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Report

All 12,453 Page 99/1,246

검색
  • 11473

    2020.02.29

    연구개요 ○ 핵수용체 small heterodimer partner (SHP/NR0B2)는 답즙산 생합성 (bile acid biosynthesis)를 비롯한 다양한 에너지 대사경로에 전사인자로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으며, Shp knockout (KO) mice에서 spontaneous liver tumor가 발병됨에 따라 tumor suppressor gene으로도 알려져 있음. ○ 하지만, 현재까지 SHP의 오타퍼지 조절 기전에 관한 연구는 전무하며, 에너지 대사와 관련하여서도 새롭게 개발된 다양한 실험기법들을 통한 더욱 세밀한 연구 진행이 필요함. ○ 또한, SHP의 새로운 표적 유전자 발굴 및 전사조절 기전을 이해하는 것은 핵수용체 SHP의 endogenous ligand의 발굴과 더불어 핵수용체 연구의 매우 중요한 분야임. ○ 따라서, 본 연구과제는 핵수용체 SHP의 오타퍼지 및 에너지 대사 조절 기전을 이해하고 이와 관련된 표적 유전자를 발굴하여, 핵수용체 SHP에 의해 조절되는 새로운 내분비 신호 전달 체계를 확립하고자 함.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 PAS staining과 글리코겐의 생화학적 측정을 통해 매우 많은 양의 글리코겐이 Shp-/- mice 간조직에 축적되어 있음을 확인 함. 또한, 간조직의 대세체 분석을 통해 글리코겐 합성에 필요한 substrate인 UDP-glucose의 양도 증가되어 있음을 확인함 - WT 과 Shp-/- mice 간조직에서 수행한 RNA-seq 데이터를 KEGG 경로로 분석한 결과, SHP은 다양한 지질 대사 및 약물 대사 경로에서 관련되어 있음을 확인함. 하지만, 글리코겐의 대사와 관련된 효소의 발현량 및 단백질의 활성에는 큰 차이가 없음 - 이에 본 연구진은 글리코겐 대사와 빌리루빈 대사를 동시에 조절할 수 있는 효소발현에 주목하였음. 그 결과 volcano 및 volume plot에서 Ugdh 유전자의 발현이 감소되어 있음을 발굴하고, Ugdh mRNA와 UGDH 단백질이 Shp-/- mice 간조직에서 매우 많이 감소되어 있음을 재검증 하였음 - 전사 억제자로서의 SHP의 기능을 고려할 때 Shp-/- mice 간조직에서 감소된 Ugdh mRNA 결과는 SHP이 Ugdh 유전자의 발현을 간적접으로 조절할 가능성을 제시함. - 또한, Shp-/- mice 간조직은 해당과정 (glycolysis) 및 TCA cycle의 매우 중요한 중간 대사체인 G6P, F6P, 3-PG, 2-PG, citrate, isocitrate, succinate 등이 감소되어 있음을 확인함 - 이러한 대사체 결과는 Seahorse XF analyzer를 이용한 실험에서도 확인됨. Shp-/- mice에서 준비한 primary hepatocyte는 미토콘드리아 호흡률, 지방산 산화율, 해당과정 등이 WT primary hepatocyte와 비교했을 때 현저히 감소되어 있음을 확인함. 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본 연구과제는 주로 전사억제자 (transcriptional corepressor)로서 작용 하는 SHP이 어떠한 전사기전을 통해 영양분 인식, 오타퍼지 및 에너지 대사를 조절할 수 있는지를 밝힘으로써, 대사증후군 (metabolic syndrome)의 예방 및 치료와 관련된 전략을 수립하는 원리증명 (proof-of-principle) 제공에 기여하고자 함. ○ 또한, tumor suppressor gene으로서 핵수용체 SHP에 대한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간암의 발병기전 및 간암대사 (liver cancer metabolism) 연구에 중요한 기초 지식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함. ○ 더 나아가 현대인에게 만연된 각종 대사질환 및 간암 치료에 적용할 수도 있는 핵수용체 SHP의 endogenous 또는 synthetic ligand 발굴 필요성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함. (출처 : 요약문 3p)
    • 연구책임자 : 김은영
    • 주관연구기관 : 경북대학교
    • 발행년도 : 20200300
    • Keyword : 1. 핵수용체;영양분 인식;오타퍼지;에너지 대사;내분비학;전사 억제자; 2. Autophagy;
  • 11472

