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Report

All 12,381 Page 43/1,239

검색
  • 11961

    2022.05.31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최종 목표 핵수용체의 리간드를 활용한 adult neurogenesis 조절인자를 발굴하여 불안/우울장애의 증상 개선 전체 내용 [1차년도] 고아핵수용체에 의한 adult neurogenesis 조절 세부 기전 규명 1. Adult neurogenesis 증가 실험동물 모델 구축: 규칙적인 운동, 항우울제 (Fluoxetine) 투여 2. 비정상적 Adult neurogenesis 패턴의 실험동물모델 구축: LRRK2G2019S Tg mouse 3. 비정상적 Adult neurogenesis (LRRK2G2019S) 소견 실험동물의 neurotrophic factor 조절 기전 분석 [2차년도] 핵수용체에 의한 adult neurogenesis 조절 세부 기전 규명 및 비정상적인 adult neurogenesis 소견을 보이는 불안 우울장애 실험동물 적용 평가 1. 핵수용체 ERRγ ligand GSK4716의 Neurotrophic factor 신호 평가 2. 항우울제 투여에 의해 증가한 adult neurogenesis 관련 Neurotrophic factor 신호 평가 3. 신경독소로 인해 유발된 불안/우울장애를 보이는 실험동물에서 neurogenesis 병리패턴 평가 [3차년도] 핵수용체 리간드를 이용한 불안/우울장애 실험동물의 행동 개선 평가 1. PPARγ agonist Pioglitazone에 의한 adult neurogenesis 조절 효과 2. 항우울효과 평가에 활용 가능한 in vitro 모델 구축 연구개발성과 SCI급 논문 2편 게재, SCI급 논문 1편 게재 준비중, 학술대회 논문 발표 1회 연구개발성과 활용계획 및 기대 효과 1. Adult neurogenesis 조절 기전에 대한 이해 증진 및 불안/우울장애 치료의 신규타깃 제시 - 비정상적 adult neurogenesis 소견을 보이는 실험동물모델을 활용하여 불안/우울장애 외에도 다른 신경정신질환이나 인지, 기억 등과 관련된 퇴행성뇌질환 등 여러질병의 치료제 검증. - 본 과제 수행으로 발굴한 Adult neurogenesis의 조절인자 핵수용체 ERRγ 와 PPARγ ligands를 여러 질병의 신규 치료 타깃 적용 가능성을 평가함. 2. Structure based virtual screening system과 reporter gene assay 기반의 세포분석시스템을 활용하여 신규 핵수용체 ligands 및 그 유사구조물질을 발굴하여 새로운 약물 타깃 및 약효 물질 발굴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함. 3. Serotonin reuptake 활성 평가 in vitro model 구축 - 기존에 활용되는 SERT 과발현 in vitro model과 비교하였을 때, 더 생리적인 환경에 가까운 형태의 세포주 모델 (분화유도한 HT22 세포주)을 활용하여 여러 신경정신질환의 핵심 병리기작인 synapse에서 serotonin의 양을 조절할 수 있는 물질의 효능 평가 및 검증에 활용함. (출처 :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임주희
    • 주관연구기관 : 우석대학교
    • 발행년도 : 20220600
    • Keyword : 1. 핵수용체;신경생성;불안/우울장애;항우울제; 2. nuclear receptor;adult neurogenesis;anxiety/depressive disorder;antidepressants;
  • 11960

