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Report

All 12,382 Page 98/1,239

검색
  • 11412

    2020.02.29

    □ 연구개요 임플란트 수술의 주요 실패 요인은 뼈가 임플란트 표면에 달라붙지 않는다는 것임. 티타늄은 주변 뼈나 연조직 자체를 직접 성장시킬 수 없음. 이를 해결하기 위해, 항생제 및 생체활성물질을 임플란트 표면에 코팅 하였으나, 코팅된 물질들은 초기에 방출되어 지속적인 효과를 볼 수 없었거나 방출 속도를 조절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었으며 화학 물질을 사용하므로 인체에 위험할 수 있음. 따라서 본 연구는 인체에 무해한 이온화 에너지인 감마선 에너지를 사용하여 항생제와 생체활성물질을 임플란트 표면에 코팅하여 성공적인 임상 결과에 최적의 효능을 발휘할 수 있는 또 다른 표면 처리법을 연구하고자함. □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 1차년도 • 임플란트 표면 개질을 위한 코팅 기술을 지속적으로 연구 개발하였으며, 다양한 in vitro 실험을 통해 그 성능과 안정성을 평가하고 개선 - 임플란트 표면에 DOPA, heparin, collagen, BMP, VEGF, PDGF, aminoglycoside 등의 항생제 및 생체활성물질을 탑재하는 프로토콜 정립 - 생체활성물질이 탑재된 임플란트 표면의 물리·화학적 평가를 시행하여 표면의 안전성 및 성능 평가방법에 대한 가이드라인 정립 - 표면 개질된 임플란트의 세포수준 안전성 및 유효성 평가 • 임플란트의 안전성 및 성능 평가를 위해, 다양한 임상적 상황을 모방한 동물 모델 개발 ○ 2차년도 • 생체활성물질이 코팅된 이식 재료의 골융합 촉진 및 임플란트 주위염 치료 효능평가 - 다양한 방법 (화학적 방법, 감마선을 이용한 방법 등)으로 생체활성물질을 이식 재료에 탑재하는 프로토콜 정립 - 세포 실험을 통해 생체활성물질이 탑재된 티타늄 스크류의 안전성 및 성능 평가 - 동물모델을 이용하여 개질된 표면의 안전성 및 성능평가 ○ 3차년도 • 최종 전임상 평가를 위한 재료 선정 및 프로토콜 확립 - 소동물 모델에 다양한 골이식재를 적용하여, 재료에 따른 안전성·유효성 비교 평가 • 감마선 기술로 생체활성물질이 탑재된 임플란트의 대동물 전임상 평가. - 최적의 감마선량 (25kGy)으로 콜라겐을 임상적용 가능한 티타늄 임플란트에 탑재하고, 표면 특성 및 화학적 조성을 화학적 콜라겐 가교법과 비교 평가 - 전임상실험을 통한 표면개질된 임플란트의 안전성 및 유효성 평가 □ 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 4세대 임플란트 표면 개발의 지속적인 필요성으로 인해 많은 연구에도 불구하고 개발된 상품은 전무함. 이는 식약청 허가 시 표면개질에 사용한 유해물질의 안전성을 검증하지 못함이 가장 큰 이유임 ○ 일반적인 표면 개질법은 인체에 유해한 화학물질의 사용이 필수적이나, 감마선 기술을 이용한 경우 인체에 유해한 화학물질의 사용을 최소화할 수 있어 FDA 승인이 수월함. ○ 기능성 소재 개발에 있어 신규물질의 합성, 표면 분해 등을 이용한 방법은 합성의 복잡성, 표면 개질의 불균일성 및 낮은 수율로 인해 생체활성물질의 고정화에 제한적이며, 감마선 기술을 이용할 경우 높은 수준의 표면개질이 가능해 생체활성물질의 고정 및 전달 수율을 매우 높일 수 있음. ○ 고령화 사회와 삶의 질 향상으로 인한 치과용 임플란트 환자가 더욱 증가할 것이 예상되므로 감마선을 이용한 치과용 융복합형 티타늄 임플란트 기술의 산업적 가치가 증대됨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3p)
    • 연구책임자 : 허중보
    • 주관연구기관 : 부산대학교
    • 발행년도 : 20200300
    • Keyword : 임플란트;티타늄;표면;감마선;골재생;골융합;대동물;
  • 11411

