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Report

All 722 Page 15/73

검색
  • 582

    2018.11.08

    캐나다 원전운영사인 Bruce Power사와 캐나다천식협회(Asthma Canada)가 공동으로 내놓은 보고서는 캐나다 내 다른 지역도 천식, 알레르기 및 다른 호흡기 질환을 갖고 사는 사람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온타리오 주처럼 해야 할 것이라고 밝히고 있다. 세계보건기구(WHO, World Health Organisation)의 보고서도 2016년 기준으로 15세 미만의 아동 60만 명을 죽게 한 대기오염을 줄일 방법으로 화석연료에 대한 세계적인 의존도를 낮출 것을 권고하고 있다.

    Bruce Power사와 Asthma Canada의 공동보고서인 '캐나다의 청정대기: 장기적 기후변화 목표달성을 위해 석탄발전 탈피를 지원하는 원자력발전의 역할 재조명'(Clean Air Canada: Recognising the role of nuclear power supporting coal phase-out to achieve long-term climate change goals)은 전력생산 부문에서 석탄발전을 탈피하려는 원자력발전의 종합적인 역할을 조명하고 있다.

    캐나다는 2030년까지 석탄화력발전소 폐쇄를 약속한 바 있으며 1990년 이후 석탄소비를 24% 저감했으며 2000년 이후 41% 저감을 달성했다. 보고서는 캐나다가 2014년 마지막 석탄화력발전소를 폐쇄한 온타리오 주처럼 발전부문에서 온실가스(GHG, greenhouse gas) 배출 저감을 위한 긴 길에 들어섰지만 알버타 주나 사스케치완 주와 같은 곳은 여전히 화석연료발전소가 대부분이라고 지적했다.

    보고서는 또 온타리오 주가 화력발전소 폐쇄에 성공할 수 있었던 가장 큰 요인으로 주 내에 있는 원자력발전소를 들었다. Bruce A 원전에 있는 원자로 4기의 설비개선과 재가동을 통해 2003년부터 2012년까지 추가적으로 3,000 MWe에 달하는 무탄소 발전원을 확보하게 된 것이다. 석탄화력발전소 폐쇄로 잃은 발전용량의 70%를 Bruce 원전이 대체한 것이다.

    Ontario 주가 석탄화력발전소를 폐쇄함에 따라 온실가스 배출량이 현격히 감소하여 2005년의 경우 스모그가 발생한 날이 53일에 달했으나 2014년에는 2일로 준 것이 이 사실을 증명하고 있다.

    한편 WHO 보고서에 따르면 거의 80%에 달하는 세계 온실가스 배출은 수송, 에너지 및 전력생산, 건물 냉난방, 전기기구 사용, 제품생산 등 인간의 활동으로부터 나온다고 밝히고 있다. 세계적으로 15세 미만의 어린이 중 93%, 18억 명이 오염된 대기 하에서 생활하고 있어 건강이나 성장이 매우 위험한 상태에 놓여 있다고 덧붙였다. 2016년의 경우 약 60만 명의 어린이가 공기오염으로 인한 급성 하부호흡기감염으로 사망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 저자 : KISTI 미리안 글로벌동향브리핑
    • Keyword : 1. 석탄화력발전소,온실가스,화석연료 의존도 2. coal-fired electricity power plant,GHG(greenhouse gas),reliance on fossil fuel
  • 581

    2018.05.24

    일본 후쿠이 현의 Ohi 원전 4호기가 2018년 5월 11일부터 송전망에 다시 전력을 송출하기 시작했다고 간사이전력㈜가 발표했다. 이 원전은 다음 달 초 상업운전에 들어갈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2011년 3월 후쿠시마 제1원전 사고 이후 일본의 모든 원전이 정지한 이후 Ohi 3,4호기는 2012년 8월 재가동을 위한 승인을 받은 바 있다. 그러나 1,180 MWe 용량의 가압경수로(PWR, pressurised water reactor)인 이 두 원전은 2013년 9월 일본 원전규제기관인 NRA(Nuclear Regulation Authority)의 검사 수행을 위해 다시 정지해야 했다.

