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Report

All 12,453 Page 98/1,246

검색
  • 11483

    2019.12.31

    복합체 피복관 고밀화 및 제조기술 최적화 기술 개발 - SiC 나노와이어 성장을 통한 복합체 밀도, 강도, 열전도도 향상 - 최적구조 고밀도의 부식저항성 복합체 피복관 제조기술 개발 - 접합소재 조성제어 및 특성평가 복합체 피복관의 내환경 특성 향상기술 개발 - SiC 내부식특성에 미치는 전기저항, 결정립 크기, 결함 밀도, 결정 방향 등 미세구조 제어인자 영향 평가 - 원소 도핑 기술을 통한 기지상 복합조성 제조 및 부식 성능 향상 - 내환경코팅층 소재의 설계 및 제조방법 개발을 통한 우수한 내부식저항성을 가지는 내부식코팅 소재 도출 복합체 및 내환경코팅 소재 특성 평가 - 복합체 튜브 기계적 특성 및 신뢰성 및 코팅 복합체 피복관 가스기밀성 평가 - 사고저항성 평가를 위한 고온 수증기 부식시험 및 특성열화 거동 평가 - 국제협력을 통한 복합체 피복관의 중성자 조사시험 (출처 : 보고서 요약서 3p)
    • 연구책임자 : 김대종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연구원
    • 발행년도 : 20200100
    • Keyword : 1. SiC 복합체;사고저항성핵연료;피복관;경수로;내부식성; 2. SiC composite;ATF;fuel cladding;PWR;corrosion resistance;
  • 11482

    2019.12.31

    ○ 핵안보 문화 구축을 위한 원자력 발전소 종사자 인적데이터구축 방법론 제시 ○ 핵안보 문화 강화를 위한 원자력 발전소 종사자 스크리닝 시스템 제안 ○ 생체신호기반 근무적합성 평가를 통한 핵안보 문화 증진 ○ 생체데이터를 이용한 원자력 중요시설 의도 접근권한 관리시스템 타당성 평가 ⚫ 실제 Pilot 실험을 통해 얻어진 근무자 생체데이터(EEG, ECG, GSR, eye tracking)를 기반으로 한 직무적합도, 내부자위협, 인적오류 예측모델 개발. (출처 : 요약서 3p)
    • 연구책임자 : 임만성
    • 주관연구기관 : 한국과학기술원
    • 발행년도 : 20200100
    • Keyword : 1. 핵안보문화구축;생체신호기반 데이터구축;접근권한제한시스템;내부자위협탐지;스크리닝 시스템; 2. Nuclear Security Culture;NPP worker’s Bio-signals database;Intention-based access system;Insider threat detection;Screening System;
  • 11481

    2020.02.29

    □ 연구개요 국제적으로 충분히 연구되지 않은 새로운 연구로서 기존의 한 개의 빔을 사용한 방식과 달리 서로 다른 에너지를 갖는 두 개의 전자빔을 이용한 자유전자레이저 상호작용에 근거를 둔 3차원 효과에 관한 연구를 하였다. 1차원 모델에서 설명할 수 없는 에밋턴스, 에너지 퍼짐성, 고차모드, undulator error, waveguide가 포함된 two beam system에서 field equation에 의한 3차원으로 확장시킨 자유전자레이저의 coupled equations으로부터 3D 코드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일반화된 3차원 컴퓨터 코드를 사용하여 빔 quality의 영향 및 언듈레이터 오차(undulator errors)를 포함하는 oscillator를 갖는 모델, waveguide의 영향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 서로 다른 에너지를 갖는 두 전자빔을 갖는 자유전자레이저에서 single pass가 아닌 oscillator구조로 확장한 3차원 효과 => 당초 연구 계획에 따라서 1차년도에는 two beam system에서 1차원 모델에서 설명할 수 없는 에밋턴스, 에너지 퍼짐성, 고차모드 가 포함된 3차원으로 확장시킨 3D 코드를 개발하였고, 이 코드를 이용하여 에밋턴스, 에너지 퍼짐성, 고차모드에 기인하는 빔 quality의 영향을 연구하였다. - Two beam system에서 undulator error에 관한연구 => Tolerance analysis를 위해서 phase shift error에 관한 coupled equation으로부터 3D 자유전자레이저(FEL)코드를 개발하였고, 이 코드를 이용하여 multi-particles, multi-pass simulation을 통한 영향 분석, phase shake error (Sinus, Sawtooth error types 등)에 관한 연구, 3D FEL코드를 사용한 전자 빔의 에너지 퍼짐성에 대한 연구, undulator errors가 있을 경우와 없을 경우에 대하여 비교분석하였다. - 자유전자레이저에서 웨이브가이드의 효과에 관한 연구 => TE 및 TM 모드를 고려한 백터 포덴셜에 의한 field equation과 자유전자레이저의 결합 방정식으로부터 3D 코드를 작성하였고, TE 및 TM모드에 의한 waveguide에 기인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 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현재까지 국제적으로 single beam을 사용하고 있으나, efficiency, instability 등은 여전히 큰 문제로 남아있다. 두 빔 자유전자레이저(two beam FEL) 모델을 일반화하는 연구는 이론적으로나 기술적으로 어려운 문제는 있으나, 국제적으로나 국내외에서 충분히 연구되지 않은 새로운 분야로서 미래의 원천기술개발을 위한 기반연구의 확립에 큰 도움을 줄 수 있다. 서로 다른 에너지를 갖는 두 개의 전자빔을 이용한 자유전자레이저 상호작용에 근거를 둔 확장된 electron beam-radiation 상호작용에 관한 3차원 효과에 관한 연구를 수행함으로서 새로운 기초분야의 발전에 도움을 줄 수 있고, 차세대의 응용연구를 위한 기반연구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3p)
    • 연구책임자 : 남순권
    • 주관연구기관 : 강원대학교
    • 발행년도 : 20200300
    • Keyword : 자유전자레이저;3차원 효과;언듈레이터 오차;웨이브가이드;
  • 11480

