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Report

All 12,382 Page 68/1,239

검색
  • 11712

    2020.12.31

    식량안보, 기후변화, 글로벌화 등 종자산업을 둘러싼 국내외 환경변화는 국내 종자산업을 국가 신성장동력 산업으로 육성􌝆발전시킬 수 있는 기회라고 생각하고 있다. 기존의 방사선육종 연구를 좀 더 발전시키기 위해 새로운 육종 플랫폼의 구축 및 적용, 변이유기 효율 증대를 위한 육종기술 개발, 자원 대상으로 한 기초연구 역량 강화를 해당 과제의 주요한 성과목표로 설정하였다. 성과목표 1. 『ICT기반 고효율 육종플랫폼 구축 및 적용연구』 분야에서는 국내 종자기업의 고부가가치 종자개발과 글로벌 기술경쟁력 확보를 위해 ICT기술과 방사선육종 기술 접목을 통한 시너지 효과를 창출코자 했다. 이를 위해 KIST(강릉분원) 기술력 기반 생육정보 자동 선발 분석시스템을 적용한 생장실용과 온실 컨베이어용 육종플랫폼을 구축하고 그 실증연구를 진행 중에 있다. 성과목표 2. 『돌연변이 유기효율 극대화 유종기술 개발』 연구에서는 지금까지의 단순한 방사선조사를 통한 선발과정에서 벗어나 단순 방사선조사 후 특이개체 선발의 다소 수동적인 방사선육종 기술을 여러조합의 병행처리(Sucrose, 광조건 변화, DNA methyltrasferase, 화기 방사선조사 등)를 통하여 능동적으로 변이효율을 높이는 방사선육종기술을 확립코자 하였으며 실제적으로 방사선 단일 조사 대비 변이효율이 증가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성과목표 3. 『방사선육종 유전자원 대상 변이메카니즘 기초연구』 자원대상 유전체 연구에 국한되었던 기초연구 분야를 대사체 영역까지 확대시키고 이들 연구 중에 발생되는 모든 데이터를 포괄하여 변이메카니즘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와 해석을 가능케 하는 􍾢omics 분석 파이프라인의 구축을 통해 향후 개발 자원에 대한 해석방향 제시하고자 했다. (출처 : 서지정보양식 111p)
    • 연구책임자 : 김진백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연구원
    • 발행년도 : 20210100
    • Keyword : 1. ICT기묙 육종플랫폼;표현체학;돌연변이 유기;변이효율 증대;기초연구;유전체;대사체; 2. ICT-based breeding platform;Phenomics;Mutation induction;Increase mutation efficiency;Basic research;Genomics;Metabolomics;
  • 11711

    2021.01.31

    본 과제의 최종목표는 근계영역의 다중방벽에서 핵종의 장기 지화학거동 특성 평가 자료와 평가기술을 확보하는 것이다. 이를 달성하기 위하여 지하수와 광물의 물리화학적 특성 변화에 따른 핵종의 지화학적 거동을 평가하였고, KURT를 기반으로 한 처분장 폐쇄 후 초기 근계영역에서 용질의 지화학적 거동을 평가하였다. 근계영역에서 처분환경 변화에 따른 처분용기, 완충재, 그리고, 근계암반의 변질특성을 평가하고, 핵종과의 지화학반응에 대한 평가자료를 구축하여 사용후핵연료 심층처분의 안전성평가에 대한 불확실성을 저감하였다. 처분환경을 고려한 모의 사용후핵연료 용출특성 평가 분야에서는 사용후핵연료 매트릭스인 UO₂와 지하수의 반응특성을 평가하였으며, 지화학 인자의 영향을 고려할 수 있는 방사성핵종 조화유출선원항 모델을 개발하였다. 용기부식생성물의 핵종 반응 특성 평가 분야에서는 처분(환원)환경에서 용기부식생성물의 핵종 수착 능력이 탁월하며, 특히 요오드와 같은 고이동성 핵종들을 포획 및 결정화시켜서 이동의 지연효과가 있는 특이점이 있음을 발견하였다. 완충재의 핵종 반응 특성 평가 분야에서는 경주벤토나이트에 대한 광물 및 지화학적 특성분석을 종합분석하였으며, 압축벤토나이트의 공극수에 대한 화학적특성을 분석하였다. 지화학적 환경 변화에 따른 벤토나이트의 핵종 수착 특성을 분석하고, 핵종 이동 지연에 대한 지화학적 인자의 영향을 평가하였다. KURT 기반 용질거동 평가 분야에서는 산화환원환경 변화에 따른 처분환경 모사 고온/고압 하 근계영역 물-암석-핵종 반응 현장시험을 수행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근계영역에서 완충재 및 암반의 변질특성과 그에 따른 핵종의 이동/지연 특성을 평가하였다. 또한, 핵종의 지화학적 거동 예측을 위한 근계영역 지화학 진화모델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과제의 결과물들은 처분환경에서 핵종의 지화학적 거동을 예측하여 차분장의 장기 안전성에 대한 과학적 기술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출처 : 서지정보양식 203p)
    • 연구책임자 : 이재광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연구원
    • 발행년도 : 20210200
    • Keyword : 1. 근계영역;방사성핵종;지화학 거동;용기부식생성물;벤토나이트;수착;산화환원;이동;지연;진화;처분환경;사용후핵연료;지화학거동; 2. Near-field;Radionuclide;Geochemical behavior;Canister corrosion product;bentonite;Sorption;Redox;Evolution;Migration;Retardation;Spent nuclear fuel;Disposal environment;
  • 11710

