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Report

All 12,453 Page 70/1,246

검색
  • 11763

    2021.11.30

    □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 최종 목표 미세먼지 확률론적 예측 모형과 광 투과율 모델을 이용한 미세먼지의 농작물 생산피해 예측 및 세척기술 개발과, 시설작물 경영분석 연구를 통한 미세먼지 발생피해 평가기술 개발 ○ 전체 내용 ○ WRF-Chem을 이용한 고해상도 미세먼지 모의 시스템 구축 및 지역별, 계절별 미세먼지 예측 모형 개발 ○ 광 투과 실험 및 미세먼지 재현을 위한 실험용 상사법칙 개발과 투과성 재료의 특성 구명을 통한 미세먼지 농도에 따른 시설온실 표면에 대한 영향의 실증적 구명 ○ 시설온실 피복재 및 미세먼지 농도에 따른 작물의 생리적 특성 및 품질 특성구명을 위해, 미세먼지 농도별 광 투과율 실험 및 Irradiation Multiphysics 기법을 이용한 투과량 시뮬레이션과 수치화 ○ 세척제 별 생물학적, 이화학적 특성 구명과 세척방법의 공학적 검토를 통한 친환경 세척기술 개발 및 매뉴얼 작성 ○ 광 투과율 모델과 가상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미세먼지 예측, 미세먼지 발생에 의한 시설재배 생산량 감소액 및 경영비 상응요소 산정, 미세먼지 발생에 의한 손실평가 및 경제적 경영분석 연구 수행 □ 연구개발성과 ○ 미세먼지 환경 재현 실험기구 및 시료 분석 용 광 투과율분석기 개발 ○ 미세먼지 흡착에 따른 투과율 변화 분석 및 세척제 평가를 위한 샘플 취득 시나리오구성 및 장치 설치 ○ 시설재배온실 내·외부 위치 별 조도 측정 장치 개발 ○ 온실 피복 시료 (PE) 특수 코팅에 따른 광 투과율 및 표면 소수성 평가 ○ 농가 온실 미세먼지 피해분석을 위한 미세먼지 실험모델 개발 ○ 미세먼지 노출에 따른 피복재 투과율 변화 분석 ○ 세척용액 내부 계면활성제 극성에 따른 미세먼지 제거율 평가 ○ 미세먼지에 따른 온실 내·외부 일사량 측정 및 분석 및 평가 ○ 코팅용액 도포 온실 피복재의 물때 생성률 평가 ○ 미세먼지에 의한 농작물 생산피해 예측을 위한 시설재배 작물 생장 모델 개발 ○ 인공 비산 먼지 환경 조성 실험모델 개발 및 평가 ○ 미세먼지에 의한 농작물 생산피해 분석과 피복재 투과율 저하양상 구명 ○ 제올라이트 암모늄 흡착 원리에 기반한 비닐온실 표면 미세먼지 세척 평가 ○ 미세먼지 영향의 온실 피복재 투과율 저하 방지를 위한 코팅제 비교 ○ 미세먼지에 의한 농작물 생산피해 예측을 위한 시설재배 작물 생장 모델 개발 및 적용 □ 연구개발성과 활용계획 및 기대 효과 ○ 일반적으로 물줄기를 이용한 물리적 세척방법은 투과율의 극히 일부만 회복 가능한 방법이며, 겨울철에는 물관리의 어려움이 있어 농가에서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세척방법이 요구되고 있음 ○ 온실 피복재에 흡착된 미세먼지를 물리적으로 세척하여 투과율을 회복하고자 할 경우 온실 상부를 세척하기 위한 인력의 인명 사고 발생 우려가 있는 한계가 있었음 ○ 본 연구에서 도출된 세척기술은 자연빗물이나 농업용수로 자연스럽게 세척할 수 있는 방안으로 농가에서 접근하기 용이할 것으로 보임 ○ 기존 옥살산을 이용한 세척방법과 대비하여 본 연구에서는 친환경 세척기술을 정립함으로써 환경 지속가능성을 고려함 ○ 본 연구에서 도출된 인공 비산 먼지 환경 조성 실험모델은 농촌에서 발생하는 미세먼지 발생환경을 실험실 환경에서 안전하게 제어할 수 있어 관련 분야 연구와 기술 발전에 기여할 수 있음 ○ 국가 미세먼지 측정망 자료에 농업부문 미세먼지의 계절적, 행정구역별 분포 현황을 추가하여 미세먼지 예보 정확도 향상에 기여 ○ 미세먼지가 발생한 대상지역 현장에서 미세먼지 대응 업무 추진 시 기초자료 지원 및 미세먼지 피해를 저감하기 위한 기술로써 활용 ○ 시설원예 또는 시설재배 비닐하우스 설계에 미세먼지에 의한 농업 생산피해 저감을 위한 안정적인 설계 기준 제시 ○ 미세먼지 피해 경감을 위한 친환경 세척 기술 개발로 미세먼지에 대한 선제적 대응으로 농업 피해 및 주민건강 피해를 최소화 ○ 농촌 지역에 적합한 새로운 미세먼지 저감 관리 기술 개발에 기여 ○ 작물 생육 영향 최소화를 통한 작물 생산량 증대로 농가경제 활성화 ○ 사회적 관심이 4차 산업혁명 등 고도화된 산업에 집중되고 있으나 농업분야 미세먼지 배출로 인한 경제적, 산업적 타격은 다른 어느 분야보다 큰 만큼 농업분야에서 미세먼지 관련 정책을 도출하게 될 본 연구의 역할이 매우 중요 (출처 :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이재한
    • 주관연구기관 : 국립원예특작과학원
    • 발행년도 : 20211200
    • Keyword : 1. 미세먼지;시설재배지;작물생육모형;세척기술;일사량; 2. particulate matter;greenhouse;crop growth model;cleansing technology;solar radiation;
  • 11762