    2020.02.29

    ○ 연구개요 라이먼 알파(Lyman-alpha)는 우주에서 가장 밝은 분광선이며, 따라서 고적색편이 우주에서 새로운 은하를 발견하거나 은하의 형성과 진화를 연구하기 위해 적합한 관측수단으로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라이먼 알파 방출선은 중성수소에 의한 공명산란과 성간먼지에 의한 산란/흡수 등의 복잡한 복사전달 과정을 거치기 때문에 관측결과의 올바른 해석을 위해서는 복사전달 시뮬레이션과 다파장자료와의 비교가 필수적이다. 현재까지 여러 연구자에 의해 라이먼알파 복사전달 연구가 수행되어왔으나 라이먼알파를 방출하는 별탄생은하 및 라이먼알파 천체에 대해 여전히 많은 부분이 미스터리로 남아 있다. 이 과제에서는 『Lyα 및 다파장 복사전달 연구를 통해 우주의 별탄생 역사 및 은하의 형성과정을 이해한다』는 최종목표하에 연구를 수행했다. ○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이 연구의 세부목표와 각각에 대한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A. Lyα 복사전달 코드 LaRT 개발 및 WF 효과연구 - (1) Lyα 복사전달 코드 LaRT 완성, (2) WF 효과의 선행조건 연구, (3) LaRT를 편광 복사 코드로의 확장 B. ISM 모델에서의 Lyα 복사전달 연구 - (1) 간단한 난류 모델에서의 Lyα 복사전달 연구, (2) 우리은하 성간물질 모델에서의 Lyα 복사전달 연구 C. Lyα 스펙트럼 및 헤일로 밀도분포 모델의 관측과의 비교 - (1) Lyα 방출은하의 스펙트럼과 표면밝기분포를 동시 설명하기 위한 모델 연구, (2) Edge-on 은하에서의 헤일로 성간먼지에 의한 가시광선 편광 복사전달 모델 D. 발머 방출선등 다파장 복사전달 연구 - (1) Paα 관측자료와 H II 영역에서 먼지에 의한 효과에 대한 관측 연구, (2) Paα 및 Hα등 발머 방출선 복사전달 효과에 대한 일부 모델을 계산하였으나, 완료하지 못함, (3) 다파장에서의 성간먼지 복사전달 효과 연구, (4) 외부은하에서의 Hα 및 자외선관측 비교 ○ 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본 연구결과의 중요성은 크게 다음과 같다. - WF 효과의 선행조건 연구가 가능한 최초의 라이먼알파 복사전달 계산 코드를 완성 - 라이먼알파의 미세구조에 의한 편광의 차이를 완벽하게 구현해냄. - 난류 매질에서의 라이먼알파 복사전달이 기존의 결과와 판이하게 다름을 확인 - 우리은하 성간매질에서의 라이먼알파 복사전달을 최초로 실행하여 Warm Neutral Medium에서 WF 효과가 강하게 발행함을 보임. - 자외선에서 관측된 헤일로의 성간먼지의 존재를 편광 모형을 통해 증명. - Pa-alpha 및 H-alpha의 관측적인 비교를 통해 H II 영역근방의 성간먼지에 의해 H-alpha 가 산란됨을 증명 - 외부은하의 H-alpha 와 자외선 관측 자료를 비교하여 헤일로 먼지와의 관련성 제시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선광일
    • 주관연구기관 : 한국천문연구원
    • 발행년도 : 20200300
    • Keyword : 라이먼 알파;자외선;별탄생은하;복사전달;은하형성;선윤곽;성간매질;공명산란;성간먼지;
  • 11471

