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Report

All 12,458 Page 98/1,246

검색
  • 11488

    2020.07.31

    □ 과제목표 본 연구에서는 적은 수의 X-ray 촬영만으로도 퀄리티가 높은 3차원 전산화 단층 촬영 (CT) 영상을 복원하고 이를 자동으로 분석해줄 수 있는 인공지능을 개발한다. 이를 위해 기존 필터링 기반의 Forward model과는 달리 (1) 대립구조네트워크(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 GAN)를 이용하여 Sinogram으로 부터 3차원 CT 영상을 End-to-End로 복원해낼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고, (2) 복원된 복부 CT 영상 내부의 주요장기들을 자동으로 영역화 (segmentation)하여 각 장기에 미치는 방사선량(radiation dose)을 측정해 줄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한다. □ 주요내용 연구목표 달성을 위해 DGIST와 Marquette University 연구진이 공동으로 두 가지 세부 프로젝트를 수행한다. 1세부에서는 CT 스캐너 제작사인 GE Healthcare와 협업하여 학습모델기반의 CT 복원 기술을 개발한다. 2세부에서는 위스콘신 의과대학과 협업하여 복부 CT 영상 영역화를 수행한다. 세부 연구내용은 아래와 같다. (1) 학습모델 기반의 CT 영상복원기술 • Sinogram으로부터 CT영상 복원을 위한 기법 구현 (Forward model, Iterative Reconstruction 등) • Sparsity 모델 기반 CT 영상 복원 기법 구현 • 대립구조네트워크(GAN)을 활용한 CT 영상 복원 및 매핑 기법 개발 • SRCNN, VDSR, DenseNet 등의 고해상도 영상 생성을 위한 딥뉴럴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하여 CT 영상 퀄리티 향상에 적합한 새로운 구조의 딥뉴럴네트워크 개발 (2) 복부 CT 영상 주요장기 영역화 • FCN, U-Net 등을 활용한 복부 CT 관심장기 영역화 기법 개발 • 제한된 데이터로 학습을 수행하기 위한 대립구조네트워크(GAN) 기반의 데이터 생성 기법 개발 • 학습데이터 내에 샘플간의 변화를 유기적으로 고려해 영역화 성능을 향상시켜 줄 수 있는 딥러닝 네트워크 개발 • 장기별 CT 방사선량 측정 (radiation dose estimation) 기술 개발 □ 기대효과 제안하는 기술이 개발되면 CT 영상복원시 필요한 방사선량을 획기적으로 줄이면서도 노이즈에는 강인한 퀄리티 높은 CT 영상 취득이 가능해질 것이다. 또한 기존의 CT보다 단시간 내에 안정적으로 결과를 생성하고 장기별로 축적된 방사선량을 알려줌으로써 임상적인 가치를 크게 높여줄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팀이 제안하는 기술은 영상복원 및 영상 퀄리티 향상을 위한 인공지능 핵심기술로 의료영상처리 분야의 임팩트 높은 학술지에 성과를 낼 수 있을 것이고, 추후 대형 국제과제로도 발전시켜 나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한국 대학원생들에게는 선진기술을 받아들일 수 있는 기회와 함께 GE 헬스케어와 같은 국제기업과의 공동연구에 참여해보는 기회를 가짐으로써 글로벌 인재로 성장해 나가는 데에 큰 도움이 될 것이다. (출처 : 요약문 4p)
    • 연구책임자 : 박상현
    • 주관연구기관 : 대구경북과학기술원
    • 발행년도 : 20200800
    • Keyword : 1. CT영상복원;CT영상분석;방사선량 측정;딥신경망;대립구조네트워크; 2. CT image reconstruction;CT image analysis;Radiation dose estimation;Deep convolutional neural network;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
  • 11487