    NRA는 2017년 5월 이 두 원전이 2013년 7월 새롭게 도입된 안전규정을 모두 만족한다고 공개했다. NRA는 지난해 8월 간사이전력이 제출한 시설보강계획을 승인했다. 또한 안전설비 건설계획의 적절성을 확인하기 위해 후속 안전점검을 시행했다. 후쿠이 현 지사는 2017년 11월 해당 원전의 재가동을 승인했다.

    간사이전력㈜는 올 2월 193다발의 핵연료 집합체를 Ohi 3호기에 장전했다. 이 원자로는 3월 14일 재가동되었으며 다음 날 연쇄반응 지속상태를 뜻하는 임계에 도달했다. 4월 10일 드디어 상업운전에 재돌입했다.

    4호기에 대한 핵연료장전은 4월 초 완료되었다. 원자로는 5월 9일 재가동되었고 5월10일 원자로가 임계에 도달했다. 간사이전력㈜는 5월 11일 해당 원자로가 오후 5시부터 전력생산을 재개했다고 발표했다.

    Ohi 4호기는 일본이 보유한 운전가능한 원전 총 39기 중 새로운 안전규제기준을 만족해서 운전을 재개한 8번째 원전이 되었다. 현재 재가동에 들어가 있는 원전은 규슈전력의 Sendai 1,2호기, Genkai 3호기, 시코쿠전력의 Ikata 3호기, 간사이전력의 Takahama 3,4호기 등이다. 다른 17기의 원전이 재가동을 신청해 놓은 상태다.

    규슈전력은 2018년 5월 14일 사가 현에 있는 Genkai 원전 4호기의 시험가동 신청을 철회했다고 밝혔다. 이 회사는 해당 원전의 시험 가동을 위해 4월 25일 신청서를 제출한 바 있으며 이는 재가동 전에 최종검사 완료를 위해 필요한 조치였다. 회사 측은 원자로냉각재펌프 밀봉장치 점검을 위해 기동절차를 잠정 중단한 것이라고 해명했다.


    • 저자 : KISTI 미리안 글로벌동향브리핑
    • Keyword : 1. 오이 원전,상업운전,안전규제기준 2. Ohi nuclear power plant,commercial operation,regulatory safety standard
  • 580

    2006.08.11

    2006년 7월 24일, 경제산업성은 종합자원에너지조사회 원자력안전ㆍ보안부회 INES평가 소위원회를 개최하여 원자력시설문제에 대한 평가를 하였다.
    본 소위원회는 경제산업성 소관인 원자력시설에서 발생한 문제에 대해 전문적이고 기술적인 입장에서 국제원자력사상(事象)평가척도(INES)에 기초하여 평가하기 위해 설치되었다.

    이번,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2006년 2월 1일 발생 도쿄전력㈜ 후쿠시마 제1원자력발전소 6호기
    – 하프늄판형 제어봉에 금이 감 등 (평가결과 1)
    (2) 2006년 3월 3일 발생 도쿄전력㈜ 후쿠시마 제1원자력발전소 3호기
    – 하프늄판형 제어봉에 금이 등 (평가결과 1)
    (3) 2006년 3월 14일 발생 도쿄전력㈜ 후쿠시마 제1원자력발전소 2호기
    – 원자로 냉각재 재순환펌프 1대 자동정지 (평가결과 0-)
    (4) 2006년 6월 5일 발생 시코쿠전력㈜ 이카타발전소 1호기
    – 습분분리가열기 증기정류판 용접부에 금이 감 (평가대상외)
    (5) 2006년 6월 7일 발생 도쿄전력㈜ 후쿠시마 제2원자력발전소 1호기
    –잔류열제거계 유량조절변봉에 금이 감 (0-)

    <참고>

    국제원자력사상평가척도(INES)에 대해서

    INES(International Nuclear Event Scale)는 국제원자력기관(IAEA) 및 경제협력개발기구 원자력기관(OECD/NEA)이 원자력발전소 각각의 문제에 대하여 그것이 안전상 어떠한 의미를 가지고 있는가를 간명하게 표현할 수 있도록 지표로서 책정하여 1992년 3월, 가맹 각국에 제언한 것이다.
    현재 일본을 비롯, 프랑스, 영국, 독일, 한국, 러시아 등 세계 59개국이 채택하여 사용하고 있다.

