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Report

All 12,447 Page 99/1,245

검색
  • 11467

    2020.01.31

    ○ HER2 표적 치료용 바이오 방사성의약품 전구체 제조 - 간접 표지용 바이오방사성의약품 면역접합체 제조 및 RI 표지법 확립 - 시험관 평가 및 HER2 표적 종양(유방암, 위암) 동물 모델 제조 ○ HER2 표적 치료용 바이오방사성의약품 면역접합체 및 표지법 확립 - 클릭화학 기반 바이오방사성의약품 면역접합체 제조(3종 이상) - 클릭화학 기반 킬레이트 전구체 방사표지법(3종 이상) 확립 - HER2 표적 종양(유방암, 위암) 동물 모델에서 생체 분포 및 소동물 영상 평가 - HER2 표적 치료용 바이오방사성의약품의 체내 내부흡수선량 측정평가 ○ HER2 표적 치료용 바이오방사성의약품 치료효능 평가 - HER2 표적 치료용 바이오방사성의약품의 종양(유방암, 위암) 동물 모델에서 종양 치료효능 평가 - 클릭화학 기반 영상유도수술용 바이오방사성의약품 형광-PET킬레이트 전구체 방사표지기술 확립 - HER2 표적 영상유도수술용 형광-PET 바이오방사성의약품 생체분포, 소동물 영상 및 유효성 평가 ○ HER2 표적 진단용 바이오방사성의약품 임상시험 수행 - 임상시험 IRB 심사 - 마이크로도즈 임상시험(phase 0) 수행 - 마이크로도즈 임상시험(phase 0) 결과 보고서 (출처 : 보고서 요약서 3p)
    • 연구책임자 : 강주현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의학원
    • 발행년도 : 20200200
    • Keyword : 1. 항체;바이오시밀러;방사성의약품;마이크로도즈 임상시험;약물동태학;방사성동위원소;내부흡수선량; 2. HER2;antibody;biosimilar;radiopharmaceutical;microdose clinical trial;PET;pharmacokinetics;radioisotope;internal absorbed dose;
  • 11466

    2020.07.31

    ◾ 고에너지 사이클로트론 기반 RI 생성을 위한 중양성자빔 인출기술 국산화 ◾ 고전류 중양성자 조사용 동위원소 생산용 고체표적 및 관련 기술 국산화 ◾ 중양성빔 조사 PET 진단용 방사성동위원소 3종(Cu-64, Zr-89, I-124) 국산화 - Cu-64의 목표기술: 평균 300 mCi/회(방사화학적 순도 99% 이상) - Zr-89의 목표기술: 평균 20 mCi/회(방사화학적 순도 99% 이상) - I-124의 목표기술: 평균 100 mCi/회(방사화학적 순도 99% 이상) ◾ 상기 의료 동위원소 3종 국산화에 의한 국내 사용자그룹 육성 및 보급 ◾ 상기 의료 동위원소 3종 중점 신규 표지기술 선점(논문, 특허 및 기술이전) ◾ 고품질 의료용 동위원소 분리 및 정제자동화 시스템 개발 (출처 : 보고서 요약서 3p)
    • 연구책임자 : 김정영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의학원
    • 발행년도 : 20200800
    • Keyword : 1. 사이클로트론;방사성동위원소;의료 동위원소;방사성구리;방사성지르코늄;방사성요오드;방사성의약품;핵의학; 2. Cyclotron;Radioisotope;Medical Isotope;Cu-64;Zr-89;I-124;Radiopharmaceutical;Nuclear Medicine;
  • 11465