    2021.02.28

    □ 연구개요 열대식물(Calotropis procera R. Br.) 유래 시스테인 단백분해효소(cysteine protease) 저해제(inhibitor)인 SnuCalCpI의 단백질 3차구조를 핵자기공명(nuclear magnetic resonance, NMR) 분석을 통해 도출하고, 도출된 구조 정보를 바탕으로 표적 시스테인 단백분해효소인 카뎁신 L (cathepsin L)에 대한 결합 및 저해 특성을 molecular docking simulation을 통해 평가함으로써 SnuCalCpI의 시스테인 단백분해효소 저해 메커니즘을 규명하고자 함. 최종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단계별 세부목표는 다음과 같음. ⦁ 핵자기공명 분석을 이용한 SnuCalCpI의 단백질 3차구조 규명 ⦁ SnuCalCpI의 카뎁신 L 저해 메커니즘 규명 □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 pET32a vector 내 overlap 클로닝 및 담배식각바이러스 단백분해효소 분절부위(ENLYFQG)를 도입하여 제조된 SnuCalCpI 삽입 pET32a vector를 대장균(E. coli BL21(DE3))에 성공적으로 형질전환 후 15NH4가 보충된 배지에서 발현된 15N 표지 SnuCalCpI03 및 SnuCalCpI15 단백질을 성공적으로 분리·정제함. ⦁ SnuCalCpI는 시스테인 단백분해효소 파파인 superfamily 내 카뎁신 L 유사 단백질의 I29 도메인으로써 알파-나선 구조로 예측되는 진화적으로 보존된 유전자 서열을 가지고 있으며, 원편광 이색성 분석을 통해 전형적인 알파-나선 구조의 형태임을 확인함. ⦁ 15N-labeled SnuCalCpI 단백질의 이핵 단일 양자 일관성 분광 핵자기공명 분석을 다양한 분석 조건에서 진행하였으나 backbone assignment를 위한 전체 residue peak 관찰은 어려웠음. 따라서 SnuCalCpI 유전자 서열을 바탕으로 trRosetta 딥러닝 기반의 molecular modeling을 통해 SnuCalCpI의 단백질 3차구조를 성공적으로 규명함. ⦁ SnuCalCp03 및 SnuCalCp15으로부터 I29 도메인인 SnuCalCpI 구조만 선택적으로 추출하여 카뎁신 L (3F75) 구조 내 C1A 도메인과의 molecular docking simulation을 PIPER 알고리즘이 탑재된 ClusPro를 기반으로 진행하였고, SnuCalCpI의 ERFNIN 및 GNFD 모티프로 이루어진 알파-나선 구조가 카뎁신 L의 활성 부위에 경쟁적으로 결합함으로써 효과적으로 저해할 수 있음을 밝혀내었음. □ 연구발성과의 활용 계획 및 기대효과(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본 연구개발과제는 열대식물로부터 발굴된 카뎁신 L 저해 기반의 신규 천연 항암 소재인 SnuCalCpI의 작용 메커니즘을 분자적 수준에서 구조학적으로 규명함으로써, 기존 화학약품 소재의 내성, 체내 잔류, 부작용 등의 한계를 극복하면서 항종양능을 보유한 천연암 전이 억제제의 활용가능성을 높여줄 수 있는 과학적 근거를 마련함.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장판식
    • 주관연구기관 : 서울대학교
    • 발행년도 : 20210300
    • Keyword : 1. 시스테인 단백분해효소 저해제;저해기작;구조분석;핵자기공명 분광 분석법;분자결합 모의실험; 2. Cysteine protease inhibitor;Inhibition mechanism;Structural analysis;NMR spectroscopy;Molecular docking simulation;
  • 11709