    2021.11.30

    1. Research Purpose During the normal operation of the nuclear power plant, several different corrosion products such as Co, Ni, Fe ions can be produced owing to the normal degradation of the structural materials. The build-up of these corrosion species beyond a certain limit can not only deteriorate the coolant performance also can reduce the thermal conductivity of the fuel cladding. These corrosion products after irradiation and becoming radioactive can cause high radiation levels which may contribute to the radiation doses of the radiation workers during the routine maintenance work. In order to overcome the issue of these corrosion products, an ion exchanger system is used to continuously remove unwanted ionic or non-ionic species from the coolant by utilizing the ion exchange resins. The synthetic ion exchange (IEX) resins are made of polystyrene cross-linked with divinyl benzene. Some of the major applications of IEX resins in the nuclear industry include primary water coolant purification, fuel storage pond water treatment, drainage water treatments. However, the use of ion exchange resin also has a number of immobilization issues as follows. (source : 1. Research Purpose 3p)
    • 연구책임자 : 류호진
    • 주관연구기관 : 한국과학기술원
    • 발행년도 : 20211200
    • Keyword :
  • 11761

    2021.08.31

    □ 연구개요 본 연구는 혈관내피세포 산화질소합성효소 (endothelial nitric oxide synthetase, eNOS) 및 산화질소 (NO) 활성 억제가 주요 기전으로 밝혀진 폐동맥고혈압에서도 심혈관계 내피세포에서 산화질소의 활성 유지, 교감신경의 과활성화억제 및 산화스트레스 억제효과가 있는 dexmedetomidine (DEX)이 동일한 기전으로 폐동맥고혈압을 유효하게 억제할 수 있는지에 대해 밝히고자 한다. 또한, Human Umbilical Vein Endothelial Cells (HUVEC)와 Human pulmonary artery smooth muscle cells (HPASMC)에서 monocrotaline(MCT)에 의한 폐동맥 고혈압 발생에 있어서 자가포식의 활성화가 얼마나 중요하게 작용하고 그 기전을 확인하고자한다. □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1차년도 연구내용 및 결과 내용 : 혈관내피세포 (bEND.3, mouse brain endothelial cells)를 이용하여 MCT (0, 1, 2, 3, 4, 5 mM), dexmedetomidine (0, 1, 5, 10, 20 nM)을 처리하여 세포활성에 미치는영향과 세포사멸, 신호전달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다. 결과 : bEND.3 세포에서 MCT의 처리에 의한 세포분열 및 성장을 억제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3 mM이상의 농도에서는 유의적으로 세포성장이 억제되었다. DEX를 처리했을 때, 세포 성장에는 영향이 없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monocrotaline의 처리가 세포의 성장억제와 G2/M의 arrest를 일으키고, LC3B의 발현 변화를 보이고, 이는 PERK와 ERK의 signal이 autophagy와의 연관됨을 확인하였다. 2차년도 연구내용 및 결과 내용 : MCT에 의해 HUVEC세포와 PASMC세포에 세포성장 및 세포활성에 미치는영향과 세포사멸, 신호전달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autophagy가 일어나는 정확한 신호전달을 알아보기 위해, 연관된 신호전달의 억제제를 이용하여 확인한다. 