    2020.02.29

    ○ 연구개요 방사선 치료하는 암환자를 대상으로 방사선 치료부위와 방사선에 취약한 정상부위가 방사선치료계획에 따라 방사선량이 조사되는지 검증하는 과정이 필요함 특히 소아 남환아 중 생식기 주위가 치료인 경우 방사선 차폐장치를 사용하여 고환에 최소의 선량이 전달되도록 치료를 진행하고 있음 방사선 치료 계획 시 사용되는 컴퓨터 단층 촬영 영상을 기반으로 차폐 부위를 선택 3차원 프린터를 사용하여 차폐 부위에 맞는 틀을 제작 제작한 틀에 차폐물질을 선택하여 채운 후 착용이 유용한 차폐장치 완성 완성된 차폐장치 내부와 외부에 방사선량 측정센서(광자극발광선량계,OSLD)를 사용하여 방사선량 측정 ○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 환아의 컴퓨터 단층 촬영 영상획득 - 장기별 영상 구분하는 윤곽선 작성 - 방사선 치료 계획에 따른 방사선량 분포 확인 - 차폐 목적의 정상조직 부위 결정 - 차폐 부위의 스캔시행하여 위치의 정확성 및 재구성 여부의 재현성을 확인함 -재구성된 차폐 부위 영상을 바탕으로 3차원 프린터를 사용한 차폐 부위의 틀제작 -환아의 차폐 부위에 착용감이 밀착되는 소재 검색 - Polymer를 사용하여 차폐의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조합 조사 - Polymer 조성에 따라 차폐 효율성 검증이 가능한가에 대한 Simulation 여부 검증 - 제작된 차폐장치를 팬텀에 적용하여 광자극발광선량계를 조사 시 방사선량 검증 - 방사선량의 검증은 각 차폐물 종류에 따라 평가 - 제작된 차폐장치의 방사선차폐의 적합성 판단되면 - 기술문서 관련 연구원과 기술문서 작성에 대한 논의 시작 - Computer software simulation을 통한 Polymer 차폐소재 추가 선정 - Polymer 차폐장치의 의료기기 시험 평가용 시험항목 논의 - 식약처 의료기기 인허가를 위한 시험 평가 및 기술문서 진행 - 환자 맞춤형 차폐 장치를 임상 적용을 위한 절차 준비 ○ 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본 연구의 결과 제작된 차폐장치를 방사선 치료 시 환자에게 임상적으로 적용하여 방사선 치료 시 유발될 수 있는 불임을 최소화함 기존의 차폐 장치는 사이즈 선택이 불가능하고 환자에 적용 시 고정하는데 어려움이 있고 또한 무게가 소아의 경우 무리가 갈 수 있어 이를 환자 맞춤형으로 할 시 편안한 착용으로 치료를 받을 수 있음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윤정민
    • 주관연구기관 : 서울대학교병원
    • 발행년도 : 20200300
    • Keyword : 소아암;방사선치료;차폐피복;3차원 프린터;
  • 11470

    2020.01.31

    비공개항목입니다.
    • 연구책임자 : 조영태
    • 주관연구기관 : 창원대학교
    • 발행년도 : 20200200
    • Keyword : CAMC(Contact Arc Metal Cutting);Underwater Cutting;Electrical Cutting;Voltage Signal;Current Signal;Dismantling of Nuclear Plants;
  • 11469

