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Report

All 12,392 Page 39/1,240

검색
  • 12012

    2022.02.28

    연구개요 · RIS와 spontaneous sarcoma간의 임상적 특성의 차이는 세포적, 유전적인 차이 보다 종양이 발생하는 in vivo의 환경적인 차이(inflammation, hypoxic environment) 에서 비롯되었을 가능성이 있다는 가설을 증명한다 (즉, cell, DNA level의 유의미한 차이는 없을 수도 있다) · 따라서 세포의 성장 특성, DNA sequencing 등이 큰 차이가 없음을 증명하고 in vitro에서 진행하는 radiotherapy나 chemotherapy에 대한 반응 유사성을 찾는 것을 목표로 한다 · 하지만 만약 이러한 세포학적 특성에서 significant difference가 나타난다면 RIS와 Spontaneous sarcoma의 임상적 특성 (RIS의 poor prognosis)의 차이는 세포적 특성에서도 영향을 받았을 가능성이 있고 그에 따른 적합한 치료 방법을 유추해 볼 수 있다.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 선행 과제에서 수립된 방사선 유발 육종의 세포주를 이용한 후속 연구로, 드물고 완치가 어려운 방사선 유발 육종의 종양학적 특성을 연구하여, 최적의 치료 방법을 고안하고자 함. ◼ 자연 유발 육종과 비교하여 종양학적 특성을 분석 - 종양 성장 속도, 성장관련 인자 발현, 항암제 및 방사선으로 인한 성장 억제 반응 (치료 효과) 비교 결과) 실제로 방사선 유발 육종과 자연 유발 육종의 세포적 특성에는 큰 차이가 없음을 증명하였고, 방사선 노출로 인해 발생한 종양이 특별히 항암제/방사선 민감성이 떨어지는 것이 아님 역시 밝혀냄. ◼ 방사선 유발 육종의 세포주유래 암조직 이식 (cell line-derived xenograft, CDX) 동물 모델수립을 통해 다양한 항암제 및 면역 치료 등에 대한 감수성을 확인할 수 있는 기틀을 마련 결과) 다양한 항암제 선별 실험 수행을 통하여 기존 자연 유발 육종과 상이하지 않음을 알게 되면서, 전장 유전체 분석을 통한 방사선으로 인한 암 발생에 더 초점을 맞추게 되어 xenograft 모델의 중요도가 감소하였음. Xenograft 는 보다 target을 특정한 후 수행할 계획임. ◼ 희귀 암종인 방사선 유발 육종의 세포주 유래 암조직 이식 모델의 개발은 이후 다양한 특성분석 및 효능 평가의 기본이 됨. 결과) 1. 여러 항암제(docetaxel, cisplatin, doxorubicin, olaparib) 들을 테스트해보았을 때 docetaxel에 더욱 민감한 반응을 보였으며, 2. 수립한 1가지 세포주 뿐만 아니라 여러 건의 환자 기반 세포주 수립을 시도중임. 국내 최고 세포주은행과의 협업에도 성공률이 낮을 만큼 세포주 수립이 어려운 암종이므로 이는 본 연구의 중요도를 설명할 수 있겠음. 연구개발성과의 활용 계획 및 기대효과 (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 본 연구진이 진행해온 방사선 유발 육종 연구는, 최근까지 발표된 논문들에 비해 검체의 수집과 분석의 양적, 질적 측면에 있어서 세계적으로 독보적임. 특히, 자료조사 과정에서 미국에서 수립했다고 발표한 방사선유발육종은 이미 사멸해버린 상태로, 본 연구진의 세포주가 세계 유일한 방사선유발육종 세포주임. ◼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방사선 유발 종양의 진단과 치료에 있어서 치료 방침 결정 및 효과적인 약제 적용에도 시도해볼 수 있었음. ◼ 희귀한 세포주를 확보하였으므로 이후의 cell engineering을 통한 therapeutic modulation의 기반을 마련할 수 있었음. ◼ 또한 관련 분야 후학들을 교육함으로써, 박사 학위 및 전문가 인력들을 배출에 기여함. 현재 본 과제 관련으로 서울대학교 의학과 박사 학생이 학위 과정 중에 있음. (출처 :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장지현
    • 주관연구기관 : 서울대학교
    • 발행년도 : 20220300
    • Keyword : 1. 방사선;종양;육종; 2. Radiation;Tumor;Sarcoma;
  • 12011