    2020.02.29

    o 최근의 신개념 기기 및 안전계통 등을 도입함에 따라 안전규제 인프라 강화 차원에서 기존 안전해석 코드를 개선·확장할 필요가 있음. o 본 연구에서는 (1) 열수력 모델 선진화를 위해 순수증기 및 비응축성기체 조건 경사관/수직관 내부의 응축열전달, 특이형상가열면 임계열유속, 수평관 표면 비등 실험 및 물리모델을 개발하였음. 경사유로 내부 비등유동 및 봉다발 내부 유동실험과 경사관/수직관 내부 응축실험을 수행하였고 순수 증기 및 비응축성 기체 존재시 벽면 응축 모델을 개발하였음. (2) 이를 바탕으로 안전해석코드 MARS-KS와 중대사고해석코드 MELCOR, 기기해석코드 CUPID 등의 열수력 모델을 개선하였으며, (3) 기기스케일 해석코드의 사용자 계산환경 환경을 구축 및 검증하였고 연구로 등의 다차원 안전해석기술을 개발하였음. (4) 다분야 다중스케일 연계 안전해석기술을 개발하였음. (5) 벽면응축 및 수조내부 유동 정밀 계산 기법을 개발하였음. (6) 아울러, 학연협력체계 구축 등을 통해 원자력안전해석 전문인력을 양성하였음. o 현재 1, 2, 3단계 연구를 성공적으로 마치고 (1) 원자력열수력 안전성 정밀평가 인프라(열수력 DB 및 안전해석 코드) 고도화,(2) 규제검증활용 지원, (3) 안전성평가 전문인력 양성이라는 세 가지 목표를 완수하였음. (출처 : 요약서 3p)
    • 연구책임자 : 윤병조
    • 주관연구기관 : 부산대학교
    • 발행년도 : 20200300
    • Keyword : 1. 안전해석 인프라;안전해석 코드;원자력안전;다중스케일 통합해석;열수력 모델; 2. Infrastructure for the safety analysis;Safety analysis code;Nuclear safety analysis;Thermal hydraulic model;Multi-scale analysis;
  • 11410

    2020.01.31

    농장맞춤형 기상재해 조기경보서비스를 위한 핵심기술인 기상정보의 상세화 기술과 재해위험 판정기술을 고도화하였고, 총 30개 작물에 대한 생육단계별 재해위험 대응조치를 DB화하였으며, 농장맞춤형 기상재해 조기경보시스템을 전북 14개 시·군이 포함된 총 24개 시·군으로 확대 구축하여 서비스 받기를 원하는 자원농가에게 인터넷과 모바일을 통해서 농장단위의 기상 및 재해예측 정보, 그리고 피해저감을 위한 대응조치를 최대 10일 前에 서비스를 실시하고 있음 (출처 : 요약서 4p)
    • 연구책임자 : 심교문
    • 주관연구기관 : 국립농업과학원
    • 발행년도 : 20200200
    • Keyword : 1. 조기경보 서비스;농장맞춤;기상위험;생육단계;대응조치; 2. Early warning service;Farm-specific;Weather risk;growth stage;counter-measures;
  • 11409