    2020.05.31

    □ 연구개요 ㅇ 폐암 방사선치료 후 발생하는 폐손상은 방사선 폐암치료의 적정 방사선량 투여를 제한하는 주요 장애요인과 동시에 높은 빈도와 심각성에도 불구하고 근본적이고 효율적인 치료법이 부재하여 시급한 개발이 필요함. ㅇ 본연구의 Lipoxin A4(LXA₄)는 항염증 효과로 알려진 lipoxin의 하나로, 일반적으로 주로 체내에서 분비되고 아스피린과 같이 흔한 NSAIDs 계통 약물에 의해서도 유도될 수 있는 lipid mediator임. LXA₄ receptor인 lipoxin A4 receptor/formyl peptide receptor 2 (ALX/FPR2)는 혈관내피세포에서 많이 발현된다고 알려져 있음. ㅇ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도(airway)에서도 항염증 기능과 항섬유화 기능이 알려진 LXA₄의 방사선유도폐손상의 조절과 EndoMT에 미치는 영향과 조절 기전을 연구하고자 함. □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연구의 최종 목표 : 본 연구는 임상유사방사선폐손상 동물모델을 기반으로한 폐섬유화의 기전 연구로, LXA₄의 폐섬유화 조절 및 치료제 가능성을 확인하고, 혈관내피세포-간엽변형(endothelial to mesenchymal transition; EndoMT)을 타겟으로 하여 폐섬유화 조절 기전을 밝히고자 함. 최종적으로 LXA₄가 폐섬유화 극복과 종양의 완치율을 극대화하고, 환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전기를 마련할 것을 목적으로 함. (1) 1차년도(2017): LXA₄의 방사선폐섬유화 억제효과 규명 • 방사선유도폐손상 모델을 이용하여 폐섬유화 관련 신호전달 단백질의 발현 profile의 연구와 LXA₄의 폐섬유화 억제효과 검증하였음. (2) 2차년도(2018): ALX/FPR2 연구를 통한 LXA₄의 방사선폐섬유화 EndoMT 타겟 조절 기전 규명 • 방사선폐섬유화 모델에서 LXA₄과 수용체인 ALX/FPR2의 발현양상을 혈관내피세포에서 관찰하였으며 관련 방사선폐렴 염증반응 단백질의 관찰과 관련신호기전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음. 또한 LXA₄를 생산에 관련있는 유전자 ALOX15/12의 발현에 대한 변화가 있음을 확인함. (3) 3차년도(2019): ALX/FPR2 silencing system을 이용 방사선폐섬유화 EndoMT 조절 기전 검증 • ALX/FPR2 siRNA와 WRW4 inhibitor를 사용하여 방사선폐섬유화에서의 LXA4의 역할을 확인하였음. □ 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ㅇ 기술적 측면 : 본 연구에서의 LXA₄의 EndoMT 관련 기전 조절을 통한 폐섬유화 억제에 대한 연구결과는 새로운 신약개발에 필요한 기반 기술의 확립으로 제품화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함으로써 난치성 질환의 치료개발의 기반을 제공하여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함. ㅇ 경제적․산업적 측면 : 방사선 손상치료제로 FDA 승인받은 항산화제인 EthyolR(amifostine)은 지난 2005년과 2006년의 각각 6개월간의 판매 매출은 평균 45million 달러에 육박함. 그러나 다양한 부작용을 보여 부작용이 더 적고 효능이 높은 손상 치료제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됨. 이에 가장 적합한 약물은 분자 타겟을 통한 손상인자의 제어라 할 수 있음. 본 연구를 통한 새로운 신약 개발에 필요한 기반기술의 확립으로 First-in-Class의 개발을 위해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함으로써 특히 약물이 전무한 방사선에 의한 폐섬유화 제어제로서의 개발 가능성을 높임. ㅇ 사회적 측면 : 미래의 고령화 사회에 따른 질병의 진단 및 치료시 방사선 손상에 진단 평가 및 안전성 확보에 의한 삶의 질 향상이 가능함. 방사선생명과학에 대한 국제논문이 SCI impact factor가 국내연구진에 의해 계속 발간되고 있고 국제학회에서도 인정받고 있어 현재 세계 6위에 있는 원자력분야의 위상에 맞는 방사선생명과학 분야의 과학 선진성 및 방사선의 평화적 이용의 국제적 경쟁력 확보가 가능함.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3p)
    • 연구책임자 : 김진모
    • 주관연구기관 : 서울대학교
    • 발행년도 : 20200600
    • Keyword : 1. 방사선;방사선유도폐섬유화; 2. Lipoxin A4;EndMT;ALX/FPR2;
  • 11468