    2020.05.31

    □ 연구개요 초파리의 배아는 발생 과정 중 방사선에 대한 저항성이 변화함. 즉, 초기에는 민감성을 나타내 방사선 조사 후 사멸하지만 후기에는 epigenetic change에 의한 proapoptotic gene 발현이 억제되어 저항성을 나타내 방사선 조사 후 대부분의 세포가 생존하여 유충으로 부화함. 본 연구실에서는 방사선 민감성을 나타내는 초기 배아에 방사선을 조사하였을 때 특정 세포에서만 사멸이 유도되는 것을 확인하였고, 특히 신경줄기세포는 사멸되지 않는 것을 발견함. 본 과제는 이 결과를 바탕으로 신경줄기세포가 방사선 저항성을 나타내는 기전을 규명하고자 함. 또한, 유충의 신경 줄기세포는 방사선 조사후 어떻게 반응하는지 규명하고자 함. □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1. 방사선 민감성을 나타내는 초기 배아의 방사선에 의한 세포사멸에 관여하는 유전자 규명 - p53에 의한 reaper와 hid 유전자의 발현 증가에 의해 세포사멸이 일어나며 Ras 유전자 역시 이 과정에 필요함. 2. 방사선 조사후 생존한 초기 배아 신경줄기세포의 운명 – 방사선을 조사하고 2시간 후부터 신경줄기세포의 숫자가 감소하는데, 그 원인은 세포분열 정지, apoptosis에 의한 세포사멸이나 조기분화와는 관련이 없음. 3. 방사선 조사후 초기 배아 신경줄기세포가 생존하는 원인 규명 – 신경줄기세포에서는 방사선 조사후 p53에 의한 reaper와 hid 유전자의 발현이 유도되지 않았는데, 그 원인이 이들 유전자의 promoter methylation에 의한 epigenetic change는 아님. 4. 방사선 조사후 초기 배아 신경줄기세포의 생존에 필요한 유전자 규명 – hid의 발현을 조절한다고 알려진 유전자들(E2F1, Ras, Yan, Dicer1, Eggless, Snail, Zelda, Rolled, Ras85D)은 방사선 조사후 신경줄기세포의 생존에 관여하지 않음. 5. 2령 유충의 신경줄기세포의 방사선 저항성 확인 및 작용 기전 규명 – 2령 유충에 방사선을 조사하였을 때, 신경줄기세포는 세포사멸을 하지 않는 대신 조기분화함. 그로인하여 발생과정중 신경줄기세포의 숫자가 증가하지 않아 3령 유충의 뇌 발달이 저하되어 작은 크기의 뇌가 생성됨. □ 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 방사선 조사후 세포의 운명은 세포의 종류나 발달 단계에 따라 다양한데, 초파리 줄기세포의 경우, 대부분이 방사선 조사후 생존한다고 알려져 있으나 생존한 줄기세포의 운명에 대해서는 자세히 밝혀진바 없음. 본 연구에서는 신경 줄기세포 역시 방사선 조사후 생존하는데, 2령 유충에서는 방사선 조사후 조기 분화한 반면, 배아에서는 조기분화하지 않음을 발견함. 분화 과정에 따라 운명이 상이한 신경줄기세포의 동물모델이 새로이 확립되어 추후 관련 연구의 중요한 소재로 사용될 수 있음. • 초기배아의 신경줄기세포가 방사선 조사후 생존하는데 관련된 유전자의 일부는 밝혔지만 그 기전을 완전히 규명하지는 못하였으며, 이를 규명하기 위한 후속 연구가 필요함.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송영한
    • 주관연구기관 : 한림대학교
    • 발행년도 : 20200600
    • Keyword : 초파리;신경줄기세포;세포사멸;방사선 저항성;조기분화;
  • 11486