    2021.12.31

    IV. 운영결과 본 사업은 규제기관의 독립적 핵물질 검증능력 확보를 통하여 국내환경에 적합한 환경시료 관련 종합체계 구축 및 운영을 목표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환경시료 프로그램 이행, 분석 역량 강화 및 평가 역량강화 등 다양한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2장에서는 당해 연도에 수행한 스와이프 시료 채취, 사전 검증, 정밀분석 및 평가와 같은 일련의 환경시료 프로그램 및 이행 결과를 기술하였다. 3장에서는 분석 역량 강화 및 품질관리를 목표로, 환경시료 품질관리용 입자시료 제작 및 전처리를 위한 장비 성능평가 및 타당성 평가 내용을 포함하였다. 2020년 도입된 SEM-manipulator 장비를 활용하여, 시료 내 우라늄 입자를 원격 조정하여, 이동 및 회수기술을 확보하고자 하였으며, 우라늄 입자를 직접 제어하여 TIMS 분석용 필라멘트 및 Si-wafer 활용 시료를 시범적으로 제작하고 그 특징을 살펴보았다. 4장에서는 채취, 스크리닝, 정밀분석 평가로 구성된 환경시료 프로그램의 운영 완성도를 높이기 위해 분석결과의 평가역량을 강화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시료 채취시설과 분석 방법에 따라 분류하고, 시료 종류별 정량적 평가인자를 도출하고, 평가기준을 수립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이를 위해 당해 연도에는 상용코드를 활용하여 조사시설에서 채취한 시료의 정밀입자 분석 결과에 대한 평가인자를 도출하였다. 5장에는 원내 보유장비, 시설, 시료관리와 관련한 운영절차 재개정 관련 내용 및 안전한 실험실 환경조성을 위한 안전관리 관련 수행업무를 포함하고 있다. (출처 : 요약문 4p)
    • 연구책임자 : 김현영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통제기술원
    • 발행년도 : 20220100
    • Keyword : 1. 환경시료;스와이프;스크리닝;이차이온질량분석기; 2. Environmental Sampling;Swipe;Screening Analysis;MMXRF;SIMS;
  • 12010

    2021.12.31

    Ⅳ. 연구개발 결과 ○ 저선량 조사장치 조사선량 측정 및 몬테카를로 전산모사 비교 분석 ○ 내부피폭 선량평가 코드의 핵심 라이브러리 계산을 위한 국내 표준 팬텀 구축 ○ 혈액조사용 팬텀의 성능 향상 및 표준조사 기술 향상 ○ 치료방사선 선량평가용 유리선량계 판독시스템 구축 ○ 전알파, 전베타 측정기반 기술확립 ○ 감마핵종 내부피폭을 위한 자가 문진표 개발 ○ 전자상자성 공명(EPR)을 이용한 치아유사시료 표준선량곡선 확립 ○ 국제기준(ISO)에 따른 전좌분석을 이용한 표준선량곡선 확립 ○ AI 빅데이터 기술을 이용한 염색체 자동화 분석 프로그램 개발 ○ 국제공인기관 전환평가(교정/시험 기관) 완료 및 운영정상화 (출처 : 요약문 4p)
    • 연구책임자 : 강영록
    • 주관연구기관 : 동남권원자력의학원
    • 발행년도 : 20220100
    • Keyword : 1. 품질보증;선량평가;표준조사;전좌;인공지능; 2. QA;Dosimetry;Standard irradiation;Translocation;AI;
  • 12009