    일본에서도 1992년 8월 1일부터 INES 운용을 개시하였으며, 그 운용에 있어서는 문제발생후 원자력안전ㆍ보안원이 잠정평가로 원인을 규명하여 재발방지대책을 확정한 후에, 종합자원에너지조사회 원자력안전ㆍ보안부회에 설치된 INES평가 소위원회가 전문적이고 기술적인 입장에서 검토하여 정식평가를 하고 있다. 동 소위원회는 현재, 4분기당 1회 정도의 비율로 개최되고 있다.

    <평가등급>

    평가대상외
    등급 0 - 척도 이하로서 안전상 중요하지 않은 사상, 0+ 안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사상, 0- 안전에 영향을 주지 않는 사상
    등급 1-일탈
    등급 2 - 이상사상
    등급 3 - 중대한 이상사상
    등급 4 – 발전소외에 큰 위험을 동반하지 않는 사고
    등급 5 – 발전소외에도 위험을 동반하는 사고
    등급 6 - 대사고
    등급 7 - 심각한 사고
    • 저자 : 글로벌 과학기술정책 정보서비스
    • Keyword :
  • 579

    2019.08.01

    미국 Ohio주 하원은 2018년 7월 23일 원래 예상되었던 2019년 8월 1일보다 일찍 개최된 회의에서 법안 #6를 통과시켰고 Mike DeWine 주지사가 서명함으로써 법제화 되었다. 이 법은 원자력발전소를 포함한 이산화탄소 등 온실가스 무배출 발전사업자에게 청정에너지 크레딧을 제공하는 것을 골자로 하고 있다.

    이 법안은 2019년 4월 12일 Jamie Callender 및 Shane Wilkin 하원의원이 제출한 바 있으며 전력수용가의 전기요금을 낮추면서 Ohio주 내에 탄소 배출없는 발전시설의 건설 및 유지, 탄소배출량 감소 등에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Ohio주 청정대기 프로그램(Ohio Clean Air Program)을 만들 이 법안은 4명의 의원가 불참하여 지난 주에는 표결에 부쳐지지 못했다. Ohio주 상원은 7월 17일 Davis-Besse 원전과 Perry 원전을 지원하기 위해 매년 미화 1억 5,000만 불을 월별 고객요금에서 징수하는 것을 2021년까지 연기하는 내용을 담은 수정안을 통과시켰다.

    미국원자력협회(NEI, Nuclear Energy Institute)는 Ohio주 원전을 계속 가동시키기 위한 이 같은 조치를 환영했다. NEI 측은 주 의회에서 통과된 법안 덕분에 Ohio주 청정에너지원  대다수가 계속 가동될 것이라고 밝혔다. Ohio주의 원자력발전소는 주 내에서 청정 전력의 90% 이상을 생산하고 있으며 4,300개의 일자리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도로, 학교, 공공서비스에 매년 미화 3,000만 불을 기부하고 있다. Ohio주가 탄소배출 없는 원자력발전소를 계속 가동하는 것은 낮은 전기요금 뿐만 아니라 일년 내내 깨끗하고 신뢰성 높은 전력공급을 보장하기 위한 현명한 방법이라고 평가했다.

