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Report

All 12,381 Page 70/1,239

검색
  • 11691

    2021.05.31

    □ 연구개요 • 원전, 핵 폐기물 처리 시설 등 기존 전기식 센서 기술 활용이 어려웠던 방사선 극한 환경에 광섬유 센서 기술을 적용하고자 하는 연구가 최근 미국, 유럽 위주로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음 • 하지만, 방사선 노출 시 센서 열화 및 신호 왜곡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어 광섬유 및 광섬유 센서의 내방사화(radiation hardening) 연구가 필요함 • 본 과제에서는 방사선 극한 환경의 광섬유 센서 응용을 위해 광섬유 조성에 따른 내방사성 분석과 광섬유 고유 내방사성을 향상시키는 기법에 관한 연구를 수행함 □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 광섬유 코어 조성에 따른 내방사 특성 분석 (100%) - 광섬유 조성에 따른 내방사 특성(=방사선 광 전송손실(RIA)) 분석을 위해 세 종의 광섬유 (SMF28e(Ge), PSCF(Pure silica core), F-SMF(Fluorine))의 감마선량에 따른 RIA 응답 특성을 측정함 - PSCF와 F-SMF(Fluorine)의 경우 누적 선량증가에 따라 뚜렷한 포화특성을 보였으며, 기존 통신용 광섬유인 SMF28e(Ge) 대비 내방사성이 우수함을 확인함 - RIA(;1550 nm, 100Gy/h) 값은 SMF28e > PSCF > F-SMF 순으로 높았으며, 회복률은 PSCF > F-SMF > SMF28e 순으로 높은 결과를 보임 • 광섬유 후처리(Post-treatment) 내방사 기법 영향 분석 (100%) - 전조사 기법: 반복적인 방사서 조사와 회복을 통해 내방사 특성이 부분적으로 향상됨을 보였으나, F-SMF의 경우 그 영향은 미미한 것으로 나타남 - 광-블리칭 기법: 980 nm 파장 대역의 LD를 이용한 RIA의 광-블리칭 측정 결과, 광섬유의 내방사 특성이 즉각적으로 향상됨을 보임 (비영구적 향상) - 열-블리칭 기법: 온도가 높아질수록 광섬유의 RIA값이 낮아지는 경향을 보임 • 내방사 광섬유 기반 분포 센서 적용 연구 (100%) - 내방사 광섬유를 이용한 분포 센서 광학계(Rayleigh(진동), Raman(온도))를 구성하였으며, 1450 nm, 1550 nm, 1650 nm 파장 대역의 분포 센서 신호의 방사선 영향과 광-블리칭 기법 적용 결과를 분석함 - 980 nm 파장 대역의 광 에너지를 이용한 광-블리칭 기법 적용 시, 분포 센서 신호의 RIA 값이 뚜렷하게 감소하며 내방사 특성이 향상됨을 보임 □ 연구개발성과의 활용 계획 및 기대효과(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 본 연구는 광섬유 센서 기술의 방사선 환경 응용을 위해 필수적으로 고려해야 하는 광섬유 내방사 특성과 내방사화 기법에 대한 연구로서, 최근 세계적으로 연구 필요성이 부각되고 있는 가동원전과 차세대 소형 원전의 안전진단용 광섬유 센서 분야에 본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기술 개발이 이루어질 계획임 • 특히, 광-블리칭 기반의 내방사 기법은 제조된 광섬유 고유의 내방사 특성을 향상시킬수 있는 신기술로서 방사선 환경용 광섬유 기술 개발 분야에 활용성이 높을 것으로 기대됨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김영웅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연구원
    • 발행년도 : 20210600
    • Keyword : 1. 광섬유;광섬유 센서;내방사화;방사선;원전; 2. Optical fiber;Fiber-optic sensor;Radiation hardening;Radiation;Nuclear plant;
  • 11690