    2020.08.31

    □연구의 목적 및 내용 미국의 NRC는 원자력발전소의 물리적방호 임무를 담당하고 있는 보안요원의 체력관리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고 체력검정 실시 및 체력관리 프로그램에 관한 규제 및 지침을 제공하고 있음. 하지만 국내에서는 특수경비원의 체력관리에 관한 규제가 구체적으로 마련되어 있지 않으며, 이와 관련된 연구도 전무한 실정임. 이에 본 연구는 원자력발전소 특수경비원을 위한 통합적 체력관리모델 개발을 통해 특수경비원의 직무 수행 완수에 필수적인 체력을 체계적으로 평가하기 위한 체력검정 방법론과 훈련 프로그램을 연구·개발하여 원자력발전소의 보안과 안전을 위한 물리적방호를 강화하고자 함. □연구개발성과 ※ KCI 등재지 논문 3편 게재, 1편 투고 및 심사 중, 체력관리프로그램 개발(관리자 웹, 사용자 앱) 1. 원자력발전소 특수경비원 체력검정 방법론 개발 1) 국내·외 문헌분석을 통한 특수경비원의 직무를 분석하였고, 원자력 분야 전문가 회의를 통해 직무적합도에 대한 검토를 통해 결과를 도출 2) 체육전문가 회의를 통해 직무수행에 관련된 체력요인 및 체력요구정도 도출 3) 앞선 연구결과를 토대로 특수경비업무에 적합한 체력검정 종목 및 측정방법을 도출 2. 체력검정 기준치 도출 1) 추후 개발될 체력검정방법의 현장 적용성을 고려하고자 원자력발전소 체육시설 현황 분석 2) 실험군을 대상으로 한 체력검정결과와 현장전문가 검토를 기초로 체력검정 기준치 도출 3. 특수경비원의 훈련 프로그램 개발 1) 직무수행에 필요한 체력요인을 향상시키고 체력검정 기록 향상을 위한 체력훈련프로그램 개발. 2) 실험군을 통해 개발된 체력훈련프로그램을 적용하여 프로그램의 효과를 과학적으로 검증. 3) 현장에서 체력관리를 원활히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체력관리 툴(관리자 웹, 사용자 앱)개발 4. 체력관리제도 도입방안 제시 1) 문헌분석을 통해 체력관리제도 도입에 관한 정책대안을 도출한 후 AHP 분석을 통해 중요도 및 우선순위 분석 실시 □연구개발성과의 활용계획 국내 최초로 개발된 특수경비원을 위한 체력관리모델은 특수경비원의 체력을 과학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방법론을 제시하고, 훈련 프로그램을 통해 스스로 체력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유도함으로써 원자력발전소의 물리적방호체계 중인적방호 강화에 기여함. (출처 : 요 약 문 4p)
    • 연구책임자 : 정호원
    • 주관연구기관 : 경북대학교
    • 발행년도 : 20200900
    • Keyword : 1. 원자력발전소;물리적방호;특수경비원;체력검정;체력관리; 2. nuclear power plant;physical protection;special security guard;physical fitness test;physical fitness management;
  • 11467