결과 : HUVEC이나 HPASMC세포에서 MCT를 농도별로 처리했을 때, 세포 성장이 억제됨을 확인하였고, Autophagy마커인 LC3B가 농도가 증가할수록 증가되었고, DEX와 ERK inhibitor를 처리했을때 감소된 것으로 볼 때, 이는 MCT에 의한 autophagy가 ERK의 활성화에 의한 것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MCT에 의한 ERK의 활성화와, inhibitor인 3-MA와 Bafilomycin A1을 처리했을 때, LC3-II가 증가한 것으로 보아, HUVEC세포에서 MCT는 강력한 autophagy inducer로 작용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3차년도 연구내용 및 결과 내용 : HUVEC셀에서 강력한 autophagy inducer로 작용하고 있는 MCT에 의한 autophagy와 연관된 gene screening을 통하여 DEX에 의한 억제효과와 연관된 특정한 signaling을 찾아 DEX처리에 의한 폐동맥 고혈압의 억제 기전을 확립하고자 한다. 결과 : Western blot과 immunofluorescence를 통해 MCT 처리에 의해 cytoplasm에 LC3B의 발현이 증가했음을 확인하였고, control에서는 lamp1이 핵에서 아주 약하게 관찰되었으나, MCT 처리했을 때, 세포질에서 강하게 발현되었고, DEX처리에 의해 그 현상이 완화 되었음을 확인하였고, merge에서 보면 발현되는 위치가 거의 동일함을 확인하였다. ERK inhibitor처리에 의해서도 완화됨을 보였지만 DEX의 효과가 더 좋았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nuclear와 cyroplasmic fraction에서의 western 결과와 다소 차이를 보였지만, LC3B-I의 경우 cytosol에서 관찰되었고, LC3B-II의 경우는 control에서는 확인되지 않고, MCT처리했을 때, 약하게 핵에서 관찰되었다. 4차년도 연구내용 및 결과 내용 : HUVEC세포에서 MCT처리에 의한 endogeneous LC3B 단백질의 세포질로의 이동을 확인하고 DEX에 의한 억제효과가 있는지 확인한다. 세포를 안정화 시킨 후, DEX(10ug/mL)를 한시간 전처리 하고, MCT 5 mM을 처리하고 24시간 후에 Confocal을 이용해 LC3B punta와 autophagic flux, LC3B translocation을 확인한다. 결과 : HUVEC세포에 MCT를 처리했을 때, 세포질 부분에서 LC3B의 발현이 강하게 증가하고, DEX를 처리했을 때, 그 발현이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다. mRNA의 발현을 확인한결과, TP53, p62, LC3B, GABARAPL1에서는 MCT처리한 세포에서는 발현이 증가했고, DEX를 처리했을 때, 유의적으로 감소했음을 확인하였다. CTSD와 HSP90AA1은 MCT에의해 증가했지만, DEX에 의한 유의적인 감소는 보이지 않았다. HUVEC세포에서 MCT에 의해 유도된 autophagy가 DEX처리에 의해 완화되는 세포내의 신호전달과 LC3B의 발현 증가도 중요하지만, 핵에서 세포질로의 이동에 관한 보다 깊은 연구도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 연구개발성과의 활용 계획 및 기대효과 (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MCT에 의해 유도된 폐동맥 고혈압 세포 모델인 HUVEC 세포에서 autophagy가 강하게 진행됨을 확인하였고, 이는 DEX의 처리에 완화될 수 있음을 본 연구를 통해 확인하였다. autophagy의 마터인 LC3B가 MCR처리에 의해 해 안에서 세포질로의 tranalocation이 일어남을 확인하였고, DEX에 의해 억제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에 반해 본 연구에서 사용되는 dexmedetomidine의 경우 실제 임상에서 진정 및 진통 목적으로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본 연구결과를 바로 임상에 적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만약 DEX가 자가포식의 항상성을 유지시킴으로써 폐동맥고혈압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고 밝혀진다면 DEX의 임상적 사용을 폐동맥고혈압 치료제로까지 확대할 수 있으며, 나아가 발생기전이 유사한 다른 다양한 만성 심혈관질환들(심부전증, 뇌혈관질환, 심근경색, 심부정맥, 뇌졸중, 심혈관계노화) 에도 적용해 볼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김남오
    • 주관연구기관 : 연세대학교
    • 발행년도 : 20210900
    • Keyword : 1. 덱스메데토미딘;모노크로탈린;폐동맥고혈압;자가포식;항상성; 2. dexmedetomidine;monocrotaline;pulmonary artery hypertension;autophagy;homeostasis;
  • 11760

