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의 목적은 1979년 중국-베트남 전쟁이 중국 국방현대화에 미친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1979년 중국-베트남 전쟁은 중국 인민해방군이 마오쩌둥의 인민전쟁 전략으로 수행한 마지막 전쟁이었다. 중국 인민해방군은 10년 간 베트남 전쟁으로 충분한 실전 경험을 보유한 베트남 인민군에 비해 전술, 전략, 군사 장비, 전투 숙련도에서 열세를 보여주었다. 1979년 2월 17일 중국의 베트남 공격은 베트남 북부 국경도시이자 하노이로 진격할 수 있는 전략적 요충지 랑선을 점령한 3월 5일 철군 선언, 3월 16일 철군이 완료되면서 종결되었다. 1979년 중국-베트남 전쟁이 중국 국방현대화에 미친 영향은 다음과 같다.첫째, 중국은 1979년 중국-베트남 전쟁을 준비하면서 미국, 일본 등 서방 국가들과의 관계를 강화할 수 있었다. 덩샤오핑은 1978년 하반기부터 1979년 1월까지 싱가포르, 일본, 미국을 방문하여 관계를 개선하고 베트남 공격에 관해 논의했다. 미국은 중국의 베트남 공격 전후 소련에 대한 군사 정보를 제공했기 때문에 중국은 소련의 공격을 우려하지 않고 전쟁을 수행할 수 있었다. 미국, 일본, 서방 국가들은 1979년 중국-베트남 전쟁 이후 중국과의 교류 확대, 원조, 경제협력을 추진하였다. 그 결과 중국은 1980년대 경제 성장을 위한 안정적인 외부 환경을 구축할 수 있었다.둘째, 덩샤오핑의 리더십이 강화되었다. 1979년 중국-베트남 전쟁을 지휘한 것은 덩샤오핑이다. 중국은 1978년 12월 11기 3중 전회를 통해 개혁개방 노선을 표방했다. 화궈펑과의 권력 투쟁에서 이제 막 주도권을 잡은 덩샤오핑에게 1979년 2월 베트남 공격은 중요한 결정이었다. 덩샤오핑에게 인민해방군의 전투력은 실망스러웠으나, 베트남 북부 요충지 랑선을 점령하는 데 성공하고 전쟁을 신속히 종결할 수 있었다. 전후 덩샤오핑은 인민해방군 주요 지휘부를 교체함으로써 군에 대한 영향력을 확대할 수 있었다. 이후 100만 감군, 군 구조 개혁 등 국방현대화를 추진할 수 있었다.셋째, 덩샤오핑이 발탁한 류화칭은 중국의 국방현대화, 특히 해군력의 장기 발전을 추진할 수 있었다. 중국 인민해방군은 문화대혁명 기간 동안 군 지휘부가 계급 투쟁에 휘말렸고, 훈련에도 매진할 수 없었으며, 전력의 현대화를 추진하지 못했다. 그 결과 1979년 베트남 공격시 인민해방군의 피해는 막대했다. 덩샤오핑이 발탁한 류화칭은 1982년부터 6년간 해군 사령원으로 재직하였고, 1989년 당 중앙군사위 부주석, 1992년 중앙정치국 상무위원 등 최고위직을 역임할 수 있었다. 류화칭은 국방현대화 정책, 그 중에서도 해군력 발전을 위한 장기 계획을 추진할 수 있었다. 류화칭은 도련선 개념 확립, 원해방어 전략, 핵 잠수함 및 수상함 건조, 항공모함 건조를 위한 연구 개발 작업을 추진할 수 있었다. 1979년 중국-베트남 전쟁 이후 약 45년이 지난 오늘날 중국 해군 전력은 3개 항공모함을 포함 약 360척의 전함을 보유해 양적으로는 미국을 뛰어넘은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남중국해를 넘어 태평양 진출을 시도하고 있는 중국의 해군 전력은 서해를 마주하고 있는 우리에게 구체적이고 장기적인 해양 전략 수립의 필요성, 정치지도자 및 국민에 대한 설득 등 측면에서 깊은 성찰의 사례가 되고 있다.
- Pub. Date : 2025
- Page : pp.123-148
- Keyword :