    2020.08.31

    □ 연구목표 ▪ 고품질 질화붕소를 적용한 항공우주용 S-band급 내방사선 고주파 소자 개발 - 질화붕소를 적용한 질화갈륨 기반 내방사선 고주파 소자 제작 기술 확보 - 금속-유기 화학 기상 증착법을 활용한 육방정 질화붕소 성장 기술 확보 - 고주파 소자의 방사선 내성 평가 기술 확보 □ 연구(pilot study; small scale) 내용 및 결과 ▪ 방사선 내성이 향상된 고주파 소자 제작 기술 확보 - 질화붕소 보호층이 적용된 S-band급 고주파 소자 공정기술 확보 및 시제품 제작 완료 - 방사선 조사 전: 차단주파수/최대발진주파수 = 28/88 GHz - 방사선 조사 후 (양성자): 차단주파수/최대발진주파수 = 27/60 GHz - 방사선 조사 후 (감마선): 차단주파수/최대발진주파수 = 26/84 GHz - 게이트 길이 = 0.36 ㎛ ▪ 고주파 소자에 적용하기 위한 고품질·웨이퍼 스케일 질화붕소 성장 기술 확보 - MOCVD 성장 메커니즘 탐구를 통한 고품질·2인치 웨이퍼 스케일 질화붕소 성장 조건 확립 - 방사선 내성 향상을 위한 고주파 소자용 기판상에 질화붕소 연속 in-situ 성장 기술 확보 - Raman 반치폭 = 35 cm-1, 표면 RMS roughness = 0.43 nm 두께편차 < 5%, 문턱전압 변화 = 0.06 V ▪ 항공우주용 고주파 소자의 방사선 내성 평가 기술 확보 - 전자부품에 대한 우주방사선 영향 평가 문헌 및 기술정보 수집 - 전자부품에 대한 방사선 영향 평가 기술분석보고서 확보 - 소재 및 고주파 소자의 방사선 내성 평가(감마선, 양성자) 및 특성 분석 □ 결과활용 ▪ 주요 연구결과 및 연구결과의 중요성 - 세계 최초로 질화갈륨 기반 고주파 소자의 방사선 저항성 향상을 위해 내방사선 보호층 소재인 육방정 질화붕소 박막을 고주파 소자의 보호층으로 사용하기 위한 연구를 진행 - 고주파 소자의 핵심 물질로 여겨지고 있는 질화물 ternary alloy (AlxGa1-xN) 박막상에 내방사선 소재인 질화붕소의 웨이퍼 규모 대면적 성장에 세계 최초로 성공 - 세계 최초로 웨이퍼 규모의 질화붕소 보호층을 적용한 질화갈륨 기반 고주파 소자 제작 기술 확보 및 시제품 제작을 완료 ▪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융합연구사업으로 확대 추진 - 연구목표: X-/Ku-band급 내방사선 MMIC 및 송수신 모듈 국산화 기반 기술 개발 - 연구내용: 내방사선 질화갈륨 기반 고주파 에피 및 보호층 소재 개발 X-/Ku-band급 내방사선 고주파 소자 설계 및 제작 기술 개발 방사선에 의한 고주파 소자의 열화 및 오동작을 보상할 수 있는 회로가 포함된 MMIC 설계 및 공정 기술 개발 방사선 차폐 기술이 적용된 송수신 모듈 패키징 기술 개발 내방사선 소자, MMIC 및 송수신 모듈에 대한 방사선 영향 평가 절차 및 기반 기술 확보 ▪ 내방사선 소재, 소자, 회로, 패키징, 방사선 영향 평가 분야의 전문연구기관들이 참여하는 유기적이고 체계적인 내방사선 고주파 소자 연구를 진행하고 이를 활용하여 MMIC 및 송수신 모듈 국산화를 실현 (출처 : 보고서 요약문 4p)
    • 연구책임자 : 장성재
    • 주관연구기관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발행년도 : 20200900
    • Keyword : 1. 질화갈륨;육방정 질화붕소;고주파 소자;내방사선; 2. Gallium Nitride;Hexagonal Boron Nitride;RF Device;Radiation Hardness;
  • 11466