    2020.12.31

    물질을 구성하는 원자와 분자의 초고속 동역학을 관측할 수 있는 세계 최고 성능의 초고속전자회절 장치를 개발하였음. 이 장치는 기존의 기술이 가진 한계를 독창적인 구조를 사용하여 극복하였으며, pump-probe 실험을 통해 세계에서 가장 우수한 시간분해능 (32 펨토초)을 실증하였음. 본 성과는 Nature Photonics에 게제되었으며, 2020년 국가연구개발우수성과 100선 및 최우수에 선정되었음. 세계 최고의 시간분해능을 얻기 위해서 가속기, 레이저, RF 기술을 융합하여 4.4 펨토초의 시간정밀도를 가지는 극초단 펄스 계측 기술도 함께 개발하였으며, 이 기술을 활용하여 테라헤르츠 파형을 실시간으로 계측하는데 성공하였음. 또한 개발된 초고속전자회절장치를 이용하여 Bi, 페로브스카이트 및 기체 시료에 대한 초고속 구조동역학분석 기술을 개발하였으며, 이를 통해 본격적인 초고속 물성 연구를 수행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였음. 특히 페로브스카이트의 구조동역학 측정은 국내에서 최초로 성공하였음. (출처 : 서지정보양식 - 초록 203p)
    • 연구책임자 : 이기태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연구원
    • 발행년도 : 20210100
    • Keyword : 1. 초고속 방사선;초고속 전자회절;펨토초 레이저;시분해 전자회절;극초단 펄스 계측;고출력 테라헤르츠 펄스;고주파 광전자총;펌프-프로브; 2. Ultrafast radiation;ultrafast electron diffraction;femtosecond laser;time-resolved electron diffraction;measurement of ultrashort pulse;high-power terahertz pulse;RF photogun;pump & probe;
  • 11689

    2020.12.31

    본 과제를 통해 다음의 업무를 수행하였다. ○ 중성자 산란장치 유지 및 보수 ○ 기반 시설(빔포트, 유도관 등) 및 중성자 공급 시스템 유지보수 ○ 방사선 안전 관리 체계 구축 본 과제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 중성자과학연구시설의 가동 상태 회복 및 안정적 운영 ○ 중성자산란장치의 핵심 부품의 안정적 운영 관리 및 최적화를 위한 장치 기술 개발 ○ 중성자빔 이용 기반 시설(빔포트, 유도관 등) 및 방사선 안전관리 시스템 운영 관리 (출처 : 서지정보양식 - 초록 117p)
    • 연구책임자 : 소지용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연구원
    • 발행년도 : 20210100
    • Keyword : 1. 중성자 산란 장치;중성자 과학 시설;시료환경 장치;방사선 안전;장치 기술; 2. Neutron scattering instrument;Neutron research facility;Sample environment;Radiation safety;Instrumentation technique;
  • 11688

    2020.12.31

    본 과제는 원자/핵묙응 특성 Data 기술의 선진화를 통한 원자력 기묙기술 자립 및 국제 경쟁력/영향력 제고를 목표로 하며,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ㅇ 국제 원자/핵데이터 네트워크 구축 - IAEA의 핵묙응 실측자료 데이터베이스(EXFOR) 편집 및 광핵묙응 데이터 개량 연구(CRP) 완수 - OECD/NEA의 평가핵데이터 파일 JEFF-3.3 개량 국제 공동 연구 참여 - LANL과 협력 연구를 통한 평가핵데이터 파일 ENDF/B-VIII.0 개량 ㅇ 핵묙응 Data 평가 및 기술 개발 - 주요 악티나이드 (우라늄 10종, 플루토늄 5종) 핵데이터 평가 - 의료, 핵폐기물, 차폐 관련 핵종 포함 15종의 광핵묙응 데이터 생산 ㅇ 후행핵주기 R&D용 핵데이터 및 열중성자 산란 데이터 검증 - 후행핵주기 R&D용 핵데이터 분석 및 KAERI 생산 우라늄, 플루토늄 핵데이터 검증 - 핵분열생성물 수율(10종) 및 붕괴(20종) 데이터, 분자동역학 기묙 열중성자산란데이터 생산/검증 ㅇ 정밀 원자 플라즈마 묙응 데이터 생산 평가 체계 구축 - 고밀도 플라즈마 발생장치 및 고분해능 분광 측정시스템 구축 - Ar, He 충돌복사 분광모델 개발 및 원자묙응 데이터 평가 방법 확립 ㅇ 국내 시설을 이용한 핵묙응 측정 - 경주 양성자가속기를 이용한 구조재의 양성자 유도 핵묙응 측정 (Cu, Ni, Fe) - 양성자 기묙 중성자 방사화 단면적 측정 현황 분석 및 측정 장비 제작 (출처 : 서지정보양식 - 초록 239p)
    • 연구책임자 : 김도헌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연구원
    • 발행년도 : 20210100
    • Keyword : 1. 핵묙응;원자/핵데이터 평가;핵데이터 처리 및 검증;핵데이터 측정; 2. Nuclear reaction;Atomic and nuclear data evaluation;Nuclear data processing and validation;Nuclear data measurement;
  • 11687

