고자 한다. □ 활용계획 및 기대효과(응용분야 및 활용범위 포함) - 고기능화/첨단센서화가 예상되는 미래의 전장에서 주도권을 확보할 수 있도록, EMP, 방사능, 충격파 등 미래형 첨단무기체계에 대응할 수 있는 방호소재 원천기술 확보 - 고강도, 고강성, 전자파차폐, 에너지 흡수등 다양한 기능성을 지는 경량하이브리드 소재 개발에 따른 민간분야 (미래 모빌리티, 원자력발전구조재, 전자파차폐소재 등) 응용 - 나노소재분야 인력 양성 (출처 : 요약문 3p)
    • 연구책임자 : 최현주
    • 주관연구기관 : 국민대학교
    • 발행년도 : 20211200
    • Keyword : 1. 알루미늄;복합소재;마찰교반용접;적층제조;전자기 펄스;충격파;방사능;주조; 2. Aluminum;Composites;Friction Stir Welding;Additive Manufacturing;Electromagnetic Pulse;Shock Waves;Nuclear Radiation;Casting;
  • 11712

    2021.10.31

    광귤(지각)의 분말 및 물추출물에 대한 독성시험용 지표성분으로 naringin과 neohesperidin을 선정하였다. 광귤(지각)의 분말 및 물추출물에 대한 지표성분 함량을 각각 측정하였으며, Radiation 조사 전후의 각 지표성분의 함량 변화 및 광귤(지각)의 지표성분에 대한 안전성 평가를 진행하였다. 광귤(지각)과 지실의 혼용 및 오용에 대한 사회적 문제에 입각하여, 광귤(지각)의 주요 지표성분인 naringin과 neohesperidin은 지실에서는 전혀 검출되지 않음을 확인하였으며, 이 결과로부터 광귤(지각)과 지실의 오남용에 대한 품질관리가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랫드를 이용한 단회투여독성시험 및 4주 DRF 시험을 통하여 각각 천연물의 13 주(90일) 반복투여 독성시험의 용량을 결정하였고, 13주 반복투여독성시험 및 4주 회복시험 후 무독성량(no observed adverse effect level, NOAEL) 및 표적장기를 확인한 결과, 광귤(지각)의 분말 및 물 추출물은 각각 암수 모두 2000 및 5000 mg/kg/day이었고, 모두 독성학적으로 유해한 표적장기는 관찰되지 않았다. 복귀돌연변이, 염색체이상 및 소핵시험에서 모두 음성의 결과를 얻었다. (출처 : 요약문 7p)
    • 연구책임자 : 송시환
    • 주관연구기관 : 켐온
    • 발행년도 : 20211100
    • Keyword : 1. 광귤(지각);독성시험;안전성평가; 2. Aurantii Fructus Immaturus;Toxicity Testing;Safety Evaluation;naringin;neohesperidin;
  • 11711