    2020.01.31

    ○ 원내 동물실험진행 총괄 - 동물실험윤리위원회 운영, 동물실험계획서 심의 ○ 특정병원균부재 사육환경 유지 - 정규·비정규 미생물모니터링, 낙하균 검사, 수질검사 수행 ○ 안정적 실험동물 인프라 운영 - 성능적격성평가, 시험·조정·평가 ○ 동물실험 전 과정 수행 지원 - 온라인신청시스템 운영, 유지, 보수 - 연구자 대상 교육 (윤리교육, 이용자교육, 공용장비 사용 교육) ○ 방사선의학연구 경쟁력 강화 - 공용장비 인프라의 체계적 관리 - 신규 방사선장비 구축 및 운영 ○ 동물실험 인프라 역량 고도화 - 방사선연구 특화 동물 모델 확립 - 외부수탁/공동연구 수행 (출처 : 요약서 3p)
    • 연구책임자 : 이민영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의학원
    • 발행년도 : 20200200
    • Keyword : 1. 방사선;실험동물;특정병원균부재;동물모델;동물실험윤리위원회; 2. radiation;laboratory animal;specific pathogen free;animal model;IACUC;
  • 11479

    2020.01.31

    □ 채취 훈련 ○ 3개 시설을 대상으로 채취 훈련을 통해 채취한 85개 시료를 CSS로 스크리닝 함. MMXRF 고장으로 금년 채취 시료를 대상으로 한 정밀입자분석은 별도로 시행하지 않음 □ 분석 역량 강화 ○ 스크리닝-정밀 입자분석 간 연계를 위해 입자분석 의뢰기준, 입자 회수 효용성 확보방안 수립 ○ 정밀 총량 분석 단계에서 기존의 산전처리 방식으로 용해시킬 수 없는 시료를 용해하는 방안의 도입 □ 해석 역량 강화 ○ 한전원자력연료의 주요측정지점별 베이스라인 구축을 통한 추후 미신고 핵활동 비교기준 수립 ○ 에어로졸 발생장치를 이용한 우라늄 입자시료 제작 기반과 SEM-EDS를 이용한 검증 기반 마련 □ 2019 특이성과 ○ 캐나다 원자력안전위원회의 UOC 교차분석 프로그램 참가하여 우라늄 광물 분석 역량 강화 ○ 2020년 실험실 이전에 대비하여 실험실 동선 설계 (출처 : 초록 3p)
    • 연구책임자 : 서하나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통제기술원
    • 발행년도 : 20200200
    • Keyword : 1. 환경시료;시료분석;감마분광분석장비;알파분광분석장비; 2. Environmental Sampling;Sample Analysis;Ga mma Spectrometry;Alpha spectrometry;MMXRF;
  • 11478

    2019.12.31

    비공개항목입니다.
    • 연구책임자 : 박우진
    • 주관연구기관 : 광주과학기술원
    • 발행년도 : 20200100
    • Keyword : 1. 알츠하이머병;치매;아밀로이드 베타;단백질 분해효소;유전자 치료제; 2. NIa (Nuclear Inclusiona);SAS (Sythetic Alpha-Secretase);
  • 11477