    Ohio주 에너지 회사인 FirstEnergy Corp.의 파산한 자회사인 FirstEnergy Solutions사는 만약 주정부로부터 일정한 재정적 도움을 받지 못한다면 2020년과 2021년에 Erie호에 있는 Davis-Besse 및 Perry 원자력발전소를 폐쇄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한편, 이번 Ohio주의 결정은 New Jersey, New York, Illinois 및 Connecticut 주가 선도한 결정의 후속타에 해당한다. 상기 주들은 이미 주 내의 원자력발전소의 탄소배출 없는 장점을 계속 활용하기 위한 입법화를 마친 바 있다. 미국 대법원은 2019년 4월 15일 New York 및 Illinois 주의 원전 지속활용 관련 입법에 이의를 제기하는 항소를 기각했다.


    • 저자 : KISTI 미리안 글로벌동향브리핑
    • Keyword : 1. 하원,오하이오주 청정대기 프로그램,온실가스 무배출 발전사업자 2. House of Representatives,Ohio Clean Air Program,zero-emission power producer
  • 578

    2018.11.08

    일본원자력발전(주)(JAPC, Japan Atomic Power Company)가 Tokai 원전 2호기를 60년까지 운전할 수 있는 운영허가 연장 승인을 규제기관으로부터 받았다. 개정된 일본의 원전규제에 따라 원자로는 통상 40년의 운영수명이 허용된다. 하지만 안전기준에 부합할 경우 운영허가 연장은 1회에 한 해 최장 20년이 가능하다.

    JAPC는 1978년 상업운전을 시작한 1,060 MWe급 비등형경수로(BWR)인 Tokai 2호기의 운영허가 20년 연장신청을 규제기관인 NRA(Nuclear Regulation Authority)에 2017년 11월 24일 제출한 바 있다. 2018년 11월 7일 JAPC는 NRA가 이 신청을 승인했다고 밝혔다. Tokai 2호기의 현행 운영허가는 올 11월 28일 만료될 예정이었다.

    일본에서는 현재까지 3기의 가압경수로(PWR, pressurised water reactor)가 운영허가 연장 승인을 받은 바 있다. 이들 원전은 모두 간사이전력사가 소유, 운영하는 Takahama 1,2호기 및 Mihama 3호기다.

    JAPC는 2014년 5월 이바라키 현에 있는 Tokai 2호기의 재가동 승인신청을 NRA에 한 바 있다. 이 원전은 2011년 3월 11일 대지진 시 자동으로 정지되고 외부전원이 상실되었다. 3대의 비상디젤발전기 중 1대가 5.4미터 높이의 쓰나미에 의해 손상되었지만 저온정지 상태에 안전하게 들어갈 수 있었다. 그 이후 운영을 못하고 있었다.

    NRA는 올 9월 26일 JAPC가 제출한 안전조치 이행방안이 새로운 안전요건에 부합된다고 결론을 내리면서 Tokai 2호기의 재가동을 승인했다. 이들 안전조치에는 17.1미터 높이의 잠재적인 쓰나미까지 막을 수 있는 1.7킬로미터 길이의 해안방벽 건설 등이 포함되며 2021년 3월까지 마무리될 예정이다. 미화 16억 불의 재원이 소요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런 보강작업이 완료되더라고 재가동을 위해서는 지자체의 승인이 필요하다.

    Tokai 2호기는 NRA가 재가동을 승인한 15번째 원자로이며 2011년 3월 쓰나미에 의해 손상되었던 원전 중에서는 최초다. 재가동을 승인받은 BWR로서는 3번째다. 나머지 2기는 동경전력의 Kashiwazaki-Kariwa 6,7호기다. 한편 일본 최초의 상업용 원자로인 Tokai 1호기는 166 MWe급 가스냉각로로 1966년부터 1998년 사이 운전되었고 2001년 12월 이후 폐로가 진행되고 있다.


    • 저자 : KISTI 미리안 글로벌동향브리핑
    • Keyword : 1. 규제승인,쓰나미,재가동 2. regulatory approval,tsunami,restart
  • 577

    2007.04.20

    최근 러시아 푸틴 대통령은 인도와의 60년간 외교관계로 인한 인도 국가와의 성과에 대하여 인도 지도자들에게 감사를 표시하였다. 그 내용을 정리하였다.

