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Report

All 12,392 Page 98/1,240

검색
  • 11422

    2020.11.30

    ○ 고온기 단감 일소 피해 경감기술 개발 ○ 키위 수출 문제점 모니터링 및 수확후관리 기술투입을 통한 수출유망 품종 가능성 검토 ○ 감귤을 이용한 항바이러스 소재 개발 ○ 무인방제기 종류별 방제효율 향상법 구명 ○ ‘매향’ 딸기 보광 및 저온 피해 경감제 처리 효과구명 ○ 공기정화재배장치 성능 및 안전 기준마련 (출처 : 요약서 4p)
    • 연구책임자 : 정성민
    • 주관연구기관 : 국립원예특작과학원
    • 발행년도 : 20201200
    • Keyword : 1. 일소;키위;항바이러스;딸기;공기정화식물; 2. Sunburn;Kiwifruit;anti-viral activity;Strawberry;Air purifying plant;
  • 11421

    2020.05.31

    □ 연구개요 핵막 (nuclear membrane)은 세포의 구조를 유지하는데 필수적인 구조 단백질들로 구성되어 있음. 더불어, 최근 연구에서면 핵막은 그의 단백질과 신호전달물질간의 상호 물리적 결합을 통하여 생체신호전달을 조절할 수 있음이 밝혀지고 있음. 본 연구에서는 핵막의 주요 구성단백질에 속하는 Emerin이 신호전달 전사인자인 STAT3의 공간적 제어를 통해 그의 신호전달을 억제할 수 있음을 밝히고 이를 바탕으로 신개념 암 치료의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함. □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1. Emerin에 의한 억제 현상을 효과적으로 알아보기 위해서 STAT3 reporter system을 자궁경부암 세포로 구축하였고, Emerin에 의해서 억제되는 현상을 확인하였음. 2. Emerin에 의해서 STAT3 mRNA레벨이 억제되는 효과를 RT-qPCR을 통해서 확인하였음. 또한, si-RNA를 이용한 knockdown 실험을 통해서 STAT3의 mRNA 레벨이 효과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음. 3. Emerin과 STAT3 단백질간의 결합과 세포내의 결합위치를 실험을 통해서 확인하였고, deletion mutants를 통한 결합부위도 확인하였음. 4. 핵막 구조 단백질 네트워크에서 Emerin과 결합하고 있는 다른 핵막 구조 단백질인 BAF, Lamin을 knockdown 했을 때, 네트워크의 불활성화에 의해서 STAT3의 조절이 효과적이지 못함을 확인함. 5. 핵막단백질들인 Emerin, BAF와 Lamin의 네트워크의 붕괴는 STAT3의 활성을 증가시키고, 증가된 STAT3에 의해서 세포의 생명력이 증가함. □ 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JAK-STAT signaling pathway는 세포의 면역, 발달, 증식, 세포사멸 등 여러 세포 조절에 중요한 신호전달기전임. 이러한 신호전달을 조절하는 것으로 대부분 cytokine의 결합을 저해하거나, STAT의 인산화를 저해해서 신호전달을 조절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음. 그러나, 아직 핵 내부에서 STAT을 조절하는 기전에 대해서 알려진 바가 없으며, 이번 연구에서 핵막단백질 Emerin에 의해서 핵 내부에서 조절될 수 있는 가능성을 밝혀냈음. 이러한 연구로 인해 JAK-STAT 신호전달기전을 조절 할 수 있는 핵막단백질의 네트워크가 중요한 기능이 될 것으로 예상됨. 또한, 다양한 암세포의 치료에 있어서도 핵막 네트워크를 활용한 시도를 해 볼수 있을것으로 예상됨.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3p)
    • 연구책임자 : 심재경
    • 주관연구기관 : 세종대학교
    • 발행년도 : 20200600
    • Keyword : JAK-STAT;Emerin;BAF;Lamin;Nuclear membrane proteins;
  • 11420