    2021.02.28

    ◎ BSRN 관측소 운영을 위한 기반 구축 - 국제 수준의 복사측소 운영을 위해 복사관측소 환경 및 장비 분석 수행 - 전천일사계/직달일사계/자외복사계/적외복사계 관측망 최적안 도출 - BSRN 가입을 위한 필수적인 환경과 장비 및 검교정 기술 확보 방안 제시 및 시범 사이트 운영 및 분석 ◎ 적외복사계 및 자외복사계 소급성 확보 - 적외복사계와 자외복사계를 국제 공긴교정 기관인 WRC (World Radiation Center)에서 검교정하여 국가 기준 장비 마련 - 기상청 현업 자외복사계와의 비교관측 수행 (출처 : 요약서 3p)
    • 연구책임자 : 이규태
    • 주관연구기관 : 원주대학교
    • 발행년도 : 20210300
    • Keyword : 1. 태양복사;적외복사;자외복사;복사관측망;국제복사관측 그룹; 2. Solar Radiation;Infrared Radiation;Ultraviolet Radiation;Radiation Observation Network;International Radiation Observation Group;
  • 11759

    2020.12.31

    서울특별시 노원구 공릉동에 위치한 연구로 1, 2호기는 1995년 가동이 중단된 이후 1997년부터 해체공사를 시작하였다. 2008년까지 연구로 2호기 및 부속시설에 대한 해체공사를 마무리하였다. 그러나 2009년 1호기 원자로 누수로 인해 1호기 오염부위에 대한 제염해체 공사를 시작하였으며, 2015년 해체 중 발생한 방사성폐기물 516드럼을 경주 처분장에 이송하였다. 2016년부터 원자력시설의 그린필드화 작업의 일환으로 연구로 1, 2호기 및 부속시설 건물 해체 및 환경복원과 해체 부지의 규제해제를 위한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원자력안전법상 원자력 시설 운영자 또는 폐기물 발생자가 관련 시설을 해체/복원 및 관련 폐기물을 처리해야 한다. 그리고 원연-한전의 ‘연구용원자로 관련 부동산 사용계약서(’2010.10.15.)에 따른 의무사항을 준수하고 연구로 1, 2호기 부지 주변 노원구 주민 민원 및 정치권의 요구사항 해결해만 한다. 이를 위해서는 적기에 연구로 1, 2호기 건물 해체 및 해체폐기물 처분하고 해체부지의 환경복원 및 규제 해제를 완료해야 한다. 그리고 연구로 1호기 기념관화를 위한 기본적인 요건을 수행하고 한전에 부지를 양도해야 한다. 이를 위해 본 단계에서는 연구로 건물 철거를 위한 방안마련, 기보관 해체폐기물의 분류 및 처분 방안 마련, 부지 규제해제 및 연구로 1호기 기념관화를 위한 방안을 마련하였다. 본 연구대형 건축물 해체폐기물 자체처분 기술과 부지 환경복원 및 규제해제 기술을 산업체에 기술 이전하고 한수원의 고리 원전 1호기 해체에도 적용할 수 있을 것 기대된다. 또한 국내 뿐만 아니라 해외 연구로 해체에 대한 기술 자문을 함으로써 해체시장 진출을 위한 교두보를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출처 : 서지정보양식 177p)
    • 연구책임자 : 김근호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연구원
    • 발행년도 : 20210100
    • Keyword : 1. 연구로 1&2호기;해체;환경복원;규제해제;자체처분;방폐물 처분;연구로 1호기 기념관화; 2. KRR 1&2;Decommissioning;restoration;site release;free release;disposal;KRR-1 monument;
  • 11758

