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Report

All 12,453 Page 98/1,246

검색
  • 11483

    2020.02.29

    1. 침샘조직 유래 특이적 탈세포화 생체지지체(dECM-hydrogel)와 환자유래 침샘 줄기세포를 융합한 침샘 오가노이드 개발. 이를 이용한 갑상선 및 두경부 암에 대한 방사선 동위원소 및 방사선 치료시 유발 되는 구강 건조증 (Xerostomia)에 대한 치료제 개발을 목표로 함. 2. 랫트로부터 침샘조직 특이적 탈세포화 방법을 정립하고 이를 이용하여 침샘 조직 특이적 생체지지체 하이드로젤(decellularized ECM-hydrogel)을 제작함. 특허출원 (1) (출원번호:18-71551) 3. 개발된 생체지지체 하이드로젤 (dECM-hydrogel)을 이용한 침샘줄기세포 in vitro 3D 세포배양으로 기능적 침샘 줄기세포 분화 규명: 국외 SCI 논문 발표(1) (Tissue Engineering Part A, 2019, Shin et al.,) 4. 방사선 손상 침샘 동물모델에 개발된 생체지지체 하이드로젤 (dECM-hydrogel)을 이용한 휴먼 침샘오가노이드 in vivo 이식 조건 확립. 이를 이용한 생체 이식후 조직 재생 및 침샘 기능성 증대 규명 5. 대동물 돼지 침샘 조직을 이용하여 생체지지체 하이드로젤 (dECM-hydrogel)을 제작하고 방사선 손상 동물모델에 휴먼 침샘 오가노이드를 생체 이식하여 조직재생 및 침샘 기능성 증대 규명 (출처 : 보고서 요약서 3p)
    • 연구책임자 : 권희충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의학원
    • 발행년도 : 20200300
    • Keyword : 1. 방사선;부작용;침샘;구강건조증;오가노이드;생체지지체;하이드로젤;생체이식;조직재생; 2. Radiation;Side effect;Salivary gland;Dry mouth (Xerostomia);Organoid;dECM;Hydrogel;Transplantation;Regeneration;
  • 11482