    2020.07.31

    Ⅳ. 先기획연구결과 가. 이식형 센서 적용 타당성 조사 및 지표 마련 · 특허 분석을 통한 연구 타당성 확인 및 원천 소재 개발을 위한 전해질 연구 분석 - 전자약 시장 연성장율 10% 예상. 센서 개발을 통해 시장 진입이 가능. - 하이브리드 전해질 소재의 원천 특허 가능성 확인. - 문헌과 특허 조사를 통해 Trap-and-Release 역학 제어 소재의 독창성 확인. · 이식형 센서의 조건 - 연질성, 장기 안정성, 부착성, 구조의 단순화, 전자파 영향 방지, 다이나믹 운동은 상시 모니터링 필요 (초절전 필요), 정적 운동은 간헐적 모니터링 (고저항 센서 필요). - 패키징 기술 확정: SoC는 Ti 패키징, 센서는 초발수 복합재료 봉지막. - 연신성 수화젤 스케폴드의 접착성 확인: 접촉 5분 후 접착 안정성 유지. · 우선 대상 질환 선택 및 정량 지표 나. 이온동력학 계산을 통한 소재 특성 예측 · 이온 이동 및 분포에 대한 이론적 방법론 확립 - Molecular dynamics(MD) 시뮬레이션: Trap-and-release 가능성 확인, 5 nm 이하 채널 해석. - Continuum theory: 이온 분포의 kinetic 해석 제공. · 이온 거동 설계변수 도출 - 이온 속도 예측: 확산계수, 이온농도, 온도, 유전율, 고분자 체인 효과. - 이온 축전량 예측: 이온 크기/농도, 이온 비대칭성, 전극 전위. - 이온 동역학 예측: relaxation time (완화시간), 전하량. - 나노 채널의 영향 예측: 채널 디멘전, 표면 분자와의 상호작용. · 이온 역학 제어 방법론 제시 - 가역적 Trap-and-Release 도출. - Trap: 수소결합, 이온 결합, 저차원 confinement, 3차원 공간 척력. - Release: 기계적 자극, 온도 변화, 근적외선, 화학물질. (본 연구 주제: 기계적 자극) 다. 전해질 소재 합성 및 분석 · 이온 역학 제어 가능 하이브리드 전해질을 위한 물질 후보군 확정 - 생체친화성 고분자: 가교된 천연 고분자 전해질 메트릭스, Protic system 전해질 - 자극 응답성 분자: 수소결합, 온도 민감성, pH 응답성 소재, - 생체 친화성 무기입자: Titanate, Carbon, 실리카, 클레이, 금 입자 · 하이브리드 전해질 합성 및 분석 - 수소결합 Trap-and-Release: 실리카 나노입자와 생체친화성 전해질 간 가역적 반응 확인. - 이온결합 Trap-and-Release: Titanate 나노 쉬트 합성, 하이브리드 전해질 합성. - Confinement기반 Trap-and-Release: 나노 기공 비정질 탄소 초박막 합성, 이온 크기에 따른 Trap 가능성 확인. - 3차원 이온 척력 공간 Trap: 이중 구조 가교된 고분자 전해질막 형성. 이온 누수 차단 확인. 라. 합성 소재 기반 목적 지향형 센서 테스트 및 특성 검증 · 센서의 개념 및 구조의 제시 - 방광: 정적인 자극 센싱. 신호의 합산 값이 중요. 방광의 형태 변화 (스트레인)와 방광 내 압력의 변화 측정. - 심장: 기계적 자극에 대한 반복성, 민감성, 동적 거동 확인. 심장의 변형 (스트레인) 측정 · 합성된 이온 역학 제어 소재의 센서 특성 테스트 - 센서의 기계적 자극에 대한 반복성, 민감성, 동적 거동 확인. - 센서의 고연신성 확보 및 연신에 따른 센서의 안정성 확인. - 전해질 패턴화를 이용한 spike형 센서 시그널 획득. - 전해질 미세 패턴화에 의한 센서 간 공간적 분해 가능성 획득 기반 확립. · 센서의 장기 안정성 확보를 위한 방안 마련 및 검증. - 센서의 습도 영향 제거 방법 도출 및 검증 - 외부 전자파 (1 GHz, 10 V 기준)의 영향 제거 방법 도출 및 검증 - 센서 수화젤 스케폴드의 부착 특성 확인 및 장기 안정성 검증 마. 연구 실적: 논문 [게재 (9), 게재 예정(4), 투고 (7), 투고 예정(3)] 특허 [국내출원 (9), 국내출원예정 (15건)] (출처 : 요약문 6p)
    • 연구책임자 : 정운룡
    • 주관연구기관 : 포항공과대학교
    • 발행년도 : 20200800
    • Keyword : 1. 전자약;이온역학;이온구속 및 방출;이식형센서;생체친화소재; 2. Electroceuticals;Ion dynamics;Ion trap-and-release;Implantable sensor;Biocompatible materials;
  • 11464