    2021.12.31

    IV. 사업결과 교육 운영 및 대외협력 분야에서는 ‘ 20년 이후 지속되고 있는 코로나-19 확산 상황 속에서 비대면 온라인 방식의 교육 운영 및 회의 개최를 적극적으로 수행하였다. 국제교육으로는 일본 ISCN과 AP-CIT 온라인 훈련과정을 공동으로 개최하였으며 원전 신흥도입국을 대상으로 IAEA 국가계량관리체계 ( SSAC ) 온라인 국제교육을 개최하였다. 또한, 국내 핵비확산·핵안보 이해증진교육을 총 11회 개최하여 175명의 교육생을 배출하였으며 미래세대의 핵비확산 인식 제고 및 문화 확산을 위해 초·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핵비확산 문화 확산 교육기부사업을 추진하였다. 양질의 교육훈련 프로그램 제공을 위하여 물리적방호시스템 기반 사이버보안 교육 프로그램 및 실습장비를 개발하였으며 IAEA 사이버보안 국제교육 온라인 교육환경 구축에 참여하였다. 또한, 일반인을 대상으로 하는 알기쉬운 원자력통제 교재를 개발하고 유명 유튜버와의 협업을 통해 이해증진용 원자력통제 동영상을 제작하여 게재하였다. 교육 관련 대외협력으로 한-미 PCG 협력을 통해 INSA 사이버보안 국제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있으며 국내외 유관기관과의 협력을 통해 수요 맞춤형 교육기획안을 수립하였다. 또한, IAEA NSSC 연례회의에 참석하고 ARN+1 연례회의를 개최하여 국제 교육훈련센터 협의체와의 협력 채널을 지속적으로 유지하였다. 원자력안전규제 인력양성 사업 추진과 관련하여 원안재단과 KINS와의 협력을 통해 원자력안전 규제기관 현장교육을 기획하고 개최하였다. 교육 인프라 고도화를 위해 INSA 중장기 발전전략을 수립하고 품질경영시스템 ( ISO 9001 : 2015 ) 인증을 유지를 위한 사후관리심사를 수심하였으며 교육 분야 특화 국제표준인증 ( ISO 21001 : 2018 ) 추가 취득을 위한 계획을 수립하였다. 온라인 교육운영을 위한 HTML5 기반 이러닝 콘텐츠 신규과목 3종 및 영문 콘텐츠 6종을 개발하였으며 멀티미디어실의 효율적인 유지관리를 위하여 사이버보안 교육시스템 및 네트워크 장비 유지관리 용역을 착수하였다. 또한, 사회적 거리두기가 유지되고 있는 상황 속에서 교육 수요에 대응하고자 온라인 교육 운영을 위한 INSA 화상강의 스튜디오를 구축하여 활용하였다. (출처 : 요약문 4p)
    • 연구책임자 : 신동훈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통제기술원
    • 발행년도 : 20220100
    • Keyword : 1. 핵비확산;핵안보;국제교육;국제핵안보교육훈련센터;교육 기획/운영;인프라 개선; 2. Nuclear Nonproliferation;Nuclear Security;International Training;INSA;Training Planning/Management;Infrastructure Improvement;
  • 12008

    2021.12.31

    Ⅱ. 연구개발의 목적 및 필요성 SPF 환경 저선량 방사선 조사실 및 실험동물실의 유지 관리를 통해, 저선량 방사선 생체 영향 연구 및 다양한 동물실험 연구의 신뢰성 높은 연구 결과 도출에 기여하고자 함 Ⅲ. 연구개발의 내용 및 범위 SPF 환경 저선량 방사선 조사동물실의 유지 관리, 동물실험 윤리위원회 지원 및 실험동물위령제 운영 지원 Ⅳ. 연구개발결과 저선량 환경 방사선 조사시설을 포함하는 SPF 동물시설의 원활한 유지관리 하였으며, 동물실험 윤리위원회 지원으로 실험돌물 사용을 최소화 하는데 기여함 Ⅴ.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 SPF 환경 방사선 저선량 방사선 조사동물실의 안정적인 운영으로 다른 과제의 연구성과 도출에 기여 (출처 : 요약문 4p)
    • 연구책임자 : 이창근
    • 주관연구기관 : 동남권원자력의학원
    • 발행년도 : 20220100
    • Keyword : 1. 저선량 방사선;저선량률 방사선;실험동물;동물실험 윤리위원회; 2. low-dose rdaition;low-dose rate radiation;experimental animal;IACUC;3R;LMO;
  • 12007

    2021.12.31

    비공개항목입니다.
    • 연구책임자 : 최시호
    • 주관연구기관 : 동남권원자력의학원
    • 발행년도 : 20220100
    • Keyword : 1. 유전자편집;유전변이;전사체분석;분비물질;방사선;오가오노이드; 2. Gene editing;mutation;transcriptom analysis;exosome;radiation;organoid;
  • 12006