    2020.09.30

    Ⅰ.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원전 해체폐기물 대량 발생 예상 ㅇ 지속적인 노후 원전의 영구정지 및 해체가 예상되고, 고리 1호기의 해체가 본격화됨에 따라 운영 시 대비 대량의 비방사성폐기물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됨 - 독일의 경우, 해체폐기물의 약 1%만 방사성 폐기물로 분류됨 - 국내의 경우, 비방사성폐기물 발생량에 대한 예측치는 부재하나, 해외 사례에 비추어 볼 때 상당량의 폐기물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됨 - 고리 1호기의 경우, 3단계(해체착수 및 방사성관리구역 해체)에서 해체폐기물이 집중적으로 발생할 것으로 예상됨 ❏ 주민 수용성 확보의 어려움 ㅇ 선행연구 결과는 일정 허용농도 기준을 충족하여도 주민의 재활용에 대한 입장은 부정적일 수 있음을 시사함 ❏ 처리 지연 등으로 인한 추가 비용 발생 우려 ㅇ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과 비방사성폐기물 처리비용의 차이가 매우 큼 ㅇ 비방사성폐기물에 대한 관리 강화는 상당한 비용 증가를 초래하고 이는 해체 지연으로 이어질 수 있음 ❏ 원전 해체 시 비방사성폐기물에 대한 적정 관리 방안 필요 ㅇ 비방사성폐기물 처리로 인한 사회·환경적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제도 개선이 필요한 시기임 ㅇ 원전 해체로 인한 비방사성폐기물의 적정 관리를 위한 법·제도 및 운영 개선 방안을 제안함 Ⅱ. 원자력발전소 해체폐기물 현황 ❏ 법·제도적 현황 ㅇ 「원자력안전법」상에 ‘자체처분 대상 폐기물’이라는 정의 규정도 없이 고시에 정의 규정을 두고 있음 - ‘포괄위임입법 금지의 원칙’에 반하는 측면이 있음 ㅇ ‘방사성폐기물의 처분제한’에 관한 법명칭과 배치되는 자체처분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규정을 두고 있음 - ‘명확성의 원칙’에 반하는 측면이 있음 ❏ 운영 현황 ㅇ 자체처분 폐기물 중 플라스틱, 철재류, 콘크리트 및 불소화합물은 재활용 사례가 다수 있음 ㅇ 2000년 이후 본격적으로 자체처분이 시행 중임 ❏ 인식 조사 및 수용성 현황 ㅇ 고리 1호기 최종 해체계획서(초안)에 대한 주민 의견 수렴 결과, 방사성폐기물 처리계획에 대한 우려를 제기 ㅇ 설문조사 결과, 자체처분 폐기물 재활용에 대한 부정답변이 30% 이상을 차지 ㅇ 설문조사 결과, 자체처분 폐기물을 현행처럼 「폐기물관리법」으로 관리하는 것에 대한 부정답변이 50% 이상을 차지 ❏ 비방사성폐기물의 관리 현황 및 문제점 ㅇ 원전 해체로 인해 단기간에 비교적 다량의 비방사성폐기물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나, 현재 관련 법령에서는 용어 정의가 명확하지 않고, 관리 규정도 모호하여 관리의 사각지대가 발생할 우려가 큼 ㅇ 비방사성폐기물에 대한 재활용 문제를 포함하여 각종 갈등 유발 요인을 안고 있음 Ⅲ. 국외 해체폐기물의 제도 및 사례 ❏ 일본 ㅇ 최근 클리어런스 규칙 개정을 통해 제도의 대상이 되는 시설 및 대상물을 대폭 확대 - 원전 해체 등으로 인한 다량의 폐기물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필요성에 기인 ㅇ 환경대신은 폐기물의 적정한 처리의 관점에서 클리어런스 제도의 운용에 관해 원자력 규제위원회에 의견을 제시할 수 있음 - 클리어런스 폐기물 또는 비방사성폐기물은 재활용이 가능하고 재활용이 어려운 폐기물은 「폐기물처리법」 등에 따라 일반적인 폐기물처리시설에서 처리할 수 있는 것으로 미루어, 이를 관리하는 환경성의 협력을 위한 절차로 볼 수 있음 ㅇ 원자력규제위원회는 클리어런스 규칙 및 심사기준의 개정 시기에 맞추어, 클리어런스 제도에 따른 측정 및 평가 방법의 인가와 클리어런스 확인을 위한 심사회의에 대한 정보를 원자력규제위원회의 홈페이지에 공개하기 시작함 ㅇ 클리어런스 확인을 거친 클리어런스 폐기물의 재활용은 2020년 현재 원자력업계 내에서 한정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음 ❏ 미국 ㅇ 클리어런스 제도를 도입하고 있지 않지만, 최근 극저준위 폐기물과 관련한 연구과제가 다각도로 수행된 바 있으며, 이 과정에서 찬반 입장을 토론하기 위한 자리가 마련됨 ㅇ 해체 시 비방사성폐기물 계획에 특정한 의견 수렴이 규정되어 있진 않지만, 미국의 경우 해체사업에 대한 환경영향평가가 대부분 주법에 의해 수행되므로, 이 과정에서 비방사성폐기물 처분 및 재활용에 대한 대안 마련과 관련하여 공공참여 기회가 보장됨 ㅇ 환경영향평가 과정에서 주정부의 자원재활용 및 회복부, 유독물질통제부 등의 검토가 필요하고 이는 원자력 분야가 아닌 일반 환경청의 업무 영역에 해당됨 ❏ 독일 ㅇ 무제한 클리어런스와 조건부 클리어런스가 가능하도록 제도를 도입했으며, 방사성폐기물과 비방사성폐기물 규제를 모두 환경·자연보전·원자력안전부(BMU)에서 담당함 ㅇ 해체사업은 환경영향평가 대상사업으로, 관련 문서들이 웹사이트를 통해 제공되며 평가 과정에서 공공참여가 이루어짐 Ⅳ. 제도 및 운영 개선 방안 ❏ 개선 부문 ㅇ 다음과 같은 네 가지 개선 부문을 도출함 - 관리주체의 명확화 - 해체계획서의 심사 절차 개선 - 해체계획서상 비방사성폐기물 계획의 구체화 - 정보공개 및 주민참여 강화 ❏ 이행 방안 ㅇ 부분별 이행 방안은 다음과 같음 - 관리주체의 명확화 1) 정의 규정 신설 2) 적용법의 명확화 - 해체계획서의 심사 절차 개선 1) 환경부 협의 절차 추가 - 해체계획서상 비방사성폐기물 계획의 구체화 1) 해체계획서 작성 시 비방사성폐기물 계획 작성 2) 비방사성폐기물에 대한 상세 처리계획 수립 - 정보공개 및 주민참여 강화 1) 숙의형 주민참여 방식 도입 2) 해체계획의 공개 3) 트레이서빌리티 확보 4) 해체계획의 투명성 확보 (출처 : 요약문 5p)
    • 연구책임자 : 신경희
    • 주관연구기관 :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 발행년도 : 20201000
    • Keyword : 1. 원자력발전소;해체;자체처분 폐기물;관리구역 외 폐기물; 2. Nuclear Power Plant;Decommissioning;Clearance Waste;
  • 11481