    2020.01.31

    □ 연구의 목적 및 내용 본 연구는 차세대 영상 분석 기술을 기반으로 종양내 유전체적 표적을 검출하고, 영상 유도하에 이 표적에 대한 위치 특이적 액체 생검방법을 개발하고, 그 유효성과 안정성의 검증을 통하여 암환자의 실질적인 개인 맞춤형 정밀 의료 실현을 위한 새로운 유전체 검사의 아이디어 개발을 최종 목표로 하며 이를 위해, 첫째, 레디오믹스를 이용해 종양의 유전적 다양성까지 구현한 영상 분석 기술 개발 둘째, 종양내 레디오믹스 기반의 유전체 변이 표적 검출 셋째, 시간적, 공간적으로 유전적 다양성을 가지는 동물 종양 모델 확립 넷째, 동물 종양 모델에 대한 성공적인 표적 액체 생검 방법 구축을 통해 표적 액체 생검의 유효성과 안정성을 검증함으로써 임상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함. □ 연구개발 성과 1. 국내/외 SCI 논문 게재 (JCR 10% 이내/ 20% 이내/20-50%이내)-총 14편 - Marginal radiomics features as imaging biomarkers for pathological invasion in lung adenocarcinoma. Eur radiol. 2019 [accepted](IF=3.962) - Integrated evaluation of clinical, pathological and radiological prognostic factors in squamous cell carcinoma of the lung. Plos One. 2019 Oct 4;14(10):e0223298.(IF=2.776) - Comprehensive Clinical and Genetic Characterization of Hyperprogression Based on Volumetry in Advanced Non-Small Cell Lung Cancer Treated With Immune Checkpoint Inhibitor. J Thorac Oncol. 2019 Sep;14(9):1608-1618.(IF=12.46) - Clinical impact of variability on CT radiomics and suggestions for suitable feature selection: A focus on lung cancer. Cancer Imaging. 2019 Jul 26;19(1):54.(IF=3.153) - Evaluating the tumor biology of lung adenocarcinoma: A multimodal analysis. Medicine (Baltimore). 2019 Jul;98(29):e16313.(IF=1.87) - Prognostic Impact of Longitudinal Monitoring of Radiomic Features in Patients with Advanced Non-Small Cell Lung Cancer. Sci Rep. 2019 Jun 19;9(1):8730.(IF=4.011) - Predicting Survival Using Pretreatment CT for Patients With Hepatocellular Carcinoma Treated With Transarterial Chemoembolization: Comparison of Models Using Radiomics. AJR Am J Roentgenol. 2018 Nov;211(5):1026-1034.(IF=2.776) - Measurement Variability in Treatment Response Determination for Non-Small Cell Lung Cancer: Improvements using Radiomics. J Thorac Imag. 2019 Mar;34(2):103-115.