    2021.02.28

    □ 연구개요 만성 간염 환자에서 간 섬유화 정도를 비침습적으로 진단하는 검사법들의 표준검사법 개발과 다양한 검사법들의 간섬유화 진단능을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초음파, MR 기반 간탄성도 검사의 표준검사법 개발 ; 간의 capsule에서 1-2cm 아래에서 측정, beam이 수직으로 입사할 때 값이 잘 나옴 fibrosis와 연관이 있는 혈중 marker를 찾아냄 ; fibrosis와 correlation이 잘 되는 혈중 마커를 찾아 분석함 US elastography, MR elastography, 혈중 바이오마커등의 비침습적 간섬유화 평가법들의 간섬유화 진단능 비교 분석 ; 한 환자에서 여러 가지 검사를 함께 시행하여 간섬유화 진단능을 비교 분석하였음 □ 연구발성과의 활용 계획 및 기대효과(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만성간질환의 유병률이 늘어남에 따라 환자들은 본인의 간의 상태에 대해 관심히 증가하였고, 이를 조직검사등이 아닌 비침습적 방법으로 평가할 수 있다는 것은 본 연구의 가장 큰 기여라고 생각한다. US 영상은 쉽게 시행할 수 있고 radiation hazard가 없다는 점에서 만성간염환자들의 추적검사에 이용되고 있으나 결과가 주관적이라는 제한점이 있었다. 그러나 본 연구를 통해 검사값들의 연관성을 알 수 있었고, 그 값들은 신뢰성 및 재현성이 있었다. 이에 따라 만성간염환자의 진료에 중요한 검사방법으로 자리 매김하게 될 것으롤 기대된다.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이정은
    • 주관연구기관 : 충남대학교
    • 발행년도 : 20210300
    • Keyword : 1. 간섬유화;탄성검사;초음파;자기공명영상;만성 간염; 2. Liver fibrosis;Elastography;Ultrasound;Magnetic Resonance Imaging;Chronic hepatitis;
  • 11708

    2020.12.31

    1. 연구개발 목표 ㅇ 레이저 제염 및 실시간 모니터링 기술 개발 - 표면 레이저 제염 기술 (제거율 > 85%) 확보 - 면적 100㎠ 당 30분 이하 레이저 제염기술 확보 - 레이저 초점 면 (focal plane) ±0.5mm 이동 기술 확보 - 원격 측정 후 검출 시간 < 30 min 오염물질 판단 기술 확보 - 임의의 순수 샘플 판단 기술 확보 - 레이저 제염 및 모니터링용 모듈 설계 ㅇ수중 레이저 절단 기술 개발 - 수중 절단 기구부 (충돌방지 대응) 개발 - 수중 (수밀, 고압 환경 대응) 레이저 절단 헤드설계 및 제작 - 레이저 절단속도 20mm/min (수심 0.3m, 소재 두께 50 mm 이상) 기술 확보 - 대기중 환경 절단 대비 수중 절단 성능 특성 비교 평가 - 수중 레이저 절단 성능 향상을 위한 전산 모사 (오차범위 20%) - Dross 생성량 저감 기술 개발 (10 mm3/mm) (출처 : 본문 1. 연구개발 목표 3p)
    • 연구책임자 : 최지연
    • 주관연구기관 : 한국기계연구원
    • 발행년도 : 20210100
    • Keyword : 1. 레이저 제염;수중 레이저 가공;레이저 유도 붕괴 분광 분석;수중 레이저 절단 헤드;레이저 광학 모듈; 2. Laser decontamination;underwater laser processing;laser induced breakdown spectroscopy;under water laser cutting head;laser optical module;
  • 11707