    2021.11.30

    □ 연구개발 목표 □ 다양한 원자력 분야에 적용되는 충전층의 주요 변수에 따른 자연/강제대류 열전달 상관식 개발 및 압력강하 예측 모델 연구 - 충전층 높이, 입자 크기, 유동 및 가열 조건에 따른 대류열전달계수 측정 - 가열 충전층 내 자연대류/강제대류 열전달 상관식 개발 - 충전층 구조에 적용 가능한 Colburn J-factor 상관식 개발 □ 연구개발 내용 □ 1단계(1~2차년도) - 문헌조사 수행 및 Test matrix 결정 - 양극 면적과 위치 영향 등을 확인하기 위한 예비실험 수행 - 충전층 자연대류 열전달 측정 실험장치 구축 - 충전층 특성 및 가열 조건에 따른 자연대류 열전달 측정 실험 수행 - 충전층 강제대류 열전달 측정 실험장치 구축 - 충전층 특성, 가열 조건, 유속, 유동 방향에 따른 강제대류 열전달 및 압력강하 측정 실험 수행 □ 2단계(3~5차년도) - 주요 변수(D/d, H, Red 등)의 범위 확장을 위한 전력 제한 평가 - 확장 범위에 대한 충전층 자연대류 및 강제대류 열전달 측정 실험 수행 - 가열 충전층 자연대류 열전달 상관식 개발 및 고도화 - 가열 충전층 강제대류(Upward, downward) 열전달 상관식 개발 및 고도화 - 충전층 구조에 적용 가능한 Colburn J-factor 상관식 개발 및 고도화 □ 활용계획 및 기대효과 (응용분야 및 활용범위 포함) 본 연구는 원자력 침체기의 기초/기반 연구로써 원자력 부문에서 다양하게 활용되는 충전층 내에서 발생하는 자연대류 및 강제대류 열전달 현상을 실험적, 이론적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개발한 충전층 내 열전달 상관식은 페블 연료를 사용하는 미래형 원자로, 중대사고 파편잔해층 냉각 평가, CFVS의 Sand bed filter 등 다양한 원자력 분야에 적용될 것이다. 물질전달 실험기법을 통하여 입자의 자체가열을 현실적으로 구현하고 기존 연구들보다 확장된 범위의 연구를 수행함으로써 실험데이터 축적에 기여하며 충전층 기하구조가 반영된 Colburn J-factor 상관식을 개발함으로써 충전층 압력강하의 새로운 예측 방법론을 시도할 것이다. (출처 : 요약문 3p)
    • 연구책임자 : 정범진
    • 주관연구기관 : 경희대학교
    • 발행년도 : 20211200
    • Keyword : 1. 충전층;페블 베드 원자로;자연대류;강제대류;열전달 상관식;콜번 J 인자;자체가열;물질전달; 2. Packed bed;Pebble bed reactor;Natural convection;Forced convection;Heat transfer correlation;Colburn J-factor;Self-heating;Mass transfer;
  • 11757