    2020.02.29

    □ 연구개요 본 과제는 암세포의 당대사와 활성산소(reactive oxygen species, ROS) 조절에 있어, Nuclear Factor-κB(NF-κB)의 역할과 그 분자수준 기전을 규명하고, 이를 modulate 함으로써 암 치료 효과를 증대시키는 기술의 개발을 연구 목표로 하고 있음. 본 연구를 통해 암세포가 당대사와 ROS 농도를 조절하여 생존을 유지하는 기전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NF-κB 활성 억제 약물을 사용하여 암세포의 ROS와 미토콘드리아 막전위(mitochondrial membrane potential, MMP)를 변조하는 새로운 암치료 기술의 개발에 기여하는 중요한 단서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됨. 아울러 FDG PET를 통해 NF-κB 활성도를 반영하는 당대사 변화를 모니터링하고, 분자영상 기법으로 치료효과를 조기에 평가하는 기술을 개발하고자 함. □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본 과제의 연구 목표였던 암세포의 NF-κB와 관련한 ROS 활성도를 정량하였으며, 암세포주를 선정하고 유지 및 실험조건 최적화를 수행하였음. NF-κB 활성도를 조절하기 위한 실험을 진행하였으나, 치료에 필요한 충분한 ROS 변화를 유발하지 못하였으며 NF-κB 활성도를 이용한 암치료에는 추가적인 연구가 요구됨. 기존 연구에서 진행하였던 암세포주에서 천연물 신약/발현조절 약제를 이용하여 ROS를 증가시킬 수 있음을 재 확인하였고, 이러한 특성을 이용하여 A549 폐암세포주에서 genipin과 elesclomol의 병용투여를 통해 암세포의 apoptosis를 유발함을 확인하였고, 동물 모델에서도 tumor growth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었음. 국내 특허를 출원하였음. □ 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본 과제에서 진행된 연구 결과를 통해 암세포의 당대사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었으며, 이를 이용하여 암세포의 ROS를 증가시켜, apoptosis를 유발시킬 수 있었음. 이러한 원리를 이용하면 정상세포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하는 항암 치료 기술 개발에 이용할 수 있겠음.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조영석
    • 주관연구기관 : 삼성서울병원
    • 발행년도 : 20200300
    • Keyword : NF-κB;cancer;ROS;reactive oxygen species;apoptosis;FDG;
  • 11465

    2020.02.29

    ○ 연구개요 본 연구는 화학적·물리적 돌연변이 유기를 통한 고부가가치의 다육 변이를 창출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1) 화학제 처리에 의한 다육식물 돌연변이 유기 조건 개발 2) 방사선 조사를 통한 다육식물 돌연변이 유기 조건 개발 3) 우수 돌연변이 다육식물 선발 및 증식 4) 다육식물의 생육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자 수행되었다. ○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 화학제 처리에 의한 다육식물의 돌연변이 유기: 총 8종의 다육식물에 화학제를 처리하였으며 E. ‘Peerless’에서는 Colchicine 처리구, E. ‘Brave’에서는 Colchicine, MMS 처리구, E. ‘Viyad’는 Colchicine 처리구, E. ‘Snow Bunny’에서는 Colchine, MMS, EMS, Sodium azide 처리구, E. ‘Glam Pink’에서는 Colchicine 처리구, E. ‘Liliacina’에서는 Colchicine, Oryzalin 처리구, E. ‘Momotarou’에서는 Oryzalin 처리구, E. ‘Sistar’에서는 Oryzalin 처리구에서 돌연변이가 관찰되었다. 선택된 돌연변이는 주로 잎의 두께 및 너비변화에 의한 잎의 형태 및 전개구조의 변이이다. ○ 물리적 처리에 의한 다육식물의 돌연변이 유기: E. ‘Monroe’, E. ‘Brink’s Blue’,E. ‘Domingo’, E. ‘Lloyd’, E. ‘Snow Bunny’, E. ‘Momotarou’ 6품종에 UV 및 γ-radiation 처리를 수행한 결과, UV 처리는 모든 품종이 고사하였고 30, 60, 90 Gy의 γ-radiation 처리는 모든 처리구에서 80% 이상 생존율이 유지되며 관찰 중에 있다. ○ 돌연변이의 선발 및 증식: 선발된 돌연변이는 M2 population까지 진행되어 변이의 유지여부를 파악 중에 있다. ○ 유전자원 데이터베이스 구축: 국내 시장에서 유통되고 있는 우수 다육품종 10품종에 대한 형태적 조사 내용을 정리하여 웹데이터베이스에 정보를 공유하였다. ○ 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 고부가가치의 다육식물 신품종 육성을 위한 돌연변이 육종기술기반 마련 ○ 선발과정 중에 이용된 우수 다육유전자원에 대한 생육정보의 데이터베이스 구축은 초보단계에 머물고 있는 다육 육종프로그램에 핵심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 ○ 분자세포유전학적 지식을 배경으로 지닌 고부가가치의 다육식물 신품종 육성을 위한 육종연구 연구후속세대 육성 가능 ○ 돌연변이 육종기술에 의한 다육식물 신품종 개발은 장기적으로 다육식물의 소비증대 및 시장 확대 유도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황윤정
    • 주관연구기관 : 삼육대학교
    • 발행년도 : 20200300
    • Keyword : 다육식물;돌연변이원;돌연변이 육종;화학제처리;감마방사선 처리;세포유전학;염색체;배수성;이수성;
  • 11464