    2021.12.31

    Ⅱ.연구개발의 목적 및 필요성 본 사업의 목적은 방사선안전관리 체계를 확립함으로써 작업자 및 공공의 방사선안전을 확보하는 것이다. 방사선안전관리 시스템을 이용하여 안전한 작업환경 및 공공 환경을 조성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작업자 및 공공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 국가의 방사선방어에 관한 법과 규제에 따라 이 사업은 본 원의 방사선안전관리에 관련된 의무적 요건이다. 방사선 사용시설 종사자, 환자 및 일반인의 방사선 피폭을 최소화하고 동시에 기관의 방사선 안전성을 보증하기 위하여 당 사업은 계속 유지될 필요가 있다. Ⅲ. 연구개발의 내용 및 범위 1.원자력안전법의 규정에 근거한 기관의 방사선 사용시설, 방사선작업종사자의 안전성 확보 및 방사선안전관리 운영체계 확립 - 방사선작업종사자 개인피폭선량 측정 - 방사성동위원소 보안관리 - 방사선작업환경의 방사선 모니터링 - 배기, 배수설비를 통한 방사성 배출물의 방사능 감시 - RI 치료병실 배수배관 방사선량률 감시 - 방사성폐기물관리 - 방사선 사고관리 - 작업종사자 교육훈련계획 수립 및 이행 - 방사선사용에 관한 인, 허가 및 보고 관리 - 방사선발생장치 및 방사성동위원소 사용등에 관한 정기검사 Ⅳ. 연구개발결과 1. 방사선사용 시설의 외부 방사선량률, 방사성물질에 의한 표면오염도를 주기적 또는 필요시 상시적으로 측정하여 작업 환경의 방사성 준위를 법적 기준치 이하로 낮게 유지․관리함으로써 방사선 안전성을 확보하였다. 2. 방사선작업종사자의 평균유효선량은 핵의학과를 제외하고 기록준위 이하를 기록하였고 가장 많은 피폭선량이 발생한 핵의학과 방사선작업종사자의 1~3분기 집단선량은 5.02 man-mSv 수준이었다. 3. 대한산업보건협회 및 원내에서 작업자들의 건강검진을 실시하였으며 몇몇의 재검자를 제외하고는 모두 정상이었다. 4. 작업자의 안전교육은 기본교육 및 직장교육으로 분류하여 시행하였다. 5. 혈액조사기 및 코발트조사시설에 방사성동위원소 보안관리 시설을 운영하여 도난 및 방사선테러를 방지하였다. 6. 액체 방사성폐기물의 방사능 농도가 기준치 이하일 때 환경에 배출하였다. 7.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에서 시행하는 정기검사는 면제 받았다. Ⅴ. 연구결과의 활용계획 1. 방사선 감시 시스템 구축과 방사선안전관리 장비의 개선 및 방사선안전관리 측정 장비 확보를 점차적으로 추진함으로써 방사선안전관리 실무향상에 기여한다. 2. 본 사업을 통해 얻은 결과물들은 본 기관 방사선 사용시설의 안전성 보증, 방사선에 대한 국민의 부정적인 인식 전환 및 국가 의료 방사선안전관리 정책수립을 위한 기초자료 및 방사선안전 홍보를 위한 객관적인 자료로 활용가능하다. 3. 방사선 측정 데이터 확보 및 방사선 정보 관리체계의 근거로 활용가능하다. 4. 방사선방호시스템 확립을 통한 방사선방호 비용 절감 5. 방사선작업종사자 및 수시출입자의 심리적 안정 도모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4p)
    • 연구책임자 : 김정기
    • 주관연구기관 : 동남권원자력의학원
    • 발행년도 : 20220100
    • Keyword : 1. 방사선안전관리;방사선장해방어;종사자;피폭선량;교육;방사성동위원소보안관리;정기검사;방사선사고;건강진단;방사선작업종사자;방사성폐기물; 2. Radiation safety and management;Radiation workers;Radiation dose;education;Radioisotope security system;Regular investigation once a year;Radiation accident;Solid radioactive wasteProtection of radiation effects;R.I security system;Regular investigation;Radiation waste;
  • 12005

    2021.12.31

    Ⅳ. 연구개발결과 (1) 종양환경 구성 요소인 혈관내피세포가 암세포의 악성화과정에 미치는 영향 연구 - 혈관내피세포가 암세포의 방사선 민감도에 미치는 영향 - 혈관내피세포가 암세포의 악성화에 미치는 영향 - 혈관내피세포에 의해 발생하는 종양악성화 과정을 유도하는 인자 발굴 - 암세포 악성화 관련 혈관내피세포 분비 인자 및 암세포 내부 인자 발굴 (2) 종양환경 구성 요소인 대식세포가 암세포의 악성화과정에 미치는 영향 연구 - 방사선 조사된 대식세포의 증가된 IL-1beta생성 기전에 관한 연구 - 대식세포에서 방사선 조사에 의한 caspase-1의 활성에 대한 기전 연구 - 방사선 조사에 의한 대식세포의 MAPK활성화 및 제어 - 방사선 조사된 대식세포의 증가된 CXCL10 기전에 관한 연구 - 정상산소 조건에서 대식세포 유형별에 따른 암세포의 침윤활성 비교 연구 - 정상산소 조건에서 M0, M1 및 M2 type 별 대식세포와 동시배양한 암세포에서 HIF-1α 단백질 발현 비교와 종양 조직내의 TAM (Tumor Associated Macrophage)의 분포 확인 (출처 : 요약문 4p)
    • 연구책임자 : 박문택
    • 주관연구기관 : 동남권원자력의학원
    • 발행년도 : 20220100
    • Keyword : 1. 방사선치료;종양미세환경;대식세포;혈소판;저산소;방사선 저항성;혈관내피세포;기질세포;상호작용; 2. Radiotherapy;Tumor microenvironment;Macrophage;Platelet;Hypoxia;Radioresistance;Endothelial cells;Stromal Cells;Intercullular interactions;
  • 12004