    2022.02.28

    연구개요 ○ 알츠하이머병은 급속한 노령화로 인하여 국가의 경제적 사회적 큰 부담이 되고 있으나 아직까지 근원 치료는 불가능한 상태임. ○ 본 과제를 통하여 안전성과 효율이 확인된 방사선 치료 용량 프로토콜을 정하고 이에 따른 치료제의 흡수 증가 및 치료효과 및 기전을 검증하고자 함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1. 저방사선 치료 용량 프로토콜 세포모델 확립 및 영향 -고선량 방사선조사에 의한 세포 손상도 결과 -저선량 방사선 용량에 대한 세포 모델 확립 -신경세포 손상 조사 및 reactive oxidative stress 검증 -저선량 방사선 조사 세포모델에서의 NAC에 의한 신경보호 효과 조사 -ROS관련 메커니즘 규명 2. 저방사선 치료 용량 프로토콜 동물모델 확립 및 영향 연구 -알츠하이머 쥐모델을 이용한 실험 -효율적인 방사선 치료 프로토콜의 안전성을 검증 -동물 모델에서 뉴로글린 처치 후 BBB 투과성 규명 연구개발성과의 활용 계획 및 기대효과 (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본 연구결과는 저선량 방사선 치료 적용과 확립을 위하여 부작용을 최소하기 위한 기반연구로 저선량 방사선에 의한 뇌세포 영향 및 약물적용으로, 새로운 임상적 치료 표적(therapeutic target) 발굴 및 임상 응용의 가능성 확대 및 효용성 향상을 지향하는 연구결과를 산출함. (출처 :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이미조
    • 주관연구기관 : 을지대학교
    • 발행년도 : 20220300
    • Keyword : 1. 알츠하이머병;저선량방사선;뉴로글린;세포사;산화성스트레스; 2. Alzheimer's disease;Low dose radiation;Neuregulin-1;cell death;Reactiv oxidative stress;
  • 11959

    2022.02.28

    □ 연구개요 ⦁ 본 연구는 3차원 시지각을 위한 단안 및 양안 단서들이 시각 시스템에서 어떠한 계산 과정을 거쳐 처리되는지 정신물리학 실험 및 뇌전도 실험을 통해 3차원 시지각의 신경 기제를 밝히는 데에 그 목적이 있음. ⦁ 본 연구는 두 눈에 제시되는 시각 자극을 제어할 수 있는 기술을 사용하여 3차원 시지각의 신경기제를 밝히고, 두 눈의 정보를 제대로 사용할 수 없어 3차원 시지각에 어려움을 겪는 환자군(약시)의 치료를 돕는 치료법을 개발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음. ⦁ 이를 위해 행동 실험, 뇌전도(EEG), 뇌자도(MEG), 자기공명영상(MRI) 등의 다양한 방법론을 활용하여 연구하였음. □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 본 연구과제는 신진연구로서 본 연구책임자의 장기적 3차원 시지각 연구를 위한 연구 환경 조성이 첫 번째 목표였음. 가상현실, 증강현실 환경에서 3차원 시지각을 측정할 수 있는 플랫폼을 구축하였고, 64채널 뇌파 장비를 구축하고 연구에 활용할 수 있도록 검증하였음. ⦁ 지난 수 년간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병 상황에서 온라인 연구에 대한 관심과 필요성이 증가하였고, 본 과제의 지원을 받아 온라인 환경에서 시각 자극을 통제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한 SCI급 논문(Scientific Reports)은 지난 2년여간 총 44번 인용(Google Scholar Citation)되었음. ⦁ 3차원 환경에 제시된 여러 자극 중 예측 가능한 패턴 속에 제시된 자극에 대한 초기 시각 피질의 신경 반응을 반영하는 행동 연구를 수행하여 한국연구재단 등 재지(감성과학)에 출판하였음. ⦁ 뇌자도(MEG)를 활용하여 특정 시각 패턴인 글자와 단어가 제시되었을 때 뇌의 읽기 회로에서 발생하는 자동적인 신경 반응을 측정하여 난독증이 있는 아동들의 언어 영역에서의 신경 반응을 예측한 논문을 SCI급 저널(Brain and Language)에 출판하였음. ⦁ 자기공명영상(MRI)과 뇌자도를 활용하여 단어에 대한 초기 시각 피질의 반응과 시방선(optic radiation)의 발달 간의 관계를 조사한 논문을 SCI급 저널(Human Brain Mapping)에 출판하였음. □ 연구개발성과의 활용 계획 및 기대효과(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 본 연구결과는 완벽하게 통제된 실험실 환경에서만 수행되던 시지각 실험을 온라인 환경에서 수행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어, 소수 참가자의 데이터에 의존하던 기존의 패러다임에서 벗어나 빅데이터를 수집하여 연구결과를 도출할 수 있는 연구에 활용되고 있음. ⦁ 특정 시각 패턴인 단어 대한 언어 영역의 자동성에 관한 연구는 학령기 아동들의 발달과 학습 분야에 적용할 수 있음. 특히 약시와 난독증이 있는 아동들의 읽기 학습 및 개입 프로그램 개발에 활용될 수 있음. 또한 난독증이 있는 아동들을 조기에 발견할 수 있는 신경기제를 밝힘으로써 학령 아동의 읽기 학습 능력 향상에 이바지 할 수 있음. ⦁ 초기 시각 피질의 신경 반응과 시방선 발달과의 관계는 미취학 아동 및 초기 학령 아동의 발달 연구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음.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주성준
    • 주관연구기관 : 부산대학교
    • 발행년도 : 20220300
    • Keyword : 1. 3차원 시지각;단안 단서;양안 단서;뇌자도;자기공명영상; 2. 3D perception;monocular cue;binocular cue;MEG;MRI;
  • 11958