    2020.06.30

    ○ 본 연구는 ‘사용후핵연료 처리기술에 대한 한국원자력연구원의 연구개발(파이로프로세싱 및 소듐냉각고속로 방식)에 대해 발생한 사회적 갈등 상황’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무엇이 쟁점이며, 주요 이해관계자(또는 집단)의 입장 및 이해관심사를 파악하고자 했다. ○ 이를 통해 갈등상황을 해소하기 위해서 문제를 어떻게 재정의할 수 있는지 탐색했으며, 재정의한 문제가 어떤 절차를 통해 다뤄질 수 있는지를 제안하고자 했다. ○ 연구 방법으로는 문헌연구, 심층 인터뷰, 사례 분석을 활용했다. ○ 연구 결과 합의형성을 위한 방안으로 3가지 추진 방안이 도출되었다. - 최종제안중재 방식 A안 - 최종제안중재 방식 B안 - 중립적 자연·사회 과학 패널 구성안(C안) (출처 : 보고서 요약서 5p)
    • 연구책임자 : 전형준
    • 주관연구기관 : 단국대학교
    • 발행년도 : 20200700
    • Keyword : 1. 파이로프로세싱;사용후핵연료;타당성;갈등관리;갈등해결; 2. Pyroprocessing;Used nuclear fuel;Validity;Conflict management;Conflict resolution;
  • 11480

    2020.01.31

    ㅇ 방사선 이용 고내구성 생체 분자 나노 복합체 박막 제작하고 중성자 반사 이용 생체모방 재료와 복합된 산화 그래핀 박막형 슈퍼커패시터의 성능 고도화 기술 개발. • 생체모사 재료 하이브리드의 대형 박막 전극 제작 기술 개발 • 중성자빔 이용 생체모사 나노 복합체 박막의 충방전 시 실시간 구조 측정 • 시간분해 중성자반사장치기술 이용 나노복합체 전극의 슈퍼커패시터 성능 고도화 기술 개발 (출처 : 보고서 요약서 3p)
    • 연구책임자 : 구자승
    • 주관연구기관 : 충남대학교
    • 발행년도 : 20200200
    • Keyword : 1. 감마선 조사;중성자 반사;생체모사 소재;슈퍼커패시터;그래핀; 2. Gamma-ray irradiation;Neutron reflectivity;Biomimetic materials;Supercapacitor;Graphene;
  • 11479

    2020.02.29

    본 연구는 방사선을 이용하여 백신을 제조하는 사균 및 생균 백신제조기술을 확보하고 평가기술 고도화를 위하여 RI 이용 평가 기술과 OPA 기술개발을 등 총 4개의 기술을 개발 및 소동물과 대동물을 이용하여 실증하는 것을 최종 목표로 함. ❖ 기술개발(1): 방사선 높은 투과력과 에너지를 이용하여 세포(미생물) 내의 DNA 만을 분해하고 세포(미생물) 표면의 항원 단백질의 변성을 최소화하여 백신의 효능을 증대하는 기술 개발하고 가금티프스 예방할 수 있는 사균 백신을 개발하여 대동물과 소동물에서 실증 완료 ❖ 기술개발(2): 방사선 육종기술을 정밀화하여 감염성미생물인 병원성 유도 유전자에 돌연 변이를 유도하는 기술을 개발하고 살모넬라와 가금티프스 두종에 대하여 기술 개발 후 대동물 과 소동물에서 실증 완료 ❖ 기술개발(3): RI을 대장균 및 살모넬라에 표지하는 기술을 개발하고 마우스를 이용하여 대장균과 살모넬라의 이동 및 감염 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기술 개발 완료. 클릭기술을 이용한 표지 방법은 그람음성균인 살모넬라에는 적용이 되지 않았으나 그람양성균인 b형 연쇄구균에 적용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함 ❖ 기술개발(4): 살모넬라 및 티프스 백신의 효능을 평가할 수 있는 평가법인 Opsonopagocytosis 항체 기능 분석법을 개발하였고 표준작업지시서를 작성하여 방사선 백신의 효능을 기존 백신과 비교 평가하여 방사선 기술의 우월성을 보여줌 본 과제를 통하여 확보한 4건의 기술은 국내외 특허(14건), 논문(11건), 해외학회 발표(1건), 표준작업지시서(1건) 등을 통하여 독창성 및 우월성을 증명하였음 (출처 : 보고서 요약서 3p)
    • 연구책임자 : 서호성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연구원
    • 발행년도 : 20200300
    • Keyword : 1. 방사선;백신;살모넬라;티프스;돌연변이; 2. Radiation;Vaccine;Salmonella;Gallinarum;Mutation;RMT;RST;
  • 11478