    2020.12.31

    본 과제는 KAERI nTOF용 초전도 전자가속기 정상화를 위하여, 전자총 수리 완료 및 2 MeV 상전도 전자가속기 최적화 통한 2 MeV - 292.3 ㎂ 전자빔 발생성공 , 노후 제어시스템의 EPICS 업그레이드, 전자빔 가속 효율 및 빔 안정성 향상을 위한 빔라인 재배치 및 고주파피드백시스템 제작 및 성능점검, 제어/전원용 케이블 및 PC 제어스시템 교체 및 업그레이드 등 1단계에 계획한 모든 연구 내용들을 달성하였다. 또한, 20 MeV 초전도 전자가속기 정상화 연구 결과, 2009년 화재 사고 이후 헬륨 공급이 중단된 초전도 가속관이 동작 가능함을 확인하였으며, 더불어 초전도 가속기용 고주파 발생장치인 RFG 1, 2의 안정적인 고주파 출력이 발생함을 확인함으로써, 액체헬륨냉각장치 수리 시 20 MeV 전자빔을 이용한 nTOF 시설 정상화가 완료될 수 있음을 검증하였다. 본 주요사업을 통해 차세대 방사광가속기를 구성하는 저장링, 부스터링, 3rd Harmonic Cavity, 입사기 등 핵심장비에 대한 설계 연구와 빔불안정성 연구를 진행하는 등 지속적인 기본설계 종합연구를 진행하였으며, 관련 결과를 방사광가속기 구축을 위한 예타기획에 활용되는 등 꾸준히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4세대 다목적 방사광가속기 구축 연구는 2019년~2020년을 거쳐 충북도 및 전남도 방사광가속기 유치 및 방사광가속기 구축 기본설계에 중요자료로 반영되었으며, 내년부터 시작되는 공학설계 및 테스트 시설 구축에 연속적으로 참여하여 과제 수주 및 연구성과 도출을 계속적으로 수행해나갈 것으로 기대한다. (출처 : 서지정보양식 - 초록 127p)
    • 연구책임자 : 김유종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연구원
    • 발행년도 : 20210100
    • Keyword : 1. 전자;가속기;방사광;응용; 2. Electron;Accelerator;Synchrotron;Application;
  • 11686