    2020.09.30

    □ 연구개요 보형물을 이용한 유방 재건 수술 후 가장 흔한 합병중 중 하나는 피부피판의 괴사 (skin flap necrosis)인데, 보형물을 이용한 재건의 경우 피판 괴사의 범위가 클 경우 보형물이 노출되거나, 감염의 위험이 커지므로 보형물을 제거해야 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해 재건 수술의 실패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또한 피판의 괴사로 상처 치유가 지연되거나 재 수술을 해야 하는 경우 유방절제수술 후 필요한 보조 항암요법 (adjuvant chemotherapy)이나 방사선 치료(adjuvant radiation therapy)가 지연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PGE1이 무작위피부피판의 혈류를 증가시키고 생존률을 증가시킨다는 점과 유방절제술 후 남게 되는 피부피판은 무작위피부피판으로 절개부위 근처가 혈류가 떨어지고 괴사에 취약한 점에 근거하여, PGE1이 보형물 유방재건에서 피부피판의 괴사에 예방적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피부전체 보존 유방절제술 후 보형물을 이용한 즉시유방재건 환자를 대상으로 전향적 무작위배정 임상연구 (Prospective randomized controlled trial)을 진행하였음. 총 168 례의 계획 중 129례가 증례에 대해 임상연구를 완료함. 전체 환자 중 대조군 (PGE1 비투여군)에 65명, 실험군 (PGE1 투여군)에 64명이 포함되었음. 피부 및 유두 괴사, 상처 치유 지연 등을 포함한 피부혈류 관련 합병증은 대조군에서 32.3% (21 out of 65 cases) 있었고 실험군에서 18.8% (12 out of 64 cases) 발생하였다 (p = 0.078). PGE1 투여군에서 피부괴사 합병증이 적게 발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유두 괴사의 합병증 발생 비율은 대조군에서 23.1%였고 실험군에서 9.4% (p = 0.035)로 PGE1 투여군에서 유두괴사 합병증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줄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전체피부보존 유방절제 후 보형물을 이용한 즉시유방재건에서 프로스타글란딘E1의 투여가 피부괴사 합병증을 줄일 수 있고, 특히 유두괴사 합병증을 줄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기존에 피부괴사 합병증을 예방할 수 있는 특별한 방법이 없는 상황에서 프로스타글란딘E1을 수술직후 투여함으로써 비교적 적은 비용으로 피부괴사 합병증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이 될 수 있다는 결과를 확인하였다.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우경제
    • 주관연구기관 : 이화여자대학교
    • 발행년도 : 20201000
    • Keyword : 1. 피부보존 유방절제;유방재건;보형물;피부괴사;유두괴사; 2. Prostaglandin E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