    2020.03.31

    IV. 연구결과 1. 사업 방향과 목표 1) 영구정지된 장기가동원전(고리 1호기)에서 취득된 재료·기기·설비 또는 원전 환경을 활용하여 가동원전의 안전기술을 실증하기 위한 체계(절차/장비/기술) 구축 * 현재 TRL 3/4 수준의 열화재료 및 기기·설비에 대한 실증체계를 사업종료시 TRL 7로 개선하고, 수요기관에서 활용 가능한 형태로 이전 * 영구정지 원전은 안전규제로부터 비교적 자유롭기 때문에, 해체 부산물을 취득하거나 현장 접근을 동반한 실증이 가능 * 반면, 정해진 해체사업 일정에 연동하여 R&D가 수행되므로, 해체 전/후로 예비적 성격의 사업과 후속 사업 등을 고려한 전략이 필요 2. 사업추진 체계 1) 다부처 기술수요 조사 및 선행 연구를 통해 제시된 핵심 과제를 중심으로 사업체계 수립 2) 부처간 역할 분담 및 시너지를 창출할 수 있도록 2개 중점분야, 총 7개 세부주제로 사업을 구성하고, 이에 대한 로드맵 및 RFP 작성. 유사사례를 고려한 유추추정법을 통해 예산 및 소요인력 추산 가) 기초/응용연구 단계로서 예비적 성격이 높은 중점분야는 과기정통부, 응용/개발연구 단계로서 현장을 직접 활용해야 하는 중점분야는 산업부 중심으로 사업을 추진 가) 중점분야1, 1차계통 압력경계 재료물성 실증체계 구축 나) 중점분야2, 장기가동원전 기기설비 안전성 실증기술 개발 3) 주요 원자력전문기관의 사전검토 이행 4) 독립 검토위원회를 구성하여 과제별 RFP 및 사업추진 체계에 대한 자문 이행 3. 사업추진 전략 1) R&D 환경(고리 1호기) 제공(산업부), R&D 주관 및 연구 결과물 도출(과기정통부 주도), 수요기업의 연구 결과물 활용(산업부 주도)이 해체일정 내에서 적시에 이루어지도록 사업의 주요 마일스톤에 대한 일정, 관리, 평가에 대해 양부처 조율이 필수 * (가칭)사업추진위원회에서 수요기업 및 필요시 규제기관을 포함하여 사업 수행에 대한 긴밀한 다부처 협조 체계 구축 2) R&D 사업 추진이 사업자의 고리 1호기 해체일정에 지연요인이 되지 않도록, 과제선정 및 평가시 충분한 사전조사 여부와 협의 결과를 고려 * 다양한 사업 리스크에 대응하거나 적응할 수 있도록 사업 평가 제도를 운영하고, 추가적인 R&D 수요를 발굴하는 것도 병행 3) 각 중점분야별로 전문인력의 양성과 원자력 산업현장에서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도록 성과지표 및 목표 설정 (출처 : 요약문 4p)
    • 연구책임자 : 허균영
    • 주관연구기관 : 경희대학교
    • 발행년도 : 20200400
    • Keyword :
  • 11477

    2020.03.31

    · 방사선치료 시 유도되는 암혈관 노화와 암증식 및 암전이 연관성을 규명함. · Next-generation sequencing으로 발굴 타겟 목록을 확보하였으며, 대량 SiRNA 스크리닝 방법을 통해 암혈관 노화에 의한 암증식과 암세포-혈관세포 접착성 제어타겟을 효율적으로 도출함. · 종양이식생쥐모델 활용 신규 발굴 타겟분자 제어에 의한 암증식 영향과 3차원 암세포-혈관 내피세포 배양기술 활용 암전이 영향을 검증함. · 신규발굴한 타겟을 제시함으로써 방사선치료 부작용 극복을 위한 새로운 방안을 제공함. (출처 : 보고서 요약서 3p)
    • 연구책임자 : 이재선
    • 주관연구기관 : 인하대학교
    • 발행년도 : 20200400
    • Keyword : 1. 방사선치료;암혈관노화;암증식;암세포-혈관내피세포 접착성;암세포 이동; 2. Radiotherapy;Cancer endothelial cell senescence;Cancer cell proliferation;TC-EC adhesion;Cancer cell migration;
  • 11476