    1. 러시아는 인도와의 우호관계를 중요시 하였으며 이런 관계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검증된 결과로 나타났으며 안정적이고 성공적이었다.

    2. 러시아와 인도는 냉전시기부터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하였다.두 국가는 1992년 소련의 해제 및 80년대 인도 경제 개혁 시작부터 활발한 경제 발전을 나타내고 있다.

    3. 두 국가는 석유와 개스,핵에너지,무기,우주항공등 분야에서 협력관계를 유지하였다. 그러나 두 국가는 극적인 경제 성장에도 불구하고 경제와 복지 분야의 문제에 직면하고 있다.

    4. 에너지 부족 국가인 인도는 러시아 태평양 해안 근처의 사할린I (Sakhalin) 탄화수소 프로젝트의 동역자이다. 또한 모스크바(Moscow)는 인도가 Sakhalin III  프로젝트와 시베리아(Siberia)에서의 석유 및 개스 발전에 참여할 것을 요청하였다.

    5. 러시아는 아시아 국가에 두개의 원자력 발전소를 세우고 있으며 이런 발전소를 4개 더 세울 것을 제안하였다. 그러나 핵 비확산조약(Nuclear Non-Proliferation Treaty, NPT)에 서명 하지 않은 인도는 이것을 진행하는데 동의하길 기대한다.

    6. 두 국가간의 군사적 협력은 50년전 부터 시작되었으며 인도는 러시아 수출 무기 시장의 40%를 차지한다. 인도 군사력의 80%는 러시아 무기로 갖추어져 있다.

    7. 두 국가는 많은 군사협정을 체결하였다. 최근 러시아의 기술을 전달하여 인도에 RD-33제트기 엔진을 조립하는 기술과 군사 수송용 비행기를 같이 개발하는 협정을 체결하였다. 이는 미국,스웨덴,프랑스와의 경쟁 국가 사이에서 126 MiG-35 제트기에 대한 계약을 보호하기 위한 행동으로 본다.

    8. 러시아는 근년 세계에서 규모있고 민주적인 인도와의 총 무역액이 년간 20억$ 줄어들었다. 최근 모스크바와 뉴델리(인도수도,New Delhi)에서 2010년까지 무역액을 100억$로 증가시킬 것을 제안하였다.

    9. 러시아와 인도의 협력관계는 정치에서도 나타난다. 러시아는 인도가 모스크바 국제연합안전보장이사회(UN Security Council)의 상임 이사국이 되길 지원하였다. 또한 국제 핵심 문제에 대해서 인도는 러시아와 의견을 같이 하고 있다.

    10. 러시아와 인도는 새롭게 생겨나는 국제 관계 시스템 속에서 양국간의 관계를 강화시킬 견고한 기초와 효율적인 메카니즘을 형성하는데 성공하였다.


    • 저자 : 글로벌 과학기술정책 정보서비스
    • Keyword :
  • 576

    2007.12.17

    한국과 러시아가 원자력의 평화적 이용을 보장하고 에너지의 안정적 공급과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원자로에서 핵융합에 이르기까지 원자력력 분야에서의 협력을 폭넓게 강화한다.

    과학기술부는 오는 17~18일 양일간 러시아 모스크바에서 「제12차 한·러 원자력공동조정위원회」를 개최하고 러시아와 원자력정책의제 및 원자로·핵연료·원자력안전·방사성동위원소·핵융합분야의 기술협력 방안을 논의한다.

    주요 협력 분야로는 ◆러시아가 앞선 신형 액체금속로와 중소형원자로 등 원자로분야 ◆첨단연료개발 등 핵연료주기 분야 ◆방사선 안전 및 환경감시 등 원자력 안전 분야 ◆의료용 및 산업용 동위원소 생산 등 방사성동위원소 분야 ◆핵융합연구장치용 초전도자석 기술 연구 등 핵융합 분야 총 15개.