    2020.02.29

    연구개요 본 연구는 인간 메신저 RNA의 스플라이싱 과정에 관여하며 망막색소변성증, 척수성 근위축증 등과 같은 질환에 관여되어 있다고 알려진 ‘비-핵내저분자 리보핵단백질’ 복합체의 구성단백질 및 초거대분자복합체의 입체구조에 대한 실마리를 마련하기 위하여, 인간 비-핵내저분자 리보핵단백질 중에서 가장 대표적이며 실질적으로 핵내저 분자 리보핵단백질의 기능을 돕는 Prp19 복합체의 구조를 분석하고 이들의 작동에 대한 분자 수준의 근거를 마련할 수 있었다. 따라서, 인간 Prp19 복합체를 이루는 구성단백질 중에서 이러한 복합체의 구조적 뼈대를 마련하는 CTNNBL1과 CDC5L, AD002(CWC15)의 미시적 상호작용에 대한 과학적 이해를 도울 수 있었다.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비-핵내저분자 리보핵단백질 복합체인 인간 Prp19 복합체를 구성하는 핵심 단백질 CTNNBL1-CDC5L CTNNBL1-AD002 그리고 CTNNBL1-CDC5L-AD002 삼량체 복합체 입체구조와 architecture를 규명하는 것이 연구 목표였다. 이를 위하여 AD002의 유전자원을 확보하여 대량생산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CTNNBL1-AD002 복합체의 대량생산을 위하여 다양한 길이를 가지는 AD002 partial construct를 제작하였고 선행연구를 통하여 CTNNBL1이 동질 이합체로 존재할 것이라는 것을 제안하였기 때문에 이러한 동질 이합체와의 결합에 중요한 AD002 도메인 및 잔기를 규정하였다. 이러한 AD002 4개 구조체 중에서 F와 C로 명명된 구조체를 이용하여 이질 이량체의 정제에 성공하였으며 정제된 CTNNBL1-AD002 복합체를 음성 전자현미경 이미지를 얻을 수 있었다. CTNNBL1-CDC5L-AD002 삼량체의 구조를 파악하기 위하여 CTNNBL1-CDC5L-AD002 삼량체의 정제에 성공하였고 이의 전자현미경 이미지를 얻었다. 그러나 복합체가 깨어진 모양을 보여 이러한 정제 전략을 다시 수립하였다. 안정하게 형성된 CTNNBL1-CDC5L-AD002 삼량체의 정제가 가능한지 평가하기 위하여 각 단위체의 다양한 구조체를 제작, 조합하였다. 삼량체의 대량 생산을 위하여 CTNNBL1_77 구조체, CDC5L_6 구조체, AD002_full 구조체를 공동발현시켜 정제하였을 때 약 25mg 이상의 순수한 CTNNBL1-CDC5L-AD002 삼량체를 생산할 수 있었다. 그러나 고해상도의 결정구조 획득에 실패하였기 때문에 Small-Angle X-ray Scattering (SAXS) 기법을 통하여 동적 architecture를 규명하였다. 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본 연구를 통하여 인간 CTNNBL1-AD002 이량체, CTNNBL1-CDC5L-AD002 삼량체를 대장균과 같은 이종에서 대량 생산할 수 있는 기술을 확보하였으며, 이렇게 확보된 단백질 복합체를 이용하여 복합체의 구조 정보를 파악할 수 있었다. AD002가 CTNNBL1과 상호작용하는 파트너라는 것은 기존에 알려져 있었지만 어떻게 결합할 수 있는가에 대한 구조적 정보가 빈약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새롭게 발견한 것은 CTNNBL1이 AD002의 coiled-coil 부위를 포함하는 C-terminal domain 부분과 상호작용한다는 것이며, SAXS 실험을 통하여 결합에 따른 CTNNBL1의 구조적 변화를 포함하여 이러한 결합 동적 구조에 대한 윤곽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이러한 결과는 용액내에서 2:2의 stoichiometry로 상호작용한다는 것을 알려주었다. 비-핵내저분자 리보핵단백질 복합체의 기능 저하로 인하여 발생하는 여러 질환은 구성 단백질에 다양한 돌연변이가 생겼을 경우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구조 정보를 통하여 어떻게 질환이 발병하게 되었는가에 대한 이해를 도울 수 있기 때문에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출처 : 요약문 3p)
    • 연구책임자 : 김경진
    • 주관연구기관 : 경북대학교
    • 발행년도 : 20200300
    • Keyword : 1. RNA 스플라이싱;스플라이소좀;단백질 구조;비-핵내저분자 리보핵단백질;단백질 상호작용 ; 2. SAXS;
  • 11408