    2021.02.28

    연구개요 항암 방사선치료는 최근 가속화된 치료기기 및 치료계획의 기술적인 발달으로 적용범위 및 치료 효율이 크게 향상되었으나 일부 암환자에서의 방사선 치료 저항성과 치료 후 재발 및 전이는 방사선 치료에 있어서의 큰 제한요인임. 본 연구진은 방사선 치료 저항성의 가장 큰 요인인 종양저산소증 및 이로 인한 종양미세환경 변화를 개선하고 항암면역반응 증가를 통한 암의 완치율 향상을 위하여 최근 주목받고 있는 나노기술 기반 방사선 병행치료제를 디자인 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방사선치료의 효용성을 개선하고, 방사선 유도 항암면역반응의 기전을 이해하여 새로운 면역-방사선 치료의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함.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연구의 최종 목표 달성을 위해 다음과 같은 세부 목표를 설정하였고 연구 결과를 얻었음. 1. 실험모델/조건 확립 및 최적화 - 종양성장 및 abscopal effect 확인을 위한 면역적격 Hepa1-6 간암 종양 마우스 모델 확립 - 실험을 위한 최적의 방사선량 확인 및 저산소 방사선 조사 실험 셋업 2. 종양 저산소증감소 복합 나노입자의 획득 및 방사선 감작 효과 확인 - MnFe2O4 나노입자(MFN) 제작 및 Hepa1-6간암세포주에서의 방사선감작효과 in vitro와 in vivo에서 확인 3. 면역방사선치료 관련 실험조건 확립 - Abscopal effect 확인을 위한 2-tumor 동물모델 및 유세포 분석 조건 확립 4. Hypoxia 감소 기능성 나노입자에 의한 방사선 감작 효과 확인 - MFN 및 방사선 조사에 의한 종양성장억제와 hypoxia 감소 관련성을 in vitro와 in vivo에서 확인 5. 항원포촉 나노입자(AC-NPs)를 이용한 면역방사선 치료 - 항원포촉 나노입자(MSN)에 의한 방사선 치료 증진 효과 in vivo 확인 6. 저산소증감소 나노입자에 의한 종양 면역 치료 효과 변화 확인 - MFN 처리에 의한 종양세포의 PD-L1 감소 및 종양 조직 내 T-cell 활성 변화 확인 7. 인공면역 나노입자를 이용한 면역-방사선 치료 효과 확인 - MFN-MSN 복합 나노입자 제작 및 성능 평가 확인 연구발성과의 활용 계획 및 기대효과(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면역관문억제제를 이용한 면역치료는 암치료의 패러다임을 크게 변화시키고 있으나 반응률이 낮기 때문에 방사선 치료 등이 병용 요법으로 각광받고 있음. 본 연구 과제의 결과물은 항암방사선치료의 가장 큰 장애요인 중 하나인 종양저산소증을 효과적으로 극복하고 정상조직의 영향을 최소화하면서 방사선치료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새로운 방사선 병행치료제 개발의 중요한 이론적 근거를 제시함. 면역의 인위적인 활성과 종양 저산소증감소가 동시에 가능한 나노입자와 방사선의 병행치료는 기존의 화학-방사선요법이 가진 부작용을 억제하고 항암제의 용량 및 방사선 선량의 자유도를 높여 암환자의 완치 및 생존율을 높일 수 있는 새로운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됨. 개발된 플랫폼은 향후 다양한 암종에서 개발중인 면역항암제 또는 방사선감작제의 방사선-면역 치료 효능 검증을 위해 적극 활용될 것으로 기대됨. (출처 :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박희철
    • 주관연구기관 : 성균관대학교
    • 발행년도 : 20210300
    • Keyword : 1. 면역-방사선치료;종양저산소증;면역엔지니어링 나노입자;항암면역반응;종양미세환경; 2. Radio-immunotherapy;Tumor hypoxia;Immune-enginering nanoparticle;Antitumor immune response;Tumor microenvironment;
  • 11710

    2021.09.30

    □ 연구개발 목표 방사성폐기물에 잔류하는 미량의 악티나이드 회수를 위한 용융염/액체금속 접촉계면의 방사화학 반응특성의 이해와 공정장치 개념 개발 ○ 용융염과 액체금속 접촉계면을 통한 란타나이드와 악티나이드의 전해환원 및 선택산화에 대한 방사화학 거동 연구 ○ 용융염과 액체금속 접촉계면을 통한 미량의 악티나이드 회수 공정장치원리 개발과 제염계수 특성 분석 연구 □ 연구개발 내용 용융염과 액체금속의 접촉계면을 이용하는 군분리 공정의 화학거동 및 반응특성의 규명으로 사용후핵연료의 파이로공정 발생 폐용융염에 잔류하는 악티나이드 회수 원리 규명 1단계. 용융염과 액체금속 접촉계면을 통한 란타나이드와 악티나이드의 전해환원 및 선택산화 거동 연구 2단계. 용융염과 액체금속 접촉계면을 통한 악티나이드 회수 공정장치 원리 개발 ○ 다성분계에서 선택산화에 의한 군분리 특성 분석 ○ 선택산화 과정을 위한 원심력 기반 용융염과 액체금속의 혼합/분리 장치 개념에 대한 특성 분석 ○ 전해환원과 선택산화의 순차적 공정의 제염계수 특성 분석 □ 활용계획 및 기대효과 ○ 액체금속 전극을 이용하여 이종금속합금 형성에 의한 저전위 동시환원 기술, 용융염과 액체금속을 이용하는 공정장치 기술에 대한 이해함으로서 고준위 폐용융염 방사성폐기물의 독성 저감을 위한 기술로 활용 ○ 용융염과 액체금속 환경에서 란타나이드와 악티나이드의 방사화학 선진기술을 확보하고 이에 대한 전문지식을 함양한 고급인력을 양성함으로서 파이로공정 기술 개발 및 실용화에 기여할 것으로 전망됨 ○ 고준위 폐용융염 방사성폐기물의 독성 저감을 위한 파이로공정 선진기술 확보를 통해 국가 연구경쟁력 제고 (출처 : 요약문 3p)
    • 연구책임자 : 박병기
    • 주관연구기관 : 순천향대학교
    • 발행년도 : 20211000
    • Keyword : 1. 사용후핵연료;파이로공정;폐용융염;악티나이드;란타나이드;동시환원;선택산화;액체금속; 2. spent nuclear fuel;pyroprocess;salt waste;actinide;lanthanide;co-reduction;selective oxidation;liquid metal;
  • 11709