    2020.01.31

    ○ 학술발표 13편 - 아로니아 고랭지 경사밭재배시 적정 피복작물 선발 - 추비처리에 따른 아로니아와 댕댕이나무 열매의 항산화 활성 비교 - 지역 및 재식거리가 곰취 ‘쌈마니’ 품종의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 곰취 신품종 식물체의 저온처리기간이 휴면타파에 미치는 영향 - 곰취 신품종 ‘쌈마니’의 재배지역 및 수확시기별 생리활성 비교 - 고랭지 산채류 경관농업을 위한 곤달비와 혼식용 자생식물 선발 - 고랭지 산채류 경관농업을 위한 곰취 다목이와 혼식용 자생식물 선발 - 곤달비와 자생식물의 혼식을 통한 흰가루병 진행 억제 효과 - 다변량 분석을 이용한 한국산 자생국화 15분류군의 형태적, 화학적, 유전적 분류 - Classification of fifteen taxa of Korean Chrysanthemum based on phenotype using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 Anti-inflammatory effects of leaves in Korean Chrysanthemum via suppression of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and cyclooxygase-2 in LPS-induced RAW 264.7 macrophages - GC/MS를 이용한 감국류 휘발성 향기성분 분석 - 경관작물 구절초의 고랭지 경사지밭 토양유실 경감 효과 ○ 논문게재 5편 - 아로니아 고랭지 경사밭재배시 적정 피복작물 선발 - 지역 및 재식거리가 곰취 ‘쌈마니’ 품종의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 Effect of the cold treatment period on a plant’s dormancy breaking in the winter production of Gomchwi’s new varieties(Ligularia fischeri), 한자식지 - Sequence analysis of the internal transcribed spacer (ITS) region of the nuclear ribosomal DNA (nrDNA) Chrysanthemum species in Korea - 구절초의 고랭지 경사지밭 토양유실 경감 효과, 한자식지 ○ 영농활용 : 9건 - 아로니아 고랭지 경사밭재배시 적정 피복작물 선발 - 댕댕이나무 고랭지 재배기술 - 곰취 신품종 고랭지재배시 적정 차광과 토양 피복자재 선발 - 곰취 신품종 ‘쌈마니’ 재배시 적정 재식거리 구명 - 곰취 신품종의 동계 식물체 휴면타파에 필요한 저온요구시간 구명 - 곰취 ‘쌈마니’ 지역 및 수확시기별 항산화 활성 비교 - 곤달비와 천궁 혼식을 통한 곤달비 흰가루병 진행 억제 효과 - 감국류 개화특성 및 향기성분 정보 제공 - 구절초를 이용한 고랭지 경사지 경관작물 활용 ○ 정책자료 1건 - 강원 고랭지 경사지밭 소과류 과원조성시 토양보존을 위한 피복작물 종묘비 지원 (출처 : 요약서 3p)
    • 연구책임자 : 서종택
    • 주관연구기관 : 국립식량과학원
    • 발행년도 : 20200200
    • Keyword : 1. 소과류;산채류;꽃차;혼식;경관작물; 2. small fruit;wild vegetable.;flower tea;mixed planting;Landscape crop;
  • 11476

    2019.12.31

    본 과제는 가동원전에서 잠재적인 재료열화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원천기술 개발을 주목적으로 하고 있음. 고온고압의 1,2차 수환경 및 방사선환경에서 구조재료의 열화특성을 연구하기 위하여 최신의 실험 및 이론 기법을 적용함으로써 국내는 물론 세계에서도 주목받는 최초의 연구 성과를 다수 내었을 뿐 아니라,이를 바탕으로 국내 원전산업체들과 직접적인기술협력/기술지원 성과도 도출하였음. 국내외 학술지연구논문(SCI) 게재와 국내외 특허 등록 등 정량적인 연구 성과 이외에도,다수의 국내 원전산업체 기술지원 실적을 통해, 본 연구과제가 학술적인우수성 과 동시에 산업적인 적용성도 동시에 가지는 탁월한 성과를 보였음. 기존 기술의 답습을 벗어나 독창적인 차별화된 연구를 지향하여 재료열화 평가 신기술을 개발하고,타 분야의 첨단 분석기술, 미소시편 측정기술을 응용한 특성평가기술 개발을 통해 복합인자에 의해 발생하는 재료열화 현상의 종합적 대처능력 강화 분야에서 중요한 성과를 이룩함. (출처 : 보고서 요약서 3p)
    • 연구책임자 : 이봉상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연구원
    • 발행년도 : 20200100
    • Keyword : 1. 원전재료 열화;부식손상;조사손상;검사신뢰도;부착완화; 2. Nuclear materials degradation;Corrosion degradation;Irradiation degradation;Diagnosis reliability;Deposition mitigation;
  • 11475