    2021.09.30

    □ 연구개발 목표 방사성폐기물 관리를 위한 다상 복잡계면에서의 방사화학 연구 ● 사용후핵연료 전해환원에서 저환원율 원소 환원 특성 규명과 효율 향상 ● 방사성폐기물에 잔류하는 미량의 악티나이드 회수를 위한 공정장치 개념 개발 ● 고온 수용액 환경에서 악티나이드 원소의 화학적 거동 및 특성 규명 ● 제일원리 기반 전산방사화학을 이용한 다상 복잡계면 물성획득 ● 섬광광섬유 및 섬광체 이용 핵종분석 비파괴 방식 다차원 고분해능 센서시스템 개발 ● 학‧연 연계 다양한 매질에서의 악티나이드 화학연구 기반 구축을 통한 방사화학 분야의 차세대 전문 인력 양성 □ 연구개발 내용 1단계 (2016~2018) ● 전해환원 과정에서 저효율을 보이는 희토류/알칼리 토금속의 환원반응 특성과 저효율 원인 규명 ● 용융염과 액체금속 접촉계면에서의 란타나이드/악티나이드의 전해환원 및 선택산화 거동 연구 ● 고온 수용액 환경에서의 악티나이드 착화합물 형성 특성 규명 ● 고상/용융염, 용융염/액체금속의 다상 복잡계면에서 전기화학적 물성 획득 ● 섬광광섬유를 이용한 비파괴 핵종 분석용 센서시스템의 개발 및 성능평가 ● 고온 용융염용 마이크로전극 제작, 성능 시험 및 학‧연 연계 악티나이드 화학연구 2단계 (2018~2021) ● 미환원 산화물의 핵물질 회수공정과 최종폐기물에 미치는 영향 평가 및 환원율 향상 공정 개선 방안 도출 ● 용융염과 액체금속 접촉계면을 통한 악티나이드 회수 공정장치 원리 개발 ● 고온 수용액/고체·광물질 계면에서의 악티나이드 원소의 복합화학 특성규명 ● 용융염/액체, 유리화 물질/수용액 환경 하 열역학적. 동역학적 물성 획득 ● 섬광체를 이용한 다차원 고분해능 비파괴 핵종 분석용 센서시스템의 개발 및 방사화학 분야의 실제 적용성 타진 ● 마이크로전극을 이용한 용융염내 악티나이드 전기화학 거동 측정 및 학‧연 연계 악티나이드 화학연구 연구개발 성과 목표 ● 용융염-산화물 다상 복합계면에서 저환원율 원소의 반응 규명 ● 용융염 환경에서 액체금속 전극으로 이종금속합금 형성에 의한 저전위 동시환원 반응 규명 ● 고준위폐기물 및 사용후핵연료 처분안전성과 밀접한 종합적인 악티나이드 화학거동 이해증진 ● 제일원리를 이용 전산모사를 통한 방사화학연구의 새로운 기법 확립 ● 섬광광섬유 및 섬광체를 이용한 방사성폐기물의 방사능 분포 측정 및 핵종 판별용 비파괴 방식의 다차원 고분해능 센서시스템 개발 ● 마이크로전극을 이용한 용융염 내 란타나이드, 악티나이드 전기화학 측정 자료 ● 방사화학 교육지원, 학연 방사화학연구 네트워크 구축 및 인력교류 ● SCI급 논문 게재 30편, 학술발표 55건, 석·박사급 전문인력 20명 양성 및 국내특허 출원 등 □ 활용계획 및 기대효과 ● 미환원 산화물의 환원율 증가를 통한 공정 효율 증가 ● 고준위 폐용융염 방사성폐기물의 독성 저감 ● 고준위방사성폐기물 및 사용후핵연료 처분 관련 기초 지구방사화학 원천기술 확보 ● 효율적인 공정 설계 및 운영에 기반인 데이터베이스 구축 ● 방사성폐기물 검증 시 방사선 종사자의 방사선 피폭 저감 ● 학연 공동연구 수행을 통한 방사화학연구 저변 확대 및 네크워크 구축 ● 방사화학의 전문지식을 함양한 석·박사급 고급연구인력 양성 (출처 : 요약문 3p)
    • 연구책임자 : 윤종일
    • 주관연구기관 : 한국과학기술원
    • 발행년도 : 20211000
    • Keyword : 1. 방사성폐기물;방사화학;다상 복잡계면;파이로 공정;방사성폐기물 처분;사용후핵연료;악티나이드;전문 인력 양성; 2. Radioactive waste;Radiochemistry;Multiphase and complex interface;Pyroprocessing;Disposal of radioactive waste;Spent nuclear fuel;Actinide;Promotion of high-qualified professionals;
  • 11756