    2020.05.31

    □ 연구개요 • 연구개발의 최종목표: 소포체 스트레스에서 eIF2α 인산화에 의한 오토파지 마스터 조절인자 TFEB와 TFE3의 세포내 위치와 오토파지활성 조절기전 규명 • 연구개발의 필요성: 소포체 스트레스는 많은 질병과 관련이 있어 학계와 산업계의 큰 관심분야임. 소포체 스트레스에서 중요한 유전자발현 조절자인 eIF2α 인산화와 소포체 스트레스 극복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오토파지의 마스터 전자인자 TFEB의 핵 자리옮김의 연관관계 연구와 이를 활용할 수 있는 기초연구가 필요함 • 연구개발의 범위: 소포체 스트레스에서 eIF2α 인산화에 따른 오토파지 마스터 조절인자 TFEB와 TFE3의 핵이동 연관 관계 규명과 관련 유전자 발굴 □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1. 소포체 스트레스 시 오토파지 마스터 전사인자 TFEB와 TFE3의 세포내 위치 조절자가 인산화된 eIF2α임을 확정 - 소포체 스트레스에서 eIF2α 인산화 의존적 TFEB/TFE3 세포내 위치 조절 확인 - 소포체 스트레스에서 TFEB와 TFE3 의존성 오토파지 유전자 발현이 eIF2α 인산화에 의해 조절됨을 확인 - 소포체 스트레스에서 오토파지 활성 조절이 eIF2α 인산화 의존적임을 확인 2. 소포체 스트레스 시 eIF2α 인산화에 의한 TFEB와 TFE3의 세포내 위치 조절 기전 파악 - eIF2α 인산화에 의한 TFEB와 TFE3의 세포내 위치 조절이 Downstream 유전자인 ATF4 발현에 의해 조절됨을 확인 - 소포체 스트레스에서 TFEB와 TFE3 핵 자리옮김 조절기전이 기존에 알려진 인산화 및 세포내 칼슘양의 변화와 상관없음을 확인 3. 소포체 스트레스 시 eIF2α 인산화에 의한 TFEB와 TFE3의 세포내 위치 조절 기전 검증 - 발굴 유전자인 ATF4 과발현에 따른 eIF2α 인산화 결손 세포의 TFEB와 TFE3의 세포내 위치 조절 문제 회복 검증 - 발굴 유전자인 ATF4 과발현에 따른 eIF2α 인산화 결손 세포의 TFEB와 TFE3의존성 유전자 발현 회복 검증 - 발굴 유전자인 ATF4 과발현에 따른 eIF2α 인산화 결손 세포의 오토파지 기능 회복 검증 □ 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1. 학문적 측면 - 인산화된 eIF2α의 새로운 역할 규명: eIF2α가 오토파지 마스터 전사인자의 세포내 위치를 조절하여 오토파지 활성을 조절할 수 있음을 보이는 최초 보고임. - 소포체 스트레스에서 오토파지 활성 조절의 새로운 기전 규명: eIF2α 인산화와 ATF4 발현을 통하여 오토파지 마스터 전사인자를 조절함으로써 소포체 스트레스를 조절할 수 있다는 최초 보고임. 2. 기술/경제적 파급효과: eIF2α 인산화 또는 ATF4 과발현이 alpha 1-antitrypsin 돌연변이 단백질의 세포내 축적을 줄여줄 수 있어 misfolded 단백질 축적으로 생기는 질병 치료에 대한 연구결과 적용의 지적재산권 확보와 치료제 개발 및 상품 개발 등을 모색 중임. 3. 경제/사회적 파급효과: eIF2α 인산화 의존성 TFEB/TFE3 핵 자리옮김 활성법에 대한 향후 추가적인 연구개발을 통해 misfolded 단백질의 축적에 의해 유도되는 유전질환과 신경퇴행성 질병 치료에 소요되는 막대한 사회적 비용을 절감하고 인류 삶의 질을 향상시킬 것으로 기대됨.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백승훈
    • 주관연구기관 : 울산대학교
    • 발행년도 : 20200600
    • Keyword : 1. eIF2a 인산화;소포체 스트레스;오토파지; 2. TFEB;TFE3;Unfolded Protein Response;Nuclear translocation;Translational initiation factor;Dephosphorylation;
  • 11419