    2020.01.31

    ○ 연구목표 - 글로벌 기상재해(한파/폭염 등) 원인으로 지목된 북극 소용돌이의 강도 및 진행 경로에 대한 예측기술 개발을 통해 극지역 기후변화에 따른 기상재해 예측능력을 확보한다. ○ 연구내용 - (관측) 북극 구름/경계층 관측 및 활용 연구 ㆍ니알슨/아라온 기반 북극 육/해상 구름-대기경계층 관측 인프라 구축 및 지속운영 ㆍ독자 경계층/구름미세물리 프로세스 개발 ㆍ에어로졸/구름 상호작용 - (예측) 극지 예측 시스템 (KPOPS) 개발 및 운용 ㆍ극지 기상/기후 예측 시스템 개발, 준현업 운영 ㆍ독자 물리과정 탑재, 예측성 향상 ㆍ2017-2019 극지 예측의 해 (YOPP) KOPRI 주도적 참여 ㆍ극지 기후 예측 시스템 초기화/검증 체계 구축 - (후처리 및 분석) KPOPS 활용 플랫폼 구축 및 글로벌-한반도 이상기후 원인 진단 ㆍ모델/원격탐사/현장관측 자료 활용 플랫폼 운용 ㆍ중위도-극지 이상기후 원인규명 ○ 예상 연구성과 - 니알슨 (다산기지) 중심 구름 및 기상 관측 핵심역량 확보 - 아라온 해상 기상관측 역량 확보 - KOPRI 자체 극지역 악기상 및 중위도 계절예측 능력 확보 - 글로벌 기상재해 원인 규명에 관한 우수 극지논문 출판 ○ 종료후 활용계획 - 극지 지구 시스템 모델 (KPOPS-Earth) 개발의 기반기술로 활용 - 아라온 남/북극해 항해시 선박 안전 운항에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 - 기상청과 지속적 협력, 국가 기후변화/기상재해 예측능력 질적 수준 향상 - 현장관측 및 모델 자료 공유, 국내 극지 공동연구 활성화에 기여 (출처 : 초록 5p)
    • 연구책임자 : 김주홍
    • 주관연구기관 : 한국해양과학기술원
    • 발행년도 : 20200200
    • Keyword : 1. 극지 예측 시스템;북극;구름;경계층;계절예측;기상예측;기후변화;기상재해; 2. Korea Polar Prediction System;Arctic;Cloud;Boundary layer;Seasonal prediction;Weather prediction;Climate change;Meteorological disaster;
  • 11407

    2020.03.31

    1. 연구개발 목표 ㅇ 레이저 제염 및 실시간 모니터링 기술 개발 - 표면 레이저 제염 기술 (제거율 > 80%) 확보 - 면적 100㎠ 당 60분 이하 레이저 제염기술 확보 - 레이저를 이용한 오염물질 측정 기술 연구 - 레이저 제염 특성 DB 확보 - 방사성 물질 판독 기술 (판독시간 < 1hr) 확보 ㅇ수중 레이저 절단 기술 개발 - 수중 레이저 절단을 위한 간이수조 제작 및 보완 - 대기중 후판 레이저 절단 (두께 100 mm) 기술 확보 - 후판 레이저 절단속도 100 mm 두께 기준 10 mm/min 확보 - 수중환경에서의 레이저 절단 성능 전산모사 기초 평가 및 기반 구축 - Dross 평가 측정 장비 및 기술 확보 (출처 : 본문 : 1. 연구개발 목표 3p)
    • 연구책임자 : 최지연
    • 주관연구기관 : 한국기계연구원
    • 발행년도 : 20200400
    • Keyword : 1. 레이저 제염;수중 레이저 가공;레이저 유도 붕괴 분광 분석;수중 레이저 절단헤드;레이저 광학 모듈; 2. Laser decontamination;underwater laser processing;laser induced breakdown spectroscopy;under water laser cutting head;laser optical module;
  • 11406

    2020.01.31

    □ 채취 훈련 ○ 3개 시설을 대상으로 채취 훈련을 통해 채취한 85개 시료를 CSS로 스크리닝 함. MMXRF 고장으로 금년 채취 시료를 대상으로 한 정밀입자분석은 별도로 시행하지 않음 □ 분석 역량 강화 ○ 스크리닝-정밀 입자분석 간 연계를 위해 입자분석 의뢰기준, 입자 회수 효용성 확보방안 수립 ○ 정밀 총량 분석 단계에서 기존의 산전처리 방식으로 용해시킬 수 없는 시료를 용해하는 방안의 도입 □ 해석 역량 강화 ○ 한전원자력연료의 주요측정지점별 베이스라인 구축을 통한 추후 미신고 핵활동 비교기준 수립 ○ 에어로졸 발생장치를 이용한 우라늄 입자시료 제작 기반과 SEM-EDS를 이용한 검증 기반 마련 □ 2019 특이성과 ○ 캐나다 원자력안전위원회의 UOC 교차분석 프로그램 참가하여 우라늄 광물 분석 역량 강화 ○ 2020년 실험실 이전에 대비하여 실험실 동선 설계 (출처 : 초록 3p)
    • 연구책임자 : 서하나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통제기술원
    • 발행년도 : 20200200
    • Keyword : 1. 환경시료;시료분석;감마분광분석장비;알파분광분석장비; 2. Environmental Sampling;Sample Analysis;Ga mma Spectrometry;Alpha spectrometry;MMXRF;
  • 11405