    2021.11.30

    Ⅴ. 결론 및 정책적 시사점 1. 적응역량 강화 방안 및 정책적 시사점 ❏ 개별 리스크 관리를 위한 적응정책과 더불어 사회·경제 시스템의 취약성을 개선하는 적응역량 강화가 필요 ㅇ 야외근로자 대상의 폭염 대응 정책이 지속적으로 진행되어야 하며, 관련 법제화 등을 통해 다양한 폭염 대응 정책을 통해 근로시간 단축 및 휴식 보장 등이 시행되어야하고, 업종별 야외근로 형태가 상이함에 따라 맞춤형 정책 고려 필요 ㅇ 소비자들이 신뢰할 만한 엄격한 기준을 바탕으로 소비효율등급을 부여하고, 지속적인 점검을 통해 최신 에너지 사용 기술 및 현황을 반영한 등급 기준 적용 필요 ㅇ 극한기후에 대비한 에너지 인프라 투자가 필요하며, 가스파이프라인의 내한설비 보완, 화력발전소 및 원자력발전소 등의 냉각효율 개선을 통해 이상기온 현상에 대처하고, 극한기후를 고려한 유연성 자원 및 에너지 저장설비 확보 필요 ㅇ 홍수 대응력 강화 측면의 정책 방향은 치수시설 역량 강화를 위한 소하천 정비와 하수관로 관리를 시행하고 점진적인 수자원 인프라의 확충, 자연형 홍수 대응력 강화정책으로 저영향개발 기술의 보급 및 확산 필요 ㅇ R&D 결과의 확산 및 현장 적용을 위한 정책 필요 ㅇ 기후 리스크의 인과관계와 기여 요인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적응정책의 효과 분석을 통해 맞춤형 대책 수립 및 적응역량 강화를 위한 사회 전반적인 노력 필요 (출처 : 요약 10p)
    • 연구책임자 : 채여라
    • 주관연구기관 : 한국환경연구원
    • 발행년도 : 20211200
    • Keyword : 1. 극한기후;경제적 정량화;기후변화 모형;기후변화 적응; 2. Extreme Climate;Economic Quantification;Climate Change Model;Climate Change Adaptation;
  • 11755

    2021.09.30

    □ 연구개발 목표 방사성폐기물에 잔류하는 미량의 악티나이드 회수를 위한 용융염/액체금속 접촉계면의 방사화학 반응특성의 이해와 공정장치 개념 개발 ○ 용융염과 액체금속 접촉계면을 통한 란타나이드와 악티나이드의 전해환원 및 선택산화에 대한 방사화학 거동 연구 ○ 용융염과 액체금속 접촉계면을 통한 미량의 악티나이드 회수 공정장치원리 개발과 제염계수 특성 분석 연구 □ 연구개발 내용 용융염과 액체금속의 접촉계면을 이용하는 군분리 공정의 화학거동 및 반응특성의 규명으로 사용후핵연료의 파이로공정 발생 폐용융염에 잔류하는 악티나이드 회수 원리 규명 1단계. 용융염과 액체금속 접촉계면을 통한 란타나이드와 악티나이드의 전해환원 및 선택산화 거동 연구 2단계. 용융염과 액체금속 접촉계면을 통한 악티나이드 회수 공정장치 원리 개발 ○ 다성분계에서 선택산화에 의한 군분리 특성 분석 ○ 선택산화 과정을 위한 원심력 기반 용융염과 액체금속의 혼합/분리 장치 개념에 대한 특성 분석 ○ 전해환원과 선택산화의 순차적 공정의 제염계수 특성 분석 □ 활용계획 및 기대효과 ○ 액체금속 전극을 이용하여 이종금속합금 형성에 의한 저전위 동시환원 기술, 용융염과 액체금속을 이용하는 공정장치 기술에 대한 이해함으로서 고준위 폐용융염 방사성폐기물의 독성 저감을 위한 기술로 활용 ○ 용융염과 액체금속 환경에서 란타나이드와 악티나이드의 방사화학 선진기술을 확보하고 이에 대한 전문지식을 함양한 고급인력을 양성함으로서 파이로공정 기술 개발 및 실용화에 기여할 것으로 전망됨 ○ 고준위 폐용융염 방사성폐기물의 독성 저감을 위한 파이로공정 선진기술 확보를 통해 국가 연구경쟁력 제고 (출처 : 요약문 3p)
    • 연구책임자 : 박병기
    • 주관연구기관 : 순천향대학교
    • 발행년도 : 20211000
    • Keyword : 1. 사용후핵연료;파이로공정;폐용융염;악티나이드;란타나이드;동시환원;선택산화;액체금속; 2. spent nuclear fuel;pyroprocess;salt waste;actinide;lanthanide;co-reduction;selective oxidation;liquid metal;
  • 11754