    2019.12.31

    ○ 핵안보 문화 구축을 위한 원자력 발전소 종사자 인적데이터구축 방법론 제시 ○ 핵안보 문화 강화를 위한 원자력 발전소 종사자 스크리닝 시스템 제안 ○ 생체신호기반 근무적합성 평가를 통한 핵안보 문화 증진 ○ 생체데이터를 이용한 원자력 중요시설 의도 접근권한 관리시스템 타당성 평가 ⚫ 실제 Pilot 실험을 통해 얻어진 근무자 생체데이터(EEG, ECG, GSR, eye tracking)를 기반으로 한 직무적합도, 내부자위협, 인적오류 예측모델 개발. (출처 : 요약서 3p)
    • 연구책임자 : 임만성
    • 주관연구기관 : 한국과학기술원
    • 발행년도 : 20200100
    • Keyword : 1. 핵안보문화구축;생체신호기반 데이터구축;접근권한제한시스템;내부자위협탐지;스크리닝 시스템; 2. Nuclear Security Culture;NPP worker’s Bio-signals database;Intention-based access system;Insider threat detection;Screening System;
  • 11418

    2020.02.29

    연구개요 본 연구는 인간 메신저 RNA의 스플라이싱 과정에 관여하며 망막색소변성증, 척수성 근위축증 등과 같은 질환에 관여되어 있다고 알려진 ‘비-핵내저분자 리보핵단백질’ 복합체의 구성단백질 및 초거대분자복합체의 입체구조에 대한 실마리를 마련하기 위하여, 인간 비-핵내저분자 리보핵단백질 중에서 가장 대표적이며 실질적으로 핵내저 분자 리보핵단백질의 기능을 돕는 Prp19 복합체의 구조를 분석하고 이들의 작동에 대한 분자 수준의 근거를 마련할 수 있었다. 따라서, 인간 Prp19 복합체를 이루는 구성단백질 중에서 이러한 복합체의 구조적 뼈대를 마련하는 CTNNBL1과 CDC5L, AD002(CWC15)의 미시적 상호작용에 대한 과학적 이해를 도울 수 있었다.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비-핵내저분자 리보핵단백질 복합체인 인간 Prp19 복합체를 구성하는 핵심 단백질 CTNNBL1-CDC5L CTNNBL1-AD002 그리고 CTNNBL1-CDC5L-AD002 삼량체 복합체 입체구조와 architecture를 규명하는 것이 연구 목표였다. 이를 위하여 AD002의 유전자원을 확보하여 대량생산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CTNNBL1-AD002 복합체의 대량생산을 위하여 다양한 길이를 가지는 AD002 partial construct를 제작하였고 선행연구를 통하여 CTNNBL1이 동질 이합체로 존재할 것이라는 것을 제안하였기 때문에 이러한 동질 이합체와의 결합에 중요한 AD002 도메인 및 잔기를 규정하였다. 이러한 AD002 4개 구조체 중에서 F와 C로 명명된 구조체를 이용하여 이질 이량체의 정제에 성공하였으며 정제된 CTNNBL1-AD002 복합체를 음성 전자현미경 이미지를 얻을 수 있었다. CTNNBL1-CDC5L-AD002 삼량체의 구조를 파악하기 위하여 CTNNBL1-CDC5L-AD002 삼량체의 정제에 성공하였고 이의 전자현미경 이미지를 얻었다. 그러나 복합체가 깨어진 모양을 보여 이러한 정제 전략을 다시 수립하였다. 안정하게 형성된 CTNNBL1-CDC5L-AD002 삼량체의 정제가 가능한지 평가하기 위하여 각 단위체의 다양한 구조체를 제작, 조합하였다. 삼량체의 대량 생산을 위하여 CTNNBL1_77 구조체, CDC5L_6 구조체, AD002_full 구조체를 공동발현시켜 정제하였을 때 약 25mg 이상의 순수한 CTNNBL1-CDC5L-AD002 삼량체를 생산할 수 있었다. 그러나 고해상도의 결정구조 획득에 실패하였기 때문에 Small-Angle X-ray Scattering (SAXS) 기법을 통하여 동적 architecture를 규명하였다. 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본 연구를 통하여 인간 CTNNBL1-AD002 이량체, CTNNBL1-CDC5L-AD002 삼량체를 대장균과 같은 이종에서 대량 생산할 수 있는 기술을 확보하였으며, 이렇게 확보된 단백질 복합체를 이용하여 복합체의 구조 정보를 파악할 수 있었다. AD002가 CTNNBL1과 상호작용하는 파트너라는 것은 기존에 알려져 있었지만 어떻게 결합할 수 있는가에 대한 구조적 정보가 빈약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새롭게 발견한 것은 CTNNBL1이 AD002의 coiled-coil 부위를 포함하는 C-terminal domain 부분과 상호작용한다는 것이며, SAXS 실험을 통하여 결합에 따른 CTNNBL1의 구조적 변화를 포함하여 이러한 결합 동적 구조에 대한 윤곽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이러한 결과는 용액내에서 2:2의 stoichiometry로 상호작용한다는 것을 알려주었다. 비-핵내저분자 리보핵단백질 복합체의 기능 저하로 인하여 발생하는 여러 질환은 구성 단백질에 다양한 돌연변이가 생겼을 경우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구조 정보를 통하여 어떻게 질환이 발병하게 되었는가에 대한 이해를 도울 수 있기 때문에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출처 : 요약문 3p)
    • 연구책임자 : 김경진
    • 주관연구기관 : 경북대학교
    • 발행년도 : 20200300
    • Keyword : 1. RNA 스플라이싱;스플라이소좀;단백질 구조;비-핵내저분자 리보핵단백질;단백질 상호작용 ; 2. SAXS;
  • 11417