    2020.05.31

    □ 연구개요 ESAT-6 (Early Secreted Antigen Target 6 kDa)와 CFP-10 (Culture Filtrate Protein 10 kDa) 단백질은 결핵균이 분비하는 중요한 virulence factor임. 본 연구를 통해, ESAT-6와 CFP-10 단백질의 정제 시스템을 구축하였고, 물리화학적 특성을 분석하였으며, 두 단백질의 결합을 분자 수준에서 규명하였음. 또한, ESAT-6의 3차원 구조 규명을 위해, 다양한 단백질 결정을 얻을 수 있었으며, X-선 회절 실험을 통해 회절 data를 확보하였음. Phasing 문제 해결을 위해 다양한 전략으로 연구를 진행하고 있음. □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1. 단백질의 대량 발현 및 정제시스템 구축 - ESAT-6, CFP-10 단백질 각각의 정제시스템을 구축하였으며, 다양한 실험을 위한 충분한 양의 단백질을 얻을 수 있었음. 2. 단백질들의 물리화학적 특성 분석 및 상호작용 규명 - SEC-MALS 실험을 통해, 중성 pH에서의 두 단백질의 oligomeric states를 규명하였음. - CD (circular dichroism)를 이용하여, CFP-10의 2차 구조 및 열안정성을 규명하였음. - ITC (isothermal titration calorimetry)를 이용하여, ESAT-6와 CFP-10의 결합을 증명하였으며, 결합상수를 규명하였음. - NMR (nuclear magnetic resonance) 실험을 통해, CFP-10의 스펙트럼을 측정할 수 있었고, ESAT-6 결합에 의한 스펙트럼 변화 양상을 관측하였음. 3. ESAT-6의 결정화 및 X-선 회절 연구 - 다양한 조건에서 ESAT-6의 결정화를 진행하였고, 다수의 ESAT-6 결정을 얻을 수 있었음. X-선 회절 실험을 통해 회절 data를 확보하였지만, 낮은 해상도 및 phasing 문제로 인해3차 구조를 규명할 수는 없었음. - ESAT-6의 3차원 구조 규명을 위해서, selenomethionine 치환된 결정의 해상도를 높이기 위한 다양한 시도를 진행하고 있음. □ 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최근에 ESAT-6:CFP-10 복합체 형성을 억제하면, 결핵균의 성장을 억제할 수 있으며 동시에 host의 면역 반응을 증강시킬 수 있다고 제시되었음. 이 연구를 통해 이 단백질 복합체의 형성 기전을 분자 수준에서 이해하고, ESAT-6:CFP-10 복합체 형성 억제 물질 발굴 하게 된다면, 새로운 기전의 항결핵 약물 개발을 위한 타겟이 될 수 있음.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서민덕
    • 주관연구기관 : 아주대학교
    • 발행년도 : 20200600
    • Keyword : 1. 결핵;단백질 정제;물리화학적 특성;단백질-단백질 상호작용;X-선 결정학;핵자기공명학; 2. ESAT-6;CFP-10;
  • 11485

    2020.11.30

    4. 연구결과 ○ 한반도 미기록/신종 조사발굴 및 확증표본 확보 - 한반도 미기록/신종 6분류군 발굴 · 미기록종 2과 2속 3분류군 · 신총 3과 3속 3분류군 ○ 제주도 선태식물상 조사 및 표본 확보 - 총 25과 36속 51종 51분류군 650점 표본 확보 · 선류식물 16과 25속 37종 37분류군 확보 · 태류식물 9과 10속 14종 14분류군 확보 ○ 엄마이끼속(Scapania)의 분자계통학적 연구 - 전체적으로 엄마이끼과(Scapaniaceae)에 속하는 3개의 속이 별개의 독립된 clade로 뚜렷하게 구분됨 - 엄마이끼속(Scapania)내에서는 전반적으로는 각 종별 구분이 되었으나. 울엄마이끼, 산엄마이끼, 베루카엄마이끼가 계통수에서 구별이 되지 않음 - 보라엄마이끼, 자주엄마이끼, 계곡엄마이끼가 같은 절의 그룹을 형성하며 분류학적 유연관계가 가까운 것으로 나타남 (출처 : 요약문 8p)
    • 연구책임자 : 현창우
    • 주관연구기관 : 국립생물자원관
    • 발행년도 : 20201200
    • Keyword :
  • 11484

    2020.08.31


    • 연구책임자 : 박종호
    • 주관연구기관 : 서울대학교
    • 발행년도 : 20200900
    • Keyword :
  • 11483

    2020.03.31

    ● 1차년도 (2017년): 자성메모리 소자(자기터널접합, 수직자화소자) 제조 및 특성 평가, 감마선 조사 및 총이온화선량(TID) 효과에 대한 신뢰성 평가 - 수직자화소자 및 자기터널접합 소자 제조 - 수직자화소자에 대한 감마선 조사에 대한 내방사성 특성 평가 ● 2차년도 (2018년): 자성메모리 소자(자기터널접합, 수직자화소자)의 감마선/양성자빔/중이온 빔 조사에 대한 신뢰성 평가 - 자기터널접합에 대한 감마선 조사에 대한 내방사성 확인 - 수직자화소자 및 자기터널접합에 대한 20MeV 양성자 빔 조사에 대한 내방사성 특성 평가 - 수직자화소자 및 수직 자기터널접합에 대한 20~100keV 중이온빔 조사에 의한 특성 평가 - SRIM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이용한 양성자/이온 빔 효과 해석 ● 3차년도 (2019년): 내방사선 특성의 자성메모리 소재 개발 - 자기터널접합에 대한 감마선 조사에 대한 내방사성 확인 - 고에너지 방사선 입자 (양성자 빔 및 중이온 빔)에 대한 수직자화소자 및 자기터널접합의 내방사성 특성 평가 - 수직자화소자에 대한 20~100keV 중이온빔 조사에 의한 특성 열화 확인 - 중이온 빔에 의한 열화를 완화시키는 보호층 삽입에 대한 연구 (출처 : 보고서 요약서 4p)
    • 연구책임자 : 박병국
    • 주관연구기관 : 한국과학기술원
    • 발행년도 : 20200400
    • Keyword : 1. 방사선;자성메모리;우주산업;자기터널접합;총 이온화 선량; 2. Radiation;Magnetic memory;Aerospace application;Magnetic tunnel junction;Total ionization dose (TID)effect;
  • 11482