    이번 회의에서는 한국원자력연구원과 러시아 쿠르차토프연구소가 공동으로 개발한 디지털계측제어기기를 러시아 원전에 적용하는 협력을 통해 우리기술의 러시아 진출을 모색하고 신규로 한국원자력연구원과 알레산드로프 기술연구소(NITI)간에 기술협력약정 체결을 제안하여 원자력 중대사고 해석 연구를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금번 회의는 한국의 김영식 원자력국장과 러시아 원자력청 피텔 빅토르(Pitel Victor) 핵물질국장을 수석대표로 양국 원자력분야 전문가 3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지난 제11차 회의 합의사항에 대한 이행실적을 점검하고 관련 기술협력을 위한 추진방향이 논의될 예정이다.

    한편 이번 회의에서 한국측 김영식 국장은 우리나라가 2004년『원자력의 평화적 이용 4원칙』 등에서  천명한 ▲원자력의 이용 평화적 확대 ▲원자력 에너지  안정적 공급 ▲환경보호 및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원자력을 이용을 실천해 나가고 있음을 강조하고

    ▶『제3차 원자력진흥종합계획(‘07~’11)』 수립 ▶고리1호기 계속운전 허가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 처분장 안전심사 진행 현황 ▶세계원자력에너지파트너십(GNEP: Global Nuclear Energy Partnership) 참여 등 지난 1년간의 주요 원자력활동을 소개한다.

    또한 러시아측은 러시아의 국제우라늄농축센터(IUEC: International Uranium Enrichment Center) 추진동향 및 러시아 연방원자력청(ROSATOM)의 국영기업화 추진상황 등을 소개하여 변화된 러시아 국내환경에 대응하는 원자력 협력방안을 함께 모색해 나갈 예정이다.

    한-러 원자력공동조정위원회는 '한국 과학기술부와 러시아 원자력부간 원자력의정서'('90.12.14 서명·발효), '한·러 원자력협력협정'('99.10.8 발효)을 근거로 '91년부터 교대로 회의를 개최해 오고 있다.

     


    • 저자 : 글로벌 과학기술정책 정보서비스
    • Keyword :
  • 575

    2019.10.06

    EDF Energy사는 2019년 9월 25일 영국 Hinkley Point C(HPC) 신규원전 건설프로젝트의 예상비용이 이전 추정치에 비해 미화로 최대 36억 불 밝혔했다. 전력회사와 영국 정부는 차액보전계약(CfD)에 따라 영국 전력소비자나 납세자는 어떠한 영향도 받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2015년 10월 합의에 따라 China General Nuclear(CGN)사는 영국 Somerset에 HPC를 건설하기 위한 EDF Energy 프로젝트의 지분 33.5%를 인수했다. Areva가 설계한 2기의 유럽형 가압경수로(EPR)로 구성된 이 발전소는 거의 20년 만에 영국에서 건설되는 최초의 신규 원전이 될 것이며 영국 내 전력의 7%를 공급하게 된다.

    Hinkley Point C에 두 기의 EPR을 건설한다는 최종합의는 2016년 9월 영국정부, EDF, CGN 간에 나왔다. 여기에는 CfD와 국무장관의 투자협정이 포함되었다. Hinkley Point C가 발전하는 전기에 대한 전기사용자 지원보증가격인 CfD는 원래 2013년 10월에 합의되었으며 첫 35년 동안 MWh 당 GBP92.50을 받을 것을 보장하고 있다. EDF Energy는 2019년 9월 25일 이 프로젝트가 2016년 9월 발표한 일정에 맞춰 6월 원자로측 공통토대를 완공했다고 밝혔다.