    2019.12.31

    Ⅳ. 연구개발결과 o B5G/6G 이동통신 및 무선전력전송 기술 • 전디지털 기반 채널 추정 기법 개발 - 전디지털 환경의 새로운 빔 기반 채널 추정 기법 제안 : 송신 빔을 고정한 상태에서 수신 빔 패턴을 digital 단에서 generation하여 pilot 최소화 : 제안 방식을 하이브리드 빔포밍에 적용하는 것 대비 전디지털 환경에서 1~3 dB 성능 향상 • low bit ADC 기반 빔포밍 기술 개발 - 기존 low bit ADC 기반 빔포밍 기술의 단점인 high SNR에서 성능이 saturation이 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다수의 ADC를 사용하여 상위 bit ADC resolution을 얻는 기법 제안 : 각 ADC에서 서로 다른 threshold를 설정하고 digital 단에서 다수의 ADC의 값을 이용해 상위 bit ADC 신호 생성 : High SNR 에서 상위 bit에 근접한 성능 확인 • 24GHz용 고밀도 안테나 기술 개발 - 송신단의 waveguide 배열 안테나는 T-junction 방식의 분배구조를 사용하여 방사효율을 높게한 구조로, 4x4의 분배구조를 만들고 이를 다시 2x2 안테나로 확장하여 전체 8x8 안테나를 설계 : 반사특성: -19.4 dB at 24 GHz : 이득: 27.7 dBi - 수신단의 32x32 배열 안테나는 안테나 이득 특성을 높이기 위하여 stacked 패치 안테나로 설계 : 반사특성: -32.4 dB at 24 GHz : 이득: 25.51 dBi • 고효율 송수신 RF 단 - 인가되는 낮은 파워를 고효율 Power amplifier로 증폭시켜주는 모듈이 필요 - 소자의 집적도 특성이 우수한 반파 정류 형태의 Diode 기반 Topology를 활용하였고, 목표한 24 GHz 대역에서 사용 가능하며, 0~20 dBm 수준의 전력에 적합한 범용적인 Schottky diode 'MAE2502L' 소자를 사용하여 정류 회로를 설계 • 빔포밍 적용 무선전력전송 송수신 시스템 - 송신단은 waveguide 배열 안테나, 수신단은 Patch 배열 안테나를 활용한 무선전력전송 송수신 시스템 설계 및 제작 o IoT/WoT • 동적 웹 콘텐츠 동기화 아키텍쳐 설계 (설계) • 동적 웹 콘텐츠 동기화 브라우저 익스텐션 (SW) • 동적 웹 콘텐츠 동기화 서버 (SW) o 집적센서 • 생체 신호 측정 모듈의 무선 충전 모듈 및 케이스 개발 • 다수의 생체 신호 측정 모듈을 활용한 실시간 수집 시스템 개발 및 데이터 신뢰성 향상을 위한 관리 시스템 개발 (출처 : 요약문 6p)
    • 연구책임자 : 조규성
    • 주관연구기관 : 한국과학기술원
    • 발행년도 : 20200100
    • Keyword : 1. B5G/6G 이동통신;무선전력전송;집적센서;빔포밍;웹 콘텐츠 동기화; 2. B5G/6G mobile communications;Wireless power transfer;IoT/WoT;Integrated Sensors;Beamforming;Web content synchronization;
  • 11416