    2022.02.28

    □ 연구개요 뇌종양 환자의 방사선 치료후 만성적으로 나타나는 방사선 신경손상(학습인지능력장애 등)에 대한 치료법 개발 기초연구의 일환으로 방사선에 의한 신경세포 손상 제어를 위한 생물학적 표적자로서 대사성 글루탐산수용체(mGluR1)의 유용성을 검증하고자 하였음 □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 in vitro에서 mGluR1와 방사선 신경손상과의 연관성 분석 - 신경세포의 방사선 손상과정에서 다양한 퇴행성 뇌질환과 연관된 것으로 보고된 대사성 글루탐산 수용체(metabotropic glutamate receptors, mGluRs)의 발현이 증가하는 것을 관찰함으로써, mGluRs의 발현증가와 신경세포의 방사선 손상이 연관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음 - 방사선조사에 의해 미분화신경세포가 과다한 신경세포로의 분화가 유발됨을 확인하였고 mGluRs 중에서 mGluR1을 억제한 경우에만 이러한 과다 신경세포 분화 현상이 감소됨을 확인하여 mGluR1이 방사선에 의한 과다 신경세포 분화에서 중요한 역할을 함을 검증하였음 ○ in vitro에서 방사선에 의한 신경염증과 mGluR1의 연관성 분석 - 방사선 조사로 염증반응이 유발된 소교세포 배양액을 신경줄기세포주 배양시 첨가하였을 때, 신경줄기세포의 생존율의 감소와 과다 신경세포로의 분화 등 신경줄기세포에 방사선을 직접 조사했을 때와 유사한 손상이 관찰되었음 - 이로부터 방사선에 의한 신경줄기세포 손상 과정에서 방사선에 의한 직접적인 신경줄기세포 손상뿐 아니라 소교세포의 염증반응에 의한 간접적인 손상도 중요한 역할을 함을 제시하였음 ○ mGluR1 활성조절에 의한 방사선 신경세포 손상 조절 분석 - 신경줄기세포에 mGluR1 수용체에 대한 억제제가 방사선에 의해 유도되는 신경세포 과다 분화 등 신경세포 손상을 억제함을 확인하였음. - 두경부 방사선조사 마우스에서 mGluR1 억제제 투여시 일부 인지학습 관련 행동학적 지표에서 방사선 조사에 의한 행동변화가 감소됨을 확인함 - 이로부터 mGluR1 조절을 통해 방사선에 의한 신경손상과 행동장애를 조절할 수 있을 가능성을 제시하였음 □ 연구개발성과의 활용 계획 및 기대효과(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 뇌종양에 대한 방사선 치료후 50% 이상의 환자에서 나타나는 학습인지기능 장애는 환자의 삶의 질을 하락시키는 원인이나 아직까지 효과적인 치료법이 없어 이를 극복할 수 있는 기술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음 ○ 방사선 신경세포 손상에 대한 새로운 생물학적 표적으로서 대사성 글루탐산 수용체를 발굴함으로써, 방사선 신경손상 저해제 발굴에 활용하여 뇌종양의 방사선치료시의 만성부작용으로 나타나는 학습인지능력 장애, 감정조절 장애 등을 예방/치료하고 또한 이와 유사한 메커니즘으로 유발되는 퇴행성 신경질환, 말초신경병증 및 할 수 있는 의약품 연구를 위한 개발위한 원천기술 구축이 가능할 것임 ○ 방사선 신경손상과 유사한 다양한 요인의 뇌질환/신경질환 치료기술 개발에 활용됨으로써 국민 보건증진에 기여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정우희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연구원
    • 발행년도 : 20220300
    • Keyword : 1. 방사선치료;신경손상;대사성 글루탐산 수용체;신경분화;신경염증; 2. radiotherapy;neuronal injury;metabotropic glutamate receptor;neuronal differentiation;neuroinflammation;
  • 11957