    2021.07.31

    □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ㆍ 최종 목표 ○ 신규 기술개발 사업(컨테이너 탑재형 중성자 비파괴검사 장비 및 검사기술 개발)의 타당성을 조사/분석하여 불확실성 해소 및 사업성공 가능성 제고 ▹ 중성자를 이용한 비파괴검사 장비 개발의 기술적 타당성 검토 - 해외 중성자 비파괴검사 장비의 사양, 성능, 크기, 정밀도 등의 상세 검토 ▹ 중성자를 이용한 비파괴검사 기술개발 사업의 사업성 검토 - 중성자 비파괴검사 기술이 적용 가능한 사업영역(국방, 조선, 원자력, 신재생, 문화재 등)의 사업성 조사 ㆍ 전체 내용 ○ 기존 방사선(γ-선, X-선) 비파괴기술과 차이점, 장단점 분석 ○ 중성자(속, 열, 냉중성자) 비파괴검사 기술 특성 분석 ○ 국내외 기술개발 동향 및 수준 분석 ○ 중성자발생장치 업체, 모델별 특성 분석 ○ 중성자 비파괴검사장치 개념, 차폐, 목표 성능 분석 ○ 중성자 비파괴검사 사업시장 분석 ○ 중성자 비파괴검사장치 개발전략 수립 ○ 기술개발을 위한 국내외 기관, 전문가 협력 및 활용 전략 ○ 사업화 성공전략 수립(기술, 장비, 인력, 비용, 규제요건, 기간, 시장, 매출 등) □ 연구개발성과 ○ 특허 2건 ① 소형 입자가속기를 이용한 이동형 중성자 비파괴검사 장비 ② 입자가속기를 구비한 중성자 비파괴검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중성자 영상화 신호 검출 및 취득 방법 ○ 중성자 비파괴검사(NDE) 국내외 기술현황 분석 완료 ○ 해외 중성자 발생장치(NG, Neutron generator) 기술조사 완료 ○ 해외 중성자 비파괴검사(NDE) 장치 및 기술조사 완료 ○ 중성자 비파괴검사(NDE) 기술현황 분석 보고서 ○ 중성자 비파괴검사(NDE)의 사업성 검토 완료 ○ 원자력법령요건에 따른 중성자 차폐실험실 설계 및 방사선차폐영향 평가 □ 연구개발성과 활용계획 및 기대 효과 (연구개발 성과 활용계획) ○ 본 연구를 통해 주관기관에서 회사 중장기 성장 견인사업으로 중점 추진 예정인 중성자 응용기술개발을 위한 국내외 기술현황을 분석하여 필요 인프라, 시장성, 사업성 등에 대한 전반적인 추진전략을 수립하였음 ○ 또한 중성자 비파괴검사 장비 및 기술 개발 관련 기술특허 2건을 출원하여 향후 기술보호 및 선점을 위한 기초를 다짐 ○ 본 연구성과물을 활용하여 소형 입자가속기 기반 중성자 비파괴검사 장비 및 검사기술의 국산화 개발 추진 ○ 개발 중성자 비파괴검사 검사기술은 항공우주, 방위산업, 수소/전기 자동차, 2차전지 등의 국내 첨단제조산업분야와 4차산업혁명 관련 산업분야에 활용하므로서 국가 산업발전과 기술력 향상에 기여 (기대효과) ○ 주관기관에서 향후 중장기 회사 성장견인사업으로 추진 예정인 컨테이너 탑재형 중성자 비파괴검사 장비 및 검사기술 개발의 타당성을 사전에 조사/분석하여 불확실성을 해소하므로서 사업화 성공 가능성을 크게 제고 할 수 있음. ○ 본 연구결과를 활용하여 입자가속기 기반의 중성자비파괴검사 장비/기술개발에 성공하여 중성자비파괴검사 기술을 국내 첨단 제조산업분야와 4차산업혁명관련 산업분야에 적용할 경우, 국내 첨단 제조산업 품질 및 기술력 향상은 물론 국산화 대체에 따른 경제적 및 고용효과가 막대할 것으로 예상됨. ○ 또한 코로나 바이러스로 인한 해외사업 수주 급감에 따른 해외사업 인력 유지를 위한 대체사업을 발굴 및 사업화하여 국내 제조산업분야에 적용할 경우 회사 경영개선에 큰 도움이 될 것 임. ○ 본 연구성과물을 활용하여 국내 미개발 기술분야인 중성자 비파괴검사 기술을 국산화 개발하여 보급함으로서 첨단 제조산업 기술력 향상, 신규 고용 창출에 기여 (출처 :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박준현
    • 주관연구기관 : 스탠더드시험연구소
    • 발행년도 : 20210800
    • Keyword : 1. 중성자;비파괴검사;중성자 비파괴검사;방사선;중성자 비파괴; 2. neutron;nondestructive examination;movable neutron radiography;radiation;neutron radiography;
  • 11708

