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년 전년도 기술발전을 분석하여 파급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되는 10대 유망기술을 발표한 결과, 개인별 맞춤형 정보제공을 가능하게 하는 '소셜 색인(social indexing)', '지능형 변압기(smart transformer)', 신체동작을 이용해 컴퓨터를 제어하는 '동작 인터페이스(gestural interface)', '암 유전체학(cancer genomics)', '합성세포(synthetic cells)' 등이 선정
------------------------------------------------------------------------------------------------
1. 개요
□ ‘테크놀로지 리뷰(Technology Review)*‘紙는 매년 전년도 기술 발전을 분석하고, 파급효과가 클 10대 유망기술(Emerging Technology)을 선정·발표
* MIT 소유의 테크놀로지 리뷰社가 발행하고 있는 기술관련 잡지
2. 10대 유망기술
소셜 색인 (Social Indexing)
○ 개인별 맞춤형 정보제공을 가능하게 하는 온라인 서비스 기술
- 사용자 뿐 아니라 지인의 정보 및 취향을 다수의 웹사이트로부터 효과적으로 수집
※ 사용자가 뉴스, 사진 등에 연결된 특정 버튼(‘like’ 버튼)을 클릭하면, 해당 내용에 관한 정보(링크)는 사용자의 지인과 공유하게 됨
○ 이러한 기능이 수 억 이상의 사용자와 결합하게 되면 관심사를 지인에게 알리는 것뿐 아니라, 강력한 자료수집 도구로 활용 가능
준동형 암호화 (Homomorphic Encryption)
○ 수학적 연산을 이용하여 암호화된 데이터와 암호화되지 않은 데이터간의 의사소통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
- 클라우딩 컴퓨팅*을 통해, 암호화되어 서버에 저장된 데이터는 복호화(암호 해독)하기 전에는 그 내용을 알 수 없었던 문제 해결
* Clouding Computing : 구름과 같이 무형의 형태로 존재하는 컴퓨팅 자원을 자신이 원하는 만큼 사용한다는 의미로, 이용자의 모든 정보를 인터넷 상의 서버에 저장하고, 이 정보를 각종 IT기기를 통해 언제 어디서든 이용
○ 암호화된 데이터를 해독하지 않고 보존한 상태에서도 내용을 분석할 수 있게 되어 클라우딩 컴퓨팅의 보안을 강화
※ 예 : 고용인들의 이메일내용을 암호화하여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하였을 때, 개개의 이메일을 열어보지 않고도 분석을 수행하여 직원간 협력실태 등의 정보 산출 가능
지능형 변압기 (Smart Transformer)
○ 전력 수요·공급의 변화에 실시간 대응이 가능하며, 교류 뿐만 아니라 직류도 제어할 수 있는 지능형 소형 변압기
- 중앙발전소에서 소비자에게 전력을 전달하는 1:N 방식이 아닌 N:N 방식의 전력 전달을 위한 지능형 변압기 기술
○ 태양전지판이나 전기자동차를 전력망에 연결하여 소규모의 재생에너지 활용을 용이하게 하여 화석연료 의존도를 낮추는데 기여
- 전력망으로 하여금 다수의 전기차를 충전할 수 있게 하며, 주택가의 태양전지판에서 생산된 잉여 전기 활용을 가능케 함
클라우드 스트리밍 (Cloud Streaming)
○ 고성능 소프트웨어의 처리결과를 모바일 기기에 실시간전송하기 위해 필요한 비디오 스트림 압축 기술
- 높은 연산능력을 필요로 하는 그래픽 소프트웨어를 서버에서 구동하고 그 결과를 비디오 스트림의 형태로 모바일 기기에 전송
○ 인터넷이 연결된 스마트폰, 태블릿 등의 모바일 기기에서도 복잡한 영상 편집이나 그래픽 어플리케이션 구동을 가능하게 함
※ 예 : 스마트폰으로 영화를 볼 때 DVD 플레이어와 같이 되감기, 빨리감기 실시간으로 가능
동작 인터페이스 (Gestural Interface)
○ 신체의 동작을 이용해 컴퓨터를 제어하는 기술
–신체의 3차원 움직임을 인식해 TV 또는 자동차에 장착된 컴퓨터를 제어할 수 있는 기술
–헬멧이나 글러브 없이 사용하는 3D TV 버추얼 시스템을 개발 중이며, 호주에서는 항공교통 모니터링 시스템에 사용 중
충돌방지 코드 (Crash-Proof Code)
○ 정형기법*을 소프트웨어 검증에 적용하여 안정성을 강화하는 기술
* formal methods : 원래는 하드웨어 논리회로 검사를 위해서 개발된 방법으로, 개발하려고 하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에 요구되어지는 사항이 수학적·논리적 측면에서 올바르게 만족되었는지 증명하는 검사 방법
- 스마트폰, 자동차, 전자기기 등의 프로세서에 사용되는 핵심 운영 시스템의 대부분은 정형기법을 통해 검증 가능
○ 자동차 및 의료장비 등 안정적 운영이 매우 중요한 부문에서 소프트웨어 오류로 인한 참사 및 위험을 방지하는데 기여
암 유전체학 (Cancer Genomics)
○ 암환자의 정상 세포와 암조직 세포의 DNA를 비교해 암과 관련된 수만 개의 돌연변이 정보를 분석하는 기술
○ 환자의 예후(질병의 경과)예측과 치료방법 선택에 관한 정보 제공
- 돌연변이에 따른 치료방법의 효과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약물의 선택, 약 개발을 포함한 치료법 발전에 활용
※ 예 : ’08년 Washington대학의 연구에서는 골수암 환자의 치료에 전통적 화학요법보다 골수이식이 효과적임을 제시하였고, 최근에는 유방암에 대한 다양한 치료제의 효과분석 연구가 수행되고 있으며, 의사 및 환자에 대한 상업적 서비스를 준비하는 회사도 등장
염색체분리 (Separating Chromosomes)
○ 한 쌍씩 존재하는 염색체를 분리한 후 단일 염색체별 유전정보를 분석함으로써 유전자 정보가 어떤 염색체에 귀속하는지 알아낼 수 있는 기술