    2022.01.31

    1. 연구개발과제의 개요 1) 연구개발의 목적 □ 개발 대상 ◦ 원전해체1)를 위한 레이저 제염2) 및 수중 레이저 절단 수행을 위한 공정 모듈과 제염 공정의 정밀도를 높이기 위한 실시간 방사성 오염물질 모니터링 기술 개발 2) 연구개발의 필요성 및 범위 ◦ 레이저를 이용한 일차계통 부분 제염 및 실시간 모니터링 기술 개발 - 방사성 오염물질을 30초 이내로 판독하면서 99%이상 지역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국부 레이저 제염 원천기술의 특허 확보 및 국부 레이저 제염 모듈 - 면적 100㎠ 당 2분 이내로 방사성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광학모듈 - 레이저를 이용하여 방사성 오염물질을 30초 이내로 판독할 수 있는 광섬유 기반 측정 모듈 (출처 : 본문 : 1. 연구개발과제의 개요 2p)
    • 연구책임자 : 최지연
    • 주관연구기관 : 한국기계연구원
    • 발행년도 : 20220200
    • Keyword : 1. 레이저 제염;수중 레이저 가공;레이저 유도 붕괴 분광 분석;수중 레이저 절단헤드;레이저 광학 모듈; 2. Laser decontamination;underwater laser processing;laser induced breakdown spectroscopy;under water laser cutting head;laser optical module;
  • 11956

    2022.10.31

    Ⅳ. 연구개발결과 - 방사광 X-선 형광 이미징 기반 스테레인스강 2종의 2차원 화학 성분 분포 가시화 - 방사광 X-선 투과 이미징 기반 세라믹 소재 3종의 내부 기공 분포 정량화 - 방사광 X-선 회절 분광 기반 자성 분말 소재 상전이 거동 측정 조건 최적화 - 백색광 X-선 리소그래피 기반 고종횡비 고분자 마이크로 패턴 제작 공정 최적화 - 백생광 X-선 투과 이미징 기반 다층적층금속소재 3종의 3차원 내부구조 가시화 가능성 평가 - 방사광 기반 실험 및 데이터 분석 관련 교육 실시 (출처 : 요약문 4p)
    • 연구책임자 : 박이호
    • 주관연구기관 : 한국재료연구원
    • 발행년도 : 20221100
    • Keyword : 1. 방사광;X-선 이미징;소각 X-선 산란;X-선 회절 이미징;고분해능 분말 회절;X-선 리소그래피; 2. Synchrotron radiation;X-ray imaging;Diffraction computed tomography;Small angle X-ray scattering;High resolution powder diffraction;X-ray lithography;
  • 11955