    EDF Energy는 2017년 7월에 이미 밝힌 바와 같이 사업상 위험이 실현된다면 2015년 가격으로 7억 파운드의 추가비용이 발생하다면서 이 가정 하에서 EDF의 내부수익률(IRR)은 0.3% 감소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HPC 프로젝트 수익률은 현재 7.6~7.8%로 추정된다. 프로젝트 완료비용은 현재 215~225억 파운드로 추정되는데 19~29억 파운드가 증가하는 것이다.

    2025년 말에 1호기에서 전력을 생산하는 것이 목표다. 영국 기업, 에너지 및 산업 전략부(BEIS)는 건설비용 증가는 전력소비자나 납세자가 아닌 EDF와 투자 파트너가 전적으로 부담된다고 밝혔다.

    한편, 영국 정부는 10월 14일에 종료되는 규제대상 자산기준(RAB) 모형에 대한 평가에 대해 공청회를 개최하고 있다. 이 검토는 소비자들이 에너지 요금을 미리 지불하도록 함으로써 새로운 원자력발전 프로젝트의 비용을 줄이려는 것이다. 원자력발전이 2050년까지 탄소배출량을 순제로로 줄이겠다는 정부 약속의 필수적인 부분으로 보이기 때문에 해결책이 시급하다. 영국의 기존 원전 8기 중 7기는 2030년까지 폐쇄될 예정이다.


    • 저자 : KISTI 미리안 글로벌동향브리핑
    • Keyword : 1. Hinkley Point C(HPC) 신규원전 건설프로젝트,차액보전계약,규제대상 자산기준 2. Hinkley Point C(HPC) project,contract-for-difference (CfD),regulated asset base (RAB)
  • 574

    2019.06.04

    캐나다 방사성폐기물관리기구(NWMO, Nuclear Waste Management Organisation)와 캐나다 해양네트워크(Ocean Networks Canada)는 파트너십을 맺고 깊은 심지층 방사성폐기물처분장에 사용하려는 공학적 방벽 시스템 요소의 거동을 더 잘 이해하기 위해 6개월간의 수중실험을 처음으로 수행했다. Ocean Networks Canada는 University of Victoria의 해양학 연구 및 모니터링 기관이다.

    British Columbia 주 해안에서 벤토나이트(bentonite) 점토로 둘러싸인 구리 동전은 수면 아래 90미터 아래에 가라앉아 있었다. 이 구리 동전은 현재 University of Waterloo과 University of Western Ontario의 연구진에게 보내져 벤토나이트 점토가 미생물 활동 및 다른 부식작용으로부터 구리를 얼마나 잘 보호하는지 알아보기 위한 시험을 하고 있다.

    NWMO는 Ontario에 건설할 심지층처분장에 벤토나이트 점토에 싸인 구리 코팅된 사용후핵연료 캐니스터를 공학적 방벽시스템과 같이 사용할 계획이다.

    구리와 벤토나이트 점토가 거친 해양조건에 어떻게 견디는지는 알아낸다면 내륙 처분장 지하에서 그것들이 어떻게 거동할 것인지도 알기 쉬울 것이다. NWMO가 가장 먼저 할 것으로 예상하는 수중실험을 통해 연구진은 압력 하에서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그 물질들의 거동을 잘 이해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NWMO의 부식학 전문가(Jeff Binns)는 바다 밑바닥의 짜고 미생물학적으로 활성이고 산소가 낮은 환경은 심지층처분장의 상태를 가속하여 시험할 수 있다고 밝혔다. 또한 최종적으로 공학적 방벽시스템은 지하 2.6킬로미터 깊이에 위치할 수 있으며 연구진은 같은 수김에서 사용후핵연료가 들어있지 않은 실제 크기의 저장용기를 시험할 수 있기를 원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NWMO는 Adaptive Phased Management로 알려진 계획에 따라 캐나다 내 사용후핵연료의 안전하고 장기적인 관리를 설계하고 이행하는 책임을 맡고 있다. 이 접근방식은 2007년에 캐나다 연방 정부에 의해 선택되었으며 수십 년에 걸쳐 구현될 것이며 부지 선정 및 규제 승인 이후 10년간 해당 시설 건설이 이루어질 것이다.