(IF=2.078) - Clustering approach to identify intratumour heterogeneity combining FDG PET and diffusion-weighted MRI in lung adenocarcinoma. Eur Radiol. 2019 Jan 29(1):468-475.(IF=3.962) - Deciphering Clinicoradiologic Phenotype for Thymidylate Synthase Expression Status in Patients with Advanced Lung Adenocarcinoma Using a Radiomics Approach. Sci Rep 2018 Jun 12;8(1):8968.(IF=4.011) - Transient asymptomatic pulmonary opacities during osimertinib treatment and its clinical implication. J Thorac Oncol 2018 Aug;13(8):1106-1112.(IF=12.46) - Comprehensive CT Radiomic s Analysis of Lung Adenocarcinoma for Prognostication. Oncologist 2018 Jul;23(7):806-813.(IF=5.252) - Imaging genotyping of functional signaling pathways in lung squamous cell lung carcinoma using a radiomics approach. Sci Rep 2018 Feb 19;8(1):3284.(IF=4.011) - CT Radiomics in Oncology: Technique and Clinical Applications focusing on lung cancer. Nucl Med Mol Imaging 2018 Apr;52(2):91-98. 2. 표적 액체 생검법 구축으로 유전체 진단의 혁신 - 기존의 액체 생검법이 가지고 있었던 위치 특이적 특정 유전자 확인의 제한점을 획기적으로 보완 - 방사선을 이용한 표적 자극을 통해, 고형 기관의 종양뿐 아니라 물리적이나 초음파를 이용한 자극이 불가능한 폐암에 대해서도 표적 액체 생검이 가능해짐 - 반복적인 추적 검사가 어려웠던 조직 생검과 비교해 안전한 방법으로 정교한 유전체 정보에 대한 반복적인 추적 검사가 가능해짐 3. 영상 분석 기술을 이용한 궁극적인 정밀 의료에의 실용적 적용과 후속 연구 - 기존의 영상 분석으로는 얻을 수 없었던 종양의 분자적, 유전체적 정보까지도 반영해낼 수 있으므로 보다 정교하고 정확한 환자 개인의 맞춤 치료를 위한 실용적 적용이 가능해짐 - 유전체 정보와의 통합 분석을 통한 후속 연구로 확대 - 다른 생물 정보학을 활용한 다양한 의료 정보학 분야의 플랫폼으로 응용 가능 - 제품화가 용이한 전략적인 개발 성과가 될 것으로 기대됨. □ 연구개발 성과의 활용계획 1. 기술적 측면: Radiomics 와 imaging genomics 기반 기술 확보, 표적 액체 생검 기술 확보 2. 경제적산업적 측면: 폐 조직 생검 부작용과 치료지연으로 인한 사회적 경제적 손실 절감, 다국적 제약회사와 연계해 새로운 인력창출의 기회와 제약 산업 신장의 원동력, 영상유전자학, 이미지 인포메틱스에 대한 원천 기술과 연구기반을 마련함으로써, 다른 기관으로의 파급효과 (출처 : 요약문 12p)
    • 연구책임자 : 이호연
    • 주관연구기관 : 삼성서울병원
    • 발행년도 : 20200200
    • Keyword : 1. 액체생검;래디오믹스;개인맞춤의료;영상 유전체학; 2. iquid biopsy;cell-free DNA (cf DNA);Radiomics;Personalized medicine;imaging genomics;
  • 11463