    2021.02.28

    □ 연구개요 현재 과학기술로 근접하게 접근할 수 있는 가장 오래된 우주 초기 모습은 물질의 기본입자인 쿼크와 글루온들이 독립적으로 존재하던 쿼크-글루온-플라즈마(Quark-Gluon-Plasma) 상태로 알려져 있기에 QGP 상태를 연구하는 것은 근본적인 우주의 궁금증에 대한 답을 제시할 수 있는 매우 중요한 연구이다. 본 과제에서는 무거운 쿼크들을 포함하고 있는 입자들을 통해 QGP 상태에 대한 정보를 얻어 초기 우주 정보를 통해 우주 진화에 대한 궁금증을 해결하고자 한다. □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연구 목표는 쿼코니아와 무거운 쿼크를 포함하는 입자들을 연구하여 QGP 상태에서 생성된 경우와 QGP가 없을 것으로 예상되는 실험과 비교하여 QGP 상태의 성질이 어떠한지 조사하는 것이 주된 연구 목표였다. 그리고 이와 관련하여 크리스탈 상태의 섬광체 검출기 개발을 목표로 하였다. 연구 실적 목표는 SCI 급 논문 4 편, 국내 저널 2 편 정도를 목표 하여 연간 평균 2편 정도의 논문을 목표하였으며 검출기 개발의 기저를 확보하는데 있었다. 1. SCI 급 논문 총 4편 1) PRL 120 (2018) 142301 (상위 10%): Suppression of Excited Υ States Relative to the Ground State in PbPb Collisions at sqrt(s_NN) = 5.02 TeV 2) PLB 790 (2019) 270 : Measurement of nuclear modification factors of Υ(1S), Υ(2S), and Υ(3S) mesons in PbPb collisions at √sNN = 5.02 TeV 3) JKPS 75 (2019) 547 : Study of Z Boson Cross Section in pp Collision at √s = 8.16 TeV 4) JKPS 77 (2020) 643 : Cross-Section Study of the W boson in a pp collision at √s = 8.16 TeV 2. 국내 저널 2편 1) NPSM 68 (2018) 976, NPSM 68 (2018) 980 목표한 실적을 100% 달성하였다. □ 연구발성과의 활용 계획 및 기대효과(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 참쿼크와 바닥쿼크를 구분하는 2차원 질량-붕괴거리 동시 fitting 방법은 고에너지 입자 및 핵 물리에서 보편적으로 사용 될 수 있는 중요 기술 중 하나이다. 이 기술을 한국 연구자들이 선점하여 유지 한다면 무거운 쿼크 연구 분야에서 한국의 선도적 역할을 기대할 수 있다. - 반응평면 측정의 계통 오차를 줄이기 위해 수행될 크리스탈 검출기 모의 실험 및 테스트는 향후 한국형 중이온 가속기 실험에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될 것으로 기대한다. - 참쿼크과 바닥쿼크를 정확히 구분해 낼수록 근본적인 쿼크들과 QGP상태의 핵물질간의 상호작용 대한 더 깊은 이해를 제공하게 될 것이다. - Upsilon의 타원 흐름 v2를 측정하게 되면 바닥쿼크들로만 구성된 입자의 최초의 타원 흐름 결과가 될 것으로 이 연구 결과에 한국 연구자들의 상당한 국제적 역량을 갖게 될 것으로 기대 된다. - 다량의 데이타를 효율적으로 다루는 것이 핵심이므로 대용량 데이타 관리에 있어서도 좋은 연구 주제가 될 것이며 향후 빅데이타 시장에서 우수한 한국 인력 양성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문동호
    • 주관연구기관 : 전남대학교
    • 발행년도 : 20210300
    • Keyword : 1. 쿼크-글루온-플라즈마;쿼코니움;중이온 충돌;핵변형인자;집단적 흐름; 2. Quark-Gluon-Plasma;Quarkonium;Heavy Ion Collisions;Nuclear Modification Factor;Collective Flow;
  • 11685