    2020.02.29

    □ 연구개요 최신의 항성 이론을 적용하여 외계 행성을 동반하는 모항성의 관측값을 가장 잘 설명하는 최적의 물리량을 결정하는 것이다. 또한, 정밀하게 정의된 모성의 물리량을 바탕으로 별 내부의 물리적 과정을 정교하게 기술하여 항성 모형을 개선하는 것이다. 다양한 모형 인자의 범위를 갖는 방대한 항성 모형군 빅데이터를 구축하고, 베이즈 최적화 방법을 이용한 최적값 판별 코드를 개발한다. 또한, 분광 관측 및 원소 분석을 실시하여, 원소 함량에 따른 최적화된 진화 모형을 결정하고, 모성의 물리량을 찾아낸다. □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 항성 모형군 빅데이터의 계산 - 진화 모형의 개선 - 전주계열에서 적색 거성 팁까지 안정적으로 계산 가능 - 다양한 화학적 조성에 대응 (금속함량, 헬륨함량, 알파원소) - 세밀한 질량 간격 (M=0.15-4.0M, △M=0.01M ) - 각 모형은 500개 이상의 진화 단계의 내부 구조를 포함한 빅데이터 ▪ 최적화 판별 코드 개발 - 별의 진화 속도를 고려한 모형 판별 알고리즘 개발 - MCMC방법을 이용한 베이즈 최적화 코드 개발 ▪ 분광 분석과 모성의 물리량 결정 - 약 90개 이상의 모성의 분광 관측 및 원소 분석 - 모성의 진화 단계 및 물리량 결정 ▪ 3차원 복사-유체 시뮬레이션 - 작은 질량을 갖는 주계열의 3차원 대기 모형 계산 - 준거성, 적색 거성의 시뮬레이션 지속적 수행 ▪ 라이먼 흡수선 연구 – DLA와 재이온화 지역의 흡수선 모양의 정밀한 계산 - 라이먼 선의 비대칭성을 정량적으로 연구 □ 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 항성 모형 분석의 새로운 방법 제시 - 다양한 인자로 정교하게 계산된 항성 모형군의 빅데이터와 신뢰성 있는 최적화 방법을 통하여, 항성 모형 분석의 효율성과 정확성을 높인다. - 모성을 이용한 항성 모형 연구는 모성의 물리량 파악 뿐 만 아니라 항성 모형의 적용과 개선에 커다란 기여를 할 것이다.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박기훈
    • 주관연구기관 : 연세대학교
    • 발행년도 : 20200300
    • Keyword : 항성;모성;외계행성;항성진화;항성대기;
  • 11474

    2019.12.31

    〇 국내 지역·권역별 식품 방사능 감시체계 구축 - 전국 시·도 및 국내 4개 권역에 식품 방사능 검사체계 구축 . 18개 시·도 보건환경연구원에 감마핵종을 자동으로 검사하는 시료자동주입장치 도입·운영 및 실험실 전처리 시설 확충 등 . 4개 지방식약청에 알파/베타핵종 분석 실험실 전처리 시설 확충 및 관련 장비 도입·운영 〇 국내 농·축·수산물의 방사능 모니터링 조사 - 국민 다소비 및 방사능 검출 식품의 감마핵종, 알파 및 베타핵종 조사 및 분석 . 방사능 검출 원인 분석, 식품 중 검출된 방사능의 인체 위해성 평가, 조사 결과 D/B 구축, 식품 방사능 분석능력 및 측정 품질 확립 〇 식품 방사능 안전관리 소비자 안심제고 - 식품 방사능 안전에 대한 소비자 설문조사 : 소비자, 유관기관(단체) - 식품 방사능에 대한 교육 및 홍보 . TV, 신문, 인터넷 등 공중 매체를 통한 홍보 자료 제작 . 식품 방사능 안전관리에 대한 교재 발간 (출처 : 요약서 3p)
    • 연구책임자 : 이모성
    • 주관연구기관 : 청주대학교
    • 발행년도 : 20200100
    • Keyword : 1. 식품 방사능;검사 장비;식약처;보건환경연구원;소비자 신뢰; 2. Food radioactivity;Inspection equipment;KFDA;PHERI;Consumer confide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