    2020.01.31

    연구의 목적 및 내용 □ 연구목적 ▶ EndoMT 신규 조절기전 규명 및 이를 제어할 수 있는 혈관계 변형 치료제 개발 □ 연구내용 ▶ 발굴된 후보 NOD1의 EndoMT 유도 작용 기전 규명 및 EndoMT를 제어하는 표적치료제로의 가능성을 in vitro에서 검증 ▶ NOD1의 작용기전 및 폐섬유화 기전 분석을 통한 동물모델 정립 ▶ NOD1 타겟팅 기반 EndoMT 제어 치료효능을 in vivo 질환 모델에서 검증 연구개발성과 ▶ NOD1 활성과 EndoMT 연관성 확인 · 병리학적 자극 (TNFα, LPS)에 의한 NOD1 발현 확인 · NOD1 활성 증가에 의한 EndoMT 유도 검증 · NOD1 활성 억제제에 의한 EndoMT 유도 억제 검증 ▶ NOD1 활성에 의한 EndoMT 유도 기전 규명 · NOD1 agonist에 의한 miR-139-5p 발현 감소 확인 · miR-139-5p 과발현에 의한 EndoMT 억제 확인 · miR-139-5p 과발현에 의한 NF-κB의 핵 내로의 이동 억제 확인 ▶ NOD1 활성에 의한 EndoMT 유도 세포 기능장애 확인 · NOD1 활성에 의한 tube formation 증가 확인 · NOD1 활성에 의한 Dil-ac-LDL 흡수 감소 확인 ▶ NOD1 활성 유도 EndoMT 억제 천연 화합물 발굴 · Rg3 에 의한 NOD1 활성 유도 EndoMT 억제 검증 · Rg3 처리 시 miR-139-5p의 발현 증가 확인 · NOD1 활성 상태에서 Rg3에 의한 miR-139-5p 발현 회복 확인 ▶ 폐섬유화 유도물질과 EndoMT 연관성 확인 · Bleomycin에 의한 폐혈관내피세포의 EndoMT 관찰 ▶ 폐섬유화 유도 동물모델 확립 · Bleomycin의 다양한 농도와 투여 방법에 따른 폐섬유화 유도 검증 · Bleomycin 유도 동물 폐조직에서의 EndoMT 확인 ▶ Rg3에 의한 폐섬유화 동물모델 회복 검증 · 다양한 Rg3 농도에 따른 bleomycin에 의한 EndoMT 및 섬유화 정도 회복 효과 검증 연구개발성과의 활용계획 (기대효과) ▶ 희귀질환 시장으로의 확대 및 개척 ▶ 폐질환에 대한 새로운 패러다임의 치료방법 제시로 국내외 시장 진출 및 로열티 확보 ▶ 특허등록으로 원천기술을 확보하고 관련분야 지적재산권 확보 (출처 : 요약문 13p)
    • 연구책임자 : 김종민
    • 주관연구기관 : 숙명여자대학교
    • 발행년도 : 20200200
    • Keyword : 1. 폐섬유화;혈관내피세포; 2. pulmonary fibrosis;EndoMT;NOD1;Rg3;endothelial cells;
  • 11462

    2020.06.30

    (1) 방사선 산업 미래 전망 조사·분석 - 국내외 정책, 시장, 사회, 기술개발동향 조사·분석 - 국내 방사선 R&D 투자동향 및 기존 사업 현황 조사·분석 - 방사선 산업 활성화를 위한 기술수요조사 (후보기술 발굴) - 주요 방사선인프라 검토 및 사업화 유망기술 선정 (2) 방사선 산업 활성화를 위한 신규 사업 기획 - 방사선 연구성과 및 인프라를 활용한 산업 활성화 사업 기획(안) 도출 - 사업추진 타당성 분석(정책, 기술, 경제적 타당성) - 예비타당성조사를 위한 기획보고서 작성 (출처 : 보고서 요약서 3p)
    • 연구책임자 : 김용균
    • 주관연구기관 : 한양대학교
    • 발행년도 : 20200700
    • Keyword : 1. 방사선기술;방사선기반시설;방사선 산업;기술사업화;산업 활성화; 2. Radiation Technology;Radiation Infrastructure;Radiation Industry;Technical Commercialization;Industry revitalization;
  • 11461