    2021.05.31

    □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 최종 목표 정상 수명이 기대되는 한국인에서 전산화단층촬영 (CT, computed tomography) 피폭 여부에 따른 발암 위험도를 측정 ❍ 전체 내용 (1) 1차년도 (2018) ■ 연구 목표 건강보험공단 청구자료를 이용한 대규모 환자 코호트 구축 ■ 연구 내용 및 범위 - 건강보험공단 청구 자료에서 암 발생 여부를 판별하는 정의(definition) 확립에서 암진단 코드와 산정특례 코드, 치료 약물 청구코드를 이용함. - 역인과성(reverse causation)을 통제하기 위해 정상 기대수명의 충수염 환자로 연구 대상군을 한정하여 대규모 코호트를 구축함. (2) 2차년도 (2019) ■ 연구 목표 CT 방사선 피폭에 따른 발암 위험도 비교 측정 ■ 연구 내용 및 범위 - 구축된 코호트를 이용하여 심층 통계 분석을 시행함. - Clinicaltrials.gov 에 연구를 등록함 (등록번호: NCT03776435). - Primary outcome measure: Age - and sex-standardized incidence rate ratio for hematologic malignancies 측정함. - 민감도 분석: CT 노출 후 암 발생 잠복기를 고려하여 CT 방사선 피폭 후 이후 다양한 lag period 기간을 고려함. - 하위그룹 분석: 연령, 성별, 충수절제술 시행 년도, 의료기관 종별, 보험료, 차후 CT 검사 시행 유무를 보정한 incidence rate ratio를 측정함. (3) 3차년도 (2020) ■ 연구 목표 CT 방사선 노출 관련 심층 분석 ■ 연구 내용 및 범위 - 연간 단위로 age - and sex-standardized incidence rate ratio for hematologic malignancies를 측정함. - 혈액암과 관계가 큰 골수 피폭 선량에 중점을 두어 피폭량을 정량화함. - 충수절제술 당시의 CT 피폭 여부와 상관없이 모든 CT 검사를 횟수를 세어 CT 검사 횟수와 발암간의 용량-반응 관계를 규명함. - 나이 및 성별 이외에 추가 교란 변수를 보정한 incidence rate ratio를 측정함. - CT 방사선 노출을 줄이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자주 인용되는 5가지 clinical scoring system을 사용하여 환자 분류(patient triaging)시 CT 검사 감소율 및 진단 정확도를 측정함. □ 연구개발성과 ■ CT 방사선량 진단참고기준 설정에 활용 실증적 발암확률 제시함으로써 방사선량 진단참고기준의 참조치로 활용함. ■ 정량적 연구개발성과 연구의 결과를 JAMA Surgery (Impact Factor 13.625) [2021년 1월 JAMA Surgery Editor's choice로 선정]와 Radiology (Impact Factor 7.931)에 출판함. □ 연구개발성과 활용계획 및 기대 효과 ■ 국민 건강 증진 효과 - 암은 국민 건강을 위협하는 실제적 위험일 뿐 아니라 의료비 국민 부담을 증가시키는 요인임. - 본 연구의 결과는, 의료에서의 과도한 CT 남용을 제한하는데 기초자료로 사용할 수 있음. ■ 임상 진료에 활용 - CT는 높은 진단능으로 임상진료에 널리 이용되고 있음. 정상 수명이 기대되는 환자에서 방사선량이 일정치를 초과할 경우, MRI와 같은 다른 진단기법의 사용을 권장할 수 있음. ■ CT 방사선량 설정 가이드라인 제정 - 발암 확률을 고려하여 한국인의 특성에 맞는 적정 방사선량을 설정 및 권장할 수 있음. (출처 :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박지훈
    • 주관연구기관 : 분당서울대학교병원
    • 발행년도 : 20210600
    • Keyword : 1. 전산화단층촬영;인구 집단 연구;발암 위험도;방사선 피폭;빅데이터; 2. Computed tomography;Population based study;Carcinogenic risk;Radiation exposure;Big data;
  • 11684

    2020.12.31

    국제 핵비확산 신뢰성 제고를 위한 핵비확산 및 핵안보 기술협력 네트워크 구축과제를 통해 IAEA 회원국지원프로그램(MSSP)을 통한 국가 연구개발 주요 과제에서의 핵비확산/핵안보 기술 니즈 파악 및 확보, 다자간 국제 협의체 와의 공동연구를 통한 핵비확산/핵안보 협력 강화 및 네트워크 구축, 한미 공동연구의 핵비확산수용성 평가 지원을 수행하여 아래와 같은 주요 성과를 달성하였다. ● 핵연료주기 시설모델의 준실시간계량관리(NRTA) 프로그램 IAEA 전문가 상호 교차검증 ● IAEA 물리적 모델 개정 전략 수립 및 사용후핵연료관리 분야 개정(의장 수행 개정작업 주도) ● 파이로 기술에 대한 핵확산저항성 강조한 물리적 모델 보완 ● IAEA INPRO의 핵비확산(PR)분야 Case study(TFMF, TRU 핵연료 제조시설 PR 방법론 분석) TECDOC 검토자료 생산 및 운영위원회 참여전략 수립 ● GIF PRPPWG 연례회의 참석 및 우리나라 현황 보고, GIF PRPP 평가 방법론 번역보고서 발간 등을 통한 핵비확산 네트워크 강화 ● GIF 노형별 PRPP 특성 분석 백서 개정 작업 협력 및 SFR 분야 POC 역할 수행(백서 개정본 생산) ● HEU 최소화 국제 심포지엄에서 세계 최초로 고밀도 U3Si2연료 제조 성공 발표, 실무그룹 의장 역할 수행을 통한 국제 핵안보 네트워크 활성화 ● 국제 핵감식 추진 방향 설정을 위한 전략 수립 및 국제회의 참석 ● 한미공동연구 핵비확산수용성 확보 전략 수립, 최종보고서 목차 개발, 중간보고서 작성 및 최종보고서 초안 개발 국제 핵비확산/핵안보 기술협력 네트워크를 통해 국가 주요 연구개발 과제를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추진할 수 있으며, 우리나라의 국제투명성/핵비확산 위상 및 신뢰성을 제고함으로서 국가연구개발 주요 과제의 핵비확산(안전조치) 및 투명성과 관련된 필수 확보 기술 및 신기술을 제시하고, 미래 대비 핵비확산/핵안보와 관련된 각 과제의 추진역량을 고도화하는데 지속적으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 (출처 : 서지정보양식 115p)
    • 연구책임자 : 안성규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연구원
    • 발행년도 : 20210100
    • Keyword : 1. 안전조치;준실시간 계량관리;고농축우라늄(HEU) 저감화;핵감식;핵연료주기 모델링 시뮬레이션;IAEA 회원국지원프로그램; 2. GIF PRPP;IAEA INPRO;safeguards;NRTA;HEU reduction;nuclear forensic;modeling and simulation;IAEA MSSP;
  • 11683