    처분장 부지 선정을 위한 다년간의 지자체 중심 프로세스가 2010년에 시작되었다. 현재 Hornepayne, Huron-Kinloss, Ignace, Manitouwadge 및 South Bruce 등 5개 지역이 연구의 초점이 되고 있다. 이전에 부지선정 과정에 참여했던 16개 지역은 더 이상 연구되지 않고 있는데 이는 완료된 연구결과에 따라 배제되었거나 지자체가 자진 철회했기 때문이다.


    • 저자 : KISTI 미리안 글로벌동향브리핑
    • Keyword : 1. 심지층 방사성폐기물처분장,공학적 방벽 시스템,벤토나이트 점토 2. deep geological repository,engineered-barrier system,bentonite clay
  • 573

    2017.01.23

    아랍에미레이트(UAE)는 2050년까지 전체 에너지믹스에서 청정에너지 비율을 50%까지 증대시킬 계획을 발표했다. UAE의 새로운 에너지 전략은 전체 에너지의 절반을 신재생에너지와 원자력으로 나머지 절반은 화석연료로 생산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 전략은 UAE의 두바이 총리인 셰이크 모하메드 빈 라시드 알 막툼 부통령이 2017년 1월 10일 발표했다. 셰이크 모하메드 부통령은 UAE가 2050년까지 6천억 디르함(약 192조 원)을 투자하여 급성장하는 에너지 수요를 충족시키고 지속가능한 경제성장을 보장할 것이라고 밝혔다. UAE측은 새로운 에너지 계획이 공급과 수요의 균형을 유지하는 동시에 환경에 대한 국제사회의 의무를 고려한 결과이며 연방정부의 관리하에 UAE의 모든 에너지 관련당국과 집행위원회가 공동으로 개발해 사회 여러부문 간 동반성장에 도움이 되는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노력했다고 밝혔다.

    UAE측은 이와 더불어 새로운 에너지전략이 6%의 연간 성장률과 전력생산으로 인한 향후 30년 동안 70% 가량의 탄소 발자국 감소와는 별도로 2050년까지 에너지믹스에서 청정 에너지의 비율을 25%에서 50%로 증가시키고자 하는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수립되었다고 밝혔다. 또한 해당 계획이 공급과 수요에 기초한 UAE 최초의 통합 에너지전략이라고 밝히면서 걸프만협력기구 (GCC, Gulf Cooperation Council) 국가간 경제구조가 유사하고 국민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보장하기 위해 통합된 GCC 에너지전략을 갖기를 희망한다고 밝혔다.

    이 전략은 2050년까지 청정에너지를 뜻하는 신재생에너지 44%, 가스 38%, 청정 석탄 12%, 그리고 원자력 6%로 구성된 에너지믹스를 목표로 하며 주거용 에너지 소비를 40% 가량 줄임으로써 에너지 소비문화를 변화시키는 것도 겨냥하고 있다.

    UAE 에미레이츠원자력공사(ENEC, Emirates Nuclear Energy Corporation)은 현재 바라카에 한국이 설계한 4기의 원자로를 건설 중이며 그 중 첫 번째 원자로는 올해 말에 가동될 것으로 예상되며 4기의 원자로 건설이 완료되면 해당 원자력발전소가 UAE 총 전력의 1/4을 공급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어제 개최된 Atlantic Council Global Energy Forum에서 ENEC측은 75% 가량 완료된 해당 프로젝트가 세계에서 가장 큰 규모의 원자력 건설현장이라고 밝히면서 UAE의 평화적인 원자력 에너지 개발은 이미 UAE와 전 세계의 많은 전략적 부문에서 확고한 가치를 창출했다고 발표했다.


    • 저자 : KISTI 미리안 글로벌동향브리핑
    • Keyword : 1. 에너지 정책, 아랍에미레이츠, 에너지믹스 2. energy policy, UAE, energy mi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