    2020.03.31

    ○ 알부민-drug-RI 제작 및 평가 - 알부민표면 접합시킨 drug의 정량화 및 안정성 평가 (non-covalent, covalent 접합 비교) - Luciferase 유전자를 이입한 뇌종양 세포주 구축 및 in vitro에서 알부민-RI/알부민-drug을 이용한 세포독성 테스트 ○ 뇌종양 진단/치료제로서 알부민-RI/알부민-drug 성능 평가 - 환자유래 조직에서 SPARC발현 확인 - 뇌종양 동물모델에서 Lu-177-알부민/알부민-cisplatin의 분포 영상 모니터링 및 뇌종양 추적능 평가 - 종양조직 내 Lu-177-알부민/알부민-cisplatin의 섭취정도 평가 - 알부민-ICG을 주입한 종양동물모델의 종양 조직 내 축적 정도 평가 ○ 알부민-RI/알부민-drug의 뇌종양 진단/치료제로 신약개발 후보물질 도출 - 알부민-cisplatin을 뇌종양 동물모델에 주입한 후 각 조직별 섭취율을 정량 평가 - 종양조직 내 알부민-RI/알부민-drug을 이용한 치료효과 평가 - 알부민-cisplatin을 이용한 동물모델에서 독성평가 (출처 : 보고서 요약서 3p)
    • 연구책임자 : 강건욱
    • 주관연구기관 : 서울대학교
    • 발행년도 : 20200400
    • Keyword : 1. 테라노스틱스;알부민;맞춤치료;뇌종양;나노약물전달체; 2. Theranostics;Albumin;Personalized Therapy;Brain Tumor;Nanotechnology based drug delivery systems;
  • 11481

    2020.07.31

    1. 대면적 고종횡비 정밀 마이크로니들 어레이 몰드 제조 공정 개발 - 저종횡비(250μm 이하) 소형화 제조공법 탈피→ 정밀 고종횡비(600μm 이상) 마이크로니들 제작을 위한 더블 실리콘애칭 기술 및 니켈 전기도금, 이빔 표면처리 기법을 응용한 제조공법 개발 - Si wafer 기반 탈피 → 반영구, 대량생산에 유용한 대면적 금형몰드 개발 2. 방사선 기술을 이용한 경피약물전달용 피부접착 패치 개발 - 생체적합성 고분자(pvp-hydrogel, PEG-hydrogel)를 이용한 고종횡비/대면적 마이크로니들어레이 패치 제조공법 개발 - 약물 전달 효율 및 구조안정성 향상을 위한 마이크로니들 디자인 개발 3. 인공피부조직체 개발을 통한 약물전달 메커니즘 및 효율 분석기술 개발 - 3D 프린터를 이용한 인간 피부모사형 다층구조 인공 피부조직체 개발 - 3차원 광분석 기법을 이용한 약물전달 메커니즘 및 약물거동 분석 (출처 : 보고서 요약서 3p)
    • 연구책임자 : 남기환
    • 주관연구기관 :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 발행년도 : 20200800
    • Keyword : 1. 마이크로니들;방사선;생체소재;경피약물전달;인공피부; 2. Microneedle;Radiation;Biomaterial;Trans-dermal Drug Delivery;Biomimetic Skin Construct;
  • 11480