    2020.02.29

    국외 주요 곡물 생산지대(미국 아이오와 등 5개주)를 대상으로 작황 추정 기술을 확대․고도화하고자 원격탐사 기반작물 수량 추정 회귀모형, 바이오매스 모형, 작물모형을 구축하고, 기상 상세 관측 및 예측 기술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생산된 작황정보의 효율적 제공 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선물거래 시점인 8월말을 기준으로 연구성과를 종합하여 작황보고서를 작성하고 위성영상, 기상자료 자동 수집 및 작황정보 표출시작품을 구축하였다. (출처 : 요약서 3p)
    • 연구책임자 : 이경도
    • 주관연구기관 : 국립농업과학원
    • 발행년도 : 20200300
    • Keyword : 1. 원격탐사;곡물;작황;정보;생산환경 정보;관측;콩;옥수수;작물모형;앙상블;빅데이터;기상예보;주요 곡물생산지역;상세기상예측;농업기상정보;표출;시작품; 2. MODIS;DSSAT;Remote Sensing;Crop;Crop Condition;Information;Crop;Agricultural Environment Information;Monitoring;soybean;corn;crop growth model;ensemble;Yield;Big data;Weather Forecast;Major crop production areas;Climate forecast;regional climate information;Grain;Crop Information;Service;Prototype;
  • 11404

    2019.12.31

    ○ 원자력 사고 초기에 현장작업자을 대신하여 신속대응을 위한 신속이동/취급 로봇 시작품을 개발 및 통합을 수행하였음 - 신속이동 보행시작품 개발을 위해 다리기구의 경량화 설계, 경량 고출력 BLDC모터 설계/제작 및 탄소섬유 3D 프린터를 이용한 경량화 제작을 수행하였음 - 신속취급 매니퓰레이터 시작품 개발을 위해 경량 고감속비 감속기 설계 및 탄소섬유 3D 프린터를 이용한 경량화 제작을 수행하였음 - 다리기구와 매니퓰레이터를 통합한 로봇 시작품을 구축하였음 (출처 : 요약서 3p)
    • 연구책임자 : 정경민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연구원
    • 발행년도 : 20200100
    • Keyword : 1. 원자력발전소;위험작업;극한환경기술;신속 이동;신속 취급; 2. Nuclear Power Plant;Dangerous Duty;Extreme Environment;Rapid Mobility;Rapid Manipulation;
  • 11403

    2019.12.31

    1.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원자력사고 초기 신속대응 로봇시스템 적용성 증대를 위한 실증 시설 구축 및 로봇시스템 성능평가 - 원자력시설 사고환경, 시나리오 분석 및 로봇 미션 설정 - 원자력시설 모사 로봇 실증시험용 테스트베드 구축 - 사고모사 환경에서 로봇과 관련 기술 적용성 평가기술 개발 2. 연구결과 ◦ 원자력시설 사고 환경, 시나리오 분석 및 로봇 미션 설정 - 시나리오 기반 및 후쿠시마 원전 정보 수집을 통한 사고환경 분석 - 비정상 운영절차서/비상운전절차서/중대사고 지침서를 분석하여 로봇이 수행해야할 긴급조치 미션 설정 ◦ 원자력시설 사고를 모사한 로봇 실증시험용 테스트베드 구축 - 로봇 긴급조치 미션 시험을 위한 CVCS 계통의 실규모 실증시험용 테스트베드 구축 - 디지털 목업을 구축하고 동역학 기반의 로봇 이동성 모의실험 수행 및 사고 유사환경 모사 고온/비가시 챔버 구축 ◦ 사고모사 환경에서 로봇 관련 기술 적용성 평가 - 기개발 및 개발중인 로봇을 이용하여 테스트베드에서 이동성/조작성 시험 및 평가 - 드론의 실내 비행성 시험/평가 및 초고속 무선통신 적용성 시험 (출처 : 요약서 3p)
    • 연구책임자 : 최영수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연구원
    • 발행년도 : 20200100
    • Keyword : 원자력사고;긴급조치 시나리오;로봇 테스트베드;로봇 이동성/ 조작성 시험;로봇 적용성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