    2020.12.31

    국제적으로는 이동 및 현장설치가 가능한 소형 고속중성자원의 다양한 산업적 응용과 대용량 체적형 고속중성자원의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를 활용한 방사선 촬영, 동위원소 생산, 핵융합재료 연구 등의 수요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국내에서도 고속중성자 활용기술 개발과 국방, 산업, 의료분야에서의 추가적인 활용을 위한 다양한 중성자원의 개발이 필요한 상황이다. 이러한 환경에 대응하기 위해 본 연구는 현장설치형의 다선량 고속중성자원 기술 확보를 목표를 하고 있으며, 이번 단계에서는 1010 n/s급 소형중성자원 개발을 시작하였다. 100 kV 고전압 절연 도파관의 개발, 고주파 전력의 전송효율 향상을 위한 능선형 매칭 도파관 개발, 최적의 자장 구조 연구를 통해 290 mA/cm2/kW의 효율을 가진 국내 최고수준의 고효율 전자싸이크로트론공명 플라즈마원 개발 완료하였다. 능동형 냉각 시스템 구조를 가진 4극 전극형의 빔인출 가속부를 개발하였으며, 최대 100 kV /100 mA 빔전력 인출 성능을 검증하였다. 또한 고속 중성자원 차폐 설계를 통해 고속중성자 차폐 설계를 위한 원천 기술을 확보하였으며, 10 kW급의 고열부하를 견디는 냉각형 Ti-Cu 고체 타겟을 개발하여 성능을 검증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국내 최고수준의 1010 n/s급 소형고속중성자원 원천기술을 확보할 수 있었다. 또한 중성자 수요 및 이용그룹 활성화를 위해 국내외 연구그룹(KCANS, UCANS) 등을 주도하거나 IAEA CRP, 비파쇄 중성자원, 방사선기기 그룹 활동 등에도 참여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획득된 기술을 바탕으로 Cf-252 대체 핵연료검사시스템, 시멘트분석시스템 산업화와 같은 다른 과제를 도출중이다. (출처 : 서지정보양식 193p)
    • 연구책임자 : 이동원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연구원
    • 발행년도 : 20210100
    • Keyword : 1. 고속중성자;중성자 발생장치;고주파 이온원;ECR 이온원;이온빔 인출;소형중성자원; 2. fast neutron;neutron generator;RF ion source;ECR ion source;ion beam extraction;compact neutron source;
  • 11682

    2020.12.31

    유전체 내 L1 발현의 증가는 질병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 발달 장애를 포함한 다양한 뇌 질환에서 L1의 발현이 증가되어 있음이 보고됨. 하지만, 인간 신경세포의 정상 분화 및 발달 과정에서 L1의 발현 변화 양상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 없음. 본 연구과제에서는 신경세포의 발달에 따른 전기생리학적 변화를 분석하였으며, 신경줄기세포가 신경세포로 발달하는 과정에서 L1 발현량이 증가함을 확인함. 나아가 L1 발현량 조절에 따라 신경세포의 분화 및 활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할 수 있도록 인간 신경세포 분화 및 발달 과정에서 L1의 발현을 조절하는 방법을 개발함. (출처 : 초록 3p)
    • 연구책임자 : 한진주
    • 주관연구기관 : 한국과학기술원
    • 발행년도 : 20210100
    • Keyword : 1. L1;이동성유전인자;유전자 발현 조절;신경줄기세포;신경세포;신경세포발달;전기생리;다채널 미세 전극 어레이; 2. L1;transposon;regulating gene expression;neural stem cell;neuron;neuronal development;electrophysiology;multi-electrode array (M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