    2020.02.29

    □ 연구개요 • XFEL (X-ray Free Electron Laser) 은 SASE (Self-amplified spontaneous emission) 현상으로, 노이즈에서 증폭되므로 시간 분포나 스펙트럼 분포에서 매우 spiky한 모양으로 종방향 결맞음이 매우 낮은 상태를 갖게 됨 • 자료조사와 기초연구 결과로, 구현 가능성이 가장 높은 self-seeding 방법에 집중해서 연구 추진. • PAL-XFEL 에 구축된 self-seeding 시스템을 활용하여 XFEL 의 종방향 결맞음 개선 연구를 수행함. □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 self-seeding FEL로 FEL radiation의 (수식) 를 SASE 의 10-3 에서 10-5 수준으로 종방향 결맞음을 개선함. Self-seeding 으로 bandwidth 가 20배 이상 줄어들고 peak intensity 가 3배 이상 증가하고, 정량적 목표인 (수식) 는 3.9x 10-5로 목표치 10-5 수준을 달성. 뚜렷한 종방향 결맞음 개선효과를 확인함. • 종방향 결맞음 특성이 fourier transform limited 수준에 도달하는 방법으로 self -seeding 이 가장 실현 가능한 방범임을 확인함. • Seeded FEL 의 peak intensity가 SASE 의 12배까지 증가됨. Seeded FEL 의 in tensity 도 0.85 mJ 에 달함. 미국 SLAC 연구소의 LCLS에서 달성한 수치(0.4 mJ)의 2배 에 해당하는 세계 최고 성능 달성함. • self-seeding 방범으로 달성한 결과는 세계 최고 수준으로, 현존하는 경엑스선 X-ray source 중 가장 spectral brightness 가 높은 결과임. □ 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 self-seeded FEL은 bandwidth 가 0.5 eV 정도이면서 (BW 가 SASE FEL 보다 20배 이상 작음), peak intensity 는 5배 이상 높아, XFEL 을 사용한 실험에서 보다 양질의 데이터가 산출됨이 확인됨. • seeded FEL을 활용한 빔라인 science 연구 결과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고, 향후 많은 실험들이 seeded FEL을 사용할 것으로 예상됨. • 본 연구를 통해 달성된 self-seeded FEL 의 spectral intensity 와 안정도는 세계 최고 성능임.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강흥식
    • 주관연구기관 : 포항공과대학교
    • 발행년도 : 20200300
    • Keyword : 1. 종방향 결맞음; 2. X-ray Free Electron Laser;Self-amplified spontaneous emission;self-seeding;bandwidth;fourier transform limited;peak intensity;spectral brightness;
  • 11415