    2020.12.31

    본 과제는 美 정부·의회·학계·연구계·산업계·싱크탱크 등을 대상으로 세미나 개최, 미디어 소통, 공동 정책연구 등 다각적인 대미 활동을 추진하여 주요 인사들과의 우호적 인적 네트워크를 구축하였다. 지속적인 대미 활동을 통해 美 하원 의원, 원자력 정책 전문가 등 4인을 지한파 인사로 발굴하였다. 발굴된 기존 지한파 인사들이 대통령 특보, NSC 원자력 정책 국장, 백악관 과학기술정책실 선임자문 등 백악관 핵심인사로 입각한바, 이들과의 네트워크를 통해 원자력 고위급위원회(HLBC), 원자력연료주기공동연구(JFCS), 원전 수출 등 협력 현안을 선제적으로 파악하고 해결 방향을 모색하였다. 한미간 원자력 민간 대화채널 구축 및 국내 전문가의 대미 네트워크 참여 확대를 위한 한·미·일 다자대화 및 대외(Outreach) 활동도 추진되었다. 워싱턴 D.C. 파견을 통해 미국의 SMR 및 선진원자로 개발, 원자력 R&D 예산 변화, 원자력산업·기술 경쟁우위 회복 전략, 후행핵연료주기 기술옵션 검토 등 미국 내 핵심 현안 정보를 수집하고 한미 협력에의 영향을 분석하여 우리 정부관계자 등의 이해 증진에 기여하였다. 본 과제는 우리 정부협의체에 정책·기술 자문을 지속 제공하여 정부 관계자가 교체되는 가운데에서도 양자 채널의 추진동력을 유지하였다. 특히, 한미 원자력협력 환경 변화에 따라 지연되던 HLBC 제2차 전체회의 및 화상회의 개최를 지원하고, JFCS 보고서 발간 등 대미 협의를 지원하였다. 한미 간 전략적 파트너십 구축에 기여 가능한 협력 프로그램으로 한미 간 다목적고속시험로(VTR) 협력 및 사용후핵연료 관리 분야 협력을 발굴하여 새로운 협력 기회를 창출하였다. 사용후핵연료 관리 분야 신규 협력 사업으로 발굴된 ‘고방사선환경 취급 및 안전성 강화 혁신기술 개발’은 착수 준비 중이다. (출처 : 서지정보양식 101p)
    • 연구책임자 : 김경표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연구원
    • 발행년도 : 20210100
    • Keyword : 1. 원자력;한미 원자력 협력;인적 네트워크;한미 협력협의채널;연구개발 협력; 2. Nuclear energy;ROK-US nuclear energy cooperation;Human network;ROK-US cooperation/consultation channel;R&D Cooperation;
  • 11707