- 기존 방법은 부모로부터 받은 한 쌍의 염색체가 갖는 유전 정보가 하나로 통합·분석됨으로써 특정 유전정보의 귀속성 파악이 어려움
※ 이에 비해 Stanford 대학 연구팀은 미세 유동칩을 이용해 염색체 쌍을 단일 가닥으로 분리하고 각각의 유전정보를 분석하는 기술을 개발
○ 질병과 관련된 돌연변이의 염색체 정보를 정확히 분석함으로써 개인별 맞춤의학에 필요한 정보 확보 가능
※ 이 기술을 활용하면, 특정 질병과 관련된 돌연변이가 복수 개 존재할 때 이들이 한 쌍의 염색체 중 동일 염색체에 존재하는 것인지, 혹은 다른 염색체에 존재하는 것인지 분석 가능
고체 배터리(Solid-State Battery)
○ 기존 전해질액을 불연성의 얇은 막으로 대체하여 기존 배터리 시스템을 절반 이하 크기로 줄일 수 있는 고체 배터리 기술
- 기존 리튬-이온 배터리에서 큰 부피를 차지하던 냉각기 등의 부품제거가 가능하고, 배터리 크기와 제조비용을 절반 이하로 감소시킴
- 가연성 전해질액 문제, 음극의 용해성 등 기존 리튬-이온 배터리의 단점을 해결함으로써 배터리의 안전성 확보
○ 고체 배터리 기술은 안전성이 확보된 소형, 저가의 전기자동차를 가능하게 할 전망
합성세포(Synthetic Cells)
○ 컴퓨터로 편집된 세포의 전체 유전정보를 이용해 화학적으로 유전체*를 합성한 후 다른 수용세포**에 삽입함으로써 특정세포를 인공적으로 만드는 기술
* 한 생물체가 지닌 모든 유전정보의 집합체를 뜻하는 말로, 인간의 경우 23쌍의 염색체 중 1세트의 염색체군(23개 염색체)을 이름
** 자신의 염색체가 제거되고, 인공적으로 합성된 염색체를 외부로부터 받아들여 세포질과 세포막 등을 제공하는 세포
○ 합성세포 기술이 발전하면 최소세포(minimal cell)* 설계 가능
* 생명체를 위해 필요한 가장 기본적인 유전체만을 포함하는 세포
- 이러한 최소세포는 바이오연료, 백신을 포함 신약, 산업물질 등을 효율적으로 생산하는 세포 합성에 적용 가능
<별첨>
Technology Review에서 발표한 10대기술(2003~2010)
2003 | 2004 | 2005 | 2006 | 2007 | 2008 | 2009 | 2010 |
Wireless Sensor Networks | Universal Translation | Airborne Networks | Nanomedicine | Peer-to-Peer Video | Cellulolytic enzymes | Intelligent Software Assistant | Real-Time Search |
Injectable Tissue Engineering | Synthetic Biology | Quantum wires | Nano-bio mechanics | Mobile Augmented Reality | Connectomics | HashCache | Social TV |
Nano Solar Cells | Nanowires | Silicon Photonics | Epigenetics | Neuron Control | Atomic magnetometers | Software-defined Networking | Mobile 3-D |
Mechatronics | Bayesian Machine Learning | Metabolomics | Comparative interactomics | Single-Cell Analysis | Surprise modeling | Travelling- wave reactor | Green Concrete |
Grid Computing | T-Rays | Magnetic-resonance Force Microscopy | Diffusion tensor imaging | Nanohealing | Probabilistic chips | Liquid Battery | Engineered Stem Cells |
Molecular Imaging | Distributed Storage | Universal Memory | Cognitive radio | Metamaterials | Reality mining | $100 Genome | Implantable Electronics |
Nanoimprint Lithography | RNA Interference | Bacterial Factories | Pervasive wireless | Optical Antennas | Offline web applications | Paper Diagnostics | Solar Fuel |
Software Assurance | Power Grid Control | Enviromatics | Universal authentication | Compressive Sensing | Graphene transistors | Racetrack Memory | Dual-Action Antibodies |
Glycomics | Microfluidic Optical Fibers | Cell-phone Viruses | Nuclear reprogramming | Personalized Medical Monitors | Nanoradio | Nanopiezoelectronics | Light-Trapping Photovoltaics |
Quantum Cryptography | Personal Genomics | Biomechatronics | Stretchable silicon | Quantum-Dot Solar Power | Wireless power | Biological Machines | Cloud Programming |
* 도표 등과 관련된 상세 내용은 첨부파일을 참조하시길 바랍니다.
* * 본 자료는 국가과학기술위원회와 KISTI 정보분석본부, KISTEP 정책기획실 등에서 분석한 내용을 바탕으로 한 것입니다.
- 저자 : 글로벌 과학기술정책 정보서비스
- Keywor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