    2020.01.31

    □ 대량사상자 유입 대비 확장수용 능력 강화 ㅇ 방사선비상진료 고유업무 수행 성과내용 : 방사선영향클리닉 진료건수 계획 : 100건 성과 : 233건 ㅇ 직종별 방사선비상진료 특성화교육 기본ž심화과정 개설 및 운영(8회) ㅇ 방사선비상의료지원본부 역량 강화를 위한 의료지원본부 가동훈련 실시(6회) ㅇ 재난 및 응급의료체계의 외부 교육과정 실시지원(19건) 및 비상진료 자문위원회 개최(2회)를 통한 분산수용 네트워크 강화 ㅇ 한국방사선비상의료지원단(K-REMAT) 역량개발 교육․훈련 운영(5건)을 통한 현장 대응능력 강화 ㅇ 한국방사선비상의료지원단(K-REMAT) 운영 매뉴얼 개정, 갑상샘방호약품(KI) 사전배포 방법론 개발에 관한 연구출판․ISBN 등록 등 전문성ž실효성 강화 □ 선량평가 기술 국제인정 유지 및 연구개발 역량강화 ㅇ 선량평가 평시 고유업무 수행 - 방사선영향클리닉 내원객 대상 내ž외부오염검사 및 생물학적 선량평가 수행으로 방사선 비상진료 검사 서비스 제공 성과내용 : 내・외부오염검사실 및 생물선량평가팀 운영 계획 : 50건 성과 : 184건 - 방사능분석장비, 자동 염색체 분석 시스템 현미경 자체교정 및 정기성능평가로 선량평가 서비스의 품질관리시스템 향상 ㅇ 국내ž외 교차분석프로그램 주관 및 참가로 피폭선량평가에 대한 측정 소급성 유지 및 숙련도 향상 - 국내 교차분석 프로그램 주관, 미국 국립 표준 기술원(NIST) 주관 교차분석 프로그램 참가, 한국표준 과학 연구원(KRISS) 주관 교차분석 프로그램 참가 등 ㅇ ISO 17025에 대한 공인시험기관 국제공인인정 유지 및 ISO 15189에 따른 공인메디컬시험 기관 국제인정 유지로 피폭선량평가 기술에 대한 표준화 및 선량평가 결과에 대한 신뢰성 향상 ㅇ 피폭선량평가분야 기술교류 세미나 개최로 및 국내외 회의 참가를 통한 최신 기술에 대한 정보 공유 및 피폭선량평가에 대한 기술 역량 강화 - Asian Radiation Dosimetry Group; ARADOS) 5차 연차회의 참석을 통한 워크그룹 간 기술교류 및 교차분석프로그램 발굴(2019.11.5.~2019.11.8, 중국 NIRP 주관) - Korean Retrospective Dosimetry Group (KREDOS) 차 연차회의 참석을 통한 기술교류 및 교차분석프로그램 결과/계획 논의(2019.7.4.~2019.7.5, KARA 주관) ㅇ 딥러닝 기법을 활용한 염색체 이상 판독 자동화 연구개발 수행, 정부수탁과제 및 방사선 생체영향 연구수행을 통한 피폭선량 연구역량 개발 □ 방사선비상진료 국제공조체계 기반 강화 ㅇ 국제교육과정 - IAEA 방사선 비상 의료대응 지원을 위한 의학물리사 교수자 교육과정 개최(2019.6.17.~2019.6.28.) - 한·일 방사선비상진료 분야 정보 공유 및 방사능재난 대비 국가 간 협업대응 능력 향상을 위한 REM 국제교육과정 개최(2019.02.10.~2019.02.23.) ㅇ 해외 방사능방재 전문가 대상 한빛 연합훈련 참관 및 세미나 개최(2019.10.29. ~2019.10.30.) (출처 : 요약서 5p)
    • 연구책임자 : 진영우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의학원
    • 발행년도 : 20200200
    • Keyword : 1. 방사선비상진료;방사선비상대응;방사선비상의료지원본부;한국방사선비 상의료지원단;방사선영향클리닉;직종별 특성화 교육;방사선비상진료 국제공조;생물학적선량평가;내부/외부 선량평가; 2. Radiation Emergency Medicine;Radiation Emergency Medical Response;Korean Radiation Emergency Medical Assistance Team;Radiation Effect Clinics;Radiation Emergency Medical Education;International Cooperation;Biological Dosimetry;Inter・External Physical Dosimetry;
  • 11414