    2022.04.30

    비공개항목입니다.
    • 연구책임자 : 김성운
    • 주관연구기관 : 강원대학교
    • 발행년도 : 20220500
    • Keyword : 1. 아스팔트 자가회복;마이크로웨이브 조사;인장강도 회복률;휨강도회복률;열전도성 섬유; 2. Asphalt self-healing;Microwave radiation;Tensile strength recovery ratio;Flexural strength recovery ratio;Conductive fiber;
  • 11954

    2022.02.28

    연구개요 ○ 연구개발의 최종목표: 본 과제는 “면역증강제를 활용한 치주질환 점막백신 개발” 과제의 연구 성과와 본 연구자가 보유하고 있는 원천기술을 기반으로 하여 1) 치주백신 요법이 치주질환-관련 전신 질환의 진행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여 치주백신 적응증을 확대하는 연구를 진행하고, 2) 선행 과제에서 확보한 면역세포 타겟팅 분자를 활용한 업그레이드 백신 기술을 도출하며, 3) 점막 투여한 플라젤린 면역증강제에 의한 점막장벽 보호 작용기전을 규명함으로써, 4) 궁극적으로 “Dysbiotic microbiome을 제어할 수 있는 원천 면역 백신 기술”을 창출하는 것을 최종 목표로 함.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작용기전 업그레이드 연구: 점막항상성 유도 기전 ⦁DSS 모델을 활용한 검증 - 플라젤린 유도체의 방어 효과 확인 - 플라젤린 유도체에 의한 intestinal barrier function 보호 효과가 플라젤린에 의해 유도되는 반응임을 확인함 ⦁Radiation 모델을 활용한 검증 - 최적의 방사선 피폭 보호 효과를 나타내는 플라젤린 최적 투여법을 확인함. - RNA-seq 결과를 분석한 결과 플라젤린 처리에 의해 유의 있게 변하는 유전자군을 분석함. - 이 중 LCN2 유전자의 중요성을 확인함 ⦁생체 내 산소분압 변동에 따른 세균 적응기전 규명 - Microbiome (병원성 및 비병원성 미생물 포함)이 상존하는 점막 조직에서 점막 환경에 적응하고 점막 항상성 유지에 필수적인 세균의 적응 기전을 규명함. - 논문: Emegring Microbes & Infections 2019 ∎적응증 업그레이드 연구: 응용 범위 확대 ⦁Tannerella firsythia (Tf) 백신 요법 확립: 기반 확립 / 효능 검증 ⦁임상 상황을 대변할 수 있는 최적의 치주 질환 모델 확립 및 이를 활용한 치주 백신 제제 효능 검증 ⦁Tannerella firsythia (Tf) 백신을 포함하는 3가 백신법 확립 및 효능 검증 ⦁치주 질환 유발 세균 유래 항원에 반응할 수 있는 단클론 항체 도출: 응용 범위 매우 넓음 ⦁신경 퇴행성 질환 백신 요법 도출 및 효능 검증 ⦁플라젤린 면역증강제를 포함하는 최적 면역치료법 조건 확립: 플라젤린 적용 범위확대에 기여 ∎백신기술 업그레이드: 면역세포 타겟팅 활용 ⦁면역세포 타겟팅 분자를 활용한 백신 요법: 플라젤린 면역증강제 업그레이드 기술 플랫폼 확립 (범용성 응용의 기반을 마련함) ⦁Cell permeable peptide를 활용한 백신 요법 개발 연구개발성과의 활용 계획 및 기대효과(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 추가 원천 기술 확보 및 구현 성과 ∎ 작용 기전이 명확한 치주질환 근본 치료법(fundamental therapeutics) 제시 ∎ 플라젤린의 점막 항상성 조절 기전 규명 및 응용 가능성 검증 ∎ 범용성 기술 개발 ∎ Microbiome 제어를 위한 플랫폼 기술 제공 ∎ 작용 기전이 명확한 치주질환 근본 치료법(fundamental therapeutics) 제시 ∎ 면역증강제 원천기술을 활용한 새로운 패러다임의 병용 치료법 제시 가능 ∎ 후속 연구 / 사업화 / 기술이전에 응용할 수 있는 파이프 라인 발굴 (출처 :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이시은
    • 주관연구기관 : 전남대학교
    • 발행년도 : 20220300
    • Keyword : 1. 면역증강제;치주백신;플라젤린;업그레이드;범용성; 2. Adjuvant;Periodontal vaccine;flagellin;upgrade;broad application;
  • 11953