    2020.11.30

    - 두 종류의 폐암 세포주인 H460 (p53+/+) 및 H1299 (p53-/-) 세포들은 모두 이온화 방사선에 민감한 세포주들임. 본 연구자는 이들 세포주들에 저선량의 이온화 방사선(gamma ray, 1~2Gy)을 지속적으로 피폭시켜 방사선 내성세포주인 H460R 및 H1299R을 제작하였음. cDNA microarray 분석을 통해 H460 및 H1299에 비해 H460R 및 H1299에서 적어도 2배 이상 더 많이 발현하는 유전자들을 선별하였고, 선별된 각각의 유전자들의 방사선 저항능을 분석하여 저항성 유전자들을 최종적으로 도출하였음 - 도출된 유전자들 중에서 본 연구책임자가 특히 관심을 가지는 유전자는 SNTB2, FGC, RGS7 총 3개 유전자들로 이들 유전자들은 cancer에서의 역할이 잘 알려지지 않았음. Invitrogen에서 개발된 BLOCK-iT Pol II miR RNAi expression vector system을 활용하여 이들 저항성 유전자들을 타겟팅하는 short hairpin RNA (shRNA)를 독성이 약화된 살모넬라에 주입함으로써 암세포 내 저항성 유전자들의 발현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유전자 재조합 살모넬라(genetically-engineered Salmonella)를 제작함 - 또한, 본 연구책임자는 살모넬라 자체의 방사선 치료효과 증진제로서의 활용가능성을 규명하기 위해 H460R 및 H1299R 세포들에 유전적으로 변형이 되지 않은 살모넬라를 이온화 방사선과 병용 처리하였으며, 흥미롭게도 살모넬라 자체로도 방사선 항암 증진효능이 있음을 관찰할 수 있었음 - 결과적으로 방사선 저항성 유전자 발현을 감소시킬 수 있는 유전자 재조합 살모넬라는 유전자 발현 감소에 의한 방사선 항암 증진효능과 살모넬라 자체의 방사선 항암 증진효능의 병합에 의한 상승효과(synergistic effect) 혹은 상가효과(additive effect)를 기대할 수 있음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3p)
    • 연구책임자 : 김병모
    • 주관연구기관 : 연세대학교
    • 발행년도 : 20201200
    • Keyword :
  • 11460

    2020.10.31

    □ 연구개요 ◎ Metal artifact reduction을 위한 metal shield 물질을 개발 및 제작하고, phantom 연구를 통해 CT 영상의 질 개선 및 방사선치료계획의 정확성을 평가하고자 함. ⦁ Silicone shield 개발 및 제작 ⦁ 전산화단층촬영 (CT) 모의 치료의 영상 분석 ⦁ Artifact reduction 효과 분석 ⦁ 방사선치료계획을 통한 임상 적용 가능성 평가를 위해 phantom 제작 ⦁ Metal artifact shield material의 재현성 확인 ⦁ Artifact reduction 효과 분석 (임상적용 가능성 확인) □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 Silicon shield 성분 및 혼합 비율 분석: Metal shield 제작 ⦁ 조직등가물질 내에서 Metal shield 물질의 CT 영상 분석 (가시적 영상분석: 조건에 따른 CT 영상에서의 HU값 분석) ⦁ 조직등가물질 내 Metal shield 물질 사용 전·후의 실효성 평가 (선량 분포 분석) ⦁ 3D printer를 이용하여 치아 삽입 가능한 ⦁ Head and Neck (H&N) Phantom 제작 ⦁ Metal shield의 방사선 산란, 흡수 등 물리적 특성 분석 ⦁ 시간에 따른 형태 변화 및 HU 값의 정량 평가 ⦁ H&N Phantom을 활용한 metal shield 사용 전·후의 선량분포 평가하여 임상적용 가능성을 확인 □ 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 치아가 가진 density를 재현하기 위해 치과에서 사용하는 골 구조재 물질을 사용하였으며, 현재 사용되고 있는 implant를 삽입하여 팬텀을 재현하였음. 재현된 팬텀을 활용하여 방사선 치료 시, contouring을 보다 명확하게 할 수 있도록 방법을 제시함. ⦁ 방사선 치료 시, H&N 질환을 비롯한 일부 metal에 의한 영향을 받을 수 있는 질환에 대한 적용 가능성을 확보하고 이에 대한 활용 기본 지식을 제공함. ⦁ Metal artifact reduction material에 적용된 물질의 비율에 의한 특수 알고리즘 없이 artifact를 줄일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고 물질에 대한 비율 및 방사선에 대한 영향을 분석 지식 제공함으로써 방사선 치료에 적용 가능한 분야의 자료 제공함. ⦁ 고가의 metal artifact reduction algorithm 적용 없이, 간단한 제조 과정을 통해 high density material을 포함한 두경부암에 적용 가능성을 보여줌으로써 임상적 활용 시 metal artifact reduction material 적용 시 시간 소모를 줄일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줌. ⦁ 두경부암 phantom 제작 시, 치아를 모사할 골 구조재 물질의 사용을 통해 환자의 구강 내를 근접하게 재현할 수 응용 지식을 제공함.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박소현
    • 주관연구기관 : 제주대학교병원
    • 발행년도 : 20201100
    • Keyword : Head and Neck;Radiotherapy;Metal artifact;Metal artifact reduction;Artifact shielding material;
  • 11459