    2019.12.31

    ● 방사선치료후의 정상 폐장기 손상의 기초병태생리, 발생예측연구, 치료 연구가 여러 형태로 산발적으로 많이 발생된다고 보고되었지만, 아직까지 방사선 폐장기 손상의 정확한 분자생물학적 기전은 밝혀져 있지 않은 상태이며, 예측 인자도 아직 뚜렷하지 않으며, 치료법 또한 제대로 정립되어 있지 않은 상태임. 본연구에서는 기존의 한계였던 임상상황을 정확히 중재할 수 있는 소동물모델 기반 연구가 필수적인, 동물 모델 정립 후에 방사선폐손상의 중요인자들을 도출하고 이러한 중요인자들의 중요 마커 및 치료를 위한 타겟으로서의 유효성을 밝히고자 함. (출처 : 보고서 요약서 3p)
    • 연구책임자 : 조재호
    • 주관연구기관 : 연세대학교
    • 발행년도 : 20200100
    • Keyword : 1. 폐섬유화;신규타겟;임상적 유효성;임상유사동물모델; 2. lung fibrosis;novel target;clinical effectiveness;clinical relevant animal model;
  • 11475

    2020.02.29

    ● stress fiber의 일종인 myosin light chain 인자의 DNA repair 개입을 통한 방사선의 암세포주 감작 효과 확인을 위한 연구로 in vitro 결과와는 달리 in vivo 실험에서의 방사선감작효과가 확인되어 감작 메커니즘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임. ● RNA 간섭이라는 새로운 방식으로 FES gene을 발굴하여 in vivo/vitro 연구를 통해 방사선감작효과가 있음을 확인함. (출처 : 보고서 요약서 3p)
    • 연구책임자 : 김학재
    • 주관연구기관 : 서울대학교
    • 발행년도 : 20200300
    • Keyword : 1. DNA수복;혈관 수축인자;방사선감작;고선량 방사선;FES 유전자; 2. DNA repair;myosin light chain;radiosensitizer;ATN;FES;high dose radiotherapy;radiosensitization;FES gene;
  • 11474

    2020.03.31

    본 연구는 기존의 핵의학 감마 탐지기나 체외용 감마카메라를 넘어, 내시경 점막절제술 및 점막하박리술(EMR/ESD) 기법을 극대화할 수 있는 내시경 탑재형 연성 핵의학 베타(양전자) 내시경 기술 개발을 목표로 하였음 Micro-PD 기법을 이용한 CaF2(Eu) 섬광결정 개발 - 고성능 베타입자 전용 섬광 단결정 성장 주문형반도체(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및 데이터수집장치(DAQ) 설계/제작 - 베타 탐지기에 최적화된 저전력 다채널 ASIC 전처리 회로 설계/제작 - 전처리 회로의 신호획득 및 저장을 위한 데이터수집장치(DAQ)보드 제작 고해상도 Phoswich 검출기 제작 - 반도체광증배소자(SiPM)-섬광결정 기반 방사선 검출기 설계 - 내시경 탑재 가능한 소형 베타 검출기 제작 - 2층 섬광결정 구조(Phoswich) 검출기 제작 및 파형구별법(PSD) 적용을 통한 베타입자, 감마선 구분 베타연성 내시경 시스템 개발 - 소형 연성 베타 탐지기용 기구부 설계 및 제작 - DAQ, 제어부 및 GUI 개발 중형 동물 전임상 실험을 통한 종양 탐색능 평가 SCI 논문 6건 게재, 국내 특허 출원 5건, 해외 특허 출원 (PCT) 1건, 기술 이전 3건, 수 상실적 1건 (출처 : 보고서 요약서 3p)
    • 연구책임자 : 염정열
    • 주관연구기관 : 고려대학교
    • 발행년도 : 20200400
    • Keyword : 1. 베타 탐지기;핵의학;내시경;점막절제술;점막하박리술; 2. Beta probe;Nuclear medicine;Endoscopy;Endoscopic mucosal resection;Submucosa diss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