    2022.02.28

    □ 연구개요 최종연구목표: 신장섬유화에 대한 신장 내 대식세포의 Nuclear Factor Erythroid 2-Related Factor 2(Nrf2) 단백질의 역할과 작용기전 규명을 통한 신장섬유화의 발병과 진행 기전 확립 ⦁ 본 연구는 신장섬유화(renal fibrosis) 실험 모델에서 대식세포(macrophage)의 Nrf2 유전자의 역할과 작용기전을 규명하고자 함 ⦁ 신장섬유화의 발병과 진행에 대한 신규 기전을 규명하고자 하여 향후 대식세포 Nrf2를 표적하는 새로운 신장섬유화 치료법 개발의 기반을 마련하고자 함 □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 대식세포-특이 Nrf2 유전자 결손 생쥐 제작: Nrf2 floxed 생쥐와 LysM-cre transgenic 생쥐를 교배하여 대식세포에서만 Nrf2 유전자가 결손 된 생쥐(M-Nrf2 KO)를 제작하였음 ⦁ 신장 손상 모델 확립: UUO(unilateral ureteral obstruction), ischemia-reperfusion injury에 의한 신장섬유화 등 신장손상과 신장 섬유화 모델을 확립함 ⦁ 대식세포-특이 Nrf2 유전자 결손 생쥐에서 신장 섬유화 발생 정도 비교: 정상 생쥐에 비하여 M-Nrf2 KO 생쥐에서 UUO에 의한 신장섬유화가 유의하게 감소함. 따라서 대식세포 Nrf2가 신장섬유화를 촉진하는 것임을 알 수 있음 ⦁ 정상 생쥐 대비 M-Nrf2 KO 생쥐에서 신장섬유화의 기전 비교: UUO에 의한 신장 섬유화 관련 유전자들이 전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특히 염증관련 유전자들의 발현 감소가 두드러짐. 즉 대식세포의 Nrf2가 염증 촉진 cytokine의 발현에 필요함을 알 수 있음 ⦁ 신장섬유화에 대한 Nrf2 activator(DMF)의 효과 분석: DMF는 UUO에 의한 신장섬유화를 다소 감소시켰음. 이러한 감소효과가 M-Nrf2 KO 생쥐에서는 더욱 크게 나타남. 즉 Nrf2 activator의 작용이 신장내 세포마다 다르게 작용하며 Nrf2 activator를 이용한 신장섬유화 치료법이 새롭게 고안되어야 함을 시사받음 □ 연구개발성과의 활용 계획 및 기대효과(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 새로운 지식 기반 마련: 급성신손상을 포함한 신장섬유화의 병태생리에 대한 향상된 이해를 유도할 수 있고 이를 바탕으로 신장병 치료 분야에서도 불특정 다수의 세포에 대한 치료보다는 표적 세포에 대한 치료법을 도입하여 부작용을 최소화시키고 치료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 장기 효과: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신약 개발의 근거 및 지식으로서 활용되어 관련 산업재산권 출원 등의 성과를 거둘 수 있을 것이며 본 연구를 토대로 배양된 연구 능력을 후속 연구 및 관련 기술 축적에도 적용하여 학문적 파급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 Nrf2의 표적 유전자를 신장으로 침윤하는 대식세포에서 동정할 수 있을 것이며 이를 통하여 Nrf2 전사네트워크를 규명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 신장섬유화 발생시의 Nrf2에 의한 신호전달체계를 확립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김호식
    • 주관연구기관 : 가톨릭대학교
    • 발행년도 : 20220300
    • Keyword : 1. 신장섬유화;대식세포;전사인자;염증;신장손상; 2. Renal Fibrosis;Macrophage;Transcription Factor;Inflammation;Kidney Injury;
  • 11952