    2020.08.31

    □ 연구목표 ▪ 고품질 질화붕소를 적용한 항공우주용 S-band급 내방사선 고주파 소자 개발 - 질화붕소를 적용한 질화갈륨 기반 내방사선 고주파 소자 제작 기술 확보 - 금속-유기 화학 기상 증착법을 활용한 육방정 질화붕소 성장 기술 확보 - 고주파 소자의 방사선 내성 평가 기술 확보 □ 연구(pilot study; small scale) 내용 및 결과 ▪ 방사선 내성이 향상된 고주파 소자 제작 기술 확보 - 질화붕소 보호층이 적용된 S-band급 고주파 소자 공정기술 확보 및 시제품 제작 완료 - 방사선 조사 전: 차단주파수/최대발진주파수 = 28/88 GHz - 방사선 조사 후 (양성자): 차단주파수/최대발진주파수 = 27/60 GHz - 방사선 조사 후 (감마선): 차단주파수/최대발진주파수 = 26/84 GHz - 게이트 길이 = 0.36 ㎛ ▪ 고주파 소자에 적용하기 위한 고품질·웨이퍼 스케일 질화붕소 성장 기술 확보 - MOCVD 성장 메커니즘 탐구를 통한 고품질·2인치 웨이퍼 스케일 질화붕소 성장 조건 확립 - 방사선 내성 향상을 위한 고주파 소자용 기판상에 질화붕소 연속 in-situ 성장 기술 확보 - Raman 반치폭 = 35 cm-1, 표면 RMS roughness = 0.43 nm 두께편차 < 5%, 문턱전압 변화 = 0.06 V ▪ 항공우주용 고주파 소자의 방사선 내성 평가 기술 확보 - 전자부품에 대한 우주방사선 영향 평가 문헌 및 기술정보 수집 - 전자부품에 대한 방사선 영향 평가 기술분석보고서 확보 - 소재 및 고주파 소자의 방사선 내성 평가(감마선, 양성자) 및 특성 분석 □ 결과활용 ▪ 주요 연구결과 및 연구결과의 중요성 - 세계 최초로 질화갈륨 기반 고주파 소자의 방사선 저항성 향상을 위해 내방사선 보호층 소재인 육방정 질화붕소 박막을 고주파 소자의 보호층으로 사용하기 위한 연구를 진행 - 고주파 소자의 핵심 물질로 여겨지고 있는 질화물 ternary alloy (AlxGa1-xN) 박막상에 내방사선 소재인 질화붕소의 웨이퍼 규모 대면적 성장에 세계 최초로 성공 - 세계 최초로 웨이퍼 규모의 질화붕소 보호층을 적용한 질화갈륨 기반 고주파 소자 제작 기술 확보 및 시제품 제작을 완료 ▪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융합연구사업으로 확대 추진 - 연구목표: X-/Ku-band급 내방사선 MMIC 및 송수신 모듈 국산화 기반 기술 개발 - 연구내용: 내방사선 질화갈륨 기반 고주파 에피 및 보호층 소재 개발 X-/Ku-band급 내방사선 고주파 소자 설계 및 제작 기술 개발 방사선에 의한 고주파 소자의 열화 및 오동작을 보상할 수 있는 회로가 포함된 MMIC 설계 및 공정 기술 개발 방사선 차폐 기술이 적용된 송수신 모듈 패키징 기술 개발 내방사선 소자, MMIC 및 송수신 모듈에 대한 방사선 영향 평가 절차 및 기반 기술 확보 ▪ 내방사선 소재, 소자, 회로, 패키징, 방사선 영향 평가 분야의 전문연구기관들이 참여하는 유기적이고 체계적인 내방사선 고주파 소자 연구를 진행하고 이를 활용하여 MMIC 및 송수신 모듈 국산화를 실현 (출처 : 보고서 요약문 4p)
    • 연구책임자 : 장성재
    • 주관연구기관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발행년도 : 20200900
    • Keyword : 1. 질화갈륨;육방정 질화붕소;고주파 소자;내방사선; 2. Gallium Nitride;Hexagonal Boron Nitride;RF Device;Radiation Hardness;
  • 11413

    2020.02.29

    국외 주요 곡물 생산지대(미국 아이오와 등 5개주)를 대상으로 작황 추정 기술을 확대․고도화하고자 원격탐사 기반작물 수량 추정 회귀모형, 바이오매스 모형, 작물모형을 구축하고, 기상 상세 관측 및 예측 기술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생산된 작황정보의 효율적 제공 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선물거래 시점인 8월말을 기준으로 연구성과를 종합하여 작황보고서를 작성하고 위성영상, 기상자료 자동 수집 및 작황정보 표출시작품을 구축하였다. (출처 : 요약서 3p)
    • 연구책임자 : 이경도
    • 주관연구기관 : 국립농업과학원
    • 발행년도 : 20200300
    • Keyword : 1. 원격탐사;곡물;작황;정보;생산환경 정보;관측;콩;옥수수;작물모형;앙상블;빅데이터;기상예보;주요 곡물생산지역;상세기상예측;농업기상정보;표출;시작품; 2. MODIS;DSSAT;Remote Sensing;Crop;Crop Condition;Information;Crop;Agricultural Environment Information;Monitoring;soybean;corn;crop growth model;ensemble;Yield;Big data;Weather Forecast;Major crop production areas;Climate forecast;regional climate information;Grain;Crop Information;Service;Prototyp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