    2020.01.31

    2.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방사선기술개발사업 기업주도사업화 6개 과제에 대한 최종평가 및 과제관리를 통한 연구생산성 제고를 위해 연구관리 전문기관의 전주기적 관리가 필요함 □ 중장기적 과학기술 연구개발의 객관적이고 정량적인 평가방법 및 도구개발을 통해 효율적 자원배분 및 과제관리를 통한 연구생산성 제고를 위해 연구관리 전문기관의 주기적 관리가 필요함 3. 연구의 내용 및 범위 □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로부터 방사선기술개발사업을 수탁 받아 추진하는 전문관리기관으로서 연구과제 선정 및 관리의 체계화·과학화 및 기술적 성공 가능성을 제고하는 노력을 다함과 동시에, 공정하고 투명한 평가문화를 정착시키고, 학계 및 연구계 등에서 도출한 연구성과의 산업체 이전 촉진과 연구개발 활동의 가치실현 극대화 등을 통해 전주기적인 연구개발관리시스템을 지속적으로 발전시킴으로써 국가 방사선기술개발사업 추진의 효율성과 투명성을 높이고자 끊임없이 노력하였음. 최종평가 : 지원과제의 과제의 목표 대비 달성도 사업성 및 과제 추진 전략 점검 현장컨설팅 : 지원과제에 대한 진행상황과 사업비 관리 상황 점검으로 과제 추진 효율성 제고 과제관리 : 지원과제 협약 변경 및 승인 등의 과제관리 4. 연구개발결과 및 활용 본 연구를 통해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소관 연구개발사업 처리규정 및 특구육성법 평가관리지침에 근거하여 2017년도 방사선기술개발사업에 따른 다양한 연구개발사업을 효율적이며 체계적으로 관리하였음. 기존 연구자 중심의 방사선기술개발사업에서 기업이 주도할 수 있는 방사선기술에 대한 R&D 개발을 위하여 기술사업화 전문기관으로서의 역할과 임무를 충실히 수행하였음. (출처 : 요약문 3p)
    • 연구책임자 : 윤병한
    • 주관연구기관 :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 발행년도 : 20200200
    • Keyword :
  • 11479

    2020.11.30

    □연구의 목적 및 내용 ∎ 망간기반 암치료 나노플랫폼 기술을 바탕으로 1) 방사선 병합치료 기술 개발 2) 면역조절 병합기술의 심화기술을 개발 3) 다양한 종양 이식 동물 모델 (피하 이식 모델/ 동소 이식 모델/전이 모델등)을 활용하여, 항암 효과를 검증하고 그 특성을 규명 4) 최적의 망간기반 암치료 나노플랫폼 기술 도출 ∎ 개발된 심화기술에 기반한 지식재산권 확보 및 창업에 필요한 핵심 요소기술들을 위한 개발 완료하여 상용화를 위한 과학적/임상적 근거를 제시 □연구개발성과 ∎ 논문 (총 5편 게재) -나노플랫폼의 면역치료 적용을 위한 포석으로 다양한 입자와 면역치료제를 병합한 문헌을 정립 -효과적인 Hypoxia 제거를 위한 ROS 반응형 나노 플랫폼 구축을 위한 연구 논문 게재 -Tumor 내 Hypoxia와 연관된 factor인 ROS의 조절에 관한 논문 게재 -나노플랫폼 구축에 따른 확장성(기업으로의 기술이전) 확보를 위한 논문 게재 ∎ 특허 (총 2건 출원) -암치료 나노플랫폼 구성 재료 중 하나인 Lgals3bp 생산 및 이의 용대에 관한 특허 출원 완료 -망간 담지 나노 플랫폼을 기반으로 한 복합치료 약물전달체 개발에 관한 특허 출원 완료 ∎ 국책과제 수주 (국책과제 4건, 연구용역 1건, 총액 88억) ∎ 연구소기업 창업 □연구개발성과의 활용계획(기대효과) ∎ 본 기술의 상용화를 위해 1) 임상연구 진행단계와 절차 2) 임상시험 승인절차를 확인하여 본 사업 이후(2024년~)에 실질적인 수익 및 일자리를 창출하기 위한 노력을 수행할 예정 ∎ 항암 병합요법의 플랫폼이 완성될 경우 다양한 암종에 적용할 수 있음 => 응용 범위 확대, 높은 가치 창출, 연구 활성화의 선순환 도출 (출처 : 요약문 4p)
    • 연구책임자 : 박인규
    • 주관연구기관 : 화순전남대학교병원
    • 발행년도 : 20201200
    • Keyword : 1. 산소발생 나노입자;방사선치료;면역치료;암 저산소증;활성산소종; 2. Oxygenic nanoparticles;Radiation therapy;Immunotherapy;tumor hypoxia;Reactive oxygen spec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