    2020.02.29

    ⚫ 방사선 치료 특화 환자 모사 기반 MR/CT 팬톰 개발 ⚫ 합성 CT 알고리즘의 정확도를 평가할 수 있는 정량 평가 기술 개발 ⚫ 딥러닝 기반 합성 CT 생성 시스템의 정도관리 프로토콜 개발 (출처 : 보고서 요약서 3p)
    • 연구책임자 : 김정인
    • 주관연구기관 : 서울대학교
    • 발행년도 : 20200300
    • Keyword : 1. MR/CT 팬톰;자기장 환경 방사선량 계측;방사선량 분포;성능 평가;정도관리; 2. MR/CT phantom;Dosimetry in the magnetic field;Dose distribution;Performance test;Quality assurance;
  • 11458

    2020.02.29

    < 제1세부 > • 간엽성 뇌암줄기세포 특이인자 3종 (TGM2, CtsZ, IL4R)의 타겟팅이 간엽성 뇌암 줄기세포의 줄기화를 억제하고 방사선 민감성을 증대시키는 것을 in vitro 세포실험과 in vivo에서 intracranial 동물모델에서 확인함. • 간엽성 뇌암줄기세포 활성 조절 miRNA 검색을 통하여 발굴한 miR-129-5p, miR-5582-5p, miR-5586-5p이 TGM2를 타겟팅함으로써 간엽성 뇌암줄기세포의 성장 억제 및 세포사멸 유도를 일으킴을 규명하였고, 이 중 miR-129-5p이 orthotopic xenograft mice model에서 뇌종양 성장 억제 및 생존율 증가를 확인함. • 신약재창출 (drug repositioning) 기법으로 방사선 민감제 aripiprazole을 발굴하여 in vitro와 in vivo에서 효능을 확인하고 특허출원하였으며, VS PHARMTECH에 기술 이전하였음. < 제2세부 > • 3차원 인비트로 혈뇌장벽 모델 개발과 방사선 저항성이 높은 뇌종양의 치료를 위한 타겟 물질의 혈뇌장벽 투과성 평가 시스템 구축 • 생체 내 구조 기반 3차원 인비트로 혈뇌장벽 모델 개발 • 랩온어칩 기술 기반 혈뇌장벽 모델의 유효성 평가 및 모델 고도화 • 혈뇌장벽 모델의 평가 시스템 구축 및 타겟 물질의 혈뇌장벽 투과성 평가 (출처 : 보고서 요약서 3p)
    • 연구책임자 : 박명진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의학원
    • 발행년도 : 20200300
    • Keyword : 1. 뇌암 줄기세포;간엽성;전신경성;방사선 저항성;신약재창출;미소알엔에이;혈뇌장벽;랩온어칩;혈뇌장벽투과성;미세유체기술; 2. glioma stem cells;mesenchymal type;proneural type;radioresistance;dug repositioning;microRNA;Blood-brain-barrier;Lab on a chip;BBB permeability;Microfluidic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