    2021.02.28

    ◎ BSRN 관측소 운영을 위한 기반 구축 - 국제 수준의 복사측소 운영을 위해 복사관측소 환경 및 장비 분석 수행 - 전천일사계/직달일사계/자외복사계/적외복사계 관측망 최적안 도출 - BSRN 가입을 위한 필수적인 환경과 장비 및 검교정 기술 확보 방안 제시 및 시범 사이트 운영 및 분석 ◎ 적외복사계 및 자외복사계 소급성 확보 - 적외복사계와 자외복사계를 국제 공긴교정 기관인 WRC (World Radiation Center)에서 검교정하여 국가 기준 장비 마련 - 기상청 현업 자외복사계와의 비교관측 수행 (출처 : 요약서 3p)
    • 연구책임자 : 이규태
    • 주관연구기관 : 원주대학교
    • 발행년도 : 20210300
    • Keyword : 1. 태양복사;적외복사;자외복사;복사관측망;국제복사관측 그룹; 2. Solar Radiation;Infrared Radiation;Ultraviolet Radiation;Radiation Observation Network;International Radiation Observation Group;
  • 11706

    2021.11.30

    1. Research Purpose - Importance of Research Understanding radiation-induced defects and damage accumulation mechanisms in materials and the effects of material structure, displacement dose, and damage rate on the microstructural evolution of defects in irradiated materials is essential to ensure the operational safety on nuclear power plant (NPP), development of advanced nuclear power reactor technology. Various types of defects exist in materials that directly determine mechanical properties, electrical conductivity, diffusivity, or light emission. Identifying the generation and growth of these defects is an important task in the fields of nuclear power. For example, neutron irradiation causes collision displacement, transmutation and ionization effects in the nuclear design materials and changes its microstructure and properties. Neutron induced defects and damage degrades the mechanical properties, poses a severe threat to the structural integrity of the NPP components. Advanced nuclear technologies such as fusion reactor require high performance materials with remarkable radiation tolerance and high stability and strength. Also, one of the discussed challenges in nuclear power engineering is lifetime extension of NPP. The components of NPP such as reactor pressure vessels (RPV). Many spectroscopy techniques have been employed to inspect the material defects. High-resolution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HR-TEM) has provided useful information regarding irradiation-induced voids and loops, they cannot capture defects on the atomic scale. Small-angle neutron scattering (SANS) and small-angle X-ray scattering (SAXS) disclose information about structural parameters such as porosity distribution in the range of 1–100 nm. (source : 1. Research Purpose 3p)
    • 연구책임자 : 조규성
    • 주관연구기관 : 한국과학기술원
    • 발행년도 : 20211200
    • Keyword :
  • 11705

    2020.12.31

    ○ Hypoxic condition에서 endothelial cell이 tumor cell의 HIF-1α 단백질 발현에 미치는 영향 규명 및 기전 연구 ▪ 저산소 환경에서 혈관내피세포에 의해 증가되는 종양세포의 악성화 지표 관찰 ▪ 저산소 환경에서 혈관내피세포에 의해 유발되는 종양세포의 악성화에 기여하는 인자 및 기전 발굴 연구 ▪ 저산소 환경에서 발굴된 종양세포 악성화 관련 인자의 표적화에 따른 방사선 치료 저항성 극복 연구 ○ 방사선 조사된 대식세포에 의한 종양세포의 성상변화 연구 ▪ 방사선 조사에 의한 대식세포의 생리활성물질 생성 변화를 유발하는 표적 유전자발굴 (출처 : 요약서 3p)
    • 연구책임자 : 김성대
    • 주관연구기관 : 동남권원자력의학원
    • 발행년도 : 20210100
    • Keyword : 1. 대식세포;혈소판;저산소;기질세포;혈관내피세포; 2. macrophage;platelets;hypoxia;stromal cell;endothelial cell;
  • 11704