    2020.12.31

    비공개항목입니다.
    • 연구책임자 : 박진주
    • 주관연구기관 : 광주과학기술원
    • 발행년도 : 20210100
    • Keyword : 1. 고온 안정 외가닥 DNA 결합 단백질;단백질 공학;핵자기공명분광학;단백질-DNA 상호작용;단백질 구조 계산; 2. Thermostable single-stranded DNA binding protein;protein engineering;nuclear magnetic resonance spectroscopy;protein-DNA interaction;Protein structure calculation;
  • 11706

    2020.12.31

    원전에 컴퓨터 및 통신기술의 적용으로 사이버침해 대응 연구가 요구됨. 원전 계측제어시스템의 사이버침해 대응 연구에 가장 중요한 Test-bed를 구축하기 위해 원자력 디지털 계측제어시스템 국산화 설계 및 개발 경험을 바탕으로, 안전계통으로서는 ESF-CCS, 비안전계통으로는 다양성보호계통(DPS), 원전종합감시계통인 (IPS)를 각기 대표적인 계통으로 선정하여 이들에 대한 설계, 제작, 통합시험을 수행함. 본 연구를 통해 원전 사이버사고 대응체계 운영을 위한 기반기술 확립하고, 국내 원자력시설 및 유관기관들의 TEST-BED 공동활용 및 사이버보안 평가 기술지원을 통해 국민 안전성 제고하는데 기여하고자 하였음. 이를 위해서 산업체의 사이버보안 시험평가 결과 비공개 전달 및 보안성 강화방안 기술지원을 하였으며, Test-bed 활용을 통해 산업체의 사이버보안 평가비 절감에 기여하였음. 또한 원전 사이버보안 R&D 네트워크 확대 및 실무 교육훈련을 지원하기 위해 국내 사이버보안 교육 콘텐츠를 개발하여 전파하고자 하였음. 이를 통한 원전 사이버보안 인식제고 및 안전성 향상 기대함. 본 연구는 IAEA, 미국 Idaho National Lab. 등 국외 사이버보안 전문기관과 체계적이고 장기적인 협력체계 구축을 통한 원전 사이버보안 역량 강화와 국제 원자력 사이버보안 연구에 기여함. (출처 : 서지정보양식 75p)
    • 연구책임자 : 송재구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연구원
    • 발행년도 : 20210100
    • Keyword : 1. 원자력;사이버보안;계측제어시스템;사이버공격 대응;원자력 안전; 2. nuclear power;cyber security;I&C system;cyber attack response;nuclear safety;
  • 11705

    2021.01.31

    본 연구사업의 주목표는 두가지로 영상장비 기반 연구지원과 가속기를 활용하는 연구지원이다. 첫번째로, 다중-다기능 융합PET/MRI영상 이용 연구의 활성화에 필요한 최신 융합 PET장비 도입과 신개발 다기능 방사성 추적자를 이용한 융합분자영상 기초 및 임상 응용기술 개발 / 신규 방사성 분자영상의약품 개발 및 평가 및 임상적용 연구 활성화 지원이란 목표를 가지고 표준화된 성능평가 및 QC 프로토콜, 영상 획득 프로토콜, 정량화 기법, 다중 영상 정합 기법 등의 개발 및 국내 등의 개발과 국내 보급을 통한 국내 PET/CT영상의 유용성 향상에 기여와 융합 PET (PET/CT 및 PET/MRI)의 다중-다기능 영상의 정량분석을 위한 영상의 융합 처리/분석기술의 개발과 평가, 방사성 동위원소를 이용한 진단능의 향상과 치료반응의 효과적 평가를 위한 영상분석기술 개발 및 임상적용 그리고 관련 연구개발 사업의 연구성과인 신개발 PET용 방사성의약품 및 융합 다중-다기능 영상용 의약품의 임상적용 및 유용성 평가 연구 수행 및 지원을 하였다. 두 번째로, MC50 사이클로트론을 통한 이용 연구자들의 시설 활용지원은 통계에 따르면 총 17개 기관 41개의 연구를 지원하였다. 가속기 가동시간은 총 950시간이며 내부 이용자 지원건수는 60건이고 외부 이용자 지원건수는 지원건수는 170건(내부이용: 54건, 외부이용: 116건)로 총 230건을 기록하였다. MC50 사이클로트론 관련 메인 수냉 펌프 시스템 업그레이드, Circular coil 마그넷 전원공급장치 교체, Low level RF 시스템 AD 보드 성능 개선, PLC system 업그레이드(PLC와 EPICS간 통신 구현, 차폐도어 데이터 통신 부분 업그레이드), 빔 라인 (Pump group 5) 진공 시스템 업그레이드 등의 인프라 강화를 하는 등 MC50 사이클로트론의 안정적 운영을 통해 당해연도 목표치인 장비가동률 90%를 상회하는 97.4%의 가동률을 달성하였다. 신규 의료용 RI 생산 지원을 위한 중양성자 빔 인출관련 내부 파트의 개조 및 빔 조사 조건 최적화를 통한 중양성자 빔 성능 향상을 위해 에너지별 Ion source와 Dee tip2 간격 별 중양성자 빔 테스트 및 최적화, 중양성자 빔 용 가스 시스템 유지보수 및 교체를 통해 목표치 중양성자 빔 인출량 16 ㎂로 목표치 15 ㎂를 초과 달성하였다. (출처 : 초록 3p)
    • 연구책임자 : 이교철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의학원
    • 발행년도 : 20210200
    • Keyword : 1. 양전자방출단층촬영술;융합영상시스템;다기능방사성의약품;다기능융합분자영상;임상연구사이클로트론;양성자;중성자;중양성자빔; 2. PET;hybrid imaging system;multi-functional radiopharmaceuticals;multi-functional hybrid molecular imaging;clinical study;MC-50;cyclotron;proton;neutron;deuteron beam;
  • 11704