    2022.05.31

    □ 연구개발 목표 • 전사인자 기능제어를 통하여 염증성 자가면역 미세환경을 조절할 수 있는 맞춤형 신약개발 • 염증성 자가면역 미세환경을 유도하는 전사인자의 기능을 제어하는 단백질신약의 개발 및 작용기작 연구 □ 연구개발 내용 • 핵심 전사인자에 의하여 유도 발현되는 다양한 염증인자들로 구성된 염증성 자가면역 미세 환경은 자가 면역질환의 유도 및 진행에 핵심적인 병인요소로서, 이들 전사인자의 기능제어를 통한 염증 미세 환경의 제어는 first-in-class 맞춤형 미래신약전략임. • 본 연구에서는 in vitro and in vivo에서 이들 핵심전사인자 (NFkB, Tbet, GATA-3, Foxp3 및 RORgt)의 중요기능부분 (TMD=Transcription Modulation Domain)을 선택적으로 타겟 세포의 핵 내로 전달하는 단백질신약 (ntTF-TMD)을 개발하여, 유전적 변이가 없는 정상적인 생체환경에서 이들 신약의 자가면역 미세환경 제어에 의한 질환치료효과, 작용기작 및 선택성을 실시간 이미징 기술을 이용하여 검증한 다음, 전임상시험 단계로 진입하고자 함. • 특정한 타겟 세포에 ntTF-TMD를 전달할 수 있는 타겟 특이적인 ntTF-TMD를 제작하여 다양한 자가 면역질환 동물모델에 제작한 타겟 특이적인 ntTF-TMD를 주입하고 in vivo에서 질환 치료효과를 분석할 것임. □ 활용계획 및 기대효과(응용분야 및 활용범위 포함) • ntTF-TMD와 이에 의해 병인적 T 세포를 기능 전환하는 새로운 유전자들에 대한 mAb/IgG-chimeric receptor는 염증성 자가 면역 미세 환경을 제어할 수 있는 first-in-class 맞춤형 미래신약이 될 것임. • 특정한 전사인자가 병인적인 역할을 하는 질환에서 전사인자의 기능을 제어할 수 있는 신약개발을 위한 핵심기반기술로서, 염증성 자가 면역질환뿐만 아니라 다양한 다른 질환들에 대한 새로운 치료제개발로의 큰 파급효과가 있음. • Specific T cell subset의 기능적 plasticity를 조절할 수 있는 ntTF-TMD를 이용하여 자가면역환경의 면역 밸런스를 바로 잡을 수 있으며, 이는 자가면역질환의 종류에 따라 환자를 선택적으로 치료할 수 있는 새로운 면역억제 치료제로 이용될 수 있음. • 특정 세포의 면역활성 전사인자를 조절할 수 있는 Target-specific ntTF-TMD는 기존의 mTOR, Calcineurin target 면역 억제제가 가지고 있는 side-effect를 최소한으로 하는 단백질신약으로 자가면역질환과 장기이식에 광범위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됨. (출처 :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이상규
    • 주관연구기관 : 연세대학교
    • 발행년도 : 20220600
    • Keyword : 1. 자가면역질환;만성염증질환;T 세포 아형;전사인자;핵 내로의 단백질전달;염증미세환경;단백질 신약;면역 가소성; 2. Autoimmunity;Chronic inflammation;T cell subsets;Transcription Factor;Intra-nuclear delivery;Inflammatory micro-environment;Protein drug;immune system plastic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