    2021.01.31

    □ 연구의 목적 및 내용 최종 목표 공진형 고출력 테라헤르츠 전자기파 시스템을 통해 DNA상의 메틸화 현상을 제어하고 이를 바탕으로 하는 암치료 기술을 개발 전체 내용 초고출력/광대역 테라헤르츠 기술은 다양한 응용분야에 사용될 수 있는 기초 전자기파 기술 - 테라헤르츠 광분자 암치료 기술은 전자기파에 의한 분자의 공진현상을 이용한 치료기술 - 기존의 항암제나 수술 요법과 다르게 부작용이 적고 암병변을 정상 세포로 회복시키는 새로운 형태의 암치료 기술 - 테라헤르츠 전자기파를 이용한 생명 제어 기술을 통해 차세대 전파 기술을 확립 1단계 (해당시 기재) 목표 - 테라헤르츠 원천기술 확보 및 기초 분광 연구 내용 - 고효율 테라헤르츠 신호 발생을 위한 기술 개발 - 광대역 테라헤르츠 시스템을 활용하여 DNA 분자단계에서 메틸화 공진신호 검출 및 제어 가능성 확인 2단계 (해당시 기재) 목표 - 테라헤르츠 기술의 응용 연구 내용 - 높은 신호대잡음비(SNR) 및 고효율 테라헤르츠 신호를 이용한 생체물질 분석 및 기능 제어 - 높은 SNR의 광대역 테라헤르츠 스펙트럼을 활용하여 암발생과 관련된 DNA메틸화의 분광 분석 및 공진 주파수 신호 검출 - DNA메틸화 공진 분광 신호 차이에 따른 암 종별 프로파일링화 - 고출력 선택 주파수 테라헤르츠 시스템을 이용하여 DNA 메틸화를 억제, 제어하는 기술을 확보 - 동물실험을 통해 임상 적용 가능성 확보 및 유해성 검사 □ 연구개발성과 □ 주요 기능(또는 규격) - DNA 메틸화 공진주파수 신호 기반 암 종 진단 기능 - 세포내 DNA 메틸화 현상 제어 기능 - DNA 탈메틸화를 통한 암 치료 기능 □ 주요 성능치 - 대역폭 : 15 THz 이상 - 펄스당 에너지 : 40  or 200 mW 이상 - 테라헤르츠파 적용 시간 : 수 분 이내 □ 핵심 기술 - 초광대역/고출력 테라헤르츠 발생, 검출 기술 (세계 Top 5위 내) - 전자기파를 이용한 DNA 기능 신호 제어 기술 (세계 최초) - 테라헤르츠 전자기파를 이용한 암 치료 기술 (세계 최초) □ 연구개발성과의 활용계획 (기대효과) □ 기초 학술적 측면 - 초고출력/광대역 테라헤르츠 전자기파 시스템은 기초 전자기파 연구의 발전을 가져올 것임. - 본 제안 기술은 테라헤르츠 응용영역을 다양한 분자제어 기술 영역으로 확장할 수 있음. - 기존에는 없던 암 치료 방식으로 의료계에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할 수 있음. □ 원천기술 확보 및 산업적 측면 - 테라헤르츠 원천기술을 선점할 수 있음. - 본 제안 과제의 암 치료 기술은 관련 의료기기 산업을 발전시킬 수 있음. □ 경제적 측면 - 상대적으로 낮은 금액으로 의료서비스를 제공시켜 암 치료에 사용되는 항암제 수입량을 줄이고 국가적인 외화 유출을 줄일 수 있음. - 암 치료시장 진입으로 국가경쟁력을 높이고 막대한 경제적 가치를 가질 것임. □ 인재양성 측면 - 본 연구를 통해 석, 박사과정 학생들의 전자기학 연구에 대한 이해력을 증진을 통해 여러 분야에 전문 인력으로서 국가 과학 경쟁력 향상에 크게 기여할 것임. □ 사회복지 측면 - 사회적 복지의 향상을 높일 수 있으며 의료비 감소로 많은 메디컬 푸어를 막아 국민 복지에 이바지 할 수 있음. (출처 : 요약문 4p)
    • 연구책임자 : 손주혁
    • 주관연구기관 : 서울시립대학교
    • 발행년도 : 20210200
    • Keyword : 1. 테라헤르츠;고출력;DNA 제어;DNA 메틸화 제거;암 치료 기술; 2. terahertz;high-power;DNA control;DNA demethylation;cancer therap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