    2021.02.28

    연구개요 ◦ SRSF11은 텔로머라제와 결합하여 텔로미어 길이 연장에 필수적인 기능을 수행하며 SRSF11과 텔로머라제 간의 결합을 제어하는 기술개발을 제안하였으나 SRSF11 의 RRM과 RS 도메인이 비특이적인 분해에 의하여 단백질의 분리가 불가능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대체하기 위하여 연구수행 초기부터 텔로머라제 활성을 제어하는 새로운 단백질로 HSP60를 발굴하였고 HSP60이 텔로머라제가 세포질에서 핵으로 이동하는데 필수적인 기능을 한다는 사실을 밝혔다. 이 결과를 통하여 HSP60이 암세포에서 텔로머라제 활성을 제어하는 새로운 항암표적임을 규명하였다. 또한 텔로머라제와 결합하는 단백질로 NOL1을 발굴하였고 NOL1 단백질 안정성이 tankyrase 1에 의한 poly-ADP ribosylation에 의하여 조절됨으로써 cyclin D1의 전사조절을 통하여 암세포의 세포주기를 조절하는 새로운 분자기작을 규명하였다.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 텔로머라제 결합단백질로 HSP60을 발굴하였고 암세포에서 HSP60 발현을 억제하면 텔로머라제의 역전사 활성 단백질인 hTERT가 핵으로 이동하지 못하고 세포질에 위치함을 확인하였다. 이 결과는 HSP60이 세포질에서 hTERT 구조를 안정화시켜 핵으로 이동하는데 필수적인 기능을 수행한다는 것을 나타내며 hTERT와 HSP60의 특이적 결합 억제가 새로운 항암전략으로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또한 HSP60에 결합하는 hTERT 도메인을 결정하였으며 다양한 세포주에서 HSP60에 의하여 TERT의 핵 내 이동이 조절됨을 확인하였다. ◦ hTERT는 핵으로 이동하여 텔로미어 길이를 조절하는 기능 외에 미토콘드리아에서 ROS 생성을 감소하는 세포사멸 억제 기능을 수행하기 때문에 hTERT가 미토콘드리아에서 ROS 생성을 억제하는 기작에서 HSP60의 기능을 조사한 결과 HSP60 발현을 억제하면 ROS 생성과 세포사멸이 증가함을 확인하였고 hTERT와 결합하지 못하는 HSP60 돌연변이체를 사용하여 세포사멸 억제에 hTERT-HSP60 결합이 필수적이라는 것을 규명하였다. ◦ HSP60 발현억제에 의하여 hTERT의 핵 내 이동이 억제되어 텔로미어 길이감소가 유도됨을 확인하였고 hTERT의 핵 내 이동 억제는 nuclear localization signal이 작동하지 못해 일어남을 확인하였다. ◦ hTERT와 HSP90-p23 간의 결합이 텔로머라제의 핵 내 이동에 필수적이기 때문에 이 과정에서 HSP60의 기능을 조사한 결과 hTERT가 핵으로 이동하기 위해서는 HSP60과 결합하여 단백질 폴딩이 우선 이루어져야 하며 그 후에 HSP90-p23과 결합하여 핵으로 이동한다는 가설을 제시하였다. ◦ 텔로머라제와 결합하는 단백질로 NOL1을 발굴하여 텔로머라제-NOL1 복합체가 cyclin D1의 전사를 촉진함을 확인하였다. NOL1이 tankyrase 1에 의하여 poly-ADP rybosylation되면 RNF146에 의하여 유비퀴틴화되어 단백질 분해가 일어나며 암세포에 tankyrase 1을 과발현하면 NOL1 발현양이 감소하여 cyclin D1의 전사가 감소하고 세포주기 G1/S transition이 정지함을 관찰하였다. 이 결과를 통하여 세포주기를 조절하는 tankyrase1/NOL1/cylin D1 regulatory axis가 암세포의 세포 주기를 조절하는 새로운 분자기작임을 규명하였다. 연구발성과의 활용 계획 및 기대효과 (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 텔로머라제 활성 억제제는 텔로미어 길이감소를 유도하나 hTERT의 세포보호 기능을 함께 억제하기 때문에 현재까지 항암제로 FDA에 승인된 약물은 없다. hTERT와 결합하는 단백질로 HSP60를 발굴하였으며 HSP60 발현억제에 의하여 hTERT가 핵으로 이동이 억제됨을 밝혔다. HSP60 발현억제는 hTERT의 non-telomeric 기능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에 새롭고 이상적인 항암전략으로 활용될 수 있다. ◦ 텔로머라제와 결합하는 NOL1이 cyclin D1의 전사조절자로 작용하며 tankyrase 1에 의하여 poly-ADP ribosylation되어 NOL1 단백질 안정화가 감소되면 암세포에서 세포주기 G1/S transition이 정지한다는 사실을 새롭게 발견하였다. 이 결과는 NOL1 기능 제어 기술개발을 통하여 암세포에서 세포주기를 정지하는 새로운 항암 전략으로 활용될 수 있다. (출처 :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정인권
    • 주관연구기관 : 연세대학교
    • 발행년도 : 20210300
    • Keyword : 1. 텔로머라제;암세포의 노화 유도; 2. Telomrease;HSP60;Senescence induction of cancer cells;NOL1;tankyrase 1;
  • 11703