    2021.12.31

    Ⅱ. 연구개발의 목적 및 필요성 저선량 방사선의 치료 효능 중 관절염에 대한 통증 완화가 보고됨. 하지만 정확한 기전 규명이 되지 않아 본 연구에서 저선량 방사선의 염증 유도 사이토카인 조절 기능을 확인 하고자 함 Ⅲ. 연구개발의 내용 및 범위 1. 선량별 저선량 방사선의 염증 인자 발현 조절 차이를 비교 2. 새로운 HuR 매개 저선량 방사선 민감 생체 지표 발굴 확인 Ⅳ. 연구개발결과 ❍ LPS 유도 사이토카인의 단백질 발현을 선량별 저선량 방사선 조사 후 면역염색법, 웨스턴 블롯 및 ELISA법으로 확인 비교 확인 ❍ 저선량 방사선 조사 세포에서 HuR에 결합되는 RNA 부분에서 새로운 유전자 발굴하고 HuR 매개 여부를 RT-PCR법, 웨스턴 블롯 으로 확인 Ⅴ.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 ❍ 저선량 방사선 치료분야의 확대 기대 ❍ 저선량(률) 방사선의 생체 영향에 대한 과학적 자료 확보 (출처 : 요약문 4p)
    • 연구책임자 : 손태건
    • 주관연구기관 : 동남권원자력의학원
    • 발행년도 : 20220100
    • Keyword : 1. 저선량(률) 방사선;항염증 효과;피폭 생체 지표;RNA 결합 단백질; 2. low-dose (rate) radiation;anti-inflammation effect;exposure biological indicator;RNA binding protein;
  • 12003

    2022.05.31

    □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 최종 목표 방사광 영상기법을 이용한 초기 폐암의 방사광 영상 진단 기술 개발 ◼ 전체 내용 고정밀 고해상도의 3차원 영상 획득이 가능한 방사광 영상기법과 폐암 특이적 생기능성 나노입자를 이용한 폐암의 비침습적 진단 모델을 구축함. ◼ 1단계 ❏ 목표 생기능성 나노입자를 이용한 폐암 표지자의 제작과 염색방법의 개발 ❏ 내용 30nm 크기의 Au, Ag 금속입자와 EGFR L858R, TTF1 antibody를 결합한 생기능성 나노입자의 합성과 폐암조직 내 염색기법을 확인하고 방사광 영상 획득을 계획함. ◼ 2단계 ❏ 목표 초기폐암진단을 위한 방사광 영상획득 모델의 구축과 임상적 응용가능성 검증을 위한 예비실험 계획 수립 ❏ 내용 염색된 폐암조직에 대해 PLS-II와 Photon Factory의 BL14B/C에서 방사광영상을 획득함. □ 연구개발성과 PLS-II 6C BMI와 Photon Factory BL14B/C에서 방사광 영상기법을 이용한 폐암영상 획득 protocol을 구축함. □ 연구개발성과 활용계획 및 기대 효과 본 연구를 통해 방사광 X선을 이용한 폐암 검체의 영상획득 방법을 개선하였으며 PLS-II 6C BMI의 구조 개선을 통한 국내 가속기 기반 의생명 연구역량을 향상시킴. 생기능성 나노입자의 분포와 폐암 검체 내 특정 유전자 변이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또한 해외연구소와의 협력강화를 통해 임상연구로의 발전을 기대할 수 있음. (출처 :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이은주
    • 주관연구기관 : 고려대학교
    • 발행년도 : 20220600
    • Keyword : 1. 방사광;폐암;진단; 2. Synchrotron radiation;lung cancer;diagnos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