    2021.11.30

    □ 연구개발 목표 ○ 원전의 실제 운전 조건 등 다양한 유동조건에서 비등 열전달 실험을 수행 데이터 베이스를 구축하고 이를 정밀하게 예측할 수 있는 비등 모델을 개발. • 원전 실제 운전 온도 및 압력 조건 국소 기포변수 측정 기술 개발 • 비등 열전달 열수력 실험데이터 분석을 위한 인공지능 기계학습 기법 개발 • 고온 고압 핵비등 열전달 실험 및 데이터베이스 구축 • 원전 운전조건 비등 열전달 모델 개발, 해석코드 적용 및 평가 • 핵연료 크러드 침적 관련 연구의 열수력 조건 연구환경 제공 □ 연구개발 내용 ○ 원전 실제 운전 온도 압력 적용 국소 광파이버 기포변수 측정 기술 개발 • 고온 고압 조건 기포변수 측정을 위한 초소형 국소 광파이버 센서 개발 • 개발된 광파이버 센서의 고온 고압 환경 적용성 시험 ○ 비등 열전달 실험데이터 분석을 위한 인공지능 기계학습 기법 개발 • 열수력 실험데이터 분석을 위한 인공지능 기계학습 기법 개발 • 비등 열전달 영향인자 분석 및 모델 개발을 위한 유사 데이터 생산 ○ 고온 고압 핵비등 열전달 실험 및 데이터베이스 구축 • 원전 증기발생기 및 노심 운전조건 중, 고압 실험 및 데이터베이스 구축 • 비등유로 시험부 단면 고정밀 국소 기포변수 분포 측정 ○ 원전 고온 고압 운전조건 비등 열전달 모델 개발, 해석코드 적용 및 평가 • 비등 열전달 모델 개발 • 1차원 최적 안전해석 코드 적용 및 평가 • 기기스케일 및 전산유체역학 코드 적용 평가 ○ 개발 기술의 확산 • 핵연료 크러드 침적 관련 연구 등 타 분야에서 개발된 기술수요가 발생할 경우 관련 기술을 지원 □ 활용계획 및 기대효과 (응용분야 및 활용범위 포함) ○ 원전 증기발생기 및 노심이 실제 운전되는 중, 고압 유동 조건에서 국소 기포인자 실험 DB를 생산함으로써 원전 안전해석 기술의 고도화와 선진화에 기여 ○ 국내 가동 원전의 정상운전 및 사고 조건에서 발생하는 비등 현상 정밀 평가를 위한 실험데이터 및 코드 등 인프라를 구축함으로써 원전의 안전성 평가기술을 향상시킴. ○ 개발될 인공지능 기계학습 기술은 원전 내 비등 외 타 열수력 현상 분석 연구에 확대적용할 수 있어 국내 원전 안전해석 및 열수력 기술을 한 단계 진일보 시키는데 기여. ○ 핵연료 크러드 침적 관련 연구 등 타 분야에서 기술 수요가 발생할 경우 열수력 조건 연구환경을 제공함 ○ 세계 최고 수준의 고온 고압용 광파이버 센서 측정기법 및 실험기술을 개발함으로써 원전 열수력 연구를 선도하고 타 유관 공학 분야로의 기술 확산을 통해 국가 과학기술 발전에 기여 (출처 :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윤병조
    • 주관연구기관 : 부산대학교
    • 발행년도 : 20211200
    • Keyword : 1. 고온고압;비등 열전달;국소 광파이버 센서;안전해석코드;원전 운전조건;기계학습 기법;국소 기포변수;전산유체역학코드; 2. High pressure high temperature;Boiling heat transfer;Local optical fiber sensor;Safety analysis code;Reactor operating condition;Machine learning method;Local bubble parameter;Computational fluid dynamics co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