    2020.12.31

    □ 1단계 연구결과: 본 연구진은 1단계 연구에서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도출하였음. • 정상 및 저산소환경에서 환자 유래 (대장암, 두경부암) 암혈관내피세포의 방사선 민감도가 정상혈관내피세포와 비교하여 높음을 관찰하였으며 이와 관련된 인자들을 발굴함. • 환자 유래 정상 및 암혈관내피세포의 세포 표지 인자 발현에 차이가 있음을 관찰함. • 정상 및 저산소환경에서 정상 및 암혈관내피세포에 방사선을 조사하였을 때 암세포의 방사선 민감도에 영향을 미치는 ECM과 cytokines의 발현양에 차이가 있음을 관찰함. □ 2단계 연구결과: 2단계 연구에서는 1단계 연구결과의 심화 및 응용 연구를 수행함. • 정상 및 저산소환경에서 암혈관내피세포의 방사선 민감도 조절에 관련된 신호전달기전 규명과 암혈관내피세포와 cancer niche 세포간의 상호반응에 기인한 암세포의 방사선 치료 저항성 조절에 관련된 신호전달기전을 규명함. • 암혈관내피세포 특이적 세포 표지 인자, ECM과 cytokine의 기능 규명과 방사선 치료 효능 극대화를 위한 나노전달체 및 생체모사 배양시스템 개발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함. (출처 : 보고서 요약서 3p)
    • 연구책임자 : 오은택
    • 주관연구기관 : 인하대학교
    • 발행년도 : 20210100
    • Keyword : 1. 방사선 치료;방사선 민감도;암혈관내피세포;상호반응;분할방사선; 2. Radiotherapy;Radiosensitivity;Cancer endothelial cell;Cross talk;Radiation therapy fractio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